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0140A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control policy that automatically controls equipments in data center - Google Patents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control policy that automatically controls equipments in data cen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50140A KR20230050140A KR1020210133470A KR20210133470A KR20230050140A KR 20230050140 A KR20230050140 A KR 20230050140A KR 1020210133470 A KR1020210133470 A KR 1020210133470A KR 20210133470 A KR20210133470 A KR 20210133470A KR 20230050140 A KR20230050140 A KR 202300501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s
- data
- clustering
- sensor data
- influe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6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 G06F11/3072—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where the reporting involves data filtering, e.g. pattern matching, time or event triggered, adaptive or policy-based repor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10—Pre-processing; Data clean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92—Reinforcement learn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836—Thermal management, e.g. serve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이터센터 내의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control polici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quipment in a data center.
데이터센터(Data Center)란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의 IT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장비를 한 건물 안에 모아 통합 운영 관리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데이터센터는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치와 이들 기기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발전기, 무정전 전원장치(UPS), 항온항습기, 백업 시스템, 보안 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A data center is a facility that integrates and manages equipment necessary to provide IT services, such as servers, networks, and storage, in one building. A data center consists of servers, storage, and network devices for providing computing services, and generators,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UPS), thermo-hygrostats, backup systems, and security systems necessary to maintain these devices.
이러한 데이터센터는 ICT(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산업의 성장으로 그 규모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 사용량 또한 증가됨에 따라 에너지 효율화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8-0117424호는 에너지 절약형 인터넷 데이터센터 공조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The size of these data centers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growth of the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industry, and as energy consumption increases accordingly,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projects are being promoted. Ho discloses an energy-saving Internet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데이터센터의 에너지를 효율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센서 위치 변경, 고효율 시스템 교체, 패널 및 컨테인먼트 설치, 프리 쿨링(Free Cooling) 도입, 이중 마루의 취출 타일 위치 변경 등의 패시브(Passive) 방법과 설비 시스템에 대한 최적 제어 운영 솔루션을 이용한 열원/공조/반송 장비에 대한 온(On)/오프(Off) 제어, 설정 온도 제어, 모드 제어 등의 액티브(Active) 방법이 존재한다. Methods to improve data center energy efficiency include passive methods such as sensor location change, high-efficiency system replacement, panel and containment installation, free cooling, and raised floor take-out tile location change. There are active methods such as on/off control, set temperature control, and mode control for heat sources/air conditioning/transport equipment using optimal control operation solutions for
현재 데이터센터에 적용되는 에너지 효율화는 패시브 방법에 의존적이며, 이는 설비 운영자의 노하우 또는 주관적 판단에 따라 운전되고 있어, 타 건물과 비교한 에너지 저감보다는 고객 계약 운영 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과잉 냉방 운전이 수행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데이터센터에 대해 과잉 냉방 운전이 수행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1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Currently, energy efficiency applied to data centers relies on passive methods, which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facility operator's know-how or subjective judgment, so excessive cool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maintain customer contract operating conditions rather than energy reduction compared to other buildings. It has the downside of be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excessive cooling operation for the data cen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도 1는 종래의 데이터센터 내에서 과잉 냉방 운전을 수행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센터는 복수의 서버들이 위치한 실내 환경(100) 및 복수의 항온기들이 위치한 시스템 환경(110)으로 구분된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excessive cooling operation in a conventional data center. Referring to FIG. 1 , a data center is divided into an
데이터센터와 같이 배선이 많이 필요한 건물의 경우, 이중마루(120)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데이터센터의 경우, 이중마루(120)에 의해 서버가 위치한 실내 환경 내 이중마루(120)의 바닥 또는 천장에서 기류 불확실성이 발생되고 있다. In the case of a building requiring a lot of wiring, such as a data center, it is common to install a raised
이로 인해, 데이터센터의 시스템 환경과 실내 환경 사이의 기류 혼합으로 급기 패턴 및 환기 패턴에서 불확실성이 발생됨에 따라, 데이터센터의 관리자가 개별 항온기마다 열기 통로(Hot Aisle) 또는 냉기 통로(Cold Aisle) 중 어떤 통로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어떤 랙(rack)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정확한 파악을 하기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As a result, as uncertainty arises in the air supply pattern and ventilation pattern due to the mixing of airflow between the system environment and the indoor environment of the data center, the manager of the data center decides between hot aisle or cold aisle for each thermostat.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which path or rack it affects.
