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68966B1 - Portable Terminal and IVI for Interworking Application, Method thereof for Operating Application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and IVI for Interworking Application, Method thereof for Operating Appl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966B1
KR101368966B1 KR1020120056989A KR20120056989A KR101368966B1 KR 101368966 B1 KR101368966 B1 KR 101368966B1 KR 1020120056989 A KR1020120056989 A KR 1020120056989A KR 20120056989 A KR20120056989 A KR 20120056989A KR 101368966 B1 KR101368966 B1 KR 101368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i
call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
infotainment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9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3601A (en
Inventor
조병호
허준구
Original Assignee
(주)모비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비루스 filed Critical (주)모비루스
Priority to KR1020120056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966B1/en
Publication of KR2013013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6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96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 및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그리고, 이들 간의 어플리케이션 연동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간의 어플리케이션 연동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함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더미 에이피아이(API)를 호출하는 제1 단계; 더미 에이피아이(dummy API)가 호출인자를 휴대 단말기의 프록시부로 전달하는 제2 단계; 프록시부가 전달받은 호출인자를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서버부로 전송하는 제3 단계; 서버부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에이피아이(API)를 호출하는 제4 단계; 및 에이피아이(API) 호출에 대응하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그래픽 엔진을 이용하여 렌더링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Disclosed are a portable terminal, an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and an application interworking method therebetween.
An application interworking method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n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calling a dummy API (API) of a portable terminal as an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riven; A second step in which a dummy API delivers the call argument to the prox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the call argument received by the proxy unit to the server unit of the vehicle infotainment device; A fourth step of the server unit calling an API of the vehicle infotainment device; And a fifth step of displaying an image on the display unit by rendering by using the graphic engine of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in response to an API call.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및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그리고, 이들 간의 어플리케이션 연동방법{Portable Terminal and IVI for Interworking Application, Method thereof for Operating Application}Portable terminal and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for interworking applications, and application interworking method between them {Portable Terminal and IVI for Interworking Application, Method example for Operat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와 이들의 연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와 이들의 연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n infotainment device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interwork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and an infotainment device for a vehicle and an interwork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driven on the portable terminal on a vehicle infotainment device.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n-Veicle-Information)란 자동차에 IT 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차량 내에서 정보 및 엔터테이먼트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를 일컫는다.In-Veicle-Information for Vehicle refers to a device that integrates IT technology into a vehicle and implements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functions in a vehicle.

이러한 IVI 장치는 영상/동영상 재생과 인터넷 환경을 구현하며 응용프로그램의 활용을 위한 플랫폼이 탑재되는 스마트폰과 유사한 점이 있다. 하지만, IVI 장치는 스마트폰과는 달리 휴대성이 떨어지며 사용되는 환경의 특수성으로 인해서, 소프트웨어 개발의 시간도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개발 기간보다는 긴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환경의 변화나 트랜드에 따라 급변하고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환경이 여의치 않다.
The IVI device is similar to a smart phone that implements a video / video playback and internet environment and is equipped with a platform for utilizing applications. However, IVI devices, unlike smartphones, are less portable and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environment used, the software development time is longer than the smartphone application development period. Therefore, the development environment of the application is not enough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users and change rapid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environment or tren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에서 이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용이하게 하며,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을 넓힐 수 있도록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s that can be used in the vehicle infotainment device, and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such applications are installed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the application. The purpose is.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함에 따라서 표시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IVI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VI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to be displayed as the application is driven by interlocking an application driven in a portable terminal.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는 에이피아이(API)부로 요청되는 에이피아이 호출(API call)을 접수받아서 영상 표시를 위한 렌더링 과정을 수행하는 그래픽 엔진을 포함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로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함에 따라서 요청하는 에이피아이 호출을 접수받는 더미 에이피아이부(dummy API); 더미 에이피아이부(dummy API)로부터 에이피아이 호출을 전달받으며, 에이피아이 호출에 대한 호출인자를 프로토콜화하는 프록시부; 및 프록시부가 프로토콜화 한 호출인자를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에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API call requested by the API unit (API) unit and includes an infotainment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graphics engine for performing a rendering process for displaying the image A mobile terminal cooper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dummy API for receiving a call from a requesting AP as the application is driven; A proxy unit receiving an API call from a dummy API, and protocolizing a call factor for the API call;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transmitting the call factor protocolized by the proxy unit to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이때, 프록시부는 렌더링을 위한 상태정보들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선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로 전송되는 호출인자를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In this case, the proxy unit selects and stores a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tate information for rendering, and transmits a call factor transmitted to the in-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using the identifier.

