KR20230021447A - Medical information real-time provision system - Google Patents
Medical information real-time provis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21447A KR20230021447A KR1020210103327A KR20210103327A KR20230021447A KR 20230021447 A KR20230021447 A KR 20230021447A KR 1020210103327 A KR1020210103327 A KR 1020210103327A KR 20210103327 A KR20210103327 A KR 20210103327A KR 20230021447 A KR20230021447 A KR 202300214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cal
- image
- patient
- information
- video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87—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region growing; involving region merging; involving connected component labell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41—Med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이미지에 대한 의사의 진료 내용설명을 환자와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의료정보 실시간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사이 영상 이미지에 라벨링 또는 마킹 정보를 환자의 사용자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의료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apable of sharing a doctor's medical treatment description of a video image with a patient in real time, and more particularly, a doctor transmits labeling or marking information to a video image to a patient's user terminal in real time. It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medical information that can be transmit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사가 환자에게 설명하는 진료 내용을 이미지와 함께 실시간 공유 가능한 의료정보 실시간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사가 영상 이미지에 라벨링 또는 마킹 정보를 환자의 사용자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의료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apable of sharing medical treatment contents explained by a doctor to a patient together with images in real time, and more particularly, a doctor can transmit labeling or marking information to a video image to a user terminal of a patient in real time. It is about a real-tim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병원의 전산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각종 장비를 이용하여 촬영된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저장하며, 의사가 진료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신의 계정에 접근한 다음 환자의 진료기록을 생성하고 갱신하는 기능을 지원한다.The hospital's computer system generally stores medical images or images taken using various equipment, and supports the function of creating and updating patient's medical records after a doctor accesses his or her account using a medical computer. .
병원에서 진료 영상이나 이미지는 CT(Computerized Tomography), 엑스레이,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초음파 사진 등 다양한 형태로 생성되는데, 이러한 진료 영상, 진료 이미지는 병세와 치료의 진행상황을 확인하는 수단인 동시에 처방의 근거가 되기도 하므로 매우 중요하다.In hospitals, medical images and images are created in various forms such as CT (Computerized Tomography), X-ray,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ultrasound pictures. It is also very important as it serves as a basis for prescription.
이에 북미방사선학회(RSNA)에서는 의료 영상 장비의 표준화를 위하여 다이콤(DICOM:Digital Imaging Communication in Medicine) 규격을 제안하였으며, 현재까지 꾸준히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the 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 (RSNA) proposed the DICOM (Digital Imaging Communication in Medicine) standard for standardization of medical imaging equipment, and it has been steadily used until now.
이러한 병원 전산시스템의 전형적인 형태는 병원 내부에 메인 서버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 서버가 각 의사의 진료실이나 각 창구에 구비된 컴퓨터를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관리하게 된다.In a typical form of such a hospital computer system, a main server is provided inside the hospital, and the main server integrates and manages data generated through computers provided in each doctor's office or each window.
한편, 최근 스마트폰과 타블렛이 널리 보급되면서 새로운 컴퓨팅 수단인 스마트폰 또는 타블렛을 다양한 기술분야에 접목시키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다. 그러나, 병원 전산시스템은 다른 일반적인 컴퓨팅 기술분야와는 달리 의료 기술분야에 해당하여, 다양한 진료장비들과 연동되기가 어렵고, 무선 통신방식에 의해 통신하므로 복잡한 진료장비 인근에서 사용시 진료장비의 오동작을 초래할 위험성이 존재한다. On the other hand, as smart phones and tablets have recently been widely spread, attempts have been made to incorporate new computing means, smart phones or tablets, into various technical fields. However, unlike other general computing technology fields, the hospital computer system corresponds to the medical technology field, so it is difficult to link with various medical equipment, and since it communicates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t may cause malfunction of the medical equipment when used near complicated medical equipment. Risk exists.
따라서, 병원 내부에 구비된 의료전산시스템 정보를 환자 개인의 사용자단말기로 실시간 전송시킬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capable of real-tim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from a medical computer system provided in a hospital to a user terminal of an individual patien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의사가 진료 기록 등이 더해진 영상 이미지를 의사와 함께 환자도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공유, 열람 가능하게 함으로써 편리한 진료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ims to provide a convenient medical treatment environment by enabling a doctor to share and view a video image to which a medical record is added in real time on a terminal together with a doctor and a patient.
