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144B1 - Emergency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s - Google Patents
Emergency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2144B1 KR102672144B1 KR1020230020569A KR20230020569A KR102672144B1 KR 102672144 B1 KR102672144 B1 KR 102672144B1 KR 1020230020569 A KR1020230020569 A KR 1020230020569A KR 20230020569 A KR20230020569 A KR 20230020569A KR 102672144 B1 KR102672144 B1 KR 1026721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car
- unit
- control unit
- motion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9—Presence detector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infrared sensor, microphon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sychia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인원을 분석하고, 탑승인원의 수에 따라 각각의 감시모드가 설정되며, 탑승인원의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을 판단하여 소방기관용 단말기로 또는 수사기관용 단말기로 선택적으로 각각 알림메시지를 전송하여 신속한 조치를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analyzes the number of passengers inside the elevator car through images captured by a camera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and monitors each surveillance mod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is set, and relates to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s that determines emergency or dangerous situations for passengers and selectively sends notification messages to terminals for fire departments or investigative agencies to enable prompt action.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저층에서 고층 또는 고층에서 저층으로 신속하게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시키는 이송장치이다. 현대 산업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고층건물들이 생겨나기 시작하고, 엘리베이터 또한 필수적인 이동수단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으며,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하여 이동하는 사람들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발전하고 있다.An elevator is a transportation device that is installed inside a building and receives power to quickly move people or cargo from a low floor to a high floor or from a high floor to a low floor. As modern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s, high-rise buildings begin to emerge, and elevators have also become an essential means of transportation, developing into a means of providing convenient services to people traveling inside elevators.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사람이 엘리베이터의 도어 측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카의 호출 스위치를 눌러 엘리베이터카를 이용하려는 사람이 위치하는 층수로 엘리베이터카를 이동시킨 후 탑승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이동하고자 하는 층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부가 마련되어 있다.Generally, a person using an elevator presses the call switch of the elevator car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elevator door, moves the elevator car to the floor where the person who wants to use the elevator car is located, then gets on and moves to the desired floor. Here, there is a button section inside the elevator car that allows you to select the floor you want to move to.
또한,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들이 엘리베이터카의 고장으로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갇히게 될 경우 건물 외부에 구비된 관리부에 도움을 요청하도록 비상호출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엘리베이터카에 탑승한 사람이 질병으로 인해 쓰러지거나 다른 탑승객에 의해 위협받는 경우 비상호출 버튼을 누를 수 없게됨으로 관리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없게 된다.Additionally, an emergency call button is installed so that people riding inside the elevator car can request help from management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if they become trapped inside the elevator car due to a malfunction of the elevator car. However, if a person in an elevator car collapses due to illness or is threatened by other passengers, they cannot press the emergency call button and thus cannot request help from managem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엘리베이터카의 내부를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관리부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감시카메라가 설치되었다. 하지만, 감시카메라의 경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영상을 관리부에 제공만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부의 관리자가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링하지 않는다면 응급상황을 인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urveillance camera was installed to film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car in real time and provide the captured images to the management in real time. However, in the case of surveillance cameras, the situation inside the elevator car is captured in real time and the video is only provided to the management, so i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side the elevator car, the emergency situation cannot be recognized unless the manager in the management department monitors the captured video.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done.
예컨대,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이 같은 층 또는 다른 층에서 탑승한 다른 사람에 의해 위협을 받는 경우 위협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때문에 비상호출 버튼을 누를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의 경우 관리부의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를 모니터링하여 위험상황을 인지한다면 위협을 받는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반대로 관리부의 관리자가 위험상황을 인지 못한 상황이라면 탑승한 사람이 도움을 받지 못하게 된다.For example, if a person riding inside an elevator car is threatened by another person riding on the same floor or a different floor, a situation may arise in which the person cannot press the emergency call button because he or she is protecting his or her body from the threat. In the above situation, if the manager in the management department monitors the monitor in real time and recognizes the dangerous situation, he or she can provide help to the person in danger. However, if the manager in the management department is not aware of the dangerous situation, the person on board can provide help. You will not receive it.
더욱이, 관리자가 위험상황을 인지하지 못하여 탑승한 사람이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탑승한 사람이 직접 위험한 상황으로부터 벗어나야 되는데 이때, 엘리베이터카는 선택한 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현재 이동하는 층의 다음 층을 눌러 엘리베이터카를 멈춘 다음 엘리베이터카가 멈춰 도어가 열리게 되면 엘리베이터카를 하차함으로써 위험상황을 벗어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위험상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함과 동시에 얼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설치된 버튼부를 누르기 어려움으로 탑승한 사람이 스스로 위험상황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렵게 된다.Moreover, if the manager does not recognize the dangerous situation and the occupants cannot receive help, the occupants must escape the dangerous situation themselves. At this time, the elevator car moves to the selected floor. In other words, you can escape a dangerous situation by pressing the next floor of the floor you are currently moving to, stopping the elevator car, and then getting off the elevator car when the elevator car stops and the door opens. However, while protecting oneself from a dangerous situation, it is difficult for the occupants to escape the dangerous situation on their own due to the difficulty in pressing the button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이 엘리베이터카가 이동하는 중 질병으로 인해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쓰러지는 경우 관리자가 관리부의 모니터를 통하여 인지하여도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없음으로 소방기관에 별도로 연락을 취해야된다. 즉, 질병으로 인해 쓰러진 사람에게 신속한 도움을 줄 수 없게 된다.In addition, if a person inside the elevator car falls inside the elevator car due to illness while the elevator car is in motion, the manager cannot provide direct help even if the manager recognizes it through the management monitor, so the fire department must be contacted separately. must be taken In other words, it becomes impossible to quickly provide help to a person who has collapsed due to disease.
