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25893A -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893A
KR20230125893A KR1020220022692A KR20220022692A KR20230125893A KR 20230125893 A KR20230125893 A KR 20230125893A KR 1020220022692 A KR1020220022692 A KR 1020220022692A KR 20220022692 A KR20220022692 A KR 20220022692A KR 20230125893 A KR20230125893 A KR 20230125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educational
information
contents
lear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6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인호
Original Assignee
㈜아이윈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윈컴퍼니 filed Critical ㈜아이윈컴퍼니
Priority to KR1020220022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893A/en
Publication of KR20230125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893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교수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시스템에서 교육 컨텐츠 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교육 공학적으로 교수 설계된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을 유지하는 단계, 디자인 템플릿은 웹페이지의 레이아웃, 색상 및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함.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제1 시퀀싱 정보에 따라 패키지로 저장하는 단계, 제1 시퀀싱 정보는 각 강의 순서에 따른 디자인 템플릿의 적용 순서를 정의함.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강의 순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강의 순서에 따른 강의 내용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출력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강의 내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강의 내용 정보를 선택된 강의 순서에 상응하는 디자인 템플릿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육 공학적으로 교수 설계된 템플릿과 코스를 제공하여 어떠한 교수자도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교육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capable of increasing learn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in a system connected to an instructor's terminal through a network, wherein a plurality of design templates designed for teaching in educational engineering are provided. Maintaining, the design template defines at least one of the web page's layout, colors, and menus. Storing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esign templates as a package according to first sequencing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sequencing information defines an application order of design templates according to each lecture sequence. Receiving lecture order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instructor's terminal, transmitting an interface output control signal for inputting lecture contents according to the selected lecture sequence, receiving lecture contents information from the instructor's terminal, and converting the received lecture contents information to the selected lecture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including matching a design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order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ny instructor can create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by providing templates and courses designed for teaching in an educational engineering manner.

Description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increase learning efficiency.}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본 발명은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 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육 공학적 교수 설계 방식에 따라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한 교육 컨텐츠를 제공 할 수 있는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 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capable of increasing learning efficienc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capable of providing efficient learning according to an educational engineering design method, and to implementing the same It is about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과거, 교육은 주로 학교에서 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컴퓨터의 보편적인 보급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 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누구나 어디서든지 교육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In the past, education was mainly centered on books at school, but with the universal spread of computers and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yone can receive educational information anywhere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네트워크를 통한 교육 컨텐츠 제공을 e러닝(e-Learning)으로 지칭하는데, 시장 조사 기관인 IDC는 e러닝을 교육과 훈련과정을 동기적 혹은 비동기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학습으로 정의한 다. 최근 국내에서 제정된 e러닝 산업 발전법에 따르면 e러닝은 '전자적 수단, 정보통신 및 전파, 방송기 술을 활용해 이뤄지는 학습'으로 정의하고 있다.The provision of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a network is referred to as e-Learning. IDC, a market research institute, defines e-learning as learning that synchronously or asynchronously delivers education and training to end users through a network. According to the e-learning industry development law recently enacted in Korea, e-learning is defined as 'learning that is carried out using electronic means,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radio waves, and broadcasting technology'.

과거 e러닝은 사용자에게 단순히 텍스트 중심으로 강의 내용을 전달하는 수준에 불과하였으나, 최근에는 네트워크 전송 기술 및 디지털 데이터 처리 기술의 발달로 멀티미디어 교육 컨텐츠가 제공되고 있는 추세 이다.In the past, e-learning was only at the level of simply delivering text-based lecture contents to users, but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network transmission technology and digital data processing technology, multimedia education contents are being provided.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교육 컨텐츠의 생성, 관리 및 서비스 방식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에 있으며, 이는 교육 컨텐츠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과정을 의미이다.In line with this trend, standardization work is in progress for the creation, management, and service of educational contents, which means a process to ensure compatibility of educational contents.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육 공학을 모르는 개발자나 교수 자들도 교육 공학적 설계에 따른 교육 컨텐츠를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방 법,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안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that enable developers or instructors who do not know educational engineering to easily and quickly produce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educational engineering design, and to implement them I would like to propose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전에 제작된 교육 컨텐츠를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that enable re-use of previously produced educational contents,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same is recor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수자 등이 XML기반의 메타 데이터 생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컨텐 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육 공학적 교수 설계에 다른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that enable instructors to easily create metadata based on XML,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same is recorded.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increase the learning efficiency of learners by providing other educational contents to educational engineering instructional desig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same is recor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수자가 웹 상에서 교육 컨텐츠를 제작, 편집, 수정 및 패키징 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by enabling instructors to create, edit, modify, and package educational contents on the web.

현재, e러닝은 SCORM(Sharable Contents Object Reference Model)이 거의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는데, 이 는 미국의 표준제정기관인 ADL(Advanced Distributed Learning)이 개발한 e러닝 기술을 의미한다.Currently, SCORM (Sharable Contents Object Reference Model) is almost a standard for e-learning, which means e-learning technology developed by ADL (Advanced Distributed Learning), an American standard-setting body.

교육 컨텐츠의 호환성에 대한 요구는 지금까지 교육 컨텐츠 프로바이더에 따라 e러닝 운영 시스템(LMS)과 컨텐츠간 자료 교환 방식이 각각 달라, 여러 프로바이더들이 제공한 컨텐츠를 특정 LMS에서 운영하려면 거 의 대부분을 수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비용과 시간 면에서 큰 장애가 있었다. 하지만 SCORM 표준 지원 시스템을 구축 할 경우, 컨텐츠 프로바이더들이 SCORM 표준에 입각해서 만든 컨텐츠이기만 하면 어떤 컨텐 츠든 아무런 문제없이 이를 받아들여 운영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demand for compatibility of educational content has so far differed in the way of exchanging data between the e-learning operating system (LMS) and the content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er, so it is almost impossible to operate the content provided by various providers in a specific LMS. There was a problem that had to be corrected, and there was a big obstacle in terms of cost and time. However, if the SCORM standard support system is established, content providers can accept and operate any content without any problems as long as it is based on the SCORM standard.

