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02572A - Immunocompatible amniotic membrane products - Google Patents

Immunocompatible amniotic membrane produ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572A
KR20170002572A KR1020167034202A KR20167034202A KR20170002572A KR 20170002572 A KR20170002572 A KR 20170002572A KR 1020167034202 A KR1020167034202 A KR 1020167034202A KR 20167034202 A KR20167034202 A KR 20167034202A KR 20170002572 A KR20170002572 A KR 20170002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tissue
cells
amniotic membrane
c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2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샘슨 톰
알라 다닐코비치
다나 유
티모시 잰슨
진-취앙 쿠앙
제니퍼 미셸 마르코니
Original Assignee
오시리스 쎄라퓨틱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시리스 쎄라퓨틱스, 인크. filed Critical 오시리스 쎄라퓨틱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002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572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0Placenta; Placental stem cells; Amniotic fluid; Amnion; Amniotic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3Fibrobl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61L27/369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characterised by physical conditions of the treatment, e.g.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composition, pressure cycles, ultrasonic/sonication or microwave treatment, lyoph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4Vasoprotectives; Antihaemorrhoidals; Drugs for varicose therapy; Capillary stab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3Embryonic cells ; Embryoid bodies
    • C12N5/0605Cells from extra-embryonic tissues, e.g. placenta, amnion, yolk sac, Wharton's jell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23/00Culture proces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ir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Botan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Rheumatology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면역적합성 양막을 포함하는 태반막 생성물이 제공된다. 이러한 태반막 생성물은 동결보존되고, 해동 후에 치료 인자 및 생존 세포를 함유할 수 있다. 태반막 생성물은 신생혈관생성을 촉진시키고, 염증을 감소시키며, 프로테아제 및 자유 라디칼 산화를 저해하고, 흉터 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처 치유 및 조직 수복/재생 및 치유를 촉진시키는 다른 방법에서 유용하다. 본 기술은 상처가 생긴 또는 손상된 조직을 보호하기 위한 생성물, 또는 접착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로서, 박테리아를 배제하거나, 박테리아 활성을 저해하고/하거나 조직의 치유 또는 성장을 촉진시키는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분야는 또한 이러한 막 유래 생성물의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re is provided herein a placental membrane product comprising an immunocompetent amniotic membrane. Such placental membrane products may be cryopreserved and contain therapeutic agents and viable cells after thawing. Placental membrane products are useful in wound healing and other methods of promoting tissue repair / regeneration and healing, as they promote neovascularization, reduce inflammation, inhibit proteases and free radical oxidation, and reduce scar formation Do. The present technology relates to a product for protecting a wounded or damaged tissue, or a cover for preventing adhesion, which excludes bacteria, inhibits bacterial activity and / or promotes healing or growth of tissue. The field also relates to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uch membrane-derived products.

Description

면역적합성 양막 생성물{IMMUNOCOMPATIBLE AMNIOTIC MEMBRANE PRODUCTS}IMMUNOCOMPATIBLE AMNIOTIC MEMBRANE PRODUCTS [0002]

관련 출원Related application

본 출원은 2014년 5월 7일자로 공동 출원되며, 그들의 전문은 발명의 명칭이 "Immunocompatible Chorionic Membrane Products", 및 Therapeutic Placental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e인 출원에 의해 참고로 포함된다.This application is co-filed on May 7, 2014, the full text of which is incorporated by reference as being an invention entitled " Immunocompatible Chorionic Membrane Products ", and Therapeutic Placental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e.

기술분야Technical field

본 기술은, 예를 들어 태반막-유래 생성물 및 동결보존된 생성물을 포함하는 상처 치유를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개선시키는 방법 및 생성물, 및 다음 중 하나 이상(신생혈관생성의 자극, 성장인자 분비, 프로테아제의 저해 및 유리 라디칼 산화)의 조합과 같은 상처에서 또는 상처 부위 근처 또는 상처 부위에서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은 상처가 생긴 또는 손상된 조직을 보호하기 위한 생성물, 또는 접착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로서, 박테리아를 배제하거나, 박테리아 활성을 저해하거나, 또는 조직의 치유 또는 성장을 촉진시키는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태반막의 예는 양막이다. 본 분야는 또한 이러한 막 유래 생성물의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technology relates to methods and products for facilitating or ameliorating wound healing, including, for example, placental membrane-derived products and cryopreserved products, and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stimulation of neovascularization, growth factor secretion, ≪ / RTI > and free radical oxidation), or a method of promoting healing in the vicinity of or at the wound site. The present technology relates to a product for protecting a wounded or damaged tissue, or a cover for preventing adhesion, which product excludes bacteria, inhibits bacterial activity, or promotes tissue healing or growth. An example of such placental membranes is amniotic membrane. The field also relates to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uch membrane-derived products.

