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853A -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during messaging services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during messaging servic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22853A KR20220022853A KR1020210084521A KR20210084521A KR20220022853A KR 20220022853 A KR20220022853 A KR 20220022853A KR 1020210084521 A KR1020210084521 A KR 1020210084521A KR 20210084521 A KR20210084521 A KR 20210084521A KR 20220022853 A KR20220022853 A KR 202200228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user terminal
- sharing
- message
- sharing prohib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 G06Q50/30—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 H04L51/20—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e.g. messages transmitted or received in proximity of a certain spot or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텐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에서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전송되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의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저장, 복사, 전달 등과 같은 공유 기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efficiently share functions such as storage, copying, and delivery of various types of multimedia content such as images, videos, and texts transmitted through a messaging service in a messaging service system. It's about how you can manage it.
종래의 일반적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1:1 또는 단체 채팅방을 통해 텍스트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단순한 텍스트 메시지 뿐 아니라 이미지, 동영상, 파일, 링크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A conventional general messaging application is installed in a smart phone and provides a messaging servic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xt messages through 1:1 or group chat rooms. In addition, it provides a function to transmit/receive various multimedia contents such as images, videos, files, and links as well as simple text message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이용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수신자가 일단 메시지를 수신하기만 하면 해당 메시지를 자유롭게 복사, 저장,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유 등도 아무런 제약 없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콘텐츠의 배포가 단시간내에 급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essaging application and a messaging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copying, storing, and delivering the message freely once the receiver receives the message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the sender who sent the message. there is. In addition, since sharing through other applications can be performed without any restrictions, there is a problem that content can be distributed rapidly within a short time.
특히, 개인 프라이버시나 민감한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인 경우에도 어떠한 형태로든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유포되기만 하면 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콘텐츠의 유포로 인하여 여러가지 사회적 또는 법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를 사전에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In particular, even in the case of content containing personal privacy or sensitive information, as long as it is distributed through a messaging service in any form, there is a limit that there is no way to prevent it. Since various social or legal problems occur due to the distribution of such content, a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restricting them in advance is desir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를 통해 발신자가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의 복사, 다운로드, 전달 및 공유 등과 같은 동작을 사전에 허용 또는 비허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자가 수신한 콘텐츠를 임의대로 저장하거나 유포될 수 없도록 하여 개인 콘텐츠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 sender transmits content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by allowing or disallowing operations such as copying, downloading, forwarding, and sharing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advan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tecting personal content by preventing the recipient from arbitrarily storing or distributing the received content.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과 결합하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에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징 서비스 제공시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의 채팅방 화면에 상기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해당 콘텐츠의 공유 기능을 금지 상태 또는 허가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ssaging service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between a first user terminal and a second user terminal in a messaging service system coupled to a first user terminal and a second us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 method for managing city content,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receiving a content transmission notification message including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for content from a first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delivery notification message to a second user terminal, wherein the second user terminal prohibits sharing included in the content delivery notification message on a chat room screen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a sharing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set to a prohibited state or a permission state according to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여기에서,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제1 사용자 단말은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콘텐츠가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는, 콘텐츠가 저장된 콘텐츠 서버의 URL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before the first step, the first user terminal transmits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to the content server, receives URL information indicating a location where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content server from the content server, and the content The transmission notification message may further include URL information of a content server in which the content is stored.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의 채팅방 화면에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와 함께 상기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user terminal displays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content has been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on the chat room screen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through the messaging application, along with th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icon can be displayed.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의해 해당 콘텐츠에 대해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장, 전달, 복사 및 외부 공유 기능에 대한 버튼을 비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N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the second user terminal is configured to store, forward, copy, and externally share functions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messaging application. It can be displayed by disabling the button for it.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의해 해당 콘텐츠에 대해 공유 금지가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장, 전달, 복사 및 외부 공유 기능에 대한 버튼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FF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the second user terminal is configured to store, forward, copy, and externally share functions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messaging application. It can be displayed by activating the button for
또한, 상기 콘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음성 또는 영상 무전 메시지,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 및 텍스트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may be at least one of an image, a video, an audio or video radio message, an audio or video message, and a text message.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콘텐츠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로드받아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Also, after receiving the content delivery notification message, the second user terminal may download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by a user's selection operation and display it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또한,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유 금지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유 금지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공유 금지를 오프(OFF)로 설정한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금지 변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금지 변경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공유 금지 변경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해당 콘텐츠의 공유 기능을 허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sharing prohibition change request message from a second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content for which content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N; transmitting the sharing prohibition change request message to a first user terminal; Receiving a sharing prohibition change message including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in which the content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FF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sharing prohibition change message to a second user terminal, wherein the second user terminal permits the sharing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haring prohibition change message state can be set.