이러한 데이터센터 내 발생된 기류 불확실성에 의해 과잉 냉방 운전이 야기되고 있으며, 과잉 냉방 운전은 항온항습기별 고정 설정값으로 설정되어 운전됨에 따라 데이터센터 내 랙부하 변동에 의한 설비에 시스템에 대한 정밀 제어를 어렵게 만든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Excessive cooling operation is caused by the airflow uncertainty generated in the data center, and as the excessive cooling operation is set to a fixed set value for each thermo-hygrostat, precise control of the system in the facility due to rack load fluctuations in the data center is performed. I have a problem that makes it difficult.
데이터센터의 건물관리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센서 데이터 및 데이터센터 내의 복수의 설비의 운전에 대한 운전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센서를 클러스터링하여 실내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을 생성하고,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설비를 클러스터링하여 시스템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을 생성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It collects sensor data sensed by a plurality of sensors from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of the data center and operation data on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in the data center, and clusters the plurality of sensors based on the sensor data to provide a plurality of indoor environment informa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a first group and clustering a plurality of facilities based on operation data to create a plurality of second groups for a system environment.
복수의 제 1 그룹 및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프랙탈 분석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1 그룹과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분석하고, 영향도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Control for analyzing the degree of influ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based on the fractal analysis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facilit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influence degre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policy.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데이터센터의 건물관리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센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센터 내의 복수의 설비의 운전에 대한 운전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를 클러스터링하여 실내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를 클러스터링하여 시스템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을 생성하는 클러스터링부,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 및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프랙탈 분석(Fractal analysis)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과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분석하는 영향도 분석부 및 상기 영향도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하는 제어 정책 결정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ensor data sensed by a plurality of sensors from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of a data center and driving data for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in the data center. A data collection unit to generate a plurality of first groups for indoor environments by clustering the plurality of sensors based on the sensor data, and clusteri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ased on the driving data to generate a plurality of first groups for system environments. A clustering unit for generating a second group of , the degree of influ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based on a fractal analysis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er including an influence analysis unit for analysis and a control polic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control polic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facilit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influen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데이터센터의 건물관리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센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센터 내의 복수의 설비의 운전에 대한 운전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를 클러스터링하여 실내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를 클러스터링하여 시스템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 및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프랙탈 분석(Fractal analysis)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과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영향도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정책 결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collecting sensor data sensed by a plurality of sensors from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of the data center and operation data for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in the data center, based on the sensor data Clustering a plurality of sensors to create a plurality of first groups for indoor environments; Generating a plurality of second groups for system environments by clusteri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ased on the driving data; Analyzing the influ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based on a fractal analysis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influence A method for determining a control policy including determining a control polic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facility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데이터센터의 건물관리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센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센터 내의 복수의 설비의 운전에 대한 운전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를 클러스터링하여 실내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를 클러스터링하여 시스템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 및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프랙탈 분석(Fractal analysis)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과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분석하고, 상기 영향도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uter program is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sensor data sensed by a plurality of sensors from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of the data center and driving data for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in the data center. and clustering the plurality of sensors based on the sensor data to create a plurality of first groups for an indoor environment, and clusteri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ased on the driving data to generate a plurality of second groups for a system environment. A group is created, an influ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is analyzed based on a fractal analysis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and the influe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determining a control polic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quipm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FIG.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is only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센서를 클러스터링하여 실내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을 생성하고,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설비를 클러스터링하여 시스템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을 생성하고, 복수의 제 1 그룹 및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프랙탈 분석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1 그룹과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분석함으로써, 데이터센터 내 이중마루에 의한 기류 불확실성 문제를 해결하여 시스템을 최적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groups for an indoor environment are generated by clustering a plurality of sensors based on sensor data, and a plurality of facilities are clustered based on driving data to create a system. By generating a plurality of second groups for the environment and analyzing the influ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based on the fractal analysis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at can optimally control the system by solving the air flow uncertainty problem caused by the raised floor.
강화학습 기반 모델을 이용하여 소정 주기 마다 복수의 센서의 클러스터링 및 복수의 설비의 클러스터링을 위한 하이퍼파라미터를 추정하고, 이를 자가 학습하도록 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stimating hyperparameters for clustering of a plurality of sensors and clustering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using a reinforcement learning-based model and self-learning the hyperparameters.
