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583A -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7583A KR20170017583A KR1020150111738A KR20150111738A KR20170017583A KR 20170017583 A KR20170017583 A KR 20170017583A KR 1020150111738 A KR1020150111738 A KR 1020150111738A KR 20150111738 A KR20150111738 A KR 20150111738A KR 20170017583 A KR20170017583 A KR 201700175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on
- unit
- theme
- content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utilising 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h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는 각종 컨텐츠를 제1 설정 기준에 따라 아이콘화시켜 분류하는 아이콘부 및 상기 아이콘부에서 생성된 아이콘을 제2 설정 기준에 따라 재분류하는 테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con unit for sorting various content into icons according to a first setting criterion and a theme unit for reclassifying the icons generated by the icon unit according to a second setting criter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동영상 등의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various contents such as moving pictures.
동영상 등의 각종 컨텐츠가 범람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볼 수 있는 컨텐츠를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분류해서 제공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lassifies contents that can be viewed through a network that floods various contents such as moving pictures,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user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09931호에는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해 특정 시간 단위에 기반한 컨텐츠 요청임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컨텐츠 패킷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컨텐츠를 분류하는 내용은 개시되지 않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4-0009931 discloses a content packet technology including an identifier indicating a content request based on a specific time unit in order to request a content, but the content classification for meeting the user's request is disclosed It is not.
본 발명은 각종 컨텐츠를 적절하게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apable of appropriately classifying various contents and providing them to a us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Other object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는 각종 컨텐츠를 제1 설정 기준에 따라 아이콘화시켜 분류하는 아이콘부; 및 상기 아이콘부에서 생성된 아이콘을 제2 설정 기준에 따라 재분류하는 테마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including: an icon unit for classifying various contents into icons according to a first setting criterion; And a theme unit for reclassifying icons generated in the icon unit according to a second setting criterion.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는 아이콘부와 테마부를 포함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각종 컨텐츠를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분류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con unit and a theme unit, so that various contents that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network can be classified to meet the user's needs.
도 1은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아이콘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테마부에 의해 분류된 테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업로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쇼핑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분석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아이콘부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안내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con por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theme classified by the theme sec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up section.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hopping sec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nalysis unit.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operation of the icon portion;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아이콘부(110) 및 테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shown in FIG. 1 may include an
아이콘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를 제1 설정 기준에 따라 아이콘화시켜 분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아이콘부(110)에는 각종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해당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장치의 관리자에 의해 업로드되거나 일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문서, 음성 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컨텐츠 제공 장치의 관리자 또는 일반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컨텐츠의 개수는 매우 방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렇게 방대한 개수의 컨텐츠에서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찾기 어려울 것이 자명하다.The number of contents uploaded by the administrator or general user of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an be very large. It is obvious that the user will not be able to find the desired content in such a large number of contents.
사용자가 요구하는 컨텐츠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아이콘부(110)에는 검색 메뉴가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검색 메뉴에 '가수'라고 입력하면 아이콘부(110)는 업로드된 컨텐츠 중에서 가수와 관련된 컨텐츠만을 선별해서 해당 사용자(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easily find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a search menu may be provided in the
이와 별도로, 아이콘부(110)는 검색 메뉴를 이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아이콘을 분류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part from this, the
일예로, 아이콘부(110)는 컨텐츠에 포함된 단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와 제1 설정 기준을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인물, 장소, 브랜드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부(110)에 의해 인물, 장소, 브랜드 등으로 분류된 각각의 컨텐츠가 '아이콘'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아이콘은 제1 설정 기준에 따라 적절하게 분류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설정 기준은 특정 단어의 등장 빈도가 설정 회수를 만족하는지 여부와 관련될 수 있다.The icons may be proper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irst setting criterion. For example, the first setting criterion may relate to whether or not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a specific word satisfies the set number of times.
