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230A - Smart key system using qwerty keybo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mart key system using qwerty keybo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82230A KR20140082230A KR1020120151867A KR20120151867A KR20140082230A KR 20140082230 A KR20140082230 A KR 20140082230A KR 1020120151867 A KR1020120151867 A KR 1020120151867A KR 20120151867 A KR20120151867 A KR 20120151867A KR 20140082230 A KR20140082230 A KR 201400822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 key
- head unit
- information
- tethering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anual input of alphanumerical co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차량에서 스마트키에 입력장치인 쿼티 키보드를 부가하여 스마트키의 활용성을 높이도록 한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제어방법은 스마트키 장치에서 테더링 스위치가 입력되면, 헤드 유닛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키 장치에서 탐색한 헤드 유닛의 개인식별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헤드 유닛과 테더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키 장치에서 상기 테더링 설정 후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정보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상기 헤드 유닛으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헤드 유닛에서 상기 스마트키 장치로부터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헤드 유닛에서 수신한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여 길안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길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단계를 포함한다.A smart key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a QWERTY keyboard for enhancing the utility of a smart key by adding a QWERTY keyboard as an input device to a smart key in a vehicle are disclosed.
A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key system using a QWERTY keyboard includes: searching a head unit when a tethering switch is input in a smart key device; Setting tethering with the head unit when th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head unit searched by the smart key device is input; Transmitting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head unit through Wi-Fi direct communication when the information using the QWERTY keyboard is input after the tethering setting in the smart key device;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key device via the Wi-Fi direct communication in the head unit; Extract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by executing a command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received by the head unit, and displaying the extract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쿼티 키보드(qwerty keyboard)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Smart Key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스마트키에 입력장치인 쿼티 키보드를 부가하여 스마트키의 활용성을 높이도록 한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key system using a qwerty key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key system using a qwerty keyboard, To a smart key system using a keyboar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스마트키 시스템(Smart Key System)은 차량 소유자가 물리적인 열쇠나 리모컨 버튼을 사용하는 일없이 잠금을 해제하여 엔진을 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In general, a Smart Key System is a system that allows a vehicle owner to unlock and start the engine without using a physical key or a remote control button.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은 차량의 LF 안테나가 구동되어 스마트키(FOB키)로 LF를 송신하고, LF 수신 후에 FOB키에서 자동으로 RF를 송신하게 되며, RF 안테나를 통해 스마트키 모듈에서 FOB키를 인증하는 과정을 거친 후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엔진을 시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LF antenna of the vehicle is driven by the LF antenna of the vehicle, the LF is transmitted by the smart key (FOB key), the RF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from the FOB key after the LF reception, and the FOB key is authenticated The door can be unlocked or the engine can be started.
이러한 스마트키 시스템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운전자가 FOB키를 소지하면 차량에서 이를 인지하여 키 삽입 없이 시동버튼을 눌러 시동을 걸 수 있지만, FOB키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나 외란으로 인하여 FOB키의 통신거리가 보장되지 않는 경우 등과 같이 FOB키를 차량에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비상시동을 하여야한다.However, when the battery of the FOB key is discharged or disturbance, the communication distance of the FOB key may be shortened. If the FOB key is not recognized by the vehicle, such as when the FOB key is not guaranteed, an emergency start must be performed.
차량에 스마트키 시스템이 장착된 종래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57084호(2008.09.05. 공고)(발명의 명칭: 유에스비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상시동 시스템 및 그 시동방법),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08405호(2008.03.03. 공고)(발명의 명칭: 차량용 스마트키를 구비한 지능형 디지털 도어록),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65341호(2009.06.22. 공개)(발명의 명칭: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에 개시된다.
A prior art in which a smart key system is installed in a vehicl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57084 (entitled: Emergency start system using a USSB smart key and its starting method),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lligent digital door lock having a smart key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lligent digital door lock having a smart key for a vehicle,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0808405 (Mar. (Smart key for vehicle and telematics system for a vehicle using the sam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스마트키 시스템이 단순히 차량의 도어 잠김/열림이나 트렁크를 제어하는 기능만이 있을 뿐, 스마트키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 내에 구비된 내비게이션과 통신을 하거나 내비게이션을 탐색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ies, the smart key system has merely functions to lock / unlock the door of the vehicle and control the trunk, and it is im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navigation provided in the vehicle using the smart key system, There are disadvantages.
