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23283A -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blockchain-based contact app - Google Patents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blockchain-based contact ap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283A
KR20230123283A KR1020220020251A KR20220020251A KR20230123283A KR 20230123283 A KR20230123283 A KR 20230123283A KR 1020220020251 A KR1020220020251 A KR 1020220020251A KR 20220020251 A KR20220020251 A KR 20220020251A KR 20230123283 A KR20230123283 A KR 20230123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visitor
door lock
authent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자
Original Assignee
김영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자 filed Critical 김영자
Priority to KR102022002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283A/en
Publication of KR2023012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283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being encryp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앱과 연동하여 연락처 블록을 생성하고 연락처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연락처 블록체인부,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에 방문자 단말의 연락처 등록 여부에 따른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문자 인증부, 및 상기 방문자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는 도어락 해제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with a contact app based on a blockchain, and a contact block chain unit that creates a contact block in conjunction with a contact app of a resident terminal and stores it in a contact block chain, and a visitor terminal in the contact block chain. It includes a visitor authentication unit that performs visit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whether contact information is registered, and a door lock release unit that unlocks the door lock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visitor.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BLOCKCHAIN-BASED CONTACT APP}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contact app based on blockchain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BLOCKCHAIN-BASED CONTACT APP}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거주자 단말과 방문자 단말 간 연락처 등록에 따라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여 비밀번호 입력없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한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contact app based on a blockchain, and more particularly, based on a blockchain, visito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contact registration between a resident terminal and a visitor terminal to allow access without entering a password It relates to a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contact app based on blockchain.

IT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가정 내의 각종 기기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편리함과 안전 확보를 제공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도 빠르게 실용화되고 있으며, 홈 오토메이션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utomation is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 and home automation systems that organically combine various devices in the home to provide convenience and safety are quickly put into practical use. can control.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은 대부분 비밀번호 입력을 통한 문의 개폐를 지원하고 있어 보안상의 허점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접촉식 도어락 장치에 대한 개발이 현재 진행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에 기반한 다양한 기능들이 적용된 도어락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비접촉식 도어락 장치는 근거리 통신 또는 상용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도어락 장치의 도어 개폐장치를 동작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 비접촉식 도어락 시스템은 도어락과 연결되는 서버를 두고 사용자의 단말기와 TCP/IP 프로토콜 통신을 하여 제어되고, 센서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외부인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모든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들이 위조 및 해킹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Since most of the existing digital door locks support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through password inp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security loopholes exist. Therefore, development of a non-contact door lock device is currently in progress, and door lock devices to which various functions based on smart phones are applied are being developed. The non-contact door lock device can operat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door lock devic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or commercial wireless communication, but when using a network, the non-contact door lock system has a server connected to the door lock and communicates with the user's terminal through TCP/IP protocol.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ll processes of determining whether an outsider has invaded based on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are vulnerable to forgery and hacking.

또한, 사용자의 인증 여부와 데이터의 보안은 기존에도 일부 암호화 기술이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암호화 방식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거나 단순하고 특정 소프트웨어에 의존한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온전한 데이터의 보존 및 사용자의 인증 여부 판단에 결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although user authentication and data security have already been performed using some encryption technologies or software, the encryption methods are relatively weak or simple and depend on specific software, so preservation of intact data and user There is a flaw in the authentication decision.

한국 등록특허 제2017-0047263호는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의 인증 받기를 요청하는 노드들이 인증 서버로 인증 요청하면, 상기 인증 서버는 인증 요청한 노드가 정당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노드가 인증되었다는 메시지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고, 인증 서버에 의해 인증된 노드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게 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가 보내는 제어 메시지와, 스마트 도어락이 센서들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판단하여 인증된 사용자에게 보내는 알람 메시지는 송신 노드의 개인키로 결합 및 서명함으로써, 자기 부인 방지(Non-Repudiation)를 실현할 수 있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2017-0047263 relates to a smart door lock system based on a block chain, a smart door lock, and a terminal for controlling a door lock. When nodes requesting authentication in a smart door lock system request authentication to an authentication server, the authentication The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node requesting authentication is legitimate, propagates a message that the node has been authenticated to the blockchain network, the node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participates in the blockchain network, and the door lock authenticated in the blockchain network The control message sent by the control terminal and the alarm message that the smart door lock determines using the data provided from the sensors and sends to the authenticated user are combined and signed with the private key of the sending node, thereby realizing non-repudiation. there is.

