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55159A - Door lock device using smart phone - Google Patents

Door lock device using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159A
KR20180055159A KR1020160152626A KR20160152626A KR20180055159A KR 20180055159 A KR20180055159 A KR 20180055159A KR 1020160152626 A KR1020160152626 A KR 1020160152626A KR 20160152626 A KR20160152626 A KR 20160152626A KR 20180055159 A KR20180055159 A KR 20180055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martphone
smart phone
door lock
loc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6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봉지수
김건영
이석영
장병철
정재호
김병학
김용석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2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5159A/en
Publication of KR20180055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159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2045/065Switch or sensor type used in alarm locks
    • E05B2045/0655Photo-di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 설정이 가능한 액추에이터가 마련되어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부;와,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인식할 수 있는 비콘; 및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통신하여 상기 잠금부에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IOT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비콘과 무선 연결되는 경우 잠금해제를 위한 구동신호를 IOT 플랫폼에 제공하고, 비콘과 무선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잠금설정을 위한 구동신호를 IOT 플랫폼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apparatus using a smartphone, and a door lock apparatus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lock apparatus using a smart phone, which comprises an actuator capable of locking and unlocking a door, A beacon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s smartphone located in a short distance; And an IOT platform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smartphone to provide a driving signal to the locking unit. When the smart phone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beacon, the smart phone provides a driving signal for unlocking to the IOT platform, And provides a drive signal for setting the lock to the IOT platform when the connection is released.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DOOR LOCK DEVICE USING SMART PHONE}[0001] DOOR LOCK DEVICE USING SMART PHONE [0002]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도어에 근접하는 경우 자동으로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apparatus using a smart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lock apparatus using a smart 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unlocking a user's smart phone when the user's smart phone approaches the door, .

최근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키(key) 조작에 의한 도어 개폐 시스템은 해당 키 없이 문을 개폐하기가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복잡하고 견고하게 설계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도어 개폐 시스템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위한 키의 구조 역시 매우 복잡하게 제작되고 있다.Recently, a door opening / closing system by a key operation which is mainly used is designed to be complicated and robust enough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open and close a door without a corresponding key. Also, the structure of the key for setting and unlocking the door opening / closing system of the door is very complicated.

그러나, 종래의 키 조작에 의한 도어 개폐 시스템은 해당 키를 복제하기가 용이하여 보안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키 조작에 의한 도어 개폐 장치를 복수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각각의 도어 개폐 장치들(예를 들어, 일반 출입문, 자동차, 책상 등) 각각에 대응되는 키들을 모두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 아니라, 복수의 키를 관리함에도 많은 불편함이 존재하였다.However, the door opening / closing system by conventional key operation has a problem that it is easy to duplicate the corresponding key, so that stability against security is very low. Further, in the case of a user who uses a plurality of door opening / closing devices by key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he / she must carry all the key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s (for example, a general door, a car, a desk, etc.) In addition to managing multiple keys, there were many inconveniences.

현재까지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도어 시스템 중 하나는 비밀번호를 눌러서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문을 개폐하는 버튼식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별도의 키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은 해소되었지만, 버튼이 도어의 외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고장의 위험성이 컸다. 또한, 비밀번호 누출에 따른 보안상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One of the door systems which is still widely used is a button-type door opening / closing control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doors by performing a password authentication process. This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rry a separate key, but because the button is located outside the door, there is a great risk of failure. In addition, there was a security problem due to password leakage.

그에 따라, 근래에는 도어의 개폐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의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개폐 방식에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 방식으로 기술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일지라도 사용자는 별도의 스마트 카드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사용 및 관리 측면에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in the door opening / closing system, the door opening / closing method using the contactless smart card has been technically developed in the opening / closing method using the conventional contact type smart card. Even if the door opening / closing method using the contactless smart card is used, the user must have a separate smart card, which is inconvenient in terms of use and management.

