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66321A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flow of simutaneous editing oper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flow of simutaneous editing ope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66321A KR20250066321A KR1020230152184A KR20230152184A KR20250066321A KR 20250066321 A KR20250066321 A KR 20250066321A KR 1020230152184 A KR1020230152184 A KR 1020230152184A KR 20230152184 A KR20230152184 A KR 20230152184A KR 20250066321 A KR20250066321 A KR 202500663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ent
- mode
- command
- server
- proces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2—Program synchronisation; Mutual exclusion, e.g. by means of semaphor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181—Instruction operation extension or modification
- G06F9/30189—Instruction operation extension or modification according to execution mode, e.g. mode fla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동시편집 명령의 전송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흐름 제어 방법은 현재의 동시편집의 세션에서 제1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를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세션에 참여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클라이언트인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되어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의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의 전달을 보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보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flow of concurrent editing commands are disclosed. In one embodiment, the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may include the steps of: receiving at least one first command generated in a first client in a current concurrent editing session from the first client; determining a mode of the first client as one of a first mode and a second mode; transmitting and synchronizing at least one second command generated in a second client, which is at least one other client participating in the session, and received from the second client when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first mode; withholding transmission of the at least one second command to the first client when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second mode; and transmitting and synchronizing the withheld at least one second command to the first client when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Description
아래의 설명은 동시편집 명령의 전송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flow of concurrent editing commands.
동시편집 명령(operation)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로 로컬을 먼저 갱신하고 이후 서버를 갱신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일례로, 클라이언트 a와 클라이언트 b가 동일한 대상에 대한 편집을 시도할 때, 클라이언트 a는 자신의 변경을 제1 로컬에 적용한 후 변경에 대한 제1 명령을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 b는 자신의 변경을 제2 로컬에 적용한 후 변경에 대한 제2 명령을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서버는 제2 명령을 클라이언트 a로, 제1 명령을 클라이언트 b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a는 제2 명령을 제1 로컬에 적용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 b는 제1 명령을 제2 로컬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로컬과 제2 로컬 모두에서 제1 명령 및 제2 명령이 적용될 수 있다.There is a technique for processing simultaneous editing operations, in which the local is updated first and then the server is updated. For example, when client A and client B attempt to edit the same object, client A applies its changes to the first local and then generates a first command for the changes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and client B applies its changes to the second local and then generates a second command for the changes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At this time, the server can transmit the second command to client A and the first command to client B, respectively. In this case, client A can apply the second command to the first local, and client B can apply the first command to the second local. Therefore, the first command and the second command can be applied to both the first local and the second local.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수신된 명령의 적용으로 인하여 임계 동작(critical action)에 대한 완료 보장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임계 동작은 완료하기 전에 다른 동작을 수행하면 오류가 발생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어나 중국어 입력 시, 클라이언트 a가 로마자로 발음을 입력하는 중간에 클라이언트 b가 클라이언트 a의 입력 중간을 편집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a의 제1 로컬에서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클라이언트 a가 파일 업로드 시에 클라이언트 b가 해당 파일을 수정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a의 제1 로컬에서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클라이언트 a가 문서에 대한 드래그앤드롭 작업 시 클라이언트 b가 해당 문서를 변경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a의 제1 로컬에서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these prior arts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completion of critical actions due to the application of received commands. A critical action may mean an action that causes an error if another action is performed before completion. For example, when inputting Japanese or Chinese, if client B edits client A's input while client A is inputting pronunciation in Roman letters, an error may occur in client A's first local. As another example, if client B modifies a file when client A uploads a file, an error may occur in client A's first local. As yet another example, if client B modifies a document when client A performs a drag-and-drop operation on a document, an error may occur in client A's first local.
[선행문헌번호][Prior literature number]
한국등록특허 제10-1750429호Korean Patent No. 10-1750429
동시편집 명령의 전송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flow of simultaneous editing commands are provid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서버의 전송 흐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시편집의 세션에서 제1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를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세션에 참여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클라이언트인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되어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의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의 전달을 보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보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 흐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flow of a server implemented by a computer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or,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t least one first command generated by a first client in a session of simultaneous editing from the first client; determin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 mode of the first client as one of a first mode and a second mode; transmitt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t least one second command generated by a second client, which is at least one other client participating in the session, and received from the second client to the first client for synchronization when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first mode; withhold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ransmission of the at least one second command to the first client when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second mode; and transmitt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at least one held second command to the first client for synchronization when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모드는 임의의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명령을 전달하는 푸쉬(push) 및 서버가 다른 클라이언트의 명령을 상기 임의의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풀(pull)이 모두 허용되는 푸쉬풀(pushPull)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푸쉬는 허용되나 상기 풀이 보류되는 푸쉬온니(pushOnly)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first mode may include a pushPull mode in which both a push in which an arbitrary client transmits a command to a server and a pull in which a server transmits a command from another client to the arbitrary client are permitted, and the second mode may include a pushOnly mode in which the push is permitted but the pull is withheld.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과 함께 전달되는 모드 식별자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모드 식별자는 상기 제1 모드를 나타내는 값 및 상기 제2 모드를 나타내는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determining step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through a mode identifier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at least one first command, and the mode identifier includes one of a value indicating the first mode and a value indicating the second mod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송 흐름 제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세션에 참여한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수신한 명령의 수를 나타내는 제1 서버 시퀀스,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명령의 수를 나타내는 클라이언트 시퀀스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를 위한 제2 서버 시퀀스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버 시퀀스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에 전달된 마지막 명령이 반영된 시점의 제1 서버 시퀀스의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manag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 first server sequence indicating a number of commands received from clients participating in the session, a client sequence indicating a number of commands received from the first client, and a second server sequence for the first client, wherein the second server sequence may include a value of the first server sequence at a time when the last command transmitted is reflected when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first mod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송 흐름 제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수신함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시퀀스 및 상기 제2 서버 시퀀스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transmitt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client sequence and the second server sequence to the first client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at least one first command from the first client.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생성한 명령의 수를 나타내는 클라이언트 시퀀스 및 상기 서버가 전달하는 상기 제2 서버 시퀀스가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client sequence indicating the number of commands generated by the first client and a second server sequence transmitted by the server are managed.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송 흐름 제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의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의 전달을 보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보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ransmitting and synchronizing the at least one first command to the second client when the mode of the second client is the first mode; and a step of,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holding transmission of the at least one first command to the second client when the mode of the second client is the second mode; and a step of,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holding transmission of the at least one first command to the second client when the mode of the second client is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명령과 함께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모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tep of transmitting and synchronizing the at least one second command held in the above-mentioned state to the first clien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step of receiving, from the first client, a mode identifier indicating a mode of the first client together with at least one third command generated by the first client; and the step of determining, based on the received mode identifier, whether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provided for executing the above method on the computer device by being combined with a computer device.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 method on a computer device is provided.