그리고, 프록시부는 화면 렌더링을 위한 에이피아이 호출과 메모리 블록 지정을 위한 에이피아이 호출을 구분하여 전송하며, 화면 렌더링을 위한 API 호출을 전송할 때에는 API 호출에 대한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차 순위의 API 호출을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proxy unit separately transmits the API call for screen rendering and the API call for memory block designation, and when transmitting the API call for screen rendering, transmits the next-order API call without waiting for the result of the API call. do.

본 발명에 의한 IVI 장치는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와 음성/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송받는 호출인자를 에이피아이 콜(API call)의 형태로 변환하는 서버부; 및 서버부에서 변환한 에이피아이 콜(API call)을 접수하는 에이피아이(API)를 포함하며, 서버부의 에이피아이 콜(API call)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표시하는 그래픽 엔진부;를 구비한다.An IVI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nterworking an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o and video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A server unit for converting a call argument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interface into the form of an API call; And an API for receiving an API call converted by the server unit, wherein the graphic engine unit displays a video corresponding to driving of the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API call of the server unit; It is provided.

이때 서버부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에이피아이 콜의 메모리 블록을 식별자로 전송받고, 전송되는 식별자에 대응하는 메모리 블록을 미리 저장된 식별자와 메모리 블록 맵핑 테이블에서 검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er unit may receive the memory block of the AP call from the portable terminal as an identifier, and search for the memory block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identifier in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er and the memory block mapping table.

서버부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 에이피아이 콜 중에서 화면 렌더링을 위한 에이피아이 콜은 결과값을 회신하지 않고 서버부의 에이피아이로 전송하며, 메모리 블록의 설정을 위한 에이피아이 콜은 휴대단말기로 결과값을 회신한다. Among the api call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api call for screen rendering does not return the result value, but the api call for setting the memory block returns the result value to the mobile terminal. do.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간의 어플리케이션 연동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함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더미 에이피아이(API)를 호출하는 제1 단계; 더미 에이피아이(dummy API)가 호출인자를 휴대 단말기의 프록시부로 전달하는 제2 단계; 프록시부가 전달받은 호출인자를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서버부로 전송하는 제3 단계; 서버부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에이피아이(API)를 호출하는 제4 단계; 및 에이피아이(API) 호출에 대응하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그래픽 엔진을 이용하여 렌더링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An application interworking method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n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calling a dummy API (API) of a portable terminal as an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riven; A second step in which a dummy API delivers the call argument to the prox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the call argument received by the proxy unit to the server unit of the vehicle infotainment device; A fourth step of the server unit calling an API of the vehicle infotainment device; And a fifth step of displaying an image on the display unit by rendering by using the graphic engine of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in response to an API call.

이때 제3 단계는 렌더링을 위한 상태정보들 각각에 대응하여 식별자를 선정하고, 프록시부는 서버부로 식별자를 전송한다.In this case, the third step selects a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tate information for rendering, and the proxy unit transmits the identifier to the server unit.

그리고, 제 3 단계는 화면 렌더링을 위한 API 호출과 메모리 블록 지정을 위한 API 호출을 구분하여 전송할 수 있다.The third step may distinguish and transmit an API call for screen rendering and an API call for designating a memory block.

또한 제 3 단계에서 화면 렌더링을 위한 API 호출을 전송할 때에는 API 호출에 대한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차 순위의 API 호출을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ransmitting the API call for screen rendering in the third step,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next-order API call without waiting for the result of the API call.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IVI 장치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IVI 장치를 통해서 화면 표시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내에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을 넓힐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IVI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driven in the portable terminal can display a screen through the IVI device. Therefore, the user can expand the application of the application in the car.

또한, 본 발명의 IVI 장치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개발자와 사용자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pplication interworking with the IVI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ased on the platform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development period can be shortened and the range of developers and users can be expanded.

