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58356A - System for creating micturition chart using portable uroflowmetry apparatus - Google Patents

System for creating micturition chart using portable uroflowmetr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356A
KR20220158356A KR1020210066009A KR20210066009A KR20220158356A KR 20220158356 A KR20220158356 A KR 20220158356A KR 1020210066009 A KR1020210066009 A KR 1020210066009A KR 20210066009 A KR20210066009 A KR 20210066009A KR 20220158356 A KR20220158356 A KR 20220158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tion
diary
portable
urine
voi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0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지훈
오승준
Original Assignee
사피엔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피엔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사피엔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6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8356A/en
Publication of KR2022015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356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ur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oflowmet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oflowmetry device comprises: a portable uroflowmetry device that measures a flow amount of fluid inputted over time, analyzes the measured flow amount of fluid to derive a result value, and transmits the derived result value by a wire or wirelessly; and a terminal for receiving the result value sent from the portable uroflowmetry device and writing and outputting a urination diary based on the received result value.

Description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SYSTEM FOR CREATING MICTURITION CHART USING PORTABLE UROFLOWMETRY APPARATUS}Urine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test device {SYSTEM FOR CREATING MICTURITION CHART USING PORTABLE UROFLOWMETRY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용이한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배뇨일지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ine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e tes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urine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e test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create a urine diary using a portable urine test device. it's about

요로(urinary tract)라 함은 소변이 생산되어 몸밖으로 배출되는 통로 전체를 말하며, 통상 신장(kidney), 요관(ureter), 방광(urinary bladder) 및 요도(urethra)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요로(lower urinary tract)라 함은 방광과 요도괄약근(urethral sphincter)을 포함한 요도 및 요도입구(urethral meatus)를 포함하여 소변이 통과하는 방광 이하의 생체 구조물들과 장기들을 통칭한다. 배뇨는 사람들이 하루에도 수차례 수행하는 기본적인 생리활동인데, 하부요로의 기능은 방광과 요도괄약근 등의 말단장기와 이 기능을 조절하는 신경계의 변화에 따라 일생을 통해 점진적으로 변화를 겪는다.The urinary tract refers to the entire passage through which urine is produced and discharged out of the body, and usually includes the kidney, ureter, bladder, and urethra. In addition, the lower urinary tract refers to biological structures and organs below the bladder through which urine passes, including the bladder, the urethra including the urethral sphincter, and the urethral meatus. Urination is a basic physiological activity that people perform several times a day, and the function of the lower urinary tract gradually changes throughout life according to changes in end organs such as the bladder and urethral sphincter and the nervous system that controls this function.

이러한 하부요로의 기능이상(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은 전립선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 신경인성방광(neurogenic bladder), 과민성방광(overactive bladder),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야간뇨(nocturia), 요도협착(urethral stricture), 습득성배뇨장애(acquired voiding dysfunction) 등 다양한 질환들로 인해 피검자에게 관찰되는 증상이다. 하부요로 기능이상의 진단에는 문진(history taking), 신체검사(physical examination), 배뇨일지(voiding diary), 잔뇨량측정(postvoid residual volume measurement), 영상검사(imaging study), 내시경검사(cystourethroscopy), 요역동학검사(urodynamic study) 등이 선별적으로 시행된다. 기본적으로 모든 검사들은 환자의 평소 일상생활중 하부요로증상과 징후를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평소의 배뇨패턴을 정확히 재현하고 기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These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s include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neurogenic bladder, overactive bladder, urinary incontinence, nocturia, urethral stricture ( It is a symptom observed in subjects due to various diseases such as urethral stricture and acquired voiding dysfunction. Diagnosis of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includes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voiding diary, postvoid residual volume measurement, imaging study, cystourethroscopy, and urodynamics. A urodynamic study is selectively performed. Basically, the purpose of all tests is to accurately evaluate the symptoms and signs of the lower urinary tract during the patient's daily life, so it is most important to accurately reproduce and record the usual urination pattern.

요역동학검사(urodynamic study)는 요류검사(uroflowmetry), 충만기 방광내압측정(filling cystometry), 배뇨기 압력요류검사(pressure-flow study), 요도단압검사(urethral pressure profile), 괄약근 근전도(electromyography of the urethral sphincter) 등의 여러 세부항목으로 이루어진 검사를 통칭하는 이름으로, 하부요로 기능이상 증상을 가진 피검자에 따라 세부항목이 선택적으로 검사된다. 요류검사(uroflowmetry)란, 환자가 측정장비에 배뇨를 하여, 배뇨 중 요속(urinary flow rate)과 관련된 진단 매개변수들을 산출하며, 시간에 따른 요속의 곡선패턴(voiding curve pattern)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검사이다. 요류검사는 비침습적이므로 일차적으로 하부요로기능 이상환자들에서 일차적으로 시행되는 스크리닝 검사(screening test)로서 널리 활용된다. 따라서 요류검사는 요역동학검사의 일부분으로 시행되기도 하나, 요류검사 측정장비 단독(stand-alone)으로 독립적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훨씬 더 흔하다.The urodynamic study includes uroflowmetry, filling cystometry, pressure-flow study, urethral pressure profile, and electromyography of the sphincter. The urethral sphincter) is a collective name for a test consisting of several detailed items, and the detailed items are selectively tested according to the subject with symptoms of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In uroflowmetry, a patient urinates on a measuring device, calculates diagnostic parameters related to urinary flow rate during urination, and can visually show the voiding curve pattern over time. It is an inspection in Since uroflowmetry is non-invasive, it is widely used as a screening test primarily performed in patients with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Therefore, uroflowmetry is sometimes performed as part of urodynamics, but it is much more common to use it independently as a stand-alone urodynamics measurement device.

그러나 통상적인 요류검사에 따르는 몇가지 현실적인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첫째, 기존에는 피검자는 병원에 방문한 후, 해당 병원에 마련된 요역동학 검사실(urodynamic suite)에 설치된 요류검사 장비앞에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 보통의 경우에 환자의 배뇨량(voided volume)이 최소 일정량(120-150ml) 이상이 되어야 검사 자체가 유효한 것으로 인정된다. 그러나 환자가 그 이하의 배뇨량을 보이는 경우 검사결과를 판독하기 힘든 상태가 되므로 재검(repeat test)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검사당일 진단적 판단이 신속히 이루어지기 힘든 경우가 발생한다. 둘째, 검사 장소에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병원을 방문한 피검자들은 인위적인 요류검사 장치 앞에서 배뇨하도록 지시받게 되나, 배뇨 활동은 매우 프라이버시가 강하고 심리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생리활동임을 고려하면 이러한 인위적인 환경에서 피검자는 평소 패턴을 정확히 반영한 배뇨를 구현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셋째, 배뇨패턴에는 변이가 많다는 점이다. 따라서 요류검사는 최소 두번 이상 시행하고 이 중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대표적인 값으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However, there are several practical problems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uroflowmetry. First, in the past, after visiting a hospital, a subject has to undergo a test in front of a urodynamic examination equipment installed in a urodynamic suite prepared in the hospital. In normal cases, the test itself is recognized as effective when the patient's voided volume is at least a certain amount (120-150ml). However, if the patient shows a lower urine output, it becomes difficult to read the test result, so a repeat test is required. Therefore, there are cases in which it is difficult to quickly make a diagnostic judgment on the day of examination. Seco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inspection place. In other words, subjects who visited the hospital are instructed to urinate in front of an artificial urinary flow test device, but considering that urination activity is a physiological activity that is very private and has a lot of psychological influence, in this artificial environment, the subject implements urination that accurately reflects the usual pattern. The downside is that it is difficult to do. Third, there is a lot of variation in urination patterns. Therefore, it is common to perform uroflowmetry at least twice and interpret the best result as a representative value.

이에 따라, 요류검사는 피검자의 심리적인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평소 배뇨패턴(voiding pattern)이 잘 드러날 수 있는 조건이 필요하다. 따라서 병원의 특정한 장소만이 아니라 집이나 공중화장실 등 환자가 자연스런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동안 언제, 그리고 어디에서나 장소에 구애없이 검사결과의 획득이 가능한 요류검사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 urinary flow test requires a condition in which the usual voiding pattern can be well revealed without being greatly affected by the subject's psychological state.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urine flow test system capable of acquiring test results anytime and anywhere, regardless of location, not only in a specific place in a hospital, but also at home or in a public toilet, while the patient's natural daily life is being carried out.

요속과 배뇨곡선패턴은 한 개인에 있어서도 매 배뇨시마다 다소 변이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각 개인과 질환마다 구별되는 가장 흔한 패턴이 있다. 따라서 각 개인에 있어서 한 번의 검사만으로는 평소에 배뇨패턴을 대표하는 결과라고 간주하기는 힘들다. 환자의 평소 일상생활 중 여러 다른 장소에서 배뇨한 전형적이고 보편적인 배뇨패턴을 정확하게 재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 검사를 통한 축적된 자료가 필요하다. 휴대용 장치가 있다면 손쉽게 환자가 이를 휴대하면서 며칠간에 걸쳐서 축적한 요속과 배뇨곡선패턴 등을 평균한 결과를 병원에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Urinary velocity and urinary curve patterns may vary slightly from one urination to another, even in a single individual. However, there are the most common patterns that distinguish each individual and diseas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gard the result as representative of the usual urination pattern with only one test for each individual. In order to accurately reproduce the typical and universal urination pattern of patients urinating in different places during their daily life, accumulated data through multiple examinations are required. If there is a portable device, the patient can easily present to the hospital the result of averaging the urinary velocity and voiding curve pattern accumulated over several days while carrying it.

한편, 배뇨일지는 종이로 된 일정한 양식의 표에 피검자가 배뇨시간(voided time)과 배뇨량(voided volume)을 대략 3일간 기록함으로써 작성된다. 배뇨일지의 기록방식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가 있으나 이 중에서도 배뇨시간과 배뇨량을 기록하는 배뇨횟수배뇨량일지(frequency-volume chart, FVC)가 가장 대표적인 배뇨일지 형태이다. 검사자는 피검자가 작성한 배뇨일지를 주간(daytime)과 야간(night time)으로 구분하고, 배뇨시간과 배뇨량으로부터 각종 배뇨일지지표(voiding diary parameter)들을 도출함으로써 피검자의 진단에 활용하게 된다. 여기서 배뇨일지지표들은 24시간전체배뇨량(24 hour urine volume), 야간배뇨량(nocturnal urine volume), 야간다뇨지표 (nocturnal polyuria index), 일일배뇨횟수 (total number of voids), 주간배뇨횟수 (number of daytime voids), 야간배뇨횟수 (number of nocturnal voids), 기능적방광용적(functional bladder capacity) 등을 포함한다. 야간뇨(nocturia) 증상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배뇨일지는 단일 검사로서 가장 중요한 검사이다. On the other hand, the urination diary is written by a subject recording the voided time and the voided volume in a table of a certain form made of paper for about 3 days. There are various types of voiding diaries depending on the recording method, but among them, frequency-volume chart (FVC), which records urination time and amount of urination, is the most representative type of urination log. The examiner divides the voiding diary written by the subject into daytime and night time, and derives various voiding diary parameters from the urination time and amount of urine to use for diagnosis of the subject. Here, the voiding daily indicators are 24 hour urine volume, nocturnal urine volume, nocturnal polyuria index, total number of voids, and number of daytime urination. voids), number of nocturnal voids, and functional bladder capacity. In identifying the cause of nocturia symptoms, the urination diary is the most important test as a single test.