예를 들어, 아이콘부(110)는 특정 컨텐츠의 분석 결과 특정 인물의 이름이 10번 등장하면 해당 컨텐츠에 상기 특정 인물의 이름을 제목으로 붙여 아이콘화하고, 해당 아이콘을 인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제1 설정 기준은 특정 인물의 이름이 10번 이상 등장하면 해당 컨텐츠를 인물로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name of a specific character appears ten times as a result of analyzing a specific content, the
만약, 제1 설정 기준이 특정 장소의 이름이 10번 이상 등장하면 해당 컨텐츠를 장소로 분류하는 것이라면, 아이콘부(110)는 제1 설정 기준을 만족하는 컨텐츠를 장소 아이콘으로 분류할 수 있다.If the first setting reference indicates that the name of the specific place appears more than 10 times, the
만약, 하나의 컨텐츠에 특정 인물의 이름과 특정 장소의 이름이 10번 이상 등장한다면, 아이콘부(110)는 해당 컨텐츠를 인물과 장소로 각각 분류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장소는 지도상의 특정 위치의 이름 또는 주소를 나타내거나, 특정 매장의 이름을 나타낼 수 있다. 고유 명사가 인물을 의미하는지 장소를 의미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아이콘부는 고유 명사의 앞 뒤에 등장하는 보통 명사 또는 대명사를 분석할 수 있다. 일예로, '이곳은 xxxx입니다'라는 문장의 경우, 대명사에 해당하는 '이곳'을 이용해 고유 명사 'xxxx'를 장소로 분류할 수 있다.If the name of a specific person and the name of a specific place occur more than ten times in one content, the
제1 설정 기준이 특정 브랜드의 이름이 10번 이상 등장할 경우 해당 컨텐츠를 브랜드로 분류하는 것이라면, 아이콘부(110)는 제1 설정 기준을 만족하는 컨텐츠를 브랜드 아이콘으로 분류할 수 있다. 브랜드는 특정 제품의 이름일 수 있다.If the first setting reference indicates that the name of a particular brand appears more than ten times, if the content is classified into a brand, the
도 2는 아이콘부(11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아이콘부(110)는 컨텐츠에 포함된 단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사람의 이름에 해당하는 'A'가 10회 이상 등장하면, 해당 컨텐츠를 인물 아이콘으로 분류할 수 있다. 만약, 매장의 이름에 해당하는 'B'가 10회 이상 등장하면, 해당 컨텐츠를 장소 아이콘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제품의 이름에 해당하는 'C'가 10회 이상 등장하면, 해당 컨텐츠를 브랜드 아이콘으로 분류할 수 있다. 만약, 'A', 'B', 'C'가 각각 10회 이상씩 등장한다면, 아이콘부(110)는 해당 컨텐츠를 인물 아이콘, 장소 아이콘, 브랜드 아이콘 각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아이콘부(110)는 경우에 따라 하나의 컨텐츠를 복수의 아이콘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 사용자는 웹브라우저 등을 이용해 컨텐츠 제공 장치에 접속한 후 인물 항목, 장소 항목, 브랜드 항목 각각에서 해당 컨텐츠를 찾을 수 있다.The
이상의 아이콘부(110)는 컨텐츠에 포함된 단어를 분석해서 제1 설정 기준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특정 아이콘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렇게 아이콘부(110)에서 분류된 컨텐츠는 아이콘으로 명명될 수 있다.The
아이콘은 다양하게 세분화될 수 있다. 도 1을 살펴보면, 아이콘부(110)는 컨텐츠를 크게 인물(People), 장소(Place), 브랜드(Brand)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세부적으로 인물은 패션(Fashion)과 관계된 인물,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와 관계된 인물, 미용실 등 뷰티(Beauty)와 관계된 인물, 음악(Music)과 관계된 인물, 아트+디자이너(Art+Design), 생활+문화(Life+Culture)와 관련된 인물, 운동(Sport)과 관련된 인물로 구분될 수 있다. 장소는 거리(Street), 랜드마크(Landmark)로 세분화될 수 있다. 브랜드는 패션(Fashion), 뷰티(Beauty), 음식(Food & Drink)로 구분될 수 있다.Icons can be variously subdivided. Referring to FIG. 1, the
이상의 아이콘은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검색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반면, 단순히 어떤 컨텐츠가 있는지 둘러보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흥미가 유발되는 컨텐츠를 찾을 때까지 자신에게 큰 의미가 없는 컨텐츠를 일일이 확인해 봐야 하는 불편함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특별한 아이콘을 타겟으로 하지 않는 사용자의 관심을 유발하게 위한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icons can facilitate the user's search convenience when the user has desired contents. On the other hand, from the viewpoint of users who simply browse contents, it is inconvenient to check contents that do not have much meaning until they find interesting contents. Accordingly, a scheme for causing interest of a user who does not target a specific icon may be provided.
일예로, 아이콘부(110)에서 분류된 아이콘(icon)은 테마부(120)에 의해 제2 설정 기준에 따라 재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마부(120)는 프로그램 테마, 스페셜 테마, 코웍 테마, 루키 테마 중 적어도 하나로 아이콘을 재분류할 수 있다.For example, icons classified in the
도 3은 테마부(120)에 의해 분류된 테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heme classified by the
프로그램(program) 테마는 아이콘과 무관한 부가 컨텐츠에 선택된 아이콘을 접목시킨 것일 수 있다. 일예로, 일반 사용자의 인물 사진 업로드를 유도하는 이벤트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테마부(120)는 부가 컨텐츠에 해당되는 이벤트 컨텐츠에 아이콘부(110)에서 분류된 아이콘 중 일부를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 컨텐츠에 추가되는 아이콘의 선별 기준은 해당 아이콘에 적어도 인물 사진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테마부(120)는 아이콘에 포함된 인물 사진을 이벤트 컨텐츠에 추가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어떤 식으로 사진을 찍어서 업로드할지 알 수 있다. 또한, 아이콘의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이벤트 컨텐츠를 통해 자신의 아이콘을 광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ogram theme may be a combination of icons selected from additional content irrelevant to icons. For example, when there is an event content that prompts a general user to upload a portrait image, the
또한, 테마부(120)는 이벤트 컨텐츠에 포함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해당 아이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은 사용자가 아이콘부(110)에서 제공하는 메뉴에서 특정 아이콘을 직접 선택한 상태와 유사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이벤트 컨텐츠에 포함된 인물 사진을 보고 해당 아이콘을 선택한 것이므로, 테마부는 해당 아이콘에 포함된 인물 사진을 해당 아이콘의 메인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아이콘부(110)를 통해 해당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해당 아이콘의 소개가 메인 화면으로 제공되는 것과 차별화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con included in the event content is selected, the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별다른 부담없이 아이콘을 둘러볼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업로드하는 사진의 양식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특정 아이콘으로 진입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인물 사진을 확인한 후 다시 이벤트 컨텐츠로 돌아갈 수 있다. 물론, 해당 인물 사진을 제공한 아이콘에 관심이 생긴다면 해당 아이콘에 포함된 다른 내용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can look around the icon without any burden. A user who enters a specific icon for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form of a photo to be uploaded can return to the event content after confirming the portrait on the screen displayed on his / her terminal. Of course, if you are interested in an icon that provides a picture of the person, you may be able to see additional information contained in that icon.