한국 등록특허 제2017-0047263호 (2017.04.12)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017-0047263 (2017.04.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거주자 단말과 방문자 단말 간 연락처 등록에 따라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여 비밀번호 입력없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한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contact app based on a blockchain that enables access without entering a password by performing visit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contact registration between a resident terminal and a visitor terminal based on a blockchai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앱과 연동하여 연락처 블록을 연락처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연락처 블록체인에 방문자 단말의 연락처 등록 여부에 따른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chain-based contact app interworking smart that stores a contact block in a contact block chain in conjunction with a contact app of a resident terminal and performs visit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whether a visitor terminal contacts are registe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문자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blockchain-based contact app that unlocks a door lock based on a visitor's authentication result.

실시예들 중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는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앱과 연동하여 연락처 블록을 생성하고 연락처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연락처 블록체인부,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에 방문자 단말의 연락처 등록 여부에 따른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문자 인증부, 및 상기 방문자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는 도어락 해제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a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contact app based on a blockchain includes a contact block chain unit that creates a contact block by interworking with a contact app of a resident terminal and stores it in a contact block chain, and a contact block of a visitor terminal in the contact block chain. It includes a visitor authentication unit that performs visit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visitor is registered, and a door lock release unit that unlocks the door lock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visitor.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부는 상기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앱에 등록된 연락처정보를 기초로 연락처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연락처 블록의 거주자 인덱스를 생성하고, 상기 연락처 블록을 상기 거주자 인덱스에 해당하는 연락처 블록체인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contact blockchain unit generates a contact block based on contact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contact app of the resident terminal, creates a resident index of the contact block based on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resident terminal, and sets the contact block to the It can be stored by adding it to the contact blockchain corresponding to the resident index.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부는 상기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앱에 신규 연락처가 등록 저장되면 신규 저장된 연락처정보를 기초로 신규 연락처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신규 연락처 블록을 해당 거주자 인덱스에 링크된 연락처 블록체인에 추가 저장할 수 있다.The contact blockchain unit can create a new contact block based on the newly stored contact information when a new contact is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contact app of the resident terminal, and additionally store the created new contact block in the contact block chain linked to the resident index. there is.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부는 상기 방문자 인증에 사용된 연락처 블록에 대해 인증시간을 포함하는 방문 정보에 기초한 방문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방문 블록을 상기 연락처 블록으로부터 파생되는 파생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방문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act block chain unit generates a visit block based on visit information including an authentication time for the contact block used for visitor authentication, and stores the generated visit block in a derived block chain derived from the contact block to manage visit history. can do.

상기 방문자 인증부는 상기 방문자 단말의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본인 인증 후 상기 방문자 단말의 연락처가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통해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may perform identity authentic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and, after identity authentication, visitor authentication through whether or not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is registe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상기 방문자 인증부는 상기 방문자 단말의 본인 인증을 위한 QR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QR 코드를 통해 상기 방문자의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may scan a QR code for self-authentic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and perform identity authentication of the visitor through the scanned QR code.

상기 방문자 인증부는 방문자 인증 과정에서 상기 방문자 단말의 연락처가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거주자와 상기 방문자 간의 통화를 통해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may perform visitor authentication through a call between the resident and the visitor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is not registe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during the visitor authentication process.

