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75303A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ymptom in user customized mann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ymptom in user customized man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75303A KR20240175303A KR1020240065071A KR20240065071A KR20240175303A KR 20240175303 A KR20240175303 A KR 20240175303A KR 1020240065071 A KR1020240065071 A KR 1020240065071A KR 20240065071 A KR20240065071 A KR 20240065071A KR 20240175303 A KR20240175303 A KR 202401753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data
- artificial intelligence
- symptoms
- sympto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분류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기초로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method. The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method includes a step of transmitting questionnaire data for classifying a user's mental illness to a user terminal, a step of receiving response data to the questionnair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 step of determining a mental illness code of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data, a step of determin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based on the determined mental illness code of the user, and a step of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using the determ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escription
본 개시는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정신적 또는 심리적 이상을 예측하여 관리하는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that predicts and manages a user's mental or psychological abnormalities.
최근 사회생활에서의 피로감으로 인해 우울증, 공황장애 등의 정신질환을 앓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신질환을 관리하고 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통지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전문 상담사 또는 의사 등에게 진단 결과를 통지하는 것만으로는 사용자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개선하기 어려우며,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진단 결과를 통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Recently, the number of people suffering from mental illnesses such as depression and panic disorder is increasing due to fatigue in social life. Accordingly,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o diagnose the user's condition and notify the diagnosis results as a method for managing and alleviating mental illness. However,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improve the user's condition by only notifying the diagnosis results to a professional counselor or docto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directly notifying the user of the diagnosis results may further worsen the user's unstable psychological state.
본 개시는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및 장치(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method,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a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the computer program, and a device (system).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분류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기초로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performed by at least one process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step of transmitting questionnaire data for classifying a mental illness of a user to a user terminal, a step of receiving response data for the questionnair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 step of determining a mental illness code of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data, a step of determin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predicting the symptoms of the user based on the determined mental illness code of the user, and a step of predicting the symptoms of the user using the determ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변화 및 활동을 나타내는 사용자 데이터 및 사용자의 주변 환경을 나타내는 외부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결정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는 단계는, 인공지능 모델에 사용자 데이터 및 외부 환경 데이터를 입력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managing user-tailored symptom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ceiving user data representing changes in the user's body and activities and external environment data representing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from a user terminal. The step of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using the determ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cludes a step of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by inputting the user data and external environment data in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가전 사용 여부 및 사용 시간을 나타내는 가전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결정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는 단계는, 인공지능 모델에 사용자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및 가전 사용 데이터를 입력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managing user-tailored symptom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ceiving home appliance usage data indicating whether the user uses the home appliance and the usage time from the user terminal. The step of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using the determ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cludes a step of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by inputting user data, external environment data, and home appliance usage data in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모델에 사용자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및 가전 사용 데이터를 입력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는 단계는, 사용자와 연관된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인공지능 모델을 정교화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정교화된 인공지능 모델에 사용자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및 가전 사용 데이터를 입력하여 결정된 생활 패턴에 대응되지 않는 이상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이상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증상 발현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tep of predicting a user's symptoms by inputting user data, external environment data, and home appliance usage data in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cludes a step of refin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learning data associated with the user to determine the user's lifestyle pattern, a step of inputting the user data, external environment data, and home appliance usage data into the ref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extract outlier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determined lifestyle pattern, and a step of predicting whether or not the user's symptoms will occur by using the extracted outliers.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출된 이상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증상 발현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는, 이상치에 대응하는 증상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증상 점수가 제1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증상 발현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step of predicting whether a user's symptoms are expressed by using an extracted outli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step of calculating a symptom score corresponding to the outlier, and a step of predicting whether the user's symptoms are expressed based on whether the calculated symptom sco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threshold.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은, 산출된 증상 점수가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외부 장치로 예측된 증상 발현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step of transmitting message data including data on whether a symptom has been predicted to occur to an external device when the calculated symptom sco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threshold.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은, 응답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증상 발현이 예측되는 경우, 결정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유형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a user's preferred content type based on response data and user data, a step of extracting at least one content based on the determined user's preferred content type when symptom onset is predicted, and a step of transmitting the extracted at least one content to a user terminal.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인공지능 모델에 의해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대응되지 않는 이상치가 추출되는 경우, 이상치가 발생한 시간 구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시간 구간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step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extract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a user terminal includes, when an outlier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user's lifestyle pattern is extracted by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 step of calculating a time interval in which the outlier occurred, and a step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alculated time interval.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술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provided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on a computer.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는, 통신 모듈, 메모리 및 메모리와 연결되고,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분류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기초로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을 결정하고, 결정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a memory, and at least one processor connected to the memory and configured to execute at least one computer-readable program included in the memory. The at least one program includes commands for transmitting questionnaire data for classifying a mental illness of a user to a user terminal, receiving response data for the questionnair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a mental illness code of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data, determin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predicting a symptom of the user based on the determined mental illness code of the user, and predicting the symptom of the user using the determ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연관된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발생 가능한 증상을 미리 예측하고, 증상을 안정시키기 위한 콘텐츠를 우회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불안정한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omputing device can utiliz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predict possible symptoms in advance by utilizing various data associated with a user, and indirectly provide content to stabilize the symptoms, thereby stabilizing an unstable state of the user.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것만으로,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omputing device can effectively determine a user's mental illness code for providing a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service simply by receiving a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data.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증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적절한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사용자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omputing device can alleviate a user's symptoms in a natural manner by extracting and providing appropriate content that can draw the user's attention without providing the user with direct information about the symptoms.
본 개시에 따른 효과들은 상술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컴퓨팅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설문 데이터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콘텐츠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에 대응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주고받는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외부 장치가 사용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주고받는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multiple user terminals using a customized symptom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connected to a computing device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nd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questionnaire data o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content being displayed o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mputing device and a user terminal exchanging data and/or information necessary to determin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orresponding to a user's mental illness co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mputing device, a user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exchanging data and/or information necessary to alleviate a user's symptom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customized symptom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것이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exemplary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used with a meaning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technician engaged in the fiel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etc.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특정한 경우,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that the applicant has arbitrarily selected,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relevant description section. Accordingly, 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is disclosure,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수형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comprise" a certain element, it is intended that other elements may be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Furthermore, the singular forms used herein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Furthermore, the expression "at least one of a, b, and/or c"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can encompass "a alone," "b alone," "c alone," "a and b," "a and c," "b and c," or "all of a, b, and c."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해당 용어로 지칭되는 구성요소로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으며, 제2 구성요소 또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Meanwhile, 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is is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component referred to by the term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module”,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 configuration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Thes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numbers of hardware or/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execute specific function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employ direct circuit configurations such as memory, processing, logic, look-up tables, etc. that may execute various functions under the control of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other control devices.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에서, 인공지능과 관련된 기능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CPU(Center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Graphic Processing Unit), VPU(Vision Processing Unit)와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및 NPU(Neural network Processing Unit)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인 경우,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는 특정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일부 실시 예에서, 인공지능과 관련된 기능은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 function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cessor and a memory. At this time, the processor may be any one of a general-purpose processor such as a CPU (Center Processing Unit), an AP (Application Processor), a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 graphic-only processor such as a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a VPU (Vision Processing Unit),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only processor such as an NPU (Neural Network Processing Unit). The processor may process input data according to a predefined operation rule 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tored in the memory. Alternatively, when the processor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only process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only processor may be designed with a hardware structure specialized for processing a 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 som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function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lurality of processors.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에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학습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계학습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이 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다수의 학습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학습되어 원하는 특성(또는 목적)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학습은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이 구현되는 장치 자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 및/또는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 predefined operation rule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machine learning. Here, being configured to perform machine learning means that the predefined operation rule 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configured to perform a desired characteristic (or purpose) by learning using a plurality of learning data based on a learning algorithm. Such learning may be performed in the device itself in whic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implemented, or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server and/or system.