SCORM은 2000년 1월에 발표된 SCORM version 1.0이 발표된 이후 2001년 10월에 SCORM version 1.2가 발표 되었고, 현재 SCORM 2004가 발표된 실정이다. SCORM은 크게 세가지 부분 Overview, Content Aggregation Model, Run-Time Environment 및 Sequencing and navigation 네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Overview부분에 서는 SCORM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에 대해 다루고 있고, Content Aggregation Model부분에서는 컨텐츠 모델, 학습 컨텐츠에 대한 정보인 메타 데이터, 학습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패키징에 대한 스펙 등을 담 고 있으며, Run-Time Environment부분에서는 학습 객체의 실행과 종료, 학습 객체와 시스템간의 통신하기 위한 메커니즘인 API와, 데이터 모델 등을 설명하고 있다.After SCORM version 1.0 was released in January 2000, SCORM version 1.2 was released in October 2001, and SCORM 2004 is currently released. SCORM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Overview, Content Aggregation Model, Run-Time Environment, and Sequencing and navigation. The Overview part deals with the overall overview of SCORM, and the Content Aggregation Model part contains the content model, meta data that is information about learning contents, and specifications for packaging to deliver learning contents. The environment part describes the execution and termination of the learning object, the mechanism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rning object and the system, the API, and the data model.

현재, 상기한 SCORM 표준에 따라 XML기반으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HTML기반으로 교육 컨텐츠를 생성 하고 있는데, 종래기술에 따르면, 교수자가 강의 교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메타 데이터 및 컨텐츠 생 성을 위해 SCORM 2004의 메타 데이터 스펙을 별도로 숙지하여야만 하고, 이를 XML 문법과 SCORM 스펙에 맞 추어 작성해야만 하는 상당히 번거롭고 까다로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urrently, XML-based metadata is created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SCORM standard, and HTML-based educational contents are creat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an instructor wants to create a lecture plan, to create metadata and contents There was a problem of having to separately understand the meta data specification of SCORM 2004 and performing a very cumbersome and tricky task of writing it according to XML grammar and SCORM specification.

또한, e러닝을 위한 교육 컨텐츠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교수(instruction)의 문제 즉, 무엇을 가르 칠 것인가, 어떤 순서로 가르칠 것인가,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찾는 것인데, 이를 교수 설 계라 하며, 최근에는 온라인 교육 컨텐츠 제공에 있어 학습자의 학습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이러한 교육 공 학적 교수 설계에 따른 개별 항목 배치 학습 코스 구성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교육 공학을 모르는 교수자의 경우, 교육 공학적 교수 설계에 따라 교안을 제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part in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for e-learning is to find a method for teaching, that is, what to teach, in what order to teach, and how to teach. This is called instructional design. Recently, in order to increase the learning efficiency of learners in providing online educational contents, the necessity of configuring individual item placement learning courses according to these educational engineering teaching designs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i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eaching plan could not be produc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교육 공학을 모르는 개발자나 교수 설계가 익숙치 않은 교 수자들도 교육공학적 설계에 따른 교육 컨텐츠를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evelopers who do not know educational technology or teach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instructional design can easily and quickly produce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educational engineering desig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전에 제작된 교육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때문이 추후에 다른 교수 자가 이를 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previously produced educational contents are stored in a datab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other instructors can reuse them la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XML 문법을 모르는 교수자도 XML기반의 메타 데이터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n instructor who does not know XML grammar can easily create XML-based meta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육 공학적 교수 설계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하여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기 때문 에 학습자의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ducational content is created using a template based on educational engineering desig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learner's learn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수자 단말기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웹 상에서 편리하게 교안을 작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eaching plans can be conveniently prepared on the web without the need to install a separate application program in the instructor's terminal.

교수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가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서,(a)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웹페이지의 레이아웃, 색상 및 메뉴 중 하나 이상을 정의하는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을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b) 상기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을 각 강의 순서에 따른 디자인 템플릿의 적용 순서를 정의하는 제1 시퀀싱 정보에 따라 패키지로 상 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c)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강의 순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 계;(d) 상기 선택된 강의 순서에 따른 강의 내용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출력 제어 정보를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e)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강의 내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수 신된 강의 내용 정보를 상기 선택된 강의 순서에 상응하는 디자인 템플릿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 육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As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by an educational contents providing server connected to an instruct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 a plurality of design templates defining one or more of the layout, color, and menu of a web page to provide educational contents. Maintaining in a database; (b) storing a combin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esign templates in the database as a package according to first sequencing information defining an application sequence of design templates according to each lecture sequence. (c) receiving lecture order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instructor terminal; (d) transmitting interface output control information for inputting lecture contents according to the selected lecture order to the instructor terminal; (e) transmitting the lecture order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instructor terminal; Receiving lecture content information from a terminal; and (f) matching the received lecture content information with a design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ecture sequen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f) 단계에서 매칭되는 디자인 템플릿은 상기 선택된 강의 순서에서의 제1 시퀀싱 정보에 따른 디자인 템플릿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 template matched in step (f) may be a design template according to the first sequencing information in the selected lecture sequence.

또한, 상기 (f)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 개체를 생성하며, 학습 개체 간 연결 방법을 정의하는 제2 시 퀀싱 정보를 유지하는 단계; 및 복수의 학습 개체에 교수자의 학습 개체 연결 선택 정보에 따른 제2 시퀀 싱 정보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시퀀싱 정보는 이해도 측정(post-test) 후에 측정 결과에 따라 보충학습, 반복학습 및 다음 시간 학습 중 적어도 하나로의 연결을 정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f) includes generating at least one learning entity and maintaining second sequencing information defining a connection method between learning entities; and granting second sequenc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learning object connection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learning objects, wherein the second sequencing informa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after the understanding level is measured (post-test). A connection to at least one of supplemental learning, repetition learning, and next time learning may be defined.