도 1은 휴대 단말기 및 이와 연동하기 위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IVI 장치와 휴대 단말기 간의 어플리케이션 연동방법.
도 3은 휴대 단말기에서 IVI 장치로 전송하는 API 호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vehicle infotainment device for interwork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Figure 2 is an application interworking method between the IVI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API call sent from a mobile terminal to an IVI device.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 object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same names and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100) 및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IVI: In-Vehicle-Infortainmet system)(이하 "IVI 장치" 라고 함)(20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FIG.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100 and an in-vehicle-infortainmet system (IVI) (hereinafter referred to as "IVI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형태로 구현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탑재하는 것으로,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테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등을 의미한다. 이하,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에서 휴대 단말기(100)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지만 본 발명의 설명에는 불필요한 구성, 예컨대 이동전화기능부 등은 도시하지 않았으며 그 설명도 생략한다.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100 is equipped with a platform that can use an application program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and means a smart phone or a tablet computer.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but unnecessary configuration, for example, a mobile telephone function unit is not sh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휴대 단말기(100)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부(130), 영상 표시를 위한 표시부(120), 제1 통신 인터페이스(150) 및 휴대 단말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voice output unit 130 such as a speaker for outputting voice data, a display unit 120 for displaying an image, a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150, and a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140.

제1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IVI 장치(20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제1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휴대 단말 제어부(140)로부터 화면 표시를 위한 API 호출 정보를 전달받아서 IVI 장치(200)로 전송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150 is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IVI device 200. In particular,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150 receives API call information for screen display from the mobile terminal controller 14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IVI device 200.

이러한 제1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무선 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및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이하 USB) 등의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150 may be implemented using a wired or wireless interface such as a wireless LAN, Bluetooth, and Universal Serial Bus (USB).

휴대 단말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어플리케이션(141)을 IVI 장치(200)와 연동하기 위해서 API 호출을 전송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 제어부(140)는 하드웨어인 프로세서 칩(Chip)과, 그 칩에 의해 처리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과, 그 운영체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설치(Install)되어 휴대 단말 제어부(140) 이외의 다른 구성을 제어하거나 상호 연결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이 결합된 구성일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140 transmits an API call to interoperate the application 141 with the IVI device 200 while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140 is installed based on a processor chip, which is hardware, an operating system (OS) program processed by the chip, and the operating system program, and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140. It may be a combination of applications that control or interconnect other configurations.

예컨대, 휴대 단말기 제어부(220)의 어플리케이션(141), 더미 API부(143) 및 프록시부(145)는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가진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141), 더미 API부(143) 및 프록시부(145)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pplication 141, the dummy API unit 143, and the proxy unit 145 of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22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refore, the user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f the application 141, the dummy API unit 143, and the proxy unit 145 of the present invention on his or her conventional mobile phone. Can be.

즉, 어플리케이션(141)은 후술하는 더미 API부(143) 및 프록시부(145)를 포함하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141)과 더미 API부(143) 및 프록시부(145)는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에 다운로드 형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application 141 may be developed based on a platform including a dummy API unit 143 and a proxy unit 14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application 141, the dummy API unit 143, and the proxy unit 145 may be used. May be installed in a download format on the mobile terminal 100 as one application program.

더미 에이피아이(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이하 API)부(143)는 어플리케이션(141)이 구동됨에 따라서 요청하는 API 호출을 프록시부(145)로 전달한다.The dummy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unit 143 transfers the requested API call to the proxy unit 145 as the application 141 is driven.

프록시부(145)는 더미 API부(143)로부터 전달받은 API 호출을 IVI 장치(200)로 전송한다. The proxy unit 145 transmits the API call received from the dummy API unit 143 to the IVI device 200.

즉, 더미 API부(143) 및 프록시부(145)는 어플리케이션(141)의 구동에 따른 API 호출을 이용하여 렌더링을 수행하지 않고, IVI 장치(200)로 호출인자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That is, the dummy API unit 143 and the proxy unit 145 transmit the call factor to the IVI device 200 without performing rendering by using the API call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pplication 141.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141)의 영상 처리는 IVI 장치(200)를 통해서 수행된다. In addition, image processing of the application 141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is performed through the IVI device 200.

즉, 본 발명에 의한 IVI 장치(20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141)의 영상을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IVI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n image of the application 141 driven by the mobile terminal 100 on the display unit 210 of the large screen.

이러한 IVI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such an IVI device 200 as follows.

IVI 장치(200)는 정보와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통합한 것으로, 오디오처리부(229), 스피커(SPK), 디스플레이부(210), 제2 통신 인터페이스(23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The IVI device 200 integrates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functions, and includes an audio processor 229, a speaker (SPK), a display unit 210, a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230, and a controller 220.