인공지능 모델은 뉴럴 네트워크(또는 인공 신경망)로 구현될 수 있으며, 기계학습과 인지과학에서 생물학의 신경을 모방한 통계학적 학습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는 시냅스의 결합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한 인공 뉴런(노드)이 학습을 통해 시냅스의 결합 세기를 변화시켜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지는 모델 전반을 의미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는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layer)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뉴럴 네트워크는 입력 레이어(input layer), 은닉 레이어(hidden layer) 및 출력 레이어(output 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노드(node) 및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weigh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전(precious) 레이어의 연산 결과와 가중치 간의 연산을 통해 신경망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이 가지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 결과에 의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과정동안 인공지능 모델에서 획득한 손실(loss) 값 또는 비용(cost) 값이 감소 또는 최소화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가 갱신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는 임의의 입력으로부터 예측하고자 하는 결과를 추론할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an be implemented as a neural network (or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can operate based on a statistical learning algorithm that imitates biological nerves in machine learning and cognitive science. A neural network can mean a model in which artificial neurons (nodes) that form a network by combining synapses change the strength of the synapses through learning and hav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A neural network can be composed of multiple neural network layers, and for example, a neural network can include an input layer, a hidden layer, and an output layer. Each of the multiple neural network layers can include at least one node and at least one weight, and can perform neural network operations through operations between the operation results of the previous (precious) layer and the weights. At least one weight of the multiple neural network layers can be optimized by the learning result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xample, at least one weight can be updated so that the loss value or cost value obtained from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reduced or minimized during the learning process. Neural networks can infer the desired outcome from arbitrary input.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 방법은 학습 방식에 따라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가 훈련 데이터로써 제공되어 문제(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답(출력 데이터)이 정해져 있는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출력 데이터 없이 입력 데이터만 제공되어 문제(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답(출력 데이터)이 정해지지 않은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 및 현재 상태(state)에서 어떤 행동(action)을 취할 때마다 보상(reward)이 부여되고, 이러한 보상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학습 모델의 구조인 아키텍처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The learning method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an be divided into supervised learning, in which input data and output data are provided as training data, so that the correct answer (output data)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input data) is determined, unsupervised learning, in which only input data is provided without output data, so that the correct answer (output data)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input data) is not determined, and reinforcement learning, in which a reward is given whenever an action is taken in the current state, and learning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this reward. Alternatively, they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architecture, which is the structure of the learning model.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인공지능 모델은 GoogleNet, AlexNet, VGG Network 등과 같은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R-CNN(Region with Convolution Neural Network), RPN(Region Propos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S-DNN(Stacking-based deep Neural Network), S-SDNN(State-Space Dynamic Neural Network), Deconvolution Network, DBN(Deep Belief Network), RBM(Restrcted Boltzman Machine), Fully Convolutional Network, LSTM(Long Short-Term Memory) Network, Classification Network, Generative Modeling, eXplainable AI, Continual AI, Representation Learning, AI for Material Design, 자연어 처리를 위한 BERT, SP-BERT, MRC/QA, Text Analysis, Dialog System, GPT-3, GPT-4, 비전 처리를 위한 Visual Analytics, Visual Understanding, Video Synthesis, ResNet 데이터 지능을 위한 Anomaly Detection, Prediction, Time-Series Forecasting, Optimization, Recommendation, Data Creation 등 다양한 인공지능 구조 및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예시들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이용되는 인공지능 구조 및 알고리즘의 예를 나열한 것인 뿐,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이용되는 인공지능 구조 및 알고리즘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a 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 such as GoogleNet, AlexNet, VGG Network, R-CNN (Region with Convolution Neural Network), RPN (Region Propos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S-DNN (Stacking-based deep Neural Network), S-SDNN (State-Space Dynamic Neural Network), Deconvolution Network, DBN (Deep Belief Network), RBM (Restrcted Boltzman Machine), Fully Convolutional Network, LSTM (Long Short-Term Memory) Network, Classification Network, Generative Modeling, eXplainable AI, Continual AI, Representation Learning, AI for Material Design, BERT, SP-BERT, MRC/QA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xt Analysis, Dialog System, GPT-3, GPT-4, Visual Analytics for vision processing, Visual Understanding, Video Synthesis, ResNet for data intelligence, Anomaly Detection, Prediction, Time-Series Forecasting, Optimization, At least one of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structures and algorithms such as Recommendation, Data Creation, etc. may be used, and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re merely listing exam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tructures and algorithms use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do not limi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tructures and algorithms use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전문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conve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ly without obscuring unnecessary descriptions.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refer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정신적, 심리적 이상을 예측하여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장치로서,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모듈(102), 질환 결정 모듈(104), 증상 예측 모듈(106), 콘텐츠 결정 모듈(1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10) 및 외부 장치(120)와 통신하며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단말을 지칭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120)는 병원, 응급 센터 등과 연관된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FIG.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puting device (100) is any device for predicting a user's mental and psychological abnormalities and performing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data communication module (102), a disease determination module (104), a symptom prediction module (106), a content determination module (108), etc.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a user terminal (110) and an external device (120) and exchange any data and/or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Here, the user terminal (110) may refer to a terminal of a user who receives a service, and the external device (120) may refer to a device associated with a hospital, an emergency center, etc.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하며,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인식하고, 정신질환과 연관된 증상을 예측하기 위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의 키, 몸무게 등을 포함하는 신체 데이터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병력, 약물력, 치료 기간 등 정신질환에 관한 데이터, 성향 데이터, 건강검진 데이터, 유전자 검사 데이터 등을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uting device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10), recognize the user's mental illness, and exchange data and/or information for predicting symptoms associated with the mental illness. For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100) can obtain, from the user terminal (110), not only the user's body data including height and weight, but also data related to mental illness such as the user's medical history, medication history, and treatment period, tendency data, health checkup data, and genetic test data, and recognize the user's mental illness based on the data.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통신 모듈(102)은 사용자 단말(110)로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분류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전송된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설문 데이터는 사용자의 사전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진단 체크리스트 및/또는 질의사항을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응답 데이터는 설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된 설문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답변을 입력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 모듈(102)은 응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02) can transmit questionnaire data for classifying the user's mental illness to the user terminal (110) and receive response data to the questionnair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to recognize the user's mental illness. Here, the questionnaire data may be data including a diagnostic checklist and/or questions for determining the user's prior information, and the response data may be data including the user's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data.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an answer based on the questionnaire data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02) can receive response data.
