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9107A - Advanced transaction protocol and ecosystem for creating and deploying smart contracts - Google Patents
Advanced transaction protocol and ecosystem for creating and deploying smart contrac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99107A KR20240099107A KR1020237037310A KR20237037310A KR20240099107A KR 20240099107 A KR20240099107 A KR 20240099107A KR 1020237037310 A KR1020237037310 A KR 1020237037310A KR 20237037310 A KR20237037310 A KR 20237037310A KR 20240099107 A KR20240099107 A KR 202400991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kens
- token
- blockchain
- pool
- defi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5—Use of electronic sign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3—Payment schemes or models based on the use of peer-to-peer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2—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 for e-commer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암호화 토큰을 배포하는 방법으로서, 다수의 대체 가능 토큰이 토큰 생성 이벤트 중에 하나 이상의 스마트 계약에 의해 생성되며, 대체 가능 토큰의 일부는 대체 가능 토큰의 발행자에 의해 공개 판매 및 배포에 이용될 수 있고, 대체 가능 토큰의 일부는 정의된 귀속확정 일정에 따라 잠금 상태로 유지되며; 대체 가능 토큰의 수에 상당하는 다수의 토큰이 토큰 생성 이벤트 중에 동시에 생성되며 여기서 거래 토큰들은 스테이블코인 또는 암호화폐 형태로 받은 결제와 교환으로 투자자에게 배포되며; 거래 토큰들은 귀속확정되고 거래를 위한 잠금 해제된 동등한 양의 대체 가능 토큰으로 교환된다.A method of distributing a cryptographic token, wherein a plurality of fungible tokens are created by one or more smart contracts during a token creation event, wherein a portion of the fungible tokens are available for public sale and distribution by an issuer of the fungible tokens, A portion of the fungible tokens remain locked according to a defined vesting schedule; A number of tokens equivalent to the number of fungible tokens are created simultaneously during a token creation event, where transaction tokens are distributed to investors in exchange for payments received in the form of stablecoins or cryptocurrencies; Trading tokens are exchanged for an equivalent amount of fungible tokens that are vested and unlocked for trading.
Description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본 출원은 "스마트 계약 작성 및 배포를 위한 고급 거래 프로토콜 및 생태계"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2021년 3월 3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3/168,597 및 "DeFi 토큰 출시 및 담보부 토큰 거래를 위한 자율 프로토콜 및 플랫폼"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2021년 11월 19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3/281,317에 관련되며 이들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전술한 출원들 각각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This application is filed under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3/168,597, filed March 31, 2021, entitled “Advanced Trading Protocol and Ecosystem for Creating and Deploying Smart Contracts,” and “Autonomous Protocol for DeFi Token Launching and Collateralized Token Trading.” and Platform", filed on November 19, 2021, and priority is claimed for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3/281,317. Each of the foregoing applications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기술분야Technology field
본 발명은 블록체인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스마트 계약 실행, 및 블록체인 처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lockchain decentralized applications, smart contract execution, and blockchain processing.
공개 블록체인에 저장, 배포 및 실행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의 처리에서, 블록체인과 그 네트워크는 거래 오라클로서 상업 은행의 역할을 대체한다. 블록체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In the processing of data and programs stored, distributed, and executed on public blockchains, blockchains and their networks replace the role of commercial banks as transaction oracles. Blockchain features include:
- 무허가 거래 매체- Unlicensed transaction medium
- 신뢰할 수 있는 자산(또는 계약) 검증 메커니즘- Trusted asset (or contract) verification mechanism
- 기록 보관을 위한 분산 원장(DLT 또는 블록체인)- Distributed ledger (DLT or blockchain) for record keeping
- 스마트 계약 실행을 위한 가상 머신- Virtual machine for smart contract execution
거래 매체로서, 블록체인을 사용하면 두 당사자가 서로 모르거나 만나지 않고도 상거래에 참여할 수 있으므로, 두 당사자의 프라이버시와 진정한 신원을 보호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두 번째 주요 기능은 디지털 자산, 가상 화폐, 또는 스마트 계약을 검증하여 위조, 이중 결제 및 계약 사기를 방지하는 능력이다.As a transaction medium, blockchain allows two parties to engage in commerce without knowing or meeting each other, protecting the privacy and true identity of both parties. The second key function of blockchain networks is the ability to verify digital assets, virtual currencies, or smart contracts to prevent counterfeiting, double spending, and contract fraud.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세 번째 기능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능력, 즉 단일 지점 장애나 공격에 영향을 받지 않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다. 분산 원장 기술의 약어인 DLT(distributed ledger technology)는 선형 데이터베이스 구성의 전체 클래스를 나타낸다. DLT와 블록체인이라는 용어는 종종 동의어로 사용된다. 블록체인이 DLT라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반대가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더 정확한 설명은 DLT는 특별한 유형의 데이터베이스이고, 블록체인은 DLT의 하나의 특정 구현이라는 것이다.The third function of a blockchain network is its ability to store data, functioning as a database that is immune to single-point failures or attacks.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 short for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refers to a whole class of linear database configurations. The terms DLT and blockchain are often used synonymously. While it is true that blockchain is DLT, the converse is not necessarily true. A more accurate explanation is that DLT is a special type of database, and blockchain is one specific implementation of DLT.
구체적으로, 분산 원장 기술(DLT)은 여러 노드에 분산된 여러 참가자에 의해 관리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표면적으로는, 하나의 노드(또는 해당 로컬 데이터 저장 장치들)에 대한 공격이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전체 데이터세트에 액세스할 수 없기 때문에, 서로 다른 노드에 데이터를 저장하면 데이터 보안 수준이 높아진다. 그러나 여러 위치에 분산된 여러 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한다고 해서 DLT가 탈중화되는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Specifically,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 involves a distributed database managed by multiple participants distributed across multiple nodes. On the surface, storing data on different nodes increases the level of data security, because an attack on one node (or its local data storage devices) cannot access the entire dataset contained in the distributed database. However, storing data on multiple devices distributed across multiple locations does not guarantee that DLT is decentralized.
진정한 탈중앙화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콘텐츠와 데이터베이스 액세스가 모두 분산되는 것을 요구한다. 분산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CFO의 데스크톱 컴퓨터)에 대한 중앙 집중식 제어 액세스를 가진 DLT 데이터베이스는 탈중앙화되어 있지 않다. 왜냐하면, 콘텐츠가 어디에 보관되어 있는지에 관계없이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집중 공격이 DLT의 전체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이다.A truly decentralized database requires that both data content and database access be distributed. A DLT database with centralized control access to a distributed database (e.g., the CFO's desktop computer) is not decentralized. This is because a focused attack against the control interface can access the entire content of the DLT, regardless of where the content is stored.
DLT의 완전 탈중앙화 버전인 블록체인은 중앙 제어 노드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이러한 취약점을 극복한다. 모든 블록은 콘텐츠(블록의 페이로드)와 블록 헤더를 포함한다. 블록 헤더의 콘텐츠는 블록체인에 의해 바뀌지만 일반적으로 블록-번호; 블록이 순차적으로 입력되도록 보장하는 타임-스탬프; 및 암호화 검증 또는 채굴에 필요한 블록의 고유한 디지털 식별자를 포함한다.Blockchain, a fully decentralized version of DLT, overcomes these vulnerabilities by completely eliminating the central control node. Every block contains content (the block's payload) and a block header. The contents of the block header change across the blockchain, but are typically block-number; A time-stamp to ensure that blocks are entered sequentially; and the unique digital identifier of the block required for cryptographic verification or mining.
블록의 페이로드(payload)는 수동적 정보, 예를 들면 금융 거래(transaction); 디지털 자산 또는 가상 통화의 식별 "주소"; 선형 데이터베이스 또는 파일; 창작물; 또는 기타 데이터베이스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의 소프트웨어나, 스마트 계약(다음 섹션에서 설명됨)과 같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페이로드는 암호화된(암호문) 데이터와 암호화되지 않은(평문)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payload of a block may be passive information, such as a financial transaction; An identifying “address” of a digital asset or virtual currency; linear database or file; creative work; or other database records. Payloads may also include software in the form of computer programs or decentralized applications such as smart contracts (described in the next section). The payload can contain both encrypted (ciphertext) and unencrypted (plaintext) data.
페이로드 외에도, 각 블록은 사건에 대해 변경 불가능한 발생순서대로의 기록을 제공하기 위해 타임스탬프가 찍혀진다. 블록체인 상의 모든 항목의 또 다른 핵심 요소는 디지털 식별자 또는 서명이며, 이를 통해 제3자는 해당 블록이 유효하고 위조되거나 손상되지 않았는지 검증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payload, each block is timestamped to provide an immutable, sequential record of events. Another key element of every item on a blockchain is a digital identifier, or signature, which allows third parties to verify that the block is valid and has not been forged or corrupted.
DeFi의 암호화(Cryptography in DeFi ) : 사용자가 블록체인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고 그 진실성을 검증하는 한 가지 방법은 암호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35][36][37]. 넓은 의미에서, 암호기술은 두 가지 책략 중 하나를 사용한다: Cryptography in DeFi : One way for users to control access to blockchain content and verify its authenticity is through the use of cryptography [35][36][37] . In a broad sense, cryptography uses one of two strategies:
- 암호 키 교환을 통한 암호화 및 복호화- Encryption and decryption through cryptographic key exchange
- 해싱(암호화만), 키 교환 불필요- Hashing (encryption only), no key exchange required
암호화 및 복호화의 가역적 프로세스에서, 페이로드의 콘텐츠(예: 거래(transaction, 트랜잭션), 데이터, 파일, 이미지)는 암호문이라는 암호화된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암호 키와 정의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암호화된다. 그러면 다른 당사자는, 해독 키(암호 키에 고유하게 대응함)를 사용하여, 암호문으로부터 원래의 암호화되지 않은 (평문) 콘텐츠를 복구할 수 있다.In a reversible process of encryption and decryption, the content of the payload (e.g. transaction, data, file, image) is encrypted using a cryptographic key and a defined algorithm to create an encrypted file called ciphertext. The other party can then use the decryption key (which uniquely corresponds to the encryption key) to recover the original unencrypted (plaintext) content from the ciphertext.
그러나 파일을 해독하려면, 판독자는 먼저 키 교환이라는 프로세스를 통해 해독 키의 사본을 얻어야 한다.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채널을 통해 안전하게 수행되는 키 교환을 공개적 키 교환이라고 한다. 암호 키 교환을 위한 공개적 키 기반구조(PKI) 메커니즘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인 알고리즘 중 하나는 분할키(split key) 교환이다. However, to decrypt a file, the reader must first obtain a copy of the decryption key through a process called key exchange. Key exchange performed securely over an insecure channel is called public key exchange. There are a variety of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mechanisms for cryptographic key exchange, but one common algorithm is split key exchange.
분할키 교환 동안, 암호화된 콘텐츠의 의도된 수신자(발신자가 아님)는 두 개의 키, 즉 공개 암호 키와 개인 해독 키를 생성한다. 이 암호화 과정은, 해독 키가 암호 키로 암호화된 콘텐츠를 해독할 수 있지만, 암호 키는 해독에 사용될 수 없다는 점에서 비대칭적이다.During a split-key exchange, the intended recipient of the encrypted content (not the sender) generates two keys: a public encryption key and a private decryption key. This encryption process is asymmetric in that the decryption key can decrypt content encrypted with the encryption key, but the encryption key cannot be used for decryption.
그러면 수신자는 암호 키를 발신자 노드에 전송하여 그들의 콘텐츠를 그에 따라 암호화하고 결과적인 암호문이 수신자에게 전송된다. 암호 키는 암호문을 해독하는 데 유용하지 않기 때문에, 공개 키와 암호화된 파일이 모두 공개 채널을 통해 공개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따라서 "공개 키"라는 이름이 붙었다). The receiver then sends the encryption key to the sender node to encrypt their content accordingly and the resulting ciphertext is sent to the receiver. Because the encryption key is not useful for decrypting ciphertext, both the public key and the encrypted file can be passed publicly over a public channel (hence the name "public key").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암호 키를 사용자와 공유하려면, 블록의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사전 승인이 필요하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관리자에 의해 접근 권한이 부여되어야 하기 때문에 허가 시스템이라고 한다. 역설적이게도, PKI는 신뢰할 수 있는 검증을 위해 블록체인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이제 블록체인은 PKI의 무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However, in most cases, sharing cryptographic keys with users requires prior permission to access the block's contents. These applications are called permission systems because access must be granted by an administrator. Paradoxically, PKI is not only used in blockchain for trusted verification, but blockchain is now being used symbiotically to improve the integrity of PKI.
PKI 방법은 블록체인의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검증자가 단순히 체인의 진실성이 손상되지 않았는지 또는 해당 블록의 출처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복잡하다. 대신에, 채굴자가 블록체인에 대해 접근을 요청할 필요가 없고 체인의 진정성을 독립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충분한 정보가 공개적으로 가용한 무허가 시스템이라 불리는 대체 접근 방식이 선호된다.PKI methods can be used to protect the contents of a blockchain, but they are unnecessarily complicated for a verifier to simply verify that the integrity of the chain has not been compromised or that the origin of the block in question has been altered. Instead, an alternative approach, called a permissionless system, is preferred, where miners do not need to request access to the blockchain and sufficient information is publicly available to independently verify the authenticity of the chain.
여기서 암호화 해시(hash)의 역할이 시작된다. 해시는, 임의 크기의 파일이 별도의 암호 키가 아닌 해시 대상 파일의 콘텐츠를 기반으로 고정 길이 암호문으로 부호화되는 암호화 프로세스이다. 암호화 해시의 속성은 다음과 같다:This is where the role of the cryptographic hash begins. Hashing is an encryption process in which a file of arbitrary size is encoded with a fixed-length ciphertext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file being hashed rather than a separate encryption key. The properties of a cryptographic hash are:
- 단방향: 콘텐츠가 해시로 변환될 수 있지만, 해시를 분석하여 그 해시를 생성한 콘텐츠를 밝힐 수는 없다(해싱 알고리즘을 알더라도).- One-way: Content can be converted to a hash, but analyzing the hash cannot reveal the content that created that hash (even if you know the hashing algorithm).
- 높은 비선형성: 작은 입력 변동이 해시 출력에 극적인 변화를 발생시켜 비트들의 절반 이상에 영향을 미친다 (때로는 애벌란시 효과라고도 함)- High non-linearity: small input fluctuations can cause dramatic changes in the hash output, affecting more than half of the bits (sometimes called the avalanche effect)
- 무작위성: 해시의 출력이 입력 파일에서 예측될 수 없다.- Randomness: The output of the hash cannot be predicted from the input file.
- 고정 길이: 해시 출력은 입력 크기에 관계없이 고정된 길이를 가진다.- Fixed length: Hash output has a fixed length regardless of the input size.
- 결정론적: 해시에 동일한 파일을 입력하면 항상 동일한 출력을 생성한다.- Deterministic: inputting the same file to the hash will always produce the same output.
- 충돌 회피성: 통계적으로 두 개의 다른 소스 파일이 동일한 해시 출력을 생성할 가능성이 극히 작다. 실제적인 목적상 모든 해시 출력은 고유하다.- Collision avoidance: Statistically, it is extremely unlikely that two different source files will produce the same hash output. For all practical purposes, every hash output is unique.
암호화와 비교하여, 해싱의 중요한 차이점은 프로세스가 단방향이라는 것이다. 즉, 일단 파일이 해싱되면 원래 콘텐츠는 해시 출력에서 복구되거나 추출될 수 없다. 언뜻 보기에는 아무도 읽을 수 없는 파일을 만드는 과정이 쓸모없어 보이지만, 알고 보면 해싱은 오늘날 모든 블록체인 거래를 확인하는 데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되었다.Compared to encryption, an important difference in hashing is that the process is one-way. This means that once a file has been hashed, its original content cannot be recovered or extracted from the hash output. At first glance, the process of creating a file that no one can read may seem useless, but it turns out that hashing has become a critical component in verifying all blockchain transactions today.
해싱 프로세스의 고유한 속성은 결정론적이지만 매우 비선형적인 동작이라는 것이다. 소스 파일의 가장 미세한 변동조차도 아주 다른 인식할 수 없는 해시 코드 출력을 생성한다. 통계적으로, 이 속성은 한 파일의 해시가 다른 파일의 해시와 일치하는 유일한 방법은 두 파일이 동일한 경우임을 의미한다. 은유적으로, 해시는 사기꾼을 거부하고, 사기적인 블록을 제외하고, 콘텐츠 변조를 방지하는 데 유용한 디지털 지문이다. 해시의 지문 기능은 체인 내의 일련의 블록들이 자체-일관성을 가지고 함께 속한다는 것을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해시의 해시의 해시를 해시 체인이라고 하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The unique property of the hashing process is that it is a deterministic but highly non-linear operation. Even the slightest variation in the source file produces very different and unrecognizable hash code output. Statistically, this property means that the only way for the hash of one file to match the hash of another file is if the two files are identical. Metaphorically, a hash is a digital fingerprint useful for rejecting fraudsters, excluding fraudulent blocks, and preventing content tampering. The fingerprint function of a hash can be used to verify that a series of blocks in a chain belong together and are self-consistent. A hash of a hash of a hash is called a hash chain, for example:
H[H[H[H[x]]]] ≡ H4[x]H[H[H[H[x]]]] ≡ H 4 [x]
해시 체인은 체인의 순차적 검증을 간단하게 만든다 - 가짜 블록을 삽입하면 일련의 불일치 오류를 생성하여 제3자 검증자에 의해 부정한 것으로 쉽게 감지될 것이다. 제3자 검사를 위해 블록체인을 검증하는 프로세스에 해싱을 적용하기 위해, 블록체인은 중첩된 해시 체인을 사용한다. Hash chains make sequential verification of the chain simple - inserting a fake block will generate a series of mismatch errors that will easily be detected as fraudulent by a third-party verifier. To apply hashing to the process of validating a blockchain for third-party inspection, blockchains use nested hash chains.
중첩된 해시 체인에서, 각 블록은 이전 블록의 해시 H[x]와 거래, 데이터, 이미지 등을 포함한 새로운 콘텐츠 둘 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x = n, n-1, n-2, n-3, ...인 경우 해시 체인의 중첩은 아래 데이터 구조로 표현될 수 있다:In a nested hash chain, each block contains both the hash H[x] of the previous block and new content, including transactions, data, images, etc. For example, if x = n, n-1, n-2, n-3, ..., the nesting of hash chains can be expressed as the data structure below:
블록(n) = 콘텐츠(n) + H[블록(n-1)] Block(n) = Content(n) + H[Block(n-1)]
블록(n-1) = 콘텐츠(n-1) + H[블록(n-2)] Block(n-1) = Content(n-1) + H[Block(n-2)]
블록(n-2) = 콘텐츠(n-2) + H[블록(n-3)]...Block(n-2) = Content(n-2) + H[Block(n-3)]...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2a, 2b, 2c, 2d...)은 시간에 따라 선형으로 배열되어 디지털 원장 또는 체인을 형성하며, 여기서 새로운 항목은 체인의 끝에만 추가될 수 있다. 블록들의 체인 또는 블록체인(1)은 페이로드(8)에 의해 표현된 거래, 재무 정보, 예술적 콘텐츠(항목 A, B 및 C)와 기존 블록과 새로운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데 사용되는 메타데이터(6) 및 서브헤더(5, 7)를 포함하는 블록 헤더(3)와 관련된 콘텐츠를 포함한다. 새로운 거래가 시작될 때마다, 채굴자 또는 검증자라고 불리는 컴퓨터 노드 네트워크는 먼저 자신이 보고 있는 블록체인이 유효한지 또는 손상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동일한 블록체인이 수십만 대의 장치에 걸쳐 영구적으로 지속되기 때문에 해커가 진행 중인 거래의 결과를 변경할 만큼 충분한 블록체인을 찾아 손상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원장을 감사하는 중앙 당국(상업 은행이 금융 기록을 검증하는 방식임) 없이, 블록체인 무결성은 암호화를 포함한 암호기술을 사용하여 그리고 앞서 설명한 암호 해싱 프로세스를 통해 검증된다. 블록체인 블록의 배열 및 콘텐츠에 대응하는 일련의 해시를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블록에 포함된 내용을 알지 못해도 블록의 어떤 변경, 삽입 또는 삭제가 쉽게 감지될 수 있다. 이전 해시를 포함하는 일련의 해시를 중첩된 해시 체인이라고 한다.As shown in Figure 1, successive blocks of data (2a, 2b, 2c, 2d...) are arranged linearly over time to form a digital ledger or chain, where new entries are only added to the end of the chain. You can. A chain of blocks, or blockchain (1), consists of transactions, financial information, and artistic content (items A, B, and C) represented by a payload (8) and metadata used to validate existing and new blocks. (6) and content related to the block header (3) including subheaders (5, 7). Every time a new transaction is initiated, a network of computer nodes called miners or validators must first check whether the blockchain they are looking at is valid or corrupted. Because the same blockchain persists permanently across hundreds of thousands of devices, it is impossible for a hacker to find and compromise enough blockchains to change the outcome of ongoing transactions. Without a central authority auditing the ledger (the way commercial banks verify financial records), blockchain integrity is verified using cryptography, including encryption, and through the cryptographic hashing process described earlier. By sequentially concatenating a series of hashes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and contents of blockchain blocks, any change, insertion, or deletion in a block can be easily detected without knowing what the block contains. A series of hashes that include the previous hash is called a nested hash chain.
중첩된 해시 체인에서 각 블록은 해싱되어 체인 상의 후속 블록의 블록 헤더에 내포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블록(2b)(블록(n-2)으로 표시됨)의 콘텐츠는 해시 함수(4b)에 의해 해싱되고 그 출력은 블록(2c) 내의 블록 헤더(3)에 포함된 서브-헤더(5)에 내포된다. 마찬가지로 이전 블록(2a)의 콘텐츠는 해시 함수(4a)로 해싱되어 블록(2b)의 블록헤더 내에 내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블록은 시간상 그 이전의 모든 블록들의 해시를 포함하고 있다. 메타데이터 서브-블록(6)은 또한 블록체인이 선형적으로 시간적인 제약을 받게 하는 시간 및 날짜 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의 검증 동안에, 어떤 특정 블록에 기록된 해시가 이전 블록의 해싱 결과와 일치하는 경우, 그 블록은 거기에 속하지 않으며 평가 중인 블록체인은 손상된 것이거나 부정한 것이다.In a nested hash chain, each block is hashed and embedded in the block header of subsequent blocks on the chain. As shown, the contents of the entire block 2b (denoted as block n-2) are hashed by the hash function 4b and the output is the sub-header contained in the block header 3 in block 2c. It is implied in (5). Likewise, the content of the previous block 2a is hashed with the hash function 4a and is contained within the block header of block 2b. In this way, every block contains the hashes of all blocks before it in time. The metadata sub-block 6 may also contain time and date stamps, making the blockchain linearly temporally constrained. During block verification, if the hash recorded in any particular block matches the hashing result of the previous block, that block does not belong there and the blockchain being evaluated is corrupted or corrupted.
블록들의 정당한 순서를 검증하기 위해 해싱을 사용하는 것과 별도로, 해싱은 블록 내의 콘텐츠를 검증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중첩된 해시 체인 상의 순차적인 블록들과 달리, 블록 내에 포함된 거래의 해싱된 데이터는 순차적이 아니라 계층적이고, 각 해시는 부모-자식 트리(tree)와 유사한 관계를 따라 해당 부모에 연결되며 가장 많은 해싱된 거래가 "잎(leaf)" 항목들의 상위 브랜치(branch)를 구성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클 트리(Merkle tree)(13)라고 불리는 이 계층적 배열은 이진 쌍을 이룬 해시(9a, 9b, 9c, 9d, 10a, 10c)와 루트(11)를 포함하며 루트(11)는 m≥2 계층을 갖는 임의의 트리에 대해 2, 4, 8, 16, 2m-1 요소(루트 제외)로 확장될 수 있다. 머클 트리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Apart from using hashing to verify the legitimate order of blocks, hashing can also be used to verify the content within a block. Unlike sequential blocks on a nested hash chain, the hashed data of transactions contained within a block is hierarchical rather than sequential, with each hash connected to its parent along a relationship similar to a parent-child tree, with the most Hashed transactions constitute the parent branch of the "leaf" items. Additionally, as shown in Figure 1, this hierarchical arrangement, called a Merkle tree 13, consists of binary pairwise hashes 9a, 9b, 9c, 9d, 10a, 10c and a root 11. and the root 11 can be extended to 2, 4, 8, 16, 2 m-1 elements (excluding the root) for any tree with m≥2 layers. The advantages of Merkle trees are:
- 계층적 데이터베이스 내 데이터의 무결성과 유효성을 판단하는 능력- Ability to determine the integrity and validity of data within a hierarchical database
- 트리의 일부가 손상되었거나 아직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특정 트리 브랜치의 무결성을 확인하는 능력- Ability to verify the integrity of specific tree branches even if parts of the tree are damaged or not yet available
- 경량, 최소한의 데이터 오버헤드만 추가함- Lightweight, adds minimal data overhead
- 전체 트리를 검사하지 않고도 브랜치를 확인할 수 있음- You can check branches without examining the entire tree
- 유효성 증명을 수행하는 데 적은 양의 메모리만 필요함- Only a small amount of memory is required to perform validation
- 유효성 검사 중에 최소한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발생함- Minimal network traffic occurs during validation
머클 트리는 오직 하나의 해시만 남을 때까지 해시 쌍들을 반복적으로 해싱함으로써 생성된다. 블록 인코딩 프로세스에서, 거래는 개별 인스턴스들, 예를 들면 콘텐츠 A, 콘텐츠 B, 콘텐츠 C를 포함하는 블록들부터 시작하여 해싱된다(실제로는 해시 트리의 최상부에서). 해싱할 콘텐츠(D)가 없고(즉, D는 빈(null) 항목) 이진 해싱은 해시 쌍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진 잎 대칭을 유지하기 위해 HD가 HC 해시의 복제본으로 만들어진다.A Merkle tree is created by hashing hash pairs repeatedly until only one hash remains. In the block encoding process, transactions are hashed (actually at the top of the hash tree) starting with blocks containing individual instances, e.g., content A, content B, and content C. Since there is no content (D) to hash (i.e., D is a null entry) and binary hashing requires hash pairs, H D is made a replica of the H C hash to maintain binary leaf symmetry.
HA = H[콘텐츠 A]H A = H[Content A]
HB = H[콘텐츠 B]H B = H[Content B]
HC = H[콘텐츠 C]H C = H[Content C]
HD = H[콘텐츠 C]H D = H[Content C]
그런 다음 단일 해시가 남을 때까지, 해시들은 반복적인 방식으로 짝 지어지고, 연쇄(또는 병합)되고, 다시 해싱된다. ∥을 사용하여 연쇄를 나타내면, 해시 쌍 HAB 및 HCD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The hashes are then paired, concatenated (or merged), and hashed again in an iterative manner, until a single hash remains. Using ∥ to denote the chain, the hash pair H AB and H CD is given by:
HAB = H[HA∥HB]H AB = H[H A ∥H B ]
HCD = H[HC∥HD]H CD = H[H C ∥H D ]
이 동작은 잎 계층의 한 계층 아래에서 실행되는 해싱 처리를 설명한다. 중간 계층을 형성하는 해시가 2개 이상 남아 있으면, 해시 파일이 2개만 남을 때까지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이들 두 개의 남은 해시를 해싱하여 머클 루트(HMR)라고 하는 최종 해시가 얻어진다:This behavior describes the hashing process running one layer down in the leaf hierarchy. If there are more than two hashes remaining forming the middle layer, the process is repeated until only two hash files remain. By hashing these two remaining hashes, the final hash, called the Merkle root (H MR ), is obtained:
HMR = H[HAB∥HCD]H MR = H[H AB ∥H CD ]
따라서 머클 루트(11)는 트리의 모든 구성 해시들의 단일의 고유 해시를 나타낸다. 블록(2c) 내 헤더(3)의 서브-헤더(7)에 그리고 마찬가지로 블록체인의 모든 블록에 이 머클 루트를 포함함으로써, 트리 전체에 걸쳐 블록 무결성을 확인하는 데 빠른 검사를 사용할 수 있다. 블록의 해시가 헤더의 머클 루트와 일치하지 않으면, 블록의 콘텐츠가 변조된 것이다. 즉, 블록이 부정한 거래나 손상된 스마트 계약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refore, the Merkle root (11) represents the single unique hash of all constituent hashes of the tree. By including this Merkle root in the sub-header (7) of the header (3) within block (2c) and likewise in every block in the blockchain, a quick check can be used to verify block integrity throughout the tree. If the hash of the block does not match the Merkle root of the header, the content of the block has been tampered with. This means that blocks may contain fraudulent transactions or corrupted smart contracts.
중요한 것은, 해싱은 검증 노드나 채굴자가 진행 중인 블록을 체인에 설치하기 전에 해당 블록의 진위를 확인하는 수단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배심원 노드를 어떻게 신뢰할 수 있을까? 진실한 검증을 보장하는 것은 블록체인 처리에서 암호기술의 또 다른 역할이다. 인증 손상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거래를 검증하고 기록하는 것이 익명의 피어 배심원단(jury-of-peers)이 투표하는 프로세스인 합의 메커니즘을 통해 수행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배심원 노드는 자신이 검증하는 거래에 관련된 당사자의 신원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배심원이 새 항목의 무결성을 평가할 때 속이거나 편견을 가지고 투표할 논리적 동기가 없다.Importantly, hashing provides a means for verification nodes or miners to verify the authenticity of a block in progress before installing it on the chain. But how can we trust jury nodes? Ensuring truthful verification is another role of cryptography in blockchain processing. To avoid the risk of authentication compromises, verifying and recording transactions is done through a consensus mechanism, a voting process by an anonymous jury-of-peers. Because jury nodes in a blockchain network do not know the identities of the parties involved in the transactions they verify, there is no logical incentive for jurors to cheat or vote with bias when evaluating the integrity of a new entry.
노드는 해시를 점검하는 철저한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투표할 수 있지만, 다른 노드에 동의하지 않는 만성적인 이력을 보이는 배심원은 혐의자이고 궁극적으로 배심원 고려 대상에서 제외된다. 거래를 검증하는 채굴자들 사이의 부적절한 행동을 억제하는 또 다른 방법은 증명(proof)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 중 하나(작업 증명: Proof of Work)에서, 각 블록 헤더는 한 번 사용된 숫자( n umber used once )를 의미하는 암호학 용어인 논스(nonce)라고 하는 난수의 해시를 포함한다. 신뢰할 수 있는 통신 분야에서 차용한 것으로, 거래에 무작위성을 도입하여 논스를 인증 수단으로 사용하여 재생 공격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외부인이 마지막 행동으로부터 다음 행동을 추측하여 해킹을 실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블록을 검증(채굴)할 기회를 얻기 위해, 검증자는 먼저 해시-논스 퍼즐을 풀어 논스 값(선행하는 0의 개수가 달라지는 난수)을 추출해야 한다.Nodes can vote without doing the exhaustive work of checking hashes, but jurors who have a chronic history of disagreeing with other nodes are suspects and are ultimately excluded from jury consideration. Another way to curb inappropriate behavior among miners verifying transactions is to use a proof mechanism. In one of these concepts (Proof of Work), each block header contains a hash of a random number called a nonce, a cryptography term meaning number used once . Borrowed from the field of trusted communications, it introduces randomness into transactions to prevent replay attacks by using a nonce as an authentication method, thereby preventing outsiders from executing hacks by guessing the next action from the last action. To have a chance to verify (mine) a block, the verifier must first solve a hash-nonce puzzle to extract the nonce value (a random number with a varying number of leading zeros).
이러한 무차별적인 노력은 에너지 사용 및 돈 지출을 요구하여 불성실한 노력이나 부정한 결과를 억제한다. PoW 구현에서는, 이와 동일한 해시-논스 퍼즐이 새로운 암호화폐를 채굴하는 데 사용된다. 블록을 검증하는 것 외에도, 암호기술은 콘텐츠(예를 들어 예술, 음악, 티켓 등) 자체의 진위를 확인하기 위한 자격증명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기능은 특히 대체 불가 토큰(NFT: non-fungible tokens)의 거래에 중요하다. 블록 확인 및 디지털 서명에 암호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블록체인은 사용자에게 "무신뢰 환경에서의 신뢰"를 제공할 수 있다.These indiscriminate efforts require energy use and money expenditure, thereby discouraging insincere efforts or fraudulent results. In a PoW implementation, this same hash-nonce puzzle is used to mine new cryptocurrencies. In addition to verifying blocks, cryptography can also be used as a credential to verify the authenticity of the content itself (e.g. art, music, tickets, etc.). This feature is especially important for trading non-fungible tokens (NFTs). By using cryptography to verify blocks and digitally sign them, blockchain can provide users with “trust in a trustless environment.”
블록체인 속성( Blockchain Properties) : 블록체인의 속성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과 특성이 포함된다. Blockchain Properties : Blockchain properties include the following major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 신뢰성(trusted) :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는 동일한 디지털 원장의 사본을 포함하므로, 부정한 블록이 감지되어 네트워크에서 추방되지 않고는 허위의 항목을 삽입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정한 거래와 손상된 블록은 블록체인에 기록되지 않는다.- Trusted : Every node in a blockchain network contains a copy of the same digital ledger, so there is no way for a fraudulent block to be inserted without it being detected and expelled from the network. In this way, fraudulent transactions and corrupted blocks are not recorded on the blockchain.
- 불변성(immutable) : 일단 항목이 타임-스탬프가 찍히고 블록체인에 기록되면, 제거하거나 순서를 다시 지정할 수 없다[60]. 블록체인에 지워지지 않게 기록되면 블록의 역사와 연대기를 다시 작성하고 사후에 손상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다.- Immutable : Once an item is time-stamped and recorded on the blockchain, it cannot be removed or reordered [60] . Once indelibly recorded on the blockchain, there is no way to rewrite the block's history and chronology and corrupt it after the fact.
- 탈중앙화(Decentralized) : 익명 노드들의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블록체인의 자율 가상 머신을 실현함으로써, 중앙 컴퓨터나 네트워크 운영자가 블록체인의 활동을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사이버 공격에 취약한 단일 장치나 노드가 없다; 뇌물을 주거나 강요할 수 있는 운영자가 없다; 그리고 유출할 개인 정보도 없다. 탈중앙화 P2P (peer-to-peer) 네트워크는 조작을 피하고 DDoS(distributed denial-of-service;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을 격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예비 해커는 클라우드 내의 어느 서버가 블록체인 가상 네트워크의 다양한 노드를 호스팅하고 있는지 식별할 수 없기 때문이다.- Decentralized : By using a network of anonymous nodes to realize an autonomous virtual machine of the blockchain, no central computer or network operator can control the activities of the blockchain. Therefore, there is no single device or node vulnerable to cyberattacks; There are no operators who can bribe or coerce; And there is no personal information to leak. Decentralized peer-to-peer (P2P) networks can avoid manipulation and repel distributed denial-of-service (DDoS) attacks. This is because a would-be hacker cannot identify which servers within the cloud are hosting the various nodes of the blockchain virtual network.
- 중복성(Redundant) :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디지털 원장은 네트워크의 여러 노드에서 공유되어 임의의 단일 지점 장애나 집중된 취약성을 제거한다. 이 병렬 노드 구조는 데이터, 네트워크 및 컴퓨팅 중복성을 제공한다.- Redundant : The digital ledger that forms the blockchain is shared across multiple nodes in the network, eliminating any single point of failure or concentrated vulnerability. This parallel node structure provides data, network, and compute redundancy.
중복 분산된 가상 머신의 이점에는 노드 또는 해당 통신 네트워크가 오프라인이 되는 경우에도 거래 및 작업을 적시에 확실하게 해결하는 것이 포함된다. 배심원-기반 의사 결정을 통한 중복 컴퓨팅의 초기 예는 NASA의 우주 왕복선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 컴퓨터였다.The benefits of redundant distributed virtual machines include timely and reliable resolution of transactions and operations even when a node or its communication network goes offline. An early example of redundant computing with jury-based decision making was the computer used to control NASA's space shuttle.
그러나 탈중앙화 중복 네트워크를 분산 컴퓨팅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분산 컴퓨팅에서는, 작업이 분리 가능한 조각으로 나누어져 각 노드에 할당되어 작업을 공평하게 분배한다. 노력을 병행함으로써, 작업에 기여하는 노드의 수에 비례하여 작업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든다. 마찬가지로 컴퓨팅 작업(Ejob)을 수행하는 데 소비된 총 에너지는 "n"개 노드가 있는 가상 머신 전체에 분산된다. 여기서 각 노드는 작업당 Ejob/n의 평균 에너지를 소비한다.However, decentralized redundant networks should not be confused with distributed computing. In distributed computing, work is divided into separable pieces and assigned to each node to distribute the work fairly. By parallelizing efforts, the time it takes to complete a task is reduced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nodes contributing to the task. Likewise, the total energy consumed to perform a computing task (E job ) is distributed across virtual machines with “n” nodes. Here, each node consumes an average energy of E job /n per task.
대조적으로, 탈중앙화 컴퓨팅에서는, 단일 과제 또는 작업이 컴퓨팅 노드의 중복 어레이로서 일제히 작동하는 "n" 개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병렬로 동일하게 수행된다. 따라서 가상 머신의 중복성에 의해 작업 수행에 필요한 시간이 전혀 줄어들지 않는다. 실제로 탈중앙화 컴퓨팅에서는 네트워크에서 가장 느린 속도의 노드가 블록체인 가상 머신의 거래 속도를 결정한다. 더욱이 탈중앙화 컴퓨팅에 필요한 에너지는 중앙 컴퓨터가 소비하는 Ejob에서 탈중앙화 버전에서 n·Ejob로 증가한다. 이는 탈중앙화 컴퓨팅이 중앙집중 컴퓨터보다 에너지 효율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In contrast, in decentralized computing, a single task or task is performed identically in parallel by “n” network nodes acting in unison as a redundant array of computing nodes. Therefore, the time required to perform a task is not reduced at all by the redundancy of the virtual machine. In fact, in decentralized computing, the slowest node in the network determines the transaction speed of the blockchain virtual machine. Moreover, the energy required for decentralized computing increases from E jobs consumed by the central computer to n·E jobs in the decentralized version. This means that decentralized computing is less energy efficient than centralized computers.
- 합의 검증(Consensus Validated) : 중복 시스템의 핵심 요소는 노드들 간의 불일치를 중재하는 수단이다. 즉, 노드들이 새로운 거래가 유효한지 만장일치로 승인하지 못할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는 여러 노드의 결과를 집계하는 합의 메커니즘[64]을 사용하여 피어 배심원단 투표를 통해 갈등 중 의사 결정이 촉진된다. 진행 중인 거래를 통과시키거나 거부하기 위한 필수 합의 기준은 블록체인 구현에 따라 다르다.- Consensus Validated : A key element of a redundant system is a means of mediating disagreements between nodes. In other words, it determines what to do if nodes cannot unanimously approve whether a new transaction is valid. Decision-making during conflicts is facilitated through peer jury voting using a consensus mechanism [64] that aggregates the results of multiple nodes performing the same task. The required consensus criteria for passing or rejecting an ongoing transaction vary depending on the blockchain implementation.
투표를 오염시키기 위해 해커가 사용하는 합의 공격(예를 들면 시빌(Sybil) 공격 등)은 무작위 익명 노드와 배심원 노드를 모호하게 하는 다양한 위장 기술을 사용하여 격퇴할 수 있다.Consensus attacks used by hackers to corrupt votes (e.g. Sybil attacks, etc.) can be defeated using various camouflage techniques to obscure random anonymous nodes and jury nodes.
