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047A - Service methodd of public transit guide - Google Patents
Service methodd of public transit guid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34047A KR20200134047A KR1020190059584A KR20190059584A KR20200134047A KR 20200134047 A KR20200134047 A KR 20200134047A KR 1020190059584 A KR1020190059584 A KR 1020190059584A KR 20190059584 A KR20190059584 A KR 20190059584A KR 20200134047 A KR20200134047 A KR 202001340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service
- time
- public transportation
- publ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06Q50/30—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중교통 경로 안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대중교통 현황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 정보를 반영하여 대중교통 현황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ublic transport guidance service method includes receiv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public transport route guidance from a user terminal, providing public transport status to a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and receiving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updat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status by reflecting the selection information.
Description
본 개시는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service method.
현재의 개인별 대중교통 경로 안내서비스는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도착 안내 서비스 정도이다. 버스안내 서비스의 경우 재차 정보를 개인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즐겨 찾기 등)에 제공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다. The current public transportation route guidance service for each individual is about the real-time arrival guidance service provided by public institutions. In the case of the bus information service, information is again provided in a personalized interface (eg, favorites).
사용자가 위치한 곳의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최적의 대중교통 현황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Considering the situ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it i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optimal public transportation status that the user can use.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중교통 경로 안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대중교통 현황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 정보를 반영하여 대중교통 현황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public transport guidanc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information required for public transport route guidance from a user terminal, providing public transport status to a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and the user Upon receiving the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updat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status by reflecting the selec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대형 행사 후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는 인원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사용자 개개인에게 타인의 수단 선택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실시간 대중교통 대기 시간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이용자들로 하여금 보다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interactive real-time public transportation waiting time guidance service based on the selection of another person's means to each user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people who intend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increases after a large event. Through this, service users can support more efficient decision-making.
실시간으로 대기인원 및 대기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기존 서비스들이 단순히 차량의 위치 정보만을 제공하던 것과 달리 개인별로 대중교통의 노선을 선택함에 있어 서비스 이용자들 간에 서로의 선택 결과를 공유하고, 타인의 선택 결과를 통해 개인별로 가장 효율적인 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대중교통 수단 선택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eople waiting and waiting time in real time, and unlike existing services simply providing only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when selecting a route for public transportation for each individual, service users share the results of their selection. In addition, the most efficient means can be selected for each individual through the results of others' choices. Then,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decision-making of the user's choice of public transportation mean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와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경로 안내 서비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서의 데이터를 이용해 추세선을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그래프에서 추세선을 도출한 그래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server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ublic transportation route guidanc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rend line can be identified using the data in FIG. 3.
4 is a graph derived from a trend line from the graph of FIG. 3.
본 발명은 기존의 서비스와는 다르게 특정 지역에 몰리는 다수의 인원 즉, 대중교통 이용 대기자들의 실시간 대기 정보를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형태로 제공되는 대화형 서비스를 통해 승차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을 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쾌적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고, 효율적인 인파의 분산이 유도되어, 효율적인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하다.Unlike existing servic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eal-time waiting information of a large number of people, that is, people waiting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to each user, and the user is willing to board or not through the interactive service provided in this form. By making a decision, users can use public transportation more comfortably, and efficient crowd distribution is induced, thereby enabling efficient public transportation u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와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server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20)는 대중교통 현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길안내 서비스 서버(10)에 요청하여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와 다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 단말(30)은 통신을 통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경로 안내 서비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ublic transportation route guidanc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20)를 통해 제공되는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방법은, 1) 서비스 시작 단계, 2) 정보 입력 및 송수신 단계, 3) 실시간 대기 정보 제공을 통한 대화형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4) 만족도 정보 수집 단계, 및 5) 피드백 및 서비스 마무리 단계를 포함한다. The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service method provided through the
1) 서비스 시작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서비스 요청이 서비스 서버(20)에 수신되고,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20)가 서비스를 시작하는 단계이다.1) The service start step is a step in which a service request is received by a user to the
먼저 앱이 사용자의 개인 단말(30)을 통해 실행된다(S1). 사용자는 사람들이 몰리는 경우, 서비스 서버(2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시작을 요청하는데, 서비스 서버(20)에 접속하는 수단은 개인 단말(30)의 앱(app)을 이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혼잡 상황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 가능한 이동통신 유동인구 데이터 및 해당 행사 정보 등에 기초한 알람이 사용자 개인 단말(3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유동 인구 데이터는, 혼잡 상황이 발생한 현장을 기준으로 소정 지역에서 감지되는 전체 이동 통신 단말 수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 있다. 해당 행사 정보는 행사 참여 인원, 행사 위치, 행사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알람은 사용자의 개인 단말(30)로 본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 문의할 수 있고, 사용자의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 여부를 문의한다(S2). 사용자가 이에 동의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20)에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이 전송되고, 해당 사용자 개인 단말(30)에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First, the app is executed through the user's personal terminal 30 (S1). When people are crowded, the user connects to the
2) 정보 입력 및 송수신 단계는 사용자가 대중교통 경로 안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을 위해서 서비스 서버와 개인 단말 사이에 정보 송수신이 발생하는 단계이다. 2) The information input and transmission/reception step is a step in which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occurs between the service server and the personal terminal in order for the user to input information necessary for public transportation route guidance.
