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7053B1 -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tainment device linkage system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tainment device linkag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053B1
KR102277053B1 KR1020210045504A KR20210045504A KR102277053B1 KR 102277053 B1 KR102277053 B1 KR 102277053B1 KR 1020210045504 A KR1020210045504 A KR 1020210045504A KR 20210045504 A KR20210045504 A KR 20210045504A KR 102277053 B1 KR102277053 B1 KR 102277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formation
infotainment device
vehicle
ser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5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훈
김성준
엄철용
윤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프투디지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프투디지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프투디지털
Priority to KR1020210045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0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05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이동 단말기; 차량에 구비된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연동시키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an infotainment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or the infotainment devic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infotainment device, 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tainment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It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n infotainment device interworking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 cloud server for interworking with the infotainment device.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연동 시스템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tainment device linkage system}{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tainment device linkage system}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연동시켜 사용자가 이용 중인 콘텐츠를 이종 기기간 끊김 없이 실시간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n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interwork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nd a vehicle infotainment device to link a mobile terminal that can provide content being used by a user as a real-time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It relates to a terminal and a vehicle infotainment device interworking system.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n-Veicle-Information)란 자동차에 IT 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차량 내에서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특히, 차량 내 내비게이션, 오디오와 비디오, 그리고 인터넷의 결합을 넘어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의 대중화, 정보 기술(IT)의 발달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의 기술 수준과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In-Veicle-Information refers to a device that incorporates IT technology into a vehicle and implements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functions within the vehicle. In particular, beyond the combination of in-vehicle navigation, audio and video, and the Internet, the technology level and market of in-vehicle infotainment is growing due to the recent popularization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이러한 차량에 구비되는 종래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WiFi(2.4GHz, 5GHz)를 이용하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며, 이러한 경우 ISM Band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에 따라 무선 간섭 및 코덱을 이용한 압축 데이터에 대한 변/복조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수 Gbps 수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속도 구현이 어려워 미러링 영상이 끊기거나, 미러링 사운드에 딜레이 현상이 발생되거나, 아예 연결이 끊기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새로운 무선 인터페이스 연결 및 제어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 conventional infotainment system provided in such a vehicle generally uses WiFi (2.4GHz, 5GHz) to wirelessly connect the in-vehicle infotainment system to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nd in this case, radio interference and A modulation/demodulation technique for compressed data using a codec should be us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speed of several Gbps level, so that the mirroring image is cut off, a delay phenomenon occurs in the mirroring sound, or the connection is cut off. Therefore, a new wireless interface connection and control technology is required.

또한, 종래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사용자 스마트폰의 화면을 재구성 또는 미러링하여 보여주는 것에 불과하며, 사용자가 차량 밖에서 사용하던 서비스를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받기 위해서는 시스템 연결 및 재구성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nfotainment system merely reconfigures or mirrors the screen of the user's smartphone and displays i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system connection and reconfiguration are required in order to receive the in-vehicle infotainment system of the service used by the user outside the vehicle.

또한, 운전자의 개인 설정 정보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반영되지 않거나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며, 운전자의 스마트폰에서 수행하던 정보들이 차량내 시스템에 연동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어왔다.In addition, there has been a limitation that the driver's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s not reflected in the infotainment system or must be manually set, and that information performed on the driver's smartphone is not linked to the in-vehicle system.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a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1368966호Korean Patent No. 10-1368966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게 되면 기존에 이동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받던 기능을 추가적인 조작없이 차량내 시스템에서 부드럽고 연속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운전자에 따라 각 개인에 따른 설정들이 차량 탑승과 동시에 자동으로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연동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a user boards a vehicle, functions that have been previously serviced through a mobile terminal can be smoothly and continuously linked in an in-vehicle system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and settings according to each individual can be set according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It provides a mobile terminal that is automatically configured at the time of boarding and a vehicle infotainment device interlocking system.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연동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이동 단말기; 차량에 구비된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연동시키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and a vehicle infotainment device interworking system, comprising: a mobile terminal carried by a user; an infotainment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or the infotainment devic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infotainment device, 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tainment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It includes a cloud server that links the infotainment device.

