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99249A - Navigation device for adjusting catheter and navigation system compr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Navigation device for adjusting catheter and navigation system compr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249A
KR20230099249A KR1020210188448A KR20210188448A KR20230099249A KR 20230099249 A KR20230099249 A KR 20230099249A KR 1020210188448 A KR1020210188448 A KR 1020210188448A KR 20210188448 A KR20210188448 A KR 20210188448A KR 20230099249 A KR20230099249 A KR 20230099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information
navigation device
unit
leng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4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승용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88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249A/en
Publication of KR20230099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249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13Mechanical advancing means, e.g. catheter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78Operations on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61B2034/2046Tracking techniques
    • A61B2034/2059Mechanical position enco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025/0166Sensors, electrodes or the like for guiding the catheter to a target zone, e.g. image guided or magnetically gui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obot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device for controlling a catheter inserted into the body during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procedures, which can be easily operated by an assistant beside an operator. The navigation device comprises: a driving unit controlling movement of a catheter; a length adjustment unit whos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catheter and whos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a fixture inserted into a sheath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tube so that the catheter penetrat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avigation system which comprises: the catheter inserted into the body to generate procedure information during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procedures; the navigation device generating driving information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a server receiving procedure information from the catheter and receiving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navigation device to generate control information and output information; and a display receiving the outpu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o output the output information.

Description

카테터를 조절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device for adjusting catheter and navigation system comprsing the same}Navigation device for adjusting a catheter and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Navigation device for adjusting catheter and navigation system compr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테터를 조절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심혈관 중재 시술 시 보조자가 시술자의 옆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즉각적인 상황 파악과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카테터를 조절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device for adjusting a catheter and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relates to a navigation device for controlling a catheter that can be easily manipulated by an assistant at the side of an operator during a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procedure and can immediately grasp and respond to a situation. And it relates to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심장병 치료 기술 발전과 평균 수명 연장으로 심장 부정맥은 매우 흔한 질환이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부정맥이 약물치료에 반응이 좋지 않거나 심한 부작용으로 대부분 비약물치료법인 시술에 의존해 오고 있다. In general, with advances in heart disease treatment technology and an increase in life expectancy, cardiac arrhythmias have become very common. However, most arrhythmias do not respond well to drug treatment or have severe side effects, so most have resorted to non-drug treatment methods.

X선 투시조영술(X-ray fluoroscopy)에 의존한 부정맥 시술은 복잡한 부정맥에는 치료 성공률이 낮고 많은 X선 피폭량으로 환자는 물론 시술자, 근무자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기에 이르렀다. Arrhythmia procedures that rely on X-ray fluoroscopy have a low treatment success rate for complex arrhythmias, and a large amount of X-ray exposure seriously threatens the health of patients, operators, and workers.

몇몇 보고에 따르면 X선 투시조영술을 사용한 환경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근무자의 80%가 무거운 차폐복의 장시간 착용으로 근골격계 질환(경추, 요추 디스크, 무릎, 발목 퇴행성 관절염 등)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다양한 악성질환(혈액암, 갑상선암, 뇌종양 등)의 발병률도 월등히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According to some reports, 80% of workers who have worked in an environment using X-ray fluoroscopy for more than 10 years suffer from musculoskeletal disorders (cervical spine, lumbar disc, knee, ankle degenerative arthritis, etc.) due to long-term wearing of heavy protective clothing, and various malignancies The incidence of diseases (blood cancer, thyroid cancer, brain tumor, etc.) is also reported to be significantly high.

최근 3차원 유도장치(3D navigation system)가 도입되고 눈부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서 이전에 치료하지 못하거나 성공률이 낮은 복잡한 부정맥을 성공적으로 치료하기에 이르렀으나, 복잡한 시술을 위해서는 고도로 숙련된 시술자와 보조자들, 간호사들, 영상 장비 조작자, 3D 유도장치 조작자, 심장 자극기(cardiac pacing stimulator) 조작자 등 여러 명으로 이루어진 시술 팀이 필요하다. Recently, a 3D navigation system has been introduced and through remarkable technological advances, it has been possible to successfully treat complex arrhythmias that could not be treated before or had a low success rate. However, highly skilled operators and assistants are required for complex procedures , nurses, imaging equipment operators, 3D guidance device operators, and cardiac pacing stimulator operators.

팀의 숙련도와 조화로운 협업은 어려운 병의 정복에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숙련도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많은 훈련과 경험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시술자는 의사로 환자와 시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즉각적인 상황 파악과 대응이 가능하지만 보조자는 시술자만큼 숙련되지 못한 경우가 종종 있으며 잘못된 상황 파악이나 늦은 대응은 좋지 못한 치료 결과로 나타나기도 한다.Team proficiency and harmonious collaboration can help conquer difficult diseases, but it takes a lot of training and experience to reach a certain level of proficiency. Most operators are doctors who have a high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and the procedure and can immediately grasp and respond to the situation, but assistants are often not as skilled as the operator, and incorrect situation identification or late response may result in poor treatment results.