이상에서 살펴본 프로그램 테마는 아이콘의 제공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아이콘을 홍보할 수 있는 무대가 될 수 있다. 그런데,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테마부(120)는 부가 컨텐츠에 추가될 아이콘을 무작위적으로 선택하는 대신, 부가 컨텐츠에 도움이 될 만한 아이콘을 추가할 수 있다. 위 예의 경우 인물 사진이 포함되는 조건이 프로그램 테마에 아이콘이 추가될 수 있는 제2 설정 기준이 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program theme can be a stage for promoting the icon of the icon provider.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아이콘의 제공자는 자발적으로 자신의 아이콘에 부가 컨텐츠에 도움이 될 내용을 지속적으로 추가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르면, 아이콘의 내용이 충실해질 것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아이콘의 충실도가 개선되도록 테마부(120)는 관리자에 의해 부가 컨텐츠의 일정이 결정되면, 해당 부가 컨텐츠가 프로그램 테마로 업로드되기 전 각 아이콘의 제공자에게 부가 컨텐츠의 내용을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아이콘에는 아이콘 제공자의 연락처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refore, the provider of the icon will voluntarily add to his icon the content that will be helpful to the supplementary content. According to this, it is obvious that the contents of the icon will be faithful. In order to improve the fidelity of the icon, the
스페셜(special) 테마는 특정 아이콘과 관련된 컨텐츠를 아이콘부(110) 및 인터넷에서 검색 및 취합하여 선택된 아이콘에 부가한 것일 수 있다.The special theme may be a content related to a particular icon, which is retrieved from the
아이콘부(110)에서 분류된 아이콘은 개수가 많으므로, 선호하는 아이콘이 없는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기 힘들다. 사용자에게 아이콘을 소개하기 위해 테마부(120)는 복수의 아이콘 중 특정 아이콘을 선별해서 스페셜 테마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number of icons classified in the
특별함을 의미하는 '스페셜'이란 이름이 명명된 만큼 사용자는 스테셜 테마를 통해 아이콘부(110)에 업로드된 평균적인 아이콘과 다른 특별함을 희망할 것이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스페셜 테마에 업로드되는 아이콘은 자체 포함된 컨텐츠가 다른 아이콘과 비교하여 많은 것이 제2 설정 기준일 수 있다. 일예로, 테마부(120)는 각 아이콘의 컨텐츠양을 비교 분석한 후 각 아이콘에 순위를 부여한 후, 높은 순위의 아이콘만을 선별해서 스페셜 테마의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As the name 'special', which means special, is named, the user would like a special different from the average icon uploaded to the
더 나아가, 스페셜 테마에 포함된 내용이 아이콘부(110)에 업로드된 컨텐츠로 제한된다면, 사용자는 스페셜 테마가 된 아이콘에서 특별함을 느끼기 어려울 수 있다. 스페셜 테마에 있는 아이콘이 정말로 특별하다는 느낌을 주기 위해 테마부(120)는 스페셜 테마로 선택된 아이콘의 내용을 풍부하게 확장하는 것이 좋다. 일예로, 테마부(120)는 아이콘부(110)뿐만 아니라 인터넷에서 해당 아이콘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검색해서 스페셜 테마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설정 기준은 해당 아이콘의 컨텐츠양과 인터넷으로부터 검색된 관련 내용의 양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설정 기준에 따르면 각 아이콘의 제공자는 스페셜 테마에 자신의 아이콘을 올리기 위해 아이콘 자체의 내용을 풍부하게 작성하게 될 것이며, 다른 외부 매체에도 관련 내용을 업로드하게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2 설정 기준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되는 컨텐츠의 질과 양이 개선될 수 있다.Furthermore, if the content included in the special theme is limited to the content uploaded to the
코웍(co-work) 테마는 복수로 선택된 아이콘이 취합된 것일 수 있다.The co-work theme may b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selected icons.
코웍은 서로 다른 복수의 아이콘이 협력, 합주, 협력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서로 다른 복수의 인물이 같이 협력해서 농구를 하는 것을 촬영한 컨텐츠를 작성한 경우, 해당 컨텐츠는 코웍 테마와는 무관하다. 해당 컨텐츠는 아이콘부(110)에 의해 제품 아이콘으로 농구로 분류되거나, 각 농구 인원의 이름으로 분류될 수 있다.Cowork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fferent icons cooperating, merging, and collaborating. However, when a plurality of different persons cooperate together to create a content that shows playing basketball, the content is independent of the theme of coaching. The content may be classified as a basketball by a product icon by the
코웍 테마는 복수의 아이콘이 서로 만나서 협력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각자 자신의 아이콘을 갖고 있으며, 이때의 서로 다른 아이콘이 서로 협력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oper Theme is not that multiple icons meet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but they have their own icons, and the different icons at this time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일예로, 1번 사용자와 2번 사용자는 농구의 슛 자세를 설명하는 아이콘을 독립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테마부(120)는 농구의 슛 자세와 같이 공통적인 목적을 갖는 복수의 아이콘을 선별한 후 이들을 하나의 코웍 테마로 만들 수 있다.For example, the
코웍 테마를 통해 외부 사용자는 1번 사용자의 슛자세와 2번 사용자의 슛자세를 비교하면서 익힐 수 있다. 외부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1번 사용자의 슛자세와 2번 사용자의 슛자세가 함게 표시되도록, 테마부(120)는 하나의 코웍 테마에 존재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The external user can learn by comparing the shot attitude of the
또한, 테마부(120)는 제목 'z'를 갖는 노래를 부른 아이콘 복수개를 찾아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z를 부른 가수1과 가수2의 노래가 함께 출력되고, 이를 통해 가수1과 가수2가 서로 합창하는 듯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테마부(120)에서 분류되는 각종 테마는 아이콘부(110)에서 분류된 아이콘과 비교하여 내용이 풍부하므로, 외부 사용자의 조회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은 자명하다. 코웍 테마 역시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아이콘의 제작자는 코웍 테마에 자신의 아이콘이 올라갈 수 있도록 많은 노래를 자신의 아이콘에 포함시키게 될 것이다. 따라서, 코워 테마를 통해서도 아이콘의 내용 충실화가 도모될 수 있다. 코웍 테마의 제2 설정 기준은 다른 아이콘에 공통되는 내용이 존재하는 것인가 여부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코웍 테마에 아이콘을 올리기 위해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갖는 소위 인기 아이템이 아이콘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인기와 거리가 먼 비주류 문화와 관련된 아이콘이 퇴보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Various themes classified in the
루키(rookie) 테마는 최근에 분류된 새로운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루키 테마는 아이콘에 포함된 컨텐츠양이 설정값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시간 순서상으로 최근에 업로드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루키 테마는 아이콘의 종류에 상관없이 아이콘을 업로드하므로, 비주류 문화와 관련된 아이콘도 업로드될 수 있다.The rookie theme can provide a new icon recently classified. The rookie theme may include recently uploaded icons in chronological order to the extent that the amount of content included in the icon satisfies the set value. These rooky themes upload icons regardless of the icon type, so icons related to the minor culture can also be uploaded.
