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4932A - System for monitoring employing working of edge computing and working of security - Google Patents
System for monitoring employing working of edge computing and working of secur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74932A KR20240074932A KR1020220151386A KR20220151386A KR20240074932A KR 20240074932 A KR20240074932 A KR 20240074932A KR 1020220151386 A KR1020220151386 A KR 1020220151386A KR 20220151386 A KR20220151386 A KR 20220151386A KR 20240074932 A KR20240074932 A KR 202400749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behavior
- resident
- location
- st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7—Processing image or video features in feature spaces; using data integration or data reduction, e.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r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CA] or self-organising maps [SOM]; Blind source separation
- G06V10/774—Generating sets of training patterns; Bootstrap methods, e.g. bagging or boos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0—Healthcare; Welfare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30/00—IoT infrastructure
- G16Y30/10—Security thereof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50—Safety; Security of things, users, data or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18—Block ciphers, i.e. encrypting groups of characters of a plain text message using fixed encryption transformation
- H04L9/0631—Substitution permutation network [SPN], i.e. cipher composed of a number of stages or rounds each involving linear and nonlinear transformations, e.g. AES algorith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ioeth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장소에서 예를 들어, 주택가 주변이나 산책로 등에서 각종 위험 상황이 발생할 경우, 관리 장치에서 적절한 상황 인식을 수행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cont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to enable the management device to perform appropriate situational recognition and respond when various dangerous situations occur in various places, for example, around residential areas or on trails.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material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by inclusion in this section.
일반적으로, 최근들어 생활이 복잡해지고 빠르게 바뀌면서 공공안전에 여러 어려움들이 발생하며, 그래서 이에 대한 관심도 여러 면에서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으로 방송과 미디어 공공복지 및 재난안전 분야에 대한 움직임도 많이 볼 수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as life has become more complex and changes rapidly in recent years, various difficulties have arisen in public safety, and interest in this has been shown in many ways. And, due to this situation, we are seeing a lot of movement in the fields of broadcasting, media, public welfare, and disaster safety.
그래서, 이러한 점을 살펴볼 때, 다양한 환경에서 예를 들어, 제조 및 복잡한 장소(생활공간) 등에서 외부로부터의 여러 가지 상황을 적절하게 탐지, 인식하여,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는 관련 기술 확보가 유용할 듯 하다.So, when looking at this point, it would be useful to secure related technologies that can properly detect and recognize various external situations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manufacturing and complex places (living spaces), and respond smoothly. do.
한편, 이러한 기술로는 종래에 CCTV 및 영상 분석 기술을 중심으로 한 것이고, 재난과 사회 안전 서비스의 경우에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사물인터넷 기반 안전 서비스 개발 등에 따라 시스템 도입 비용 절감과 제품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se technologies have traditionally centered on CCTV and video analysis technology, and have been mainly used in the case of disaster and social safety services. With the development of IoT-based safety services, it is expected that system introduction costs will be reduced and product substitution effects will be achieved. You will be able to.
그리고, 이러한 기술을 살펴보면, 안전 서비스 등을 위해서 센서 데이터 수집을 위한 플랫폼 기술은 관리 장치와 제조데이터 수집 디바이스 분야로 크게 분류한다. 또한, 관리 장치는 생산영역에서 안전과 보안,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솔루션으로 개발하고, 또는 생산과 품질, 운영 등을 처리하는 제조 과정에 활용한다. 그리고, 제조데이터 수집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측면으로 개발하고 세부 장비 개발과 연계한 센서와 제어시스템의 주요 부분은 개발이 쉽지 않는 실정이다.Looking at these technologies, platform technologies for collecting sensor data for safety services, etc. are broadly classified into management devices and manufacturing data collection devices. In addition, management devices are developed as solutions that provide safety, security, and services in the production area, or are u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o handle production, quality, and operations. 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develop manufacturing data collection devices from the device side and major parts of sensors and control systems linked to detailed equipment development.
이에 더하여, IoT 기술도 이전과 다르게 보안영역에서는 경량 디바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경량 IoT 보안 게이트웨이 및 HW 제약ㅇ성능 등이 상이한 점을 해결하는 기기 맞춤형 보안방식과 경량/저전력용 보안 HW 모듈 등의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before, IoT technology also uses technologies such as lightweight IoT security gateways that provide lightweight device functions, device-customized security methods that resolve differences in HW limitations and performance, and lightweight/low-power security HW modules in the security area. can be developed
그래서, 사물인터넷 센서의 활용 등을 통해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고 보안이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also desirable to prevent risks in advance and provide secure services through the use of IoT sensors.
예를 들어, 주변에 주택가가 있는 관광지와 야간통행이 금지하는 해변 산책로, 낚시 금지 장소 등에서 관광객 등의 위험상황을 인지하고 실시간으로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는 모니터링 및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For example, it can be used as a monitoring and system that can recognize dangerous situations for tourists and inform them of dangerous situations in real time in tourist attractions with residential areas nearby, beach promenades where night traffic is prohibited, and places where fishing is prohibited.
그리고, 또한 이를 활용하여 관광지 뿐만 아니라 안전을 위한 이상징후 상황 인지 및 알림을 수행하는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not only in tourist destinations but also in the field of recognizing and notifying abnormal situations for safety.
이러한 배경의 선행기술문헌은 아래의 문헌 정도이다.The prior art literature against this background is the following.
(특허문헌 0001) KR1020150074060 A(Patent Document 0001) KR1020150074060 A
(특허문헌 0002) KR1020180061841 A(Patent Document 0002) KR1020180061841 A
참고적으로, 상기 문헌 1은 IoT 보안을 위한 제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략적으로 IoT 기반 네트워크에서 IoT 센서와 서버 간에 패킷의 이상 행위를 탐지하여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For reference, Document 1 above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rol services for IoT security, and roughly relates to technology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abnormal packet behavior between IoT sensors and servers in an IoT-based network.
그리고, 문헌 2도 IoT 기기 자동 제어를 위한 엣지-클라우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IoT 센서 신호의 패턴과 상황을 통해 특정 상태가 발생하면 이를 제어하는 정도의 특징을 나타낸다.In addition, Document 2 is also about an edge-cloud system for automatic control of IoT devices, and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gree to which it is controlled when a specific state occurs through the pattern and situation of IoT sensor signals.
개시된 내용은, 주변에 주택가가 있는 관광지와 야간통행을 금지한 산책로 등에서 정상적 상황 인지를 통해 위험 상황의 인지 및 신속 대응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보안기술과 엣지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disclosed content is intended to provide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using security technology and edge computing technology that can recognize dangerous situations and find quick response measures through normal situation recognition in tourist attractions with residential areas nearby and trails where night traffic is prohibited. do.
그리고 이러한 경우, 다양한 장소에서 엣지 기술을 사용할 경우에 정보의 분산과 이에 맞는 암호 방식으로부터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다양한 장소에서 신속하고 원활하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And in this case, when edge technology is used in various places, information is distributed and exchanged using an appropriate encryption method, allowing information to be exchanged quickly and smoothly in various places.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술과 엣지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은,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using security technology and edge computing technolog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엣지형 Iot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방문객 패턴 분석을 수행하고, 이상 체류 패턴을 감지하며, 소음 감지 센서 등을 활용하여 실증 지역의 심야 시간대 등에서 방문자 등의 소음 패턴 등을 감지함으로써, 다양한 각종 재난과 안전 상황 등을 판단한다. 그리고 또한, 이상 체류자를 탐지한 경우에는 실증 장비에 연결한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를 통해 위험상황을 표출하는 상황알림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y using an edge-type IoT sensor module to analyze visitor patterns, detect abnormal stay patterns, and use noise detection sensors to detect noise patterns of visitors, etc. in the late-night hours of the demonstration area, various disasters and safety are prevented. Judge the situation, etc. In addition, when an abnormal stay is detected, a situation notification is provided that displays a dangerous situation through a speaker and display connected to the verification equipment.
그리고, 또한 이러한 센서로부터 수집 및 분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안전상황을 판단하는 포맷을 구성하고, 이러한 안전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경보를 결정하며, 다양한 상황별로 각기 알림을 제공한다.In addition, a format for determining the safety situation is cre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se sensors, different alarms ar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afety situation, and notifications are provided for various situations.
