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0630A - Different type of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for IoT sensor operation - Google Patents
Different type of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for IoT sensor ope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20630A KR20240120630A KR1020230151766A KR20230151766A KR20240120630A KR 20240120630 A KR20240120630 A KR 20240120630A KR 1020230151766 A KR1020230151766 A KR 1020230151766A KR 20230151766 A KR20230151766 A KR 20230151766A KR 20240120630 A KR20240120630 A KR 202401206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network
- group
- heterogeneous
- case
-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2—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updates or upgrades of network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센서 운영을 위한 이종 통신망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1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센서 및 외부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신호를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외부 시스템 및 외부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송신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for operating an IoT sens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case including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and receiving information from any one of an external sensor and an external system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at least one signal and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o any one of the external system and the external sensor. It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data as one,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have different bandwidths.
Description
본 발명은 IoT 센서 운영을 위한 이종 통신망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5G 특화망 to LoRa 통신이 가능하고, LoRa to 5G 특화망 통신이 가능한 IoT 센서 운영을 위한 이종 통신망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for IoT sensor operation.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for IoT sensor operation capable of 5G specialized network to LoRa communication and LoRa to 5G specialized network communication.
5G는 다음 세대 무선 통신 기술로, 이전 4G(4세대)에 비해 속도, 용량, 지연 시간 및 연결성 면에서 상당한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5G의 특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빠른 속도: 5G의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 중 하나는 빠른 데이터 속도이다. 5G 네트워크는 초당 기가비트(Gbps) 범위의 다운로드 속도를 제공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수백 메가비트(Mbps) 범위의 속도를 제공하는 4G LTE와 비교할 때 상당히 빠르다. 2. 낮은 지연 시간: 5G 네트워크는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하며,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간의 지연 시간을 의미한다. 이 낮은 지연 시간은 온라인 게임, 증강 현실(AR), 가상 현실(VR) 및 실시간 통신 서비스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 중요하다. 3. 증가한 용량: 5G 네트워크는 한 번에 연결된 디바이스 수를 훨씬 더 처리할 수 있다. 이는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의 증가하는 수와 모바일 데이터의 증가하는 수요를 고려할 때 중요하다. 4. 향상된 연결성: 5G는 도시 지역, 교외 지역 및 심지어 농촌 환경에서도 향상된 연결성을 제공한다. 밀집된 지역에서 더 일관된 커버리지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5. 새로운 주파수 대역: 5G는 밀리미터 웨이브(mmWave) 스펙트럼을 포함한 더 넓은 주파수 대역을 활용한다. 이러한 높은 주파수 대역은 더 빠른 속도를 제공하는 잠재력이 있지만 전파 거리가 짧고 건물 및 나무와 같은 장애물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5G is the next gener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can offer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peed, capacity, latency and connectivity compared to its predecessor, 4G (4th generation).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5G may be as follows. 1. Fast speeds: One of the most notable features of 5G is its fast data speeds. 5G networks offer download speeds in the range of gigabits per second (Gbps), which is significantly faster compared to 4G LTE, which typically offers speeds in the hundreds of megabits per second (Mbps) range. 2. Low latency: 5G networks offer low latency, meaning the delay between sending and receiving data. This low latency is important for applications such as online gaming, augmented reality (AR), virtual reality (VR), and real-time communication services. 3. Increased capacity: 5G networks can handle significantly more devices connected at once. This is important considering the increasing number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and the growing demand for mobile data. 4. Improved connectivity: 5G provides improved connectivity in urban areas, suburban areas, and even rural environments. It can provide more consistent coverage and performance in dense areas. 5. New frequency bands: 5G utilizes wider frequency bands, including millimeter wave (mmWave) spectrum. These higher frequency bands have the potential to deliver faster speeds, but have shorter propagation distances and can be affected by obstacles such as buildings and trees.
하지만, 스마트 시티(Smart city), 스마트 공장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방식의 저전력, 저데이터, 저속의 특징을 갖는 IoT 디바이스와 함께 운영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는 초고속 망과 저속 망을 각각 따로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However, in order to create a smart city or smart factory, it is inevitable to operate with battery-type IoT device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low power, low data, and low speed. Accordingly, to date, high-speed networks and low-speed networks have been constructed and operated separately.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종 통신망 중계기의 목적은, 5G 특화망과 LoRa 통신망을 결합하여 초연결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는 이종 통신망 중계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that builds a hyper-connected network environment by combining a 5G specialized network and a LoRa communication network. .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이종 통신망 중계기는 소정의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1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센서 및 외부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신호를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외부 시스템 및 외부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송신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s a case including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and any one of an external sensor and an external system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at least one signal from one and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 the external system and external sensor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to on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s,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have different bandwidths.