새로운 또는 탈세포화된 태반막은 존스 홉킨스 병원이 진피 용도를 위한 태반막의 사용을 보고하였을 때인 적어도 1910년 이래로 수술 용도에서 국소적으로 사용되었다. 후속적으로 화상 또는 궤양이 생긴 표면을 치료하기 위해 분리되지 않은 양막 및 융모막이 사용되었다. 1950년대 및 60년대 동안, 만성 다리 궤양에 트로엔세가르트-한센(Troensegaard-Hansen)에 끓인 양막을 적용하였다.New or de-saturated placenta membranes have been used topically in surgical applications, at least since 1910, when Johns Hopkins Hospital reported the use of placenta membranes for dermal use. Separate amniotic and chorionic membranes were used to treat subsequent burn or ulcerated surfaces. During the 1950s and 1960s, amniotic membrane boiled in Troensegaard-Hansen was applied to chronic leg ulcers.

인간 양막(AM)은 양막으로부터 유래되고, 양막강의 내벽을 구성하는 태막의 가장 안쪽에 있다. 이는 대략 0.02 내지 0.5㎜ 두께이다. AM은 5개층으로 이루어진다: 단일층의 상피세포는 기저막에 남아있으며, 양수와 접한다. 결합조직의 기저층은 기저막에 부착된다. 결합조직은 3개의 구조층, 즉, 치밀층, 섬유아세포층(때때로 간충직층으로서 지칭됨) 및 해면층으로 구성된다. 해면층은 융모막에 인접한다. 양막은 본질적으로 맥관 구조가 없다.Human amniotic membrane (AM) is derived from amniotic membrane and is located at the innermost part of the membrane of the amniotic membrane. It is approximately 0.02 to 0.5 mm thick. AM consists of five layers: a monolayer of epithelial cells remains in the basement membrane and contacts the amniotic fluid. The basal layer of connective tissue attaches to the basement membrane. The connective tissue consists of three structural layers, a dense layer, a fibroblast layer (sometimes referred to as a hypodermic layer), and a sponge layer. The spongy layer is adjacent to the chorion. Amniotic membrane is essentially free of vasculature.

새로운 그리고 냉동된 AM은 둘 다 상처 치유 치료법을 위해 사용되었다. AM은, 예를 들어, 세포외 기질, 성장인자, 및 생존 세포(viable cell)와 같은 상처 치유에 기여할 수 있는 다수의 인자를 함유한다. 일부 보존 방법은 기질 또는 성장인자와 같은 인자의 일부 수준을 유지할 수 있지만, 생존 세포 수준을 보존하는 것은 도전을 제공한다. 새로운 AM이 사용될 때, 질환 전염 위험이 증가된다. 공개된 보고에 따르면, 새로운 양막 조직은 높은 세포 생존도(예를 들어, 70% 초과)를 나타내지만, 그러나 세포 생존도는 저장 동안 빠르게 감소되어(예를 들어, 0℃ 초과의 온도에서 28일 내에), 약 15% 내지 35% 범위의 생존 세포의 양을 감소시킨다. 일정 시간 기간(예를 들어, 3주) 동안의 냉동을 온도 또는 매질과 상관없이 약 13% 내지 18% 범위로 세포 생존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Both new and frozen AM have been used for wound healing remedies. AM contains a number of factors that can contribute to wound healing, such as, for example, extracellular matrix, growth factors, and viable cells. Some preservation methods can maintain some levels of factors such as substrates or growth factors, but preserving viable cell levels provide a challenge. When a new AM is used, the risk of disease transmission is increased. According to published reports, the new amnion tissue shows high cell viability (e.g., greater than 70%), but cell viability is rapidly reduced during storage (e.g., 28 days , To reduce the amount of viable cells in the range of about 15% to 35%. Freezing for a period of time (e.g., 3 weeks) has been shown to reduce cell viability in the range of about 13% to 18% regardless of temperature or medium.