그러나, 배뇨일지를 수동으로 작성하는 방법은 피검자와 검사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한다. 피검자는 배뇨일지와 필기도구를 가지고 다니면서 소변을 볼 때마다 일일이 적어야 하고, 배뇨량을 측정하기 위해 항상 계량컵을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로 인해 피검자가 배뇨일지에 배뇨시간과 배뇨량을 정확하게 기록하지 않는 문제도 발생된다. 특히, 소아나 노인들에게는 이런 배뇨일지의 모든 기록사항들을 빠짐없이 적도록 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이런 피검자군에서는 편법으로 배뇨시간만을 기입하게 하기도 한다. However, the method of manually filling out the urination diary causes inconvenience to the subject and the examiner. The subject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rry a urination log and a writing tool to write down every time they urinate, and always carry a measuring cup to measure the amount of urine. As a result,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subject does not accurately record the urination time and the amount of urination in the urination diary. In particular, it is close to impossible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to write down all the records in the urination diary without omission. Therefore, in this subject group, only the urination time is recorded as an expedient method.

또한, 피검자가 작성한 배뇨일지를 검사자는 진료시간 내에 빠르게 분석하여 배뇨일지지표들을 도출해야 하지만, 피검자의 수분 섭취량, 운동량 등으로 배뇨횟수, 배뇨량 등의 변화가 심하면 검사자가 피검자의 배뇨일지지표들을 제한된 진료시간내에 빠르게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다. 휴대용 장치를 통해 배뇨일지를 자동으로 기록되게 할 수 있다면, 검사자는 환자의 배뇨패턴을 쉽고 빠르게 파악하고 증상의 정확한 원인을 찾아 이를 치료하는데 크게 도움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examiner should quickly analyze the urination diary prepared by the subject within the treatment time to derive the urination diary index, if the change in the number of urination and the amount of urination is severe due to the amount of water intake and exercise of the subject, the examiner restricts the urination diary index of the subject. It is difficult to quickly grasp within the treatment time. If the urination diary can be automatically recorded through a portable device, it will greatly help the examiner to easily and quickly identify the patient's urination pattern, find the exact cause of the symptom, and treat i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5388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15388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한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배뇨일지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provide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lysis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creating a urination diary using a portable urinalysis devi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은 시간에 따라 유입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유체의 유량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결과값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하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 및 상기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에서 송출된 상기 결과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결과값을 기반으로 배뇨일지를 작성하여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measures the flow rate of fluid introduced over time, analyzes the measured flow rate of the fluid, and calculates the resultant value. A portable urine flow test device for deriving and transmitting the derived result value by wire or wirelessly; and a terminal for receiving the result value sent from the portable urinary test device, creating and outputting a urination diary based on the received result valu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는, 시간대별 배뇨횟수, 시간대별 배뇨량 및 시간대별 절박뇨 정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상기 배뇨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erminal may write the urination diary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imes of urination for each time period, the amount of urination for each time period, and the degree of urgency for each time period.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는, 배뇨일지지표(voiding diary parameter)가 포함된 상기 배뇨일지를 작성하고, 상기 배뇨일지지표는, 주간배뇨일지지표(daytime voiding diary parameter), 야간배뇨일지지표(nighttime voiding diary parameter) 및 24시간배뇨일지지표(24-hour voiding diary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erminal creates the voiding diary including a voiding diary parameter, and the voiding diary parameter includes a daytime voiding diary parameter and a nighttime voiding diary parameter. diary parameter) and at least one of a 24-hour voiding diary paramet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간배뇨일지지표는, 주간배뇨횟수, 주간최대배뇨량, 주간평균배뇨량), 주간전체배뇨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weekly voiding daily index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eekly urination frequency, weekly maximum urination volume, weekly average urination volume), and total weekly urination volume.

바람직하게는, 상기 야간배뇨일지지표는, 야간배뇨횟수, 야간배뇨량, 야간방광용적, 야간다뇨지표, 야뇨증지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nighttime voiding day index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nightly urination, the amount of nightly urination, the nighttime bladder volume, the nighttime polyuria index, and the nocturnal enuresis index.

바람직하게는, 상기 24시간배뇨일지지표는, 일일배뇨횟수, 일일최대배뇨량, 일일평균배뇨량, 일일전체배뇨량, 기능적방광용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24-hour voiding diary index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aily urination frequency, a daily maximum urination volume, a daily average urination volume, a daily total urination volume, and a functional bladder volum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측정된 상기 결과값의 평균값인 평균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평균결과값을 기반으로 상기 배뇨일지지표를 도출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erminal may derive an average result value,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the result values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derive the voiding day index based on the average result value.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는, 상기 유체가 유동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에 연결되어 시간에 따라 유입된 상기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유체의 유량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결과값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하는 검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모듈은, 주간뇨와 야간뇨를 구분할 수 있도록 검사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는 제1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is connected to a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measures the flow rate of the fluid introduced over time by being connected to the pipe, analyzes the measured flow rate of the fluid, and derives a resultant value. and a test module for transmitting the derived result value by wire or wirelessly, and the test module may include a first button unit capable of setting a test time zone to distinguish between daytime urine and night urine.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사모듈은, 검사시작 시점을 입력할 수 있는 제2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버튼부를 통해 입력된 검사시작 시점과 상기 유체가 상기 검사모듈로 유입되어 측정되기 시작한 시점을 비교하여 정상, 절박뇨 및 지연뇨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nspection module further includes a second button unit capable of inputting an inspection start time point, and the terminal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spection start time input through the second button unit and the fluid flow into the inspection module. It can be judged as either normal, urgency, or delayed urine by comparing the time point at which the measurement started.

본 발명은 배뇨일지가 자동으로 작성됨으로써 배뇨일지를 수기로 작성해야 하는 피검자의 불편함 및 수기로 작성된 배뇨일지를 분석해야 하는 검사자의 번거로움이 최소화될 수 있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urination diary using a portable urinalysis device that can minimize the discomfort of a subject who has to manually write a urination diary and the hassle of an examiner who has to analyze a urination diary written by hand by automatically creating a urination diary. system can be provided.

본 발명은 휴대용 요류측정 장치에서 수신된 결과값에 기반하여 다양한 배뇨일지지표들을 도출하고, 배뇨일지지표가 포함된 배뇨일지를 작성하여 출력함에 따라 검사자는 다양한 배뇨일지지표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피검자의 증상에 대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을 내릴 수 있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various voiding diary indicators based on the result values received from the portable uroflowmetry device, creates and outputs a voiding diary including the voiding diary index, so that the examiner can grasp various voiding diary indicators at a glanc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lysis device that can more quickly and accurately diagnose the subject's sympto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의 다양한 형태의 하부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의 검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의 검사모듈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의 하우징부를 제거한 검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의 하우징부를 제거한 검사모듈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의 검사모듈의 구성간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작성되는 배뇨일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작성되는 배뇨일지지표가 포함된 배뇨일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단말기가 피검자의 기 설정된 기간의 배뇨곡선패턴을 각각 도출하고 이를 평균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기준 배뇨곡선패턴 중 종모양 정상 패턴(bell-shaped normal pattern)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기준 배뇨곡선패턴 중 타워모양 초과요류 패턴(tower-shaped superflow pattern)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기준 배뇨곡선패턴 중 압박성폐색 패턴(compressive pattern)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기준 배뇨곡선패턴 중 정점지속형태 패턴(plateau-shaped constrictive pattern)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기준 배뇨곡선패턴 중 단절뇨형태 패턴(interrupted-shaped pattern)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기준 배뇨곡선패턴 중 복압배뇨 패턴(abdominal straining pattern)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다양한 기준 배뇨곡선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실제로 작성된 배뇨일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작성되는 배뇨일지에 포함되는 실제 배뇨곡선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urine test device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e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views showing various types of lower tubes of the portable urinalysis device of the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the portable urina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inspection module of the portable urinalysis device of the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the portable urina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inspection module of the portable urine test device of the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the portable urine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a test module in which the housing of the portable urine test device of the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the portable urine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front view of a test module from which the housing of the portable urine test device is removed in the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the portable urine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of the inspection module of the portable urine test device of the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the portable urine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a urination diary created in a terminal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urination diary including a voiding diary index created in a terminal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terminal of the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the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urine curve patterns of a subject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averages them.
15 is a view showing a bell-shaped normal pattern among reference urine curve patterns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view showing a tower-shaped superflow pattern among reference urine curve patterns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diagram showing a compressive pattern among reference voiding curve patterns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showing a plateau-shaped constrictive pattern among reference urine curve patterns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view showing an interrupted-shaped pattern among reference urine curve patterns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diagram showing an abdominal straining pattern among reference voiding curve patterns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to 23 are diagrams showing various reference urine curve patterns of the urine diary writing system using the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diagram showing a urination diary actually created in a terminal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diagram showing an actual urination curve pattern included in a urination diary created in a terminal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1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urine diary writing system 10 using the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10)은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100)와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10 using a portable urine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rtable urine test device 100 and a terminal 200 .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100)는 시간에 따라 유입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유체의 유량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결과값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단말기(200)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된다.The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100 measures the flow rate of the introduced fluid over time, analyzes the flow rate of the measured fluid, derives a result value, and transmits the derived result value by wire or wirelessly, a terminal to be described later. 200 and is connected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urine test device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e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100)는 관부(110)와 검사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portable urine flow test device 100 may include a pipe part 110 and a test module 120 .

관부(110)는 유체가 유동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검사모듈(120)에 연결되어 연통된다.The pipe 110 is through which fluid flows, and is connected to and communicates with the inspection module 120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서의 유체는 피검자의 배뇨활동에 의해 관부(110)로 유입되는 피검자의 소변(요)을 의미하며, 본 발명은 유입된 피검자의 소변의 시간에 따른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하부요로의 기능이상을 진단하기 위한 결과값을 도출한다.The flui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subject's urine (urine) flowing into the tube 110 by the subject's urination activity, and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flow rate of the subject's urine flow over time, thereby functioning of the lower urinary tract. Derive result values for diagnosing abnormalities.

