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41525A - Smart watch - Google Patents

Smart wa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525A
KR20170141525A KR1020160074699A KR20160074699A KR20170141525A KR 20170141525 A KR20170141525 A KR 20170141525A KR 1020160074699 A KR1020160074699 A KR 1020160074699A KR 20160074699 A KR20160074699 A KR 20160074699A KR 20170141525 A KR20170141525 A KR 20170141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ngle
decor
elastic protrusion
wa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6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태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4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1525A/en
Publication of KR20170141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525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8Graduations on the crystal or glass, on the bezel, or on the rim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76Decoration of the case and of parts thereof, e.g. as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워치형 단말기의 본체 전면에 구비되는 데코 프레임을 쉽고 간편하게 착탈 결합하는 방식에 관한 발명으로서,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 상기 베젤 영역 둘레 제1 영역에 형성된 회전턱, 상기 베젤 영역 제1 지점에 돌출 구비된 탄성 돌출부, 상기 전면 프레임에 대해 제1 각도에서 안착하여 제2 각도로 회전 결합하는 데코 프레임, 상기 데코 프레임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데코 프레임이 제1 각도에서 제2 각도로 회전시 상기 회전턱에 걸리는 결합돌기 및 상기 데코 프레임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데코 프레임이 제1 각도에서 제2 각도로 회전시 상기 탄성 돌출부와 맞물려 상기 탄성 돌출부의 압축을 해제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easily and easily detaching and attaching a decoy fram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a watch-type terminal, comprising: a front frame forming a front surface including a bezel region; a rotating jaw formed in a first region around the bezel region; A decoupled frame which is seated at a first angle relative to the front frame and rotatably engaged at a second angle; a protrusion formed inside the deco frame so that the deco frame rotates at a first angle to a second angle, And a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decoupling frame and engaged with the elastic protrusion when the decor frame rotates at a second angle from a first angle to release the compression of the elastic protrusion, And a watch-type terminal.

Description

워치형 단말기{SMART WATCH}A watch-type terminal {SMART WATCH}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부재를 구비한 워치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ch-type terminal having a detachable member.

워치형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디자인적 요소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가 다양화 되고 있다. 가장 간단한 예로, 본체와 스트랩의 결합으로 구비되는 형태의 워치형 단말기에 있어서, 교체형 스트랩을 들 수 있다. 스트랩의 교체를 통해 워치형 단말기의 형태, 색상, 기능 등을 변경할 수 있다.The structure for providing design elements to the users in the watch type terminals is diversified. As a simplest example, a replaceable strap can be mentioned as a watch type terminal provided with a combination of a body and a strap. The shape, color, and function of the watch-type terminal can be changed by replacing the strap.