특히, 이렇게 다양한 장소에서 관리자 측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경우, 다수의 상이한 장소별로 각기 해당하는 모듈 개수별로서 부분 비밀 키를 만들어서 공유하고, 이를 스크램블로 해당 정보와 배타적 논리합 특징을 이용하여 연산한다. 그리고, 정보를 주고받을 경우마다 배타적 논리합의 특징에 따라 스크램블을 소멸해서 상용의 암호 정보를 예를 들어, AES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when information is exchanged with the administrator in such various places, a partial secret key is created and shared for each corresponding number of modules in multiple different places, and this is scrambled and calculated us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nd exclusive O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whenever information is exchanged, the scramble is cancel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xclusive OR to transmit commercial encryp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ES information.
실시예들에 의하면, 정상적 상황 인지를 통한 신속한 위험 상황의 인지 및 대응 체계를 확보하고, 예를 들어, 특정 장소에서의 장시간 움직임 없음과 위험 장소 접근(진입) 등의 상황인지를 통해 신속 대응 체계를 확보함으로써, 신속한 구호와 구조를 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a rapid recognition and response system for dangerous situations is secured through normal situation recognition, and a rapid response system is established through situation recognition, for example, long-term movement in a specific place and approach (entry) to a dangerous place. By securing, rapid relief and rescue is possible.
특히, 이러한 경우, 다양한 장소에서 엣지 기술을 사용할 경우에 정보의 분산과 이에 맞는 암호 방식으로부터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다양한 장소에서 신속하고 원활하게 정보를 교환한다.In particular, in this case, when edge technology is used in various places, information is exchanged quickly and smoothly in various places by dispersing information and exchanging information through an appropriate encryption method.
도 1과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기술과 엣지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기술과 엣지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기술과 엣지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한 관리 정보처리정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기술과 엣지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1 and 2 are diagrams to conceptually explain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using security technology and edge computing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using security technology and edge computing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applied to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using security technology and edge computing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using security technology and edge computing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과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기술과 엣지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s 1 and 2 are diagrams to conceptually explain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using security technology and edge computing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구체적으로는, 도 1은 이러한 구성의 전체적인 개념도이고, 도 2는 이러한 구성의 엣지 보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Specifically, Figure 1 is an overall conceptual diagram of this configuration, and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dge board of this configuration.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는 먼저, 주변에 주택가가 있는 관광지와 야간통행을 금지한 산책로 등의 다수의 상이한 장소별로 각기 설치한 온/습도 센서와 소음/진동 센서 등의 IoT센서 모듈과, 전광판 장치, 스피커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원격지 상에 IoT 플랫폼과 관리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in one embodiment, temperature/humidity sensors and noise/vibration sensors are installed in a number of different places, such as tourist attractions with residential areas nearby and trails where night traffic is prohibited. Includes IoT sensor module, electronic signboard device, and speaker device. And, it includes an IoT platform and a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 a remote location.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이러한 경우, 각각의 장소 내에 엣지형 Iot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방문객 패턴 분석을 수행하고, 이상 체류 패턴을 감지하며, 소음 감지 센서 등을 활용하여 실증 지역의 심야 시간대 등에서 방문자 등의 소음 패턴 등을 감지함으로써, 다양한 각종 재난과 안전 상황 등을 판단한다. 그리고 또한, 이상 체류자를 탐지한 경우에는 실증 장비에 연결한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를 통해 해당 장소에서 위험상황을 표출하는 상황알림을 수행한다.Specifically, in this case, the system of this embodiment performs visitor pattern analysis using an edge-type IoT sensor module within each location, detects abnormal stay patterns, and utilizes noise detection sensors, etc. to detect late-night traffic in the demonstration area. By detecting noise patterns from visitors, etc. at different times of the day, various disasters and safety situations are determined. In addition, when an abnormal stay is detected, a situation notification is sent to indicate a dangerous situation at the location through a speaker and display connected to the verification equipment.
이러한 시스템은 특징을 살펴보면, 이러한 경우에 기존 제품의 단점(대용량과 보안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엣지 컴퓨팅 기반으로, 대용량의 비정형 정보 처리 및 보안의 취약점을 개선한다(도 2 참조).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ystem, in this case, it is based on edge computing that can solve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products (such as large capacity and security), processing large amounts of unstructured information and improving security vulnerabilities (see Figure 2).
그리고 또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재난 상황 현장에 알리기 위한 재난 경보와 엣지형 센서간의 연동 인터페이스를 별도로 제공하기도 한다(참고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아래에서 설명함).Also, in this case, a separate interface is provided between the disaster alert and the edge sensor to notify the site of the disaster situation (for reference, more details are explained below).
한편, 이에 더하여, 일실시예는 비정상적 상황 인지를 통한 위험 상황의 인지 및 신속 대응 방안을 확보하고, 예를 들어, 특정 장소에서의 장시간 움직임 없음과 위험 장소 접근(진입) 등을 통해 신속 대응 방안을 확보함으로써, 신속한 구호와 구조를 한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is, one embodiment secures recognition of dangerous situations and a quick response plan through recognition of abnormal situations, for example, a quick response plan through no movement in a specific place for a long time and approach (entry) to a dangerous place, etc. By securing, rapid relief and rescue is possible.
이를 위해, 와이파이 센서를 통해 체류자 정보 예를 들어, 체류자/체류시간 정보 등을 수집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종래의 와이-파이 탐지 센서는 사용자가 와이-파이를 키거나 AP에 접속을 한 상태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낮은 계수 정확도를 제공한다.For this purpose, resident information, such as resident/residence time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a Wi-Fi sensor. However,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Wi-Fi detection sensor collects information while the user turns on Wi-Fi or connects to the AP. Therefore, it provides relatively low counting accuracy.
그러나, 제안 센서는 와이-파이를 오프한 상태에서도 미세하게 발신하는 시그널을 높은 수준으로 탐지하는 방안을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의 스마트폰에서 랜덤 맥 사용에 대응하여 맥 디-랜드미제이션(De-Randamization)을 적용하여 중복탐지를 하지 않고 동일한 장치로 인식하여 외부의 침입 감지에 효과적으로 적용한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도 6을 참조하여 하기도 한다.However, the proposed sensor utilizes a method of detecting finely transmitted signals at a high level even when Wi-Fi is turned off, and in response to the use of random Macs in recent smartphones, Mac de-landization (De- By applying randomization, it is recognized as the same device without duplicate detection and is effectively applied to external intrusion detection. A mor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6 below.
다른 한편으로, 추가적으로 이러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전술한 바의 센서로부터 수집 및 분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상황을 판단하는 포맷을 구성하고, 이러한 재난 상황에 따른 경보를 결정하며, 다양한 상황에 따른 알림 기능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dditionally configures a format for determining a disaster situation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above-described sensor, determines an alert according to this disaster situation, and determines a warning in various situations. Provides notification functions according to the following.
예를 들어, 이러한 경우에 와이-파이 신호 탐지는 비어 있어야 하는 장소에 위치한 사람과 같은 비정상적인 활동을 감지할 수 있지만 이러한 비정상적인 활동은 위치 및 시나리오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호수 근처 새벽 3시에 1시간 이상 머문다면 경고를 발생하기만 하고, 복잡한 장소에서 동일한 상황일 경우에는 정상 행동으로 간주한다.For example, in these cases, Wi-Fi signal detection can detect unusual activity, such as a person located in a place that should be empty, but this unusual activity varies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scenario. For example, if you stay near a lake for more than an hour at 3 a.m., a warning will be issued, but if the same situation occurs in a crowded place, it is considered normal behavior.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비정상 행동에 대한 시나리오는 별도로 정의한다.And, in these cases, scenarios for such abnormal behavior are defined separately.
그래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는 장소와 사람의 행태 등에 대한 정보 학습 및 진단 등을 통한 상황맞춤 방식의 안전 케어를 제공하고, 보급에 따른 재난 및 안전 사고 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한다.Therefore, through this, one embodiment provides safety care tailored to the situation through information learning and diagnosis about places and people's behavior, etc., and minimizes damage due to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due to dissemination.