상기 방문자 인증부는 상기 방문자 단말의 연락처가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거주자 단말에 알림 제공하고 알림 제공 후 유효 시간범위 내에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에 상기 방문자 단말의 연락처 신규 블록의 추가 저장 여부를 확인하여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provides a notification to the resident terminal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is not registe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and determines whether a new contact block of the visitor terminal is sto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within an effective time range after providing the notification. You can perform visitor authentication by checking.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거주자 단말과 방문자 단말 간 연락처 등록에 따라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여 비밀번호 입력없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A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contact app based on a block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visit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contact registration between a resident terminal and a visitor terminal based on a blockchain to allow access without entering a passwo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는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앱과 연동하여 연락처 블록을 연락처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연락처 블록체인에 방문자 단말의 연락처 등록 여부에 따른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contact app based on a blockchain stores a contact block in a contact block chain in conjunction with a contact app of a resident terminal, and a visitor according to whether a contact is registered in a visitor terminal in the contact block chain.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는 방문자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A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contact app based on a block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lock the door lock based on a visitor's authentication resul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수행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수행 예시에 대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door lock system linked to a contact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the contact app of FIG. 1 .
3 is a view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the contact app of FIG. 1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contact app-linked smart door lock device.
5 is a flowchart of an example of performing a contact app-linked smart door lock device.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구역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구역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another element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 exists.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구역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구역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refer to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designate a range,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 rang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mart door lock system linked to a contact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00)은 거주자 단말(110), 방문자 단말(111),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고, 상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거주자 단말(110) 및 방문자 단말(111)은 스마트폰, 태블릿 PC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blockchain-based contact app-linked smart door lock system 100 includes a resident terminal 110, a visitor terminal 111, a contact app-linked smart door lock device 130, and a database 150. and can be connected through mutual networks. Here, the resident terminal 110 and the visitor terminal 111 may correspond to computing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or wearable devices.

거주자 단말(110) 및 방문자 단말(111)은 거주자 단말(110)의 연락처정보와 연동할 수 있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The resident terminal 110 and the visitor terminal 111 may install and execute a dedicated program or application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resident terminal 110 .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130)는 거주자 단말(110)의 연락처앱과 연동하여 연락처 블록을 생성하고, 연락처 블록을 연락처 블록에 저장할 수 있다.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130)는 연락처 블록체인에 방문자 단말(111)의 연락처 등록 여부에 따른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여 방문자의 인증 결과에 따라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13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컴퓨터 또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act app-linked smart door lock device 130 may create a contact block by interworking with the contact app of the resident terminal 110 and store the contact block in the contact block. The contact app-linked smart door lock device 130 performs visit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visitor terminal 111 is registered as a contact in the contact block chain, and unlocks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visitor's authentication result. The contact app-linked smart door lock device 13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server.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130)는 거주자 단말(110) 및 방문자 단말(111)에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거주자 단말(110) 및 방문자 단말(111)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ntact app-linked smart door lock devic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resident terminal 110 and the visitor terminal 111 through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WiFi, and the resident terminal 110 and the visitor terminal ( 111) and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데이터베이스(150)는 거주자 단말(110)을 통해 사용자별로 연락처정보를 입력받아 구축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50)는 방문자의 요청에 따라 거주자 단말(110) 및 방문자 단말(111)에 방문자의 인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거주자 단말(110) 및 방문자 단말(111)은 거주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는 컴퓨팅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거주자 단말(110)의 관리에 따라 방문자의 인증 결과 및 도어락의 록킹 해제 이력를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150 may be constructed by receiving contact information for each user through the resident terminal 110 . In addition, the database 150 may provide the visitor's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resident terminal 110 and the visitor terminal 111 according to the visitor's request. Here, the resident terminal 110 and the visitor terminal 111 are computing devices managed by residents or users, and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portable computing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he database 150 may store a visitor's authentication result and a door lock release history according to management of the resident terminal 110 .

도 2는 도 1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the contact app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mart door lock device 130 linked to a contact app may include a processor 210 , a memory 230 , a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서비스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contact app-linked smart door lock service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 the memory 230 read or written in this process, and volatile information in the memory 230.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can be scheduled. The processor 2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door lock device 130 linked to the contact app,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thereby data between them. You can control the flow.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contact app-linked smart door lock device 130 .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들의 집합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3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isk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includes a secondary storage device used to store all data necessary for the contact app interlocking smart door lock device 130. and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Also, the memory 230 may store a set of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being executed by the electrically connected processor 210 .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13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and includes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on-screen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It may include devices and output devices including adapters such as monitors or touch screens.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a case, the smart door lock device 130 linked to a contact app may be performed as an independent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거주자 단말(110) 및 방문자 단말(111)과 연결되기 위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는 학습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위해 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이나 4G 이상의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provid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connection with the resident terminal 110 and the visitor terminal 111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LAN (Local Area Network),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WAN It may include adapters for communication such as (Wide Area Network) and Value Added Network (VAN). In addition,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WiFi or Bluetooth or a 4G or higher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learning data.