또한, 환자 고유의 암호와 코드 또는 식별 코드를 부여받아 환자의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진료 기록을 열람할 수 있는 의료정보 실시간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l-time medic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in which a patient's unique password and code or identification code can be assigned and medical records can be viewed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patient's needs.
본 발명의 의료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은 의료용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이미지에 환자정보와 식별 가능한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의료영상촬영장치(1000); 상기 의료영상촬영장치(1000)로부터 촬영된 영상 이미지와 환자정보가 저장되는 서비스제공서버(2000);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0)로부터 환자정보와 일치하는 영상 이미지를 호출하고, 호출된 영상 이미지에 데이터 라벨링(labeling) 또는 이미지 마킹으로 환자의 진료 정보를 입력하여 진료용 영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0)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진료단말(3000);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0)에 접속되어 상기 진료용 영상 이미지를 전송받는 사용자단말(4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료단말(3000)는 상기 서비스제공서버(1000)에 저장된 영상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호출하는 이미지 호출부(3100); 상기 호출된 영상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부(3200); 상기 선택된 영상 이미지에 데이터 라벨링(labeling) 또는 이미지 마킹으로 환자의 진료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3300); 환자의 진료 정보와 영상 이미지를 병합하여 진료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병합부(3400); 생성된 진료 영상 이미지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0)로 전송하는 서버 전송부(3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0)는 상기 영상 이미지와 상기 진료 영상 이미지가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00); 상기 사용자단말(4000)의 접속 권한을 설정하는 접속권한 설정부(2200); 상기 사용자단말(4000)가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0)에 접속되면 상기 사용자단말(4000)로 진료 영상 이미지를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부(2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상기 이미지 전송부(2300)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3300)에서 환자의 진료 정보가 새롭게 입력되면 새로운 정보로 저장된 진료 영상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리로드(Reload)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단말(4000)로 전송된 진료 영상 이미지는 환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단말(4000)의 내부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dical treatment video image transmitted to the
본 발명은 의사의 진료 시 환자의 병중에 대한 설명 및 주석 등이 병합된 의료 영상 이미지를 환자 개인이 사용자단말기로 확인하여 의사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병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a doctor's treatment, an individual patient can check a medical image image in which an explanation and annotation on a patient's condition are merged with a user terminal, thereby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ondition as well as the doctor's explanation.
또한, 본 발명은 진료시간 이외에도 사용자단말기를 사용하여 환자의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진료 기록을 열람할 수 있어 환자 자신의 건강기록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uild the patient's own health record by reading medical records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need of the patient using a user terminal outside of medical treatment hour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이미지에 대한 의사의 진료 내용설명을 환자의 사용자단말기와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의료영상촬영장치와 서비스제공서버와 진료부 및 사용자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sharing a doctor's medical treatment content explanation for a video image with a patient's user terminal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detailed configurations of a medical imaging apparatus, a service providing server, a treatment unit,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이미지에 대한 의사의 진료 내용설명을 환자의 사용자단말기와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의료영상촬영장치와 서비스제공서버와 진료부 및 사용자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haring a doctor's medical treatment content explanation for video images in real time with a patient's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reatment unit and the user terminal.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의료영상촬영장치(1000), 서비스제공서버(2000), 진료단말(3000) 및 사용자단말(40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의료영상촬영장치(1000)는 환자의 병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의료기기에 해당하며, X-Ray, CT, PET CT, MRI, 초음파 영상, 내시경 영상, 열화상 영상, 핵의학 영상 등 의료영상장비를 모두 포함한다. The
의료영상촬영장치(1000)는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1100)를 포함하며,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 환자정보와 식별 가능한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고유번호 생성부(1200)를 더 포함한다. The
고유번호 생성부(1200)로 인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가 다른 환자와 혼용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고유번호 생성부(1200)는 환자정보와, 촬영일시, 촬영목적 등을 영상 이미지의 일측에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영상촬영장치(1000)는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0)로 전달하는 영상 이미지 전달부(1300)를 더 포함한다. Due to the unique
