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7250B1 - Commodity transaction system using electronic gift - Google Patents
Commodity transaction system using electronic gif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7250B1 KR102697250B1 KR1020220091078A KR20220091078A KR102697250B1 KR 102697250 B1 KR102697250 B1 KR 102697250B1 KR 1020220091078 A KR1020220091078 A KR 1020220091078A KR 20220091078 A KR20220091078 A KR 20220091078A KR 102697250 B1 KR102697250 B1 KR 1026972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ft certificate
- product
- information
- terminal
- unique addr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5—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 G06Q20/045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the tickets being sent electronicall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06Q20/325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using mobile network messaging services for payment, e.g. SM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5—Use of electronic sign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은 미사용과 사용완료를 포함하는 상태값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상태값을 갖는 상태정보와, 상품명과 상품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와, 상기 상품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구매 요청에 대응되어 생성되는 고유주소 및 기설정된 문자열 형태를 갖는 접속권한 토큰을 포함하는 상품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유주소와, 상기 접속권한 토큰과, 사용처리와 사용취소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요청사항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개인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로 암호화된 복합주소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공개키로 암호화된 복합주소를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며, 상기 상품권정보와 상기 복합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including status information having a status value corresponding to one of status values including unused and used,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a product name and a product price, and a unique address generated in response to a purchase request for a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and an access right token having a preset character string format, and to receive from the outside a composite address encrypted with a public key corresponding to a private key based on the unique address, the access right token, and a request code corresponding to one of use processing and use cancellation, and to decrypt the composit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ublic key using the private key, and to change the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and the composite address.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상품권이란 일정한 금액 또는 상품의 가치를 포함하는 일종의 티켓으로, 사업자가 자사의 상품에 대한 홍보 및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품권은 보통 종이에 인쇄된 형태를 갖는 지류 형태로 주로 이용되어 왔다.A gift certificate is a type of ticket that contains a certain amount of money or the value of a product, and is used by businesses as a means to promote and induce purchases of their products. These gift certificates have been used mainly in the form of paper, usually printed on paper.
최근에는 온라인 상에서 상품권의 구매와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위 기프트콘, 기프티쇼 등의 명칭으로 알려진 전자상품권이 발행 및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상품권은 온라인 상에서 구매 및 사용이 가능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상대방에게 선물하기도 간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known as gift coupons, gift shows, etc. have been issued and distributed to enable online purchase and use of gift certificates. These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can be purchased and used online, and are easy to gift to others using wired and wireless networks, so they are being widely used.
일반적으로 전자상품권의 발행시 발행되는 전자상품권에 숫자와 문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고유한 난수가 부여되고, 부여된 난수와, 바코드 또는 QR코드 형태로 표시되는 난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전자상품권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된다.Generally, when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s issued, a unique random number consisting of at least one of a number and a letter is assigned to the issued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nd an image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assigned random number and a random number displayed in the form of a barcode or QR code is provided to the user's terminal.
하지만 전자상품권에 부여되는 난수의 형식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전자상품권의 발행시 난수의 암호화가 별도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전자상품권에 그대로 표시됨에 따라, 전자상품권의 위조가 쉬워 전자상품권이 무단으로 사용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format of the random number assigned to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s already widely known, and since the random number is generally not encrypted separately when issuing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nd is displayed as is on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was easy to counterfeit and used without authorization.
또한, 발행된 전자상품권의 사용유무도 사용자가 매장에 방문하여 전자상품권을 제시하지 않는 이상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해 개인간에 전자상품권의 거래시 개인판매자가 개인구매자에게 이미 사용된 전자상품권을 제공하여 개인구매자가 전자상품권을 구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check whether an issued electronic gift certificate had been used unless the user visited the store and presented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s a result, when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were traded between individual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ndividual sellers provided already-used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to individual buyers, and even though individual buyers had purchased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they could not use them.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상품권의 위조와 무단사용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유주소와 접속권한 토큰을 이용하여 전자상품권의 상태정보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that enables changes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using a unique address and access authority token so as to prevent damage caused by forgery and unauthorized use of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and other purpose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은 미사용과 사용완료를 포함하는 상태값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상태값을 갖는 상태정보와, 상품명과 상품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와, 상기 상품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구매 요청에 대응되어 생성되는 고유주소 및 기설정된 문자열 형태를 갖는 접속권한 토큰을 포함하는 상품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유주소와, 상기 접속권한 토큰과, 사용처리와 사용취소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요청사항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개인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로 암호화된 복합주소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공개키로 암호화된 복합주소를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며, 상기 상품권정보와 상기 복합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including status information having a status value corresponding to one of status values including unused and used,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a product name and a product price, and a unique address generated in response to a purchase request for a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and an access right token having a preset character string format, and receiving from the outside a composite address encrypted with a public key corresponding to a private key based on the unique address, the access right token, and a request code corresponding to one of use processing and use cancellation, and decrypting the composit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ublic key using the private key, and changing the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and the composite address.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전자상품권의 생성 시 생성되는 고유주소를 개인키를 이용해 암호화하여 QR코드 형태로 인화한 후, 전자상품권을 유통하게 되면, 전자상품권 생성자가 제공한 공개키로만 QR코드에 담겨진 고유주소의 복호화가 가능하므로 전자서명과 같은 원리로 발행자 증명/원본증명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When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s created, the unique address generated is encrypted using a private key and printed in the form of a QR code. When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s distributed, the unique address contained in the QR code can only be decrypted using the public key provided by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creator. Therefore, it can have the effect of proving the issuer/original proof in the same way as an electronic signature.
전자상품권의 생성시 생성되는 고유주소를 개인키 및 공개키를 이용해 암호화 및 복호화하고, 고유주소와 접속권한 토큰 및 요청사항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복합주소를 이용해 전자상품권의 상태정보를 변경함에 따라, 전자상품권의 무단사용 및 위조를 방지할 수 있다.By encrypting and decrypting the unique address generated when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s created using a private key and public key, and chang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using a composite address generated based on the unique address, access authority token, and request code, unauthorized use and forgery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can be prevented.
사실상 7 내지 8 자리의 난수 풀(pool) 내에서 발행되는 난수가 부여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상품권과 달리 본 발명은 사실상 무한대에 가까운 모수 풀(pool)을 기반으로 고유주소를 생성함으로써 전자상품권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상품권의 이용가능여부를 고유주소 탈취의 걱정없이 확인할 수 있다.In fact, unlike conventional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that are issued with random numbers from a pool of 7 to 8 digits,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unique address based on a virtually infinite number pool, thereby enabling access to a website that displays status information on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check whether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s available for use without worrying about theft of the unique address.
개인키로 암호화된 후 QR코드 형태로 인화된 고유주소는 디지털이미지 뿐만아니라, 실물에도 인화가 가능하므로 위조방지기술이 적용된 지류상품권을 대체하고, 더 나아가 지류상품권과 전자상품권의 경계가 없는 온/오프라인 통합 결제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The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a private key and printed in the form of a QR code can be printed not only on digital images but also on physical objects, so it can replace paper gift certificates with anti-counterfeiting technology applied, and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an integrated online/offline payment method with no boundaries between paper gift certificates and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상품권의 사용처리는 POS 또는 지정된 인터넷홈페이지 등으로 한정되어 있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개키를 이용한 암호화와 접속권한 토큰방식을 적용하면 공개키로 암호화되어 개인키로만 복호화 가능한 복합주소만을 송신하기 때문에 통신 보안에 대한 우려가 줄어들어 통신망의 제한 없이 원하는 다양한 단말기에서 전자상품권의 사용처리를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ocessing of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according to conventional technology is limited to POS or designated Internet homepages, whereas by applying the encryption using a public key and the access authority toke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a composite address that is encrypted with a public key and can be decrypted only with a private key is transmitted, thereby reducing concerns about communication security,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ocessing of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can be processed on various desired terminals without restrictions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에서는 통합서버에 개인키가 보관되고, 접속권한 토큰과 요청사항코드는 제1단말기에, 고유주소는 제2단말기에 분산되므로, 발행-결제 전과정에서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 소유자 측에 키 보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ivate key is stored in the integrated server, the access authority token and the request code are distributed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unique address is distributed to the second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key storage problem does not occur on the side of the owner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hroughout the entire issuance-payment process.
전자상품권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알림을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에 송출함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상품권의 상태정보가 변경된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status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changes, a not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status information is sent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recognize tha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has changed.
제1단말기에 제공되는 접속권한 토큰에 기설정된 만료기한이 부여되어 만료기한이 경과하면 다른 새로운 접속권한 토큰을 제1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결재권한의 3자 부여나 접속권한 토큰 유출에 의한 권한 탈취 등에 대한 부담이 적어지고, 관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The access authority token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is given a preset expiration date, and when the expiration date has passed, a new access authority token is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f third-party granting of payment authority or theft of authority through access authority token leakage, and making management easi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의 정보관리부가 제1단말기에 송출하는 입력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의 상품권이미지와 전자상품권의 생성시 사용되는 템플릿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으로 생성되는 전자상품권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각각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n input form sent by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of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first terminal.