도 3은 도 1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3 is a view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the contact app of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130)는 연락처 블록체인부(310), 방문자 인증부(320), 도어락 해제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contact app-linked smart door lock device 130 may include a contact blockchain unit 310, a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a door unlock unit 330, and a control unit 340.

연락처 블록체인부(310)는 거주자 단말(110)의 연락처앱과 연동하여 연락처 블록을 생성하고 연락처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락처앱은 거주자 단말(110)에 저장된 연락처정보에 해당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락처 블록체인부(310)는 거주자 단말(110)에 저장된 연락처의 이름, 전화번호, 주소 및 생년월일을 포함하는 연락처정보에 대한 연락처 블록을 생성하고 연락처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연락처 블록체인부(310)는 거주자 단말(110)에 저장된 연락처정보를 연락처 블록체인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거주자의 연락처정보 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The contact block chain unit 310 may create a contact block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 app of the resident terminal 110 and store it in the contact block chain. Here, the contact app may correspond to cont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resident terminal 1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contact block chain unit 310 may create a contact block for contact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phone number, address, and date of birth of the contact stored in the resident terminal 110 and store it in the contact block chain. The contact block chain unit 310 can prevent the tampering of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resident by storing the cont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resident terminal 110 in the contact block chain.

일 실시예에서, 연락처 블록체인부(310)는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앱에 등록된 연락처정보를 기초로 연락처 블록을 생성하고,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연락처 블록의 거주자 인덱스를 생성하고, 상기 연락처 블록을 거주자 인덱스에 해당하는 연락처 블록체인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거주자 인덱스는 각 거주자정보가 저장된 연락처 블록체인의 주소 또는 위치에 해당될 수 있다. 연락처 블록체인부(310)는 등록된 거주자에 따라 각각의 연락처정보를 각각의 거주자 인덱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락처 블록체인부(310)는 각각의 연락처정보에 대해 중복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 같은 거주자 인덱스에 저장하거나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act blockchain unit 310 creates a contact block based on contact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contact app of the resident terminal, and generates a resident index of the contact block based on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resident terminal, The contact block may be added to and sto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corresponding to the resident index. Here, the resident index may correspond to the address or location of the contact block chain in which each resident information is stored. The contact blockchain unit 310 may store each contact information in each resident index according to registered residents. Here, the contact block chain unit 310 may store in the same resident index or separately store information when there is overlapping information for each contact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연락처 블록체인부(310)는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앱에 신규 연락처가 등록 저장되면 신규 저장된 연락처정보를 기초로 신규 연락처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신규 연락처 블록을 해당 거주자 인덱스에 링크된 연락처 블록체인에 추가 저장할 수 있다. 즉, 연락처 블록체인부(310)는 거주자 단말(110)에 신규 연락처가 등록 저장된 경우, 거주자 단말(110)의 연락처정보를 조회하여 신규 연락처 블록을 생성하고 해당 거주자 인덱스에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락처 블록체인부(310)는 거주자 단말(110)에 신규 연락처가 등록 저장된 경우, 거주자 단말(110)에 연락처정보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연락처 블록체인부(310)는 거주자 단말(110)로부터 연락처정보 변경 요청을 수신하고, 거주자 단말(110)의 연락처정보를 조회하여 등록된 연락처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 new contact is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contact app of the resident terminal, the contact blockchain unit 310 creates a new contact block based on the newly stored contact information and links the created new contact block to the corresponding resident index. Contacts can be additionally stored in the blockchain. That is, when a new contact is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resident terminal 110, the contact block chain unit 310 searches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resident terminal 110 to generate a new contact block and additionally store it in the corresponding resident index. Here, the contact blockchain unit 310 may request contact information inquiry from the resident terminal 110 when a new contact information is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resident terminal 110 . The contact block chain unit 310 may receive a contact information change request from the resident terminal 110 and retrieve contact information of the resident terminal 110 to correct registered contact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연락처 블록체인부(310)는 방문자 인증에 사용된 연락처 블록에 대해 인증시간을 포함하는 방문 정보에 기초한 방문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방문 블록을 연락처 블록으로부터 파생되는 파생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방문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락처 블록체인부(310)는 방문자 단말(111)에서 수신한 인증 정보 방문 이력을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파생 블록체인은 각각의 거주자 기반 연락처정보가 저장된 연락처 블록에 대한 종속적인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연락처 블록체인부(310)는 방문 이력에 기반하여 최근 방문자 및 최다 빈도 방문자를 포함하는 방문 이력을 거주자 단말(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act block chain unit 310 generates a visit block based on visit information including an authentication time for the contact block used for visitor authentication and places the generated visit block in a derived block chain derived from the contact block. You can save and manage your visit history. Here, the contact blockchain unit 310 may sto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visit history received from the visitor terminal 111 in the database 150 . Derivative blockchains may include blocks subordinate to the contact block in which each resident-based contact information is stored. Based on the visit history, the contact block chain unit 310 may display visit history including recent visitors and most frequent visitors on the resident terminal 110 .