상기 이동 단말기는,The mobile terminal,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 각각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인포테인먼트 간 이격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이상 이격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수집되거나 발생되는 제1 정보목록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소정 시간 간격마다 전송하여 제1 정보목록을 업데이트하고,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fotainment device is separated by more than a preset reference distance by col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fotainment device, the first information list collected or genera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 first information list is updated by transmitting it to the cloud serve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상기 이동 단말기는,The mobile terminal,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인포테인먼트 간 이격거리가 상기 기준거리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기준거리 이내로 진입한 시점까지 발생되는 상기 제1 정보목록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즉시 전송하면서,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차량에 전송하고,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fotainmen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the first information list generated up to the time of entering within the reference distance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so that the infotainment device can be driven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vehicle,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된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는,The infotainment device driven by the control signal,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정보목록을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활성화된 서비스를 실시간 동기화가 요구되는 서비스와 실시간 동기화가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되,By analyzing the first information list received from the cloud server, the service activa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is classified into any one of a service requiring real-time synchronization and a service not requiring real-time synchronization,

실시간 동기화가 요구되는 서비스는 실시간 동기화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에서 제공 중이던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하고, 실시간 동기화가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최종 상태에 따른 정보를 전달받아 업데이트하고,Services requiring real-time synchronization continuously provide the service being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through real-time synchronization, and services that do not require real-time synchronization receive and upd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inal state received from the cloud server,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는,The infotainment device is

상기 이동 단말기가 차량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통해 수집되거나 발생되는 제2 정보목록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소정 시간 간격마다 전송하여 제2 정보목록을 업데이트하고,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a second information list collected or generated through the infotainment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o update the second information list,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는,The infotainment device is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확인되면, 주차가 확인된 시점까지 발생되는 상기 제2 정보목록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즉시 전송하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서비스 전환 요청을 위한 요청신호를 전송하고,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is parked, while immediately transmitting the second information list generated until the time when the parking is confirmed to the cloud server,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 service chang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요청신호를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정보목록을 분석하여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통해 활성화된 서비스를 실시간 동기화가 요구되는 서비스와 실시간 동기화가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되,By analyzing the second information list received from the cloud server, the service activated through the infotainment device is classified into any one of a service requiring real-time synchronization and a service not requiring real-time synchronization,

실시간 동기화가 요구되는 서비스는 실시간 동기화를 통해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에서 제공 중이던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하고, 실시간 동기화가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최종 상태에 따른 정보를 전달받아 업데이트한다.A service requiring real-time synchronization continuously provides the service being provided by the infotainment device through real-time synchronization, and a service that does not require real-time synchronization receives and update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inal state received from the cloud server.

상기 제1 정보목록은,The first information list,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종류 및 설정 정보,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한 결제 정보, 사용자 개인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Including application type and setting inform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 information currently used in the mobile terminal, payment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user persona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fotainment device,