도 1는 종래의 데이터센터 내에서 과잉 냉방 운전을 수행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1 그룹을 생성하고,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2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 1 그룹과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데이터센터 내의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excessive cooling operation in a conventional data center.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first groups based on sensor data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second groups based on driv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A to 4C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nalyzing the degree of influence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a plurality of second grou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control polic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facilities in a data center in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characteristic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In this specification, a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or devic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erv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데이터 수집부(210), 전처리 수행부(220), 클러스터링부(230), 영향도 분석부(240), 제어 정책 결정부(250) 및 파라미터 추정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 the
데이터 수집부(210)는 데이터센터의 건물관리시스템(FMS, Facility Maintenance Service)으로부터 복수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센서 데이터 및 데이터센터 내의 복수의 설비의 운전에 대한 운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부(210)는 건물관리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센터의 전력 또는 설비와 관련된 센서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서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에 대해 기준 정보 설정, 태그(Tag) 관제점 설정 및 추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전처리 수행부(220)는 센서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결측치(outlier) 및 노이즈(noise)가 제거되도록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preprocessing
이를 위해, 전처리 수행부(220)는 1차적으로 센서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결측치 및 노이즈가 임계치 이상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결측치 및 노이즈가 임계치 이상 포함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송부(미도시)는 결측치 및 노이즈가 임계치 이상 포함된 데이터의 사용이 불가능함을 관리자 단말로 알릴 수 있다. To this end, the preprocessing
이후, 전처리 수행부(220)는 2차적으로 센서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성(Stationary) 시계열 데이터 또는 비정상성(Non-Stationary) 시계열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처리 수행부(220)는 통계적 검증 방법(KPSS, Kwiatkowski-Philips-Schmidt-Shin 테스트)을 이용하여 센서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성 시계열 데이터 또는 비정상성 시계열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통계적 검증 방법은 귀무가설을 "시계열이 정상성 시계열이다"로 설정하여 귀무가설을 기반으로 귀무가설의 채택 또는 기각을 결정하는 검증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Thereafter, the preprocessing
예를 들어, 전처리 수행부(220)는 통계적 검증 방법을 통해 도출된 P-value가 유의미한 값(예를 들어, 0,05) 이상이면 귀무가설을 채택하고, 이하이면 귀무가설에 대한 기각을 채택할 수 있다. 이 때, 전처리 수행부(220)는 귀무가설이 기각되면 귀무가설의 반대에 해당하는 대립가설인 "시계열이 비정상성 시계열이다"를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계적 검증 방법은 센싱 데이터 또는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소정 주기(예를 들어, 매 시간) 마다 소정의 데이터(예컨대, 2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센서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대해 정상성 시계열 데이터 또는 비정상성 시계열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데이터의 시계열 특성에 따라 적합한 필터링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정상성 시계열 데이터의 경우, 시간에 따라 평균, 분산, 공분산이 일정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비정상성 시계열 데이터(일반적으로 실제 물리적 환경의 데이터는 추세나 계절성이 반영됨에 따라 비정상성 시계열 데이터일 확률이 높음)의 경우, 시간에 따른 평균, 분산, 공분산이 일정하지 않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로 데이터에 해당하는 센서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에 대해 시계열 특성에 따라 최적의 필터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필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sensor data and driving data corresponds to either stationary time series data or non-stationary time series data, a suitable filtering algorithm may be applied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characteristics of the data. That is, in the case of stationary time series data, the average, variance, and covariance are constant over time, and non-stationary time series data (in general, data in the real physical environment are non-stationary time series data as trends or seasonality are reflected). In the case of high probability), the mean, variance, and covariance over time are not constant.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nsor data and driving data corresponding to raw data may be filtered by applying an optimal filtering algorithm according to time-series characteristics.