컴퓨터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현재의 동시편집의 세션에서 제1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를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세션에 참여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클라이언트인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되어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의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의 전달을 보류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보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A computer device is provided,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implemented to execute instructions readable by a comput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uter device receives,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t least one first command generated by a first client in a current concurrent editing session from the first client, determines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as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nd if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first mode, transmits to the first client at least one second command generated by a second client, which is at least one other client participating in the session, and received from the second client, and synchronizes the same, and if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second mode, transmits to the first client the at least one second command that is suspended, and if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transmits to the first client the suspended at least one second command.
동시편집 명령의 전송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flow of a simultaneous editing command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원격 편집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드 별 동시편집의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흐름 제어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mpute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 remote editing proces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7 are drawings illustrating examples of a process of simultaneous editing for each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시편집 명령의 전송 흐름을 제어하는 전송 흐름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전송 흐름 제어 시스템을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시편집 명령의 전송 흐름을 제어하는 전송 흐름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전송 흐름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A transmission flow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flow of a simultaneous editing comman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t least one computer device. At this time, 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nd run on a computer device implementing the transmission flow control system, and the computer device may perform a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flow of a simultaneous editing comman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run computer program. The above-described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o as to be combined with a computer device and cause the computer to execute the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environment of FIG. 1 represents an example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140), a plurality of servers (150, 160), and a network (170). This FIG. 1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invention, and th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or servers is not limited to that of FIG. 1.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140) may be fixed terminals or mobile terminals implemented as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140) include smart phones, mobile phones, navigation devices, computers, laptop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tablet PCs, game consoles, wearable devices,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s, VR (Virtual Reality) devices, AR (Augmented Reality) devices, etc. For example, in FIG. 1, the electronic device (110) is shown in the shape of a smartphone, but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device (110) may actually mean one of various physical computer systems that can communicate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120, 130, 140) and/or servers (150, 160) through a network (170) using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and may include not only a communication method that utilizes a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d Internet, a wireless Internet, a broadcasting network, a satellite network, etc.) that the network (170) may include, but als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For example, the network (170)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network such as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campus area network (C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 broadband network (BBN), and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network (170)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network topology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bus network, a star network, a ring network, a mesh network, a star-bus network, a tree, or a hierarchical network.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서버(160) 역시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150)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검색 서비스 등)를 제1 서비스로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6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배포하는 서비스를 제2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Each of the servers (150, 16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device or multiple computer devices that communicate with multiple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140) through a network (170) to provide commands, codes, files, contents, services, etc. For example, the server (150) may be a system that provides a first service to multiple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140) connected through a network (170), and the server (160) may also be a system that provides a second service to multiple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140) connected through a network (170).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server (150) may provide a service (e.g., a search service, etc.) intended by the application as a first service to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140) through an application as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and operated on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140). 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160) may provide a service of distributing a file for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to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140) as a second ser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mpu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140) or servers (150, 160)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by the computer device (200) illustrated in FIG. 2.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The computer device (200) may include a memory (210), a processor (220), a communication interface (230), and an input/output interface (240), as illustrated in FIG. 2. The memory (210) may be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may includ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disk drive. Here, the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s such as the ROM and the disk drive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er device (200) as a separate permanent storage device distinct from the memory (210). In addition, the memory (210) may store an operating system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210) from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y (210). The separat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CD-ROM drive, a memory card, etc. In another embodiment, th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210) via a communication interface (230) other tha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th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210) of the computer device (200) based on a computer program that is installed by files received over a network (170).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22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instruction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basic arithmetic, logic, and input/output operations. The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processor (220) by the memory (210) or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30). For example, the processor (220)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instructions received according to program code stored in a storage device such as the memory (210).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230) may provide a function for the computer device (200)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for example, the storage devices described above) via the network (170). For example, requests, commands, data, files, etc. generated by the processor (220) of the computer device (200) according to program codes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memory (210) may be transmitted to other devices via the network (170) under the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30). Conversely, signals, commands, data, files, etc. from other devices may be received by the computer device (200) via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30) of the computer device (200) via the network (170). Signals, commands, data, etc. received via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30)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220) or the memory (210), and files, etc.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the permanent storage device described above) that the computer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input/output interface (240) may be a means for interfacing with an input/output device (250).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microphone, a keyboard, or a mouse, and the out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display or a speaker. As another example, the input/output interface (240) may be a means for interfacing with a device that integrates input and output functions into one, such as a touch screen. The input/output device (25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device with the computer device (200).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Also, in other embodiments, the computer device (200) may include fewer or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of FIG. 2.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explicitly illustrate most of the conventional components. For example, the computer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input/output devices (250) described above, or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such as a transceiver, a database, etc.