상술된 응답 데이터 외에, 데이터 통신 모듈(102)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와 연관된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모듈(102)은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활동 데이터(예: 사용자의 걸음 수, 소모 칼로리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 사용자 단말(110)에 내재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위치 데이터, SNS 등과 연관된 검색 엔진 및/또는 API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라이프 로그(life log) 데이터 등의 사용자의 신체 변화 및 활동을 나타내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response data described above,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02) may receive various data related to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110). For example,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02) may receive user data indicating changes in the user's body and activities, such as activity data collected through a wearable device worn by the user (e.g., data indicating the user's number of steps, calories consumed, etc.), location data collected from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ensor embedded in the user terminal (110), and life log data collected through a search engine and/or API linkage associated with SNS, etc.
또한, 데이터 통신 모듈(102)은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기상 애플리케이션 등을 기초로 수집되는 날씨 및 계절 등에 관한 기상 데이터 등의 사용자의 주변 환경을 나타내는 외부 환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 모듈(102)은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IoT 애플리케이션 등을 기초로 수집되는 사용자의 가전 사용 여부 및 사용 시간 등에 관한 가전 사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 모듈(102)은 외부 장치(120)로부터 전문적인 의료기관 및/또는 의료 전문가로부터 획득되는 처방 내역, 진료 기록 등의 의료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02) can receive external environmental data indicating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weather data regarding weather and season, etc., collected based on a weather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110). In addition,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02) can receive home appliance usage data regarding whether the user uses home appliances and the usage time, etc., collected based on an IoT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110). In addition,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02) can also obtain medical data, such as prescription history and medical records, obtained from a professional medical institution and/or a medical expert from an external device (1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질환 결정 모듈(104)은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신질환 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박장애, 공황장애, 우울증, 조울증 등 각각의 정신질환 카테고리 마다 별도의 정신질환 코드가 매칭되어 저장된 테이블(table)이 존재할 수 있으며, 질환 결정 모듈(104)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응답 데이터의 내용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인식하고, 저장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이에 대응하는 정신질환 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ease determination module (104) may determine a mental illness code corresponding to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data. For example, there may be a table in which separate mental illness codes are matched and stored for each mental illness category, such as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anic disorder,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and the disease determination module (104) may recognize the user's mental illness based on the content of the response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and determine a mental illness code corresponding thereto using the stored tabl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결정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기초로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 중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정신질환 카테고리 마다 증상을 예측하도록 사전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이 존재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기초로 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을 추출하여 증상 예측에 활용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정신질환 마다 증상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와 학습 및 추론 프로세스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컴퓨팅 장치(100)는 각각의 정신질환 카테고리 마다 별도로 인공지능 모델을 사전 학습한 후, 추론 시 사용자의 정신질환에 최적화된 인공지능 모델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determine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from among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based on the determined mental illness code of the user. For example, there may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pre-trained to predict symptoms for each mental illness category, and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extract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tching the mental illness code of the user and utilize it for symptom prediction. That is, since the data and learning and inference processes used to predict symptoms for each mental illness may be different,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pre-trai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eparately for each mental illness category, and then select and utiliz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optimized for the user's mental illness during inferen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정된 인공지능 모델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획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정교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에 사용자의 신체 변화 및 활동을 나타내는 사용자 데이터, 기상 데이터 등의 외부 환경 데이터, 사용자의 가전 사용 여부 및 사용 시간 등의 가전 사용 데이터 등이 학습 데이터로 입력되는 경우, 인공지능 모델은 사용자의 평소 생활 패턴 및 증상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term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an be refined to a user-customized manner by using various data acquir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as learning data. For example, if user data indicating the user's physical changes and activities, external environment data such as weather data, and home appliance usage data such as whether the user uses the home appliance and the usage time are input as learning data in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an recognize the user's usual lifestyle pattern and symptom patter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증상 예측 모듈(106)은 정교화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증상은 사용자가 앓고 있는 정신질환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 또는 신체의 비정상적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공황장애의 증상은 공황발작을 나타낼 수 있고, 우울증의 증상은 자살 징후를 나타낼 수 있다. 증상 예측 모듈(106)은 인공지능 모델에 사용자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가전 사용 데이터 등을 입력하여 사용자의 증상 발현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ymptom prediction module (106) can predict the user's symptoms using a sophisticat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Here, the symptom indicates a disease caused by a mental illness suffered by the user or an abnormal state of the body. For example, a symptom of panic disorder may indicate a panic attack, and a symptom of depression may indicate a sign of suicide. The symptom prediction module (106) can predict the possibility of the user's symptom onset by inputting user data, external environment data, home appliance usage data, etc. in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증상 예측 모듈(106)은 정교화된 인공지능 모델에 사용자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및/또는 가전 사용 데이터를 입력하여 결정된 증상 패턴에 대응되지 않는 이상치(outlier)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상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증상 발현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즉, 증상 예측 모듈(106)은 사용자의 활동, 날씨, 가전 사용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평소 생활 패턴 및 증상 패턴과 다른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이상치로 추출하고 증상 발현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ymptom prediction module (106) inputs user data, external environment data, and/or home appliance usage data into a sophisticat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extracts outlier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determined symptom pattern, and predicts whether the user's symptoms will occur using the extracted outliers. That is, the symptom prediction module (106)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user's activities, weather, whether or not the user uses the home appliance, etc., and if a pattern that is different from the user's usual lifestyle pattern and symptom pattern is detected, extracts it as an outlier and predicts whether or not the symptoms will occu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증상 예측 모듈(106)은 이상치에 대응하는 증상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증상 점수가 제1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증상 발현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증상 점수는 인공지능 모델에 의해 출력되는 확률 값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은 사용자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및/또는 가전 사용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증상 발현 가능성을 나타내는 증상 점수를 산출하도록 학습될 수 있으며, 증상 예측 모듈(106)은 인공지능 모델에 의해 산출된 증상 점수가 사전 결정된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증상 발현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ymptom prediction module (106) can calculate a symptom score corresponding to an outlier and predict whether the user's symptom will occur based on whether the calculated symptom sco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threshold. Here, the symptom score may refer to a probability value output by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xample, when user data, external environment data, and/or home appliance usage data are inpu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an be trained to calculate a symptom score indicating a possibility of symptom occurrence, and the symptom prediction module (106) can predict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user's symptom occurrence when the symptom score calculat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threshold that is predetermin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증상 예측 모듈(106)은 산출된 증상 점수가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외부 장치(120)로 예측된 증상 발현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임계치는 제1 임계치보다 클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증상 발현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증상 예측 모듈(106)은 병원, 응급 센터 등과 연관된 외부 장치(120)로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120)와 연관된 의료기관 및/또는 의료 전문가는 메시지 데이터를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ymptom prediction module (106) may transmit message data including data on whether the predicted symptom occurs to the external device (120) if the calculated symptom sco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Here, the second threshold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That is, if the possibility of the user's symptom occurring is predicted to be significantly high, the symptom prediction module (106) may transmit message data to an external device (120) associated with a hospital, an emergency center, etc., to immediately notify the user of the user's condition. In this case, a medical institution and/or a medical professional associated with the external device (120) may check the message data and take necessary actions for the user.
