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31958A - Screen division imag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 Google Patents

Screen division imag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958A
KR20180131958A KR1020180027766A KR20180027766A KR20180131958A KR 20180131958 A KR20180131958 A KR 20180131958A KR 1020180027766 A KR1020180027766 A KR 1020180027766A KR 20180027766 A KR20180027766 A KR 20180027766A KR 20180131958 A KR20180131958 A KR 20180131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odule
digital video
image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7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61104B1 (en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퍼시픽솔루션 주식회사
이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시픽솔루션 주식회사, 이현수 filed Critical 퍼시픽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7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104B1/en
Publication of KR2018013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9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10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5/4459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디지털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된 복수의 영상신호들을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처리한 후, 이렇게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처리된 영상신호들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를 제어할 경우, 현재 화면분할 처리된 전체영상의 형태변화 없이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에 대응되는 화면분할 영상에 기기제어 영상화면을 오버랩(overlap)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관제자가 특정 디지털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중에도 다른 디지털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보면서 관제할 수 있어 확실하게 영상 관제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 관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viding and dividing a plurality of video signals output from a plurality of digital video apparatuses, and dividing and dividing the divided video signals into a single display screen When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is controlled in a displayed stat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evice control video screen to overlap the display scree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current video image Thus, even when the controller is controlling a specific digital video device, the controller can watch the video input from the other digital video device, so that the video control can be surely performed and the video control efficiency can be improved.

Figure P1020180027766
Figure P1020180027766

Description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SCREEN DIVISION IMAG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division image control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일반적으로, 영상보안 관제시스템 및 영상 관제시스템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관제실에는 중앙 관제시스템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중앙 관제시스템은 원격지에 설치된 영상보안기기 또는 영상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그것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관제자가 육안으로 영상을 관찰하기 위한 것이고, 사건 및 사고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In general, video security control systems and video control systems are widely used. Central control system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control room. The central control system is for monitoring images by the controller by receiving image signals from a video security device or a video device installed at a remote site and displaying them on a monitor, and responding to events and accidents immediately.

이러한 중앙 관제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은 하나의 영상기기에 대하여 하나의 모니터를 대응시키는 것인데, 많은 모니터가 필요함에 따라 중앙 관제시스템의 구축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basic configuration of such a central control system is to correspond one monitor to one video device. However, since a large number of monitors are requi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constructing the central control system is excessively increased.

또한, 관제자가 특정 영상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특정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를 보아야 하는데, 이 경우 다른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를 주시하기 힘들어, 즉 다른 영상이 관제자의 눈길에서 벗어나게 되어 관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웠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trol a specific video device, the controller needs to view a monitor that displays an image input from a specific video device.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watch a monitor that displays an image input from another video device. It was difficult to carry out the control efficiently because it was out of sight.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389304호(2005. 06. 30. 등록)에서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컨트롤러를 개시한다. 개시된 시스템은 다수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와 화면분할장치를 원격지에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DVR과 복수개의 화면분할장치를 제어하고 출력 영상신호를 스위칭하는 하나의 스위치와 원격지에서 스위치 장비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복수개의 콘트롤러로 구성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하나의 콘트롤러에는 하나의 모니터가 대응된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9304 (registered on June 30, 2005) discloses a digital video recorder controller. The disclosed system is for remot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digital video recorders and a screen dividing device. The system includes a single switch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DVRs and a plurality of screen dividing devices and switching output video signals, And a plurality of controllers. In such a system, one monitor corresponds to one controller.

한편, 하나의 모니터에 복수개의 영상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분할 기술이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a screen division technique for divid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on one monitor is known.

국내특허등록 제10-0474211호(2005. 02. 22. 등록)에서는 복수개의 화면분할 다중화기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및 저장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시스템은 각각의 화면 분할/다중화기에 입력되는 카메라 채널의 영상 신호를 축소하여 각각이 담당하고 있는 영역에서만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기타 영역에 대해서는 하이 임피던스 출력을 함으로써 두 개의 화면을 조합하여 전체 분할 화면을 구성하는 것이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74211 (registered on Feb. 22, 2005) discloses a video surveillance and storage system using a plurality of screen division multiplexers. The disclosed system reduces a video signal of a camera channel input to each screen division / multiplexer and outputs a video signal only in an area occupied by the camera channel and outputs a high impedance to the other area, .

국내특허등록 제10-0627585호(2006. 09. 18. 등록)에서는 영상 관제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복수개의 분할 화면들로 분할하는 경우, 분할 화면의 수가 채널 수보다 많아 채널이 할당되지 않은 소정 개수의 분할화면들이 존재하면, 그러한 소정개수의 분할화면들을 인접배치하고 통합하여 확대화면으로 설정하고, 복수개의 분할화면 및 확대화면 각각을 통해 해당 채널의 감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27585 (registered on Mar. 19, 2006) discloses a video control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thereof. In the case where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screens, if the number of divided screens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channels and there is a predetermined number of divided screens that are not allocated with a channel, And controls the monitoring data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to be displayed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screens and the enlarged screens.

국내특허등록 제10-0955026호(2010. 04. 20. 등록)에서는 감시영상의 선택적 화면분할 표시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장치는 한 프레임의 감시영상을 다수의 감시영역 영상으로 구분한 후 보안등급에 따라 허용된 감시영역의 영상만을 출력하게 하고, 허용된 감시영상을 N개의 서브영역으로 다시 분할하여 표시하고, N개의 서브영역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서브영역의 영상을 확대하여 출력하는 것이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55026 (registered on Apr. 20, 2010) discloses an apparatus for selectively displaying divided images of a supervised image and a method thereof. The disclosed apparatus divides a surveillance image of one frame into a plurality of surveillance region images, outputs only the surveillance region images according to the security level, divides the allowed surveillance images into N sub regions, displays N And enlarges and outputs the image of the sub region selected by the user.

국내특허등록 제10-1218360호(2012. 12. 27. 등록)에서는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시스템은 다수의 감시카메라, 멀티플렉서, 메인 모니터 및 영상기록/재생장치를 포함하는데, 멀티플렉서는 다수의 감시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복수 채널의 영상신호를 화면분할하여 메인 모니터에 출력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18360 (registered on December 27, 2012) discloses a monitor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disclosed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surveillance cameras, a multiplexer, a main monitor, and an imag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The multiplexer splits the video signals of a plurality of channels input from a plurality of surveillance cameras and outputs them to the main monitor.

상기 멀티플렉서는 영상손실, 화재경보 또는 도난방지경보와 같은 알람, 움직임과 같은 사건, 즉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으면, 메인 모니터에 분할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고, 이벤트가 발생하면 분할화면 중 이벤트가 발생한 채널의 분할화면에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여 관제자가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The multiplexer displays a divided screen on the main monitor if an event such as an alarm or a motion such as a video loss, a fire alarm or an anti-theft alarm is not detected, and if the event occurs, It indicat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on the screen so that the controller can respond immediately.

상기한 종래 기술들에 따르면, 영상 관제시스템, 특히 영상보안 관제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영상을 채널별로 구분하여 하나의 모니터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화면분할 기술이 적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s, it is understood that a screen segmentation technique for dividing a plurality of images into a plurality of images by a channel in a video monitoring system, in particular, a video security monitoring system, and displaying the divided images on one monitor has been applied.