즉, 종래의 차량에 적용된 스마트키 시스템은 차량의 도어를 열거나 닫는 것, 트렁크를 여는 것 등의 단순한 기능만이 가능하여 그 활용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That is, the smart key system applied to the conventional vehicl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use only simple functions such as opening or closing a door of a vehicle, opening a trunk, and the lik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에서 스마트키에 입력장치인 쿼티 키보드를 부가하여 스마트키의 활용성을 높이도록 한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key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a QWERTY keyboard that increases the utility of a smart key by adding a QWERTY keyboard as an input device to a smart key in a vehic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을 통해 무선으로 차량 헤드 유닛(Head Unit)과 접속하여 테더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key system in which a QWERTY keyboard can be connected to a head unit of a vehicle wirelessly via Wi-Fi Direct communication in a smart key system, Key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에 장착된 내비게이션과 접속하여 주소지와 같은 정보를 입력하거나 내비게이션의 메뉴 조작을 통해 탐색을 할 수 있도록 한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key system, which uses a QWERTY keyboard to access information such as a street address and navigate through a navigation menu by accessing a navig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through short- A smart key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key system using a QWERTY keyboard,
차량에 장착된 헤드 유닛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테더링(Tethering)을 하고, 쿼티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헤드 유닛에 전송하는 스마트키 장치;A smart key device for performing tethering via a Wi-Fi direct communication with a head unit mounted on a vehicle, and wirelessly transmi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QWERTY keyboard to the head unit;
상기 스마트키 장치와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무선 통신을 하고, 상기 스마트키 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된 입력정보에 따라 길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헤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head uni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key device via the Wi-Fi direct communication and outputting gui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input information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smart key device.
상기에서 스마트키 장치는 테더링 기능의 온/오프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테더링 스위치부;The smart key device includes a tethering switch for selecting on / off operation of a tethering function;
쿼티 키보드를 포함하며,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부;A QWERTY keyboard, comprising: an input for inputting information;
상기 테더링 스위치부에 의해 테더링 기능이 요구되면 상기 헤드 유닛과 무선 접속하여 테더링 기능의 설정을 제어하고, 테더링 설정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상기 헤드 유닛으로 전송토록 제어하는 제어부;When the tethering function is requested by the tethering switch unit, the tethering function is set to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head unit to control the setting of the tethering function, and after inputting the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to the unit;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 유닛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으로 접속하여 테더링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한 정보를 상기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And a transmitter for establishing a tethering function by accessing the head unit through Wi-Fi direct communic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ler to the head unit.
상기에서 헤드 유닛은 상기 스마트키 장치와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으로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키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The head unit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smart key device through the Wi-Fi direct communication and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key device;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키 장치를 인증하고, 상기 스마트키 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기반으로 추출한 길안내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authenticating the smart key device based on the data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and controlling display of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extracted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key device;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길안내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And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제어방법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key system using a QWERTY keyboard,
(a) 스마트키 장치에서 테더링 스위치가 입력되면, 헤드 유닛을 탐색하는 단계;(a) when a tethering switch is input in a smart key device, searching for a head unit;
(b) 상기 스마트키 장치에서 탐색한 헤드 유닛의 개인식별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헤드 유닛과 테더링을 설정하는 단계;(b) setting tethering with the head unit when a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head unit searched by the smart key device is input;
(c) 상기 스마트키 장치에서 상기 테더링 설정 후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정보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상기 헤드 유닛으로 송출하는 단계;(c) transmitting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head unit via Wi-Fi direct communication when the information using the QWERTY keyboard is input after the tethering setting in the smart key device;
(d) 상기 헤드 유닛에서 상기 스마트키 장치로부터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d)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over the Wi-Fi direct communication from the smart key device at the head unit;
(e) 상기 헤드 유닛에서 수신한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여 길안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길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 executing a command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received by the head unit to extract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extract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키를 무선 입력장치로 활용할 수 있으며, 헤드 유닛의 터치스크린을 조작하지 않고도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내비게이션의 주소 정보 입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key can be used as a wireless input device, and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can be conveniently input by using the smart key without operating the touch screen of the head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키에 쿼티 키보드를 부가함으로써, 데이터 입력장치로 활용할 수 있으며, 차량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스마트키를 헤드 유닛의 리모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key can be used as a data input device by adding a QWERTY keyboard, and a smart key can be used as a remote controller of a head unit at any position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의 블록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입력부의 예시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입력부의 자판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key system using a QWERTY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n exemplary view of the input unit shown in FIG. 1, FIG. 2B is a keyboard layout of the input unit shown in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key system control method using a QWERTY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실시 예1>≪ Example 1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스마트키 장치(100)와 헤드 유닛(200)으로 구성된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key system using a QWERTY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mposed of a
스마트키 장치(100)는 차량에 장착된 헤드 유닛(200)과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을 통해 테더링(Tethering)을 하고, 쿼티 키보드(QWERTY keyboard)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헤드 유닛(2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마트키 장치(100)는 통상의 도어 열림/닫힘 제어, 트렁크 제어를 위한 기능을 포함한다.The
상기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 기기 간 접속을 지원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액세스포인트(AP)를 거치지 않고 와이-파이를 탑재한 기기 간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above, Wi-Fi Direct refers to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Wi-Fi equipped devices without going through a Wi-Fi Direct Access Point (AP) supporting connection between Wi-Fi Alliance devices.
