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128626A - An electronic device of a server providing a total service for managing an online shopping mall and operatiing method thererof - Google Patents

An electronic device of a server providing a total service for managing an online shopping mall and operatiing method therero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128626A
KR20250128626A KR1020240025071A KR20240025071A KR20250128626A KR 20250128626 A KR20250128626 A KR 20250128626A KR 1020240025071 A KR1020240025071 A KR 1020240025071A KR 20240025071 A KR20240025071 A KR 20240025071A KR 20250128626 A KR20250128626 A KR 20250128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seller
shopping mal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5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지선
이진선
이관호
김보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40025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128626A/en
Publication of KR2025012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128626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using intermediate agen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utilising 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h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공급자가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온라인 쇼핑몰 운영의 지원을 위하여 미리 구성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품 추가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품 선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품 선택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oper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produc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roduct supplied by at least one product supplier; generating product sales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receiving a request for adding a product from a seller terminal through an online platform configured in advance to support the oper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generating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roduct information and the product sales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generated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seller terminal.

Description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위한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N ELECTRONIC DEVICE OF A SERVER PROVIDING A TOTAL SERVICE FOR MANAGING AN ONLINE SHOPPING MALL AND OPERATIING METHOD THEREROF}An electronic device of a server providing a total service for managing an online shopping mall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의 개설과 운영을 위한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전자 장치와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of a server that provides total services for opening and operating an online shopping mall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인터넷의 대중화 이후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은 상거래의 중요한 축을 형성하며 큰 성장을 이어오고 있다. 그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의 개설과 운영을 지원하는 서비스도 큰 시장을 이루고 있다. Since the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online shopping malls have become a crucial part of commerce and have experienced significant growth. Consequently, services supporting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online shopping malls have also become a significant market.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은 크게 다섯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제1 단계는 온라인 쇼핑몰의 개설이고, 제2 단계는 상품 소싱(sourcing)이고, 제3단계는 상품 판매 활동이고, 제4단계는 상품이 배송 관리이고, 마지막 제5단계는 고객 서비스이다. Operating an online shopping mall can be broadly divided into five stages. The first stage is opening the online shopping mall, the second stage is product sourcing, the third stage is product sales, the fourth stage is product delivery management, and the fifth stage is customer service.

온라인 쇼핑몰 개설은 온라인 쇼핑몰의 기본 구조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웹사이트 또는 앱을 개발하는 것이 포함되며, 도메인(domain)을 설정하여 온라인 쇼핑몰의 주소를 확정하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서버 환경이 준비되어야 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결제 시스템을 설정하고, 이용 약관을 작성하는 등 기본적인 운영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 Opening an online store involves establishing the basic structure of an online store. This process involves developing a website or app, establishing a domain name to confirm the online store's address, and establishing the necessary server environment for stable service. This stage also requires establishing a basic operational framework, such as setting up a payment system and drafting terms of use.

상품 소싱 단계에서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할 상품을 확보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공급 업체와의 계약이 체결되어야 하고, 상품의 질, 가격, 공급 가능한 수량 등이 검토된다. 이후 상품의 사진 촬영과 상품 설명을 작성하여 상품을 온라인으로 등록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The product sourcing stage involves securing products to sell on online shopping malls. To do this, contracts must be signed with suppliers, and product quality, price, and available quantities are reviewed. Next, photos of the products are taken, descriptions are written, and they are registered online.

상품 판매 단계에서는 상품을 고객에게 판매하는 활동이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상품 가격이 설정되고, 시장 조건에 따른 프로모션이 실행될 수 있고,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는 일련의 과정이 포함된다. 또한, 고객의 장바구니에 상품을 추가하고, 결제를 진행하고, 주문 확인을 보내는 등의 작업이 수행된다. The product sales stage involves selling products to customers. This stage involves setting product prices, implementing promotions based on market conditions, and receiving orders from customers. Furthermore, tasks such as adding products to customers' shopping carts, processing payments, and sending order confirmations are performed.

상품 배송 단계에서는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안전하게 배송하는 일련의 과정이 관리된다. 상품을 포장하고,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배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품이 고객에게 전달된다. 또한, 배송 상태를 추적하고,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고객에게 알리는 작업이 수행된다. The product delivery stage manages the entire process of safely delivering the product ordered by the customer. The product is packaged and delivered to the customer using an efficient and reliable delivery service. Furthermore, the delivery status is tracked and the customer is notified of the completion of the delivery.

고객 서비스 단계에서는 판매 후 고객의 문의사항이나 불만사항을 처리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활동이 진행된다. 고객의 문의에 대해 빠르고 친절하게 응답하고, 문제가 발생한 경우 해결 방안이 제시된다. 또한, 상품에 대한 리뷰를 관리하고, 고객의 피드백을 받아 서비스를 개선하는 일련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The customer service stage involves addressing customer inquiries and complaints after the sale and implementing activities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inquiries are responded to promptly and courteously, and solutions are provided when issues arise. Additionally, a series of tasks can be undertaken to manage product reviews and gather customer feedback to improve service.

기존에 온라인 쇼핑몰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들은 상술한 온라인 쇼핑몰 운영의 여러 단계 중 하나 또는 일부의 단계에만 초점을 맞추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Existing services to support online shopping malls are focused on one or only some of the various stages of online shopping mall operation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A사는 쇼핑몰 개설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상품 소싱 등의 운영 기능은 타 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제한적으로만 지원한다. 이로 인해, 상품 소싱 시 판매자가 직접 판매 상품의 상세 페이지를 작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B사는 별도의 판매자의 쇼핑몰을 개설하는 것이 아니라, 자사(B사)의 플랫폼에 판매자의 쇼핑몰이 종속되는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처럼 온라인 쇼핑몰을 위한 대부분의 서비스는 쇼핑몰 개설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으며, 쇼핑몰 개설 이후의 상품 소싱, 상품 판매, 상품 배송 및 고객 서비스까지의 단계는 각 영역별 전문 제휴사와 연결해주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For example, Company A provides solutions for opening an online shopping mall, but only provides limited support for operational functions like product sourcing through partnerships with other companies. This creates the inconvenience of requiring sellers to create their own product detail pages when sourcing products. Furthermore, Company B provides a service where sellers' online shopping malls are subordinated to its own platform, rather than opening separate online shopping malls. Most online shopping mall services focus on providing solutions for opening an online shopping mall, and after opening, they connect with specialized partners in each area, from product sourcing and sales to delivery and customer service.

예를 들어, 상품 소싱 및 상품 배송은 전문 도매 몰과 연동하거나, 고객 서비스는 판매자가 직접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기존의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서비스는 타 업체와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여,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위한 모든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각 단계별로 운영 업체와 운영의 책임 소재가 모두 상이하여 여전히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도매몰을 통하여 상품 소싱을 통하여 위탁 판매를 할 경우, 상품의 재고 수량 등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지 않아 배송 지연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For example, product sourcing and shipping are often integrated with specialized wholesale malls, while customer service is often handled directly by the seller. While these existing online shopping mall services may appear to support all the functions necessary for online shopping by offering integrations with other companies, the disparity between the operating company and the responsibility for operations at each stage still creates inconveniences for users. For example, when sourcing products through wholesale malls for consignment sales, real-time updates of inventory levels and other factors can lead to delivery delay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의 제반 과정을 지원하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providing an integrated service that supports all processes of operating an online shopping mall.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쇼핑몰 운영자가 스스로 온라인 쇼핑몰을 개설하고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enabling a shopping mall operator to open and operate an online shopping mall independently without being dependent on a platfor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품 판매자가 다수의 상품 공급자/유통자가 공급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간편하게 소싱(sourcing)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a product seller to easily source products or services supplied by multiple product suppliers/distributor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품 판매자와 다수의 상품 공급자/유통자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managing a product seller and multiple product suppliers/distributors on a single platfor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품 판매자가 판매할 상품을 편리하게 선택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 product seller to conveniently select a product to sel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공급자가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온라인 쇼핑몰 운영의 지원을 위하여 미리 구성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품 추가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품 선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품 선택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oper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produc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roduct supplied by at least one product supplier; generating product sales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receiving a request for adding a product from a seller terminal through an online platform configured in advance to support the oper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generating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roduct information and the product sales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generated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seller terminal.

