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542A - Cartoon cup - Google Patents
Cartoon cu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0542A KR20180000542A KR1020160078656A KR20160078656A KR20180000542A KR 20180000542 A KR20180000542 A KR 20180000542A KR 1020160078656 A KR1020160078656 A KR 1020160078656A KR 20160078656 A KR20160078656 A KR 20160078656A KR 20180000542 A KR20180000542 A KR 201800005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image
- transparent window
- flange
- side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65—Drinking c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은, 측벽에 외부투명창과 외부측면이미지가 구비되는 외부컵; 상기 외측컵 내측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외측투명창과 대응되는 부위에 중간측면이미지와 개구부가 마련되는 중간컵; 상기 중간컵 내측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내부측면이미지가 마련되는 내부컵;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컵과 중간컵과 내부컵은 수직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은, 외측면에 인쇄된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표현하면서 각 이미지의 상대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어 다양한 느낌을 연출할 수 있고, 각 이미지의 교체가 가능하여 활용성이 우수하며,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The cart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up having an outer transparent window and an outer side image on a side wall; An intermediate cup inserted i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up in a fitting manner and having an intermediate side image and an opening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transparent window; And an inner cup inserted into the inner cup in a fitting manner and provided with an inner side image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wherein the outer cup, the middle cup and the inner cup are independently As shown in Fig. The cart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change the relative position of each image while three-dimensionally expressing the image printed on the outer side, so that various feelings can be produced, each image can be replaced, And has a refrigerating fun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가 인쇄된 카툰컵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컵이 포개어지는 구조로 결합되며, 각각의 컵에 인쇄된 이미지들이 겹쳐져 외부로 노출되되 각 이미지들의 위치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카툰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ton cup in which various kinds of images are printe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cups are combined in a superposed structure, and images printed on the respective cups are overlapp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ton cup which is configured to be able to be opened and closed.
컵은 일반적으로 음료, 예를 들어 청량음료나 커피 또는 우유 등의 음료를 따라 마실 수 있는 용기로서, 도자기나 합성수지제 또는 종이 등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컵은 대체적으로 음료를 직접 따라 마시는 음용 용기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상측이 개방된 오목한 모양으로 이루어져 음료가 일정 수위로 담아지고, 이렇게 담아져 있는 음료를 상부를 통하여 마실 수 있도록 되어있다.The cup is generally a container for drinking beverages such as soft drinks, drinks such as coffee or milk, and is made of ceramics, synthetic resin, paper, or the like. Such a cup is generally used as a drinking container for directly drinking a beverage, and usually has a concave shape with an open top, so that the beverage is contained at a certain level, and the beverage thus filled is allowed to drink through the upper portion.
이때, 컵의 외측면에는 그림이나 만화, 광고 등과 같은 이미지가 인쇄되는데, 종래의 컵은 인쇄된 이미지가 항상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므로 컵 사용에 유희를 느낄 수 없고, 이에 따라 장기간 사용 시 쉽게 질리는 단점이 있다.At this time, images such as pictures, cartoons, advertisements, etc. are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In the conventional cup, since the printed image always maintains the same shape, the cup can not feel the use of the cup, .
또한, 컵을 이용하여 음료를 마시는 경우 음료를 차갑거나 따뜻하게 마시는데, 한겹으로 제작된 컵은 음료의 냉기나 온기가 빠르게 사라지므로 음료의 맛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진공 구조를 갖는 보온컵이 제안된바 있으나, 이와 같은 보온컵은 제조공정이 다소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drinking a beverage with a cup, the beverage is cooled or warmed, and the single-ply cup lowers the taste of the beverage because the coolness or warmth of the beverage quickly disappear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heat-insulating cup having a vacuum structure has been proposed. However, such a heat-insulating cup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omewhat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외측면에 인쇄된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표현하고 각 이미지의 상대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각 이미지의 교체가 가능하고,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카툰컵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which can stereoscopically represent an image printed on an outer side, change a relative position of each ima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toon cup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은, 측벽에 외부투명창과 외부측면이미지가 구비되는 외부컵; 상기 외측컵 내측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외측투명창과 대응되는 부위에 중간측면이미지와 개구부가 마련되는 중간컵; 상기 중간컵 내측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내부측면이미지가 마련되는 내부컵;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컵과 중간컵과 내부컵은 수직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rton cup comprising: an outer cup having an outer transparent window and an outer side image on a side wall; An intermediate cup inserted i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up in a fitting manner and having an intermediate side image and an opening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transparent window; And an inner cup inserted into the inner cup in a fitting manner and provided with an inner side image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wherein the outer cup, the middle cup and the inner cup are independently As shown in Fig.