종래기술에서는 서버에 있는 모든 명령(operation)이 바로 클라이언트에 적용되었다. 이때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푸쉬(push),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다른 클라이언트의 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풀(pull)이라 명명한다. 이때, 모든 시각에 외부 명령이 전달되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임계 동작(critical action)의 완료를 보장하기 어렵다.In the prior art, all commands (operations) in the server were applied directly to the client. At this time, the client sending a command to the server is called push, and the server sending another client's command to the client is called pull. At this time, since external commands can be sent and applied at any time, it is difficult for the client to guarantee the completion of critical action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명령을 전달받을 때, 푸쉬풀(pushPull) 모드와 푸쉬온니(pushOnly) 모드의 두 가지 모드를 두어 동시편집 명령의 전송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푸쉬풀 모드는 기존과 동일하게 명령에 대한 푸쉬와 풀이 모두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반면 푸쉬온니 모드는 명령에 대한 푸쉬만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임계 동작에 진입하는 경우에 모드를 푸쉬풀 모드에서 푸쉬온니 모드로 전환하여 이후 클라이언트가 외부 명령의 동작을 무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가 임계 동작에서 진출하는 경우에 푸쉬온니 모드를 푸쉬풀 모드로 다시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임계 동작의 완료를 보장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lient receives a command from a server, the transmission flow of a simultaneous editing command can be controlled by setting two modes, a pushPull mode and a pushOnly mode. At this time, the pushPull mode can mean a state in which both pushing and pulling of a command are possible, as in the past. On the other hand, the pushOnly mode can mean a state in which only pushing of a command is possible.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lient enters a critical operation, the mode can be switched from the pushPull mode to the pushOnly mode, so that the client can ignore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command thereafter, and when the client exits the critical operation, the pushOnly mode can be switched back to the pushPull mode, thereby ensuring the completion of the critical operation of the client.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원격 편집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운스트림 시 서버(Server, 310)가 명령을 로컬로 전송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서버(310)는 클라이언트(Client, 320)의 전송 모드를 확인한 후, 명령을 클라이언트(3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320)의 전송 모드가 푸쉬풀 모드인 경우, 서버(320)는 외부 명령(일례로, 다른 클라이언트의 명령)을 클라이언트(32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클라이언트(320)의 전송 모드가 푸쉬온니 모드인 경우, 서버(320)는 빈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빈 명령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클라이언트(320)는 전송 받은 명령을 루트(Root, 330)에 적용하고, 서브스크라이브 함수(Doc.Subscribe())를 호출하여 명령을 외부 에디터(External Editor, 340)에 반영시킬 수 있다. 일례로, 루트(330)는 문서와 같은 편집의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만약, 클라이언트(320)의 전송 모드가 푸쉬온니 모드인 경우라면, 빈 명령이 반영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임계 동작 진입 도중에 다른 클라이언트의 명령이 반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mote edi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a server (Server, 310) locally transmits a command in a downstream. First, the server (310) can check the transmission mode of the client (Client, 320) and then transmit a command to the client (320). At this time, if the transmission mode of the client (320) is a push-pull mode, the server (320) can transmit an external command (for example, a command of another client) to the client (320). On the other hand, if the transmission mode of the client (320) is a push-only mode, the server (320) can transmit an empty command. The empty comm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At this time, the client (320) can apply the received command to the root (Root, 330) and call the subscribe function (Doc.Subscribe()) to reflect the command to the external editor (External Editor, 340). For example, the root (330) can be included in the target of editing, such as a document. If the transmission mode of the client (320) is a push-only mode, since an empty command is refle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mmand of another client from being reflected during the entry of a critical operation.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드 별 동시편집의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FIGS. 4 to 7 are drawings illustrating examples of a process of simultaneous editing for each mo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클라이언트 A(Client A, 410)가 명령을 생성하여 서버(310)로 전달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4에서 CP(n, m)는 현재의 동시편집 세션에서 클라이언트들이나 서버(310)가 생성 및/또는 전달받은 명령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n'은 클라이언트 시퀀스(ClientSeq)로 해당 클라이언트가 현재의 동시편집 세션에서 생성한 명령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m'은 서버 시퀀스(ServerSeq)로 서버(310)가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전달받은 명령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CP(0, 0)는 아직 클라이언트 A(410)가 생성한 명령의 수가 0이며, 서버(310)가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전달받은 명령의 수 또한 0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푸쉬온니 모드의 도입에 따라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들에서의 서버 시퀀스는 서버(310)에서의 서버 시퀀스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A(410)는 현재의 동시편집 세션에서 명령 1 및 명령 2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도 4의 실시예에서 점선박스(4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형 안의 숫자 1, 2는 각각 명령 1 및 명령 2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A(410)가 명령 1 및 명령 2의 두 개의 명령을 생성하였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시퀀스는 2(CP(2, 0))가 될 수 있다. 