관부(110)는 보다 상세하게, 투입부(111)와, 상부관(112)과, 하부관(113)을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pipe part 110 may include an input part 111, an upper pipe 112, and a lower pipe 113.

투입부(111)는 유체가 최초로 유입되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좁은 깔때기(Funnel)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후술하는 상부관(112)과 연결되어 연통된다.The inlet 111 is the first inlet of fluid, has an open top, is formed in a funnel shape with a lower diameter narrower than the upper diameter, and is connected to and communicates with an upper pipe 112 to be described later. .

상부관(112)은 투입부(111)에서 유입된 유체가 유동되어 후술하는 검사모듈(120)의 유입구(i)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후술하는 검사모듈(120)의 유입구(i)와 연결되어 연통된다.The upper tube 112 has a flow path so that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inlet 111 flows and flows into the inlet (i) of the inspection module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one side is the inspection module 12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connected to and communicates with the inlet (i) of.

하부관(113)은 후술하는 검사모듈(120)에서 측정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후술하는 검사모듈(120)의 배출구(o)와 연결되어 연통된다.The lower pipe 113 is formed with a flow path so that the fluid measured in the test module 120 described l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and communicates with an outlet (o) of the test module 120 described later.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의 다양한 형태의 하부관을 나타낸 도면이다.3 and 4 are views showing various types of lower tubes of the portable urinalysis device of the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the portable urina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상부관(112) 또는 하부관(113)은 피검자가 장소를 불문하고 용이하게 휴대하여 요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부관(112) 혹은 하부관(113)은 여러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서로 슬라이딩되어 부피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로, 상부관(112) 또는 하부관(113)은 부피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도록 자바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3 and 4, in one embodiment, the upper tube 112 or the lower tube 113 is the upper tube 112 or the lower tube so that the examinee can easily carry it anywhere and measure the flow. 113 is composed of several parts,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volume or length can be reduced by sliding with each other. Alternatively, in one embodiment, the upper tube 112 or the lower tube 113 may have a bellows shape so that the volume or length can be reduc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의 검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의 검사모듈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의 하우징부를 제거한 검사모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의 하우징부를 제거한 검사모듈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의 검사모듈의 구성간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inspection module of the portable urinalysis device of the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the portable urina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the portable urina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showing the side of the inspection module of the portable urine test device of the urine diary writing system using the urine test device, and FIGS.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front view of the inspection module from which the housing of the portable urine test device of the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the portable urine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11 is a diagram showing connections between components of the inspection module of the portable urine flow test device of the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the portable urine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100)의 검사모듈(120)은 시간에 따라 유입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유체의 유량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결과값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관부(110)에 연결되어 연통된다.5 to 11, the inspection module 120 of the portable uroflow test device 100 measures the flow rate of the introduced fluid over time, analyzes the flow rate of the measured fluid, derives the result, and derives the result. As the resulting value is transmitted by wire or wirelessly, it is connected to and communicated with the pipe 110 described above.

검사모듈(120)은 보다 상세하게, 하우징부(121)와, 유입구(i)와, 회전부(122)와, 제어부(123)와, 배출구(o)와, 디스플레이부(124)와, 버튼부(125)와, 전원부(126)와, 저장부(127)와, 통신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inspection module 120 includes a housing part 121, an inlet (i), a rotation part 122, a controller 123, an outlet (o), a display part 124, and a button part. 125, a power supply unit 126, a storage unit 127, and a communication unit 128 may be included.

하우징부(121)는 검사모듈(12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피검자의 휴대가 용이한 크기로 형성되고, 일측에 디스플레이부(124)와 버튼부(125)가 각각 설치되며, 내부에 후술하는 유입구(i), 회전부(122), 제어부(123), 배출구(o), 전원부(126), 저장부(127) 및 통신부(128)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제공한다.The housing part 121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inspection module 120, is formed in a size that is easy for the examinee to carry, and has a display part 124 and a button part 125 installed on one side, respectively, and described later inside. It provides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an inlet (i), a rotation unit 122, a control unit 123, an outlet (o), a power supply unit 126, a storage unit 127, and a communication unit 128 are installed.

유입구(i)는 후술하는 회전부(122)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하우징부(121)에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부관(112)의 일측에 연결된다.The inlet (i)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into the rotation unit 122 described later, and is installed so that a portion thereof is exposed to the housing unit 121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tube 112.

회전부(122)는 유입구(i)를 통해 유입된 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측정부(123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rotating part 122 is rotated by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measuring part 123a to be described later.

일 실시예로, 회전부(122)는 한 쌍의 원형판 사이에 복수개의 날개판이 방사상으로 설치된 형태의 회전차(impeller)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체의 하중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ng unit 122 may be formed as an impeller in which a plurality of wing plates are radially installed between a pair of circular plates, and may be rotated in one direction around a rotational axis by a load of fluid. have.

제어부(123)는 회전부(122)와 연결되어 시간에 따라 유입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며,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24), 버튼부(125), 전원부(126), 저장부(127) 및 통신부(128)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회전부(122), 디스플레이부(124), 버튼부(125), 전원부(126), 저장부(127) 및 통신부(1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23)는 하나의 집적회로(IC)에 연산프로세서, 메모리 등이 내장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으로 이루어져, 연산 및 저장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3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unit 122 to measure and analyze the flow rate of the introduced fluid over time to derive a resultant value, a display unit 124, a button unit 125, a power unit 126, As for controlling the storage unit 127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8, the rotation unit 122, the display unit 124, the button unit 125, the power unit 126, the storage unit 127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8 are electrically connected. Connected.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23 is composed of a microcontrol unit (MCU) in which an operation processor, a memory, and the like are embedded in a single integrated circuit (IC), and can perform both calculation and storage functions.

제어부(123)는 보다 상세하게, 측정부(123a)와, 분석부(123b)와, 판단부(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측정부(123a)와, 분석부(123b)와, 판단부(123c)는 측정된 유체의 유량 혹은 유체의 유량을 분석함에 있어서 알고리즘의 수학적 연산을 처리할 수 있는 반도체 칩 형태의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123 may include a measurement unit 123a, an analysis unit 123b, and a determination unit 123c. In one embodiment, the measurement unit 123a, the analysis unit 123b, and the determination unit 123c are in the form of a semiconductor chip capable of processing a mathematical operation of an algorithm in analyzing the measured flow rate of the fluid or the flow rate of the fluid.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hardware of

측정부(123a)는 회전부(122)의 회전 동작의 정도를 분석하여 시간에 따라 유입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분석부(123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measuring unit 123a measures the flow rate of the introduced fluid over time by analyz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122,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alyzing unit 123b to be described later.

보다 상세하게, 유량은 임의의 단면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의 부피 또는 질량의 시간에 대한 비율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피검자의 배뇨에 의해 유체가 임의의 단면적을 가진 관부(110)를 지나 검사모듈(120)로 유입되는 경우, 회전부(122)의 회전속도가 유량에 비례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측정부(123a)는 하기의 식(1)을 통해 시간에 따라 유입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low rate means the ratio of the volume or mass of a fluid flowing through an arbitrary cross section to the tim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st module ( 120), it uses the fact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part 122 is proportional to the flow rate. That is, the measurement unit 123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introduced fluid over time through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1
(1)
Figure pat00001
(One)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유체의 유량을,
Figure pat00003
는 관부의 단면적을,
Figure pat00004
는 회전부의 회전속도를 의미한다.here
Figure pat00002
is the fluid flow rate,
Figure pat00003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pe,
Figure pat00004
i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part.

일 실시예로, 측정부(123a)는 회전부(122)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 동작을 펄스 신호화하는 타코미터(tachometer) 또는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 동작을 디지털 신호화하는 로터리엔코더(rotary encoder)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부(122)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 동작을 측정하여 이를 전기적으로 신호화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In one embodiment, the measuring unit 123a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ation unit 122 and converts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tion shaft into a pulse signal. rotary encoder),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with anything as long as i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ation unit 122 to measure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on shaft and electrically signal it.

분석부(123b)는 측정부(123a)에서 측정된, 시간에 따라 유입된 유체의 유량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것으로서, 측정부(123a)와 후술하는 판단부(123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analyzer 123b derives a result value by analyz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introduced over time, measured by the measurer 123a,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asurer 123a and the determination unit 123c to be described later. do.

이 때, 분석부(123b)에서 도출되는 결과값은 시간대별 최고요속(maximum flow rate, Qmax), 평균요속(average flow rate), 배뇨량(voided volume), 배뇨시간(voiding time) 및 배뇨지연시간(hesitancy time) 등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최고요속은 배뇨된 유체 속도의 최대값을 의미하고, 평균요속은 배뇨된 유체 속도의 평균값을 의미하고, 배뇨량은 배뇨된 유체의 총 양을 의미하고, 배뇨시간은 피검자가 배뇨에 걸린 총 시간을 의미하고, 배뇨지연시간은 피검자가 배뇨를 시작하기까지 지연되는 시간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result values derived from the analyzer 123b are the maximum flow rate (Qmax), average flow rate, voided volume, voiding time, and urination delay time for each time period. (hesitancy time), etc., where the peak urinary velocity means the maximum value of the urinated fluid velocity, the average urinary velocity means the average value of the urinated fluid velocity, the urination volume means the total amount of urinated fluid, and the urination The time means the total time taken by the subject to urinate, and the urination delay time means the time delayed until the subject starts to urinate.

일 실시예로, 분석부(123b)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예를 들면 3일 동안 측정된 결과값의 평균값인 평균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검사자는 피검자로 하여금 3일 동안 배뇨일지에 배뇨량 등의 지표들을 기록하도록 한 후, 이를 기초로 피검자의 증상을 판단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피검자가 매 배뇨시마다 기록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검사자는 3일 동안의 평균 결과값을 별도로 계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분석부(123b)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측정된 유체의 시간에 따른 유량을 분석하여 최고요속, 평균요속, 배뇨량, 배뇨시간 및 배뇨지연시간 등의 결과값을 각각 도출한 후, 이러한 결과값을 평균하여 평균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다. 한편, 평균결과값은 후술하는 단말기(200)에서 도출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analyzer 123b may derive an average result value,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result values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3 days. In general, the examiner has the examinee record indicators such as the amount of urination in a urination diary for 3 days, and then determines the subject's symptoms based on this. The inspector has the inconvenience of separately calculating the average result for 3 days. Accordingly, the analyzer 123b analyzes the flow rate of the fluid measured ov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derives result values such as the maximum urinary velocity, average urinary velocity, urination amount, urination time, and urination delay time, respectively, and then obtains these results. By averaging the values, an average result value can be derived. Meanwhile, the average result value may be derived from the terminal 200 to be described later.

판단부(123c)는 분석부(123b)에서 도출된 결과값을 기 저장된 기준 결과값과 비교하여 정상군, 저위험군 및 고위험군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것으로서, 분석부(123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determination unit 123c compares the result value derived from the analysis unit 123b with a pre-stored reference result value to determine one of a normal group, a low-risk group, and a high-risk group,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alysis unit 123b.