방문자 인증부(320)는 연락처 블록체인에 방문자 단말(111)의 연락처 등록 여부에 따른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20)는 방문자 단말(111)로부터 연락처정보를 수신하거나 음성인식을 통해 방문자 연락처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20)는 연락처 블록체인을 조회하고, 연락처 블록체인에 연락처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방문자인 경우, 방문자 단말(111)에 방문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은 연락처 블록체인에 저장된 연락처정보에 대한 확인 절차에 해당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20)는 방문자 단말(111)의 로그인이나 전화번호 입력을 통한 사용자 인증 등의 절차를 통해 연락처 블록체인에 저장된 연락처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perform visit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visitor terminal 111 is registered as a contact in the contact block chain.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receive contact information from the visitor terminal 111 or receive visitor contact information through voice recognition.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inquires the contact block chain, and may request visitor authentication from the visitor terminal 111 in the case of a visitor whose contact information is not registe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Visitor authentication may correspond to a confirmation procedure for cont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request authentication of information including cont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through procedures such as login of the visitor terminal 111 or user authentication through phone number input.

일 실시예에서, 방문자 인증부(320)는 방문자 단말(111)의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본인 인증 후 방문자 단말(111)의 연락처정보가 연락처 블록체인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통해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20)는 방문자 단말(111)의 연락처 정보가 연락처 블록체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도어락 해제부(330)를 통해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20)는 방문자 단말(111)의 연락처 정보가 연락처 블록체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거주자 단말(110)에 해당 방문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20)는 거주자가 거주자 단말(110)로부터 해당 방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요청을 수신받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perform identity authentic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111 and perform visitor authentication through whether or not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111 is registe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after identity authentication. there is.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unlock the door lock through the door lock release unit 330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111 is registe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provide corresponding visitor information to the resident terminal 110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111 is not registe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receive corresponding visitor information from the resident terminal 110 and receive a request from the resident.

일 실시예에서, 방문자 인증부(320)는 방문자 단말(111)의 본인 인증을 위한 QR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QR 코드를 통해 방문자의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20)는 방문자 단말(111)에 방문자의 본인 인증을 위한 QR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20)는 거주자가 설정한 시간 내에 방문자 단말(111)로부터 방문자의 본인 인증을 위한 QR 코드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요청에 대해 취소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20)는 거주자가 설정한 시간 내에 방문자가 본인 인증을 하지 못한 경우, 방문자 단말(111)의 본인 인증을 위한 QR 코드를 재요청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scan the QR code for authentic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111 and perform authentication of the visitor through the scanned QR code.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request a QR code for authentication of the visitor's identity from the visitor terminal 111 . If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does not receive the QR code for authentication of the visitor from the visitor terminal 111 within the time set by the resident, the request may be canceled.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re-request a QR code for authentic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111 when the visitor fails to authenticate himself within the time set by the resident.