이러한 상태에서, 일실시예는 다수의 장소에서 모듈들을 여러 개 사용할 경우, 아래의 방식으로부터 분산 정보로와 암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많은 장소에서 모듈을 여러 개 사용하는 상황에 맞게 정보를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도 2 참조).In this state, when multiple modules are used in multiple locations, one embodiment performs distributed information and encryption processing using the method below to smoothly pro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which multiple modules are used in multiple locations. Make it possible (see Figure 2).
이를 위해, 먼저 상기 IoT센서 모듈은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For this purpose, first, the IoT sensor module operates as follows.
즉, 주변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경우, 설정 포맷으로부터 다수의 상이한 장소별로 각기 해당하는 센서 모듈 개수별로서(n개) 각기 부분 비밀 키를 만들어서 대상 장치가 공유한다. 다음, 이러한 정보를 주고받을 경우, 분산 정보에 대해서 이 정보를 스크램블로 하여 배타적 논리합을 해서 암호 처리를 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스크램블에 대하여 자동적인 소멸을 배타적 논리합 특징을 이용하여 수행하여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장소에 맞게 정보를 분산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when providing surrounding status information, a partial secret key is created for each number (n) of sensor modules corresponding to each of a number of different locations from the setting format and shared by the target device. Next, when exchanging this information, this information is scrambled and exclusive OR is performed on the distributed information to encrypt it. Then, automatic destruction of this scramble is performed using the exclusive OR feature and transmitted, allowing information to be distributed and provided to various locations.
여기에서, 상기 설정 포맷은 아래와 같다.Here, the setting format is as follows.
a) 먼저, 주변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경우,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암호 방식을 바탕으로 해서 평문의 모양이나 길이에 따라 각기 상이한 비밀키를 하나 선택한다.a) First, when collecting surrounding status information, a different secret key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shape or length of the plaintext based on the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encryption method.
그리고, 비밀키 크기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라운드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여 반복실행함으로써 암호문을 획득한다.The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cret key, one of a number of different rounds is selected and executed repeatedly to obtain the ciphertext.
이러한 경우, 각 라운드별 함수는 라운드 키 덧셈과 치환 계층, 확산 계층을 포함하는 ARIA(Academy Research Institute Agency) 암호화 포맷을 적용한다.In this case, the function for each round applies the ARIA (Academy Research Institute Agency) encryption format, which includes round key addition, a permutation layer, and a spreading layer.
b) 그리고 나서, 상기 라운드 키 덧셈 연산을 수행하기 전에, 평문과 비밀키로부터 n-1개의 스크램블러와(n개는 각각의 개수임) 배타적 논리합을 먼저 수행함으로써 변조한다.b) Then, before performing the round key addition operation, the plaintext and the secret key are modulated by first performing exclusive OR with n-1 scramblers (n is each number).
c) 다음, 변조한 정보를 n개의 부분 비밀 키로 설정하고, n개의 각 대상으로 서로 다른 하나의 부분 비밀 키를 제공한다.c) Next, the altered information is set as n partial secret keys, and a different partial secret key is provided to each of the n targets.
d) 그리고 변조를 수행한 경우, 상기 비밀키 크기에 따른 한 가지 라운드의 라운드 키 덧셈 연산을 포함한 라운드별 함수로서 반복실행함으로써 암호문을 획득한다.d) When modulation is performed, the ciphertext is obtained by repeatedly executing it as a function for each round including one round of round key addition operations according to the secret key size.
그래서, 상기 암호문을 획득할 경우마다, 상기 스크램블러가 라운드 키 덧셈 연산에서 시스템적으로 소멸하도록 한다.So, whenever the ciphertext is obtained, the scrambler is systematically destroyed in a round key addition operation.
이러한 배경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단말기가 고성능/고용량화 되어 감에 따라, 단말기의 내부의 중요 데이터들에 대한 보호 및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o briefly explain this background, as terminals become more high-performance and high-capacity,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and managing important data inside the terminal is emerging.
이러한 중요 데이터들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해서 종래에는 단말기의 중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하여 백업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To protect and manage such important data, a method of backing up the important data of a terminal by encrypting it and storing it in an external storage device has been used.
하지만, 중요 데이터가 하나의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되는 경우, 저장 장치가 해킹되는 경우 중요 데이터가 손쉽게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f important data is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device, a problem may arise where important data is easily leaked if the storage device is hacked.
따라서, 중요 데이터를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함에 있어서, 보다 안전한 방법을 요구하기도 한다.Therefore, when storing important data in an external storage device, a more secure method is required.
한편, 이러한 점에 더하여 상기한 분산과 암호 처리 방식은 이러한 경우, 다른 예로서 종래 기술을 활용하여 아래의 구성으로부터 이 처리를 수행하므로, 다른 면으로 효과적인 분산 등을 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is, the above-described distribution and encryption processing method performs this processing from the configuration below using conventional technology as another example in this case, thereby enabling effective distribution, etc. in other aspects.
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은 먼저 스크램블을 n-1개 즉, 대상의 개수에서 하나를 뺀만큼 비밀 키를 구성하고, 이러한 비밀 키를 이용해서 n개의 분산 정보를 만든다.For example, this configuration first constructs a secret key with n-1 scrambles, that is, the number of targets minus one, and uses this secret key to create n pieces of distributed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수항을 비밀 정보로 하는 t-1차 랜덤 다항식(f(x))을 선택하고, t-1차 랜덤 다항식(f(x))의 x에 1부터 n까지의 값을 대입하여 n개의 분산 정보를 만들 수 있다. 이때, t는 비밀 데이터를 복구하는데 필요한 분산 데이터의 개수를 나타낸다.To explain more specifically, a t-1st order random polynomial (f(x)) with a constant term as secret information is selected, and values from 1 to n are assigned to x of the t-1st order random polynomial (f(x)). By substituting, n distributed information can be created. At this time, t represents the number of distributed data required to recover secret data.
그리고, 특정한 비밀 키를 구성한다.Then, configure a specific secret key.
다음, n-1개의 랜덤키를 즉, n-1개의 스크램블을 생성하고, 비밀 키와 n-1개의 랜덤 키를 모두 비트단위 배타적 논리합(Bitwise XOR)한다.Next, n-1 random keys, that is, n-1 scrambles, are generated, and both the secret key and the n-1 random keys are bitwise XORed.
그리고 나서, 이러한 정보를 n개의 부분 비밀 키로 설정하고, n개의 대상들 각각으로 서로 다른 하나의 부분 비밀 키를 송신할 수 있다.Then, this information can be set into n partial secret keys, and a different partial secret key can be sent to each of the n destinations.
그리고, n개의 분산 정보 각각을 비밀 키로 암호 처리하여 n개의 분산 정보를 만든다.Then, each n piece of distributed information is encrypted with a secret key to create n pieces of distributed information.
그리고, n개의 암호 처리한 분산 정보를 각각에 대응하는 n개의 대상들로 송신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참고적으로, 이러한 방식은 위의 방식에 동일하게 사용하기도 한다.Then, n encrypted distribu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n destinations corresponding to each and stored. For reference, this method is also used in the same way as the above method.