여기서, 오디오처리부(229)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며, 디스플레이부(210)는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로서 엘시디(LCD)나 오엘이디(OLED) 등이 해당한다. Here, the audio processor 229 processes a predetermined voic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20 and outputs it through the speaker SPK, and the display 210 displays a variety of information for visual recognition. As the LCD (LCD), OLED (OLED), etc. are applicable.

제2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1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제2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블루투스(Bluetooth), USB 및 무선 랜을 이용할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230 is a wired or wireless interfa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150.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230 may use Bluetooth, USB, and WLAN.

제2 통신 인터페이스(230)가 블루투스(bluetooth)일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는 핸즈프리 프로토콜(BT HFP)과 오디오 전송 프로토콜(BT A2DP)를 통해서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141)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는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인 BT SPP를 이용하여 전송받을 수 있다.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230 is Bluetooth, voice data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hands free protocol (BT HFP) and an audio transmission protocol (BT A2DP). Data required for driving the application 141 may be transmitted using BT SPP, which is a serial communication protocol.

그리고, 제2 통신 인터페이스(230)가 무선 랜일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는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인 알티피(RTP)를 통해서 전송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230 is a wireless LAN, voice data may be transmitted through RTP, which is a real time transmission protocol.

또는 휴대 단말기(100)가 아이폰(iPhone)일 경우에는 아이폰 전용 케이블 연결을 통해서 아이폰 악세서리 프로토콜(iAP)를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 및 구동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an iPhone, voice data and driving data may be transmitted using an iPhone accessory protocol (iAP) through a cable connection for the iPhone.

제어부(220)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230)로부터 전송받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SPK)를 통해서 출력하고, 어플리케이션(141)의 구동 데이터를 처리한다. 오디오 신호와 데이터 신호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처리되고, 이러한 신호 처리는 공지된 바에 따라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troller 220 receives an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230, outputs the audio signal through the speaker SPK, and processes driving data of the application 141. The audio signal and the data signal are processed using the protocol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230, and such signal processing will be omitted in detail as known.

이하 어플리케이션(141)의 구동에 따른 화면을 IVI 장치(200)로 표시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for displaying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pplication 141 by the IVI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제어부(220)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141)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서 출력하며, 이를 위해 서버부(225) 및 그래픽 엔진부(221)를 포함한다. The control unit 220 receives and processes the data provided by the application 141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230 and outputs it through the display unit 210, for this purpose, the server unit 225. And a graphics engine unit 221.

서버부(225)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서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받은 프로토콜을 API 호출의 형태로 변환한다. The server unit 225 converts the protoco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230 into an API call.

또한, 서버부(225)는 식별자로 전송되는 API 호출을 이용하여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추출한다.In addition, the server unit 225 extracts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by using an API call transmitted with the identifier.

그래픽 엔진부(221)는 서버부(225)에서 변환한 API 콜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10)에 영상 컨텐츠를 표시한다. The graphic engine unit 221 displays the image content on the display unit 210 using the API call converted by the server unit 225.

그리고, 그래픽 엔진부(221)는 렌더링을 위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API부(223)를 포함한다. API부(223)가 저장하는 상태 정보로는 그래픽 컨텍스트, 패턴정보, 글꼴정보가 있다. In addition, the graphics engine unit 221 includes an API unit 223 including state information for rendering. The state information stored by the API unit 223 includes graphic context, pattern information, and font information.

이러한 IVI 장치(200)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141)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image processing of the application 141 driven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using the IVI device 200 as follows.

도 2는 IVI 장치(200)가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the IVI device 200 receives image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d displays the image data on the display 210.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방법은 먼저, 본 발명의 IVI 장치(200)와 연동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141)을 구동함으로써 시작된다.Referring to FIG. 2, the method of receiving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gins by driving the application 141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terworking with the IVI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

어플리케이션(141)을 구동하는 것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는 더미 API부(143)를 호출한다. 이때, 더미 API부(143)는 일반적인 API와 동일한 것이지만, 영상 렌더링을 위한 API 호출을 수행하지 않는다.(S301,S303) In response to driving the application 141, the mobile terminal 100 calls the dummy API unit 143. At this time, the dummy API unit 143 is the same as a general API, but does not perform an API call for image rendering. (S301, S303)

즉, 더미 API부(143)는 API 호출을 단순히 프록시부(145)로 전달한다.(S305) That is, the dummy API unit 143 simply transfers the API call to the proxy unit 145 (S305).