이러한 사용 및 관리상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의 개폐 장치 및 방법이 제안되었다. 예컨대, 국내 등록특허 제10-0969594호에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의 마스터 유심카드와 동일한 전화번호로 발급된 슬래이브 유심카드를 도어락에 발급하고, 두 장치 간 호 연결 또는 메세지 전송시 도어락 서버에 의해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 구분함으로써 두 단말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원격지에서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에 의한 도어락 제어가 가능하고 제3자에게 전화번호가 노출되더라도 도어락 접근이 불가능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방법은 도어락 서버를 마련해야 하므로, 도어락 제어 시스템 구축에 많은 자원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o solve such inconvenience of use and management, a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69594 discloses a door lock control system and a method thereof. In this door lock control system, a slave wake-up card issued with the same telephone number as the master wake-up card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ssued to the door lock, and when the call connection or message transmission between the two devices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oor lock by the us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remote location by mak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terminals possible. Also, even if the telephone number is exposed to a third party, door lock access is impossible and security can be enhanced.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requires a door lock server, which requires a lot of resources and time to construct a door lock control system.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0969594호Patent Document 1. Registration No. 10-096959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lock apparatus using a smart phone which can easily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using a smart phon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 설정이 가능한 액추에이터가 마련되어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부;와,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인식할 수 있는 비콘; 및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통신하여 상기 잠금부에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IOT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비콘과 무선 연결되는 경우 잠금해제를 위한 구동신호를 IOT 플랫폼에 제공하고, 비콘과 무선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잠금설정을 위한 구동신호를 IOT 플랫폼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lock apparatus using a smart phone, comprising: a lock unit mounted on a door provided with an actuator capable of locking and unlocking a door; A beacon; And an IOT platform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smartphone to provide a driving signal to the locking unit. When the smart phone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beacon, the smart phone provides a driving signal for unlocking to the IOT platform, And provides a drive signal for setting the lock to the IOT platform when the connection is released.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도어의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를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IOT 플랫폼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martphone generates a driving signal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through the application, and provides the driving signal to the IOT platform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상기 잠금부는, 도어 전방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와,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unit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door in front of the door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when the sensing signal sensed by the infrared sensor exceeds a preset tim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도어에 근접하는 경우 자동으로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비밀번호의 유출 등으로부터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ock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a smartphone of a user approaches a door,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addition, the smartphone can securely protect the facility from leakage of a password A door lock device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따른 근거리 자동 잠금해제 및 잠금 작용을 나타낸 제어순서도,
도 3은 본 발명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따른 원거리 잠금해제 작용을 나타낸 제어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따른 방범 기능을 구비한 잠금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or lock apparatus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trol flowchart showing a near-field automatic unlocking and locking operation according to a door lock device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flowchart showing a remote unlocking action according to the door lock device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locking part having a security function according to a door lock device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door lock apparatus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따른 근거리 자동 잠금해제 및 잠금 작용을 나타낸 제어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따른 원거리 잠금해제 작용을 나타낸 제어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따른 방범 기능을 구비한 잠금부의 개략 구성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oor lock apparatus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trol flowchart showing automatic close lock and lock operation by a door lock apparatus using the smart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locking part having a security function according to the door lock device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trol flowchart showing a remote 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door lock device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는 잠금부(110)와 비콘(120) 및 IOT 플랫폼(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oor lock apparatus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includes a locking unit 110, a beacon 120, and an IOT platform 130.

상기 잠금부(110)는, 도어의 잠금 설정용 후크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112)와, 상기 IOT 플랫폼(130)으로부터 액추에이터(112) 구동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11)와, 도어 전방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113)와, 상기 적외선 센서(113)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1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부(110)에는 번호입력을 위한 키패드와, 도어 개방을 위한 손잡이 등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The locking unit 110 includes an actuator 112 for moving the locking hook of the door in the locking or unlocking direc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 for receiving the driving signal of the actuator 112 from the IOT platform 130. [ An infrared sensor 113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door in front of the door and a speaker 114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infrared sensor 113. Meanwhile, the lock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keypad for inputting numbers, a handle for opening the door, and the like.

상기 비콘(120)(Beacon)은 근거리 무선 센서의 일종으로 블루투스(Bluetooth)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S) 위치를 인식해 상호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비콘(120)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이나 작동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beacon 120 is a type of short range wireless sensor. The beacon 120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a user's smartphone S based on Bluetooth and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Since the beacon 120 has a known configu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eacon 120 will be omitted.

상기 IOT(Internet of Things) 플랫폼은 무선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S) 및 잠금부(110)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인터넷망에 연결되는 것으로, ARTIK 5가 적용될 수 있다. The Internet of Things (IOT) platform can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smartphone S and the lock unit 110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so that ARTIK 5 can be applied.

한편, 상기 IOT 플랫폼(130)에는 다른 기기가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도어락의 제어와 함께 다른 기기가 연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의 조명시스템과 공조시스템 및 멀티미디어시스템 등을 IOT 플랫폼(130)에 연결하면, 도어락의 개방과 함께 상기 시스템들이 작동을 개시하거나, 도어락의 잠금설정과 함께 상기 시스템들의 전원을 차단하는 등의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Meanwhile, since other devices can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IOT platform 130,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other devices to interlock with the control of the door lock. For example, when an indoor lighting system, an air conditioning system, a multimedia system, and the like are connected to the IOT platform 130, the systems start operating with the door lock opened, or the door lock is turned off And so on.