다만, 스트랩을 교체하는 경우에도 워치형 단말기의 본체는 그대로 유지되어 디자인 변경에 제한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 자체를 교체하지 않는 이상 본체 디자인의 변경은 불가능한 것이 사실이다.However, even when the strap is replaced, the main body of the watch-type terminal remains unchanged, thereby causing restrictions on the design change. Therefore, it is true that the body design can not be changed unless the body itself is replac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워치형 단말기의 본체 디자인을 변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change the body design of the watch-type terminal, which is the above-mentioned problem.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 상기 베젤 영역 둘레 제1 영역에 형성된 회전턱, 상기 베젤 영역 제1 지점에 돌출 구비된 탄성 돌출부, 상기 전면 프레임에 대해 제1 각도에서 안착하여 제2 각도로 회전 결합하는 데코 프레임, 상기 데코 프레임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데코 프레임이 제1 각도에서 제2 각도로 회전시 상기 회전턱에 걸리는 결합돌기 및 상기 데코 프레임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데코 프레임이 제1 각도에서 제2 각도로 회전시 상기 탄성 돌출부와 맞물려 상기 탄성 돌출부의 압축을 해제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ront frame forming a front surface including a bezel region, a rotation jaw formed in a first region around the bezel region, A decoupled frame which is seated at a first angle relative to the front frame and rotatably engaged with the front frame at a second angle, the protrusion being protruded inside the deco frame so that when the deco frame rotates from a first angle to a second angle, And a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decor frame so as to engage with the elastic projection when the decor frame rotates from a first angle to a second angle to release the elastic projec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데코 프레임은, 상기 데코 프레임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데코 프레임이 상기 제1 각도에서 상기 제2 각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탄성 돌출부를 압축시키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r frame is formed on a back surface of the decor frame so that a guide groove for compressing the elastic protrusion while the decor frame rotates from the first angle to the second angl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atch-typ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면 프레임은, 상기 탄성 돌출부가 안착되어 결합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돌출부는, 상기 결합홈 내측에 안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홈과 맞물리는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frame further includes an engagement groove in which the elastic protrusion is seated and engaged. The elastic protrusion includes a spring seated inside the engagement groove, And a ball engageable with the seating groov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데코 프레임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턱은 상기 데코 프레임의 내주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베젤 영역에 구비된 측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cor frame, and the rotation protuberance is formed on a sidewall of the bezel region so as to fac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cor fram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는 상기 회전턱으로부터 상기 베젤 전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ight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equal to a distance from the rotation ta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eze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측벽의 내주면은 디스플레이부 외주면과 접하고, 상기 측벽 상면은 상기 데코 프레임의 전면에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wall is in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display portion,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is covered by a front surface of the decor fr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 상기 베젤 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선홈, 상기 베젤 영역 제1 지점에 돌출 구비된 탄성 돌출부, 상기 전면 프레임에 대해 나사 결합하는 데코 프레임 및 상기 데코 프레임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데코 프레임이 상기 전면 프레임에 나사 결합시 상기 탄성 돌출부와 맞물려 상기 탄성 돌출부의 압축을 해제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ront frame forming a front surface including a bezel region, a helical groov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ezel, an elastic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point of the bezel region, And a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deco frame for engaging with the elastic protrusion when the decor frame is screwed to the front frame to release the compression of the elastic protrusion. Lt; / RTI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데코 프레임은, 상기 데코 프레임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데코 프레임이 상기 전면 프레임에 나사 결합하는 동안 상기 탄성 돌출부를 압축시키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r frame further includes a guide groove formed on a back surface of the decor frame to compress the elastic protrusion while the decor frame is screwed to the front frame. Typ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워치형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워치형 단말기 본체 전체의 교체 없이 본체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ody design can be changed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body of the watch-typ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데코 프레임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lso,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cor frame can be easily repla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데코 프레임을 결합할 때 나사 결합을 통한 경우보다 조금만 돌려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coupled frame can be stably fixed even when rotated by a little more than when screw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데코 프레임이 결합하기 위한 정확한 위치에 구비되었는지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lso,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a decoy frame is provided at an accurate position for engaging.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워치형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워치형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데코 프레임과 전면 프레임의 결합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데코 프레임이 전면 프레임에 안착하여 일정 각도 회전한 상태의 A-A'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워치형 단말기의 데코 프레임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2에서 데코 프레임이 제2 각도 회전한 상태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서 데코 프레임이 제1 각도와 제2 각도 사이의 제3 각도 회전한 상태에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워치형 단말기에 있어서 데코 프레임과 전면 프레임의 결합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 방향 단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ch-type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deco frame and a fron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in which the decor frame is seated on the front frame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ig. 5 shows a rear view of a decor frame of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BB 'direc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decor frame is rotated at the second angle in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BB 'direc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decor frame is rotated at a third angle betwee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in Fig. 2;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decoy frame and a front frame in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in the CC 'direction of FIG.

워치형 단말기(100)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디자인적 요소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가 다양화 되고 있다. 가장 간단한 예로, 본체(101)와 스트랩의 결합으로 구비되는 형태의 워치형 단말기(100)에 있어서, 교체형 스트랩을 들 수 있다. 스트랩의 교체를 통해 워치형 단말기(100)의 형태, 색상, 기능 등을 변경할 수 있다.The structure for providing a design element to a user in the watch-type terminal 100 is diversified. As a simplest example, a replaceable strap can be exemplified as a watch-type terminal 100 of a type provided by coupling of a main body 101 and a strap. The shape, color and functio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can be changed through replacement of the strap.

다만, 스트랩을 교체하는 경우에도 워치형 단말기(100)의 본체(101)는 그대로 유지되어 디자인 변경에 제한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101) 자체를 교체하지 않는 이상 본체(101) 디자인의 변경은 불가능한 것이 사실이다.However, even when the strap is replaced, the main body 101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is maintained as it is and restrictions on design changes occur.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design of the main body 101 unless the main body 101 itself is replaced.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워치형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atch-typ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워치형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워치형 단말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워치형 단말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watch typ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 unit 180, 190), and the like. 1 are not essential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so that the watch-type terminal 100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Lt; / RTI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워치형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워치형 단말기(100)와 다른 단말기 사이, 또는 워치형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워치형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watch typ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watch type terminal 100 and another terminal or between the watch typ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server Lt; RTI ID = 0.0 > wireless < / RTI >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watch-typ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 touch key, a mechanical key, and the like).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by a user's control command.