이후 명령 1 및 명령 2를 동기화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A(410)는 생성된 명령 1 및 명령 2를 서버(310)로 전달할 수 있다. 'Sync()'는 클라이언트 A(410)가 서버(310)로 전달하는 동기화 요청일 수 있으며, 'pushPull'은 현재 클라이언트 A(410)가 푸쉬풀 모드에 있음을 서버(310)에 알리기 위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또한, 'changes(2)'는 전달하는 명령의 수가 '2'임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10)는 명령 1 및 명령 2의 두 개의 명령을 수신하였기 때문에 서버(310)에서의 서버 시퀀스는 2가 될 수 있다. 또한, 서버(310)는 클라이언트 A(410)에 대해 클라이언트 시퀀스와 서버 시퀀스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에서 CP(2, 2)는 클라이언트 A(410)에 대한 클라이언트 시퀀스가 2이고, 서버 시퀀스가 2임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서버(310)는 클라이언트 A(410)로 응답으로서 CP(2, 2)와 changes(0)를 전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changes(0)'는 전달할 명령의 수가 0임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A(410)에도 전달된 서버 시퀀스 2가 반영(CP(2, 2))될 수 있다. FIG. 4 shows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Client A (Client A, 410) generates a comm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310), and receives a response. First, CP(n, m) in FIG. 4 may represent the number of commands generated and/or received by clients or the server (310) in the current concurrent editing session. 'n' may represent a client sequence (ClientSeq) and may mean the number of commands generated by the client in the current concurrent editing session. In addition, 'm' may represent a server sequence (ServerSeq) and may mean the number of commands received by the server (310) from the clients. For example, CP(0, 0) in FIG. 4 may mean that the number of commands generated by Client A (410) is still 0, and that the number of commands received by the server (310) from the clients is also 0. Meanwhi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push-only mode, the server sequence in the clients may be different from the server sequence in the server (310). Meanwhile, client A (410) may generate command 1 and command 2 in the current concurrent editing session.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dotted box (420) in the embodiment of FIG. 4, the numbers 1 and 2 in the shape may represent command 1 and command 2, respectively. In this case, since client A (410) generates two commands, command 1 and command 2, the client sequence may be 2 (CP (2, 0)). Thereafter, in order to synchronize command 1 and command 2, client A (410) may transmit the generated command 1 and command 2 to the server (310). 'Sync()' may be a synchronization request that client A (410) transmits to the server (310), and 'pushPull' may be a parameter for notifying the server (310) that client A (410) is currently in push-pull mode. In addition, 'changes(2)' may mean that the number of commands to be transmitted is '2'. In this case, since the server (310) has received two commands, command 1 and command 2, the server sequence in the server (310) may be 2. In addition, the server (310) may set a client sequence and a server sequence for the client A (410). In FIG. 4, CP (2, 2) may mean that the client sequence for the client A (410) is 2 and the server sequence is 2. Thereafter, the server (310) may transmit CP (2, 2) and changes (0) to the client A (410) as a response. As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the above explanation, 'changes (0)' may mean that the number of commands to be transmitted is 0. Thereafter, the server sequence 2 transmitted to the client A (410) may be reflected (CP (2, 2)).
도 5는 도 4의 과정이 종료된 후, 클라이언트 B(Client B, 510)가 명령을 생성하여 서버(310)로 전달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클라이언트 B(510)는 명령 3 및 명령 4를 생성하여 서버(3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B(510)의 클라이언트 시퀀스는 2가 되고, 서버 시퀀스는 0으로 유지(CP(2, 0))될 수 있다. 한편, 서버(310)에서는 명령 3 및 명령 4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서버 시퀀스가 4로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서버(310)는 클라이언트 A(410)로부터 수신한 명령 1과 명령 2를 클라이언트 B(5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서버(310)는 서버 시퀀스 4를 클라이언트 B(510)로 더 전달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B(510)에서 서버 시퀀스가 4(CP(2, 4))로 변경될 수 있다. 서버(310)로부터 전달 받은 명령 1 및 명령 2는 일례로, 도 3에서 설명한 외부 에디터(340)에 반영되어 처리될 수 있다.FIG. 5 shows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after the process of FIG. 4 is completed, Client B (Client B, 510) generates a comm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310), and receives a response thereto. Client B (510) can generate command 3 and command 4, and transmit them to the server (310). At this time, the client sequence of Client B (510) can become 2, and the server sequence can be maintained as 0 (CP (2, 0)). Meanwhile, since the server (310) has received command 3 and command 4, the server sequence can be changed to 4. Thereafter, the server (310) can transmit command 1 and command 2 received from Client A (410) to Client B (510). At this time, the server (310) can further transmit server sequence 4 to Client B (510), and the server sequence in Client B (510) can be changed to 4 (CP (2, 4)). Command 1 and command 2 received from the server (310) can be reflected and processed in the external editor (340) described in FIG. 3, for example.