그래서, 이렇게 암호 처리한 분산 정보를 송신하기에 앞서, n개의 대상들이 정당한 사용자인지 인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before transmitting the encrypted distributed information, a process of authenticating whether n targets are legitimate users can be performed.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기술과 엣지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using security technology and edge computing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다수의 상이한 장소별로 각기 설치한 온/습도와 소음/진동 등에 대한 IoT센서 모듈(100-1~100-n)과 와이파이 센서(110-1~110-n) , 전광판 장치(120-1~120-n) 및 스피커 장치(130-1~130-n), IoT 플랫폼(200), 관리 정보처리장치(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system of one embodiment includes IoT sensor modules (100-1 to 100-n) and Wi-Fi sensors (110-1 to 110-1 to 100-n) for temperature/humidity and noise/vibration, respectively installed in a number of different locations. 110-n), electronic display devices (120-1 to 120-n) and speaker devices (130-1 to 130-n), IoT platform (200), and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상기 IoT센서 모듈(100-1~100-n)은 주변에 주택가가 있는 관광지와 야간통행을 금지한 산책로 등의 다수의 상이한 장소별로 예를 들어, a 장소와 b 장소, ... , n 장소에 설치한 것으로, 각각의 장소 내에 온도와 습도, 소음 등을 측정하여 주변 상태정보를 관리 정보처리장치(300)를 통해 관리자 등에게 제공한다.The IoT sensor modules (100-1 to 100-n) are used in a number of different places, such as tourist attractions with residential areas nearby and trails where night traffic is prohibited, for example, place a and place b, ..., place n. It is installed in and measures temperature, humidity, noise, etc. within each location and provides surrounding status information to managers, etc. through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상기 와이파이 센서(110-1~110-n)는 각각의 장소별로 설치하여 각각의 장소 내에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에 따른 와이파이 신호를 관리 정보처리장치(300)를 통해 제공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를 통해 관리 정보처리장치(300)에서 체류자에 대한 정보를 예를 들어, 심야 시간대에 인적이 드문 곳에 체류자가 있는지 등을 파악한다. The Wi-Fi sensors (110-1 to 110-n) are installed at each location and provide Wi-Fi signals according to the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of the person staying in each location through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Therefore, through this,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determines information about the resident, for example, whether there is a resident in a sparsely populated place late at night.
상기 전광판 장치(120-1~120-n)는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경고 정보로부터 구체적으로는, 관리 정보처리장치(300)를 통해 상황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 매체를 통해 출력해서 경보를 제공한다.The electronic sign devices (120-1 to 120-n) specifically receive a situation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disaster war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rough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and output it through a display medium to warn the user. provides.
상기 스피커 장치(130)는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경고로부터(관리 정보처리장치(300))를 통해 상황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출력해서 경보를 알림한다.The speaker device 130 receives a situation notification message from a disaster warning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outputs the message to notify the alarm.
상기 IoT 플랫폼(200)은 센서 모듈(!00)에서 관리 정보처리장치(300)로 전구간 정보 전달 및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관리 정보처리장치(300)에서 센싱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리소스 등록과 검색, 수정 등 디바이스 관리에 관한 기능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장치 등은 각기 자가망 예를 들어, TCP/IP망 등을 통해 연결하기도 한다.The IoT platform 200 enables information transfer and management throughout the entire range from the sensor module (!00) to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In this case, it is used to store sensing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and provides functions related to device management such as registration, search, and modification of the corresponding resource. Additionally, these devices may be connected through their own networks, such as TCP/IP networks.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300)는 상기 IoT센서 모듈(100-1~100-n)과 와이파이 센서(110-1~110-n)로부터 각 장소의 주변 상태와 체류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서, 이상 상태를 확인한 경우에 해당하는 장소의 전광판 장치(120-1~120-n)와 스피커 장치(130-1~130-n)로 경보 방송을 제공한다. 그리고 또한, 관리 정보처리장치(300)는 이러한 경우에, 해당하는 장소 내에 설비 기기로 제어명령을 전달하여 환기와 조명, 냉난방 등의 상태를 적절하게 조정하기도 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관리 정보처리장치(300)는 각 설비 기기 등의 동작을 원격지에서 관리자가 원하는 대로, 예를 들어 스케쥴 또는 이벤트 발생 여부에 따라 임의로 제어하기도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300)는 이러한 수집 및 분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상황을 판단하며, 이러한 재난 상황에 따른 경보를 결정하며, 다양한 상황에 따른 알림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300)는 이러한 정보 등과 관련하여 외부기관을 미리 등록해서 연계하여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며, 병원 정보처리장치와 경찰서 정보처리장치 등이기도 하다. 부가적으로,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300)는 지도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알림을 수행해서, 수치와 지도를 통해 각 장소의 주변 상태와 체류자 상황을 쉽게 알려주고, 운용상황과 이력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conditions and residents of each place from the IoT sensor modules (100-1 to 100-n) and Wi-Fi sensors (110-1 to 110-n), When the status is confirmed, an alarm broadcast is provided through the electronic signboard devices (120-1 to 120-n) and speaker devices (130-1 to 130-n) in the corresponding location. Additionally, in this case,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transmits control commands to equipment in the relevant location to appropriately adjust the conditions of ventilation, lighting, heating and cooling, etc. Additionally,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may arbitrarily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facility device as desired by the manager from a remote location,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schedule or whether an event occurs. In additi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determines a disaster situation based on the collected and analyzed information, determines an alarm according to the disaster situation, and provides notification functions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In this case,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provides better services by pre-registering and linking with external organizations in relation to such information, and is also a hosp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a police st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dditionally,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performs map-based real-time monitoring and notification, easily informing the surrounding conditions and resident status of each location through figures and maps, and also displays operation status and history.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기술과 엣지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한 관리 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pplied to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using security technology and edge computing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정보처리장치(300)는 크게, 인터페이스부(301)와 제어부(302), 데이터베이스(303), 키신호 입력부(304) 및 표시부(30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largely includes an interface unit 301, a control unit 302, a database 303, a key signal input unit 304, and a display unit 305. Includes.
상기 인터페이스부(301)는 각각의 장소별로 위치한 IoT센서 모듈(100)과 와이파이 센서(110), 전광판 장치(120) 및 스피커 장치(130)에 연결하고, 여러 설비 기기(140)와도 연결하여 다양한 각종 장소 주변 상태 정보와 체류자 정보(체류시간정보 포함)를 수집하고 경보방송과 설비제어를 한다.The interface unit 301 is connected to the IoT sensor module 100, Wi-Fi sensor 110, electronic sign device 120, and speaker device 130 located at each location, and is also connected to various equipment 140 to provide various Collects status information and resident information (including residence time information) around various locations and performs warning broadcasts and facility control.
상기 제어부(302)는 이러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를 각각의 설정 정상 상태정보와 비교하여 이상 여부에 따라 상기 IoT 플랫폼(200)을 통해 전광판 장치(120)와 스피커 장치(130)에 경고방송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어부(302)는 이러한 경우에 설비 기기(140)에 제어명령을 원격지에서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302)는 이러한 수집 및 분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상황을 판단하며, 이러한 재난 상황에 따른 경보를 결정하며, 다양한 상황에 따른 알림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제어부(302)는 a) 원격지에서 제어할 경우에, 내부에서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를 다수의 상이한 장소와 상황별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에 따라 축적하여 산출하는 재난/안전 관리모델을 미리 등록한다. 상기 주변 상태 행태와 상기 방문자 행태는 상기 장소와 상황별로 상이한 위치와 시나리오에 따라 구분하여 산출한다. b) 그리고 나서, 이러한 장소별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를 입력받을 경우마다, 상기 재난/안전 관리모델로부터 현재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를 각각의 설정 정상 행태와 비교한다. c) 상기 비교 결과, 현재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가 각각의 설정 정상 행태에 해당하는 경우에 경고방송정보와 제어명령을 제공하지 않고, 각각의 설정 정상 행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고방송정보와 제어명령을 제공한다.The control unit 302 compares the status information, resident information, and stay time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with each set normal status information, and operates the electronic sign device 120 and the speaker device through the IoT platform 200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Warning broadcast information is provided at (130). An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02 provides control commands to the equipment 140 from a remote loc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2 determines a disaster situation based on the collected and analyzed information, determines an alarm according to the disaster situation, and provides notification functions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Specifically, first, when controlling from a) a remote location, the control unit 302 internally records the surrounding status and visitor behavior, including status information around each location,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for a number of different locations and situations. Register in advance the disaster/safety management model that is accumulated and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the visitor behavior are calculated separately according to different locations and scenarios. b) Then, whenever state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are input for each location, the current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are set to normal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from the above disaster/safety management model, respectively. Compare. c) As a result of the above comparison, if the current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correspond to each setting's normal behavior, warning broadcasting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are not provided, and if they do not correspond to each setting's normal behavior, warning broadcasting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are not provided. Provides control commands.
한편, 상기 재난/안전 관리모델은 아래와 같다.Meanwhile, the disaster/safety management model is as follows.
a) 먼저 상기 원격지에서 제어할 경우에, 상기 장소별로 각각의 상황마다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를 다수의 상이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학습하는 모델을 정의한다.a) First, when controlling from the remote location, a model that classifies and learns the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in each situation for each location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the resident information, and 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Define.