또한, 테더링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기술이나 USB 케이블 등을 이용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기기와 IT기기를 연결하는 행위를 말한다. 예컨대, 스마트폰을 모뎀(modem)처럼 이용해 노트북을 인터넷에 접속시키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과거에도 휴대폰을 노트북에 연결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초보적인 수준이 테더링 서비스는 존재하였으나, 아이폰 3GS가 출시된 이후로 테더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In addition, tethering refers to connecting devices that can access the Internet with IT devices using Bluetooth wireless technology or a USB cable. For example, a smartphone may be used as a modem to connect the notebook to the Internet. In the past, tethering services existed at a basic level to connect mobile phones to laptops to access the Internet, but since the launch of the iPhone 3GS, interest in tethering has increased.
또한, 쿼티 키보드는 영문 타자기와 컴퓨터 키보드 배열의 하나인 쿼티 형의 키보드로서 도 2a와 같으며, 첫 번째(맨 위) 영문자 줄에 6개의 영문자 키가 왼쪽부터 Q, W, E, R, T, Y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어서, 쿼티라고 부르게 되었다. 쿼티 키보드는 전통적인 타자기의 자판 배열로 등장하여 컴퓨터 키보드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자판 배열은 도 2b와 같다.In addition, the QWERTY keyboard is a QWERTY type keyboard, which is one of the alphabet typewriters and the computer keyboard arrangement. As shown in FIG. 2A, the six alphabetic keys on the first (upper) alphabet line are Q, W, E, , And Y, which are called QWERTY. The QWERTY keyboard appears as a traditional keyboard layout and is used as a standard for computer keyboards. The layout of the keyboard is shown in FIG.
주지한 바와 같은 스마트키 장치(100)는 테더링 기능의 온/오프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테더링 스위치부(110); 쿼티 키보드를 포함하며,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부(120); 상기 테더링 스위치부(110)에 의해 테더링 기능이 요구되면 상기 헤드 유닛(200)과 무선 접속하여 테더링 기능의 설정을 제어하고, 테더링 설정 후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상기 헤드 유닛(200)으로 전송토록 제어하는 제어부(130);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 유닛(200)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으로 접속하여 테더링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130)에서 발생한 정보를 상기 헤드 유닛(200)으로 전송하는 송신부(150);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통신중이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중 등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주는 LED부(140)로 구성된다.The known
헤드 유닛(200)은 상기 스마트키 장치(100)와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무선 통신을 하고, 상기 스마트키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송된 입력정보에 따라 길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헤드 유닛(200)은 위치 추적 시스템(GPS) 모듈이 탑재된 차량 내비게이션을 포함하며, 헤드 유닛(200)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목적지에 대한 길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헤드 유닛(200)은 길안내 기능 이외에 오디오 재생, 비디오 재생, 사전, 게임 등의 추가적인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The
상기 헤드 유닛(200)은 상기 스마트키 장치(100)와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으로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키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210); 상기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키 장치(100)를 인증하고, 상기 스마트키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기반으로 추출한 길안내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220); 상기 제어부(220)에서 출력되는 길안내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한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mart key system using the QWERTY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도 1과 같은 구성에서 스마트키 장치(100)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거나 닫는 것, 트렁크를 제어하는 기능은 통상의 차량에 적용된 스마트키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the function of opening / closing the door or controlling the trunk by using the smart
본 발명에 따른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인 헤드 유닛(200)과 테더링을 설정하고, 스마트키 장치(100)를 쿼티 키보드로 사용하고자 하면,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스마트키 장치(100)의 테더링 스위치부(110)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In order to set the tethering with the
여기서 온/오프 스위치는 최초 상태에서 누르게 되면 온 신호가 발생하고, 다시 누르면 오프 신호가 발생하는 구조이다.Here, the ON / OFF switch is a structure in which an ON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switch is pressed in the initial state, and an OFF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switch is pressed again.