또한, 상기 공유 금지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과의 채팅방 화면에 공유 금지 설정을 변경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ing the sharing prohibition change request message may display a menu button for selecting whether to change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on the chat room screen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through the messaging application.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공유 금지 변경 요청을 수락하는 메뉴 버튼이 선택된 경우, 공유 금지 변경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first user terminal may transmit a sharing prohibition change message when a menu button for accepting a sharing prohibition change request is selected from the user.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Also, the second user terminal may display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또한,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스크린 샷 시도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샷 시도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screen shot attempt notification message from a second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content for which content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N; and transmitting the screen shot attempt notification message to the first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스크린 샷 시도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과의 채팅방 화면에 스크린 샷이 시도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ing the screen shot attempt notification message may display information notifying that the screen shot is attempted on the screen of a chat room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또한, 상기 스크린 샷 시도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 제2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과의 채팅방 화면에 스크린 샷이 시도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user terminal that has transmitted the screen shot attempt notification message may display information notifying that the screen shot is attempted on the screen of a chat room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through the messaging application.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채팅방이 생성될 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해당 채팅방별로 콘텐츠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lso, when a chat room is created through the messaging application, the first user terminal may generate content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chat room by the user's selection.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콘텐츠를 전송할 때마다 콘텐츠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버튼을 제공하고, 상기 선택 버튼에 의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의해 콘텐츠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user terminal provides a selection button for changing content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whenever content is transmitted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and content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selection button can be changed
본 발명에 의하면, 메시징 어플리케이션를 통해 발신자가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의 복사, 다운로드, 전달 및 공유 등과 같은 동작을 사전에 허용 또는 비허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자가 수신한 콘텐츠를 임의대로 저장하거나 유포될 수 없도록 하여 개인 콘텐츠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ender transmits content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the receiver can arbitrarily store the received content by allowing or disallowing operations such as copying, downloading, forwarding, and sharing of the content in advance. or provide a way to protect personal content by preventing it from being dissemina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시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과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과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200, 300) 사이에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징 서비스 제공시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콘텐츠 공유 금지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콘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단계(S150) 내지 단계(S190)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일예이다.
도 7 및 도 8은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는 텍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음성 무전/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영상 무전/영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공유 금지 변경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20은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공유 금지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공유 금지 설정을 변경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는 스크린 샷이 시도된 경우의 사용자 단말(200,300)의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 및 도 24는 채팅방 생성시 콘텐츠 공유 금지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은 콘텐츠를 전송할 때 콘텐츠 공유 금지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aging content when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between the first and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content sharing prohibi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content from the
5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delivery notification message.
6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explaining steps S150 to S190.
7 and 8 show an example of a screen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content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FF.
9 to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ase of transmitting a text message.
12 to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ase of transmitting a voice radio/voice message.
15 to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ase of transmitting a video radio/video message.
1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screen show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sharing prohibition change request message.
20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for receiving a sharing prohibition change request message from the
2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llustrates an example of screens of the
23 and 2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content sharing prohibition when creating a chat room.
25 and 2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content sharing prohibition when transmitting content.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시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과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과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도 1을 참조하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00, 이하, 간단히 "시스템(100)"이라 한다)은, 인터넷 및 이동 통신망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과 결합한다.Referring to FIG. 1 , a messaging service system 100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
여기에서,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200,300)은 스마트폰, 컴퓨터 등과 같은 종래 알려져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200,30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Messaging Application)이 설치되며, 이러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Here, the first and
여기에서, 메시징 서비스란, 종래 알려져 있는 카카오톡 등과 같은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IM) 서비스 뿐 아니라,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과 같은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메시징 서비스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최근 제안되고 있는 메타버스(Metaverse)에 기반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주고 받는 것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에 포함되는 개념이다.Here, the messaging service includes not only the conventionally known instant messaging (IM) services such as KakaoTalk, but also various messaging services provided by social media services such as Facebook, Instagram, and Twitter. concept that includes In addition, exchanging various contents based on the recently proposed metaverse is also a concept included in the messag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세션 제어 서버(Session Control Server, 10) 및 콘텐츠 서버(Contents Server, 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세션 제어 서버(10)는 제1 사용자 단말(200)과 제2 사용자 단말(300) 사이에서의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세션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하는 수단이다.The
콘텐츠 서버(20)는 제1 사용자 단말(200)과 제2 사용자 단말(300) 사이에서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또한, 시스템(100)은 PTT 서버(Push To Talk Server, 30) 및 미디어 서버(Media Server, 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TT 서버(30)는, 미디어 서버(40)와 연동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0)과 제2 사용자 단말(300) 사이에서 음성 무전 메시지 또는 영상 무전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PT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세션을 생성하도록 하는 호 처리를 수행하는 수단이다.The
미디어 서버(40)는 제1 사용자 단말(200)과 제2 사용자 단말(300) 사이에서 음성 무전 메시지 또는 영상 무전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미디어 세션을 형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또한, 미디어 서버(40)는, 미디어 세션을 통해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200,300) 사이에서 음성 또는 영상 무전 메시지를 전송하는 음성/영상 송출 서비스를 제공한다.Also, the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시스템(100)은,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SCS(Subscriber Contacts Server), OMS(Operation & Management Server), DBS(DB Server), BGS(Business Gateway Server) 및 PNS(Push Notification Server)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SCS(Subscriber Contacts Server)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메시징 서비스의 가입자인 회원 정보를 관리하고 주소록을 동기화하는 등의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고, OMS(Operation & Management Server)는 시스템(100) 전체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메시징 서비스의 전체적인 관리, 운용, 통계, 장애 처리 등을 위한 수단이다.SCS (Subscriber Contacts Server) is a means for managing member information, which is a subscriber of the messaging ser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performing management such as synchronizing address book, OMS (Operation & Management Server) is
또한, DBS(DB Server)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메시징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이고, BGS(Business Gateway Server)는 외부의 이모티콘/기프트 샵 서버 또는 PG(Payment Gateway)와 연동하여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In addition, DBS (DB Server) is a means for storing data necessary to perform the messaging ser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BGS (Business Gateway Server) interworks with an external emoticon/gift shop server or PG (Payment Gateway) This is a means to provide additional services.
또한, PNS(Push Notification Server)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메시징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알림 신호를 푸쉬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In addition, PNS (Push Notification Server) is a means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signal required for the messaging ser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push service.