다르게는, 상기 제2 시퀀싱 정보는 이해도 측정(post-test) 후에 측정 결과에 따라 난이도에 따라 구분되 는 학습 개체로의 연결을 정의하는 것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sequencing information may define a connection to a learning entity classified according to difficulty according to a measurement result after a post-test of comprehension.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e) 단계에서 수신되는 강의 내용은 텍스트, 이미지, 플래시 및 동영상 중 적 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셋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어셋 데이터 및 복수의 어셋 데이터의 연결 관계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content received in step (e) includes asset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text, image, flash, and video,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asset data and a plurality of asset data A step of generating meta data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상기 (f)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 개체를 생성하며, 복수의 학습 개체를 코스웨어로 통합하는 단 계; 및 상기 통합된 코스웨어의 전체 구조 정보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의 코스웨어에 관한 연결 방법을 정의한 제3 시퀀싱 정보를 유지하는 단계-상기 제3 시퀀 싱 정보는 러닝 운영 시스템에 저장된 코스 맵을 의미함-; 및 복수의 코스웨어에 상기 교수자의 선택에 따 른 제3 시퀀싱 정보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ep (f) includes generating at least one learning object and integrating a plurality of learning objects into courseware; and generating meta data about the overall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integrated courseware, and maintaining third sequencing information defining a connection method for a plurality of courseware - the third sequencing information refers to course maps stored in the running operating system; and providing third sequenc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selection to the plurality of coursewares.

한편, 본 발명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다른 한편, 본원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교수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가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교육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을 저장 하며, 상기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각 강의 순서에 따른 디자인 템플릿의 적용 순서 를 정의하는 제1 시퀀싱 정보에 따라 패키지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강의 순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강의 순서에 따른 강의 내용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출력 제어 정보 를 전송하며,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강의 내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강의 내용 정보를 상기 선택된 강의 순서에 상응하는 디자인 템플릿과 매칭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above method is recorded is provided.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in which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connected to an instruct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provides educational content, wherein a plurality of design templates are stored to provide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he plurality of design templates are stored. Lecture order sel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 database storing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templates as a package according to first sequencing information defining an application order of design templates according to each lecture order and instructor terminal, and lecture contents according to the selected lecture order An educational content including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that transmits interface output control information for input, receives lectur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instructor terminal, and matches the received lecture content information with a design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ecture sequence. A provisioning system is provide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is record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 및 데 이터베이스(108)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는 네트워크를 통해 교수자 단말기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educational contents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ducational contents providing server 106 and a database 108,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providing server 106 is connected to an instruct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100), 학습자 단말기(102), 관리자 단말기(104)와 연결될 수 있다.(100), the learner terminal 102, and the manager terminal 104 can be connected.

여기서, 네트워크는 인터넷, 전용선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인터넷, 이동 통신망 및 위성 통신 망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network may include both wired networks including the Internet and leased lines and wireless networks including wireless Interne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nd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s.

도면에는 교수자 단말기(100), 학습자 단말기(102) 및 관리자 단말기(104)를 하나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예에 불과하며, 각각 복수의 단말기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drawing, the instructor terminal 100, the learner terminal 102, and the manager terminal 104 are shown as on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각 단말기는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고, 교육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단말로서, 일반 데스크탑 PC, 노트북, 이동 통신 단말기 및 PDA를 포함할 수 있다.Each terminal i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network and processing data related to educational contents, and may include a general desktop PC, a laptop compu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D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수자 단말기(100)가 네트워크를 통해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ructor terminal 100 is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through a network.

(106)에 접속하는 경우,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는 소정의 인증 과정을 수행하며, 교수자가 교육 컨텐 츠 작성을 요청하는 경우, 필요한 항목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출력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When accessing 106,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06 performs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process, and transmits interface output control information for inputting necessary items when the instructor requests creation of educational content Do it.

교수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브라우저는 상기한 인터페이스 출력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표시하며, 교수자는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항목을 기입함으로써 교육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여기서, 필요한 항목이란 교육 컨텐츠에 대한 저작자, 상하위 분류 정보, 강좌명과 같이 메타 데이터 생성 에 필요한 사항과 인사말, 목차, 본문 요약, 서론, 본론, 결론, 용어 해설과 같은 강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The browser installed in the instructor terminal 100 receives the interface output control information and displays it as shown in FIGS. 8 to 9, and the instructor can create educational content by entering necessary items in the interface. Contents necessary for metadata creation, such as the author of the content, upper and lower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course name, and lecture contents such as greeting, table of contents, summary of the text, introduction, main body, conclusion, and glossary can be included.

일반적으로 e러닝에서 한 강좌는 학습 개체(Learning Object), 복수의 학습 개체가 연결된 액티비티 (Activity) 및 이들이 모두 포함하는 코스웨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general, in e-learning, a course may consist of a learning object, an activity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learning objects, and a courseware including all of them.

학습 개체는 하나의 학습 주제 단위로 단일하게 독립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사운드, 이미지, 애니메 이션, 동영상 등의 각종 멀티미디어 자료(이러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어셋(asset)이라 함)를 포함하며, html로 제작할 경우에는 약 10개의 웹페이지를 포함하며, 동영상으로 제작될 경우에는 20 내지 30분 정도 의 분량을 포함한다.A learning object is created independently as a single learning subject unit, and includes various multimedia materials such as sound, image, animation, and video (these multimedia materials are called assets), and when produced in html contains about 10 web pages, and includes about 20 to 30 minutes when produced as a video.

이러한 학습 개체는 학습의 시작과 끝, 학습 주제, 관련 학습 활동 및 정리 학습 등 일련의 학습 과정을 포함하며, SCORM 표준에 따른 학습 개체를 SCO(Sharable Contents Object)라 한다.These learning objects include a series of learning processes, such as the start and end of learning, learning topics, related learning activities, and summary learning. Learning objects according to the SCORM standard are called SCO (Sharable Contents Object).