리(Lee) 및 챙(Tseng)은 이러한 동결보존이 세포 생존도를 극적으로 감소시킨다고 해도, 80℃에서 글리세롤 및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에서 AM의 동결보존을 보고한다. 공개된 보고에 따르면, AM의 글리세롤 저장은 즉시 세포사를 야기하였다. 글리세롤 동결보존된 AM(-80℃) 및 글리세롤-보존 AM(-4℃)은 상처 치유를 위한 기질을 제공하기에 충분하지만, 생물학적 유효성을 부여하는 충분한 세포 생존도를 제공하지 않는다.Lee and Tseng report cryopreservation of AM in glycerol and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at 80 ° C, even if such cryopreservation dramatically reduces cell viability . According to an open report, storage of glycerol in AM caused cell death immediately. Glycerol cryopreserved AM (-80 캜) and glycerol-preserved AM (-4 캜) are sufficient to provide a substrate for wound healing, but do not provide sufficient cell viability to confer biological effectiveness.

가지왈라(Gajiwala) 및 가지왈라(Gajiwala)는 냉동-건조(동결건조) 및 감마-방사선 멸균에 의한 AM의 보존을 보고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AM은 60℃에서 살균되고, 70% 에탄올로 처리되며, 냉동건조되어 대부분의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한다. 이어서, AM은 코발트 60 감마 챔버 단위로 또는 ISO-공인 방사선 시설에서 25kGy 감마-방사선의 노출에 의해 멸균된다. 멸균된 AM은 6개월까지 동안 실온에서 저장될 수 있다. Gajiwala and Gajiwala report the preservation of AM by freeze-drying (lyophilization) and gamma-radiation sterilization. According to this method, AM is sterilized at 60 ° C, treated with 70% ethanol, and lyophilized to remove most of the remaining moisture. The AM is then sterilized by exposure to 25 kGy gamma-radiation in a cobalt 60 gamma chamber or in an ISO-approved radiation facility. Sterile AM can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up to 6 months.

고메스(Gomes)는 동결건조 다음에 에틸렌 옥사이드에서 멸균에 의해 AM의 보존을 보고한다.Gomes reports the preservation of AM by sterilization in ethylene oxide followed by lyophilization.

라마(Rama) 등은 글리세롤 대신 10%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중에서 AM의 동결보존을 보고하며, 세포 생존도 약 40%를 달성하였다. Rama et al reported cryopreservation of AM in 10% dimethyl sulfoxide (DMSO) instead of glycerol, and achieved cell survival of about 40%.

생존 세포(신생아 포피로부터 유래), 애플리그라프(Apligraf) 및 더마그래프트(더마그래프트)를 함유하는 2개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생체공학처리된 조직 이식편이 있다. 애플리그라프와 더마그래프트는 둘 다 배양 확장된 세포를 포함한다. 애플리그라프도 더마그래프도 천연 상처 치유 과정과 관련된 인자인 검출가능한 수준의 특정 인자, 예를 들어,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결합 단백질-1(IGFBP-1) 및 아디포넥틴을 포함하지 않는다. 추가로, 애플리그라프도 더마그래프도 상처 치유에 바람직할 수 있는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제(MMP) 대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제의 조직 저해제(TIMPS)의 특정 비(MMP 대 TIMP 비 또는 프로네아제-대-프로테아제 저해제 비)를 나타낸다. 상처 치유는 다인자 생물학적 과정이기 때문에, 상처를 적절하게 치료하는데 필요한 다수의 인자가 있으며; 피부에 존재하는 세포에 비해 더 낮은 양의 생존 세포 및 제한된 밀도를 갖는 생성물은 조직 내에서 발견되는 생존 세포 집단이 증가되고 세포 유형의 수가 증가된 생성물에 비해 상처를 더 적게 치유할 수 있다. 상처 치유, 상처 드레싱, 미용 용도와 같은 용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양막 유래 생성물을, 또는 더 높은 비율의 생존 세포 및, 예를 들어, 성장인자, 항산화제, 항염증제, 신생혈관생성 및 사이토카인을 촉진시키는 제제를 포함하는 인자의 증가된 양을 나타내는 다양한 집단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피부 대체물로서 제공하도록 당업계에서의 진보를 나타낼 것이다.There are two commercially available biologically engineered tissue implants containing viable cells (from neonatal foreskin), Apligraf and Dermagraft (Dermagrain). Both Apples and Derma grafts contain cultured expanded cells. Applescript and dermagraph also do not include detectable levels of certain factors, such as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1 (IGFBP-1) and adiponectin, which ar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natural wound healing process. In addition, both the application and the drama graphs may be desirable for wound healing. The specific ratio of substrate metalloproteinase (MMP) to tissue inhibitor (TIMPS) of substrate metalloproteinase (MMP versus TIMP ratio or pronase Versus-protease inhibitor ratio). Because wound healing is a multi-factorial biological process, there are a number of factors needed to properly treat the wound; Lower numbers of viable cells and products with limited density compared to cells present in the skin can increase the number of viable cell populations found in the tissue and lessen wound healing compared to products with an increased number of cell types. Amniotic membrane-derived products that can be used in applications such as wound healing, wound dressing, cosmetic applications, or to promote higher rates of viable cells and, for example, growth factors, antioxidants, anti-inflammatory agents, neovascularization and cytokines Will represent advances in the art to provide as a biological skin substitute comprising a diverse population representing an increased amount of the agent including the agent.