상기 외부투명창은 상기 외부컵의 측벽 중 상단과 중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중간측면이미지와 상기 개구부는 상기 외부투명창이 구비된 지점마다 각각 마련되며, 상기 내부측면이미지는 상기 개구부가 구비된 지점마다 각각 마련된다.Wherein the outer transparent window is provided at an upper end, a lower end and a lower end, respectively, of the side walls of the outer cup, the intermediate side image and the opening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points provided with the outer transparent window, Respectively.
상기 외부컵의 저면에는, 외부저면이미지와 저면투명창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컵 저면 중 상기 저면투명창과 대응되는 지점에 중간저면이미지가 마련된다.An outer bottom image and a bottom transparent window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up, and a middle bottom image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transparent window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dle cup.
상기 외부컵의 내측면 상부에는 제1 삽입홈이 내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A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up,
상기 중간컵의 외측면 상부에는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삽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슬라이드돌기가 형성되며, A first sl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middle cup,
상기 중간컵의 내측면 상부에는 제2 삽입홈이 내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A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up over the entire inner surface,
상기 내부컵의 외측면 상부에는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삽입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 슬라이드돌기가 형성된다.And a second sl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inner cup.
상기 외부컵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는 상단부와, 상기 중간컵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단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중간플랜지와, 상기 내부컵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간플랜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내부플랜지를 추가로 구비하고,An intermediate flange extending out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inner cup and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and an upper flange extending out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inner cup, Further comprising:
상기 상단부와 중간플랜지와 내부플랜지는 외측단이 하나의 면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적층된다.The upper end portion, the middle flange and the inner flange are vertically stacked so that their outer ends form one surface.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은, 외측면에 인쇄된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표현하면서 각 이미지의 상대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어 다양한 느낌을 연출할 수 있고, 각 이미지의 교체가 가능하여 활용성이 우수하며,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The cart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change the relative position of each image while three-dimensionally expressing the image printed on the outer side, so that various feelings can be produced, each image can be replaced, And has a refrigerat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을 구성하는 외부컵과 중간컵과 내부컵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외부컵과 중간컵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의 단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carto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n outer cup, a middle cup and an inner cup constituting the carto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the carto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of the outer cup and the middle cup;
5 is a sectional view of a carto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arto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을 구성하는 외부컵과 중간컵과 내부컵의 측면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of a carto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an outer cup, a middle cup and an inner cup constituting the carto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은 외측면에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나 기호, 문자 등(이하 '이미지'라 약칭한다)이 다수 인쇄되되, 상기 다수의 이미지가 서로 다른 층(layer)으로 제작되어 입체적인 느낌을 줄 수 있어 심미성이 높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이미지가 변경될 뿐만 아니라 각 이미지 간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될 수 있어 활용성이 우수한 카툰컵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the cart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number of images, symbols, and characters (hereinafter, abbreviated as 'images') are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images are made into different layer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toon cup having a high esthetics, an image exposed to the outside by a user's operation, and a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images can be changed.