그러나, 그러한 화면분할 기술은 복수개 채널의 영상을 단순히 한 화면에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일 뿐이고, 그렇게 한 화면에 복수개 채널의 영상을 구분하여 디스플레이 한 상태에서 관제자가 원하는 특정 영상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까지 제안된 적이 없었다.However, such a screen division technique is merely to divide and display an image of a plurality of channels on a single screen, and a technique capable of controlling a specific video apparatus desired by the controller while displaying images of a plurality of channels on such a screen Have not been proposed yet.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389304호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9304 국내특허등록 제10-0474211호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0474211 국내특허등록 제10-0627585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27585 국내특허등록 제10-0955026호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0955026 국내특허등록 제10-121836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1836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디지털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된 복수의 영상신호들을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처리한 후, 이렇게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처리된 영상신호들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를 제어할 경우, 현재 화면분할 처리된 전체영상의 형태변화 없이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에 대응되는 화면분할 영상에 기기제어 영상화면을 오버랩(overlap)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관제자가 특정 디지털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중에도 다른 디지털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보면서 관제할 수 있어 확실하게 영상 관제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 관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a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When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is controlled in a state that is divided and displayed on one display screen, the device control video screen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vid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current video image By controlling the display so that the overlap is displayed,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image input from the other digital video equipment while the controller is controlling the specific digital video equipment, so that the video control can be surely performed and the video control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ivided imag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program.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a)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된 복수개의 영상획득모듈을 통해 주변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영상기기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획득된 아날로드 영상신호들을 디지털 영상신호들로 변환 및 출력하는 단계; (c) 각 디지털 영상기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을 통해 각 디지털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검출하는 단계; (d)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c)에서 검출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기 설정된 화면분할 영상정보에 따라 정해진 크기로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하는 단계; (e)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d)에서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 (f) 표시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e)에서 출력된 각 영상신호를 정해진 위치 및 크기로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 (g) 상기 단계(f)의 화면분할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를 제어할 경우, 제어모듈을 통해 현재 화면분할 처리된 전체영상의 형태변화 없이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에 대응되는 화면분할 영상만을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의 제어를 위한 기기제어 영상화면으로 변화시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h) 사용자 입력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사용자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i)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h)에서 출력된 사용자 입력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j)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i)에서 검출된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특정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k) 제어신호 처리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j)에서 생성된 특정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l)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와 연결된 제어신호 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k)에서 신호 처리된 특정 제어신호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teps of: (a) acquiring a surrounding analog video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modules installed in a designated place indoors or outdoors; (b)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analog load image signals obtained in step (a) to digital image signals through at least one digital image device; (c) detecting digital image signals output from each digital video device through at least on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 connected to each digital video device; (d) subjecting the digital image signals detected in step (c) through the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module to a screen division and scaling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reen division image information; (e) outputting the image signals subjected to the screen division and scaling processing in the step (d) through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f) dividing each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tep (e) into one display scree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size through a display module; (g) If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is controlled in a state in which the screen division of the step (f) is displayed, a screen division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Controlling only the image to be displayed by changing the device control image screen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igital image device; (h) outputting a user input signal by a user operation through a user input module; (i) detecting a user input signal output in step (h) via a user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j) generating a specific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user input signal detected in the step (i) through the control module; (k)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through the control signal processing modul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specific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step (j); And (l) outputting a specific control signal signal-processed in the step (k) through the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connected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

여기서, 상기 단계(c)는,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통신을 이용한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을 통해 각 디지털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검출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c) detects digital image signals outputted from each digital video equipment through each digita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using I 2 C (Inter Integrated Circuit) communication.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을 통해 각 디지털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의 영상 해상도, 비디오 포맷 및 오디오 정보를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한 후,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추출된 영상 해상도, 비디오 포맷 및 오디오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서로 다른 비디오 포맷의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YUV422(YCBCR422) 형식의 비디오 포맷으로 일정하게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in step (c), the image resolution, the video format and the audio information of the digital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respective digital video devices are periodically extracted through the respectiv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Video format and audio information through the control module to periodically check the extracted video resolution, video format, and audio information through the control module to convert the digital video signals of different video formats into the video format of YUV422 (YCBCR422) To be transmitted to the video signal processing module.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g)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 선택모듈을 통해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의 선택 시 특정 선택신호를 상기 제어모듈로 출력한 후,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 선택모듈로부터 출력된 특정 선택신호를 기반으로 현재 화면분할 처리된 전체영상의 형태변화 없이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에 대응되는 화면분할 영상에 기기제어 영상화면이 오버랩(overlap)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step (g), a control target digital image device selection module provided to select the control target digital image device by a user's operation may transmit a specific selection signal upon selection of the control target digital image device A control module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image device selection module,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igital image device selection module,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the device control image screen is displayed in overlap with the divided image.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d)는,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통신을 이용한 상기 제어모듈의 입력 영상 해상도별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을 통해 입력 영상 해상도에 따른 선형 스케일러(Linear Scaler)를 사용하여 상기 단계(c)에서 검출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기 설정된 영상 해상도 및 비디오 포맷으로 일정하게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로 출력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tep (d) comprises: a linear scaler according to input image resolution through the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input image resolution using I 2 C (Inter Integrated Circuit) communication; And output the digital video signals detected in step (c) to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in a predetermined video resolution and video format.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비디오 포맷은 YUV422(YCBCR422) 형식의 비디오 포맷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predetermined video format may be a video format of YUV422 (YCBCR422) format.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e)는,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통신을 이용한 상기 제어모듈의 출력모드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d)에서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들을 상기 표시모듈로 출력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tep (e) includes the steps of: (a) outputting the image segmented and scaled signal-processed in the step (d) through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output mod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using I 2 C Signals to the display module.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g)는, 상기 단계(f)의 화면분할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를 제어할 경우,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표시모듈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현재 화면분할 처리된 전체영상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에 대응되는 화면분할 영상에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 제어 수행을 위한 복수개의 제어메뉴항목들이 구비된 기기제어 영상화면이 오버랩(overlap)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step (g), when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is controlled in a state in which the screen division of the step (f) is displayed,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entir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An apparatus control image screen having a plurality of control menu items for performing control of a corresponding digital video apparatus is displayed in an overlapping display mode on a screen divid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apparatus, .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의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과 상기 단계(e)에서의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은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를 사용하여 디지털 영상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Preferably, each of th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 in step (c)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in step (e) uses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can do.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l)에서, 상기 제어신호 출력모듈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 사이는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통신을 사용하여 제어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step (l), a control signal can be input / output between the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and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us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mmunication.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j)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다용도 입출력 포트(General-purpose input/output, GPIO)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특정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 처리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step (j), the control module may transmit the generated specific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signal processing module using a general-purpose input / output (GPIO) port.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d)는,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c)에서 검출된 서로 다른 해상도와 영상신호 방식의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되도록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기술을 이용하여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step (d), digital image signals of different resolutions and image signal types detected in the step (c) through the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modu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are displayed on one display screen And can perform screen division and scaling signal processing using an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technology so as to be displayed in a divided manner.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i)에서의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은 마우스로 이루어진 사용자 입력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Preferably, the user input signal detecting module in the step (i) may be connected to a user input module formed of a mouse by wire or wirelessly.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에서, 복수 개의 디지털 영상기기로 이루어질 경우, 각각의 디지털 영상기기는 서로 다른 해상도와 영상신호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Preferably, in step (b), when a plurality of digital video devices are used, each of the digital video devices may use different resolutions and video signal formats.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j)는,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i)에서 검출된 현재 사용자 입력신호의 마우스 좌표 값에 기 설정된 화면분할 영상정보의 화면비율 값을 곱하여 사용자 입력신호의 마우스 좌표변환 값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사용자 입력신호의 마우스 좌표변환 값에 따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특정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step (j), the mouse coordinate value of the current user input signal detected in the step (i) is multiplied by the screen ratio value of the pre-set screen division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control module, After generating the conversion value, a specific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ouse coordinate conversion value of the generated user input signal.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술한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capable of executing the above-mentioned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본 발명에 따른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For exampl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hard disk, a floppy disk, a removable storage device, a nonvolatile memory, ,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따르면, 복수의 디지털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된 복수의 영상신호들을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처리한 후, 이렇게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처리된 영상신호들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를 제어할 경우, 현재 화면분할 처리된 전체영상의 형태변화 없이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에 대응되는 화면분할 영상에 기기제어 영상화면을 오버랩(overlap)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관제자가 특정 디지털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중에도 다른 디지털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보면서 관제할 수 있어 확실하게 영상 관제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 관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The method includes dividing and scaling a plurality of video signals output from a plurality of digital video devices When the video signals subjected to the screen division and scaling are divided into one display screen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is controlled in the displayed state,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Controlled image screen to be displayed in an overlapped manner on the screen divid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image, even when the controller is controlling the specific digital image apparatus,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image input from the other digital image apparatus, Not only can you perform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trol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표시모듈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화면분할 처리된 전체영상 및 기기제어 영상화면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erform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tire image and a device control image screen that have been subjected to screen division processing on a display screen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overall flowchart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ich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terms "par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Each block of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s and combinations of steps of the flowcharts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xecution engines), which may be stored in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cessor of a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he instructions that are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will gener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the block diagram.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capable of directing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o implement the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the flowchart.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loaded on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may b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that perform the data processing equipment are capable of providing th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at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each block or step may represent a portion of a module, segment, or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nd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function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successive blocks or steps may actuall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blocks or steps ar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function as nee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표시모듈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화면분할 처리된 전체영상 및 기기제어 영상화면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erform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screen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tire image, and a device control image scree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1000)는, 크게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1010-1 내지 1010-N), 복수의 기기제어 영상신호 검출모듈(1020-1 내지 1020-N), 선택모듈(1030),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1040),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1050), 표시모듈(1060), 사용자 입력모듈(1070),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1080), 및 제어모듈(109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an apparatus 1000 for perform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igital image signal detecting modules 1010-1 to 1010-N, A plurality of device contro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s 1020-1 to 1020-N, a selection module 1030, a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module 1040, a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1050, a display module 1060, A module 1070, a user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080, and a control module 1090,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1000)는, 복수의 제어신호 출력모듈(1100-1 내지 1100-N), 제어신호 처리모듈(1110) 등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The apparatus 1000 for perform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output modules 1100-1 through 1100-N, a control signal processing module 1110, And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ones. 1 are not essential, so that an apparatus for perform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1010-1 내지 1010-N)은 복수의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와 영상 케이블(10-1 내지 10-N)로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1090)의 제어에 따라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검출하여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104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lurality of digital video signal detecting modules 1010-1 to 1010-N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igital video devices 100-1 to 100-N and the video cables 10-1 to 10-N, respectively, And outputs the detected digital image signals to the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module 1040. The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module 1040 detects the digital image signals output from the digital image devices 100-1 to 100-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odule 1090. [