사용자가 본인의 현재 위치인 출발지와 목적지를 개인 단말(30)의 앱을 통해 입력한다(S3). 서비스 서버(20)는 입력받은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를 통해 대중교통 경로를 검색한다. 서비스 서버(20)는 대중교통 경로의 검색을 위해 길안내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다(S4).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제공되는 대중교통 길안내 서비스에 기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길안내 정보를 다른 서버에서 획득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목적지까지 가는 다양한 경로를 모두 길안내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5). 서비스 서버(20)는, 검색에 의해 수신된 대중교통 경로 중 첫 번째 탑승해야 하는 수단에 대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The user inputs his/her current location, origin and destination, through the app of the personal terminal 30 (S3). The
3) 실시간 대기 정보 제공을 통한 대화형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및 대화형 서비스 단계로, 해당 단계는 서비스 서버(20)가 실제 대화형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경로를 찾아 주는 단계이다. 3) Interactive service can be performed by providing real-time standby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an interactive service, the step is a step in which the
서비스 서버(20)는 각 경로 별 탑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첫 번째 교통수단의 경우 대기 및 재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6).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기반으로 경로를 탐색하여 대중교통 현황 정보를 안내한다. 이때 제공되는 대중교통 현황 정보로는 안내 시점에서의 대중교통 도착 정보, 재차 인원 정보, 예상 대기 인원 정보, 예상 대기 시간 정보 등일 수 있다. 대중교통 도착 정보 및 재차 인원 정보는 기존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정보를 서비스 서버(20)가 수신할 수 있다. 예상 대기 인원 정보 및 예상 대기 시간 정보는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선택 결과 및 해당 장소에 존재하는 전체 인원수(서비스 이용자를 포함한 전체 인원)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되어 서비스 서버(20)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예상대기 인원 정보 및 예상 대기시간 정보 산출에 있어,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선택하는 대중교통 정보를 반영하여, 그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The
서비스 서버(20)로부터 제공된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단말(30)의 앱을 통해 한 화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인원이 몰려 있는 현재 상황을 기준으로 본인의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혼잡도를 예상할 수 있으며, 제공된 대중교통 수단 중 원하는 방안 즉, 희망 경로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7), 존재하는 경우 개인 단말(30)에서 실행되는 앱의 화면을 통해 해당 대중교통 수단 즉, 희망 교통 수단 정보를 선택(S8)하고 확정하여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한다(S9).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반면, 제공된 대중교통 수단 중 사용자의 마음에 드는 대중교통 수단이 없다면 새로 고침(S10)을 하여 실시간으로 변하는 대중교통 현황 정보를 재확인하는 S6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의사결정을 다시 할 수 있거나,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종료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public transport method that the user likes among the provided public transport means, step S6 of reconfirming public transport status information that changes in real time by refreshing (S10) may be performed. Then, the user can make a decision again or temporarily terminate the service.