또한, LoRa(Long Range) 통신망을 포함하는 통신망 그룹을 제1 그룹으로 하고, 4G, 5G, 6G 및 7G를 포함하는 통신망 그룹을 제2 그룹으로 할 때, 상기 제1 통신망은, 상기 제1 그룹 및 제2 그룹 중 어느 한 그룹의 통신망이고, 상기 제2 통신망은, 상기 제1 그룹 및 제2 그룹 중 다른 한 그룹의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a communication network group including a LoRa (Long Range) communication network is set as the first group, and a communication network group including 4G, 5G, 6G, and 7G is set as the second group,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is the first group. and a communication network of one of the second groups,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of another group of the first and second groups.
또한,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로부터 펌웨어 업데이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정보에 기초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firmware updat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a firmware update based on the received firmware update information.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이종 통신망 중계기의 각도를 상하 조절하는 각도조절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angle adjustment bracket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se to adjust the angle of the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up and down.
또한, 상기 케이스는 방수 가능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case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waterproof material.
또한, 상기 케이스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astic material.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이종 통신망 중계기에 의하면, 이종 통신망 중계기를 이용하여 LoRa의 장점인 저전력으로 건전지 하나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구축된 LoRa 센서도 연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구형 장비도 5G 특화망 장비에 연동할 수 있어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it is possible to use a sensor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 a single battery with low power, which is an advantage of LoRa, and can also be linked with existing LoRa sensors. There is a possible effect. In addition, existing installed old equipment can be linked to 5G specialized network equipment, which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wast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통신망 중계기 및 이를 포함하는 5G 특화망 IoT 통합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 통신망 중계기를 활용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and a 5G specialized network IoT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utilizing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the purpose achieved by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and discussed with reference to them.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먼저, 이음 5G(5G 특화망)란 건물, 토지 등 특정 구역에 한하여 정부에 주파수 신청을 통해 기업, 기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5G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이는, 초고속(eMBB), 초저지연(URLLC), 초연결(mMTC)의 5G 3대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고, 사물과 사회까지 이어준다는 의미를 갖는다. 5G 특화망은 공용 5G와는 달리 4.7GHz와 28GHz 주파수를 쓴다. 도달 범위는 상대적으로 좁지만 공용 5G보다 더 빠르고 안정성이 높아 디지털 전환 관련 필수 인프라로 꼽히며 교통, 물류, 발전, 의료 조선, 항만 등 산업 전 분야에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First, Ieum 5G (5G specialized network) refers to a customized 5G network that can be used by any company or institution by applying for frequencies to the government only in specific areas such as buildings and land. This best represents the three major characteristics of 5G: ultra-high speed (eMBB), ultra-low latency (URLLC), and ultra-connectivity (mMTC), and has the meaning of connecting things and society. Unlike public 5G, the 5G specialized network uses 4.7GHz and 28GHz frequencies. Although its reach is relatively narrow, it is faster and more stable than public 5G, so it is considered an essential infrastructure related to digital transformation, and demand is increasing in all industrial fields such as transportation, logistics, power generation, medical shipbuilding, and ports.
한편,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통신망 중계기 및 이를 포함하는 5G 특화망 IoT 통합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Meanwhile,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and a 5G specialized network IoT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종 통신망 중계기(1000)는 케이스(미도시), 제1 통신 모듈(미도시) 및 제2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terogeneous
케이스는 소정의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는 방수 가능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이 신호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se may include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At this time, the case preferably includes a waterproof material, and further preferably includes a plastic material to facilitate signal transmission.
제1 통신 모듈은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소정의 통신망인 제1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센서(1) 또는 외부 시스템(1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and can receive signals from either the
제2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과 함께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신호를 제2 통신망을 통해 외부 시스템(10) 또는 외부 센서(1) 중 어느 하나로 송신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together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 the received signal to either the
이때,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은 서로 통신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대역폭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mean communication networks, and may mean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ing different bandwidths.