상기 제2 정보목록은,The second information list,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통한 결제 정보, 차량의 위치정보, 차량의 운행설정 정보,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 및 상기 차량의 운행설정 정보와 관련된 인포테인먼트 장치 정보 및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오디오 및 비디오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Application information currently used in the infotainment device, payment information through the infotainment devic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vehicle operation setting information,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vehicle operation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infotainment device information and infotainment device information Contains user setting information for audio and video.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게 되면 기존에 이동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받던 기능을 추가적인 조작없이 차량내 시스템에서 연속적으로 연동시키거나,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하게 되면 기존에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통해 서비스 받던 기능을 추가적인 조작없이 이동 단말기에서 연속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a user gets into a vehicle, functions previously received through a mobile terminal are continuously linked in the in-vehicle system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or when the user gets off the vehicle, the existing infotainment system Functions that have been serviced through the device can be continuously interlocked in the mobile terminal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또한, 차량의 운전자에 따라 각 개인에 따른 설정들이 차량 탑승과 동시에 자동으로 구성되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settings for each individual are automatically configured as soon as the vehicle is board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infotainment system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연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가 차량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가 차량 근처로 접근한 경우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가 차량 내부에 있는 경우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하는 경우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n infotainment device interwork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ata processing method when a user is far away from a vehicl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ata processing method when a user approaches a vehicle near the vehicl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ata processing method when a user is inside a vehicl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ata processing method when a user gets out of a vehicle.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23]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연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n infotainment device interwork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연동 시스템(1000)은 이동 단말기(100), 인포테인먼트 장치(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mobile terminal and the vehicle infotainment device interwork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infotainment device 200 , and the cloud server 300 .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전자장치로, 휴대가 가능하며 외부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하고, 정보를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등과 같은 장비일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s an electronic device carried by a user, and may be 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wearable device, etc. that is portable,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capable of process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 내에서 정보 및 엔터테이먼트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이다.The infotainment device 200 is a device provided inside a vehicle to implement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functions in the vehicle.

클라우드 서버(300)는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하는 서버로, 통신망에 의해 연결된 저장 공간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공유하고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단말기에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The cloud server 300 is a server that provides a cloud environment, and is a system in which a user can share desired information through a storage space connected by a communication network and use the information in a desired terminal anytime, anywher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연동 시스템(1000)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가 보호된 클라우드 서버로 실시간 동기화 되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할 때 차량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차량으로 돌아올 때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차량과 가까워지면 클라우드 서버에 실시간 동기화된 정보를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에 전달하도록 요청한다.The mobile terminal and the vehicle infotainment device interworking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ynchronized in real time with a cloud server in which user information used in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is protected, and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is When getting off the vehicle, the vehicle's location information is checked and when returning to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closer to a certain level or higher, the cloud server requests real-time synchronize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200 .

또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은 차량과 근거리에 접근하면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를 가동하도록 차량에 직접 요청할 수 있으며,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은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서로부터 사용자 설정 요청을 전달받아 시스템을 사용자에 맞게 구성하도록 준비한다.In addition,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may directly request the vehicle to operate the vehicle's infotainment device 200 when it approaches the vehicle in close proximity, and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200 is a cloud in which the user's user information is stored. Prepares to configure the system according to the user by receiving the user setting request from the server.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100) 및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아래와 같은 정보를 전송한다.To this end,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nfotainment device 200 transmit the following information.

이동 단말기(100)에서 인포테인먼트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는 정보는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구성 및 설정 정보,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결제에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개인 설정 정보, 차량의 운행과 관련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 정보, 차량의 최종 주차위치 정보, 그 외 인포테인먼트 장치(200)과의 연동에 필요한 모든 정보(볼륨, 재생구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 단말기(100)에서 인포테인먼트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는 정보들을 제1 정보목록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infotainment device 200 or the cloud server 300 includes application configuration and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 mobile terminal 100 , information on applications currently used in the user mobile terminal 100 , and payment User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used in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may b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final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other information necessary for interworking with the infotainment device 200 ( volume, playback period, etc.).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infotainment device 200 or the cloud server 300 will be defined as a first information list.

또한,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에서 이동 단말기(1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는 정보는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에서 사용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을 통해 결제가 실행된 경우의 정보, 차량의 운행 설정, 위치정보 및 그 기록과 관련된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의 정보,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의 오디오 및 비디오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에서 사용되고 있던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정보, 그 외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과의 연동에 필요한 모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에서 이동 단말기(1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는 정보들을 제2 정보목록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fotainment device 200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cloud server 300 is information of applications used in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200 and payment is executed through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200 . information in the case of information, driving settings of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f the infotainment device 200 related to the record, user setting information for audio and video of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200, in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200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being used and all information necessary for interworking with the user mobile terminal 100 may be includ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fotainment device 200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cloud server 300 will be defined as a second information list.