여기서, 상기 상품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과,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에 관한 상품 판매 정보를 상기 판매자의 쇼핑몰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Here, based on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a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using a user interface in a preset manner, and a step of register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and product sales information regard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in the seller's shopping mall.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은, 상품의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 방식, 또는, 상품의 선택 버튼과 확인/적용 버튼의 클릭/터치 방식 중 하나를 포함한다.Here, the preset method includes one of a drag and drop method for the product icon, or a click/touch method for the product selection button and the confirmation/apply button.

여기서,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의 정보는,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하여 상기 판매자가 책정한 가격 정보를 포함한다.Here, the information on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includes price information set by the seller for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여기서, 상기 상품 추가의 요청은,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또는 상품의 명칭/브랜드 별로 수행되고, 상기 상품 선택 정보는, 상기 상품 추가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상품의 명칭/브랜드 별로 구성된다.Here, the request for adding the product is performed by product category or by product name/brand, and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is configured by product category or by product name/brand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adding the product.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공급자가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온라인 쇼핑몰 운영의 지원을 위하여 미리 구성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품 추가의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품 선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품 선택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oper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produc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roduct supplied by at least one product supplier, and receives a request for adding a product from a seller terminal through an online platform configured in advance to support the oper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and a processor that generates product sales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es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roduct information and the product sales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generated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sell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품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과,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에 관한 상품 판매 정보를 상기 판매자의 쇼핑몰에 등록한다.Here,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information on a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using a user interface in a preset manner based on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and the processor registers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and product sales information regard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in the seller's shopping mall.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은, 상품의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 방식, 또는, 상품의 선택 버튼과 확인/적용 버튼의 클릭/터치 방식 중 하나를 포함한다.Here, the preset method includes one of a drag and drop method for the product icon, or a click/touch method for the product selection button and the confirmation/apply button.

여기서,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의 정보는,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하여 상기 판매자가 책정한 가격 정보를 포함한다.Here, the information on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includes price information set by the seller for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여기서, 상기 상품 추가의 요청은,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또는 상품의 명칭/브랜드 별로 수행되고, 상기 상품 선택 정보는, 상기 상품 추가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상품의 명칭/브랜드 별로 구성된다.Here, the request for adding the product is performed by product category or by product name/brand, and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is configured by product category or by product name/brand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adding the product.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공급자가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온라인 쇼핑몰 운영의 지원을 위하여 미리 구성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품 추가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품 선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품 선택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mputer instructions that cause an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an operation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of the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oper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includes a step of receiving produc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roduct supplied by at least one product supplier, a step of generating product sales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a step of receiving a request for adding a product from a seller terminal through an online platform configured in advance to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online shopping mall, a step of generating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roduct information and the product sales information, and a step of providing the generated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seller terminal.

여기서, 상기 동작은, 상기 상품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과,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에 관한 상품 판매 정보를 상기 판매자의 쇼핑몰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Here, the operation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a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using a user interface in a preset manner based on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and a step of register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and product sales information regard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in the seller's shopping mall.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은, 상품의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 방식, 또는, 상품의 선택 버튼과 확인/적용 버튼의 클릭/터치 방식 중 하나를 포함한다.Here, the preset method includes one of a drag and drop method for the product icon, or a click/touch method for the product selection button and the confirmation/apply button.

여기서,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의 정보는,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하여 상기 판매자가 책정한 가격 정보를 포함한다.Here, the information on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includes price information set by the seller for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여기서, 상기 상품 추가의 요청은,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또는 상품의 명칭/브랜드 별로 수행되고, 상기 상품 선택 정보는, 상기 상품 추가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상품의 명칭/브랜드 별로 구성된다.Here, the request for adding the product is performed by product category or by product name/brand, and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is configured by product category or by product name/brand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adding the produ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이 운영을 지원하는 서버가 다수의 상품/서비스 공급자와 연동하여, 상품/서비스의 정보를 미리 획득함으로써, 온라인 쇼핑몰의 개설, 상품/서비스의 소싱, 판매, 배송 및 고객 관리까지 하나의 플랫폼을 통하여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여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가 간편하게 온라인 쇼핑몰을 편리하게 운영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품/서비스 판매자와 다수의 상품/서비스 공급자를 하나의 플랫폼을 통하여 관리되도록 하여, 특히, 상품/서비스 판매자가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서비스를 쉽게 소싱(sourcing)할 수 있게 하고, 기타 쇼핑몰을 쉽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that supports the oper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links with multiple product/service providers to obtain product/service information in advance, thereby providing integrated services through a single platform, including the opening of an online shopping mall, product/service sourcing, sales, delivery, and customer management, thereby enabling an online shopping mall operator to conveniently operate an online shopping mall. In particula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product/service sellers and multiple product/service providers through a single platform, thereby enabling product/service sellers to easily source the products/services they wish to sell and allowing other shopping malls to easily operate, thereby enhancing user convenience.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일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나열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련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related art)가 본 명세서로부터 이해하거나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적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으로부터 이해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The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specific examples of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listed above. For example, a person with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may understand or derive various technical effects from this specification. Accordingly, the specific effects of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explicitly described herein, but may include various effects that can be understood or derived from the technical features of this specification.

이하의 도면은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도면에 기재된 구체적인 장치의 명칭이나 구체적인 신호/메시지/필드의 명칭은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이 이하의 도면에 사용된 구체적인 명칭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지원 시스템에서 엔터티들 간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지원 플랫폼에서 운영 상품 목록의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지원 플랫폼에서 '홈 상품 관리' 화면의 일 예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지원 플랫폼에서 도 4의 상품 추가 버튼의 클릭에 의하여 진입된 '상품 추가' 화면의 일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지원 플랫폼에서 전시/메뉴 관리의 하위 구성인 '전시 관리(기획전) 추가'의 상세 화면의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지원 플랫폼이 모바일 환경에서 구현된 일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을 지원하기 위한 서버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전자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exampl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names of specific devices and the names of specific signals/messages/fields depicted in the drawings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names used in the drawings.
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online shopping mall support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flow between entities in an online shopping mall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of a list of operating products in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ample of a 'home product management' screen in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ample of an 'Add Product' screen entered by clicking the Add Product button of FIG. 4 in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ample of a detailed screen of 'Add exhibition management (planned exhibition)', which is a sub-component of exhibition/menu management in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ample of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in a mobile environment.
Figure 8 describes the operation of a server for supporting an online shopping m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rather to encompas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to designate simila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sole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could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could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Furthermore,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tervening. Conversely,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tervening.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indicate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th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ir meanings with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technology,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Before proceeding with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should be clarified that the division of components in this specification is merely based on the primary function each component is responsible for. In other words, two or more components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a single component, or a single component may be further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with more specific functions.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Furthermore, each component described below may, in addition to its primary function,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assigned to other components. Furthermore, some of the primary functions assigned to each component may be dedicated to other components. Therefore, the existence of each component describ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functionally.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A 및/또는 B(A and/or B)"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A, B 또는 C(A, B or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A or B" can mean "only A," "only B," or "both A and B." In other words, as used herein, "A or B" can be interpreted as "A and/or B." For example, as used herein, "A, B or C" can mean "only A," "only B," "only C," or "any combination of A, B and C."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슬래쉬(/)나 쉼표(comma)는 "및/또는(and/or)"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는 "A, B 또는 C"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a slash (/) or a comma can mean "and/or." For example, "A/B" can mean "A and/or B." Accordingly, "A/B" can mean "only A," "only B," or "both A and B." For example, "A, B, C" can mean "A, B, or C."