FIG. 3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 gift certificate image and a template used when creat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generated by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Meanwhile,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은 미사용과 사용완료를 포함하는 상태값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상태값을 갖는 상태정보와, 상품명과 상품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와, 상기 상품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구매 요청에 대응되어 생성되는 고유주소 및 기설정된 문자열 형태를 갖는 접속권한 토큰을 포함하는 상품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유주소와, 상기 접속권한 토큰과, 사용처리와 사용취소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요청사항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개인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로 암호화된 복합주소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공개키로 암호화된 복합주소를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며, 상기 상품권정보와 상기 복합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including status information having a status value corresponding to one of status values including unused and used,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a product name and a product price, and a unique address generated in response to a purchase request for a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and an access right token having a preset character string format, and receiving from the outside a composite address encrypted with a public key corresponding to a private key based on the unique address, the access right token, and a request code corresponding to one of use processing and use cancellation, and decrypting the composit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ublic key using the private key, and changing the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and the composite addres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은 통합서버(10), 제1단말기(20) 및 제2단말기(30)를 포함할 수 있다.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egrated server (10), a first terminal (20), and a second terminal (30).
통합서버(10)는 정보관리부(100), 웹사이트 관리부(200), 상품권생성부(300) 및 상품권관리부(400)를 포함한다.The integrated server (10) includes an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100), a website management department (200), a gift certificate generation department (300), and a gift certificate management department (400).
제1단말기(20)와 제2단말기(3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입력값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입력부(21, 31)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may each be equipped with an input section (21, 31) to receive a predetermined input value from the user.
제1단말기(20)와 제2단말기(30)는 통합서버(10)와 외부 통신망을 이용해 통신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부(23, 33)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may each b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unit (23, 33)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to the integrated server (10) via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제1단말기(20)와 제2단말기(30)는 각각에 구비된 입력부(21, 31)를 통해 입력된 입력값을 통합서버(10)에 송출할 수 있고, 화면부(22, 32)를 각각 구비하여 통합서버(10)로부터 송출되는 정보를 화면(22, 32)에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can transmit input values inputted through input units (21, 31) provided in each terminal to the integrated server (10), and each terminal has a screen unit (22, 32) to displa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tegrated server (10) on the screen (22, 32).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30)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laptop),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및 컴퓨터 등이 포함되는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입력값을 입력받을 수 있고, 화면을 구비하며, 통합서버(10)와 외부 통신망을 이용해 통신 연결한 가능한 디바이스이면 제한되지 않는다.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30) may be applied to terminal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mobile phones, smart phones, laptop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navigation devices, slate PCs, tablet PCs, ultrabooks, wearable devices, and computers, and are not limited thereto. Any device capable of receiving input values according to user input, having a screen,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integrated server (10) using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limited thereto.
제1단말기(20)와 제2단말기(30)는 웹사이트에 접속이 가능한 접속주소가 QR코드 형태로 나타나 있는 경우 QR코드를 인식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사항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생략하도록 한다.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can access the website by recognizing the QR code if the access address for accessing the website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QR code. Technical details related to this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o they are omitted.
정보관리부(100)는 제1단말기(20)로부터 상품정보와 매장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100) can receive product information and store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20).
정보관리부(100)는 제1단말기(20)에 입력되는 입력값에 따른 상품정보와 매장정보를 제1단말기(20)로부터 송출받음으로써 매장정보와 상품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100) can receive stor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by sending product information and sto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values entered into the first terminal (20) from the first terminal (20).
상품정보는 상품 사진, 상품명, 상품 가격, 상품 설명, 판매수량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단말기(20)에 입력되는 할인율 등 역시 포함할 수 있다.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product photo, product name, product price, product description, and sales quantity, and may also include a discount rate entered into the first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여기서, 판매수량은 소정 상품에 대하여 판매 가능한 수량을 의미할 수 있다.Here, sales quantity may mean the quantity that can be sold for a given product.
매장정보는 매장명, 매장사진, 매장주소 및 매장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단말기(20)로부터 입력되는 매장정보는 제1단말기(20)와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Store informa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store name, store photo, store address, and store contact information, and store information input from the first terminal (20) may correspond to the first terminal (20).
정보관리부(100)는 제1단말기(20)로부터 매장정보를 입력받으면 매장정보를 입력한 제1단말기(20)에 대응되는 접속권한 토큰을 생성하고, 생성된 접속권한 토큰을 제1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receives store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20), it can generate an access authority toke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rminal (20) that entered the store information, and provide the generated access authority token to the first terminal (20).
이때, 생성되는 접속권한 토큰은 소정 문자열 형태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access authorization token generated can have a specific string format.
정보관리부(100)는 생성된 접속권한 토큰에 기설정된 만료기한을 부여하는 것일 수 있고, 기설정된 만료기한이 경과하면 만료기한이 경과한 접속권한 토큰과 다른 새로운 접속권한 토큰을 생성하여 제1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may grant a preset expiration date to the generated access right token, and when the preset expiration date has elapsed, may generate a new access right token that is different from the access right token whose expiration date has elapsed and provide it to the first terminal (20).
정보관리부(100)는 매장정보와 상품정보 및 접속권한 토큰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100) can match and store store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and access authority tokens.
정보관리부(100)는 매장정보와 상품정보에 매칭된 접속권한 토큰이 만료되면, 접속권한 토큰이 만료됨에 따라 생성되는 접속권한 토큰을 매장정보와 상품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When an access right token matched to stor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expires, the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100) can store an access right token generated as the access right token expires by matching it to the stor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정보관리부(100)는 매장정보와 상품정보 각각을 입력받기 위한 기설정된 입력폼을 제1단말기(20)에 각각 송출할 수 있고, 제1단말기(20)는 송출된 입력폼을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100) can send preset input forms for entering stor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first terminal (20) can receive the sent input forms and display them on the screen to provide them to the user.
한편, 입력폼은 제1단말기(20)로부터 매장정보와 상품정보를 입력받기 필드가 구비된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기입력되어 정보관리부(1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정보관리부(100)로부터 제1단말기(20)로 송출되어 제1단말기(20)에 구비된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단말기(20)를 이용하여 입력폼에 구비된 필드에 입력값을 입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put form may be an interface equipped with fields for receiving stor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20), may be pre-entered by the user and stored in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and may be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to the first terminal (20) and displayed on a screen equipped in the first terminal (20). The user may input values into fields equipped in the input form using the first terminal (20).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관리부(100)는 상품 사진, 상품명, 상품 가격, 할인여부, 할인율, 상품 설명, 인기 상품 지정 여부, 새로운 상품 지정 여부, 추천 상품 여부 및 판매수량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폼(T)을 제1단말기(20)에 송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can send an input form (T) to the first terminal (20) to receive input of a product photo, product name, product price, whether or not a discount is available, a discount rate, a product description, whether or not a popular product is designated, whether or not a new product is designated, whether or not a recommended product is designated, and the sales quantity.
정보관리부(100)는 제1단말기(20)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값이 입력된 입력폼을 제1단말기(20)로부터 수신하여 매장정보와 상품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100) can receive an input form with input values from a user using the first terminal (20) and input stor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웹사이트 관리부(200)는 정보관리부(100)에 입력되는 매장정보와 상품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상품에 대응되는 전자상품권의 구매가 가능한 웹사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The website management unit (200) can create a website where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corresponding to a given product can be purchased based on stor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entered in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웹사이트 관리부(200)는 매장정보와 상품정보 각각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웹사이트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매장정보와 상품정보를 모두 제공하는 하나의 웹사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The website management unit (200) can create multiple websites that provide stor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create one website that provides both stor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웹사이트 관리부(200)는 웹사이트의 생성시 생성되는 웹사이트의 접속주소를 포함하는 접속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접속주소는 생성되는 웹사이트의 URL 주소일 수 있다.The website management unit (200) can generate an access code that includes the access address of the website created when the website is created. At this time, the access address may be the URL address of the website being created.
웹사이트 관리부(200)에서 생성되는 접속코드는 QR코드 형태를 갖는 것일 수 있고, 생성된 접속코드가 별도의 프린팅 장치를 이용해 인쇄될 수 있도록 웹사이트 관리부(200)는 접속코드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웹사이트 관리부(200)에서 생성되는 접속코드는 인쇄물 형태로 매장에 마련될 수 있다.The access code generated by the website management unit (200) may be in the form of a QR code, and the website management unit (200) may transmit the access code to the outside so that the generated access code can be printed using a separate printing device. The access code generated by the website management unit (200) may be provided in the store in the form of a printed document.
즉, 사용자가 매장에 방문하여 제2단말기(30)로 접속코드를 인식하면 접속코드에 포함된 접속주소에 대응되는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That is, when a user visits a store and recognizes the access code with a second terminal (30), he or she can access the website corresponding to the access address included in the access code.