이때,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연동 시스템(1000)은 클라우드 서버(300)가 이동 단말기(100) 또는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관리하고,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로 전송하거나,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연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vehicle infotainment device interworking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 server 300 manag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infotainment device 200, and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infotainment device 200 o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tainment device 200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o link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infotainment device.

이와 관련하여, 도 2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together.

먼저, 도 2는 사용자가 차량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rst,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ata processing method when a user is far away from a vehicle.

사용자가 차량에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곳에서 활동을 할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정보목록을 일정 간격 또는 필요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300)로 업데이트하고 향후 사용자가 차량에 근접하여 탑승할 것이 예상되는 시점까지 이러한 활동을 지속한다. 즉, 사용자가 차량에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경우 이동 단말기(100)와 인포테인먼트 장치(200) 간의 연동 서비스는 수행되지 않는다.When the user performs an activity at a place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vehicle,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updates the first information list to the cloud server 300 at regular intervals or as needed, and the user can get in close proximity to the vehicle in the future. Continue these activities until the expected time. That is, when the user is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vehicle, the interworking servi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nfotainment device 200 is not performed.

도 3은 사용자가 차량 근처로 접근한 경우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ata processing method when a user approaches a vehicle near the vehicle.

사용자가 차량 쪽으로 접근하여 승차할 경우 스트리밍 서비스를 포함한 모든 기능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차량내에 탑재된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로 전환되어 제공된다.When the user approaches the vehicle and rides, all functions including the streaming service are provided by being converted from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to the infotainment device 200 mounted in the vehicle.

차량 외부에서 사용되던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차량의 근처에 접근하고 있음을 GPS 및 여러 통신 등의 수단이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인지하고 차량 탑승에 대한 준비를 진행한다.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used outside the vehicle recognizes that it is approaching the vehicle stored in advan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GPS and various communication means, and prepares for boarding the vehicle. .

예컨대,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와 인포테인먼트 장치(또는 차량) 각각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인포테인먼트 간 이격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이상 이격된 것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전환을 준비한다.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0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nfotainment device (or vehicle),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fotainment is separated by more than a preset reference distance, service conversion is performed Prepare.

이때 실시간 제공이 중요한 서비스인 방송, 스트리밍 서비스 등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으로 전환될 때 시간적 지연을 없애거나 최소화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정보에 끊김이나 지연이 없도록 한다.At this time, broadcasting, streaming services, etc., which are services for which real-time provision is important, eliminate or minimize the time delay when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is switched to the infotainment device 200 so that there is no interruption or delay in the information delivered to the user.

이러한 끊김 없는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이 차량에 근접하게 되면 현재까지의 모든 사용자 정보(제1 정보목록)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달하고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장치(200)가 이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전환을 완료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서버 또는 직접 연결을 통해 요청한다.In order to provide such seamless real-time service, when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approaches the vehicle, all user information (the first information list) up to now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and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200 sends this information to complete the service transition using the cloud server or direct connection.

서비스 전환을 요청받은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은 사용자의 차량 탑승 후 최우선으로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동기화를 통해 사용자가 차량 외부에서 사용하던 라디오, 스트리밍 오디오 또는 스트리밍 비디오 등의 실시간 서비스를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에서 제공하기 시작한다.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200, which has been requested to switch services, provides a real-time service such as radio, streaming audio, or streaming video that the user used outside the vehicle through synchronization of the real-time service with the highest priority after boarding the vehicle. (200) begins to provide.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차량의 외부에서 차량의 내부로 이동할 때에도 최상의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is configuration serves to provide the best quality of service even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실시간 제공이 중요하지 않은 서비스의 경우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은 서비스 전환 요청을 받은 후 클라우드 서버 또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으로부터 최종 상태에 따른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장치(200) 내에 업데이트하고 정보를 갱신한다.In the case of a service in which real-time provision is not important,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200 receives the service change request and then receive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inal state from the cloud server or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and transmits it to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200 Update and update information within.