증명(Proof) : 신뢰할 수 있는 합의 결정을 구현하는 핵심 개념은 모든 참여 노드가 진실함을 보장하는 수단, 즉 노드의 투표가 의미 있는 것으로 확인하는 수단이다. 노드가 진실한 배심원인지 확인하는 것을 "증명"이라고 하며, 노드를 정직하게 유지하는 더욱 통찰력 있는 설명은 진실성의 증명(proof-of-sincerity)이라고 해야 한다. 하지만, 블록체인 가상 머신은 그 노드들이 블록체인의 무결성과 사용자 공동체의 최선의 이익을 위해 진실하게 행동하고 있는지 어떻게 보장할 수 있을까? Proof : A key concept in implementing reliable consensus decisions is a means of ensuring that all participating nodes are truthful, i.e., a means of verifying that a node's vote is meaningful. Ensuring that a node is a truthful juror is called “proof,” and a more insightful explanation of what keeps a node honest should be called proof-of-sincerity. But how can a blockchain virtual machine ensure that its nodes are acting truthfully and in the best interest of the blockchain's integrity and user community?
거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거래에 참여하는 당사자의 신원을 보호하여, 검증자가 음모 또는 편견 투표에 참여하거나, 시스템을 조작하는 "게임"을 하는 것, 즉 의도적으로 불법 행위를 저지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The first step in ensuring transaction integrity is to protect the identities of parties participating in a transaction, preventing validators from engaging in conspiracy or bias voting, or "gaming" the system, i.e. intentionally committing illegal acts. It is to prevent.
부정한 투표를 막기 위해 증명이 달성되는 일반적인 방법은 배심원 노드가 성실하지 않거나 부정직하게 투표할 경우 잃을 것이 있음을 보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i) 검증 프로세스에 참여하기 위해 돈과 노력을 소비해야 한다("작업 증명")[67], (ⅱ) 자신이 보유한 자산의 가치가 자신의 행동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지분 증명"), 또는 대안으로 (ⅲ) 배심원 노드는 참가자로서 자신을 인증하는 특정 자격증명을 보유하여 (다수 투표가 무엇인지 사전에 알지 못한 채) 지속적으로 과반수로 투표해야만 보상을 받을 수 있다.A common way proof is achieved to prevent fraudulent voting is to ensure that jury nodes have something to lose if they vote insincerely or dishonestly. For example, (i) you have to spend money and effort to participate in the verification process (“proof of work”) [67] , (ii) the value of the assets you hold may be negatively affected by your actions (“Proof of Stake”), or alternatively (iii) jury nodes hold certain credentials that authenticate them as participants so that they can only receive rewards if they consistently vote with a majority (without knowing in advance what a majority vote is) there is.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일부로서 처음 배포된 후 나중에 이더리움에 채택된 작업 증명(PoW)은 새로운 블록을 채굴하는 데 필요한 비용으로서 의도적으로 전기를 낭비한다. 불법 행위나 나쁜 짓이 해커에게 비용을 제출하게 함으로써 이를 억제할 수 있으며 이들은 나쁜 행동으로 인해 자격이 박탈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만 그 비용을 복구할 수 있다. 최근, 엄청난 탄소 발자국을 가진 PoW는 에너지 낭비, 환경적으로 무책임하고 생태학적으로 지속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전 세계적으로 집중적인 감시를 받고 있다. 지분 증명(Proof-of-Stake)과 같은 대안적이고 친환경적인 방법이 현재 채택되고 있다.Proof-of-Work (PoW), first deployed as part of the Bitcoin blockchain and later adopted by Ethereum, intentionally wastes electricity as the cost of mining new blocks. Illegal or bad behavior can be deterred by forcing hackers to submit costs, and they can recover those costs only to the extent that they are not disqualified for bad behavior. Recently, PoW, with its enormous carbon footprint, has come under intense scrutiny worldwide for being energy-wasting, environmentally irresponsible and ecologically unsustainable. Alternativ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s such as Proof-of-Stake are currently being adopted.
그러나 지분 증명(PoS)으로의 이동은 예상보다 훨씬 느렸다. 이는 부분적으로 사용자들이 부담 없음(nothing-at-stake) 문제를 피할 수 있다고 확신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노드가 실제로 그렇지 않음에도 블록체인의 소속 암호화폐에 상당한 경제적 이해가 있다고 다른 노드들을 속이는 악의적인 기만이다. PoS 합의 투표에서, 부적격 노드가 감지되지 않으면 부정한 거래(이중 지출 등)를 저지르거나 유효한 거래를 의도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다른 옵션에는 자격증명-기반 합의 검증이 있으며, 타임-스탬프가 찍힌 "이력 증명"(PoH: Proof of History), 또는 동적 노드 거버넌스와 흉내낼 수 없는 암호화 홉 코드(임시 블록체인이라고 하는 일종의 중첩된 해시 체인)를 채용하는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인 HyperSphere의 "성능 증명"(PoP: Proof of Performance)을 포함한다.However, the move to Proof of Stake (PoS) has been much slower than expected. This is partly because users are not confident that they can avoid the nothing-at-stake problem. This is a malicious deception that deceives other nodes into thinking that the node has a significant economic interest in the blockchain's cryptocurrency when in fact this is not the case. In PoS consensus voting, if ineligible nodes are not detected, they can commit fraudulent transactions (such as double spending) or intentionally destroy valid transactions. Other options include credential-based consensus verification, time-stamped “Proof of History” (PoH), or dynamic node governance and inimitable cryptographic hop codes (a type of nested hash called an ephemeral blockchain). Includes HyperSphere's "Proof of Performance" (PoP), a decentralized consensus algorithm that employs chains.
이러한 새로운 합의 알고리즘은 거래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 외에도, 이전 알고리즘에 비해 실질적으로 더 작은 탄소 발자국과 해킹에 대해 향상된 탄력성을 제공한다. 실제로, HyperSphere 홉 코드는 데이터를 이동하고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노드 기여의 암호화 증명을 생성하는데 이는 합의 검증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사용되었을 에너지이다. 즉, 추가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고 패킷 통신의 일부로서 PoP 검증이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o improving transaction speeds, these new consensus algorithms offer a substantially smaller carbon footprint and improved resilience to hacking compared to previous algorithms. In effect, the HyperSphere hop code creates a cryptographic proof of a node's contribution as part of the network that moves data and performs the actual work, which is energy that would have been used even if consensus verification was not included. That is, PoP verification can be run as part of packet communication without consuming additional energy.
그러나 본질적인 차이로 인해, 이러한 새로운 합의 메커니즘은 기존의 블록체인에 적용될 수 없으며, 대신 초기에 블록체인 아키텍처에 구축되어야 한다.However, due to inherent differences, these new consensus mechanisms cannot be applied to existing blockchains and must instead be initially built into the blockchain architecture.
보안(Security) : 앞서 설명한 대로, 암호기술은 다양한 방법으로 블록체인과 해당 거래에 보안을 제공하며 이는 체인에 있는 블록의 무결성과 출처를 인증하고 새 블록이 일단 확인되면 체인에 추가될 수 있는 수단을 촉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암호기술은 블록의 머클 트리를 검증하여 콘텐츠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보장함으로써, 이중 지출, 사기, 또는 스마트 계약 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Security : As previously explained, cryptography provides security to blockchains and their transactions in a variety of ways, providing a means of authenticating the integrity and origin of blocks in the chain and allowing new blocks to be added to the chain once they are verified. includes promoting. Additionally, cryptography can verify the Merkle tree of a block to ensure that the content has not been altered, preventing double spending, fraud, or smart contract tampering.
블록체인 가상 머신을 통해 출시된 해시-논스 퍼즐 또는 보안 자격증명을 사용하는 암호기술이 거래 승인과 관련된 배심원 노드들의 진실성을 확인한다.Cryptography using hash-nonce puzzles or security credentials released through the blockchain virtual machine verifies the veracity of the jury nodes involved in approving transactions.
개인 키를 통한 암호기술은, 탈중앙화 지갑에 저장되고 스마트 계약을 통해 거래되는 자산을 보호한다. 디지털 서명을 사용하여, 자산의 진위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대체 불가 토큰(NFT)을 사용하여 수집품을 거래할 때 특히 중요한 기능이다.Cryptography using private keys protects assets stored in decentralized wallets and traded through smart contracts. Using digital signatures, the authenticity of an asset can also be verified, which is an especially important feature when trading collectibles using non-fungible tokens (NFTs).
블록체인 거래는 암호기술로 보호되지만,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 통신은 여전히 감시, 메타데이터 분석, 피싱 공격, 및 악성 코드에 노출되어 있다. 인터넷 브라우저,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지갑, 잘못 설계된 프로토콜을 통해 실행되는 거래는 사용자의 개인 암호화 키를 탈취하도록 설계된 공격에 특히 취약하다. 이러한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네트워크 통신을 변경함으로써, 특히 OSI 계층 3, 6 및/또는 7(각각 네트워크, 프레젠테이션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패킷 데이터를 난독화하거나 암호화함으로써, 블록체인 보호 수준을 강화할 수 있다. 이는 HyperSphere에 고유한 기능이다.Although blockchain transactions are protected by cryptography, network communications over the Internet are still exposed to surveillance, metadata analysis, phishing attacks, and malware. Transactions conducted through Internet browsers, insecure wallets, and poorly designed protocols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attacks designed to steal users' private encryption keys. To prevent such hacks, the level of blockchain protection can be strengthened by modifying network communications, especially by obfuscating or encrypting packet data at OSI layers 3, 6, and/or 7 (network, presentation, and application layers, respectively). . This is a feature unique to HyperSphere.
DDoS 및 합의 공격에 취약한 수동적 암호화폐의 채굴 및 검증과 달리, 스마트 계약(일단 블록체인에 업로드 된 후)의 하드-코딩된 명령은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제한적으로, 사이버 해커는 스마트 계약을 호스팅하는 블록체인의 가상 머신(BCVM)의 동작에 의해 또는 시스템의 상태 머신을 방해함으로써만, 예를 들어 타임 재킹, 재진입 등을 사용하여, 스마트 계약 실행을 방해할 수 있다. DeFi 사이버 공격의 위험은 잘못 작성된 코드로 인해 증폭되어, 해킹에 노출된 스마트 계약의 공격 표면을 크게 증가시킨다. 이러한 위험 노출을 방지하려면 숙련된 dApp 및 사이버 보안 전문가의 철저한 검토가 필요하다.Unlike mining and verification of passive cryptocurrencies, which are vulnerable to DDoS and consensus attacks, the hard-coded instructions in smart contracts (once uploaded to the blockchain) cannot be changed. Therefore, to a limited extent, a cyber hacker can only prevent smart contract execution by the operation of the blockchain's virtual machine (BCVM) hosting the smart contract or by disrupting the system's state machine, for example using time jacking, re-entrancy, etc. It can be a hindrance. The risk of DeFi cyberattacks is amplified by poorly written code,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attack surface of smart contracts vulnerable to hacking. Preventing such risk exposure requires thorough review by experienced dApp and cybersecurity experts.
투명성(Transparency) :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과 같은 탈중앙화 단일 블록체인은 공개되어, 블록 항목 및 거래에 대해 공개 검사를 제공한다. 공개 단일 블록체인은 지갑, 디지털 자산, 스마트 계약을 포함하는 거래 관련 주소의 계보 이력 추적을 용이하게 한다. 무허가형 스마트 계약의 다운로드는 작성자, 사용자, 및 공인된 제3자 검증 서비스에 의한 스마트 계약 코드의 검사를 가능하게 한다. 공개 단일 블록체인의 투명성의 단점은 고가치 지갑의 역추적을 포함한 다양한 공격에 대한 취약성이다. 다행히 지갑 주소는 공개되어 있지만 지갑 소유자의 실제 신원은 공개되지 않는다. Transparency : Single, decentralized blockchains such as Bitcoin and Ethereum are public, providing public inspection of block entries and transactions. A single public blockchain facilitates tracing the lineage history of addresses associated with transactions, including wallets, digital assets, and smart contracts. Permissionless smart contract downloading allows for inspection of smart contract code by creators, users, and authorized third-party verification services. The downside to the transparency of a public single blockchain is its vulnerability to a variety of attacks, including backtracking of high-value wallets. Fortunately, the wallet address is public, but the actual identity of the wallet owner is not.
거래 속도(Transaction Speed ): 블록체인의 속도는 검증 메커니즘과 시간적, 계층적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79][80]. 예를 들어 작업 증명(PoW)은 지분 증명(PoS)보다 상당히 느리며, PoS는 이력 증명 및 성능 증명보다 느리다. 단일의 공개 통합 블록체인은 본질적으로 느리며, 체인이 커질수록(즉, 더 길어질수록) 거래 처리량이 감소한다. DyDAG와 같은 병렬 체인은, 블록 수가 적은 짧은 체인이 더 빠르고 더 높은 수준의 병렬 처리로 확인될 수 있기 때문에, 더 높은 거래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Transaction Speed : The speed of blockchain varies depending on the verification mechanism and temporal and hierarchical structure [79][80] . For example, Proof of Work (PoW) is significantly slower than Proof of Stake (PoS), and PoS is slower than Proof of History and Proof of Performance. A single, public, unified blockchain is inherently slow, and transaction throughput decreases as the chain grows (i.e. longer). Parallel chains, such as DyDAG, can provide higher transaction speeds because shorter chains with fewer blocks can be confirmed faster and with a higher degree of parallelism.
논리 및 산술 계산이 포함된 스마트 계약을 실행할 때, OPS(초당 연산) 속도는 스마트 계약 실행 시간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대부분의 구현에서, 블록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특유한 블록 시간(block time)이라는 고정된 간격으로 채굴, 즉 거래된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은 이전에 15초의 블록 시간으로 실행되었으며 2012년에는 블록 시간을 12초로 줄였다. 새로운 경쟁 체인은 더 빠르고 블록 시간이 2초 정도로 더 짧다. 대조적으로, 1세대 블록체인인 비트코인은 한 블록을 해결하는 데 9분이 걸린다. 더 짧은 시간에 동일한 양의 작업을 수행하려면 더 빠른 컴퓨팅 속도가 필요하다. 그러나 블록체인은 채굴자나 검증자가 사용하는 하드웨어를 제어하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하드웨어나 최소 성능 수준을 규정할 수 없다.When executing smart contracts that involve logical and arithmetic calculations, OPS (Operations Per Second) speed becomes an important factor in smart contract execution time. In most implementations, blocks are mined, or traded, at fixed intervals called block times, which are specific to the blockchain network. For example, Ethereum previously ran with a block time of 15 seconds and reduced the block time to 12 seconds in 2012. The new competing chain is faster and has a shorter block time of around 2 seconds. In contrast, Bitcoin, the first generation blockchain, takes 9 minutes to solve one block. Performing the same amount of work in less time requires faster computing speeds. However, because blockchain does not control the hardware used by miners or validators, it cannot prescribe hardware or minimum performance levels for nodes in the network.
모든 거래는 체인에 블록이 기록될 때 타임-스탬프가 찍히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진화하는 성능을 측정하고 모니터링하는 수단이 이미 존재한다. 최근 체인 거래에 대한 간단한 통계 분석을 통해 블록체인 노드 커뮤니티의 현재 처리 시간을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노드들에 사용되는 컴퓨터 아키텍처 및 GPU 반도체 기술의 세부 사항은 보고되지 않지만, 컴퓨팅 성능의 향상, 즉 채굴자들이 빠른 프로세서를 구입하는 경우, 통계적으로 거래 속도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네트워크 성능 향상은 특정 BCVM의 지속적인 성능 향상을 반영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Because every transaction is time-stamped when a block is written to the chain, a means to measure and monitor the evolving performance of the network already exists. A simple statistical analysis of recent chain transactions allows you to immediately determine the current processing time of the blockchain node community. Details of the computer architecture and GPU semiconductor technology used in the nodes are not reported, but improvements in computing performance, i.e. if miners purchase faster processors, are statistically seen in transaction speeds. Therefore, network performance improvements can be adjusted to reflect continued performance improvements in specific BCVMs.
그러나 탈중앙화 네트워크의 성능 기준을 높이는 것은 위험을 수반한다[82]. 블록체인 사양이 업그레이드됨에 따라, 네트워크는 필연적으로 부유한 채굴자만이 감당할 수 있는 점점 더 적은 수의 더 유능한 컴퓨팅 노드에 의해 제어되며, 이로 인해 노드 다양성과 탈중앙화를 위협한다. 산술 OPS 속도를 결정하는 또 다른 핵심 요소는 블록 크기이다. 블록을 바이트 단위로 측정하는 대신, 블록 크기는 블록에 할당된 최대 가스량으로 측정된다. 가스는 특정 연산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계산적의 노력을 측정하는 단위이므로, 가스 한도는 블록의 최대 계산적 노력을 측정하며, 여기서 연산당 필요한 가스는 가스 소비율(G)로 지정된다.However, raising the performance standards of decentralized networks carries risks [82] . As blockchain specifications are upgraded, the network will inevitably be controlled by fewer and more capable computing nodes that only wealthy miners can afford, thereby threatening node diversity and decentralization. Another key factor that determines arithmetic OPS speed is block size. Instead of measuring blocks in bytes, block size is measured in terms of the maximum amount of gas allocated to the block. Since gas is a unit of measurement for the computational effort required to execute a specific operation, the gas limit measures the maximum computational effort of a block, where the gas required per operation is specified by the gas consumption rate (G).
예를 들어, 2021년 4월의 가스 한도 및 OPS 속도 증가 이전에, EVM은 가스 한도가 12.5M, 블록 시간이 12, 고정된 정수 연산 당 소비율 G = 3을 갖고 있었다[85], 따라서For example, before the gas limit and OPS rate increase in April 2021, EVM had a gas limit of 12.5M, a block time of 12, and a fixed consumption rate of G = 3 per integer operation [85] , thus
= 350k ops/초 = 350k ops/sec
이 명령 처리 속도는 컴퓨팅 표준에 비해 상당히 느리며, 이는 1965년 IBM System/360 컴퓨터의 속도와 비슷하다. 반면에, 오늘날 게임용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그래픽 프로세서는 EVM 기반 dApp보다 8 자릿수 더 빠른 30 TFLOPs의 부동 소수점(고정된 정수 아님) 계산을 수행한다. 처리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당연해 보일 수 있지만, 더 큰 블록을 수용하기 위해 가스 한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상당수의 노드가 할당된 블록 시간 내에 작업을 완료하지 못할 위험은 블록 크기의 선형적 증가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커진다. 불완전한 블록 검증을 폐기하고 반복해야 하므로, 가스 요금이 증가하고 스마트 계약 거래 완료가 지연된다.This instruction processing speed is considerably slow compared to computing standards, and is comparable to the speed of a 1965 IBM System/360 computer. On the other hand, graphics processors readily available for gaming today perform floating point (not fixed integer) calculations at 30 TFLOPs, eight orders of magnitude faster than EVM-based dApps. It may seem obvious to improve throughput, but gas limits may be increased to accommodate larger blocks, and the risk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nodes will not be able to complete their work within the allotted block time increases exponentially with a linear increase in block size. grows exponentially. Incomplete block verifications must be discarded and repeated, increasing gas fees and delaying the completion of smart contract transactions.
스마트 계약( dApps ) : 단순히 수동적 데이터를 저장하는 대신, 2세대 블록체인(및 그 이상)은 스마트 계약이라고 불리는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을 지원한다. 스마트 계약은 시간 및 날짜, 거래, 가격, 토큰 공급 및 이전 거래를 포함하여 계약에 지정된 상태 변수의 변경에 반응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기반 if-then-else 조건 논리를 포함한다. 스마트 계약은 또한 고정된 정수 산술 연산도 수행할 수 있지만 부동 소수점 계산은 수행할 수 없다. Smart contracts ( dApps ) : Instead of simply storing passive data, second-generation blockchains (and beyond) support decentralized applications (dApps) called smart contracts. Smart contracts contain software-based if-then-else conditional logic that can react to changes in state variables specified in the contract, including time and date, transaction, price, token supply, and previous transactions. Smart contracts can also perform fixed integer arithmetic operations, but not floating point calculations.
블록체인은 다음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스마트 계약을 가능하게 한다: (i) dApp을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배포하기 위한 탈중앙화 플랫폼 제공, (ⅱ) 최신 및 가장 현재의 계약 인스턴스에 대한 업데이트로 거래를 기록하는 실시간 데이터베이스를 가능하게 함, (ⅲ) 새로운 계약 인스턴스화를 검증하기 위한 합의 메커니즘을 제공, 및 (iv) 스마트 계약 명령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블록체인 가상 머신(BCVM)으로 동작함. Blockchain enables smart contracts in several ways, including: (i) providing a decentralized platform for storing and distributing dApps to users, and (ii) transacting with updates to the latest and most current contract instances. (iii) provides a consensus mechanism to verify new contract instantiations, and (iv) acts as a blockchain virtual machine (BCVM) required to execute smart contract commands.
파일 공유 프로그램 BitTorrent에 의해 처음으로 제시된 분산화 개념에 영감을 받고, 한정된 컴퓨팅 능력(즉, ES-EVM에 필적하는 성능)의 노드를 사용하여 분산 처리를 경제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대해 심오한 인식으로부터 출발하여, 어떤 전용 하드웨어 플랫폼이 없는 '멈추지 않는 컴퓨터'의 개념이 탄생했다.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 Ethereum virtual machine)이라는 이 선구적인 개념 증명은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영향력을 입증하였다.Inspired by the concept of decentralization first presented by the file sharing program BitTorrent, and starting from a profound awareness of the economical application of distributed processing using nodes of limited computing power (i.e., performance comparable to ES-EVM), The concept of a 'non-stop computer' without any dedicated hardware platform was born. This pioneering proof of concept in decentralized applications, the Ethereum virtual machine (EVM), has proven to have an impact that no one could have predicted.
실제로, 거의 모든 블록체인 가상 머신의 기본 설계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선도자로부터 본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았다. 도 2에 설명된 것처럼, 구조적으로,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은 전용 호스트 프로세서 없이 다양한 수준의 컴퓨팅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저장된 경량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 상태 머신으로서 동작한다.In fact, the basic design of almost all blockchain virtual machines is essentially unchanged from the Ethereum blockchain pioneer. As depicted in Figure 2, structurally, the Ethereum Virtual Machine (EVM) operates as a state machine consisting of lightweight decentralized applications stored on the Ethereum blockchain that can perform various levels of computing applications without a dedicated host processor.
도시된 바와 같이, 이더리움 가상 머신의 실현은 세 가지 요소를 포함한다. 즉, (i) 블록체인에 저장된 EVM 코드(21)를 포함하는 불변 dApp(20a); (ⅱ) "계정 저장소"로서 갱신되지만 지속 상태로 유지되는 월드 상태(world state)(σ)(20c); 및 (ⅲ) 거래 처리 동안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이더리움 가상 머신의 휘발성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머신 상태(μ)(20b).As shown, the realization of the Ethereum virtual machine involves three elements. That is, (i) an immutable dApp (20a) containing EVM code (21) stored on the blockchain; (ii) a world state (σ) (20c) that is updated but remains persistent as an “account store”; and (iii) machine state (μ), which includes volatile instances of the Ethereum virtual machine that exist temporarily during transaction processing (20b).
EVM의 컴퓨팅 커널은 EVM의 운영 체제로서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블록체인을 가상 읽기 전용 메모리(가상 ROM)로 사용하면, 이 EVM OS 코드(21)는 블록체인에서 완전히 새로운 인스턴스로서 갱신을 실행하는 것 외에는 수정하거나 편집할 수 없다. 그 후에도, 이전 버전은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소프트웨어(이 경우 이더리움 가상 머신)를 배포하기 위한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기능을 한다. EVM을 호출하기 위해, Solidity라는 언어와 같은 Java-스크립트로 작성된 스마트 계약은 EVM OS에 대해 함수 호출을 만든다.The EVM's computing kernel is the EVM's operating system and includes software stored on the Ethereum blockchain. Using the blockchain as a virtual read-only memory (virtual ROM), this EVM OS code 21 cannot be modified or edited other than executing updates as a completely new instance on the blockchain. After that, the previous version will remain available forever. In this way, the Ethereum blockchain functions as a trusted platform for distributing software (in this case, the Ethereum Virtual Machine). To call the EVM, a smart contract written in Java-Script like language called Solidity makes a function call to the EVM OS.
EVM OS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노드에서 시작되면, 월드 상태(σ)를 나타내는 지정된 탈중앙화 계정 저장소에서 변수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데이터를 EVM에 로딩하면 시스템이 휴면 모드 중에 발생한 이벤트를 따라잡을 수 있다. 즉, 최신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면 상태가 되기 전 마지막으로 기록된 거래로서 스마트 계약을 통해 다수의 토큰이 판매된 경우, 이 가용한 공급 데이터는 처리를 위한 시작점으로서 계정 저장소에서 EVM OS로 전달된다.When the EVM OS is started on an Ethereum network node, it collects variable data from a designated decentralized account repository that represents the world state (σ). Loading this data into the EVM allows the system to catch up on events that occurred during sleep mode. In other words, you can make it up to date. For example, if a number of tokens were sold via a smart contract as the last recorded transaction before going dormant, this available supply data is passed from the account store to the EVM OS as a starting point for processing.
계정 저장소(26)의 데이터는 각 상태 변수(27a)를 식별하는 32-byte 폭의 암호 키와 역시 32B 폭인 데이터(27b)의 대응하는 현재 값을 포함하는 키-값 쌍으로 순차적으로 보관된다. 이 데이터는 EVM OS를 부팅할 때 항상 계정 저장소(26)에서 로딩되고 작업 시작 시 다시 저장되기 때문에, 월드 상태(μ) 데이터는 "지속적"이라고 기술된다.The data in the account store 26 is stored sequentially as key-value pairs containing a 32-byte wide cryptographic key identifying each state variable 27a and the corresponding current value of data 27b, which is also 32B wide. World state (μ) data is described as "persistent" because this data is always loaded from the account store 26 when the EVM OS boots and is saved again when the operation begins.
EVM OS 실행 가능 코드의 핵심은 프로그램 카운터(22), 가스 게이지(23), 프로그램 스택(24), 및 가상 RAM으로 작동하는 스크래치 패드 메모리(25)를 포함하는 클록된 상태 머신인 머신 상태(μ)(20b)이다. EVM 실행 중에는, 동작 명령이 가상 ROM에서 로딩되는 반면 현재 상태 정보는 계정 저장소에서 로딩된다. 상태 머신으로의 전송은 32B 데이터 버스트로 발생하며 1B 폭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32B 폭 프로그램 스택에 저장된다. 상기 머신 상태(μ)는 휘발성이며, 월드 상태(σ)(20c)로서 저장소에 기록된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스마트 계약의 실행 이후에는 유지되지 않는다.The core of the EVM OS executable code is the machine state (μ )(20b). During EVM execution, operation instructions are loaded from virtual ROM while current state information is loaded from account storage. Transfers to the state machine occur in bursts of 32B data, stored either in 1B wide memory or in a 32B wide program stack. The machine state (μ) is volatile and is not maintained after execution of a smart contract except for data written to storage as the world state (σ) 20c.
RPN-기반 프로그램 및 계산기와 마찬가지로, 머신 상태(μ)의 프로그램 스택은 프로그램 카운터 내의 각 진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정해진 동작 명령과 데이터의 혼합을 포함한다. 완료된 동작은 작업이 완료되거나 가스가 소진될 때까지 실행이 계속되면서 프로그램 스택 상단으로 "팝업"된다. 허용되는 최대 블록 크기를 초과하는 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EVM 상태 머신에 대한 스마트 계약의 신중한 프로그래밍이 보장된다. 블록 오버플로우는 장애를 초래하여 해당 블록의 채굴 노력을 영구적으로 손상시키며, 프로그램 실행 실패, 불완전한 거래, 및 혹은 불확실한 상태를 유발한다. 프로그램 단계가 가스 한도 또는 블록 시간을 초과하는지 미리 결정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루핑(looping), 보류 상태(hold states) 및 부동 소수점 산술 연산 또한 금지된다.As with RPN-based programs and counters, the program stack of the machine state (μ) contains a mixture of prescribed operation instructions and data that are executed sequentially with each advance within the program counter. Completed operations are "popped" to the top of the program stack, with execution continuing until the task is complete or the gas runs out. To prevent transactions exceeding the maximum allowed block size, careful programming of smart contracts on the EVM state machine is ensured. Block overflows can cause failures, permanently damaging mining efforts for that block, causing program execution failures, incomplete transactions, and/or uncertain states. Because there is no way to determine in advance whether a program step will exceed a gas limit or block time, looping, hold states, and floating-point arithmetic are also prohibited.
마지막으로 EVM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계약에 버그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부적절한 주소에 데이터를 쓰는 동작이나 일시 중단 상태에 있는 스마트 계약으로 인해 복구할 수 없는 자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Lastly, special care must be taken to ensure that smart contracts running on the EVM are bug-free. Writing data to an inappropriate address or a smart contract in a suspended state can result in irrecoverable asset loss.
EVM의 동작은 단지 예시일 뿐이다. 임의의 블록체인 가상 머신의 구현은 체인별로 다르며 다양한 구현, 언어, 프로토콜 및 합의 메커니즘을 사용한다[90]. 라이브 체인은 BSC Binance 스마트 체인, Huobi ECO 체인, Solana, Polkadot, Cardano Ouroboros, HyperLedger, Tezos, Stellar, EOS, IOTA Tangle 등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블록체인들 중 일부는 실제로 클라이언트 맞춤형 가상 머신 및 네트워크를 호스팅하기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포함한다.The operation of the EVM is just an example. Implementations of random blockchain virtual machines are chain-specific and use different implementations, languages, protocols, and consensus mechanisms [90] . Live chains include BSC Binance Smart Chain, Huobi ECO Chain, Solana, Polkadot, Cardano Ouroboros, HyperLedger, Tezos, Stellar, EOS, IOTA Tangle, etc. Some of the aforementioned blockchains actually include blockchain platforms for hosting client-specific virtual machines and networks.
그러한 플랫폼 중 하나는 IBM 및 SAP-Ariba의 주요 지원을 받는 Linux Foundation의 오픈 소스 블록체인을 위한 보호 프로젝트인 HyperLedger이다. HyperLedger를 기반으로 개발된 프레임워크는 Hyperledger Fabric, Hyperledger Iroha, Hyperledger Sawtooth 및 Hyperledger Besu와 다양한 개발자 도구를 포함한다.One such platform is HyperLedger, the Linux Foundation's custodian project for open source blockchains, with major support from IBM and SAP-Ariba. Frameworks developed based on HyperLedger include Hyperledger Fabric, Hyperledger Iroha, Hyperledger Sawtooth, and Hyperledger Besu, as well as various developer tools.
블록체인 개발을 위한 또 다른 플랫폼은 Polkadot이다. 이더리움의 공동 창립자이자 Solidity의 개발자인 Gavin Wood가 만든 Polkadot은 블록체인을 위한 개발 생태계를 목표로 한다. 이 시스템의 필수 구성 요소는 파라체인, 파라스레드 및 샤딩의 네트워크 상호 운용성을 지원하는 통합 도구인 Relay-Chain과, 맞춤형 거버넌스와 토큰을 지원하는 동시에 신속한 처리와 높은 거래 처리량을 지원하는 자체 블록체인을 개발자가 생성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Another platform for blockchain development is Polkadot. Created by Gavin Wood, co-founder of Ethereum and developer of Solidity, Polkadot aims to be a development ecosystem for blockchains.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is system are Relay-Chain, an integrated tool that supports network interoperability of parachains, parathreads and sharding, and its own blockchain that supports fast processing and high transaction throughput while supporting custom governance and tokens. This is a method that allows developers to create.
Polkadot에서 개발된 그러한 스마트 계약 플랫폼 중 하나는 Moonbeam이며, 이것은 개발자가 큰 변경 없이 기존 Solidity 기반 스마트 계약 및 관련 dApp을 Moonbeam에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이더리움 호환 네트워크이다. Solidity dApp을 Polkadot의 Moonbeam에 이식함으로써, 이더리움 호스팅에 비해 유익한 성능 개선에는 비용 절감 및 거래 처리량 증가가 포함된다.One such smart contract platform developed on Polkadot is Moonbeam, an Ethereum-compatible network that allows developers to use existing Solidity-based smart contracts and related dApps on Moonbeam without major changes. By porting Solidity dApps to Polkadot's Moonbeam, beneficial performance improvements over Ethereum hosting include reduced costs and increased transaction throughput.
스마트 계약은 또한 아래에 설명된 대체 가능 및 대체 불가능 토큰(NFT)을 모두 포함하는 토큰이라고 불리는 디지털 자산을 생성, 배포 및 거래하는 데 특별한 역할을 한다.Smart contracts also play a special role in creating, distributing and trading digital assets called tokens, which include both fungible and non-fungible tokens (NFTs), described below.
크립토 및 DeFi 거래(Crypto & DeFi Transactions) : 블록체인은 다양한 디지털 자산과 그 거래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BTC 및 ETH와 같은 체인-고유의 암호화폐, 다양한 자금 조달, 투자 및 상업적 목적을 위한 대체 가능한 유틸리티 및 보안 토큰(예를 들어 ), 한정판 콘텐츠의 수집품을 획득하고 거래하는 데 사용되는 대체 불가 토큰(NFT)이 있다. 스마트 계약은 관련 없는 당사자들이 거래(스와핑), 대여(스테이킹), 차입, 시장 조성(유동성 제공) 등 공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 계약은 새로운 토큰 발행(offering)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Crypto & DeFi Transactions : Blockchain supports a variety of digital assets and their transactions. For example, chain-native cryptocurrencies such as BTC and ETH, fungible utility and security tokens for various financing, investment and commercial purposes, e.g. ), there are non-fungible tokens (NFTs) used to acquire and trade collectibles of limited edition content. Smart contracts allow unrelated parties to engage in shared activities such as trading (swapping), lending (staking), borrowing, and market making (providing liquidity). Smart contracts can also be used to automatically create new token offerings.
여러 사람이 함께 로또 티켓을 사기 위해 돈을 모으는 것과 유사하게, 스마트 계약은 관련이 없는 투자자 그룹이나 벤처 캐피탈리스트로부터 익명으로 자금을 모아 프로젝트에 공동으로 자금을 지원하거나; 지수 또는 합성 펀드에 투자하거나; DAO(탈중앙화 자율 조직)나 기업에 자본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관련 없는 당사자들의 공유 투자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계약을 탈중앙화 금융 풀(pool), DeFi 풀, 또는 유동성 풀이라고 한다[100]. DeFi 풀은 하나의 서버, 장치, 웹 사이트, 저장 장치에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특정 국가 또는 거주지에 위치하지 않는 가상 및 탈중앙화이다. 따라서 DeFi 풀은 단순히 투자자들에 의해 공유된 스마트 계약이다. Similar to a group of people pooling money together to buy a lottery ticket, smart contracts can anonymously pool money from a group of unrelated investors or venture capitalists to jointly fund a project; invest in index or synthetic funds; It can be used to provide capital to DAOs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s) or corporations. Smart contracts that enable shared investments by unrelated parties are called decentralized finance pools, DeFi pools, or liquidity pools [100] . DeFi pools are virtual and decentralized, meaning they do not physically exist on a single server, device, website, storage device, or are located in a specific country or residence. Therefore, DeFi pools are simply smart contracts shared by investors.
DeFi 풀에의 접근을 호스팅하고 수여하는 플랫폼이나 웹사이트는 풀의 참가자가 아니다. 풀 운영에서 멀리 떨어져 존재하는 호스트 플랫폼은 단순히 풀의 스마트 계약에 액세스하기 위해 생성된 링크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UX)일 뿐이다. 풀의 모든 이용 약관은 플랫폼이 아닌 스마트 계약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어떤 플랫폼이나 장치도 풀과 참여자 간의 거래 조건을 통제할 수 없다. 따라서 DeFi 풀은 P2P(Peer-to-Peer) 상거래이다.Platforms or websites that host and award access to a DeFi pool are not participants in the pool. A host platform that exists far from pool operations is simply a link or user interface (UI/UX) created to access the pool's smart contracts. All terms and conditions of the pool are defined by the smart contract, not the platform. Therefore, no platform or device can control the transaction terms between the pool and participants. Therefore, DeFi pools are P2P (Peer-to-Peer) commerce.
스마트 계약에 의해 생성된 토큰은 풀 참가자에 의해, 풀 참가자를 위해, 풀 참가자를 대신하여 알고리즘적으로 자동 생성된다. 기업 토큰 발행의 경우를 제외하고, 토큰 생성 이벤트(TGE: token generation event)에서 DeFi 풀에 의해 출시된 토큰에는 발행자가 없다. 발행자가 없기 때문에 TGE는 증권 발행의 법적 정의를 충족하지 않는다. 발행자 없는 토큰 출시가 "발행(offering)"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이 미묘하지만 중요한 구별은 가까운 미래에 뜨거운 논쟁을 벌이는 법적 문제로 남을 것이다.Tokens created by smart contracts are automatically and algorithmically created by, for, and on behalf of pool participants. Except in the case of corporate token issuance, tokens released by a DeFi pool in a token generation event (TGE) do not have an issuer. Because there is no issuer, TGE does not meet the legal definition of a security issue. This subtle but important distinction that issuing tokens without an issuer does not constitute an “offering” will remain a hotly debated legal issue for the foreseeable future.
자율적으로 실행되는 스마트 계약을 규제할 수 있는 중앙 기관이 없기 때문에, 투자자와 토큰 거래자는 매수자위험부담원칙(구매자 주의)의 맥락에서 DeFi 거래를 고려하고 스마트 계약이 버그가 없는지 그리고 DeFi 풀은 합법적인 프로젝트 또는 개발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추가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다. 기업 발행의 경우, 사모 및 발행 펀드(equity) 매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절한 수준의 상당한 주의가 권장된다.Since there is no central authority that can regulate autonomously executing smart contracts, investors and token traders must consider DeFi transactions in the context of buyer beware, ensuring that smart contracts are bug-free and that DeFi pools are legal. It is a good idea to take extra precautions to ensure that your project or development is indicative. In the case of corporate issuances, as in the case of private and equity purchases, an appropriate level of due diligence is recommended.
암호생태계 요약( Cryptocosm Summarized) : 전술한 심층 논의를 고려하면, 몇 가지 주요한 높은 수준의 시사점이 추측될 수 있다. Cryptocosm Summarized : Considering the foregoing in-depth discussion, several key high-level implications can be inferred.
1. 블록체인은 중앙 당국이나 금융 기관의 통제 없이 P2P 금융 거래 및 기록 보관에 참여할 수 있는 탈중앙화 생태계를 제공한다. 따라서 블록체인은 은행 및 금융 서비스 부문에 대해 불가피하게 파괴적이다(아마도 유익하거나 해로울 수 있음). 1. Blockchain provides a decentralized ecosystem that allows people to participate in peer-to-peer financial transactions and record keeping without the control of central authorities or financial institutions. Blockchain is therefore inevitably disruptive (perhaps beneficial or detrimental) for the banking and financial services sector.
2. 유한-크기의 디지털 블록의 선형 순서로 배열된 블록체인에서의 거래는 지울 수 없게 기록되고 암호기술을 사용하여 새로운 항목을 생성하고 기존 블록 항목들의 진실성을 확인하기 위해 피어 배심원단이 참여하는 합의 메커니즘을 사용한다.2. Transactions on a blockchain, arranged in a linear order of finite-sized digital blocks, are indelibly recorded and use cryptography to create new entries and involve a jury of peers to verify the veracity of existing block entries. Uses a consensus mechanism.
3. 블록체인 상의 항목은 데이터, 원장, 기록, 체인-고유의 암호화폐(BTC, ETH 등)와 같은 수동적 구성 요소는 물론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dApp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스마트 계약을 포함할 수 있다.3. Items on a blockchain may include smart contracts, including 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 software, as well as passive components such as data, ledgers, records, and chain-native cryptocurrencies (BTC, ETH, etc.).
4.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과 스마트 계약은 소스 코드에 대한 변조위험 없이 공개 블록체인에서 직접 액세스, 다운로드 및 실행(호출)될 수 있다. 스마트 계약의 품질과 무결성에 대한 제3자 전문가의 검증 및 인증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권장된다.4. Decentralized applications and smart contracts can be accessed, downloaded, and executed (called) directly on public blockchains without risk of tampering with the source code. Verification and certification of the quality and integrity of smart contracts by third-party experts is commercially available and recommended.