즉,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에 외부투명창(120)과 외부측면이미지(130)가 구비되는 외부컵(100)과, 상기 외측컵 내측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외측투명창과 대응되는 부위에 중간측면이미지(230)와 개구부(220)가 마련되는 중간컵(200)과, 상기 중간컵(200) 내측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개구부(220)와 대응되는 부위에 내부측면이미지(320)가 마련되는 내부컵(3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외부컵(100)과 중간컵(200)과 내부컵(300)은 수직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arto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컵(100)과 중간컵(200)과 내부컵(300)을 각각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회전시키는지에 따라, 중간컵(200)에 인쇄된 중간측면이미지(230)와 내부컵(300)에 인쇄된 내부측면이미지(320) 중 상기 외부투명창(120)을 통해 노출되는 영역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중간측면이미지(230)가 중간컵(200)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다수 개 인쇄되더라도 외부투명창(120)이 외부컵(100)의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는 경우, 외부컵(100)이나 중간컵(200)의 회전에 따라 어떤 중간측면이미지(230)가 외부투명창(12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지가 결정된다.Therefore, depending on how much the user rotates the
이때, 상기 중간컵(200)에 인쇄된 중간측면이미지(230)가 여러 컷으로 이루어지는 카툰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내부컵(300) 내에 담겨진 음료를 마시면서 외부컵(100)을 일방향으로 돌려가면서 중간측면이미지(230)를 한 컷씩 볼 수 있으므로, 음료섭취와 유희를 동시에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부컵(100)과 중간컵(200)은 각각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므로, 상기 중간컵(200)을 중간측면이미지(230)가 다른 종류로 교체함으로써, 외부투명창(120)을 통해 새로운 카툰을 보도록 활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외부컵(100)과 중간컵(200)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는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this case, when the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컵에 이미지가 인쇄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이미지는 문자나 기호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가 문자나 기호 등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의 구성 및 효과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실시예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only the case where an image is printed on each cup is shown, but the image can be replaced with a character, a symbol, or the like. Even when an image is replaced with a character or a symbol,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carto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us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은 외부투명창(120)을 통해 노출되는 이미지가 2차원적인 평면이 아니라 입체적으로 겹쳐진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중간컵(200)에 개구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컵(300)에는 개구부(220)와 대응되는 부위에 내부측면이미지(320)가 인쇄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The cart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이와 같이 중간컵(200)에 개구부(220)가 형성되고 내부컵(300)에 내부측면이미지(320)가 인쇄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투명창(120)으로는 중간측면이미지(230)와 내부측면이미지(320)가 다른 층(layer)으로 노출되는바, 보다 입체적인 이미지를 노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외부투명창(120)에 외부측면이미지(130)가 추가로 마련되면, 상기 외부측면이미지(130)와 중간측면이미지(230)와 내부측면이미지(320)가 3개의 층(layer)으로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외부투명창(120)을 통해 노출되는 이미지를 보다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When the
또한, 중간측면이미지(230)가 외부투명창(120)을 통해 노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개구부(220)를 통해 내부측면이미지(320)가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선택할 수 있으므로, 외부투명창(120)을 통해 노출되는 이미지를 보다 다양한 구조로 변경시킬 수 있어 활용도가 매우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물론, 상기 내부컵(300) 역시 중간컵(20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므로, 상기 내부컵(300)을 다른 종류로 교체함으로써 개구부(220)를 통해 노출되는 내부측면이미지(320)를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컵(300)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중간컵(200)에 결합되는 구조 역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Of course, since the
상기 외부컵(100)에 구비되는 외부투명창(120)의 개수와 형상은, 용도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투명창(120)은 하나의 외부컵(100)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외부컵(100)에 3개 즉, 상기 외부컵(100)의 측벽 중 상단과 중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The number and shape of the outer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외부컵(100)에 3개의 외부투명창(12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중간측면이미지(230)와 상기 개구부(220)는 상기 외부투명창(120)이 구비된 지점마다 각각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상기 내부측면이미지(320)는 상기 개구부(220)가 구비된 지점마다 각각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When the three outer
이와 같이 하나의 외부컵(100)에 다수 개의 외부투명창(120)이 구비되면, 각각의 외부투명창(120)을 통해 노출되는 이미지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하나의 카툰컵에 다수 개의 카툰을 실을 수 있게 된다. When a plurality of outer
또한, 상기 외부컵(100)에 구비되는 외부투명창(120)의 형상은 외부컵(100)의 측벽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외부컵(100)의 외주면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중단 외부투명창(120)과 같이 외부컵(100) 측벽 일측만을 관통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외부컵(100) 또는 중간컵(200)을 회전시켜가면서 상기 중단 외부투명창(120)을 통해 이미지를 한 컷씩 볼 수 있고, 도 2(a)에 도시된 상단 외부투명창(120)과 하단 외부투명창(120)과 같이 외부컵(100)의 측벽을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외부투명창(120)을 통해 여러 이미지를 파노라마 형태로 볼 수 있다는 기능상의 차이가 있다. The shape of the outer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의 저면도이고, 도 4는 외부컵(100)과 중간컵(200)의 저면도이다.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cart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은 측면으로만 이미지를 노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저면으로도 이미지를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art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expose an image to the bottom surface instead of exposing only the side image.