또한,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1010-1 내지 1010-N)은 제어모듈(1090)의 제어에 따라 예컨대,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통신을 이용하여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검출함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ng modules 1010-1 to 1010-N is connected to each of the digital video devices 100-1 to 100-N by using, for example, I2C (Inter Integrated Circuit) communic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090. [ N of the digital image signals.

또한,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1010-1 내지 1010-N)은 제어모듈(1090)의 제어에 따라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의 영상 해상도, 비디오 포맷, 및 오디오 정보를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이를 제어모듈(1090)로 전송할 수 있다.Each of th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s 1010-1 to 1010-N controls the video resolution of the digital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digital video devices 100-1 to 100-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090, Video format, and audio information, and may transmit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module 1090.

또한,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1010-1 내지 1010-N)은 예컨대,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등을 사용하여 디지털 영상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Th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s 1010-1 to 1010-N can input and output digital video signals using, for example,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또한,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1010-1 내지 1010-N)은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현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number of th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s 1010-1 to 1010-N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digital video devices 100-1 to 100-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also be implemented.

한편,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복수의 영상획득모듈(예컨대, CCTV 카메라 등)(미도시)로부터 획득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들을 제공받아 이를 디지털 영상신호들로 변환 및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Each of the digital video devices 100-1 to 100-N receives analog video signals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video acquisition modules (for example, a CCTV camera, etc.) (not shown)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And outputs the converted data.

이러한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는 상기 각 영상획득모듈로부터 획득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저장 및 전송할 수 있도록 구비된 디지털 비디오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DVR),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Network Video Recorder, NVR),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서버(Server)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digital video apparatuses 100-1 to 100-N includes a digital video recorder (DVR) (Digital Video Recorder) that is capable of converting an analog video signal obtained from each video acquisition module into a digital video signal, A network video recorder (NVR), a personal computer (PC), a server, and the like.

이때,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의 저장은 별도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장부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rage of the digital image signals converted through the digital video devices 100-1 to 100-N is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unit (not shown)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And possibly storage media.

전술한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기본적으로 신호전송부, 신호분리부, 영상처리부, 오디오처리부, 제어부 및 전원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each of the digital video devices 100-1 to 100-N may include a signal transmission unit, a signal separation unit, an image processing unit, an audio processing unit, a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여기서, 상기 신호전송부는 예컨대, 동축케이블 등을 통해 상기 각 영상획득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 오디오신호 및/또는 이들의 결합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분리부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획득모듈 제어신호를 상기 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각 영상획득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Here,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may receive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 or a combin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image acquisition module through a coaxial cable, for example, and may transmit the combined signal to the signal separation unit, An acquisition module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each of the image acquisition modules via the coaxial cable.

또한, 상기 신호전송부는 상기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상기 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각 영상획득모듈로 제공할 수도 있다.Als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may provide the power provided by the power supply unit to each image acquisition module through the coaxial cable.

상기 신호분리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전송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오디오신호 및/또는 이들의 결합신호를 분석하여 영상신호 및 오디오신호로 각각 분리한 후, 분리된 영상신호는 상기 영상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분리된 오디오신호는 상기 오디오처리부로 전달한다.The signal separating unit analyzes the video signal, the audio signal, and / or the combined 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separates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into video signals and audio signals, And transmits the separated audio signal to the audio processing unit.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분리부에서 분리되어 전달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 처리하여 별도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converts the analog image signal separated and transmitted by the signal separating unit into a digital imag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displays the digital image signal through a separate monitor.

이때, 상기 각 영상획득모듈을 통해서 촬영되는 영상이 다수개인 경우,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다수의 촬영 영상을 화면분할 기능 등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영상채널별(예컨대, 1~16채널)로 매트릭스 형태의 다분할 화면영상을 구성하고 이를 별도의 모니터에 표시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mages captured through the respective image acquisition modules, the image processing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shot images according to preset image channels (for example, 1 to 16 Channel), and display it on a separate monitor.

이를 위해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신호분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영상보정부와, 상기 영상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다수의 영상신호가 사용되는 경우 별도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n image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and outputting the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separation unit,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mage corrected by the image correction unit, And an image output unit for performing digital image processing for displaying the image through a monitor of the display unit.

상기 오디오처리부는 상기 신호분리부에서 분리되어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The audio processing unit processes the audio signal separated and transmitted from the signal separating unit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through a speaker.

이를 위해 상기 오디오처리부는 상기 신호분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오디오보정부와, 상기 오디오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오디오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오디오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n audio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separation unit and an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udio signal corrected by the audio correction unit through a speaker .

상기 제어부는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바, 특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전송부, 상기 신호분리부, 상기 영상처리부, 상기 오디오처리부 및 상기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performs overall control of each of the digital video apparatuses 100-1 to 100-N, and controls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the signal separation unit, the image processing unit, the audio processing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상기 전원부는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서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의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전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신호전송부에 접속되는 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각 영상획득모듈에게도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receive external power and provide a power source used for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digital video devices 100-1 to 100-N. Also, the power source unit may receive power from the coaxial cable, The module can also provide pow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수의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는 서로 다른 해상도와 영상신호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gital video apparatuses 100-1 to 100-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use different resolutions and video signal systems.