더욱이 소방기관의 구조원이 엘리베이터카가 설치된 위치에 도착하여도 질병으로 인해 쓰러진 사람이 쓰러지기 전 선택한 층으로 엘리베이터카가 이동된 상태이고, 엘리베이터카가 위치하는 층으로 구조원이 직접 이동하거나 엘리베이터카를 구조원이 대기하는 층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질병으로 인해 쓰러진 사람에게 직접적인 조치를 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Moreover, even when a rescuer from a fire department arrives at the location where the elevator car is installed, the elevator car has been moved to the floor selected before the person who collapsed due to illness collapsed, and the rescuer moves directly to the floor where the elevator car is located or moves the elevator car to the floor where the elevator car is located. Since the patient must be moved to this waiting floor, the time it takes to take direct action on a person who has collapsed due to illness may be longer, creating a more dangerous situa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발생하는 상황을 분석 및 판단하고,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원격관리부에 각각의 상황을 알려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하지 않아도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의 발생을 인지하며, 응급상황 또는 문제상황의 정보를 소방기관 또는 수사기관 각각에 실시간으로 안내하여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에게 신속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analyze and determine the situation occurring inside the elevator car, and when an emergency or dangerous situation occurs, to notify the remote management of each situation so that the manager can do so in real time. It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or dangerous situation even without monitoring, and provides real-time information on emergency or problem situations to fire departments or investigative agencies to provide prompt assistance to people inside the elevator car.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은, 사람이 탑승 가능하게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되고, 상하로 운행하는 엘리베이터카와,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 감시영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감시카메라와,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상하로 운행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운행부와, 상기 운행부에 운행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상기 사람의 탑승 및 하차를 감지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인원을 카운트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감시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모니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원격관제부와, 상기 제어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원격관제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알림메시지로 변환하여 소방기관용 단말기 또는 수사기관용 단말기 각각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알림송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so that a person can board, an elevator car that moves up and down, and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and inside the elevator car. A surveillance camera that captures the surveillance area in real time, an operation unit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elevator car up and down, transmi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and detects the boarding and exit of the person in the elevator car. A control unit that counts the number of passengers inside the elevator car, a remote control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a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nd monitors images from the surveillance camera in real time through a monitor, and It i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and a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includes a notification transmission unit that receives data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converts it into a notification message, and selectively transmits it to a terminal for a fire department or a terminal for an investigative agenc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감시영역을 설정하는 감시카메라설정부와,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감시영역의 영상을 복수의 블럭 단위로 나눈 다음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과 상기 감시카메라가 제공하는 이후의 촬영 영상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감시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블럭을 움직임블럭으로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블럭의 좌표값 및 이동 벡터값을 산출하여 상기 사람의 움직임정보로 출력하는 움직임검출부와, 상기 움직임검출부에 상기 움직임블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사람이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에 상기 움직임블럭이 사라지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탑승한 사람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승하차감지부와,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수신된 상기 움직임블럭을 카운트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의 수를 탑승인원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원격관제부에 상기 탑승인원정보를 송신하는 탑승인원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urveillance camera setting unit that sets the surveillance area of the surveillance camera, a memory unit that divides the video of the surveillance area captur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into a plurality of blocks and then stores them, and the memory unit. By comparing the stored video with the subsequent captured video provid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a block moving in a relatively different direction or at a different speed in the surveillance area is determined to be a moving block, and the coordinate value and movement vector value of the moving block are determined. A motion detection unit that calculates and outputs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and when the motion block is detected in the motion detection unit, it is determined that a person is inside the elevator car, and if the motion block disappears in the motion detection unit. a boarding and disembark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a person in the elevator car has gotten off; a motion detection unit that counts the motion blocks received and stores the number of people in the elevator car as passenger information; an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assenger detection unit that transmits the passenger information to a remot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인원감지부에 감지된 인원이 1명인 경우 응급상황감시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탑승인원감지부에 감지된 인원이 2명 또는 3명인 경우 방범모드로 설정하며, 4명 이상인 경우 정상운행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를 감시하고,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운행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감시모드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sets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mode when the number of people detected by the occupancy detection unit is 1, and sets it to the crime prevention mode when the number of people detected by the occupancy detection unit is 2 or 3, 4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onitoring mode setting unit that monitors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car by setting it to a normal operation mode when there are more than 100 people,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when an emergency or dangerous situation occur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모드설정부에서 응급상황감시모드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의 움직임정보가 수신된 이후 시간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시간정보로 송신하는 시간측정부와. 상기 시간측정부가 활성화된 경우 작동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송신된 움직임블럭을 저장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을 저장된 움직임블럭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블럭의 크기 및 이동방향을 분석하며, 상기 시간측정부에서 수신된 시간정보와 설정된 응급상황판단시간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응급상황판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activated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mode is set in the monitoring mode setting unit, and a time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time after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motion detection unit is received and transmits the time information in real time. The time measurement unit operates when activated, stores the motion block transmitted from the motion detection unit, and analyzes the size and movement direction of the motion block by comparing each subsequent motion block provid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with the stored motion block. It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that compares and analyzes the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ime measurement unit and the set emergency situation judgment time information.
또한, 상기 응급상황판독부는, 상기 저장된 움직임블럭의 크기와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상기 시간측정부로부터 시간정보를 수신받음과 동시에 상기 저장된 움직임블럭과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의 위치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when the size of the stored motion block and the size of the subsequent motion block provid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are different, receives time information from the time measurement unit and simultaneously receives the stored motion block and the motion detec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by reading the position of the subsequent movement block provided b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측정부에서 수신된 시간정보가 상기 응급상황판독부에 설정된 응급상황판단시간정보를 초과하는 동안 상기 응급상황판독부에 저장된 움직임블럭과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의 위치가 동일할 경우 상기 알림송출부에서 알림메시지를 상기 소방기관용 단말기로 송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설치된 건물의 1층으로 운행시키며, 도어를 강제로 오픈시킨 후 비상 정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while the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ime measuring unit exceeds the emergency situation judgment time information set in the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the motion block stored in the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and the subsequ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If the positions of the moving blocks are the same, the notification transmission unit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fire engine terminal, operates the elevator car to the first floor of the building where the elevator car is installed, and controls the elevator car to forcibly open the door and make an emergency stop.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알림송출부의 알림메시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설치된 건물의 위치 및 응급상황발생 시간에 대하여 안내하는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otification message of the notification transmit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where the elevator car is installed and the tim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카는, 탑승한 사람의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모드설정부에서 방범모드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에서 수집된 사람의 음량정보를 송신받아 데시벨을 판독하여 현재데시벨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현재데시벨정보와 설정된 위험데시벨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음량측정부와, 상기 음량측정부가 활성화된 경우 작동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각각의 움직임블럭을 수신받고, 상기 움직임블럭 각각에 속도벡터를 생성하여 움직임을 판독하는 움직임판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or car further includes a microphone that collects voice information of the person on board, and the control unit is activated when the crime prevention mode is set in the surveillance mode setting unit and collects the person's volum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microphone. A sound level measurement unit that receives the transmitted decibel, stores it as current decibel information,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stored current decibel information with the set risk decibel information; the sound level measurement unit operates when activated; and the motion detection unit detects each movement block. It may further include a motion reading unit that receives and reads the motion by generating a velocity vector for each of the motion block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량측정부에 저장된 현재데시벨정보가 상기 위험데시벨정보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움직임판독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움직임판독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decibel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nd level measurement unit is greater than the dangerous decibel information, 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motion reading unit to activate the motion reading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검출된 움직임블럭 각각이 비정형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속도벡터가 형성된 움직임블럭이 형성된 경우 상기 알림송출부에서 알림메시지를 상기 수사기관용 단말기로 송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위치하는 현재 층 또는 다음 층에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정차시키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도어를 강제로 오픈시킨 후 비상 정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notification transmitting unit to the investigative agency terminal when each of the motion block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is formed atypically and at the same time a motion block with speed vectors pointing in different directions is formed. And, the elevator car is stopped at the current floor or the next floor where the elevator car is located, and the door of the elevator car is forcibly opened and then controlled to make an emergency stop.