도 6에서는 클라이언트 A(410)의 모드가 푸쉬풀 모드에서 푸쉬온니 모드로 변경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 A(410)가 임계 동작을 위한 명령 5 및 명령 6을 생성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A(410)의 클라이언트 시퀀스는 명령 5 및 명령 6의 생성에 의해 2에서 4로 변경(CP(4, 2))될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A(410)는 푸쉬온니 모드로 명령 5 및 명령 6을 서버(31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sync(pushOnly)'의 'pushOnly' 파라미터를 통해 서버(310)는 클라이언트 A(410)의 명령 5 및 명령 6이 임계 동작의 완료를 요구함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10)는 서버 시퀀스를 6으로 변경하되, 이를 클라이언트 A(410)에 대해서는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CP(4, 2)). 이후, 서버(310)는 서버 시퀀스가 반영되지 않은 상태(CP(4, 2))로 클라이언트 A(410)에게 응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A(410)에서 서버 시퀀스가 반영되지 않은 상태(CP(4, 2))가 유지될 수 있다.FIG. 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mode of client A (410) is changed from push-pull mode to push-only mode. The embodiment of FIG.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client A (410) generates command 5 and command 6 for a critical operation. At this time, the client sequence of client A (410) may be changed from 2 to 4 (CP (4, 2)) by generating command 5 and command 6. In this case, client A (410) may transmit command 5 and command 6 to server (310) in push-only mode. Through the 'pushOnly' parameter of 'sync(pushOnly)' shown in FIG. 6, server (310) may determine that command 5 and command 6 of client A (410) require completion of a critical operation. In this case, server (310) may change the server sequence to 6, but may not reflect this to client A (410) (CP (4, 2)). Thereafter, the server (310) can respond to client A (410) with a state in which the server sequence is not reflected (CP (4, 2)). Accordingly, the state in which the server sequence is not reflected (CP (4, 2)) can be maintained in client A (410).
도 7에서는 클라이언트 A(410)가 임계 동작을 위한 명령 5 및 명령 6을 모두 처리한 이후에 다시 명령 7 및 명령 8을 생성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명령 7 및 명령 8이 생성되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시퀀스는 6이 될 수 있고, 클라이언트 A(410)는 명령 7 및 명령 8을 서버(310)로 전달하면서 클라이언트 A(410)의 모드가 푸쉬온니 모드에서 푸쉬풀 모드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10)는 두 개의 명령을 더 수신하였기 때문에 서버 시퀀스를 6에서 8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버 시퀀스가 반영된 CP(6, 8)와 함께, 도 5의 과정에서 클라이언트 B(510)로부터 전달된 명령 3 및 명령 4를 클라이언트 A(41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A(410)의 클라이언트 시퀀스는 6, 서버 시퀀스는 8이 될 수 있다. 이처럼, 클라이언트 A(410)는 푸쉬온니 모드를 이용하여 명령 5 및 명령 6의 임계 동작의 완료를 보장받을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B(510)의 명령 3 및 명령 4도 동기화할 수 있다.FIG. 7 shows an example in which client A (410) generates command 7 and command 8 again after processing both command 5 and command 6 for critical operations. Since command 7 and command 8 are generated, the client sequence can be 6, and it can be seen that client A (410) changes its mode from push-only mode to push-pull mode while transmitting command 7 and command 8 to server (310). In this case, since server (310) receives two more commands, it can change the server sequence from 6 to 8, and together with CP (6, 8) reflecting this server sequence, it can transmit command 3 and command 4 transmitted from client B (510) in the process of FIG. 5 to client A (410). Therefore, client sequence of client A (410) can be 6, and server sequence can be 8. In this way, client A (410) can ensure completion of the critical operations of command 5 and command 6 by using the push-only mode, and can also synchronize command 3 and command 4 of client B (510).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흐름 제어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송 흐름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한 서버(310)를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가 도 8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810 내지 86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a computer device (200) implementing the server (310)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processor (220) of the computer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to execute a control instruction according to a code of an operating system included in the memory (210) or a code of at least one computer program. Here, the processor (220) may control the computer device (200) to perform steps (810 to 860) included in the method of FIG. 8 according to a control instruction provided by a code stored in the computer device (200).
단계(81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동시편집의 세션에 참여한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수신한 명령의 수를 나타내는 제1 서버 시퀀스, 세션에 참여한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명령의 수를 나타내는 클라이언트 시퀀스 및 제1 클라이언트를 위한 제2 서버 시퀀스를 관리할 수 있다. 동시편집의 세션은 동일한 대상을 둘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편집 가능한 세션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의 대상은 파일, 데이터, 문서 등 클라이언트들이 접근하여 편집 가능한 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시퀀스와 제2 서버 시퀀스는 앞서 설명한 CP(n, m)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단계(810)에서는 제1 클라이언트에 대한 CP(n, m)을 관리함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동시편집의 세션에 참여한 클라이언트들 각각에 대해 CP(n, m)이 관리될 수 있다. 이때, 제2 서버 시퀀스는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에 전달된 마지막 명령이 반영된 시점의 제1 서버 시퀀스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이 제1 모드의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경우, 제2 서버 시퀀스는 제1 명령이 반영된 시점의 제1 서버 시퀀스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이 제2 모드의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경우, 제1 명령의 이전에 제1 모드의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마지막 명령이 반영된 시점의 제1 서버 시퀀스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810), the computer device (200) can manage a first server sequence indicating the number of commands received from clients participating in the session of simultaneous editing, a client sequence indicating the number of commands received from the first client participating in the session, and a second server sequence for the first client. The session of simultaneous editing can mean a session in which two or more clients can edit the same object simultaneously, and the object here can mean an object that the clients can access and edit, such as a file, data, or document. In addition, the client sequence and the second server sequence can correspond to the CP(n, m)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step (810) only describes managing CP(n, m) for the first client, but in reality, CP(n, m) can be managed for each of the clients participating in the session of simultaneous editing. At this time, the second server sequence can include the value of the first server sequence at the time when the last command transmitted is reflected when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first mode. For example, if at least one first command is received from a first client in the first mode, the second server sequence may include the value of the first server sequence at the time the first command is reflected. On the other hand, if at least one first command is received from a first client in the second mode, the second server sequence may include the value of the first server sequence at the time the last command received from the first client in the first mode prior to the first command is reflected.