본 명세서에서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and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또는 B(at least one of A or B)"나 "적어도 하나의 A 및/또는 B(at least one of A and/or B)"라는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A 및 B(at least one of A and B)"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As used herein, “at least one of A and B” may mean “only A,” “only B,” or “both A and B.” Additionally, as used herein, the expressions “at least one of A or B” or “at least one of A and/or B” may be interpreted as equivalent to “at least one of A and B.”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at least one of A, B and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A, B 또는 C(at least one of A, B or C)"나 "적어도 하나의 A, B 및/또는 C(at least one of A, B and/or C)"는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at least one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dditionall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least one of A, B and C” may mean “only A”, “only B”, “only C”, or “any combination of A, B and C”. Additionally, “at least one of A, B or C” or “at least one of A, B and/or C” may mean “at least one of A, B and C”.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일반적으로, 본 출원에서 개시되는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은, 예를 들면, 범용 컴퓨팅 시스템, 서버-클라이언트 컴퓨팅 시스템, 소비자-상인 컴퓨팅 시스템, 메인프레임 컴퓨팅 시스템,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infrastructure), 전화 컴퓨팅 시스템, 랩톱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폰, 셀룰러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태블릿 컴퓨터,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이한 디바이스 및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그 다수의 상이한 디바이스 및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 및 컴퓨팅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와 다른 저장 장치, 서버, 및 추가 컴포넌트, 예를 들면, 프로세서, 모뎀, 단말 및 디스플레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알고리즘,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및 다른 컴퓨터 관련 컴포넌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및 컴퓨터 시스템 및/또는 컴퓨팅 인프라는 본 출원에서 개시되는 바와 같은 시스템 및 방법의 기능 및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프로그래밍 되고, 적응된다. In general, th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disclosed in this application may include, and may be implemented within, a number of different devices and computer systems, including, for example, general-purpose computing systems, server-client computing systems, consumer-merchant computing systems, mainframe computing systems, cloud computing infrastructures, telephone computing systems, laptop computers, desktop computers, smart phones, cellular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tablet computers, and other mobile devices. The devices and computing systems may include one or more databases and other storage devices, servers, and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processors, modems, terminals and displays, computer-readable media, algorithms, modules and applications, and other computer-related components. The devices and computer systems and/or computing infrastructure are configured, programmed, and adapted to perform the functions and processes of the systems and methods disclosed in this application.

또한, 후술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인공지능, 즉,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을 컴퓨터가 인공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 인공지능의 인공적인 학습이 가능 한 지능은 머신 러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머신 러닝의 일종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단계로 깊은 수준까지 내려가 학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딥 러닝은 단계를 높여가면서 데이터로부터 핵심적인 데이터를 추출하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의 집합을 나타낼 수 있다. 딥러닝 구조는 인공신경망(AN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딥러닝 구조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BN(deep belief network) 등 심층신경망(DNN)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딥러닝 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딥러닝 구조는 CNN, RNN, DB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NN은, 자연어 처리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시계열 데이터(time-series data) 처리에 효과적인 구조로 매 순간마다 레이어를 쌓아 올려 인공신경망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DBN은 딥러닝 기법인 RBM(Restricted Boltzman Machine)을 다층으로 쌓아 구성되는 딥러닝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RBM 학습을 반복하여, 일정 수의 레이어가 되면 해당 개수의 레이어를 가지는 DBN을 구성할 수 있다. CNN은 사람이 물체를 인식할 때 물체의 기본적인 특징들을 추출되는 다음 뇌 속에서 복잡한 계산을 거쳐 그 결과를 기반으로 물체를 인식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사람의 뇌 기능을 모사한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공신경망의 학습은 주어진 입력에 대하여 원하는 출력이 나오도록 노드간 연결선의 웨이트(weight)를 조절(필요한 경우 바이어스(bias) 값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은 학습에 의해 웨이트(weight) 값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의 학습에는 역전파(back propagation)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perform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or AI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refers to a computer artificially implementing human learning, reasoning, and perception abilities. The intelligence that enables artificial learning of AI can be implemented through machine learning. Specifically, deep learning, a type of machine learning, can include a process of learning by going down to a deep level in multiple stages based on data. Deep learning can refer to a set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at extract core data from data by increasing the level. A deep learning structure can include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nd for example, a deep learning structure can be composed of a deep neural network (DNN) such a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or a deep belief network (DBN). A deep learning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various known structures. For example, a deep lear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 CNN, an RNN, a DBN, etc. RNNs are widely used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are effective for processing time-series data that changes over time. They can be constructed by stacking layers at each moment to form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structure. DBNs can include a deep learning structure composed of multiple layers of Restricted Boltzmann Machines (RBMs), a deep learning technique. By repeatedly training RBMs, a DBN with a certain number of layers can be constructed. CNNs can include a model that mimics human brain function,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when humans recognize objects, they extract the object's basic features, then perform complex calculations in the brain to recognize the object based on the results. Meanwhile, artificial neural networks learn by adjusting the weight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if necessary, adjusting bias values) to produce the desired output for a given input. Furthermore, artificial neural networks can continuously update weight values through learning. Furthermore, methods such as backpropagation can be used for artificial neural network learning.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지원 시스템을 설명한다. Below, an online shopping mall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online shopping mall support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쇼핑몰 지원 시스템(100)은 판매자 단말(110), 온라인 쇼핑몰 지원 서버(120)(이하 '서버'로 약칭될 수 있다.) 및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공급자 단말(130-1 내지 130-n)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online shopping mall support system (100) may include a seller terminal (110), an online shopping mall support server (120) (hereinafter, may be abbreviated as 'server'), and at least one product supplier terminal (130-1 to 130-n).

판매자는 쇼핑몰을 개설하고 해당 쇼핑몰에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거나 판매하는 개인(또는 법인)으로 일종의 소매 상인이 될 수 있다. 상품 공급자는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판매자에게 공급하는 개인(또는 법인)이 될 수 있으며, 일종의 도매 상인이 될 수 있다. A seller is an individual (or corporation) who opens a shopping mall and sells or intends to sell products there. They can be considered a type of retailer. A product supplier can be an individual (or corporation) who supplies products and/or services to a seller, and can be considered a type of wholesaler.

상기 판매자 단말(110)은 복수 개가 가능하지만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가 도시되었다. 여기서, 판매자 단말(110) 및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공급자 단말(130-1 내지 120-n)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구동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톱 및 PC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일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서버(12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bove seller terminal (110) may be multiple,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one is illustrated in FIG. 1. Here, the seller terminal (110) and at least one product supplier terminal (130-1 to 120-n) may be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laptops, and PCs capable of running software programs,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120) via a network, either wired or wirelessly, and may perform at least one operation related to the online shopping m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서버(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 단말(11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공급자 단말(130-1 내지 130-n)과 관련된 쇼핑몰 지원 업무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을 지원하는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버(120)는 온라인 쇼핑몰의 지원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버(120)는 상품 공급자 단말(130-1 내지 130-n)과 직접 연동하여 상품 공급자가 공급하는 상품의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판매자에게 상품에 대한 소싱을 간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120) may be an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operations for shopping mall support tasks related to a seller terminal (110) and/or at least one product supplier terminal (130-1 to 130-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a comprehensive service that supports the oper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20) may provide a platform for supporting the online shopping mal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20) may directly connect with the product supplier terminals (130-1 to 130-n) to obtain information on products supplied by the product supplier in advance, and based on this, may provide the seller with a simple user interface for sourcing products.

한편, 이하에서 '상품'은 '서비스'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또한, 이하에서 '판매자 단말'은 편의상 '판매자'로 약칭될 수 있고, '상품 공급자 단말'은 '상품 공급자' 또는 '공급자'로 약칭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지원을 위한 플랫폼'은 '쇼핑몰 플랫폼', 또는 '플랫폼'으로 약칭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erm "product" is used hereinafter as a concept encompassing "service." Furthermore, for convenience, "seller terminal" may be abbreviated as "seller," and "product supplier terminal" may be abbreviated as "product supplier" or "supplier." Furthermore, "platform for supporting online shopping malls" may be abbreviated as "shopping mall platform" or "platform."