이외에도, 시스템(100)은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타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들은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이고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이 아니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과 직접 관련된 구성만을 설명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200)과 제2 사용자 단말(300) 사이에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징 서비스 제공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00)과 제2 사용자 단말(300) 사이에서 전송되는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이하,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operation of th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200, 300) 사이에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징 서비스 제공시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aging content when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between the first and
도 2의 실시예는, 세션 제어 서버(10) 및 콘텐츠 서버(2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00)이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즉,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콘텐츠를 발신하는 발신 단말이 되고,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이 된다.2 , the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콘텐츠의 공유 금지를 설정한다(S100).Referring to FIG. 2 , first, the user of the
여기에서, "콘텐츠"란 이미지, 동영상, 음성 또는 영상 무전 메시지,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 텍스트 메시지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개념이다.Here, "content" is a concept including various types of multimedia content such as images, moving pictures, audio or video radio messages, audio or video messages, text messages, and the like.
도 3은 콘텐츠 공유 금지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content sharing prohibition.
콘텐츠의 공유 금지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설정 메뉴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메뉴에는 사진, 동영상, 음성 무전/음성 메시지, 영상 무전/영상 메시지, 문자 메시지, 스크린샷 등의 공유 금지를 온(ON)/오프(OFF)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Content sharing prohibition may be set through a setting menu provided in a messaging application. As shown in FIG. 3 , in the setting menu of the messaging application, you can turn on/off prohibition of sharing of photos, videos, audio/voice messages, video radio/video messages, text messages, screenshots, etc. interface is provided.
사용자는 이러한 설정 메뉴를 통해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 공유 금지를 모두 온으로 하거나,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 공유 금지를 모두 오프로 할 수 있다. Through such a setting menu, the user can turn on all content sharing prohibitions as shown in FIG. 3(a) or turn off all content sharing prohibitions as shown in FIG. 3(b) .
또한,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진 공유 금지만 온으로 하고 나머지 콘텐츠의 공유 금지는 오프로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C , only the prohibition of photo sharing may be turned on and the prohibition of sharing other contents may be set to off.
여기에서, 공유란, 콘텐츠를 배포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컨대 콘텐츠의 저장 및 복사와 같은 동작과 제3자에게 전달하는 등과 같은 외부 공유 동작을 의미한다.Here, the sharing means distributing content, for example, an operation such as storing and copying the content and an external sharing operation such as transferring the content to a third party.
이와 같이 콘텐츠 공유 금지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전송할 콘텐츠를 선택하고, 해당 콘텐츠를 전송하면, 제1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콘텐츠를 시스템(100)의 콘텐츠 서버(20)로 전송하고(S110), 콘텐츠 서버(20)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120).In a state in which content sharing prohibition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of the
도 4는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콘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content from the
도 4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 화면에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메뉴를 통해 사진 전송을 선택한다. 그리고,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썸네일 형태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하는 사진을 선택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면 해당 사진이 콘텐츠 서버(20)로 전송된다.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4, the user of the
이 때, 제1 사용자 단말(2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가 미리 콘텐츠 공유 금지를 온(ON)으로 설정해 둔 경우,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상태의 자물쇠 형태의 아이콘을 표시함으로써 콘텐츠 공유 금지가 설정되어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in the messaging application of th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서버(20)로부터 URL 정보를 수신한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세션 제어 서버(10)로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130).Referring back to FIG. 2 , the
여기에서,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는, 제1 사용자 단말(200)이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콘텐츠를 전송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로서, 전송할 콘텐츠에 대한 공유 금지 설정 정보와 콘텐츠가 저장된 URL 정보를 포함한다.Here, the content transmission notification message is a message for notifying that the
공유 금지 설정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되었는지 또는 오프(OFF)로 설정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컨대 "COPY = OFF" 또는 "COPY = ON" 등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N or OFF in the
또한, 콘텐츠가 저장된 URL 정보는 상기 단계(S110, S120)를 통해 콘텐츠 서버(20)에 저장된 콘텐츠의 주소 정보이다. 다만, 콘텐츠가 텍스트인 경우, URL 정보는 생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RL information in which the content is stored is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도 5는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5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delivery notification message.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는 헤더부와 보디부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content transmission notification message may be composed of a header part and a body part.
헤더부에는 메시지의 길이 및 종류 등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header part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e length and type of the message.
보디부는, 라우팅 정보와 메시지 본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unit may include routing information and message body information.
라우팅 정보는 해당 메시지의 발신자 및 수신자가 누구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Rout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who the sender and receiver of the corresponding message are.
메시지 본문 정보는, 공유 금지 설정 정보와 함께 콘텐츠가 어떠한 종류(이미지, 동영상, URL, 음성/영상 메시지, 텍스트)에 대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콘텐츠의 타입 구분 정보와 콘텐츠가 저장된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ssage body information may include content ty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at type of content (image, video, URL, audio/video message, text) it is about, along with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and URL information in which the content is stored. .
또한, 메시지 본문 정보에는 콘텐츠 전송과 함께 텍스트 메시지가 함께 전송되는 경우 해당 텍스트 메시지도 포함될 수 있다.Also, when a text message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ent transmission, the message body information may also include a corresponding text message.
이외에도, 메시지 본문 정보에는 해당 메시지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ssage body information may includ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essage.