그리고, 상기 각 영상획득모듈은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변의 영상 즉,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Each of the image acquisition modules is installed in a designated specific place in the room and / or outside, and performs a function of acquiring a surrounding image, that is, an analog image signal.

이러한 상기 각 영상획득모듈은 복수개의 카메라부가 각각 그룹지어(grouping)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카메라부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광학부,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 및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구동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each of the image acquiring modules includes a plurality of camera units grouped.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each camera unit may include an optical unit, a CCD (Charge Coupled Device) device, and a camera driver for driving the CCD unit. The bitmap data input to the CCD through the optical unit . The bitmap data may include both still image data and moving image data.

즉, 각 카메라부는 통상의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로서 상기 광학부의 렌즈(Lens)를 통해 모아진 빛을 상기 CCD 소자에 투사시켜, 하나의 정지화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at is, each camera unit may use a method of projecting light collected through a lens of the optical unit onto the CCD device as a normal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to acquire one still image.

이때, 상기 CCD 소자는 빛의 세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잠시 동안 그 값을 유지하게 되며, 이 전기 신호는 CCTV 카메라 내부의 영상신호 변환회로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외부단자를 통해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로 보내진다.At this time, the CCD device converts the light intensity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maintains the value for a while. The electrical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nalog video signal by a video signal conversion circuit inside the CCTV camera, And sent to the digital video apparatuses 100-1 to 100-N.

각 기기제어 영상신호 검출모듈(1020-1 내지 1020-N)은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와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케이블(20-1 내지 20-N)로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1090)의 제어에 따라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로부터 출력된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기기제어 영상신호를 검출하여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104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Each of the device control video signal detecting modules 1020-1 to 1020-N is connected to each of the digital video devices 100-1 to 100-N and a universal serial bus (USB) cable 20-1 to 20-N And detects a device control video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output from each of the digital video devices 100-1 to 100-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090, And outputs it to the processing module 1040.

선택모듈(1030)은 제어모듈(109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기기제어 영상신호 검출모듈(1020-1 내지 1020-N)들 중 어느 하나의 기기제어 영상신호 검출모듈을 선택적으로 스위칭(Switch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lection module 1030 selectively switche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evice contro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s 1020-1 to 1020-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090, .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1040)은 제어모듈(1090)의 제어에 따라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1020-1 내지 1020-N)로부터 검출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제공받아 이를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하여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105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module 1040 receives the digital video signals detected from th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ng modules 1020-1 to 1020-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090 and performs screen division and scaling processing on the digital video signals And outputs it to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1050.

또한,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1040)은 제어모듈(1090)의 제어에 따라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1020-1 내지 1020-N)로부터 검출된 서로 다른 해상도와 영상신호 방식의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되도록 예컨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기술을 이용하여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함이 바람직하다.The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module 1040 controls digital video signals of different resolutions and video signal formats detected by th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s 1020-1 to 1020-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090 It is preferable to perform screen division and scaling signal processing using, for example,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technology so as to be divided and displayed on one display screen.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1050)은 제어모듈(1090)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1040)로부터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들을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표시모듈(106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1050 receives the video signals subjected to the screen division and scaling processing from the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module 10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090 and outputs the received video signals to the display module 1060 based on the received video signals Function.

또한,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1050)은 예컨대,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등을 사용하여 디지털 영상신호를 입출력함이 바람직하다.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1050 preferably inputs and outputs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for example.

표시모듈(1060)은 제어모듈(1090)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105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들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isplay module 1060 displays the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1050 on a single display screen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video signal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090. [

이러한 표시모듈(1060)은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LE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표면 전도형 전자방출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영상신호 등을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06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OLED), Flexible Display, Plasma Display Panel (PDP), Surface Alternating Lighting (ALiS), Digital Light Source Processing (DLP), Silicon Liquid Crystal (LCoS) Type field emission display (FED), laser TV (quantum dots laser, liquid crystal laser), optical dielectric liquid display (FLD),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iMoD), thick film dielectric electricity (TDEL) (QD-LED), telescopic pixel display (TPD), organic light emitting transistor (OLET), laser fluorescent display (LPD), and 3D display Standing long as at least one can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this display (Display) such as a video signal, some would be also be included.

사용자 입력모듈(107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사용자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모듈(1070)은 통상적으로 마우스(Mouse)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상기 마우스와 같이 입력신호의 좌표 값을 출력하는 것(예컨대, 키보드, 리모콘 등)이라면 어느 것이든 상관없다.The user input module 1070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a user input signal by a user's operation. The user input module 1070 is preferably a mou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one that outputs coordinate values of an input signal such as a keyboard or a remote controller Does not matter.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1080)은 제어모듈(109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입력모듈(1070)로부터 출력된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 값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user input signal detecting module 1080 detect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user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module 107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090. [

또한,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1080)은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및 리모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사용자 입력모듈(107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선 통신인 경우 다른 통신수단도 가능하지만, 우선적으로는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통신에 의한 입력부가 선호된다. 무선 통신인 경우 블루투스 무선통신 모듈이 선호된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관제자이다.The user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08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user input module 1070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keyboard, a mouse, and a remote controller, for example,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t this time, in the case of wired communication, other communication means are possible, but preference is given to an input unit by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mmunic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preferred. Here the user is usually the supervisor.

또한, 사용자 입력모듈(1070)과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1080) 사이는 예컨대,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통신을 사용하여 제어신호를 입출력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input module 1070 and the user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080 input and output a control signal using, for example,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mmunication.

그리고, 제어모듈(109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1000)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바, 특히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1010-1 내지 1010-N)로부터 검출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기 설정된 화면분할 영상정보에 따라 해당 디지털 영상신호들이 정해진 크기로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되도록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10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 module 1090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control of the apparatus 1000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divided pi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each of th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ng modules 1010-1 to 1010 N) of the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module 1040 so that the corresponding digital video signals are subjected to screen division and scaling processing in a predetermined size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divided screen image information .

또한, 제어모듈(1090)은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1040)로부터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들을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1050)을 통하여 표시모듈(106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정해진 위치 및 크기로 출력시켜 표시모듈(1060)이 각 영상신호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 module 1090 transmits the image signals processed by the image segmentation and scaling processing from the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module 1040 to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1060 through the digital image signal output module 1050, So that the display module 1060 divides each video signal into one display screen and controls the display to be displayed.

또한, 제어모듈(1090)은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1080)로부터 검출된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 값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 값에 대응되는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예컨대, 100-1)의 기기제어 영상신호 검출모듈(1020-1)이 선택되도록 선택모듈(10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lso, the control module 1090 receive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user input signal detected from the user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080 in real time, analyzes the coordinate values, and outputs the coordinate values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The control module 10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lection module 1030 so that the device contro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 1020-1 of the devices 100-1 and 100-1 is selected.

또한, 제어모듈(1090)은 선택모듈(1030)을 통해 선택된 기기제어 영상신호 검출모듈(1020-1)로부터 검출된 기기제어 영상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표시모듈(106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현재 화면분할 처리된 전체영상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에 대응되는 화면분할 영상에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 제어 수행을 위한 복수개의 제어메뉴항목들이 구비된 기기제어 영상화면이 오버랩(overlap)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90 receives the device control video signal detected by the selected device contro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 1020-1 through the selection module 1030 and displays the device control video signal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1060 A plurality of control menu items for performing the control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are provided on the screen divisi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while maintaining the form of the entire image subjected to the screen division process And to control the device control image screens to overlap with each other.