다만, 완성도가 떨어지는 아이콘이 루키 테마로 업로드될 수 있으므로, 완성도의 개선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일실시예로, 테마부(120)는 루키 테마에 업데이트된 루키 테마의 조회수를 분석해서, 조회수가 설정값 미만인 아이콘을 설정 기간 경과 후 다른 아이콘으로 대체할 수 있다. 반면, 조회수가 설정값 이상인 아이콘에 대해서는 설정 기간 경과 후에도 루키 테마에 업로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각 아이콘의 조회수가 제2 설정 기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설정 기준에 따르면 아이콘을 업로드하는 제공자는 조회수를 늘릴 수 있도록 완성도 높은 아이콘을 제작하게 될 것이다.However, since icons with poor maturity can be uploaded to the Rookie theme, it is recommended that measures be taken to improve the completeness. In one embodiment, the
특정 테마에 포함된 아이콘은 다른 테마의 제2 설정 기준을 만족할 경우 다른 테마에도 포함될 수 있다.Icons included in a specific theme can be included in other themes if they meet the second setting criteria of another theme.
한편, 아이콘부(110)에서 분류되는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장치의 관리자에 의해 생성되거나, 일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classified by the
도 4는 업로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up section. Fig.
관리자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는 특수 목적을 갖고 정책적으로 생성되는 것이므로, 임의적인 포맷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관리자가 해당 아이콘의 목적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아이콘부(110)의 제1 설정 기준과 다르더라도 관리자의 기준에 따라서 아이콘으로 분류될 수 있다.Since the content generated by the administrator is generated with a special purpose and is generated politically, it may be produced in an arbitrary format. This is because the manager clearly recognizes the purpose of the icon, so that it can be classified into an icon according to the administrator's standard even if it differs from the first setting standard of the
그러나, 일반 사용자에게도 이러한 자유도를 부여된다면, 아이콘부(110)의 분류 체계가 엉망이 될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가 제작한 유저 컨텐츠는 별도로 마련된 업로드부(130)를 통해 업로드되는 것이 좋다. 업로드부(130)는 제3 설정 기준을 만족하는 유저 컨텐츠만을 업로드할 수 있다. 업로드부(130)를 통해 업로드된 컨텐츠는 아이콘부(110)로 입력될 수 있다.However, if the degree of freedom is given to the general user, it is obvious that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일예로, 제3 설정 기준을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setting criterion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동영상 제작시 촬영 개시 시점부터 3분까지는 인물 이름, 장소 이름, 브랜드 이름의 소개, 3분부터 5분까지 친구, 도움을 준 분 등 주변 인물 등의 소개, 5분 이후에는 컨텐츠의 내용 설명이 존재해야 함』"From the start of shooting to 3 minutes, the introduction of people, names of places, names of brands, introduction of brand names, friends from 3 minutes to 5 minutes, introduction of people who helped, Must exist "
이상의 제3 설정 기준은 유저 컨텐츠의 제작자가 알고 있어야 할 사항이므로, 업로드부(130)는 제3 설정 기준을 만족하는 유저 컨텐츠의 기준 포맷을 유저 컨텐츠의 제작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기준 포맷은 위 제3 설정 기준이 설명된 텍스트 문서 또는 제3 설정 기준에 맞춰 제작된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Since the third setting criterion is an item to be known by the producer of the user content, the upload
또는 기준 포맷은 동영상 편집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편집 모듈의 일부 메뉴에는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편집 모듈은 제3 설정 조건에 해당하는 시각이 되면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현재 시간이 소개 구간인지 컨텐츠 내용 추가 구간인지 표시할 수 있다.Or the reference format may include a video editing module. The time may be displayed on some menus of the editing module at this time. Further, the editing module can display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third setting condi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dicate whether the current time is the introduction section or the content contents addition section.
이상의 제3 설정 기준에는 유저 컨텐츠의 주인공 이름, 주인공과 관련된 대상의 이름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아이콘부(110)는 주인공 이름 또는 대상의 이름을 이용해서 유저 컨텐츠를 아이콘화시켜 분류할 수 있다.The third setting criteria may include the name of the main character of the user content and the name of the object related to the main character. At this time, the
유저 컨텐츠의 개수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 모든 유저 컨텐츠를 아이콘화하는 것이 불합리할 수 있다. 일예로, 양과 질이 떨어지는 유저 컨텐츠를 아이콘화시킨다면 아이콘을 확인하는 일반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이는 곧 아이콘 전체에 대한 신뢰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If the number of user contents is excessive, it may be unreasonable to iconize all user contents. For example, if the user contents having low quality and quantity are turned into icons, the general user who checks the icons may feel uncomfortable, which may degrade the reliability of the icon as a whole.