상기 학습 모델을 분류할 경우에는, 다수의 상이한 위치와 시작 시간, 끝나는 시간, 기기 종류, 기기 등록 여부를 포함한 N개의 변수로 만들도록 한 벡터로부터 학습 파라메터를 분류한다.When classifying the learning model, the learning parameters are classified from a vector made of N variables including multiple different locations, start time, end time, device type, and device registration status.
b) 다음, 다수의 상이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에 따른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별로 특징을 나타내는 데이터셋을 추출한다.b) Next, extract a dataset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according to state information around each of a number of different places,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c) 그리고, 상기 데이터셋을 다수의 상이한 장소와, 시간대, 주변 상태, 상황정보를 반영하여 속성화한다.c) Then, the dataset is characterized by reflecting a number of different places, time zones, surrounding conditions, and situation information.
d) 그리고 나서, 이렇게 속성화 정보를 기초로 해서, 상기 학습 모델별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에 따른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의 속성을 결정한다.d) Then, based on this attribution information, determine the state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for each learning model, and the attributes of the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e) 다음, 상기 결정 정보를 정규화한다.e) Next, normalize the decision information.
f) 그래서, 상기 정규화 정보를 기초로 해서 각각의 학습 모델별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에 따른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를 설정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를 산출하기 위해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의 독립 변수와,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의 종속 변수를 설정한다.f) So, based on the above normalization information, the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the resident information, and 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are set for each learning model. So, in order to calculate the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and the dependent variables of state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are set.
g) 그리고 나서, 이러한 설정 정보를 학습 및 훈련 데이터로 만든다.g) Then, make this configuration information into learning and training data.
h) 그래서, 상기 정보로부터 해당 포맷을 만든다.h) So, create the corresponding format from the above information.
상기 데이터베이스(303)는 각종 센서 모듈과 전광판 장치, 스피커 장치 등의 장치정보를 등록하고,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303)는 운용상황과 이력 등을 저장하고, 전술한 학습모델 정보를 저장하기도 한다.The database 303 registers device information such as various sensor modules, electronic signboard devices, and speaker devices, and registers status information around each location,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in a database. Additionally, the database 303 stores operation status and history, and also stores the above-described learning model information.
상기 키신호 입력부(304)는 이렇게 재난상황 판단과 상황 알림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각종 설정정보를 예를 들어, 장소설정과, 이상확인용 정상상태정보 등의 모니터링용 정보 등을 입력받아 여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When performing disaster situation judgment and situation notification operations, the key signal input unit 304 provides various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for example, monitoring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settings and normal state information for abnormality confirmation. It receives input and performs various functions.
상기 표시부(305)는 이렇게 재난상황 판단과 상황 알림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 화면에 각종 알림정보를 예를 들어, 이상여부 메시지와 운용상황 및 이력 등을 나타내어 관리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display unit 305 performs disaster situation judgment and situation notification operations, it displays various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such as abnormality messages, operation status, and history, etc., so that the manager can easily see them.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기술과 엣지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Figure 5 is a procedural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using security technology and edge computing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는 먼저, 각종 소음과 진동 등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각각의 장소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는 IoT센서 모듈(100)에 연결하여,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를 수집한다.As shown in Figure 5, one embodiment is first connected to the IoT sensor module 100 that detects the condition around each place, including sensors for detecting various noises and vibrations, and provides status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Collect.
각각의 장소별로 설치하여 각 장소 내에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에 따른 와이파이 신호를 제공하는 와이파이 센서(110)와도 연결하여, 각 장소 주변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를 수집한다.It is installed at each location and connected to the Wi-Fi sensor 110, which provides a Wi-Fi signal according to the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of the resident within each location, and collects the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around each location.
그래서, 이러한 IoT센서 모듈(100)과 상기 와이파이 센서(110)에 의해 전달받은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를 각각의 설정 정상 상태정보와 비교한다.Therefore, the status information, resident information, and stay time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received by the IoT sensor module 100 and the Wi-Fi sensor 110 are compared with each set normal state information.
그리고, 비교한 정보에 따라 이상 여부를 판별하여 해당하는 설정 경고방송정보 또는 제어정보를 원격지에서 제공하도록 한다.Then, based on the compared information, any abnormality is determined and the corresponding set warning broadcasting information or control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a remote location.
그리고, 이러한 경우, 일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모듈에서 수집한 정보를 관리자 측에 제공함에 있어서, 아래의 방식을 통해 다양한 장소에서 신속하고 원활하게 해당 정보를 각기 보안 처리하여 엣지 측에서 적절하게 분산 전송함으로써, 제공하도록 한다.In this case, when provid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each module to the administ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is quickly and smoothly secured at various locations through the method below and distributed appropriately at the edge. By sending it, it is provided.
구체적으로는, 수집한 정보를 제공할 경우,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상이한 장소별로 각기 해당하는 센서 모듈 개수별로서(n개) 각기 부분 비밀 키를 만들어서 대상 장치가 공유한다. Specifically, when providing collected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a partial secret key is created for each number of sensor modules (n) in multiple different locations and shared by the target device.
다음, 이러한 정보를 주고받을 경우, 분산 정보에 대해서 이 정보를 스크램블로 하여 배타적 논리합을 해서 암호 처리를 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스크램블에 대하여 자동적인 소멸을 배타적 논리합 특징을 이용하여 수행하여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장소에 맞게 정보를 분산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Next, when exchanging this information, this information is scrambled and exclusive OR is performed on the distributed information to encrypt it. Then, automatic destruction of this scramble is performed using the exclusive OR feature and transmitted, allowing information to be distributed and provided to various locations.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일실시예에 따라 관리 정보처리장치(300)에서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Meanwhile, in this state,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원격지에서 제어할 경우에, 내부에서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를 다수의 상이한 장소와 상황별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에 따라 축적하여 산출하는 전술한 바의 재난/안전 관리모델을 미리 등록한다.a) In the case of control from a remote location, the above-mentioned method is calculated by accumulating internal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and the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for a number of different places and situations. Register the disaster/safety management model in advance.
그리고, 상기 주변 상태 행태와 상기 방문자 행태는 상기 장소와 상황별로 상이한 위치와 시나리오에 따라 구분하여 산출한다.In addition, the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the visitor behavior are calculated separately according to different locations and scenarios.
b) 다음, 상기 장소별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를 입력받을 경우마다, 상기 재난/안전 관리모델로부터 현재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를 각각의 설정 정상 행태와 비교한다.b) Next, whenever status information around each location, resident information, and stay time information are input for each location, the current surrounding status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are compared with each set normal behavior from the disaster/safety management model. do.
c) 상기 비교 결과, 현재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가 각각의 설정 정상 행태에 해당하는 경우에 경고방송정보와 제어명령을 제공하지 않고, 각각의 설정 정상 행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고방송정보와 제어명령을 제공한다.c) As a result of the above comparison, if the current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correspond to each setting's normal behavior, warning broadcasting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are not provided, and if they do not correspond to each setting's normal behavior, warning broadcasting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are not provided. Provides control commands.
예를 들어, 아래와 같다.For example:
먼저, 다수의 상이한 장소별로 각기 설치한 다수의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 소음 센서, 진동 센서를 포함하여 각각의 장소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는 IoT센서 모듈에 연결하여,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를 수집한다.First, collect status information around each location by connecting to IoT sensor modules that detect the conditions around each location, including multiple temperature sensors, humidity sensors, noise sensors, and vibration sensors installed in multiple different locations. do.
각각의 장소별로 설치하여 각 장소 내에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에 따른 와이파이 신호를 제공하는 와이파이 센서와도 연결하여, 각 장소 주변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를 수집한다.It is installed at each location and connected to a Wi-Fi sensor that provides a Wi-Fi signal according to the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of the resident within each location, and collects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around each location.
그래서, 이러한 IoT센서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 센서에 의해 전달받은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를 각각의 설정 정상 상태정보와 비교한다.Therefore, the status information, resident information, and stay time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received by these IoT sensor modules and the Wi-Fi sensor are compared with each set normal state information.