서비스 서버(20)는 수신한 선택된 대중교통 수단을 실시간으로 반영한다.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 즉, 서비스 이용자들의 선택 결과를 수신하고(S11), 이를 누적하여(S12), 현재 조회 대상 교통 수단의 재차 인원 정보 파악(S13) 및 서비스 미 이용자들에 대한 이용자 추측(S14) 결과를 반영하여 대중교통 현황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그러면,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의 개인 단말(30)을 통해 실행되는 앱 화면에 실시간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므로, 다수의 사용자가 의사결정을 하는데 이를 고려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기존의 대중교통 경로 안내 서비스에 기반하는 기능을 제외하고, 본 서비스에 의해 결정 또는 추정되는 대기 인원에 대한 정보의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case of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aiting people determined or estimated by this service, except for functions based on the existing public transport route guidance service, the following method may be used.
대기 인원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 이용자에 의한 대기 인원) + (서비스 미이용자에 의한 대기 인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서비스 미이용자에 의한 대기 인원'을 추정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추정 방법은 서비스 초기, 자체 데이터가 구축되지 않은 경우에 주로 활용하고 서비스가 정착되어 사용자가 충분히 많아진 경우 자체 데이터를 통한 예측값을 사용할 수 있다.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eople waiting can be composed of (number of people waiting by service user) + (number of people waiting by service non-user). Among them, the following method is used to estimate'the number of people waiting by service non-users'. This estimation method is mainly us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service, when self-data is not established, and when the service is settled and there are enough users, a predicted value through self-data can be used.
ⅰ)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대형 행사의 경우Ⅰ) For large events held regularly
1) 행사 참여 인원을 파악한다. 참여 인원은 주최 측(입장권 판매 수 등)의 집계 인원 및 공공 기관의 집계 인원의 두 가지를 파악하여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이동통신 유동인구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차이가 작은 값에 기초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를 평균값 등과 같은 통계적 처리하여 행상 참여 인원을 파악할 수 있다. 1) Identify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event. The number of participants can be based on a value with a small difference compared to real-time mobile communication floating population data provided by a telecommunications company by grasping two of the number of aggregated personnel of the organizer (such as the number of tickets sold) and the number of aggregated personnel of public institutions. At this time, the number of participants can be identified by statistically processing data such as an average value.
2) 행사가 개최된 지역과 그 인접지역에 대하여 과거 행사가 개최되었던 당시의 대중교통 노선 별 승차 인원을 교통카드 DB를 통해 시간대별로 파악한다. 공공기관에서 파악하는 교통카드 DB는 승하차 정류장(역) 정보, 승하차 일시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교통카드 DB를 통해서 대중교통 노선 별 승차 인원을 시간대별로 파악할 수 있다.2) For the area where the event was held and the area adjacent to it, the number of passengers for each public transportation route at the time the event was held in the past is identified by time slot through the transportation card DB. Since the transportation card DB identified by public institutions includes all information on boarding and disembarkation stops (stations) and time and time of getting on and off, the number of boarding passengers for each public transportation route can be identified by time slot through the transportation card DB.
3) 행사 참여 인원과 서비스 미이용 인원, 정류장(역)별 과거 이용객 추정 데이터를 다음과 같이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대기 인원을 추정한다. 다음은 a 정류장에 대한 탑승 대기 인원의 추정식이다.3) The number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event, the number of people who did not use the service, and the estimated data of past users for each stop (station) are calculated as follows to finally estimate the number of waiting people. The following is an estimate of the number of people waiting for boarding at stop a.
[수학식 1][Equation 1]
수학식 1에서, 는 a 정류장 탑승 대기 추정인원, 는 서비스 이용자에 의한 a 정류장 대기인원, 는 a 정류장 과거 행사 당시 탑승 인원,는 서비스 이용자 수, 는 전체 행사 참여 인원이다.In Equation 1, Is the estimated number of people waiting to board a stop, Is the number of people waiting at a stop by the service user, Is the number of passengers on board at the event past the a stop, Is the number of service users, Is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ⅱ) 비정기적으로 개최된 대형 행사의 경우Ii) In case of large events held irregularly
행사가 개최된 지역과 그 인접지역에 대하여 과거 행사가 개최되었던 당시의 대중교통 노선 별 승차 인원을 교통카드 DB를 통해 시간대별로 파악한다.For the area where the event was held and the area adjacent to it, the number of passengers for each public transportation route at the time the event was held in the past is identified by time slot through the transportation card DB.