쇼핑몰 플랫폼에 기반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본 개념은 다음과 같다.The basic concep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a shopping mall platform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본 개념은 상품/서비스(이하 '상품'으로 통칭한다.)를 판매/제공(이하 '판매'로 통칭한다.)하는 판매자가 복잡한 사항들을 직접 입력하지 않고 몇 번의 클릭으로 온라인 쇼핑몰을 쉽게 개설할 수 있게 하고, 이후 쇼핑몰 운영의 전체 과정을 하나의 사업자가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나의 사업자가 운용할 수 있는) 서버는 다수의 상품 공급자들과 판매자들을 함께 연동한다. 이를 통하여 서버는 판매자가 원하는 상품이 다수의 상품 공급자들로부터 쉽게 소싱(sourcing)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버는 판매자를 위한 상품의 소싱 단계 이후에도, 상품 판매, 배송 관리 및 고객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지원한다.The basic concep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sellers who sell/provid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ales") products/service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roducts") to easily open an online shopping mall with a few clicks without having to manually enter complex information, and to have a single business operator handle the entire shopping mall operation process thereafter. To this end, a server (operable by the single business operator) connects multiple product suppliers and sellers. Through this, the server enables sellers to easily source desired products from multiple product suppliers. Furthermore, the server comprehensively supports product sales, delivery management, and customer service even after the product sourcing stage for sellers.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서버는 다수의 상품 공급자들과 연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는 다수의 상품 공급자들이 공급하는 상품들의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해당 상품의 판매를 위한 상품 판매 정보(예: 상품 주문 페이지)를 미리 생성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can interact with multiple product suppliers. This allows the server to obtain information about products supplied by multiple product suppliers in advance and, based on this information, generate product sales information (e.g., a product order page) for the sale of those products.

또한, 서버는 상기 상품들의 정보 및/또는 상기 상품 판매 정보에 기초하여 판매자의 판매할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상품 선택 정보를 다양한 분류 기준(예: 상품 카테고리, 상품명/브랜드명 등)으로 생성하고 이를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는 제공된 상품 선택 정보로부터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 방식과 같이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이용하여 몇 번의 클릭(또는 터치)만으로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서버는 이렇게 선택된 상품과 해당 상품의 상품 판매 정보를 상기 판매자의 온라인 쇼핑몰에 자동으로 등록한다.Additionally, the server may generat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and/or product sales information, using various classification criteria (e.g., product category, product name/brand name, etc.) for selecting products for sale by the seller, and provide this information to the seller. The seller can select desired products with just a few clicks (or touches) using a simple user interface (UI), such as drag and drop, from the provided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The server automatically registers the selected products and their sales information on the seller's online shopping mall.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서버는 다수의 상품 공급자들과 연동하여, 판매자에게 상품 소싱 서비스를 매우 쉽게 제공할 수 있고, 상품 공급자들과 연동에 기초하여 상품 판매, 배송 관리 및 고객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That is,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can very easily provide a product sourcing service to a seller by linking with a plurality of product suppliers, and can comprehensively support product sales, delivery management, and customer service based on linking with product suppliers.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본 개념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Based on the basic concep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지원 시스템에서 엔터티들 간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flow between entities in an online shopping mall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버(12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몰 지원 플랫폼이 구축된 것으로 가정된다.It is assumed that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on the server (120).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20)는 상품 공급자들(130-1 내지 130-n)로부터 상품 정보(공급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를 획득할 수 있다(S205, S210). 서버(120)는 획득한 상품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품 별 상품 판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20). 상기 상품 판매 정보는 해당 상품의 가격, 세부 상품 정보 등을 포함하는 소비자에게 제공될 정보이다. Referring to FIG. 2, the server (120) can obtain product information (which may include supplier information) from product suppliers (130-1 to 130-n) (S205, S210). Based on the obtained product information, the server (120) can generate product-specific sales information (S220). The product sales information is information provided to consumers, including the price of the product, detailed product information, etc.

한편, 판매자(110)는 서버(120)에 구축된 쇼핑몰 지원 플랫폼에 로그인하고(S230), 쇼핑몰 지원 플랫폼 내의 특정 메뉴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자신의 쇼핑몰에서 판매하기 위한 상품의 추가를 요청할 수 있다(S240). 상기 상품 추가의 요청은 상품의 카테고리(예: 전자 제품, 가구, 식품 등) 또는 특정 상품명(예: 노트북, 사과 등) 및/또는 특정 브랜드(예: 삼성전자, 애플 등) 별로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ller (110) logs into the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built on the server (120) (S230) and may request the addition of products for sale in his or her shopping mall from at least one specific menu within the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S240). The request for product addition may be made by product category (e.g., electronics, furniture, food, etc.), specific product name (e.g., laptop, apple, etc.), and/or specific brand (e.g., Samsung Electronics, Apple, etc.).

서버(120)는 상기 상품 추가의 요청에 대응하여, 판매자가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품 선택 정보를 생성하고(S250), 상품 선택 정보를 판매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S260).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adding the above product, the server (120) can generat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S250) so that the seller can select the product, and provide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seller (110) (S260).

여기서 상품 선택 정보는 해당 상품의 상품 정보와, 해당 상품의 상품 판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Her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produ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and product sales information of the product.

또한, 상품 선택 정보는 상품의 아이콘을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하는 방식 또는 상품의 '선택' 버튼 및 '확인'(또는 '적용') 버튼을 클릭(또는 터치)하는 방식과 같은 미리 설정된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판매자는 하나의 화면 또는 하나의 연속 화면에서 일괄적으로 원하는 상품을 간단히 선택할 수 있다. Additionally,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eset user interface (UI), such as by dragging and dropping product icons or by clicking (or touching) the "Select" and "Confirm" (or "Apply") buttons. Using this UI, sellers can easily select desired products in bulk on a single screen or in a series of screens.

또한, 상품 선택 정보는 판매자(110)의 상품 추가의 요청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추가의 요청이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요청된 것이면, 상품 선택 정보는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상품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품 추가의 요청이 특정 상품명 및/또는 특정 브랜드의 상품을 포함하면, 상기 상품 선택 정보는 요청된 상품명 및/또는 브랜드에 해당하는 상품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in response to a seller's (110) request to add a product. For example, if the request to add a product is based on a product category,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products belonging to that category. As another example, if the request to add a product includes products of a specific product name and/or brand,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products belonging to the requested product name and/or brand.

판매자(110)는 상품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품의 정보를 서버(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S270).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판매자(110)의 상품 선택은 상품의 '선택' 버튼과 '확인'(또는 '적용') 버튼을 클릭(또는 터치)하거나, 상품의 아이콘을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하여 장바구니에 넣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판매자(110)는 하나의 화면, 또는 하나의 연결 화면에서 원하는 상품을 일괄적으로 선택하여 상품을 소싱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연결 화면이란 예를 들어, 선택 가능한 상품의 개수가 100개일 때 100개의 상품을 모니터의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하나의 화면에 20개의 상품들이 표시되도록 하고, 5개의 연결된 화면들에서 전체 100개의 상품들이 표시된 화면들을 말한다. The seller (110) can select the desired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product to the server (120) (S270).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selection by the seller (110) can be performed by clicking (or touching) the 'Select' button and the 'Confirm' (or 'Apply') button of the product, or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product icon to add it to the shopping cart. Accordingly, the seller (110) can source the products by selecting the desired products in bulk on one screen or one connected screen. Here, one connected screen means a screen where,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selectable products is 100, 20 products are displayed on one screen because it is difficult to display all 100 products on one monitor screen, and a total of 100 products are displayed on 5 connected screens.

판매자의 상품 선택을 수신하면, 서버(120)는 선택된 상품과 선택된 상품의 상품 판매 정보를 판매자의 쇼핑몰에 등록한다(S280). Upon receiving the seller's product selection, the server (120) registers the selected product and product sales information of the selected product in the seller's shopping mall (S280).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서버(120)에는 쇼핑몰 지원의 종합 서비스를 위한 쇼핑몰 지원 플랫폼이 구축된다. 또한, 서버(120)는 구축된 플랫폼 상에서, 판매자가 필요한 상품을 하나의 화면 또는 하나의 연결 화면에서 일괄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상품의 '선택' 버튼과 '확인'(또는 '적용') 버튼을 클릭(또는 터치)하거나, 상품의 아이콘을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하여 장바구니에 넣는 방식과 같이 직관적이고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판매자에게 제공하며, 판매자는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상품을 쉽게 소싱할 수 있다. In this way,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for comprehensive shopping mall support services is built on the server (120). In addition, the server (120) provides sellers with an intuitive and simple user interface (UI) on the built platform, such as by clicking (or touching) a product's 'select' button and a 'confirm' (or 'apply') button, or by dragging and dropping a product icon to add it to a shopping cart, so that sellers can select the products they need all at once on a single screen or a single connected screen. Sellers can easily source the products they want using this UI.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지원 플랫폼의 주요 구성을 설명한다.Below,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online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쇼핑몰을 운영하고자 하는 판매자는 쇼핑몰 지원 플랫폼에 접속하여 회원에 가입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쇼핑몰 지원 플랫폼은 판매자가 자신의 쇼핑몰에서 판매할 상품을 쉽게 소싱하고, 쇼핑몰을 관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메뉴 화면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ellers wishing to operate a shopping mall can access the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register as a member, and log in. The platform can provide various menu screens and user interfaces to help sellers easily source products to sell on their online store and manage their online store.