그리고, 프록시부(145)는 API 호출을 서버부(225)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서 프록시부(145)는 전달받은 API 호출과 그에 따르는 호출인자를 프로토콜화 하고, 프로토콜화된 API 호출을 서버부(225)로 전송한다.(S307)The proxy unit 145 transmits the API call to the server unit 225. To this end, the proxy unit 145 protocolizes the transferred API call and its corresponding call arguments, and transmits the protocolized API call to the server unit 225 (S307).

서버부(225)는 프록시부(145)로부터 프로토콜화 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시 API 호출의 형태로 복원한다.(S309) The server unit 225 receives the protocolized data from the proxy unit 145 and restores the protocol data again in the form of an API call (S309).

그리고 서버부(225)는 그래픽 엔진부(221)의 API부(223)로 API 호출을 전송한다.(S311) The server unit 225 transmits an API call to the API unit 223 of the graphic engine unit 221 (S311).

그래픽 엔진부(221)는 API부(223)로 요청된 API 호출에 따라서 영상을 렌더링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10)에 그래픽을 표시한다.(S311)The graphic engine unit 221 displays a graphic on the display unit 210 by render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API call requested by the API unit 223 (S311).

위와 같은 S307 단계에서 프록시부(145)가 서버부(225)로 전송하는 API 호출은 객체 맵핑(object mapping) 방법을 이용한다.The API call transmitted from the proxy unit 145 to the server unit 225 in step S307 as described above uses an object mapping method.

즉, 프록시부(145)는 API 호출 중에서 식별자(410)만을 서버부(225)로 전송한다. 이처럼 프록시부(145)가 서버(225)로 식별자(410)만을 전송하는 것은 데이터 전송량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That is, the proxy unit 145 transmits only the identifier 410 to the server unit 225 in the API call. As such, the proxy unit 145 only transmits the identifier 410 to the server 225 to reduce the data transmission amount.

일반적인 그래픽 API는 그래픽 컨텍스트, 패턴 정보, 글꼴 정보 등 렌더링을 위해서 여러 종류의 상태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상태 정보는 그래픽 API에서 메모리 블록으로 관리되며, 전체 메모리에서 많은 용량을 차지한다.The general graphics API maintains various kinds of state information for rendering such as graphic context, pattern information, and font information. This various state information is managed as a block of memory in the graphics API and takes up a lot of memory.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프록시부(145)는 데이터 전송량을 줄이기 위해서 그래픽 상태정보를 모두 전송하지 않고, 식별자(410)만 전송한다.Accordingly, the proxy unit 14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only the identifier 410 without transmitting all the graphic state information in order to reduce the data transmission amount.

이를 위해서 프록시부(145)는 그래픽 API 중에서 메모리 블록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미리 설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For this purpose, the proxy unit 145 maintains a state in which a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memory block is previously set in the graphic API.

또한, 서버부(225)는 프록시부(145)와 마찬가지로 식별자와 이에 대응하는 메모리 블록을 저장하고 있는 맵핑 테이블(mapping table)을 보유한다. In addition, like the proxy unit 145, the server unit 225 maintains a mapping table that stores an identifier and a memory block corresponding thereto.

그리고, 서버부(225)는 프록시부(145)로부터 전송받는 식별자에 대응하는 메모리 블록을 맵핑 테이블에서 검색함으로써, 더미 API부(143)가 요청한 API 콜을 추출할 수 있다.The server unit 225 may extract the API call requested by the dummy API unit 143 by searching the mapping table for a memory block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proxy unit 145.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어플리케이션(141) 연동방법은 프록시부(145)에서 배치 프로세싱(Batch Processing)을 이용하여 API 호출의 대상에 따라서 호출에 대한 결과가 필요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application 141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batch processing in the proxy unit 145 and transmits the case where the result of the call is necessary or not according to the object of the API call.

예컨대, 프록시부(145)에서 서버부(225)로 전송하는 API 호출 중에서 메모리 블록을 지정하기 위한 API 호출에 대해서 프록시부(145)는 서버부(225)의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For example, the proxy unit 145 must wait for the result of the server unit 225 with respect to an API call for designating a memory block among API calls transmitted from the proxy unit 145 to the server unit 225.