단계(82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동시편집의 세션에서 제1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앞서 도 4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는 2 개의 명령을 생성 및 전달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각 클라이언트가 생성 및 전달하는 명령의 수는 1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In step (820), the computer device (200) can receive at least one first command generated by the first client in the session of simultaneous editing from the first client. In the embodiments of FIGS. 4 to 7 above, an example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wo commands has been described, but the number of commands generated and transmitted by each client may be 1 or plural.
단계(83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를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드는 임의의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명령을 전달하는 푸쉬(push) 및 서버(310)가 다른 클라이언트의 명령을 임의의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풀(pull)이 모두 허용되는 푸쉬풀(pushPull)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는 푸쉬는 허용되나 풀이 보류되는 푸쉬온니(pushOnly)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과 함께 전달되는 모드 식별자를 통해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드 식별자는 제1 모드를 나타내는 값 및 제2 모드를 나타내는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앞서 도 4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제1 모드를 나타내는 값인 'pushPull'과 제2 모드를 나타내는 값인 'pushOnly'를 설명한 바 있다.In step (830), the computer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as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Here, the first mode may include a pushPull mode in which both a push in which any client transmits a command to the server and a pull in which the server (310) transmits a command of another client to any client are permitted. In addition, the second mode may include a pushOnly mode in which a push is permitted but a pull is reserved. For example, the computer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through a mode identifier transmitted together with at least one first command. Here, the mode identifier may include one of a value indicating the first mode and a value indicating the second mode.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s of FIGS. 4 to 7, a value of 'pushPull' indicating the first mode and a value of 'pushOnly' indicating the second mode have been described.
단계(84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수신함에 대한 응답으로 클라이언트 시퀀스 및 제2 서버 시퀀스를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되는 클라이언트 시퀀스 및 제2 서버 시퀀스는 제1 클라이언트에 대해 관리되는 CP(n, m)일 수 있다.In step (840), the computer device (200) may transmit a client sequence and a second server sequence to the first client in response to receiving at least one first command from the first client. Here, the client sequence and the second server sequence transmitted to the first client may be CP(n, m) managed for the first client.
단계(85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에 세션에 참여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클라이언트인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되어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제1 모드라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에 의해 제1 클라이언트가 임계 동작으로 진입하지 않았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클라이언트로 다른 클라이언트들의 명령을 전달하여 동기화해도 문제되지 않는다. 이에 컴퓨터 장치(200)는 세션에 참여한 다른 클라이언트인 제2 클라이언트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할 수 있다.In step (850), the computer device (200) can synchronize by transmitting to the first client at least one second command generated by and received from the second client, which is at least one other client participating in the session, when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first mode. The fact that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first mode may mean that the first client has not entered the critical operation due to the at least one first command.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in transmitting and synchronizing commands of other clients to the first client. Accordingly, the computer device (200) can synchronize by transmitting at least one second command of the second client, which is at least one other client participating in the session, to the first client.
단계(86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의 제1 클라이언트로의 전달을 보류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제2 모드라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에 의해 제1 클라이언트가 임계 동작으로 진입하였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한다면, 제1 클라이언트의 임계 동작의 완료를 보장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컴퓨터 장치(200)는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의 전달을 보류할 수 있다.In step (860), the computer device (200) may withhold transmission of at least one second command to the first client if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second mode.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being the second mode may mean that the first client has entered a critical operation by at least one first command. At this time, if at least one second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lient, it becomes difficult to ensure completion of the critical operation of the first client. Therefore, the computer device (200) may withhold transmission of at least one second command if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second mode.