예를 들어, 센서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성 시계열 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 전처리 수행부(220)는 센서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에 대해 고속 퓨리에 변환 노이즈 제거기(Fast Fourier Transform Denoiser)를 적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of sensor data and driving data corresponds to stationary time series data, the
다른 예를 들어, 센서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성 시계열 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 전처리 수행부(220)는 센서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적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when at least one of the sensor data and the driving data corresponds to non-stationary time series data, the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클러스터링부(230)는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센서를 클러스터링하여 실내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을 생성하고,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설비를 클러스터링하여 시스템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실내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을 생성하고, 시스템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3a 및 도 3b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Returning to FIG. 2 , the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1 그룹을 생성하고,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2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3A and 3B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first groups based on sensor data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second groups based on driv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3a를 참조하면, 클러스터링부(230)는 시계열 데이터로 구성된 센서 데이터(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온도 및 습도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 환경(100)에 대한 환경 엔탈피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스터링부(230)는 센서 1(311) 및 센서 2(312) 각각의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온도(320) 및 습도(321)에 기초한 실내 환경(100)에 대한 환경 엔탈피(322)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1(311) 및 센서 2(312)의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환경 엔탈피(322)가 대각선(323)에 근접할수록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 the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클러스터링부(230)는 시계열 데이터로 구성된 운전 데이터(예를 들어, 다중 항온기들의 환기 온도 및 습도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스템 환경(110)에 대한 시스템 엔탈피를 산출할 수 있다. In the same way, the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 엔탈피(322)와 시스템 엔탈피를 산출함으로써 실내 환경(100) 및 시스템 환경(110) 간의 상호 영향도의 분석을 위해 차원을 일치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alculating the
클러스터링부(230)는 환경 엔탈피에 대해 동적 시간 워핑(DTW, Dynamic Time Warping)을 수행하여 복수의 센서를 클러스터링하고, 시스템 엔탈피에 대해 동적 시간 워핑을 수행하여 복수의 설비를 클러스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센서에 대한 클러스터링 및 복수의 설비에 대한 클러스터링은 데이터센터 내 이중마루(120)의 기류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는 구조적으로 안정된 시스템으로 구성된 물리적 환경으로 정의되므로, 이러한 물리적 환경에 적합한 시계열 데이터에 적용 가능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으로 동적 시간 워핑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동적 시간 워핑은 시간적 순서가 있는 벡터 간의 유사도를 평가하기 위해 패턴이 일치하는지를 검증하는 알고리즘으로, 기존의 RMSE(Root Mean Square Error) 또는 MAE(Mean Absolute Error) 보다 우수한 성능 지표를 도출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The
예를 들어, 클러스터링부(230)는 실내 환경(100) 및 시스템 환경(110) 각각에 대해 수행되는 동적 시간 워핑을 통해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유사도 평가를 통해 유사한 패턴을 가진 복수의 센서를 클러스터링하고, 복수의 설비를 클러스터링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이러한 복수의 센서에 대한 클러스터링 및 복수의 설비에 대한 클러스터링은 소정 시간 주기(예를 들어, 1시간)마다 업데이트가 수행될 수 있다. The clustering of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the clustering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may be updated every predetermined time period (eg, 1 hour).
도 3b를 참조하면, 클러스터링부(230)는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센서를 클러스터링하여 실내 환경(100)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330)을 생성하고,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설비를 클러스터링하여 시스템 환경(110)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340)을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B , the
예를 들어, 클러스터링부(230)는 데이터센터 내 실내 환경(100)에 속하는 총 81개의 센서에 대해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총 17개의 제 1 그룹(330)으로 생성하고, 데이터센터 내 시스템 환경(110)에 속하는 총 15개의 항온기에 대해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제 1 하위 그룹(341), 제 2 하위 그룹(342), 제 3 하위 그룹(343), 제 4 하위 그룹(344)으로 구성된 총 4개의 제 2 그룹(340)으로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영향도 분석부(240)는 복수의 제 1 그룹 및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프랙탈 분석(Fractal analysis)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1 그룹과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분석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그룹과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분석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4c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Returning to FIG. 2 , the
도 4a를 참조하면, 영향도 분석부(240)는 복수의 제 1 그룹 및 복수의 제 2 그룹이 생성된 결과에 기초하여 프랙탈 분석을 통해 실내 환경(100)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 및 시스템 환경(110)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는, 데이터센터 내 이중마루(120)의 기류 불확실성으로 인해 데이터센터가 구조적으로 불안정 시스템(400)의 물리적 환경으로 구성됨에 따라, 무질서한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실내 환경(100)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 및 시스템 환경(110)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즉, 민감도) 분석 및 이를 고려한 알고리즘의 선정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Referring to FIG. 4A , the
이를 위해, 영향도 분석부(240)는 불확실성(무질서한 세계) 하에서 상호 간의 영향도 분석을 통해 질서정연한 규칙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창발 현상을 기반으로 한 프랙탈 분석을 수행하여 복수의 제 1 그룹 및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민감도(410)를 산출할 수 있다. 프랙탈 분석은 복잡계(Complex Theory)를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체 시계열 데이터의 구조 내에서 작은 구조들이 유사한 형태로 되풀이 되는 자기상사성 특징을 갖는 척도 불변 구조인 멱함수 법칙의 형태로 표현되며, 이러한 멱함수 법칙은 불규칙한 데이터에서도 패턴이 존재함을 보여줌과 동시에, 실내 환경(100) 및 시스템 환경(110) 간의 패턴 유사도를 허스트 지수와 실내 환경 및 시스템 환경 간의 프랙탈 스펙트럼 폭 차이를 통해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그룹 및 복수의 제 2 그룹에 대한 프랙탈 분석을 통해 실내 환경(100) 및 시스템 환경(110) 간의 무질서한 시계열 데이터 내에서도 충분히 질서 있는 데이터가 존재함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프랙탈 지수가 낮을수록 민감도(410) 지수가 높음을 의미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예를 들어, 영향도 분석부(240)는 실내 환경(100)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을 기준으로 시스템 환경(110)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에 대한 민감도(410)를 산출하고, 복수의 제 1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민감도 지수의 총합이 '1'이 되도록 정규화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하나의 제 2 그룹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 간의 민감도(410)를 산출된 민감도(410)의 역(reverse)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러한 프랙탈 분석은 총 4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랙탈 분석의 각 단계별로 설명하도록 한다. This fractal analysis can proceed in a total of four steps. Hereinafter, each step of fractal analysis will be explained.