또한, 상기 알림송출부의 알림메시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설치된 건물의 위치 및 위험상황발생 시간에 대하여 안내하는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otification message of the notification transmit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where the elevator car is installed and the time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카는, 시각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비상 정차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원격관제부의 관리자 영상을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vator car further includes a display that outputs visual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levator car makes an emergency stop, it transmits an administrator image of the remote control unit to the display in real time.
또한, 상기 원격관제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비상 정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정상 운행하도록 비상정차해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levator car makes an emergency stop, it transmits an emergency stop release signal to the control unit to allow the elevator car to operate normally.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은, 감시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블럭 단위로 나누어 이전 영상과 이후 영상을 비교하여 움직임블럭의 좌표값 및 이동 벡터를 산출하여 탑승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검출부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카에 사람의 승하차 사실을 판단하고, 탑승인원을 감지함으로써 별도의 감지센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설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Th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images captur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into blocks, compares the previous and subsequent images, calculates the coordinate value and movement vector of the movement block, and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erson on board. By determining the fact that people are getting on and off the elevator car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unit and detecting the number of passengers, installation costs can be reduced by not using a separate sensor.
또한, 움직임검출부를 통하여 제공되는 움직임블럭과 이후의 움직임블럭의 크기를 비교하고, 시간정보를 기반으로 응급상황을 판단하는 응급상황판독부를 통하여 비응급상황에서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errors in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from a non-emergency situation can be reduced through an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that compares the size of the motion block provided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unit with the subsequent movement block and determines the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ime information. .
또한, 움직임검출부를 통하여 제공되는 움직임블럭에 속도벡터를 생성하여 탑승한 사람의 움직이는 방향 및 속도를 분석하여 움직임을 판독하는 움직임판독부를 통하여 비위험상황에서 위험상황으로 또는 위험상황에서 비위험상황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 speed vector is generated in the motion block provided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unit, and the motion reading unit analyzes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the person on board to read the movement. Judgment errors can be reduced.
또한,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인원을 판단하여 응급상황감시모드, 방범모드 및 정상운행모드로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감시모드설정부를 통하여 탑승인원 수에 따른 효율적인 감시를 함으로써 신뢰성 높은 감시효과를 이루어내고,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제어하여 탑승한 사람에게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a highly reliable surveillance effect is achieved by efficiently monitor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through a surveillance mode setting unit that determines the number of passengers inside the elevator car and selectively sets it to emergency monitoring mode, crime prevention mode, and normal operation mode. If an emergency or dangerous situation occur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can be controlled and prompt action can be taken to the occupants.
또한, 알림메시지를 송출하는 알림송출부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소방기관 또는 수사기관 각각의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해당 정보를 안내하여 각각의 상황에 대하여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if an emergency or dangerous situation occurs inside the elevator car through the notification transmitter that sends out notification messages, the relevant information is selectively provided to the terminals of each fire department or investigative agency in real time, allowing prompt action for each situation. You ca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타나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 중 움직임검출부를 통하여 응급상황감시모드, 방범모드 및 정상운행모드 각각이 설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불럭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 중 탑승인원이 1명인 경우 감시모드설정부에서 응급상황감시모드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실시예 중 탑승인원이 2명 또는 3명인 경우 감시모드설정부에서 방범모드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6은 도 3의 실시예 중 탑승인원이 4명 이상인 경우 감시모드설정부에서 일반운행모드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 중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1명의 사람이 탑승하여 응급상황감시모드가 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예 중 감시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을 움직임검출부에서 움직임블럭을 검출하여 탑승한 사람의 위치 및 움직임 블럭의 크기를 정보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실시예 중 탑승한 사람이 질병 또는 다른 문제로 인해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쓰러진 경우 움직임검출부에서 움직임블럭을 재설정하여 응급상황판독부에서 판독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 중 엘리베이터카의 내부 상황이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엘리베이터카를 엘리베이터카가 설치된 건물의 1층으로 강제 운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7의 실시예 중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2명의 사람이 탑승하여 방범모드가 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 중 감시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을 움직임검출부에서 움직임블럭을 검출하여 탑승한 사람의 위치 및 움직임블럭의 수를 분석하여 탑승한 인원 수를 분석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실시예 중 탑승한 사람 중 한명이 다른 사람에게 위협을 가하는 동안 움직임검출부에서 실시간으로 움직임블럭의 이동을 분석하고, 음량측정부를 통해 데시벨을 측정하여 움직임판독부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6은 도 13의 실시예 중 탑승한 사람이 위협을 가하는 경우 움직임판독부에서 움직임블럭 내에 속도벡터를 생성하여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실시예 중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엘리베이터카가 비상정차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관리자가 엘리베이터카를 통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8은 도 7의 실시예 중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4명 이상의 사람이 탑승하여 일반운행모드가 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setting each of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mode, crime prevention mode, and normal operation mode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unit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mode in the monitoring mode setting unit when there is only one person on board in the embodiment of Figure 3;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crime prevention mode in the surveillance mode setting unit when there are two or three people on board in the embodiment of Figure 3;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rocess in which the normal operation mode is activated in the monitoring mode setting unit when there are four or more passengers in the embodiment of Figure 3;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mode activated with one person riding inside the elevator car in the embodiment of Figure 7;
Figure 9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detecting a motion block in the video captured by a surveillance camera in the embodiment of Figure 8 and converting the location of the person on board and the size of the motion block into information;