도 3은 a 정류장 전체 대기 인원과 N번 대중교통 노선을 이용한 사람들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3 is a graph showing the total number of people waiting at the stop a and the ratio of people using the N transit line.
도 3의 그래프의 X축은 a 정류장 전체 대기 인원이고, Y축은 N 번 대중교통 노선을 이용한 사람들의 비율로, 오름차순 정리되어 있다.In the graph of FIG. 3, the X-axis is the total number of people waiting at the stop a, and the Y-axis is the ratio of people who use the N-time public transport route, and is arranged in ascending order.
도 3 도시된 바와 같이, 행사가 없는 일반적인 대부분의 경우에서는, 대기 인원 대비 승차 인원 비율이 거의 일정하다. 그러나 특정 행사 발생으로 인해 대기 인원 대비 승차 인원 비율이 변화하는 경우(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를 볼 수 있다.As shown in FIG. 3, in most cases where there is no event, the ratio of the number of people on board to the number of people waiting is almost constant.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of the number of passengers on board to the number of waiting people changes due to the occurrence of a specific event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3).
도 3에서의 데이터를 이용해 추세선을 파악할 수 있다.The trend line can be identified using the data in FIG. 3.
도 4는 도 3의 그래프에서 추세선을 도출한 그래프이다.4 is a graph derived from a trend line from the graph of FIG.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세선(41)을 이용하여 대기 인원에 따른 N 번 대중교통 노선의 선택 비율을 추정할 수 있고, 이를 행사가 개최된 그 당시 정류장의 대기 인원에 곱하여 대기 인원을 추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selection ratio of the number N public transport rou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waiting people using the
위 방법으로 추정된 정류장 탑승 대기 추정 인원, 실시간 교통수단의 재차 인원, 도착 예정시간 정보, 교통수단의 차량별 특성에 따른 탑승가능인원 정보를 이용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탑승 대기 시간 정보를 추정하여 제공한다.Estimated number of passengers waiting to board the bus station estimated by the above method, real-time transportation means, estimated arrival time information, and available number of passeng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ehicle of transportation are used to estimate and provide information on waiting time for boarding in the following way. do.
는, i=1부터 i=k까지 순차적으로 반복 연산을 수행하여 이 되도록 하는 최초의 k번째 차량까지의 대기 시간이다. Is, by sequentially performing an iterative operation from i=1 to i=k This is the waiting time until the first k-th vehicle to be made.
는 a 정류장 탑승 대기 추정 시간, 는 a 정류장 탑승 대기 추정 인원, Ci는 번째 도착 예정 차량의 탑승가능인원 정보(버스의 제원 등에 의함), Si는 i 번째 도착 예정 차량의 재차 인원 정보이다. Is the estimated time waiting for boarding at a stop, Is the estimated number of people waiting to board the a stop, Ci is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assengers available for boarding the vehicle to be arrived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bus), and Si is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eople of the ith scheduled vehicle again.
한편, 선택된 희망교통 수단 정보가 선택된 후, 백그라운드 구동 및 위젯(widge)이 실행될 수 있다(S15). Meanwhile, after the selected desired transportation means information is selected, background driving and a widget may be executed (S15).