종래에 교수자는 강좌의 기본 단위인 학습 개체를 생성하기 위해, 수업 진행 순서를 스스로 결정하고, 웹 페이지 디자인을 일일이 선택하거나 자체적으로 제작해야 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교육 컨텐츠 제공 서 버(106)는 교육 공학적으로 교수 설계된 강의 순서 및 디자인 템플릿을 미리 등록해 놓고, 교수자가 특정 강의 순서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강의 순서에 상응하는 디자인 템플릿이 제1 시퀀싱에 따라 교수자 단말 기(100)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create a learning object, which is the basic unit of a course, the instructor had to determine the order of class progress and select or self-produce web page designs.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06 The instructional sequence and design template designed for educational engineering are registered in advance, and when the instructor selects a specific lecture sequence, the design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lecture sequence is output to the instructo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sequencing. make it possible

여기서, 디자인 템플릿은 강의 내용이 포함되는 레이아웃, 색상 메뉴 등에 관한 사항을 정의하는 것이며, 제1 시퀀싱은 특정 강의 순서에서 디자인 템플릿이 적용되는 순서를 정의한 것이다.Here, the design template defines matters related to the layout, color menu, etc. in which lecture contents are included, and the first sequencing defines the order in which the design template is applied in a specific lecture sequence.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강의 순서에 대해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의 조합을 제1 시퀀싱 정보에 따라 패키지로 저장되어 있다.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design templates for each lecture sequence is stored as a package according to the first sequencing information.

e러닝에 있어서, 비대면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강의 순서가 매우 중요한데, 강의 순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e-learning, since non-face-to-face learning takes place, the order of lectures is very important. The order of lectures may be, for example, as follows.

1) 강의 안내-개념 설명-사례 예시-실습-요약-post test1) Lecture guide-Concept description-Case examples-Practice-Summary-Post test

2) 강의 안내-따라하기 실습-내용 설명-본 실습-요약- post test2) Lecture guide-follow-up practice-content explanation-this practice-summary-post test

3) pre test-강의 안내-이론 설명-사례 예시-요약-post test3) Pre test-Lecture guide-Theory explanation-Case examples-Summary-Post test

4) 지난 강의 복습-개요 설명-하나씩 따라하기-숙제-post test4) Review of the previous lecture-outline explanation-follow one by one-homework-post test

복수의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형식으로 교육 컨텐츠가 구성되는 경우, 각 웹페이지는 상기와 같이, 강의 안 내, 본문, 실습, 요약, 테스트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기 때문에 각 웹페이지는 그 기능에 따라 구성(디 자인)이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educational contents are composed in a format that includes multiple web pages, each web page includes contents related to lecture guide, body, practice, summary, test, etc. It is desirable that the configuration (design) be different.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는 특정 강의 순서에 대해 디자인 템플릿의 조합을 제1 시퀀싱에 따라 패키지로 저장하고 있다가, 교수자가 하나의 강의 순서를 선택하고, 강의 내용을 입력 하는 경우, 그에 따라 본문, 실습, 요약과 같은 각 부분에 최적화된 디자인 템플릿이 적용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0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combination of design templates as a package according to the first sequencing for a specific lecture sequence, and then the instructor selects one lecture sequence and provides the lecture contents. When input, design templates optimized for each part such as main body, practice, and summary are applied accordingly.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교수자의 강의 내용 생성은 웹기반에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교수자가 강의 순서 및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한 후, 강의 내용을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교수자 단말기(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 화면, 내용 설명, 동영상 강의, 요약, pre test 및 post test를 생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 스를 출력하며,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는 교수자가 인터페이스에 입력한 사항을 수신하여 디자인 템 플릿과 하나의 세트로 매칭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ructor's creation of lecture content can be done on a web basis. When the instructor selects the lecture order and design template and then wants to create the lecture content, the instructor's terminal 100 is shown in FIG. As such, an interface capable of generating a start screen, content description, video lecture, summary, pre test, and post test is output, and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06 receives input from the instructor into the interface to design the template. Performs a process of matching a fleet with a set.

여기서, 시작 화면 인터페이스는 강의 소개, 학습 방법 등을 기재할 수 있는 화면이며, 내용 설명 인터페 이스는 강의 내용(어셋)에 해당하는 텍스트 입력, 이미지 및 플래쉬 삽입과 사전 등록과 같은 항목을 입력 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start screen interface is a screen where you can describe lecture introductions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content description interface allows you to input items such as text input, image and flash insertion, and pre-registration corresponding to the lecture content (asset). let it be

상기와 같은 매칭 과정에 의해 생성된 교육 컨텐츠는 소스와 메타 데이터로 구성되어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된다.The educational contents generated by the above matching process are stored in the database 108 after being composed of source and meta data.

종래에는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교수자의 단말기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해당 어플리 케이션을 통해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교수자 단말기(100)는 단지 웹브라우저를 통해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항목만 입력하면 되므로 편리하게 교육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create educational content, a separate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instructor's terminal and the educational content is created through the applica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ructor's terminal 100 provides educational content only through a web browser. Since only necessary items need to be input to the interface provided by the server 106, educational contents can be conveniently created.

한편, e러닝에 있어서, 복수의 학습 개체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한 시간의 수업을 들은 후, 테스트를 실시하고 다음 강의를 어떻게 연결시킬 것인가가 중요할 수 있다.Meanwhile, in e-learning, it is important to connect a plurality of learning objects to each other. For example, after taking an hour of class, it can be important how to administer a test and how to relate to the next lecture.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컨텐츠 서버(106)는 복수의 학습 개체 사이의 연결을 제2 시퀀싱 정보로서 저장 유지 하고 있으며, 교수자의 학습 개체 연결에 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선택 정보에 따라 학습 개체가 서로 연 결될 수 있도록 한다.The educational content server 10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nd maintains the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learning objects as second sequencing information, and when there is a teacher's selection on the learning object connection, the learning objec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make it possible to connect