여기서 기 저장되는 기준 결과값은 정상인 경우에 관찰되는 최고요속, 평균요속, 배뇨량, 배뇨시간 및 배뇨지연시간과, 비정상인 경우(바람직하게는 각 질환별로)에 관찰되는 최고요속, 평균요속, 배뇨량, 배뇨시간 및 배뇨지연시간을 의미한다.Here, the pre-stored standard result values are the highest urinary velocity, average urinary velocity, urination volume, urination time, and urination delay time observed in normal cases, and the highest urinary velocity, average urinary velocity, and urination volume observed in abnormal cases (preferably for each disease). , means urination time and urination delay time.

일 실시예로, 피검자정보는 피검자의 연령, 성별, 검사시간대 및 질환(전립선비대증, 요실금, 야뇨증, 과민성방광 증상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판단부(123c)에서 비교되는 기 저장된 기준 결과값은 상술한 피검자정보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분석부(123b)에서 도출된 결과값을 비교하여 피검자를 정상군, 저위험군 및 고위험군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기 위한 룩업테이블(look up table)을 상술한 피검자정보에 따라 각각 달리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요류검사 시 피검자정보가 반영됨에 따라 보다 정확한 판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an example, the subjec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s age, gender, examination time period, and disease (prostatic hyperplasia, urinary incontinence, enuresis, overactive bladder symptoms, etc.), which are previously stored for comparison in the determination unit 123c. The reference result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ubject information described above. That is, a lookup table for classifying the subject into one of a normal group, a low-risk group, and a high-risk group by comparing result values derived from the analyzer 123b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ubje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as the subject information is reflected during the urine flow test, more accurate discrimination is possible.

배출구(o)는 측정부(123a)에서 측정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우징부(121)에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하부관(113)의 일측에 연결된다.The discharge port (o) is formed with a flow path so that the fluid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23a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is installed so that a part of it is exposed to the housing part 121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pipe 113.

디스플레이부(124)는 검사일자, 검사시간대, 분석부(123b)에서의 도출된 결과값, 판단부(123c)에서의 판단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서, 하우징부(121)의 일측에 설치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24)는 검사일자, 검사시간대 및 분석부(123b)에서의 도출된 결과값을 전달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판단부(123c)에서의 판단결과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4 displays at least one of an inspection date, an inspection time zone, a result value derived from the analysis unit 123b, and a determination result from the determination unit 123c, and displays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121. installed on That is, the display unit 124 may receive and display the inspection date, inspection time zone, and result value derived from the analysis unit 123b, and may also output the judgment result from the determination unit 123c together. have.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부(124)에 디스플레이되는 결과값 또는 판단결과의 정상, 저위험군 또는 고위험군 해당 여부에 따라, 결과값 또는 판단결과는 각각의 색을 달리하여 디스플레이부(124)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예를 들면, 녹색, 주황색, 빨간색 등). In one embodiment, depending on whether the result values or judgment resul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4 belong to the normal, low-risk group, or high-risk group, the result values or judgment result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4 in different colors. (e.g., green, orange, red, etc.).

일 실시예로, 하우징부(121)의 측단에는 알람을 위한 광원이 설치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부(124)에 디스플레이되는 결과값 또는 판단결과의 정상, 저위험군 또는 고위험군 해당 여부에 따라, 광원에서 방출되는 색을 달리할 수 있다(예를 들면, 녹색, 주황색, 빨간색 등).In one embodiment, a light source for an alarm may be installed at the side end of the housing unit 121, depending on whether the result value or judgment resul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4 is normal, low-risk group, or high-risk group, The emitted color may be different (eg, green, orange, red, etc.).

일 실시예로, 피검자의 배뇨량이 150ml 이하인 경우 정확한 측정이 어려우므로, 디스플레이부(124)는 결과값 중 배뇨량이 150ml 이하인 경우 분석불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음성을 수반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sinc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when the amount of urine output is 150 ml or less, the display unit 124 may output an analysis impossible message when the amount of urine output is 150 ml or less among the result values, and may also output it accompanied by audio.

버튼부(125)는 피검자가 검사시간대를 설정하고, 검사시작 시점을 입력하고, 배뇨시 절박뇨의 정도(urgent degree)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버튼부는 보다 상세하게, 제1버튼부(125a)와, 제2버튼부(125b)와, 제3버튼부(125c)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tton unit 125 is for the subject to set the examination time zone, input the examination start time, and input the degree of urgency when urinating. More specifically, the button unit is the first button unit 125a And, it may include a second button portion (125b) and a third button portion (125c).

제1버튼부(125a)는 피검자가 요류를 검사한 시간대, 즉, 낮시간대 또는 밤시간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주간뇨와 야간뇨를 구분할 수 있도록 검사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하우징부(12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피검자가 제1버튼부(125a)를 조작하면 이에 따라 피검자가 요류를 검사한 해당 시간대(낮시간대인지 또는 밤시간대인지)가 저장되고, 디스플레이부(124)에 해당 시간대가 출력된다.The first button unit 125a is capable of setting the test time zone to distinguish between daytime urine and nighttime urine by enabling the subject to distinguish between the time zone in which the urine flow is tested, that is, the daytime zone and the nighttime zone. Can be installed on one side. When the examinee manipulates the first button unit 125a, a corresponding time zone (whether it is a daytime zone or a nighttime zone) in which the examinee inspects urine flow is stored, and the corresponding time zone is output on the display unit 124 .

제2버튼부(125b)는 피검자가 검사시작 시점을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하우징부(12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피검자가 제2버튼부(125b)를 누르면 검사시작 시점이 저장되고, 이 후 유체가 관부(110)를 통해 검사모듈(120)로 유입되어 회전부(122)가 회전되면 유체가 측정되기 시작한 시점이 저장되며, 검사시작 시점과 유체가 측정되기 시작한 시점은 결과값에 포함되어 후술하는 단말기(200)로 송출된다. 이 후, 결과값을 수신받은 단말기(200)는 제2버튼부(125b)를 통해 입력된 검사시작 시점과 유체가 검사모듈(120)로 유입되어 측정되기 시작한 시점을 비교하여 정상, 절박뇨 및 지연뇨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The second button portion 125b allows the examinee to input a test start point, and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121 . When the examinee presses the second button part 125b, the test start time is stored, and then, when the fluid flows into the test module 120 through the pipe part 110 and the rotating part 122 is rotated, the fluid starts to be measured. The test start time and the fluid measurement start time are included in the result value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reafter, the terminal 200 receiving the result values compares the test start time inputted through the second button unit 125b and the time when the fluid flows into the test module 120 and starts to be measured, and determines whether normal, urgency, or delayed urine is detected. It can be judged by either urine.

보다 상세하게, 절박뇨란 배뇨를 참지 못하고 즉시 배뇨해야 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지연뇨란 배뇨를 즉시 시작하지 못하고 지연되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단말기(200)는 검사시작 시점과 유체가 측정되기 시작한 시점 사이의 간격이 기 설정된 간격 이하인 경우(예를 들면, 5초 미만) 절박뇨로 판단할 수 있고, 검사시작 시점과 유체가 측정되기 시작한 시점이 기 설정된 간격 이상인 경우(예를 들면, 30초 이상) 지연뇨로 판단할 수 있고, 검사시작 시점과 유체가 측정되기 시작한 시점이 기 설정된 간격 이내인 경우(예를 들면, 5초 이상 30초 미만) 정상, 즉, 절박뇨 또는 지연뇨에 해당되지 않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urgency urination means a state in which urination cannot be tolerated and must be urinated immediately, and delayed urination means a state in which urination cannot immediately start and is delayed. Urgency can be determined if the interval between intervals is less than a preset interval (for example, less than 5 seconds), and if the test start time and the time when the fluid starts to be measured are more than a preset interval (for example, 30 seconds or more) If it can be judged as delayed urine, and the time when the test starts and the time when the fluid starts to be measured is within a preset interval (for example, 5 seconds or more and less than 30 seconds), it is considered normal, that is, it does not correspond to urgency or delayed urine. can judge

제3버튼부(125c)는 배뇨 시 절박뇨의 정도(urgent degree)를 피검자가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부(12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절박뇨 정도는 결과값에 포함되어 저장되고 후술하는 단말기(200)는 이를 수신할 수 있는데, 단말기(200)는 이러한 결과값을 이용하여 시간대별 절박뇨 정도가 포함된 배뇨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절박뇨 정도는 피검자의 배뇨 시, 배뇨가 어느 정도로 절박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예를 들면 4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1단계는 절박하지 않았음, 4단계는 매우 절박했음 등), 이 때, 제3버튼부(125c)는 버튼식으로 마련되어 피검자가 기 설정된 횟수를 누름에 따라 각 단계를 디스플레이부(124)에 표시(예를 들면, 1번 누르는 경우 1단계를 표시하고, 4번 누르는 경우 4단계를 표시하고, 5번 누르는 경우 다시 1단계를 표시)할 수 있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The third button portion 125c is for the examinee to input the degree of urgency during urination, and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121 . The degree of urgency is included in the result value and stored, and the terminal 200 described below may receive it. Here, the degree of urgency is an index indicating the degree of urgency of urination when the subject urinates, and can be divided into 4 stages (stage 1 was not urgency, stage 4 was very urgency, etc.), and at this time , The third button unit 125c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and displays each step on the display unit 124 as the subject presses a preset number of times (for example, when pressed once, step 1 is displayed, and when pressed 4 times, each step is displayed). If pressed 5 times, step 1 is displayed) and can be saved.

일 실시예로, 상술한 제1버튼부(125a), 제2버튼부(125b) 또는 제3버튼부(125c)는 디스플레이부(124)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터치 방식으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first button unit 125a, second button unit 125b, or third button unit 125c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124 and performs each function in a touch method. can do.

전원부(126)는 검사모듈(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외부 전원(예를 들면, 220V)과 연결되어 검사모듈(12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건전지 또는 충전지와 같은 배터리로 마련되어 검사모듈(12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26)가 배터리로 마련되는 경우에 하우징부(121)에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부분을 개폐하는 커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는 착탈커버식, 슬라이드식, 볼트고정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26 supplies power to the inspection module 120,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eg, 220V) to supply power to the inspection module 120, and is provided as a battery such as a dry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for inspection.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module 120 . When the power supply unit 126 is provided with a battery, a cover may be formed on the housing unit 121 to open and close a portion where the battery is mounted, and the cover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a detachable cover type, a sliding type, a bolt fixing type, and the like. have.

저장부(127)는 분석부(123b)에서 도출된 결과값이 저장되고, 기준 결과값이 저장되며, 판단부(123c)에서의 판단결과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제어부(1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storage unit 127 stores the result value derived from the analysis unit 123b, stores the reference result value, and stores the judgment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123c,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3. .