사용자의 증상 발현이 예측되는 경우, 콘텐츠 결정 모듈(108)은 응답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유형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하기 위한 텍스트 콘텐츠, 음원 스트리밍 콘텐츠, 영상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결정 모듈(108)은 응답 데이터, 사용자의 활동 데이터, 라이프 로그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선호 콘텐츠 유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user's symptom onset is predicted, the content determination module (108) can determine the user's preferred content type based on the response data and the user data, and extract at least one content based on the determined user's preferred content type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10). Here, the content can include text content, audio streaming content, video content, etc. for drawing the user's attention. For example, the content determination module (108) can determine the user's preferred content type using the response data, the user's activity data, the life log data, etc., and extract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referred content type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결정 모듈(108)은 사용자의 활동 데이터, 라이프 로그 데이터 등을 취향 분석을 위한 임의의 알고리즘 및/또는 기계학습 모델 등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결정 모듈(108)은 알고리즘 및/또는 기계학습 모델을 기초로 사용자가 이용한 음원 및/또는 영상의 카테고리, 제목, 표지 이미지 및/또는 썸네일(thumbnail)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선호 콘텐츠 유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하여 해당 콘텐츠의 링크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ent determination module (108) may analyze the user's activity data, life log data, etc., using any algorithm and/or machine learning model for taste analysis to determine the user's preferred content type. For example, the content determination module (108) may analyze the category, title, cover image, and/or thumbnail of the sound source and/or video used by the user based on the algorithm and/or machine learning model to determine the user's preferred content type, extract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referred content type, and provide link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결정 모듈(108)은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시간 구간을 산출하고, 결정된 시간 구간에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결정 모듈(108)은 인공지능 모델에 의해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대응되지 않는 이상치가 추출되는 경우, 이상치가 발생한 시간 구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 구간의 범위 내에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상치가 발생한 시간 구간에 사용자의 주의 환기를 위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시간 구간에서 증상을 야기하던 변수가 자연스럽게 제거되어 사용자의 상태가 안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ent determination module (108) may calculate a time interval for providing at least one extracted content to the user, and transmit at least one extracted content in the 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xample, if an outlier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user's lifestyle pattern is extract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e content determination module (108) may calculate a time interval in which the outlier occurred, and provide content within the range of the calculated time interval. In this way, if content is provided to draw the user's attention in the time interval in which the outlier occurred, the variable causing the symptom in the corresponding time interval may be naturally removed, and the user's condition may be stabilized.
도 1에서는 컴퓨팅 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기능적인 구성이 구분되어 상술되었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하나의 연산 장치에서 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컴퓨팅 장치(100)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연관된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발생 가능한 증상을 미리 예측하고, 증상을 안정시키기 위한 콘텐츠를 우회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불안정한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In Fig. 1, each functional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100) is separately described, but this is only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wo or more functions may be performed in one computing device.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mputing device (100) can utiliz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utilize various data related to the user to predict possible symptoms in advance, and indirectly provide content to stabilize the symptoms, thereby stabilizing the user's unstable state.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이 컴퓨팅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은 네트워크(210)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서비스 등과 관련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 제공 및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반의 하나 이상의 분산 컴퓨팅 장치 및/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_1, 110_2, 110_3) using a customized symptom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connected to a computing device (100)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computing device (100). As illustrated,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_1, 110_2, 110_3) may be connected to a computing device (100) capable of providing a customized symptom management service via a network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include one or more server devices and/or databases capable of storing, providing, and executing computer-executable programs (e.g., downloadable applications) and data related to customized symptom management services, or one or more distributed computing devices and/or distributed databases based on cloud computing services.
컴퓨팅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서비스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의 각각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로부터 응답 데이터, 사용자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가전 사용 데이터 등을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결정하거나, 증상을 예측할 수 있다.The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service provided by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n application or web browser installed on each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_1, 110_2, 110_3). For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receive response data, user data, external environment data, home appliance usage data, etc. from the user terminals (110_1, 110_2, 110_3) through an application, etc., and may determine the user's mental illness code or predict symptoms based on the same.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은 네트워크(210)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과 컴퓨팅 장치(10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21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Wi-Fi, Bluetooth 및 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21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_1, 110_2, 110_3) can communicate with the computing device (100) via the network (210). The network (210) can be configured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_1, 110_2, 110_3) and the computing device (100).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the network (210) can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 wired network such as Ethernet, a wired home network (Power Line Communication), a telephone line communication device, and RS-serial communication, a wireless network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less LAN (WLAN), Wi-Fi, Bluetooth, and ZigBe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and may include not only a communication method utilizing a communication network (e.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red Internet, wireless Internet, broadcasting network, satellite network, etc.) that the network (210) may include, but also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user terminals (110_1, 110_2, 110_3).
도 2에서 휴대폰 단말(110_1), 태블릿 단말(110_2) 및 PC 단말(110_3)이 사용자 단말의 예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은, AI 스피커, 스마트폰, 휴대폰,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3개의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이 네트워크(210)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와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수의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210)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FIG. 2, a mobile phone terminal (110_1), a tablet terminal (110_2), and a PC terminal (110_3) are illustrated as examples of user terminal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terminals (110_1, 110_2, 110_3) may be any device capable of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pable of installing and executing applications or web browsers, etc.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s (110_1, 110_2, 110_3) may include AI speakers, smartphones, mobile phones, computers, laptops, tablet PCs, wearable devices,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s, VR (virtual reality) devices, AR (augmented reality) devices, etc. In addition, although FIG. 2 illustrates three user terminals (110_1, 110_2, 110_3) communicating with the computing device (100) via the network (210), this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different number of user terminals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mputing device (100) via the network (2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10)로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분류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전송된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기초로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을 결정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transmit questionnaire data for classifying the user's mental illness to the user terminal (110).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receive response data for the questionnair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user's mental illness code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data, and may determin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based on the determined user's mental illness code, thereby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 및 컴퓨팅 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등을 실행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장치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의 휴대폰 단말(110_1), 태블릿 단말(110_2), PC 단말(110_3) 등을 포함할 수 있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110) and a compu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terminal (110) may refer to any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 application or web browser, etc.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symptom management service and capabl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mobile phone terminal (110_1), a tablet terminal (110_2), a PC terminal (110_3), etc. of FIG. 2.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메모리(312), 프로세서(314), 통신 모듈(31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컴퓨팅 장치(100)는 메모리(332), 프로세서(334), 통신 모듈(33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 및 컴퓨팅 장치(100)는 각각의 통신 모듈(316, 336)을 이용하여 네트워크(210)를 통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3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생성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 memory (312), a processor (314), a communication module (316), and an input/output interface (318). Similarly,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memory (332), a processor (334), a communication module (336), and an input/output interface (338). As illustrated in FIG. 3,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information and/or data via the network (210) using the respective communication modules (316, 336). In addition, the input/output device (320) may be configured to input information and/or data to the user terminal (110) or output information and/or data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via the input/output interface (318).