일예로, LoRa(Long Range) 통신망을 포함하는 통신망 그룹을 제1 그룹이라고 하고, 4G, 5G, 6G 및 7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망 그룹을 제2 그룹이라고 가정할 경우, 제1 통신망은 제1 그룹 및 제2 그룹 중 선택되는 어느 한 그룹의 통신망이며, 제2 통신망은 제1 통신망의 선택에 대비되는 다른 그룹의 통신망일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a communication network group including a LoRa (Long Range) communication network is called the first group, and that a communication network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of 4G, 5G, 6G, and 7G is the second group,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is It is a communication network of one group selected from among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of another group compared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구체적으로, 도 1은 LoRa to 5G 특화망의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을 살펴보면, 제1 통신 모듈은 외부 센서(1)인 IoT 센서(1)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망은 제1 그룹의 통신망일 수 있다.Specifically, Figure 1 shows the case of a LoRa to 5G specialized network. Looking at Figure 1,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can receive a sensing signal from the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 모듈은 IoT 센서(1)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함에 있어서 LoRa 통신망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 모듈은 센싱 신호를 제2 통신 모듈에 송신하고, 센싱 신호를 수신한 제2 통신 모듈은 센싱 신호를 제2 통신망을 통해 외부 시스템인 5G 안전플랫폼(1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통신망은 제2 그룹에 속한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일 수 있으며 여기서는 5G 특화망을 의미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a sensing signal from the
상기 상술한 것과 반대로, 5G 특화망 to LoRa의 경우도 가능하다.Contrary to what was described above, the case of 5G specialized network to LoRa is also possible.
구체적으로, 제1 통신 모듈의 통신망인 제1 통신망은 제2 그룹의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4G, 5G, 6G 및 7G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s of the second group,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any one of 4G, 5G, 6G, and 7G.
또한, 제2 통신 모듈의 통신망인 제2 통신망은 제1 그룹의 통신망인 LoRa 통신망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the LoRa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first group.
종래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종 통신망 중계기(1000)를 살펴보면, 본원 발명은 단 하나의 장치로 LoRa 통신과 5G 특화망 통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Looking at the heterogeneous
구체적으로, 기존에는 5G 네트워크, 장비, 서버, 플랫폼과 그리고 LoRa 네트워크, 장비, 서버, 플랫폼을 분리해서 각각 구비해야했다. 이를 각각 구비할 경우, 비용이 이중으로 발생되고 분리되어 있는 플랫폼과 데이터를 또한번 통합하는 시스템을 개발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게 되면, 보안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비용과 관리도 두배로 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Specifically, previously, 5G networks, equipment, servers, and platforms had to be provided separately from LoRa networks, equipment, servers, and platforms. If each of these is provided, there is a problem that costs are doubled and a system that integrates the separate platforms and data must be developed. If that happens, security becomes vulnerable and costs and management double.
반면, 본 발명의 이종 통신망 중계기(1000)는 5G 특화망을 이용하여 보안 및 장비, 서버, 플랫폼을 단일화할 수 있어 비용절감과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terogeneou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각도조절 브라켓(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gle adjustment bracket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각도조절 브라켓은 케이스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되어 이종 통신망 중계기(1000)의 각도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5G 특화망 신호 전파를 보다 잘 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angle adjustment bracket can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can be mount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heterogeneou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은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may perform a firmware update.
구체적으로,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로부터 펌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펌웨어 업데이트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Specifically,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firmware updat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and perform a remote firmware update based on the received firmware update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 통신망 중계기를 활용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utilizing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종 통신망 중계기(1000)를 활용하여 IoT 센서를 보다 편리하게 운영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IoT sensors can be operated more conveniently by utilizing the heterogeneous
예를 들어, 이종 통신망 중계기(1000)가 LoRa to 5G 특화망으로 동작하는 경우, 이종 통신망 중계기(1000)는 LoRa 통신망을 통해 산업현장에 설치된 여러 종의 IoT 센서(1)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5G 특화망을 통해 연계된 외부 시스템인 5G 안전플랫폼(5G IoT 플랫폼)에 송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heterogeneous
상기 상술한 것과 반대로, 5G 특화망 to LoRa의 경우도 가능하다.Contrary to what was described above, the case of 5G specialized network to LoRa is also possibl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IoT 센서
10 : 5G IoT 안전플랫폼
1000 : 이종 통신망 중계기1: IoT sensor
10: 5G IoT safety platform
1000: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Claims (6)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1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센서 및 외부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신호를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외부 시스템 및 외부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송신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통신망 중계기.
A case including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and receiving at least one signal from one of an external sensor and an external system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signal to one of the external system and the external sensor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have different bandwidths.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characterized by
LoRa(Long Range) 통신망을 포함하는 통신망 그룹을 제1 그룹으로 하고, 4G, 5G, 6G 및 7G를 포함하는 통신망 그룹을 제2 그룹으로 할 때,
상기 제1 통신망은, 상기 제1 그룹 및 제2 그룹 중 어느 한 그룹의 통신망이고,
상기 제2 통신망은, 상기 제1 그룹 및 제2 그룹 중 다른 한 그룹의 통신망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통신망 중계기.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group including LoRa (Long Range) communication network is set as the first group,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group including 4G, 5G, 6G, and 7G is set as the second group,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of any one of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of another group among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characterized by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로부터 펌웨어 업데이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정보에 기초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통신망 중계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When firmware updat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outside, performing firmware update based on the received firmware update informatio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characterized by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이종 통신망 중계기의 각도를 상하 조절하는 각도조절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통신망 중계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ngle adjustment bracket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se to adjust the angle of the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up and down; further compris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characterized by
상기 케이스는,
방수 가능 재질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통신망 중계기.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above case,
Containing waterproof material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characterized by
상기 케이스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통신망 중계기.