반면에, 프록시부(145)에서 서버부(225)로 전송하는 API 호출 중에서 화면 렌더링을 위한 API 호출에 대해서 프록시부(145)는 서버부(225)의 결과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On the other hand, in the API call transmitted from the proxy unit 145 to the server unit 225, the proxy unit 145 does not need to wait for the result of the server unit 225 for the API call for screen rendering.

그리고 서버부(225)는 이처럼 프록시부(145)에서 전송되는 API 호출의 대상에 따라서 API 호출의 결과를 회신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함으로써 전체적인 데이터 전송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부(225)는 프록시부(145)로부터 전송받은 API 호출에 대해서 호출 결과를 회신하는 과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커넥션 코스트와 블로킹을 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unit 225 may shorten the overall data transmission time by selectively returning the result of the API call according to the object of the API call transmitted from the proxy unit 145. As such, since the server unit 225 selectively performs a process of returning the call result to the API call received from the proxy unit 145, connection cost and blocking can be avoided.

즉, 도 3에서와 같이, 화면 렌더링을 위한 API 호출(420)은 하나의 패킷으로 전송하며, 배치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호출에 대한 결과를 기다리지 않는다.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API call 420 for screen rendering is transmitted in one packet, and does not wait for the result of the call by performing batch processing.

그리고, 식별자(410)를 포함하는 것으로 메모리 블록을 지정하기 위한 API 호출(410)은 싱크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일반적인 방법대로 API 호출에 대한 결과를 기다린다. Then, the API call 410 for designating the memory block as including the identifier 410 performs sink processing, waiting for the result of the API call as usua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IVI 장치(20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141)을 연동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41)을 IVI 장치(200)를 이용하여 조작하고 구동시킬 수 있다. 즉, IVI 장치(200)는 사용자의 특수한 목적에 적합한 유저인터페이스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내에서 어플리케이션(141)의 구동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As described above, the IVI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IVI device 200 to connect the application 141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by interlocking the application 141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operated and driven That is, since the IVI device 200 is configured to have a user interface suitable for a user's special purpose, the IVI device 200 may help the application 141 to be easily driven in the vehicle.