아이콘의 신뢰도 유지를 위해 적어도 아이콘으로 분류된 컨텐츠는 기본 자격이 있다고 일반 사용자가 느끼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일예로, 업로드부(130)는 업로드가 완료된 유저 컨텐츠를 아이콘으로 바로 전달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된 비더아이콘(be the icon) 테마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저 컨텐츠의 조회수를 분석하고, 설정 조회수를 만족하는 유저 컨텐츠를 아이콘스타(icon star) 테마로 옮길 수 있다. 아이콘부(110)는 비더아이콘 테마의 유저 컨텐츠를 아이콘화시키는 대신 아이콘스타 테마로 옮겨진 유저 컨텐츠를 아이콘화시켜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아이콘에서 분류되는 아이콘은 관리자가 제작한 것이거나, 유저 컨텐츠 중 조회수가 설정값을 만족하는 것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때의 설정 조회수는 업로드되는 컨텐츠의 개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In order to maintain the reliability of the icon, it is necessary for the general user to feel that at least the content classified as the icon has the basic qualification. For example, the upload
일예로, 설정 조회수는 업로드되는 컨텐츠의 개수에 비례할 수 있다. 아이콘부(110)로 유입될 수 있는 유저 컨텐츠의 개수가 제한되므로 많은 유저 컨텐츠가 업로드되는 경우 조회수의 설정값도 높아져서 선별 기준이 까다롭게 적용될 수 있다. 반대로, 적은 개수의 유저 컨텐츠가 업로드되는 경우 조회수의 설정값은 낮아지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아이콘의 품질 저하가 일부 예상되지만, 아이콘의 개수가 지나치게 적은 것보다는 유리할 수 있다. 아이콘 품질 저하의 보완책으로 추후 유저 컨텐츠의 개수가 증가할 경우 현재의 아이콘 역시 조회수 측면에서 다른 컨텐츠와 비교해서 낮다면 비더아이콘 테마로 퇴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t number of views may be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contents to be uploaded. The number of user content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한편, 비전문가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제작한 유저 컨텐츠의 질이 사용자 본인의 노력만으로 개선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유저 컨텐츠를 제작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컨텐츠의 내용 또는 컨텐츠 제작에 대한 자문 등의 도움을 소망할 수 있다. 따라서, 비더아이콘에 업로드된 유저 컨텐츠에는 특별한 코멘트 메뉴가 마련될 수 있다. 각종 컨텐츠의 메뉴에는 조회자가 자신의 의견을 적을 수 있는 코멘트란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 조회자의 코멘트를 통해 유저 컨텐츠의 제작자가 도움을 받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비더아이콘에는 전문가에 해당하는 멘토만이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는 멘토 코멘트 메뉴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멘토 코멘트 메뉴는 컨텐츠 관리 장치의 관리자가 선정한 전문가 또는 관리자에게만 접근 권한이 부여된 메뉴일 수 있다. 따라서, 멘토 코멘트 메뉴에 업로드된 내용은 전문가의 조언에 해당할 수 있다. 멘토 코멘트 메뉴에 따르면 유저 컨텐츠의 제작자는 물론이고, 해당 유저 컨텐츠를 조회한 다양한 사용자 역시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전문자의 조언을 살펴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limit to how the quality of the user content produced by a user who is a non-expert can be improved only by the user's own efforts.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user who produces the user contents, it is possible to request the contents contents or the advice on the contents production. Therefore, a special comment menu may be provided in the user contents uploaded to the Bidder icon. In the menu of various contents, a comment field in which a commenter can write his / her opinion can be provided. However, it is practically difficult for the producer of the user contents to get help from the comment of the general view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bidet icon may have a mentor comment menu so that only a professional mentor can input a comment. The mentor comment menu may be a menu to which only a specialist or an administrator selec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is given access authority. Therefore, the content uploaded to the mentor comment menu may correspond to expert advice. According to the mentor comment menu, not only the maker of the user contents but also various users viewing the user contents can also look at the advice of the specialists related to the contents.
업로드는 조회수를 이용해서 유저 컨텐츠를 관리하는 한편, 유저 컨텐츠에 포함된 성인물을 구분할 수 있다. 일예로, 업로드부(130)는 유저 컨텐츠에 포함된 단어를 분석해서 성인물로 분류되는 단어가 포함되거나, 유저 컨텐츠의 이미지에 포함된 색상 표시 비율이 설정값을 만족하면 해당 유저 컨텐츠를 성인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비더아이콘 테마에 해당 유저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것을 보류한 상태에서 관리자가 확인 가능한 단말기로 성인물로 의심되는 유저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Uploads can be used to manage user content by using the number of hits and to identify adult content included in user content. For example, the upload
일예로, 전체 화면에서 살색이 표시되는 비율이 높다면, 신체가 노출된 것으로 추정되므로 성인물일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렇다고 무조건 해당 유저 컨텐츠를 성인물로 확정한다면 수영복, 핫팬츠 등을 입고 있는 이미지 역시 성인물로 분류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성인물로 의심되는 특정 유저 컨텐츠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추가로 관리자가 해당 유저 컨텐츠를 수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공된다.For example, if the rate at which skin color is displayed on the whole screen is high, it is presumed that the body is exposed. However, if the user contents are unconditionally determined as ad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mages wearing swimwear and hot pants are classified as ad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utomatically identifying a specific user content suspected of being an adult and further allowing an administrator to manually confirm the user content.