서비스제공서버(2000)는 환자정보를 저장한다. 환자정보는 환자의 의료기록, 개인정보 등을 토대로 저장되며, 다른 환자와 중첩되지 않도록 고유의 등록번호가 부여된 상태에서 저장된다. 서비스제공서버(2000)는 유/무선이 가능한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다. The
진료단말(3000)은 의사이 육안으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 이미지를 호출한다. 그리고, 호출된 영상 이미지에 데이터 라벨링 또는 이미지 마킹을 사용하여 환자의 병증에 대한 설명, 영상 이미지에서 병증이 나타나는 부위를 표시한다. (데이터 라벨링은 이미지, 영상, 텍스트 등의 데이터에 기계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 분류, 가공하는 작업으로, 수동 또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후, 영상 이미지에 기록한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진료단말(300)은 기록된 정보와 영상 이미지는 하나로 병합하여 진료용 영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 서비스제공서버(2000)로 전송한다.Thereafter, when the input of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video image is completed, the medical treatment terminal 300 merges the recorded information and the video image into one to generate a medical video image,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한편, 진료단말(3000)은 터치패널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이거나 PC(personal computer)일 수 있다. 진료단말(3000)은 환자의 진료 정보를 영상 이미지 상에 텍스트 형태로 입력할 수 있도록 키보드 및 마우스(미도시)와 연결되어 환자의 병증에 대한 설명을 기록한다. 마우스의 좌클릭과 드래그를 통해 형상 이미지에 마킹할 수 있고, 마우스 우클릭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진료단말(3000)은 이미지 호출부(3100), 이미지 선택부(3200), 데이터 입력부(3300), 이미지 병합부(3400) 및 서버전송부(3500)를 포함한다.The
이미지 호출부(3100)는 서비스제공서버(2000)에 저장된 영상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호출한다. 이때, 영상 이미지와 환자 정보를 동시에 진료단말(3000)로 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미지 선택부(3200)는 영상 이미지가 다수개 호출된 경우 의사이 다수의 영상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즉, 환자의 병증을 설명할 수 있는 최선의 영상 이미지를 의사가 선택하고, 선택된 영상 이미지에 환자의 병증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라벨링 및 이미지마킹을 수행하는 것이다. 선택된 영상 이미지는 데이터 라벨링 또는 이미지 마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배경으로 배치된다. When a plurality of video images are called, the
데이터 입력부(3300)는 의사가 상기 선택된 영상 이미지에 데이터 라벨링(labeling) 또는 이미지 마킹으로 환자의 진료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되는 데이터는 병증이 나타나는 부위에 영상 이미지 상에 선이나 도형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병증을 설명하는 텍스트일 수 있다. In the
이미지 병합부(3400)는 입력된 환자의 진료 정보와 영상 이미지를 병합하여 진료 영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즉, 영상 이미지와 라벨링 또는 이미지 마킹이 완료된 상태의 영상 이미지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는 것이다. 이때, 서비스제공서버(2000)에는 원본의 영상 이미지가 존재하며, 원본의 영상 이미지를 손상시키지 않고 데이터 라벨링 또는 이미지마킹을 통해 진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The
서버전송부(3500)는 이미지 병합부(3400)에서 병합된 진료 영상 이미지를 서비스제공서버(2000)로 전송한다. 전송된 진료 영상 이미지는 서비스제공서버(2000)에 저장된다. The
사용자단말(4000)은 환자가 휴대하고 있는 개인 스마트폰 등의 무선통신단말기에 해당한다. 사용자단말(2000)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통신부(2100)를 포함하며, 단말기 통신부(2100)는 서비스제공서버(1000)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400)은 무선통신으로 서비스제공서버(1000)에 접속(로그인)할 수 있다. The
예를 들면, 사용자단말(4000)에는 병원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한 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환자 개인이 부여받은 등록번호와 환자가 임의로 설정한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서비스제공서버(2000)에 접속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서비스제공서버(2000)에 로그인하기 위해 입력하는 ID와 비밀번호는 환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진료를 주관하는 의사이 환자에게 임의로 부여할 수 있다. An ID and password input to log in to the
이후 서비스제공서버(2000)에 접속된 사용자단말(4000)에는 서비스제공서버(2000)에 저장된 진료 영상 이미지가 전송되며, 환자가 사용자단말(4000)에서 진료 영상 이미지를 확인하면서 의사을 통해 병증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Thereafter, the medical treatment video image stored in the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0)는 데이터베이스(2100), 접속권한 설정부(2200) 및 이미지 전송부(2300)를 포함한다. The
데이터베이스(2100)는 영상 이미지와 상기 진료 영상 이미지를 저장하며, 진료용단말(3000)이 데이터베이스(2100)에 저장된 영상 이미지를 호출한다. The
접속권한 설정부(2200)는 사용자단말(4000)이 데이터베이스(2100)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과 서비스제공서버(2000)에서 진료 영상 이미지를 접속한 사용자단말(4000)에 전송여부의 권한을 설정한다. 사용자단말(4000)은 QR코드, NFC태그 등을 통하여 서비스제공서버(2000)의 네트워크 주소에 접속할 수 있다.The access
즉, 접속권한 설정부(2200)는 접속하는 환자의 사용자단말(4000) 장치가 진료 받고 있는 환자의 소유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는 환자가 의사으로부터 부여받은 고유의 접속 코드를 입력하거나, 서비스제공서버(2000)에 저장된 환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저장된 고유의 등록번호를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다. That is, the access
이미지 전송부(2300)는 접속권한을 부여받아 서비스제공서버(2000)에 접속된 사용자단말(4000)에 데이터베이스(2100)에 저장된 진료 영상 이미지를 전송한다.The
그리고, 이미지 전송부(2300)는 데이터 입력부(3300)에서 환자의 진료 정보가 새롭게 입력되면 새로운 정보로 저장된 진료 영상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리로드(Reload) 시키는 재전송부(2310)를 더 포함한다. The