1단계에서, 영향도 분석부(240)는 노이즈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차분 누적 데이터로 변경할 수 있다. In
2단계에서, 영향도 분석부(240)는 시계열 데이터를 국소적 차원으로 분석하여 허스트 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향도 분석부(240)는 실내 환경(100)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을 기준으로 시스템 환경(110)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허스트 지수(Hurst Exponent)를 산출하고, 산출된 허스트 지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1 그룹 및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프랙탈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In
3단계에서, 영향도 분석부(240)는 허스트 지수를 통해, 노이즈, 프랙탈, 랜덤워크 특성을 갖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In
4단계에서, 영향도 분석부(240)는 멀티 프랙탈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실내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 및 시스템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스펙트럼 폭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향도 분석부(240)는 프랙탈 특성에 기초한 멀티 프랙탈 스팩트럼 분석을 통해 복수의 제 1 그룹 및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스팩트럼 폭의 차이를 산출하고, 스팩트럼 폭의 차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1 그룹과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스펙트럼 폭 차이가 가까울수록 민감도(410)의 지수가 높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민감도(410)의 지수는 정규화 과정을 통해 총합이 '1'이 되도록 할 수 있다. In
도 4b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영향도 분석부(240)는 시스템 환경(110)에 속하는 항온기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430) 중 A 하위 그룹(431), B 하위 그룹(432), C 하위 그룹(433)과 실내 환경(100)에 속하는 복수의 센서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420) 중 D 하위 그룹(421) 간의 프랙탈 지수를 각각 '0.1', '0.2', '0.4'로 계산하고, 이를 정규화하여 각각 '0.43', '0.36', '0.21'로 도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B , for example, the
또한, 영향도 분석부(240)는 시스템 환경(110)에 속하는 항온기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430) 중 A 하위 그룹(431), B 하위 그룹(432), C 하위 그룹(433)과 실내 환경(100)에 속하는 복수의 센서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420) 중 E 하위 그룹(422) 간의 프랙탈 지수를 계산하고, 이후, F 하위 그룹(423) 간의 영향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4c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 1 그룹 및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 분석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시스템 환경(110)에 속하는 항온기에 대한 4개의 그룹(441)과 실내 환경(100)에 속하는 센서에 대한 17개의 그룹(442) 간의 민감도 지표(440)가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민감도 지표(440)는 매 시간 마다 산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C , a result of analysis of influence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a plurality of second groups is shown, and four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제어 정책 결정부(250)는 영향도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Returning to FIG. 2 again, the control
파라미터 추정부(260)는 강화학습 기반 모델을 이용하여 복수의 센서의 클러스터링 및 복수의 설비의 클러스터링을 위한 하이퍼파라미터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 1 그룹 및 복수의 제 2 그룹의 생성과 복수의 제 1 그룹 및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의 산출을 위해 하이퍼파라미터가 존재함에 따라 예측 결과의 불확실성을 야기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Th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정 주기(예를 들어, 매주) 마다 하이퍼파라미터를 추정하여 최적의 파라미터를 추정함으로써, 센서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센터 내 실내 환경의 공간 및 시스템 환경의 공간에 적합한 모델로 자가 학습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estimating hyperparameters every predetermined period (eg, every week) to estimate optimal parameters, a model suitable for the space of the indoor environment and the space of the system environment in the data center based on sensor data and driving data can be self-learned.