지금부터는 상술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oor lock apparatus using the smart phone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는 크게 자동 잠금해제 작용과, 원거리 제어 작용 및 방범 작용을 제공한다.The door lock apparatus using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largely provides an automatic unlock function, a remote control function, and a crime prevention func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110)의 자동 잠금해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automatic unlocking action of the locking par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에 설치된 비콘(120)은 블루투스 신호를 발생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S)이 근접하는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폰(S)과 페어링된다. 상기 비콘(120)은 사용자가 주로 출입하는 특정 사용시간에만 블루투스 신호를 발생하도록 설정하면, 전원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2A, the beacon 120 installed on the door generates a Bluetooth signal and is paired with the user's smartphone S when the user's smartphone S is nearby. When the beacon 120 is set to generate a Bluetooth signal only during a specific use time in which the user mainly enters and exits, the power use efficiency can be improved.

상기 비콘(120)과 사용자의 스마트폰(S)이 페어링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S)은 잠금 해제를 위한 제어신호를 무선송출하고, 이러한 제어신호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IOT 플랫폼(130)으로 전송된다. When the beacon 120 and the smartphone S of the user are paired, the smartphone S of the user wirelessly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unlock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IOT platform 13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상기 IOT 플랫폼(130)은 사용자의 스마트폰(S)으로부터 제공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잠금부(110)의 액추에이터(112)를 잠금 해제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제공하고, 잠금부(11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제공된 구동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112)를 구동시켜 후크를 잠금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The IOT platform 130 provides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actuator 112 of the locking unit 110 in the unlocking direc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user's smartphone S, The controller 110 drives the actuator 112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signal provid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move the hook in the unlocking direction, thereby unlocking the door.

한편, 잠금부(110)의 자동 잠금 작용을 살펴보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마트폰(S)이 비콘(120)의 블루투스 신호영역을 벗어나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폰(S)과 비콘(120)의 페어링이 해제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S)은 비콘(120)과의 페어링 해제와 동시에 잠금 설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무선송출한다.2 (b), when the user's smartphone S is out of the Bluetooth signal area of the beacon 120, the user's smartphone The pairing of the beacon S and the beacon 120 is canceled and the smartphone S of the user releases the pairing with the beacon 120 and wirelessly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establishing the lock.

이어서, 상기 IOT 플랫폼(130)은 잠금 설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한 뒤, 잠금부(110)의 액추에이터(112)를 잠금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제공하며, 잠금부(110)는 IOT 플랫폼(130)으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112)를 구동시켜 후크를 잠금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어의 잠금을 설정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S)과 비콘(120)의 페어링이 해제되는 경우에 자동 잠금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어가 닫히면 자동으로 잠금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잠금부(110)에는 도어의 닫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IOT platform 130 provides a drive signal for driving the actuator 112 of the lock part 110 in the lock direction afte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or setting the lock, And sets the lock of the door by moving the hook in the locking direction by driving the actuator 112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platform 130. [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tomatic 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pairing of the smartphone S and the beacon 120 is canceled.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set the lock when the door is closed. To this end, the lock portion 110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is closed.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는 근거리 무선 센서인 비콘(120)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S)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잠금부(110)를 자동으로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도어의 출입이 가능하므로, 비밀번호의 유출 등으로부터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oor lock device using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martphone S of the user through the beacon 120, which is a near-field wireless sensor, Can be unlocked. Accordingly, the user can enter and exit the door without inputting a separate password, so that the facility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leakage of the password, and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원거리 제어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원거리에서도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user can set the lock or unlock of the door at a remote place.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S)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S)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잠금해제를 위한 제어신호를 무선송출한다.Specifically, when a command for locking or unlocking is input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s smartphone S, the smartphone S of the user wirelessly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unlocking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이러한 제어신호는 인터넷망을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IOT 플랫폼(130)으로 제공되고, IOT 플랫폼(130)은 사용자의 스마트폰(S)으로부터 제공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잠금부(110)의 액추에이터(112)를 구동시켜 도어를 잠금해제할 수 있다. The control signal is provided to the IOT platform 130 located at a remote place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nd the IOT platform 130 controls the actuator 112 of the lock part 11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user's smartphone S, So that the door can be unlocked.

즉, 사용자는 원격지에서 스마트폰(S)의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부재중 방문자의 출입을 원격지에서 허가할 수 있다. 또한, 실수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 않은 경우에도 원격지에서 도어의 잠금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보안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user can unlock the door by operating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S at a remote location, thereby allowing the remote user to allow the visitor to leave the office. In addition, even if the door is not accidentally locked, the door can be locked at a remote place, thereby improving the security level.