또한, IVI 장치(200)에 이용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141)은 플랫폼의 특수성으로 인해서 개발 기간이 길고 사용자 및 개발자도 적은 단점이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IVI 장치(20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141)은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개발 기간도 적게 소요된다. In addition, the dedicated application 141 used in the IVI device 200 has a long development period and fewer users and developers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platform. However, the application 141 that works with the IVI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development is based on the platfor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akes less development period.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all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에이피아이(API)부로 요청되는 에이피아이 호출(API call)을 접수받아서 영상 표시를 위한 렌더링 과정을 수행하는 그래픽 엔진을 포함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로서,
어플리케이션;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함에 따라서 요청하는 에이피아이 호출(API call)을 접수받는 더미 에이피아이부(dummy API);
상기 더미 에이피아이부(dummy API)로부터 상기 에이피아이 호출(API call)을 전달받으며, 상기 에이피아이 호출(API call)에 대한 호출인자를 프로토콜화하는 프록시부; 및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로 그래픽 엔진이 화면 렌더링을 위해서 필요한 에이피아이 호출(API call)을 상기 프로토콜화 된 형태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프록시부는 화면 렌더링을 위한 에이피아이 호출과 메모리 블록 지정을 위한 에이피아이 호출을 구분하여 전송하며, 화면 렌더링을 위한 API 호출을 전송할 때에는 API 호출에 대한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차 순위의 API 호출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와 연동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A mobile terminal interoperating with an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including a graphics engine that receives an API call requested by an API unit and performs a rendering process for displaying an image,
application;
A dummy API that receives an API call as a request is made as the application is driven;
A proxy unit receiving the API call from the dummy API and protocolizing a call factor for the API call; And
The vehicle infotainment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that transmits an API call required by the graphics engine for screen rendering in the protocolized form.
The proxy unit separately transmits an api call for screen rendering and an api call for designating a memory block, and when transmitting an API call for screen rendering, transmits a next-order API call without waiting for an API call result. A portable terminal for interworking with an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부는 렌더링을 위한 상태정보들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선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로 전송되는 상기 호출인자를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와 연동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xy unit selects and stores a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tate information for rendering, and transmits the call factor transmitted to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by using the identifier.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함에 따라서 요청하는 에이피아이 호출에 대한 호출인자를 추출하고, 상기 호출인자를 프로토콜화하여 전송하는 것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영상을 표시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호출인자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호출인자를 에이피아이 호출(API call)의 형태로 복원하는 서버부; 및
상기 서버부에서 변환한 에이피아이 호출(API call)을 접수하는 에이피아이(API)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부의 에이피아이 호출(API call)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그래픽 엔진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에이피아이 콜의 메모리 블록을 식별자로 전송받고, 전송되는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메모리 블록을 미리 저장된 식별자와 메모리 블록 맵핑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기 위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In the vehicle infotainment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of the application by receiving the request that the requesting apia extracts the call factor for the call, and protocolized and transmitted the call factor as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receiving the call argument from the portable terminal;
A server unit for restoring the call factor in the form of an API call; And
A graphics engine for receiving an API call (API) is converted by the server unit, the graphics engine for displaying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driving in response to the API call (API call) of the server unit With wealth,
The server unit receives the memory block of the AP call from the portable terminal as an identifier, and links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memory block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identifier in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er and the memory block mapping table. Vehicle infotainment device for.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함에 따라서 요청하는 에이피아이 호출에 대한 호출인자를 추출하고, 상기 호출인자를 프로토콜화하여 전송하는 것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영상을 표시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호출인자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호출인자를 에이피아이 호출(API call)의 형태로 복원하는 서버부; 및
상기 서버부에서 변환한 에이피아이 호출(API call)을 접수하는 에이피아이(API)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부의 에이피아이 호출(API call)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그래픽 엔진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 에이피아이 콜 중에서,
화면 렌더링을 위한 에이피아이 콜은 결과값을 회신하지 않고 상기 서버부의 에이피아이로 전송하며, 메모리 블록의 설정을 위한 에이피아이 콜은 상기 휴대단말기로 결과값을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기 위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In the vehicle infotainment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of the application by receiving the request that the requesting apia extracts the call factor for the call, and protocolized and transmitted the call factor as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receiving the call argument from the portable terminal;
A server unit for restoring the call factor in the form of an API call; And
A graphics engine for receiving an API call (API) is converted by the server unit, the graphics engine for displaying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driving in response to the API call (API call) of the server unit With wealth,
The server unit,
Among the AP call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API call for screen rendering is transmitted to the API of the server unit without returning the result value, and the API call for setting the memory block returns the result value to the portable terminal. Vehicle infotainment device for interlocking.
휴대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연동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를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함에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더미 에이피아이(API)를 호출하는 제1 단계;
상기 더미 에이피아이(dummy API)가 호출인자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프록시부로 전달하는 제2 단계;
상기 프록시부가 전달받은 호출인자를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서버부로 전송하는 제3 단계;
상기 서버부가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에이피아이(API)를 호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에이피아이(API) 호출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그래픽 엔진을 이용하여 렌더링함으로써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단계는 화면 렌더링을 위한 API 호출과 메모리 블록 지정을 위한 API 호출을 구분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간의 어플리케이션 연동방법.
A method for displaying a screen display of an application driven on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by interworking a portable terminal with an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A first step of calling a dummy api (API) of the portable terminal as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riven;
A second step in which the dummy API delivers a call argument to the prox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the call argument received by the proxy unit to a server unit of the vehicular infotainment device;
A fourth step of the server unit calling an API of the vehicle infotainment device; And
A fifth step of displaying an image on a display unit of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by rendering using the graphic engine of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in response to the API call;
The third step is the application interworking metho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vehicle infotain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API call for screen rendering and the API call for memory block designa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렌더링을 위한 상태정보들 각각에 대응하여 식별자를 선정하고, 상기 프록시부는 상기 서버부로 상기 식별자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간의 어플리케이션 연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wherein the third step selects a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tate information for rendering, and the proxy unit transmits the identifier to the server unit.
삭제delete 휴대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연동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를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함에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더미 에이피아이(API)를 호출하는 제1 단계;
상기 더미 에이피아이(dummy API)가 호출인자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프록시부로 전달하는 제2 단계;
상기 프록시부가 전달받은 호출인자를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서버부로 전송하는 제3 단계;
상기 서버부가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에이피아이(API)를 호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에이피아이(API) 호출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그래픽 엔진을 이용하여 렌더링함으로써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단계에서 화면 렌더링을 위한 API 호출을 전송할 때에는 API 호출에 대한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차 순위의 API 호출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간의 어플리케이션 연동방법.
A method for displaying a screen display of an application driven on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by interworking a portable terminal with an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A first step of calling a dummy api (API) of the portable terminal as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riven;
A second step in which the dummy API delivers a call argument to the prox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the call argument received by the proxy unit to a server unit of the vehicular infotainment device;
A fourth step of the server unit calling an API of the vehicle infotainment device; And
A fifth step of displaying an image on a display unit of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by rendering using the graphic engine of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in response to the API call;
When transmitting the API call for screen rendering in the third step, the application interworking metho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API call of the next rank without waiting for the result of the API call.
KR1020120056989A 2012-05-29 2012-05-29 Portable Terminal and IVI for Interworking Application, Method thereof for Operating Application Active KR1013689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989A KR101368966B1 (en) 2012-05-29 2012-05-29 Portable Terminal and IVI for Interworking Application, Method thereof for Operating Appl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989A KR101368966B1 (en) 2012-05-29 2012-05-29 Portable Terminal and IVI for Interworking Application, Method thereof for Operating Appl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601A KR20130133601A (en) 2013-12-09
KR101368966B1 true KR101368966B1 (en) 2014-03-04