센싱부(140)는 워치형 단말기(100) 내 정보, 워치형 단말기(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워치형 단말기(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watch-type terminal 100,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watch-type terminal 100,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sensor, a gyroscope sensor, a mo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a finger sca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microphone 226, a battery gauge, an environmental sensor (for example, a barometer, a hygrometer, a thermometer, a radiation detection sensor, A thermal sensor, a gas sensor, etc.),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watch-type terminal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f the sensors.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워치형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워치형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an acoustic output unit 152, a haptic tip module 153, and a light output unit 154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can do. The display unit 151 may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to realize a touch screen.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watch type terminal 100 and a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watch type terminal 100 and a user.

인터페이스부(160)는 워치형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워치형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channel with various kind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watch-typ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60 is connected to a device having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 / O port, a video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the watch-type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unit 160, it is possible to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또한, 메모리(170)는 워치형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워치형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워치형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워치형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워치형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워치형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워치형 단말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by the watch-type terminal 100, data for operatio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reside on the watch-typ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departure for the basic functions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e.g., call incoming, outgoing, message receiving, have.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installed on the watch-type terminal 100, and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80 to perform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watch- have.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워치형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180 may process or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or may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to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워치형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1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can operate at least two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watch-type terminal 10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for driving the application program.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워치형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to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watch-typ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n internal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워치형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치형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워치형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on the watch-type terminal 100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제1 실시 예 -- First Embodiment -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워치형 단말기(100)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ch-type terminal 1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워치형 단말기(100)는 본체(101) 및 본체(1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102)를 포함한다. 워치형 단말기(10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The watch type terminal 100 includes a body 101 and a band 102 connected to the body 101 and configured to be worn on the wrist.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have a display unit 151 on its front surface. The main body 101 includes a case which forms an appearance.

워치형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1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atch-type terminal 100 is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main body 101 may be provided with an antenna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antenna can expand its performance by using a case. For example, a case comprising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with the antenna to extend the ground or radiating area.

본체(101)에는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마이크로폰(122), 사용자 입력부(1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The main body 101 may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152, a camera 121, a microphone 122, a user input unit 123, and the like. When the display unit 151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so that the main unit 101 may not have a separate key.

밴드(1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1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102)는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band 102 is worn on the wrist so as to surround the wrist and can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for easy wearing. As an example, the band 102 may be formed of leather, rubber, silicone, synthetic resin, or the like. In addition, the band 102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101, and may be configured to be replaceable by various types of bands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한편, 밴드(1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nd 102 can be used to extend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For example, the band may include a ground extension (not show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and extends the ground region.

밴드(102)에는 파스너(fastener; 1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1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1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The band 102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er 102a. The fastener 102a may be embodied by a buckle, a snap-fit hook structure, or a velcro (trademark), and may include a stretchable section or material . In this drawing, an example in which the fastener 102a is embodied as a buckle is shown.

디스플레이부(151)는 워치형 단말기(100)가 출력하고자 하는 적어도 일부의 컨텐츠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output at least a part of content to be output by the watch-type terminal 100 and may provide the user with the content.

디스플레이부(151)는 워치형 단말기(100)의 본체(101)의 일부 구성이 될 수 있다. 본체(101)의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 중 전면 프레임(1011)은 워치형 단말기(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part of the body 101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The front frame 1011 of the frame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body 101 can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

후면 프레임(1012)은 전면 프레임(1011)의 배면에 결합하여 워치형 단말기(100) 본체(101)의 전면 외관 및 후면 외관을 모두 형성할 수 있다.The rear frame 1012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011 to form bo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101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다만 전면 프레임(1011)과 후면 프레임(1012)이 일체로 형성되는 유니바디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과제 해결에 있어서 배치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두 적용 가능하다.However, the front frame 1011 and the rear frame 1012 may be formed as a uni-body type fram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전면 프레임(1011)은 디스플레이부(151)가 결합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면 프레임(1011)의 개구부에 안착하여 결합할 수 있다.The front frame 1011 may include an opening to which the display unit 151 is coupled. The display unit 151 can be seated and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front frame 1011.

디스플레이부(151)는 직접적으로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워치형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전면 윈도우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stituted by a display for directly providing an output function and a front window for protecting the display by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디스플레이부(151)는 전면 프레임(1011)의 전면에서 결합하는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전면 프레임(1011)의 배면에서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frame 1011 or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011.