5. dApp의 실행은 개인 웹사이트(해킹 위험이 있음)가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나 장치가 없는 탈중앙화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를 완료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가상 머신(예를 들어 이더리움의 EVM)에서 일어난다.5. The dApp runs not on a private website (which risks hacking), but on a cloud-based blockchain virtual machine (e.g. Ethereum's EVM) that allows transactions to be completed over a decentralized network without dedicated hardware or devices. takes place in
6. 수동적인 스마트 계약 코드 작성에서 피할 수 없는 오타, 버그 및 잘못 작성된 논리, 산술, 및 함수 호출의 위험으로 인해, 프로토콜이라는 자율 dApp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정의된 알고리즘에 따라 스마트 계약을 종합적으로 생성한다. 프로토콜 역시 주의 깊게 확인하고 철전히 조사해야 한다. 6. Due to the risks of typos, bugs, and poorly written logic, arithmetic, and function calls that are unavoidable in passive smart contract code writing, an autonomous dApp software called a protocol is used to comprehensively generate smart contracts according to a defined algorithm. . Protocols must also be carefully checked and thoroughly investigated.
7. dApp의 주요 클래스 중 하나는 DeFi 토큰을 생성, 출시, 거래 및 저당에 넣기 위해 스마트 계약을 사용하는 것이다. 토큰은 크립토 채굴 노력을 통해 생성된 것과 같은 수동적 체인-기반 암호화폐에서 사용할 수 없는 수많은 유익한 기능을 제공한다.7. One of the main classes of dApps is the use of smart contracts to create, launch, trade and pledge DeFi tokens. Tokens offer numerous beneficial features not available in passive chain-based cryptocurrencies, such as those created through crypto mining efforts.
8. 공통 스마트 계약을 공유하는 DeFi 토큰들을 DeFi 풀이라고 한다. 기업과 같은 토큰 발행자의 후원을 받는 경우, DeFi 풀은 새로운 토큰을 시장에 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유동성 공급자가 자금을 지원하는 DeFi 풀은 기존 가상 통화 및 대체 불가 토큰의 거래 또는 대여를 위한 자율적인 마켓플레이스(marketplace)로서 운영된다. DeFi 풀은 P2P(Peer-to-Peer) 상거래를 예시한다.8. DeFi tokens that share a common smart contract are called DeFi pools. If backed by a token issuer, such as a corporation, DeFi pools can be used to bring new tokens to market. Alternatively, DeFi pools funded by liquidity providers operate as autonomous marketplaces for trading or lending traditional virtual currencies and non-fungible tokens. DeFi pools exemplify peer-to-peer (P2P) commerce.
DeFi 토큰이란 무엇인가? : 광범위하게 말하면 디지털 토큰은 공개 또는 비공개 블록체인에서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여 생성된 암호화 토큰이다. 이러한 토큰은: What are DeFi tokens? : Broadly speaking, a digital token is a cryptographic token created by executing a smart contract on a public or private blockchain. These tokens are:
- 엄격하게 규제된 허가형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정부에 의해 중앙 집중식 가상 통화(디지털 화폐)로 발행되거나, - Issued as a centralized virtual currency (digital currency) by the government using a highly regulated permissioned blockchain, or
- 개인 허가형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신원, 액세스 권한 또는 게임을 위한 비금융 토큰으로서 기업 또는 NGO(비정부 조직)에 의해 발행되거나, - Issued by corporations or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as non-financial tokens for identity, access rights, or gaming using private permissioned blockchains;
- 메타버스의 수집품 및 가상 자산으로서 아티스트와 게이머에 의해 출시된 대체 불가 토큰(NFT)이거나,- Non-fungible tokens (NFTs) released by artists and gamers as collectibles and virtual assets in the metaverse, or
- 공개 무허가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탈중앙화 거래 가능 자산을 포함하는 대체 가능 DeFi 토큰으로서 출시된다.- Launches as a fungible DeFi token containing decentralized tradable assets using a public permissionless blockchain.
처음 두 가지 예, 정부 발행 디지털 화폐 및 개인 액세스 토큰은 분산되지 않으므로 이 명세서의 범위를 벗어난다. 세 번째 항목인 대체 불가 토큰은 자체 DeFi 토큰 클래스를 포함한다. 상거래에 유용한 동일한 가치를 지닌 구별할 수 없는 다수의 디지털 토큰으로 구성된 대체 가능 토큰과 달리, 대체 불가 토큰은 고유성, 신원 및 소유권(사용료 권리)의 속성을 나타낸다. The first two examples, government-issued digital currencies and personal access tokens, are not decentralized and are therefore outside the scope of this specification. The third item, non-fungible tokens, includes its own DeFi token class. Unlike fungible tokens, which are comprised of multiple indistinguishable digital tokens of identical value that are useful for commerce, non-fungible tokens exhibit properties of uniqueness, identity, and ownership (royalty rights).
다양한 블록체인 특정 마켓플레이스 및 커뮤니티에서 NFT를 거래하려면 유틸리티가 아닌 가스 요금이 중요한 요소가 되는 광범위한 크로스-체인(cross-chain, 교차-체인) 거래가 필요하다.Trading NFTs across various blockchain-specific marketplaces and communities requires extensive cross-chain transactions where gas fees, not utilities, are a significant factor.
네 번째 항목인, DeFi 토큰으로 알려진 탈중앙화 대체 가능 디지털 자산은, 엄청나게 광범위하고 확장되는 자산 클래스를 나타낸다. 공개 무허가 블록체인에 배포된 DeFi 토큰은 퍼즐 풀이가 아니라, 스마트 계약, 즉 하나 이상의 블록체인 가상 머신(BCVM)에서 호스팅되는 dApp을 실행하여 생성된다.The fourth category, decentralized fungible digital assets known as DeFi tokens, represents an incredibly broad and expanding asset class. DeFi tokens deployed on public permissionless blockchains are not created by solving puzzles, but by executing smart contracts, i.e. dApps hosted on one or more blockchain virtual machines (BCVMs).
DeFi 토큰과 암호화폐의 한 가지 구별되는 차이점은 "총 공급량"이다. 언제든지 새로운 코인을 채굴할 수 있는 암호화폐와 달리(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출시 당시 토큰의 총 공급량은 수량이 고정되며 나중에 조정할 수 없다. DeFi 토큰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One distinguishing difference between DeFi tokens and cryptocurrencies is “total supply.” Unlike cryptocurrencies, where new coins can be mined at any time (even if losses occur), the total supply of tokens at launch is fixed in quantity and cannot be adjusted later. DeFi tokens come in various forms, including:
- 대체 가능하고 거래 가능한 암호화폐의 암호화 랩(cryptographic wraps)(예: WETH)- Cryptographic wraps of fungible and tradable cryptocurrencies (e.g. WETH)
- 명목화폐(fiat money), 금 등과 같은 현실 자산에 고정된 가치를 지닌 대체 가능하고 거래 가능한 토큰을 포함하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Stablecoins, which include fungible and tradable tokens with a value pegged to real assets such as fiat money, gold, etc.
- 기업이나 단체가 발행한 대체 가능하고 거래 가능한 토큰- Fungible and tradable tokens issued by companies or organizations
- DeFi 풀에 의해 그리고 DeFi 풀을 위해 자율적으로 출시된 대체 가능하고 거래 가능한 토큰- Fungible and tradable tokens autonomously launched by and for DeFi pools
크립토 현금 등가물(Crypto Cash Equivalents) : 처음 두 항목, 즉 암호화폐 랩과 스테이블코인(본 명세서에서 간단히 "크립토(crypto)"라고 함)은 크립토생태계(cryptocosm)에서 크립토 현금 등가물로 작동한다. 이러한 자산들은 거래 시점에 정의된 가치를 가지므로, 공개적으로 거래 가능한 정의된 가치의 자산을 투기적 미래 가치가 있는 비공개 또는 공개적으로 거래되는 토큰으로 교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eFi 토큰 거래 시 크립토 현금 등가물의 가치는 대규모 글로벌 시장에서 잘 정의된다. 일부 토큰은 변동성에 대처하기 위해 금이나 명목 화폐와 같은 비-암호화 자산에 의해 추가로 담보된다. 스테이블코인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토큰은 그것의 대체 가능 대응물에 고정된 가치를 지닌다. Crypto Cash Equivalents : The first two items, cryptocurrency wraps and stablecoins (simply referred to herein as “crypto”), operate as crypto cash equivalents in the cryptocosm. These assets have a defined value at the time of transaction, so they can be used to exchange publicly tradable assets of defined value for private or publicly traded tokens with speculative future value. The value of crypto cash equivalents when trading DeFi tokens is well defined in large global markets. Some tokens are additionally collateralized by non-crypto assets such as gold or fiat currency to combat volatility. These tokens, called stablecoins, have a value pegged to their fungible counterparts.
예를 들어, Tether는 미국 달러에 고정된 스테이블코인으로서, 가치{1 } ≪ 가치{1 $USD}이다.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화폐 거래소에서 거래될 수 있고 스마트 계약의 자율 실행에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토큰과 암호화폐 세계를 중개한다. 상업 언론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이 가치 저장 및 상거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암호화폐(BTC 및 ETH와 유사)로 잘못 언급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스테이블코인은 체인-고유의 암호화폐가 아니라 토큰이며, 이것이 바로 그것들이 먼저 래핑되지 않고도 스마트 계약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유다(BTC 및 ETH는 사용할 수 없는 경우).For example, Tether is a stablecoin pegged to the US dollar, with a value of {1 } ≪The value is {1 $USD}. Stablecoins mediate the world of tokens and cryptocurrencies, as they can be traded on digital currency exchanges and can also be used for autonomous execution of smart contracts. In the commercial press, stablecoins are often incorrectly referred to as cryptocurrencies (similar to BTC and ETH) because they perform store of value and commerce functions. However, stablecoins are tokens, not chain-native cryptocurrencies, which is why they can be used in smart contracts without being wrapped first (where BTC and ETH cannot).
예를 들어,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들(, USDC, DAI 및 BUSD)은 고정된 1:1 교환 비율(일부 작은 슬립율(slippage) 범위에서)로 미국 달러에 고정된다. 현재 유로, 영국 파운드, 일본 엔, 싱가포르 달러에 고정된 다른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되고 있다. ETH 처럼 거래량이 많은 변동성 통화의 경우, 그것의 현금 등가 가치는 끊임없이 변한다. 따라서 임의의 DeFi 거래 중에, Ether는 "스팟(spot)" 거래 가격, 즉 특정 순간이나 특정 기간에 동결된 시장 가치로 평가되어야 한다. 오해를 피하기 위해, 특정 공개 디지털 화폐 거래소(예: Binance)는 기준 거래 가격의 기반이 되는 거래소로 지정된다.For example, US dollar-backed stablecoins ( , USDC, DAI and BUSD) are pegged to the US dollar at a fixed 1:1 exchange ratio (with some small slippage). Currently, other stablecoins are being issued pegged to the Euro, British Pound, Japanese Yen, and Singapore Dollar. For a volatile currency with high trading volume like ETH, its cash equivalent value is constantly changing. Therefore, during any DeFi transaction, Ether must be valued at the “spot” transaction price, i.e. the market value frozen at a specific moment or period of time. To avoid misunderstanding, certain public digital currency exchanges (e.g. Binance) are designated as the exchanges on which reference trading prices are based.
ETH와 같은 체인-고유의 암호화폐는 토큰에 비해 몇 가지 단점을 겪는다. 첫째, 자체 블록체인에 잠겨 있으며 체인들 간에 상호 운용이 불가능하다. 둘째, ERC-20과 호환되지 않는다. 즉, 스마트 계약을 통해 거래를 처리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 셋째, 유동적이고 거래 가능하며 대체 가능한 암호화폐로서, 보관용 지갑(다른 당사자가 관리하는 개인 키가 있는 지갑)으로 전송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잠그거나 담보로 보관할 수 없다.Chain-native cryptocurrencies such as ETH suffer from several disadvantages compared to tokens. First, it is locked in its own blockchain and there is no interoperability between chains. Second, it is not compatible with ERC-20. This means that it cannot be used to process transactions through smart contracts. Third, as a liquid, tradable and fungible cryptocurrency, it cannot be locked or held as collateral except when transferred to a custodial wallet (a wallet with private keys controlled by another party).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토큰화, 즉 체인-고유의 암호화폐를 토큰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대체 가능한 자산을 스마트 계약 호환 토큰으로 전환하는 토큰 변환 프로세스는 dApp 기반 상거래에 참여하기 전에 수행되므로, 실시간 거래 처리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암호화폐를 토큰화하는 과정을 "래핑(wrapping)"이라고 한다. 토큰 래핑에는 자산을 스마트 계약에 잠그고 지정된 수의 해당 토큰을 생성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초기에 이러한 토큰의 총 가치는 토큰을 보장하는 기본 자산의 가치와 같다. 따라서 토큰 랩은 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 기본 자산의 거울이며, 그 가치는 토큰을 담보하는 자산과 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 스마트 계약의 품질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토큰 랩은 토큰화된 암호화폐라고도 한다.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is tokenization, i.e. converting chain-native cryptocurrencies into tokens. The token conversion process, which converts fungible assets into smart contract-compatible tokens, is performed prior to engaging in dApp-based commerce and therefore does not impact real-time transaction throughput. The process of tokenizing a cryptocurrency is called “wrapping.” Token wrapping involves locking an asset into a smart contract and creating a specified number of corresponding tokens. Initially, the total value of these tokens will be equal to the value of the underlying asset securing them. Therefore, a token wrap is a mirror of the underlying asset used to create it, and its value depends on the quality of the asset backing the token and the smart contract used to create it. Therefore, Token Wrap is also called tokenized cryptocurrency.
모든 크립토 자산은 래핑될 수 있다. 암호화폐의 토큰 랩은 암호화폐의 기호 이름에 접두사 "W"를 붙여 식별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WETH는 Ether의 랩이고 WBTC는 비트코인 랩 등이다. 편의상 토큰 랩은 일반적으로 기초자산과 1:1 비율로 발행되며, 기초 자산 가치의 시장 변동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가격 비율을 유지한다. 즉, ETH 가격이 오르면, WETH 가격도 오르게 된다.Any crypto asset can be wrapped. Cryptocurrency token wraps are often identified by adding the prefix “W” to the cryptocurrency’s symbol name. For example, WETH is a wrap for Ether, WBTC is a wrap for Bitcoin, etc. For convenience, token wraps are generally issued at a 1:1 ratio with the underlying asset, and maintain a constant price ratio despite market fluctuations in the value of the underlying asset. In other words, when the price of ETH rises, the price of WETH also rises.
예를 들어, 비트코인 랩의 가치는 비트코인의 실시간 가치와 같다. 즉 가격 {1 WBTC} 가격 {1 BTC}와 같다. 마찬가지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가격 {1 WETH} 가격 {1 ETH}이다. 토큰화된 암호화폐의 가격 비율은 그 기본 자산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스마트 계약은 토큰만 거래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해되기 때문에, 래핑된 암호화폐를 언급할 때 W 접두어를 제외하고, 암호화폐와 해당 토큰 대응물을 동등하게 언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For example, the value of Bitcoin Lab is equal to the real-time value of Bitcoin. i.e. price {1 WBTC} Price is equal to {1 BTC}. Likewise on the Ethereum network, the price {1 WETH} The price is {1 ETH}. Since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the price ratio of a tokenized cryptocurrency is fixed to its underlying asset and that smart contracts can only trade tokens, the W prefix is excluded when referring to the wrapped cryptocurrency. It is common to refer to the corresponding token counterpart as equivalent.
래핑을 통해 자산을 토큰화하는 프로세스는 스마트 계약 실행을 포함한다. 도 3에 표시된 래핑 과정에서, 토큰을 담보하는 지갑(31a)에 있는 투자자(30) 자산(34a)의 가치는 먼저 스마트 계약(32a)에 의해 잠기고(34b) 새 소유자 주소로서 블록체인(33)에 기록된다. 그 후, 스마트 계약(32b)은 고정된 비율로 토큰 랩(35)이라고 불리는 해당 토큰을 출시하며, 지갑(31b)에 대한 출시가 스마트 계약을 호스팅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된다. 토큰의 언래핑(unwrapping)은 단순히 프로세스의 반대이며, 토큰을 포기하고 자산을 해제하게 된다. 많은 스마트 계약이 이더리움 블록체인 및 EVM과 호환되도록 Solidity로 작성되기 때문에, ETH와 일반화된 WETH의 다양한 버전은 자연스러운 토큰-랩 쌍을 형성한다. 체인-고유의 암호화폐(ETH, BTC 등) 거래와 비교할 때, 스마트 계약 지원 블록체인에서 토큰 랩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이점이 많다:The process of tokenizing assets through wrapping involves executing a smart contract. In the wrapping process shown in Figure 3, the value of the investor's 30 assets 34a in the wallet 31a collateralizing the tokens is first locked by the smart contract 32a 34b and transferred to the blockchain 33 as the new owner address. It is recorded in The smart contract 32b then releases those tokens, called token wraps 35, at a fixed rate, and the releases to the wallet 31b are recorded on the blockchain network hosting the smart contract. Unwrapping a token is simply the reverse of the process, giving up the token and releasing the asset. Since many smart contracts are written in Solidity to be compatible with the Ethereum blockchain and EVM, various versions of ETH and generalized WETH form a natural token-wrap pair. Compared to trading on-chain native cryptocurrencies (ETH, BTC, etc.), there are many advantages to using token wrap on a smart contract-enabled blockchain, including:
- 조건부 거래: 스마트 계약과 블록체인 오라클(oracle)을 사용하면, 토큰 랩 기반 거래가 변화하는 시장 및 경제 상황에 따라 조건부로 실행될 수 있다.- Conditional transactions: Using smart contracts and blockchain oracles, token wrap-based transactions can be executed conditionally based on changing market and economic conditions.
- 증가된 거래 속도: 토큰 랩 전송의 스마트 계약 검증은 체인-고유의 암호화폐를 통해 수동으로 실행하는 거래나, 힘든 블록별 검증 및 모든 노드에 의한 배심원 합의를 요구하는 거래보다 더 간단하고 빠르다.- Increased transaction speed: Smart contract verification of Token Wrap transfers is simpler and faster than manually executing transactions via chain-native cryptocurrency or transactions that require laborious block-by-block verification and jury consensus by all nodes.
- 투명성 향상: 토큰 랩을 사용하면, 스마트 계약은 토큰 거버넌스 및 거래 통계(예: 미결제, 생성, 전송, 소각된 토큰 수)를 지정하는 무제한 블록체인 공개 액세스를 통해 가능한 탁월한 투명성을 제공한다.- Increased transparency: With Token Wrap, smart contracts provide unprecedented transparency, made possible through unrestricted public access to the blockchain specifying token governance and transaction statistics (e.g. number of tokens outstanding, created, transferred, burned).
- 상호 운용성: 토큰 랩은 광범위한 지갑, 거래소 및 dApp에 걸쳐 상호 운용 가능하며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모든 포크(네트워크)에 있는 자산과 거래하도록 고유하게 조정된다. WBTC를 사용하면 비트코인 거래와 호환되지 않는 이더리움 기반 스마트 계약을 사용하여 비트코인 결제 또는 스왑을 실행할 수 있다.- Interoperability: Token Labs is interoperable across a wide range of wallets, exchanges and dApps and is uniquely tuned to trade with assets on any fork (network) of the Ethereum blockchain. WBTC allows you to execute Bitcoin payments or swaps using Ethereum-based smart contracts that are not compatible with Bitcoin transactions.
- 이식성: 토큰 랩은 두 개 이상의 블록체인에서 연계된 스마트 계약을 시작함으로써 크로스-체인 거래를 촉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Portability: Token Wrap can be used to facilitate cross-chain transactions by launching linked smart contracts on two or more blockchains.
- 확장된 애플리케이션: 스마트 계약은 토큰 경제와 실제 애플리케이션(로봇공학, 보안, IoT 등)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 Extended applications: Smart contracts facilitate the connection between the token economy and real-world applications (robotics, security, IoT, etc.).
- 강화된 보안: 토큰화를 통해 사용자는 자산의 개인 키에 독점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Enhanced security: Tokenization gives users exclusive access to the private keys of their assets.
- 정책 시행: 토큰화는 체인 상에서 정책을 강제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투명한 규제를 제공하면서 단일 당사자의 통제 남용, 조작, 불법 행위 또는 자산 부정사용을 방지한다.- Policy enforcement: Tokenization provides a mechanism to enforce policy on the chain, providing transparent regulation while preventing abuse of control, manipulation, illegal activity or misuse of assets by a single party.
토큰 랩에 대한 기술 표준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토큰이 전송되는 방법과 사용자가 특정 토큰에 관한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는 방법을 규정한다. 표준은 거래 분석을 용이하게 하고 토큰을 교환하거나 암호화폐-지갑으로 또는 암호화폐-지갑으로부터 토큰을 전송하는 데 필요한 최소 필수 토큰 데이터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토큰에 대한 다양한 기술 표준을 지원하며, 가장 일반적인 표준은 전송, 결제 및 잔액-추적 기능을 포함하여 대체 가능한 토큰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API[104]로 구성된 ERC-20이다. ERC(Ethereum Request for Comments)는 보류 중인 토큰 거래를 성공적으로 처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 요청, 즉 데이터 교환을 지칭한다.Technical standards for token wrap vary, but generally dictate how tokens are transmitted and how users can access data about a specific token. The standard facilitates transaction analysis and specifies the minimum required token data required to exchange tokens or transfer tokens to or from a cryptocurrency-wallet. For example, the Ethereum blockchain supports a variety of technical standards for tokens, the most common being ERC-, which consists of standardized APIs [104] used for fungible tokens, including transfer, payment, and balance-tracking functions. It's 20. Ethereum Request for Comments (ERC) refers to a request for information, or data exchange, required to successfully process a pending token transaction.
대체 가능한 DeFi 토큰(Fungible DeFi Tokens) : 무허가형 블록체인에서 호스팅되는 스마트 계약에 의한 대체 가능 토큰 생성은 기존 암호화폐를 채굴하고 래핑할 필요 없이 새로운 토큰이 생성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점에서, 토큰을 생성하기 위해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는 것은 PoW 암호화폐 채굴에 비해 생태학적으로 지속 가능하다(친환경적이다). Fungible DeFi Tokens : The creation of fungible tokens by smart contracts hosted on a permissionless blockchain provides a means for new tokens to be created without the need to mine and wrap existing cryptocurrencies. In this respect, running smart contracts to generate tokens is more ecologically sustainable (greener) than PoW cryptocurrency mining.
토큰 생성 프로세스 동안, 발행될 토큰의 유형과 수량을 지정하는 스마트 계약이 작성된 다음, 스마트 계약을 의도된 호스트 블록체인에 업로드하여 실행된다.During the token creation process, a smart contract is created that specifies the type and quantity of tokens to be issued, and is then executed by uploading the smart contract to the intended host blockchain.
DeFi 토큰이 생성되면, 투자자에게 판매(교환)된다. 동시에 또는 단계적으로 구매한 토큰은 '토큰 출시'라는 프로세스를 통해 투자자에게 배포된다. DeFi 토큰 출시는 다음을 포함한 다양한 토큰 후원자를 대신하여 실행될 수 있다:Once a DeFi token is created, it is sold (exchanged) to investors. Tokens purchased simultaneously or in stages are distributed to investors through a process called ‘token release’. DeFi token launches may be executed on behalf of a variety of token sponsors, including:
- 법인, 등록 사업자 또는 DAO- Corporation, registered business or DAO
- 프로젝트 또는 dApp 개발- Project or dApp development
- 트레이딩 풀(트레이더들의 컨소시엄)- Trading pool (consortium of traders)
- 아티스트 또는 콘텐츠 제작자- Artist or content creator
토큰 판매 수익금은 받은 투자에 대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암묵적(또는 명시적) 의무를 갖는 스폰서에게 전달된다. 예를 들어, 기업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의무가 있다; 프로젝트는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dApp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트레이딩 풀은 사람들이 특정 거래 가능한 자산 목록을 교환, 스테이킹 또는 빌릴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의무가 있으며, 아티스트는 자신의 창작 작품(또는 이에 대한 권리)을 수집가에게 전달해야 한다. 정의된 산출물이 부족한 토큰 발행은 사기 또는 신용 사기로 간주된다.Proceeds from token sales are passed on to sponsors, who have an implicit (or explicit) obligation to provide products or services in return for the investment received. For example, a business has an obligation to provide a product or service; Projects strive to provide working software or dApps, trading pools are obliged to provide a means for people to trade, stake or borrow a specific list of tradable assets, and artists are obliged to provide a means for people to trade, stake or borrow a specific list of tradable assets, and artists rights) must be conveyed to the collector. Issuance of tokens lacking defined deliverables is considered fraud or fraud.
토큰은 무허가형 블록체인을 통해 발행되므로, 암호화폐-경제는 토큰 출시를 탈중앙화 금융으로 간주한다. 출시 중 토큰 배포는 다양한 메커니즘으로 실행될 수 있다. 즉:Since tokens are issued through a permissionless blockchain, the cryptocurrency-economy considers token launches as decentralized finance. Token distribution during launch can be carried out by a variety of mechanisms. in other words:
- 벤처 캐피털(VC) 펀드에 비공개 판매(및/또는 SAFT 계약)를 통해- Through a private sale (and/or SAFT agreement) to a venture capital (VC) fund.
- 에어드롭(마케팅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품)을 통해 - Via airdrop (a giveaway used for marketing purposes)
- 엄선된 탈중앙화 거래소의 독점 IDO(Initial DEX Offering)를 통해- Through exclusive IDO (Initial DEX Offering) of carefully selected decentralized exchanges
- 공인 투자자에게 비공개 사전 판매를 통해 (KYC 및 규정에 따라)- Via private pre-sale to accredited investors (subject to KYC and regulations)
- 하나 이상의 DEX 또는 중앙 집중식 DCX(디지털 자산 거래소, digital currency exchange)에서 토큰 생성 이벤트(TGE)를 통해- Via a token generation event (TGE) on one or more DEXs or centralized digital currency exchanges (DCXs)
- DEX 또는 중앙 집중식 DCX를 통해 정부가 승인한 화이트리스트를 통해- Via government approved whitelist via DEX or centralized DCX
위의 모든 경우(에어드롭 제외)에서, 토큰 배포는 탈중앙화 거래소(DEX) 또는 중앙 집중형 디지털 화폐 거래소(DCX)에서 일반적으로 실행되는 엄격한 KYC/AML 검증을 통과한 전문 투자자로 제한된다. 벤처캐피털(VC) 펀드의 무한책임사원과 투자자도 자격을 갖춘 전문투자자로 간주된다. 앞선 목록에는 의심스럽게도 기업이 자격이 없는 대중에게 토큰을 직접 판매하는, 주식에 대한 최초 공개 발행(IPO)과 유사한 프로세스인, 최초 코인 발행(ICO: initial coin offering)이 없다. In all cases above (except airdrops), token distribution will be limited to professional investors who have passed the rigorous KYC/AML verification typically implemented on decentralized exchanges (DEXs) or centralized digital currency exchanges (DCXs). General partners and investors in venture capital (VC) funds are also considered qualified professional investors. Suspiciously absent from the preceding list is an initial coin offering (ICO), a process similar to an initial public offering (IPO) of stock, in which a company sells tokens directly to the unqualified public.
2017년부터 2019년 사이의 짧지만 강렬한 ICO 기간 이후, 법원은 많은 ICO 토큰 출시가 허가되지 않은 공개 증권 발행을 나타냈다고 판결했다. 또한, 많은 발행자가 후보자를 공인 투자자로 확실하게 확립하기 위해 충분한 신원 확인을 수행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상대로,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토큰 판매는 이제 많은 국가와 관할권에서 금지된 것으로 간주된다.After a brief but intense ICO period between 2017 and 2019, the court ruled that many ICO token launches represented unauthorized issuances of public securities. Additionally, many issuers were found to have failed to conduct sufficient background checks to positively establish candidates as accredited investors. As expected, token sales to the general public are now considered prohibited in many countries and jurisdictions.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주의를 기울여, 토큰을 발행하는 많은 회사는, 미국 및 그 영토, 캐나다, 영국, 중국(홍콩 포함)과 같은 디지털 자산 및 암호화폐 판매를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국가는 제외하고, 그 배포를 제한한다. 투자자는 자신이 시민권을 갖고 거주하는 국가의 관련 법률에 유의해야 한다.Nonetheless, out of an abundance of caution, many companies issuing tokens are exempt from countries that ban or restrict the sale of digital assets and cryptocurrenc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its territories, Canada, the United Kingdom, and China (including Hong Kong). Limit distribution. Investo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relevant laws of the country of their citizenship and residence.
마지막으로, 새로운 토큰을 생성하는 행위 자체는 토큰 생성 이벤트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점을 언급하지 않으면 부주의한 것이 될 것이다. 토큰이 처음 생성되는 이벤트 시점에 출시할 필요는 없다. 실제로, 이들을 언제든 배포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DeFi 토큰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려는 공학 프로젝트는 어떤 이유로든 계획을 변경하고 발행을 취소하여, 토큰을 생성하지만 배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다면, 스마트 계약은 포기되고, 토큰 판매나 단일 전송을 실행하지 않고도, 블록체인에 영구적으로 남게 된다.Finally, it would be remiss not to mention that the act of creating a new token itself does not represent a token creation event. There is no need to release the token at the event where it is first created. In fact, there is no need to deploy them at any time. For example, an engineering project seeking to raise funds through issuing DeFi tokens may change its plans and cancel the issuance for any reason, creating tokens but not distributing them. If so, the smart contract is abandoned and remains on the blockchain permanently, without having to execute a token sale or single transfer.
DeFi 토큰 표준( DeFi Token Standards) : 보편적인 상호교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대체 가능한 DeFi 토큰은 블록체인에 특정한 합의된 표준을 준수해야 한다. 가장 일반적인 표준 중 두 가지는 이더리움의 ERC-20 표준과 Binance의 BEP-20 표준이다. 이러한 표준은 발행의 토크노믹스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를 지정한다. 이더리움의 ERC-20 표준은 매개변수(*)에 대한 6개의 필수 함수 호출과 3개의 선택적 함수 호출을 지정한다. 즉, DeFi Token Standards : To ensure universal interchangeability, fungible DeFi tokens must adhere to consensus standards specific to the blockchain. Two of the most common standards are Ethereum’s ERC-20 standard and Binance’s BEP-20 standard. These standards specify key factors that determine the tokenomics of an issuance. Ethereum's ERC-20 standard specifies six required function calls and three optional function calls for parameters (*). in other words,
- totalSupply(*) 토큰의 총 공급량, 즉 총 유통량을 설명한다.- totalSupply(*) Describes the total supply of tokens, i.e. the total circulation volume.
- balanceOf(*) 소유자의 지갑에 있는 토큰 수를 표시한다.- balanceOf(*) Displays the number of tokens in the owner's wallet.
- transfer(*) 전송할 토큰의 양과 어느 주소로 보낼지 지정한다.- transfer(*) Specifies the amount of tokens to be transferred and to which address to send them.
- transferFrom(*) 스마트 계약이 지정된 양의 토큰을 소유자에서 수신자에게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transferFrom(*) allows a smart contract to automatically transfer a specified amount of tokens from the owner to the recipient.
- approve(*) 수신 주소를 통해 소유자 지갑에서 일정 수량의 토큰 인출을 승인한다.- Approves withdrawal of a certain amount of tokens from the owner’s wallet through the approve(*) receiving address.
- allowance(*) 적어도 소유자의 지갑에 approve(*) 명령에 지정된 만큼의 검증된 토큰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Allowance(*) Checks whether the owner's wallet contains at least as many verified tokens as specified in the approve(*) command.
- name(*) 선택적으로, 토큰의 ID를 지정한다. - name(*) Optionally, specifies the ID of the token.
- symbol(*) 선택적으로, 토큰의 3자 또는 4자 약어를 지정한다. - symbol(*) Optionally specifies a 3- or 4-letter abbreviation for the token.
- decimals(*) 선택적으로, 정수를 고정된 자릿수 숫자로 표현할 때 소수점 오른쪽에 있는 숫자 자릿수를 선택적으로 지정하며, 토큰의 분수 단위에 필요한 기능이다(토큰이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가격으로 평가될 때 중요함).- decimals(*) Optionally specifies the number of digits to the right of the decimal point when expressing an integer as a fixed-digit number, a feature required for fractional units of the token (when the token is valued too high to be unusable) important).
ERC 기능들은 스마트 계약이 규정된 작업(자산을 지갑이나 다른 스마트 계약으로 전달하는 것과 같은)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전달(*) 기능을 사용하여 토큰이 직접 전송될 수 있지만, 디지털 자산을 수동으로 보내는 것은 위험을 수반한다. 예를 들어, 토큰을 받을 수 없는 스마트 계약에 토큰을 전송하면, 보낸 토큰이 수신자의 주소에 적립되고 거래가 "완료"로 기록되지만, 수신자의 계약은 그것을 인식할 수 없는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ERC functions provide the information smart contracts need to reliably perform specified tasks (such as transferring assets to a wallet or another smart contract). Although tokens can be transferred directly using the transfer(*) function, sending digital assets manually carries risks. For example, if you send a token to a smart contract that cannot receive tokens, the sent token will be credited to the recipient's address and the transaction will be recorded as "complete", but the recipient's contract will not be able to recognize it, resulting in an irreversible loss. there is.
예시적인 목적으로, 수많은 ERC-20 호환 토큰은 Chainlink(LINK), Shiba Inu(SHIB), OmiseGO(OMG), EOS, Tron(TRX), ICON(ICX), Maker(MKR), 기본 어텐션 토큰(BAT), Ox(ZRX), Quant(QNT), IOT Chain(ITC), Jasmy 등을 포함한다. 스테이블코인인 Tether, USDC, Dai 및 BUSD도 ERC-20 호환 토큰이다. 역설적이게도,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소속 암호화폐인 ETH는 그렇지 않다.For illustrative purposes, numerous ERC-20 compatible tokens include Chainlink (LINK), Shiba Inu (SHIB), OmiseGO (OMG), EOS, Tron (TRX), ICON (ICX), Maker (MKR), and Native Attention Token (BAT). ), Ox (ZRX), Quant (QNT), IOT Chain (ITC), Jasmy, etc. Tether, a stablecoin , USDC, Dai, and BUSD are also ERC-20 compatible tokens. Paradoxically, ETH, the cryptocurrency belonging to the Ethereum blockchain, is not like that.
ERC-20 호환 토큰을 사용하는 스마트 계약은 거래를 실행하기 전에 특정 증명 및 호환성 검사를 호출하여 오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approve(*) 및 transferFrom(*) 함수 호출을 사용하여 토큰을 전송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ERC-20 호환 토큰은 완벽하지 않으며 수많은 실패 모드에 노출된다.Smart contracts using ERC-20 compatible tokens can reduce the risk of error by invoking specific attestation and compatibility checks before executing a transaction. For example, transfer a token using the approve(*) and transferFrom(*) function calls if defined criteria are met. Nonetheless, ERC-20 compatible tokens are not perfect and are subject to numerous failure modes.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전송 중 자금 손실을 방지하도록 설계된 이전 버전과 호환되는 ERC-223을 포함하여 ERC-20의 대체 토큰 표준이 개발되었다. 다른 주목할만한 옵션으로는 대체 불가 토큰(NTF)을 위한 ERC-721, 경쟁 NFT 대여를 위한 ERC-809, 그리고 전송 불가능 토큰 또는 뱃지를 위한 ERC-1238을 포함한다. 향상된 기능과 이점의 제공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대체 토큰 표준의 광범위한 채택은 여전히 어려우며, ERC-20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헤게모니를 유지한다.To circumvent these issues, replacement token standards for ERC-20 have been developed, including the backwards-compatible ERC-223, which is designed to prevent funds from being lost during transfer. Other notable options include ERC-721 for non-fungible tokens (NTFs), ERC-809 for competitive NFT rentals, and ERC-1238 for non-transferable tokens or badges. Despite offering enhanced features and benefits, widespread adoption of these alternative token standards remains difficult, and ERC-20 maintains unrivaled hegemony on the Ethereum blockchain.
때로는 확장된 특징이 있는 유사한 표준이 Binance 스마트 체인의 BEP-20과 같은 다른 블록체인에 존재하며, 최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는 진화하는 표준이 있다.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BCVM에서 스마트 계약 거래로 거래되는 자산에 관계없이,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는 검증자 커뮤니티에 자금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가스는 각 블록체인에 특유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ERC-20 토큰을 거래하는 EVM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려면 가스 수수료에 대한 ETH가 필요하지만, BEP-20 토큰을 거래하는 BSC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려면 가스에 대한 ETH가 아닌, Binance BNB 토큰이 필요하다.Similar standards, sometimes with expanded features, exist in other blockchains, such as BEP-20 on Binance Smart Chain, and there are evolving standards in modern blockchain networks. Regardless of the specific blockchain network and the assets traded in smart contract transactions on BCVM,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gas required to fund the validator community executing the smart contract is specific to each blockchain. Therefore, running an EVM smart contract trading ERC-20 tokens requires ETH for gas fees, but running a BSC smart contract trading BEP-20 tokens requires Binance BNB tokens, not ETH for gas.
토큰의 기능(Features of Tokens) : 토큰의 가치와 유용성은 단순히 법정화폐에 대한 대체 가능한 대체품을 모방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암호화폐는 그렇게 할 수 있다. 토큰의 역할, 목적, 특징에 따라 정의된 대로, 토큰은 명목화폐나 암호화폐가 할 수 없는 일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큰은 상태 정보를 보유할 수 있으며, 거래 당사자 간에 직접적인 개입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특권, 권리, 혜택, 우선권, 비밀, 사생활 보호 또는 액세스를 부여하는 유전자와 같은 자격증명을 전달할 수 있다. Features of Tokens : The value and utility of tokens are not simply intended to mimic fungible substitutes for fiat currency. Cryptocurrency can do that. As defined by the token's rol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a token can do things that fiat or cryptocurrency cannot. For example, tokens can hold state information and convey credentials such as genes that grant privileges, rights, benefits, priorities, confidentiality, privacy, or access, despite the absence of direct intervention between the transacting parties. .
독점 골프 클럽 멤버십과 마찬가지로, 토큰은 토큰 없이는 사용할 수 없는 제품, 콘텐츠 또는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보유자에게 고유한 특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예인의 팬클럽 회원에게 출시된 토큰은 가장 충실한 추종자에게 고유한 선호 좌석을 제공할 수 있다. 토큰은 또한 사용자에게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구매 할인을 받거나, 선물을 받거나, 더 좋은 호텔 객실로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Similar to an exclusive golf club membership, tokens can provide unique privileges to their holders by granting access to products, content or services that would not be available without the token. For example, tokens released to members of a celebrity's fan club could provide unique preferred seating to their most loyal followers. Tokens also provide economic incentives to users, who can be used to get discounts on purchases, receive gifts, or upgrade to better hotel rooms.
예를 들어, 토큰을 사용한 온라인 음악 구매는 앨범에 포함되지 않은 보너스 노래를 받을 수 있다. 토큰을 축적하면 영화나 음악의 무료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얻을 수 있다. 항공사 마일리지와 마찬가지로, 토큰을 사용하여 사용하지 않은 재고(예: 빈 비즈니스석 좌석)를 할인된 가격으로 또는 무료로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마일리지를 발행하는 항공사 또는 항공사 그룹이 관리하는 항공 마일리지와 달리, 토큰에는 관리 또는 배포에 직원이나 비용이 포함되지 않는다. DeFi에는, 토큰을 발행하거나 배포를 통제하는 중앙 기관이 없다.For example, purchasing online music using tokens may result in receiving bonus song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album. By accumulating tokens, you can get free online streaming services for movies and music. Similar to airline miles, tokens can be used to access unused inventory (e.g. empty business class seats) at a discounted price or for free. However, unlike airline miles, which are managed by the airline or airline group issuing the miles, tokens involve no staff or costs to manage or distribute. In DeFi, there is no central authority issuing tokens or controlling their distribution.