상기 테더링 스위치부(110)의 온/오프 스위치가 눌러지면 테더링 온 신호(최초 상태라고 가정함)가 발생되어 제어부(130)에 전달되고, 제어부(130)는 스마트키 장치(100)가 지정한 헤드 유닛을 탐색하게 된다.A tethering-on signal (assumed to be the initial stat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이후 스마트키 장치가 지정한 헤드 유닛이 존재하면 헤드 유닛의 개인식별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운전자는 입력부(120)의 쿼티 키보드를 이용하여 헤드 유닛의 개인식별번호를 입력한다.If the head unit designated by the smart key device is present, th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head unit is inputted. Accordingly, the driver inputs th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head unit using the QWERTY keyboard of the
제어부(130)는 헤드 유닛의 개인식별번호가 입력되면 이를 송신부(150)로 전달하게 되고, 송신부(15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헤드 유닛(200)과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When th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head unit is input, the
헤드 유닛(200)은 상기 스마트키 장치(100)로부터 테더링 접속이 요청되면 자신의 개인식별번호(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를 요청한다.The
송신부(150)는 이러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30)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헤드 유닛(200)의 개인식별번호(PIN)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신호로 만들어 헤드 유닛(200)으로 전송하게 되고, 이후 헤드 유닛(200)에서 인증이 이루어지면 테더링이 설정되어 스마트키 장치(100)와 헤드 유닛(200) 간에는 별도의 라우터 없이 직접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Upon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the
테더링이 설정된 후 운전자 또는 사용자는 입력부(120)에 구비된 쿼티 키보드를 통해 내비게이션 목적지 주소 등의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여기서 쿼티 키보드의 구성은 도 2a 및 도 2b와 같으며, 쿼티 키보드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은 이미 통신 및 컴퓨터 분야에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fter the tethering is set, the driver or the user inputs information such as the navigation destination address or the like through the QWERTY keyboard provided in the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제어부(130)에 전달되고, 제어부(130)는 그 전달되는 입력 정보를 송신부(150)에 전달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헤드 유닛(200)에 전송토록 한다.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상기 헤드 유닛(200)의 수신부(21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키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입력 정보(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주소지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20)에 전달하게 된다. 제어부(220)는 전달되는 입력 정보에 따른 명령을 실행하여 경로 정보를 추출하게 되고, 이렇게 추출한 경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해준다.The receiving
따라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차량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스마트키 장치(100)를 컴퓨터의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로 활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스마트키 장치(100)는 헤드 유닛(200)의 리모컨과 같이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driver or the passenger can input necessary information by using the smart
상기와 같은 경우는 스마트키 장치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에 주소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력부(120)의 방향키(→, ←, ↑, ↓)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의 정보를 검색하거나 메뉴를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direction key (→, ←, ↑, ↓) of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은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에 테더링 기능을 종료하고자 하면,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테더링 스위치부(110)에 구비된 테더링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한다. 그러면 테더링 스위치부(110)에서는 테더링 오프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이전 테더링 신호와는 반대의 신호), 제어부(130)는 테더링 오프 신호가 전달되면 송신부(150)를 제어하여 테더링 설정을 해제하게 된다.If the tethering function is to be terminated while the tethering function is being performed, the driver or passenger operates the tethering on / off switch of the
<실시 예2>≪ Example 2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스마트키 장치(100)에서 테더링 스위치가 입력되면, 헤드 유닛(200)을 탐색하는 단계(S101); (b) 상기 스마트키 장치(100)에서 탐색한 헤드 유닛(200)의 개인식별번호(PIN)가 입력되면 상기 헤드 유닛(200)과 테더링을 설정하는 단계(S102 ~ S104); (c) 상기 스마트키 장치(100)에서 상기 테더링 설정 후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정보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상기 헤드 유닛(200)으로 송출하는 단계(S105 ~ S106); (d) 상기 헤드 유닛(200)에서 상기 스마트키 장치(100)로부터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7); (e) 상기 헤드 유닛(200)에서 수신한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여 길안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길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단계(S108 ~ S110)를 포함한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key system control method using a QWERTY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key system using a QWERTY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b) setting tethering with the head unit 200 (S102 to S104) when a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제어방법은, 먼저 단계(S101)에서 테더링 온/오프 스위치가 입력되면(최초 입력이라고 가정함), 스마트키 지정 헤드 유닛이 존재하는지를 탐색한다.In the smart key system control method using the QWERTY keyboar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 tethering on / off switch is input (assuming initial input) in step S101, do.