이러한 서버(200)는 데이터센터 내의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데이터센터의 건물관리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센서 데이터 및 데이터센터 내의 복수의 설비의 운전에 대한 운전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센서를 클러스터링하여 실내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을 생성하고,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설비를 클러스터링하여 시스템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을 생성하고, 복수의 제 1 그룹 및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프랙탈 분석(Fractal analysis)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1 그룹과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분석하고, 영향도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Such a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데이터센터 내의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200)에서 수행되는 데이터센터 내의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하는 방법은 도 2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서버(200))에서 수행되는 데이터센터 내의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control polic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facilities in a data center in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 a method of determining a control polic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facilities in a data center performed by a
단계 S510에서 서버(200)는 데이터센터의 건물관리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센서 데이터 및 데이터센터 내의 복수의 설비의 운전에 대한 운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In step S510, the
단계 S520에서 서버(200)는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센서를 클러스터링하여 실내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In step S520, the
단계 S530에서 서버(200)는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설비를 클러스터링하여 시스템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In step S530, the
단계 S540에서 서버(200)는 복수의 제 1 그룹 및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프랙탈 분석(Fractal analysis)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1 그룹과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분석할 수 있다. In step S540, the
단계 S550에서 서버(200)는 영향도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In step S550, the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50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510 to S55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steps may be omitted as needed, and the order of steps may be switched.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서버에서 수행되는 데이터센터 내의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서버에서 수행되는 데이터센터 내의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A method for determining a control polic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facilities in a data center performed by a serv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i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executed by a computer or a record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computer.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edium. In addition, the method for determining a control polic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facilities in a data center performed by a serv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executed by a computer.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200: 서버
210: 데이터 수집부
220: 전처리 수행부
230: 클러스터링부
240: 영향도 분석부
250: 제어 정책 결정부
260: 파라미터 추정부200: server
210: data collection unit
220: preprocessing unit
230: clustering unit
240: influence analysis unit
250: control policy decision unit
260: parameter estimation unit
Claims (17)
데이터센터의 건물관리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센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센터 내의 복수의 설비의 운전에 대한 운전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를 클러스터링하여 실내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를 클러스터링하여 시스템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을 생성하는 클러스터링부;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 및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프랙탈 분석(Fractal analysis)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과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분석하는 영향도 분석부; 및
상기 영향도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하는 제어 정책 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인, 서버.
In a server that determines a control polic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facilities in a data center,
a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sensor data sensed by a plurality of sensors from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of the data center and driving data about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in the data center;
Based on the sensor data, a plurality of first groups for indoor environments are generated by clustering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a plurality of second groups for system environments are generated by clusteri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ased on the driving data. a clustering unit that does;
an influence analyzer configured to analyze an influ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based on a fractal analysis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and
A control polic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control polic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quipm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influence.
A server that includes a.
상기 클러스터링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환경에 대한 환경 엔탈피를 산출하고, 상기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환경에 대한 시스템 엔탈피를 산출하는 것인, 서버.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ustering unit calculates environmental enthalpy for the indoor environment based on the sensor data, and calculates system enthalpy for the system environment based on the driving data.
상기 클러스터링부는 상기 환경 엔탈피에 대해 동적 시간 워핑(DTW, Dynamic Time Warping)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를 클러스터링하고, 상기 시스템 엔탈피에 대해 상기 동적 시간 워핑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를 클러스터링하는 것인, 서버.
According to claim 2,
The clustering unit clusters the plurality of sensors by performing dynamic time warping (DTW) on the environmental enthalpy, and clusters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y performing the dynamic time warping on the system enthalpy. , server.
상기 영향도 분석부는 상기 실내 환경에 대한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을 기준으로 상기 시스템 환경에 대한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허스트 지수(Hurst Exponent)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허스트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 및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프랙탈 특성을 분석하는 것인,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influence analysis unit calculates a Hurst Exponent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for the system environment based o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for the indoor environment,
And analyzing fract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based on the calculated Hurst index.
상기 영향도 분석부는 상기 프랙탈 특성에 기초한 멀티 프랙탈 스팩트럼 분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 및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스팩트럼 폭의 차이를 산출하고, 상기 스팩트럼 폭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과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계산하는 것인, 서버.
According to claim 4,
The influence analyzer calculates a difference in spectrum width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through multi-fractal spectrum analysis based on the fractal characteristics, and based on the difference in spectrum width,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And calculating the degree of influence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상기 센서 데이터 또는 상기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결측치(outlier) 및 노이즈(noise)가 제거되도록 전처리를 수행하는 전처리 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further comprises a pre-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perform pre-processing to remove outliers and noise from at least one of the sensor data and the driving data.
상기 전처리 수행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 또는 상기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성 시계열 데이터 또는 비정상성 시계열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 또는 상기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성 시계열 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에 대해 고속 퓨리에 변환 노이즈 제거기(Fast Fourier Transform Denoiser)를 적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 또는 상기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성 시계열 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에 대해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적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인, 서버.