예를 들면 재전송부(2310)는 의사가 영상 이미지에 추가로 라벨링 또는 이미지 마킹의 데이터를 입력하면 새롭게 진료 영상 이미지가 데이터베이스(2100)에 저장된다. 이때, 실시간으로 사용자단말(4000)에 진료 영상 이미지가 업로드될 수 있도록 재전송부(2310)가 사용자단말(4000)로 새로운 정보로 저장된 진료 영상 이미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진료 영상 이미지를 환자와 의사이 공유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료정보를 환자와 의사이 공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그리고, 사용자단말(4000)로 전송된 진료 영상 이미지는 환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단말기(4000)의 내부 저장매체인 저장부(42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진료시간 이외에도 사용자단말(4000)을 사용하여 서비스제공서버(2000)에 접속한 후 진료 기록을 열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병증의 이해도를 높임과 동시에 환자 스스로 전자건강기록(EHR) 내역을 구축할 수 있다. Also, the medical treatment video image transmitted to the
1000 : 의료영상촬영장치
2000 : 서비스제공서버
3000 : 진료단말
4000 : 사용자단말1000: medical imaging device 2000: service providing server
3000: medical treatment terminal 4000: user terminal
Claims (5)
상기 의료영상촬영장치(1000)로부터 촬영된 영상 이미지와 환자정보가 저장되는 서비스제공서버(2000);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0)로부터 환자정보와 일치하는 영상 이미지를 호출하고, 호출된 영상 이미지에 데이터 라벨링(labeling) 또는 이미지 마킹으로 환자의 진료 정보를 입력하여 진료용 영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0)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진료단말(3000);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0)에 접속되어 상기 진료용 영상 이미지를 전송받는 사용자단말(40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a medical imaging device 1000 that captures a medical video image and assigns patient information and an identification number to the captured video image;
a service providing server 2000 that stores video images captured by the medical imaging apparatus 1000 and patient information;
A video image matching the patient information is call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0, and the patient's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alled video image by data labeling or image marking to generate a video image for medical treatment. a medical treatment terminal 3000 that transmits and stores data to the providing server 2000;
a user terminal 4000 that is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0 and receives the video image for medical treatment;
Medical information real-tim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상기 진료단말(3000)는 상기 서비스제공서버(1000)에 저장된 영상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호출하는 이미지 호출부(3100);
상기 호출된 영상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부(3200);
상기 선택된 영상 이미지에 데이터 라벨링(labeling) 또는 이미지 마킹으로 환자의 진료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3300);
환자의 진료 정보와 영상 이미지를 병합하여 진료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병합부(3400);
생성된 진료 영상 이미지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0)로 전송하는 서버 전송부(3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medical treatment terminal 3000 includes an image calling unit 3100 that calls at least one video image stored 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0;
an image selection unit 3200 for selecting one of the called video images;
a data input unit 3300 inputting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of the patient to the selected video image by data labeling or image marking;
an image merging unit 3400 generating a medical examination image by merging the patient's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and the video image;
a server transmission unit 3500 that transmits the generated medical treatment image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0; Medical information real-tim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0)는
상기 영상 이미지와 상기 진료 영상 이미지가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00);
상기 사용자단말(4000)의 접속 권한을 설정하는 접속권한 설정부(2200);
상기 사용자단말(4000)가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0)에 접속되면 상기 사용자단말(4000)로 진료 영상 이미지를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부(2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According to claim 2,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0
a database (2100) for storing the imaging images and medical imaging images;
Access authority setting unit 2200 for setting the access authority of the user terminal (4000);
When the user terminal 4000 is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0, an image transmission unit 2300 for transmitting a medical examination image to the user terminal 4000;
Medical information real-tim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상기 이미지 전송부(2300)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3300)에서 환자의 진료 정보가 새롭게 입력되면 새로운 정보로 저장된 진료 영상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리로드(Reload)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According to claim 3,
The image transmission unit 2300 reloads the medical treatment image stored as new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patient's treatment information is newly input from the data input unit 3300. Medical information real-time providing system.