대체 가능 토큰의 또 다른 고유성은 구별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특정 유형의 토큰(예: , USDC, alOT, UNI, YFI 등)은 동일한 기호를 가진 다른 모든 토큰과 특성이 모두 동일하므로 서로 구별할 수 없다. 기업 토큰이 포함된 크립토 지갑은 어느 토큰이 이전 구매에서 나온 것인지, 어느 토큰이 나중에 더 높은 가격으로 획득한 것인지, 그리고 어느 토큰이 홍보용 배포(예: 크립토 에어드롭(crypto airdrop))를 통해 무료로 받은 것인지 구분할 수 없다. ERC-20 토큰은 신원을 정의하거나 주권처럼 소유자를 등록할 수 있는 식별 코드를 보유하지 않는다.Another unique feature of fungible tokens is that they are indistinguishable. Certain types of tokens, e.g. , USDC, alOT, UNI, YFI, etc.)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all other tokens with the same symbol, so they are in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Crypto wallets containing corporate tokens can track which tokens are from previous purchases, which tokens were later acquired at a higher price, and which tokens were given away for free through promotional distributions (e.g. crypto airdrops). I can't tell if I received it or not. ERC-20 tokens do not have an identification code that defines identity or registers the owner like a stock certificate.
구별 불가능성으로 인해, 토큰은 개인 소유권을 부여하지 않거나 신원 등록을 포함하지 않는다. 기차나 버스를 탈 때 사용하는 토큰에는 탑승자의 이름이 적혀 있지 않다.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토큰은 양도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친구 간에 쉽게 교환할 수 있으며, 호의를 위해 물물교환하거나, 자선 목적으로 기부할 수 있다. 구별 불가능성에는 한 가지 단점이 있다. 토큰이 도난당했는지, 누구에게서 도난당했는지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한다. 이러한 이유로 토큰을 보관하는 크립토 지갑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제공이 사이버 도난으로부터 토큰 자산을 보호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Due to their indistinguishability, tokens do not confer personal ownership or involve identity registration. The tokens used to board trains or buses do not have the names of the passengers written on them. Anyone can use it. As such, tokens offer the convenience of transferability and can be easily exchanged between friends, bartered for favors, or donated for charitable purposes. Indistinguishability has one drawback.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if a token has been stolen and from whom. For this reason, providing security and privacy of the crypto wallet that stores tokens is paramount to protecting token assets from cyber theft.
토큰은 또한 경제적 가치를 지닐 수 있다. 체인-고유의 암호화폐와 마찬가지로, 암호화폐(일반적으로 WETH라고 함)를 래핑하여 생성된 ERC-20 호환 토큰은, ETH 또는 BTC 대신 크립토 상거래의 거래에서 사용될 수 있다. 토큰이 아닌 암호화폐와 달리, 스마트 계약을 통해 토큰은 순수 암호화폐로는 불가능한, 잠금, 고정 가격, 보너스 보상, 조건부 발행 등과 같은 조건부 속성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TC 에어드롭을 통해 그 수신자는 암호화폐를 즉시 거래할 수 있으며, 토큰 에어드롭은 정의된 시간 동안 또는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잠금 상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토큰은, 행동을 장려하거나 풀이나 비즈니스에 대한 장기적인 참여를 장려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Tokens can also have economic value. As with chain-native cryptocurrencies, ERC-20 compatible tokens created by wrapping a cryptocurrency (commonly referred to as WETH) can be used in crypto commerce transactions instead of ETH or BTC. Unlike non-token cryptocurrencies, smart contracts allow tokens to facilitate conditional properties such as lock-in, fixed price, bonus rewards, conditional issuance, etc., which are not possible with pure cryptocurrencies. For example, a BTC airdrop allows its recipients to trade the cryptocurrency immediately, while token airdrops can remain locked for a defined time or until certain conditions are met. Tokens can therefore be used to incentivize action or encourage long-term participation in a pool or business.
토큰은 또한 소유자에게 제품, 서비스 또는 선호사항에 대해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특권을 부여할 수 있다. 참여 기업에 대한 멤버십 패스처럼 작동하여, 토큰 보유자는 장소에 대해 액세스 권한을 얻거나, 유리한 가격을 받거나, 엘리트 토큰 유형에 예약된 특별한 특권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텔의 프레지덴셜 스위트룸을 이용하거나, 스포츠 행사에서 전용 박스를 예약하거나, 공연 후 아티스트와의 만남 일정을 예약하거나, 5성급 레스토랑에 예약된 독점 VIP 테이블을 요청하는 등이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의되지 않은 경제적 가치로 혜택을 제공하는 토큰을 NFT(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지칭한다. NFT의 혜택(예를 들어 소유권)은 비현금 거래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하이브리드 토큰은 NFT 특징과 내재된 가치를 결합할 수 있다.Tokens can also grant their holders privileges that facilitate access to products, services or preferences. Acting like a membership pass to participating businesses, token holders can gain access to venues, receive favorable prices or request special privileges reserved for elite token types. Examples include access to a hotel's Presidential Suite, reserving a private box at a sporting event, scheduling a meet-and-greet with an artist after a performance, or requesting an exclusive VIP table reserved at a five-star restaurant. As mentioned earlier, tokens that provide benefits with undefined economic value are referred to as NFT (Non-Fungible Token). The benefits of NFTs (e.g. ownership) are not limited to non-cash transactions. Hybrid tokens can combine NFT features and inherent value.
암호화폐와 비교하여 토큰의 또 다른 고유한 기능은 인식성이다. 멍청한 암호화폐 거래는 무조건이다. 크립토 코인이 유효한 경우 경제적 상황이나 거래 결과에 관계없이 즉시 양도하거나 판매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토큰은 거래 관리 시 오프체인 조건을 요청하고 고려할 수 있다. 블록체인 오라클을 사용하여 온체인 및 오프체인 이벤트 정보를 가져옴으로써, 스마트 계약은 가격, 날짜, 수량 등 변화하는 경제 및 환경 조건에 동적으로 반응하거나 인공 지능을 사용하여 적응할 수 있다.Another unique feature of tokens compared to cryptocurrencies is recognition. Stupid cryptocurrency trading is unconditional. If a crypto coin is valid, it can be transferred or sold immediately, regardless of economic situation or transaction outcome. In contrast, tokens can request and take into account off-chain conditions when managing transactions. By using blockchain oracles to retrieve on-chain and off-chain event information, smart contracts can dynamically react to changing econom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prices, dates, and quantities, or adap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예를 들어, 스마트 계약은 정의된 GPS 지역이나 특정 셀룰러 네트워크에서만 서비스에 대한 토큰의 사용을 제한하여, 지역 법률 조례를 준수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스마트 계약은 변동성이 큰 거래 또는 가격 폭락 시 스와핑(구매 또는 판매)을 자동으로 방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조건부 가치는 특히, 상품(예: 금)에 대해 고정된 가격 비율을 유지하거나 특정 법정화폐 가치에 대해 사전 정의된 비율로 고정되는 토큰인 스테이블코인을 실현할 때, 상거래에서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어 은 상업적 가격이 미국 달러(USD)에 고정된(일부 명목 범위 내에서) 토큰이다. For example, a smart contract could limit the use of tokens for services only to defined GPS regions or specific cellular networks, ensuring compliance with local legal ordinances. Smart contracts can automatically prevent or limit swapping (buying or selling) during volatile transactions or price crashes. Contingent value is particularly useful in commerce, especially when implementing stablecoins, which are tokens that maintain a fixed price ratio for a commodity (e.g. gold) or are pegged to a predefined ratio to the value of a specific fiat currency. for example is a token whose commercial price is pegged to the United States Dollar (USD) (within some nominal range).
DeFi 토큰 거래(Transacting DeFi Tokens) : DeFi 토큰 거래는 토큰 수명주기의 세 가지 주요 단계에서 발생한다. 즉, Transacting DeFi Tokens : Transacting DeFi tokens occurs in three main stages of the token lifecycle. in other words,
- 토큰 생성- Token generation
- 토큰 배포- Token Distribution
- 토큰 거래- Token trading
새로운 토큰 생성, 즉 토큰 생성에는 출시된 토큰의 유형과 속성을 정의하는 스마트 계약 실행이 포함된다. 스마트 계약의 실시간 출시는 취소할 수 없는 이벤트이므로 한번 행해지면 취소할 수 없기 때문에 스마트 계약 작성은 임의의 DeFi 발행을 적절하게 실행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스마트 계약의 조건은 사후에 변경할 수 없으며 실수를 제거할 수도 없다. 잘못 작성된 스마트 계약의 결과는 불필요하게 사용자에게 과도한 가스 비용을 발생시키는 것부터 투자 자본의 완전한 손실을 초래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실패의 근본 원인에는 산술 오류, 논리 오류, 부적절한 함수 호출, 중단된 프로그램 카운터(동결 상태), 불완전하거나 오도된 전송 등이 포함된다.Creating a new token, or token creation, involves executing a smart contract that defines the type and properties of the released token. The creation of smart contracts is an important element in properly executing arbitrary DeFi issuance because the real-time launch of a smart contract is an irrevocable event and cannot be undone once done. In particular, the terms of a smart contract cannot be changed after the fact, and mistakes cannot be eliminated. The consequences of a poorly written smart contract can range from unnecessarily incurring excessive gas fees for users to causing a complete loss of invested capital. Root causes of failure include arithmetic errors, logic errors, improper function calls, hung program counters (freezes), and incomplete or misdirected transfers.
본질적으로, 토큰 발행 및 그 실행의 토크노믹스은 그 스마트 계약에 의해 엄격하게 정의된다. 생성된 토큰 수, 즉 토큰 총 공급량은 나중에 늘릴 수 없다. 잠긴 토큰은 스마트 계약에 지정된 조건이 발생하지 않는 한, 예를 들어 정의된 귀속확정 일정(vesting schedule)에 따라 잠금 해제될 수 없다. 잠금 해제된 토큰은 나중에 잠길 수 없으며, 일단 정의된 후에는 귀속확정 일정이 변경될 수 없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오류 없는 스마트 계약의 생성은 성공적인 토큰 출시의 기본이다. 스마트 계약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또는 "dApp"이라고 불리는 특정 유형의 소프트웨어를 나타낸다.Essentially, the token issuance and tokenomics of its execution are strictly defined by the smart contract. The number of tokens created, i.e. the total token supply, cannot be increased later. Locked tokens cannot be unlocked unless conditions specified in the smart contract occur, for example according to a defined vesting schedule. Unlocked tokens cannot be locked later, and once defined, the vesting schedule cannot be changed. Therefore, the creation of reliable and error-free smart contracts is fundamental to a successful token launch. Smart contracts represent a specific type of software called a decentralized application, or “dApp.”
dApp 개발(Developing dApps ) : 새로운 스마트 계약을 작성하는 것은 블록체인-기반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에 익숙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팀인 dApp 개발자의 역할이다.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은 스마트폰, 개인용 컴퓨터, 클라우드 서버, 웹 서버, IOT 장치, 또는 연결된 차량용 프로그래밍과 크게 다르다. Developing dApps : Writing new smart contracts is the role of dApp developers , a team of software programmers familiar with blockchain-based decentralized applications. Programming decentralized applications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rogramming for smartphones, personal computers, cloud servers, web servers, IOT devices, or connected vehicles.
기존 컴퓨팅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컴퓨팅 엔진, 캐시 메모리, 및 비휘발성 저장소를 포함하는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전용 자원을 국지적으로 전달하는 운영 체제 위에서 실행된다. 하드웨어 호스트 자원은 소프트웨어 소유자가 소유하거나 임대한다. 사용자가 Amazon 또는 Google 웹 서비스와 서비스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클라우드의 어느 서버가 실제로 특정 시간이나 날짜에 작업을 수행하는지에 관계없이, 고객이 마치 서버를 구입한 것처럼 특정 기간 임대된 하드웨어를 사용할 권리를 소유한다는 점에서 그 계약은 자동차 렌탈과 유사하다.In traditional computing, application programs run on top of an operating system that locally delivers dedicated resources, including hardware that includes one or more computing engines, cache memory, and non-volatile storage. Hardware host resources are owned or leased by the software owner. If a user enters into a service agreement with Amazon or Google Web Services, the right to use the leased hardware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as if the customer had purchased the server, regardless of which servers in the cloud are actually performing the work at any particular time or day. The contract is similar to renting a car in that you own the car.
프로그래머가 전용 하드웨어에 대한 무제한 액세스 권한을 가질 때, 그것이 호스팅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아무 목적도 없이 명령을 실행하고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것은, 그것이 단순히 신경 쓰기에는 너무 작은 문제이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일 수 있다. 웹 프로그래머는 특히 사전 제작된 HTML 템플릿을 기반으로 비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으며, 컴파일된 프로그램은 모든 전임자의 쓸모없는 코딩 기여로 인해 팽창될 수 있다.When a programmer has unrestricted access to dedicated hardware, the problem of the software programs it hosts executing instructions for no purpose and storing data they don't need is simply too small a problem to bother with. , can be very inefficient. Web programmers are notorious for writing inefficient code, especially based on pre-built HTML templates, and compiled programs can become bloated with useless coding contributions from all their predecessors.
엉성한 프로그래밍이 작동하지 않는 엔지니어링 분야 중 하나는 실시간 통신 장치 및 서비스용 소프트웨어이다. 실시간 시스템에서, 비효율적인 코드는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불필요한 계산은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능력을 저하하여 네트워크의 대기 시간 및 처리량(예: 데이터 대역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전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파 지연은 네트워크 성능 지표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패킷, 페이로드 및 콘텐츠의 완전하고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당연히, 최고의 프로그래머만이 실시간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 One area of engineering where sloppy programming doesn't work is software for real-time communications devices and services. In real-time systems, inefficient code affects system performance. Unnecessary computations reduce the system's ability to transmit data, negatively impacting the network's latency and throughput (e.g., data bandwidth). For example, in professio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ropagation delay not only affects network performance metrics, but can also lead to complete and irreversible loss of packets, payload, and content. Of course, only the best programmers can do real-time programming.
스마트 계약은 의도된 용도와 계약 실행을 위한 목표 블록체인 가상 머신 호스트에 따라 다양한 컴퓨터 임의의 수의 언어로 작성될 수 있다. 다양한 블록체인 가상 머신과 해당 블록체인 사용자가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다음과 같다:Smart contracts can be written in any number of different computer languages, depending on their intended use and the target blockchain virtual machine host for contract execution. The programming languages used by various blockchain virtual machines and their blockchain users are:
- C++: EOS, HyperLedger Sawtooth, lota, Wanchain, Solana, Stellar- C++: EOS, HyperLedger Sawtooth, lota, Wanchain, Solana, Stellar
- C#: Neblio, NEO, Straitis- C#: Neblio, NEO, Straitis
- F#: NEO- F#: NEO
- Go: HyperLedger Fabric, lota, Neblio, Stellar- Go: HyperLedger Fabric, lota, Neblio, Stellar
- Java: Ardor, Corda, HyperLedger Fabric & Sawtooth, lota, Neblio, NEO, Smilo, Stellar- Java: Ardor, Corda, HyperLedger Fabric & Sawtooth, lota, Neblio, NEO, Smilo, Stellar
- JavaScript: HyperLedger Sawtooth, lota, Lisk, Neblio, Smilo, Stellar- JavaScript: HyperLedger Sawtooth, lota, Lisk, Neblio, Smilo, Stellar
- Python: HyperLedger Sawtooth, Icon, Neblio, NEO, Smilo- Python: HyperLedger Sawtooth, Icon, Neblio, NEO, Smilo
- Objective-C: Neblio- Objective-C: Neblio
위 목록의 많은 항목은 C 또는 Java에서 파생된 범용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스마트 계약 개발에는 다음이 포함된다:Many of the items in the above list include general-purpose, 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s derived from C or Java. Other commonly used smart contract developments include:
- DAML: HyperLedger Sawtooth- DAML: HyperLedger Sawtooth
- Kotlin: Corda, NEO- Kotlin: Corda, NEO
- Lidity: 스밀로- Lidity: Smilo
- LLL: 이더리움- LLL: Ethereum
- Michelson: Tezos- Michelson: Tezos
- PhP: Neblio- PhP: Neblio
- Plutus: Cardano- Plutus: Cardano
- Ride: Waves- Ride: Waves
- Ruby: Neblio- Ruby: Neblio
- Rust: HyperLedger Sawtooth, lota, Solana- Rust: HyperLedger Sawtooth, lota, Solana
- Scala: Stella- Scala: Stella
- Scilla: Zilliqa- Scilla: Zilliqa
- Serpent: 이더리움- Serpent: Ethereum
- Solidity: Aion, Binance, HECO, Enigma, 이더리움, Qtum- Solidity: Aion, Binance, HECO, Enigma, Ethereum, Qtum
- WebAssembly: EOS- WebAssembly: EOS
- Vyper: 이더리움- Vyper: Ethereum
- Yul: 이더리움- Yul: Ethereum
전술한 내용 중 Java 파생 언어인 Solidity는 이더리움 EVM 및 Binance BSC에 사용되는 기본 언어이므로 스마트 계약 프로그래밍 시장의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한다. Rust는 HyperLedger와 Solana 모두에서 사용되는 빠르게 성장하는 대안으로 보인다. 다른 블록체인은 스마트 계약 실행에 사용되는 언어에 불가지론적이라고 주장한다. 여기에는 Kimodo, Multichain, NEM, OpenChain 및 Polkadot 네트워크가 포함된다.Among the foregoing, Solidity, a Java-derived language, is the default language used in Ethereum EVM and Binance BSC, and thus holds the largest share of the smart contract programming market. Rust appears to be a fast-growing alternative used by both HyperLedger and Solana. Other blockchains claim to be agnostic to the language used to execute smart contracts. These include Kimodo, Multichain, NEM, OpenChain, and Polkadot networks.
효율적인 버그 없는 dApp 개발에는 프로그래밍 함정을 우회하기 위한 광범위한 경험이 필요한다. 우발적인 산술 오류, 고정된 정수 소수점 배치, 숨겨진 루프, 감지되지 않은 대기 상태, 및 불완전한 전송은 투자자에게 치명적인 손실을 초래하여, 프로젝트의 성공이나 회사의 생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가 너무 많기 때문에, 크로스-체인 출시는 특히 복잡하고 실행 위험이 발생하기 쉽다. 잘못 설계된 코드는, 버그가 없더라도, 과도한 가스 요금이나 트래픽이 많은 이벤트 중에 실행 속도가 느려져 투자자에게 기회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Efficient bug-free dApp development requires extensive experience to circumvent programming pitfalls. Accidental arithmetic errors, fixed integer decimal point placement, hidden loops, undetected wait states, and incomplete transmissions can cause catastrophic losses to inves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the project or the survival of the company. Because there are so many programming languages, cross-chain launches are particularly complex and prone to execution risks. Poorly designed code, even if it is bug-free, can result in excessive gas fees or slow execution during high-traffic events, resulting in lost opportunities for investors.
잘못 구현되거나 버그가 있는 스마트 계약을 피하는 한 가지 방법은, 자율적인 스마트 계약 작성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버그 없는 스마트 계약을 작성하는 dApp을 작성하려면, 스마트 계약을 수동으로 작성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기술이 필요하다.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한된 소수의 숙련된 개발자만이 존재한다.One way to avoid poorly implemented or buggy smart contracts is to use an autonomous smart contract writing system. However, writing dApps that write bug-free smart contracts requires much greater skills than writing smart contracts manually. There are only a limited number of skilled developers worldwide who can solve these challenges.
dApp 실행(Executing dApps ) : 호스트 블록체인에 출시된 스마트 계약은 즉시 배포 및 사용 준비가 가능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l(36) 또는 API로부터 프로토콜(37a)에 대한 함수 호출(39a)은 인스턴스(37b) 및 Merkel 체인(39b, 39c)를 통해 원래의 부모 블록(37a)로부터 내려온 최신 코드(37c) 인스턴스를 검색한다. 스마트폰 앱이나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l)(36)를 통해 액세스하면, 이 최신 템플릿(BCVM의 현재 세계 상태 포함)이 다운로드되고(39d), 보류 중인 거래(지갑(31)으로부터 임의의 토큰 교환(35, 50a)을 포함) 포함하도록 수정되어 새로운 인스턴스(37d)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갱신된 계약(39e)이 검증되고(38) 블록(2)의 스마트 계약(37e)으로 체인(1)에 다시 업로드된다(39f). 그런 다음 이 최근 업로드된 인스턴스는 다음 거래를 위한 템플릿으로 사용되며, 이런 식으로 계속된다. Executing dApps : Smart contracts released on the host blockchain are immediately ready for deployment and use. As shown in Figure 4, a function call 39a from Ul 36 or API to protocol 37a descends from the original parent block 37a via instance 37b and Merkel chain 39b, 39c. Retrieves the latest code (37c) instance. When accessed via the user interface (Ul) of a smartphone app or web browser (36), this latest template (including the current world state of the BCVM) is downloaded (39d), and pending transactions (random tokens from the wallet (31)) are downloaded (39d). It is modified to include exchanges 35 and 50a) to create a new instance 37d. The updated contract (39e) is then verified (38) and uploaded back to chain (1) as the smart contract (37e) in block (2) (39f). This recently uploaded instance is then used as a template for the next transaction, and so on.
더 자세하게, 스마트 계약 계통은 피어-검증된 메르켈 트리(일명 메르켈 체인)를 사용하여 그 부모로부터 블록체인의 마지막 항목, 즉 가장 최근 인스턴스까지 추적된다. 스마트 계약의 각 인스턴스는 타임스탬프 찍힌 및 피어-검증된 블록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블록체인에 기록된다. 체인-고유의 암호화폐와 마찬가지로, 스마트 계약의 블록체인 처리는 각각의 새로운 항목을 검증하기 위해 배심원에 의해 실행된다.More specifically, smart contract lineage is traced from its parent to the last entry in the blockchain, i.e. the most recent instance, using a peer-verified Merkel tree (aka Merkel chain). Each instance of a smart contract is sequentially recorded on the blockchain using timestamped and peer-verified blocks. As with chain-native cryptocurrencies, blockchain processing of smart contracts is executed by a jury to verify each new entry.
그러나 암호화폐 채굴과 달리, 스마트 계약을 검증하는 채굴자는 블록의 진위를 확인하지만 그 내용은 확인하지 않는다. 검증 과정에서, 배심원은 스마트 계약에 포함된 의미나 기능을 해석하지 않는다(종종 해석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보안 및 프라이버시를 위해, 스마트 계약의 일부는 해시되거나 암호화될 수 있으며, 정의된 풀 내의 구성원을 제외한 어떤 거래자도 해독할 수 없다. 계약이 제대로 준비되었는지 확인하려면, 최신 버전의 스마트 계약만 새 계약 작성의 출발점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However, unlike cryptocurrency mining, miners who verify smart contracts verify the authenticity of the block, but not its contents. During the verification process, the jury does not (and often cannot) interpret the meaning or functionality contained in the smart contract. For example, for security and privacy reasons, parts of a smart contract may be hashed or encrypted and cannot be decrypted by any trader except members within a defined pool. To ensure that your contract is properly prepared, it is important to only use the latest version of a smart contract as a starting point for creating a new contract.
스마트 계약의 최신 인스턴스는 정확한 실행 코드를 합성하는 데 필요한 최신 계약 정보, 즉 매개변수를 포함한다. 매개변수는, 날짜, 시간, 이자율, 풀의 토큰 수 및 유형, 잠금 메커니즘 등을 포함하여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조건부 정보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토큰을 교환하기 위해 새 계약이 작성되고 기록되기 전에, 마지막 스마트 계약은 거래를 실행하기에 충분한 토큰이 존재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구매자가 풀에 존재하는 것보다 더 많은 토큰을 구매하려고 하면 계약이 실행될 수 없다. 거래자가 를 사용하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려는 경우, 거래자의 지갑에 가스 수수료에 대한 충분한 ETH가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거래가 처리될 수 없다.The latest instance of a smart contract contains the latest contract information, or parameters, needed to synthesize the correct executable code. Parameters define conditional information that changes depending on the time required to execute the smart contract, including date, time, interest rate, number and type of tokens in the pool, locking mechanism, etc. For example, before a new contract is created and recorded to exchange two tokens, the final smart contract must check whether enough tokens exist to execute the transaction. If a buyer attempts to purchase more tokens than exist in the pool, the contract cannot be executed. the trader If you want to run a smart contract on the Ethereum blockchain using , the trader's wallet must contain enough ETH for the gas fee or the transaction cannot be processed.
프로그램 실행은 단순한 연대순 순서로 나타나지만, 네트워크의 처리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스마트 계약이 계층적 층(서브루틴 호출)으로 구성되어 불필요한 합의 검증을 피한다. 도 5는 블록체인 가상 머신 스택의 계층적 표현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은 OSI 애플리케이션 계층-7로서 인터넷의 TCP/IP 프로토콜 스택(40) 위에 위치하며, 자체 4층 블록체인 스택(41)과 BCVM 하위계층(42a, 42b 및 42c)을 별도로 포함한다.Program execution appears in a simple chronological order, but to maximize the network's throughput, smart contracts are organized in hierarchical layers (subroutine calls) to avoid unnecessary consensus verification. Figure 5 shows a hierarchical representation of the blockchain virtual machine stack. As shown, the blockchain sits on top of the Internet's TCP/IP protocol stack (40) as OSI application layer-7, with its own four-layer blockchain stack (41) and separate BCVM sublayers (42a, 42b, and 42c). Includes.
인터넷의 OSI 계층과 달리, 현재 블록체인에 대한 표준화된 명명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용어에 관계없이, 블록체인 스택의 가장 낮은 계층은 네트워크(44) 및 통신 서비스를 블록체인(33)에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인프라 또는 네트워크 계층(0)이다. 블록체인 계층 0(네트워크 계층(42a))은 블록체인 계층 1, 프로토콜 또는 구현 계층(42b)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 계층은 데이터(26), 블록 콘텐츠 및 체인-고유의 암호화폐(34a)의 채굴 및 저장, 그리고 블록체인 가상 머신(BCVM)(20) 및 합의 메커니즘(38)을 포함하는 시스템 운영을 관리한다.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 및 Binance 스마트 체인(BSC)은 블록체인 계층 1 구현의 예이다. Unlike the Internet's OSI layer, there is currently no standardized nomenclature for blockchain. Regardless of the terminology, the lowest layer of the blockchain stack is the infrastructure or network layer (0), which is used to deliver network (44) and communication services to the blockchain (33). Blockchain layer 0 (network layer 42a) serves blockchain layer 1, the protocol or implementation layer (42b), which provides data (26), block content, and chain-specific cryptocurrency (34a). It manages the mining and storage of and system operations, including the blockchain virtual machine (BCVM) (20) and consensus mechanism (38). The Ethereum Virtual Machine (EVM) and Binance Smart Chain (BSC) are examples of blockchain layer 1 implementations.
블록체인 계층 1은 차례로, BCVM에서 dApp, 스마트 계약(37) 및 토큰 50b 생성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거래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42c)인 블록체인 계층 2에 서비스를 제공하여, 확장성을 제공하고, 그렇지 않으면 블록체인 계층 1 대역폭에서 시스템 대역폭을 소비하는 작업을 제거한다. 레이어 2 구현에는 블록체인 계층 1 프로세스와 동일한 검증 빈도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 채널"이라 불리는 경량 컴퓨팅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블록체인 계층 2는 계층 1보다 빠르지만 보안 수준은 낮다. 블록체인 스택에서 계층 2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계층"이라는 용어는 인터넷의 TCP/IP 통신 프로토콜(인터넷은 모든 블록체인 처리를 지원한다)의 계층 7과 동일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계층 1에 의존하는 블록체인 계층 2는 마찬가지로 블록체인 계층 3, 소위 종합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종합 계층의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계층 2의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묶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더라도, 고객 편의를 위해, 스테이킹(대출)과 차용이 단일 DeFi 풀을 공유하는 통합 서비스로 묶일 수 있다.Blockchain Layer 1, in turn, provides services to Blockchain Layer 2, which is the transaction or application layer (42c) used by BCVM to execute dApps, smart contracts (37) and token creation (50b), providing scalability; Otherwise, it removes operations that would otherwise consume system bandwidth from blockchain layer 1 bandwidth. Layer 2 implementations may include lightweight computing functions called “state channels” that do not require the same verification frequency as blockchain layer 1 processes. In this respect, blockchain layer 2 is faster but less secure than layer 1.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term "application layer" for Layer 2 in the blockchain stack is not the same as Layer 7 of the Internet's TCP/IP communications protocol (the Internet supports all blockchain processing). Blockchain layer 2, which relies on layer 1, likewise provides services to blockchain layer 3, the so-called aggregate layer. The purpose of the aggregation layer is to bundle Layer 2 applications and services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For example, for customer convenience, staking (lending) and borrowing could be bundled into an integrated service that shares a single DeFi pool, even though they represent different applications.
특히, 작업을 단일 블록체인 계층에서 처리하거나 여러 계층에 분산시키는 것은 성능, 효율성 및 보안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절충안은 이더리움의 창시자인 Vitalik Buterin가, 더 적은 수의 검증 검사로 블록체인 처리를 구현하면 속도는 향상되지만, 불가피하게 분산화와 보안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개발자의 고민을 인식하여, "블록체인 트릴레마"라는 문구를 만들게 했으며, 스마트 계약을 호스팅하는 네트워크가 다음의 특징을 갖는지 고려한다: In particular, processing tasks in a single blockchain layer or distributing them across multiple layers impacts performance, efficiency, and security. This compromise was proposed by Vitalik Buterin, the founder of Ethereum, in recognition of developers' concerns that implementing blockchain processing with fewer verification checks would improve speed, but inevitably compromise decentralization and security, and called it "blockchain." This led to the coining of the phrase "trilemma", and considers whether the network hosting smart contracts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 분산화: 중앙 제어 지점을 사용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생성함- Decentralization: Creates a blockchain system that uses a central control point
- 확장성: 블록체인 시스템이 대량의 거래을 지원하는 능력- Scalability: the ability of a blockchain system to support large volumes of transactions
- 보안성: 블록체인 시스템이 공격, 버그 및 기타 예상치 못한 문제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여 안정적인 운영을 유지하는 능력.- Security: The ability of a blockchain system to maintain stable operation by defending itself from attacks, bugs, and other unexpected problems.
이와 관련하여, 블록체인 아키텍처, 가상 머신 구현, 및 여러 블록체인 계층에 걸친 스마트 계약 프로그래밍은 임의의 블록체인 구현된 스마트 계약의 성능, 보안 및 신뢰성을 결정한다. 따라서 탈중앙화 금융 거래에서 해킹과 장애를 방지하려면 일관된 고품질 스마트 계약 프로그래밍이 필요하다.In this regard, blockchain architecture, virtual machine implementation, and smart contract programming across multiple blockchain layers determine the performance, security, and reliability of any blockchain-implemented smart contract. Therefore, consistent, high-quality smart contract programming is necessary to prevent hacking and failures in decentralized financial transactions.
DeFi 풀( DeFi Pools) :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계층적 자원은 암호화폐 경제에서 탈중앙화 금융 거래의 필수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TCI P/IP의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기반으로, 인터넷은 비휘발성 저장소로 사용할 수 있는 전용 메모리가 없더라도, 영구적으로 실행되는 무허가형 블록체인(33)을 호스팅하기 위한 네트워크(44)를 제공한다. 이어서 블록체인은 전용 컴퓨팅 자원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가동 시간이 높은 BCVM(블록체인 가상 머신)(45)을 위한 호스트 플랫폼으로 작동한다. 블록체인 가상 머신은 dApp 및 스마트 계약(36)을 포함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호스트 플랫폼을 형성하며, 이는 어떤 중앙 권한, 은행, 재무부 또는 중앙집중형 금융 청산소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금융 거래와 상업적 업무를 자신 있게 지원할 수 있는 거래 프로세스이다. DeFi Pools : As illustrated in Figure 6, hierarchical resources form an essential component of decentralized financial transactions in the cryptocurrency economy. Based on the application layer of TCI P/IP, the Internet provides a network (44) for hosting permissionless blockchains (33) that run permanently, even without dedicated memory available for non-volatile storage. The blockchain then acts as a host platform for the Blockchain Virtual Machine (BCVM) (45), which has high uptime despite the lack of dedicated computing resources. The blockchain virtual machine forms a host platform for the execution of decentralized applications, including dApps and smart contracts (36), which enable financial transactions and transactions despite the absence of any central authority, bank, treasury, or centralized financial clearinghouse. It is a transaction process that can confidently support commercial work.
토큰을 출시하는 데 사용되는 스마트 계약의 한 클래스(토큰 출시라고 함)에서, DeFi 토큰(50)은 일부 정의된 일정 또는 조건 세트에 따라 생성되어 야생으로 출시된다. 투자자는 발행자로부터 직접 구매하거나, DeFi 풀에서 토큰 스왑을 실행하여 토큰을 얻을 수 있다. 오늘 토큰 출시와 관련하여, "DeFi 풀"(46)은 새로 생성된 DeFi 토큰과 크립토 현금 등가물(USDC, BUSD, WETH 등)이라는 두 가지 디지털 자산의 교환을 촉진하는 스마트 계약이다.In one class of smart contracts used to release tokens (called a token release), DeFi tokens (50) are created and released into the wild according to some defined schedule or set of conditions. Investors can obtain tokens by purchasing them directly from the issuer or by executing a token swap in a DeFi pool. In conjunction with today's token launch, the "DeFi Pool" (46) is a smart contract that facilitates the exchange of two digital assets: newly created DeFi tokens and crypto cash equivalents (USDC, BUSD, WETH, etc.).
DeFi 거래 풀(풀의 자산 중 하나를 마음대로 구매하거나 판매할 수 있음)과 달리, 토큰 출시 중에 새로 출시된 토큰은 구매만 가능하고 판매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DeFi 풀은 런치패드(Launch Pad) 또는 출시 풀(Issuing Pool)이라 불릴 수 있다. 투자자가 사적 토큰 사전 판매에서 새로 출시된 토큰을 획득하는 방법에는 직접 구매 또는 DeFi 풀을 통한 두 가지 방법이 있다. KYC/AML을 완료하고 해당 규제 법령에 따라 직접 구매하는 경우, 구매자는 발행자로부터 직접 구매한다. DeFi에서는, 잠재 투자자가 프로토콜이라는 자율적인 거래 인터페이스를 열고, 발행되는 토큰에 대해 지정된 양의 암호화폐를 교환한다. 고품질 토큰 발행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한다.Unlike DeFi trading pools (where you can buy or sell one of the assets in the pool at will), newly released tokens can only be purchased and not sold during a token launch. These DeFi pools may be called Launch Pads or Issuing Pools. There are two ways for investors to acquire newly released tokens in private token presales: through direct purchase or through DeFi pools. If purchasing directly after completing KYC/AML and complying with applicable regulatory laws, the buyer purchases directly from the issuer. In DeFi, potential investors open an autonomous trading interface called a protocol and exchange a specified amount of cryptocurrency for issued tokens. In high-quality token issuance, demand usually exceeds supply.
따라서 최대 구매 수량은 불가피하게 제한된다. 즉, 1인당 할당된다. 거래상 DeFi 풀은 벤처 캐피탈에 신규 출시, 대출자에 대한 대출, 채무자에 대한 차입, 거래자를 위한 통화 교환(토큰 교환), 및 시장 조성자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유동성을 제공하는 "제품"을 갖춘 은행 없는 은행과 같은 기능을 한다. DeFi 풀은 기업체와 매우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풀 자체는 천상의 존재이다. 그 행동을 통제하거나 그 본질(고유한 본질)을 정의하는 소유자, 운영자, 보증인 또는 법인체는 없다. 이와 관련하여, DeFi 풀의 운영은 자율적이며, 그 존재는 가상이다. DeFi는 본질적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단일 장치, 서버, 위치, 국가 또는 법적 주소 내에 물리적 존재가 없다. 무슨 일이 생기면 고소할 사람도 없고, 자기 자신 외에는 비난할 사람도 없다.Therefore, the maximum purchase quantity is inevitably limited. In other words, it is allocated per person. Transactional DeFi pools are bankless with “products” that provide liquidity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venture capitalists to launch new launches, lend to borrowers, borrow against borrowers, exchange currencies (token exchanges) for traders, and create opportunities for market makers. It functions like a bank. DeFi pools provide services very similar to businesses, but the pools themselves are heavenly entities. There is no owner, operator, guarantor or legal entity that controls its actions or defines its nature. In this regard, the operation of DeFi pools is autonomous, and their existence is virtual. DeFi is decentralized in nature, with no physical presence within a single device, server, location, country, or legal address. If something happens, there is no one to sue and no one to blame but yourself.
경험적으로, 사용자는 웹 인터페이스로 보이는 것을 사용하여 DeFi 풀과 상호 작용한다. 실제로, DeFi 사용자 인터페이스(Ul)는 크립토 지갑을 이더리움, Binance 또는 기타 호스트 블록체인에 직접 연결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호출한다.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웹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크립토 거래에서 데이터 통로 역할을 해서는 안 된다. 웹 중개자는, 지갑 도난의 위험을 포함하여 거래 중에 교환되는 고객의 보안 자격증명 및 개인 키에 대해 액세스를 쉽게 포착하고 훔치고 이익을 얻을 수 있으므로 신뢰할 수 없다. 따라서 탈중앙화 거래은 거래을 실행하기 위해 어떤 것에도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고 무신뢰 자율 운영에 의존한다. 이론적으로는 거래자가 DeFi 풀 내에서 거래에 참여하기 위해 자체 스마트 계약을 작성할 수 있지만, 실제로 스마트 계약은 처음부터 작성되지 않고 대신 풀의 세부 사항을 정의하는 프로토콜이라는 계약 템플릿을 기반으로 한다.In our experience, users interact with DeFi pools using what appears to be a web interface. In fact, the DeFi User Interface (Ul) calls an application program that directly connects a crypto wallet to Ethereum, Binance, or other host blockchains. For security and privacy reasons, the web interface should not serve as a data conduit for any crypto transaction. Web intermediaries cannot be trusted as they can easily capture, steal, and profit from access to customers' security credentials and private keys exchanged during transactions, including the risk of wallet theft. Decentralized trading therefore relies on trustless, autonomous operations without relying on anything or anyone to execute transactions. In theory, traders can write their own smart contracts to engage in trading within a DeFi pool, but in reality, smart contracts are not written from scratch, but are instead based on contract templates called protocols that define the details of the pool.
DeFi 프로토콜( DeFi Protocols) : 스마트 계약은 오늘날 빠르게 발전하는 암호화폐 경제에서 투자자와 기업가를 지원하는 데 두 가지 주요 역할을 한다. DeFi Protocols : Smart contracts play two key roles in supporting investors and entrepreneurs in today’s rapidly developing cryptocurrency economy.
- 투자자를 위한 DeFi 토큰 거래 촉진- Facilitating DeFi token trading for investors
- 발행자를 위한 DeFi 토큰 출시 촉진- Facilitating the launch of DeFi tokens for issuers
이들 기능은 둘 다 하드-코딩된(hard-coded) 스마트 계약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지만, 맞춤형 dApp 개발은 느리고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대안은 스마트 계약 작성을 위해 거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다. 거래 프로토콜 또는 간단히 프로토콜은 사용자 지시에 따라 스마트 계약을 자율적으로 생성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이론적으로 DeFi 거래를 위한 스마트 계약 작성 프로그램은 다양한 일반적인 DeFi 거래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실제로, 사용 가능한 대부분의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단일 전용 작업만 수행할 수 있는 단일-기능 자동 장치로서 작동하도록 설계된다:Both of these functions can be performed using hard-coded smart contracts, but custom dApp development is slow and error-prone. An alternative is to use transaction protocols to create smart contracts. A transaction protocol, or simply a protocol, refers to software that autonomously creates smart contracts based on user instructions. In theory, a smart contract writing program for DeFi transactions should be able to support a variety of common DeFi transactions. In practice, most of the available protocols are designed to operate as single-function automata that can perform only a single dedicated task, such as:
- 단일 유형의 암호화폐에 대해 DeFi 풀에서 토큰을 교환, 또는- Exchange tokens in a DeFi pool for a single type of cryptocurrency, or
- 이자 수입을 위해 DeFi 풀에서 토큰을 대출, 또는- Lending tokens from DeFi pools to earn interest, or
- 잠긴 담보에 대해 DeFi 풀에서 차입, 또는- Borrow from DeFi pools against locked collateral, or
- 수수료를 얻기 위해 투자된 자본으로서 DeFi 풀에 유동성을 제공함.- Provides liquidity to DeFi pools as capital invested to earn fees.