엄밀한 의미의 베젤(210)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지 않는 부분 경계부터 전면 프레임(1011)의 전면 경계 외곽 끝부분 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전면 프레임(1011)의 전면 경계 내곽부터 외곽 끝부분 까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bezel 210 in a strict sense may mean from a partial boundary not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51 to an outer edge of the front boundary of the front frame 1011. [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fined to mean from the inner edge of the front edge of the front frame 1011 to the edge of the outer edg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데코 프레임(220)은 전면 프레임(1011)의 베젤(210)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홈 수 있다.The deco frame 22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ezel 210 of the front frame 1011.

데코 프레임(220)은 워치형 단말기(100)의 전면의 디자인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deco frame 220 can perform a design func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

나아가 데코 프레임(220)은 교체형으로 구비되어, 상황에 맞는 형태, 예를 들어 전면 외곽 부분이 곡률진 형태, 또는 플랫(flat)한 형태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는 재료 또는 패턴의 변형에 의해 질감 또는 마찰력을 다르게 만들 수 있다.Further, the deco frame 220 may be provided in an interchangeable fashion to selectively form a contour shape, for example, a front contour portion in a curved shape or a flat shape, or a deformation of a material or a pattern Thereby making the texture or frictional force different.

또는 데코 프레임(220)의 회전을 입력 신호의 일부로 구성하는 전자/ 기계적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Or an electronic / mechanical device that configures the rotation of the deco frame 220 as part of the input signal.

나아가 데코 프레임(220)은 전술한 형태 중 디스플레이부(151)가 워치형 단말기(100)의 전면에서 결합한 형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전면으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coy frame 2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isplay unit 151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데코 프레임(220)과 전면 프레임(1011)의 결합전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deco frame 220 and the front frame 10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결합부는 데코 프레임(220)이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면 프레임(1011)과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may serve to selectively couple the decor frame (220) to the front frame (1011) by rotation.

결합부는 베젤(210) 영역 둘레 중 제1 영역에 형성된 회전턱(211) 및 베젤(210) 영역 둘레 중 제2 영역에 형성된 개방홀(21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rotation step 211 formed in a first area around the bezel 210 area and an opening hole 2111 formed in a second area around the bezel 210 area.

제1 영역은 제2 영역과 함께 베젤(210) 영역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region may form a periphery of the bezel 210 region together with the second region.

회전턱(211)은 전면 프레임(1011)의 베젤(210) 영역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내측으로 튀어나오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rotary jaw 211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bezel 210 of the front frame 1011, but may be provided in a shape protruding inward as required.

즉, 후술할 결합돌기(221)와 맞물리기만 하면 족할 뿐, 그 생성 위치나 방향은 다른 요소에 의해 충분히 달라질 수 있다.That is, it suffices only to engage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22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generation thereof may be sufficiently varied by other factors.

결합돌기(221)는 데코 프레임(220) 내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21)는 데코 프레임(220)의 내측에 일정 회전 변위만큼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의 개방홀(2111)은 결합돌기(221)의 회전 변위와 동일하거나 더 큰 변위를 형성하여 데코 프레임(220)이 전면 프레임(1011)의 베젤(210) 영역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s 221 may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decor frame 220. The coupling protrusions 221 may have a shape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rotational displacement on the inside of the deco frame 220. The opening 2111 of the engaging portion may have the same or larger displacement as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engaging projection 221 so that the decoupling frame 220 can be seated in the area of the bezel 210 of the front frame 1011 .

결합돌기(221)는 데코 프레임(22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코 프레임(220)의 내주면과 마주하도록 베젤(210) 영역에 측벽(21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턱(211) 및 개방홀(2111)은 베젤(210) 영역에 구비된 측벽(212)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어 결합돌기(221)와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s 221 may protrude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ecor frame 220. In this case, the side wall 212 may be formed in the bezel 210 region to fa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cor frame 220. The rotating jaw 211 and the opening hole 2111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wall 212 provided in the bezel 210 to face the coupling protrusion 221.

결합돌기(221)와 개방홀(2111)이 대응하도록 위치한 상태를 데코 프레임(220)과 전면 프레임(1011) 간의 제1 각도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The state where the engaging projections 221 and the opening holes 2111 ar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can be defined as a first angle state between the deco frame 220 and the front frame 1011. [

따라서 데코 프레임(220), 특히 데코 프레임(220)의 결합돌기(221)가 전면 프레임(1011)에 대해 제1 각도 상에 위치하는 경우 결합돌기(221)와 개방홀(2111)이 대응하여 데코 프레임(220)이 전면 프레임(1011)에 안착될 수 있다.When the engaging projection 221 of the decoupling frame 220, particularly the decoupling frame 220, is positioned on the first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frame 1011, the engaging projection 221 and the opening hole 2111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frame 220 can be seated in the front frame 1011.