Figure 10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resetting the motion block in the motion detection unit and reading it in the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when a person on board falls inside the elevator car due to illness or other problems in the embodiment of Figure 9;
Figure 11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forcibly operating the elevator car to the first floor of the building where the elevator car is installed when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elevator car is judged to be an emergency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0;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ime prevention mode is activated with two people riding inside the elevator car in the embodiment of Figure 7;
FIG. 13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number of people on board by detecting motion blocks in the video captur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in the embodiment of FIG. 12 and analyzing the positions of the people on board and the number of motion blocks. ego,
14 and 15 show that in the embodiment of FIG. 13, while one of the people on board poses a threat to others, the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is analyzed in real time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and the decibel is measured through the sound measurement unit to activate the motion reading unit. This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Figure 16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a dangerous situation by generating a speed vector within the movement block in the motion reading unit when a person on board poses a threat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3;
Figure 17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in which the elevator car is brought to an emergency stop when it is determined to be a dangerous situation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6 and the manager controls the elevator car through the display;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rmal operation mode is activated with four or more people riding inside the elevator car in the embodiment of FIG. 7.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카(100), 감시카메라(200), 운행부(300), 제어부(400), 원격관제부(500), 알림송출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엘리베이터카(100)는 도어(110), 마이크로폰(120), 디스플레이(130)가 구비되며, 원격관제부(500)는 모니터(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엘리베이터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P)이 탑승 가능하게 개폐되는 도어(110)가 구비되고, 상하로 운행된다. 이때,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는 탑승한 사람(P)이 이동하고자 하는 층수를 선택하는 버튼부(도면부호 미도시)가 구비되고, 버튼부의 입력신호가 후술하는 제어부(400)로 송신되며, 제어부(400)는 후술하는 운행부(20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엘리베이터카(100)를 운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또한, 탑승한 사람의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로폰(120)과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욱이, 마이크로폰(120)을 통하여 탑승한 사람(P)의 소리를 수집하고, 후술하는 원격관제부(500)와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스피커(미도시)가 구비된다. 즉, 여기서 엘리베이터카(100)는 주거용 건물, 상가용 건물 등과 같이 건물의 종류와 무관하게 건물에 설치되어 상하로 운행되는 엘리베이터카(100)을 지칭하고, 종래의 엘리베이터카(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감시카메라(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 감시영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게 된다. 여기서 감시영역이란, 감시카메라(200)가 설치된 위치에서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범위를 지칭하고, 후술하는 원격관제부(500)에서 원격으로 감시카메라(100)를 줌인 또는 줌아웃 하여 감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또한, 감시카메라(200)가 설치되는 방향은 엘리베이터카(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때 감시카메라(200)가 바라보는 방향은 엘리베이터카(100)의 도어(110)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즉, 엘리베이터카(100)의 도어(110)를 통해 승차 또는 하차하는 사람(P)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운행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카(100)를 상하로 운행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고, 엘리베이터카(100)가 설치되는 건물에 설치된다. 이때, 운행부(200)는 엘리베이터카(100)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만드는 동력부(미도시)와 상기 동력부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엘리베이터카(1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운행부(300)의 구성과 동일하며 다만, 후술하는 제어부(400)에 의해 작동된다.As shown in FIG. 1, the
제어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행부(300)에 운행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에 상기 사람(P)의 탑승 및 하차를 감지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인원을 카운트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카(1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엘리베이터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엘리베이터카(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운행부(300)와 연결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원격관제부(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와 네트워크(N)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감시카메라(100)의 촬영 영상을 모니터(12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며, 제어부(400)에 원격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엘리베이터카(1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원격관제부(500)에는 후술하는 알림송출부(600)에 즉각적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비상벨(미도시)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따라서, 원격관제부(500)의 관리자가 모니터(510)를 통해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를 감시하는 중 응급상황이나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비상벨을 통해 즉시 소방기관 또는 수사기관 각각에 선택적으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f an emergency or dangerous situation occurs while the manager of the
알림송출부(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와 네트워크(N)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원격관제부(5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알림메시지(610)로 변환하여 소방기관용 단말기(ET) 또는 수사기관용 단말기(IT) 각각에 선택적으로 송신하여 소방기관 또는 수사기관에 근무하는 소방관 또는 수사관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다. 이때, 알림송출부(600)는 원격관제부(500)에 구비된 서버일 수도 있고, 알림메시지(610)를 송신하는 기관 또는 서버와 원격으로 연결된 버튼일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여기서, 소방기관이란 화재 또는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 화재를 진압하거나 응급환자를 응급조치한 후 의료기관으로 후송하여 조치하는 기관을 지칭하고, 수사기관이란 범죄가 발생한 경우 범죄행위를 행한 사람을 진압 또는 검거하는 기관을 지칭한다.Here, a firefighting agency refers to an agency that extinguishes a fire in the event of a fire or an emergency patient or provides first aid to an emergency patient and transports the patient to a medical institution. In the event of a crime, an investigative agency refers to an agency that suppresses or arrests the person who committed the crime. refers to an institution that
즉, 원격관제부(500)를 통하여 송출되는 알림메시지(610)는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발생한 상황에 따라 다르게 된다. 예컨대,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이 쓰러진 응급상황과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 의해 위협을 받는 위험상황 각각으로 나누어 각각의 상황별로 알림메시지(610)가 송출된다.That is, the
따라서, 제어부(400)는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인원을 판단하고,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발생한 상황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P)을 감지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감시카메라설정부(410), 메모리부(420), 움직임검출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passengers inside the
먼저, 감시카메라설정부(410)는 상기 감시카메라(100)의 감시영역을 설정하여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감시카메라가(100)의 촬영 영상에 촬영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곳이다. 여기서, 감시카메라설정부(410)는 원격관제부(500)에서 원격으로 감시카메라(100)을 설정하는 경우 원격관제부(5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감시카메라(100)를 제어하게 된다.First, the surveillance camera setting unit 410 sets the surveillance area of the
다음으로 메모리부(4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시카메라(100)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감시영역의 영상을 복수의 블럭 단위로 나눈 다음 저장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1, the memory unit 420 divides the image of the surveillance area captured by the