이에 따라, 심혈관 중재 시술 시 보조자가 시술자를 도와 보조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for a device that can be easily manipulated so that an assistant can assist the operator during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procedures.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7407호 "심장 진단용 초음파 트랜스듀서" 가 있다.As a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17407 "Ultrasound transducer for cardiac diagnosis" is available.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카테터를 조절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심혈관 중재 시술 시 보조자가 시술자의 옆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즉각적인 상황 파악과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카테터를 조절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device for adjusting a catheter and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the navigation device, which can be easily operated by an assistant next to the operator during a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procedure, and can immediately grasp and respond to the situa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navigation device for adjusting a catheter and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는 심혈관 중재시술 시 체내에 삽입되는 카테터를 조절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부; 전단이 상기 카테터와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길이조절부 및 시스(Sheath)에 삽입되며, 상기 카테터가 관통되도록 원형관 형태로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avigation device for controlling a catheter inserted into the body during a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procedure, comprising: a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catheter; It may include a length adjusting part having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catheter and a rear end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and a fixing part formed in a circular tube shape so that the catheter passes therethrough.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조작부 및 다른 장비와 연결되도록 후면에 형성되어 허브 역할을 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 un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med on an upper surfac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and a connection unit formed on a rear surface to be connected to other equipment and serving as a hub.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카테터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노브조작부; 상기 길이조절부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길이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 knob control unit for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It may include a length control unit for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the length adjustment unit.

또한, 상기 고정부는, 후면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시스의 후면에 거치되어 체내로 들어가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a rear surface, and the fixing protrusion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heath and is fixed without entering the body.

또한, 상기 고정부는,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와 밀착되어 접촉하여 상기 카테터로 정밀한 동작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protrusions ar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theter to deliver a precise operation to the catheter.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카테터가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가 인입되는 부분이 내측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로부터 이어지며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may include an inclined part formed in a shape where the portion into which the catheter is introduced narrows inward so that the catheter can be easily inserted, and a passage part extending from the inclined part and passing through the fixing part. there is.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경사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돌기 및 상기 통로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ssage portion and continuously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심혈관 중재시술 시 체내에 삽입되어 시술정보를 생성하는 카테터; 상기 카테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정보를 생성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상기 카테터로부터 시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구동정보를 수신하여 제어정보 및 출력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출력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theter inserted into the body during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procedures to generate procedure information; a navigation device generating drive information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catheter; It may include a server that receives treatment information from the catheter and receives drive information from the navigation device to generate control information and output information, and a display that receives and outputs outpu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또한, 상기 시술정보는, 상기 카테터가 생성하는 카테터의 위치정보, 매핑정보 및 영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eatment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mapping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of the catheter generated by the catheter.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카테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입력정보를 생성하는 조작부 및 다른 장비와 연결되어 추가정보를 생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부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 및 시스(Sheath)에 삽입되며, 상기 카테터가 관통되도록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가 체내에 삽입된 길이를 감지하여 삽입정보를 생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avigation device includes a driving unit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input information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and a connection unit for generating additional information by being connected to other equipment; Receives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is drawn in or drawn out from the drive unit, and is inserted into a length adjusting unit and a sheath that can adjust the length, and is formed in a circular tube shape so that the catheter passes through, and a sensor is provided inside It may include a fixing unit that detects the length of the catheter inserted into the body and generates inser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구동정보를 통해 상기 카테터가 체내에 삽입된 길이를 판단하여 예상 삽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예상 삽입정보와 상기 삽입정보의 차이값인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rver determines the length of the catheter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the driving information to generate expected insert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error information that is a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ed insertion information and the insertion information. .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오차정보가 양수일 경우 체내 혈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단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차정보가 음수일 경우 상기 구동부의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점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rver generates stop information to prevent damage to blood vessels in the body when the error information is a positive number, and generates inspection information to check the drive unit when the error information is a negative number, thereby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through.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조절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심혈관 중재 시술 시 보조자가 시술자의 옆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A navigation device for controlling a catheter and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nable an assistant to easily manipulate the catheter at the side of an operator during a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procedure.