메모리(312, 332)는 비-일시적인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312, 33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110) 또는 컴퓨팅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12, 33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312, 332) may include any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 (312, 332) may include a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 disk drive, a solid state drive (SSD), a flash memory, etc. As another example, a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ROM, an SSD, a flash memory, a disk drive, etc. may b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10) or the computing device (100) as a separate permanent storage device distinct from the memory. In addition, the memory (312, 332) may store an operating system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e.g., code for a user-customized symptom management application installed and run on the user terminal (110).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312, 33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110) 및 컴퓨팅 장치(100)에 직접 연결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을 통해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21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 있다.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from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y (312, 332). This separat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directly connectable to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omputing device (100), for example,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CD-ROM drive, a memory card, etc. As another example, th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312, 332)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other tha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at least one program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312, 332) based on a computer program that is installed by files provided by developers or a file distribution system that distributes installation files of applications through a network (210).
프로세서(314, 33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312, 332) 또는 통신 모듈(316, 336)에 의해 프로세서(314, 334)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4, 334)는 메모리(312, 33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314, 334)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instruction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basic arithmetic, logic, and input/output operations. The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processor (314, 334) by the memory (312, 332) or the communication module (316, 336). For example, the processor (314, 334)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instructions received according to program code stored in a storage device such as the memory (312, 332).
통신 모듈(316, 336)은 네트워크(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컴퓨팅 장치(10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 및/또는 컴퓨팅 장치(100)가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시스템(일례로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314)가 메모리(312) 등과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가전 사용 데이터 등)는 통신 모듈(316)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210)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334)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이 통신 모듈(336)과 네트워크(210)를 거쳐 사용자 단말(110)의 통신 모듈(316)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 수신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16, 336) may provide a configuration or function for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omputing device (10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network (210), and may provide a configuration or function for the user terminal (110) and/or the computing device (100) to communicate with another user terminal or another system (for example, a separate cloud system, etc.). For example, a request or data (for example, user data, external environment data, home appliance usage data, etc.) generated by the processor (314) of the user terminal (110) according to a program cod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a memory (312)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puting device (100) via the network (2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module (316). Conversely, a control signal or command provided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334) of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be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16) of the user terminal (110)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336) and the network (210).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입출력 장치(32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 장치는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314)가 메모리(312)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100)나 다른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 등이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The input/output interface (318) may be a means for interfacing with an input/output device (320). As an example, 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camera, a keyboard, a microphone, a mouse, etc., including an audio sensor and/or an image sensor, and the out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display, a speaker, a haptic feedback device, etc. As another example, the input/output interface (318) may be a means for interfacing with a device that has a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grated into it for performing input and output, such as a touch screen. For example, when the processor (314) of the user terminal (110) processes a command of a computer program loaded into the memory (312), a service screen configured using information and/or data provided by the computing device (100) or another user terminal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318).
도 3에서는 입출력 장치(320)가 사용자 단말(110)에 포함되지 않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11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는 컴퓨팅 장치(100)와 연결되거나 컴퓨팅 장치(100)가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와 별도로 구성된 요소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FIG. 3, the input/output device (320) is illustrated as not being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device with the user terminal (110). In addition, the input/output interface (338) of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be a means for interfacing with a device (not illustrated) for input or output that is connected to the computing device (100) or that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include. In FIG. 3, the input/output interfaces (318, 338) are illustrated as element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processors (314, 334),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put/output interfaces (318, 338) may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the processors (314, 334).
사용자 단말(110) 및 컴퓨팅 장치(100)는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10)은 상술된 입출력 장치(32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트랜시버(transceiver), GPS 센서,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사용자 단말(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include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of FIG. 3.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clearly illustrate most of the conventional component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input/output devices (320)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such as a transceiver, a GPS sensor, a camera, various sensors, a database, etc.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10) is a smart phone, it may include components that a smart phone generally includes, and for example, various components,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camera module, various physical buttons, buttons using a touch panel, input/output ports, and a vibrator for vibration, may be implemented to be further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10).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프로그램이 동작되는 동안에,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와 연결된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거나 선택된 텍스트, 이미지, 영상, 음성 및/또는 동작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텍스트, 이미지, 영상, 음성 및/또는 동작 등을 메모리(312)에 저장하거나 통신 모듈(316) 및 네트워크(210)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While a program for an application, etc. is running, the processor (314) can receive text, images, video, voice and/or motion, etc. input or selected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camera, microphone, including a touch screen, keyboard, audio sensor and/or image sensor, connected to an input/output interface (318), and can store the received text, images, video, voice and/or motion, etc. in a memory (312) or provide it to the computing device (100)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316) and a network (210).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314)는 입력 장치(320), 다른 사용자 단말, 컴퓨팅 장치(100) 및/또는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314)에 의해 처리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316) 및 네트워크(210)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입출력 장치(320)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14)는 컴퓨팅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설문 데이터, 콘텐츠 등을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processor (314) of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configured to manage, process, and/or store information and/or data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320), another user terminal, the computing device (100), and/or a plurality of external systems. The information and/or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or (314) may be provided to the computing device (100)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316) and the network (210). The processor (314) of the user terminal (11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and/or data to the input/output device (320) via the input/output interface (318) and output the information and/or data. For example, the processor (314) may display survey data, content, etc. received from the computing device (100)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10).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334)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및/또는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334)에 의해 처리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336) 및 네트워크(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334)는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출력 가능 장치(예: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등), 음성 출력 가능 장치(예: 스피커) 등의 출력 장치(320)를 통해 처리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334) of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manage, process, and/or store information and/or data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 and/or a plurality of external systems. The information and/or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or (334)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336) and the network (210). The processor (334) of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output the processed information and/or data via an output device (320) such as a display output capable device (e.g., a touch screen, a display, etc.) or a voice output capable device (e.g., a speaker) of the user terminal (110).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설문 데이터(412)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상술된 것과 같이, 컴퓨팅 장치(도 1의 100)는 사용자 단말(도 1의 110)로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분류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412)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설문 데이터(412)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questionnaire data (412) o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scribed above, the computing device (100 of FIG. 1) can transmit questionnaire data (412) for classifying a user's mental illness to the user terminal (110 of FIG. 1) and receive response data for the questionnaire data (412)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동작(410)은 사용자 단말이 설문 데이터(412)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설문 데이터(412)는 사용자의 사전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심리진단 체크리스트, 물건, 사람, 장소, 음악 취향 등에 대한 선호도, 치료 여부, 복용 중인 약에 대한 정보, 치료 기간 등을 확인하기 위한 문항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operation (410) indicates that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questionnaire data (412), it displays it on the display. Here, the questionnaire data (412) is for checking the user's prior information, and may include questions for checking the user's preferences for a psychological diagnosis checklist, objects, people, places, music tastes, whether to receive treatment, information on medications being taken, treatment period, etc.
도시된 것과 같이, 심리진단 체크리스트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질의 사항을 확인하고, 터치 입력 등으로 답변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1. 나는 의욕이 없고, 우울하고 슬프다."는 설문에 대해 4점에 대응하는 영역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하여 답변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필요한 모든 설문에 대해 답변을 입력하는 경우, 설문 데이터(412)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는 응답 데이터가 컴퓨팅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장치는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As illustrated, when a psychological diagnosis checklis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a user terminal, the user can check the questions and input answers by using touch input, etc. For example, the user can select an area corresponding to 4 points for the questionnaire "1. I am unmotivated, depressed, and sad" by using touch input, etc., and input an answer. When the user inputs answers to all necessary questionnaires in this way, response data including answers to questionnaire data (412) can be transmitted to the computing device.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can determine the user's mental illness code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data.