투자 및 거래 활동을 별도의 프로토콜로 분리하는 것은 개발자에게는 더 쉬운 반면, 더 혼란스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사용자 경험을 악화시킨다. 더욱이, 현재 DeFi 프로토콜의 설계 및 프로그래밍에 있어 수많은 부적절함은 DeFi 풀에 참여하는 거래자의 유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부적절함은 자체 토큰을 출시하려는 회사나 프로젝트에 특히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오늘날의 프로토콜을 제한하는 해결되지 않은 중요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Separating investment and trading activities into separate protocols, while easier for developers, creates a more confusing user interface and worsens the user experience. Moreover, numerous inadequacies in the design and programming of current DeFi protocols negatively impact the flexibility of traders participating in DeFi pools. This inadequacy has a particularly significant impact on companies or projects looking to launch their own tokens. Key unresolved issues limiting today's protocols include:
- 다수-통화 결제를 허용할 수 없음(다수의 크립토 랩 및 스테이블코인)- Cannot accept multi-currency payments (multiple crypto wraps and stablecoins)
- 잠금 및 귀속확정 관리를 통해 조기 판매를 통제하고 러그 풀(rug pulls)을 방지할 수 없음- Unable to control early sales and prevent rug pulls through lock and vesting management
- 서로 다른 귀속확정 일정을 가진 다중 투자자 트랜치(tranche)를 동시에 출시할 수 없음- Multiple investor tranches with different attribution schedules cannot be released simultaneously.
- 대출(수익)과 결합된 교환(자본 투자) 지원 불가- Exchange (capital investment) combined with loan (profit) is not supported
- 새로운 토큰 출시를 유연하게 지원할 수 없음- Inability to flexibly support new token launches
- 여러 네트워크에서 동시에 거래 및 출시를 지원할 수 없음- Cannot support transactions and launches on multiple networks simultaneously
다수-통화 결제(Multi-currency Payments) : 이상적으로 토큰을 획득하거나 새로운 발행에 참여하기 위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투자자는 자신에게 편리한 임의의 형태의 크립토 현금 등가 토큰으로 결제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교환 풀(46a~46d)은 하나의 특정 DeFi 토큰과 특정 암호화폐 또는 크립토 현금 등가물의 고유한 조합을 포함하는 단일 토큰-쌍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업이 WETH, USDT, BUSD 및 USDC와 같은 주요 크립토를 결제하여 가상 PRYS 토큰(50c)의 판매를 지원하려면, 각각 자체 스마트 대응 계약(37f, 37g, 37h, 37i)이 필요한 4개의 별도 풀(46a, 46b, 46c 및 46d)을 필요로 한다. 오류 없이 스마트 계약의 4가지 개별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프로그래머(52)의 능력은 어렵고 위험하다. Multi-currency Payments : Ideally, investors using the protocol to acquire tokens or participate in new issuances would want to make payments in whatever form of crypto cash-equivalent token is convenient for them. However, in reality, as shown in Figure 7, each exchange pool 46a-46d contains a single token-pair containing a unique combination of one specific DeFi token and a specific cryptocurrency or crypto cash equivalent. For example, if a business wants to support the sale of virtual PRYS tokens (50c) by settling major cryptocurrencies such as WETH, USDT, BUSD, and USDC, it will create four separate tokens, each requiring its own smart counterpart contract (37f, 37g, 37h, 37i). Requires pools 46a, 46b, 46c and 46d. The ability of a programmer 52 to create four separate instances of a smart contract without error is difficult and risky.
모든 출시 풀이 별개인 상황에서, 토큰 구매 프로세스는 투자자(30)에게 불편하며, 투자자는 단지 하나의 토큰(50c)만을 구매하더라도 WETH를 통한 결제는 거래(53a)을 수반하고, USDT를 통한 결제는 별도의 거래(53b)을 수반하고, USDC를 통한 결제는 거래(53c)를 수반하며, 모든 거래은 자체의 가스 수수료를 갖는다. WETH 대신 USDC로 Jasmy와 같은 토큰을 구매하려 실제 사례는 DeFi 풀을 변경하는 것을 요구한다. 마찬가지로 SHIB- 토큰 쌍은 SHIB-BUSD 쌍과 혼합될 수 없으며, SUSHI-WBTC 쌍은 SUSHI-DAI 쌍과 섞일 수 없다. 암호화폐와 스테이블코인을 혼합하여 토큰을 획득하려는 투자자에게 매우 불편한 점 외에도, 엄격한 단일 토큰-쌍 DeFi 풀은 발행자가 토큰을 비활성 또는 인기가 없는 풀과 토큰에 할당하도록 강제한다.In a situation where all launch pools are separate, the token purchase process is inconvenient for investors (30), and even if the investor purchases only one token (50c), payment through WETH involves transaction (53a), and payment through USDT involves transaction (53a). It involves a separate transaction 53b, and payment via USDC involves a transaction 53c, and every transaction has its own gas fee. A real-world use case would require changing the DeFi pool to purchase a token like Jasmy with USDC instead of WETH. Likewise SHIB- Token pairs cannot be mixed with the SHIB-BUSD pair, and SUSHI-WBTC pairs cannot be mixed with the SUSHI-DAI pair. Besides being extremely inconvenient for investors trying to acquire tokens from a mix of cryptocurrencies and stablecoins, strict single-token-pair DeFi pools force issuers to allocate tokens to inactive or unpopular pools and tokens.
다수-체인 토큰 트레이딩 (Multi-chain Token Trading) : 대부분의 프로토콜은 단일 블록체인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며 크로스-체인 거래은 말할 것도 없고 다수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에서의 토큰 발행은 Binance의 네트워크나 BSC 가상 머신에서 사용할 수 없는 EVM 특정 스마트 계약을 사용한다. 이로 인해, 투자자는 거래 시간이 악화하거나 가스 수수료가 엄청나게 높아져도 단일 네트워크에서만 독점적으로 거래해야 한다. Multi-chain Token Trading : Most protocols are designed to operate on a single blockchain and cannot support multiple networks, let alone cross-chain transactions. For example, token issuance on Ethereum uses EVM-specific smart contracts that are not available on Binance's network or the BSC virtual machine. This forces investors to trade exclusively on a single network, even if that means worsening trading times or prohibitively high gas fees.
유익하게도, 도 8에 표시된 다수-체인 지원을 통해 투자자는 자신의 거래를 최적화하고 가스 수수료 및 거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불행하게도 대부분의 프로토콜은 크로스-체인 거래나 다수-체인 토큰 출시를 완전히 지원할 수 없다. 오늘날 다수-체인 거래나 출시를 위한 dApp 프로토콜을 작성할 수 있는 기술이나 통찰력을 갖춘 개발자는 거의 없다. 대신 프로그래머(52a)는 이더리움 메인체인(33a)에 스마트 계약(37j)을 출시한다(54a). 스마트 계약(37k, 371, 37m 및 37n)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거래(멀티-스왑)는 높은 가스 비용으로 인해 이더리움에서 비용이 많이 든다. Binance 스마트 체인(33b)에 스마트 계약(37o)을 출시하는(54b) 프로그래머(52b)는 저렴한 비용의 멀티-스왑 거래(37p, 37q)을 지원할 수 있지만 이더리움과의 모든 상호 운용성을 잃는다. Polkadot 블록체인(33c)은 스마트 계약(37r 및 37s)를 통해 저렴한 비용의 교환을 제공하는 반면, 프로그래머(52c)는 Binance와 완전히 독립적인 스마트 계약(37r)을 출시하고(54c) 이더리움은 비호환 위험을 생성한다. Beneficially, multi-chain support, shown in Figure 8, allows investors to optimize their trading and minimize gas fees and transaction costs. Unfortunately, most protocols cannot fully support cross-chain transactions or multi-chain token launches. Few developers today have the skills or insight to write dApp protocols for multi-chain transactions or launch. Instead, the programmer (52a) launches a smart contract (37j) on the Ethereum main chain (33a) (54a). Consecutive transactions (multi-swap) involving smart contracts (37k, 371, 37m and 37n) are expensive on Ethereum due to high gas costs. Programmers (52b) who launch (54b) smart contracts (37o) on the Binance Smart Chain (33b) can support low-cost multi-swap transactions (37p, 37q), but lose all interoperability with Ethereum. The Polkadot blockchain (33c) offers low-cost exchanges through smart contracts (37r and 37s), while its programmers (52c) launch smart contracts (37r) that are completely independent of Binance (54c), and Ethereum (54c) Creates compatibility risks.
또 다른 누락된 특징은 멀티-스왑 거래에서 최소 거래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가스 및 거래 수수료를 지능적으로 최소화하는 능력이다.Another missing feature is the ability to intelligently minimize gas and transaction fees by using a minimum trade algorithm in multi-swap transactions.
잠금 해제된 토큰(Unlocked Tokens) : 오늘날 DeFi 투자를 괴롭히는 주요 문제는 조기 매도 및 내부자 러그-풀(rug-pulls) 문제이다. 조기 매도 문제는 기업(51)에 의해 잘못 실행된 또는 부패한 토큰 출시에 내재되어 있으며, 도 9에 표시된 것처럼 우선 가격을 적용받은 초기 투자자(예: VC, 거래소, 종자 투자자 및 개발자)(55)가 상기 발행의 예상 미래 시장 가격에 비해 크게 할인된 가격으로 잠금 해제된 토큰(50z)을 구매할 수 있다. 구매 또는 사전 판매 토큰(50d)이 IDO, TGE 및 교환 판매(50e 및 50f)에 비해 할인된 경우 소수의 구매자만이 자신의 토큰(50z)을 더 낮은 가격에 판매하여 다른 사람들이 참여하기 전에 시장을 망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정된 상장을 호스팅하는 모든 DEX는 대량 가격 계약을 사용하여 우선 가격으로 토큰 재고를 획득한다. 나중에 탈중앙화 거래소가 고객에게 판매할 토큰을 출시하여 거래 가능해지면, 예를 들어 최초 DEX 발행(IDO) 중에, 사전 판매 토큰 보유자는 DEX가 감지할 수 없는 일련의 무단 판매를 비밀리에 실행하여, 토큰 가격이 붕괴될 수 있다. Unlocked Tokens : The main problem plaguing DeFi investments today is the problem of early selling and insider rug-pulls. The early selling problem is inherent in poorly executed or corrupt token launches by companies (51) and early investors (e.g. VCs, exchanges, seed investors and developers) (55) who receive preferential pricing, as shown in Figure 9. Unlocked tokens (50z) can be purchased at a significant discount compared to the expected future market price of the above-mentioned issuance. With purchase or pre-sale tokens (50d) at a discount compared to IDOs, TGE and exchange sales (50e and 50f), only a few buyers are willing to sell their tokens (50z) at a lower price, hitting the market before others join. can ruin it. Likewise, all DEXs hosting scheduled listings use bulk pricing contracts to acquire inventory of tokens at preferential prices. Later, when a decentralized exchange releases tokens for sale to customers and makes them tradable, for example during an initial DEX issuance (IDO), pre-sale token holders secretly execute a series of unauthorized sales that the DEX cannot detect, Prices may collapse.
무단 매도의 문제점은 판매 승인을 받은 토큰과 합법적으로 거래되는 토큰을 구별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구별 불가능성은 대체 가능한 통화의 기본 특성이다. 즉, 일단 토큰이 잠금 해제되면 그 거래를 제한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러그-풀은 잠금 해제된 토큰이 처음 생성된 시점에 잠금 해제된 토큰을 발행한 필연적인 결과이다. 발행자가 사전 판매 토큰 보유자의 조기 판매를 방지할 수 있는 한 가지 대안 수단은 배포 지연을 통해 구매자에게 토큰 출시를 나중까지 보류하는 것이다. 이 옵션은 효과적이지만, 토큰 거래가 완료될 때까지 투자된 자본을 보호하는 어떤 담보 없이 구매에 동의하는 투자자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The problem with unauthorized selling is that there is no way to distinguish between tokens approved for sale and tokens traded legally. Indistinguishability is a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fungible currencies. This means that once a token is unlocked, there is no way to restrict its transactions. Therefore, lug-pull is an inevitable result of issuing unlocked tokens at the time the unlocked tokens were first created. One alternative means by which issuers can prevent early sales by pre-sale token holders is to withhold the release of tokens to buyers until a later date, through a distribution delay. Although this option is effective, it is problematic in that few investors will agree to purchase the token without any collateral protecting the invested capital until the transaction is completed.
특히 문제가 되는 악용 중 하나는 도 10에 표시된 펌프 앤 덤프(P&D) 악용이다. 여기서 투자자는 사전 판매 및 저렴한 가격의 소량 구매(65a)를 통해 대량의 거래 가능한 토큰을 축적(60c)한 후, 발행의 시가총액(64)을 인위적으로 부풀리기(65b) 위해 소량으로 기만적인 구매(60l)를 실행한다. 가격(65c)을 끌어올려 모멘텀 트레이더들을 매수자로 유인한 후, 투자자는 몇 번의 거래(61a, 61b 및 61c)에서 대량 매도를 통해 매도 폭풍(65d)을 초래하여 남은 토큰 가격(62)이 사상 최저치에 도달하게 만든다.One particularly problematic exploit is the pump and dump (P&D) exploit shown in Figure 10. Here, investors accumulate large quantities of tradable tokens (60c) through pre-sales and small purchases at low prices (65a), and then make deceptive purchases in small quantities (65b) to artificially inflate the market capitalization of the issue (64). 60l). After driving up the price (65c) to attract momentum traders to become buyers, investors sold heavily in several transactions (61a, 61b and 61c), resulting in a selling storm (65d) that pushed the remaining token price (62) to an all-time low. makes it reach
NFT 특정 문제( NFT Specific Issues) : ERC-20 및 BEP-20 표준을 기반으로 한 대체 가능 토큰은 유비쿼터스 ERC-721 표준을 기반으로 한 NFT와 많은 특징, 이점 및 결함을 공유하지만, 한 가지 주요 차이점은 대부분의 탈중앙화 금융이 여러 체인에서의 거래를 수반하지만 크로스-체인 거래를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BSC 네트워크를 위해 USDT 토큰이 생성되면 EVM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해 전송되지 않고, 대신 거래소에서 먼저 변환된다. 대조적으로 NFT 시장은 관심 그룹(예: 골동품 자동차, 만화책, 스포츠, 미술, 음악 등)에 의해 바뀐다. 어떤 이유로든 이 그룹들은 종종 다른 블록체인에 거주하는 커뮤니티에서 거래된다. NFT Specific Issues : Fungible tokens based on the ERC-20 and BEP-20 standards share many features, benefits, and flaws with NFTs based on the ubiquitous ERC-721 standard, but have one key difference . The point is that most decentralized finance involves transactions on multiple chains but does not include cross-chain transactions. Once USDT tokens are created for the BSC network, they are not transferred for use on the EVM network, but are instead first converted on the exchange. In contrast, the NFT market is driven by interest groups (e.g. antique cars, comic books, sports, art, music, etc.). For whatever reason, these groups are often transacted by communities living on different blockchains.
예를 들어 대부분의 NFT는 먼저 이더리움에서 출시된 다음 마케팅 및 커뮤니티 판매를 위해 하나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NFT는 단순한 다수-체인 자산이 아니라 여러 네트워크에 걸쳐 거래 방식으로 작동한다. 즉, NFT는 크로스-체인 거래을 포함한다. 이 위업을 달성하기 위해, NFT는 대상 블록체인과 호환되도록 래핑(ETH와 같은 체인-고유의 암호화폐를 토큰화하는 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기술)을 사용한다. 이 프로세스의 예는 도 10a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NFT는 EVM(33a), BSC(33b) 및 Polygon 블록체인(33c)의 3개 블록체인에서 거래된다. For example, most NFTs are first released on Ethereum and then transferred to one or more other networks for marketing and community sales. In this sense, NFTs are not simply multi-chain assets, but operate as a way of trading across multiple networks. In other words, NFTs involve cross-chain transactions. To achieve this feat, NFTs use wrapping (the same technology used to tokenize chain-native cryptocurrencies such as ETH) to make them compatible with the target blockchain. An example of this process is shown in Figure 10a, where NFTs are traded on three blockchains: EVM (33a), BSC (33b), and Polygon blockchain (33c).
도시된 바와 같이 EVM(33a)에서 생성된 NFT(88f)의 원래 인스턴스는 BSC(33b) 네트워크로 전송되어 88g가 되었다. 왜냐하면, 그 잠재적 구매자가 이미 Binance 네트워크에서 거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NFT를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BSC로 전송하려면, 먼저 BSC 스마트체인에 특정한 프로토콜과 코드 구조를 따르도록 NFT(88f)를 래핑해야 한다. 즉, 이더리움 기반 NFT는 BSC(33b)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래핑에 의해 Binance 토큰으로 위장한다. 판매 후, NFT 소유권이 변경되어 새로운 BSC 토큰(88h)을 생성한다. 한 블록체인에서 다른 블록체인으로 NFT를 래핑하고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브리징(bridging)이라고 한다.As shown, the original instance of NFT 88f created in EVM 33a was transferred to the BSC 33b network and became 88g. This is because the potential buyer was already trading on the Binance network. To transfer an NFT from the Ethereum network to BSC, you must first wrap the NFT (88f) to follow the protocol and code structure specific to the BSC smart chain. In other words, Ethereum-based NFTs are disguised as Binance tokens by wrapping so that they can operate on the BSC (33b). After sale, the ownership of the NFT changes, creating a new BSC token (88h). The process of wrapping and transferring NFTs from one blockchain to another is called bridging.
그러나 나중에 소유자가 EVM(33a)에 있는 다른 구매자에게 동일한 토큰을 판매하려고 할 때, 토큰의 원래 형식으로 되돌리는 것이 아니라, 랩의 랩을 포함하는 BSC 호환 NFT(88i)를 생성하기 위해 이더리움 래퍼로 토큰(88h)을 래핑하여, 토큰이 EVM(33a)와 호환되도록 중개된다. 토큰을 다른 이더리움 구매자에게 판매한 후, 새로운 EVM 토큰(88j)이 다시 래핑되어 NFT(88k)로서 Polygon 네트워크(33c)에 중개된 다음 새 소유자에게 88l로서 판매되고, 토큰(88m)으로서 다시 래핑되어 다른 EVM 구매자에게 중개된다. 따라서 토큰(88m)은 EVM 기반 NFT 토큰의 BSC 랩의 EVM 랩의 Polygon 랩의 EVM 랩, 즉 4개 층 깊이로 중첩된 랩의 랩의 랩의 랩을 포함한다. 이것은 NFT의 실제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데 관심이 없는 거래자에게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수집가에게는 언래핑이 필요할 때 이 상황이 매우 문제가 된다.However, later, when the owner wants to sell the same token to another buyer on the EVM (33a), rather than reverting it to the original format of the token, it is wrapped in an Ethereum wrapper to create a BSC-compatible NFT (88i) containing the wrap. By wrapping token 88h with , the token is brokered to be compatible with EVM 33a. After selling the token to another Ethereum buyer, the new EVM token (88j) is rewrapped and brokered to the Polygon network (33c) as an NFT (88k), then sold to the new owner as 88l, and rewrapped as a token (88m). and is brokered to other EVM buyers. Thus, the tokens (88m) include wraps of wraps of wraps of wraps of EVM-based NFT tokens, wraps of wraps of polygon wraps of polygon wraps of BSC wraps of EVM-based NFT tokens. This is not a problem for traders who are not interested in accessing the actual content of the NFT, but for collectors this situation becomes very problematic when unwrapping is required.
구체적으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된 NFT를 언래핑하는 것은 NFT(88e)가 브릿지(37v)에 의해 언래핑되어 ETH를 가스로 결제함으로써 Polygon(XYZ) 토큰(88d)을 드러내는 겹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NFT(88d)는 MATIC를 가스로 결제함으로써 스마트 계약(37u)에 의해 언래핑되어 EVM 토큰(88c)을 드러내며, 이는 차례로 BSC 기반 NFT 토큰(88b)을 드러내기 위해 스마트 계약(37t)을 위한 가스가 필요하며, 이것은 최종적으로 원래 EVM 소속 NFT 토큰(88a)을 추출하여 메타데이터 코어(87)에 액세스하기 위해 계약(37s)을 통해 BSC 가스에 대해 언래핑 될 수 있다. 즉, 구매자는 언래핑의 전체 비용을 부담하며, 많은 경우 프로세스 비용이 얼마인지 또는 내포된 포장이 몇 겹인지 알지 못한다.Specifically, unwrapping the overlapping NFT as shown in Figure 10b involves the NFT 88e being unwrapped by the bridge 37v to reveal a Polygon (XYZ) token 88d by paying ETH as gas. can do. The NFT 88d is then unwrapped by the smart contract 37u by paying MATIC with gas to reveal an EVM token 88c, which in turn unwraps the smart contract 37t to reveal a BSC-based NFT token 88b. Gas is required for this, which can ultimately be unwrapped for BSC gas via contract 37s to extract the original EVM belonging NFT token 88a and access the metadata core 87. This means that the buyer bears the full cost of unwrapping, and in many cases they do not know how much the process will cost or how many layers of packaging will be embedded.
배경 요약background summary
오늘날 DeFi 프로토콜의 제한된 선택과 본질적인 결함을 고려하여 우리는 다음을 인정해야 한다:Given the limited choice and inherent flaws of today’s DeFi protocols, we must acknowledge the following:
- 오늘날의 DeFi 프로토콜은 토큰 출시를 위한 것이 아니라 DeFi 풀 및 DEX의 전용 토큰 거래를 위해 만들어졌다.- Today's DeFi protocols are not built for token launches, but for dedicated token trading in DeFi pools and DEXs.
- 심지어 최고의 DeFi 프로토콜이라도 제대로 실행된 토큰 출시를 지원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기능과 특징이 부족하다.- Even the best DeFi protocols lack the functionality and features needed to support and manage a properly executed token launch.
- 현재 DeFi 프로토콜에는 무단 판매를 방지하거나 IDO 및 TGE 단계 투자자를 부도덕한 개인 및 사전판매 보유자가 러그 풀(rug pull), 펌프-앤드-덤프(pump-and-dump) 및 트런트-러닝(front-running)[143][144] 악용으로 자신의 포지션을 청산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메커니즘이 없다.- Current DeFi protocols prevent unauthorized selling or blocking IDO and TGE stage investors from rug pulls, pump-and-dumps and trun-running by unscrupulous individuals and pre-sale holders. -running)[143][144] There is no mechanism to protect against liquidation of one's position through abuse.
- 지정된 토큰-쌍만 교환할 수 있는 표준 프로토콜은 잠재 투자자를 특정 DeFi 풀,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에 제한하여, 새로운 발행의 매력과 가용성을 감소시킨다. - Standard protocols that allow only designated token-pairs to be exchanged limit potential investors to specific DeFi pools, cryptocurrencies, and blockchains, reducing the attractiveness and availability of new issuance.
- 대부분의 프로토콜은 단일 블록체인에서 작동한다. 크로스-체인 기능을 시도하는 입증되지 않은 프로토콜은 버그, 대기 상태, 완료 위험, 및 보안 취약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다.- Most protocols operate on a single blockchain. Unproven protocols attempting cross-chain functionality suffer from bugs, waiting states, completion risks, and security vulnerabilities.
- DeFi 프로토콜은 신뢰할 수 없는 신원 확인 메커니즘을 갖춘 안전하지 않은 크립토 지갑에 의존한다(두 당사자 인증은 부적절함).- DeFi protocols rely on insecure crypto wallets with unreliable identity verification mechanisms (two-party authentication is inadequate).
- 어떤 DeFi 출시 플랫폼도 토큰 발행의 수명주기 관리 요구를 예상하지 않는다.- No DeFi launch platform anticipates the lifecycle management needs of token issuance.
- NFT 브리징은 숨겨진 비용이 포함된 자산을 판매하는 비용이 많이 들고 기만적인 관행이다.- NFT bridging is a costly and deceptive practice of selling assets that involve hidden costs.
필요한 것은 프로젝트, DAO, 그리고 자체 토큰을 출시하는 기업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걱정을 해소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된 새로운 DeFi 플랫폼과 프로토콜, 그리고 토큰 특히 NFT를 발행하고 거래할 수 있는 더 나은 방법이다. What is needed are new DeFi platforms and protocols developed specifically to meet the needs and alleviate the concerns of projects, DAOs, and companies launching their own tokens, and better ways to issue and trade tokens, especially NFTs.
(발명의 요약)(Summary of invention)
단일 소스 파일로부터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해 단일 소스 파일로부터 다수의 스마트 계약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는 완전 자율적인 스마트 계약 작성 시스템이 개시되어, 무작위 프로그래밍 오류 및 거래 손실의 위험을 제거한다. 일 실시예에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의 자율 생성기는 제3자 전문가에 의해 검증된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토큰 표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스마트 계약 작성 중에 시스템 오류를 제거한다. 상기 자율 작성 프로그램에는 새로운 토큰을 출시하고 각각 고유한 가격과 귀속확정 조건이 있는 다양한 DeFi 풀을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 계약과 함께, 거래용 동반 dApp, UIUX 인터페이스, 풀 유동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자동 시장 조성자, 합리적인 거래 관행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실시간 데이터를 위한 탈중앙화 오라클(oracle)을 포함한다.A fully autonomous smart contract creation system is disclosed that can simultaneously create multiple smart contracts from a single source file for multiple blockchain networks, eliminating the risk of random programming errors and transaction losses. In one embodiment, an autonomous generator of decentralized applications uses network protocols and token standard libraries validated by third-party experts to eliminate system errors during smart contract creation. The self-creating program includes smart contracts to launch new tokens and create various DeFi pools, each with its own price and vesting conditions, along with a companion dApp for trading, a UIUX interface, and an automatic market maker to maximize pool liquidity. Includes a decentralized oracle for real-time data needed to support rational trading practices.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자율 스마트 계약 작성 프로그램은 WETH와 같은 다양한 암호화폐 랩과 USDT 및 BUSD와 같은 다수의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하는 거래 및 보상을 지원할 수 있는 다수-크립토 풀(multi-crypto pools)을 생성한다. 또한, 개시된 AMM은 임의의 다수-크립토 거래 풀에 포함된 모든 자산의 밸런싱(balancing)을 지원할 수 있다.In other embodiments, the autonomous smart contract writing program can support transactions and rewards using multiple cryptocurrency wraps, such as WETH, and multiple stablecoins, such as USDT and BUSD. creates . Additionally, the disclosed AMM can support balancing of all assets included in any multi-crypto trading pool.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자율 소프트웨어는 출시될 토큰과 그 프록시 역할을 하는 담보부 거래(kTx) 토큰을 포함하는 풀을 생성하며, 이에 의해 투자자에게 배포되는 kTx 토큰은 그 토큰생성이벤트(TGE)에서 생성된 기업 토큰과 동일한 금액 또는 가치로 담보된다. kTx 토큰은 자동으로 실행되는 귀속확정 일정에 따라 정의된 스마트 계약에 따라 상기 출시된 기업 토큰을 청구하기 위한 구매 증거로서 및 상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귀속확정 일정, 토큰당 가격, 및 상기 출시된 토큰의 총 공급량은 토큰 발행자에 의해 정의된 대로 구분된 트랜치에 배열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utonomous software creates a pool containing the tokens to be released and collateralized exchange (kTx) tokens that serve as their proxies, whereby the kTx tokens distributed to investors are generated from the token generation event (TGE). It is collateralized with the same amount or value as the corporate token. kTx tokens can be used for redemption and as proof of purchase to claim the released corporate tokens according to a defined smart contract according to an automatically executed vesting schedule. In another embodiment, the vesting schedule, price per token, and total supply of the released tokens are arranged in separate tranches as defined by the token issuer.
다른 실시 예에서 kTx 토큰은, 병합된 스와핑 및 스테이킹, 스와핑 후 스테이킹, 또는 파생 시장으로서의 담보부 토큰 거래소(KDEX)를 통해 기초 담보 자산이 귀속확정되고 잠금 해제되기 전에 담보 설정될 될 수 있다.In other embodiments, kTx tokens may be collateralized before the underlying collateral assets are vested and unlocked through merged swapping and staking, swapping and staking, or the Collateralized Token Exchange (KDEX) as a derivatives market.
다른 실시예에서 자율적인 스마트 계약 작성 프로그램은 대체 가능 및 대체 불가능 토큰, 즉 그 입력 파일 및 메타데이터에 기초한 FT 및 NFT를 생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n autonomous smart contract creation program can generate fungible and non-fungible tokens, i.e. FTs and NFTs, based on its input files and metadata.
또 다른 실시예에서 dApp은 중첩된 래핑의 필요나 숨겨진 비용 없이 크로스-체인(cross-chain, 크로스-체인)에 NFT를 이동할 수 있으므로, 크로스-체인 거래를 위한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수단을 가능하게 한다.In another embodiment, dApps can move NFTs cross-chain without the need for nested wrapping or hidden costs, enabling a fast and cost-effective means for cross-chain transactions.
도 1은 새로운 블록을 검증하는 데 사용되는 블록체인 해시 체인과 메르켈 트리를 예시한다.
도 2는 이더리움에서의 블록체인 가상 머신 구현을 예시한다.
도 3은 WETH 토큰을 생성하기 위해 ETH 암호화폐를 래핑하는 과정을 예시한다.
도 4는 스마트 계약을 호출하고, 이를 수정하고, 변경사항을 검증된 블록으로 등록하는 과정을 예시한다.
도 5는 OSI 네트워크(TCP/IP) 통신 네트워크 스택에 대한 블록체인 계층 및 하위계층 간의 관계를 예시한다.
도 6은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고, 크립토 토큰을 생성하고, DeFi 풀을 호스팅하는 데 필요한 자원들을 계층적으로 예시한다.
도 7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토큰을 출시하기 위해 별도의 스마트 계약을 사용해야 함을 예시한다.
도 8은 다중체인 토큰 거래를 예시한다.
도 9a는 기업이 투자자에게 토큰을 발행하는 과정과 무단 판매의 위험을 예시한다.
도 9b는 펌프-앤-덤프를 이용한 토큰 거래를 예시한다.
도 10a는 NFT 브리징 과정을 예시한다.
도 10b는 반복된 브리징에서 발생하는 중첩된 NFT의 문제를 예시한다.
도 11은 자율적인 스마트 계약 작성과 손으로 코딩된 프로그래밍을 비교한다.
도 12는 토큰 생성 및 배포에서 LaunchBot의 역할을 예시한다.
도 13은 개시된 DeFi용 Launchpad 생태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다.
도 14는 별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들에서 여러 스마트 계약을 자율적으로 동시에 작성하고 실행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15는 서로 다른 토큰 귀속확정 및 가격을 갖는 여러 블록체인에서 동시적 토큰 출시를 예시한다.
도 16은 거래 중 자산 스팟 가격 평가에서 탈중앙화 오라클의 역할을 예시한다.
도 17은 다수-크립토 DeFi 풀에 대해 LaunchBot dApp에 의해 실행된 자율적인 스마트 계약 작성을 예시한다.
도 18은 다수-크립토 DeFi 풀에서의 거래를 위해 SwapBot dApp에 의해 실행된 자율적인 스마트 계약을 예시한다.
도 19는 SwapBot 자율적 토큰 거래를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1)를 예시한다.
도 20a는 SwapBot 인터페이스를 통해 토큰을 조달하는 데 필요한 초기 단계들을 예시한다.
도 20b는 SwapBot 인터페이스를 통해 토큰을 조달하는 데 필요한 최종 단계들을 예시한다.
도 21은 토큰 출시 풀의 동작과 토큰 거래 풀의 동작을 비교한 예시를 제공한다.
도 22는 자동 마켓 메이커(AMM: Automatic Market Maker) dApp을 통해 DeFi 풀 유동성을 유지하는 데 있어 탈중앙화 오라클의 역할을 예시한다.
도 23은 다수-크립토 DeFi 풀에서의 AMM 운영 지침을 예시한다.
도 24는 TGE에서 잠금 해제된 토큰을 발행하는 과정을 예시한다.
도 25는 토큰 생성 이벤트(TGE)에서 출시된 토큰의 예시적인 혼합을 도시한다.
도 26은 다양한 판매 채널에 대한 잠긴, 귀속확정된 및 잠금 해제된 토큰 배포를 예시한다.
도 27은 토큰 발행의 예시적인 토크노믹스을 예시한다.
도 28은 푸시 귀속확정 에어드롭을 사용한 LaunchBot 토큰 배포를 보여준다.
도 29는 담보부 거래 토큰(kTx) DeFi 풀의 생성을 예시한다.
도 30은 kTx 스왑 풀의 구현 및 그로부터의 토큰 배포를 예시한다.
도 31은 담보부 kTx 풀 및 kTx 스왑 풀을 포함하는 부분으로 토큰 출시 풀이 모방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32는 다양한 채널을 통한 kTx 토큰 배포를 예시한다.
도 33은 TGE에서 kTx 토큰을 발행하는 과정을 예시한다.
도 34는 잠금 해제된 토큰 출시와 담보부 잠긴(kTx) 토큰을 포함하는 출시 사이의 비교를 예시한다.
도 35는 개시(출시), kTx 판매, 및 kTx 상환을 포함하는 kTx 풀의 배포에서 다양한 단계를 도시한다.
도 36은 개시(출시), kTx 판매, 및 kTx 상환을 포함하는 kTx 풀 배치의 다양한 단계의 3가지 자산 표현을 도시한다.
도 37은 kTx 상환이 뒤따르는 예시적인 단계적 토큰 귀속확정을 도시한다.
도 38은 kTx 토큰을 갖는 다수-크립토 풀의 다중 자산 표현을 예시한다.
도 39는 스왑 후 지분 투자에서 kTx 토큰의 사용을 예시한다.
도 40은 스왑 및 지분 투자에서 kTx 토큰의 사용을 예시한다.
도 41은 교환 또는 스테이킹을 포함하는 kTx 파생상품 거래를 예시한다.
도 42는 NFT 포트폴리오의 자율적 생성 및 배포를 예시한다.
도 43은 개시된 NFT 순간이동 방법을 예시한다.Figure 1 illustrates a blockchain hash chain and Merkel tree used to verify new blocks.
Figure 2 illustrates a blockchain virtual machine implementation in Ethereum.
Figure 3 illustrates the process of wrapping the ETH cryptocurrency to create WETH tokens.
Figure 4 illustrates the process of calling a smart contract, modifying it, and registering the changes as a verified block.
Figure 5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blockchain layers and sublayers for the OSI network (TCP/IP) communication network stack.
Figure 6 hierarchically illustrates the resources required to execute smart contracts, create crypto tokens, and host a DeFi pool.
Figure 7 illustrates that separate smart contracts must be used to release tokens on different blockchain networks.
Figure 8 illustrates multi-chain token trading.
Figure 9a illustrates the process by which a company issues tokens to investors and the risk of unauthorized sales.
Figure 9b illustrates token trading using pump-and-dump.
Figure 10a illustrates the NFT bridging process.
Figure 10b illustrates the problem of overlapped NFTs arising from repeated bridging.
Figure 11 compares autonomous smart contract writing with hand-coded programming.
Figure 12 illustrates LaunchBot's role in token creation and distribution.
13 illustrates various decentralized applications including the launched Launchpad ecosystem for DeFi.
Figure 14 illustrates how to autonomously create and execute multiple smart contracts simultaneously on separate blockchain networks.
Figure 15 illustrates simultaneous token release on multiple blockchains with different token vesting and prices.
Figure 16 illustrates the role of a decentralized oracle in asset spot price evaluation during trading.
Figure 17 illustrates autonomous smart contract creation executed by the LaunchBot dApp against a multi-crypto DeFi pool.
Figure 18 illustrates an autonomous smart contract executed by the SwapBot dApp for transactions in a multi-crypto DeFi pool.
19 illustrates an example user interface (U1) for SwapBot autonomous token trading.
Figure 20A illustrates the initial steps required to procure tokens through the SwapBot interface.
Figure 20b illustrates the final steps required to procure tokens through the SwapBot interface.
Figure 21 provides an example comparing the operation of the token release pool and the operation of the token transaction pool.
Figure 22 illustrates the role of a decentralized oracle in maintaining DeFi pool liquidity through the Automatic Market Maker (AMM) dApp.
Figure 23 illustrates AMM operation instructions in a multi-crypto DeFi pool.
Figure 24 illustrates the process of issuing unlocked tokens in TGE.
Figure 25 illustrates an example mix of tokens released in a Token Generation Event (TGE).
Figure 26 illustrates locked, vested and unlocked token distribution for various sales channels.
Figure 27 illustrates example tokenomics of token issuance.
Figure 28 shows LaunchBot token distribution using push attribution airdrop.
Figure 29 illustrates the creation of a collateralized transaction token (kTx) DeFi pool.
Figure 30 illustrates the implementation of a kTx swap pool and token distribution therefrom.
Figure 31 illustrates that a token release pool can be mimicked with parts including a collateralized kTx pool and a kTx swap pool.
Figure 32 illustrates kTx token distribution through various channels.
Figure 33 illustrates the process of issuing kTx tokens in TGE.
Figure 34 illustrates a comparison between an unlocked token launch and a launch containing collateral locked (kTx) tokens.
Figure 35 illustrates the various stages in the distribution of a kTx pool, including initiation (launch), kTx sale, and kTx redemption.
Figure 36 shows three asset representations at various stages of kTx pool deployment, including origination (launch), kTx sale, and kTx redemption.
Figure 37 illustrates an example step-by-step token vesting followed by kTx redemption.
Figure 38 illustrates a multi-asset representation of a multi-crypto pool with kTx tokens.
Figure 39 illustrates the use of kTx tokens in equity investment after swap.
Figure 40 illustrates the use of kTx tokens in swaps and equity investments.
Figure 41 illustrates kTx derivatives trading including exchange or staking.
Figure 42 illustrates the autonomous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an NFT portfolio.
Figure 43 illustrates the disclosed NFT instantaneous movement method.
본 개시는 블록체인 호스팅 데이터 및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의 신뢰성 있는 처리에서 혁신적인 발전과 다음과 같은 응용에 대해 설명한다:This disclosure describes innovative advances in reliable processing of blockchain-hosted data and decentralized applications (dApps) and applications such as:
- 자율적인 스마트 계약 작성 생태계- Autonomous smart contract writing ecosystem
- 다수-체인 스마트 계약 작성 및 거래- Creating and transacting multi-chain smart contracts
- 다수-통화 DeFi 풀 거래- Multi-currency DeFi pool trading
- 합리적인 자산 거래를 위한 탈중앙화 데이터 오라클- Decentralized data oracle for rational asset trading
- 담보부 거래(프록시) 토큰 출시 및 귀속확정(vesting)- Collateral transaction (proxy) token launch and vesting
- 디지털 자산의 크로스-체인 이동(teleportation)- Cross-chain teleportation of digital assets
자율적인 스마트 계약 작성 생태계 (Autonomous Smart Contract Authoring Ecosphere)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탈중앙화 금융(DeFi)의 급속한 성장, 대체 가능 및 대체 불가 토큰의 생성 및 배포, 그리고 거래, 투자, 자산 교환, 대출(스테이킹), 차입 및 유동성 제공(시장 조성)을 위한 자율적인 무허가 DeFi 풀의 출시는, 블록체인 가상 머신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계약을 사용하여 디지털 암호화 자산을 처리하기 위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의 생성 및 출시에서 급성장 산업의 출현을 촉발시켰다. Autonomous Smart Contract Authoring Ecosphere : As previously explained, the rapid growth of decentralized finance (DeFi),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fungible and non-fungible tokens, and the growth of trading, investing, asset exchange, and lending ( The launch of autonomous permissionless DeFi pools for staking, borrowing and liquidity provision (market making), the creation of decentralized applications (dApps) to process digital crypto assets using smart contracts running on blockchain virtual machines. and launches, sparking the emergence of a burgeoning industry.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68)에 의한 소프트웨어의 수작업 코딩에 의해 많은 스마트 계약(69)이 생성된다. 이 추세는 수십억 달러의 자산과 투자 자본의 도난 또는 손실을 초래하는 다양한 문제를 초래했다. 이러한 불행한 결과의 원인은 무지나 부주의로 인한 경우도 있고, 의도적인 불법 행위와 범죄 행위 또는 취약성, 해킹 또는 시장 조작에 대한 민감성으로 인한 경우도 있다. 단순한 암호 키 및 지갑 도난 외에도, 스마트 계약 실패의 원인은 다음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1, many smart contracts 69 are created by manual coding of software by a software programmer 68. This trend has resulted in a variety of problems resulting in the theft or loss of billions of dollars in assets and invested capital. In some cases, these unfortunate outcomes are due to ignorance or carelessness; in other cases, they are due to intentional illegal or criminal activities or susceptibility to vulnerabilities, hacking, or market manipulation. Beyond simple crypto key and wallet theft, causes of smart contract failure include:
- 많은 프로그래머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및 스마트 계약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예: Solidity)에 익숙하지 않다. - Many programmers are unfamiliar with the software used to implement decentralized applications and smart contracts (e.g. Solidity).