또한, 보조자가 즉각적인 상황파악과 대응하도록 시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혈관 합병증을 최대한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vascular complications that may occur in the procedure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assistant immediately grasps and responds to the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심혈관 중재시술을 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길이조절부가 작동하여 길이가 조절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도 4의 고정부가 시스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고정부에 카테터가 삽입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흐름도.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procedure using a navigation device and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Figure 2;
Figure 4 (a), (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is adjusted by operating the length adjusting unit of the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art of Figure 4 is inserted into the sheath.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theter is inserted into a fixing part of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6;
8 is a flowchart of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transformat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In addition, the content described below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in meaning per se,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dicate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include"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should be construed, and understood not to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attach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심혈관 중재시술을 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길이조절부가 작동하여 길이가 조절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고정부가 시스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고정부에 카테터가 삽입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procedure using a navigation device and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Figure 2, Figure 4 (a), (b) is a length adjustment of the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is adjusted by operating the part,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art of FIG. 4 is inserted into the sheath, and FIG. 6 is a fixing part of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theter is inserted,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

심혈관 중재시술은 심장 관상동맥 좁아지거나 막힌 곳을 확장하여 혈류가 원활하도록 팔이나 다리의 동맥을 이용해 혈관을 뚫어주는 시술로, 경피적 카테터 시술 전후에 혈관초음파를 시행하게 된다.Cardiovascular intervention is a procedure that expands narrowed or blocked coronary arteries and opens blood vessels using arteries of arms or legs to facilitate blood flow.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는 카테터가 체내 초음파를 시행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될 수 있도록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를 조절 및 안내하는 장치로서, 심장 내부를 관찰하여 출혈, 박리 등 경피적 시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혈관 합병증을 최대한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adjusting and guiding a catheter inserted into the body so that the catheter can be used as a device for conducting ultrasound within the body, and observes the inside of the heart to detect bleeding and dissection. Vascular complications that can occur in percutaneous procedures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설명에 앞서, 네비게이션 장치(2)에 설치되는 카테터(1)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자 한다.Prior to this description, the catheter 1 installed in the navigation device 2 will be first described.

카테터(1)는 초음파 유도를 통하여 심장 내부의 구조를 다양한 각도, 거리에서 자세히 관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영상장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카테터(1)는 심장 내로 진입되어 전극 등 심근 조직의 제거를 위해 삽입되어야 하는 처치구를 타겟 지점으로 가이드 하는 의료용 기구로, 심혈관 중재시술 시 체내에 삽입되어 시술자로 하여금 심장 내부를 관찰하도록 할 수 있다.The catheter 1 is an imaging device that makes it possible to observ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eart in detail from various angles and distances through ultrasound guidance. More specifically, the cathe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ical device that enters the heart and guides a treatment instrument to be inserted to remove myocardial tissue, such as an electrode, to a target point. You can have them look inside the heart.

또한, 본 발명의 카테터(1)는 의료 시술 시 사용되는 모든 카테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카테터(1)는 끝단 팁에 링 형상의 전극이 구비되고, 내측으로 위치센서가 수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테터(1)는 다수개의 코일로 구성된 위치 패드가 구비되어 각각 자기장을 형성시키고, 내장된 위치 센서로 하여금 상기 자기장의 강도를 측정하고, 거리를 산출하여 카테터(1)의 위치를 매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the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l catheters used in medical procedures. For example, the catheter 1 may be provided with a ring-shaped electrode at the distal end and a position sensor accommodated inside. In addition, the catheter 1 is provided with a position pad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ils to form a magnetic field, and the built-in position sensor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and calculates the distance to map the position of the catheter 1. can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2)는 심혈관 중재시술 시 체내에 삽입되는 카테터(1)를 조절 및 안내하는 장치로, 구동부(20), 길이조절부(21) 및 고정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2 and 3, the navigation devic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adjusting and guiding the catheter 1 inserted into the body during cardiovascular intervention, and includes a driving unit 20, a length adjusting unit ( 21) and a fixing part 22.

이때, 네비게이션 장치(2)의 각각의 구성들은 멸균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네비게이션 장치(2)는 각각의 구성이 멸균된 상태의 바이오 필름으로 코팅되거나, 활성산소를 통한 자가 멸균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멸균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the navigation device 2 may be maintained in a sterile state. For example, each component of the navigation device 2 may be coated with a biofilm in a sterilized state, or may be self-sterilized using active oxyge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sterilization state by a commonly used method.

구동부(20)는 카테터(1)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으로, 카테터(1)에 동력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동력을 적절한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The driving unit 2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1, and not only transmits power to the catheter 1, but also converts the power in an appropriate direction.

이러한 구동부(20)는 조작부(200) 및 연결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0 may include a manipulation unit 200 and a connection unit 201 .

조작부(200)는 구동부(20)의 상면에 형성되어 카테터(1)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노브조작부(2001), 길이조작부(2002) 및 버튼부(200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unit 2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1, and may include a knob control unit 2001, a length control unit 2002, and a button unit 2003.