웹사이트 관리부(200)는 정보관리부(100)에 입력되는 매장정보를 제공하는 제1웹사이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고, 정보관리부(100)에 입력되는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제2웹사이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The website management unit (200) may create a first website that provides store information entered in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and may create a second website that provides product information entered in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웹사이트 관리부(200)는 제1웹사이트와 제2웹사이트를 생성하는 경우 제1웹사이트와 제2웹사이트 각각에 대응되는 접속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When creating a first website and a second website, the website management department (200) can create access cod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website and the second website.
웹사이트 관리부(200)는 정보관리부(100)에 입력되는 상품 사진, 상품명 및 상품 가격을 이용하여 상품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상품아이콘을 제1웹사이트에 표시할 수 있다.The website management department (200) can create a product icon using the product photo, product name, and product price entered in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100), and display the created product icon on the first website.
상품아이콘은 상품 사진, 상품명 및 상품 가격이 기설정된 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A product icon may be formed by arranging a product picture, product name, and product price in a preset format.
상품아이콘은 상품아이콘의 생성시 사용된 상품 사진, 상품명 및 상품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제2웹사이트와 하이퍼링크된 것일 수 있다. 제2단말기(30)를 통해 제1웹사이트에 표시된 상품아이콘에 사용자의 입력값이 입력되면 상품아이콘에 대응되는 상품의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제2웹사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The product icon may be hyperlinked to a second website that provides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duct picture, product name, and product price used when creating the product icon. When a user inputs a value to a product icon displayed on the first website through the second terminal (30), the product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website that provides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con.
웹사이트 관리부(200)는 상품아이콘을 복수 개 생성하는 경우 복수 개의 상품아이콘 각각에 대응되는 상품의 상품정보를 표시하는 복수 개의 제2웹사이트에 게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When multiple product icons are created, the website management unit (200) may create an interface that is posted on multiple second websites to display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ultiple product icons.
상품권생성부(300)는 웹사이트 관리부(200)에서 생성되는 웹사이트를 통해 제2단말기(30)로부터 상품의 구매가 이루어지면 고유주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유주소를 개인키를 이용해 암호화하며,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가 QR코드 형태로 배치된 전자상품권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상품권을 제2단말기(30)로 송출하는 것일 수 있다.The gift certificate generation unit (300) may generate a unique address when a product is purchased from a second terminal (30) through a website generated by the website management unit (200), encrypt the generated unique address using a private key, generate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 which the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rivate key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QR code, and transmit the generated electronic gift certificate to the second terminal (30).
상품권생성부(300)는 구매요청수신부(310), 상품결제부(320), 이미지생성부(330), 고유주소생성부(340), 고유주소배치부(360) 및 상품권송출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gift certificate generation unit (300) may include a purchase request receiving unit (310), a product payment unit (320), an image generation unit (330), a unique address generation unit (340), a unique address allocation unit (360), and a gift certificate sending unit (370).
구매요청수신부(310)는 제2단말기(30)로부터 상품상품권생성부(300)는 구매요청수신부(310), 상품결제부(320), 이미지생성부(330), 고유주소생성부(340), 고유주소배치부(360) 및 상품권송출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rchase request receiving unit (310) may include a product voucher generation unit (300) from the second terminal (30), a purchase request receiving unit (310), a product payment unit (320), an image generation unit (330), a unique address generation unit (340), a unique address allocation unit (360), and a gift voucher sending unit (370).
구매요청수신부(310)는 제2단말기(30)로부터 상품에 대한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The purchase request receiving unit (310) may receive a purchase request for a product from the second terminal (30).
이때, 제2단말기(30)로부터 상품에 대한 구매요청은 웹사이트 관리부(200)에서 생성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a purchase request for a product from the second terminal (30) can be made through an interface generated in the website management unit (200).
제2단말기(30)로부터 소정 상품에 대한 구매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웹사이트 관리부(200)는 구매요청 버튼이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구매요청 버튼이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제2웹사이트에 표시할 수 있다.In order to enable a purchase request for a given product to be made from a second terminal (30), the website management unit (200) can create an interface equipped with a purchase request button and display the interface equipped with a purchase request button on the second website.
제2단말기(30)를 통해 웹사이트 관리부(200)에서 생성된 인터페이스의 구매요청 버튼에 사용자의 입력값이 입력되면 제2단말기(30)는 구매요청수신부(310)에 구매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구매요청수신부(310)는 사용자로부터 구매요청 버튼에 대한 입력값을 입력받은 제2단말기(30)로부터 구매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When a user inputs a value into a purchase request button of an interface generated by a website management unit (200) through a second terminal (30), the second terminal (30) can transmit a purchase request to a purchase request receiving unit (310), and the purchase request receiving unit (310) can receive a purchase request from the second terminal (30) that has received an input value for the purchase request button from the user.
상품결제부(320)는 구매요청수신부(310)가 제2단말기(30)로부터 구매요청을 수신하면 제2단말기(30)로부터 구매요청된 상품에 대응되는 상품 가격을 결제할 수 있다.When the purchase request receiving unit (310) receives a purchase request from the second terminal (30), the product payment unit (320) can pay the product price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requested for purchase from the second terminal (30).
상품결제부(320)가 제2단말기(30)로부터 구매요청된 상품에 대응되는 상품 가격을 결제할 수 있도록 정보관리부(100)는 결제정보를 제2단말기(30)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can receive and store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30) so that the product payment unit (320) can pay the product price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requested for purchase from the second terminal (30).
이때, 결제정보는 카드 정보, 계좌 정보, 환불 계좌 정보, 영수증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와 같은 소정 금액을 온라인 상에서 구매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payment information may refer to information required to purchase a certain amount online, such as card information, account information, refund account information, receipt information, and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상품결제부(320)는 결제정보를 제2단말기(30)로부터 입력받아 저장된 결제정보와, 구매요청된 상품의 가격을 포함한 상품 거래에 필요한 거래정보에 기초하여 금융기관 내의 결제서버(40)에 결제를 요청하는 것을 통해 상품 가격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적 사항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product payment unit (320) can make payment of the product price by receiving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30) and requesting payment to the payment server (40) within the financial institution based on the stored payment information and transac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product transaction including the price of the product requested for purchase. Technical details related to this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o a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이미지생성부(330)는 상품결제부(320)에서 상품 가격의 결제가 이루어지면 정보관리부(100)에 입력된 상품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권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S133).The image generation unit (330) can generate a gift certificate image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entered in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when payment of the product price is made in the product payment unit (320) (S133).
이미지생성부(330)는 구매요청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면 정보관리부(100)에 입력된 상품 사진과 상품명을 기설정된 템플릿에 배치하여 상품권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When payment is made for a requested product, the image generation unit (330) can create a gift certificate image by placing the product photo and product name entered in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into a preset template.
이미지생성부(330)는 상품권이미지의 생성시 기설정된 템플릿에 전자상품권이 사용 가능한 매장명과 매장주소 중 어느 하나와, 기설정된 사용기한 및 상품수량을 함께 배치하여 상품권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image generation unit (330) can generate a gift certificate image by placing one of the store names and store addresses where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can be used, along with a preset expiration date and product quantity, in a preset template when generating a gift certificate image.
이때, 사용기한은 상품권이미지의 생성일자로부터 기설정된 기간만큼 이격된 일자까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입력값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piration date may be a date set apart from the creation date of the gift certificate im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value.
또한, 상품권이미지의 생성시 배치되는 매장명과 매장주소는 상품권이미지 생성에 이용되는 상품 사진과 상품명을 포함하는 상품정보에 매칭된 매장정보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ore name and store address placed when creating a gift certificate image may be included in the store information matched to the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duct photo and product name used to create the gift certificate imag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생성부(330)에서 상품권이미지의 생성시 이용되는 템플릿은 후술할 고유주소배치부(360)에서 생성되는 고유주소를 배치하기 위한 화면영역(A1)과, 전자상품권이 사용 가능한 매장명과 상품명 중 적어도 하나를 배치하기 위한 화면영역(A2)과, 상품 수량과 기설정된 사용기한 중 적어도 하나를 배치하기 위한 화면영역(A3) 및 상품 사진을 배치하기 위한 화면영역(A4)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a template used when generating a gift certificate image in an image generating unit (330) may be provided with a screen area (A1) for arranging a unique address generated in a unique address arranging unit (360) described later, a screen area (A2) for arranging at least one of a store name and a product name where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can be used, a screen area (A3) for arranging at least one of a product quantity and a preset expiration date, and a screen area (A4) for arranging a product photo.
또한, 이미지생성부(330)에서 상품권이미지의 생성시 이용되는 템플릿은 전자상품권의 수신인과 발신인 및 메시지를 배치하기 위한 화면영역(A5, A6)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수신인과 발신인 및 메시지는 이미지생성부(330)가 상품권이미지의 생성시 제2단말기(30)에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이미지생성부(330)는 제2단말기(30)로부터 입력되는 수신인과 발신인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면영역(A5, A6)에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late used when generating a gift certificate image in the image generation unit (330) may be provided with a screen area (A5, A6) for arranging the recipient, sender, and message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The image generation unit (330) may request that the recipient, sender, and message be input into the second terminal (30) when generating the gift certificate image, and the image generation unit (330) may place at least one of the recipient, sender, and message input from the second terminal (30) in the screen area (A5, A6).