단계(87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보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의 변경은 다음 명령과 함께 전달되는 모드 식별자를 통해 파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제1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명령과 함께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수신된 모드 식별자에 기반하여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제3 명령과 함께 'pushPull'의 값을 갖는 모드 식별자가 수신되는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In step (870), when the computer device (200) is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the computer device (200) can transmit at least one second command that has been held to the first client. At this time, the change in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can be identified through a mode identifier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following command. For example, the computer device (200) can receive a mode identifier indicating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together with at least one third command generated by the first client from the first client. In this case, the computer device (200) can determine whether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based on the received mode identifier. If a mode identifier having a value of 'pushPull' is received together with the third command, the computer device (200) can confirm that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has been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이러한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제1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버(3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서버(310)의 동작은 해당 세션에 참여한 클라이언트들 각각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는 제2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제2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할 수 있다. 이러한 동기화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 단계(850)를 제2 클라이언트에 적용한 예일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장치(200)는 제2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의 제2 클라이언트로의 전달을 보류할 수 있다. 이러한 보류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 단계(860)를 제2 클라이언트에 적용한 예일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장치(200)는 제2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변경된 경우, 보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제2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보류 이후의 동기화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 단계(870)를 제2 클라이언트에 적용한 예일 수 있다. 이처럼, 서버(310)는 세션에 참여한 다수의 클라이언트들 각각에 대해 모드에 따른 동기화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세션에서의 각 클라이언트들의 임계 동작의 완료를 보장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FIG. 8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server (310) for the first client, the operation of the server (310) may also be applied to each of the clients participating in the session. For example, the computer device (200) may synchronize by transmitting at least one first command to the second client when the mode of the second client is the first mode. This synchronization operation may be an example of applying the step (850) described above to the second client. In addition, the computer device (200) may hold the transmission of at least one first command to the second client when the mode of the second client is the second mode. This holding operation may be an example of applying the step (860) described above to the second client. In addition, the computer device (200) may synchronize by transmitting the held at least one first command to the second client when the mode of the second client is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The operation of synchronization after this hold may be an example of applying the step (870) described above to the second client. In this way, the server (310) can ensure completion of the critical operation of each client in the session by performing a synchronization task according to the mode for each of the multiple clients participating in the sess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시편집 명령의 전송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flow of a simultaneous editing command can be provided.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systems or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components,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purpose computers or special-purpose computers,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instructions and responding to them.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alone,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multiple processing elements and/or multiple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multiple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such as parallel processors, are also possible.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which may configure a processing device to perform a desired operation or may,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command the processing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embodied in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for interpretation by the processing device or for providing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mmand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um may be a means for continuously storing a computer-executable program or temporarily storing it for execution or downloading.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various recording means or storage means in the form of a single or multiple hardware combinations, and is not limited to a medium directly connected to a computer system, and may be distributed on a network. Examples of the medium may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ROMs, RAMs, flash memories, etc., configured to store program commands. In addition, examples of other media may include recording media or storage media managed by app stores that distribute applications or other sites, servers, etc. that supply or distribute various softwar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are replaced or substituted by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15)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시편집의 세션에서 제1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를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세션에 참여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클라이언트인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되어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의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의 전달을 보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보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흐름 제어 방법.A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flow of a server implemented by a computer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or,
A step of receiving, by said at least one processor, from said first client at least one first command generated by said first client in a session of simultaneous editing;
A step of determining, by at least one processor,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as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 step of transmitting to the first client,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t least one second command generated by a second client, which is at least one other client participating in the session, and received from the second client when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first mode, to synchronize the first client;
A step of withholding transmission of said at least one second command to said first client by said at least one processor when the mode of said first client is said second mode; and
When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a step of transmitting and synchronizing at least one of the reserved second commands to the first client
A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including:
상기 제1 모드는 임의의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명령을 전달하는 푸쉬(push) 및 서버가 다른 클라이언트의 명령을 상기 임의의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풀(pull)이 모두 허용되는 푸쉬풀(pushPull)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푸쉬는 허용되나 상기 풀이 보류되는 푸쉬온니(pushOnly) 모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흐름 제어 방법.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irst mode includes a push-pull mode in which both a push in which any client transmits a command to the server and a pull in which the server transmits a command from another client to the above-mentioned arbitrary client are allowed.
The second mode includes a pushOnly mode in which the push is allowed but the pull is withheld.
A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by: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과 함께 전달되는 모드 식별자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모드 식별자는 상기 제1 모드를 나타내는 값 및 상기 제2 모드를 나타내는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흐름 제어 방법.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ecision-making steps are:
Determining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through a mode identifier transmitted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ands,
The above mode identifier includes one of a value representing the first mode and a value representing the second mode.
A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by: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세션에 참여한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수신한 명령의 수를 나타내는 제1 서버 시퀀스,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명령의 수를 나타내는 클라이언트 시퀀스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를 위한 제2 서버 시퀀스를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버 시퀀스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에 전달된 마지막 명령이 반영된 시점의 제1 서버 시퀀스의 값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흐름 제어 방법.In the first paragraph,
A step of managing, by at least one processor, a first server sequence indicating the number of commands received from clients participating in the session, a client sequence indicating the number of commands received from the first client, and a second server sequence for the first client.
Including more,
The above second server sequence includes the value of the first server sequence at the time when the last command transmitted is reflected when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first mode.
A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by: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수신함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시퀀스 및 상기 제2 서버 시퀀스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송 흐름 제어 방법.In paragraph 4,
A step of transmitting the client sequence and the second server sequence to the first client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at least one first command from the first client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생성한 명령의 수를 나타내는 클라이언트 시퀀스 및 상기 서버가 전달하는 상기 제2 서버 시퀀스가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흐름 제어 방법.In paragraph 4,
A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 client sequence indicating the number of commands generated by the first client and a second server sequence transmitted by the server are managed.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의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의 전달을 보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보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송 흐름 제어 방법.In the first paragraph,
A step of transmitting and synchronizing at least one first command to the second client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when the mode of the second client is the first mode; and
A step of withholding transmission of said at least one first command to said second client by said at least one processor when the mode of said second client is said second mode; and
A step of transmitting and synchronizing at least one of the reserved first commands to the second client when the mode of the second client is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상기 보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명령과 함께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모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흐름 제어 방법.In the first paragraph,
The step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second commands to the first client and synchronizing them is:
receiving a mode identifier indicating a mode of the first client together with at least one third command generated by the first client from the first client; and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based on the received mode identifier.