먼저, 노브조작부(2001)는 카테터(1)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심혈관 중재시술 시 사용되는 노브조작부(2001)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브조작부(2001)는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의 시술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카테터(1) 끝단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카테터(1) 끝단의 앞뒤 구부림, 좌우 구부림 및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노브조작부(2001)는 종래의 카테터(1)와 같이 각각의 움직임에 대해 지시선을 기준으로 회전을 통해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노브조작부(2001)의 상하단에 형성된 삼각형으로 형성된 버튼을 통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irst, the knob manipulation unit 2001 is a part that manipulates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1, and may be formed identically to the knob manipulation unit 2001 used in general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procedur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the knob control unit 2001 ca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1 so that the operator can generate treatment information at a desired position. Allow clockwise rotation. At this time, the knob control unit 2001 can be operated through rotation based on the indicator line for each movement like the conventional catheter 1, as well as triangular buttons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each knob control unit 2001. You can make it move through .

길이조작부(2002)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길이조절부(21)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부분으로, 길이조작부(2002)를 통해 길이조절부(21)가 구동부(20)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길이조작부(2002)는 인입 또는 인출되는 버튼뿐만 아니라, 움직임의 크기를 설정하는 버튼을 구비하여 길이조절부(21)의 움직임에 대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시술자가 길이조절부(21)를 조작하는 것에 있어서, 길이조작부(2002)를 통해 보다 정밀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length control unit 2002 is a part for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the length control unit 21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nd allows the length control unit 21 to be pulled in or out from the drive unit 20 through the length control unit 2002. can At this time, the length control unit 2002 includes a button for setting the amount of movement as well as a button to be drawn in or out, so that the speed of the movement of the length control unit 21 can be adjusted. Thus, in manipulating the length adjusting unit 21, the operator can perform more precise manipulation through the length controlling unit 2002.

버튼부(2003)는 한 개 이상이 구비되어 네비게이션 장치(2)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버튼으로, 응급 기능, 장착 기능, 설정 기능 등에 대한 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이 부여된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버튼부(2003)는 장착 기능을 하는 버튼이 구비되어 해당 버튼을 누르면 길이조절부(21)와 구동부(20)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버튼부(2003)는 응급 기능을 하는 버튼이 구비되어, 심장 중재 시술 시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버튼을 누름으로써, 응급상황에 대비하도록 할 수 있다. One or more buttons 2003 are provided to conveniently operate the navigation device 2, and may include buttons for an emergency function, a mounting function, a setting function,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re not limited thereto. A button to which a function is assigned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button unit 2003 is provided with a button that performs a mounting function, and when the corresponding button is pressed, the length adjusting unit 21 and the driving unit 20 can be connected or separated. In addition, the button unit 2003 is provided with a button that performs an emergency function, and when an emergency occurs during cardiac interventional surgery,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an emergency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이와 같이, 버튼부(2003)는 시술자가 심장 중재 시술 시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 시술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시술하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utton unit 2003 can provide various functions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perform cardiac interventional procedures, thereby helping the operator perform the operation mor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연결부(201)는 구동부(20)의 후면에 형성되어 다른 장비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201)는 전원부, 보조장비 등이 연결될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 장치(2)를 보조할 수 있는 다양한 장비와 연결되어 시술 시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201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drive unit 20 and may serve as a hub to enable connection with other equipment. At this time, the connection unit 201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auxiliary equipment, and the like, and may be connected to various equipment capable of assisting the navigation device 2 to be helpful during a procedure.

도 4를 참조하면, 길이조절부(21)는 전단이 카테터(1)와 연결되고 후단이 구동부(20)와 연결되며, 구동부(20)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길이조절부(21)를 통해 카테터(1)의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4, the length adjustment unit 21 has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catheter 1 and a rear end connected to the drive unit 20, and can be drawn in or out from the drive unit 20 to adjust the length. Through (21), the length of the catheter (1) can be adjusted.

이때, 길이조절부(21)는 구동부(20) 내부에 마련되는 실린더 또는 모터를 통해 구동부(20)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게 하는 모든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adjusting unit 21 may be drawn in or withdrawn from the driving unit 20 through a cylinder or a motor provided inside the driving unit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eans capable of being drawn in or withdrawn may be applied. there is.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22)는 시스(S)에 삽입되며 카테터(1)가 관통되도록 원형관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카테터(1)와 접촉되어 구동부(20)로 하여금 카테터(1)로 정밀한 동작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ixing part 22 is inserted into the sheath S and formed in a circular tube shape so that the catheter 1 passes through it,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atheter 1 penetrating the inside to drive the driving part 20 The catheter 1 can be used to deliver precise motion.

여기서, 시스(S)는 중공의 긴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피부를 통하여 카테터(1)를 삽입할 때 사용되는 외피를 의미하는 것으로, 카테터(1)가 체내로 삽입될 때 실질적으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Here, the sheath (S) has the shape of a long hollow pipe, and means an outer sheath used when inserting the catheter (1) through the skin, which substantially serves as a guide when the catheter (1) is inserted into the body. can

또한, 고정부(22)는 후면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고정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22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220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rear surface.