즉, 상기 외부컵(100)의 저면에는 외부저면이미지(140)와 저면투명창(150)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컵(200) 저면 중 상기 저면투명창(150)과 대응되는 지점에는 중간저면이미지(240)가 마련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저면이미지(140)와 중간저면이미지(240)가 입체적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an
이때, 외부컵(100)이나 중간컵(200)을 회전시킬 때 외부저면이미지(140)와 중간저면이미지(240) 간의 상대각도가 변경되는바, 사용자는 외부컵(100)이나 중간컵(200)을 회전시켜가면서 카툰컵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이미지를 다양한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는 장점 즉,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으로 보다 많은 유희를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when the
또한, 외부컵(100)이나 중간컵(200)을 교체 장착함으로써 상기 외부저면이미지(140)와 중간저면이미지(240)를 바꿀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외부저면이미지(140)와 중간저면이미지(240)를 교체하였을 때 얻어지는 장점은 외부측면이미지(130)와 중간측면이미지(230)를 교체하였을 때 얻어지는 장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음료가 채워지는 내부컵(300)의 내벽 및 바닥에도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내부컵(300)의 내벽과 바닥에 이미지가 인쇄되는 기술적 사상은 종래의 컵에도 동일하게 구현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의 단면도이다.5 is a sectional view of a carto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은 외부컵(100)과 중간컵(200)과 내부컵(300) 중 하나 이상의 컵을 수직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시켰을 때, 외부투명창(120)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는데, 상호 겹치도록 결합된 외부컵(100)과 중간컵(200)과 내부컵(300)이 과도하게 압착되면 즉,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면 각각의 컵이 독립적으로 자전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된다.The cart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one or more cups of the
물론, 외부컵(100)과 중간컵(200)과 내부컵(300)을 헐겁게 적층시키면 각각의 컵을 독립적으로 자전시키기 용이해지지만, 외부컵(100)과 중간컵(200)과 내부컵(300) 중 하나 이상의 컵을 자전시키는 과정에서 외부컵(100)과 중간컵(200)과 내부컵(300)이 분리되거나 상하방향으로 흔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투명창(120)을 통해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노출되지 아니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Of course, if the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컵(100)의 내측면 상부에는 제1 삽입홈(112)이 내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중간컵(200)의 외측면 상부에는 상기 제1 삽입홈(112)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삽입홈(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슬라이드돌기(212)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컵(200)의 내측면 상부에는 제2 삽입홈(214)이 내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내부컵(300)의 외측면 상부에는 상기 제2 삽입홈(214)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삽입홈(2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 슬라이드돌기(312)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cart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이와 같이 각각의 컵에 삽입홈과 슬라이드돌기가 형성되면, 외부컵(100)과 중간컵(200)과 내부컵(300)을 적층방식으로 포개었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홈(112)에 제1 슬라이드돌기(212)가 삽입되고 제2 삽입홈(214)에 제2 슬라이드돌기(312)가 삽입되는바, 제1 삽입홈(112)으로부터 제1 슬라이드돌기(212)가 빠지거나 제2 삽입홈(214)으로부터 제2 슬라이드돌기(312)가 빠지지 아니하는 한, 외부컵(100)과 중간컵(200)과 내부컵(300)은 상호 분리되거나 상하방향으로 흔들리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 즉, 외부투명창(120)을 통해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5, when the
물론, 상기 제1 슬라이드돌기(212)와 제2 슬라이드돌기(312)가 외력에 의해 제1 삽입홈(112)과 제2 삽입홈(214)에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고 탈거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컵(100)과 중간컵(200)과 외부컵(100)은 모두 플라스틱이나 종이 등과 같이 일정 수준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Of course, in order that the
한편, 외부컵(100)이 과도하게 중간컵(200) 내측으로 압입되거나 중간컵(200)이 과도하게 내부컵(300) 내측으로 압입되면, 외부투명창(120)과 중간측면이미지(230) 및 내부측면이미지(320)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아니하게 되어 상기 중간측면이미지(230)와 내부측면이미지(320)가 정상적으로 외부투명창(12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각 컵들이 과도하게 큰 힙으로 압착되면 외부컵(100)이나 중간컵(200), 내부컵(300)이 파손 및 손상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When the
본 발명에 의한 카툰컵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컵(10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는 상단부(110)와, 상기 중간컵(20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단부(110)의 상면에 안착되는 중간플랜지(210)와, 상기 내부컵(30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간플랜지(210)의 상면에 안착되는 내부플랜지를 추가로 구비한다.The carton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이와 같이 중간플랜지(210)가 상단부(110)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중간플랜지(210)나 상단부(110)가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중간컵(200)이 외부컵(100) 내측으로 과도하게 압입되지 아니하게 되고, 내측플랜지(310)가 중간플랜지(210)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내측플랜지(310)나 중간플랜지(210)가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내부컵(300)이 중간컵(200) 내측으로 과도하게 압입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When the