오프라인 강의에서는 학습자가 강의 내용을 이해했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계속 강의를 진행하는데, 이는 단순한 선형 교육 방식으로서, 이를 온라인 강의에 적용하는 경우, 학습 효율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In an offline lecture, the lecture continues regardless of whether the learner understands the contents of the lecture. This is a simple linear education method, and when applied to an online lecture, the learning efficiency may be greatly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는 교수자가 한 시간의 수업을 듣기 전에 사전에 학습 성취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다음 시간으로의 연결 방법이 미리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제2 시퀀싱 정보는 테스트 결과에 따라 보충학습, 반복학습, 다음 시간 학습으로의 진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퀀싱 정보는 post test를 10점 만점으로 하고, 8점 이상이면, 다음 강의로 진행하며, 6 내지 8점이면 보충 학습, 6점 미만이면 복습 또는 이전 수업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른 예로, 10점 만점에서 7점 이상이면 다음 강의로 진행, 9점 이상이면 난이도가 높은 강의로 이동하며, 7점 미만이면 난이도가 낮은 강의로 진행하고, 5점 미만이면 반복 학습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0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structor sets a learning achievement goal in advance before taking a class for one hour, and accordingly, a connection method for the next hour is stored in advance. This second sequencing information may include progress information to supplementary learning, repetitive learning, and next time learning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For example, the second sequencing information sets the post test to be a perfect score of 10, and if it is 8 points or more, proceed to the next lecture, if it is 6 to 8 points, it is supplementary learning, and if it is less than 6 points, it is set to review or move to the previous class. As another example, if the score is 7 or more out of 10, proceed to the next lecture, if the score is 9 or more, move to the more difficult lecture, if the score is less than 7, proceed to the less difficult lecture, and if the score is less than 5, repeat. It can be set to learn.

교육 컨텐츠를 제작하는 교수자가 이와 같이, 학습 개체 사이에 시퀀싱을 스스로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 우므로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는 미리 설정된 제2 시퀀싱 정보를 제공하여 교수자가 적절한 학습 개체간 연결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Since it is very difficult for an instructor who produces educational contents to determine sequencing between learning objects by himself,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0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preset second sequencing information so that the instructor can select an appropriate learning object. to determine the connection between them.

상기와 같이, 교수자가 복수의 학습 개체를 생성하는 경우, 최종 한 강좌를 이루는 코스웨어가 된다. 학습 개체 내부, 또는 학습 개체 사이에 시퀀싱이 있듯이, 각 코스웨어를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에 관해 정 의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는 각 코스웨어를 어떻게 연결할 것인 지에 대한 사항을 제3 시퀀싱을 정의하고, 교수자가 복수의 코스웨어를 생성하는 경우, 각 코스웨어를 미 리 설정된 코스 맵에 매핑시켜, 각 코스웨어에 제3 시퀀싱을 부여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n instructor creates a plurality of learning objects, they become courseware constituting one final course. As there is sequencing inside or between learning objects, it is important to define how to connect each courseware, and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0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ails how to connect each courseware Defines third sequencing, and when an instructor creates a plurality of courseware, a process of mapping each courseware to a preset course map and assigning third sequencing to each courseware may be performed.

상기와 같이, 학습 개체, 액티비티 및 코스웨어는 소스 및 메타 데이터로 분류될 수 있는데, 메타 데이터 는 어셋 데이터를 설명하는 정보를 의미한다.As described above, learning objects, activities, and courseware can be classified into source and meta data, and meta data means information describing asset data.

본 발명에 따르면, 교수자가 교육 컨텐츠를 제작 및 저장하는 시점에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는 메타 데이터를 자동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최종적으로 교육 컨텐츠 생성이 완료되면 전체 구조 정보에 대 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06 performs a process of automatically generating metadata at the time when the instructor creates and stores the educational content, and finally, when the cre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 is completed, meta data for the entire structure information Performs the process of generating and integrating data.

실무적으로 메타 데이터를 수동 입력하는 것은 프로그램에 능통하지 못한 교수자에게 있어 매우 힘든 작업 으로서, 본 발명과 같이 메타 데이터를 자동 생성하는 경우, 교수자가 SCORM 표준에 맞게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practice, manually entering metadata is a very difficult task for instructors who are not proficient in programming. In the case of automatic generation of metadata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ructors can create educational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SCORM standard and provide it to learners.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08)에는 미리 생성된 디자인 템플릿이 저장되며, 그밖에 교수자 인증 정보, 학습자 인증 정보 및 교수자가 생성한 교육 컨텐츠에 관한 메타 데이터 및 소스 데이터가 저장된다.In the database 10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generated design templates are stored, and instruct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learn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meta data and source data related to educational contents created by the instructor are stored.

또한, 교육 컨텐츠 제작이 완료된 경우, 교수자가 임의로 작성한 디자인은 템플릿 형태로 데이터베이스In addition, when the pro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s completed, the design arbitrarily created by the instructor is converted into a database in the form of a template.

(108)에 저장되며, 다른 교수자는 이전에 등록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자신의 교육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108, and other instructors can create their own educational contents using previously registered template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는 디자인 템플릿 모듈(200), 메타 데이2 is a diagram showing the module configuration of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sign template module 200, meta data

터 생성 모듈(202), 컨텐츠 오소링 모듈(204) 및 코스웨어 오소링 모듈(206)을 포함할 수 있다.data creation module 202, content authoring module 204 and courseware authoring module 206.

하기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모듈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각 모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each modu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showing detailed configurations of each module shown in FIG. 2 .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템플릿 모듈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템플릿 모듈(200)은 디자인 템플릿 등록 모듈(300), 디자인 템플릿 적용 모듈(302) 및 시퀀싱 모듈(304)을 포함할 수 있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esign template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design template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sign template registration module 300 , a design template application module 302 and a sequencing module 304.

디자인 템플릿 등록 모듈(300)은 디자인 개발자가 개발한 교안에 대한 레이아웃, 색상별, 메뉴별 디자인 템플릿을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The design template registration module 300 performs a process of registering design templates for each layout, color, and menu for teaching materials developed by a design developer.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 개체를 구성하는 각 웹페이지 부분(개념 설명, 사례 예시, 실습, 내용 설명, 이론 설명, 및 post test)에 대해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이 존재하는데, 각 디자인 템플릿은 특정 강의 순서에서 출력될 순서가 제1 시퀀싱에 따라 패키지로 저장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esign templates exist for each web page part (concept explanation, case example, practice, content explanation, theory explanation, and post test) constituting the learning object, each design template is a specific lecture sequence. The order to be output in is stored as a package according to the first sequencing.