According to claim 6,
The pre-processing unit determines whether at least one of the sensor data or the driving data corresponds to either steady time series data or non-stationary time series data;
When at least one of the sensor data or the driving data corresponds to stationary time-series data, performing filtering by applying a fast Fourier transform denoiser to the sensor data,
When at least one of the sensor data or the driving data corresponds to non-stationary time-series data, filtering is performed by applying a Kalman filter to the sensor data.
강화학습 기반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의 클러스터링 및 상기 복수의 설비의 클러스터링을 위한 하이퍼파라미터를 추정하는 파라미터 추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further comprising a parameter estimator for estimating hyperparameters for clustering of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clustering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using a reinforcement learning-based model.
데이터센터의 건물관리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센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센터 내의 복수의 설비의 운전에 대한 운전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를 클러스터링하여 실내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를 클러스터링하여 시스템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 및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프랙탈 분석(Fractal analysis)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과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영향도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제어 정책 결정 방법.
A method for determining a control polic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facilities in a data center in a server,
Collecting sensor data sensed by a plurality of sensors from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of a data center and operation data for operation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in the data center;
generating a plurality of first groups for an indoor environment by clustering the plurality of sensors based on the sensor data;
generating a plurality of second groups for system environments by clusteri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ased on the operation data;
analyzing an influ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based on a fractal analysis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and
Determining a control polic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quipm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influence
To include, a control policy determination method.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환경에 대한 환경 엔탈피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환경에 대한 시스템 엔탈피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어 정책 결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9,
calculating environmental enthalpy for the indoor environment based on the sensor data; and
Further comprising calculating a system enthalpy for the system environment based on the operation data, the control policy determination method.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환경 엔탈피에 대해 동적 시간 워핑(DTW, Dynamic Time Warping)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를 클러스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 엔탈피에 대해 상기 동적 시간 워핑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를 클러스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어 정책 결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step of generating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Clustering the plurality of sensors by performing dynamic time warping (DTW) on the environmental enthalpy;
The step of generating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and clusteri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y performing the dynamic time warping on the system enthalpy.
상기 영향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환경에 대한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을 기준으로 상기 시스템 환경에 대한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허스트 지수(Hurst Exponent)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허스트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 및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프랙탈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어 정책 결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9,
In the step of analyzing the influence,
calculating a Hurst Exponent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for the system environment based o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for the indoor environment; and
and analyzing fract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based on the calculated Hurst index.
상기 영향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프랙탈 특성에 기초한 멀티 프랙탈 스팩트럼 분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 및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스팩트럼 폭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스팩트럼 폭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과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어 정책 결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In the step of analyzing the influence,
calculating a difference in spectrum width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through multi-fractal spectrum analysis based on the fractal characteristics; and
and calculating an influ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based on the difference in spectrum width.
상기 센서 데이터 또는 상기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결측치(outlier) 및 노이즈(noise)가 제거되도록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어 정책 결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control policy determin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preprocessing to remove outliers and noise from at least one of the sensor data and the driving data.
상기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데이터 또는 상기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성 시계열 데이터 또는 비정상성 시계열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센서 데이터 또는 상기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성 시계열 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에 대해 고속 퓨리에 변환 노이즈 제거기(Fast Fourier Transform Denoiser)를 적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데이터 또는 상기 운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성 시계열 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에 대해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적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어 정책 결정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Performing the preprocessing step,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sensor data and the driving data corresponds to either stationary time-series data or non-stationary time-series data;
performing filtering by applying a Fast Fourier Transform Denoiser to the sensor data when at least one of the sensor data and the driving data corresponds to stationary time-series data; and
And performing filtering by applying a Kalman filter to the sensor data when at least one of the sensor data or the driving data corresponds to non-stationary time-series data.