애플리그라프는 소 I형 콜라겐과 조합된 신생아 포피 각질세포 및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존가능한 이중층 피부 대체물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애플리그라프는 1998년 FDA에 의해 승인된 바와 같은 상업적 판매를 위해 이용가능한 제품을 지칭한다.Applescript is a viable bilayer skin substitute made using neonatal perianal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in combination with small type I collagen. As used in this application, Applescript refers to a product available for commercial sale as approved by the FDA in 1998.

더마그래프트는 합성 세포외 기질 및 생흡수성 폴리갈락틴 메쉬 스캐폴드 상에 파종된 신생아 포피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동결보존된 인간 섬유아세포이다. 그의 제품 설명서에 따르면, 더마그래프트는 3회 미만의 세척을 필요로 하는 생성물에 대해 상처 드레싱으로서 더마그래프트의 실행적 실행을 제한하는 사용 전의 3회 세척 단계를 필요로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더마그래프트는 2001년 FDA에 의해 승인된 바와 같은 상업적 판매를 위해 이용가능한 제품을 지칭한다.Derma grafts are cryopreserved human fibroblasts derived from neoplastic epithelial tissue seeded on synthetic extracellular matrix and bioabsorbable polygalactin mesh scaffolds. According to his product manual, Dermagraft requires three washing steps prior to use, limiting the performance of the Dermagraft as a wound dressing for products requiring less than three washes. As used in this application, Dermagraft refers to a product available for commercial sale as approved by the FDA in 2001.

공학처리된 상처 드레싱, 예컨대 애플리그라프 및 더마그래프트는 상처 치유를 위한 최고의 가능성을 제공하지 않는데, 그들이 차선의 세포 조성물을 포함하며, 따라서 적절한 상처 치유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애플리그라프 및 더마그래프트는 MSC 또는 고유한 조직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지 않으며, 그 결과, 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상이한 인자 사이의 비는 효율적인 상처 치유를 가능하게 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EGF, IGFBP1, 및 아디포넥틴을 포함하는 상처 치유에 중요한 일부 인자는, 검출가능하지 않거나, 또는 애플리그라프와 더마그래프트가 둘 다 없다. 추가적으로, MMP 및 TIMP를 포함하는 일부 인자는, 천연 상처 치유 과정에서 발견되는 비율과 크게 다른 비율로 존재하며; 이 차이는 특히 상류의 염증 사이토카인 경로를 변경시키는데, 이는 결국 상처 부위에서 차선의 미세환경을 가능하게 한다. 이들 생체공학처리된 생성물에서 기질 조성물은 I형 콜라겐만을 포함하고, 또한 히알루론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콜라겐(예를 들어, 콜라겐 I, III, IV, V, VI 등), 엘라스틴, 당단백질 및 프로테오글리칸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의 복잡한 구조적 기질과 상이하다. 피부는 또한 생체공학 생성물, 애플리그라프 및 더마그래프트의 대표적 예에서 결여된 진피 내 간충직 줄기 세포를 포함한다.Engineered wound dressings, such as Apples and Derma grafts, do not provide the greatest potential for wound healing because they contain sub-cellular compositions and thus do not provide adequate wound healing. For example, Applescript and DermaGraft do not contain MSC or native tissue extracellular matrix, so that the ratio between the different factors secreted by the cell does not enable efficient wound healing. In addition, some important factors for wound healing, including EGF, IGFBP1, and adiponectin, are either undetectable or not both Applescript and DermaGraft. Additionally, some factors, including MMP and TIMP, are present at a rat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found in the natural wound healing process; This difference, in particular, alters the upstream inflammatory cytokine pathway, which ultimately enables a sub-micron environment at the wound site. In these biotechnically processed products, the substrate composition comprises only type I collagen and may also comprise hyaluronic acid. It differs from the complex structural constituents of the skin, including components such as various collagens (e.g. collagen I, III, IV, V, VI, etc.), elastin, glycoproteins and proteoglycans. The skin also includes intramuscular hepatocyte stem cells lacking in representative examples of biotechnology products, appli grapes, and derma grafts.