또한, 제어모듈(1090)은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1080)로부터 검출된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 값에 따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90 also has a function of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 of the user input signal detected from the user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080 can do.

또한, 제어모듈(1090)은 현재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 값에 기 설정된 화면분할 영상정보의 화면비율 값을 곱하여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변환 값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변환 값에 따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를 제어하기 위한 특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출력모듈(1100-1)로 전달되도록 제어신호 처리모듈(1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090 generates a coordinate conversion value of the user input signal by multiply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urrent user input signal by the screen ratio value of the predetermined screen division image information,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110-1 generates a specific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1100-1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And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processing module 1110.

또한, 제어모듈(1090)은 입력 영상 해상도에 따른 선형 스케일러(Linear Scaler)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영상 해상도 및 비디오 포맷이 일정하게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1050)로 출력될 수 있도록 예컨대,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통신을 이용한 입력 영상 해상도별 제어를 통해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10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설정된 비디오 포맷은 예컨대, YUV422(YCBCR422) 형식의 비디오 포맷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090 controls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1050 such that predetermined video resolution and video format can be output to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1050 using a linear scaler according to the input video resolu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module 1040 through control by the input video resolution using an integrated circuit (IC) communication. Meanwhile, the predetermined video format is preferably a video format of YUV422 (YCBCR422) format, for example.

또한, 제어모듈(1090)은 예컨대,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통신을 이용한 출력모드 제어를 통해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10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09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1050 through output mode control using, for example, I 2 C (Inter Integrated Circuit) communication.

또한, 제어모듈(1090)은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1010-1 내지 1010-N)을 통해 추출된 영상 해상도, 비디오 포맷, 및 오디오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서로 다른 비디오 포맷의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YUV422(YCBCR422) 형식의 비디오 포맷으로 일정하게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104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module 1090 periodically checks the video resolution, the video format, and the audio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s 1010-1 to 1010-N to detect digital video signals of different video formats YUV422 (YCBCR422) format video signal format to the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module 1040 in a constant manner.

또한, 제어모듈(1090)은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1080)로부터 검출된 사용자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 중 어떤 특정 디지털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크기 및/또는 해상도가 변경되도록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10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90 receives the user input signal detected from the user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080 and receives the user input signal from the digital video device 100-1 through 100-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module 104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size and / or resolution of the image is changed.

또한, 제어모듈(1090)은 예컨대, 다용도 입출력 포트(General-purpose input/output, GPIO) 등을 이용하여 제어신호 처리모듈(1110) 및/또는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1080)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90 may also control the control signal processing module 1110 and / or the user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080 using, for example, a general-purpose input / output (GPIO) .

한편,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모듈(1070)에 의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예컨대, 100-1)를 선택하고 또한 제어내용을 사용자 입력모듈(1070)에 의하여 입력하면, 그러한 사용자 입력신호는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1080)을 통하여 검출되어 제어모듈(1090)로 입력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selects a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for example, 100-1) to be controlled by the user input module 1070 and inputs the control content by the user input module 1070, Is detected through the user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080 and input to the control module 1090. [

그러면, 제어모듈(1090)은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가 선택되었음을 영상신호 분할화면 상태로 있는 표시모듈(106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 module 1090 can display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1060 that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is selected as the video signal split screen.

예를 들어,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테두리를 특정 칼라로 표시하거나 그러한 테두리가 점멸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가 선택되었음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border of the image input from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in a specific color or blink such a border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at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is selected As shown in FIG.

또한, 제어모듈(1090)은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1040)에 의하여 처리된 각 영상신호가 어떠한 크기를 가지는지에 대한 정보 및 표시모듈(106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어떻게 배치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고, 그것을 참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로부터 입력되어 표시모듈(106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찾을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90 also stores information on how the respective image signals processed by the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module 1040 have sizes and information on how the image signals are arrang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1060, And by referring to it,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1060, which is input from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selected by the user.

즉, 제어모듈(1090)은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에 대한 영상신호와 제어신호를 매칭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그것을 참조함으로써 표시모듈(106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분할영상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및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를 일치시키게 된다.That is, since the control module 1090 stores data for matching the video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for each of the digital video apparatuses 100-1 to 100-N,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control target digital image device 100-1 are matched with each other.

그런 후, 제어모듈(109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내용에 따라 선택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러한 제어신호를 제어신호 처리모듈(1110)로 전달한다.Then, the control module 1090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selected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according to the control content input by the user, and supplies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signal processing module 1110. [ .

그리고, 제어신호 처리모듈(1110)은 제어모듈(1090)의 제어에 따라 제어모듈(1090)로부터 생성된 특정 제어신호를 복수의 제어신호 출력모듈(1100-1 내지 1100-N) 중에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출력모듈(1100-1)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 signal processing module 1110 receives a specific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 module 109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090 and outputs the specific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output modules 1100-1 to 1100- To be output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1100-1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video apparatus 100-1.

이러한 제어신호 처리모듈(1110)의 스위칭 기능에 의하여 전달된 제어신호를 수신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는 그러한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상태를 변경한다.Upo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by the switching function of the control signal processing module 1110,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changes the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일 예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가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화면분할 영상 오버랩 제어 장치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어떤 특정 시간동안에 저장된 영상을 전송하라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실시간 영상 전송을 멈추고 저장된 영상을 전송하는 것으로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apparatus 100-1 transmit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to the display screen divided image overlap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al time during transmission, Whe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to stop, the operation can be changed by stopping the real-time image transmission and transmitting the stored image.

다른 예로, 제어모듈(1090)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는 카메라의 촬영 배율을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의 촬영 배율이 1인 영상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화면분할 영상 오버랩 제어 장치에게 전송되고 있는 중에, 제어모듈(1090)이 카메라 줌인 제어신호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에게 전송하는 경우 예를 들어 4배 비율의 확대된 영상이 본 발명의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게 전송되는 것으로 동작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 module 1090 may be to change the imaging magnification of the camera. The control module 1090 transmits a camera zoom-in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imaging device 100-1 while the image having the camera magnification of 1 is being transmitted to the display screen divided image overlap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for example, an enlarged image of a quadruple magnification ratio is transmitted to an apparatus for perform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operation state can be changed.

그리고, 제어모듈(1090)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는 그러한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상태를 변경하고, 변경된 동작상태에 해당하는 새로운 영상신호를 본 발명의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 전송한다.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 module 1090 changes the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outputs a new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operation state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divided image control method of FIG.

그러면, 본 발명의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10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로부터 수신한 특정 영상신호를 다른 디지털 영상기기(예컨대, 100-2 내지 100-N)로부터 수신한 다른 디지털 영상신호와 함께 처리하여 표시모듈(1060)에서 복수개의 영상이 분할된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1000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 specific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controlled digital image apparatus 100-1 to another digital image apparatus (for example, 100-2 to 100-N) to display a plurality of images on the divided display screen in the display module 1060. [0156]

이때, 본 발명의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1000)는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를 제어하는 도중에도 표시모듈(1060)의 영상신호 분할화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At this time, the apparatus 1000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divided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state of the divided image of the video signal of the display module 1060 while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controlled digital video device 100-1 .

즉, 본 발명의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1000)는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를 제어할 때에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로부터 수신되는 기기제어 영상을 단일 화면으로 표시모듈(1060)에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복수개의 영상들이 분할된 분할화면 상태로 표시모듈(106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That is, the apparatus 1000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screen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apparatus to be controlled 1001, A plurality of images are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1060 in a split screen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s are divided without displaying the images on the single screen in the display module 1060. [

따라서, 관제자는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를 제어하는 중에도 다른 디지털 영상기기(100-2 내지 100-N)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보면서 관제할 수 있게 되어 확실한 영상 관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while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apparatus 100-1 is being controlled,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video images while watching the images input from the other digital video apparatuses 100-2 to 100-N, .