이때 클라우드 서버 또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으로부터 인포테인먼트 장치(200)가 전송 받아야 할 정보는 제1 정보목록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by the infotainment device 200 from the cloud server or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the first information list.

도 4는 사용자가 차량 내부에 있는 경우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ata processing method when a user is inside a vehicle.

사용자가 차량내에 있을 경우 스트리밍 서비스를 포함한 모든 기능은 차량내에 탑재된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을 통해 제공된다.When the user is in the vehicle, all functions including the streaming service are provided through the infotainment device 200 mounted in the vehicle.

차량이 외부 통신모듈을 탑재한 경우 차량에 존재하는 외부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위치와 스트리밍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When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module, it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module existing in the vehicle to transmit and receive the vehicle's location and streaming data.

이때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은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들에 대한 재생 및 구성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와 연관된 모든 정보를 일정한 주기로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동기화를 진행한다.At this time, the infotainment device 200 of the vehicle transmits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including reproduction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services currently used by the user, to the cloud server at a regular period to perform synchronization.

차량이 외부 통신모듈을 탑재하지 않은 경우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을 통해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위치와 스트리밍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When the vehicle is not equipped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module, it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to transmit and receive the location of the vehicle and streaming data.

이때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은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들에 대한 재생 및 구성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와 연관된 모든 정보를 일정한 주기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동기화를 진행한다.At this time, the infotainment device 200 of the vehicle transmits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including playback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the services currently used by the user, to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at regular intervals to perform synchronization. do.

이때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장치(200)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간의 연결은 종래에 사용되는 USB, Bluetooth, WiFi 및 연결이 가능한 모든 통신 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200 and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may utilize conventionally used USB, Bluetooth, WiFi, and all possible communication means.

도 5는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하는 경우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ata processing method when a user gets out of a vehicle.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할 경우 스트리밍 서비스를 포함한 모든 기능은 차량내에 탑재된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에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으로 전환되어 제공된다.When the user gets out of the vehicle, all functions including the streaming service are provided by being converted from the infotainment device 200 mounted in the vehicle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

이때 실시간 제공이 중요한 서비스인 방송, 스트리밍 서비스 등은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에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으로 전환될 때 시간적 지연을 없애거나 최소화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정보에 끊김이나 지연이 없도록 한다.In this case, broadcasting and streaming services, which are services for which real-time provision is important, eliminate or minimize a time delay when the infotainment device 200 is switched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so that there is no interruption or delay in the information delivered to the user.

이러한 끊김 없는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이 차량이 정차하고 사용자가 주차를 완료하면 (ex. 차량의 기어가 P로 전환되면) 현재까지의 모든 사용자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이 이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전환을 완료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서버 또는 직접 연결을 통해 요청한다.In order to provide such a seamless real-time service,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200 transmits all user information up to now to the cloud server when the vehicle stops and the user completes parking (eg, when the vehicle's gear is switched to P). and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makes a request through a cloud server or a direct connection so that the service conversion can be completed using this information.

서비스 전환을 요청받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은 최우선으로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동기화를 통해 사용자가 차량내에서 사용하던 라디오, 스트리밍 오디오 또는 스트리밍 비디오 등의 실시간 서비스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하기 시작한다.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who has been requested to switch services, provides a real-time service such as radio, streaming audio or streaming video used in the vehicle by the user in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through synchronization of the real-time service with the highest priority. start to do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차량의 외부로 이동할 때에도 최상의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is configuration serves to provide the best quality of service even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inside of the vehicl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실시간 제공이 중요하지 않은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은 서비스 전환 요청을 받은 후 클라우드 서버 또는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으로부터 최종 상태에 따른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이동 단말기(100) 내에 업데이트하고 정보를 갱신한다.In the case of a service for which real-time provision is not important,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the service change request and then receive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inal state from the cloud server or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200 and updates it in the mobile terminal 100 . and update the information.