또한, 이미지생성부(330)에서 상품권이미지의 생성시 이용되는 템플릿은 기설정된 주문번호를 배치하기 위한 화면영역(A7)과 기설정된 전화번호를 배치하기 위한 화면영역(A8)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때, 화면영역(A7)에 배치되는 주문번호는 고유주소생성부(340)에서 고유주소의 생성시 함께 생성되는 기설정된 형태를 갖는 숫자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late used when generating a gift certificate image in the image generation unit (330) may be provided with a screen area (A7) for arranging a preset order number and a screen area (A8) for arranging a preset phone number. In this case, the order number arranged in the screen area (A7) may be a number string having a preset form that is generated together when generating a unique address in the unique address generation unit (340).
고유주소생성부(340)는 타 전자상품권과 구별하기 위한 식별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인증코드가 포함된 고유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The unique address generation unit (340) can generate an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code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and generate a unique address including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code.
고유주소생성부(340)는 문자열 형태를 갖는 식별인증코드를 생성하고, 기설정된 URL주소에 생성된 식별인증코드를 부가하여 고유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The unique address generation unit (340) can generate an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code in the form of a string and add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code to a preset URL address to generate a unique address.
고유주소생성부(340)는 이미지생성부(330)에서 상품권이미지의 생성시 생성되는 상품권이미지에 대응되는 식별인증코드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The unique address generation unit (340) may generate an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gift certificate image generated when the gift certificate image is generated in the image generation unit (330).
고유주소생성부(340)에서 생성되는 식별인증코드는 이미지생성부(330)에서 생성되는 상품권이미지와 타 상품권이미지와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숫자와 문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 기설정된 문자열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by the unique address generation unit (340) is intended to distinguish the gift certificate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generation unit (330) from other gift certificate images, and may have a preset string format consisting of at least one of a number and a letter.
고유주소생성부(340)는 고유주소의 생성시 기설정된 형태를 갖는 숫자열로 구성되는 주문번호를 함께 생성할 수 있다.The unique address generation unit (340) can generate an order number consisting of a numeric string having a preset format when generating a unique address.
암호화관리부(350)는 개인키를 생성하고, 고유주소생성부(340)에서 생성된 고유주소를 개인키로 암호화할 수 있다.The encryption management unit (350) can generate a private key and encrypt the unique address generated by the unique address generation unit (340) with the private key.
암호화관리부(350)는 개인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개인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를 생성하여 개인키와 공개키를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개인키와 공개키를 외부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The encryption management unit (350) can generate a private key and a public key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private key and store the private key and public ke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receive the private key and public key from an external source and store them.
암호화관리부(350)가 개인키로 암호화한 고유주소는 개인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를 이용하여 복호화될 수 있다.A unique address encrypted by the encryption management unit (350) with a private key can be decrypted using a public key corresponding to the private key.
암호화관리부(350)는 고유주소를 암호화하는 개인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를 제1단말기(20)와 제2단말기(30)에 제공할 수 있다.The encryption management unit (350) can provide a public key corresponding to a private key that encrypts a unique address to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암호화관리부(350)는 제1단말기(20)와 제2단말기(30)에 공개키를 전송함으로써 제1단말기(20)와 제2단말기(30)에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암호화관리부(350)는 외부서버, 외부단말기 및 외부웹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으며, 제1단말기(20)와 제2단말기(30)는 공개키를 제공받은 외부서버, 외부단말기 및 외부웹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개키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encryption management unit (350) can provide the public key to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by transmitting the public key to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ncryption management unit (350) can provide the public key to at least one of an external server, an external terminal, and an external website, and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can receive the public key from at least one of an external server, an external terminal, and an external website that has received the public key.
암호화관리부(350)는 제1단말기(20)와 제2단말기(30), 외부서버, 외부단말기 및 외부웹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공개키를 제공할 수 있다.The encryption management unit (350) can provide a public key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20), the second terminal (30), an external server, an external terminal, and an external website.
고유주소배치부(360)는 이미지생성부(330)에서 생성된 상품권이미지의 기설정된 화면영역(A1)에 암호화관리부(350)에서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QR코드 형태로 배치하여 전자상품권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The unique address placement unit (360) may create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by placing a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a private key in the form of a QR code in the preset screen area (A1) of the gift certificate image created in the image creation unit (330) in the encryption management unit (350).
고유주소배치부(360)는 암호화관리부(350)에서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QR코드 형태로 외부 프린트 장치를 이용해 출력할 수 있도록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QR코드 형태로 외부 단말기와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송출할 수 있고, 외부 단말기와 외부 서버는 외부 프린트 장치와 연결되어 고유주소배치부(360)로부터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QR코드 형태로 송출받으면 외부 프린트 장치를 이용해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QR코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The unique address assignment unit (360) can transmit the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rivate key in the form of a QR code to at least one of an external terminal and an external server so that the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rivate key can be printed in the form of a QR code using an external printer device in the form of a QR code from the encryption management unit (350).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external server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printer device and receive the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rivate key in the form of a QR code from the unique address assignment unit (360), and can then print the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rivate key in the form of a QR code using an external printer devic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은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QR코드 형태로 지류상품권에 적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a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a private key to a paper gift certificate in the form of a QR code.
고유주소배치부(360)에서 생성되는 전자상품권은 상품명, 상품 사진,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포함한 이미지 형태로 전자상품권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generated in the unique address allocation unit (360) may be generated in the form of an image including a product name, a product photo, and a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a private key.
상품권송출부(370)는 고유주소배치부(360)에서 생성된 전자상품권을 제2단말기(30)로 송출하는 것일 수 있다(S135).The gift certificate sending unit (370) may send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generated in the unique address allocation unit (360) to the second terminal (30) (S135).
상품권송출부(370)는 고유주소배치부(360)에서 생성된 전자상품권을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제2단말기(30)에 송출하는 것일 수 있다.The gift certificate sending unit (370) may send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generated in the unique address allocation unit (360) to the second terminal (30) in the form of an image file.
상품권관리부(400)는 상품권생성부(300)에서 생성된 전자상품권에 대한 상태정보, 정보관리부(100)에 입력되는 상품정보와 매장정보, 고유주소 및 접속권한 토큰을 포함하는 상품권정보를 생성하고, 고유주소와 접속권한 토큰 및 요청사항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복합주소를 제1단말기(20)로부터 수신하며, 상품권정보와 수신된 주소에 기초하여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The gift certificate management unit (400) generates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including status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generated by the gift certificate generation unit (300), product information and store information entered in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a unique address, and an access right token, receives a composite address generated based on the unique address, the access right token, and a request from the first terminal (20), and may change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based o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address.
상품권관리부(400)는 상품권정보생성부(410), 유효여부판단부(420), 상태변경부(430) 및 상태알림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gift certificate management unit (400) may include a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a validity determination unit (420), a status change unit (430), and a status notification unit (440).
상품권정보생성부(410)는 고유주소배치부(360)에서 전자상품권의 생성시 생성되는 전자상품권에 대한 상태정보, 상품정보, 고유주소, 매장정보 및 접속권한 토큰을 포함하는 상품권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품권정보를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S141).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may generat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including status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unique address, store information, and access authority token for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generated when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s generated in the unique address allocation unit (360), and store the generated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S141).
여기서, 상태정보는 전자상품권이 사용된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여부일 수 있고, 미사용과 사용완료를 포함하는 상태값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상태값을 가질 수 있으며, 미사용, 사용완료 및 환불완료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상태값을 가질 수 있고, 고유주소배치부(360)에서 최초로 생성되는 전자상품권에 대해서 미사용에 대응되는 상태값이 부여될 수 있다.Here, the status information may be whether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has been used or not, and may have a status value corresponding to one of the status values including unused and used, and may have a status value corresponding to one of unused, used, and refunded, and a status value corresponding to unused may be assigned to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that is first created in the unique address allocation unit (360).
상태정보는 미사용, 사용완료 및 환불완료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상태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미사용, 사용완료 및 환불완료 이외에도 담보중, 점유중, 이전신청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기설정되는 복수개의 값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상태값을 가질 수 있다.The status information may have a status value corresponding to one of unused, used, and refun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o unused, used, and refunded, the status information may have a status value corresponding to one of multiple values preset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such as under collateral, in possession, and transfer request.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된 상품권정보에 포함되는 상품정보는 전자상품권에 대응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일 수 있고, 이미지생성부(330)에서 상품권이미지의 생성시 이용된 상품명과 상품사진에 대응되는 상품명과 상품사진을 포함하는 상품정보일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may be product information for a product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nd may be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a product name and a product photo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name and product photo used when generating the gift certificate image in the image generation unit (330).