그리고, 비교한 정보에 따라 이상 여부를 판별하여 해당하는 설정 경고방송정보 또는 제어정보를 원격지에서 제공하도록 한다.Then, based on the compared information, any abnormality is determined and the corresponding set warning broadcasting information or control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a remote location.
이러한 상태에서, 일실시예에 따라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In this state, the following operations are perform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먼저, 원격지에서 제어할 경우에, 내부에서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를 다수의 상이한 장소와 상황별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에 따라 축적하여 산출하는 전술한 바의 재난/안전 관리모델을 미리 등록한다.a) First, in the case of control from a remote location, the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are accumulated and calculated internally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the resident information, and 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for a number of different places and situations. Register the bar’s disaster/safety management model in advance.
그리고 또한, 상기 주변 상태 행태와 상기 방문자 행태는 상기 장소와 상황별로 상이한 위치와 시나리오에 따라 구분하여 산출한다.In addition, the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the visitor behavior are calculated separately according to different locations and scenarios.
b) 다음으로는, 상기 장소별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를 입력받을 경우마다, 전술한 재난/안전 관리모델로부터 현재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를 각각의 설정 정상 행태와 비교한다.b) Next, whenever status information around each location, resident information, and stay time information are input for each location, the current surrounding status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are set for each location from the above-mentioned disaster/safety management model. Compare with behavior.
c) 상기 비교 결과, 현재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가 각각의 설정 정상 행태에 해당하는 경우에 경고방송정보와 제어명령을 제공하지 않고, 각각의 설정 정상 행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고방송정보와 제어명령을 제공한다.c) As a result of the above comparison, if the current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correspond to each setting's normal behavior, warning broadcasting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are not provided, and if they do not correspond to each setting's normal behavior, warning broadcasting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are not provided. Provides control commands.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엣지형 Iot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방문객 패턴 분석을 수행하고, 이상 체류 패턴을 감지하고, 소음 감지 센서 등을 활용하여 실증 지역의 심야 시간대 등에서 방문자 등의 소음 패턴 등을 감지함으로써, 다양한 각종 재난과 안전 상황 등을 판단한다. 그리고 또한, 이때, 이상 체류자 탐지시 실증 장비에 연결한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를 통해 위험상황을 표출하는 상황알림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visitor pattern analysis is performed using an edge-type IoT sensor module, abnormal stay patterns are detected, and noise detection sensors are used to detect noise patterns of visitors, etc. in the late-night hours of the demonstration area. By detecting, various disasters and safety situations are judged. Also, at this time, when an abnormal stay is detected, a situation notification is sent to indicate a dangerous situation through a speaker and display connected to the verification equipment.
그래서, 이를 통해 이러한 수집 및 분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안전상황을 판단하는 포맷을 구성하고, 이러한 안전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경보를 결정하며, 다양한 상황별로 각기 알림을 제공한다.So, through this, a format for determining the safety situation is created based on the collected and analyzed information, different alarms ar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afety situation, and notifications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various situations.
특히, 이 안전상황을 판단할 경우, 다양한 각종 장소별로 대응하여 센서를 즉, 주변 상태를 설정하여, 주변 상태별로(또는, 주변 상태 행태의 유형별로) 맞게 신속히 안전상황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센서에는 온도와 습도, 소음, 진동 센서 등을 포함하며, 각 장소에 맞게 센서 유형을 즉, 주변 상태 행태의 유형을 설정하여 이에 맞게 판단하도록 한다.In particular, when determining the safety situation, sensors are set in response to various locations, that is, the surrounding state, and the safety situation is quick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tate (or type of surrounding state behavior). For example, these sensors include temperature, humidity, noise, and vibration sensors, and the type of sensor, that is, the type of surrounding state and behavior, is set to suit each location and judged accordingly.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는 정상적 상황 인지를 통한 신속한 위험 상황의 인지 및 대응 체계를 확보하고, 예를 들어, 특정 장소에서의 장시간 움직임 없음과 위험 장소 접근(진입) 등의 상황인지를 통해 신속 대응 체계를 확보함으로써, 신속한 구호와 구조를 한다.Therefore, through this, one embodiment secures a rapid recognition and response system for dangerous situations through normal situation recognition, and quickly recognizes situations such as no movement in a specific place for a long time and approach (entry) to a dangerous place. By securing a response system, we provide rapid relief and rescue.
특히,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대로 다양한 각종 장소에 맞게 주변 상태를 특정하여 맞춤 방식으로 상황인지를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수행함으로써, 보다 더 나은 구조를 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surrounding conditions are specified for various places and situation recognition is performed more smoothly and quickly in a customized manner, thereby enabling a better rescue.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엣지형 Iot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방문객 패턴 분석을 수행하고, 이상 체류 패턴을 감지하고, 소음 감지 센서 등을 활용하여 실증 지역의 심야 시간대 등에서 방문자 등의 소음 패턴 등을 감지함으로써, 다양한 각종 재난과 안전 상황 등을 판단한다. 그리고 또한, 이때, 이상 체류자 탐지시 실증 장비에 연결한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를 통해 위험상황을 표출하는 상황알림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visitor pattern analysis is performed using an edge-type IoT sensor module, abnormal stay patterns are detected, and noise detection sensors are used to detect noise patterns of visitors, etc. in the late-night hours of the demonstration area. By detecting, various disasters and safety situations are judged. Also, at this time, when an abnormal stay is detected, a situation notification is sent to indicate a dangerous situation through a speaker and display connected to the verification equipment.
그리고, 이러한 수집한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이를 기반으로 안전상황을 판단하는 포맷을 구성하고, 이러한 안전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경보를 결정하며, 다양한 상황별로 각기 알림을 제공한다. And, when such collected information is provided, a format for determining the safety situation is constructed based on this, different alarms ar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afety situation, and notifications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various situations.
특히, 이렇게 다양한 장소에서 관리자 측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경우, 다수의 상이한 장소별로 각기 해당하는 모듈 개수별로서 부분 비밀 키를 만들어서 공유하고, 이를 스크램블로 해당 정보와 배타적 논리합 특징을 이용하여 연산한다. 그리고, 정보를 주고받을 경우마다 배타적 논리합의 특징에 따라 스크램블을 소멸해서 상용의 암호 정보를 예를 들어, AES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In particular, when information is exchanged with the administrator in such various places, a partial secret key is created and shared for each corresponding number of modules in multiple different places, and this is scrambled and calculated us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nd exclusive OR characteristics. And, whenever information is exchanged, the scramble is cancel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xclusive OR to transmit commercial encryp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ES information.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는 주변에 주택가가 있는 관광지와 야간통행을 금지한 산책로 등에서 정상적 상황 인지를 통해 위험 상황의 인지 및 신속 대응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rough this, one embodiment allows recognition of dangerous situations and finding quick response measures through normal situation recognition in tourist attractions with residential areas nearby and trails where night traffic is prohibited.
그리고 또한, 다수의 장소에서 모듈들을 여러 개 사용할 경우, 아래의 방식으로부터 분산 정보로와 암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많은 장소에서 모듈을 여러 개 사용하는 상황에 맞게 정보를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Additionally, when multiple modules are used in multiple locations, distributed information and encryption processing are performed using the method below, allowing the information to be processed smooth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which multiple modules are used in multiple locations.
한편, 이에 더하여 이러한 구성에 적용한 체류자 정보 수집용 맥 어드레스 비식별화 구성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Meanwhile, in addition, the MAC address de-identification configuration for collecting resident information applied to this configuration is explained as follows.
먼저, 일실시예에 따른 체류자 정보 수집용 맥 어드레스 비식별화 구성은 사용자 단말기의 맥 주소를 와이-파이 센서에서 가명 처리하여 서버로 전송/저장한다. 그리고, 가녕 처리한 정보는 더 이상의 개인 식별 정보가 아님으로 관련 법령에 저촉하지 않는다. 또한, 이렇게 수집한 맥 정보는 512비트 수준의 단일-경로 해시 암호를 통해 비식별화 처리를 하도록 한 다음에 전송한다. First, in the configuration of de-identifying the MAC address for collecting resident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C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is pseudonymized in the Wi-Fi sensor and transmitted/stored to the server. Moreover, the processed information is no longer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and therefore does not violate relevant laws. Additionally, the Mac information collected in this way is de-identified using a 512-bit single-path hash password before being transmitted.