이상에서 살펴본 아이콘부(110)에 의하면, 컨텐츠는 인물 아이콘, 장소 아이콘, 브랜드 아이콘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테마부(120)에 따르면 각 아이콘은 프로그렘 테마, 스페셜 테마, 코웍 테마, 루키 테마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업로드부(130)에 따르면 유저 컨텐츠는 비더아이콘 테마, 아이콘스타 테마로 분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이렇게 분류된 아이콘 중 사용자가 구매 가능한 제품이 존재할 수 있다. 일예로, 아이콘부(110)에서 분류되는 브랜드 아이콘은 판매 가능한 제품을 주 컨텐츠 내용으로 할 수 있다.Among the icons classified in this way, a product that the user can purchase may exist. For example, a brand icon classified by the
이렇게 판매 가능한 아이콘은 일반 사용자가 확인 후 해당 아이콘의 제공자(매장 또는 구매 사이트)로부터 구매할 수 있다. 다만, 일반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의 제공자를 직접 찾아가거나, 해당 제공자의 웹사이트를 별도로 방문할 필요가 있다. 구매자의 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는 쇼핑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n icon that can be sold can be purchased from a provider (store or purchase site) of the icon after confirmation by a general user. However, it is necessary for the general user to directly visit the provider of the icon or to visit the web site of the provider separately.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purchaser,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도 5는 쇼핑부(14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쇼핑부(140)는 아이콘을 판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쇼핑부(14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고 특정 아이콘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쇼핑부(140)는 아이콘 중 판매 가능한 제품을 추출 및 판매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품의 판매 정보를 제품의 공급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특정 사용자가 특정 제품을 구입한 사실을 해당 사용자, 해당 제품의 공급자가 모두 알게 되므로,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아룰러, 쇼핑부(140)에서는 위 구입 사실을 알고 있으므로, 쇼핑부(140)는 구입 사실을 증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특정 제품의 공급자로부터 정책적으로 수수료를 받을 수도 있다.The
테마부(120)에 의해 분류되는 테마부(120)는 아이콘부(110)와 달리 부가 컨텐츠에 대한 관리자의 자유도가 존재한다. 따라서, 부가 컨텐츠에 추가되는 아이콘 역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부가 컨텐츠에 추가되는 아이콘은 시간에 따라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때의 아이콘의 대체가 임의로 발생되지 않도록 분석부(150)가 이용될 수 있다.Unlike the
도 6은 분석부(15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분석부(150)는 아이콘에 적용된 태그(tag)를 분석해서 아이콘의 선호도를 분석할 수 있다. 아이콘에는 아이콘부(110), 테마부(120), 분석부(150) 등에 의해 특정 내용이 기입되는 태그가 마련될 수 있다.The
아이콘의 태그에는 선호도가 기입될 수 있다. 테마부(120)는 분석부(150)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선호도에 따라 아이콘을 재분류할 수 있다.The tag of the icon can be filled with preference. The
일예로, 분석부(150)는 태그를 이용해 선호도에 해당하는 각 아이콘의 시간별 조회수 x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테마부(120)는 분석부(150)의 분석 결과를 이용해서 현재 시각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조회수를 갖는 인기 아이콘이 포함된 테마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특정 아이콘의 조회수가 하루 24시간 동안 일정한 비율로 분포하기는 어렵다. 대체로 특정 아이콘의 조회수는 시간별로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된다.It is difficult for the number of views of a specific icon to be distributed at a constant rate for 24 hours a day. In general, the number of views for a particular icon will show different patterns over time.
예를 들어, 어린이 교육 아이콘 ⓛ의 경우, 어린이들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초저녁 시간대에는 조회수가 많은 반면, 학교에 있는 낮 시간 또는 잠을 자는 늦은 시간대에는 조회수가 낮을 수 있다. 반면, 미녀 가수가 등장하는 아이콘 ②는 심야 시간에 상대적으로 조회수가 높을 수 있다. 이렇게 시간별로 변화하는 조회수는 각 아이콘의 태그에 기재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150)는 태그에 기록된 시간별 조회수를 이용해서 시간별로 조회수가 높은 아이콘을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hildren's education icon ⓛ, the number of views may be low during the daytime hours of school, or at the late hours of sleeping, while children have many hits during the night when the Internet is available. On the other hand,
테마부(120)는 분석부(150)의 분석 결과를 이용해서 예를 들어 프로그램 테마를 구성하는 부가 컨텐츠에 시간별로 다른 아이콘을 추가할 수 있다. 일예로, 초저녁 시간대에는 부가 컨텐츠에 어린이 교육 아이콘 ⓛ에 포함된 인물 사진을 넣고, 심야 시간대에는 미녀 가수 아이콘 ②에 포함된 가수의 인물 사진을 넣을 수 있다.The
도 7은 아이콘부(110)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operation of the
아이콘부(110)는 특정 아이콘에 자동적으로 일부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아이콘부(110)는 장소로 분류된 특정 아이콘에 해당 아이콘이 표시되는 지도 ⓜ을 자동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공되는 지도 ⓜ 상에 특정 아이콘의 위치가 표시되므로 일반 사용자는 해당 장소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지도 ⓜ 상에는 특정 아이콘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아이콘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서 지도 ⓜ 상에 동그라미로 표시된 위치가 아이콘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지도 ⓜ 상에 특정 아이콘이 단순하게 텍스트 문서나 사진 정도로만 표시된다면, 특정 아이콘과 다른 아이콘과의 구별이 모호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도 ⓜ에 표시되는 특정 아이콘은 해당 아이콘에 포함된 동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On the map, not only certain icons but also other icons around them can be displayed. In FIG. 7, a circle indicated on the map may indicate an icon. In this case, the distinction between a specific icon and another icon may become ambiguous if a specific icon on the map is displayed only as a text document or photograph. To prevent this, a specific icon displayed on the map may be displayed as a moving picture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icon.