이때, 제1단말기(20)를 통해 정보관리부(100)에 입력되는 입력에 따라 상품정보에 포함된 상품 가격이 변경되는 경우 상품권정보생성부(410)는 변경되는 상품 가격과 대응되도록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품 가격을 변경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product price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input entered in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through the first terminal (20),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can change the product price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to correspond to the changed product price.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된 상품권정보에 포함되는 매장정보는 상품권정보에 포함되는 상품정보에 매칭된 매장정보로, 정보관리부(100)에 입력된 상품정보에 매칭되는 매장정보일 수 있다.The stor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is store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and may be store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product information entered in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된 상품권정보에 포함되는 고유주소는 고유주소생성부(340)에서 생성된 고유주소일 수 있고, 전자상품권의 생성시 화면영역(A1)에 배치된 것과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The unique address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may be a unique address generated in the unique address generation unit (340) and may correspond to the address placed in the screen area (A1) when generating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된 상품권정보에 포함되는 접속권한 토큰은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매장정보에 매칭된 접속권한 토큰으로, 정보관리부(100)에 입력된 매장정보에 매칭되는 접속권한 토큰일 수 있다.The access right toke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is an access right token matched to the stor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and may be an access right token matched to the store information entered in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상품권정보생성부(410)는 고유주소배치부(360)에서 전자상품권의 생성시 상품권이미지의 화면영역(A1)에 배치되는 고유주소와, 고유주소에 대응되는 전자상품권에 대한 상태정보와, 정보관리부(100)에 입력된 상품정보 및 매장정보와, 매장정보에 매칭된 접속권한 토큰을 매칭하여 상품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can generat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by matching the unique address placed in the screen area (A1) of the gift certificate image when generat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 the unique address placement unit (360),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corresponding to the unique address, the product information and store information entered in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and the access authority token matched to the store information.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되는 상품권정보는 고유주소, 전자상품권에 대한 상태정보, 상품정보, 매장정보 및 접속권한 토큰을 포함할 수 있다.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may include a unique address, status information for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product information, store information, and access authority tokens.
상품권정보생성부(410)는 정보관리부(100)에서 생성된 접속권한 토큰이 만료되면, 상품권정보에 포함되는 접속권한 토큰을 접속권한 토큰이 만료됨에 따라 생성되는 접속권한 토큰으로 대체할 수 있다.When the access right token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expires,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can replace the access right toke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with the access right token generated when the access right token expires.
한편, 웹사이트관리부(200)는 상품권생성부(300)에서 전자상품권의 생성시 상품명과 상품 가격 중 적어도 하나와, 전자상품권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제3웹사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website management department (200) can create a third website that provides at least one of the product name and product price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when creat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 the gift certificate creation department (300).
이때, 제3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상태정보는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된 상품권정보에 포함되는 상태정보와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atus information provided on the third website may correspond to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제3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상품명과 상품 가격 중 적어도 하나는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된 상품권정보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roduct name and product price provided on the third-party website may be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웹사이트관리부(200)는 제3웹사이트에 게시되고, 상품명과 상품 가격 중 적어도 하나와, 상품권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The website management department (200) can create an interface that is posted on a third-party website and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product name and product price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gift certificate.
웹사이트관리부(200)는 제3웹사이트의 생성시 제3웹사이트에 접속 가능한 주소인 접속코드를 고유주소생성부(340)에서 생성된 고유주소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website management unit (200) may set the access code, which is an address that can access the third-party website when creating a third-party website, to a unique address generated by the unique address generation unit (340).
즉, 웹사이트관리부(200)에서 생성되는 제3웹사이트의 접속코드는 고유주소생성부(340)에서 생성된 고유주소일 수 있고,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공개키를 통해 복호화하면 공개키를 통해 복호화된 고유주소를 이용하여 제3웹사이트에 접속가능할 수 있다.That is, the access code of the third website generated by the website management unit (200) may be a unique address generated by the unique address generation unit (340), and if the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rivate key is decrypted using the public key, it may be possible to access the third website using the unique address decrypted using the public key.
웹사이트관리부(200)는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되는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태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상태정보와 대응되도록 제3웹사이트에 게시된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When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is changed, the website management department (200) can change the interface posted on the third-party website to correspond with the changed status information.
웹사이트관리부(200)는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되는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품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상품정보와 대응되도록 제3웹사이트에 게시된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When the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is changed, the website management department (200) can change the interface posted on the third-party website to correspond with the changed product information.
웹사이트관리부(200)는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되는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The website management unit (200) can store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웹사이트관리부(200)는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되는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태정보에 포함되는 미사용, 사용완료 및 환불완료 각각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The website management unit (200) can store inte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nused, used, and refunded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즉, 제1단말기(10)와 제2단말기(30)를 이용해 전자상품권에 배치된 QR코드 형태의 고유주소를 인식하여 고유주소에 대응되는 제3웹사이트로 접속하면 전자상품권의 상태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That is, by recognizing the unique address in the form of a QR code placed on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using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30) and accessing a third website corresponding to the unique addres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can be easily checked.
유효여부판단부(420)는 제1단말기(20)로부터 공개키로 암호화된 복합주소를 수신하고, 수신된 복합주소로부터 고유주소와 접속권한 토큰을 획득하며, 획득한 고유주소 및 접속권한 토큰에 기초하여 복합주소의 유효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The validity judgment unit (420) may receive a composite address encrypted with a public key from the first terminal (20), obtain a unique address and an access right token from the received composite address, and determine whether the composite address is valid based on the obtained unique address and access right token.
제1단말기(20)는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공개키로 복호화할 수 있으며, 복호화된 고유주소에 접속권한 토큰과 요청사항코드를 부가한 복합주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합주소를 공개키로 암호화하며, 공개키로 암호화된 복합주소를 유효여부판단부(420)에 송출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20) can obtain a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a private key, decrypt the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the obtained private key with a public key, generate a composite address by adding an access right token and a request code to the decrypted unique address, encrypt the generated composite address with a public key, and transmit the composit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ublic key to a validity judgment unit (420).
제1단말기(20)가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획득하는 방법은 제2단말기(30)의 화면에 전자상품권 이미지를 표시하면 제1단말기(20)가 전자상품권 이미지에 나타나 있는 QR코드 형태의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인식함으로써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2단말기(30)로부터 제1단말기(20)가 전자상품권 이미지를 전송받아 전자상품권 이미지에 나타나 있는 QR코드 형태의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인식함으로써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The method for the first terminal (20) to obtain a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a private key may be such that when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30), the first terminal (20) recognizes a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a private key in the form of a QR code that appears in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mage, thereby obtaining a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a private ke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terminal (20) may receive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mage from the second terminal (30) and obtain a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a private key by recognizing a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a QR code that appears in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mage.
예를 들어, 제2단말기(30)의 사용자가 매장에 방문하여 제2단말기(30)의 화면에 전자상품권 이미지를 표시하면 제1단말기(20)의 사용자가 제2단말기(30)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QR코드 형태의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제1단말기(20)로 인식하여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of a second terminal (30) visits a store and displays an image of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30),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20) can recognize and obtain a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a personal key in the form of a QR cod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30) using the first terminal (20).
제1단말기(20)에는 암호화모듈(24)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기설치될 수 있다.An encryption module (24) can be pre-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20)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or software.
암호화모듈(24)은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고유주소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고유주소에 제1단말기(20)에 저장된 접속권한 토큰과, 요청사항코드에 포함된 요청값 중 하나를 부가하여 복합주소를 생성하며, 생성된 복합주소를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유효여부판단부(420)에 송출할 수 있다.The encryption module (24) can obtain a unique address by decrypting a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a private key with a public key, and can create a composite address by adding an access right token stored in the first terminal (20) and one of the request values included in the request code to the obtained unique address, and can encrypt the created composite address with a public key and send it to the validity judgment unit (420).
이때, 요청사항코드는 사용처리와 사용취소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요청값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용처리와 사용취소 및 환불취소 각각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요청값을 포함하여 암호화모듈(24)에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quest code may include a request value corresponding to either use processing or use cancellation, and preferably, may be stored in the encryption module (24) including preset request values corresponding to use processing, use cancellation, and refund cancellation, respectively.
암호화모듈(24)은 사용처리와 사용취소 및 환불취소 각각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요청값 중 제1단말기(20)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값에 대응되는 요청값을 요청사항코드로 획득할 수 있다. The encryption module (24) can obtain a request value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value input using the first terminal (20) among the preset request values corresponding to each of usage processing, usage cancellation, and refund cancellation as a request code.
암호화모듈(24)은 복합주소의 생성시 요청사항코드에 포함된 사용처리와 사용취소 및 환불취소 각각에 대응되는 요청값 중 어느 하나를 부가하여 복합주소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복합주소는 고유주소와, 접속권한 토큰과, 요청값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encryption module (24) may create a composite address by adding one of the request valu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sage processing, usage cancellation, and refund cancellation included in the request code when creating the composite address. In other words, the composite address may be composed of a unique address, an access right token, and a request value.