상기 쇼핑몰 관리를 위한 메뉴는, 일 예로, 구매자의 주문 상품을 관리하기 위한 '주문 관리', 해당 쇼핑몰에서 판매 중인 상품의 관리를 위한 '운영상품 목록', 해당 쇼핑몰의 디자인 설정을 위한 '디자인 설정', 홈 화면에서 상품 진열 등의 설정을 위한 '홈 화면 관리', 해당 쇼핑몰의 특정 기획전의 관리를 위한'전시/메뉴 관리, 해당 쇼핑몰에서 발행하는 쿠폰의 관리를 위한 '쿠폰 관리', 해당 쇼핑몰의 회원 관리를 위한 '회원 현황', 해당 쇼핑몰의 수익금 등의 정산을 위한 '마이몰 정산', 해당 쇼핑몰의 게시판의 관리를 위한 '게시판 관리' 및 기타 쇼핑몰의 설정을 위한 '마이몰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메뉴들의 내용이 설명된다.The menu for managing the above shopping mall may include, for example, an 'order management' menu for managing products ordered by buyers, a 'list of operating products' menu for managing products being sold in the shopping mall, a 'design setting' menu for setting the design of the shopping mall, a 'home screen management' menu for setting product display on the home screen, an 'exhibition/menu management' menu for managing specific special exhibitions of the shopping mall, a 'coupon management' menu for managing coupons issued by the shopping mall, a 'member status' menu for managing members of the shopping mall, a 'my mall settlement' menu for settling profits of the shopping mall, a 'bulletin board management' menu for managing the bulletin board of the shopping mall, and a 'my mall setting' menu for setting other shopping mall settings. The contents of the above menus are described below.

상기 '주문 관리'메뉴와 관련하여,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문 관리'메뉴는 하위 메뉴로서'주문 목록'과 '취소/반품/교환 목록'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는 주문 목록 화면(미도시)을 통하여 주문일자, 주문 상품명, 주문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대화 상자에 입력하고 검색하여 해당 주문의 현재 상태(입금대기, 주문대기, 주문완료, 배송 준비중, 배송완료, 구매확정)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는 취소/반품/교환 목록 화면(미도시)에서 주문일자, 주문 상품명, 주문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대화 상자에 입력하고 검색하여 해당 주문의 취소/반품/교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With respect to the above 'Order Management' menu, in one embodiment, the 'Order Management' menu may include 'Order List' and 'Cancellation/Return/Exchange List' menus as submenus. The seller may check the current status of the corresponding order (awaiting payment, awaiting order, order completed, preparing for delivery, delivery completed, purchase confirmed) by entering at least one of the order date, order product name, and order number into a dialog box and searching through the order list screen (not shown). In addition, the seller may check the cancellation/return/exchange status of the corresponding order by entering at least one of the order date, order product name, and order number into a dialog box and searching through the cancellation/return/exchange list screen (not show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지원 플랫폼에서 운영 상품 목록의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of a list of operating products in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판매자는 운영 상품 목록(300)에서 자신의 쇼핑몰에서 현재 운영중인 상품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판매자는 운영 상품 목록(300)에서 운영 상품의 상품명, 상품 번호, 카테고리, 정상 가격, 판매 가격, 판매 시 수익, 운영 상태, 판매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Sellers can check the list of products currently being sold in their online store from the list of products in operation (300). For example, sellers can check the product name, product number, category, regular price, sale price, sales profit, operating status, sales status, etc. of the products in operation from the list of products in operation (300).

상기 '디자인 설정' 메뉴와 관련하여, 일 실시예에서, 판매자는 디자인 설정 화면(미도시)에서 자신의 쇼핑몰 화면의 색상, 로고, 커버 이미지 등을 설정하여 자신의 쇼핑몰을 꾸밀 수 있다.In relation to the above 'Design Settings' menu, in one embodiment, the seller can decorate his/her shopping mall by setting the color, logo, cover image, etc. of his/her shopping mall screen in the design settings screen (not shown).

상기 '홈 화면 관리'와 관련하여, 일 실시예에서, '홈 화면 관리'메뉴는 하위 메뉴인 '홈 상품 관리'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In relation to the above ‘Home Screen Management’, in one embodiment, the ‘Home Screen Management’ menu may include a ‘Home Product Management’ menu as a submenu.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지원 플랫폼에서 '홈 상품 관리' 화면의 일 예이다.FIG. 4 is an example of a 'home product management' screen in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판매자는 홈 상품 관리 화면(400)을 통하여 홈 화면에서의 상품 진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면 구성 방식(410)에서 상품 목록 또는 고급 진열 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 상품 진열 방식(420)에서 한 개씩 출력 또는 한 줄에 두 개씩 출력할 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는 상품(430)에서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미리 설정된 개수까지 추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판매자는 상품 추가 버튼(440)을 클릭하여 상품 추가를 위한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Sellers can configure product display settings on the home screen through the home product management screen (400). Specifically, they can select a product list or advanced display mode in the screen layout (410), and choose whether to display products one at a time or two per line in the product display mode (420). Furthermore, sellers can add desired products up to a preset number in the product (430) section. To do so, sellers can click the product addition button (440) to access the product addition screen.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지원 플랫폼에서 도 4의 상품 추가 버튼(440)의 클릭에 의하여 진입된 '상품 추가' 화면(500)의 일 예이다.FIG. 5 is an example of an 'add product' screen (500) entered by clicking the add product button (440) of FIG. 4 in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품 추가 화면(500)에는 '카테고리별 인기상품' 버튼(510) 또는 '상품별, 브랜드검색' 버튼(520)이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product addition screen (500) includes a ‘Popular products by category’ button (510) or a ‘Product, brand search’ button (520).

판매자는 두 개의 버튼들(510, 520)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하는 버튼의 메뉴에서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의 예는 '카테고리별 인기상품' 버튼(510)이 선택된 경우이다. 즉, 이 경우 카테고리 별로 상품이 정렬되고, 판매자는 자신이 원하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미리 설정된 개수(예: 3개)까지 선택할 수 있다. Sellers can select a desired product from the menu of one of two buttons (510, 520). The example in Fig. 5 illustrates the case where the "Popular Products by Category" button (510) is selected. In this case, products are sorted by category, and sellers can select up to a preset number of product categories (e.g., three).

판매자가 카테고리를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카테고리들에 포함되는 상품들이 표시된다. 판매자는 표시된 상품들 중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상품 적용' 버튼(530)이 클릭되면, 선택된 상품들이 판매자의 쇼핑몰에서 판매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상품들이 판매자의 쇼핑몰에 자동으로 업로드되고, 해당 상품의 상품 정보(=상품 주문 페이지)가 판매자의 쇼핑몰에 자동으로 등록될 수 있다. As the seller selects a category, products within the selected categories are displayed. The seller can select the desired products from the displayed list. When the "Apply Selected Products" button (530) is clicked, the selected products are automatically applied for sale on the seller's online store. Specifically, the selected products are automatically uploaded to the seller's online store, and the product information (=product order page) for the selected products is automatically registered on the seller's online store.