도 5에 나타낸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며,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에 공유 금지 설정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기만 하면 종래 알려진 다른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delivery notification message shown in FIG. 5 is exemplary, and as long as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ntent delivery notification message, other conventionally known configurations may be used as a matter of cours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세션 제어 서버(10)는 이를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S140).Referring back to FIG. 2 , the
제2 사용자 단말(3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제1 사용자 단말(200)과의 채팅방 화면에 콘텐츠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150).The messaging application of the
예컨대, 콘텐츠가 이미지인 경우,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채팅방 화면에 해당 이미지의 썸네일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단계(S140) 이후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콘텐츠 서버(20)에 접속하여 썸네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에 썸네일 정보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content is an image, the messaging application may display a thumbnail of the image on the chat room screen. To this end, although not shown, after step S140 , the
제2 사용자 단말(3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제1 사용자 단말(200)과의 채팅방 화면에 콘텐츠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면서, 이와 함께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S160). 표시된 아이콘에 의해,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해당 콘텐츠가 공유 금지가 설정된 것인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The messaging application of the
한편, 제2 사용자 단말(300)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콘텐츠에 대해 공유 금지 상태 또는 공유 허가 상태로 설정해 둔다(S170).Meanwhile, the
이후,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URL 정보에 의해 콘텐츠 서버(20)에 접속하여 콘텐츠 서버(20)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다운로드받고 이를 표시한다(S180). Thereafter, the
콘텐츠의 다운로드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썸네일을 터치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의 다운로드는 해당 콘텐츠를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단순한 수신을 의미하며, 저장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Downloading of the content may be performed when the user of the
이 상태에서, 예컨대 해당 콘텐츠에 대해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등의 동작을 하려고 할 때, 상기 단계(S170)에서 해당 콘텐츠에 대해서 공유 금지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해당 기능에 대한 버튼은 비활성화되어 표시되어 저장이나 전달 등과 같은 공유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In this state, for example, if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N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when the user tries to store or deliver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step S170, the corresponding content Since it is set to the sharing prohibited state, the button for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displayed as inactive, and sharing functions such as save or forward cannot be performed.
도 6은 단계(S150) 내지 단계(S190)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일예이다.6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explaining steps S150 to S190.
도 6의 (a)는, 제1 사용자 단말(200)이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콘텐츠로서 이미지를 전송하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3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제1 사용자 단말(200)과의 채팅방 화면에 콘텐츠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된 상태(S150)를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채팅방 화면에 해당 이미지의 썸네일이 표시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콘텐츠가 전송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FIG. 6 ( a )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이 때, 표시된 썸네일의 우측에는 잠금 상태의 자물쇠 아이콘을 표시함으로써,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콘텐츠 공유 금지 설정 정보가 썸네일과 함께 표시됨을 알 수 있다(S160).At this time, by displaying the lock icon in the locked state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ed thumbnail,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tent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N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thumbnail ( S160 ).
도 6의 (b)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썸네일을 터치하여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전체 화면에 표시한 상태이며, 이 때에도 화면 상단에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잠금 상태의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됨을 알 수 있다. 6 (b)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of the
또한, 화면 하단에는 저장 및 전달 메뉴가 비활성화되어 표시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ave and forward menu is displayed in inactive at the bottom of the screen.
또한,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선택한 경우에도, 전달/외부 공유 등의 메뉴는 비활성화되어 표시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C , even when the user selects the menu button, it can be seen that the menus such as delivery/external sharing are displayed in an inactive manner.
이와 같이,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해당 콘텐츠에 대한 공유 동작, 즉, 콘텐츠의 저장, 전달, 외부 공유 등과 같은 기능은 단계(S170)에서 공유 금지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해당 콘텐츠를 단순히 볼 수만 있을 뿐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As such, when content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N, a sharing operation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that is, functions such as content storage, delivery, external sharing, etc., are set to share prohibition in step S170, so that the second The user of the
도 7 및 도 8은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7 and 8 show an example of a screen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content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FF.
도 7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 화면에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메뉴를 통해 사진 전송을 선택한다. 그리고,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썸네일 형태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하는 사진을 선택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면 해당 사진이 콘텐츠 서버(20)로 전송된다.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7, the user of the
이 때, 사용자가 미리 콘텐츠 공유 금지를 오프(OFF)으로 설정해 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2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상태의 자물쇠 아이콘을 표시함으로써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오프로 설정되어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sets the content sharing prohibition to OFF in advance, the messaging application of the
도 8의 (a)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제1 사용자 단말(200)과의 채팅방 화면에 콘텐츠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된 상태(S150)를 나타낸 것이다. FIG. 8( a ) shows a state in which a message indicating that content has been received is displayed on the chat room screen with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채팅방 화면에 해당 이미지의 썸네일이 표시되면서, 표시된 썸네일의 우측에는 잠금 해제 상태의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됨으로써,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오프로 설정되어 있음을 썸네일과 함께 표시된다(S160).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thumbnail of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chat room screen, the lock icon in the unlocked state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ed thumbnail, thereby indicating that the content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FF together with the thumbnail (S160).
도 8의 (b)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썸네일을 터치하여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전체 화면에 표시한 상태이며, 이 때에도 화면 상단에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오프임을 나타내는 잠금 해제 상태의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화면 하단에는 저장 및 전달 메뉴가 활성화되어 표시됨을 알 수 있다.8 (b)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of the
또한,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뉴 버튼을 선택한 경우, 전달/외부 공유 등의 메뉴가 활성화되어 표시됨을 알 수 있다.Also, as shown in (c) of FIG. 8 , when the menu button is selected, it can be seen that a menu such as delivery/external sharing is activated and displayed.
이와 같이,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오프로 설정된 경우, 해당 콘텐츠에 대한 공유 동작, 즉, 콘텐츠의 저장, 전달, 외부 공유 등과 같은 기능은 단계(S170)에서 공유 허가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해당 콘텐츠를 공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content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ff, the sharing operation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that is, functions such as content storage, delivery, external sharing, etc., are set to sharing permission in step S170, so that the second user terminal ( 300), the user can perform an operation for shar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콘텐츠로서 이미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른 콘텐츠의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describes the case of transmitting an image as cont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content as well.
도 9 내지 도 11는 텍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to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ase of transmitting a text message.