계속하여 움직임검출부(430)는 상기 메모리부(400)에 저장된 영상과 상기 감시카메라(100)가 제공하는 이후의 촬영 영상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감시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블럭을 움직임블럭(431)으로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블럭(431)의 좌표값 및 이동 벡터값을 산출하여 상기 사람의 움직임정보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움직임블럭(431)은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P)을 블럭 형상으로 나타낸 것으로 사람(P)의 신장 및 체형에 따라 크기와 형상이 다르게 표시된다.Subsequently, the
즉, 사람(P)이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하여 감시카메라(100)의 감시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움직임블럭(431)이 검출되어 사람(P)이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위치하는지 알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a person (P) gets on the inside of the
이후,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제공하는 움직임정보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사람(P)의 승하차를 감지하여 탑승인원수를 분석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승하차감지부(440)와 탑승인원감지부(450)를 포함하게 된다.Afterwards, the boarding and alighting of a person (P) inside the
먼저, 승하차감지부(4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 상기 움직임블럭(431)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사람(P)이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 상기 움직임블럭(431)이 사라지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에 탑승한 사람(P)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First, the getting on and off
즉, 승하차감지부(440)는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제공하는 움직임블럭(431)의 생성 유무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카(100)에 사람(P)이 탑승했는지 또는 하차했는지 판단하게 된다.That is, the boarding and
다음으로 탑승인원감지부(4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수신된 상기 움직임블럭(431)을 카운트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P)의 수를 탑승인원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원격관제부(500)에 상기 탑승인원정보를 송신하여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P)의 수를 알려준다.Next, the
즉, 탑승인원감지부(450)는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제공하는 움직임블럭(431)의 수를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P)의 수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움직임블럭(431)은 엘리베이터카(100)의 도어(110)가 열린 후 사람(P)이 탑승하여 감시카메라(100)의 감시영역에 들어오게 된 후 검출되는 움직임블럭(431)으로 복수의 사람(P)이 엘리베이터카(100)에 탑승하게 되어도 감시카메라(100)의 감시영역에 들어오는 순서 및 시간이 각기 다르고, 움직이는 방향 또한 다르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사람(P)의 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number of
여기서,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P)의 수를 판단하는 이유는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를 상황별로 감시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1명의 사람(P)이 엘리베이터카(100)에 탑승한 경우 다른 사람으로부터 위협을 받지 않게 되어 위험상황이 발생하지 않지만, 질병에 의해 쓰러지게 되어 응급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복수의 사람(P)이 엘리베이터카(100)에 탑승한 경우 위험상황이 발생할 확률이 낮고, 응급상황이 발생하게 되어도 탑승한 사람들에 의해 신속한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제어부(400)는 감시모드설정부(460)가 구비된다.Here, the reason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people (P) riding inside the
감시모드설정부(46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인원감지부(450)에 감지된 인원이 1명인 경우 응급상황감시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탑승인원감지부(450)에 감지된 인원이 2명 또는 3명인 경우 방범모드로 설정하며, 4명 이상인 경우 정상운행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를 감시하고,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운행부(30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엘리베이터카(100)의 운행을 제어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urveillance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카(100)가 신호를 받아 도어(110)가 열리게 되면 제어부(400)의 움직임검출부(430)가 활성화되어 움직임블럭(431)을 생성하게 되고, 도어(110)가 닫히게 되면 탑승인원감지부(450)에서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P)의 수를 판단하여 탑승인원정보로 저장하여 감시모드설정부(460)로 송신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이후, 감시모드설정부(460)에서 탑승한 사람(P)의 수에 따라 응급상황감시모드, 방범모드, 일반운행모드 각각을 설정하여 엘리베이터카(100)를 운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monitoring
여기서, 제어부(400)는 감시모드설정부(460)에서 응급상황감시모드로 설정된 경우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P)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했는지 판단하기 위해 시간측정부(470)와 응급상황판독부(471)를 더 포함하게 된다.Here,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mode is set in the monitoring
먼저, 시간측정부(470)는 상기 감시모드설정부(460)에서 응급상황감시모드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의 움직임정보가 수신된 이후 시간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시간정보로 후술하는 응급상황판독부(471)에 송신하게 된다. 즉, 시간측정부(470)는 엘리베이터카(100)에 사람(P)이 탑승하게 되면 움직임블럭(431)이 생성되고, 엘리베이터카(100)를 조작하거나 다른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면 새로운 움직임블럭(431)이 형성되고, 새로운 움직임블럭(431)이 형성된 이후로 다시 시간을 측정하게 된다.First, the time measurement unit 470 is activated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mode is set in the monitoring
다음으로 응급상황판독부(471)는 상기 시간측정부(470)가 활성화된 경우 작동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송신된 움직임블럭(431)을 저장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431)을 저장된 움직임블럭(431)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블럭(431)의 크기 및 이동방향을 분석하며, 상기 시간측정부(470)에서 수신된 시간정보와 설정된 응급상황판단시간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응급상황을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응급상황판단시간정보는 응급상황판독부(471)에 저장된 시간으로 5초 또는 10초 와 같이 초 단위로 설정되고, 시간측정부(470)에서 측정되는 시간과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을 지칭한다.Next, the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471 operates when the time measuring unit 470 is activated, stores the
예컨대, 탑승한 사람(P)이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쓰러지게 되는 경우 처음 엘리베이터카(100)에 탑승하여 형성된 움직임블럭(431)과 쓰러진 후 형성되는 움직임블럭(431)은 형상, 크기,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또한, 사람(P)이 쓰러진 후 의식을 잃게 되면 움직임이 없어지게 되어 움직임검출부(430)에서 검출되는 움직임블럭(431)의 위치가 동일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person on board (P) falls inside the
따라서, 응급상황판독부(471)는 상기 저장된 움직임블럭(431)의 크기와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431)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상기 시간측정부(470)로부터 시간정보를 수신받음과 동시에 상기 저장된 움직임블럭(431)과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431)의 위치를 판독하게 된다.Therefore, the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471 determines the time from the time measurement unit 470 when the size of the stored
이후, 제어부(400)는 상기 시간측정부(470)에서 수신된 시간정보가 상기 응급상황판독부(471)에 설정된 응급상황판단시간정보를 초과하는 동안 상기 응급상황판독부(471)에 저장된 움직임블럭(431)과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431)의 위치가 동일할 경우 상기 알림송출부(600)에서 알림메시지(610)를 상기 소방기관용 단말기(ET)로 송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100)를 상기 엘리베이터카(100)가 설치된 건물의 1층으로 운행시키며, 도어(110)를 강제로 오픈시킨 후 비상 정차되도록 운행부(300)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엘리베이터카(100)를 1층으로 강제 운행시키는 이유는 소방기관에서 엘리베이터카(100)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한 후 응급상황을 신속하게 조치하게 하기 위함이다.Afterwards, the
예컨대, 엘리베이터카(100)가 상부층에 멈춘 후 비상 정차되면 소방기관에서 도착한 후 엘리베이터카(100)가 위치한 층으로 계단을 통해 이동해야 된다. 따라서, 응급상황이 발생한 사람(P)에게 도움을 주기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됨으로 엘리베이터카(100)를 1층으로 강제 운행시킨 후 비상 정차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또한, 이때 알림송출부(600)에서 송출되는 알림메시지(610)는 상기 엘리베이터카(100)가 설치된 건물의 위치 및 응급상황발생 시간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카(100)가 설치된 건물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는 내용이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즉, 응급상황감시모드의 제어과정은 도 4 및 7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사람(P)이 탑승하게 되면 탑승인원감지부(450)에서 탑승인원을 감지하여 탑승인원이 1명일 경우 감시모드설정부(460)에서 응급상황감시모드로 엘리베이터카(100)를 운행하게 된다. 여기서, 응급상황감시모드가 활성화 됨과 동시에 시간측정부(470)가 활성화되어 움직임블럭(431)이 형성된 이후의 시간을 지속적으로 체크하게 된다.That is, the control process of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mode is as shown in FIGS. 4 and 7 to 11, when a person (P) gets on the inside of the