한편, 판매자는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때, 해당 상품의 판매 가격을 책정할 수 있다(540). 이렇게 판매자가 해당 상품의 판매 가격을 책정하면, 쇼핑몰 지원 플랫폼은 상품 판매 결과에 따라 판매 금액 및/또는 수익 금액을 자동으로 정산하고 정산 결과를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seller selects a desired product, they can set the selling price for that product (540). Once the seller sets the selling price, the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automatically calculates the sales amount and/or profit based on the product sales results and provides the seller with the settlement results.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판매자가 필요한 상품을 하나의 화면 또는 하나의 연결 화면에서 일괄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상품의 '선택' 버튼과 '확인'(또는 '적용') 버튼을 클릭(또는 터치)하거나, 상품의 아이콘을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하여 장바구니에 넣는 방식과 같이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가 판매자에게 제공된다. 이를 통하여 판매자는 원하는 상품을 쉽게 소싱할 수 있다.In this way,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llers are provided with a preset user interface (UI) that allows them to select desired products in bulk on a single screen or a single linked screen. This allows them to do so by clicking (or touching) the "Select" and "Confirm" (or "Apply") buttons for each product, or by dragging and dropping product icons into a shopping cart. This allows sellers to easily source desired products.

상기 '전시/메뉴 관리'메뉴와 관련하여, 일 실시예에서, 전시/메뉴 관리'메뉴는 하위 메뉴인 '전시 관리(기획전) 추가'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In relation to the above 'Exhibition/Menu Management' menu, in one embodiment, the 'Exhibition/Menu Management' menu may include a sub-menu, 'Add Exhibition Management (Special Exhibition)' menu.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지원 플랫폼에서 전시/메뉴 관리의 하위 구성인 '전시 관리(기획전) 추가'의 상세 화면의 일 예이다.FIG. 6 is an example of a detailed screen of 'Add exhibition management (planned exhibition)', which is a sub-component of exhibition/menu management in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판매자는 '전시 관리(기획전) 추가' 화면(600)을 통하여 메뉴 및 배너 등에 연결할 상품 기획전 및 상품 전시 페이지를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매자는 전시/기획전 이름(601)을 설정할 수 있고, 해당 전시/기획전에 대한 설명(603)을 기재할 수 있고, 전시/기획전 사용여부(605)를 선택할 수 있고, 화면 구성 방식(607)과 상품 진열 방식(609)을 선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seller can add product special exhibitions and product display pages to be linked to menus and banners through the 'Exhibition Management (Special Exhibition) Addition' screen (600). Specifically, the seller can set the exhibition/special exhibition name (601), enter a description (603) of the exhibition/special exhibition, select whether to use the exhibition/special exhibition (605), and select the screen composition method (607) and product display method (609).

또한, 판매자는 상품 추가 버튼(611)을 클릭하여 전시/기획전을 위한 상품을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는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품의 '선택' 버튼과 '확인'(또는 '적용') 버튼을 클릭(또는 터치)하거나, 상품의 아이콘을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하여 장바구니에 넣는 방식과 같이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이용하여 원하는 상품을 소싱할 수 있다.Additionally, sellers can add products for exhibitions/promotions by clicking the Add Product button (611). Here, sellers can source desired products using a preset user interface (UI), such as by clicking (or touching) the "Select" and "Confirm" (or "Apply") buttons for products, as described in FIG. 5, or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product icon into the shopping cart.

상기 '주문 관리'메뉴와 관련하여, 일 실시예에서, 판매자는 쿠폰 관리 화면(미도시)을 통하여 자신의 쇼핑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는 쿠폰 명을 설정하고, 해당 쿠폰의 유형을 선택하고, 할인 혜택을 설정하고, 쿠폰이 적용될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는 쿠폰의 발급 방식, 쿠폰 발급 기간, 쿠폰 유효 기간의 설정, 쿠폰 노출 여부의 선택, 쿠폰의 발급 수량의 설정, 쿠폰의 1인당 발급 제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Regarding the "Order Management" menu mentioned above, in one embodiment, a seller can manage coupons available for use in their online store through a coupon management screen (not shown). For example, the seller can set a coupon name, select the coupon type, set a discount benefit, and select the products to which the coupon will be applied. Additionally, the seller can configure the coupon issuance method, coupon issuance period, coupon expiration date, coupon display, coupon issuance quantity, and whether to limit coupon issuance per person.

상기 '회원 현황'메뉴와 관련하여, 일 실시예에서, 판매자는 회원 현황 화면(미도시)을 통하여 자신의 쇼핑몰에 가입한 회원들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In relation to the above 'Member Status' menu, in one embodiment, the seller can check the list of members registered in his/her shopping mall through the member status screen (not shown).

상기 '마이몰 정산' 메뉴와 관련하여, 일 실시예에서, 판매자는 자신의 쇼핑몰에서 판매된 상품에 대한 수익(정산금액)을 일별, 주별 또는 월별로 조회하고, 상세 정산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In relation to the above 'My Mall Settlement' menu, in one embodiment, the seller can check the revenue (settlement amount) for products sold in his/her shopping mall on a daily, weekly or monthly basis and check detailed settlement details.

상기 '게시판 관리' 메뉴와 관련하여, 일 실시예에서, 판매자는 게시판을 통한 공지 사항을 작성할 수 있고, 구매자들의 상품 리뷰를 확인할 수 있다.In relation to the above 'Bulletin Board Management' menu, in one embodiment, the seller can create notices through the bulletin board and check product reviews from buyers.

상기 '마이몰 설정' 메뉴와 관련하여, 일 실시예에서, 판매자는 자신의 쇼핑몰의 기본 정보(쇼핑몰의 이름 및 주소)를 설정할 수 있고, 쇼핑몰의 부운영자를 관리할 수 있다. In relation to the above 'My Mall Settings' menu, in one embodiment, the seller can set the basic information of his/her shopping mall (shopping mall name and address) and manage the shopping mall's sub-operators.

한편, 지금까지 설명된 쇼핑몰 지원 플랫폼은 모바일 환경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described so far can be implemented in a similar manner in a mobile environment.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지원 플랫폼이 모바일 환경에서 구현된 일 예이다.Figure 7 is an example of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in a mobile environment.

앞서 도 5에서 판매자는 자신의 쇼핑몰에서 판매할 상품을, 카테고리 별 또는 상품명/브랜드명으로 검색된 상품들 중에서 선택하고 적용 버튼(530)을 클릭하였다. In FIG. 5 above, the seller selected a product to be sold in his or her shopping mall from among products searched by category or product name/brand name and clicked the apply button (530).

도 7은 스마트폰과 같은 판매자의 단말 장치에서 판매자가 쇼핑몰 지원 플랫폼을 통하여 상품 선택을 수행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Figure 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seller performs product selection through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on a seller's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phone.

일 예로, 판매자가 화면(710)에서 'MyWishShop'이라고 기재된 버튼(또는 아이콘)을 터치하면, 판매 가능한 상품들의 카테고리들이 포함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서 상품들의 카테고리들은 'Instant food(721)', 'Bakery(722)', 'Fashion(723)', 'Fresh Food(724)' 및 'Candy & Snack(725)'가 예시된다. 판매자는 상기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터치하여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품들이 표시된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판매자가 'Fashion(723)' 카테고리를 터치한 것으로 예시된다. For example, when a seller touches a button (or icon) labeled "MyWishShop" on the screen (710), a screen containing categories of products available for sale may be displayed. In FIG. 7, product categories are exemplified as "Instant Food (721)", "Bakery (722)", "Fashion (723)", "Fresh Food (724)", and "Candy & Snack (725)". A seller may touch one of the categories to enter a screen displaying products within that category. In FIG. 7, the seller touches the "Fashion (723)" category.

이후 판매자는 진입된 카테고리의 화면에서 필요한 상품들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상품은 자동으로 판매자의 쇼핑몰에서 선택된 상품들이 판매자의 쇼핑몰에서 판매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적용된다. 즉, 선택된 상품들이 판매자의 쇼핑몰에 업로드되고 해당 상품의 상품 판매 정보(=상품 주문 페이지)가 자동으로 등록된다. Afterwards, sellers can select the desired products from the screen for the selected category. The selected products will automatically be applied to the seller's online store, allowing them to be sold there. This means the selected products will be uploaded to the seller's online store, and their sales information (=product order page) will be automatically registered.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도, 판매자가 필요한 상품을 하나의 화면에서 일괄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상품의 '선택' 버튼(또는 아이콘) 및 '적용(또는 확인)' 버튼(또는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또는 상품의 아이콘을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 방식과 같이,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상품 선택 화면이 판매자에게 제공된다. 이에 의하여 판매자는 간단한 선택 방식을 사용하여 원하는 상품을 쉽게 소싱할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a mobile environment, a product selection screen is provided to sellers via a preset user interface, such as by touching the "Select" button (or icon) and the "Apply (or Confirm)" button (or icon) for the product, or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product icon, allowing sellers to select the desired products simultaneously on a single screen. This allows sellers to easily source desired products using a simple selection metho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을 지원하기 위한 서버의 동작을 설명한다.Figure 8 describes the operation of a server for supporting an online shopping m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지원 플랫폼을 구축한 것으로 가정된다. It is assumed that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uilt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공급자로부터 상품 공급자가 공급하는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810). Referring to FIG. 8, the server can obtain product information on products supplied by a product supplier from at least one product supplier (S810).