이에, 고정부(22)는 시스(S)에 삽입할 때, 고정돌기(220)가 시스(S)의 후면에 거치됨으로써 체내로 들어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xing part 22 is inserted into the sheath (S), the fixing protrusion 220 can be fixed without entering the body by being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heath (S).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부(22)는 카테터(1)에 밀착되어 접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돌기(223)를 포함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6 , the fixing part 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223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atheter 1 .

돌기(223)는 고정부(22)의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카테터(1)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끝단이 구부러질 수 있으며, 카테터(1)로 인한 외력이 사라질 경우, 복원력에 의해 카테터(1)와 접촉하기 전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The protrusion 223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22, and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tip can be bent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catheter 1, and when the external force caused by the catheter 1 disappears, It can be restored to the state before contact with the catheter 1 by the restoring force.

이때, 돌기(223)는 끝단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어 카테터(1)와 보다 더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223 is formed in a sharp end so that it adheres more closely to the catheter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에 따라, 고정부(22)는 돌기(223)를 통해 카테터(1)와 고정력을 높일 수 있으며, 구동부(20)를 통해 카테터(1)가 정밀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fixing part 22 can increase the fixing force with the catheter 1 through the protrusion 223, and allows the catheter 1 to perform precise operation through the driving part 20.

또한, 고정부(22)는 관통되게 형성된 내부가 경사부(221) 및 통로부(22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22 may be formed to include an inclined part 221 and a passage part 222 through which the inside is formed.

도 7을 참조하면, 경사부(221)는 카테터(1)가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홀로, 카테터(1)가 인입되는 부분인 고정부(22)의 후면부가 내측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inclined portion 221 is a hole formed so that the catheter 1 can be easily inserted, and the rea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22, which is a portion into which the catheter 1 is inserted, is formed in a shape that narrows inward. can

통로부(222)는 경사부(221)로부터 이어지게 형성된 홀로, 고정부(22)의 후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일 수 있다. 이때, 통로부(222)는 일정한 직경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카테터(1)의 두께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passage part 222 is a hole formed to continue from the inclined part 221, and may be the remaining part except for the rear part of the fixing part 22. At this time, the passage portion 222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with a constant diameter, and is most preferably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atheter (1).

또한, 고정부(22)는 내부가 경사부(221) 및 통로부(222)로 이루어짐에 따라, 돌기(223)가 제1돌기(2230) 및 제2돌기(2231)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22 may be formed by dividing the protrusion 223 into a first protrusion 2230 and a second protrusion 2231 as the inside of the fixing part 22 is composed of the inclined part 221 and the passage part 222. there is.

제1돌기(2230)는 경사부(22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돌기이며, 제2돌기(2231)는 통로부(222)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돌기이다. 이때, 제2돌기(2231)는 통로부(222)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first protrusion 2230 is a protrusion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221 , and the second protrusion 2231 is a protrusion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ssage portion 222 . At this time, the second protrusion 2231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ssage portion 222, but is most preferably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에 따라, 고정부(22)에 카테터(1)가 삽입되면 경사부(221)에 진입하여 제1돌기(2230)에 접촉하게 되고, 이후, 통로부(222)에 진입하여 제2돌기(2231)와 접촉된 상태로 체내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catheter 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22, it enters the inclined part 221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2230, and then enters the passage part 222 and enters the second protrusion 2231. ) and migrates into the body.

이러한 카테터를 조절하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 navigation device for controlling such a cathe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of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네비게이션 장치(2)를 이용하여 카테터(1)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system for controlling a catheter 1 using a navigation device 2 .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카테터(1), 네비게이션 장치(2), 서버(3) 및 디스플레이(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theter 1 , a navigation device 2 , a server 3 , and a display 4 .

카테터(1)와 네비게이션 장치(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장치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atheter 1 and the navigation device 2 have been described in the above devic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카테터(1)는 체내에 삽입되어 시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시술정보는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1)가 생성하는 카테터의 위치정보, 매핑정보 및 영상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카테터(1)를 통해 생성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theter 1 may be inserted into the body to generate treatment information. Here, the treatment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location information, mapping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of the catheter generated by the catheter 1 inserted into the bod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not limited thereto. information may be included.

네비게이션 장치(2)는 카테터(1)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구동부(20), 길이조절부(21) 및 고정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avigation device 2 may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1, and may include a driving unit 20, a length adjusting unit 21 and a fixing unit 22.