사용자가 제공된 경로정보 중 마음에 드는 희망 교통수단(경로) 정보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경로에 대해 계속 경로를 스마트폰을 들고 다니며 확인하면서 이동할 수도 있고, 스마트폰을 보지 않고 주머니에 넣고 이동할 수도 있다. 위 두 과정 모두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확인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서비스는 실행되고 있다. 화면을 직접 확인할 때는 물론이고, 화면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이용시간을 산출하기 위하여 또는 사용자가 원할 때 언제든지 다시 경로 안내를 해 주기 위함이다. 이를 "백그라운드 구동"이라고 한다. 아울러, 개인 단말(30)에서 대중교통 정보 검색을 위한 위젯이 실행될 수 있다.If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transportation method (route) information among the provided route information, the user can move while checking the route with a smartphone while carrying the smartphone, or put it in his pocket without looking at the smartphone. have. In both of these processes, the service is running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checks the smartphone. This is not only to directly check the screen, but also to calculate the usage time even if the screen is not checked, or to provide route guidance again whenever the user wants. This is called "background driving". In addition, a widget for searching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may be executed in the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20)는, 서비스를 사용자 별로 개인화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다수의 사용자 각각의 선택 결과를 반영하며, 전체 사용자 각각의 선택 결과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다시 사용자 별로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본인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고, 각 사용자의 의사결정 결과가 다시 서비스 서버(20)에 피드백 되어 다른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대화형 서비스가 제공된다. In this way, the
보다 더 정확한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해서는, 서비스 미 이용자로 인해 발생하는 대기 인원 및 시간 등에서의 오차를 보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에 제공되는 교통 데이터베이스, 통신 데이터 등이 함께 이용될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a more accurate service, errors in waiting number and time caused by non-service users must be compensated. To this end, a traffic database and communication data provided previously may be used together.
4) 만족도 정보 수집 단계는 선택 이후 사용자의 만족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절약 시간 산출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의 대기시간과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여 귀가 시의 대기시간을 각각 산출하여 비교할 수 있다.4) The step of collecting satisfaction information is a step of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satisfaction after selection. For example, by performing the calculation of the saving time, the waiting time when the service is not used and the waiting time when the user returns home using the service may be calculated and compared.
사용자가 실제 대기하고, 해당 교통 수단을 탑승한다(S16). 그러면, 개인 단말(30)의 앱을 통해서 교통수단 탑승 시간이 저장될 수 있다(S17). 아울러, 첫 번째로 정보 조회 당시 각 경로별 예상 소요 시간이 저장될 수 있다(S18). 또한, 사용자가 경로를 선택한 그 당시의 시간이 저장될 수 있다(S19). 저장은 개인 단말(30)의 앱에서 수행되거나 서비스 서버(20)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actually waits and boards the corresponding means of transportation (S16). Then, the transportation means boarding time may be stored through the app of the personal terminal 30 (S17). In addition, first, the estimated time required for each route at the time of information inquiry may be stored (S18). In addition, the time at that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route may be stored (S19). The storage may be performed in the app of the
최초 대중교통 현황 정보가 제공될 때의 대기시간을 서비스 미 이용 시의 대기시간으로 간주하고, 사용자가 서비스를 통해 제공된 대중교통 현황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한 당시의 시간과 실제 선택한 대중교통을 탑승한 시간 사이의 기간을 서비스 이용 시의 실제 대기시간으로 계산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 이용을 통해 절약한 시간을 산출(S20)할 수 있다. 이어서, 서비스 이용을 통해 절약한 시간을 개인 단말(30)의 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S21). 절약 시간은 다섯째 단계인 피드백 단계에서의 서비스 정확도 파악을 위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The waiting time when the first public transportation status information is provided is regarded as the waiting time when the service is not used, and the time at the time when the user selected one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status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and the time actually boarded the selected public transportation The period in between is calculated as the actual waiting time when using the service. Through this, the time saved through service use can be calculated (S20). Subsequently, the time saved through the use of the servic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app of the personal terminal 30 (S21). The saving time can be used as data for understanding service accuracy in the fifth step, the feedback step.
5) 피드백 및 서비스 종료 단계는 예상대기시간 및 대기인원 등 예측의 정확도, 서비스의 만족도를 피드백하는 단계(S22)이다. 해당 단계의 모든 입력 사항은 선택 사항이며, 입력된 내용들은 서비스 개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5) The feedback and service termination step is a step (S22) of feeding back the accuracy of prediction, such as expected waiting time and number of waiting people, and satisfaction of the service. All input items in this step are optional, and the input contents can be used for service improvement.