Family

ID=4998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989A Active KR101368966B1 (en) 2012-05-29 2012-05-29 Portable Terminal and IVI for Interworking Application, Method thereof for Operating Appl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96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990B1 (en) 2015-10-26 2017-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engaging with vehicle
KR102277053B1 (en) 2021-04-07 2021-07-13 주식회사 알에프투디지털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tainment device linkag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300B1 (en) 2014-12-11 2021-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Data processing architecture and data processing method
CN111752684B (en) * 2020-06-30 2025-01-28 北京小米松果电子有限公司 Display method and device
CN117176852A (en) * 2023-08-31 2023-12-05 东风汽车有限公司东风日产乘用车公司 Vehicle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608A (en) * 2007-01-12 2009-10-09 데인저 인코포레이티드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web service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110123867A (en) * 2010-05-10 2011-11-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Web application execution device and its web application management method
JP2012500516A (en) 2008-08-11 2012-01-05 ティーティーアイ インベンションズ ディー エルエルシー System and method for using networked mobile devices in a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608A (en) * 2007-01-12 2009-10-09 데인저 인코포레이티드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web service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12500516A (en) 2008-08-11 2012-01-05 ティーティーアイ インベンションズ ディー エルエルシー System and method for using networked mobile devices in a vehicle
KR20120014887A (en) * 2008-08-11 2012-02-20 티티아이 인벤션스 디 엘엘씨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Networked Mobile Devices in a Vehicle
KR20110123867A (en) * 2010-05-10 2011-11-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Web application execution device and its web application management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990B1 (en) 2015-10-26 2017-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engaging with vehicle
US10064081B2 (en) 2015-10-26 2018-08-28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engaging with vehicle
KR102277053B1 (en) 2021-04-07 2021-07-13 주식회사 알에프투디지털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tainment device linka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601A (en)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247B1 (en) Remote rendering for efficient use of wireless bandwidth for wireless docking
EP3190763B1 (en) Screen sharing method and sharing device
US20240069850A1 (en) Application Shar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571619B2 (en) Electronic communication system, in-vehicle unit, and control method
KR101368966B1 (en) Portable Terminal and IVI for Interworking Application, Method thereof for Operating Application
EP1916830A1 (en) Method of controlling printer using bluetooth function of mobile terminal
CN112394895A (en) Cross-equipment display method and device of pi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5335120A (en) Multi-screen input/output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JP2008236497A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rendering execution method
KR202200451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machine interconnection
KR20110003964A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screen service of mobile terminal
JP5849857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US12405760B2 (en) Enhanced screen sharing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CN111031471A (en) A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CN114706549A (en) Display method, intelligent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4579034A (en) An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device, display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30051434A1 (en) Application installat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11210022A (en) Electronic apparatus, input signal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9886199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vehicle and mobile terminal
CN108323236A (en) An interactive method and terminal
JP2015201074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JP5556785B2 (en) Control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12506460A (en) Screen control authority shar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130117394A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4965728A (en) Method of car-mounted terminal for operating application programs, car-mounted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