암호화모듈(24)은 고유주소에 접속권한 토큰과 요청사항코드를 부가하여 기설정된 형태를 갖는 복합주소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되는 복합주소는 고유주소와 접속권한 토큰 및 요청사항코드가 순차적으로 나열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encryption module (24) can create a composite address having a preset format by adding an access authority token and a request code to a unique address, and the created composite address can have a format in which the unique address, access authority token, and request code are sequentially lis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를 참조하면 암호화모듈(24)은 기설정된 URL주소(A)에 식별인증코드(P1)를 부가하여 고유주소생성부(340)에서 생성되는 고유주소에 접속권한 토큰(P2)와 요청사항코드(P3)가 순차적으로 나열된 형태를 갖는 복합주소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encryption module (24) may create a composite address in which an access authority token (P2) and a request code (P3) are sequentially listed in a unique address generated by a unique address generation unit (340) by adding an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code (P1) to a preset URL address (A).
유효여부판단부(420)가 제2단말기(30)로부터 공개키로 암호화된 복합주소를 수신하면 암호화관리부(350)는 개인키를 이용하여 공개키로 암호화된 복합주소를 복호화할 수 있다.When the validity judgment unit (420) receives a composite address encrypted with a public key from the second terminal (30), the encryption management unit (350) can decrypt the composit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ublic key using the private key.
암호화관리부(350)에서 개인키를 이용하여 공개키로 암호화된 복합주소를 복호화하면 유효여부판단부(420)는 복합주소를 획득할 수 있음에 따라, 고유주소와 접속권한 토큰 및 요청값을 획득할 수 있다.When the encryption management unit (350) decrypts a composite address encrypted with a public key using a private key, the validity judgment unit (420) can obtain the composite address, thereby obtaining a unique address, access authority token, and request value.
유효여부판단부(420)는 획득한 고유주소 및 접속권한 토큰과,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된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고유주소 및 접속권한 토큰을 비교판단하여 획득한 고유주소 및 접속권한 토큰의 유효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The validity judgment unit (420) may compare the acquired unique address and access right token with the unique address and access right toke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to determine whether the acquired unique address and access right token are valid.
유효여부판단부(420)는 획득한 고유주소가 상품권정보에서 매칭된 접속권한 토큰과, 복합주소를 획득함에 따라 획득한 접속권한 토큰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획득한 고유주소와 접속권한 토큰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validity judgment unit (420) determines whether the acquired unique address matches the access right token match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and the access right token acquired by acquiring a composite address, and if they match, the acquired unique address and access right token can be determined to be valid.
유효여부판단부(420)는 획득한 고유주소가 상품권정보에서 매칭된 접속권한 토큰과, 복합주소를 획득함에 따라 획득한 접속권한 토큰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획득한 고유주소와 접속권한 토큰이 무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validity judgment unit (420) determines whether the acquired unique address matches the access right token match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and the access right token acquired by acquiring a composite address, and if they do not match, the acquired unique address and access right token can be determined to be invalid.
상태변경부(430)는 유효여부판단부(420)의 판단결과에 따라 전자상품권의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atus change unit (430) may chang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of the validity judgment unit (420).
상태변경부(430)는 전자상품권의 상태정보를 복합주소를 획득함에 따라 획득된 요청사항코드의 요청값과 대응되도록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atus change unit (430) may chang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to correspond to the request value of the request code obtained by obtaining the composite address.
상태변경부(430)는 획득한 고유주소와 접속권한 토큰이 유효한 것으로 유효여부판단부(420)가 판단하고,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된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태정보가 미사용이며, 획득된 요청값이 사용처리에 대응되는 경우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된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태정보를 사용완료로 변경할 수 있다.The status change unit (430) can change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to usage completion if the validity judgment unit (420) determines that the acquired unique address and access right token are valid,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is unused, and the acquired request value corresponds to usage processing.
상태변경부(430)는 획득한 고유주소와 접속권한 토큰이 유효한 것으로 유효여부판단부(420)가 판단하고,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된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태정보가 미사용이며, 획득된 요청값이 환불처리에 대응되는 경우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된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태정보를 환불처리로 변경할 수 있다.The status change unit (430) can change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to refund processing when the validity judgment unit (420) determines that the acquired unique address and access right token are valid,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is unused, and the acquired request value corresponds to refund processing.
상태변경부(430)가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된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태정보를 환불처리로 변경하면 상품결제부(320)는 결제정보를 이용해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품 가격에 대응되는 금액이 환불되도록 결제서버(40)에 요청할 수 있고, 결제서버(40)는 상 상품 가격에 대응되는 금액을 환불처리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적 사항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When the status change unit (430) changes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to refund processing, the product payment unit (320) can use the payment information to request the payment server (40) to refund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price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and the payment server (40) can process a refund for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price. Technical details related to this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태변경부(430)는 획득한 고유주소와 접속권한 토큰이 유효한 것으로 유효여부판단부(420)가 판단하고,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된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태정보가 사용완료이며, 획득된 요청값이 사용취소에 대응되는 경우 상품권정보생성부(410)에서 생성된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태정보를 미사용으로 변경할 수 있다.The status change unit (430) can change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to unused when the validity judgment unit (420) determines that the acquired unique address and access right token are valid,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10) is used, and the acquired request value corresponds to cancellation of use.
상태변경알림부(440)는 상태변경부(430)가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제1단말기(20)와 제2단말기(3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상품권의 상태정보가 변경되었다는 알림을 송출할 수 있다.When the status change notification unit (440) changes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the status change notification unit (430) can send a notification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tha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has been changed.
상태변경알림부(440)는 상태변경부(430)가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상품권정보에 매칭된 접속권한 토큰에 대응되는 제1단말기(20)와, 상품권송출부(370)에서 전자상품권을 송출한 제2단말기(30)에 전자상품권의 상태정보가 변경되었다는 알림을 송출할 수 있다.When the status change notification unit (440) changes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the status change notification unit (440) can send a notification tha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has been changed to the first terminal (20) corresponding to the access right token matched to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rminal (30) that sent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from the gift certificate sending unit (370).
이때, 알림은 메시지의 형태로 송출될 수 있고, 상태변경알림부(440)는 상태변경부(430)가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제1단말기(20)와 제2단말기(30)에 전자상품권의 상태정보가 변경되었다는 내용의 기설정된 알림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can be sent in the form of a message, and the status change notification unit (440) can send a preset notification message to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tha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has been changed when the status change unit (430) changes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상품권관리부(400)는 주문처리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ift certificate management department (400) may further include an order processing department (450).
주문처리부(450)는 제2단말기(30)로부터 전송되는 전자상품권을 수신하면 제2단말기(30)에 포장, 배달 및 매장식사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주문입력값을 입력받기 위한 주문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제2단말기(30)를 통해 주문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주문입력값을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receives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30), it can provide an order interface for receiving an order input value corresponding to one of packaging, delivery, and in-store dining in the second terminal (30), and can receive an order input value entered into the order interface through the second terminal (30).
주문처리부(450)는 제2단말기(30)로부터 이미지 파일 형태의 전자상품권인 전자상품권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can receive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mage in the form of an image file from the second terminal (30).
주문처리부(450)는 포장, 배달 및 매장식사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주문입력값을 입력받기 위한 기설정된 주문인터페이스를 기저장하는 것일 수 있고, 기저장된 주문인터페이스를 제2단말기(30)에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may store a preset order interface for receiving order input values corresponding to any one of packaging, delivery, and in-store dining, and may provide the preset order interface to the second terminal (30).
주문처리부(450)는 제2단말기(30)를 통해 주문인터페이스에 대한 주문입력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주문입력값을 제1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an order input value is entered into the order interface through the second terminal (30), 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can provide the entered order input value to the first terminal (20).
주문처리부(450)는 주문인터페이스를 통해 배달에 대응되는 주문입력값을 입력받으면 주소를 입력받기 위한 주소인터페이스를 제2단말기(30)에 제공하여 제2단말기(30)를 통해 주소입력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receives an order input value corresponding to delivery through the order interface, and provides an address interface for receiving an address to the second terminal (30) so that the address input value can be received through the second terminal (30).
주문처리부(450)는 제2단말기(30)를 통해 주소인터페이스에 대한 주소입력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주소입력값을 제1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an address input value for the address interface is entered through the second terminal (30), 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can provide the entered address input value to the first terminal (20).
주문처리부(450)는 문자메시지, 외부메신저 메시지 및 제4웹사이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2단말기(30)로부터 전자상품권을 이미지 파일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can receive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 the form of an image file from the second terminal (30) using any one of a text message, an external messenger message, and a fourth website.
제2단말기(30)는 상품권송출부(370)로부터 송출된 전자상품권을 주문처리부(450)에 송신할 수 있고, 이때, 제2단말기(30)는 문자메시지, 외부메신저 메시지 및 제4웹사이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주문처리부(450)에 전자상품권을 송신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30) can transmit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sent from the gift certificate sending unit (370) to 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and at this time, the second terminal (30) can transmit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to 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using any one of a text message, an external messenger message, and a fourth website.
주문처리부(450)는 제2단말기(30)로부터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통신사서버(50)로부터 제공받아 부여받을 수 있고, 통신사서버(50)로부터 제공받은 전화번호를 통해 전자상품권이 수신되면 주문처리부(450)는 통신사서버(50)로부터 전자상품권을 수신할 수 있다.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can receive a phone number for receiving text messages from the second terminal (30) from the telecommunications server (50), and when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s received through the phone number provided from the telecommunications server (50), 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can receive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from the telecommunications server (50).