이와 같이, 대형 행사 후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함에 있어 본인과 타인의 선택 결과를 대화형 서비스를 통해 공유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편리한 대중교통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미시적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편리한 대중교통수단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안정적인 대중교통수단의 이용 여건을 확보할 수 있고, 거시적 측면에서 특정 장소에 사람들이 몰려 혼잡한 경우 빠르고 효과적으로 인원을 분산시킬 수 있다. 민간에서는 보행 및 대중교통 내비게이션 등으로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고, 공공에서는 서비스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시계획, 교통계획, 보행계획, 손해사정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기존의 서비스들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타인의 선택 결과를 본인의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니고, 기존 서비스의 한계를 보완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사용자를 확보할 수 있다. 일련의 서비스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공공 및 민간 분야의 다양한 의사결정 또는 연구 등의 과정에 활용할 수 있다. 서비스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데이터가 빅데이터의 형태로 충분히 누적된다면 해당 데이터를 이용한 수집 및 처리, 가공 등과 관련된 형태로의 새로운 사업 형태가 생성될 수 있다.In this way, in selecting public transportation after a large event, the results of the selection of the person and others are shared through an interactive service to support decision making, thereby promoting efficient and convenient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By promoting efficient and convenient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in a microscopic aspect, stable conditions for using public transportation can be secured, and in a macroscopic aspect, when crowds are crowded and crowded in a specific place, personnel can be quickly and effectively distributed. In the private sector, the service can be expanded to pedestrians and public transport navigation, and in the public, data obtained through the service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urban planning, traffic planning, pedestrian planning, and damage assessment. Compared to existing services, users can be secured in that they can reflect the results of others' selection in real time in their own decision making, and in that they provide services that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ervices. Various data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a series of services can be utilized in various processes such as decision making or research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If the data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service is sufficiently accumulated in the form of big data, a new business type in the form of collection, processing, and processing using the data can be crea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form modified and improve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also th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range.
10: 길안내 서비스 서버
20: 서비스 서버
30: 개인 단말10: Directions service server
20: service server
30: personal terminal
Claims (5)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출발지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경로 안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화된 대중교통 현황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 정보를 반영하여 대중교통 현황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방법.In the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service method,
Receiv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public transportation route guidance including at least a departure point and a destination from a user terminal;
Providing the grouped public transportation status to a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And
Receiving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tep of updating public transportation status by reflecting the selection information,
How to service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상기 그룹화된 대중교통 현황 정보 중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의 대기시간과 선택되지 않았을 대의 대기시간 간의 차인 절약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ifference saving time between the waiting time when one of the grouped public transportation status information is selected and the waiting time when not selected,
How to service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상기 대중교통현환 정보는 안내 시점에서의 대중교통 도착 정보, 재차인원 정보, 예상대기 인원 정보, 및 예상대기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public transportation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rrival of public transportation at the time of guidance, information on re-entering personnel, information on expected number of people waiting, and information on expected waiting time
How to service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상기 대중교통 현황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행사가 정기적인 경우,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정류장 탑승 대기 인원을 상기 대중교통 현황 제공 서비스 이용자 중 상기 대응하는 정류장 대기 인원, 상기 대응하는 정류장의 과거 행사 당시 탑승 인원, 및 상기 대중교통 현황 제공 서비스 이용자 수, 및 상기 행사 참여 인원 수에 기초하여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방법.The method of claim 1,
Provid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status to the user terminal,
If the event is regular, the number of people waiting for boarding at the stop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among the public transportation status providing service users, the number of people waiting at the corresponding stop, the number of boarding at the time of the past event at the corresponding stop, and the public transportation status providing service user Including the step of estimating based on the number,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event,
How to service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상기 대중교통 현황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행사가 비정기적인 경우, 상기 행사가 개최된 지역과 그 인접지역에 대하여 과거 행사가 개최되었던 당시의 대중교통 노선 별 승차 인원을 시간대별로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시간대별 승차 인원에 기초하여 추세선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된 추세선으로 추정된 인원, 실시간 교통수단의 재차 인원, 도착 예정시간 정보, 및 교통수단의 차량별 특성에 따른 탑승가능인원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 대기 시간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방법.The method of claim 1,