도 9는 텍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2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9 shows a screen of the messaging application of the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텍스트 메시지)의 공유 금지를 온으로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9 , the user of the
이러한 상태에서,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텍스트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면 제1 사용자 단말(2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 화면에는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9 (b), when the user of the
또한, 텍스트 메시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세션 제어 서버(10)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된다(도 2의 단계(S130) 내지 단계(S140) 참조). 다만, 텍스트 메시지의 경우에는 도 2에서와는 달리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URL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S110, S120)이 생략되며,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에도 URL 정보는 생략된다.In addi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notification message including the tex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채팅방 화면에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텍스트 메시지를 표시하며, 이와 함께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잠금 상태인 자물쇠 아이콘을 표시한다.The messaging application of the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누른 경우 전달/공유/복사 등과 같은 기능 버튼이 비활성화되어 표시되므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해당 텍스트 메시지에 대한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When the user of the
도 11은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오프(OFF)로 설정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11 illustrates a screen of the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채팅방 화면에 텍스트 메시지를 표시하며, 이와 함께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오프(OFF)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잠금 해제 상태인 자물쇠 아이콘을 표시한다.11 (a), the messaging application of the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누른 경우 전달/공유/복사 등과 같은 기능 버튼이 활성화되어 표시되므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해당 콘텐츠 즉 텍스트 메시지에 대한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user of the
도 12 내지 도 14는 음성 무전/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to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ase of transmitting a voice radio/voice message.
도 12는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2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FIG. 12 shows a screen of a messaging application of the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음성 무전/음성 메시지의 공유 금지를 온으로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12 , the user of the
이러한 상태에서,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음성 무전/음성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면 제1 사용자 단말(2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 화면에는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잠금 상태의 자물쇠 형태인 아이콘이 표시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b) of FIG. 12 , when the user of th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가 세션 제어 서버(10)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된다(도 2의 단계(S130) 내지 단계(S140) 참조).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transmission notificat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여기에서, 음성 무전 메시지란, 음성 PTT(Push To Talk) 메시지를 의미하며, 실시간으로 음성 신호를 반이중(Hafl Duplex)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음성 메시지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녹음하여 전송하는 저장 및 전송(store and forward) 방식으로 전송하거나 저장되어 있는 음성 파일을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voice radio message means a voice PTT (Push To Talk) message, and means transmitting a voice signal in real time in a half-duplex method. In addition, the voice message means transmitting a stored voice file or using a store and forward method in which a user's voice signal is recorded and transmitted.
음성 무전 메시지는 도 2의 세션 제어 서버(10)와 콘텐츠 서버(20) 대신 도 1에 나타낸 PTT 서버(30) 및 미디어 서버(4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The voice radio message may be delivered through the
즉,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음성 무전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PTT 서버(30) 및 미디어 서버(4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00)과 제2 사용자 단말(300) 사이에서 음성 무전 메시지 전송을 위한 미디어 세션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음성 무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PTT 서버(30) 및 미디어 서버(40)를 통한 음성 무전 메시지 전송 과정은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이고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은 아니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hat is, when the user of the
다만, 미디어 세션을 통해 음성 무전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 단계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야 함은 물론이다.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n the step before transmitting the voice radio message through the media session, the content transmission notification message should be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음성 무전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면,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 화면에는 음성 무전 메시지 송신 알림 아이콘이 표시되고 이와 함께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잠금 상태의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된다.When the transmission of the voice radio message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2 ( c ), a voice radio message transmission notification icon is displayed on the chat room screen of the messaging application of the
한편,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채팅방 화면에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또한, 이와 함께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잠금 상태인 자물쇠 아이콘을 표시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essaging application of the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누른 경우 도 13의 (c)에 나탄낸 바와 같이, 전달/공유/저장 등과 같은 기능 버튼이 비활성화되어 표시되므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When the user of the
도 14는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오프(OFF)로 설정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3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14 illustrates a screen of a messaging application of the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오프(OFF)로 설정된 경우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채팅방 화면에 음성 무전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이와 함께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오프(OFF)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잠금 해제 상태의 자물쇠 아이콘을 표시한다. When the content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FF, as shown in (a) of FIG. 14 , the messaging application of the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누른 경우,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달/공유/저장 등과 같은 기능 버튼이 활성화되어 표시되므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user of the
도 15 내지 도 17은 영상 무전/영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5 to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ase of transmitting a video radio/video message.
도 15는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2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16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7은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오프(OFF)로 설정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3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FIG. 15 shows a screen of a messaging application of the
여기에서, 영상 무전 메시지란, 영상 PTT(Push To Talk) 메시지를 의미하며, 실시간으로 영상 신호를 반이중(Hafl Duplex)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영상 메시지란 사용자의 영상신호를 녹음하여 전송하는 저장 및 전송(store and forward) 방식으로 전송하거나 저장되어 있는 영상 파일을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video radio message means a video PTT (Push To Talk) message, and means to transmit a video signal in real time in a half-duplex method. In addition, the image message means transmitting a stored image file or using a store and forward method in which a user's image signal is recorded and transmitted.
영상 무전 메시지 또한 도 2의 세션 제어 서버(10)와 콘텐츠 서버(20) 대신 도 1에 나타낸 PTT 서버(30) 및 미디어 서버(4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The video radio message may also be delivered through the
도 15 내지 도 17은 전송되는 콘텐츠가 도 12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음성 무전/음성 메시지 대신 영상 무전/영상 메시지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15 to 17 are the same except that the transmitted content is a video radio/video message instead of the audio radio/voice messag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300)에서 제1 사용자 단말(200)로 해당 콘텐츠의 공유 금지를 오프(OFF)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고 이에 대해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콘텐츠 공유 금지를 오프(OFF)로 설정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FIG. 18 ,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7 , the
도 18에서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수신한 상태이다. In FIG. 18 , the
이러한 상태에서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세션 제어 서버(10)로 공유 금지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200). In this state, the
도 19는 공유 금지 변경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19 is a screen show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sharing prohibition change request message.