- 많은 프로그래머가 BCVM(블록체인 가상 머신)에서 실행할 프로그램 코드를 작성해 본 경험이 없다. 오늘날의 고성능 노트북, 데스크톱, 및 스마트폰과 달리, 탈중앙화를 보장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들의 클라우드는 저성능 연결된 장치들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BCTM의 성능은 1960년대 컴퓨팅 속도인 초당 수십만 명령의 극히 낮은 처리량으로 제한된다. 복잡한 프로그램은 거래 중간에 매우 느린 응답, 무한 대기 상태, 무한 루프, 또는 충돌을 발생시켜, 거래에 관련된 자산의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Many programmers have no experience writing program code to run on BCVM (Blockchain Virtual Machine). Unlike today's high-performance laptops, desktops, and smartphones, the cloud of network nodes is limited by low-performance connected devices to ensure decentralization.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BCTM is limited to extremely low throughputs of hundreds of thousands of instructions per second, the computing speed of the 1960s. Complex programs can cause extremely slow responses, infinite waiting states, infinite loops, or crashes in the middle of a transaction, resulting in irreversible loss of the assets involved in the transaction.
- 대부분의 프로그래머는 부동 소수점 수학에 익숙하며 dApp 소프트웨어에서 요구하는 고정된 정수 계산에는 익숙하지 않다.- Most programmers are familiar with floating point math and are not familiar with the fixed integer calculations required by dApp software.
- ERC-20과 같은 널리 사용되는 토큰 프로토콜은 "전송(transfer)"과 같은 명령을 가지는데 이러한 명령은, 완전하지 않은 전송을 감지하지 못하고 자산을 불가역적으로 허공으로 전송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더 이상 권장되지 않는다".- Widely used token protocols such as ERC-20 have commands such as “transfer”, as these commands have the potential to fail to detect incomplete transfers and irreversibly transfer the asset into thin air. "No longer recommended".
- 수작업으로 코딩한 프로그램은 과다한 오작동 또는 더 심각한 오류가 발생시키는 감지할 수 없는 무작위 오류가 있다. 수작업으로 코딩한 모든 프로그램의 무결성을 인증하기 위해 제3자를 이용하는 데 드는 비용은 엄청나다.- Hand-coded programs are subject to random, undetectable errors that can cause excessive malfunctions or more serious errors. The cost of using a third party to certify the integrity of any hand-coded program is prohibitive.
- 각 스마트 계약에는 그것이 출시되는 블록체인과 거래하는 토큰-쌍에 고유한 특유한 취약점이 있다. 여러 통화와 거래할 수 있는 새로운 토큰을 출시하려면 각 토큰 쌍을 위한 새로운 스마트 계약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Ether와 4개의 공통 스테이블코인으로 교환 가능한 가상 기업 'PRYS'를 출시하려면 5개의 네트워크당 스마트 계약이 필요하다. 즉, 각 토큰 쌍마다 하나씩(ETH-PRYS, USDT-PRYS, USDC-PRYS, BUSD-PRYS 및 DAI-USD). 토큰이 3개의 체인에서 출시되면, 수작업 코딩한 스마트 계약의 수가 3배가 되며, 각각 자체 무작위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 Each smart contract has unique vulnerabilities that are unique to the blockchain on which it is launched and the token-pair it transacts with. Launching new tokens that can be traded against multiple currencies requires a new smart contract for each token pair. For example, to launch a virtual company 'PRYS' that can be exchanged for Ether and four common stablecoins, smart contracts for each of five networks are required. That is, one for each token pair (ETH-PRYS, USDT-PRYS, USDC-PRYS, BUSD-PRYS and DAI-USD). When a token is released on three chains, the number of hand-coded smart contracts triples, each subject to its own random errors.
- 범죄자와 부정한 프로그래머는 해킹을 위한 백 도어를 구축하고 프론트-러닝(front-running)(거래소 실시간 주문장에서 라인 점프의 거래 버전)과 같은 다양한 "합법적" 악용에 대한 본질적인 취약점을 삽입할 수 있다. - Criminals and rogue programmers can build back doors for hacking and insert inherent vulnerabilities for various “legitimate” exploits, such as front-running (the trading version of line jumping in an exchange’s real-time order book). .
상기 문제의 확실한 해결책은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이지만, 그러한 표준화된 프로그램 생성 코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각 블록체인은, 대다수의 클라이언트를 자신의 플랫폼으로 끌어들이고 다른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을 억제하는 특이한 목적을 갖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체 독점 BEP-20 토큰 표준을 사용하는 바이낸스(Binance) 스마트체인 가상 머신을 호스팅하는 회사 Binance는 고객이 Polygon, Solana 또는 Cardano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관심이 없다.An obvious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 would be to generate software automatically, but no such standardized program generation code exists. Especially since each blockchain has a unique purpose: to attract the majority of clients to its platform and discourage its use on other networks. For example, Binance, the company that hosts the Binance SmartChain virtual machine that uses its proprietary BEP-20 token standard, is not interested in making it easy for customers to use networks provided by Polygon, Solana, or Cardano. .
따라서, 본 특허출원은 여기에서 LaunchBot 작성 프로그램으로 지칭되는 새로운 dApp 및 토큰을 출시하기 위한 선구적인 자율 스마트 계약 작성 프로그램을 설명한다. 도 12에 예시된 것처럼, LaunchBot(71)은 자동으로 그리고 자율적으로 입력 파일(70)을 스마트 계약(72)로 변환한다. 여기서 스마트 계약(72)은 블록체인 특정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이다. 즉, LaunchBot(71) 작성 프로그램은 입력 파일(70)에 따라 스마트 계약(72) 컴퓨터 코드를 생성하여 토큰(73)을 생성하고, 신규로 출시된 토큰(73)을 시장(90)에 배포하기 위한 방법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일정량(76)의 대체 가능 토큰을 스테이블코인(예를 들면, USDT, USDC 등) 또는 암호화폐의 랩(예를 들면 WETH)을 포함하는 다른 토큰(75a)으로 교환할 수 있는 토큰 출시 풀(74)을 생성한다. Accordingly, this patent application describes a pioneering autonomous smart contract writing program for launching new dApps and tokens, referred to herein as the LaunchBot writing program. As illustrated in Figure 12, LaunchBot 71 automatically and autonomously converts the input file 70 into a smart contract 72. Here, the smart contract 72 is a blockchain-specific decentralized application. In other words, the LaunchBot (71) writing program generates the smart contract (72) computer code according to the input file (70) to generate the token (73) and distributes the newly released token (73) to the market (90). Create a method for To this end, the launch of a token that allows a certain amount (76) of fungible tokens to be exchanged for another token (75a) containing a stablecoin (e.g. USDT, USDC, etc.) or a wrap of a cryptocurrency (e.g. WETH). Create a pool (74).
오류 없는 블록체인 스마트 계약 작성을 수행하기 위해, LaunchBot(71)은 발행의 세부 사항(입력 파일(70)에 지정된 발행의 토크노믹스) 및 토큰이 거래에 사용될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고유한 요구 사항을 알아야 한다.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언어(Solidity, Vyper, Simplicity, Varna, Obsidian 등) 및 다양한 대체 가능 토큰 표준(ERC-20, BEP-20 등) 또는 대체 불가 토큰 표준(ERC-721)을 포함한 네트워크 고유의 요구 사항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라이브러리(83)에 정확히 지정되어 있다. 특정 블록체인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각각의 실행 가능한 스마트 계약(72)은 특정 블록체인 가상 머신(BCVM)에 의해 번역되는 명령과 코드를 내장하기 때문에 역시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도 있다.In order to perform error-free blockchain smart contract creation, LaunchBot 71 must know the details of the issuance (the tokenomics of the issuance specified in the input file 70) and the unique requirements of the blockchain network on which the token will be used for transactions. do. Network-specific requirements, including the software languages used (Solidity, Vyper, Simplicity, Varna, Obsidian, etc.) and the various fungible token standards (ERC-20, BEP-20, etc.) or non-fungible token standards (ERC-721) It is precisely specified in the network protocol library (83). With respect to a specific blockchain protocol, each executable smart contract 72 can also be called a protocol because it embeds commands and code that are translated by a specific blockchain virtual machine (BCVM).
LaunchBot(71)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라이브러리(83)에 따라 만들어진 입력 파일(70)로부터 스마트 계약을 작성할 수 있지만, 자율적으로 생성된 스마트 계약(72)을 실행하려면 그 동작을 지원하는 추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들과의 상호 작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유틸리티들은 자체적으로 거래를 수행할 수는 없지만, 스마트 계약 동작 중에 중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스마트 계약(72)에 제공한다. 도 13에 표시된 대로 유틸리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The LaunchBot (71) program can create smart contracts from input files (70) created according to the network protocol library (83), but to execute autonomously created smart contracts (72) additional decentralized applications are required to support its operation. Interaction with is required. These utilities cannot perform transactions on their own, but collect important information during smart contract operation and provide it to the smart contract 72. As shown in Figure 13, the utilities include:
-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입력의 응답으로 거래자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도록 설계됨(예를 들면, 구매 코드가 입력되면 구매할 토큰 수를 즉시 다시 계산함). 블록체인 거래는 철회할 수 없기 때문에, 운영자 실수로 인한 우발적이거나 의도치 않은 거래 또는 금융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UIUX(82a)가 중요하다. UIUX(82a)는 스마트 계약(72)과 그 인터페이스로서 상호운용이 가능하다. UIUX(82a)는 스마트 계약(72) 내에 내장되거나, 대안으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임의의 블록체인 상의 스마트 계약(72)의 모든 인스턴스에 대한 안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인터페이스(API)를 가질 수 있다.- Intuitive user interface: designed to provide traders with immediate feedback (good user experience) in response to data entry (e.g., once a purchase code is entered, the number of tokens to purchase is immediately recalculated). Because blockchain transactions are irreversible, UIUX (82a) is important to prevent accidental or unintended transactions or financial losses due to operator error. UIUX 82a is interoperable with the smart contract 72 as its interface. UIUX 82a can be embedded within smart contract 72, or alternatively can operate independently as a decentralized application and have a secure application processor interface (API) for all instances of smart contract 72 on any blockchain. You can.
- 탈중앙화 오라클(82b): 중앙 집중식 거래소(CEX) 및 탈중앙화 거래소(DEX)에서 온-체인(on-chain) 및 시장 데이터와 가격을 수집하고 그 정보를 UIUX(82a)에 전송하여 표시하고 하나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거래할 때 교환 비율을 계산하거나, 시장 스팟 가격으로 변동성이 있는 랩핑된 암호화폐를 평가한다. 스마트 계약(72)의 여러 인스턴스가 서로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출시될 수 있기 때문에, 오라클(82b)은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과 함께 다수-체인 모니터링을 지원해야 한다. - Decentralized Oracle (82b): Collects on-chain and market data and prices from centralized exchanges (CEX) and decentralized exchanges (DEX)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UIUX (82a) for display. Calculate exchange rates when trading one token for another, or evaluate volatile wrapped cryptocurrencies at market spot prices. Since multiple instances of a smart contract 72 may be released on different blockchain networks, the oracle 82b must support multi-chain monitoring along with cross-chain interoperability.
- 자동 시장 조성자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AMM(82c)): 특히 여기에 개시된 다수-체인 상호운용성을 가진 독창적인 다수-크립토 거래 풀에서, 풀 내의 자산 가치를 동적으로 평준화하여 유동성을 최대화하고 외부 차익거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DeFi 풀에 투자하는 유동성 공급자에 의해 사용된다. - Automated Market Maker Decentralized Application (AMM(82c)): In particular, in the unique multi-crypto trading pool with multi-chain interoperability disclosed herein, dynamically equalizes the value of assets within the pool to maximize liquidity and external arbitrage. It is used by liquidity providers who invest in DeFi pools to protect against losses.
- 트레이딩 봇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SwapBot(99)):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호스팅되는 스마트 계약(72)의 임의의 모든 인스턴스에 대해 UIUX(82a)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사용된다.- Trading bot decentralized application (SwapBot (99)): used to interface UIUX (82a) to any and all instances of smart contracts (72) hosted on various blockchain network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LaunchBot(71) 작성 dApp, 프로토콜 라이브러리(83), UIUX dApp(82a), Oracle(82b) dApp, AMM(82c) dApp 및 SwapBot(99) 트레이딩 dApp을 포함하는 상호운용 가능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들의 통합 세트의 조합은 토큰 출시, 토큰 트레이딩, 블록체인 처리, 및 토큰 수명 관리(귀속확정, 배포, 스테이킹 등 포함)에 대한 일괄처리 솔루션인 Launchpad Ecosphere(80)을 가능하게 한다.As disclosed herein, an interoperable module including LaunchBot (71) authoring dApp, Protocol Library (83), UIUX dApp (82a), Oracle (82b) dApp, AMM (82c) dApp, and SwapBot (99) trading dApp. The combination of an integrated set of decentralized applications enables Launchpad Ecosphere (80), a batch solution for token launch, token trading, blockchain processing, and token life management (including vesting, distribution, staking, etc.).
개시된 Launchpad Ecosphere(80)을 사용하는 다수-체인 토큰 출시 프로세스가 도 14의 흐름도에 예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Launchpad Ecosphere(80)를 사용하여 기업(Enterprise)(50)는 예상 발행의 토크노믹스(70)을 규정한다. 이에 응답하여 Launchpad Ecosphere(80)는 토크노믹스(70)의 조건을 런치봇(LaunchBot)(71) 작성 프로그램에 전달한다. 이 프로그램은 프로토콜 라이브러리(83)에 포함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필수 세부사항과 결합될 때 자율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여러 블록체인-특정 스마트 계약(72a, 72b 및 72c)를 생성하며, 각각은 세 가지 BCVM, 즉 바이낸스 스마트체인(BSC),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 및 솔라나 우로보로스(Solana's Ouroborus)를 위한 실행 가능한 dApp 코드를 나타낸다. 상호운용 가능한 도구 모음의 일부로서, Launchpad Ecosphere(80)가 생성한 스마트 계약(72a, 72b 및 72c)은 API, 함수 호출, 또는 UIUX(82a), Oracle(82b) 및 AMM(82c)를 포함한 다양한 dApp 기능(82)에 대한 기타 링크를 포함한다.The multi-chain token launch process using the disclosed Launchpad Ecosphere 80 is illustrated in the flow chart of Figure 14. As shown, using Launchpad Ecosphere 80, Enterprise 50 defines the tokenomics 70 of expected issuance. In response, Launchpad Ecosphere (80) transmits the conditions of tokenomics (70) to the LaunchBot (71) writing program. This program, when combined with the necessary details of the blockchain network contained in the protocol library (83), autonomously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several blockchain-specific smart contracts (72a, 72b and 72c), each of which has three BCVMs; In other words, it represents executable dApp code for Binance Smart Chain (BSC), Ethereum Virtual Machine (EVM), and Solana's Ouroborus. As part of a suite of interoperable tools, smart contracts (72a, 72b, and 72c) created by Launchpad Ecosphere (80) can be used to create APIs, function calls, or contracts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including UIUX (82a), Oracle (82b), and AMM (82c). Includes other links to dApp functionality (82).
자율적으로 생성된 스마트 계약의 클라이언트와 관련하여, 용어 기업(50)은, 예를 들어 케임브리지 사전에 따르면 (공통의 목표를 추구하는 꽤 많은 사람 또는 사람들의 그룹을 포함하는) "조직(특히 사업) 또는 어렵고 중요한 계획(특히 돈을 버는 계획)"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정의로 사용된다. 그런 점에서 오늘날 대체 가능 토큰과 NFT 모두를 제공하려는 기업들의 목록은 기업, 기관, 스포츠 팀 및 프랜차이즈, VC 출자 프로젝트, 컨소시엄, 블록체인 상거래 인프라, 투자 및 부동산 포트폴리오, 유동성 공급자 및 시장 조성자로서 DeFi 풀을 후원하려는 모든 투자자 그룹, 대학, 사례금, 부동산 및 홈 오피스, 포트폴리오 및 펀드 관리자, 금융 서비스 제공자, 암호화폐-지원 신용카드 회사 등을 포함하며 계속 증가하고 있다. In relation to clients of autonomously generated smart contracts, the term enterprise 50 i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Cambridge Dictionary, "an organization (in particular a business) (comprising quite a number of people or groups of people pursuing a common goal) It is used as a broad definition to include "any difficult or important plan (especially a money-making plan)." In that respect, the list of companies looking to offer both fungible tokens and NFTs today includes corporations, institutions, sports teams and franchises, VC-funded projects, consortia, blockchain commerce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real estate portfolios, and DeFi pools as liquidity providers and market makers. This includes all investor groups willing to support, universities, grants, real estate and home offices, portfolio and fund managers, financial service providers, cryptocurrency-backed credit card companies, and more, and the number continues to grow.
기존의 비즈니스 상거래와 달리, 토큰 발행자는 법적 지위, 등록, 또는 탈중앙화 자율 조직(DAO)과 같은 물리적 주소가 없는 프로젝트 및 DeFi 풀을 포함할 수 있다. 음악 및 비디오 아티스트; 화가, 조각가, 및 그래픽 아티스트; 엄선된 미술관 및 경매; 건축 및 인테리어 디자인, 온라인 및 P2E(Play-to-Earn) 게임, 및 스포츠 및 스포츠 도박과 같은 기타 예술-비즈니스 교차 산업은 대체 가능 토큰 제공과 NFT 수집품의 혼합 발행을 포함하기 때문에 고유하게 적합하다.Unlike traditional business commerce, token issuers can include projects and DeFi pools without legal status, registration, or physical address, such as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s (DAOs). music and video artist; painters, sculptors, and graphic artists; curated art galleries and auctions; Other art-business crossover industries such as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online and play-to-earn (P2E) gaming, and sports and sports betting are uniquely suited because they involve the issuance of a mix of fungible token offerings and NFT collectibles.
대체 가능-NFT 연결된 발행을 위한 다른 시장은 이자 소득을 위한 것이 아니라 곧 있을 VIP 전용 이벤트 및 발행, 예를 들면 선착순 경매, 콘서트 좌석, 팬미팅, 전시회 이용, 업그레이드 등에 대한 특권적인 액세스를 부여하기 위한 대체 가능(ERC-20) 토큰 스테이킹(잠긴 예금)의 사용이 포함된다. NFT 출시를 위한 또 다른 개발 애플리케이션은 그림, 고급 시계, 야구 카드, 빈티지 만화책, 희귀 티켓, 서적 등의 미술품 및 수집품 시장에서 중요한 진품 증명을 포함한다.Fungible - Another market for NFT-linked issuance is not for interest income, but for granting privileged access to upcoming VIP exclusive events and issuances, such as first-come-first-served auctions, concert seating, fan meets, exhibition access, upgrades, etc. Includes the use of fungible (ERC-20) token staking (locked deposits). Other developing applications for NFT launches include proof of authenticity, which is important in the art and collectibles market for paintings, luxury watches, baseball cards, vintage comic books, rare tickets, and books.
토크노믹스(70)는 대체 가능 및 NFT 발행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대체 가능 토큰 발행을 위한 토크노믹스 용어 시트는 전체 토큰 발행량; 토큰을 호스팅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푸시 귀속확정 또는 프록시 kTx 상환과 같은 귀속확정 메커니즘(나중에 설명); 귀속확정 일정 및 트랜치에 의한 토큰당 가격; 다수-크립토 풀에 대한 옵션을 포함한 결제 방법(즉, 특정 네트워크에서 어느 크립토가 교환될 수 있는지); TGE에서 거래 가능 토큰 대 잠긴 토큰; 그리고 해당 발행에서 지원되는 IDO, DEX, CEX 및 DeFi 풀을 포함한다. 대조적으로, Launchpad Ecosphere(80)에 의해 생성되는 대체 불가 토큰(NFT) 발행은 소유자 및 로열티 고려사항(출시된 ERC-721 토큰에 내장될), 귀속확정, 및 지원되는 마켓플레이스를 포함한다. 발행이 대체 가능 토큰인지, 대체 불가 토큰인지, 아니면 그 혼합인지에 관계없이, 상기 발행을 위해 선택된 블록체인과 함께 토크노믹스(70)에 의해 정의된 토크노믹스 모델은 생성되는 스마트 계약을 결정한다.Tokenomics 70 can be applied to both fungible and NFT issuance. The tokenomics term sheet for fungible token issuance includes: total token issuance volume; A blockchain network that hosts the token; Attribution mechanisms such as push attribution or proxy kTx redemption (described later); vesting schedule and price per token by tranche; Payment methods, including options for multi-crypto pools (i.e. which cryptos can be exchanged on a particular network); Tradeable vs locked tokens in TGE; And includes IDO, DEX, CEX and DeFi pools supported by the issuance. In contrast, the issuance of non-fungible tokens (NFTs) created by Launchpad Ecosphere (80) includes owner and royalty considerations (which will be built into the released ERC-721 tokens), attribution, and supported marketplaces. Regardless of whether the issuance is a fungible token, a non-fungible token,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tokenomics model defined by Tokenomics 70 along with the blockchain selected for the issuance determines the smart contract that is created.
LaunchBot(71)에 의해 작성된 다수-체인 기업 토큰 발행의 상호의존성은 토큰 노믹스(70)와 적용 가능한 블록체인 및 프로토콜 라이브러리(83)로부터의 토큰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다. 도 15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LaunchBot(71)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율적으로 작성된 두 개의 스마트 계약(72a 및 72b)은 대칭이 아니며 대상 블록체인에 따라 약간 다르다. 예를 들어, 바이낸스 BSC 네트워크(및 BSC 가상 머신)용으로 생성된 스마트 계약(72a)은 제한된 양으로 배포된 BEP-20 토큰만을 사용하며, 이 토큰은 토큰당 가격 $0.03, 6개월 일시 귀속확정(cliff vesting) 후 24개월 동안 월별 귀속확정(매별 4.2% 잠금 해제)이 이루어지는 최초 탈중앙화 거래소(IDO: Initial Decentralized Exchange) 발행(94c)을 통해, 그리고 토큰당 가격 $0.04과 잠금 없는(즉, 즉시 거래 가능한) 토큰 생성 이벤트(TGE: token generation event) 발행(94d)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BSC 스마트 계약(72a)의 실행은 바이낸스 BNB 및 BEP-20 USDT 암호화폐를 사용한 결제(pmnt)(92a)만 허용할 수 있다. The interdependence of multi-chain corporate token issuance created by LaunchBot (71) is based on Tokennomics (70) and token protocols from applicable blockchain and protocol libraries (83). As can be seen in the example in Figure 15, the two smart contracts (72a and 72b) created autonomously based on input data to LaunchBot (71) are not symmetric and differ slightly depending on the target blockchain. For example, the smart contract 72a created for the Binance BSC network (and the BSC virtual machine) uses only BEP-20 tokens, which are distributed in limited quantities, with a price of $0.03 per token and a 6-month lump sum vesting. Through initial decentralized exchange (IDO) issuance (94c) with monthly vesting (4.2% unlocked per token) for 24 months after cliff vesting, and with a price of $0.04 per token and no locking (i.e. immediately) This was achieved through the issuance (94d) of a tradable) token generation event (TGE). The execution of the BSC smart contract (72a) can only accept payments (pmnt) (92a) using Binance BNB and BEP-20 USDT cryptocurrencies.
이더리움 네트워크(및 EVM 가상 머신)용으로 생성된 스마트 계약(72b)을 통해 LaunchBot(71)에 의해 생성된 동일한 발행은 종자 트랜치(Seed Tranche)(93a), 전략적 트랜치(Strategic Tranche)(93b), IDO(93c) 및 TGE(93d)를 포함한 여러 채널을 통해 배포되는 ERC-20 토큰을 사용하며, 여기서 토큰당 가격(PPT)은 각각 $0.01, $0,025, $0,03, 및 $0.04이다. Seed, Strategic 및 IDO 트랜치는 공통 6개월 일시 귀속확정을 공유하지만, Seed Tranche(93a)는 36개월 귀속확정(매월 2.8%)을 갖는 반면 Strategic 및 IDO 트랜치(93b, 93c)는 각각 더 높은 판매 가격에 대한 보상으로서 더욱 바람직한 24개월 귀속확정 일정(매월 4.2%)을 제공한다. 공개 발행 TGE(93d)를 위해 EVM에서 스마트 계약(72b)에 의해 제공되는 토큰은 귀속확정 일정 없이 즉시 잠금 해제된다. BSC 스마트 계약(72a)과 달리 EVM 스마트 계약 실행은 (예를 들어) WETH(Ether 랩), USDT, BUSD 및 USDC를 포함한 광범위한 ERC-20 토큰을 사용하는 결제(pmnt)(92b)을 수락할 수 있다. 토큰 목록은 예시일 뿐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The same issuance created by LaunchBot (71) via a smart contract (72b) created for the Ethereum network (and the EVM virtual machine) can be divided into Seed Tranche (93a) and Strategic Tranche (93b). , uses ERC-20 tokens distributed through multiple channels, including IDO (93c) and TGE (93d), where the price per token (PPT) is $0.01, $0,025, $0,03, and $0.04, respectively. The Seed, Strategic and IDO tranches share a common 6-month vesting, but the Seed Tranche (93a) has a 36-month vesting (2.8% per month), while the Strategic and IDO tranches (93b and 93c) each have a higher sale price. As compensation, a more desirable 24-month vesting schedule (4.2% per month) is provided. Tokens provided by the smart contract (72b) in the EVM for publicly issued TGE (93d) are immediately unlocked without any vesting schedule. Unlike BSC smart contracts (72a), EVM smart contract execution can accept payments (pmnt) (92b) using a wide range of ERC-20 tokens, including (for example) WETH (Ether wrap), USDT, BUSD, and USDC. there is. The token list is illustrative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Launchpad Ecosphere(80)의 또 다른 특징은 Oracle(82b)의 중요한 역할이다. 도 16에서 볼 수 있듯이, 시장 가격이 변동하는 디지털 자산의 교환을 수반하는 모든 거래의 경우, 해당 자산의 가치는 거래 당시 시장의 "스팟(spot)" 가치를 사용하여 확인되어야 한다. Oracle(82b)의 역할은 중앙 집중화된 거래소 및 기타 시장(84)에서 자산의 실시간 가치를 결정하고 가장 최근의 거래, 즉 토큰의 호스트 블록체인에 등록된 온-체인 거래(33)를 확인하는 것이다. 변동성 자산(예를 들면, 암호화폐 랩(34a))의 현재 가격은 UIUX(82a)를 통해 입력된 투자자(30)의 지시에 따라 투자자 지갑(31)과 스마트 계약(72) 사이에서 교환되는 기업 토큰(73)에 대한 환율을 결정한다. Another feature of Launchpad Ecosphere (80) is the important role of Oracle (82b). As can be seen in Figure 16, for any transaction involving the exchange of a digital asset with a fluctuating market price, the value of that asset must be ascertained using the “spot” value of the market at the time of the transaction. The role of the Oracle (82b) is to determine the real-time value of assets on centralized exchanges and other marketplaces (84) and verify the most recent transactions, i.e. on-chain transactions (33) registered on the token's host blockchain. . The current price of a volatile asset (e.g., cryptocurrency wrap 34a) is exchanged between the investor wallet 31 and the smart contract 72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investor 30 entered through UIUX 82a. Determine the exchange rate for token 73.
다수- 크립토 DeFi 풀(Multi-crypto DeFi Pools) : 기존 토큰 발행에서, 교환 중에 토큰 자산을 획득하기 위한 보상은 각 결제 형태에 대해 하나씩 별도의 토큰-쌍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DeFi 풀을 통해 촉진된다. 새로운 토큰 출시를 위한 스왑 풀을 별도의 스마트 계약들로 세분화하는 관행은 거래 유동성을 감소시키고 거래 과정을 크게 복잡하게 만들어 거래자의 사용자 경험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현명하지 못하고 제한적이다. 만약 거래자가 기업 토큰 공급이 풍부한 DeFi 풀을 선택하더라도, 잘못된 형태의 크립토로 결제하는 경우 거래를 완료할 수 없게 된다. Many - Crypto DeFi Pools (Multi-crypto DeFi Pools) : In traditional token issuance, rewards for acquiring token assets during exchange are facilitated through multiple DeFi pools containing separate token-pairs, one for each payment form. The practice of segmenting swap pools for new token launches into separate smart contracts is unwise and restrictive as it reduces trading liquidity and significantly complicates the trading process, adversely affecting the user experience of traders. Even if a trader chooses a DeFi pool with a rich supply of corporate tokens, if they pay with the wrong type of crypto, they will not be able to complete the transaction.
이러한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본 명세서에서 다수-크립토 DeFi 풀이라고 설명된 독창적인 특징이다.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은 풀은 출시된 토큰(73)의 총 가치(76)와, 총 가치 자산(34e, 75a, 75b, 75c, 75d)을 포함하는 교환 가능한 자산의 이종 보완물(본 명세서에서 "암호화폐(crypto)"라고 지칭됨)을 포함하는 풀(74z)을 포함한다. 출시 풀에서는 더 많은 토큰(73)이 판매됨에 따라, 토큰당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나머지 토큰의 총 가치(76)는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 반대로 전체 크립토 자산의 가치는 증가한다. 다수-크립토 풀의 생성은 제공의 토크노믹스을 정의하는 입력(70)에 따라 만들어진 LaunchBot(71)에 의해 생성된 dApp으로서 스마트 계약(72)에 내장된다. 일단 출시 풀에서 새로 출시된 기업 토큰이 고갈되면, 유동성 공급자는, 일반적으로 더 큰 가치의 자산(크립토 z)을 판매하거나, 누적 가치가 더 낮은 자산(토큰(73))을 더 많이 구매하거나, 또는 둘 다를 통해서, 크립토 가치와 토큰 가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자본을 주입할 수 있다.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is a unique feature described herein as multi-crypto DeFi pools. A pool, as shown in Figure 17, is a heterogeneous complement of exchangeable asse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cludes a pool (74z) containing (referred to as “crypto” in). As more tokens (73) are sold in the launch pool, the total value of the remaining tokens (76) will likely decrease, even if the price per token increases. Conversely, the value of overall crypto assets increases. The creation of a multi-crypto pool is embedded in a smart contract 72 as a dApp created by LaunchBot 71 based on inputs 70 that define the tokenomics of the offering. Once the launch pool is depleted of newly released corporate tokens, liquidity providers typically either sell assets with a larger value (Crypto z), purchase more assets with a lower cumulative value (Token (73)), or Or both, capital can be injected to balance the crypto value and the token value.
도 18에서 균형을 이룬 풀(74a)은 크립토의 가치가 기업 토큰(73)의 시장 거래 가치(76)와 동일한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The balanced pool 74a in Figure 18 shows that the value of the crypto is equal to the market transaction value 76 of the corporate token 73. here
가치(34a)의 암호화폐 랩(WETH)와, 가치(75a)의 USDT, 가치(75b)의 BUSD, 가치(75c)의 USDC, 가치(75d)의 Dai로 구성된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Regarding the stablecoin consisting of the cryptocurrency WETH with a value of (34a), USDT with a value of (75a), BUSD with a value of (75b), USDC with a value of (75c), and Dai with a value of (75d),
가치(PRYS) = (PRYS의 #)·PPT(PRYS)Value(PRYS) = (# of PRYS)·PPT(PRYS)
가치(암호화폐) = (WETH의 #)·PPT(ETH) + $1·(USDT의 # + USDC의 # + BUSD의 # + Dai의 #)이고Value (Cryptocurrency) = (# of WETH)·PPT(ETH) + $1·(# of USDT + # of USDC + # of BUSD + # of Dai)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PPT(USDT)PPT(USDC)PPT(BUSD)PPT(Dai)를 가정하면, DeFi 풀은 About stablecoins PPT(USDT) PPT(USDC) PPT(BUSD) Assuming PPT (Dai), the DeFi pool is
가치(PRYS) = 가치(암호화폐)에서Value(PRYS) = Value(Cryptocurrency)
균형을 이루고in balance
전체 시가총액은 그 자산의 총합으로 주어지거나Total market capitalization is given as the sum of its assets, or
가치(풀(74a)) = 가치(PRYS)+가치(암호화폐)= 2가치(PRYS) = 2가치(암호화폐)Value (Pool (74a)) = Value (PRYS) + Value (Cryptocurrency) = 2 Value (PRYS) = 2 Value (Cryptocurrency)
동작 시, 풀 자산의 구매 및 판매(교환)는, UIUX(82a)를 통해 수신되고 스마트 계약(72)에 의해 기록되는 거래 지시에 따라 지갑(31)과의 이체를 관리하는 SwapBot(99)이라고 지칭되는 소프트웨어 기반 거래 봇(dApp)에 의해 관리된다. 거래되는 자산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토큰당 가격을 갖는 경우(즉, 기업 토큰(73) 또는 암호화폐 랩(예: WETH(34e) 어느 하나), 자산의 스팟 가치는 Oracle(82b)로 수집된 실시간 시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된다. 기업 토큰(73)이 사설 DEX 또는 공개 거래소에 상장될 때까지, 그 토큰당 가격은 마지막 거래된 가격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된다.In operation, the purchase and sale (exchange) of pooled assets is called SwapBot 99, which manages transfers to and from wallet 31 according to transaction instructions received via UIUX 82a and recorded by smart contract 72. It is managed by a software-based trading bot (dApp). If the asset being traded has a price per token that changes over time (i.e. either a corporate token (73) or a cryptocurrency wrap (e.g. WETH (34e)), the spot value of the asset is collected in real time by Oracle (82b). It is calculated based on market data. Until the corporate token 73 is listed on a private DEX or public exchange, the price per token is assumed to remain at the last traded price.
다수-크립토 풀(74a)을 관리하는 스마트 계약(72) 구현의 복잡성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는 다양한 이용 가능한 크립토 결제 방법을 사용하여 새로 출시된 기업 토큰(73)을 얻기 위한 편리한 수단으로 상기 풀을 보고, 이에 따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풀의 건전한 유동성을 보장한다. 개시된 독창적인 SwapBot(99) 및 UIUX(82a)를 통해, 여러 네트워크상의 다수-크립토 DeFi 풀(74a)을 통해 기업 토큰(73)을 사고 파는 액세스는 도 19에 그래픽으로 표시된 인터페이스(95a)와 도 20a 및 20b의 흐름도를 통해 쉽게 촉진된다.Despite the complexity of implementing smart contracts 72 that manage multi-crypto pools 74a, investors can use said pools as a convenient means to acquire newly released corporate tokens 73 using a variety of available crypto payment methods. Reporting, thereby improving user experience while ensuring healthy liquidity of the pool. Access to buy and sell enterprise tokens 73 via multi-crypto DeFi pools 74a on multiple networks, via the ingenious SwapBot 99 and UIUX 82a, is provided through interface 95a, graphically shown in FIG. This is easily facilitated through the flow charts in 20a and 20b.
도 20a의 단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wapBot 애플리케이션(95a)은 스마트폰,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노트북에서 호스팅되는 UIUX(82a)에서 열린다. 단계 2에서, 사용자는 지갑 연결(95b)을 선택하여 자신의 개인(일반적으로 비수탁형) 지갑(31)을 SwapBot 애플리케이션(95a)에 연결한다.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초보안 사이버-지값(CyberWallet)을 선택한다. 거래를 처리하기 위해, 지갑은 특정 네트워크의 거래 가스 수수료를 결제할 수 있는 적절한 양의 암호화폐(예를 들어,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ETH, Binance 스마트체인의 BNB 등)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As shown in step 1 of Figure 20A, SwapBot application 95a is opened in UIUX 82a hosted on a smartphone, desktop computer, or laptop. In Step 2, the user connects his personal (usually non-custodial) wallet 31 to the SwapBot application 95a by selecting Connect Wallet 95b. In the example shown, the user selects his or her ultra-secure CyberWallet. To process a transaction, the wallet needs to contain an appropriate amount of cryptocurrency (e.g. ETH on the Ethereum network, BNB on the Binance Smart Chain, etc.) to cover the transaction gas fee for the specific network.
단계 3에서, 사용자는 LaunchBot의 DeFi 풀 생성에 따라 프로토콜 라이브러리에서 다운로드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옵션(83z)의 메뉴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선택한다(95c). TGE에서 특정 통화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크립토는 나중에 추가될 수 없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스마트 계약은 모든 주요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조항을 포함하지만 UIUX(82a)는 액세스를 차단한다(나중에 활성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 도시된 예에서는 이더리움이 거래를 위한 네트워크로 선택된다.In step 3, the user selects a blockchain network (95c) from the menu of available network options (83z) downloaded from the protocol library following LaunchBot's DeFi pool creation. If a specific currency is available in TGE, crypto cannot be added later.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smart contract includes provisions to support all major currencies, but UIUX 82a blocks access (allowing for later activation). In the example shown, Ethereum is selected as the network for the transaction.
단계 4에서, 사용자는 옵션 목록(92b)에서 크립토 결제 형태를 선택한다(95d). 도시된 예에서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이 거래 네트워크로 선택되었으므로, ERC-20 버전의 USDT가 결제을 위해 선택된다. 그러나 Binance 네트워크를 선택한 경우라면, ERC-20이 아닌 BEP-20 표준에 따라 USDT가 이용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일단 결제 통화가 선택되면(95d), 단계 5에서 SwapBot은 지갑의 현재 통화 잔액을 보고한다(95e). 단계 95q에서 크립토 잔액이 충분하면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95d에서 새로운 통화를 선택하거나 거래를 모두 취소해야 한다.In step 4, the user selects a crypto payment form (95d) from the options list (92b). In the example shown, the Ethereum blockchain is selected as the transaction network, so the ERC-20 version of USDT is selected for settlement. However, if you choose the Binance network, USDT will be available according to the BEP-20 standard rather than ERC-20. Once a payment currency is selected (95d), in step 5 SwapBot reports the wallet's current currency balance (95e). At step 95q, if you have sufficient crypto balance, you can proceed with the transaction. Otherwise, a new currency must be selected in step 95d or the transaction must be canceled altogether.
도 20b의 단계 6으로 계속해서, 사용자는 크립토로 지정된 의도된 구매 금액을 입력하고(95f) 단계 7에서는 토큰 기호 이름(도시된 예에서 가상 토큰 PRYS)을 입력하여 획득하려는 토큰을 선택한다(95g). 토큰(73)의 아이콘이 자동으로 나타나 선택을 시각적으로 확인한다. 동시에, 시장 가격(또는 토큰이 잠겨 있는 경우 TGE 가격)으로 받게 될 계산된 토큰 수가 표시된다. 단계 8에서 사용자가 특별 가격(예: PPT = $0.01, $0025, $0035)을 승인하는 구매 코드를 입력하면(95h) 조건 분기에 의해 특별 가격이 선택되고(95r) 단계 9에서 새로 계산된 구매할 토큰 금액이 표시된다(95i). 일단 거래자가 계산된 금액이 정확하다는 것을 확인하면, 단계 10에서 구매 버튼을 눌러 거래를 실행한다(95j).Continuing with step 6 of Figure 20B, the user enters the intended purchase amount specified in crypto (95f) and in step 7, the user selects the token they wish to acquire by entering the token symbol name (virtual token PRYS in the example shown) (95g ). The icon for token 73 automatically appears to provide visual confirmation of the selection. At the same time, the calculated number of tokens you will receive at the market price (or TGE price if the tokens are locked) is displayed. In step 8, when the user enters a purchase code that authorizes a special price (e.g. PPT = $0.01, $0025, $0035) (95h), the special price is selected by the conditional branch (95r) and in step 9, the newly calculated token amount to purchase is is displayed (95i). Once the trader confirms that the calculated amount is correct, he or she presses the buy button in step 10 to execute the trade (95j).