도 4에서는 설문 데이터(412)로서 심리진단 체크리스트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문 데이터(412)는 사용자의 병력, 약물력 등을 확인하기 위한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컴퓨팅 장치는 설문 데이터(412)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것만으로,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Fig. 4, a psychological diagnosis checklist is shown as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s the questionnaire data (412),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questionnaire data (412) may further include items for checking the user's medical history, medication history, etc.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mputing device can effectively determine the user's mental illness code for providing a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service by only receiving a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data (412).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콘텐츠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상술된 것과 같이, 컴퓨팅 장치(도 1의 100)는 응답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증상 발현이 예측되는 경우, 결정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유형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장치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또는 콘텐츠의 링크 정보를 사용자 단말(도 1의 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제1 동작(510) 및 제2 동작(520)을 통해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content o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scribed above, the computing device (100 of FIG. 1) determines a preferred content type of the user based on the response data and the user data, and when the occurrence of the user's symptoms is predicted, at least one content can be extracted based on the determined preferred content type of the user.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can transmit at least one extracted content and/or link information of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10 of FIG. 1).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can provide the content to the user through the first operation (510) and the second operation (5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동작(510)은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알림 메시지(512)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의사를 확인하기 위한 알림 메시지(512)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팝업(pop-up) 메시지 등의 형태로 알림 메시지(512)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스트리밍 콘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오늘은 이 음악 어때요? 들어볼래요?"와 같은 알림 메시지(512)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operation (510) indicates that a notification message (512) for providing content to a user is displayed on a displ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uting device may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512) to a user terminal to confirm the user's intention before providing the content.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the notification message (512) on the display in the form of a pop-up message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music streaming content is provided, a notification message (512) such as "How about this music today? Would you like to listen to i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동작(520)은 사용자가 알림 메시지(512)를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콘텐츠(522)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512)는 콘텐츠(522)를 제공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영상 애플리케이션, 음원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 등) 또는 웹 브라우저 등을 연결하기 위한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알림 메시지(512)를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알림 메시지(512)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기초로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웹 페이지를 연결하여 컴퓨팅 장치에 의해 추출된 콘텐츠(522)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operation (520) indicates that content (52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n response to the user selec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512) by a touch input or the like.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message (512) may include link information for connecting any application (video application, audio streaming application, etc.) or web browser that provides the content (522).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notification message (512) by a touch input or the like, the user terminal may execute an associated application or connect a web page based on the link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message (512) to provide the user with content (522) extracted by the computing device.
도 5에서는 음원 스트리밍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공되는 콘텐츠의 유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텍스트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영상 콘텐츠 등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증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적절한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사용자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In Fig. 5, the audio streaming content is shown as being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but the type of content provided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content such as text content, image content, and video 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mputing device can alleviate the user's symptoms in a natural manner by extracting and providing appropriate content that can draw the user's attention without providing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symptoms directly.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110)이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에 대응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주고받는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술된 것과 같이, 컴퓨팅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110)은 특정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용자의 증상 발현 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mputing device (100) and a user terminal (110) exchanging data and/or information necessary to determin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orresponding to a user's mental illness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scribed above, the computing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may exchange data and/or information for predicting whether a user suffering from a specific mental illness will exhibit symptom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10)로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분류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602)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수신된 설문 데이터(602)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답변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604). 사용자 입력이 모두 획득되거나, 사용자가 전송을 위한 임의의 버튼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응답 데이터(606)를 컴퓨팅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uting device (100) can transmit questionnaire data (602) for classifying the user's mental illness to the user terminal (110).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10) can display the received questionnaire data (602) on the display and obtain user input for entering an answer (604). When all user inputs are obtained or the user selects an arbitrary button for transmission by touch input, etc., the user terminal (110) can transmit response data (606) to the computing device (10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608). 예를 들어, 정신질환 코드는 범불안장애, 우울증 등의 상위 카테고리에 부여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정신질환 코드는 공황장애, 강박장애, 조울증, 산후우울증, 계절성 우울증 등의 하위 카테고리에 부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는 상위 카테고리 및/또는 하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코드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determine a mental illness code of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data (608). For example, the mental illness code may be assigned to a superordinate category such a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depression, etc. In another example, the mental illness code may be assigned to a subordinate category such as panic disorde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bipolar disorder, postpartum depression, seasonal affective disorder, etc. In this case, the mental illness code of the user may be determined as at least one of the codes corresponding to the superordinate category and/or the subordinate category.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결정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기초로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610). 예를 들어, 각각의 정신질환 마다 증상의 유형, 증상 예측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 처리 프로세스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정신질환 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사전 학습된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 중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을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determin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based on the determined mental illness code of the user (610). For example, since the type of symptoms, data required for symptom prediction, and processing processes may be different for each mental illness, there may be multipl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corresponding to each mental illness code.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extract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orresponding to the user's mental illness code from among multiple pre-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추가적으로, 추출된 인공지능 모델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집되는 사용자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가전 사용 데이터 등을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여 미세 조정(fine tuning)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조정은 사전 학습된 모델을 기초로 특정 태스크(task)를 수행하기 위해 인공지능 모델의 파라미터 등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학습 과정을 지칭할 수 있다. 즉,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집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기초로 미세 조정을 수행하여 추출된 인공지능 모델을 사용자 맞춤형 모델로 정교화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xtract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an be fine-tuned by utilizing user data, external environment data, home appliance usage data, etc. col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as learning data. Here, fine-tuning may refer to a learning process of fine-tuning parameter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perform a specific task based on a pre-learned model. That is, the computing device can refine the extract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to a user-customized model by performing fine-tuning based on various data col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 사용자 단말(110) 및 외부 장치(120)가 사용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주고받는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술된 것과 같이, 컴퓨팅 장치(100)는 결정되거나 정교화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및/또는 가전 사용 데이터 등을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할 수 있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mputing device (100), a user terminal (110), and an external device (120) exchanging data and/or information necessary to alleviate a user's sympto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scribed above, the computing device (100) can predict the user's symptoms using a determined or ref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100) can predict the user's symptoms by inputting user data, external environment data, and/or home appliance usage data in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신체 변화 및 활동을 나타내는 사용자 데이터(702)를 컴퓨팅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702)는 활동 데이터, 위치 데이터, 라이프 로그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활동 데이터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것으로서, 운동 여부, 수면 여부, 심박수, 맥박, 호흡수, 혈압, 체온, 스트레스 지수, 걸음 수 및 음식 섭취량 등의 자가 기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프 로그 데이터는 사용자의 문자, 통화, SNS 등의 사용 횟수 및 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데이터(702)를 증상 예측에 이용하는 경우, 인공지능 모델은 갑자기 호흡이 불안정해지거나, 통화 횟수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등의 현상을 이상치로 인식하여 증상 발현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10) may provide user data (702) indicating changes in the user's body and activities to the computing device (100). For example, the user data (702) may include activity data, location data, life log data, etc. Here, the activity data is collected through a wearable device worn by the user, and may include self-recorded data such as whether the user exercises, whether the user sleeps, heart rate, pulse, respiration rate,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stress index, number of steps, and food intake. In addition, the life log data may include data regarding the number and time of the user's text messages, calls, SNS, etc. When such user data (702) is used for symptom predic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recognize a phenomenon such as sudden unstable breathing or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ber of calls as an abnormality and predict whether or not the symptom will occur.