이때 이동 단말기(100)가 클라우드 서버 또는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으로부터 전송받아야 할 정보는 제2 정보목록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information to be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cloud server or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200 includes the second information list.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제1 정보목록 및 인포테인먼트 장치(200)에서 전송되는 제2 정보목록은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first information lis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second information list transmitted from the infotainment device 200 are encrypted and transmitted.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0) 및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대칭키(symmetric-key) 암호화 방법을 통해 제1 정보목록 또는 제2 정보목록을 암호화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nfotainment apparatus 200 may encrypt the first information list or the second information list through a symmetric-key encryption method.

이때, 대칭키는 이동 단말기(100)가 제1 정보목록을 전송하는 시점에서의 자신의 위치정보를 위도와 경도 값으로 변환하고, 위도와 경도값을 변환된 위치정보를 대칭키로 설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ymmetric key may convert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into latitude and longitude values at the 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first information list, and set the conver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values as a symmetric key.

예컨대, 이동 단말기(100)는 미리 정해진 암호화 규칙에 따라 제1 정보목록을 구성하는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한 후, 소정 길이의 숫자열로 분할한다. 즉, 제1 정보목록이 암호화 규칙에 따라 243546723431와 같은 숫자열로 변환된 경우, 이 숫자열을 2435, 4672, 3431로 분할한다.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0 converts a character string constituting the first information list into a numb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ncryption rule, and then divides the string into a number string of a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when the first information list is converted into a numeric sequence such as 243546723431 according to the encryption rule, the numeric sequence is divided into 2435, 4672, and 3431.

이후, 분할된 각각의 숫자열에 위도와 경도값을 나타내는 대칭키를 연산(덧셈 또는 곱셈)하여 암호화된 제1 정보목록을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reafter, the encrypted first information list may be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300 by calculating (adding or multiplying) a symmetric key representing latitude and longitude values in each of the divided numeric strings.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생성된 대칭키를 저장하고 있다가, 이동 단말기(100)와 차량이 기준거리 이상 근접한 경우 USB, Bluetooth, WiFi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로 직접 전송한다.Thereafter, the mobile terminal 100 stores the generated symmetric key,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are clos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the mobile terminal 1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fotainment device 200 us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USB, Bluetooth, WiFi, etc. send.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도 상술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2 정보목록을 암호화할 수 있다.The infotainment device 200 may also encrypt the second information list using the above-described encryption algorithm.

따라서, 외부 사용자는 위도와 경도값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대칭키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어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기 어려우며, 이 대칭키는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한 후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로 직접 전송하기 때문에 대칭키의 유출이 불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external user cannot know the information about the symmetric key that is chang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values, so it is difficult to decrypt the encrypted information, and the symmetric key is the infotainment device 200 of the vehicle after the user approaches the vehicle. Since it is transmitted directly to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0) 및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비대칭 암호화 방법을 통해 제1 정보목록 또는 제2 정보목록을 암호화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nfotainment device 200 may encrypt the first information list or the second information list through an asymmetric encryption method.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100) 및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수학적으로 연결된 공개 키와 개인 키를 생성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nfotainment device 200 may generate a public key and a private key that are mathematically connected.

예컨대,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에 개인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차량이 주차된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위도와 경도 값으로 변환하고, 위도값과 가장 가까운 제1 소수와 경도값가 가장 가까운 제2 소수를 개인 키로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fotainment device 200 may generate a private key at a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gets out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infotainment device 200 may convert the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into latitude and longitude values, and generate a first decimal number closest to the latitude value and a second decimal number closest to the longitude value as the private key.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생성된 두 개의 개인 키를 이용하여 공개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키-공개 키 생성 방법은 RSA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것으로, RSA 암호화 알고리즘은 널리 공개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공개 키 생성 과정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infotainment device 200 may generate a public key by using the two generated private keys. This private key-public key generation method uses the RSA encryption algorithm, and since the RSA encryption algorithm is a widely publicized technology, a detailed public key generation process will be omitted.