일 실시예에서, 방문자 인증부(320)는 방문자 인증 과정에서 방문자 단말의 연락처가 연락처 블록체인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거주자와 방문자 간의 통화를 통해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20)는 거주자와 방문자 간의 통화 이후 거주자 단말(110) 또는 방문자 단말(111)을 통해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문자 인증부(320)는 거주자가 통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 거주자가 기 등록한, 가족을 포함하는 다른 거주자에게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20)는 거주자가 통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 거주자 단말(110)에 알림을 제공하고, 거주자 단말(110)에 부재중 전화 항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perform visitor authentication through a call between a resident and a visitor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is not registe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during the visitor authentication process.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perform visitor authentication through the resident terminal 110 or the visitor terminal 111 after a call between the resident and the visitor. In one embodiment,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request a call from another resident, including a family member, registered in advance by the resident when the resident does not receive a call.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provide a notification to the resident terminal 110 when the resident does not receive a call, and display a missed call item on the resident terminal 110 .

일 실시예에서, 방문자 인증부(320)는 방문자 단말(111)의 연락처가 연락처 블록체인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거주자 단말(110)에 알림 제공하고 알림 제공 후 유효 시간범위 내에 연락처 블록체인에 방문자 단말(111)의 연락처 신규 블록의 추가 저장 여부를 확인하여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20)는 거주자 단말(110)에 방문자 연락처를 문자 메지시나 카카오톡 등으로 전송하여 거주자 단말(110)의 연락처앱에 등록되지 않은 방문자의 방문을 알릴 수 있다. 이때, 방문자 인증부(320)는 해당 방문자의 연락처를 연락처앱에 등록할지 여부를 문의할 수 있고 해당 거주자가 등록을 선택하면 거주자 단말(110)의 연락처앱에 자동으로 방문자의 연락처를 등록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20)는 유효 시간범위 내에 거주자 단말(110)을 통해 연락처 블록체인에 신규 블록이 저장된 경우,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여 수행 결과를 방문자 단말(111)에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provides a notification to the resident terminal 110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111 is not registe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and provides a notification to the visitor terminal in the contact block chain within an effective time range. Visitor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by checking whether a new contact block in (111) is additionally stored.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notify the resident terminal 110 of a visit by a visitor who is not registered in the contact app of the resident terminal 110 by sending a text message or Kakao Talk to the visitor contact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inquire whether to register the visitor's contact information in the contact app, and if the resident selects registration, the visitor's contact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registered in the contact app of the resident terminal 110. there is.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may perform visitor authentication and provide a result to the visitor terminal 111 when a new block is sto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through the resident terminal 110 within an effective time range.

도어락 해제부(330)는 방문자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도어락 해제부(330)는 방문자 인증을 성공한 경우,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고, 방문자 인증을 실패한 경우 도어락의 록킹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거주자 단말(110)은 방문자 단말(111)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도어락 해제부(330)는 거주자와 방문자 간의 통화 이후 거주자 단말(110)에 방문자 인증 수행을 요청하거나 또는 방문자 단말(111)에 방문자 인증이 승인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도어락 해제부(330)는 요청한 사용자 단말(110)에서 승인한 경우,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The door lock release unit 330 may unlock the door lock based on the visitor's authentication result. The door lock release unit 330 may unlock the door lock when visito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nd may maintain locking of the door lock when visitor authentication fails. Here, the resident terminal 110 may receive a call request from the visitor terminal 111 . After a call between the resident and the visitor, the door unlock unit 330 may request the resident terminal 110 to perform visitor authentication or notify the visitor terminal 111 that the visitor authentication has been approved. The door lock release unit 330 may unlock the door lock when the request is approved by the user terminal 110 .