이때, 형성된 움직임블럭(431)이 응급상황판독부(471)에 저장된 응급상환판단시간을 초과하는 동안 유지되면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400)에서 엘리베이터카(100)를 엘리베이터카(100)가 위치하는 층 또는 다음층에 강제로 멈춘 후 엘리베이터카(100)가 설치된 건물의 1층으로 강제 운행시킨게 된다. 또한, 강제 운행시킴과 동시에 원격관제부(500)의 관리자가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응급상황이 발생한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리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formed
원격관제부(500)의 관리자가 응급상황이 발생한 사실을 인지한 후 원격관제부(500)의 모니터(510)를 통해 응급상황을 한번 더 확인한 후 알림송출부(600)에 알림메시지(610)가 소방기관용 단말기(ET)에 송출되도록 조치한다. 이후, 응급상황이 해결되면 원격관제부(500)에서 비상정차해제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게 되고, 제어부(400)는 운행부(30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엘리베이터카(100)가 다시 정상운행되게 된다.After the manager of the
계속하여, 감시모드설정부(460)에서 방범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P)에게 위험상황이 발생했는지 판단하기 위해 음량측정부(480)와 움직임판독부(481)가 더 구비된다.Continuing, when the crime prevention mode is set in the surveillance
음량측정부(480)는 상기 감시모드설정부(460)에서 방범모드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마이크로폰(120)에서 수집된 사람(P)의 음량정보를 송신받아 데시벨을 판독하여 현재데시벨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현재데시벨정보와 설정된 위험데시벨정보를 비교 분석하게 된다.The sound volume measurement unit 480 is activated when the surveillance
즉, 위험한 상황에서 사람(P)이 비명을 지르거나 평소보다 크고 높은 음성을 내는 특성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위험상황이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하지만, 음량정보 즉, 데시벨만으로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 상황을 판단하게 된다면 위험하지 않은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판다하는 오류가 생길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어린 아이가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서 뛰거나 소리를 지르며 장난치는 경우 음량측정부(480)에서는 위험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게 된다.In other words, it is determined whether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inside th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움직임판독부(481)에서 한번 더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 상황을 판단하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motion reading unit 481 determines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움직임판독부(481)는 상기 음량측정부(480)가 활성화된 경우 작동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서 각각의 움직임블럭(431)을 수신받고, 상기 움직임블럭(431) 각각에 속도벡터를 생성하여 움직임을 판독하여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위험상황이 발생했는지 판단하게 된다.The motion reading unit 481 operates when the volume measuring unit 480 is activated, receives each motion block 431 from the
즉, 상기 음량측정부(480)에 저장된 현재데시벨정보가 상기 위험데시벨정보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움직임판독부(481)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움직임판독부(481)를 활성화시켜 움직임판독부(481)에서 속도벡터를 생성하여 위험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decibel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nd volume measurement unit 480 is greater than the dangerous decibel information,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tion reading unit 481 to activate the motion reading unit 481 to read the movement. The unit 481 generates a speed vector to determine whether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여기서, 속도벡터는 감시카메라(100)에 촬영된 영상에 움직임검출부(430)에서 검출된 움직임블럭(431)이 생성된 영상을 서서히 명도를 변화시켜 영상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의 방향과 속도를 나타낸 것으로, 저장된 움직임블럭(431)과 이후의 움직임블럭(431)의 프레임 간 차이에서 발생한 움직임블럭(431)의 이동을 추정하여 움직임이 발생한 블럭과 발생하지 않은 블럭을 구분하여 사람(P)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움직임과 방향을 분석하게 된다.Here, the speed vector indicates the direction and speed of movement that occurs in the image by gradually changing the brightness of the image in which the
이후, 제어부(400)는 상기 움직임검출부(430)에서 검출된 움직임블럭(431) 각각이 비정형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속도벡터가 형성된 움직임블럭(431)이 형성된 경우 상기 알림송출부(600)에서 알림메시지(610)를 상기 수사기관용 단말기(IT)로 송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100)가 위치하는 현재 층 또는 다음 층에 상기 엘리베이터카(100)를 정차시키며, 상기 엘리베이터카(100)의 도어(110)를 강제로 오픈시킨 후 비상 정차되도록 운행부(300)를 제어하게 된다.Thereafter, the
이때,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카(100)가 비상 정차하는 경우 상기 원격관제부(500)의 관리자 영상을 실시간으로 송출하여 범죄자가 감시되고 있는 상황을 인지하게 되어 엘리베이터카(100)로부터 도망치게 함으로서 탑승한 사람(P)이 위험상황으로부터 신속하게 벗어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en the
여기서, 알림송출부(600)에서 송출되는 알림메시지(610)는 상기 엘리베이터카(100)가 설치된 건물의 위치 및 위험상황발생 시간에 대하여 안내하는 내용 뿐만 아니라 감시카메라(100)에 촬영된 범죄자의 영상도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즉, 방범모드의 제어과정은 도 5 및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사람(P)이 탑승하게 되면 탑승인원감지부(450)에서 탑승인원을 감지하여 탑승인원이 2명 또는 3명일 경우 감시모드설정부(460)에서 방범모드로 엘리베이터카(100)를 운행하게 된다. 여기서, 방범모드가 활성화 됨과 동시에 음량측정부(480)가 활성화되어 마이크로폰(120)을 통해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발생하는 소리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게 된다.That is, the control process of the crime prevention mode is as shown in FIGS. 5 and 12 to 17, when a person (P) gets on the inside of the
이때, 발생한 음량의 데시벨정보가 위험데시벨정보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움직임판독부(481)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후, 움직임판독부(481)에서 움직임블럭(431)의 속도벡터를 생성하여 움직임을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가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0)에서 엘리베이터카(100)를 엘리베이터카(100)가 위치하는 현재 층 또는 다음 층에 강제로 멈춘 후 운행을 종료시키게 된다. 또한, 위험상황으로 판단함과 동시에 원격관제부(500)의 관리자가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위험상황이 발생한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리게 된다.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cibel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sound volume is greater than the dangerous decibel information, the motion reading unit 481 is activated. Afterwards, the motion reading unit 481 generates a speed vector of the
원격관제부(500)의 관리자가 위험상황이 발생한 사실을 인지하고, 원격관제부(500)의 모니터(510)를 통해 위험상황을 한번 더 확인한 후 알림송출부(600)에 알림메시지(610)가 수사기관용 단말기(ET)에 송출되도록 조치한다. 이후, 위험상황이 해결되면 원격관제부(500)에서 비상정차해제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게 되고, 제어부(400)는 운행부(30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엘리베이터카(100)가 다시 정상운행되게 된다.The manager of the
마지막으로 감시모드설정부(460)에서 일반운행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도 6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한 사람(P)이 이동하고자 하는 층으로 정상 운행하게 되고, 이때 엘리베이터카(100)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각종 영상이 송출된다. 이때, 송출되는 영상은 이미지나 움직이는 캐릭터를 통하여 인사를 하고, 이동할 층수를 물어볼 수도 있고, 엘리베이터카(100)가 설치된 건물의 공지사항을 문자로 출력하거나 각종 이벤트정보를 탑승한 사람(P)이 보기 편하도록 문자와 이미지를 포함한 영상일 수도 있다.Finally, when the normal operation mode is set in the monitoring
이후, 엘리베이터카(100)가 이동할 층에 도착하여 탑승한 사람(P)이 하차하게 되면 운행이 종료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stat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rov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P : 사람
N : 네트워크
ET : 소방기관용 단말기
IT : 수사기관용 단말기
100 : 엘리베이터카 110 : 도어
120 : 마이크로폰 130 : 디스플레이
200 : 감시카메라
300 : 운행부
400 : 제어부 410 : 감시카메라설정부
420 : 메모리부 430 : 움직임검출부
431 : 움직임블럭 440 : 승하차감지부
450 : 탑승인원감지부 460 : 감시모드설정부
470 : 시간측정부 471 : 응급상황판독부
480 : 음량측정부 481 : 움직임판독부
500 : 원격관제부 510 : 모니터
600 : 알림송출부 610 : 알림메시지 P: person
N: network
ET: Terminal for fire engines
IT: Terminal for investigative agencies
100: elevator car 110: door
120: Microphone 130: Display
200: surveillance camera
300: Operation department
400: Control unit 410: Surveillance camera setting unit
420: memory unit 430: motion detection unit
431: Movement block 440: Boarding and disembarking detection unit
450: Passenger detection unit 460: Surveillance mode setting unit
470: Time measurement unit 471: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480: Volume measurement unit 481: Movement reading unit
500: remote control unit 510: monitor
600: Notification transmission unit 610: Notification message