또한, 제어신호 처리모듈(1110)과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 사이는 예컨대,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통신을 사용하여 제어신호를 입출력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signal processing module 1110 and each of the digital video devices 100-1 to 100-N inputs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using, for example,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mmunication.

그리고, 각 제어신호 출력모듈(1100-1 내지 1100-N)은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와 USB 케이블(20-1 내지 20-N)로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모듈(1090)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 처리모듈(1110)로부터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를 제어하기 위한 특정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 signal output modules 1100-1 to 1100-N are connected to the digital video devices 100-1 to 100-N and the USB cables 20-1 to 20-N, respectively, 100-1 to 100-N from the control signal processing module 1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90 and outputs the specific control signals to the respective digital video apparatuses 100-1 to 100- N).

이때,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출력모듈(1100-1)은 제어모듈(1090) 및 제어신호 처리모듈(111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변환 값에 따라 생성된 특정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USB 케이블(20-1)을 통해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로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1100-1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to be controlled performs coordinate conversion of the user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1090 and the control signal processing module 1110, And outputs the specific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through the USB cable 20-1.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각 제어신호 출력모듈(1100-1 내지 1100-N)은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현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하나 이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control signal output modules 1100-1 to 1100-N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digital video devices 100-1 to 100-N, It can also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모듈(109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icroprocesso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 some cases, such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module 109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미도시)에 저장되고, 제어모듈(109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a storage module (not shown) and executed by the control module 1090.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로서,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제어모듈(1090)이 주체가 되어 수행함을 밝혀둔다.FIG. 3 and FIG. 4 are overall flowchart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divide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control module 1090 performs the operation as a subject unless otherwise describ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은, 먼저, 복수의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와 영상 케이블(10-1 내지 10-N)로 각각 연결된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1010-1 내지 1010-N)을 통해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검출한다(S100).Referring to FIGS. 1 to 4, a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digital video devices 100-1 to 100-N and video cables 10-1 to 10- N through the plurality of digita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s 1010-1 to 1010-N connected to the digital video devices 100-1 to 100-N in operation S100.

이때, 상기 단계S100은 예컨대,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통신을 이용한 제어모듈(1090)의 제어에 따라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1010-1 내지 1010-N)을 통해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검출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tep S100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digital video apparatuses 100-N through the respectiv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ng modules 1010-1 to 1010-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090 using I2C (Inter Integrated Circuit) 1 to 100-N.

또한, 상기 단계S100에서, 제어모듈(1090)의 제어에 따라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1010-1 내지 1010-N)을 통해 각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의 영상 해상도, 비디오 포맷, 및 오디오 정보를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제어모듈(1090)로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100, digital signals outputted from the digital video apparatuses 100-1 to 100-N through the respectiv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ng modules 1010-1 to 1010-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090, The video resolution, the video format, and the audio information of the video signals may be periodically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090.

그리고, 제어모듈(1090)을 통해 상기 추출된 영상 해상도, 비디오 포맷, 및 오디오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서로 다른 비디오 포맷의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YUV422(YCBCR422) 형식의 비디오 포맷으로 일정하게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104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90 periodically checks the extracted video resolution, video format, and audio information to periodically check digital video signals of different video formats in a video format of YUV422 (YCBCR422) Module 1040 via the network.

한편, 상기 단계S100에서의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1010-1 내지 1010-N)은 예컨대,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를 사용하여 디지털 영상신호를 입출력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ng modules 1010-1 to 1010-N in the step S100 inputs and outputs a digital video signal using, for example,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다른 한편, 상기 단계S100에서, 복수의 디지털 영상기기(100-1 내지 100-N)는 서로 다른 해상도와 영상신호 방식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step S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digital video apparatuses 100-1 to 100-N use different resolutions and video signal systems.

이후에,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1040)을 통해 상기 단계S100에서 검출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기 설정된 화면분할 영상정보에 따라 정해진 크기로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한다(S200).Thereafter, the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module 1040 processes the digital image signals detected in step S1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ize of the divided image information, and processes the divided image signals in a predetermined size (S200).

이때, 상기 단계S200은 예컨대,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통신을 이용한 제어모듈(1090)의 입력 영상 해상도별 제어에 따라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1040)을 통해 입력 영상 해상도에 따른 선형 스케일러(Linear Scaler)를 사용하여 상기 단계S100에서 검출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기 설정된 영상 해상도 및 비디오 포맷으로 일정하게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105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 설정된 비디오 포맷은 예컨대, YUV422(YCBCR422) 형식의 비디오 포맷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tep S200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image resolution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090 using I2C (Inter Integrated Circuit) communication, using a linear scaler ) To output the digital video signals detected in step S100 to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1050 in a predetermined video resolution and video format. The predetermined video format is preferably a video format of YUV422 (YCBCR422) format, for example.

또한, 상기 단계S200은 제어모듈(1090)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1040)을 통해 상기 단계S100에서 검출된 서로 다른 해상도와 영상신호 방식의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되도록 예컨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기술을 이용하여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함이 바람직하다.In step S200, the digital video signals of different resolutions and video signal types detected in step S100 are divided into one display screen through the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module 10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090 It is preferable to perform screen division and scaling signal processing using, for example,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technology.

그런 다음,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1050)을 통해 상기 단계S200에서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들을 출력한다(S300).Then, in step S300, the image signals subjected to the image segmentation and scaling processing are output through the digital image signal output module 1050 in step S200.

이때, 상기 단계S300은 예컨대,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통신을 이용한 제어모듈(1090)의 출력모드 제어에 따라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1050)을 통해 상기 단계S200에서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들을 표시모듈(1060)로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S300 is a step of controlling the output mode of the control module 1090 using, for example, I 2 C (Inter Integrated Circuit) communication, Signals to the display module 1060.

한편, 상기 단계S300에서의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1050)은 예컨대,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를 사용하여 디지털 영상신호를 입출력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1050 in step S300 may input and output a digital video signal using, for example,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다음으로, 표시모듈(1060)을 통해 상기 단계S300에서 출력된 각 영상신호를 정해진 위치 및 크기로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한다(S400).Next, in step S400, each of the image signals output in step S300 through the display module 1060 is displayed on one display screen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size.

이후에, 사용자 입력모듈(1070)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사용자 입력신호를 출력한 후(S500),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1080)을 통해 상기 단계S500에서 출력된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 값을 실시간으로 검출한다(S600).Thereafter, the user input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user input module 1070 (S500), and the coordinate value of the user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080 And detects it in real time (S600).

이때, 상기 단계S500에서의 사용자 입력모듈(1070)과 상기 단계S600에서의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1080) 사이는 예컨대,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통신을 사용하여 신호를 입출력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signal is input / output between the user input module 1070 in the step S500 and the user input signal detecting module 1080 in the step S600 us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mmunication, for example. desirable.

한편, 상기 단계S600은 예컨대, 다용도 입출력 포트(General-purpose input/output, GPIO)를 이용한 제어모듈(109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1080)을 통해 상기 단계S500에서 출력된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 값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In step S600, the control unit 1090 controls the user input signal based on the user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080,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090 using a general-purpose input / output (GPIO) The coordinate value of the signal can be detected in real time.

또한, 상기 단계S600에서의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1080)은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또는 리모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사용자 입력모듈(107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put signal detecting module 1080 in the step S60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input module 1070 made of, for example, a keyboard, a mouse, or a remote controller by wire or wirelessly.

그럼 다음, 제어모듈(1090)을 통해 상기 단계S600에서 검출된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 값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 값에 대응되는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예컨대, 100-1)와 USB 케이블(20-1)로 연결된 기기제어 영상신호 검출모듈(1020-1)을 스위칭하여 선택한다(S700).Next,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user input signals detected in step S600 are analyzed in real time through the control module 1090, and the control target digital image devices (for example, 100-1 and 100-1)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current user input signals The device contro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 1020-1 connected by the USB cable 20-1 is switched and selected (S700).