이후, 서버는 획득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판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820). 상기 상품 판매 정보는 해당 상품의 가격, 세부 상품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품 소비자에게 제공될 정보이다. Thereafter, the server can use the acquired product information to generate product sales information (S820). This product sales information is information provided to product consumers, including the product's price, detailed product information, etc.

서버는 쇼핑몰 지원 플랫폼을 통하여 판매자로부터 상품 추가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830).The server can receive a request to add a product from a seller through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S830).

상품 추가의 요청을 수신한 서버는 상품 추가의 요청에 대응한 상품 선택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판매자에게 제공한다(S840). 여기서 상품 선택 정보는 해당 상품의 상품 정보와, 해당 상품의 상품 판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Upon receiving a request to add a product, the server generates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and provides it to the seller (S840).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roduct information and product sales information for the product.

또한, 상품 선택 정보는 판매자가 필요한 상품을 하나의 화면 또는 하나의 연결 화면에서 일괄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상품의 '선택' 버튼과 '확인'(또는 '적용') 버튼을 클릭(또는 터치)하거나, 상품의 아이콘을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하여 장바구니에 넣는 방식과 같이 미리 설정된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의 형태로 판매자에게 제공된다. In addition,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sellers in the form of a preset user interface (UI), such as by clicking (or touching) the 'Select' button and the 'Confirm' (or 'Apply') button for the product, or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product icon to add it to the shopping cart, so that sellers can select the products they need in bulk on one screen or one connected screen.

또한, 상품 선택 정보는 판매자의 상품 추가의 요청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추가의 요청이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요청된 것이면, 상품 선택 정보는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상품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품 추가의 요청이 특정 상품명 및/또는 특정 브랜드의 상품을 포함하면, 상기 상품 선택 정보는 요청된 상품명 및/또는 브랜드에 해당하는 상품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in response to a seller's request to add a product. For example, if the request to add a product is based on a product category,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products within that category. Alternatively, if the request to add a product includes products of a specific product name and/or brand,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product name and/or brand.

이후, 서버는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850). 이때, 판매자는 앞서 설명된 것처럼 원하는 상품의 '선택' 버튼 및 '확인'(또는 '적용') 버튼을 클릭하거나, 또는 상품의 아이콘을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하여 장바구니에 옮기는 등 미리 설정된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Afterwards, the server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S850). At this time, the seller can select the desired product by clicking the "Select" and "Confirm" (or "Apply") buttons for the desired product as described above, or by using a preset user interface, such as dragging and dropping the product icon to move it to the shopping cart.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의 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선택된 상품과 해당 상품의 상품 판매 정보(=상품 주문 페이지)를 판매자의 쇼핑몰에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S860). The server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can automatically register the selected product and product sales information (=product order page) of the product in the seller's shopping mall (S860).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버에는 쇼핑몰 지원 종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쇼핑몰 지원 플랫폼이 구축된다. 구축된 플랫폼 상에서, 판매자가 필요한 상품을 하나의 화면 또는 하나의 연결 화면에서 일괄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상품의 '선택' 버튼과 '확인'(또는 '적용') 버튼을 클릭(또는 터치)하거나, 상품의 아이콘을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하여 장바구니에 넣는 방식과 같이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가 판매자에게 제공된다. 판매자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쉽게 선택할 수 있고, 서버는 선택된 상품이 판매자의 쇼핑몰에서 판매될 수 있도록 상품 판매 정보를 자동으로 등록하여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이 쉽게 소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is built on the server to support comprehensive shopping mall support services. On this platform, sellers are provided with a user interface (UI) using preset methods, such as clicking (or touching) the "Select" and "Confirm" (or "Apply") buttons for each product, or dragging and dropping product icons into a shopping cart, to enable them to select the products they need simultaneously on a single screen or a single linked screen. Sellers can easily select products they wish to sell using this interface, and the server automatically registers product sales information so that the selected products can be sold on the seller's shopping mall, facilitating easy sourcing of the products selected by the seller.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전자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Figure 9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서버의 전자 장치(900)는 통신부(910) 및 프로세서(920) 및 저장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electronic device (900) of the server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910), a processor (920), and a storage unit (930).

저장부(930)는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미리 구축된 쇼핑몰 지원 플랫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쇼핑몰 지원 플랫폼에 필요한 정보들, 예를 들어, 상품 공급자의 상품 정보('공급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가 쇼핑몰 지원 플랫폼을 통하여 온라인 쇼핑몰을 관리하기 위하여 입력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930) can store a pre-built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to provide comprehensive services for online shopping malls. Furthermore, it can stor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such as product information from product suppliers (which may include "supplier information") and information entered by sellers to manage online shopping malls through the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통신부(910)는 외부 엔터티, 특히, 판매자 또는 상품 공급자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9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의 개설 및 운영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910) can perform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external entities, particularly sellers or product suppliers.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910) can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통신부(910)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공급자로부터 상품 공급자가 공급하는 상품들의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910)는 쇼핑몰 지원 플랫폼을 통하여 판매자로부터 상품 추가의 요청을 수신하고, 이후에는 판매자로부터 상품 선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910) may obtain product information on products supplied by at least one product supplier.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unit (910) may receive a request to add a product from a seller via the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and subsequently receive a request to select a product from the seller.

프로세서(9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전자 장치(9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여 쇼핑몰 지원 플랫폼을 이용하여 쇼핑몰 개설 및 운영을 지원한다. The processor (920) controls the electronic device (900) of the ser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upport the opening and operation of a shopping mall using a shopping mall support platform.

예를 들어, 프로세서(920)는 통신부(910)를 통해 획득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판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상품 판매 정보는 해당 상품의 가격, 세부 상품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품 소비자에게 제공될 정보이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920) can generate product sales information using produc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910). The product sales information i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product consumers, including the price of the product, detailed product information, etc.

또한, 프로세서(920)는 통신부(910)를 통하여 상품 추가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품 추가의 요청에 대응한 상품 선택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부(910)를 통하여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request for adding a product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910), the processor (920) can generat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for adding a product and provide it to the sell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910).

여기서 상품 선택 정보는 판매자가 필요한 상품을 하나의 화면 또는 하나의 연결 화면에서 일괄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상품의 '선택' 버튼과 '확인'(또는 '적용') 버튼을 클릭(또는 터치)하거나, 상품의 아이콘을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하여 장바구니에 넣는 방식과 같이 직관적이고 간단한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의 형태로 판매자에게 제공된다. Her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sellers in the form of a user interface (UI) in an intuitive and simple preset manner, such as by clicking (or touching) the 'Select' button and the 'Confirm' (or 'Apply') button of a product, or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product icon to add it to the shopping cart, so that sellers can select the products they need in bulk on one screen or one connected screen.

또한, 상품 선택 정보는 판매자의 상품 추가의 요청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추가의 요청이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요청된 것이면, 상품 선택 정보는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상품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품 추가의 요청이 특정 상품명 및/또는 특정 브랜드의 상품을 포함하면, 상기 상품 선택 정보는 요청된 상품명 및/또는 브랜드에 해당하는 상품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in response to a seller's request to add a product. For example, if the request to add a product is based on a product category,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products within that category. Alternatively, if the request to add a product includes products of a specific product name and/or brand,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product name and/or brand.