데코 프레임(220)이 제1 각도 상에서 전면 프레임(1011)에 안착한 상태는 데코 프레임(220)이 완전히 결합하도록 회전할 수 있는 예비 상태가 될 수 있다.The state in which the deco frame 220 is seated on the front frame 1011 on the first angle can be a standby state in which the deco frame 220 can be rotated to fully engage.

도 4는 도 2에서 데코 프레임(220)이 전면 프레임(1011)에 안착하여 일정 각도 회전한 상태의 A-A'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in which the decor frame 220 is seated on the front frame 1011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데코 프레임(220)이 제1 각도에서 일정 각도 회전하면 결합돌기(221)가 회전턱(211)과 맞물릴 수 있다. 회전턱(211)과 결합돌기(221)가 맞물림으로 인해 데코 프레임(220)이 전면 프레임(10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다.When the deco frame 220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angle, the engaging projections 221 can engage with the rotating jaws 211. The decoupled frame 220 can be held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front frame 1011 due to the engagement of the rotation protrusion 211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21.

회전턱(211)은 측벽(212)과 특정 거리 D 만큼 돌출된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011)의 베젤(210) 영역으로부터 회전턱(211)의 높이 H는 결합돌기(221)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데코 프레임(220)과 전면 프레임(1011)이 서로 끼워 맞춤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rotating jaw 211 may form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212 by a specific distance D. The height H of the rotation step 211 from the area of the bezel 210 of the front frame 1011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height of the engaging projection 221 so that the decoupling frame 220 and the front frame 1011 are fitted to each other can do.

측벽(212)의 내주면(2121)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외주면과 접하고, 측벽(212)의 상면(2122)은 데코 프레임(220)의 전면에 가려질 수 있다. 즉, 데코 프레임(220)이 전면 프레임(1011)에 결합한 이후에는 측벽(212)은 외부로부터 완전히 가려져 디자인적 요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121 of the side wall 212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151 and the upper surface 2122 of the side wall 212 may be covered by the front surface of the deco frame 220. That is, after the decoupled frame 220 is coupled to the front frame 1011, the side walls 212 may be completely shielded from the outside, so as not to affect the design elements.

측벽(212)의 내주면(2121)은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51)의 안착을 위한 단차부(2123)를 형성할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121 of the side wall 212 may form a step 2123 for the seating of the display portion 151 at the same time.

측벽(212)의 단차부(2123), 회전턱(211) 및 전면 프레임(1011)은 일체로 형성된 유니바디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portion 2123 of the side wall 212, the rotation step 211 and the front frame 1011 may include a uni-body shape integrally formed.

데코 프레임(220)은 제1 각도에서 회전하여 제2 각도까지 회전하는 경우 도 3의 탄성 돌출부(230)를 통해 결합이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decor frame 220 rotates at the first angle and rotates to the second angle, the coupling can be fixed through the elastic protrusion 230 of FIG.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워치형 단말기(100)의 데코 프레임(220)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5 shows a rear view of the decor frame 220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데코 프레임(220)의 배면에는 데코 프레임(220)이 전면 프레임(1011)에 대해 제2 각도 회전한 경우 탄성 돌출부(230)의 압축을 해제시켜 탄성 돌출부(2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안착되도록 단차를 형성하는 안착홈(222)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decor frame 220 is rotated at the secon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frame 1011, the elastic protrusions 230 are released from the compression of the decor frame 220 so that at least one area of the elastic protrusions 230 is seated, (Not shown).

안착홈(222)에 탄성 돌출부(230)가 위치한 경우를 제2 각도로 할 수 있으며, 데코 프레임(220)이 제2 각도에 위치하는 경우 데코 프레임(220)은 전면 프레임(1011)에 완전히 결합홈 수 있다.The deco frame 220 can be completely coupled to the front frame 1011 when the deco frame 22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angle, Home can.

데코 프레임(220)의 고정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탄성 돌출부(230) 및 안착홈(222)은 적어도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fixed reliability of the deco frame 220, the elastic protrusions 230 and the seating grooves 222 may be provided in at least pairs.

도 6은 도 2에서 데코 프레임(220)이 제2 각도 회전한 상태의 B-B' 방향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the state in which the decor frame 220 is rotated at the second angle in FIG.