일 실시예로, 저장부(127)는 미니 SD 카드(mini SD), 마이크로 SD 카드(micro SD), 멀티미디어 카드(MMC), 메모리 스틱(MS, MSD, MSPD), 컴팩트 플래시 메모리 카드(CF)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unit 127 includes a mini SD card (mini SD), a micro SD card (micro SD), a multimedia card (MMC), a memory stick (MS, MSD, MSPD), a compact flash memory card (CF) It may be provi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may be provided with anything as long as it performs a data storage function.

통신부(128)는 후술하는 단말기(200)와 USB포트 등을 이용한 유선 방식 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분석부(123b)에서 도출된 결과값 및 판단부(123c)에서의 판단결과를 후술하는 단말기(200)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에는 기준 결과값이 저장될 수 있는데, 통신부(128)는 이러한 기준 결과값을 수신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8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200 described later in a wired method using a USB port or the like or a wireless method using a network, through which the result value derived from the analysis unit 123b and the determination unit 123c The determination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described later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In addition, a reference result value may be stored in the terminal 20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8 may receive this reference result value.

한편, 배뇨일지는 피검자의 배뇨시간, 배뇨량 등을 기재한 것으로, 배뇨장애를 겪고 있는 피검자의 주관적 증상을 검사자가 처음으로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기존의 배뇨일지 방식에서는 피검자가 필기도구 등을 사용해 수기로 배뇨시간, 배뇨량 등의 배뇨기록을 대략 3일간 배뇨일지에 작성하면, 검사자는 피검자의 증상을 진단하기 위해 수기로 작성된 배뇨일지를 일일이 분석하여 주간배뇨일지지표, 야간배뇨일지지표, 24시간배뇨일지지표와 같은 배뇨일지지표들을 도출해야 하였으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urination diary describes the subject's urination time and amount of urination, and is one of the first methods for an examiner to objectively observe the subjective symptoms of a subject suffering from urination disorder. However, in the existing urination diary method, if the subject manually writes urination records such as urination time and amount of urination in a urination diary for about 3 days using a writing instrument, the examiner manually records the urination diary to diagnose the subject's symptoms. There was a cumbersome problem because it was necessary to analyze and derive voiding day indexes such as daytime voiding day index, nighttime voiding day index, and 24-hour voiding day index.

본 발명의 단말기(200)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100)에서 송출된 결과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값을 기반으로 배뇨일지를 자동으로 작성하여 출력함으로써 빈뇨, 야간뇨, 절박뇨의 정도 등을 정량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200)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result value sent from the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100, and automatically creates and outputs a urination diary based on the received result value, thereby preventing frequent urination, The degree of nocturia and urgency can be recorded quantitatively. This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urine test device 10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일 실시예로, 단말기(200)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의 일반 PC도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wireless LAN, W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o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하는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 general PC such as a laptop, desktop, or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nd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 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 (wireless LAN, W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o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일 실시예로, 단말기(200)는 단말기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동작/조정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와, 단말기(2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다양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 등 다양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과, 전원 케이블, USB 등과 같은 다양한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200 includes a processor such as a microprocessor for operating/adjusting other components of the terminal,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input control signals and data from a user of the terminal 200, and storing data. It includes a memory for displaying various imag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data with various external devices such as a portable urine test device, and one or more ports for accommodating various terminals such as power cables and USB. ca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작성되는 배뇨일지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a urination diary created in a terminal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기(200)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결과값을 기반으로 시간대별 배뇨횟수(number of voids), 시간대별 배뇨랑(voided volume) 및 시간대별 절박뇨 정도(ugency degree)를 도출하고, 시간대별 배뇨횟수, 시간대별 배뇨량 및 시간대별 절박뇨 정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배뇨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대별 배뇨횟수는 각각의 시간대에서 피검자가 배뇨를 한 횟수를 기록한 것이고, 시간대별 배뇨량은 각각의 시간대에서 피검자가 배뇨를 한 양을 기록한 것이고, 시간대별 절박뇨 정도는 피검자의 배뇨 시, 배뇨가 어느 정도로 절박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예를 들면 4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1단계는 절박하지 않음, 4단계는 매우 절박했음 등).Referring to FIG. 12 , the terminal 200 determines the number of voids for each time period, voided volume for each time period, and urgency level for each time period based on the result value received from the portable urinalysis device 100 ( ugency degree), and a urination diary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urination by time period, the amount of urination by time period, and the degree of urgency by time period can be prepared. Here, the number of urination by time period is the number of times the subject urinated in each time period, the amount of urination by time period is the amount of urine urinated by the subject in each time period, and the degree of urgency by time period is the number of times the subject urinated during urination. An indicator of how desperate you are, for example, it can be divided into 4 levels (level 1 is not desperate, level 4 is very urgent, etc.).

일 실시예로, 시간대별 배뇨횟수, 시간대별 배뇨량 및 시간대별 절박뇨 정도는 각 항목별로 그래프로 작성되거나 수치가 기재된 표로 작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number of times of urination for each time period, the amount of urination for each time period, and the degree of urgency for each time period may be graphed for each item or prepared as a table with numerical values.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단말기(200)는 시간대별 배뇨횟수, 시간대별 배뇨량 및 시간대별 절박뇨 정도를 배뇨횟수배뇨량일지(frequency-volume chart, FVC) 방식으로 배뇨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reate a urination log of the frequency-volume chart (FVC) of the number of times of urination by time period, the amount of urination by time period, and the degree of urgency by time period.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작성되는 배뇨일지지표가 포함된 배뇨일지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 urination diary including a voiding diary index created in a terminal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기(200)는 배뇨일지지표(voiding diary parameter)가 포함된 배뇨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 terminal 200 may create a voiding diary including a voiding diary parameter.

즉, 본 발명의 단말기(200)는 휴대용 요류측정 장치(100)에서 수신된 결과값에 기반하여 다양한 배뇨일지지표들을 도출하고, 배뇨일지지표가 포함된 배뇨일지를 작성하여 출력함에 따라 검사자는 피검자의 배뇨기록뿐만 아니라 다양한 배뇨일지지표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피검자의 빈뇨, 야간뇨, 절박뇨 등과 같은 증상에 대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을 내릴 수 있다.That is, the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various voiding diary indicators based on the result values received from the portable uroflowmetry device 100, creates and outputs a urination diary including the voiding diary index, so that the examiner controls the subject Since it is possible to grasp not only the urination record but also various voiding diary indicators at a glance, it is possible to more quickly and accurately diagnose symptoms such as frequency of urination, nocturia, and urgency of urination.

여기서 배뇨일지지표란 피검자의 배뇨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의미하며, 이러한 배뇨일지지표는 주간배뇨일지지표, 야간배뇨일지지표 및 24시간배뇨일지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voiding day index refers to parameters related to urination of the subject, and the voiding day index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eekly voiding day index, a night voiding day index, and a 24-hour voiding day index.

주간배뇨일지지표(daytime voiding diary parameter)란 피검자가 주간, 예를 들면, 아침 6시부터 오후 5시까지 행한 배뇨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의미하며, 이러한 주간배뇨일지지표는 주간배뇨횟수(number of daytime voids), 주간최대배뇨량(maximum daytime voided volume), 주간평균배뇨량(mean daytime voided volume), 주간전체배뇨량(total daytime voided volum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aytime voiding diary parameter refers to parameters related to voiding performed by the subject during the week, for example, from 6:00 am to 5:00 pm, and this weekly voiding diary parameter is the number of daytime voids (number of daytime voids). ), a maximum daytime voided volume, a mean daytime voided volume, and a total daytime voided volume.

여기서 주간배뇨횟수는 피검자가 주간에 배뇨를 행한 횟수를 의미하고, 주간최대배뇨량은 피검자의 주간 배뇨량 중 최대값을 의미하고, 주간평균배뇨량은 피검자의 주간 배뇨량에 대한 평균값을 의미하고, 주간전체배뇨량은 피검자가 주간에 행한 배뇨량의 전체값을 의미한다.Here, the number of weekly urination means the number of times the subject urinated during the week, the maximum weekly urination amount means the maximum value of the subject's weekly urination amount, the average weekly urination amount means the average value of the subject's weekly urination amount, and the total weekly urination amount denotes the total value of the amount of urination performed by the subject during the week.

야간배뇨일지지표(nighttime voiding diary parameter)란 피검자가 야간에, 예를 들면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새벽 5시까지 행한 배뇨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의미하며, 이러한 야간배뇨일지지표는 야간배뇨횟수(number of nocturnal voids), 야간배뇨량(nocturnal urine volume, NUV), 야간방광용적(nocturnal bladder capacity index, NBCi), 야간다뇨지표(nocturnal polyuria index, NPi), 야뇨증지표(nocturia index, 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nighttime voiding diary parameter refers to parameters related to voiding performed by the subject at night, for example, from 6:00 pm to 5:00 am the next day. voids), nocturnal urine volume (NUV), nocturnal bladder capacity index (NBCi), nocturnal polyuria index (NPi), and nocturia index (Ni) can do.

여기서 야간배뇨횟수는 피검자가 야간에 일어나 배뇨를 행한 횟수를 의미하고, 야간배뇨량은 피검자가 야간에 행한 배뇨량을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취침 시간 중 배뇨 총량과 아침의 첫 소변양을 포함한다. 야간방광용적은 야간에 방광에 채울 수 있는 소변(요)의 실제 양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야간의 배뇨량 중 가장 많은 배뇨량을 야간방광용적으로 간주하는데, 이 변수는 방광의 용량(capacity) 감소 문제를 나타낸다. 야간다뇨지표와 야뇨증지표는 요의 과생산(overproduction)을 나타내는 변수로, 야간다뇨지표는 야간배뇨량을 일일전체배뇨량으로 나눈 값을 의미하고 야뇨증지표는, 야간배뇨량을 일일최대배뇨량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Here, the number of urination at night means the number of times the subject wakes up and urinates at night, and the amount of night urination means the amount of urination performed by the subject at night, and generally includes the total amount of urination during bedtime and the first urine amount in the morning. Night bladder volume refers to the actual amount of urine (urine) that can be filled in the bladder at night. Generally, the largest volume of urine is considered as the night bladder volume, and this variable solves the problem of bladder capacity reduction. indicate The nocturnal polyuria index and the nocturnal enuresis index are variables representing the overproduction of urine. The nocturnal polyuria index means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amount of urination at night by the total amount of daily urination, and the enuresis index means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amount of urination at night by the maximum daily amount of urination. do.