다음으로, 상기 단계S700에서 선택된 기기제어 영상신호 검출모듈(1020-1)을 통해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로부터 출력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기기제어 영상신호를 검출한다(S800).Next, the device control video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output from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is detected through the device contro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 1020-1 selected in step S700 (S800).

이후에, 제어모듈(1090)을 통해 상기 단계S800에서 검출된 기기제어 영상신호를 기반으로 표시모듈(106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현재 화면분할 처리된 전체영상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에 대응되는 화면분할 영상에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 제어 수행을 위한 복수개의 제어메뉴항목들이 구비된 기기제어 영상화면을 오버랩(overlap)시킨다(S900).Thereafter,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1060 on the basis of the device control video signal detected in the step S800 through the control module 1090, In operation S900, an apparatus control image screen having a plurality of control menu items for performing control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igital image device is overlapped on a screen divid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image device 100-1.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단계S900 이후에, 제어모듈(1090)을 통해 상기 단계S600에서 검출된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 값에 따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를 제어하기 위한 특정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 단계와,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와 USB 케이블(20-1)로 연결된 제어신호 출력모듈(1100-1)을 통해 상기 제1 단계에서 생성된 특정 제어신호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로 출력하는 제2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fter step S900, the control module 1090 controls the control target digital image device 100-1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 of the user input signal detected in step S600 And a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1100-1 connected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and the USB cable 20-1, And a second step of outputting a specific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더욱이, 상기 제1 단계는, 제어모듈(1090)을 통해 현재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 값에 기 설정된 화면분할 영상정보의 화면비율 값을 곱하여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변환 값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변환 값에 따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를 제어하기 위한 특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출력모듈(1100-1)로 전달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first step, the coordinate conversion value of the user input signal is generated by multiply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urrent user input signal by the screen ratio value of the pre-set screen division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control module 1090, And generates a specific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according to the coordinate conversion value of the user input signal and outputs the specific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1100-1).

한편,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어모듈(1090)은 예컨대, 다용도 입출력 포트(General-purpose input/output, GPIO)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특정 제어신호를 전달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first step, the control module 1090 preferably transmits the generated specific control signal using, for example, a general-purpose input / output (GPIO) port.

그리고, 상기 제2 단계는,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출력모듈(1100-1)을 통해 상기 전달된 사용자 입력신호의 좌표변환 값에 따라 상기 생성된 특정 제어신호를 USB 케이블(20-1)을 통해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로 출력할 수도 있다.In the second step, the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1100-1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controls the generated specific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through the USB cable 20-1.

이때, 제어신호 출력모듈(1100-1)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100-1) 사이는 예컨대,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통신을 사용하여 제어신호를 입출력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1100-1 and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100-1 input / output control signals using, for example,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mmunica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For exampl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hard disk, a floppy disk, a removable storage device, a nonvolatile memory, ,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and exec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be stored and executed as a code readable in a distributed manner.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ethod of controlling a divide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i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0-1 내지 10-N : 영상 케이블,
20-1 내지 20-N : USB 케이블,
100-1 내지 100-N : 디지털 영상기기,
1000 : 디스플레이 화면분할 영상 오버랩 제어 장치,
1010-1 내지 1010-N :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
1020-1 내지 1020-N : 기기제어 영상신호 검출모듈,
1030 : 선택모듈,
1040 :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
1050 :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
1060 : 표시모듈,
1070 : 사용자 입력모듈,
1080 :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
1090 : 제어모듈,
1100-1 내지 1100-N : 제어신호 출력모듈,
1110 : 제어신호 처리모듈
10-1 to 10-N: video cable,
20-1 to 20-N: USB cable,
100-1 to 100-N: Digital video equipment,
1000: display screen divided image overlap control device,
1010-1 to 1010-N: digital image signal detection module,
1020-1 to 1020-N: device contro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
1030: Optional module,
1040: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module,
1050: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1060: display module,
1070: user input module,
1080: User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090: control module,
1100-1 to 1100-N: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1110: Control signal processing module

Claims (16)