도 1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채팅방 화면의 잠금 상태의 자물쇠 아이콘을 터치하면 도 1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유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로 보여지고 이와 함께 공유 금지 변경 요청을 할 수 있는 아이콘이 표시된다.As shown in Fig. 19 (a), when the user of the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공유 금지 변경 요청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18의 단계(S200)에서와 같이 공유 금지 변경 요청 메시지가 세션 제어 서버(10)로 전달된다. 이와 함께 도 1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유 금지 변경을 요청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When the user of the
여기에서, 공유 금지 변경 요청 메시지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헤더부, 라우팅 정보 및 메시지 본문 정보를 포함하며, 메시지 본문 정보에 공유 금지 변경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haring prohibition change request message includes a header part, routing information, and message body informa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may include information for requesting a sharing prohibition change in the message body information.
세션 제어 서버(10)는 공유 금지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S210), 제1 사용자 단말(2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채팅방 화면에 공유 금지 변경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한다.The
도 20은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공유 금지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공유 금지 설정을 변경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20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for receiving a sharing prohibition change request message from the
도 2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제2 사용자 단말(300)과의 채팅방 화면에 공유 금지 변경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공유 금지 설정을 변경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버튼(거절/수락)을 표시한다. As shown in (a) of Figure 20, the messaging application of the
이 때, 제1 사용자 단말(200)이 사전에 전송했던 콘텐츠의 썸네일 옆에는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잠금 상태의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lock icon in a locked state indicating that the content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N is displayed next to the thumbnail of the content previously transmitted by the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공유 금지 변경 요청을 수락하는 메뉴 버튼을 선택한 경우, 도 2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의 썸네일 옆의 자물쇠 아이콘이 해제 상태로 변경되어 표시되고, 제1 사용자 단말(2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세션 제어 서버(10)로 공유 금지 설정이 수락되었음을 알리는 공유 금지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다(S230).When the user of the
여기에서, 공유 금지 변경 메시지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헤더부, 라우팅 정보 및 메시지 본문 정보를 포함하며, 메시지 본문 정보에는 공유 금지 설정 정보가 포함된다.Her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sharing prohibition change message includes a header part, routing information, and message body information, and the message body information includes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여기에서, 공유 금지 설정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 의해 공유 금지가 오프(OFF)로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Here,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haring prohibition is changed to OFF by the user of the
세션 제어 서버(10)는 공유 금지 변경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고(S240), 제2 사용자 단말(3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공유 금지 변경 메시지에 포함된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콘텐츠에 대한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해 저장, 전달, 복사 등의 공유가 가능한 상태로 전환한다(S250, S260).The
이후, 제2 사용자 단말(3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 화면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물쇠 아이콘이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되어 표시되고, 전달, 공유, 저장 등의 공유 기능에 대한 메뉴 버튼이 활성화되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공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fter that, the chat room screen of the messaging application of the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300)에서 해당 콘텐츠에 대해 화면 캡처(스크린 샷)를 수행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FIG. 21 ,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8 , a screen capture ( Screenshot) is for the case of notifying the user of this.
도 21에서,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수신한 상태이다. In FIG. 21 , the
이러한 상태에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에 대해 단말의 운영 시스템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화면 캡처(스크린 샷)를 수행하면(S300), 제2 사용자 단말(3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이를 감지하고 스크린 샷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스크린 샷 시도 알림 메시지를 세션 제어 서버(10)로 전송한다(S310). 스크린 샷 시도의 감지는 단말의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스크린 샷이 시도되는 경우 자동으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해 두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of the
여기에서, 스크린 샷 시도 알림 메시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헤더부, 라우팅 정보 및 메시지 본문 정보를 포함하며, 메시지 본문 정보에 스크린 샷이 시도되었음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된다.Here, 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shot attempt notification message includes a header part, routing information, and message body information, and information notifying that a screen shot is attempted is included in the message body information.
세션 제어 서버(10)는 수신된 스크린 샷 시도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S320), 제1 사용자 단말(2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제2 사용자 단말(300)과의 채팅방 화면에 스크린 샷이 시도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한다(S330).The
또한, 제2 사용자 단말(20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제1 사용자 단말(200)과의 채팅방 화면에 스크린 샷이 시도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한다(S340).In addition, the messaging application of the
도 22는 스크린 샷이 시도된 경우의 사용자 단말(200,300)의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22 illustrates an example of screens of the
도 2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제1 사용자 단말(200)과의 채팅방에서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도 2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확대시킨 상태에서 스크린 샷을 시도하면,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채팅방 화면에 스크린 샷이 시도되었음을 알리는 정보가 표시됨을 알 수 있다(도 22의 (c) 참조). 이와 함께,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채팅방 화면에서 스크린 샷이 시도되었음을 알리는 정보가 표시된다(도 22의 (a) 참조).As shown in (a) of FIG. 22 , the
한편, 본 발명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채팅방이 생성될 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해당 채팅방별로 콘텐츠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다르게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hat room is created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content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differently for each chat room by a user's selection.
도 23 및 도 24는 채팅방 생성시 콘텐츠 공유 금지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23 and 2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content sharing prohibition when creating a chat room.
우선, 도 23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체 채팅방을 직접 만들거나 1:1 채팅방엥서 대화 상대를 초대하여 단체 채팅방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화 상대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이를 통해 대화 상대를 선택함으로써 단체 채팅방을 생성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a) and (b) of FIG. 23 , the user of the
이 때, 도 2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성할 단체 채팅방에서 콘텐츠 공유 금지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메뉴 화면이 제공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콘텐츠 공유 금지를 콘텐츠의 종류별로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a) of FIG. 24 , a setting menu screen for setting content sharing prohibition in the group chat room to be created is provided, and the user can set content sharing prohibition for each type of content through this.