24시간배뇨일지지표(24-hour voiding diary parameter)란 피검자가 하루동안, 예를 들면, 아침 6시부터 다음날 새벽 5시까지 행한 배뇨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의미하며, 이러한 24시간배뇨일지지표는 일일배뇨횟수(total number of voids), 일일최대배뇨량(maximum voided volume), 일일평균배뇨량(mean voided volume), 일일전체배뇨량(total voided volume), 기능적방광용적(functional bladder capacity, FBC), 일일마신량(total amount of fluid intak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24-hour voiding diary parameter refers to parameters related to voiding performed by the subject during the day, for example, from 6:00 am to 5:00 am the next day. Total number of voids, maximum voided volume, mean voided volume, total voided volume, functional bladder capacity (FBC), daily intake ( total amount of fluid intake).

여기서 일일배뇨횟수는 피검자가 하루동안 배뇨를 행한 횟수를 의미하고, 일일최대배뇨량은 피검자의 일일 배뇨량 중 최대값을 의미하고, 일일평균배뇨량은 피검자의 일일 배뇨량에 대한 평균값을 의미하고, 일일전체배뇨량은 피검자가 하루동안 행한 배뇨량의 전체값을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아침 첫 소변은 제외하되 그 다음날 아침의 첫 소변을 포함한다. 기능적방광용적은 최대방광용적(maximal bladder capacity)과 구별되는 것으로 방광에 채울 수 있는 소변(요)의 실제 양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배뇨일지 중에서 가장 많은 배뇨량을 기능적방광용적으로 간주한다. 일일마신량은 피검자가 하루동안 섭취한 수분의 양을 의미하는데, 일 실시예로, 피검자는 일일마신량을 휴대용 요류측정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24)를 통해 터치 방식으로 입력하거나 단말기(200)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Here, the daily number of urination means the number of times the subject urinated during the day, the maximum daily urination amount means the maximum value of the subject's daily urination amount, the average daily urination amount means the average value of the subject's daily urination amount, and the total daily urination amount. Means the total value of the amount of urination performed by the subject during the day, and generally excludes the first morning urine, but includes the first urine of the next morning. Functional bladder volume is distinct from maximal bladder capacity and refers to the actual amount of urine (urine) that can be filled in the bladder. The daily drinking amount means the amount of water consumed by the subject during the day. In one embodiment, the subject inputs the daily drinking amount through the display unit 124 of the portable uroflowmetry device in a touch method or on the terminal 200. You can also enter it directly.

일 실시예로, 단말기(200)는 주된 증상에 대한 판단이 포함된 배뇨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200)가 작성하는 배뇨일지에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100)에서 수신된 결과값을 기반으로 판단한 빈뇨 유무, 절박뇨 유무, 요실금 유무(요실금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복압 형태인지, 절박뇨 형태인지, 혼합 형태인지), 야간뇨 유무에 대한 판단들이 포함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terminal 200 may create a urination diary including judgments on main symptoms. For example, in the urination diary prepared by the terminal 2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urination, the presence of urgency,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urinary incontinence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 value received from the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100 (in the case of urinary incontinence, whether it is in the form of abdominal pressure or urinary urgency) type, mixed type), and judgments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nocturia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로, 단말기(200)는 검사자가 배뇨일지지표의 미세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도록, 각각의 배뇨일지지표에 대한 표준편차나 표준오차를 도출한 후, 배뇨일지에 작성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terminal 200 may derive a standard deviation or standard error for each voiding diary index and then write it in a voiding diary so that a tester can observe minute changes in the voiding diary index.

일 실시예로, 단말기(200)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예를 들면 3일 동안 측정된 결과값의 평균값인 평균결과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평균결과값을 기반으로 배뇨일지지표(주간배뇨일지지표, 야간배뇨일지지표 또는 24시간배뇨일지지표)를 도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200 derives an average result value,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result values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for 3 days, and based on the derived average result value, a urination daily index (weekly voiding diary) index, night urination index or 24-hour urination index) can be derived.

일 실시예로, 단말기(200)에서 작성되어 출력되는 배뇨일지는 검사일자 및 검사시간대와 유체의 최고요속, 평균요속, 배뇨량, 배뇨시간 및 배뇨지연시간과 같은 결과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rination diary created and outputted by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esult values such as the test date, test time period, maximum urinary velocity, average urinary velocity, urination volume, urination time, and urination delay time of the fluid. can

일 실시예로, 단말기(200)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100)에서 수신된 결과값을 기 저장된 기준 결과값과 비교하거나 도출된 배뇨일지지표에 기반하여 피검자가 빈뇨, 야간뇨, 단절뇨 등의 질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빈뇨는 배뇨횟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야간뇨는 야간에 배뇨횟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단절뇨는 소변의 흐름이 끊기는 형태로 배뇨하는 것을 의미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200 compares the result value received from the portable urinalysis device 100 with a pre-stored reference result value, or based on the derived urination index, the subject suffers from diseases such as frequent urination, nocturia, and intermittent urination. It can be judged whether it corresponds to Here, frequent urination means a state in which the frequency of urination increases abnormally, nocturia means a state in which the frequency of urination abnormally increases at night, and intermittent urine means urination in a form in which the flow of urine is interrupted.

여기서 기 저장되는 기준 결과값은 정상인 경우에 관찰되는 최고요속, 평균요속, 배뇨량, 배뇨시간 및 배뇨지연시간과, 비정상인 경우(바람직하게는 각 질환별로)에 관찰되는 최고요속, 평균요속, 배뇨량, 배뇨시간 및 배뇨지연시간을 의미한다.Here, the pre-stored standard result values are the highest urinary velocity, average urinary velocity, urination volume, urination time, and urination delay time observed in normal cases, and the highest urinary velocity, average urinary velocity, and urination volume observed in abnormal cases (preferably for each disease). , means urination time and urination delay time.

하기의 표 1과 같이 전립선비대증을 예로 들어 최고 요속을 통해 판단했을 때, 실시예 1과 같이 단말기(200)는 최고요속(Qmax)이 15.1ml/s 이상인 경우에는 정상으로 판단하고, 실시예 2와 같이 최고요속이 12.1ml/s ~ 15.0ml/s 사이인 경우에는 저위험군(즉, 관리가 필요한 환자)으로 판단하고, 실시예 3 및 4와 같이 최고요속이 12.0ml/s 이하인 경우에는 고위험군(즉, 병원 진료가 필요한 환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추가로,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통해 위험 여부 판단시, 실시예 3의 경우, 이상소견 있음과 의사진료 요함으로 자세히 판단할 수 있고, 실시예 4의 경우, 요도 협착의증에 따른 이상소견 있음과 의사진료 요함으로 더욱 자세히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below, when prostatic hyperplasia is taken as an example and determined through the maximum urinary flow rate, as in Example 1, the terminal 200 determines that the maximum urinary flow rate (Qmax) is 15.1 ml/s or more as normal, and in Example 2 If the peak flow rate is between 12.1ml/s and 15.0ml/s, it is determined as a low-risk group (i.e., a patient in need of management), and as in Examples 3 and 4, if the peak flow rate is 12.0ml/s or less, it is a high-risk group. (i.e., a patient who needs hospital treatment). In addition, when determining the risk through the learned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the case of Example 3, it can be determined in detail that there is an abnormal finding and that a doctor is required, and in the case of Example 4, there is an abnormal finding due to urethral stenosis and a doctor The need for treatment can be judged in more detail.

여기서 기 저장되는 기준 결과값은 정상인 경우에 관찰되는 최고요속, 평균요속, 배뇨량, 배뇨시간 및 배뇨지연시간과, 비정상인 경우(바람직하게는 각 질환별로)에 관찰되는 최고요속, 평균요속, 배뇨량, 배뇨시간 및 배뇨지연시간을 의미한다.Here, the pre-stored standard result values are the highest urinary velocity, average urinary velocity, urination volume, urination time, and urination delay time observed in normal cases, and the highest urinary velocity, average urinary velocity, and urination volume observed in abnormal cases (preferably for each disease). , means urination time and urination delay time.

최고
요속
(ml/s)
best
Urinary velocity
(ml/s)
평균
요속
(ml/s)
Average
Urinary velocity
(ml/s)
배뇨량
(ml)
Urination volume
(ml)
배뇨
시간
(s)
urination
hour
(s)
배뇨
지연
시간
(s)
urination
delay
hour
(s)

배뇨곡선패턴

Urination curve pattern

위험 여부

risk or not
실시예 1Example 1 43.143.1 18.818.8 417417 2121 22 bell-shaped normal patternbell-shaped normal pattern 정상normal 실시예 2Example 2 12.712.7 2.32.3 8484 2727 66 interrupted-shaped patterninterrupted-shaped pattern 저위험군low-risk group 실시예 3Example 3 10.410.4 1.81.8 260260 6565 2020 compressive patterncompressive pattern 고위험군high-risk group 실시예 4Example 4 5.35.3 5.05.0 346346 7575 55 plateau-shaped constrictive patternplateau-shaped constrictive pattern 고위험군high-risk group

일 실시예로, 피검자정보는 피검자의 연령, 성별, 검사시간대 및 질환(전립선비대증, 요실금, 야뇨증, 과민성방광 증상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단말기(200)에서 비교되는 기 저장된 기준 결과값 또는 기준 배뇨곡선패턴은 상술한 피검자정보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100)에서 도출된 결과값을 비교하여 피검자를 정상군, 저위험군 및 고위험군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기 위한 룩업테이블(look up table)을 상술한 피검자정보에 따라 각각 달리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요류검사 시 피검자정보가 반영됨에 따라 보다 정확한 판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an example, the subjec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s age, gender, examination time period, and disease (prostatic hyperplasia, urinary incontinence, enuresis, overactive bladder symptoms, etc.), which are compared with pre-stored criteria in the terminal 200. The result value or the reference urine curve pattern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ubject information. That is, a lookup table for classifying a subject into one of a normal group, a low-risk group, and a high-risk group by comparing result values derived from the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100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ubject information. have. According to this, as the subject information is reflected during the urine flow test, more accurate discrimination is possible.

한편, 표 1의 실시예 2와 같이, 피검자의 배뇨량이 150ml 이하인 경우 정확한 측정이 어려우므로, 단말기(200)는 결과값 중 배뇨량이 150ml 이하인 경우 분석불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in Example 2 of Table 1, sinc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urine output of the subject when the amount of urine output is 150 ml or less, the terminal 200 may output an analysis unavailable message when the amount of urine output is 150 ml or less among the result values.

다른 실시예로, 단말기(200)는 수신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배뇨곡선패턴(voiding curve pattern)에 대한 그래프를 도출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200)에서 작성되어 출력되는 배뇨일지는 배뇨곡선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terminal 200 may derive a graph of a voiding curve pattern of the subject using the received result value. At this time, the urination diary prepared and output by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 urination curve pattern.