교수자가 미리 등록된 코스 템플릿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디자인 템플릿 적용 모듈(302)은 교수자의 선택 정보에 따라 패키지로 연결된 디자인 템플릿을 적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When the instructor selects one of the pre-registered course templates, the design template application module 302 performs a process of applying the design template connected to the package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selection information.

디자인 템플릿 적용 모듈(302)에 의해, 학습 개체를 구성하는 각 웹페이지는 교육 공학적으로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By the design template application module 302, each web page constituting the learning object may have a configuration capable of increasing learning efficiency in terms of educational engineering.

디자인 템플릿 시퀀싱 모듈(304)은 하나의 학습 개체에 포함되는 각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제1 시퀀싱을 등록한 모듈이다.The design template sequencing module 304 registers first sequencing for each design template included in one learning objec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 데이터 생성 모듈(202)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a data generation module 2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타 데이터 생성 모듈(202)은 어셋 메타 데이터 생성 모듈As shown in FIG. 4, the metadata generation module 2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sset metadata generation module.

(400), SCO 메타 데이터 생성 모듈(402), 통합 메타 데이터 생성 모듈(404), 시퀀싱 메타 데이터 생성 모 듈(406)을 포함한다.400, SCO metadata generation module 402, integrated metadata generation module 404, and sequencing metadata generation module 406.

전술한 바와 같이, 어셋이란 교육 컨텐츠를 구성하는 최하위 단위 자료로서, 텍스트, 동영상, 이미지, 플 래시와 같은 미디어 차원이 데이터를 의미하며, 교수자가 교육 컨텐츠 제작 시, 이러한 어셋을 등록하면, 어셋 메타 데이터 생성 모듈(400)은 자동으로 등록한 어셋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 다.As described above, an asset is the lowest unit of data constituting educational content, and media dimensions such as text, video, image, and flash mean data. The data generation module 400 performs a process of automatically generating metadata for registered assets.

이와 같이, 어셋이 등록되고, 교육 컨텐츠를 구성하는 그밖에 다른 소스 데이터로 구성된 학습 개체를 생 성하는 경우, 이는 SCORM 표준에 따라 공유 사용이 가능한 SCO로 변환하며, SCO 메타 데이터 생성 모듈In this way, when an asset is registered and a learning entity composed of other source data constituting educational content is created, it is converted into an SCO that can be shar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CORM standard, and the SCO metadata creation module

(402)은 SCO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자동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tep 402 performs a process of automatically generating metadata about the SCO.

여기서, SCO 메타 데이터는 SCO 대한 설명으로서, SCO를 구성하는 어셋의 연결 관계에 관한 설명을 포함한 다.한편, 교육 컨텐츠가 완성되면, 즉, 복수의 연관된 학습 개체를 포함하는 강좌를 생성하는 경우, 통합 메 타 데이터 생성 모듈(404)은 전체 구조 정보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한다.Here, the SCO metadata is a description of the SCO, and includes a description o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assets constituting the SCO. On the other hand, when the educational content is completed, that is, when a course including a plurality of related learning objects is created, The integrated metadata generation module 404 generates metadata for the entire structure information.

한편, 시퀀싱 메타 데이터 생성 모듈(406)은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에 따라 학습 개체 및 액티비티 등의 연 결 방법인 제2 시퀀싱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sequencing metadata generation module 406 performs a process of generating metadata related to second sequencing, which is a method of connecting learning objects and activities, etc.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achievement level.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메타 데이터를 교수자의 교육 컨텐츠 제작과 동시에 생성하므로 내용 업그레이드 및 편집 시에 교육 컨텐츠 내용의 편집과 메타 데이터의 편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since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meta data simultaneously with the instructor's pro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editing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a data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when upgrading and editing contents.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오소링 모듈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오소링 모듈(Contents Authoring Tool)은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 제공 모 듈(500), 템플릿 매칭 모듈(502), 컨텐츠 프리뷰 모듈(504), 리소스 패키징 모듈(506), 컨텐츠 컴포넌트 통합 모듈(508) 및 컨텐츠 저장 모듈(510)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author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content authoring module (Contents Autho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ent creation application providing module (500 ), a template matching module 502, a content preview module 504, a resource packaging module 506, a content component integration module 508, and a content storage module 510.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 제공 모듈(500)은 교수자가 강의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교 수자 단말기(100)가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에 접속하는 경우,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 제공 모듈The content creation application providing module 500 enables the instructor to create lecture content, and when the instructor terminal 100 accesses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06, the content creation application providing module

(500)은 웹으로 접속한 교수자 단말기(100)로 교육 컨텐츠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스 출력 제어 정보 및 강 의 순서 목록 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 개체가 교수자가 선택한 시퀀싱에 따라 디자인 템플릿을 적용하여 순차적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500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interface output control information and a lecture order list for 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s to the instructor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web, and learning objects through the interface shown in FIGS. 8 to 9 is created sequentially by applying a design template according to the sequencing selected by the instructor.

본 발명에 따르면, 교수자는 자신의 단말기에 별도의 컨텐츠 생성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가 제공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강의 목차, 서론, 본론 및 결론과 같은 강의 내용 및 용어 해설과 같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육 공학적으로 설계된 강의 순서를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 content such as the table of contents, introduction, main body, and conclusion of the lecture is provided through a predetermined interface provided by the educational contents providing server 106 without the need of installing an application program for creating separate contents in the instructor's own terminal. You can enter text such as and glossary, as well as select an instructional sequence designed for educational engineering.

교수자가 강의 순서를 선택한 경우, 컨텐츠 제작 어플리케이션 제공 모듈(500)은 강의 순서에 따른 인터페 이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며, 교수자가 특정 순서에 따른 강의 내용을 입력한 경우, 템플릿 매칭 모듈When the instructor selects the order of lectures, the content production application providing module 500 sequentially outputs interfaces according to the order of lectures, and when the instructor inputs lecture contents in a specific order, the template matching module

(502)은 강의 내용과 해당 순서에서의 디자인 템플릿을 매칭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Step 502 performs a process of matching the lecture content with the design template in the corresponding sequence.

디자인 템플릿 매칭 과정은 상기한 제1 시퀀싱 정보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design template ma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first sequencing information described above.