여기서 구동정보는 하기에서 설명 할 길이조절부(21)를 통해 생성되는 입력정보, 연결부(201)를 통해 생성되는 추가정보 및 고정부(22)를 통해 생성되는 삽입정보 등 네비게이션 장치(2)를 통해 생성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riving information is the navigation device 2, such as input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length adjustment unit 21,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01, and inser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fixing unit 2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t can include all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구동부(20)는 카테터(1)의 움직임을 제어하거나, 길이조절부(21)의 길이를 제어하도록 입력정보를 생성하는 조작부(200) 및 다른 장비와 연결되어 추가정보를 생성하는 연결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 unit 2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1 or the control unit 200 that generates input information to control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ment unit 21 and the connection unit 201 that generates additional information by being connected to other equipment. can include

길이조절부(21)는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구동부(20)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length adjustment unit 21 receives control information and is drawn in or out from the drive unit 20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고정부(22)는 시스(S)에 삽입되며, 카테터(1)가 관통하도록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 감지센서(221)가 구비되어 카테터(1)가 체내에 삽입된 길이를 감지하여 삽입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정보는 감지센서(221)로부터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1) 끝단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221)는 카테터(1) 끝단에 위치한 위치센서, 전극 등을 인식하는 유도센서, 광센서, 접촉센서 등이 적용되어 카테터(1)가 체내에 삽입된 길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길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는 모두 적용가능 할 수 있다. 이에, 감지센서(221)는 카테터(1) 끝단을 인식하고, 감지센서(221)로부터 카테터(1) 끝단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삽입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fixing part 22 is inserted into the sheath S, and is formed in a circular tube shape so that the catheter 1 passes through, and a detection sensor 221 is provided therein to detect the length of the catheter 1 inserted into the body Insertion information can be created by doing so. Here, the insertion information may mean a distance from the detection sensor 221 to the end of the catheter 1 inserted into the body. At this time, the detection sensor 221 can detect the length of the catheter 1 inserted into the body by applying a position sensor located at the end of the catheter 1, an inductive sensor recognizing an electrode, an optical sensor, a contact sensor, etc. , but not limited thereto, an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length may be applicable. Accordingly, the detection sensor 221 may recognize the end of the catheter 1 and generate insertion information by recognizing the distance from the detection sensor 221 to the end of the catheter 1 in real time.

서버(3)는 카테터(1)로부터 시술정보를 수신하고, 네비게이션 장치(2)로부터 구동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3)는 상기와 같이 시술정보 및 구동정보를 기반으로 제어정보 및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rver 3 may receiv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catheter 1 and drive information from the navigation device 2 . In addition, the server 3 may generate control information and output information based on the treatment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제어정보는 구동정보에 따라 네비게이션 장치(2)의 길이조절부(21) 및 카테터(1)의 방향 제어 등에 대한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이다. Here, the control information is information capable of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21 of the navigation device 2 and the direction control of the catheter 1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예컨대, 도 3 내지 4를 참조하면, 시술자가 노브조작부(2001)를 조작하면 카테터(1)의 전후, 좌우, 시계/반시계방향 회전에 대한 입력정보가 생성되고, 길이조작부(2002)를 조작하면 길이조절부(21)의 길이조절에 대한 입력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에, 서버(3)는 입력정보를 포함하는 구동정보로부터 각각 카테터(1) 및 길이조절부(21)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네비게이션 장치(2)는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3 and 4, when the operator manipulates the knob control unit 2001, input information about the front and rear, right and left, and clockwise/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catheter 1 is generated, and the length control unit 2002 is operated. When the input information about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length adjustment unit 21 can be generated. Accordingly, the server 3 may generate control information for the catheter 1 and the length adjustment unit 21, respectively, from the drive information including the input information, and the navigation device 2 receives the control information to operate. can do.

또한, 서버(3)는 삽입정보를 포함하는 구동정보를 통해 출력정보를 생성하여, 시술자에게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1)의 길이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3 may generate output information through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insertion information, so that the operator can determine the length of the catheter 1 inserted into the body.

이때, 서버(3)는 삽입정보를 이용하여 카테터(1)가 체내 안정적으로 삽입되고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er 3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atheter 1 is stably inserted into the body using the insertion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3)는 카테터(1)가 체내에 삽입된 길이를 판단하여 예상 삽입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버(3)는 예상 삽입정보와 고정부(22)가 생성한 삽입정보를 비교하여 오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오차정보는 예상 삽입정보에서 삽입정보를 뺀 값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rver 3 may generate estimated insertion information by determining the length of the catheter 1 inserted into the body. Thereafter, the server 3 may generate error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expected insertion information with the inser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fixing unit 22 . Here, the error information may be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insertion information from the expected insertion information.

이때, 서버(3)는 오차정보가 양수일 경우, 체내 혈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제어정보에 따라 체내에 삽입되었어야 할 카테터(1)가 예상된 길이만큼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카테터(1)가 진입해야 할 진입 경로에 저항이 있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서버(3)는 중단정보를 생성하여 더 이상 카테터(1)가 체내로 진입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하고, 내부 혈관 또는 체내 위치한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ase, when the error information is a positive number, the server 3 may generate interruption information to prevent damage to blood vessels in the body. This can be determined that the catheter 1, which should have been inserted into the body accor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is not inserted as long as the expected length, and that there is resistance in the entry path into which the catheter 1 should enter. Accordingly, the server 3 generates stop information to stop the catheter 1 from entering the body any longer, and to prevent damage to internal blood vessels or structures located in the body.