또한, 사용자가 카툰컵에 담겨진 음료를 마실 때에는 상단부(110)와 중간플랜지(210)와 내측플랜지(310)에 입술을 갖다 대는데, 이때 상기 상단부(110)와 중간플랜지(210)와 내부플랜지 간에 단차가 형성되면 음료를 마시는데 불편함이 유발될 수 있는바, 상기 상단부(110)와 중간플랜지(210)와 내부플랜지는 외측단이 하나의 면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적층됨이 바람직하다.When the user drinks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arton cup, the lips are put on th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 외부컵
110 : 상단부
112: 제1 삽입홈
120 : 외부투명창
130 : 외부측면이미지
140 : 외부저면이미지
150 : 저면투명창
200 : 중간컵
210 : 중간플랜지
212 : 제1 슬라이드돌기
214 : 제2 삽입홈
220 : 개구부
230 : 중간측면이미지
240 : 중간저면이미지
300 : 내부컵
310 : 내측플랜지
312 : 제2 슬라이드돌기
320 : 내부측면이미지100: outer cup 110: upper end
112: first insertion groove 120: outer transparent window
130: Outer side image 140: Outer bottom image
150: bottom transparent window 200: middle cup
210: intermediate flange 212: first slide projection
214: second insertion groove 220: opening
230: intermediate side image 240: middle bottom image
300: inner cup 310: inner flange
312: second slide projection 320: inner side image
Claims (5)
상기 외측컵 내측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외측투명창과 대응되는 부위에 중간측면이미지(230)와 개구부(220)가 마련되는 중간컵(200);
상기 중간컵(200) 내측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개구부(220)와 대응되는 부위에 내부측면이미지(320)가 마련되는 내부컵(300);
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컵(100)과 중간컵(200)과 내부컵(300)은 수직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툰컵.
An outer cup (100) having an outer transparent window (120) and an outer lateral image (130) on the side wall;
An intermediate cup 200 inserted in the inside of the outer cup in a fitting manner and having an intermediate side image 230 and an opening 220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transparent window;
An inner cup 300 inserted into the middle cup 200 in a fitting manner and having an inner side image 320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220;
≪ / RTI >
Wherein the outer cup (100), the middle cup (200), and the inner cup (300) are configured to be independently rotatable about a vertical central axis.
상기 외부투명창(120)은 상기 외부컵(100)의 측벽 중 상단과 중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중간측면이미지(230)와 상기 개구부(220)는 상기 외부투명창(120)이 구비된 지점마다 각각 마련되며,
상기 내부측면이미지(320)는 상기 개구부(220)가 구비된 지점마다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툰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transparent window 120 is provided at an upper end, an intermediate portion and a low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outer cup 100,
The intermediate side image 230 and the opening 220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points provided with the external transparent window 120,
Wherein the inner side image (320) is provided for each of the openings (220).
상기 외부컵(100)의 저면에는, 외부저면이미지(140)와 저면투명창(150)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컵(200) 저면 중 상기 저면투명창(150)과 대응되는 지점에 중간저면이미지(24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툰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uter bottom image 140 and a bottom transparent window 150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up 100,
Wherein the middle bottom surface (240)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transparent window (150)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dle cup (200).
상기 외부컵(100)의 내측면 상부에는 제1 삽입홈(112)이 내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중간컵(200)의 외측면 상부에는 상기 제1 삽입홈(112)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삽입홈(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슬라이드돌기(212)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컵(200)의 내측면 상부에는 제2 삽입홈(214)이 내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내부컵(300)의 외측면 상부에는 상기 제2 삽입홈(214)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삽입홈(2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 슬라이드돌기(3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툰컵.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first insertion groove 112 is form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up 100,
A first slide protrusion 212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slot 112 and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insertion slot 11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iddle cup 200,
A second insertion groove 214 is form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ide of the middle cup 200,
A second slide protrusion 312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4 and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4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up 300 Cartoon cup to make.
상기 외부컵(10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는 상단부(110)와,
상기 중간컵(20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단부(110)의 상면에 안착되는 중간플랜지(210)와,
상기 내부컵(30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간플랜지(210)의 상면에 안착되는 내부플랜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상단부(110)와 중간플랜지(210)와 내부플랜지는 외측단이 하나의 면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툰컵.