추가적으로 이러한 체류자 정보 수집용 맥 어드레스 비식별화 구성은 아래와 같다.Additionally, the MAC address de-identification configuration for collecting resident information is as follows.
먼저, 상기 와이파이 센서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First, the WiFi sensor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s.
a) 상기 와이파이 신호를 센싱하는 탐지 조건을 ■ 와이파이가 특정 AP에 접속한 상태, ■ 와이파이가 켜져 있으나 AP에 접속하지 않은 상태, ■ 와이파이가 꺼져 있는 상태로 구분한다.a) The detection conditions for sensing the above Wi-Fi signal are divided into ■ a state in which Wi-Fi is connected to a specific AP, ■ a state in which Wi-Fi is turned on but not connected to the AP, and ■ a state in which Wi-Fi is turned off.
b) 다음, 이러한 상태에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한 경우에는 체류자 단말기의 리얼 맥 어드레스를 사용하고,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은 경우에는 랜덤 맥 어드레스를 사용한다.b) Next, in this state, if connected to the Wi-Fi network, the real MAC address of the resident terminal is used, and if not connected to the Wi-Fi network, a random MAC address is used.
c) 그리고 나서, 상기 랜덤 맥 어드레스로 체류자 단말기를 인식할 경우에는, 설정 디랜드마이징(Derandomization) 포맷으로부터 랜덤 맥 어드레스를 그룹핑화하여, 하나의 체류자 단말기로 인식한다.c) Then, when the resident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random MAC address, the random MAC addresses are grouped from the set derandomization format and recognized as one resident terminal.
d) 그래서, 상기 체류자 단말기로 인식한 후에, 설정 단일 경로 해시(One-Way Hash) 암호화 포맷으로부터 체류자 단말기의 맥 어드레스를 비식별화해서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한다.d) So, after recognizing the resident terminal, the MAC address of the resident terminal is de-identified from the set One-Way Hash encryption format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또한, 이러한 경우, 다수의 상이한 사용자 단말기와 운용 포맷 및 라우터 유형별로 조합하여 각기 맞게 대응하도록 하는 임시 맥 어드레스를 만들어서, 맥 어드레스의 해시 테이블을 기반으로 제조 이름을 만든 정보와 전송한다.In addition, in this case, a temporary MAC address is created to correspond to a number of different user terminals, operating formats, and router types, and is transmitted with information that creates a manufacturing name based on a hash table of the MAC address.
그래서,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이에 따라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So,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s accordingly.
즉, 상기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를 제공받을 경우에, 상기 비식별화 체류자 단말기의 맥 어드레스를 기초로 하여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를 수집하여 방문자 행태를 획득한다.That is, when receiving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of the resident, visitor behavior is obtained by collecting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MAC address of the de-identified resident terminal.
301 : 인터페이스부 302 : 제어부
303 : 데이터베이스 304 : 키신호 입력부
305 : 표시부301: interface unit 302: control unit
303: database 304: key signal input unit
305: display unit
Claims (2)
상기 장소별로 설치하여 각각의 장소 내에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에 따른 와이파이 신호를 제공하는 와이파이 센서;
상기 장소별로 설치하여 경고방송정보를 표시하는 전광판 장치;
상기 장소별로 설치하여 경고방송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
상기 장소별로 설치하여 각 장소 주변의 상태를 조절하는 설비 기기;
상기 IoT센서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 센서에 의해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를 수집하여 미리 등록한 관리 정보처리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의 경고방송정보를 상기 전광판 장치와 상기 스피커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명령을 상기 설비 기기로도 전달하는 IoT 플랫폼; 및
상기 IoT 플랫폼과 상기 와이파이 센서에 의해 전달받은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를 각각의 설정 정상 상태정보와 비교하여 이상 여부에 따라 상기 IoT 플랫폼으로 경고방송정보와 제어명령을 원격지에서 제공하는 관리 정보처리장치;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IoT센서 모듈은,
주변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경우, 설정 포맷으로부터 다수의 상이한 장소별로 각기 해당하는 센서 모듈 개수별로서(n개) 각기 부분 비밀 키를 만들어서 분산 정보와 배타적 논리합을 해서 암호 처리를 하여 제공하도록 하고,
여기에서, 상기 설정 포맷은,
a) 주변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경우,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암호 방식을 바탕으로 해서 평문의 모양이나 길이에 따라 각기 상이한 비밀키를 하나 선택하고,
비밀키 크기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라운드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여 반복실행함으로써 암호문을 획득하며,
각 라운드별 함수는 라운드 키 덧셈과 치환 계층, 확산 계층을 포함하는 ARIA(Academy Research Institute Agency) 암호화 포맷을 적용하고,
b) 상기 라운드 키 덧셈 연산을 수행하기 전에, 평문과 비밀키로부터 n-1개의 스크램블러와 배타적 논리합을 먼저 수행함으로써 변조하며,
c) 변조한 정보를 n개의 부분 비밀 키로 설정하고, n개의 각 대상으로 서로 다른 하나의 부분 비밀 키를 제공하고
d) 변조를 수행한 경우, 상기 비밀키 크기에 따른 한 가지 라운드의 라운드 키 덧셈 연산을 포함한 라운드별 함수로서 반복실행함으로써 암호문을 획득하여,
상기 암호문을 획득할 경우마다, 상기 스크램블러가 라운드 키 덧셈 연산에서 시스템적으로 소멸함으로써, 연산결과를 상용의 AES와 동일한 형식으로 얻어지고,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a) 상기 원격지에서 제어할 경우에, 내부에서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를 다수의 상이한 장소와 상황별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에 따라 축적하여 산출하는 재난/안전 관리모델을 미리 등록하고,
상기 주변 상태 행태와 상기 방문자 행태는 상기 장소와 상황별로 상이한 위치와 시나리오에 따라 구분하여 산출하며,
b) 상기 장소별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를 입력받을 경우마다, 상기 재난/안전 관리모델로부터 현재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를 각각의 설정 정상 행태와 비교하여,
c) 상기 비교 결과, 현재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가 각각의 설정 정상 행태에 해당하는 경우에 경고방송정보와 제어명령을 제공하지 않고, 각각의 설정 정상 행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고방송정보와 제어명령을 제공하고,
여기에서, 상기 재난/안전 관리모델은,
a) 상기 원격지에서 제어할 경우에, 상기 장소별로 각각의 상황마다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를 다수의 상이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학습하는 모델을 정의하고,
상기 학습 모델을 분류할 경우에는, 다수의 상이한 위치와 시작 시간, 끝나는 시간, 기기 종류, 기기 등록 여부를 포함한 N개의 변수로 만들도록 한 벡터로부터 학습 파라메터를 분류하고,
b) 다수의 상이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에 따른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별로 특징을 나타내는 데이터셋을 각기 추출하고,
c) 상기 데이터셋을 다수의 상이한 장소와 시간대, 주변 상태, 상황정보를 반영하여 속성 처ㅣ하며,
d) 상기 속성 처리한 정보를 기초로 해서, 상기 학습 모델별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에 따른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의 속성을 결정하고,
e) 상기 결정한 정보를 정규 처리해서,
f) 상기 정규 처리한 정보를 기초로 해서 각각의 학습 모델별로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에 따른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를 설정하여,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를 산출하기 위해 주변 상태 행태와 방문자 행태의 독립 변수와, 각 장소 주변의 상태정보와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의 종속 변수를 설정하고,
g) 상기 설정 정보를 학습 및 훈련 데이터를 만드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술과 엣지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IoT sensor modules that detect the conditions around each location, including multiple temperature sensors, humidity sensors, noise sensors, and vibration sensors installed in multiple different locations;
A Wi-Fi sensor installed at each location to provide a Wi-Fi signal according to the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of the person staying in each location;
Electronic signboard devices installed at each location to display warning broadcasting information;
Speaker devices installed at each location to output audio warning broadcasting information;
Equipment installed at each location to control conditions around each location;
Status information, resident information, and stay time information around each location are collected by the IoT sensor module and the Wi-Fi sensor, and transmitted to a pre-registered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the warning broadcast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s sent to the electronic signboard device. an IoT platform that transmits to the speaker device and also transmits control commands of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o the equipment; and
The status information, resident information, and stay time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received by the IoT platform and the Wi-Fi sensor are compared with each set normal status information, and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warning broadcast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are sent remotely to the IoT platform.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vided by; It includes,
The IoT sensor module is,
When providing surrounding status information, create a partial secret key for each number of sensor modules (n) in a number of different places from the setting format, perform an exclusive OR with the distributed information, and encrypt it to provide it.