컨텐츠 프리뷰 모듈(504)은 상기와 같이, 디자인 템플릿과 매칭된 강의 내용을 교수자 등이 미리 볼 수 있 도록 하며, 리소스 패키징 모듈(506)은 학습 개체에 포함되는 소스 파일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는 과정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preview module 504 allows instructors and the like to preview the lecture contents matched with the design template, and the resource packaging module 506 is a process of bundling the source files included in the learning object into one package Do it.

또한, 컨텐츠 컴포넌트 통합 모듈(506)은 교수자가 각 학습 개체(LO 또는 SCO), 학습 개체의 묶음으로 구 성된 액티비티 및 하나의 코스웨어를 구성하는 소스 및 구조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로 묶으며, 컨텐츠 저장 모듈(510)은 모든 자료를 소스와 메타 데이터로 구성하여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한다.In addition, the content component integration module 506 allows the instructor to connect each learning object (LO or SCO), activities composed of a bundle of learning objects, and the source and structure constituting one courseware to each other and bundle them into one, and store the content. The module 510 organizes all data into source and meta data and stores them in the database 108 .

도 6은 코스웨어 오소링 모듈은 코스웨어 매핑 모듈(600), 코스 시퀀싱 모듈(602), 코스웨어 통합 모듈6 shows the courseware authoring module including a courseware mapping module 600, a course sequencing module 602, and a courseware integration module.

(604) 및 코스웨어 메타 데이터 오소링 모듈(606)을 포함할 수 있다.604 and courseware metadata authoring module 606 .

코스웨어 매핑 모듈(600)은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내의 코스 맵에 의거하여 코스웨어를 매핑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LMS는 컴퓨터 온라인을 통하여 학생들의 성적과 진도는 물론 출석과 결석 등 학사전반에 걸친 사항들을 관리해 주는 시스템이며, 학습 콘텐츠의 개발과 전달ㅇ평가ㅇ관리에 이 르기까지 교수학습의 전반적 과정을 통합적으로 운영ㅇ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학습관리시스 템 또는 학사관리운영플랫폼이라고도 한다.The courseware mapping module 600 functions to map courseware based on the course map in the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Here, the LMS provides students' grades and progress as well as attendance and absence through computer online. It is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or academic management operating platform in that it is a system that manages matter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from development and delivery of learning contents to evaluation and management, in an integrated manner. Also called

코스 시퀀싱 모듈(602)은 각 코스(교과 과정)를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에 관한 제3 시퀀싱을 지원하는 기능 을 수행한다.The course sequencing module 602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third sequencing on how to connect each course (curriculum).

본 발명에 따른 제3 시퀀싱은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가 아닌 상기한 LMS에 존재하는 코스 맵에 의해 지원된 다.The third sequenc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course map existing in the LMS, not the meta data of the content.

코스웨어 통합 모듈(604)은 교수자의 컨텐츠 저작이 완료되면, 컨텐츠를 구성하는 내용을 학습 개체 별로 묶은 뒤 통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When the content authoring by the instructor is completed, the courseware integration module 604 performs a process of grouping and integrating the content constituting the content for each learning entity.

한편, 상기와 같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메타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수정이 가능하여야 하므로 교수자가 메 타 데이터의 수정을 원하는 경우, 코스웨어 메타 데이터 오소링 모듈(606)은 웹기반으로 자동 생성된 메타 데이터를 교수자가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meta data automatically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should be able to be modified as needed, if the instructor wants to modify the meta data, the courseware meta data authoring module 606 uses web-based automatically generated meta data. It supports a function that allows instructors to edit.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교육 공학에 능통한 교수자는 스스로 디자인 템플릿 및 강의 순서를 결정하여 교 육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컨텐츠는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structor proficient in educational technology can create educational content by determining a design template and an order of lectures, and the content created in this way is stored in the database 108.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컨텐츠 제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ducing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기(104)는 강의 순서 및 디자인 템플릿을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에 등 록하며(S700),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한 정보 및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제1 시퀀싱 정보를 저장하 는 과정을 수행한다(S702).Referring to FIG. 7, the manager terminal 104 registers the lecture order and design template in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06 (S700), and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first sequencing information for the above information and design template. Performs a process of storing (S702).

교수자 단말기(100)는 교수자의 선택 정보를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로 전송하는데(S704), 여기서 교 수자의 선택 정보는 강의 순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tructor terminal 100 transmits the instructor's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06 (S704), where the instructor's sel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order of lectures.

이후, 교수자가 강의 내용을 전송하는 경우(S706),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는 교수자가 선택한 강의 순서에 따른 디자인 템플릿을 적용한다(S708).Thereafter, when the instructor transmits lecture content (S706),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06 applies a design template according to the lecture order selected by the instructor (S708).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는 상기 단계를 통해 생성되는 학습 개체에 대해 메타 데이터를 자동 생성한다 (S710).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06 automatically generates meta data for the learning entity created through the above steps (S710).

한편,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는 제2 시퀀싱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S712), 교수자 단말기(100)로부터 학습 개체 연결에 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S714), 상기한 선택 정보에 따라 복수의 학습 개체를 연 결한다(S716).Meanwhile,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06 stores the second sequencing information (S712),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about learning object connection from the instructor terminal 100 (S714), and receives a plurality of sequenc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The learning object is connected (S716).

한편,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106)는 제3 시퀀싱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S718), 제3 시퀀싱에 따라 복수 의 학습 개체 및 액티비티를 포함하는 코스웨어에 관한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720).Meanwhile,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06 stores third sequencing information (S718) and performs a process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courseware including a plurality of learning objects an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hird sequencing (S720). ).