이때, 통신사서버(50)는 SKT, KT 및 LG U+와 같은 통신사의 서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lecommunications company server (50) may be a server of a telecommunications company such as SKT, KT, and LG U+.
주문처리부(450)는 제2단말기(30)로부터 외부메신저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메신저 ID를 메신저서버(60)로부터 제공받아 부여받을 수 있고, 제2단말기(30)로부터 메신저서버(60)를 통해 메신저 ID에 전자상품권이 수신되면 주문처리부(450)는 메신저서버(60)로부터 전자상품권을 수신할 수 있다.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can be provided with a messenger ID for receiving an external messenger message from the second terminal (30) by the messenger server (60), and when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30) to the messenger ID through the messenger server (60), 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can receive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from the messenger server (60).
이때, 메신저서버(60)는 스마트폰 및 PC와 같은 단말기 간에 메시지 및 이미지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카카오톡, 라인과 같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ssenger server (60) may be a server that manages a messenger program that allows messages and images to be exchanged between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PCs, and may be, for example, a server that manages a messenger program such as KakaoTalk or Line.
제2단말기(30)는 통신사서버(50) 및 메신저서버(60)와 외부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30) can be connected to a telecommunications server (50) and a messenger server (60) through an external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주문처리부(450)는 제4웹사이트를 통해 이미지 파일 형태의 전자상품권을 수신할 수 있고, 웹사이트관리부(200)는 제2단말기(30)로부터 이미지 파일 형태의 전자상품권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제4웹사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 주문처리부(450)는 제4웹사이트에 구비된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전자상품권을 수신할 수 있다.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can receive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 the form of an image file through the fourth website, and the website management unit (200) can create an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 the form of an image file from the second terminal (30), and create a fourth website equipped with the created input interface. 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can receive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equipped on the fourth website.
주문처리부(450)가 제2단말기(30)로부터 전자상품권을 수신하면 암호화관리부(350)는 전자상품권에 배치된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공개키로 복호화할 수 있다.When 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receives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from the second terminal (30), the encryption management unit (350) can decrypt the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rivate key placed in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with the public key.
주문처리부(450)는 전자상품권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제1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고, 이때, 상품정보를 제공받는 제1단말기(20)는 공개키로 복호화된 고유주소가 상품권정보에서 매칭된 매장정보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can provid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to the first terminal (20), and at this time, the first terminal (20) receiving the product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store information where a unique address decrypted with a public key is match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주문처리부(450)는 제2단말기(30)로부터 전자상품권 이미지를 수신하면 추가주문 인터페이스를 제2단말기(30)에 제공할 수 있고, 제2단말기(30)를 통해 추가주문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입력값에 따라 상품결제부(320)는 결제 금액을 결제할 수 있다.When 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receives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mage from the second terminal (30), it can provide an additional order interface to the second terminal (30), and the product payment unit (320) can pay the payment amount according to the input value entered into the additional order interface through the second terminal (30).
주문처리부(450)는 수신된 전자상품권에 대응되는 상품권정보에서 매장정보에 매칭된 상품정보에 포함되는 상품명과 상품 가격, 추가주문 버튼이 화면 영역에 배치된 추가주문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can create an additional order interface in which the product name and product price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matched to the store information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nd an additional order button are placed in the screen area.
주문처리부(450)는 제2단말기(30)를 통해 추가주문 버튼을 통한 입력에 대응한 입력값에 기초하여 입력값에 대응되는 상품의 상품 가격에 기초하여 결제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can calculate the payment amount based on the product price of th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input value based on the in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order button input through the second terminal (30).
주문처리부(450)는 제2단말기(30)를 통해 추가주문 버튼을 통한 입력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력되면 추가주문 버튼과 함께 추가주문 인터페이스에 배치된 상품 가격을 결제 금액으로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may calculate the product price placed on the additional order interface together with the additional order button as the payment amount when an in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put through the additional order button is entered through the second terminal (30).
상품결제부(320)는 제2단말기(30)로부터 입력받아 저장된 결제정보와, 주문처리부(450)에서 산출된 결제 금액을 포함한 상품 거래에 필요한 거래정보에 기초하여 금융기관 내의 결제서버(40)에 결제를 요청하는 것을 통해 주문처리부(450)에서 산출된 결제 금액을 결제하는 것일 수 있다.The product payment unit (320) may request payment from a payment server (40) within a financial institution based on the payment information input and stored from the second terminal (30) and the transac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product transactions, including the payment amount calculated by 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thereby paying the payment amount calculated by the order processing unit (45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통합서버, 20: 제1단말기,30: 제2단말기,
21, 31: 입력부,
22, 32: 화면부,
23, 33: 통신부,
24: 암호화모듈,
40: 결제서버, 50: 통신사서버, 60: 메신저서버,
100: 정보관리부,
200: 웹사이트 관리부,
300: 상품권생성부,
310: 구매요청수신부, 320: 상품결제부, 330: 이미지생성부,
340: 고유주소생성부, 350: 암호화관리부, 360: 고유주소배치부,
370: 상품권송출부,
400: 상품권관리부,
410: 상품권정보생성부, 420: 유효여부판단부,
430: 상태변경부, 440: 상태알림부, 450: 주문처리부.10: Integrated server, 20: Terminal 1, 30: Terminal 2,
21, 31: Input section,
22, 32: Screen area,
23, 33: Communications Department,
24: Encryption module,
40: Payment server, 50: Telecommunications company server, 60: Messenger server,
100: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200: Website Administration Department,
300: Gift certificate creation department,
310: Purchase request receiving unit, 320: Product payment unit, 330: Image creation unit,
340: Unique address generation unit, 350: Encryption management unit, 360: Unique address allocation unit,
370: Gift Certificate Issuance Department,
400: Gift Certificate Management Department,
410: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creation section, 420: Validity judgment section,
430: Status change section, 440: Status notification section, 450: Order processing section.
Claims (8)
상기 통합서버는
상기 제1단말기에 입력되는 입력값에 따라 매장정보와, 상품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제1단말기에 접속권한 토큰을 제공하는 정보관리부;
상기 매장정보와 상기 상품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소정 상품에 대응되는 전자상품권의 구매가 가능한 웹사이트를 통해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상품의 구매가 이루어지면 고유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고유주소를 개인키를 이용해 암호화하며,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상기 고유주소가 QR코드 형태로 배치된 전자상품권을 상기 제2단말기로 송출하는 상품권생성부; 및
미사용과 사용완료를 포함하는 상태값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상태값을 갖는 상태정보와, 상품명과 상품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와, 상기 상품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구매 요청에 대응되어 생성되는 고유주소 및 기설정된 문자열 형태를 갖는 상기 접속권한 토큰을 포함하는 상품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유주소와, 상기 접속권한 토큰과, 사용처리와 사용취소를 포함하는 요청값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요청사항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상기 개인키에 대응되는 공개키로 암호화된 복합주소를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상품권정보와 상기 복합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기 상태정보를 미사용과 사용완료를 포함한 상태값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는 상품권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상품권생성부는
타 전자상품권과 구별하기 위한 식별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식별인증코드를 기설정된 URL주소에 부가하여 상기 고유주소를 생성하는 고유주소생성부;
상기 개인키를 생성하고, 상기 고유주소를 상기 개인키로 암호화하며, 상기 개인키에 대응되는 상기 공개키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내지 2단말기에 제공하며, 유효여부판단부가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상기 공개키로 암호화된 상기 복합주소를 수신하면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복합주소를 복호화하는 암호화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상품권관리부는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상기 공개키로 암호화된 상기 복합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암호화관리부가 상기 공개키로 암호화된 상기 복합주소를 상기 개인키로 복호화하면 상기 고유주소 및 상기 접속권한 토큰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고유주소 및 상기 접속권한 토큰과 상기 상품권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고유주소 및 접속권한 토큰을 비교판단하며, 획득한 상기 고유주소 및 상기 접속권한 토큰의 유효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유효여부판단부; 및
상기 유효여부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상품권의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복합주소를 획득함에 따라 획득된 상기 요청사항코드의 요청값과 대응되도록 변경하는 상태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개인키로 암호화된 고유주소를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고유주소를 획득하고, 사용처리와 사용취소 및 환불취소 각각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요청값을 포함하는 상기 요청사항코드를 저장하며, 상기 고유주소에 상기 접속권한 토큰과 상기 요청사항코드에 포함된 상기 요청값을 부가하여 상기 복합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복합주소를 상기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상기 유효여부판단부에 송출하는 암호화모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기설치되는 것
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Includes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integrated server,
The above integrated server
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stor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 to input values entered into the first terminal and provides an access authority token to the first terminal;
A gift certificate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unique address when a product is purchased from the second terminal through a website where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corresponding to a given product can be purchased based on the stor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encrypts the unique address using a private key, and sends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 which the unique address encrypted using the private key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QR code to the second terminal; and
It includes a gift certificate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including status information having a status value corresponding to one of status values including unused and used,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a product name and a product price, and a unique address generated in response to a purchase request for a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and the access right token having a preset string format, and receives a composite address encrypted with a public key corresponding to the private key from the first terminal based on a request code corresponding to one of the request values including use processing and use cancellation, and changes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to one of the status values including unused and used based o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and the composite address,
The above gift certificate creation department
A unique address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n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code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and adds the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code to a preset URL address to generate the unique address;
It includes an encryption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the private key, encrypts the unique address with the private key, generates the public key corresponding to the private key and provides it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nd when the validity judgment unit receives the composit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ublic key from the first terminal, decrypts the composite address using the private key;
The above gift certificate management department