Here, the setting format is:
a) When collecting surrounding status information, select a different secret key according to the shape or length of the plaintext based on the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encryption metho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ecret key, one of several different rounds is selected and executed repeatedly to obtain the ciphertext.
The function for each round applies the ARIA (Academy Research Institute Agency) encryption format, which includes round key addition, substitution layer, and diffusion layer.
b) Before performing the round key addition operation, modulation is performed by first performing n-1 scramblers and exclusive OR on the plaintext and secret key,
c) Set the altered information as n partial secret keys, and provide one different partial secret key to each of the n targets.
d) When modulation is performed, obtain the ciphertext by repeatedly executing it as a round-by-round function including one round of round key addition operations according to the secret key size,
Each time the ciphertext is obtained, the scrambler is systematically destroyed in the round key addition operation, so that the operation result is obtained in the same format as commercial A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 In the case of controlling from the above remote location, disaster/safety is calculated by accumulating internal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for a number of different places and situations. Register the management model in advance,
The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the visitor behavior are calculated separately according to different locations and scenarios for each location and situation,
b) Whenever status information around each location,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are input for each location, the current surrounding status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are compared with each set normal behavior from the disaster/safety management model,
c) As a result of the above comparison, if the current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correspond to each setting's normal behavior, warning broadcasting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are not provided, and if they do not correspond to each setting's normal behavior, warning broadcasting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are not provided. Provide control commands,
Here, the disaster/safety management model is,
a) When controlling from the remote location, a model that classifies and learns the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in each situation for each location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the resident information, and 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define ,
When classifying the learning model, the learning parameters are classified from a vector made of N variables including multiple different locations, start time, end time, device type, and device registration status,
b) Extract data set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according to state information around a number of different places,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respectively,
c) Attribute the dataset by reflecting multiple different locations, times, surrounding conditions, and situational information,
d) Based on the attribute-processed information, determine the attributes of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according to state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for each learning model,
e) By regular processing of the information determined above,
f) Based on the above regularly processed information, the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are set for each learning model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the resident information, and 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are determined. To calculate it, set independent variables of surrounding state behavior and visitor behavior, and dependent variables of state information around each place, resident information, and stay time information,
g) learning the above setting information and creating training data;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using security technology and edge computing technology.
상기 와이파이 센서는,
a) 상기 와이파이 신호를 센싱하는 탐지 조건을 ■ 와이파이가 특정 AP에 접속한 상태, ■ 와이파이가 켜져 있으나 AP에 접속하지 않은 상태, ■ 와이파이가 꺼져 있는 상태로 구분하고,
b) 상기 상태에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한 경우에는 체류자 단말기의 리얼 맥 어드레스를 사용하고,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은 경우에는 랜덤 맥 어드레스를 사용하고,
c) 상기 랜덤 맥 어드레스로 체류자 단말기를 인식할 경우에는, 설정 디랜드마이징(Derandomization) 포맷으로부터 랜덤 맥 어드레스를 그룹핑화하여, 하나의 체류자 단말기로 인식하며,
d) 상기 체류자 단말기로 인식한 후에, 설정 단일 경로 해시(One-Way Hash) 암호화 포맷으로부터 체류자 단말기의 맥 어드레스를 비식별화해서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고,
e) 상기 맥 어드레스를 전송할 경우, 다수의 상이한 사용자 단말기와 운용 포맷 및 라우터 유형별로 조합하여 각기 맞게 대응하여 발신하도록 하는 임시 맥 어드레스를 만들어서, 맥 어드레스의 해시 테이블을 기반으로 제조 이름을 만든 정보와 전송하며,
라우터 장비 여부에 대해서는 와이파이 메시지의 유형을 기반으로 판단하고,
또한,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체류자의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를 제공받을 경우에, 상기 비식별화 체류자 단말기의 맥 어드레스를 기초로 하여 체류자 정보 및 체류시간정보를 수집하여 방문자 행태를 획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술과 엣지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In claim 1,
The WiFi sensor is,
a) The detection conditions for sensing the Wi-Fi signal are divided into ■ a state in which Wi-Fi is connected to a specific AP, ■ a state in which Wi-Fi is turned on but not connected to the AP, ■ a state in which Wi-Fi is turned off,
b) In the above state, if connected to the Wi-Fi network, the real MAC address of the resident terminal is used, and if not connected to the Wi-Fi network, a random MAC address is used,
c) When the resident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random MAC address, the random MAC addresses are grouped from the setting derandomization format and recognized as one resident terminal,
d) After recognizing the resident terminal, de-identify the MAC address of the resident terminal from the set One-Way Hash encryption format and transmit it to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 When transmitting the MAC address, a temporary MAC address is created to transmit in response to a number of different user terminals, operating formats, and router types in combination, and a manufacturing name is created based on a hash table of the MAC address. transmitting,
Whether or not it is a router device is judged based on the type of Wi-Fi message.
In additi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hen receiving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of the resident, collecting the resident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MAC address of the de-identified resident terminal to obtain visitor behavior;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using security technology and edge computing technolog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1386A KR20240074932A (en) | 2022-11-14 | 2022-11-14 | System for monitoring employing working of edge computing and working of secur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1386A KR20240074932A (en) | 2022-11-14 | 2022-11-14 | System for monitoring employing working of edge computing and working of securit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74932A true KR20240074932A (en) | 2024-05-29 |
Family
ID=9127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1386A Pending KR20240074932A (en) | 2022-11-14 | 2022-11-14 | System for monitoring employing working of edge computing and working of secur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74932A (en) |
-
2022
- 2022-11-14 KR KR1020220151386A patent/KR20240074932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Zhang et al. | Security and privacy in smart city applications: Challenges and solutions | |
US10582385B2 (en) | Secure beacon-based location systems and methods | |
US759885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entralized event warning notification for individual entiti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 |
KR101709417B1 (en) | Security mode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 |
Madakam et al. | Security mechanisms for connectivity of smart devices in the internet of things | |
US20170372574A1 (en) | Beacon-augmented surveillance systems and methods | |
EP2062238A2 (en) | System and method for semi-distributed event warning notification for individual entiti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 |
JP2011530863A (en) | Wireless devic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device and related method | |
US11856012B2 (en) | Passive physical layer distinct native attribute cyber security monitor | |
Srinivasan et al. | Privacy conscious architecture for improving emergency response in smart cities | |
US11240136B2 (en) | Determining attributes using captured network probe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
CN113962577A (en) | Multi-system intelligent park platform | |
JP6671627B2 (en) | Camera system that enables privacy protection | |
Singh et al. | Intrusion detection system-based security mechanism for vehicular ad-hoc networks for industrial iot | |
Handler et al. | Security and privacy issues in healthcare monitoring systems: A case study | |
KR20240074932A (en) | System for monitoring employing working of edge computing and working of security | |
KR102686316B1 (en) | System for alarming and solving security danger in multi situation | |
KR102860274B1 (en) | Platform for management employing working of diagnosis to IoT and big data | |
KR20240070747A (en) | Platform for management employing working of diagnosis to IoT and big data | |
Chavan | Privacy and security in IoT based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 |
Chelvachandran et al. | Cyberwarfare–Associated technologies and countermeasures | |
CN114338095A (en) | Data encryption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equipment, medium and program product | |
Tamvakidi | Security and privacy protection in smart cities | |
Al Ameedee | Exploiting User Privacy from IoT Devices Using Deep Learning And Its Mitigation | |
Mayur et al. | Secure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safe cit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