(a)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된 복수개의 영상획득모듈을 통해 주변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영상기기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획득된 아날로드 영상신호들을 디지털 영상신호들로 변환 및 출력하는 단계;
(c) 각 디지털 영상기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을 통해 각 디지털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검출하는 단계;
(d)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c)에서 검출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기 설정된 화면분할 영상정보에 따라 정해진 크기로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하는 단계;
(e)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d)에서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
(f) 표시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e)에서 출력된 각 영상신호를 정해진 위치 및 크기로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
(g) 상기 단계(f)의 화면분할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를 제어할 경우, 제어모듈을 통해 현재 화면분할 처리된 전체영상의 형태변화 없이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에 대응되는 화면분할 영상만을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의 제어를 위한 기기제어 영상화면으로 변화시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h) 사용자 입력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사용자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i)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h)에서 출력된 사용자 입력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j)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i)에서 검출된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특정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k) 제어신호 처리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j)에서 생성된 특정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l)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와 연결된 제어신호 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k)에서 신호 처리된 특정 제어신호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a) acquiring a surrounding analog image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image acquisition modules installed in a designated place indoors or outdoors;
(b)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analog load image signals obtained in step (a) to digital image signals through at least one digital image device;
(c) detecting digital image signals output from each digital video device through at least on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 connected to each digital video device;
(d) subjecting the digital image signals detected in step (c) through the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module to a screen division and scaling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reen division image information;
(e) outputting the image signals subjected to the screen division and scaling processing in the step (d) through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f) dividing each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tep (e) into one display scree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size through a display module;
(g) If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is controlled in a state in which the screen division of the step (f) is displayed, a screen division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Controlling only the image to be displayed by changing the device control image screen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igital image device;
(h) outputting a user input signal by a user operation through a user input module;
(i) detecting a user input signal output in step (h) via a user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j) generating a specific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user input signal detected in the step (i) through the control module;
(k)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through the control signal processing modul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specific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step (j); And
(l) outputting a specific control signal signal-processed in the step (k) through the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connected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통신을 이용한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을 통해 각 디지털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c) comprises the step of detecting digital image signals output from each digital video device through each digita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using I2C (Inter Integrated Circuit) communication. Image control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을 통해 각 디지털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의 영상 해상도, 비디오 포맷 및 오디오 정보를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한 후,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추출된 영상 해상도, 비디오 포맷 및 오디오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서로 다른 비디오 포맷의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YUV422(YCBCR422) 형식의 비디오 포맷으로 일정하게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c),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the video resolution, the video format and the audio information of the digital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respective digital video devices are periodically extracted through the respectiv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s, After transmission,
The control module periodically checks the extracted video resolution, video format, and audio information to transmit digital video signals of different video formats to the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module in a video format of YUV422 (YCBCR422) forma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divided ima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g)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 선택모듈을 통해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의 선택 시 특정 선택신호를 상기 제어모듈로 출력한 후,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 선택모듈로부터 출력된 특정 선택신호를 기반으로 현재 화면분할 처리된 전체영상의 형태변화 없이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에 대응되는 화면분할 영상에 기기제어 영상화면이 오버랩(overlap)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g), a control target digital image device selection module provided to select a control target digital image devic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may transmit a specific selection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After output,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display of the device-controlled video image on the screen-divid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entire image subjected to the current screen division process, based on the specific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Is displayed in an overlapping mann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통신을 이용한 상기 제어모듈의 입력 영상 해상도별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을 통해 입력 영상 해상도에 따른 선형 스케일러(Linear Scaler)를 사용하여 상기 단계(c)에서 검출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기 설정된 영상 해상도 및 비디오 포맷으로 일정하게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d) comprises the steps of: using the linear scaler according to the input image resolution through the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input image resolution using I 2 C (Inter Integrated Circuit) And outputting the digital video signals detected in step (c) to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in a predetermined video resolution and video format constantly.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비디오 포맷은 YUV422(YCBCR422) 형식의 비디오 포맷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edetermined video format is a video format of YUV422 (YCBCR422) forma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는, I2C(Inter Integrated Circuit) 통신을 이용한 상기 제어모듈의 출력모드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d)에서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들을 상기 표시모듈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e)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viding the image signals processed in the step (d) by the digital image sign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output mod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using I2C (Inter Integrated Circuit) And outputting the divided image to the display modu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g)는, 상기 단계(f)의 화면분할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를 제어할 경우,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표시모듈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현재 화면분할 처리된 전체영상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에 대응되는 화면분할 영상에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 제어 수행을 위한 복수개의 제어메뉴항목들이 구비된 기기제어 영상화면이 오버랩(overlap)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g) comprises: when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is controlled in a state that the screen division of the step (f) is displayed,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display module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an apparatus control image screen having a plurality of control menu items for performing control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igital image device is displayed in an overlapping manner on a screen divid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digital image device Wherein the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의 각 디지털 영상신호 검출모듈과 상기 단계(e)에서의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모듈은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를 사용하여 디지털 영상신호를 입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gital video signal detection module in step (c) and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module in step (e) input and output a digital video signal using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divided ima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l)에서, 상기 제어신호 출력모듈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 사이는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통신을 사용하여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inputs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us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signal output module and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in the step (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j)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다용도 입출력 포트(General-purpose input/output, GPIO)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특정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 처리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odule transmits the generated specific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signal processing module using a general-purpose input / output (GPIO) port in the step (j) Wa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c)에서 검출된 서로 다른 해상도와 영상신호 방식의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분할하여 표시되도록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기술을 이용하여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신호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d) includes dividing the digital video signals of different resolution and video signal format detected in the step (c) into one display screen through the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modu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dividing and scaling signal processing using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technolog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에서의 사용자 입력신호 검출모듈은 마우스로 이루어진 사용자 입력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r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in the step (i) is connected to a user input module made of a mouse by wire or wireles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복수 개의 디지털 영상기기로 이루어질 경우, 각각의 디지털 영상기기는 서로 다른 해상도와 영상신호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step (b), when a plurality of digital video devices are used, each of the digital video devices uses different resolutions and video signal forma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j)는,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i)에서 검출된 현재 사용자 입력신호의 마우스 좌표 값에 기 설정된 화면분할 영상정보의 화면비율 값을 곱하여 사용자 입력신호의 마우스 좌표변환 값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사용자 입력신호의 마우스 좌표변환 값에 따라 해당 제어대상 디지털 영상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특정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j) comprises: multiplying the mouse coordinate value of the current user input signal detected in the step (i) by the screen ratio value of the pre-set screen division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control module to obtain a mouse coordinate conversion value of the user input signal And generating a specific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igital video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mouse coordinate conversion value of the generated user input signal.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17.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5.
KR1020180027766A 2018-03-09 2018-03-09 Screen division imag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Active KR1019611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766A KR101961104B1 (en) 2018-03-09 2018-03-09 Screen division imag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766A KR101961104B1 (en) 2018-03-09 2018-03-09 Screen division imag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168A Division KR101881370B1 (en) 2017-06-01 2017-06-01 Display screen division image overlap control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958A true KR20180131958A (en) 2018-12-11
KR101961104B1 KR101961104B1 (en) 2019-03-22

Family

ID=6467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766A Active KR101961104B1 (en) 2018-03-09 2018-03-09 Screen division imag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10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409B1 (en) * 2020-04-20 2020-10-14 김동협 Large display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881A (en) 2019-04-22 2020-11-02 (주)판타웍스 Display split control apparatus for multilple teaching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089A (en) * 1999-10-28 2001-05-11 Hitachi Ltd Screen synthesis device for multi-screen
KR100474211B1 (en) 2003-08-22 2005-03-14 (주)펜타마이크로 Digital video surveillance and recording system by using multiple multi-channel video processor
KR200389304Y1 (en) 2005-04-27 2005-07-07 삼성씨씨티비서비스(주) Digital Video Recorder Controller
JP2006254275A (en) * 2005-03-14 2006-09-21 Pioneer Electronic Corp Multidisplay, screen control method and screen control program therefor
KR100627585B1 (en) 2004-07-14 2006-09-25 (주)아이디스 Video monitoring device and its display method
KR20060118274A (en) * 2005-05-16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TV User Control Interface Device
KR100955026B1 (en) 2009-12-23 2010-04-27 (주)미드텍스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 of segmented region in monitoring system
KR101218360B1 (en) 2011-03-15 2013-01-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JP2013228972A (en) * 2012-04-27 2013-11-07 Sharp Corp Touch panel inpu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045445A (en) * 2014-08-26 2016-04-04 三菱電機株式会社 Multi screen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089A (en) * 1999-10-28 2001-05-11 Hitachi Ltd Screen synthesis device for multi-screen
JP3685668B2 (en) * 1999-10-28 2005-08-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Screen synthesizer for multi-screen
KR100474211B1 (en) 2003-08-22 2005-03-14 (주)펜타마이크로 Digital video surveillance and recording system by using multiple multi-channel video processor
KR100627585B1 (en) 2004-07-14 2006-09-25 (주)아이디스 Video monitoring device and its display method
JP2006254275A (en) * 2005-03-14 2006-09-21 Pioneer Electronic Corp Multidisplay, screen control method and screen control program therefor
KR200389304Y1 (en) 2005-04-27 2005-07-07 삼성씨씨티비서비스(주) Digital Video Recorder Controller
KR20060118274A (en) * 2005-05-16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TV User Control Interface Device
KR100955026B1 (en) 2009-12-23 2010-04-27 (주)미드텍스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 of segmented region in monitoring system
KR101218360B1 (en) 2011-03-15 2013-01-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JP2013228972A (en) * 2012-04-27 2013-11-07 Sharp Corp Touch panel inpu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045445A (en) * 2014-08-26 2016-04-04 三菱電機株式会社 Multi screen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409B1 (en) * 2020-04-20 2020-10-14 김동협 Large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104B1 (en) 201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10219A1 (en) Intelligent monitoring camera apparatus and image monitoring system implementing same
US6864921B2 (en) Display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display screen formed of multiple display units
KR102220118B1 (en) Display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CN102801963B (en) Electronic PTZ method and device based on high-definition digital camera monitoring
US20110090341A1 (en) Intruding object detect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778744B1 (en)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US20150249808A1 (en) Monitoring system with monitoring camera
KR100958497B1 (e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using motion detection of image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fore
JP2012049825A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783359B1 (en) Screen division image control system
KR101961104B1 (en) Screen division imag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US11076071B2 (en) Device having a camera overlaid by display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US2022007835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160094655A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Panoramic Video Surveillance with Multiple High-Resolution Video Cameras
JP2015192310A (en) Projection system, portable device, program, and control method of portable device
KR101881370B1 (en) Display screen division image overlap control apparatus
KR101650466B1 (en) High definition video matrix controller
KR1009550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 of segmented region in monitoring system
KR101874588B1 (en) method for display of multi-channel region of interest using high-resolution cameras
JP2004289779A (en) Mobile body imaging method and mobile body imaging system
EP4216539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0259548B1 (en) Digital Multiple Video Surveillance System
US20150358532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program,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12887661B (en) Monitoring system, video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KR100872403B1 (en) Surveillance system to control PTZ camera using fixed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30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7060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7006816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