A transmission flow control method comprising: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현재의 동시편집의 세션에서 제1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를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세션에 참여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클라이언트인 제2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되어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의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의 전달을 보류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보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At least one processor implemented to execute instructions readable by a computer device
Including,
By at least one processor,
Receiving at least one first command generated by a first client in a current concurrent editing session from said first client,
Determine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as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When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first mode, at least one second command generated by a second client, which is at least one other client participating in the session, and received from the second clien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lient for synchronization,
If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second mode, transmission of at least one second command to the first client is suspended,
When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changes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reserved second commands to the first client for synchronization.
A computer device characterized by:
상기 제1 모드는 임의의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명령을 전달하는 푸쉬(push) 및 서버가 다른 클라이언트의 명령을 상기 임의의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풀(pull)이 모두 허용되는 푸쉬풀(pushPull)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푸쉬는 허용되나 상기 풀이 보류되는 푸쉬온니(pushOnly) 모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In Article 10,
The above first mode includes a push-pull mode in which both a push in which any client transmits a command to the server and a pull in which the server transmits a command from another client to the above-mentioned arbitrary client are allowed.
The second mode includes a pushOnly mode in which the push is allowed but the pull is withheld.
A computer device characterized by: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과 함께 전달되는 모드 식별자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모드 식별자는 상기 제1 모드를 나타내는 값 및 상기 제2 모드를 나타내는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In Article 10,
To determine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by at least one processor,
Determining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through a mode identifier transmitted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ands,
The above mode identifier includes one of a value representing the first mode and a value representing the second mode.
A computer device characterized by: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세션에 참여한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수신한 명령의 수를 나타내는 제1 서버 시퀀스,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명령의 수를 나타내는 클라이언트 시퀀스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를 위한 제2 서버 시퀀스를 관리하고,
상기 제2 서버 시퀀스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에 전달된 마지막 명령이 반영된 시점의 제1 서버 시퀀스의 값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In Article 10,
By at least one processor,
Manage a first server sequence indicating the number of commands received from clients participating in the session, a client sequence indicating the number of commands received from the first client, and a second server sequence for the first client,
The above second server sequence includes the value of the first server sequence at the time when the last command transmitted is reflected when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the first mode.
A computer device characterized by: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의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의 전달을 보류하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보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명령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In Article 10,
By at least one processor,
If the mode of the second client is the first mode, the at least one first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lient for synchronization,
If the mode of the second client is the second mode, transmission of at least one first command to the second client is suspended,
When the mode of the second client is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the at least one first command that has been held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lient for synchronization.
A computer device characterized by:
상기 보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명령을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에 의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명령과 함께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모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In Article 10,
To synchronize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second commands by transmitting them to the first client,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Receive a mode identifier indicating a mode of the first client together with at least one third command generated by the first client from the first client;
Determining whether the mode of the first client is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based on the received mode identifier.
A computer device characterized b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52184A KR20250066321A (en) | 2023-11-06 | 2023-11-06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flow of simutaneous editing ope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52184A KR20250066321A (en) | 2023-11-06 | 2023-11-06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flow of simutaneous editing oper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66321A true KR20250066321A (en) | 2025-05-13 |
Family
ID=9570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52184A Pending KR20250066321A (en) | 2023-11-06 | 2023-11-06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flow of simutaneous editing oper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50066321A (en) |
-
2023
- 2023-11-06 KR KR1020230152184A patent/KR20250066321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408745B1 (en) | Automatically updating a hybrid application | |
AU2019216773B9 (en) | Live-rendered and forkable graphic edit trails | |
EP403334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irror image fil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US10592312B2 (en) | Message oriented middleware with integrated rules engine | |
JP2020119565A (en) |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sharing information in chatroom using application added to platform in messenger | |
CN116886989A (en) | Media content generation methods, devices, electronic devices and storage media | |
JP6587997B6 (en) | Sliding window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time machine function | |
US2023009300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synchronous backend processing of expensive command line interface commands | |
KR20250066321A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flow of simutaneous editing operation | |
WO2023193609A1 (en) | Selective privileged container augmentation | |
KR101088129B1 (en) | Display output control metho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 |
US9852154B2 (en) | Methods for transferring reserves when moving virtual machines across systems | |
CN119225793A (en) | A collaborative edit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CN116319644A (en) | Session menu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13761075B (en) | Method, device,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witching database | |
CN112055057B (en) | A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ynamic expansion of Web system | |
CN116070360A (en) | Synchronization management server, synchronization management system, and synchronization management method | |
KR101827863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 |
KR102728697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ugmented reality of video content | |
US11811878B1 (en) | Session manager providing bidirectional data transport | |
US11297384B2 (en)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creating video based on user-feedbackable bots | |
KR102228375B1 (en) |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multiple streaming contents | |
KR20250094653A (en)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waiting ticket | |
KR2025009271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operations for editing of documents | |
KR20250138415A (en) |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 editing of docu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