또한, 단말기(200)는 도출된 피검자의 배뇨곡선패턴을 기 저장된 기준 배뇨곡선패턴과 비교하여 정상군, 저위험군 및 고위험군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한 후 이를 배뇨일지에 포함시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200 may compare the derived urine curve pattern of the subject with a pre-stored standard urine curve pattern, determine one of the normal group, low-risk group, and high-risk group, and include it in the urine diary and output the result.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단말기가 피검자의 기 설정된 기간의 배뇨곡선패턴을 각각 도출하고 이를 평균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terminal of the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the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urine curve patterns of a subject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averages them.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기(200)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예를 들면 3일 동안 측정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3일 동안의 배뇨곡선패턴에 대한 그래프를 각각 도출한 후, 이를 평균하여 표현한 배뇨곡선패턴인 평균배뇨곡선패턴을 도출할 수 있다. 이 후, 단말기(200)는 도출된 평균배뇨곡선패턴을 기 저장된 기준 배뇨곡선패턴과 비교하여 정상군, 저위험군 및 고위험군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검사자는 도출된 평균배뇨곡선패턴을 증상의 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terminal 200 derives graphs of the subject's urination curve patterns for 3 days using the result values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for 3 days, and then averages them. An average urine curve pattern, which is the expressed urine curve pattern, can be derived. Thereafter, the terminal 200 compares the derived average urination curve pattern with a pre-stored reference urination curve pattern to determine one of the normal group, low-risk group, and high-risk group, and the examiner compares the derived average urination curve pattern to the symptoms. can be used for diagnosis.

여기서 단말기(200)에 기 저장되는 기준 배뇨곡선패턴은 종모양 정상 패턴(bell-shaped normal pattern), 타워모양 초과요류 패턴(tower-shaped superflow pattern), 압박성폐색 패턴(compressive pattern), 정점지속형태 패턴(plateau-shaped constrictive pattern), 단절뇨형태 패턴(interrupted-shaped pattern) 및 복압배뇨 패턴(abdominal straining pattern)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ference voiding curve patterns pre-stored in the terminal 200 include a bell-shaped normal pattern, a tower-shaped superflow pattern, a compressive pattern, and a peak duration. It may include a plateau-shaped constrictive pattern, an interrupted-shaped pattern, and an abdominal straining pattern.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기준 배뇨곡선패턴 중 종모양 정상 패턴(bell-shaped normal pattern)을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view showing a bell-shaped normal pattern among reference urine curve patterns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종모양 정상 패턴(bell-shaped normal pattern)은 피검자의 하부요로의 기능에 이상이 없어 요류흐름의 피크값(flow peak)이 적절하게 도출되는 종모양의 배뇨곡선패턴으로, 배뇨지연(hesitancy)과 종말적하(terminal dribble)도 관찰되지 않는 정상범주의 배뇨곡선패턴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15, the bell-shaped normal pattern is a bell-shaped voiding curve pattern in which the flow peak of the urinary flow is appropriately derived without abnormalities in the function of the subject's lower urinary tract. It means a normal category of voiding curve pattern in which neither hesitancy nor terminal dribble is observed.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기준 배뇨곡선패턴 중 타워모양 초과요류 패턴(tower-shaped superflow pattern)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6 is a view showing a tower-shaped superflow pattern among reference urine curve patterns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타워모양 초과요류 패턴(tower-shaped superflow pattern)은 종모양 정상 패턴과 유사하지만, 요류흐름의 피크값이 정상 범주보다 높게 나오는 배뇨곡선패턴을 의미한다. 이러한 타워모양 초과요류 패턴은 피검자의 배뇨근의 과잉활동(detrusor overactivity)에 기인하거나, 요도저항이 매우 낮은 경우에 관찰된다.Referring to FIG. 16, a tower-shaped superflow pattern is similar to a bell-shaped normal pattern, but means a voiding curve pattern in which the peak value of urinary flow is higher than the normal range. This tower-shaped excess flow pattern is caused by detrusor overactivity of the subject or is observed when urethral resistance is very low.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기준 배뇨곡선패턴 중 압박성폐색 패턴(compressive pattern)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7 is a diagram showing a compressive pattern among reference voiding curve patterns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압박성폐색 패턴(compressive pattern)은 전립선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피검자에게서 흔히 관찰되는 패턴이다. 배뇨 시 방광수축압이 증가되면 요도의 구경은 확장되는데, 전립선비대증에서는 비대된 전립선이 요도를 압박하여 요도 구경에 제한이 걸리게 되므로, 정상적으로 배뇨를 하지 못하는 배뇨곡선패턴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증상에서는 요도의 구경에 제한이 걸리기는 하지만 배뇨 시 조금씩 확장될 여지는 있으므로, 배뇨곡선패턴의 마지막 부분에서 간헐성배뇨(intermittency) 내지 종말적하(terminal dribble)이 관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 a compressive pattern is a pattern commonly observed in subjec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When bladder contraction pressure increases during urination, the aperture of the urethra expands. In prostatic hyperplasia, the enlarged prostate presses on the urethra, limiting the aperture of the urethra. In such symptoms, although the caliber of the urethra is limited, there is room for it to expand little by little during urination, so intermittency or terminal dribble may be observed at the end of the urination curve pattern.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기준 배뇨곡선패턴 중 정점지속형태 패턴(plateau-shaped constrictive pattern)을 나타낸 도면이다.18 is a diagram showing a plateau-shaped constrictive pattern among reference urine curve patterns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정점지속형태 패턴(plateau-shaped constrictive pattern)은 요류흐름의 정점 피크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평탄하게(plateau) 정점이 지속되는 형태의 배뇨곡선패턴을 의미한다. 정점지속형태 패턴은 요도의 구경이 어느 정도 이상은 절대 확장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배뇨곡선패턴은 요도협착 증상이 있는 경우에 관찰된다.Referring to FIG. 18, a plateau-shaped constrictive pattern means a voiding curve pattern in which a plateau-shaped peak of urinary flow is not properly formed and a plateau-shaped constrictive pattern continues. The apical sustained pattern means that the aperture of the urethra never dilates beyond a certain extent, and this pattern of voiding curve is observed when symptoms of urethral stricture are present.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기준 배뇨곡선패턴 중 단절뇨형태 패턴(interrupted-shaped pattern)을 나타낸 도면이다.19 is a view showing an interrupted-shaped pattern among reference urine curve patterns of the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the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단절뇨형태 패턴(interrupted-shaped pattern)은 요류흐름이 여러번 단절되는 형태의 배뇨곡선패턴으로, 복압으로 배뇨를 하는 형태에서 흔히 발견되며, 상부요로에 대한 장기적인 추적 검사가 필요한 것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19, the interrupted-shaped pattern is a voiding curve pattern in which the urinary flow is interrupted several times. means that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기준 배뇨곡선패턴 중 복압배뇨 패턴(abdominal straining pattern)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0 is a diagram showing an abdominal straining pattern among reference voiding curve patterns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을 참조하면, 복압배뇨 패턴(abdominal straining pattern)은 복압으로 배뇨를 할 때 발견되는 배뇨곡선패턴을 의미하며, 방광수축력이 없고 요도저항이 매우 낮은 경우에 관찰된다. 이 때, 본 발명의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100)를 이용한 요류검사와 더불어 근전도 패치를 이용한 요류근전도검사(flow-EMG study)를 병행하면 피검자의 증상이 복압배뇨에 기인한 것인지를 정확히 구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abdominal straining pattern refers to a voiding curve pattern found when urination is performed under abdominal pressure, and is observed when there is no bladder contraction and urethral resistance is very low. At this time, a flow-EMG study using an EMG patch in parallel with a urinary flow test using the portable uroflowmetr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elps to accurately distinguish whether the subject's symptoms are caused by pressure urination. This can be.

한편, 흔들림 오류(wag artifact)는 요류검사 과정, 즉, 배뇨곡선패턴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류로, 요류검사 장치의 외곽 일측으로 소변 줄기(urine stream)가 모여 유발된다. 이러한 흔들림 오류는 배뇨곡선패턴 중 피크 부분에서 관찰되므로, 피크 주위와 평균화(averaging)하여 최고요속(Qmax)를 정하도록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위적 간섭신호(artificial noise signals) 오류는 센서가 있는 검사장비를 피검자가 의도하지 않게 발로 차는 등의 사소한 충돌로 인한 신호 오류를 의미하므로, 이러한 오류들을 보정해주는 것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a wag artifact is an error that occurs during the urinary flow test process, that is, during the process of deriving the urination curve pattern, and is caused by the collection of urine streams on one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uroflow test device. Since this shaking error is observed in the peak part of the voiding curve pattern, it is preferable to correct it so as to determine the maximum flow rate (Qmax) by averaging with the peak area. In addition, artificial noise signal errors refer to signal errors due to minor collisions such as unintentional kicking of test equipment with sensors by the test subject, and thus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se errors.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다른 다양한 기준 배뇨곡선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21 to 23 are views showing other various reference urine curve patterns of the urine diary writing system using the portable urina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단말기(200)에 기 저장되는 기준 배뇨곡선패턴은 상술한 배뇨곡선패턴들 외에도, 도 21의 간헐적 복합배뇨흐름 패턴(intermittent straining flow pattern), 도 22의 기능이상성배뇨(dysfunctional voiding)에서의 절단형 패턴(staccato-shaped pattern), 도 23의 배뇨근-횡문요도괄약근 협조장애(detrusor-striated sphincter dyssynergia, DSD) 등과 같이, 다양한 비정상 배뇨곡선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1 to 23, the reference voiding curve patterns pre-stored in the terminal 200 include the intermittent straining flow pattern of FIG. 21 and the functional abnormality of FIG. It may include various abnormal voiding curve patterns, such as a staccato-shaped pattern in dysfunctional voiding and detrusor-striated sphincter dyssynergia (DSD) in FIG. 23 .

다른 실시예로, 단말기(200)는 기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피검자를 정상군, 저위험군 및 고위험군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terminal 200 may determine the subject as one of a normal group, a low-risk group, and a high-risk group using a pre-learned artificial neural network.