이때, 템플릿의 등록은 관리자 뿐만 아니라 교수자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registration of the template can be performed not only by the manager but also by the instructor.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changes, and The additions should be view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0)

교수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가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웹페이지의 레이아웃, 색상 및 메뉴 중 하나 이상을 정의하는 복수의 디 자인 템플릿을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을 각 강의 순서에 따른 디자인 템플릿의 적 용 순서를 정의하는 제1 시퀀싱 정보에 따라 패키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강의 순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선택된 강의 순서에 따른 강의 내용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출력 제어 정보를 상기 교수자 단말 기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강의 내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수신된 강의 내용 정보를 상기 선택된 강의 순서에 상응하는 상기 디자인 템플릿과 매칭하는 단 계를 포함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As a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by an educational contents providing server connected to an instruct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 maintaining a plurality of design templates defining at least one of the layout, color, and menu of a web page in a database to provide educational content;
(b) storing a combin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esign templates in the database as a package according to first sequencing information defining an application sequence of design templates according to each lecture sequence;
(c) receiving lecture order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instructor terminal;
(d) transmitting interface output control information for inputting lecture content according to the selected lecture sequence to the instructor terminal;
(e) receiving lectur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instructor terminal; and
(f) matching the received lecture content information with the design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ecture sequ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매칭되는 디자인 템플릿은 상기 선택된 강의 순서에서의 제1 시퀀싱 정보에 따른 디자 인 템플릿인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esign template matched in step (f) is a design template according to the first sequencing information in the selected lecture sequ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f)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학습 개체를 생성하며, 학습 개체 간 연 결 방법을 정의하는 제2 시퀀싱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및
복수의 학습 개체에 교수자의 학습 개체 연결 선택 정보에 따른 제2 시퀀싱 정보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 함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creates at least one learning object in step (f) and maintains second sequencing information defining a connection method between learning objects in the database; and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ranting second sequenc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learning object connection selection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learning objec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퀀싱 정보는 이해도 측정(post-test) 후에 측정 결과에 따라 보충학습, 반복학습 및 다음 시간 학습 중 적어도 하나로의 연결을 정의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sequencing information defines a connection to at least one of supplementary learning, repetitive learning, and next time learning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after the understanding level measurement (post-tes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퀀싱 정보는 이해도 측정(post-test) 후에 측정 결과에 따라 난이도에 따라 구분되는 학습 개 체로의 연결을 정의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econd sequencing information defines a connection to a learning object classified according to difficulty level according to a measurement result after comprehension measurement (post-te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수신되는 강의 내용은 텍스트, 이미지, 플래시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셋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어셋 데이터 및 복수의 어셋 데이터의 연결 관계에 대한 메타 데이터 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lecture content received in step (e) includes asset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text, image, flash, and video,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by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metadata about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asset data and a plurality of asset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f)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학습 개체를 생성하며, 복수의 상기 학습 개체를 코스웨어로 통합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된 코스웨어의 전체 구조 정보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generating at least one learning object in step (f) by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integrating the plurality of learning objects into courseware; and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meta data about the entir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integrated coursewa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가 복수의 코스웨어에 관한 연결 방법을 정의한 제3 시퀀싱 정보를 상기 데이 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상기 제3 시퀀싱 정보는 러닝 운영 시스템에 저장된 코스 맵을 의미함-; 및
복수의 코스웨어에 상기 교수자의 선택에 따른 제3 시퀀싱 정보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육 컨텐 츠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7,
maintaining, by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third sequencing information defining a connection method for a plurality of courses in the database, wherein the third sequencing information refers to a course map stored in a running operating system; and
The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ssigning third sequenc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selection to a plurality of courseware.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In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of instructions capable of performing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is stored and can be read by a computer,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capable of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is recorded.
교수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가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서,
교육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을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 중 하나 이상 의 조합을 각 강의 순서에 따른 디자인 템플릿의 적용 순서를 정의하는 제1 시퀀싱 정보에 따라 패키지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강의 순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강의 순서에 따른 강의 내용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출력 제어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강의 내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강의 내용 정보를 상기 선택된 강의 순서에 상응하는 디자인 템플릿과 매칭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
As a system in which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connected to an instructor's terminal through a network provides educational content,
A database that stores a plurality of design templates to provide educational content and stores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esign templates as a package according to first sequencing information defining an application order of the design templates according to each lecture sequence; and
Receives lecture order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instructor terminal, transmits interface output control information for inputting lecture contents according to the selected lecture sequence, receives lecture contents information from the instructor terminal, and transmits the received lecture contents information to the selected lecture contents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ystem including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matching a design template corresponding to a lecture sequence.
KR1020220022692A 2022-02-22 2022-02-22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Pending KR202301258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692A KR20230125893A (en) 2022-02-22 2022-02-22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692A KR20230125893A (en) 2022-02-22 2022-02-22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893A true KR20230125893A (en) 2023-08-29

Family

ID=8780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692A Pending KR20230125893A (en) 2022-02-22 2022-02-22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589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94101A (en) * 2024-04-03 2024-05-07 北京师范大学珠海校区 Teaching design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large language mod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94101A (en) * 2024-04-03 2024-05-07 北京师范大学珠海校区 Teaching design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large language mod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2003B1 (en) Method for developing or providing an electronic course
CN101772792B (en) A system for adaptive teaching and learning
US9626875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of adaptive teaching and learning
Shank et al. Making sense of online learning: A guide for beginners and the truly skeptical
Harvey et al. Building TPACK in preservice teachers through explicit course design
US20110065082A1 (en) Device,system, and method of educational content generation
Nash et al. Moodle course design best practices
US11727517B2 (en)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interface
US20160163211A1 (en) Accessible content publishing engine
TWI598855B (en) Online teaching and action learning system
KR10072415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same
Fitria Using “book creator” application in making e-modules as teaching material for english TOEFL courses
KR2013005701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learning services
KR20230125893A (en)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BG2000U1 (en) REAL TIME TRAINING SYSTEM
KR20000054844A (en) Method of education by a 3D cyber character, 3D cyber education space and realtime mutual voice supports at internet
US200300409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veloping and providing effective training courses
Das Teacher education with ICT tools and techniques
Albashaireh et al. A survey of online learning platforms with initial investigation of situation-awareness to facilitate programming education
KR20000036950A (en) A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for teaching and test in english
Paulson et al. Leveraging learning outcomes to build an online information literacy tool
CN114730237A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multiple layers of text and audiovisual references in advanced digital textbooks/handouts
US20220319152A1 (en) Methods for generating cognitive building blocks
KR10278514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US20230334997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useful for resource-efficient machine-assisted wiriting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