일 실시예에서, 도어락 해제부(330)는 해당 거주자 단말(110)로부터 도어락에 대한 도어락 해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거주자 단말(110)의 승인에 따라 도어락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해제부(330)는 일시적인 도어락 해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의 방문 성격에 따라 일시성(즉, 해제 가능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락 해제부(330)는 방문자의 방문 성격에 따라 일시적으로 해당 방문자에 대해 일시적으로 도어락 해제를 결정할 수 있다. 방문자의 방문 성격은 가족, 지인 및 회사 구성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door lock release unit 330 may receive a door lock release request for a door lock from the corresponding resident terminal 110 and determine whether to release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approval of the resident terminal 110 . In addition, the door lock release unit 330 may receive a temporary door lock release request, and may determine the temporality (ie, release available time)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user's visit. For example, the door lock release unit 330 may determine to temporarily release the door lock for the corresponding visitor according to the visit characteristics of the visitor. The visiting nature of the visitor may include family members, acquaintances, and company member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제어부(340)는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연락처 블록체인부(310), 방문자 인증부(320), 사용자 비인가 구역 처리부(330) 및 사용자 위치 처리부(34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act app-linked smart door lock device 130, the contact blockchain unit 310,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the user unauthorized area processing unit 330, and the user location processing unit 340. ) can manage the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them.

도 4는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수행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contact app-linked smart door lock device.

도 4에서, 연락처 블록체인부(310)는 거주자 단말(110)의 연락처앱과 연동하여 연락처 블록을 생성하고 연락처 블록체인에 저장한다(단계 S410). 방문자 인증부(320)는 연락처 블록체인에 방문자 단말(111)의 연락처 등록 여부에 따른 방문자 인증을 수행한다(단계 S420). 도어락 해제부(330)는 방문자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한다(단계 S430). In FIG. 4 , the contact block chain unit 310 creates a contact block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 app of the resident terminal 110 and stores it in the contact block chain (step S410).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20 performs visit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visitor terminal 111 is registered as a contact in the contact block chain (step S420). The door lock release unit 330 unlocks the door lock based on the visitor's authentication result (step S430).

도 5는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수행 예시에 대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n example of performing a contact app-linked smart door lock device.

도 5에서, 거주자가 전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거주자 단말(110)의 연락처앱을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130)에 연동한다(단계 S510). 방문자가 방문자 단말(111)을 통해 방문자 인증을 수행한다(단계 S520).In FIG. 5 , the resident interlocks the contact app of the resident terminal 110 with the contact app-linked smart door lock device 130 through a dedicated program or application (step S510). The visitor performs visitor authentication through the visitor terminal 111 (step S520).

방문자가 방문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도어락 해제부(330)에 도어락의 록킹 해제를 요청한다(단계 S530). 방문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 방문자는 방문자 단말(111)을 통해 거주자 단말(110)에 통화를 요청한다(단계 S540). 방문자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한다(단계 S550).If the visitor has succeeded in visitor authentication, the door lock release unit 330 requests unlocking of the door lock (step S530). If the visitor authentication fails, the visitor requests a call to the resident terminal 110 through the visitor terminal 111 (step S540). The door lock is unlocked based on the visitor's authentication result (step S55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구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130 :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
310 : 연락처 블록체인부 320 : 방문자 인증부
330 : 도어락 해제부 340 : 제어부
100: Smart door lock system linked to contact app
130: contact app linked smart door lock device
310: contact blockchain unit 320: visitor authentication unit
330: door lock release unit 340: control unit