보다 상세하게, 단말기(200)의 인공신경망은 기준 결과값 및 기준 배뇨곡선패턴(바람직하게는, 실제 질환 사례들에서 도출된 결과값 및 배뇨곡선패턴)을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100)가 도출된 피검자의 결과값을 단말기(200)로 송신하면, 단말기(200)는 기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피검자를 정상군, 저위험군 및 고위험군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한 후 이러한 판단결과를 배뇨일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단말기(200)의 인공신경망은 DCNN(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ore specifically,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of the terminal 200 continuously learns the reference result value and the reference urination curve pattern (preferably, the result value and urination curve pattern derived from actual disease cases), and the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 100) transmits the resulting value of the subject to the terminal 200, the terminal 200 determines the subject as one of the normal group, the low-risk group, and the high-risk group using the previously learne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then urinates the result of this determination. You can include it in your journal. Meanwhile,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of the terminal 200 may be provided with a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CNN)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실제 작성된 배뇨일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작성되는 배뇨일지에 포함되는 실제 배뇨곡선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24 is a diagram showing a urination diary actually created in a terminal of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diagram showing the actual urination curve pattern included in the urination diary created in the terminal of the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도 24 및 도 25는 방광통증과 심한 빈뇨를 주된 증상으로 내원한 75세 여성 피검자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뇨곡선패턴이 포함된 배뇨일지를 작성한 것이다. 해당 피검자의 가장 불편한 증상은 소변이 마려우면 질과 상치골 부위가 아픈 증상이었으며 배뇨 후에는 호전되었다. 배뇨감이 있는 경우 통증으로 참을 수가 없어 화장실에 자주 가게 되고, 야간뇨가 10회 이상 있다고 하였다. 절박뇨, 절박성요실금, 복압성요실금 등의 증상도 호소하였다.24 and 25 show a urination diary including a urination curve pattern using the voiding diary wri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75-year-old female subject who visited the hospital with bladder pain and severe urinary frequency as the main symptoms. The subject's most uncomfortable symptom was pain in the vagina and upper pubic region when urination was required, which improved after urination. If there is a feeling of urination, it is unbearable due to pain, so he goes to the bathroom often, and he has nocturia more than 10 times. Symptoms such as urinary urgency, urge urinary incontinence, and stress urinary incontinence were also reported.

도 24를 참조하면, 단말기에서 작성된 배뇨일지에서는 야간뇨 8.6회를 포함하여 일일 평균 24회 이상 배뇨한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1회 평균 114ml를 배뇨하였고 24시간요생산량은 평균 2,746ml로 도출되었다. 주간의 배뇨량과 배뇨간격패턴은 야간과 동일하였다. 도 25를 참조하면, 단말기에서 도출된 배뇨곡선패턴에서는 요류는 단속적인 양상을 보였고 잔뇨량은 미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시간 요생산량은 2,746ml 정도로 기록되어 다뇨증 소견이 관찰되었으므로, 이에 따라 검사자는 피검자로 하여금 일일 요량을 1,500~1,700ml 정도로 줄이도록 야간 수분섭취제한 등의 행동치료를 적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4, in the urination diary prepared in the terminal, it was derived that an average of 24 or more times of urination was obtained, including 8.6 times of night urine, and an average of 114 ml was urinated per time, and an average of 2,746 ml of 24-hour urine output was derived. The amount of voiding during the day and the pattern of voiding intervals were the same as at night. Referring to FIG. 25, in the urine curve pattern derived from the terminal, the urinary flow showed an intermittent pattern and the residual urine amount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Since the 24-hour urine output was recorded at about 2,746 ml and polyuria was observed, the examiner can apply behavioral treatment such as water intake restriction at night to reduce the daily urine output to about 1,500 to 1,700 ml.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서로 동일한 기술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서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은 다른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과 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belong to the same technical field, and component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may be combined with components constituting another embodiment to form a new embodiment.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번 첨언한다.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added once again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limited due to obvious changes or substitution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각각의 "부", "모듈" 또는 "단계"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및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unit”, “module” or “step”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cessor and a memory. Processor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to include general purpose processor,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icroprocessor,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controller, microcontroller, state machine, and the like. In some circumstances, processor may refer to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the like. A processor may refer to a combination of processing devices, such as,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a DSP and a microprocess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icroprocessors,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microprocessors in conjunction with a DSP core, or any other such configuration. .

본 발명의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리며, 각각의 "부", "모듈" 또는 "단계"는 전자 통신 상태에 있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기반한 프로그램 내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broadly interpreted to include any electronic component capable of storing electronic information. Memory includes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only memory (RO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erasable-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electrically It may also refer to various types of processor-readable media, such as removable PROM (EEPROM), flash memory, magnetic or optical data storage, registers, and the like. A memory is said to be in electronic communication with the processor if the processor can read information from or write information to the memory, and each "part", "module" or "step" is said to be in electronic communication with the processor and the memory.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based program or application.

10: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 100: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 110:관부
111: 투입부 112: 상부관 113: 하부관
120: 검사모듈 121: 하우징부 i: 유입구
122: 회전부 123: 제어부 123a: 측정부
123b: 분석부 123c: 판단부 o: 배출구
124: 디스플레이부 125: 버튼부 125a: 제1버튼부
125b: 제2버튼부 125c: 제3버튼부 126: 전원부
127: 저장부 128: 통신부 200: 단말기
10: Urination log writing system 100: Portable urinalysis device 110: Pipe
111: input unit 112: upper tube 113: lower tube
120: inspection module 121: housing part i: inlet
122: rotating part 123: control part 123a: measuring part
123b: analysis unit 123c: determination unit o: outlet
124: display unit 125: button unit 125a: first button unit
125b: second button unit 125c: third button unit 126: power unit
127: storage unit 128: communication unit 200: terminal

Claims (9)

시간에 따라 유입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유체의 유량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결과값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하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 및
상기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에서 송출된 상기 결과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결과값을 기반으로 배뇨일지를 작성하여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
A portable flow test device that measures the flow rate of the introduced fluid over time, analyzes the measured flow rate of the fluid to derive a resultant value, and transmits the derived result value by wire or wirelessly; and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ry test device comprising a terminal for receiving the result value sent from the portable urinary test device, and creating and outputting a urination diary based on the received result valu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시간대별 배뇨횟수, 시간대별 배뇨량 및 시간대별 절박뇨(urgency) 정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상기 배뇨일지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erminal,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reating the urination diary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imes of urination by time period, the amount of urination by time period, and the degree of urgency by time peri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배뇨일지지표(voiding diary parameter)가 포함된 상기 배뇨일지를 작성하고,
상기 배뇨일지지표는,
주간배뇨일지지표(daytime voiding diary parameter), 야간배뇨일지지표(nighttime voiding diary parameter) 및 24시간배뇨일지지표(24-hour voiding diary paramet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erminal,
Write the voiding diary including the voiding diary parameter,
The urination daily index,
Urination diary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aytime voiding diary parameter, a nighttime voiding diary parameter, and a 24-hour voiding diary parameter writing syste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간배뇨일지지표는,
주간배뇨횟수, 주간최대배뇨량, 주간평균배뇨량, 주간전체배뇨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weekly urination daily index,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lysis device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weekly urination frequency, weekly maximum urination volume, weekly average urination volume, and weekly total urination volum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야간배뇨일지지표는,
야간배뇨횟수, 야간배뇨량, 야간방광용적, 야간다뇨지표, 야뇨증지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nighttime voiding daily index,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e test device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nighttime urination frequency, nighttime urination amount, nighttime bladder volume, nightly polyuria index, and nocturnal enuresis index.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24시간배뇨일지지표는,
일일배뇨횟수, 일일최대배뇨량, 일일평균배뇨량, 일일전체배뇨량, 기능적방광용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24-hour urination index,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lysis device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daily urination count, daily maximum urination volume, daily average urination volume, total daily urination volume, and functional bladder volum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측정된 상기 결과값의 평균값인 평균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평균결과값을 기반으로 상기 배뇨일지지표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terminal,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riving an average result value,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the result values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deriving the voiding diary index based on the average result valu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는,
상기 유체가 유동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에 연결되어 시간에 따라 유입된 상기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유체의 유량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결과값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하는 검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모듈은,
주간뇨와 야간뇨를 구분할 수 있도록 검사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는 제1버튼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able urine test device,
A pipe part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connected to the pipe part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 over time, analyzing the measured flow rate of the fluid to derive a result value, and displaying the derived result value by wire or wirelessly Including an inspection module that is sent to
The inspection module,
A urination diary writing system using a portable urinalysis device including a first button unit capable of setting a test time zone to distinguish between daytime and nighttime urin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검사모듈은,
검사시작 시점을 입력할 수 있는 제2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버튼부를 통해 입력된 검사시작 시점과 상기 유체가 상기 검사모듈로 유입되어 측정되기 시작한 시점을 비교하여 정상, 절박뇨 및 지연뇨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요류검사 장치를 이용한 배뇨일지 작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inspection modul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utton for inputting the test start time,
The terminal,
Urination using a portable urinary flow tes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st start time input through the second button unit is compared with the time point when the fluid flows into the test module and starts to be measured to determine one of normal, urgency and delayed urine. journaling system.
KR1020210066009A 2021-05-24 2021-05-24 System for creating micturition chart using portable uroflowmetry apparatus Ceased KR202201583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009A KR20220158356A (en) 2021-05-24 2021-05-24 System for creating micturition chart using portable uroflowmetr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009A KR20220158356A (en) 2021-05-24 2021-05-24 System for creating micturition chart using portable uroflowmetr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356A true KR20220158356A (en) 2022-12-01

Family

ID=8444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009A Ceased KR20220158356A (en) 2021-05-24 2021-05-24 System for creating micturition chart using portable uroflowmetr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835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262891A (en) * 2024-05-31 2024-06-28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Intelligent remote control system for indwelling catheter after spine oper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388B1 (en) 2016-08-11 2018-01-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flow veloc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388B1 (en) 2016-08-11 2018-01-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flow veloc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262891A (en) * 2024-05-31 2024-06-28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Intelligent remote control system for indwelling catheter after spine ope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28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ng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US9084571B2 (en) Urine flow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9743857B2 (en) Digital manometry finger-mountable sensor device
US20200064172A1 (en) Wireless Device for Measuring Gas and Fluid to and from a Patient
EP2741671B1 (en) Urine flow measuring apparatus
US8276465B2 (en) Urine flow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JP3565051B2 (en) Health management device
CN107003298B (en) Chemical analysis of urine and fecal vapors
Jarvis et al. Practical uroflowmetry
US20070225616A1 (en) Wireless urinary incontinence monitoring system
US20220378348A1 (en) Portable uroflowmetry apparatus, uroflowmetry and creating micturition chart system using the same, and uroflowmetry method
US20180078191A1 (en) Medical Toilet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Multiple Metrics
EP4212096A1 (en) Device for measurement of urine flow and a system for diagnostics of micturition disorders comprising said device
KR20220158356A (en) System for creating micturition chart using portable uroflowmetry apparatus
CN106930380A (en) Intelligent closestool
KR20110030826A (en) Wireless urine flow inspection device for self-measurement
KR20220156215A (en) Uroflowmetry system and uroflowmetry method using the same
US20140371550A1 (en) Electrolytic biosensor
CN106308824A (en) Wireless urodynamics instrument with bladder sustained monitoring function
CN108158596A (en) A kind of portable dynamic urine flow rate intelligence measurement system
KR20220155028A (en) Portable uroflowmetry apparatus and uroflowmetry method using the same
Vignoli Urodynamics
JP7735326B2 (en) Controller operation method and controller
KR20230116376A (en) Portable uroflowmetry apparatus using pressure sensor
KR20230116370A (en) Portable uroflowmetry apparatus using gyro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3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2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