탄성 돌출부(230)는 전면 프레임(1011)에 구비된 결합홀(213)에 안착될 수 있다. 결합홀(213) 내측에 안착되는 스프링(231) 및 스프링(231)의 일단에 구비되어 안착홈(222)과 맞물리는 볼(2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protrusion 230 may be seated in a coupling hole 213 provided in the front frame 1011. A spring 231 that is seated inside the coupling hole 213 and a ball 232 tha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pring 231 and meshes with the seating groove 222.

스프링(231) 및 볼(232)은 탄성 돌출부(23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301)에 실장되어 하나의 모듈로서 제공될 수 있다.The spring 231 and the ball 232 may be mounted on the housing 2301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protrusion 230 so as to be provided as a single module.

탄성 돌출부(230)의 하우징(2301)은 안착홈(222)과 동일한 크기를 형성하여 탄성 돌출부(230)가 전면 프레임(1011)에 끼워 맞춤 결합하여 전면 프레임(1011)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ousing 2301 of the elastic protrusion 230 has the same size as the seating groove 222 to prevent the elastic protrusion 230 from being easily detached from the front frame 1011 by fitting into the front frame 1011 .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돌출부(230)는 안착홈(222)과 맞물린 제2 각도의 상태에서 돌출되어 안착홈(222)과 안정적으로 결합홈 수 있다. 즉, 스프링(231)의 장력에 의해 볼(232)이 돌출되어 안착홈(222)과 맞물릴 수 있다. 제2 각도의 상태에서 데코 프레임(220)을 더 회전시키려고 하는 경우, 탄성 돌출부(230)가 압축되어야 하므로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력을 제공받아야 회전이 가능하고, 이 힘의 관계에 의해 데코 프레임(220)은 전면 프레임(1011)에 고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projection 230 protrudes from the seating groove 222 at a second angle, which is engaged with the seating groove 222, and can stably engage with the seating groove 222. That is, the ball 232 is protruded by the tension of the spring 231 and can be engaged with the seating groove 222. When the decor frame 220 is further rotated in the state of the second angle, the elastic protrusion 230 must be compressed. Therefore, rotation can be performed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May be fixed to the front frame 1011.

도 7은 도 2에서 데코 프레임(220)이 제1 각도와 제2 각도 사이의 제3 각도 회전한 상태에의 B-B' 방향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B-B 'direc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decor frame 220 is rotated at a third angle betwee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in Fig.

데코 프레임(220)은 안착홈(222)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걸쳐 데코 프레임(220)의 후면에서 일정 깊이 단차를 형성하는 가이드 홈(223)을 포함할 수 있다. 데코 프레임(220)이 제1 각도에서 제2 각도로 회전하는 동안 탄성 돌출부(230)는 압축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일정 높이 돌출될 수 있다. 즉, 탄성 돌출부(230)는 가이드 홈(22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deco frame 220 may include a guide groove 223 forming a predetermined depth step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eco frame 220 over the first area including the seating groove 222. While the decor frame 220 rotates from the first angle to the second angle, the elastic protrusion 230 may protrude to a certain height despite being in a compressed state. That is, the elastic protrusion 230 can move along the guide groove 223.

결과적으로 탄성 돌출부(230) 및 가이드 홈(223)은 데코 프레임(22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elastic protrusion 230 and the guide groove 223 can serve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decor frame 220.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 홈(223)은 안착홈(222)을 포함하는 일정 변위만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홈(223)은 데코 프레임(220) 밑면 둘레 중 일정 거리에 대해 형성될 수 있다. 데코 프레임(220)이 회전시 탄성 돌출부(230)가 가이드 홈(223)의 양 단을 넘어서 회전할 수 없도록 회전을 제한 하여 데코 프레임(220)이 제1 각도와 제2 각도 사이를 벗어나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5 again, the guide groove 223 may form a step by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including the seating groove 222. The guide groove 223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cor frame 220. The rotation of the deco frame 220 is restricted so that the elastic protrusion 230 can not rotate beyond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223 when the deco frame 220 rotates so that the deco frame 220 is unnecessarily deviated from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In order to prevent rotation.

- 제2 실시 예 -- Second Embodiment -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워치형 단말기(100)에 있어서 데코 프레임(220)과 전면 프레임(1011)의 결합전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ch-typ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coupling the decor frame 220 and the front frame 1011. FIG.