Claims (13)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감시영역을 설정하는 감시카메라설정부와,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감시영역의 영상을 복수의 블럭 단위로 나눈 다음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과 상기 감시카메라가 제공하는 이후의 촬영 영상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감시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블럭을 움직임블럭으로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블럭의 좌표값 및 이동 벡터값을 산출하여 상기 사람의 움직임정보로 출력하는 움직임검출부와, 상기 움직임검출부에 상기 움직임블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사람이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에 상기 움직임블럭이 사라지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탑승한 사람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승하차감지부와,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수신된 상기 움직임블럭을 카운트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에 탑승한 사람의 수를 탑승인원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원격관제부에 상기 탑승인원정보를 송신하는 탑승인원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인원감지부에 감지된 인원이 1명인 경우 응급상황감시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탑승인원감지부에 감지된 인원이 2명 또는 3명인 경우 방범모드로 설정하며, 4명 이상인 경우 정상운행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를 감시하고, 응급상황 또는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운행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감시모드설정부와,
상기 감시모드설정부에서 응급상황감시모드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의 움직임정보가 수신된 이후 시간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시간정보로 송신하는 시간측정부와,
상기 시간측정부가 활성화된 경우 작동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송신된 움직임블럭을 저장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을 저장된 움직임블럭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블럭의 크기 및 이동방향을 분석하며, 상기 시간측정부에서 수신된 시간정보와 설정된 응급상황판단시간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응급상황판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급상황판독부는,
상기 저장된 움직임블럭의 크기와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상기 시간측정부로부터 시간정보를 수신받음과 동시에 상기 저장된 움직임블럭과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의 위치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측정부에서 수신된 시간정보가 상기 응급상황판독부에 설정된 응급상황판단시간정보를 초과하는 동안 상기 응급상황판독부에 저장된 움직임블럭과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제공하는 이후의 움직임블럭의 위치가 동일할 경우 상기 알림송출부에서 알림메시지를 상기 소방기관용 단말기로 송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설치된 건물의 1층으로 운행시키며, 도어를 강제로 오픈시킨 후 비상 정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알림송출부의 알림메시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설치된 건물의 위치 및 응급상황발생 시간에 대하여 안내하는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An elevator car equipped with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o allow people to board, moves up and down, a surveillance camera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to film the internal surveillance area of the elevator car in real time, and power to move the elevator car up and down. an operating unit that provides an operating unit,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operating unit, detects boarding and disembarking of the person in the elevator car, and counts the number of passengers inside the elevator car; A remote control unit that is connected to a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nd monitors images taken by the surveillance camera in real time through a monitor,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a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receives data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It includes a notification transmission unit that converts a notification message into a notification message and selectively transmits it to a terminal for a fire department or a terminal for an investigative agency,
The control unit,
A surveillance camera setting unit that sets a surveillance area of the surveillance camera, a memory unit that divides and stores images of the surveillance area captur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into a plurality of blocks, and an image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the surveillance camera. By comparing the subsequent captured images provided by each, a block moving in a relatively different direction or at a different speed in the surveillance area is judged to be a moving block, and the coordinate value and movement vector value of the moving block a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person's a motion detection unit that outputs motion information; if the motion block is detected in the motion detection unit, it is determined that a person is inside the elevator car; and if the motion block disappears in the motion detection unit, a person is boarded in the elevator car. A boarding and disembarking detec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a person has gotten off, a motion detection unit counts the motion blocks received and stores the number of people boarding the elevator car as passenger information, and the remote control unit stores the boarding information. It includes a passenger detection unit that transmits personnel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If there is 1 person detected by the occupancy detection unit, set to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mode. If there are 2 or 3 people detected by the occupancy detection unit, set to crime prevention mode. If there are 4 or more people, normal operation mode is set. a monitoring mode setting unit that monitors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car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operating unit when an emergency or dangerous situation occurs;
A time measurement unit that is activated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mode is set in the monitoring mode setting unit and measures the time after motion information from the motion detection unit is received and transmits the time information in real time;
The time measurement unit operates when activated, stores the motion block transmitted from the motion detection unit, and analyzes the size and movement direction of the motion block by comparing each subsequent motion block provid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with the stored motion block. And further comprising an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that compares and analyzes the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ime measurement unit and the set emergency situation judgment time information,
The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If the size of the stored motion block and the size of the subsequent motion block provid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are different, tim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ime measuring unit and at the same time, the size of the stored motion block and the subsequent motion block provid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are changed. read the location,
The control unit,
While the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ime measuring unit exceeds the emergency situation judgment time information set in the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the positions of the motion block stored in the emergency situation reading unit and the subsequent motion block provid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are the same. In this case, the notification transmission unit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fire engine terminal, operates the elevator car to the first floor of the building where the elevator car is installed, forces the door to open, and controls it to make an emergency stop,
The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notification transmitter is,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where the elevator car is installed and the time of an emergency situation.