헤드 유닛을 탐색한 결과 스마트키 지정 헤드 유닛이 존재할 경우, 단계 S102에서 헤드 유닛의 개인식별번호(PIN)의 입력을 요청하게 되고, 이를 확인한 운전자 또는 사용자는 입력부(120)의 쿼티 키보드를 통해 헤드 유닛의 개인식별번호를 입력한다.If the smart key designation head unit is found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the head unit, in step S102, the user or the user who has confirmed the request is requested to input th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f the head unit. Enter the unit's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단계 S103에서 스마트키 장치(100)는 요청된 헤드 유닛의 개인식별번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게 되고, 이 확인 결과 요청한 헤드 유닛의 개인식별번호가 입력되면 단계 S104로 이동하여 헤드 유닛으로 개인식별번호를 전송하고, 인증이 이루어지면 헤드 유닛과 테더링을 설정하게 된다.In step S103, the smart
헤드 유닛과 테더링 설정이 이루어진 후 단계 S105에서는 입력부(120)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게 되고, 이 확인 결과 입력부(120)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단계 S106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신호로 변환하여 헤드 유닛으로 전송한다.After the head unit and tethering settings are made, in step S105, it is confirmed whether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단계 S107에서 헤드 유닛은 스마트키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게 되고, 단계 S108에서 수신한 정보를 명령어로 활용하여 해당 명령을 실행하게 된다. 이때 수신한 명령이 내비게이션 주소지 정보이면 통상의 내비게이션에서 경로를 탐색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경로를 탐색하게 된다.In step S107, the head unit receiv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이후 단계 S109에서 수신한 길안내 경로를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해주게 된다. 이로써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내비게이션의 터치스크린을 직접 조작하여 내비게이션 주소지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서도 스마트키 장치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에 주소지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탑승자가 뒷좌석에 앉아서도 편리하게 내비게이션에 주소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해주게 된다.Then, in step S109, the received route guidance path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us, the driver or the passenger can directly input the address information into the navigation using the smart key device without directly inputting the navigation address information by operating the touch screen of the navigation device directly. In this case, even if the occupant sits in the back seat, it is convenient to input the address information into the navigation system.
상기와 같은 경우는 내비게이션에 주소지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력부(120)의 방향키(→, ←, ↑, ↓)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의 정보를 검색하거나 메뉴를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navigation information may be retrieved using the direction keys (→, ←, ↑, ↓) of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은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에 테더링 기능을 종료하고자 하면, 단계 S110에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테더링 스위치부(110)에 구비된 테더링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한다. 그러면 테더링 스위치부(110)에서는 테더링 오프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이전 테더링 신호와는 반대의 신호), 제어부(130)는 테더링 오프 신호가 전달되면 송신부(150)를 제어하여 테더링 설정을 해제하게 된다.If the tethering function is to be terminated while performing the tethering function, the driver or passenger operates the tethering on / off switch provided in the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 스마트키 장치 110 : 테더링 스위치부
120 : 입력부 130 : 제어부
150 : 송신부 200 : 헤드 유닛
210 : 수신부 220 : 제어부
230 : 디스플레이부100: smart key device 110: tethering switch part
120: input unit 130:
150: transmitting unit 200: head unit
210: Receiver 220:
230:
Claims (4)
상기 스마트키 장치와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무선 통신을 하고, 상기 스마트키 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된 입력정보에 따라 길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헤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A smart key device for performing tethering via a Wi-Fi direct communication with a head unit mounted on a vehicle, and wirelessly transmi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QWERTY keyboard to the head unit;
And a head uni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key device via the Wi-Fi direct communication and outputting gui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input information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smart key device. Smart key system.