제2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달리 회전턱(211) 구조가 아닌 나선홈(214) 구조를 이용한 나사 결합 방식으로 데코 프레임(220)을 착탈 결합하는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decor frame 220 is detachably coupled by a screw coupling method using the structure of the spiral groove 214 rather than the structure of the rotary tuck 211. [

제1 실시 예는 데코 프레임(220)을 제1 각도 상에서 결합하여 제2 각도 상으로 회전시키면 결합이 완료되지만 제2 실시 예는 데코 프레임(220)을 회전시켜 결합을 완료시키는 것에 차이가 있다.The firs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coupling is completed when the decor frame 220 is coupled on the first angle and rotated on the second angle, but the second embodiment is completed by rotating the decor frame 220 to complete the coupling.

다만, 탄성 돌출부(230)의 구성 및 가이드 홈(223)의 구성은 여전히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protrusion 23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groove 223 can still be applied equally.

사용자는 임의의 각도로 데코 프레임(220)을 전면 프레임(1011)의 베젤(210) 영역에 안착시켜 회전시키면 데코 프레임(220)이 베젤(210) 영역에 가까워지게 된다.When the user places the decor frame 220 at an arbitrary angle in the area of the bezel 210 of the front frame 1011 and rotates it, the decor frame 220 approaches the area of the bezel 210.

도 9는 도 8의 C-C' 방향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도 9(a)는 데코 프레임(220)이 전면 프레임(1011)에 완전히 결합하기 전의 단면을, 도 9(b)는 데코 프레임(220)이 전면 프레임(1011)에 완전히 결합한 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9 (a) shows a section before the deco frame 220 is fully engaged with the front frame 1011, and Fig. 9 (b) shows a section after the deco frame 220 is fully engaged with the front frame 1011 will be.

데코 프레임(220)의 나선홈(214)과 전면 프레임(1011)의 나선홈(214)이 맞물려 회전하여 나사 결합홈 수 있다.The spiral groove 214 of the deco frame 220 and the spiral groove 214 of the front frame 101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rotated to form a threaded groove.

도 9(a)와 같이 데코 프레임(220)이 나사 결합 하는 과정에서 전면 프레임(1011)의 베젤(210) 영역에 근접 하면 가이드 홈(223)이 탄성 돌출부(230)를 일정 정도 압축시키게 된다.The guide groove 223 compresses the elastic protrusion 230 to a certain degree when the decorative frame 220 is screwed on the guide frame 220 as the decorative frame 220 approaches the area of the bezel 210 of the front frame 1011.

즉, 가이드 홈(223)은 데코 프레임(220)의 배면에 형성되어 데코 프레임(220)이 전면 프레임(1011)에 나사 결합하는 동안 탄성 돌출부(230)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at is, the guide groove 223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 frame 220 to compress the elastic protrusion 230 while the deco frame 220 is screwed to the front frame 1011.

도 9(b)와 같이 데코 프레임(220)이 끝까지 회전하면 안착홈(222)이 탄성 돌출부(230)와 맞물려 압축된 탄성 돌출부(230)의 압축이 해제된다.9 (b), when the decor frame 220 rotates to the end, the seating groove 222 is engaged with the elastic protrusion 230, and the compressed elastic protrusion 230 is released from compression.

사용자는 9(b)의 상태가 되면 특정 이상의 힘을 주지 않는 이상 데코 프레임(220)을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간접적으로 데코 프레임(220)이 완전히 결합했음을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user enters the state of 9 (b),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decor frame 220 is completely combined because the decor frame 220 can not be rotated unless a specific force is exerted.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워치형 단말기 101: 본체
1011: 전면 프레임 1012: 후면 프레임
151: 디스플레이부 210: 베젤
211: 회전턱 2111: 개방홀
212: 측벽 2121: 측벽 내주면
2122: 측벽 상면 2123: 측벽 단차부
213: 결합홀 214: 나선홈
220: 데코 프레임 221: 결합돌기
222: 안착홈 223: 가이드 홈
230: 탄성 돌출부 2301: 하우징
231: 스프링 232: 볼
100: watch type terminal 101: main body
1011: front frame 1012: rear frame
151: display unit 210: bezel
211: rotating jaw 2111: opening hole
212: side wall 2121: inner wall of the side wall
2122: side wall upper surface 2123: side wall step portion
213: Coupling hole 214: Spiral groove
220: Deco frame 221: engaging projection
222: seat groove 223: guide groove
230: elastic protrusion 2301: housing
231: Spring 232: Ball