이와 반대로, 서버(3)는 오차정보가 음수일 경우, 구동부(20)의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점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제어정보에 따라 체내에 삽입되었어야 할 카테터(1)가 예상된 길이보다 많이 삽입된 상태로, 구동부(20)에 문제가 발생하여 제어정보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서버(3)는 점검정보를 생성하여 시술자로 하여금 구동부(20)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Conversely, when the error information is a negative number, the server 3 may generate inspection information so that the drive unit 20 can be inspected. This may determine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control information due to a problem with the drive unit 20 in a state where the catheter 1, which should have been inserted into the body accor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is inserted more than the expected length. Accordingly, the server 3 generates inspection information so that an operator can inspect the drive unit 20 .

이때, 서버(3)는 오차정보가 일정 범위 이하일 때는 중단정보 또는 점검정보를 생성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3)는 카테터(1)의 길이를 감지하는 데 있어서 오차를 감안하여 ±0.2를 오차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서버(3)는 오차정보가 오차범위 안에 있을 때는 상기와 같은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카테터(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er 3 may not generate interruption information or inspection information when the error information is less than a certain range. For example, the server 3 may set ±0.2 as an error range in consideration of an error in detecting the length of the catheter 1. Accordingly, the server 3 may determine that the catheter 1 is operating normally without generating the above information when the error information is within the error range.

이와 같이, 서버(3)가 오차정보를 생성함에 따라, 시술자는 카테터(1)가 체내 진입 시 진입경로에 저항이 생긴 것을 빠르게 판단하여 내부 혈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테터(1)가 정상적으로 체내에 진입하고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as the server 3 generates the error information, the operator can quickly determine that resistance is generated in the entry path when the catheter 1 enters the body, thereby preventing internal blood vessel damage, as well as preventing damage to the catheter 1.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whether or not it is normally entering the body.

또한, 서버(3)는 카테터(1)로부터 수신한 시술정보와 구동정보에 포함된 입력정보를 시술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3 may generate output information capable of providing the operator with inpu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atheter 1 .

디스플레이(4)는 서버(3)로부터 수신한 출력정보를 출력하여 시술자로 하여금 카테터(1)의 시술정보 및 네비게이션 장치(2)의 구동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isplay 4 outputs the outpu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3 so that the operator can provid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atheter 1 and driving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device 2.

여기서, 디스플레이(4)는 시술실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술실 외부에 설치되어 해당 정보가 필요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4)는 시술실 내외부에 설치되어 시술자에게 정보를 안내하도록 사용되는 모든 출력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 the display 4 may be installed inside the operating roo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stalled outside the operating room so that the user who need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can check it. In addition, the display 4 may include all output device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operating room and used to guide information to the opera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4)는 체내에 위치하는 카테터(1)가 보여주는 체내 영상정보, 카테터(1) 위치하는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 체내 삽입된 카테터(1)의 길이정보 등을 시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4 provides the operator with internal imag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catheter 1 located in the body,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point where the catheter 1 is located, length information of the catheter 1 inserted in the body, and the like. can do.

이에 따라, 시술자는 디스플레이(4)를 통해 상기와 같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시술을 진행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operator checks the above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4 and proceeds with the procedure so that a safer and more accurate procedure can be perform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1: 카테터
2: 네비게이션 장치
20: 구동부
200: 조작부
2001: 노브조작부
2002: 길이조작부
2003: 버튼부
201: 연결부
21: 길이조절부
22: 고정부
220: 고정돌기
221: 감지센서
221: 경사부
222: 통로부
223: 돌기
2230: 제1돌기
2231: 제2돌기
3: 서버
4: 디스플레이
S: 시스
1: catheter
2: Navigation device
20: driving unit
200: control panel
2001: Knob control unit
2002: Length Control Unit
2003: Button part
201: connection part
21: length adjustment unit
22: fixing part
220: fixed protrusion
221: detection sensor
221: inclined portion
222 passage part
223: projection
2230: first protrusion
2231: second protrusion
3: server
4: display
S: Sis

Claims (12)