이러한 방식으로 SwapBot(99)와 결합된 UIUX(82a)는, 출시 풀(즉, 기업이 새로운 토큰을 출시할 때)과 거래 풀(DeFi 거래를 지원하는) 모두에 대한 토큰 배포를 지원할 수 있다. 이 두 경우의 주요 차이점은 토큰 잠금과 AMM DeFi(82c)의 역할 중 하나이다. 도 21에는, 일반적인 DeFi 풀 거래와 비교하여 토큰 출시로부터 SwapBot을 통한 구매를 대조하여 차이점이 예시되어 있다. 토큰 출시 풀(74f)에서 기업 토큰을 풀에서 구입할 수 있지만 판매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 풀은 자산 시작 가치(215)와 동일하고 본질적으로 제로 크립토(34e)(예시를 위해 0보다 약간 위에 표시됨)를 가진 기업 토큰(76)의 완전 담보된 발행으로 판매를 시작한다. 나중에 풀(74g)은 기업 토큰(76)의 총 가치가 하락하고 WETH(34e) 및 BUSD(75a)로 구성된 크립토의 증가로 대체되었음을 보여준다. 단순화를 위해 출시 동안 이러한 크립토 자산의 시장 가격에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면, 기업 토큰(76)의 총 가치와 크립토(34e 및 75a)의 총 가치의 합계는 여전히 상기 발행의 계산된 시작 가치(215)와 같아야 한다.UIUX 82a, combined with SwapBot 99 in this way, can support token distribution to both launch pools (i.e. when companies launch new tokens) and transaction pools (supporting DeFi transaction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cases is one of token locking and the role of AMM DeFi (82c). In Figure 21, the differences are illustrated by contrasting purchases through SwapBot from a token launch compared to a typical DeFi pool transaction. In the token release pool (74f), corporate tokens can be purchased from the pool, but cannot be sold. The pool therefore begins the sale with a fully collateralized issuance of corporate tokens (76) equal to the asset's starting value (215) and essentially having zero crypto (34e) (shown slightly above 0 for illustration purposes). Later pools (74g) show that the total value of corporate tokens (76) has fallen and been replaced by an increase in crypto consisting of WETH (34e) and BUSD (75a). For the sake of simplicity, assuming there is no change in the market price of these crypto assets during the launch, the sum of the total value of the corporate tokens (76) and the total value of the crypto (34e and 75a) will still be the calculated launch value of the said issuance (215) It should be the same as
실제로 상기 기업 토큰은, 발행이 진행됨에 따라 토큰 가치가 증가하도록 서로 다른 트랜치에 할당된다. 이 효과는, SwapBot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포함되지 않는다. 나중에 풀(74h)에서 판매 가능한 기업 토큰의 재고는 공급 및 가치가 75로 줄어든 반면 기업이 발행을 통해 수집한 총 현금 가치는 이제 자산 가치(34e)에 75a, 75b 및 75c를 더한 합계를 포함하며, 원래 예상된 값(215)에 근접한 가치를 가진다.In fact, the corporate tokens are allocated to different tranches so that the token value increases as issuance progresses. This effect is not included as it does not help explain the operation of SwapBot. Later, the stock of corporate tokens available for sale in the pool (74h) has been reduced in supply and value to 75, while the total cash value the corporation has collected through issuance now includes the sum of the asset value (34e) plus 75a, 75b and 75c; , has a value close to the original expected value (215).
본질적으로, 출시 풀에서 SwapBot은 크립토(현금 등가물)를 위해 새로 출시된 기업 토큰을 판매하고 토큰 공급량을 보충하지 않는다. 더욱이, 이 모델에서 가정하는 가치의 주요 변화는 시장 가격 변동이 아니라 풀에 있는 토큰 및 크립토 수의 변화이다. 상기 발행이 완료된 후, 기업은 명시된 수익금 사용에 따라 운영 및 개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수집된 크립토를 자유롭게 받을 수 있다.Essentially, in the launch pool, SwapBot sells newly launched corporate tokens for crypto (cash equivalents) and does not replenish the token supply. Moreover, the main change in value assumed by this model is not market price fluctuations, but changes in the number of tokens and cryptos in the pool. After the above issuance is completed, companies are free to receive the collected crypto to finance their operations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tated use of the proceeds.
대조적으로, DeFi 풀 거래에서 SwapBot의 사용은 완전히 다르다. 이 예시에서 볼 수 있듯이 풀(74m)은 유동성 공급자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기업 토큰(76)의 설정된 가치와 WETH(34e), USDT(75a), BUSD( 75b), USDT(75c) 및 Dai(75d)를 포함한 다양한 디지털 자산에 분배된 동일한 금액의 크립토 가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토큰과 크립토는 각각 총 자산 가치(215)로 시작하므로, 총 풀 가치는 기업 가치에 동일한 가치의 암호화폐를 더한 금액이거나, 출시 풀 가치(215)의 두 배가 된다. In contrast, the use of SwapBot in DeFi pool trading is completely different. As you can see in this example, the pool (74m) is funded by liquidity providers and has a set value of corporate tokens (76) plus WETH (34e), USDT (75a), BUSD (75b), USDT (75c) and Dai (75d). ) contains the same amount of crypto value distributed across various digital assets, including In this case, the token and crypto each start with a total asset value (215), so the total pool value is the enterprise value plus the same value of cryptocurrency, or double the launch pool value (215).
풀(75n)에 의해 묘사된 거래 동안, 풀에 대한 기업 토큰의 판매는 크립토의 총량을 감소시키고 기업 토큰(76)의 이용 가능한 양을 증가시켜 양(75y)의 두 열 사이에 불균형을 생성한다. 풀의 균형을 재조정하려면, 유동성 공급자로서 역할을 하는 투자자는 풀에 암호화폐로 75y 양의 자본을 주입하거나, 시장(예: 풀 외부)에서 기업 토큰 중 일부를 판매하고 순 수익금을 풀에 반환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풀의 균형이 유지되게 함으로써 풀의 균형을 재조정해야 한다. 풀(74n)에서는 크립토 자산이 토큰보다 75y의 양만큼 낮지만, 풀(74o)에서는 그 반대로 기업 토큰의 부족이 있으며 이는 크립토 보유량보다 작은 75z의 총 가치를 가진다. 이런 경우 투자자는 시장에서 새로운 기업 토큰을 조달하고 자신의 현금을 사용하거나 초과 토큰의 일부를 사용하여 풀에 주입하여 풀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During the transaction depicted by the pool (75n), the sale of corporate tokens to the pool decreases the total amount of crypto and increases the available amount of corporate tokens (76), creating an imbalance between the two columns of volume (75y) . To rebalance the pool, investors acting as liquidity providers can either inject 75y amounts of capital in cryptocurrency into the pool, sell some of their corporate tokens on the market (e.g. outside the pool) and return the net proceeds to the pool, or , or a combination of these must be used to rebalance the pool by ensuring that the pool is balanced. In Pool (74n), crypto assets are lower than tokens by an amount of 75y, but in Pool (74o) the opposite is true: there is a shortage of corporate tokens, which have a total value of 75z, which is less than crypto holdings. In such cases, investors must balance the pool by procuring new corporate tokens from the market and injecting them into the pool using their own cash or using a portion of their excess tokens.
어느 경우든, 구매자와 판매자 양자에 대한 유동성을 유지하려면, 자산의 순 가치가 시작 가치(215)보다 크거나 작은지 여부에 관계없이 자산 가치가 동일해질 때까지 풀을 재조정해야 한다. 이것은 도 22에 도시된 자동 시장 조성자 AMM(82c)의 역할이다. 이런 경우에 유동성 공급자(86)는 다수-크립토 풀(74a)에 가치를 추가 또는 제거하거나, 풀의 자산을 매수 또는 매도하여 34e, 75a, 75b, 75c, 75d의 누적 크립토 가치와 기업 토큰(76) 사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In either case, to maintain liquidity for both buyers and sellers, the pool must be rebalanced until the asset values are equal, regardless of whether the net value of the assets is greater or less than the starting value (215). This is the role of the automatic market maker AMM 82c shown in Figure 22. In this case, the liquidity provider 86 adds or removes value to the multi-crypto pool 74a, or buys or sells assets in the pool to create the cumulative crypto value of 34e, 75a, 75b, 75c, 75d and the corporate token (76). ) can maintain a balance between
균형 재조정이 이루어질 때마다 DeFi 오라클(82b)은 현재 시장 정보(84)와 온-체인 기록된 거래(33)를 기반으로 풀의 구성 자산의 현재 시장 가치를 확인해야 한다. 가치의 불균형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토큰 수에 해당 토큰의 현재 가격을 곱한 합에서 각 크립토를 해당 시장 가격으로 평가한 총 합을 뺀 것이다. 다른 DeFi 풀과 달리, AMM(82c)는 토큰의 가치(76)와 WETH, USDT, BUSD, USDC 및 Dai 크립토 자산의 총 가치 사이에서 풀의 균형을 맞추는 것만이 아니라, 시장 유동성 및 최근 거래량에 기초한 크립토 간의 특정 비율을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도시된 표에서, 각 크립토 자산의 재고에는 최소, 최대 및 목표를 포함하는 목표 범위가 있다. 이러한 토큰들의 상대적인 양이 지정된 범위를 벗어날 때마다, AMM은 총 크립토 가치와 토큰 간의 가치 비율이 여전히 지침 내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자동으로 이를 조정한다.Whenever a rebalancing occurs, the DeFi oracle (82b) must check the current market value of the pool's constituent assets based on current market information (84) and on-chain recorded transactions (33). The imbalance in value, as shown in Figure 23, is the sum of the number of each token multiplied by the current price of that token minus the total sum of each cryptocurrency evaluated at its market price. Unlike other DeFi pools, AMM (82c) does not just balance the pool between the value of the token (76) and the total value of WETH, USDT, BUSD, USDC and Dai crypto assets, but also based on market liquidity and recent trading volume. It is designed to maintain a certain ratio between cryptos. In the table shown, each crypto asset's inventory has a target range that includes a minimum, maximum, and target. Whenever the relative amount of these tokens falls outside the specified range, AMM automatically adjusts it, regardless of whether the total crypto value and the value ratio between the tokens are still within the guidelines.
예를 들어 스테이블코인 중에서, USDT의 거래량과 유동성은 동종 코인보다 훨씬 크다. 이와 대조적으로, Dai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플레이어이다. "가치 할당 범위"의 표에 나와 있듯이, AMM은 약 ±3.5%의 슬리피지에서 풀 가치의 68%에 해당하는 USDT 균형을 목표로 한다. WETH 총액은 시장 변동성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15%±3%로 제한된다. 개시된 발명은 최초의 다수-크립토 풀과 AMM을 나타낸다.For example, among stablecoins, USDT's trading volume and liquidity are much larger than similar coins. In contrast, Dai is a relatively small player in the stablecoin market. As shown in the table under “Value Allocation Range”, AMM targets USDT balance equal to 68% of pool value at a slippage of approximately ±3.5%. WETH total amount is limited to 15% ± 3% to minimize market volatility risk. The disclosed invention represents the first multi-crypto pool and AMM.
잠긴 토큰의 필요성(The Need for Locked Tokens) : 새로운 토큰 출시의 토크노믹스에서 중요한 고려 사항은 전체 토큰 발행량(완전히 희석됨)과 토큰의 유통 공급량이다. 내부자에 의한 만연한 매도(러그 풀) 또는 패닉 매도를 방지하고 장기적 이익을 위해 새로 출시된 토큰을 보유하도록 장려하려면, 토큰의 공개 발행 시점 또는 직후에, 즉 TGE(토큰 생성 이벤트)에서, 판매할 수 있는 잠금 해제된 토큰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Need for Locked Tokens :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tokenomics of new token launches is the total token issuance volume (fully diluted) and the circulating supply of tokens. To prevent rampant selling (lug pulls) or panic selling by insiders and to encourage holding of newly released tokens for long-term profits, they can be sold at or shortly after the public issuance of tokens, i.e. at a Token Generation Event (TGE). It is important to limit the supply of unlocked tokens.
매수-매도 문제는 도 24의 흐름도에 예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사전판매 할인으로 기업 토큰을 구매하는 투자자는 공개 거래가 시작되자마자 더 높은 가격으로 자산을 처분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는 판매 책임자가 누구인지, 판매 압력이 얼마나 깊은지 전혀 모른다. 특히 패닉 매도가 발생하는 경우 더욱 그렇다. 예를 들어, 투자자가 중앙 집중형 거래소(CEX)(123a)에서 명목화폐(122a)를 크립토(124a)(예: USDT)로 전환한 다음, 스마트 계약(125a)을 통해 사전판매 중에 새로운 대체 가능 토큰(FT)(126a)를 구입한다. 만일 기업이 사전판매 토큰을 투자자에게 배포하는 경우, 투자자는 토큰(126a) 자산을 비수탁형 지갑(121)에 보관하고 아마도 그 자산을 더 작은 여러 지갑(추적하기에는 너무 많음)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The buy-sell problem is illustrated in the flowchart of Figure 24, where investors who purchase corporate tokens at a pre-sale discount can sell their assets at a higher price as soon as public trading begins. The token issuer has no idea who is responsible for the sale or how deep the selling pressure is.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panic selling occurs. For example, an investor could convert fiat currency (122a) to crypto (124a) (e.g. USDT) on a centralized exchange (CEX) (123a) and then make a new substitution during the pre-sale via a smart contract (125a). Purchase token (FT) (126a). If a company distributes presale tokens to investors, the investor may store the token 126a assets in a non-custodial wallet 121 and perhaps segment those assets into several smaller wallets (too many to keep track of). .
토큰이 공개 거래에 사용 가능해지면, 투자자는 잠금 해제된 토큰(126b)을 스마트 계약(125b)으로 전송하고, 이를 다시 크립토(124b)로 교환한 다음 CEX 거래소(123b)에서 이를 명목화폐(122b)로 판매하여 빠른 이익을 얻는다. 토큰의 거래량이 적을 때 매도가 발생하면, 심지어 소량의 판매도 판매 가격을 떨어뜨려 토큰의 인식된 가치를 영구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어 향후 투자를 억제할 수 있다.Once the tokens are available for public trading, investors can transfer unlocked tokens (126b) to a smart contract (125b), exchange them back to crypto (124b), and then convert them to fiat (122b) on the CEX exchange (123b). Sell it to make a quick profit. If a sale occurs when a token's trading volume is low, even a small sale can drive down the sale price, permanently damaging the token's perceived value and discouraging future investment.
토큰은 대체 가능하기 때문에, 출시된 모든 토큰은 동일하고, 상호 교환 가능하며 구별할 수 없다. 따라서 출시된 토큰의 일부는 잠겨 있으면서 TGE 공개 상장에 사용된 토큰이 잠금 해제되어 거래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은 불가능하다. 모든 토큰이 잠기거나 모든 토큰이 잠금 해제된다. 사전판매 토큰의 조기 판매를 방지하는 한 가지 솔루션은 단순히 토큰을 배포하지 않고, 상호 수용 가능한 날짜까지 전용 기업 지갑에 보관하는 것이다. 이 해결책은 사소해 보이지만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Because tokens are fungible, all tokens released are identical, interchangeable and indistinguishable. Therefore, it is impossible for some of the released tokens to be locked while the tokens used for TGE's public listing are unlocked and tradable. All tokens are locked or all tokens are unlocked. One solution to prevent early sales of presale tokens is to simply not distribute the tokens, but store them in a dedicated corporate wallet until a mutually acceptable date. This solution may seem trivial, but it causes several serious problems.
특히, 토큰 투자자는 일반적으로 중앙집중화된 권한을 신뢰하는 사람들이 아니다. 이것이 바로 투자자들이 탈중앙화를 위해 DeFi 거래자가 된 이유 중 하나이다. 당연히 그들은 토큰을 조달할 때 구매 증명을 받기를 기대한다. 발행자가 개인 지갑(투자자는 키를 갖고 있지 않은)에 자신들의 토큰을 보관하게 한다는 것은 발행자가 나중에(아마도 몇 달 또는 몇 년 후) 토큰을 배포할 것이고 발행자는 배포 절차를 수동으로 실행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신뢰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절차는 DeFi와는 정반대이며 자율적이지 않고 허가가 필요하지 않은 것도 아니다. 수동 절차 역시 신뢰할 수 없으며 무능하거나 부정행위를 통한 오류나 권한 침해의 가능성이 크다.In particular, token investors are generally not people who trust centralized authority.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investors have become DeFi traders for decentralization. Naturally, they expect to receive proof of purchase when procuring tokens. Having the issuer store their tokens in a private wallet (to which the investor does not have the keys) means that the issuer will distribute the tokens later (perhaps months or years later) and the issuer will be responsible for executing the distribution process manually. It means you have to trust it. These processes are the exact opposite of DeFi and are neither autonomous nor permissionless. Manual processes are also unreliable and prone to errors or infringements through incompetence or fraud.
수동 배포의 또 다른 문제는 복잡성과 높은 비용이다. 모든 발행은 자체 귀속확정 일정이 있는 다양한 트랜치의 조합을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25는 기관 투자자(VC)(55a), 전략적 투자자(55c), 개인 트랜치 투자자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토크노믹스 모델(100)의 다양한 토큰 수령자를 보여주며, 이들 모두는 구매한 토큰이 잠금 상태로 제공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귀속확정될 것으로 기대한다. TGE에서 추가 범주의 잠긴 토큰이 공학 및 비즈니스 개발(55b)을 위한 프로젝트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예약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더 긴 귀속확정 일정을 사용하더라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토큰들은 반드시 처음부터 잠금 해제 상태로 발행되며 IDO(최초 DEX 발행) 및 토큰 생성 이벤트(TGE)에서의 공개 상장(90)을 위해 할당된 비교적 작은 부분을 포함한다. TGE 이후에는 시장 조성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DeFi 유동성 풀(74m)에 추가의 잠금 해제된 토큰이 배포된다. Another problem with manual deployment is its complexity and high cost. Every issuance involves a combination of various tranches, each with its own vesting schedule. For example, Figure 25 shows various token recipients in a typical tokenomics model (100), including institutional investors (VCs) (55a), strategic investors (55c), and individual tranche investors, all of whom have the tokens they purchased It is provided in a locked state and is expected to be vested over time. In TGE, additional categories of locked tokens are reserved to cover project costs for engineering and business development (55b) and are therefore free to use, albeit with typically longer vesting schedules. Other tokens are necessarily issued unlocked from the beginning, with a relatively small portion allocated for public listing (90) in IDOs (initial DEX issuance) and token generation events (TGE). After TGE, additional unlocked tokens are distributed to one or more DeFi liquidity pools (74m) to provide a market-making vehicle.
토큰(73) 배포가 합의된 대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확신을 제공하기 위해, 한 가지 방법은, 네트워크별로 하나씩 앞서 언급한 LaunchBot(71) 작성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고 버그 없는 실행 가능한 코드를 사용하여 스마트 계약(72) 정의된 귀속확정 및 배포 일정을 준수하는 것으로 제3자 코드 검증기(예: Certik)에 의해 인증된 스마트 계약(72)을 통해 배포를 실행하는 것이다. To provide assurance that token (73) distribution will occur as agreed, one method is to use smart contracts (72) using bug-free executable code generated by the aforementioned LaunchBot (71) authoring system, one for each network. ) Distribution is executed through a smart contract (72) certified by a third-party code verifier (e.g. Certik) by complying with the defined attribution and distribution schedule.
다중 트랜치 및 다중 네트워크 토큰 배포의 복잡성은 도 26의 흐름도에 의해 예시되며, 여기서 개인 판매(31)를 위해 출시된 토큰이 귀속확정(vested)(104)되고, DEX 및 CEX(108)에 대한 판매는 잠금 해제(103)되거나 귀속확정(104)될 수 있으며, 풀 유동성을 위한 토큰(741)은 필연적으로 잠금 해제된다(103). 보관소(101)에 있는 토큰은 잠금되거나(102)(나중에 수동으로 잠금 해제되기 위해) 또는 귀속확정 일정에 따라 잠금 해제(104)될 수 있다. 이 접근 방식의 문제점은 일단 배포된 토큰은 귀속확정 동안 잠금 상태에 있어야 하는 다른 토큰과 섞일 수 없다는 것이다.The complexity of multi-tranche and multi-network token distribution is illustrated by the flow diagram in Figure 26, where tokens released for private sale (31) are vested (104), and sold to DEX and CEX (108). can be unlocked (103) or attributed (104), and the token 741 for pool liquidity is inevitably unlocked (103). Tokens in storage 101 may be locked 102 (to be unlocked manually at a later date) or unlocked 104 according to a vesting schedule. The problem with this approach is that once distributed tokens cannot be mixed with other tokens, which must remain locked during attribution.
도 27에 그래픽으로 도시된 예시적인 귀속확정 일정은, 0에서 12개월의 일시 귀속확정과 12에서 18개월의 7개 범주의 잠금 해제 일정을 포함하며, 유동성(111), 비즈니스(112), 개발(112), 공개 발행(114) 및 투자자(115)에 대한 할당을 포함하여 나뉘어 있다. LaunchBot(71)이 구현한 하나의 스마트 계약(72) 배포 계획은 자동 "푸시 귀속확정(push vesting)"을 사용하는 토큰 보관소(101)로부터의 시간 귀속확정 및 배포를 포함한다. 도 28에 도시된 것처럼, LaunchBot이 지정한 배포에서 푸시 귀속확정을 사용하는 것은 토큰의 귀속확정될 때 "푸시(117)"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특정 날짜에 잠금이 해제되어 수령자 지갑(31)의 지정된 주소로 에어드롭(airdrop)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에어드롭(105a)은 6개월 후에만 발생한다. 그 후, 도시된 대로, 에어드롭(105b, 105c, 105d, 105e)이 각각 7개월, 8개월, 9개월, 10개월에 걸쳐 매월 발생한다. 푸시 귀속확정은 모든 토큰이 배포될 때까지 계속된다.An example vesting schedule, shown graphically in Figure 27, includes lump sum vesting from 0 to 12 months and unlock schedules for seven categories ranging from 12 to 18 months: Liquidity (111), Business (112), and Development. (112), public issuance (114) and allocation to investors (115). One smart contract 72 deployment scheme implemented by LaunchBot 71 involves time vesting and distribution from a token depository 101 using automatic “push vesting.” As shown in Figure 28, using push attribution in a LaunchBot-specified distribution means that the token is "pushed (117)" when it is attributed. In other words, it is unlocked on a specific date and airdropped to the designated address of the recipient's wallet (31). For example, the first airdrop 105a only occurs after 6 months. Thereafter, as shown, airdrops 105b, 105c, 105d, and 105e occur monthly over 7, 8, 9, and 10 months, respectively. Push attribution continues until all tokens are distributed.
푸시 귀속확정이 신뢰 문제와 해킹에 대한 취약성 문제를 극복하지만, 수년에 걸쳐 실행되는 수천 건에 달하는 수많은 에어드롭은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 높은 자동화 수준에도 불구하고, 푸시 배포를 사용하면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블록체인 전송은 되돌릴 수 없으므로, 수령자의 지갑 주소가 변경되면 토큰이 무효되거나 잠긴 지갑으로 전송되어 영원히 소실될 수 있다. 일단 투자자 지갑에 푸시된 토큰을 회수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 또한, 세금 문제와 같은 다양한 이유로 인해 투자자는 귀속확정 즉시 토큰을 받기를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Although push attribution overcomes trust issues and vulnerability to hacking, the cost of thousands of airdrops executed over several years is prohibitively expensive. Despite the high level of automation, using push deployment can cause other problems. Blockchain transfers are irreversible, so if the recipient's wallet address changes, the tokens may become invalid or be transferred to a locked wallet and lost forever. There is no means to retrieve tokens once pushed to the investor's wallet. Additionally, for various reasons such as tax issues, investors may not want to receive tokens immediately upon confirmation of attribution.
kTx 담보된 거래 토큰(kTx Collateralized Transactional Tokens) : 여기에 개시된 토큰 배포 관리를 위한 독특하고 혁신적인 기술은 kTx라는 약어를 갖는 담보된 거래 토큰이다(여기서 k는 담보를 나타내고 Tx는 거래의 약어이다). 이 토큰 배포 방법에서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대가로 거래 가능한 기업 토큰을 받지 않고 대신 자신이 구매한 토큰에 대한 프록시로서 kTx 토큰을 받는다. 상환 쿠폰과 마찬가지로, kTx 토큰은 특정 클래스의 기업 토큰이 귀속확정된 이후 언제든지 기업 토큰으로 교환될 수 있다. 대체 가능 토큰은 동일하고 구별할 수 없으며 상호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특정 기업 토큰의 귀속확정을 특정 소유자나 지갑에 연결할 필요가 없다. 한 범주의 토큰이 귀속확정될 때마다, kTx 토큰을 보유한 모든 투자자는 원하는 시점에 자신의 총 귀속확정된 금액까지 어떤 양이든 언제든지 상환할 수 있다. 어떤 기업 토큰도 투자자에게 푸시하거나 양도할 필요가 없다. 대신 투자자들은 kTx 토큰을 소유권 증명 및 상환 쿠폰으로 사용하여 원할 때마다 언제든지 자신의 귀속확정된 토큰을 청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귀속확정 시 토큰 에어드롭의 부담과 그에 따른 지갑 주소 오류의 위험이 완전히 제거된다. kTx Collateralized Transactional Tokens : A unique and innovative technology for managing token distribution disclosed herein is Collateralized Transactional Tokens, abbreviated as kTx (where k represents collateral and Tx is the abbreviation for transaction). In this token distribution method, investors do not receive tradable corporate tokens in return for their investment, but instead receive kTx tokens as a proxy for the tokens they purchased. Like redemption coupons, kTx tokens can be exchanged for corporate tokens at any time after a specific class of corporate tokens has been vested. Because fungible tokens are identical, indistinguishable, and interchangeable, there is no need to tie the attribution of any particular corporate token to a specific owner or wallet. Whenever a category of tokens is vested, any investor holding kTx tokens can redeem any amount up to their total vested amount at any time they wish. There is no need to push or transfer any corporate tokens to investors. Instead, investors can use kTx tokens as proof of ownership and redemption coupons to claim their vested tokens whenever they want. Through this, the burden of token airdrops and the resulting risk of wallet address errors are completely eliminated when attribution is confirmed.
지정된 방식대로, 담보된 kTx 토큰은 출시된 보관소에 잠겨 있는 예비로 보유된 실제 자산을 나타내는 '프록시 토큰'의 역할을 한다. 이 발행 보관소는 별도의 지갑이나 물리적 개체가 아니라 처음부터(예: TGE에서) 스마트 계약 내에 잠겨 있는 거래 가능한 기업 토큰의 발행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하는 구조체이다.In the manner specified, collateralized kTx tokens act as 'proxy tokens' representing real assets held in reserve locked in a released vault. This minting vault is not a separate wallet or physical entity, but a structure containing the unminted portion of a tradable corporate token that is locked within a smart contract from the beginning (e.g. in a TGE).
어떤 환산 비율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생성된 기업 토큰 당 하나의 kTx가 출시된다. 이는 kTx와 기업 토큰 상환 비율이 1:1임을 의미한다. 투자 당시 투자자에게 배포되는 kTx 토큰은 청구되지 않은 기업 토큰의 수를 반영하기 때문에, 기업 토큰은 kTx 토큰의 "담보" 역할을 한다. kTx 토큰은 어떤 공개 거래소에도 상장되지 않기 때문에, 그 내재적 가치는 기업 토큰, 즉 기초 자산의 가치를 반영한다. kTx 토큰은 담보의 내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유권 증명으로 사용될 수 있고 개인 거래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초 담보가 아직 귀속확정되지 않고 잠겨 있는 상태이더라도 kTx 토큰은 다양한 거래(예를 들어 스테이킹과 같은)에서 담보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명명된 담보 거래 토큰은 토큰의 특징이나 성질을 나타낸다 - 이 토큰은 그 기초 담보의 순 현재 가치에 따라 거래에 사용될 수 있다.Any conversion rate is possible, but typically one kTx is released per corporate token created. This means that the kTx and corporate token redemption ratio is 1:1. Since the kTx tokens distributed to investors at the time of investment reflect the number of unclaimed Corporate Tokens, the Corporate Tokens serve as “collateral” for the kTx Tokens. Since the kTx token is not listed on any public exchange, its intrinsic value reflects the value of the corporate token, i.e. the underlying asset. Since kTx tokens have the intrinsic value of collateral, they can be used as proof of ownership and utilized in private transactions. Therefore, even if the underlying collateral has not yet been vested and is locked, kTx tokens can be used for various transactions (e.g. staking and (same) can be used as collateral. Thus, a named collateralized trading token represents a feature or property of a token - the token can be used for trading based on the net present value of its underlying collateral.
비록 TGE 이후에도 (보조 거래 시장 또는 파생 상품으로) kTx 토큰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kTx 토큰은 동일한 스마트 계약 내에서 담보 기업 토큰과 함께 동시에 생성된다. 기업 토큰과 그 kTx 프록시의 시작은 TGE에서 발행 스마트 계약 내에서 동시에 발생하지만, 도 29에 도시된 것처럼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시각화하는 것이 더 쉽다. 도시된 바와 같이, LaunchBot이 생성한 스마트 계약(150)은, kTx 토큰의 총 개수(161a)와 기업 토큰의 총 공급량(162a)을 추적하기 위한 레지스터로서 프록시 풀(160a)을 우선 생성한다(151a). 출생 순간에 상기 풀에 포함된 총 자산은 0이다. 그 직후 단계 151b에서 스마트 계약은 고정된 공급량의 kTx 토큰(161b)을 생성한다. 이 순간, 프록시 풀(160b)에 생성된 kTx 토큰은 실제 가치의 자산에 의해 담보되지 않기 때문에 가치가 없다.Although it is possible to create kTx tokens even after the TGE (either as a secondary trading market or as a derivative), in practice the kTx tokens are created simultaneously with the collateral corporate tokens within the same smart contract. The origination of corporate tokens and their kTx proxies occurs simultaneously within the issuance smart contract at TGE, but it is easier to visualize the process sequentially, as shown in Figure 29. As shown, the smart contract 150 created by LaunchBot first creates a proxy pool 160a as a register to track the total number of kTx tokens (161a) and the total supply of corporate tokens (162a) (151a) ). The total assets included in the pool at the moment of birth are zero. Immediately thereafter, in step 151b, the smart contract creates a fixed supply of kTx tokens 161b. At this moment, the kTx tokens created in proxy pool 160b are worthless because they are not collateralized by assets of real value.
그러나 단계 151c에서, 목적이나 가치를 가진 비즈니스 또는 DAO인 기업(214)이 스마트 계약(150)을 승인하고 지시하여 kTx 토큰의 공급량과 동일한 양으로, 즉 일대일 비율로, 고정된 수의 기업 토큰(162c)을 생성하도록 한다. 프록시 풀(160c)의 총 가치는 포함된 기업 토큰 가치의 두 배가 아니다. 왜냐하면, 한 번에 토큰들 중 하나만이 발행되어 유통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고정된 수의 kTx 토큰이 발행될 때마다, 동일한 수의 기업 토큰이 담보로서 풀(160c)에 남아 있어야 한다. 만일 kTx 토큰이 기업 토큰으로 상환되면, kTx는 풀에 반환되어 유통에서 제거된다. 일 실시예에서, 일단 상환된 kTx 토큰은 소각된다. 즉, 돌이킬 수 없게 파기되어, 나중에 재사용 위험을 피하고 부정행위를 방지한다. 프록시 풀은 kTx와 기업 토큰만 포함하고 있으므로, 프록시 풀은 둘 중 어떤 것도 다른 자산에 대한 대가로 판매할 수 없다. 대신 거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동반 풀인 스왑 풀에 의존한다.However, at step 151c, the enterprise 214, which is a business or DAO with purpose or value, approves and directs the smart contract 150 to issue a fixed number of enterprise tokens ( 162c) is created. The total value of the proxy pool (160c) is not twice the value of the corporate tokens it contains. This is because only one of the tokens can be issued and circulated at a time. Specifically, whenever a fixed number of kTx tokens are issued, an equal number of corporate tokens must remain in pool 160c as collateral. If kTx tokens are redeemed for corporate tokens, kTx is returned to the pool and removed from circulation. In one embodiment, once redeemed kTx tokens are burned. That is, it is irreversibly destroyed, avoiding the risk of later reuse and preventing fraud. Since the proxy pool only contains kTx and corporate tokens, the proxy pool cannot sell either of them in exchange for any other asset. Instead, it relies on a companion pool, the swap pool, to enable transactions.
kTx 거래 토큰을 배포하는 다음 단계는 도 30에 도시된 것처럼 스왑 풀을 생성하는 것이다. 단계 151d에서, 스마트 계약은 대체 가능하고 거래 가능한 크립토(예: WETH, USDT, USDC, BUSD 또는 Dai)를 거래하고 보유하기 위한 새로운 레지스터(163d)를 생성한다. 스왑 풀(185d)의 두 번째 절반부는 스왑 풀(160c)에 기록된 kTx(161c)와 동일한 공급량인 kTx 토큰 공급량(161d)을 포함한다.The next step in distributing kTx trading tokens is to create a swap pool as shown in Figure 30. At step 151d, the smart contract creates a new register 163d for trading and holding fungible and tradable crypto (e.g. WETH, USDT, USDC, BUSD or Dai). The second half of the swap pool 185d contains a supply of kTx tokens 161d, which is the same supply as the kTx 161c recorded in the swap pool 160c.
다시 말하면, kTx 공급량은 두 개의 풀에 등록된다 - 프록시 풀(160c)에 기업 토큰과 함께 그리고 스왑 풀(185d)에 대체 가능하고 거래 가능한 크립토와 함께. 그 후, 투자자(179)는 크립토(191)를 스왑 풀로 전송하고, 그 담보로서 TGE에서 발행될 기업 토큰과 동일한 가격으로 kTx 토큰(190)을 받는다. 스왑 풀(185e)로의 크립토 전송을 받은 후, 크립토(163e)의 자산 가치는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반면 kTx 토큰 공급량(161e)은 동일한 양(177)만큼 감소한다. kTx 토큰(161e)에 대한 기초 담보의 총 누적 가치와 거래 순간에 받은 크립토(163e)의 시장 가치의 합은 스왑 직전과 동일한 값인 총 합(215)에 해당한다.In other words, kTx supply is registered in two pools - with corporate tokens in the proxy pool (160c) and with fungible and tradable cryptos in the swap pool (185d). Afterwards, the investor 179 transfers the crypto 191 to the swap pool and receives kTx tokens 190 as collateral at the same price as the corporate token to be issued in TGE. After receiving the crypto transfer to the swap pool (185e), the asset value of the crypto (163e) increases proportionally while the kTx token supply (161e) decreases by the same amount (177). The sum of the total cumulative value of the underlying collateral for the kTx token (161e) and the market value of the cryptocurrency (163e) received at the moment of transaction corresponds to the total sum (215), which is the same value as just before the swap.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kTx 토큰 공급량(161e)은 프록시 풀(160c)과 스왑 풀(185e) 양쪽에 공유되기 때문에, 두 풀의 조합은 크립토(163f)와 기업 토큰(162f)을 포함하고 누적 가치(215)를 갖는 가상 토큰 출시 풀(199f)로서 작동한다. 따라서 기업 토큰을 투자자에게 판매하지만 대신 kTx 토큰을 전달함으로써, 구매자는, 기업 토큰이 상장되고 잠금 해제되면 나중에 대체 가능 기업 토큰으로 상환될 수 있고 기초 담보를 나타내는 프록시 토큰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신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31, since the kTx token supply (161e) is shared by both the proxy pool (160c) and the swap pool (185e), the combination of the two pools includes crypto (163f) and corporate token (162f) It acts as a virtual token release pool (199f) with a cumulative value (215). Therefore, by selling corporate tokens to investors but delivering kTx tokens instead, the buyer can be assured that once the corporate tokens are listed and unlocked, they can later be redeemed for fungible corporate tokens and that they are holding proxy tokens representing the underlying collateral. there is.
이렇게 함으로써, 잠긴 기업 토큰의 조기 판매가 완전히 제거되면서도 여전히 편리한 배포를 가능하게 한다. 기업 토큰을 잠금 해제하고 배포하는 대신, 도 32에서와 같이, 토큰 출시 풀(160c)은 잠긴 토큰 공급량(162c)을 유지하면서 프록시 토큰(190)을 출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kTx 거래는 스왑 풀(185)을 통해 일어나며, 거래소(108)를 통한 IDO를 통해 개인 지갑(31)에 이르기까지 또는 2차(후속) 발행과 같은 추후 배포를 위해 보관소(101)에 보관된다. 따라서 투자자는 기업 토큰을 구매하지만, 그 대신에 kTx 토큰을 받는다. kTx 토큰 자체는 잠금 해제되어 발행되지만, 무기한 상장되지 않기 때문에, 어떤 공개 거래소에서도 판매하거나 거래할 수 없다. 기업 토큰 담보로 상환될 때만 가치가 있을 뿐이다. 잠긴 토큰(102)의 귀속확정(104) 및 잠금 해제(103)는 kTx 토큰이 아니라, 기업 토큰 담보로 상환될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킨다.By doing this, early sales of locked corporate tokens are completely eliminated, while still enabling convenient distribution. Instead of unlocking and distributing corporate tokens, as shown in Figure 32, token release pool 160c releases proxy tokens 190 while maintaining locked token supply 162c. As shown, kTx transactions occur through swap pools 185, through IDOs through exchanges 108 to private wallets 31, or into storage 101 for later distribution, such as secondary (subsequent) issuance. ) is stored in Therefore, investors purchase corporate tokens, but receive kTx tokens in return. The kTx tokens themselves are issued unlocked, but are not listed indefinitely and cannot be sold or traded on any public exchange. It only has value when redeemed against corporate token collateral. The vesting (104) and unlocking (103) of the locked token (102) refers to its ability to be redeemed with corporate token collateral rather than with kTx tokens.
도 24에서 이전에 설명한 문제 있는 무단 조기 판매 문제와 비교하여, kTx 담보 토큰을 사용하면 도 33에 도시된 것처럼 조기 판매 문제가 완전히 제거된다. 이전 실시 예에서 같이, 투자자(200)는 거래소(203a)에서 명목화폐(202a)를 크립토(204a)로 전환한 다음, 스마트 계약(205c)에 의해 실행되는 토큰 사전판매에 투자한다. 그러나 기업 토큰을 수령하는 대신, 프록시 풀(209)은 kTx 토큰(207a)만을 투자자에게 풀어준다(210a). SwapBot(71)을 통해 kTx 토큰은 잠금 해제된 형태로 투자자 지갑(201)에 전달된다. kTx 토큰은 잠금 해제되어 않지만, 기업 토큰 담보는 귀속확정(208c)에 따라 여전히 잠금 상태로 유지된다.Compared to the problematic unauthorized early sale problem previously described in Figure 24, using kTx collateral tokens completely eliminates the early sale problem as shown in Figure 33.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investor 200 converts the fiat currency 202a into crypto 204a at the exchange 203a and then invests in the token presale executed by the smart contract 205c. However, instead of receiving corporate tokens, proxy pool 209 only releases kTx tokens 207a to investors (210a). Through SwapBot (71), kTx tokens are delivered to the investor's wallet (201) in unlocked form. Although kTx tokens are not unlocked, corporate token collateral remains locked according to vesting confirmation (208c).