Claims (8)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
상기 베젤 영역 둘레 제1 영역에 형성된 회전턱;
상기 베젤 영역 제1 지점에 돌출 구비된 탄성 돌출부;
상기 전면 프레임에 대해 제1 각도에서 안착하여 제2 각도로 회전 결합하는 데코 프레임;
상기 데코 프레임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데코 프레임이 제1 각도에서 제2 각도로 회전시 상기 회전턱에 걸리는 결합돌기; 및
상기 데코 프레임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데코 프레임이 제1 각도에서 제2 각도로 회전시 상기 탄성 돌출부와 맞물려 상기 탄성 돌출부의 압축을 해제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
A front frame defining a front exterior including a bezel area;
A rotating jaw formed in the first region around the bezel region;
An elastic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point of the bezel region;
A decoupled frame which is seated at a first angle relative to the front frame and rotationally coupled to the front frame at a second angle;
An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decor frame to engage with the rotating jaw when the decor frame rotates from a first angle to a second angle; And
And a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decor frame so as to engage with the elastic protrusion when the decor frame rotates from a first angle to a second angle, thereby releasing the elastic protrusion from the compression groov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프레임은,
상기 데코 프레임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데코 프레임이 상기 제1 각도에서 상기 제2 각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탄성 돌출부를 압축시키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co frame includes:
And a guide groove formed on a back surface of the decor frame to compress the elastic protrusion while the decor frame rotates from the first angle to the second ang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은,
상기 탄성 돌출부가 안착되어 결합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돌출부는,
상기 결합홈 내측에 안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홈과 맞물리는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frame includes:
And an engaging groove to which the elastic protrusion is seated and engaged,
The elastic projection
A spring seated in the coupling groove; And
And a ball provided at one end of the spring to engage with the seating groov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데코 프레임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턱은 상기 데코 프레임의 내주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베젤 영역에 구비된 측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ecor frame,
Wherein the rotating jaw is formed on a sidewall of the bezel region so as to fac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cor fram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는 상기 회전턱으로부터 상기 베젤 전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eight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the same as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tang to the front of the bezel.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내주면은 디스플레이부 외주면과 접하고,
상기 측벽 상면은 상기 데코 프레임의 전면에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wall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is cover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ecor frame.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
상기 베젤 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선홈;
상기 베젤 영역 제1 지점에 돌출 구비된 탄성 돌출부;
상기 전면 프레임에 대해 나사 결합하는 데코 프레임; 및
상기 데코 프레임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데코 프레임이 상기 전면 프레임에 나사 결합시 상기 탄성 돌출부와 맞물려 상기 탄성 돌출부의 압축을 해제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
A front frame defining a front exterior including a bezel area;
A spiral groov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ezel region;
An elastic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point of the bezel region;
A decoupling frame screwed to the front frame; And
And a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deco frame to engage with the elastic protrusion when the decor frame is screwed into the front frame to release the compression of the elastic protrus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프레임은,
상기 데코 프레임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데코 프레임이 상기 전면 프레임에 나사 결합하는 동안 상기 탄성 돌출부를 압축시키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형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eco frame includes:
And a guide groove formed on a back surface of the decor frame to compress the elastic protrusion while the decor frame is screwed to the front frame.
KR1020160074699A 2016-06-15 2016-06-15 Smart watch Withdrawn KR201701415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699A KR20170141525A (en) 2016-06-15 2016-06-15 Smart wa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699A KR20170141525A (en) 2016-06-15 2016-06-15 Smart wa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525A true KR20170141525A (en) 2017-12-26

Family

ID=6093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699A Withdrawn KR20170141525A (en) 2016-06-15 2016-06-15 Smart wa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152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337B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US9918000B2 (en) Zero delay predictor signal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CN105591662B (en) Wearable watch type mobile terminal
KR101662617B1 (en) Bluetooth headset and wristwatch comprising the same
EP2992774B1 (en) Smart bracelet
KR102497528B1 (en) Watch type terminal
CN204483289U (en) Intelligent bracelet, functional module and intelligent watch
EP3340645B1 (en) Ear unit for a portable sound device
US20160073882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188033B2 (en) Wearable device comprising microphone for obtaining sound by using plurality of openings
WO2021057260A1 (en) Wearable device and display method
CN109892755B (en) Watch chain and wearable device
KR20210021657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ductive member
KR20170062864A (en) Smart watch
KR101534302B1 (en) A smart watch
KR20160012436A (en) Wearable device
KR102846543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KR20160070998A (en) Wearable terminal
KR20170141525A (en) Smart watch
KR20170072769A (en) Bluetooth headset and wristwatch comprising the same
KR20160070999A (en) Wearable terminal
CN210626892U (en) Multifunctional wearable equipment
EP4266338B1 (en) Waterproof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170084811A (en) Mobile terminal
KR102421849B1 (en) Method for contolling smart w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