According to clause 5,
In the above case,
Contains plastic materials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characterized b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3/017878 WO2024162568A1 (en) | 2023-01-30 | 2023-11-08 |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for iot sensor ope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30011637 | 2023-01-30 | ||
KR1020230011637 | 2023-01-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20630A true KR20240120630A (en) | 2024-08-07 |
KR102844922B1 KR102844922B1 (en) | 2025-08-13 |
Family
ID=9237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51766A Active KR102844922B1 (en) | 2023-01-30 | 2023-11-06 | Different type of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for IoT sensor oper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84492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053667A1 (en) | 2023-09-06 | 2025-03-1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negative electrod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2756A (en) * | 2009-03-26 | 2011-11-10 | 쿄세라 코포레이션 | Wireless relay station and wireless relay method |
KR101187606B1 (en) * | 2010-12-23 | 2012-10-05 | 한국과학기술원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ng method thereof |
KR101442588B1 (en) * | 2013-05-03 | 2014-11-03 | (주)와이브로텍 | Dual badn repeater and method thereof |
US9373885B2 (en) * | 2013-02-08 | 2016-06-21 | Ubiquiti Networks, Inc. | Radio system for high-speed wireless communication |
KR102391895B1 (en) | 2021-08-19 | 2022-04-27 | 박영진 | IoT platform for sensor integrated operation using existing sensors |
-
2023
- 2023-11-06 KR KR1020230151766A patent/KR10284492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2756A (en) * | 2009-03-26 | 2011-11-10 | 쿄세라 코포레이션 | Wireless relay station and wireless relay method |
KR101187606B1 (en) * | 2010-12-23 | 2012-10-05 | 한국과학기술원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ng method thereof |
US9373885B2 (en) * | 2013-02-08 | 2016-06-21 | Ubiquiti Networks, Inc. | Radio system for high-speed wireless communication |
KR101442588B1 (en) * | 2013-05-03 | 2014-11-03 | (주)와이브로텍 | Dual badn repeater and method thereof |
KR102391895B1 (en) | 2021-08-19 | 2022-04-27 | 박영진 | IoT platform for sensor integrated operation using existing sensor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053667A1 (en) | 2023-09-06 | 2025-03-1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negative electrod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844922B1 (en) | 2025-08-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08423B2 (en) | Gigabit wireless transmission | |
Katti et al. | A survey on role of photonic technologies in 5G communication systems | |
US10090929B2 (en) | Drone-based radio-over-fiber system | |
WO2004014006A3 (en) | A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bandwith efficiency and throughput of a data transmission network | |
KR20240120630A (en) | Different type of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for IoT sensor operation | |
CN113740833A (en) | Microwave photon radar communicatio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 |
Pillai | 6G Network–A Literature Review | |
US20060217093A1 (en) | Method and apparatus of a multiple-input-multiple-output wireless system and components | |
Chettat et al. | RoF Networks: A comprehensive study | |
CN205249235U (en) | Hypervelocity hyperfrequency optic fibre remote radio head multiplex covers system | |
JP5166962B2 (en) | Radio frequency carrier system, optical fiber radio converter and radio converter | |
CN101094038B (en) | Millimeter wave generation and wavelength reuse method and system in optical fib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ürner et al. | Standards for THz communications | |
CN101218760B (en) | Point-to-point telecom system | |
WO2008012865A1 (en) | Parent station device, child station device, and opt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 |
Anushree et al. | Outage performance analysis of hybrid fso/rf system using rayleigh and k-distribution | |
CN115473587A (en) | A photonic wireless integrated adaptive sensory communication integrated system | |
Song et al. | Terahertz communication for beyond-5G application in future | |
Wong et al. | Control and data plane separation for interoperable indoor wireless access connectivity | |
KR102060987B1 (en) | Lightwave circuit for 5G communication, and single channel full-duplex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 |
WO2024162568A1 (en) |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for iot sensor operation | |
Gilchrist | IIoT wan technologies and protocols | |
Mamoun Kabbour et al. | Comparison of single mode fiber and multimode fiber in deployment of SCM-OCDMA in local area network | |
KR100903556B1 (en) | WLAN service system for subway | |
CN113114711A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