이러한 경우,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생성된 공개 키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정보목록을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할 때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공개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fotainment device 200 transmits the generated public key to the mobile terminal 100 ,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first information list to the cloud server 300 , the It can be encrypted using the public key.

이후, 이동 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다시 탑승하는 경우, 인포테인먼트 장치(200)는 미리 생성된 개인 키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제1 정보목록을 복호화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ser carrying the mobile terminal 100 gets back into the vehicle, the infotainment device 200 decrypts the encrypted first information list received from the cloud server 300 using the pre-generated private key. can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will be able

1000: 이동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연동 시스템
100: 이동 단말기
200: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300: 클라우드 서버
1000: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tainment device interworking system
100: mobile terminal
200: vehicle infotainment device
300: cloud server

Claims (3)

사용자가 소지하는 이동 단말기;
차량에 구비된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연동시키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 각각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인포테인먼트 간 이격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 이상 이격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수집되거나 발생되는 제1 정보목록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소정 시간 간격마다 전송하여 제1 정보목록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인포테인먼트 간 이격거리가 상기 기준거리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기준거리 이내로 진입한 시점까지 발생되는 상기 제1 정보목록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즉시 전송하면서,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차량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된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정보목록을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활성화된 서비스를 실시간 동기화가 요구되는 서비스와 실시간 동기화가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되,
실시간 동기화가 요구되는 서비스는 실시간 동기화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에서 제공 중이던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하고, 실시간 동기화가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최종 상태에 따른 정보를 전달받아 업데이트하고,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차량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통해 수집되거나 발생되는 제2 정보목록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소정 시간 간격마다 전송하여 제2 정보목록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는,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확인되면, 주차가 확인된 시점까지 발생되는 상기 제2 정보목록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즉시 전송하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서비스 전환 요청을 위한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신호를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정보목록을 분석하여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통해 활성화된 서비스를 실시간 동기화가 요구되는 서비스와 실시간 동기화가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되,
실시간 동기화가 요구되는 서비스는 실시간 동기화를 통해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에서 제공 중이던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하고, 실시간 동기화가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최종 상태에 따른 정보를 전달받아 업데이트하는, 이동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연동 시스템.
a mobile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an infotainment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and
Manag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or the infotainment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infotainment device, or transmit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tainment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In the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tainment device interworking system comprising a cloud server interlocking the device,
The mobile terminal,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fotainment device is separated by more than a preset reference distance by col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fotainment device, the first information list collected or genera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Update the first information list by sending it to the cloud serve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mobile terminal,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fotainmen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the first information list generated up to the time of entry within the reference distance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and the infotainment device can be driven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vehicle,
The infotainment device driven by the control signal,
By analyzing the first information list received from the cloud server, a service activated through a user terminal is classified into either a service requiring real-time synchronization and a service not requiring real-time synchronization,
Services requiring real-time synchronization continuously provide the service being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through real-time synchronization, and services that do not require real-time synchronization receive and upd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inal state received from the cloud server,
The infotainment device i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a second information list collected or generated through the infotainment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o update the second information list,
The infotainment device i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is parked, while immediately transmitting the second information list generated until the time when the parking is confirmed to the cloud server,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 service chang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By analyzing the second information list received from the cloud server, the service activated through the infotainment device is classified into any one of a service requiring real-time synchronization and a service not requiring real-time synchronization,
A service that requires real-time synchronization continuously provides the service being provided by the infotainment device through real-time synchronization, and a service that does not require real-time synchronization receives and update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inal state received from the cloud server. An interlocking system between the terminal and vehicle infotainment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목록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종류 및 설정 정보,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한 결제 정보, 사용자 개인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목록은,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통한 결제 정보, 차량의 위치정보, 차량의 운행설정 정보,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 및 상기 차량의 운행설정 정보와 관련된 인포테인먼트 장치 정보 및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오디오 및 비디오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연동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information list,
Including application type and setting inform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 information currently used in the mobile terminal, payment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user persona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fotainment device,
The second information list,
Application information currently used in the infotainment device, payment information through the infotainment devic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vehicle operation setting information, infotainment devi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vehicle operation setting information, and infotainment device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and an infotainment device interworking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user setting information for audio and video.
KR1020210045504A 2021-04-07 2021-04-07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tainment device linkage system Active KR1022770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04A KR102277053B1 (en) 2021-04-07 2021-04-07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tainment device linka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04A KR102277053B1 (en) 2021-04-07 2021-04-07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tainment device linkag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053B1 true KR102277053B1 (en) 2021-07-13