한편, 프로세서는 통신부(910)를 통하여 상품 선택 요청을 수신하면, 선택된 상품과 상품 판매 정보(=상품 주문 페이지)를 판매자의 쇼핑몰에 등록한다.Meanwhile, when the processor receives a product selection reques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910), it registers the selected product and product sales information (=product order page) in the seller's shopping mall.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기존의 쇼핑몰 지원 서비스에서는 상품 소싱 단계에서 판매자에게 간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상품 소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고 하여도, 판매자가 필수적으로 입력하여야 하는 정보가 많고, 이미지를 등록할 때 크기가 제한되는 등 판매자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판매자가 다수의 필수 입력 정보를 직접 입력해야 하고, 상품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불편한 경우가 많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Existing shopping mall support services do not provide sellers with a convenient user interface during the product sourcing stage. Furthermore, even if a user interface for product sourcing exists, it often presents inconveniences for sellers, such as requiring sellers to enter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nd having image size restrictions when registering images. Furthermore, sellers must manually enter a large amount of required information, and the user interface for product registration is often inconveni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쇼핑몰의 개설 및 운영에 있어서, 상품/서비스를 소싱하기 위하여 판매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매우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판매자가 직접 입력해야 하는 항목이 거의 없어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pening and operating a shopping mall, the user interface provided to a seller for sourcing products/services is very simple and intuitive, and there are few items that the seller must directly input, so user convenience can be greatly improved.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은 상기 전자 장치 이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됨을 기초로 하는 명령어(instruction)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게 연결되고, 및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을 수행하는,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장치(apparatus)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s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also be performed by an apparatus configured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which comprises, in addi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at least on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based on being execu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and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executable by the one or more processors and storing the instructions, wherein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the instructions to perform the methods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청구항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laims set forth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combin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method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may be combined and implemented as a device,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device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may be combined and implemented as a method. Furthermor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method claim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device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may be combined and implemented as a device,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method claim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device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may be combined and implemented as a method.

Claims (15)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공급자가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온라인 쇼핑몰 운영의 지원을 위하여 미리 구성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품 추가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품 선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품 선택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In the method of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oper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A step of receiving produc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roduct supplied by at least one product supplier;
A step of generating product sales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A step of receiving a request to add a product from a seller terminal through a pre-configured online platform to support the oper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A step of generating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duct information and the above product sales information; and
An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tep of providing the generated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sell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과,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에 관한 상품 판매 정보를 상기 판매자의 쇼핑몰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A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a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using a user interface in a preset manner based on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and
An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register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and product sales information regard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in the seller's shopping ma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은, 상품의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 방식, 또는, 상품의 선택 버튼과 확인/적용 버튼의 클릭/터치 방식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In the second paragraph,
An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above preset method includes one of a drag and drop method for a product icon or a click/touch method for a product selection button and a confirmation/apply butt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의 정보는,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하여 상기 판매자가 책정한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In the second paragraph,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is: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price information set by the seller for a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추가의 요청은,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또는 상품의 명칭/브랜드 별로 수행되고,
상기 상품 선택 정보는, 상기 상품 추가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상품의 명칭/브랜드 별로 구성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Requests to add the above products are made by product category or by product name/brand.
The abov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is configured by category of the above product or by name/brand of the above product, in response to a request to add the above product, and the method of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공급자가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온라인 쇼핑몰 운영의 지원을 위하여 미리 구성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품 추가의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품 선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품 선택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In electronic devices that support the operation of online shopping malls,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produc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roduct supplied by at least one product supplier and receives a request for adding a product from a seller terminal through a pre-configured online platform to support the oper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an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processor that generates product sales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es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roduct information and the product sales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generated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sell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품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과,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에 관한 상품 판매 정보를 상기 판매자의 쇼핑몰에 등록하는, 전자 장치.
In paragraph 6,
The abov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using a user interface in a preset manner based on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The above processor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registers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and product sales information regard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in the seller's shopping mal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은, 상품의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 방식, 또는, 상품의 선택 버튼과 확인/적용 버튼의 클릭/터치 방식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In paragraph 7,
An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above preset method includes one of a drag and drop method for the product icon, or a click/touch method for the product selection button and the confirmation/apply butt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의 정보는,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하여 상기 판매자가 책정한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In paragraph 7,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includes price information set by the seller for a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추가의 요청은,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또는 상품의 명칭/브랜드 별로 수행되고,
상기 상품 선택 정보는, 상기 상품 추가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상품의 명칭/브랜드 별로 구성되는, 전자 장치.
In paragraph 6,
Requests to add the above products are made by product category or by product name/brand.
The abov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organized by product category or by product name/brand in response to a request to add the above product.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공급자가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온라인 쇼핑몰 운영의 지원을 위하여 미리 구성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품 추가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품 선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품 선택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mputer instructions that,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supports the oper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an operation, wherein the operation is:
A step of receiving produc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roduct supplied by at least one product supplier;
A step of generating product sales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A step of receiving a request to add a product from a seller terminal through a pre-configured online platform to support the operation of an online shopping mall;
A step of generating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duct information and the above product sales information; and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omprising a step of providing the generated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seller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상품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과,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에 관한 상품 판매 정보를 상기 판매자의 쇼핑몰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In the 11th paragraph, the operation is:
A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a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using a user interface in a preset manner based on th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and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register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and product sales information regard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in the seller's shopping mal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은, 상품의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 방식, 또는, 상품의 선택 버튼과 확인/적용 버튼의 클릭/터치 방식 중 하나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In Article 12,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wherein the preset method includes one of a drag and drop method for a product icon, or a click/touch method for a product selection button and a confirmation/apply butt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의 정보는,
상기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하여 상기 판매자가 책정한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In paragraph 12,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 selected by the seller is: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ontaining price information set by the seller for products selected by the sell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추가의 요청은,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또는 상품의 명칭/브랜드 별로 수행되고,
상기 상품 선택 정보는, 상기 상품 추가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상품의 명칭/브랜드 별로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In Article 11,
Requests to add the above products are made by product category or by product name/brand.
The above product selection information is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organized by product category or by product name/brand, in response to a request to add the above product.
KR1020240025071A 2024-02-21 2024-02-21 An electronic device of a server providing a total service for managing an online shopping mall and operatiing method thererof Pending KR202501286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5071A KR20250128626A (en) 2024-02-21 2024-02-21 An electronic device of a server providing a total service for managing an online shopping mall and operatiing method therer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5071A KR20250128626A (en) 2024-02-21 2024-02-21 An electronic device of a server providing a total service for managing an online shopping mall and operatiing method therer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128626A true KR20250128626A (en) 2025-08-28

Family

ID=96914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5071A Pending KR20250128626A (en) 2024-02-21 2024-02-21 An electronic device of a server providing a total service for managing an online shopping mall and operatiing method therer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12862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30743B2 (en) actionable widget cards
US11010802B2 (en) Real-time internet capable device information interchange for coordinated queuing at locations
CN111164950B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segmentation as a service
US10109003B1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enhancing privacy
US20080154738A1 (en) Interactive marketplace infrastructure
CA2995355C (en) Order management and processing using a distributed commerce platform
US10740809B2 (en) Transactional, digital image-based asynchronous electronic communication
JP7122286B2 (en) Decision device, decision method and decision program
US10380675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manipulation of dynamically assembled ecommerce web pages
CN118822671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5760262B (en) Systems and methods for e-commerce checkout with lazy loading of checkout options
US11568435B2 (en) Intelligent and interactive shopping engine
US20130304611A1 (en) Price Notification and/or Adjustment System in a Web-Based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US20240124403A1 (en) Actionable widget cards
KR20250128626A (en) An electronic device of a server providing a total service for managing an online shopping mall and operatiing method thererof
KR102358790B1 (en)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management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o support company operation
AU20172683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impulse product shelves in online shopping platforms
AU2017101327A4 (en)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configured to enable generation of real-time response offers for delivery to client devices in response to query data via hybrid technology including rules-based process and bespoke generation process
KR102864229B1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payment of order request
US20220237675A1 (en) Managing online order item quantities
US20070011325A1 (en) Protocol mediation for adaptation in semantic web services
WO2019098820A1 (en) A system for operating an electronic platform
US202500457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on management including special pricing determination
US20240354822A1 (en) Proxy processor for data feeds
JP2025122173A (en) How to get profile views on instant messaging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