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변 환경을 나타내는 외부 환경 데이터(704)를 컴퓨팅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환경 데이터(704)는 기온, 풍속, 일조량, 미세먼지 등의 날씨 데이터와 계절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인공지능 모델은 사용자 데이터(702) 및 외부 환경 데이터(704)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인적인 활동 뿐만 아니라 날씨에 따른 사용자의 심리 변화를 분석하여 증상 발현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110) may provide external environmental data (704) represen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ffecting the user to the computing device (100). For example, the external environmental data (704) may include weather data such as temperature, wind speed, amount of sunlight, fine dust, etc., and seasonal data. That i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analyze the user's personal activities as well as the user's psych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the weather using the user data (702) and the external environmental data (704) to predict whether symptoms will occur.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가전 사용 여부 및 사용 시간을 나타내는 가전 사용 데이터(706)를 컴퓨팅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사용 데이터(706)는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가전 IoT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세탁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등의 가전을 얼마나 사용하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우울증 등 정신질환이 있는 사용자는 증상 발현 시 가전 사용 시간이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인공지능 모델은 사용자 데이터(702), 외부 환경 데이터(704) 및 가전 사용 데이터(706)를 모두 이용하여 증상 발현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110) may provide home appliance usage data (706) indicating whether the user uses the home appliance and the usage time to the computing device (100). For example, the home appliance usage data (706) may be collected from a home appliance IoT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110) and may include data on how much the user uses home appliances such as a washing machine, dryer, dishwasher, etc. Since a user with a mental illness such as depression may experience a phenomenon in which the home appliance usage time increases or decreases rapidly when the symptom occur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predict whether the symptom occurs by using all of the user data (702), the external environment data (704), and the home appliance usage data (706).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인공지능 모델에 사용자 데이터(702), 외부 환경 데이터(704) 및 가전 사용 데이터(706)를 입력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할 수 있다(708).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와 연관된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인공지능 모델을 정교화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결정하고, 정교화된 인공지능 모델에 사용자 데이터(702), 외부 환경 데이터(704) 및 가전 사용 데이터(706)를 입력하여 결정된 생활 패턴에 대응되지 않는 이상치를 추출한 후, 추출된 이상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증상 발현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uting device (100) can predict the user's symptoms (708) by inputting user data (702), external environment data (704), and home appliance usage data (706) in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100) can refin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learning data associated with the user to determine the user's lifestyle pattern, input the user data (702), external environment data (704), and home appliance usage data (706) into the ref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extract outlier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determined lifestyle pattern, and then predict whether the user's symptoms will occur using the extracted outlier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응답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증상 발현이 예측되는 경우, 결정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유형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컴퓨팅 장치(10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712)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712)가 전송되는 시간은 이상치가 발생한 시간 구간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이상치가 주로 발현되는 시간 구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시간 구간에 콘텐츠(712)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수면 시간을 결정하고, 수면 시간 직전 시간에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콘텐츠(712)를 전송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uting device (100) determines the user's preferred content type based on the response data and the user data, and when the user's symptom onset is predicted, extracts at least one content based on the determined user's preferred content type. Then, the computing device (100) can transmit the extracted at least one content (712) to the user terminal (110). At this time, the time at which the content (712) is transmitted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time interval in which the outlier occurs. For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100) can determine the time interval in which the outlier mainly occurs, and transmit the content (712) in the determined time interval. In another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100) can determine the user's sleep time, and transmit the content (712) for relieving tension just before the sleep tim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외부 장치(120)와 통신하며, 사용자의 상태 및 증상에 관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120)는 병원, 응급 센터 등과 연관된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인공지능 모델에 의해 이상치가 검출되는 경우, 이상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활동 및 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외부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증상 발현 가능성이 임계치 이상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의 예측된 증상 발현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714)를 외부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120) and exchange data regarding the user's condition and symptoms. Here, the external device (120) may refer to a device associated with a hospital, an emergency center, etc. For example, when an outlier is detected by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transmit data regarding the user's activity and time corresponding to the outlier to the external device (120). In addition, when the computing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possibility of the user's symptom onset is higher than a threshold value, the computing device (100) may transmit message data (714) including data regarding whether the user's predicted symptom onset is present to the external device (120).
이와 같이 메시지 데이터(714)가 전송되는 경우, 외부 장치(120)는 사용자의 진료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714)를 의료기관 등의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120)와 연관된 의료기관 및/또는 의료 전문가는 메시지 데이터(714)를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message data (714) is transmitted, the external device (120) can store or update the received message data (714) in a database of a medical institution, etc., so that it can be used for the user's treatment, etc. In this case, the medical institution and/or medical professional associated with the external device (120) can check the message data (714) and take necessary actions for the user.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800)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800)은 프로세서(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800)은 프로세서가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분류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810). 또한,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820).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method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method (800) may be performed by a processor (for example, at least one processor of a computing device). The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method (800) may transmit questionnaire data for classifying a user's mental illness to a user terminal (S810). 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receive response data to the questionnair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S8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S830). 또한, 프로세서는 결정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기초로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S840). 프로세서는 결정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할 수 있다(S850).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can determine the user's mental illness code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data (S830). In addition, the processor can determin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based on the determined user's mental illness code (S840). The processor can predict the user's symptoms using the determ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85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변화 및 활동을 나타내는 사용자 데이터 및 사용자의 주변 환경을 나타내는 외부 환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인공지능 모델에 사용자 데이터 및 외부 환경 데이터를 입력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가전 사용 여부 및 사용 시간을 나타내는 가전 사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인공지능 모델에 사용자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및 가전 사용 데이터를 입력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receive user data indicating changes in the user's body and activities and external environmental data indicating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from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processor may input the user data and the external environmental data in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predict the user's symptoms.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processor may receive home appliance usage data indicating whether the user uses the home appliance and the usage time from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processor may input the user data, the external environmental data, and the home appliance usage data in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predict the user's symptoms.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사용자와 연관된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인공지능 모델을 정교화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결정하고, 정교화된 인공지능 모델에 사용자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및 가전 사용 데이터를 입력하여 결정된 생활 패턴에 대응되지 않는 이상치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추출된 이상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증상 발현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refin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learning data associated with the user to determine the user's lifestyle pattern, and input user data, external environment data, and home appliance usage data into the ref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extract outlier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determined lifestyle pattern. In this case, the processor may use the extracted outliers to predict whether the user's symptoms will occur.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이상치에 대응하는 증상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증상 점수가 제1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증상 발현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산출된 증상 점수가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외부 장치로 예측된 증상 발현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임계치는 제1 임계치 보다 클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can calculate a symptom score corresponding to an outlier and predict whether the user's symptom will occur based on whether the calculated symptom sco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threshold. In addition, the processor can transmit message data including data regarding whether the predicted symptom will occur to an external device if the calculated symptom sco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threshold. Here, the second threshold can be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응답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증상 발현이 예측되는 경우, 결정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유형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이상치가 발생한 시간 구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 구간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user's preferred content type based on the response data and the user data, and if the user's symptom onset is predicted, extracts at least one content based on the determined user's preferred content type. Then, the processor can transmit the extracted at least on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t this time, the processor can calculate a time interval in which an outlier occurred, and transmit at least on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alculated time interval.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 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OM, RAM,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Meanwhil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The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s,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may generate a program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ll kinds of recording media storing instructions decipherable by a computer. For example, there may be ROM, RAM, magnetic tape, magnetic disk, flash memory,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etc.