Provid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status to the user terminal,
If the event is irregular, the number of passengers for each public transport route at the time the event was held in the past and the area in which the event was held and the number of passengers on th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at the time the event was held are identified by time, and a trend line is derived based on the number of passengers for each time period Steps to and
Comprising the step of estimating boarding waiting time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people estimated by the derived trend line,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real-time transportation means, the estimated arrival time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passengers availab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ehicle of the transportation means,
How to service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9584A KR102421117B1 (en) | 2019-05-21 | 2019-05-21 | Service methodd of public transit guid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9584A KR102421117B1 (en) | 2019-05-21 | 2019-05-21 | Service methodd of public transit guid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4047A true KR20200134047A (en) | 2020-12-01 |
KR102421117B1 KR102421117B1 (en) | 2022-07-13 |
Family
ID=7379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9584A Active KR102421117B1 (en) | 2019-05-21 | 2019-05-21 | Service methodd of public transit guid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111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0929A (en) | 2021-02-01 | 2022-08-09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Population density notification system in public transportatio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8733A (en) * | 2013-08-09 | 2015-02-24 |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 Device and method for path finding |
KR20150118250A (en) * | 2014-04-11 | 2015-10-22 | (주)피엑스디 | Apparatus for providing movement information of public transport and operation mehtod thereof |
KR20160005402A (en) * | 2014-07-07 | 2016-01-15 | (주)케이스포유 | Multi Contact Point Water Level Measurement Device and Network System |
KR20160092754A (en) * | 2015-01-28 | 2016-08-05 |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
KR101934800B1 (en) | 2011-11-17 | 2019-01-03 | 네이버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roving public transportation |
-
2019
- 2019-05-21 KR KR1020190059584A patent/KR10242111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4800B1 (en) | 2011-11-17 | 2019-01-03 | 네이버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roving public transportation |
KR20150018733A (en) * | 2013-08-09 | 2015-02-24 |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 Device and method for path finding |
KR20150118250A (en) * | 2014-04-11 | 2015-10-22 | (주)피엑스디 | Apparatus for providing movement information of public transport and operation mehtod thereof |
KR20160005402A (en) * | 2014-07-07 | 2016-01-15 | (주)케이스포유 | Multi Contact Point Water Level Measurement Device and Network System |
KR20160092754A (en) * | 2015-01-28 | 2016-08-05 |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0929A (en) | 2021-02-01 | 2022-08-09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Population density notification system in public transport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1117B1 (en) | 2022-07-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765933B (en) |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recommending boarding points | |
US1151479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recommending vehicle pick-up location | |
KR102162729B1 (en) | How to recommend bus routes, devices, devices and computer storage media | |
US10410519B2 (en) | Public transportation navigator | |
US20170301054A1 (en) | Dynamic forecasting for forward reservation of cab | |
US20130024249A1 (en) | Public transport optimization | |
CN108921762B (en) | Vehicle hybrid schedul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 |
JP4888970B2 (en) |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US20160248914A1 (en) | Telephone Call Placement | |
JP2018084855A (en) | Traffic supply and demand matching system and traffic supply and demand matching method | |
KR101944996B1 (en) |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agent service | |
Melis et al. | The real-time on-demand bus routing problem: The cost of dynamic requests | |
JP2001325379A (en) | Parking lot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 |
KR20180051452A (en) |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expected demand for taxi passenger | |
KR20150042883A (en) | Automatic car allocation device for driving and transportation service intermediation and method of the same | |
KR20200124396A (en) | Vehicle sharing system | |
JP2002024659A (en) | Vehicle dispatch reservation system | |
US10402755B2 (en) | Transport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transport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 |
Lin et al. | VShare: A wireless social network aided vehicle sharing system using hierarchical cloud architecture | |
KR20200134047A (en) | Service methodd of public transit guide | |
JP7552451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JP2002288526A (en) |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facility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 facility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 |
KR102347617B1 (en) | Method of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service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 |
JP2004341872A (en) | Taxi allocation system, taxi allocation device, taxi allocation method, and taxi allocation program | |
JP2022037622A (en) | Schedule management device, 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schedule management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5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