일단 일정 부분의 기업 토큰이 귀속확정되면(208c), 동일한 수의 kTx 토큰이 스마트 계약(205d)을 통해 프록시 풀(209)로부터 상환될 수 있으며(110c), 보유하거나 판매될 수 있는 대체 가능 거래 가능한 기업 토큰(206c)을 투자자에게 전달한다.Once a portion of the corporate tokens have been vested (208c), the same number of kTx tokens can be redeemed (110c) from the proxy pool (209) via a smart contract (205d) and a fungible transaction that can be held or sold. Deliver available corporate tokens (206c) to investors.
만일 투자자가 잠금 해제된 기업 토큰(206c)을 판매하기를 원하면, 스마트 계약(205e)을 통해 거래를 실행하여 크립토(203c)를 시장 환율에 따라 받은 다음, (원하는 경우) 거래소(203c)에서 상기 크립토를 명목화폐(202c)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귀속확정 및 잠금 해제된 기업 토큰만이 귀속확정 시 동일한 수의 kTx 토큰으로 상환될 수 있다. 따라서 발행기업의 개입 없이 자율적으로 조기판매가 방지된다.If an investor wishes to sell unlocked corporate tokens 206c, he or she may execute a transaction via smart contract 205e to receive crypto 203c at the market rate and then (if desired) on the exchange 203c. Crypto can be converted to fiat currency (202c). Only corporate tokens that have been vested and unlocked in this way can be redeemed for the same number of kTx tokens upon vesting. Therefore, early sales are prevented autonomously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issuing company.
도 34는 잠금 해제된 토큰 출시와 담보된 토큰 출시 과정을 대조하여 보여주며, 여기서는 크립토(204a)가 스마트 계약(205a)에 의해 대체 가능하고 거래 가능한 토큰(206a)으로 전환되는 대신,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스마트 계약(205c)이 kTx 담보된 거래 토큰을 출시하고 이를 지갑(201)에 예치한다. 잠금 해제된 토큰 배포(208b)에서는 대체 가능 토큰(206b)이 크립토(204b)와 교환으로 즉시 판매(205b)될 수 있지만, 개선된 과정에서는 귀속확정(208c)이 일어난 것을 스마트 계약(205d)이 확인할 때만, kTx 토큰(207b)이 대체 가능 기업 토큰(206c)으로 상환될 수 있다. 일단 청구되면, 대체 가능 토큰(206c)은 지갑(201)에 보유하거나(211g), 스마트 계약(205e)에 의해 크립토(204c)로 판매(211f)될 수 있다.Figure 34 contrasts the unlocked and collateralized token release processes, where instead of crypto 204a being converted into a fungible and tradable token 206a by a smart contract 205a,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roved smart contract 205c releases the kTx collateralized transaction token and deposits it into the wallet 201. In the unlocked token distribution 208b, the fungible token 206b can be immediately sold 205b in exchange for crypto 204b, but in the improved process, a smart contract 205d is used to confirm that the attribution 208c has occurred. Only upon confirmation, kTx tokens 207b can be redeemed for fungible corporate tokens 206c. Once claimed, fungible token 206c can be held in wallet 201 (211g) or sold (211f) for crypto 204c by smart contract 205e.
도 35에는 거래 중에 스왑 풀 내에서 토큰 공급량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도시되어 있으며, 시작 시(213) 기업(214)은 균일한 가치(215)의 기업 토큰(2919a) 및 kTx 토큰(218a)으로 시작한다. kTx 판매 중이지만 잠금 해제되기 전에 투자자(200)는 크립토(204a)로 기업(214)으로부터 기업 토큰을 구매하지만 대신 kTx 토큰(207a)을 수령하여, 스왑 풀(209b)에서 사용 가능한 kTx 토큰(218b)의 공급량을 감소시키지만 토큰 담보(219b)는 유지한다. 귀속확정 후 풀(209c)에 의해 표시된 상환 중에, kTx 토큰(207b)을 상환하는 투자자(200)에게 토큰(206c)이 배포됨에 따라 기업 토큰(219c)의 수준이 하락하여, 회수된 kTx 토큰 공급량(218c)이 모든 기업 토큰이 발행될 때까지 상승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교환에 의해 회수된 모든 kTx는 도난 및 오용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소삭되어 영구적으로 파괴된다. 2열 다이어그램은 kTx 및 기업 토큰의 상대적 수준을 보여 주지만, 누적된 크립토 결제는 표현되지 않기 때문에 모든 거래를 정확하게 설명하지 못한다.Figure 35 illustrates the change in token supply over time within the swap pool during a transaction, where at the start (213) the enterprise (214) receives a uniform value (215) of enterprise tokens (2919a) and kTx tokens (218a). It starts with While kTx is on sale but before it is unlocked, investor 200 purchases corporate tokens from enterprise 214 with crypto 204a but instead receives kTx tokens 207a, making kTx tokens 218b available in swap pool 209b. Reduces the supply of but maintains token collateral (219b). During redemption indicated by the pool 209c after confirmation of attribution, the level of corporate tokens 219c decreases as tokens 206c are distributed to investors 200 who redeem kTx tokens 207b, resulting in the recovered kTx token supply. (218c) causes it to rise until all corporate tokens are issued. In one embodiment, all kTx recovered by exchange are burned and permanently destroyed to prevent the risk of theft and misuse. The two-column diagram shows the relative levels of kTx and corporate tokens, but does not accurately account for all transactions since cumulative crypto payments are not represented.
도 36에서는 출시 풀에서의 토크노믹스 거래의 탁월한 표현이 3열 그래픽으로 도시되며, 각 열은 풀(229a, 229b 및 229c)에서 시작 시, kTx 판매 중, 및 kTx 상환 중의 상대적 자산 가치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시작(213)에서 기업(214)은 3열- 풀(229a)을 동일한 양의 크립토(219a) 및 kTx 토큰(218a)으로 채우는 반면 토큰 가치(220a)는 기본적으로 0이다. kTx 판매 중에는 투자자(200)는 크립토(204a)를 제공하고 그에 대하누 보상으로 kTx 토큰(207a)과 풀의 기업 토큰 담보에 대한 프록시를 받는다. kTx 토큰 판매 과정에서 토큰 가치(220b)는 상승하는 반면 풀의 kTx 토큰 수는 거의 0에 가깝게 감소한다(218b). kTx 판매 중에 총 기업 토큰(219b)은 일정하게 유지된다.In Figure 36, an excellent representation of tokenomics trading in the launch pool is shown in a three-column graphic, with each column illustrating the relative asset value at launch, during kTx sale, and during kTx redemption in pools 229a, 229b, and 229c. . Specifically, at start 213, enterprise 214 fills column 3 - pool 229a with equal amounts of crypto (219a) and kTx tokens (218a), while the token value (220a) is essentially zero. During the kTx sale, the investor 200 provides crypto 204a and receives kTx tokens 207a as compensation and a proxy for the pool's corporate token collateral. During the kTx token sale process, the token value (220b) increases while the number of kTx tokens in the pool decreases to almost zero (218b). During the kTx sale, the total corporate tokens (219b) remain constant.
3열 풀(209c)에 의해 표시된 kTx 상환 동안, 투자자가 kTx 토큰(207b)을 기업 토큰(206c)으로 상환하면서, 이용 가능한 기업 토큰(219c)의 공급량이 감소함에 따라 kTx 수준(218c)이 상승한다. 상환 단계 동안, 크립토 자산 수준(220c)은 일정하게 유지된다(적어도 기업이 발행의 수익금 사용에 따라 운영 및 개발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풀에서 받은 자금을 인출할 때까지).During the kTx redemption represented by the 3-column pool 209c, the kTx level 218c rises as the available supply of corporate tokens 219c decreases as investors redeem kTx tokens 207b for corporate tokens 206c. do. During the redemption phase, the crypto asset level (220c) remains constant (at least until companies withdraw the funds received from the pool to fund operations and development, depending on the use of the proceeds from the issuance).
kTx 토큰을 기업 토큰으로 상환하는 것이 반드시 귀속확정 순간에 발생할 필요는 없다. 소득 신고 및 과세 등 여러 가지 이유로, 투자자는 자신의 귀속확정된 토큰을 청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7은 가치(215)에서 시작하는 예시적인 18개월 귀속확정 기간에 걸쳐 스왑 풀 자산 수준을 보여준다. 도시된 것처럼, kTx 토큰이 상환되지 않았음에도 6개월, 9개월, 12개월에서 귀속확정된 토큰 수가 각각 0%에서, 20%, 40%까지 증가하고, 기업 토큰 수준(219a)은 100%로 유지되고 kTx 수준(218a)은 0으로 유지된다. 그런 다음 18개월 지난 시점에서 80%가 투자자에게 귀속확정될 때, 지갑(231)은 218z에 의해 표시된 80%에 해당하는 양의 kTx 토큰(207b)을 상환하며, 이는 투자자가 보유한 귀속확정된 잠금 해제된 기업 토큰의 100%에 해당한다. 218z kTx 토큰의 상환에 응답하여, 풀은 남은 기업 토큰(219z)의 수준을 20%만 남도록 낮추는 양으로 잠금 해제된 거래 가능한 기업 토큰(206c)을 출시한다. Redemption of kTx tokens into corporate tokens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occur at the moment of vesting. For various reasons, including income reporting and taxation, investors may not claim their vested tokens. Figure 37 shows swap pool asset levels over an exemplary 18-month vesting period starting at value (215). As shown, even though kTx tokens have not been redeemed, the number of vested tokens increases from 0%, 20%, and 40% at 6 months, 9 months, and 12 months, respectively, and the corporate token level (219a) remains at 100%. and the kTx level 218a is maintained at 0. Then, at the end of 18 months, when 80% is confirmed to the investor, the wallet 231 redeems the amount of kTx tokens (207b) corresponding to 80% indicated by 218z, which is the confirmed lock held by the investor. It corresponds to 100% of the released corporate tokens. In response to the redemption of 218z kTx tokens, the pool releases unlocked tradable corporate tokens (206c) in an amount that lowers the level of remaining corporate tokens (219z) to only 20% remaining.
kTx 기반 거래에 대한 앞서 언급한 설명은 암호화폐의 단일 표기만이 관련되었지만, 다수-크립토 풀의 원리는 도 38에 표시된 것과 같이 다중통화 풀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성 공급자(255)는 기업 토큰(253), kTx 토큰(252) 및 암호화폐 랩(251)을 포함하는 3열-풀(250)에 크립토 자산(254)을 공급하며, 여기서 암호화 랩(251)은 WETH(244), USDT(245a), BUSD(245b), USDC(245c) 및 Dai(245d)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크립토(240), kTx 토큰(243) 및 기업 토큰(242)과 상호 작용할 때 아이콘(241)을 사용하여 다수-크립토 풀을 그래픽으로 표현하는 것이 편리하다.Although the aforementioned description of kTx-based trading involved only a single denomination of cryptocurrency, the principles of multi-crypto pools are equally applicable to multi-currency pools, as shown in Figure 38. As shown, liquidity providers 255 supply crypto assets 254 to a tri-pool 250 including corporate tokens 253, kTx tokens 252, and cryptocurrency wraps 251, where Crypto wrap 251 may include any combination of WETH (244), USDT (245a), BUSD (245b), USDC (245c), and Dai (245d). When interacting with crypto 240, kTx token 243, and corporate token 242, it is convenient to use icon 241 to graphically represent the multi-crypto pool.
토큰 교환 및/또는 스테이킹 (Token Swapping and/or Staking) : 개시된 방법을 사용하면, 일단 생성된 기업 토큰은 획득한 이자를 얻기 위해 DeFi(탈중앙화 금융) 풀을 스테이킹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eFi 풀 APY(연간 수익률)는 고정되거나 가변적일 수 있으며, 기간은 일일, 월간, 분기별 또는 연간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토큰 보유자는 경제적으로 토큰을 판매하지 않도록 장려된다. Token Swapping and /or Staking : Using the disclosed methods, corporate tokens, once created, can be used to stake DeFi (decentralized finance) pools to earn earned interest. DeFi pool APY (Annual Yield) can be fixed or variable, and the time period can be daily, monthly, quarterly, or annually. In this way, token holders are incentivized not to sell their tokens economically.
특히, kTx 보유자는 가치 확장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자신의 토큰을 담보로 제공할 수 있다: (i) 이자를 얻기 위해 토큰을 스테이킹하거나, (ⅱ) 스테이킹을 위한 부분과 교환을 위한 다른 부분으로 세분하거나(kTx 스테이크 및 교환이라고도 함) (ⅲ) 정해진 기간 동안 기업 토큰을 스테이킹 풀에 자동 투자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kTx 토큰을 교환함. 예를 들어, 도 39는 스왑 후 스테이킹 기능을 보여주며 여기서 투자자의 kTx 토큰은 귀속확정에 앞서 귀속확정 계약(310)에 예치된다(313). 귀속확정 시 kTx 토큰은 스왑 풀(311)에서 기업 토큰으로 자동으로 상환되고 정해진 기간 스테이킹 계약(312)에 스테이킹되며, 이에 의해 더 높은 수익의 대가로 더 오랜 기간 토큰을 효과적으로 잠글 수 있다. 도 40은 kTx 토큰(313)이 정의된 귀속확정 일정(312)에 따라 스테이킹(312) 및 교환(311)을 위해 동시에 사용되는 대체 방법을 보여준다. In particular, kTx holders can pledge their tokens as collateral to expand their value in the following ways: (i) staking tokens to earn interest, or (ii) a portion for staking and a portion for exchange. (iii) Exchange your kTx tokens by subdividing them into different parts (also known as kTx staking and swapping) or (iii) automatically investing corporate tokens into a staking pool for a set period of time. For example, Figure 39 shows the post-swap staking function, where the investor's kTx tokens are deposited into the vesting contract 310 prior to vesting (313). Upon confirmation of attribution, kTx tokens are automatically redeemed as corporate tokens from the swap pool (311) and staked in a fixed-term staking contract (312), effectively locking the tokens for a longer period of time in return for higher returns. Figure 40 shows an alternative method in which kTx tokens 313 are used simultaneously for staking (312) and exchange (311) according to a defined vesting schedule (312).
대안으로, 도 41은 kTx 토큰이 담보 잠금 해제에 앞서 KDEX(담보 토큰 탈중앙화 거래소)에서 토큰 교환을 위해 또는 대안으로 이자지급 계정에서 스테이킹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KDEX에서의 kTx 토큰 가치는 해당 담보물의 실제 시장 가치보다 낮아질 수 있다. 귀속확정일자가 가까워짐에 따라 KDEX에서의 kTx 토큰의 시장 가치는 점차적으로 기본 기업 토큰의 시장 가치에 접근할 것이다.Alternatively, Figure 41 shows that kTx tokens can be used for token exchange on KDEX (Collateral Token Decentralized Exchange) prior to collateral unlocking, or alternatively for staking in an interest-bearing account. The value of kTx tokens on KDEX may be lower than the actual market value of the collateral. As the vesting date approaches, the market value of kTx tokens on KDEX will gradually approach the market value of the underlying corporate token.
NFT 거래( NFT Transactions) : 동일한 자율형 LaunchBot dApp은 NFT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2에 도시된 대로, NFT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 파일(300)은 메타데이터 파일(301)을 포함한다. LaunchBot(71)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라이브러리(83)의 입력 및 블록체인 특정 데이터를 결합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새로운 NFT(303)를 출시하는 스마트 계약(302)을 생성한다. DeFi 풀에서 출시된 대체 가능 토큰과 달리, 상기 생성된 NFT는 대체 불가 토큰이 처음 생성된 블록체인에 관계없이, 임의 개수의 NFT 마켓플레이스에서 메타버스 수집가(305)와 즉시 거래에 이용될 수 있다. NFT Transactions : The same autonomous LaunchBot dApp can create NFTs. As shown in Figure 42, the input file 300 for creating an NFT portfolio includes a metadata file 301. LaunchBot 71 combines input from the network protocol library 83 and blockchain-specific data to create a smart contract 302 that launches a new NFT 303 to one or more networks. Unlike fungible tokens released in DeFi pools, the created NFTs can be used for immediate trading with Metaverse collectors 305 on any number of NFT marketplaces, regardless of the blockchain on which the non-fungible tokens were originally created. .
만일 거래자가 별도의 블록체인에서 수집가와 관계를 맺기를 원하는 경우, 토큰 생태계는 도 43에 도시된 것과 같은 NFT 텔레포터 기능을 포함한다. 토큰 텔레포테이션에서, EVM 상의 NFT(350) 토큰 보유자는 스마트 계약(351)이 대상 지갑과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곳에서 BSC 상의 구매자에게 텔레포트 된 NFT 복제본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브리징(bridging) 절차에서 사용되는 랩핑된 토큰을 전송하는 대신, 원래 토큰(350)에서 새로운 랩이 시작되어 NFT 복제본(354)으로 구매자에게 텔레포트 된다. 한편, 이전 토큰 인스턴스(351)는 중복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소각하여(353) 제거된다. 이 방식으로, 모든 텔레포트 된 토큰은 단일 랩만을 포함하고 숨겨진 가스 비용이 포함된 중첩된 랩을 포함하지 않는다.If traders wish to engage with collectors on a separate blockchain, the token ecosystem includes an NFT teleporter feature as shown in Figure 43. In token teleportation, a holder of an NFT 350 token on an EVM can provide a replica of the teleported NFT to a buyer on the BSC where a smart contract 351 identifies the target wallet and network. However, instead of transferring the wrapped tokens used in the bridging procedure, a new wrap is started on the original token 350 and teleported to the buyer as an NFT replica 354. Meanwhile, the previous token instance 351 is removed by incineration (353) to prevent the risk of duplication. This way, all teleported tokens only contain a single wrap and do not contain nested wraps with hidden gas costs.
Claims (22)
상기 발행의 각 트랜치에 출시된 토큰의 가격, 수량, 가용성, 및 타이밍을 규정하는 발행 토크노믹스를 포함하는 파일을 컴파일하는 단계;
생성될 토큰 유형에 대해 프로그래밍 언어 및 정의된 변수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한 토큰 및 스마트 계약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파일을 컴파일하는 단계;
발행 토크노믹스를 지정하는 상기 파일과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라이브러리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블록체인 프로토콜을 지정하는 파일을 스마트 계약 작성 봇 프로그램에 입력으로 제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계약 작성 봇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하나 이상의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각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새로운 토큰을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 계약(dApp)을 포함하고, 각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자체 고유의 스마트 계약(dApp)을 필요로 하는, 단계;
정확성 또는 소프트웨어 버그에 대해 상기 봇이 작성한 모든 스마트 계약(dApp)의 무결성을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각 봇이 작성한 스마트 계약(dApp)을 각 블록체인에 업로드 및 등록하여 실행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스마트 계약(dApp)을 실행하는 과정은 블록체인의 가상 머신 운영에 따라 피어(peer) 배심원단의 거래 검증이 필요하며, 여기서 참여하는 피어들은 블록체인의 운영에 특유한 암호화폐로 결제된 가스 요금으로 보상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생성된 토큰은 스마트 계약(dApp) 내에 배포되지 않은 디지털 자산으로 유지되거나 또는 대안으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지갑 또는 DeFi 풀에 전체가 또는 일부분이 전송되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및 토큰 생성 방법.A method of writing smart contracts and generating tokens for multi-tranche fungible or non-fungible token offerings, comprising:
Compiling a file containing issuance tokenomics specifying the price, quantity, availability, and timing of tokens released in each tranche of the issuance;
Compiling a file containing a network protocol library containing tokens and smart contracts for one or more blockchain networks, including a programming language and variables defined for the token type to be created;
Submitting the file specifying issuing tokenomics and the file specifying one or more blockchain protocols selected from the network protocol library as input to a smart contract creation bot program;
A step of executing the smart contract creation bot program to create one or more decentralized application programs, where each program includes a smart contract (dApp) for creating a new token in one or more blockchain networks, and each blockchain network Requires its own unique smart contract (dApp), steps;
verifying the integrity of all smart contracts (dApps) created by the bot for accuracy or software bugs; and
This is the step of uploading and registering and executing the smart contract (dApp) written by each bot on each blockchain. Here,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smart contract (dApp) is a transaction by the peer jur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ockchain's virtual machine. Verification is required, where participating peers are compensated with a gas fee paid in a cryptocurrency specific to the operation of the blockchain, including steps such as
A method of creating a smart contract and creating a token, wherein the generated token is maintained as a digital asset not distributed within a smart contract (dApp), or alternatively is transferred in whole or in part to one or more digital wallets or DeFi pools.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는 주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블록체인 가상 머신에 대한 사양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체인 가상 머신은 Ethereum Virtual Machine, Binance smart chain, Cardano, Polkadot, Solana, Avalanche, Ripple-Coil, Hyperledger Fabric, Tezos, Tron, Algorand, Hedera, Stellar 등을 포함한 다양한 블록체인에 대한 스마트 계약(dApp)을 생성하고 실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는 ERC-721, BEP-721과 같은 NFT 표준과 함께 ERC-20, BEP-20, ERC-1155를 포함하는 주요 스마트 계약 호환 디지털 토큰 표준을 지원하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및 토큰 생성 방법.According to paragraph 1,
The network protocol library includes specifications for major blockchain networks and blockchain virtual machines, and the blockchain virtual machines include Ethereum Virtual Machine, Binance smart chain, Cardano, Polkadot, Solana, Avalanche, Ripple-Coil, Hyperledger Fabric, You can create and run smart contracts (dApps) on a variety of blockchains, including Tezos, Tron, Algorand, Hedera, Stellar, etc., where the network protocol library supports NFT standards such as ERC-721, BEP-721, and ERC-721. Methods for writing smart contracts and creating tokens, supporting major smart contract compatible digital token standards including 20, BEP-20, and ERC-1155.
상기 토큰은 각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고유한 연속적인 트랜치에 출시되며, 종자, 개인, 전략, IDO 및 TGE-공공 투자자 트랜치를 포함하는 개인, 기관 및 전략적 투자자의 투자를 위한 토큰; 공학 개발, 비즈니스 개발 및 유동성을 위해 비투자자에게 발행하기 위한 토큰; 및 스마트 계약(dApp) 또는 보관소 지갑에 보관된 미발행 토큰을 포함하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및 토큰 생성 방법.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okens are released in successive tranches unique to each blockchain network and are intended for investment by private, institutional and strategic investors, including seed, private, strategic, IDO and TGE-public investor tranches; Tokens for issuance to non-investors for engineering development, business development and liquidity; and methods for writing smart contracts and generating tokens, including unissued tokens held in smart contracts (dApps) or vault wallets.
구매자는 개인 또는 거래소 지갑에서 스마트 계약(dApp)으로 디지털 자산을 전송하여 출시된 토큰을 획득하고 그 대가로 상기 출시된 토큰의 동등한 가치를 받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및 토큰 생성 방법.According to paragraph 1,
A smart contract creation and token creation method in which the buyer acquires released tokens by transferring digital assets from a personal or exchange wallet to a smart contract (dApp) and receives the equivalent value of the released token in return.
다수-체인 거래를 지원하기 위해:
제1 블록체인 소속의 토큰을 대상인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따라 암호화 방식으로 래핑한 다음 래핑된 토큰을 비소속의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토큰이 소속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비소속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텔레포트되거나,
제1 블록체인 소속의 토큰이 이전에 제2 블록체인으로 텔레포트되었고 제3 블록체인으로 텔레포트될 경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있는 이전에 텔레포트 된 토큰이 소각되며, 이에 의해 제1 블록체인 소속의 토큰이 대상인 제3 블록체인에 따라 암호화 방식으로 다시 래핑되며, 여기서 상기 래핑된 토큰은 제1 블록체인에서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텔레포트되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및 토큰 생성 방법.According to paragraph 1,
To support multi-chain transactions:
A token belonging to the first blockchain is cryptographically wrapped according to the target second blockchain network, and then the wrapped token is transmitted to a non-affiliated second blockchain network, so that the token is non-affiliated in the first blockchain network. Teleported to a second blockchain network, or
If a token belonging to the first blockchain was previously teleported to a second blockchain and is teleported to a third blockchain, the previously teleported tokens in the second blockchain network are burned, thereby causing the tokens belonging to the first blockchain to be burned. A method of creating a smart contract and generating a token, wherein the token is cryptographically rewrapped according to a destination third blockchain, wherein the wrapped token is teleported from the first blockchain to a third blockchain network.
투자자와 구매자가 토큰을 획득할 수 있도록 DeFi 풀이 사용되며,
상기 DeFi 풀은 상기 토큰과 하나 이상의 다른 디지털 자산을 포함하고,
구매자는 동등한 가치의 다른 디지털 자산을 교환하여 상기 토큰을 획득하고,
교환의 검증 시, DeFi 풀의 사용 가능한 토큰 수가 줄어들고 상기 풀에 있는 다른 디지털 자산의 수가 증가하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및 토큰 생성 방법.According to paragraph 1,
DeFi pools are used to enable investors and buyers to acquire tokens.
The DeFi pool includes the token and one or more other digital assets,
Buyers acquire said tokens by exchanging them for other digital assets of equal value,
A method of creating smart contracts and creating tokens where, upon validation of an exchange, the number of available tokens in a DeFi pool is reduced and the number of other digital assets in said pool is increased.
상기 DeFi 풀은 거래를 실행하기 위해 스테이블코인(USDT, USDC, BUSD 및 DAI), 또는 Ether 랩 토큰(WETH)을 포함한 암호화폐의 크립토 랩을 포함하는 여러 유형의 토큰, 스테이블코인, 및 크립토 랩을 허용하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및 토큰 생성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DeFi pool supports several types of tokens, stablecoins, and cryptocurrencies, including stablecoins (USDT, USDC, BUSD, and DAI), or crypto wraps of cryptocurrencies, including the Ether wrap token (WETH), to execute transactions. A method of writing smart contracts and generating tokens, allowing for wrapping.
상기 교환 프로세스는 거래상 단방향이며, 여기서 상기 DeFi 풀은 다른 디지털 자산과 교환하여 구매자에게 토큰을 전송할 수 있지만, 거래자는 상기 토큰을 다른 디지털 자산으로 상환할 수 없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및 토큰 생성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exchange process is transactionally one-way, wherein the DeFi pool can transfer tokens to a buyer in exchange for other digital assets, but the trader cannot redeem the tokens for other digital assets.
상기 DeFi 풀 내의 거래는 UIUX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자율 SwapBot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되고, 여기서 토큰 구매자는 구매할 토큰의 이름, 구매가 기록될 블록체인 네트워크, 결제가 이루어질 지갑, 구매에 사용할 디지털 자산 유형, 결제 금액의 양, 액세스 또는 할인을 가능하게 하는 구매 코드를 지정하며, 이에 대한 응답으로 UIUX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자율 SwapBot 애플리케이션은 구매할 출시된 토큰의 양을 표시하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및 토큰 생성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ransactions within said DeFi pool are executed through the UIUX user interface or autonomous SwapBot application, where token buyers specify the name of the token to be purchased, the blockchain network on which the purchase will be recorded, the wallet from which the payment will be made, the type of digital asset to be used for the purchase, and the payment amount. Specifies a purchase code that enables an amount, access or discount, and in response the UIUX user interface or autonomous SwapBot application displays the amount of released tokens to be purchased, a method for creating smart contracts and creating tokens.
상기 UIUX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자율 SwapBot 애플리케이션은 구매자의 지갑 잔액을 표시하고, 구매를 위한 충분한 자산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지정된 블록체인에서 상기 거래를 실행하기 위해 지갑에 적절한 가스가 사용 가능한지 확인하고, 상기 거래 진행을 허용하기 전에 상기 구매 코드가 유효한지 확인하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및 토큰 생성 방법.According to clause 9,
The UIUX user interface or autonomous SwapBot application displays the buyer's wallet balance, verifies whether sufficient assets exist for the purchase, verifies whether adequate gas is available in the wallet to execute said transaction on the designated blockchain, and executes said transaction. A method of writing smart contracts and generating tokens that verifies that said purchase code is valid before allowing progress.
스마트 계약 또는 보관소 지갑에 보관된 이전에 배포되지 않은 토큰이 정의된 귀속확정 일정에 따라 스마트 계약(dApp)에 의해 투자자의 지갑으로 푸시되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및 토큰 생성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A smart contract writing and token creation method in which previously undistributed tokens held in a smart contract or vault wallet are pushed to an investor's wallet by a smart contract (dApp) according to a defined vesting schedule.
상기 SwapBot dApp을 제어하기 위한 UIUX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거래의 세부정보를 SwapBot dApp에 입력하는 단계로서, 상기 세부정보는 구매할 토큰 이름, 거래가 기록될 블록체인 네트워크, 결제가 이루어질 지갑, 구매에 사용할 디지털 자산의 유형, 결제 금액, 상기 거래의 세부정보에 대해 접근 또는 할인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매 코드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거래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상기 SwapBot 애플리케이션은 구매자의 지갑 잔액을 표시하고, 구매자의 지갑에 구매를 위한 충분한 자산이 있는지 확인하고, 지정된 블록체인에서 상기 거래를 실행하기 위해 구매자의 지갑에 적절한 가스가 사용 가능한지 확인하고, 상기 구매 코드가 유효한지 확인하는, 단계;
블록체인 오라클에 표시된 현재 시장 가격을 기준으로 구매할 토큰 수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SwapBot dApp에 입력된 거래 세부정보에 따라 DeFi 풀에 대해 스마트 계약 거래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디지털 자산이 구매자의 지갑으로부터 DeFi 풀에 결제로서 전송되고, 그 대가로, 구매한 토큰이 DeFi 풀로부터 구매자의 지갑으로 전송되는, DeFi 풀에서의 거래 실행 방법.A method of executing transactions in a DeFi pool using the autonomous SwapBot dApp, comprising:
Starting a UIUX decentralized application to control the SwapBot dApp;
Entering the details of the transaction into the SwapBot dApp, where the details include the name of the token to be purchased, the blockchain network where the transaction will be recorded, the wallet where the payment will be made, the type of digital asset to be used for the purchase, the payment amount, and the details of the transaction. including a purchase code to enable access or discount for;
As a step of confirming the transaction, the SwapBot application displays the buyer's wallet balance, verifies whether the buyer's wallet has sufficient assets for the purchase, and appropriate gas in the buyer's wallet to execute the transaction on the designated blockchain. verifying that it is available, and verifying that the purchase code is valid;
Calculating the number of tokens to purchase based on the current market price displayed in the blockchain oracle; and
Executing a smart contract transaction for the DeFi pool according to transaction details entered into the SwapBot dApp,
A method of executing transactions in a DeFi pool whereby digital assets are transferred from the buyer's wallet to the DeFi pool as payment, and in return, the purchased tokens are transferred from the DeFi pool to the buyer's wallet.
상기 토큰에 대한 결제는 토큰; 스테이블코인(USDT, USDC, BUSD 또는 DAI); 또는 Ether 랩 토큰(WETH)과 같은 암호화폐의 크립토 랩을 포함하는 암호화폐를 사용하여 DeFi 풀에 대해 이루어지는, DeFi 풀에서의 거래 실행 방법. According to clause 12,
Payment for the token includes token; Stablecoins (USDT, USDC, BUSD or DAI); or a method of executing transactions on a DeFi pool, made against the DeFi pool using a cryptocurrency that includes a crypto wrap of a cryptocurrency, such as the Ether wrap token (WETH).
상기 DeFi 풀은 토큰 공급량과 크립토 디지털 자산의 모음을 포함하고, 여기서 토큰의 구매는 DeFi 풀 내의 토큰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반면 DeFi 풀의 크립토 디지털 자산의 총 가치는 증가시키는, DeFi 풀에서의 거래 실행 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The DeFi pool includes a token supply and a collection of crypto digital assets, wherein the purchase of tokens decreases the token supply within the DeFi pool while increasing the total value of the crypto digital assets in the DeFi pool. .
상기 DeFi 풀은 토큰 공급량과 크립토 디지털 자산의 모음을 포함하고, 여기서 DeFi 풀 내의 토큰의 총 가치와 크립토 디지털 자산의 총 가치 사이에 불균형이 발생하는 경우, DeFi 풀은 DeFi 풀에서 더 큰 총 가치를 지닌 자산의 일부를 판매하고 더 작은 총 가치를 지닌 자산을 구매하는 조합을 통해 자동 시장 조성자(AMM: automatic market maker) 프로그램에 의해 재조정되며 이 과정은 재조정 시점에 두 자산의 총 가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때까지 이루어지는, DeFi 풀에서의 거래 실행 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The DeFi pool includes a token supply and a collection of crypto digital assets, wherein if an imbalance occurs between the total value of the tokens within the DeFi pool and the total value of the crypto digital assets, the DeFi pool will store the greater total value in the DeFi pool. A rebalancing is carried out by an automatic market maker (AMM) program through a combination of selling some of the assets held and purchasing assets with a smaller total value, a process that results in the total value of the two assets being substantially equal at the time of rebalancing. How to execute transactions in a DeFi pool, until done.
두 세트의 토큰을 생성하는 스마트 계약을 작성 및 시작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제1세트는 거래 가능한 토큰을 포함하고 상기 거래 가능한 토큰은 거래, 판매 또는 투자를 위해 제공되며, 제2세트는 담보된 거래 토큰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담보된 거래 토큰은 상기 거래 가능 토큰에 대해 고정 비율로 생성되고,
상기 거래 가능 토큰은 스마트 계약 또는 보관소에 잠겨 있고, 상기 스마트 계약 또는 보관소가 귀속확정 일정 또는 기타 조건에 따라 상기 토큰의 일부를 잠금 해제한 후에 전송이 가능하며,
거래 가능 토큰을 구매하는 투자자는 상기 거래 가능 토큰이 전부 또는 일부 귀속확정되고 잠금 해제될 때까지 상기 거래 가능 토큰에 대한 임시 프록시로서 담보된 거래 토큰을 받으며,
담보된 거래 토큰의 보유자는 상기 담보된 거래 토큰을 귀속확정 거래 가능한 토큰으로 고정된 비율로 상환할 수 있고,
거래 가능 토큰은 상기 거래 가능 토큰이 귀속확정, 잠금 해제 및 상환된 후에 제한 없이 판매, 교환, 거래 또는 달리 담보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귀속확정되지 않은 거래 가능 토큰은 잠긴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귀속확정되지 않은 거래 가능 토큰이 귀속확정될 때까지 담보된 토큰으로 상환될 수 없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방법.A method of writing a smart contract to execute a token release through a collateralized transaction pool, comprising:
Creating and initiating a smart contract that creates two sets of tokens, wherein the first set contains tradable tokens and the tradable tokens are offered for trading, selling or investing, and the second set contains secured transactions. Containing steps, including tokens,
The collateralized trading tokens are generated at a fixed rate relative to the tradable tokens,
The tradable tokens are locked in a smart contract or storage and can be transferred after the smart contract or storage unlocks a portion of the tokens according to a vesting schedule or other conditions,
Investors purchasing tradable tokens receive collateralized trading tokens as temporary proxies for said tradable tokens until all or part of said tradable tokens are vested and unlocked;
Holders of collateralized transaction tokens can redeem the collateralized transaction tokens at a fixed rate with vested tradable tokens,
Tradable Tokens may be sold, exchanged, traded or otherwise pledged as collateral without restriction after said Tradable Tokens have been vested, unlocked and redeemed;
A method of creating a smart contract in which unconfirmed tradable tokens remain locked and cannot be redeemed with collateral tokens until the unattributed tradable tokens are assigned.
담보된 거래 토큰의 상환은 담보된 kTx 풀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담보된 kTx 풀은 DeFi 스마트 계약에 의해 생성되고, 거래 가능 토큰 및 담보된 거래 토큰을 포함하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방법.According to clause 16,
Redemption of collateralized transaction tokens is performed by the collateralized kTx pool.
The collateralized kTx pool is created by a DeFi smart contract and includes a tradable token and a collateralized trading token.
거래 가능한 토큰이 각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고유한 연속적인 투자 트랜치에서 출시되며, 여기서 상기 토큰들의 귀속확정 일정은 다양한 투자 트랜치에 따라 달라지며, 일부 거래 가능한 토큰은 토큰 생성 시 즉시 거래 가능한, 스마트 계약 작성 방법.According to clause 16,
Tradeable tokens are released in successive investment tranches unique to each blockchain network, where the vesting schedule for the tokens varies depending on the various investment tranches, and some tradable tokens are created with smart contracts that can be traded immediately upon token creation. method.
상기 거래 가능한 토큰의 구매 및 kTx 토큰의 출시는 USDT, USDC BUSD 및 DAI와 같은 스테이블코인; WETH와 같은 크립토 랩; 귀속확정 전 담보로 보유된 거래 가능한 토큰; 및/또는 소유권 증명으로서 구매 시 출시된 담보 거래 토큰을 포함하는 다수-크립토 kTx 스왑 풀을 통해 촉진되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방법. According to clause 16,
The purchase of the above tradable tokens and the release of kTx tokens include stablecoins such as USDT, USDC BUSD and DAI; Crypto labs like WETH; Tradable tokens held as collateral before vesting; and/or a method of creating smart contracts, facilitated through a multi-crypto kTx swap pool containing collateralized transaction tokens released upon purchase as proof of ownership.
상기 스마트 계약은 스테이킹 풀 제공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킹 풀 제공은 귀속확정된 또는 귀속확정되지 않은 거래 가능 토큰에 대해 투자의 이자 수익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방법.According to clause 16,
The smart contract includes provision of a staking pool, and the provision of the staking pool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delivers the interest income of the investment for tradable tokens with confirmed or unconfirmed belonging. A method of creating a smart contract.
담보된 거래 토큰은 상환될 때 재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소각되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방법.According to clause 16,
A method of writing smart contracts where collateralized transaction tokens are burned to prevent reuse when redeemed.
거래 가능 토큰의 구매 또는 담보된 거래 토큰의 상환은 자율 SwapBot dApp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스마트 계약 작성 방법.According to clause 16,
A method of creating smart contracts, where the purchase of tradable tokens or redemption of collateralized tradable tokens can be performed through an autonomous SwapBot dAp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2163281317P | 2021-11-19 | 2021-11-19 | |
US63/281,317 | 2021-11-19 | ||
US17/711,015 | 2022-03-31 | ||
US17/711,015 US20220327529A1 (en) | 2021-03-31 | 2022-03-31 | Advanced Transactional Protocols And Ecosystem For Smart Contract Authoring And Deployment |
PCT/US2022/022969 WO2022212801A2 (en) | 2021-03-31 | 2022-05-06 | Advanced transactional protocols and ecosystem for smart contract authoring and deploy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99107A true KR20240099107A (en) | 2024-06-28 |
Family
ID=9166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37310A Pending KR20240099107A (en) | 2021-11-19 | 2022-05-06 | Advanced transaction protocol and ecosystem for creating and deploying smart contrac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99107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40112176A1 (en) * | 2022-09-30 | 2024-04-04 | Ncr Corporation | Crypto-based transaction fraud protection |
-
2022
- 2022-05-06 KR KR1020237037310A patent/KR20240099107A/en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40112176A1 (en) * | 2022-09-30 | 2024-04-04 | Ncr Corporation | Crypto-based transaction fraud prote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327529A1 (en) | Advanced Transactional Protocols And Ecosystem For Smart Contract Authoring And Deployment | |
US11995549B2 (en) | Architectures, systems and methods having segregated secure and public functions | |
US1189363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trading | |
US20240320637A1 (en) | Virtual currency system | |
US10055720B2 (en) | Virtual currency system | |
Asharaf et al. | Decentralized computing using Blockchain technologies and smart contracts: Emerging research and opportunities: Emerging research and opportunities | |
Franco | Understanding Bitcoin: Cryptography, engineering and economics | |
CN109313685A (en) | Encryption application of blockchain system | |
KR20240099107A (en) | Advanced transaction protocol and ecosystem for creating and deploying smart contracts | |
Cheng | Metaverse and Blockchain | |
EP4540967A1 (en) | Nft enforcement control system | |
Teles | Data protection with Ethereum blockchain | |
Lesavre et al. | Token Design and Management Overview | |
Stramm et al. | Blockchain Technology | |
Korhonen | Cryptoassets: Value and price drivers of a new asset class | |
HK40029941A (en) | Virtual currency system | |
Norta | SECURITY ANALYSIS OF THE EURO 2.0 DIGITAL CURRENCY PROTOTY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0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5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