상술된 내용은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개시는 상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 또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상술된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본 개시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contents are specific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esent disclosure will include not on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lso embodiments that are simply designed or can be easily changed. 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will also include techniques that can be easily modified and implemented us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disclosure.
100: 컴퓨팅 장치
102: 데이터 통신 모듈
104: 질환 결정 모듈
106: 증상 예측 모듈
108: 콘텐츠 결정 모듈
110: 사용자 단말
120: 외부 장치100: Computing Device
102: Data Communication Module
104: Disease Determination Module
106: Symptom Prediction Module
108: Content Decision Module
110: User terminal
120: External Device
Claims (10)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분류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송된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A user-tailored symptom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at least one processor,
A step of transmitting questionnaire data for classifying a user's mental illness to a user terminal;
A step of receiving response data to the transmitted questionnair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A step of determining a mental illness code of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data;
A step of determin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based on the determined user's mental illness code; and
A step of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using the above-determ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 personalized symptom management method that includes: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체 변화 및 활동을 나타내는 사용자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주변 환경을 나타내는 외부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 및 상기 외부 환경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In the first paragraph,
A step of receiving user data representing the user's physical changes and activities and external environmental data representing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from the user terminal;
Including more,
The step of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using the above-determ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A step of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by inputting the user data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data in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 personalized symptom management method that includes: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가전 사용 여부 및 사용 시간을 나타내는 가전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 상기 외부 환경 데이터 및 상기 가전 사용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In the second paragraph,
A step of receiving home appliance usage data indicating whether the user uses the home appliance and the usage time from the user terminal;
Including more,
The step of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using the above-determ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A step of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by inputting the user data, the external environment data, and the home appliance usage data in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 personalized symptom management method that includes:
상기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 상기 외부 환경 데이터 및 상기 가전 사용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는 단계는,
사용자와 연관된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인공지능 모델을 정교화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정교화된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 상기 외부 환경 데이터 및 상기 가전 사용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결정된 생활 패턴에 대응되지 않는 이상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이상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증상 발현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In the third paragraph,
The step of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by inputting the user data, the external environment data, and the home appliance usage data in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as follows.
A step of refin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learning data associated with the user to determine the user's lifestyle pattern;
A step of inputting the user data, the external environment data and the home appliance usage data into the sophisticat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extract outlier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determined lifestyle pattern; and
A step of predicting whether the user's symptoms will occur using the extracted outliers;
A personalized symptom management method that includes:
상기 추출된 이상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증상 발현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치에 대응하는 증상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증상 점수가 제1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증상 발현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In paragraph 4,
The step of predicting whether the user's symptoms will occur using the extracted outliers is as follows.
A step of calculating a symptom score corresponding to the above outlier; and
A step of predicting whether the user's symptoms will occur based on whether the calculated symptom sco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threshold;
A personalized symptom management method that includes:
상기 산출된 증상 점수가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외부 장치로 상기 예측된 증상 발현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In paragraph 5,
A step of transmitting message data including data on whether the predicted symptom has occurred to an external device when the calculated symptom sco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threshold;
A personalized symptom management method that further includes:
상기 응답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증상 발현이 예측되는 경우,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 유형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In the second paragraph,
A step of determining the user's preferred content type based on the response data and the user data;
If the symptom onset of the user is predicted, a step of extracting at least one content based on the determined user's preferred content type; and
A step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extracted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A personalized symptom management method that further includes: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지능 모델에 의해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대응되지 않는 이상치가 추출되는 경우, 상기 이상치가 발생한 시간 구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시간 구간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증상 관리 방법.In Article 7,
The step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extracted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is:
When an outlier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user's lifestyle pattern is extracted by the abov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 step of calculating the time interval in which the outlier occurred; and
A step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alculated time interval;
A personalized symptom management method that includes:
통신 모듈;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분류하기 위한 설문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송된 설문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정신질환 코드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증상을 예측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As a computing device,
Communication module;
memory; and
At least one processor connected to said memory and configured to execute at least one computer-readable program contained in said memory;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grams,
Transmitting questionnaire data to classify the user's mental illness to the user terminal,
Receive response data to the transmitted survey data from the user terminal,
Determine the user's mental illness code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data,
Based on the mental illness code of the user determined abov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determined to predict the user's symptom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commands for predicting the user's symptoms using the determ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30074910 | 2023-06-12 | ||
KR1020230074910 | 2023-06-1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75303A true KR20240175303A (en) | 2024-12-19 |
Family
ID=9408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65071A Pending KR20240175303A (en) | 2023-06-12 | 2024-05-20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ymptom in user customized man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75303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25978B1 (en) * | 2025-04-25 | 2025-06-27 | 하주원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preventing and managing postpartum depression through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ndition analysis |
-
2024
- 2024-05-20 KR KR1020240065071A patent/KR20240175303A/en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25978B1 (en) * | 2025-04-25 | 2025-06-27 | 하주원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preventing and managing postpartum depression through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ndition analysi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410166A1 (en) | Facilitating integrated behavioral support through personalized adaptive data collection | |
KR10242750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ntal healthcar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
US10452816B2 (en) | Method and system for patient engagement | |
US9983775B2 (en) | Dynamic user interfaces based on multiple data sources | |
US9990471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integrated behavioral support | |
JP2023547875A (en) | Personalized cognitive intervention systems and methods | |
US10559387B2 (en) | Sleep monitoring from implicitly collected computer interactions | |
US20150227710A1 (en) | Clinical support systems and methods | |
US1181675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curation of health applications | |
US20240428941A1 (en) |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ant for Health Care | |
JP2023507730A (en) |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application user's mental state based on average user interaction data | |
WO2022067182A1 (en) | System implement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adapted to prediction in behavioral and/or physiological contexts | |
KR2024017530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ymptom in user customized manner | |
Parvin et al. | Personalized real-time anomaly detection and health feedback for older adults | |
Adanyin | AI-driven feedback loops in digital technologies: Psychological impacts on user behaviour and well-being | |
KR20240064402A (en) |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 |
Steele et al. | A survey of cyber-physical system implementations of real-time personalized interventions | |
US20240320596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machine learning for burnout prediction | |
Theilig et al. | Employing environmental data and machine learning to improve mobile health receptivity | |
US20220238228A1 (en) | Intelligent telehealth platform | |
CA3214471A1 (en) | Intelligent telehealth platform | |
US2024042895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semantic understanding of subjective health | |
US20220108802A1 (en) | Techniques for selecting and presenting a customized health related feature for a user of an input/output device | |
US2025024631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depression score and/or relapse | |
US2025022541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biodata analysis and personalized response adap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