상기 사용자단말(4000)로 전송된 진료 영상 이미지는 환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단말(4000)의 내부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medical information real-tim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edical imag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4000) can be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medium of the user terminal (4000) according to the patient's sel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3327A KR20230021447A (en) | 2021-08-05 | 2021-08-05 | Medical information real-time provis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3327A KR20230021447A (en) | 2021-08-05 | 2021-08-05 | Medical information real-time provision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1447A true KR20230021447A (en) | 2023-02-14 |
Family
ID=8522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3327A Ceased KR20230021447A (en) | 2021-08-05 | 2021-08-05 | Medical information real-time provis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21447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4178B1 (en) * | 2024-03-26 | 2024-10-31 | (주)비씨앤컴퍼니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mage data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39579A (en) | 2012-06-13 | 2013-12-23 | 주식회사 지피앤피 | Method of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with mobile device |
KR20150038850A (en) | 2013-10-01 | 2015-04-09 | 주식회사 정상 | Method for sharing diagnostic medical image |
-
2021
- 2021-08-05 KR KR1020210103327A patent/KR20230021447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39579A (en) | 2012-06-13 | 2013-12-23 | 주식회사 지피앤피 | Method of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with mobile device |
KR20150038850A (en) | 2013-10-01 | 2015-04-09 | 주식회사 정상 | Method for sharing diagnostic medical imag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4178B1 (en) * | 2024-03-26 | 2024-10-31 | (주)비씨앤컴퍼니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mage data |
KR102797979B1 (en) * | 2024-03-26 | 2025-04-21 | (주)비씨앤컴퍼니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mage dat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52785B2 (en) | Patient-centric data acquisition protocol selection and identification tags therefor | |
US7310651B2 (en) | Medical media fi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US20070192138A1 (en) | Medical record system in a wide-area network environment | |
US2005011417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d viewing a multi-media patient summary | |
US20100049548A1 (en) | Medical image system, electronic medical recor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
US20070078674A1 (en) | Display method for image-based questionnaires | |
CN112582057B (en) | Advanced Medical Imaging in a Distributed Setting | |
KR20130053587A (en) | Medical device and medical image displaying method using the same | |
US12300361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dependent assessment of image data | |
US20090028402A1 (en) | Medical Image System | |
JP5608830B1 (en) | Medical record transfer system and medical record transfer method | |
KR20200068992A (en) |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For Computerizing Of Electro-Magnetic Resonance | |
US20080249807A1 (en) | Interpretation support system | |
Mann et al. | HIS integration systems using modality worklist and DICOM | |
KR20230021447A (en) | Medical information real-time provision system | |
JP6530896B2 (en) | Medical record transfer system and medical record transfer method | |
KR20180131888A (en) | Systems and method for managing web-based clinical trial medical imaging and program therefor | |
KR10178380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media Medical Data Diagnosis using Personal Health Record | |
KR20190138106A (en) | Medical image information starage system | |
Sibarani | Simulating an integration systems: Hospital information system, radiology information system and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 |
JP2010131034A (en) | Medical image system | |
US20240197400A1 (en) | System for triggering patient analytic services for a medical provider | |
CN213877603U (en) | Regional medical image remote diagnosis system | |
CN201681599U (en) | Medical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 |
US20130275147A1 (en) | Medical information interoperability test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5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