구체적으로, 아이콘부(110)는 복수개의 아이콘의 위치가 표시되는 지도 ⓜ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의 지도 ⓜ은 표시가 이루어지는 각 아이콘에 추가되거나 별도 메뉴를 통해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아이콘부(110)는 지도 ⓜ에서 특정 아이콘(icon)이 선택되면, 특정 아이콘의 동영상을 지도 ⓜ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지도 ⓜ 상에 특정 아이콘의 동영상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특정 아이콘을 다른 아이콘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왜냐하면, 선택되지 않은 다른 아이콘은 정지된 이미지 또는 동그라미와 같은 안내 표시로만 지도 ⓜ 상에 표시되기 때문이다. 특정 아이콘이 지도 ⓜ의 외부에 표시되는 대신 지도 ⓜ 상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해당 아이콘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아울러, 아이콘부(110)는 해당 동영상이 특정 아이콘을 나타내는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동영상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지도 ⓜ 상에서 특정 아이콘의 위치를 향해 연장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아이콘부(110)는 특정 아이콘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선 ⓐ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장소 또는 브랜드 아이콘을 확인한 사용자가 해당 장소를 편안하게 찾아갈 수 있는 방안으로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는 안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도 8은 안내부(16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안내부(160)는 아이콘부(110)에서 분류된 아이콘의 위치와 아이콘의 확인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부(160)는 휴대 단말기(10)와 아이콘 간의 거리가 설정 거리 이내이면 휴대 단말기(10)로 아이콘의 정보 또는 길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해 휴대 단말기(10)에는 위성항법장치에 해당하는 GPS가 탑재될 수 있다. 안내부(160)는 아이콘부(110)에 접속할 수 있는 어플레이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의 위치에서 선택된 특정 아이콘까지의 최단 경로 등을 휴대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최단 경로를 이용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특정 아이콘을 찾을 수 있다. 반면, 휴대 단말기(10)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감시해야 하는 안내부(160)의 부하가 증가될 수 있다. 안내부(160)의 부하 경감을 위해 비콘(170)(beacon)이 이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비콘(170)은 아이콘에 해당하는 매장 ⓒ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비콘(170)은 휴대 단말기(10)가 설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휴대 단말기(10)에 매장 ⓒ의 정보, 매장 ⓒ에서 발행한 쿠폰, 매장 ⓒ를 찾아가는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비콘(170)이 마련된 경우 비콘(170)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서 아이콘의 안내는 비콘(170)에 일임될 수 있다. 그리고, 비콘(170)의 커버리지 범위를 벗어난 휴대 단말기(10)에 대해서만 안내부(160)가 감시하고 길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이상의 아이콘, 테마 등은 컨텐츠 제공 장치가 마련된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도 2 내지 도 7과 같은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 아이콘의 선택 또는 테마의 선택에 따라 선택 아이콘 또는 테마 아이콘만이 표시되는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The above icons, themes, and the lik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connected to the server provided wit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2 to FIG. Further,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each icon or the selection of the theme, the user can enter the screen in which only the selection icon or the theme icon is display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휴대 단말기
110...아이콘부
120...테마부
130...업로드부
140...쇼핑부
150...분석부
160...안내부
170...비콘10 ...
120 ...
140 ... shopping
160 ... guide
Claims (15)
상기 아이콘부에서 생성된 아이콘을 제2 설정 기준에 따라 재분류하는 테마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An icon unit for classifying various contents into icons according to a first setting criterion; And
A theme unit for reclassifying icons generated in the icon unit according to a second setting criterion;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상기 아이콘부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단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와 상기 제1 설정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인물, 장소, 브랜드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con unit analyzes words included in the content and classifies the content into at least one of a person, a place, and a brand using the analysis result and the first setting criterion.
상기 테마부는 상기 아이콘과 무관한 부가 컨텐츠에 선택된 아이콘을 접목시킨 프로그램 테마, 특정 아이콘과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아이콘부 및 인터넷에서 검색 및 취합하여 상기 특정 아이콘에 부가하는 스페셜 테마, 복수로 선택된 아이콘을 취합하는 코웍 테마, 최근에 분류된 새로운 아이콘을 제공하는 루키 테마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아이콘을 재분류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eme unit may include a program theme that combines icons selected in the additional content irrelevant to the icon, a special theme that searches and collects content related to a specific icon on the icon unit and the Internet and adds the selected theme to the specific icon, And a rookie theme that provides a new icon that has recently been classified.
유저 컨텐츠가 업로드되는 업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업로드부는 제3 설정 기준을 만족하는 유저 컨텐츠만을 업로드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upload unit to which user contents are uploaded,
Wherein the upload unit uploads only the user content satisfying the third setting criterion.
상기 업로드부는 상기 제3 설정 기준을 만족하는 유저 컨텐츠의 기준 포맷을 상기 유저 컨텐츠의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pload unit provides a reference format of the user content satisfying the third setting criterion to the creator of the user content.
상기 제3 설정 기준에는 상기 유저 컨텐츠의 주인공 이름, 상기 주인공과 관련된 대상의 이름이 포함되고,
상기 아이콘부는 상기 주인공 이름 또는 상기 대상의 이름을 이용해서 상기 유저 컨텐츠를 아이콘화시켜 분류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hird setting reference includes a main character name of the user content and a name of an object related to the main character,
Wherein the icon unit iconizes and classifies the user contents using the main character name or the name of the target.
상기 업로드부는 업로드가 완료된 유저 컨텐츠의 조회수를 분석하고, 설정값을 만족하는 조회수를 갖는 유저 컨텐츠를 아이콘 스타 테마로 옮기며,
상기 아이콘부는 상기 아이콘 스타 테마로 옮겨진 유저 컨텐츠를 아이콘화시켜 분류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upload unit analyzes the number of views of the uploaded user content, moves the user content having the hit number satisfying the set value to the icon star theme,
Wherein the icon unit classifies and categorizes user contents transferred to the icon star theme into icons.
상기 업로드부는 상기 유저 컨텐츠의 이미지에 포함된 신체의 색상 표시 비율이 설정값을 만족하면 상기 유저 컨텐츠를 성인물로 분류하고, 상기 성인물의 업로드를 보류한 상태에서 관리자가 확인 가능한 단말기로 상기 성인물을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ploading unit classifies the user content into an adult article if the color display ratio of the body included in the image of the user content satisfies a set value and transmits the adult article to a terminal that can be checked by the administrator while the uploading of the adult article is suspended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상기 아이콘을 판매하는 쇼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쇼핑부는 상기 아이콘 중 판매 가능한 제품을 추출 및 판매하고, 상기 제품의 판매 정보를 상기 제품의 공급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hopping section for selling the icon,
Wherein the shopping unit extracts and sells a sellable product among the icons, and provides sales information of the product to a supplier of the product.