강화학습 기반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의 클러스터링 및 상기 복수의 설비의 클러스터링을 위한 하이퍼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어 정책 결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control policy determin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estimating hyperparameters for clustering of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clustering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using a reinforcement learning-based model.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데이터센터의 건물관리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센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센터 내의 복수의 설비의 운전에 대한 운전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를 클러스터링하여 실내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1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를 클러스터링하여 시스템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제 2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 및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프랙탈 분석(Fractal analysis)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그룹과 상기 복수의 제 2 그룹 간의 영향도를 분석하고,
상기 영향도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설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결정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determining a control polic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quipment in a data center,
When the computer program is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Collecting sensor data sensed by a plurality of sensors from the building management system of the data center and operation data for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in the data center;
Based on the sensor data, a plurality of first groups for indoor environments are generated by clustering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a plurality of second groups for system environments are generated by clusteri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ased on the driving data. do,
Analyzing the degree of influ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based on a fractal analysis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oups;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determining a control polic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facility based on an analysis result of the degree of influenc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3470A KR102776695B1 (en) | 2021-10-07 | 2021-10-07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control policy that automatically controls equipments in data center |
KR1020250025899A KR20250036764A (en) | 2021-10-07 | 2025-02-27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control policy that automatically controls equipments in data cen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3470A KR102776695B1 (en) | 2021-10-07 | 2021-10-07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control policy that automatically controls equipments in data cente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50025899A Division KR20250036764A (en) | 2021-10-07 | 2025-02-27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control policy that automatically controls equipments in data cen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0140A true KR20230050140A (en) | 2023-04-14 |
KR102776695B1 KR102776695B1 (en) | 2025-03-07 |
Family
ID=859466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3470A Active KR102776695B1 (en) | 2021-10-07 | 2021-10-07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control policy that automatically controls equipments in data center |
KR1020250025899A Pending KR20250036764A (en) | 2021-10-07 | 2025-02-27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control policy that automatically controls equipments in data center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50025899A Pending KR20250036764A (en) | 2021-10-07 | 2025-02-27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control policy that automatically controls equipments in data cen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77669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1361A (en) * | 2019-10-18 | 2024-05-22 | 주식회사 케이티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environment in building |
KR102816981B1 (en) * | 2024-11-08 | 2025-06-05 | 베스트 주식회사 | Building automatic control system based on time series k-means clustering analysi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82630A (en) * | 2011-12-12 | 2013-07-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1801631B1 (en) * | 2017-04-04 | 2017-11-27 | 한경기전 주식회사 | Building Facilities Energy Managemen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10046473A (en) * | 2019-10-18 | 2021-04-28 | 주식회사 케이티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environment in building |
KR20210109290A (en) * | 2020-02-27 | 2021-09-06 | 주식회사 케이티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cting energy consumption of target building |
-
2021
- 2021-10-07 KR KR1020210133470A patent/KR102776695B1/en active Active
-
2025
- 2025-02-27 KR KR1020250025899A patent/KR20250036764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82630A (en) * | 2011-12-12 | 2013-07-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1801631B1 (en) * | 2017-04-04 | 2017-11-27 | 한경기전 주식회사 | Building Facilities Energy Managemen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10046473A (en) * | 2019-10-18 | 2021-04-28 | 주식회사 케이티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environment in building |
KR20210109290A (en) * | 2020-02-27 | 2021-09-06 | 주식회사 케이티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cting energy consumption of target building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1361A (en) * | 2019-10-18 | 2024-05-22 | 주식회사 케이티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environment in building |
KR102816981B1 (en) * | 2024-11-08 | 2025-06-05 | 베스트 주식회사 | Building automatic control system based on time series k-means clustering analysi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36764A (en) | 2025-03-14 |
KR102776695B1 (en) | 2025-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54720B2 (en) | Data center intelligent control and optimization | |
US10901373B2 (en) |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for unified agent based control of building subsystems | |
US20190235449A1 (en) | Data Center Optimization and Control | |
US10317864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ly updating equipment models | |
US12055908B2 (en) |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nested stream generation | |
Khan et al. | Fault detection analysis of building energy consumption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 |
US2018008779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creating and using adaptive pca models to control building equipment | |
EP3887922B1 (en) | Data center infrastructure optimization method based on causal learning | |
US10001765B2 (en) | Advanced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sensors and other points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 |
KR20250036764A (en)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control policy that automatically controls equipments in data center | |
Serrano-Guerrero et al. | Statistical methodology to assess changes in the electrical consumption profile of buildings | |
US20160217378A1 (en) | Identifying anomalous behavior of a monitored entity | |
CN108518804A (en) | A kind of machine room humiture environmental forecasting method and system | |
JP2017518571A (en) | Virtual data center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 |
KR102624317B1 (en)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cting energy consumption of target building | |
WO2014208092A1 (en) | Monitor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 |
CN111885164B (en) | Data management system | |
Khan et al. | Advanced data analytics modeling for evidence-based data center energy management | |
US20150127164A1 (en) |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hereof | |
Bellala et al. | A finite state machine-based characterization of building entities for monitoring and control | |
KR102440060B1 (en) | Probabilistic model-based virtual distributed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 |
Levy | New family of data center metrics using a multidimensional approach for a holistic understanding | |
Bellala et al. | Data analytics for managing power in commercial buildings | |
Piran Nanekaran | Machine Learning Based Failure Detection in Data Centers | |
CN119251012A (en) |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determining energy load distribution in a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8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