도 24의 (b)는 콘텐츠 공유 금지가 설정된 단체 채팅방의 정보를 나타낸 것으로서 대화 상대와 함께 콘텐츠 공유 금지 설정 정보가 콘텐츠 종류별로 또한 기능별로 구분되어 표시됨을 알 수 있다.Fig. 24 (b) shows information of a group chat room in which content sharing is prohibite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with a conversation partner is displayed separately for each content type and function.
이에 의하면, 단체 채팅방 생성시 단체 채팅방을 생성하는 사용자가 각 콘텐츠 종류 또는 기능별로 공유 금지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단체 채팅방을 생성한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텍스트, 사진,동영상, 음성 무전/음성 메시지, 영상 무전/영상 메시지 등)을 저장/전달/배포하는 공유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채팅방별로 콘텐츠 공유 금지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since the user who creates the group chat room can set sharing prohibition for each content type or function when creating the group chat room, various contents (text, photo, video, etc.) according to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user who created the group chat room , voice radio/voice message, video radio/video message, etc.) can be set to a sharing function that stores/delivers/distributes, so that content sharing prohibition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chat room.
한편, 본 발명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콘텐츠를 전송할 때마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콘텐츠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can be changed by a user's selection whenever content is transmitted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도 25 및 도 26은 콘텐츠를 전송할 때 콘텐츠 공유 금지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25 and 2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content sharing prohibition when transmitting content.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의 공유 금지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설정 메뉴를 통해 설정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이러한 설정 메뉴를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의 종류별로 콘텐츠 공유 금지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 이외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시점에서 콘텐츠 공유 금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content sharing prohibition may be set through a setting menu provided by the messaging application, and the user may set the content sharing prohibition for each type of content transmitted through this setting menu. . In addition to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set the content sharing prohibition at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content.
이를 위해, 제1 사용자 단말(200)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콘텐츠를 전송할 때마다 콘텐츠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버튼을 제공하고, 상기 선택 버튼에 의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의해 콘텐츠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the
도 25의 (a)는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설정 메뉴로서, 여기에서 문자 메시지(텍스트 메시지)의 공유 금지만 온(ON)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25A is a setting menu provided in the messaging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and it can be seen that only prohibition of sharing of text messages (text messages) is set to ON.
이러한 상태에서 도 2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텍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채팅방의 메시지 입력창의 좌측에는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잠금 상태의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of the
이 때, 도 2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자물쇠 아이콘을 탭하게 되면 토글 방식으로 자물쇠 아이콘이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되어 표시되며, 이에 따라 해당 채팅방에서의 향후 텍스트 메시지의 전송은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오프(OFF)로 설정되게 된다. 즉, 콘텐츠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자물쇠 아이콘이 콘텐츠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버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a) of Figure 26, when the user of the
텍스트 메시지를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면, 도 2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텍스트 메시지가 전송되고 전송된 텍스트 메시지의 좌측에 잠금 해제 상태의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되어 해당 텍스트 메시지는 공유 금지가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음을 표시해 준다. 이와 함께, 텍스트 입력창의 좌측에도 잠금 해제 상태의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되어 이후 입력되는 텍스트 메시지는 공유 금지가 오프(OFF)로 설정된다는 점을 표시해 준다.When a text message is input and the send button is pressed, as shown in FIG. 26(c), a text message is transmitted and a lock icon in unlocked state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transmitted text message, so that the text message sharing prohibition is off. It indicates that it is set to (OFF). At the same time, a lock icon in an unlocked state is also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text input window to indicate that the text message to be input is set to OFF.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텍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채팅방에도 도 26의 (b)와 마찬가지로 잠금 해제 상태의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되며,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해당 텍스트 메시지를 복사, 저장, 전달하는 등의 공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lock icon in the unlocked state is displayed in the chat room of the
도 25 및 도 26은 텍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텍스트 메시지 이외의 다른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25 and 26 have been described by taking the case of transmitting a text message as an exampl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case of transmitting content other than the text message.
이에 의하면, 콘텐츠를 전송할 때마다 공유 금지의 여부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individually set whether to prohibit sharing whenever content is transmitt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기타 다양한 수정 및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other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of course.
100...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200...제1 사용자 단말
300...제2 사용자 단말
10...세션 제어 서버
20...콘텐츠 서버
30...PTT 서버
40...미디어 서버100...messaging service system
200... first user terminal
300...second user terminal
10...Session Control Server
20...Content Server
30...PTT Server
40...Media Server
Claims (16)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의 채팅방 화면에 상기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해당 콘텐츠의 공유 기능을 금지 상태 또는 허가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A method for managing content when providing a messaging service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between a first user terminal and a second user terminal in a messaging service system coupled to a first user terminal and a second us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receiving a content transmission notification message including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for the content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transmission notification message to a second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econd user terminal display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notification message on a chat room screen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The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ring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set to the prohibited state or the permitted state according to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제1 사용자 단말은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콘텐츠가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는, 콘텐츠가 저장된 콘텐츠 서버의 URL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fore the first step, the first user terminal transmits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to the content server, and receives URL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where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content server from the content server,
The content delivery notification message, content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URL information of a content server in which the content is stored.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의 채팅방 화면에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와 함께 상기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user terminal displays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content has been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on the chat room screen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and display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message. A method for managing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의해 해당 콘텐츠에 대해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장, 전달, 복사 및 외부 공유 기능에 대한 버튼을 비활성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cond user terminal, when sharing prohibition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set to ON according to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a button for storing, forwarding, copying, and external sharing functions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messaging application Content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by disabling it.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의해 해당 콘텐츠에 대해 공유 금지가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장, 전달, 복사 및 외부 공유 기능에 대한 버튼을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cond user terminal, when sharing prohibition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set to OFF according to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a button for storing, forwarding, copying, and external sharing functions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messaging application Content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by activating and displaying.