심혈관 중재시술 시 체내에 삽입되는 카테터를 조절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부;
전단이 상기 카테터와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길이조절부 및
시스(Sheath)에 삽입되며, 상기 카테터가 관통되도록 원형관 형태로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In the navigation device for controlling a catheter inserted into the body during cardiovascular intervention,
a driving unit controlling movement of the catheter;
A length adjustment unit having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catheter and a rear end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A navigation device that is inserted into a sheath and includes a fixing part formed in a circular tube shape so that the catheter passes therethrou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조작부 및
다른 장비와 연결되도록 후면에 형성되어 허브 역할을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A manipulation uni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and
A navigation device including a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rear side to be connected to other equipment and acting as a hub.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카테터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노브조작부;
상기 길이조절부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길이조작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a knob control unit for manipulating movement of the catheter;
A navigation device including a length control unit for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the length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후면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시스의 후면에 거치되어 체내로 들어가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back side,
The navig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rotrusion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heath and fixed without entering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와 밀착되어 접촉하여 상기 카테터로 정밀한 동작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It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rotrusion,
A navig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theter to transmit a precise motion to the cathet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카테터가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가 인입되는 부분이 내측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로부터 이어지며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로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fixing part,
An inclined portion formed in a shape where the portion into which the catheter is introduced narrows inward so that the catheter can be easily inserted; and
A navigation device including a passa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clined portion and passing through the fixing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경사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돌기 및
상기 통로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돌기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protrusion,
A first protrusion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and
A navigation device including a second protrusion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ssage and continuously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심혈관 중재시술 시 체내에 삽입되어 시술정보를 생성하는 카테터;
상기 카테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정보를 생성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상기 카테터로부터 시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구동정보를 수신하여 제어정보 및 출력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출력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to the body during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procedures to generate procedure information;
a navigation device generating drive information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catheter;
A server that receives treatment information from the catheter and receives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navigation device to generate control information and output information; and
A navigation system comprising a display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outpu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술정보는,
상기 카테터가 생성하는 카테터의 위치정보, 매핑정보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treatment information,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mapping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of the catheter generated by the cathe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카테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입력정보를 생성하는 조작부 및 다른 장비와 연결되어 추가정보를 생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부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 및
시스(Sheath)에 삽입되며, 상기 카테터가 관통되도록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카테터가 체내에 삽입된 길이를 감지하여 삽입정보를 생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navigation device,
a drive unit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input information to control movement of the catheter and a connection unit for generat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other devices;
A length adjustment unit capable of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and retracting or withdrawing from the driving unit to adjust the length; and
It is inserted into a sheath, formed in a circular tube shape so that the catheter passes through, and a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therein to sense the length of the catheter inserted into the body and generate insertion information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 fixing part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구동정보를 통해 상기 카테터가 체내에 삽입된 길이를 판단하여 예상 삽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예상 삽입정보와 상기 삽입정보의 차이값인 오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The server,
Th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the catheter inserted into the body is determined through the drive information to generate expected insertion information, and error information that is a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ed insertion information and the inser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오차정보가 양수일 경우 체내 혈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단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차정보가 음수일 경우 상기 구동부의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점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server,
If the error information is a positive number, stop information is generated to prevent damage to blood vessels in the body;
When the error information is a negative number, inspe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display through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drive unit can be inspected.
KR1020210188448A 2021-12-27 2021-12-27 Navigation device for adjusting catheter and navigation system comprsing the same Ceased KR202300992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448A KR20230099249A (en) 2021-12-27 2021-12-27 Navigation device for adjusting catheter and navigation system compr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448A KR20230099249A (en) 2021-12-27 2021-12-27 Navigation device for adjusting catheter and navigation system compr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249A true KR20230099249A (en) 2023-07-04

Family

ID=8715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448A Ceased KR20230099249A (en) 2021-12-27 2021-12-27 Navigation device for adjusting catheter and navigation system compr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24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89531A1 (en) * 2023-10-27 2025-05-01 재단법인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Catheter-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bed-integrated electromagnetic field apparatus and grip-type catheter feeder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89531A1 (en) * 2023-10-27 2025-05-01 재단법인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Catheter-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bed-integrated electromagnetic field apparatus and grip-type catheter feeder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838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guiding a surgical instrument
JP4044590B2 (en) In-vivo probe and device using the same
US10405943B2 (en) Kit and method for reduced radiation procedures
EP1928337B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hollow organs
US8046052B2 (en) Navigation system for cardiac therapies
US1079206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luoro-less or near fluoro-less percutaneous surgery access
US8257302B2 (en) User interface for remote control catheterization
US93580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ical tools with haptic feedback
US82754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instrument
CN113456189B (en) Piercing system
BR112015020589B1 (en) ROBOTIC MANIPULATOR SYSTEM
JP2009502398A (en) Catheter navigation system
EP3790489B1 (en) System for affecting a subject
CN114748136B (en) Magnetic positioning interatrial septum puncture assembly
CN111542366B (en) Medical auxiliary equipment
EP3840636B1 (en) Systems for infrared-enhanced ultrasound visualization
KR20230099249A (en) Navigation device for adjusting catheter and navigation system comprsing the same
Dreyfus et al. A navigation console to steer magnetic instruments under radiological guidance for neuro-vascular interventions
CN116056654A (en) Navigation operation instruction
WO2024249426A1 (en) Pericardial space access
WO2022244183A1 (en) Medical system and navigation method
CN115702817A (en) Interatrial septum punctur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4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4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