상기 엘리베이터카는,
탑승한 사람의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모드설정부에서 방범모드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에서 수집된 사람의 음량정보를 송신받아 데시벨을 판독하여 현재데시벨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현재데시벨정보와 설정된 위험데시벨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음량측정부와,
상기 음량측정부가 활성화된 경우 작동되고,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각각의 움직임블럭을 수신받고, 상기 움직임블럭 각각에 속도벡터를 생성하여 움직임을 판독하는 움직임판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levator car,
It further includes a microphone that collects voice information of the person on board,
The control unit,
It is activated when the crime prevention mode is set in the surveillance mode setting unit, receives the person's volum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microphone, reads the decibel, stores it as current decibel information,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stored current decibel information and the set risk decibel information. A sound level measuring unit,
An emergency situation for an elevator, which operates when the sound volume measurement unit is activated, and further includes a motion reading unit that receives each motion block from the motion detection unit, generates a velocity vector for each of the motion blocks, and reads the movement. Surveillance system.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량측정부에 저장된 현재데시벨정보가 상기 위험데시벨정보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움직임판독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움직임판독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8,
The control unit,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urrent decibel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nd level measuring unit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the dangerous decibel information, a control signal is sent to the motion reading unit to activate the motion read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검출부에서 검출된 움직임블럭 각각이 비정형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속도벡터가 형성된 움직임블럭이 형성된 경우 상기 알림송출부에서 알림메시지를 상기 수사기관용 단말기로 송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위치하는 현재 층 또는 다음 층에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정차시키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도어를 강제로 오픈시킨 후 비상 정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control unit,
If each of the motion block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is formed atypically and at the same time motion blocks with speed vectors pointing in different directions are formed, the notification transmission unit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investigative agency terminal, and the elevator car is located at the location.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stops the elevator car at the current floor or the next floor, forces the door of the elevator car to open, and then controls it to make an emergency stop.
상기 알림송출부의 알림메시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설치된 건물의 위치 및 위험상황발생 시간에 대하여 안내하는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0,
The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notification transmitter is,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guidance on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where the elevator car is installed and the time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상기 엘리베이터카는,
시각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비상 정차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원격관제부의 관리자 영상을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0,
The elevator car,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on which visual information is output,
The control unit,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levator car makes an emergency stop, an image of the manager of the remote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in real time.
상기 원격관제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비상 정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정상 운행하도록 비상정차해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응급상황 감시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or 10,
The remote control unit,
An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levator car makes an emergency stop, an emergency stop releas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o allow the elevator car to operate normal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0569A KR102672144B1 (en) | 2023-02-16 | 2023-02-16 | Emergency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0569A KR102672144B1 (en) | 2023-02-16 | 2023-02-16 | Emergency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2144B1 true KR102672144B1 (en) | 2024-06-03 |
Family
ID=9149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20569A Active KR102672144B1 (en) | 2023-02-16 | 2023-02-16 | Emergency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2144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15083A (en) * | 2011-08-02 | 2013-02-13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Elevator crime prv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WO2017104071A1 (en) * | 2015-12-18 | 2017-06-22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control device |
KR20190044776A (en) * | 2017-10-23 | 2019-05-02 | 서종민 | Event sending system for elevators |
-
2023
- 2023-02-16 KR KR1020230020569A patent/KR10267214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15083A (en) * | 2011-08-02 | 2013-02-13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Elevator crime prv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WO2017104071A1 (en) * | 2015-12-18 | 2017-06-22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control device |
KR20190044776A (en) * | 2017-10-23 | 2019-05-02 | 서종민 | Event sending system for elevato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610202B1 (en) | Monitor control device for elevator | |
JP5218415B2 (en) | Elevator security system | |
JP2011236036A (en) | Reporting system for abnormality in elevator cage | |
CN100519385C (en) | Elevator alarming device | |
JP6483214B1 (en) |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lost child detection method | |
CN114728758B (en) | Elevator control system and elevator control method | |
KR101063779B1 (en) | Security operation system of elevator and its control method | |
JP2012184080A (en) | Elevator | |
KR20120084959A (en) | Elevator sy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2662872B1 (en) | IoT TERMINAL AND SYSTEM OF MONITORING ABNORMAL EVENT OCCURRENCE IN THE ELEVATOR | |
KR101238788B1 (en) | Elevator crime prv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1025531B1 (en) | Internal abnormality detection and alarm of elevator | |
US12260719B2 (en) |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 |
KR102672144B1 (en) | Emergency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s | |
KR102000354B1 (en) | Event sending system for elevators | |
KR101509223B1 (en) | Security system with an auto capturing for monitoring screen and method of the same | |
KR20170133595A (en) |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elevator car layer by the sensor value | |
KR20170126821A (en) | Sensor-based Intelligent Emergency Call Client Device | |
KR20160125763A (en) | Security and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for elevator | |
KR101737558B1 (en) | System for monitoring elevator | |
JP2012153452A (en) | Crime-prevention system | |
KR20070111741A (en) | Elevator passenger trapping detection system | |
KR20240163277A (en) | Elevator Advertising System for Emergency Action | |
KR101200592B1 (en) | Elevator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JP2016113238A (en) |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2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