상기 아이콘에 적용된 태그를 분석해서 상기 아이콘의 선호도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마부는 상기 선호도에 따라 상기 아이콘을 재분류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alyzing the tag applied to the icon to analyze the preference of the icon,
And the theme unit reclasses the icon according to the preference.
상기 아이콘의 시간별 조회수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마부는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이용해서 현재 시각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조회수를 갖는 인기 아이콘이 포함된 테마를 생성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the number of hits per hour of the icon,
Wherein the theme unit generates a theme including a popular icon having a relatively high number of hits at a current time using an analysis result of the analysis unit.
상기 아이콘부는 장소로 분류된 특정 아이콘에 상기 특정 아이콘이 표시되는 지도를 포함시키고,
상기 지도에 표시되는 상기 특정 아이콘은 동영상으로 표시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con part includes a map in which the specific icon is displayed on a specific icon classified as a place,
Wherein the specific icon displayed on the map is displayed as a moving picture.
상기 아이콘부는 복수개의 상기 아이콘의 위치가 표시되는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지도에서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아이콘의 동영상이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되며,
상기 동영상이 상기 특정 아이콘을 나타내는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동영상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도 상에서 상기 특정 아이콘의 위치를 향해 연장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con part generates a map on which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icons are displayed,
When a specific icon is selected on the map, a moving picture of the specific icon is displayed on the map,
Wherein at least some of the borders of the moving image extend toward the position of the specific icon on the map to indicate that the moving picture represents the specific icon.
상기 아이콘부에서 분류된 상기 아이콘의 위치와 상기 아이콘의 확인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아이콘 간의 거리가 설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아이콘의 정보 또는 길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con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mobile terminal recognizes the icon information of the icon or the guidance information of the icon,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상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매장에 설치되는 비콘;을 포함하고,
상기 비콘은 상기 아이콘의 확인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가 설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상기 매장의 정보, 상기 매장에서 발행한 쿠폰, 상기 매장을 찾아가는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eacon installed in a store corresponding to the icon,
Wherein the beacon provi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store, a coupon issued in the store, and a route to the sto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the icon approaches within a set distanc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1738A KR20170017583A (en) | 2015-08-07 | 2015-08-07 |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
CN201610108681.2A CN106445982A (en) | 2015-08-07 | 2016-02-26 |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1738A KR20170017583A (en) | 2015-08-07 | 2015-08-07 |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7583A true KR20170017583A (en) | 2017-02-15 |
Family
ID=5811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1738A Ceased KR20170017583A (en) | 2015-08-07 | 2015-08-07 |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17583A (en) |
CN (1) | CN10644598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08564A (en) * | 2018-09-17 | 2020-03-24 |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 Automobile display terminal and theme switching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09931A (en) | 2012-07-13 | 2014-0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Communication method of contents requester and contents provider for providing contents and real-time streaming contents in a contents centric network based on contents nam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5983B1 (en) * | 2007-10-19 | 2014-11-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therein |
CN101567010A (en) * | 2008-04-22 | 2009-10-28 | 恩斯I&S株式会社 |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
KR101753141B1 (en) * | 2010-09-07 | 2017-07-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of contents |
KR20130033721A (en) * | 2011-09-27 | 2013-04-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ip apparatas and method for based on contents in a portable terminal |
CN103093180B (en) * | 2011-10-28 | 2016-06-29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A kind of method and system of pornographic image detecting |
KR20150068540A (en) * | 2013-12-11 | 2015-06-22 | 주식회사 13마일 | User presence service method using unique signal of store and system thereof |
CN104598601B (en) * | 2015-01-27 | 2017-12-12 | 北京齐尔布莱特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ethod, apparatus classified to user and content and computing device |
-
2015
- 2015-08-07 KR KR1020150111738A patent/KR20170017583A/en not_active Ceased
-
2016
- 2016-02-26 CN CN201610108681.2A patent/CN106445982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09931A (en) | 2012-07-13 | 2014-0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Communication method of contents requester and contents provider for providing contents and real-time streaming contents in a contents centric network based on contents n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08564A (en) * | 2018-09-17 | 2020-03-24 |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 Automobile display terminal and theme switching method |
CN110908564B (en) * | 2018-09-17 | 2023-04-07 |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 Automobile display terminal and theme switch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445982A (en) | 2017-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79694B1 (en) | Location based recommendation and tagging of media content items | |
US10304106B2 (en) | Consumer products | |
Desai | Methods beyond interviewing in qualitative market research | |
US20090150786A1 (en) | Media content tagging on a social network | |
US20120323704A1 (en) | Enhanced world wide web-based communications | |
US20090099853A1 (en) | Contextual product placement | |
KR20150121889A (en) | Apparatus for providing related image of playback music and method using the same | |
Tulloch et al. | Take five: How Sports illustrated and L’équipe redefine the long-form sports journalism genre | |
TWI806207B (en) |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a location-based topic | |
JP4984239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effect of content played back by electronic POP | |
van Nuenen | The production of locality on peer-to-peer platforms | |
CN114119171A (en) | A MR/AR/VR shopping and retrieval scene control method, mobile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 |
JP2017142763A (en) | Content providing device | |
KR101736401B1 (en) | Data providing method and data providing device | |
Batty et al. | Media writing: A practical introduction | |
KR20010057155A (en) | Demonstration method of work in internet | |
KR20170017583A (en) |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 |
TWI640913B (en) |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related to phonograph, and associated method | |
JP3455516B2 (en) | Navigation system | |
JP2018163650A (en) | Apparatus for using copyrighted work, method for using copyrighted work, and data structure therefor | |
WO2015133009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 |
US20250210064A1 (en) | System and methods for remote capture and automated directing of customized and editable video segments | |
TWI779375B (en) | Method for conditionally displaying digital content, system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 |
JP7485718B2 (en) |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 |
Tulloch et al. | Take five: How sports illustrated and L’Équipe redefine the long-form sports journalism gen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5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