The method of claim 4,
An upper end 110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cup 100,
An intermediate flange 210 exten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middle cup 200 an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110,
Further comprising an inner flange extending out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inner cup (300) and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flange (210)
Wherein the upper end portion (110), the middle flange (210), and the inner flange are vertically stacked so that their outer ends form a single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8656A KR20180000542A (en) | 2016-06-23 | 2016-06-23 | Cartoon cu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8656A KR20180000542A (en) | 2016-06-23 | 2016-06-23 | Cartoon cu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542A true KR20180000542A (en) | 2018-01-03 |
Family
ID=6100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8656A Abandoned KR20180000542A (en) | 2016-06-23 | 2016-06-23 | Cartoon cu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0542A (en)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25383A (en) * | 1993-03-09 | 1996-06-11 | Witkowski; Daniel D. | Container for diplaying transitory moving images |
JPH106685A (en) * | 1996-06-19 | 1998-01-13 | Wakimoto Seisakusho:Kk | Container |
KR200177843Y1 (en) * | 1999-10-21 | 2000-04-15 | 김강철 | A magic bowl |
KR200244513Y1 (en) * | 2001-06-13 | 2001-10-17 | 주식회사 진우콜렉션 | a vessel |
US6352168B1 (en) * | 2001-06-21 | 2002-03-05 | Jung-Chuang Lin | Rotation cup |
KR200308921Y1 (en) * | 2002-11-15 | 2003-03-31 | 문기원 | A coupling makeup of a twofold container |
US7631781B2 (en) * | 2008-01-08 | 2009-12-15 | Tsan-Yao Chen | Double-layered rotary cup |
KR100966488B1 (en) * | 2008-02-05 | 2010-06-30 | 이규주 | Cup lid with puzzle |
KR101164154B1 (en) * | 2012-03-12 | 2012-07-11 | 최재선 | Beverage receptacle for displaying various visual effects |
-
2016
- 2016-06-23 KR KR1020160078656A patent/KR20180000542A/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25383A (en) * | 1993-03-09 | 1996-06-11 | Witkowski; Daniel D. | Container for diplaying transitory moving images |
JPH106685A (en) * | 1996-06-19 | 1998-01-13 | Wakimoto Seisakusho:Kk | Container |
KR200177843Y1 (en) * | 1999-10-21 | 2000-04-15 | 김강철 | A magic bowl |
KR200244513Y1 (en) * | 2001-06-13 | 2001-10-17 | 주식회사 진우콜렉션 | a vessel |
US6352168B1 (en) * | 2001-06-21 | 2002-03-05 | Jung-Chuang Lin | Rotation cup |
KR200308921Y1 (en) * | 2002-11-15 | 2003-03-31 | 문기원 | A coupling makeup of a twofold container |
US7631781B2 (en) * | 2008-01-08 | 2009-12-15 | Tsan-Yao Chen | Double-layered rotary cup |
KR100966488B1 (en) * | 2008-02-05 | 2010-06-30 | 이규주 | Cup lid with puzzle |
KR101164154B1 (en) * | 2012-03-12 | 2012-07-11 | 최재선 | Beverage receptacle for displaying various visual effec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17573B2 (en) | Carton with removable three-dimensional viewer | |
EP2862814B1 (en) | Container capable of mixing multiple materials | |
CN105433702A (en) | Lid for a beverage cup, cup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d | |
KR200466313Y1 (en) | Multi-Straw Cup | |
US20090261095A1 (en) | Duo twin-containers drinking disposable cup system | |
KR20180000542A (en) | Cartoon cup | |
KR101872247B1 (en) | Container for displaying 3d solid hologram image | |
JP3194623U (en) | Beverage cup structure | |
AU2014288922B2 (en) | A package having visual motion effects | |
KR101164154B1 (en) | Beverage receptacle for displaying various visual effects | |
JP5360728B2 (en) | Beverage cup lid with lid | |
JP2015223297A (en) | Container for eating and drinking and method of serving beverage using the same | |
JP2007331756A (en) | Subdividing container or beverage container | |
CN212891854U (en) | Beverage packaging new structure with blind box function | |
US8839985B1 (en) | Coffee cup plug | |
KR20090006211U (en) | Disposable coffee mix packaging for separating and storing coffee ingredients | |
KR101760235B1 (en) | Cup Including two Drink Vessel | |
WO2015186876A1 (en) | Container coupled to upper end of cup and enabling drinking of different kinds of beverages | |
US20160207668A1 (en) | Container | |
JP3097489U (en) | Premium container for beverage cans | |
KR20190143018A (en) | A double drink cap | |
TWM359985U (en) | Model lid for beverage container | |
US20200361677A1 (en) | Maze cup topper | |
JP3182170U (en) | PET bottles | |
JP3175784U (en) | Beverage container with multiple storage roo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0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