Claims (8)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앱과 연동하여 연락처 블록을 생성하고 연락처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연락처 블록체인부;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에 방문자 단말의 연락처 등록 여부에 따른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문자 인증부; 및
상기 방문자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는 도어락 해제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
A contact block chain unit that creates a contact block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 app of the resident terminal and stores it in the contact block chain;
a visitor authentication unit performing visito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visitor terminal is registered as a contact in the contact block chain; and
Blockchain-based contact app interlocking smart door lock device including a door lock release unit for unlocking the door lock based on the visitor's authentication resu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부는
상기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앱에 등록된 연락처정보를 기초로 연락처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연락처 블록의 거주자 인덱스를 생성하고, 상기 연락처 블록을 상기 거주자 인덱스에 해당하는 연락처 블록체인에 추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blockchain unit
A contact block is created based on contact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contact app of the resident terminal, a resident index of the contact block is created based on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resident terminal, and the contact block corresponds to the resident index A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blockchain-based contact ap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dded to and sto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부는
상기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앱에 신규 연락처가 등록 저장되면 신규 저장된 연락처정보를 기초로 신규 연락처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신규 연락처 블록을 해당 거주자 인덱스에 링크된 연락처 블록체인에 추가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act blockchain unit
When a new contact is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contact app of the resident terminal, a new contact block is created based on the newly stored contact information and the new contact block is additionally sto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linked to the corresponding resident index. Chain-based contact app linking smart door lock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부는
상기 방문자 인증에 사용된 연락처 블록에 대해 인증시간을 포함하는 방문 정보에 기초한 방문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방문 블록을 상기 연락처 블록으로부터 파생되는 파생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방문 이력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act blockchain unit
For the contact block used for visitor authentication, a visit block based on visit information including an authentication time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visit block is stored in a derivative block chain derived from the contact block to manage visit history. A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contact app based on blockcha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인증부는
상기 방문자 단말의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본인 인증 후 상기 방문자 단말의 연락처가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통해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A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blockchain-based contact app,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identity authentic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and performing visitor authentication through whether or not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is registe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after identity authentic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인증부는
상기 방문자 단말의 본인 인증을 위한 QR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QR 코드를 통해 상기 방문자의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A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blockchain-based contact app, characterized in that for scanning a QR code for authentic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and performing authentication of the visitor through the scanned QR co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인증부는
방문자 인증 과정에서 상기 방문자 단말의 연락처가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거주자와 상기 방문자 간의 통화를 통해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In the visitor authentication process, if the contact of the visitor terminal is not registered in the contact block chain, the visito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call between the resident and the visitor. Blockchain-based contact app linked smart door lock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인증부는
상기 방문자 단말의 연락처가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거주자 단말에 알림 제공하고 알림 제공 후 유효 시간범위 내에 상기 연락처 블록체인에 상기 방문자 단말의 연락처 신규 블록의 추가 저장 여부를 확인하여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연락처앱 연동형 스마트 도어락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isitor authentication unit
If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visitor terminal is not registered in the contact blockchain, a notification is provided to the resident terminal, and visito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checking whether a new contact block of the visitor terminal is additionally stored in the contact blockchain within an effective time range after providing the notification. Blockchain-based contact app interlocking smart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KR1020220020251A 2022-02-16 2022-02-16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blockchain-based contact app Ceased KR202301232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251A KR20230123283A (en) 2022-02-16 2022-02-16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blockchain-based contact ap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251A KR20230123283A (en) 2022-02-16 2022-02-16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blockchain-based contact ap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283A true KR20230123283A (en) 2023-08-23

Family

ID=8784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251A Ceased KR20230123283A (en) 2022-02-16 2022-02-16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blockchain-based contact ap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328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263A (en) 2014-09-08 2017-05-0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Sensor arrangement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parameter of a fluid medium flowing through a measurement chan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263A (en) 2014-09-08 2017-05-0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Sensor arrangement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parameter of a fluid medium flowing through a measurement chan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 et al. Smart locks: Lessons for securing commodity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8549584B2 (en) Physical security triggered dynamic network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US10171444B1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JP7489658B2 (en) Access control device,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WO20170759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ntelligent door lock, and intelligent door control system
KR101259546B1 (en) Method for smart-key service
KR20140127987A (en) System and method for public terminal security
JP2012144899A (en) Electronic key management device, locking/unlocking system, electronic key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4373314B2 (en) Authentication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KR20220103090A (en) Mobile digital lock technology
CN103544749A (en) Cloud control access control management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KR1021083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 door-lock using one time password, and system therefor
KR20200052434A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IoT equipment
KR102726058B1 (en) Entr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JP6934441B2 (en) Management server, authentic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ervice cooperation system
JP2008294502A (en) Access control system
KR1023441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JP2008097203A (en) Lock control system, management server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program
KR20230123283A (en) Smart door lock device linked to a blockchain-based contact app
JP6273572B2 (en) Authentication control system, gateway device
JP6714283B1 (en) Electronic unlocking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US10645070B2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US20250200152A1 (en) Two-level authentication for secure assets
JP2006188922A (en) Room entrance/exit control system and method
TWI624580B (en) Electronic lock, information logi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11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