쿼티 키보드를 포함하며,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부;
상기 테더링 스위치부에 의해 테더링 기능이 요구되면 상기 헤드 유닛과 무선 접속하여 테더링 기능의 설정을 제어하고, 테더링 설정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상기 헤드 유닛으로 전송토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 유닛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으로 접속하여 테더링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한 정보를 상기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The smart ke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mart key device comprises: a tethering switch for selecting an on / off operation of a tethering function;
A QWERTY keyboard, comprising: an input for inputting information;
When the tethering function is requested by the tethering switch unit, the tethering function is set to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head unit to control the setting of the tethering function, and after inputting the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to the unit;
And a transmitting unit for establishing a tethering function by connecting to the head unit through Wi-Fi direct communic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ler to the head unit. Key system.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키 장치를 인증하고, 상기 스마트키 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기반으로 추출한 길안내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길안내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head unit comprises: a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smart key device via the Wi-Fi direct communication and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key device;
A control unit for authenticating the smart key device based on the data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and controlling display of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extracted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key device;
And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the guidanc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 스마트키 장치에서 테더링 스위치가 입력되면, 헤드 유닛을 탐색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키 장치에서 탐색한 헤드 유닛의 개인식별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헤드 유닛과 테더링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키 장치에서 상기 테더링 설정 후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정보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상기 헤드 유닛으로 송출하는 단계;
(d) 상기 헤드 유닛에서 상기 스마트키 장치로부터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헤드 유닛에서 수신한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여 길안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길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티 키보드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제어방법.A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key system using a QWERTY keyboard,
(a) when a tethering switch is input in a smart key device, searching for a head unit;
(b) setting tethering with the head unit when a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head unit searched by the smart key device is input;
(c) transmitting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head unit via Wi-Fi direct communication when the information using the QWERTY keyboard is input after the tethering setting in the smart key device;
(d)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over the Wi-Fi direct communication from the smart key device at the head unit;
(e) executing a command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received by the head unit to extract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extract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1867A KR101438287B1 (en) | 2012-12-24 | 2012-12-24 | Smart key system using qwerty keybo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1867A KR101438287B1 (en) | 2012-12-24 | 2012-12-24 | Smart key system using qwerty keybo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2230A true KR20140082230A (en) | 2014-07-02 |
KR101438287B1 KR101438287B1 (en) | 2014-09-04 |
Family
ID=5173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1867A Active KR101438287B1 (en) | 2012-12-24 | 2012-12-24 | Smart key system using qwerty keybo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8287B1 (e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29865A (en) * | 2007-09-19 | 2009-03-24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using smart key |
KR20100079606A (en) * | 2008-12-31 | 2010-07-08 | 김응열 | Smart key system |
-
2012
- 2012-12-24 KR KR1020120151867A patent/KR101438287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8287B1 (en) | 2014-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2431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ystems from a cell phone | |
US11704396B2 (en) | Vehicle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mobile device used for vehicle authentication, vehicle authentication system, and vehicle authentication method | |
US812645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key free access to a vehicle | |
CN107117121B (en) |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posture control on vehicle characteristics | |
JP7053216B2 (en) |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system | |
US875110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vehicle computing platform configuration information | |
US20150127210A1 (en) |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 |
CN105938633A (en) | Multi-touch keyless entry pad | |
KR102504227B1 (en) | Methof for controlling vehicl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same | |
KR20200057979A (en) |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 |
KR20170075986A (en) | Smart key system applied double security and double security method for vehicle using the same | |
CN103061619A (en) | System and method for unlocking automobile door | |
JP2016153248A (en) | Control system for vehicle | |
CN112929486A (en) | Short-range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 |
KR20220098656A (en) | Vehicle authentication system and vehicle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bluetooth low energy and fingerprint | |
KR20150034336A (en) | Method of certifying driver by face recognition | |
JP7206794B2 (en) | mobile control system | |
KR101438287B1 (en) | Smart key system using qwerty keybo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558762B1 (en) |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nvenience service and method thereof | |
KR101788668B1 (en) | System and method for smart key materializ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2642242B1 (en) |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 |
KR101458689B1 (en) | Smart key system using qwerty keybo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10076727A (en) | Wirel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combination fingerprint recognition | |
KR101551075B1 (en) | System for managing vehicle and method thereof | |
KR102255804B1 (en) | Device for restricting func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