Family

ID=7685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504A Active KR102277053B1 (en) 2021-04-07 2021-04-07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tainment device linkag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05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699A (en) * 2021-11-30 2023-06-07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Infotainment system for vehicle
KR102857920B1 (en) * 2022-11-22 2025-09-15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Infotainment system for means of transportation having a passenger boarding confirmation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4444A (en) * 2002-04-30 2003-11-14 Denso Corp Streaming data reproducing system and reproducing apparatus
US20100235891A1 (en) * 2009-03-13 2010-09-16 Oglesbee Robert J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synchronizing media content between a vehicle device and a user device
KR101368966B1 (en) 2012-05-29 2014-03-04 (주)모비루스 Portable Terminal and IVI for Interworking Application, Method thereof for Operating Application
KR20140031716A (en) * 2012-09-05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loud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4444A (en) * 2002-04-30 2003-11-14 Denso Corp Streaming data reproducing system and reproducing apparatus
US20100235891A1 (en) * 2009-03-13 2010-09-16 Oglesbee Robert J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synchronizing media content between a vehicle device and a user device
KR101368966B1 (en) 2012-05-29 2014-03-04 (주)모비루스 Portable Terminal and IVI for Interworking Application, Method thereof for Operating Application
KR20140031716A (en) * 2012-09-05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loud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699A (en) * 2021-11-30 2023-06-07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Infotainment system for vehicle
KR102730205B1 (en) * 2021-11-30 2024-11-14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Infotainment system for vehicle
KR102857920B1 (en) * 2022-11-22 2025-09-15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Infotainment system for means of transportation having a passenger boarding confirma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7804B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cloud computing system architecture systems and methods
CN107211005B (en) Auxiliary equipment to enhance native on-board systems by adding interfaces and computing power
US20160197783A1 (en) Auxiliary device to enhance native in-vehicle systems by adding interfaces and computational power
KR102277053B1 (en)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tainment device linkage system
EP3714605A1 (en) Scrub and playback of video buffer over wireless
EP3714549A1 (en) Secured pairing of video capture device and mobile device
KR20150103070A (en) Navigation system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
US20130059538A1 (en) Vehicle multimedia head unit with two bluetooth antennas and two receivers
US9439051B2 (en) System for providing Internet access to an automotive vehicle having a multimedia device
CN111079034A (en) Shared navigation implementation method, terminal equipment and computer equipment
JP2013021632A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ehicle apparatus
CN105711523B (en) Vehicle intelligent terminal, system and information sharing method
EP311618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s in communication system
US201403368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Audio Content To A Vehicle Radio System Using A Smartphone
CN105091894A (en) Navigation method, intelligent terminal device and wearable device
CN105246048B (en) Method and system for a vehicle computing system to communicate with a mobile device via an auxiliary port
JP5816312B2 (en) Audio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audio stream delivery
KR20180125732A (en) Controlling method for an avn in a car and controlling system thereof
KR20120108763A (en) Head unit for a car, termina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80083401A (en) Car navigation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route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associated with it
US107159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appliances to a motor vehicle
US201102012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using vnote in portable terminal
KR20180044740A (en) AVN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20240064284A (en) Method of sharing vehicle driving information between vehicle driving guide device and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20090038334A (en) Car audio setting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