다음으로, 본 발명의 따른 방범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the crime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110)에는 도어의 전방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113)가 마련된다. 따라서, 누군가가 도어의 전방에서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적외선 센서(113)는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이러한 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잠금부(110)에 마련된 스피커(114)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lock unit 110 is provided with an infrared sensor 113 for sens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door. Therefore, when someone stays in the front of the doo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infrared sensor 113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If the detection signal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A warning sound can be output.

한편, IOT 플랫폼(130)은 무선통신부(111)를 통해 잠금부(110)와 연결되므로, 잠금부(110)의 경고음 출력여부를 사용자의 스마트폰(S)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IOT platform 130 is connected to the lock unit 1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s smartphone S with a warning sound output of the lock unit 110, Can be improved.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는, 도어에 설치된 잠금부(110)가 IOT 플랫폼(130)과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S)이 도어에 근접하는 경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므로, 사용자가 별다른 조작 없이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지에서도 스마트폰(S)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도어의 잠금해제 또는 잠금 설정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oor lock apparatus using the smart phon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 unit 110 installed on the door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OT platform 130. When the smart phone S of the user is close to the door, The user can open the door without any operation. In addition, since the unlocking or locking setting of the door can be manipulat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S at a remote place,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10:잠금부, 111:무선통신부,
112:액추에이터, 113:적외선 센서,
114:스피커, 120:비콘,
130:IOT 플랫폼, S:스마트폰
110: locking portion, 111: wireless communication portion,
112: actuator, 113: infrared sensor,
114: speaker, 120: beacon,
130: IOT platform, S: Smartphone

Claims (3)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 설정이 가능한 액추에이터가 마련되어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부;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인식할 수 있는 비콘; 및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통신하여 상기 잠금부에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IOT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비콘과 무선 연결되는 경우 잠금해제를 위한 구동신호를 IOT 플랫폼에 제공하고, 비콘과 무선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잠금설정을 위한 구동신호를 IOT 플랫폼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In a door lock apparatus using a smart phone,
A lock portion provided on the door with an actuator capable of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A beacon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s smartphone located in a short distance; And
And an IOT platform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smartphone to provide a driving signal to the locking unit,
Wherein the smartphone provides a driving signal for unlocking to the IOT platform when the smartphone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beacon and provides a driving signal for locking establishment to the IOT platform when the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beacon is canceled. Door lock device u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도어의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를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IOT 플랫폼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phone generates a driving signal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through an application and provides the driving signal to the IOT platform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도어 전방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와,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ing unit comprises an infrared sensor for sensing a movement of the door in front of the door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when a sensing signal sensed by the infrared sensor exceeds a preset time.
KR1020160152626A 2016-11-16 2016-11-16 Door lock device using smart phone Withdrawn KR201800551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626A KR20180055159A (en) 2016-11-16 2016-11-16 Door lock device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626A KR20180055159A (en) 2016-11-16 2016-11-16 Door lock device using smart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159A true KR20180055159A (en) 2018-05-25

Family

ID=6229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626A Withdrawn KR20180055159A (en) 2016-11-16 2016-11-16 Door lock device using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515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5683A1 (en) * 2019-11-28 2021-06-03 Paxton Access Limited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5683A1 (en) * 2019-11-28 2021-06-03 Paxton Access Limited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2561B2 (en)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for a door including proximity based lock disabling and related methods
US9613478B2 (en)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for a door including door position based authentication and related methods
US9524601B1 (en)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door position based lock switching and related methods
US20170228953A1 (en) Proximity access control devic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1315940B1 (en) Door lock system using smartphone
KR101570463B1 (en) Portable terminals and door locks are interlocked
KR101198512B1 (en) Digital door lock
KR20180070047A (en) door-lock system used beacon
TW201546763A (en) Security system
KR20210043875A (en) Security enhanced door lock and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at
CA3176554A1 (en) Natural language user interface
KR20180124318A (en) smart door-lock system
US20160343183A1 (en)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for a door including proximity based authentication and related methods
KR101980861B1 (en) Fingerprint recognition electronic lock system equipped with alarm function and interlocked with smart phone and securi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lock system
KR20200045905A (en) Multi door lock system and its unlocking method
KR102087361B1 (en) Digital door lock and Digital door lock system
JP4402135B2 (en) Device control system,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device
KR20170024414A (en) Digital door-lock apparatus using a smart phone
KR20180055159A (en) Door lock device using smart phone
JP2011094292A (en) Electric lock system
KR20210094291A (en) Control method for iot smart door rock and control system of iot smart door rock for realizing the control method
KR100722990B1 (en) A door opening / closing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99305A (en) Smart door-lock device
KR101080522B1 (en) Intelligent anti-theft system applied with crime prevention technology of RFID method
EP1732050A1 (en) Apparatus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