상기 콘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음성 또는 영상 무전 메시지,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 및 텍스트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n image, a video, an audio or video radio message, an audio or video message, and a text message.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콘텐츠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콘텐츠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로드받아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user terminal, after receiving the content delivery notification message, downloads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peration and displays the downloaded content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유 금지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유 금지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공유 금지를 오프(OFF)로 설정한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금지 변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금지 변경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공유 금지 변경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해당 콘텐츠의 공유 기능을 허가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 sharing prohibition change request message from a second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content in which the content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N;
transmitting the sharing prohibition change request message to a first user terminal;
Receiving a sharing prohibition change message including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for setting the content sharing prohibition to OFF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sharing prohibition change message to a second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content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user terminal sets the sharing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permission state in response to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haring prohibition change message.
상기 공유 금지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과의 채팅방 화면에 공유 금지 설정을 변경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버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ing the sharing prohibition change request message displays a menu button for selecting whether to change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on the chat room screen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management method.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공유 금지 변경 요청을 수락하는 메뉴 버튼이 선택된 경우, 공유 금지 변경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user terminal transmits a sharing prohibition change message when a menu button for accepting a sharing prohibition change request is selected from the user.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공유 금지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ent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user terminal display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콘텐츠 공유 금지가 온(ON)으로 설정된 콘텐츠를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스크린 샷 시도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샷 시도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 screen shot attempt notification message from a second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content for which content sharing prohibition is set to ON; and
transmitting the screen shot attempt notification message to a first user terminal
Content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상기 스크린 샷 시도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과의 채팅방 화면에 스크린 샷이 시도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ing the screen shot attempt notification message display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creen shot is attempted on a chat room screen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상기 스크린 샷 시도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 제2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과의 채팅방 화면에 스크린 샷이 시도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user terminal, which has transmitted the screen shot attempt notification message, display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creen shot has been attempted on a chat room screen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채팅방이 생성될 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해당 채팅방별로 콘텐츠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user terminal, when a chat room is created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 content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content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chat room.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콘텐츠를 전송할 때마다 콘텐츠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버튼을 제공하고, 상기 선택 버튼에 의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의해 콘텐츠 공유 금지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user terminal provides a selection button for changing content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whenever content is transmitted through a messaging application, and changes content sharing prohibition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selection button Content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1/009012 WO2022039390A1 (en) | 2020-08-19 | 2021-07-14 | Method for managing content when providing messaging ser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4172 | 2020-08-19 | ||
KR20200104172 | 2020-08-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2853A true KR20220022853A (en) | 2022-02-28 |
KR102699686B1 KR102699686B1 (en) | 2024-08-27 |
Family
ID=8049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4521A Active KR102699686B1 (en) | 2020-08-19 | 2021-06-29 |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during messaging servic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9686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6963A (en) * | 2014-12-03 | 2016-06-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70006813A (en) * | 2015-07-09 | 2017-0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ecure Chat |
KR20170021174A (en) * | 2015-08-17 | 2017-02-27 | 네이버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text messages |
KR20170047293A (en) * | 2014-08-29 | 2017-05-04 |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 Sharing content |
KR20180004218A (en) * | 2015-05-06 | 2018-01-10 |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 Systems and methods for short-term group chat |
KR20180079030A (en) * | 2016-12-30 | 2018-07-10 | 주식회사 카카오 | Messenger searching method based on interaction, and server and application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
-
2021
- 2021-06-29 KR KR1020210084521A patent/KR10269968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47293A (en) * | 2014-08-29 | 2017-05-04 |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 Sharing content |
KR20160066963A (en) * | 2014-12-03 | 2016-06-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80004218A (en) * | 2015-05-06 | 2018-01-10 |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 Systems and methods for short-term group chat |
KR20170006813A (en) * | 2015-07-09 | 2017-0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ecure Chat |
KR20170021174A (en) * | 2015-08-17 | 2017-02-27 | 네이버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text messages |
KR20180079030A (en) * | 2016-12-30 | 2018-07-10 | 주식회사 카카오 | Messenger searching method based on interaction, and server and application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99686B1 (en) | 2024-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60221B2 (en) | Cellular telephone with the ability to display and store picture and video messages and caller ID received from a message originator | |
RU2392756C2 (en) | Structure and technique for peer-to-peer group control | |
US8583086B2 (en) | Mobile terminal and chat method in a mobile terminal using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 |
US722194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ssenger service capable of changing messenger status information based on a schedule | |
CN105830391B (en) | presence-based content sharing | |
JP2009531780A (en) | Electronic message transfer control method | |
CN107425991A (en) |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group and method and device for message forwarding | |
CN117957827A (en) | Establishing a new connection in a communication platform | |
US8656031B2 (en) | Dialog communication system, dialog communication method and dialog communication program | |
CN112738011A (en) | Screen projection implement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 |
KR101467415B1 (en) | Mobile terminal, content sharing server and method for sharing a content using thereof | |
US2013012287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ush-to-share file distribution with previews | |
CN101536458A (en) | session-based communication | |
US10326718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quickly sending messages | |
KR20120084753A (en) | Distributing media by subscription | |
JP2016512659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ush-to-share file delivery in preview | |
KR101716874B1 (en) |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live chat and chatting application | |
KR102699686B1 (en) |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during messaging services | |
JP2022553193A (en) | You can send and receive SMS via the Internet messaging app even if you are not connected to the Internet. | |
US2006003156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 file between data processing devices using a communication or instant messaging program | |
US20160275301A1 (en) | Information sharing control | |
JP2006072685A (en) | Email processing device | |
JP2020017786A (en) |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KR101037071B1 (en) |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caller information using presence information | |
KR102224829B1 (en) | System for blinding for a mess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10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10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6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