A validity determination unit that receives the composit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ublic key from the first terminal, decrypts the composit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ublic key with the private key, obtains the unique address and the access right token by the encryption management unit, compares and determines the obtained unique address and the access right token with the unique address and the access right token included in th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ift certificate generation unit, and determines whether the obtained unique address and the access right token are valid; and
It includes a status change unit that chang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to correspond to the request value of the request code obtained by obtaining the composite address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of the validity judgment unit;
The above first terminal
An encryption module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or software, which obtains the unique address by decrypting the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rivate key with a public key, stores the request code including the preset request value corresponding to each of use processing, use cancellation, and refund cancellation, adds the access right token and the request value included in the request code to the unique address to create the composite address, and encrypts the composite address with the public key and transmits it to the validity judgment unit.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상기 상품권생성부는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상품에 대한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구매요청수신부;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구매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상품의 상품 가격을 결제하는 상품결제부;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상품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권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생성부;
상기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고유주소를 QR코드 형태로 상기 상품권이미지 내에 기설정된 화면영역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전자상품권을 생성하는 고유주소배치부; 및
상기 전자상품권을 이미지 파일 형태로 상기 제2단말기로 송출하는 상품권송출부;를 포함하는 것
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In paragraph 1,
The above gift certificate creation department
A purchase reques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 purchase request for a product from the second terminal;
A product payment unit that pays the product price of the product when a purchas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An image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gift certificate image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when payment for the above product is made;
A unique address placement unit that creates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by placing the unique address encrypted with the private key in the form of a QR code in a preset screen area within the gift certificate image; and
Including a gift certificate sending unit that sends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 the form of an image file to the second terminal;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상기 상품권관리부는
상기 상품권정보를 생성하는 상품권정보생성부; 및
상기 상태정보가 변경되면 외부 단말기에 상기 상태정보가 변경되었다는 알림을 외부 단말기로 송출하는 상태변경알림부;를 포함하는 것
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gift certificate management department
A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the abov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and
Including a status change notification unit that sends a notific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that the status information has been changed when the above status information is changed;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상기 정보관리부는
기설정된 만료기한을 갖는 상기 접속권한 토큰을 상기 제1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접속권한 토큰의 만료기한이 경과하면 만료기한이 경과한 접속권한 토큰과 다른 제2접속권한 토큰을 상기 제1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이며,
상품권정보생성부는
상기 상품권정보에 포함된 상기 접속권한 토큰이 만료되면 상기 접속권한 토큰을 상기 제2접속권한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
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In paragraph 4,
The above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Providing the access right token having a preset expiration date to the first terminal, and when the expiration date of the access right token expires, providing a second access right token different from the access right token whose expiration date has expired to the first terminal,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generation department
When the access right token included in the abov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expires, the access right token is replaced with the second access right token.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상기 상품권관리부는
상기 전자상품권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웹사이트, 문자메시지 및 외부메신저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전자상품권을 수신하는 주문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관리부는
상기 주문처리부가 상기 전자상품권을 수신하면 상기 전자상품권에 배치된 고유주소를 공개키로 복호화하는 것이고,
상기 주문처리부는
상기 공개키로 복호화된 상기 고유주소가 상기 상품권정보에서 매칭된 상품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와는 다른 외부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
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In paragraph 4,
The above gift certificate management department
Further comprising: a website equipped with an interface for receiving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an order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from the second terminal using one of a text message and an external messenger message;
The above encryption management department
When the above order processing department receives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t decrypts the unique address assigned to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using a public key.
The above order processing department
The above unique address decrypted with the above public key provides the product information matched in the above gift certificate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different from the above external terminal.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상기 주문처리부는
상기 상품명과, 상기 상품 가격과, 추가주문 버튼이 화면 영역에 배치된 추가주문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추가주문 버튼을 통한 입력에 대응한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값에 대응되는 상품의 상품 가격에 기초하여 결제 금액을 산출하는 것이고,
상기 상품결제부는
상기 주문처리부에서 산출된 결제 금액을 결제하는 것
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In paragraph 6,
The above order processing department
An additional order interface is created in which the above product name, the above product price, and an additional order button are placed in the screen area, and the payment amount is calculated based on the product price of th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input value based on the in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put value through the additional order button.
The above product payment department
Paying the payment amount calculated by the above order processing department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상기 상품명과 상기 상품 가격 중 적어도 하나와, 전자상품권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상기 고유 주소를 통해 접속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상품 가격이 외부 입력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 상기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상기 상품 가격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
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In paragraph 1,
Provide access to a website that provides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duct name and the above product price and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through the above unique address, and change and display the product price provided on the website when the product price changes according to external input.
A product transaction system using electronic gift certificat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1078A KR102697250B1 (en) | 2022-07-22 | 2022-07-22 | Commodity transaction system using electronic gif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1078A KR102697250B1 (en) | 2022-07-22 | 2022-07-22 | Commodity transaction system using electronic gif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3487A KR20240013487A (en) | 2024-01-30 |
KR102697250B1 true KR102697250B1 (en) | 2024-08-20 |
Family
ID=8971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1078A Active KR102697250B1 (en) | 2022-07-22 | 2022-07-22 | Commodity transaction system using electronic gif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7250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3754B1 (en) * | 2019-01-04 | 2020-06-16 | 에스케이 주식회사 | Block Chain Coin based Gift Certificate Service System and Method |
KR102136976B1 (en) * | 2019-09-03 | 2020-07-23 | (주)업사이드 | Service method for tokenization mobile gift card and service provider thereof |
JP2021089657A (en) * | 2019-12-05 | 2021-06-1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Authentication approving system and method for approving authenticatio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16260A (en) * | 2013-03-20 | 2014-10-02 | 주식회사 아이유커뮤니케이션즈 | Method of managing goods using internet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
KR20140119285A (en) | 2013-03-28 | 2014-10-10 | 주식회사 타운에스앤지 | System of managing coupon issue and process of managing coupon issue using the system |
KR20170069610A (en) * | 2015-12-11 | 2017-06-21 | 티티비(주) | Sysetm for paying price using gateway and method thereof |
KR102429000B1 (en) | 2017-11-29 | 2022-08-04 | 주식회사 플랫포스 | Method of providing service for issuing mobile gift certification, server and system thereof |
-
2022
- 2022-07-22 KR KR1020220091078A patent/KR10269725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3754B1 (en) * | 2019-01-04 | 2020-06-16 | 에스케이 주식회사 | Block Chain Coin based Gift Certificate Service System and Method |
KR102136976B1 (en) * | 2019-09-03 | 2020-07-23 | (주)업사이드 | Service method for tokenization mobile gift card and service provider thereof |
JP2021089657A (en) * | 2019-12-05 | 2021-06-1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Authentication approving system and method for approving authentic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3487A (en) | 2024-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08088B2 (en) | Recurring token transactions | |
US2009027634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a temporary financial transaction number or code | |
JP5108034B2 (en) | Electronic transfer system | |
US11888995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value transfers using signcryption | |
KR101903709B1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advanced storage key in a mobile device without secure elements | |
US20160125403A1 (en) | Offline virtual currency transaction | |
US20130339188A1 (en) | Gift token | |
US20080243702A1 (en) | Tokens Usable in Value-Based Transactions | |
CN108665263B (en) | Multi-dimensional bar code action payment method, buyer device and payment servo mechanism | |
JP2002537619A (en) | Credit card system and method | |
CN109716373A (en) | Cipher authentication and tokenized transaction | |
US2012029048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 Surveys and Receipts Electronically to Customers Purchasing with Credit Cards | |
US20210209594A1 (en) |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limit-use encrypted code to transfer values securely among users | |
JP2009123013A (en) |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two-dimensional barcode, and method for managing issue of electronic coupon | |
US20180285863A1 (en) | User generated autonomous digital token system | |
CN112970234B (en) | Account assertion | |
JP6844828B1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KR20030078485A (en) | Publication and settlement of account for an electronic check | |
KR102697250B1 (en) | Commodity transaction system using electronic gift | |
TW200300237A (en) | E-commerce transaction system, e-commerce transaction server, and e-commerce transaction method | |
JP5981507B2 (en) | How to process payments | |
RU2174708C1 (en) | Method for carrying on trade operations using clearing transactions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 |
JP2003507824A (en) | Guarantee system for performing electronic commerce and method used therefor | |
TW201423625A (en) | Transaction system for entity shopping through virtual account balance, and transaction method using for the same | |
JP2020060995A (en) | Electronic currency wallet management server and activa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