파쿠에트-피필드(Paquet-Fifield) 등은 간충직 줄기 세포 및 섬유아세포가 상처 치유를 위해 중요하다(J Clin Invest, 2009, 119: 2795)는 것을 보고한다. 간충직 줄기 세포 및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생성물은 아직 기재되지 않았다.Paquet-Fifield et al. Report that hepatic stem cells and fibroblasts are important for wound healing (J Clin Invest, 2009, 119: 2795). Products containing hepatic stem cells and fibroblasts have not yet been described.

MMP와 TIMP는 둘 다 상처 치유에 중요한 인자이다. 그러나, 이들 단백질의 발현은 고도로 조절되고 조정되어야 한다. 과량의 MMP 대 TIMP는 불량한 상처 치유의 마커이다(Liu et al, Diabetes Care, 2009, 32: 117; Mwaura et al, Eur J Vasc Endovasc Surg, 2006, 31: 306; Trengove et al, Wound Rep Reg, 1999, 7: 442; Vaalamo et al, Hum Pathol, 1999, 30: 795).Both MMP and TIMP are important factors in wound healing. However, the expression of these proteins must be highly regulated and regulated. Excessive MMP versus TIMP is a marker of poor wound healing (Liu et al, Diabetes Care, 2009, 32: 117; Mwaura et al, Eur J Vasc Endovasc Surg, 2006, 1999, 7: 442; Vaalamo et al, Hum Pathol, 1999, 30: 795).

α2-마크로글로불린 및/또는 그의 수용체는 모두 4종의 메커니즘적 분류로부터 프로테아제를 불활성화하는 혈장 단백질로서 알려져 있다: 세린 프로테아제,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아스팔틱 프로테아제, 및 메탈로프로테아제(Borth et al., FASEB J, 1992,6: 3345; Baker et al., J Cell Sci, 2002, 115:3719). 이 단백질의 다른 중요한 기능은 사이토카인 및 성장인자의 저장소로서 작용하는데, 이의 예는 TGF, PDGF 및 FGF를 포함한다(Asplin et al, Blood, 2001, 97: 3450; Huang et al, J Biol Chem, 1988; 263: 1535). 당뇨성 궤양 또는 정맥 궤양과 같은 만성 상처에서, 고량의 프로테아제의 존재가 성장인자의 빠른 분해 및 상처 치유의 지연을 야기한다. 따라서, α2-마크로글로불린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은 당업계에서의 진보를 구성할 것이다.alpha 2-macroglobulin and / or its receptors are all known as plasma proteins that inactivate proteases from four different mechanistic classes: serine protease, cysteine protease, aspartic protease, and metalloprotease (Borth et al., FASEB J, 1992, 6: 3345; Baker et al., J Cell Sci, 2002, 115: 3719). Other important functions of this protein function as a reservoir of cytokines and growth factors, examples of which include TGF, PDGF and FGF (Asplin et al, Blood, 2001, 97: 3450; Huang et al, J Biol Chem, 1988; 263: 1535). In chronic wounds such as diabetic ulcers or vein ulcers, the presence of high amounts of protease causes rapid degradation of growth factors and delayed wound healing. Thus, placental products containing [alpha] 2-macroglobulin will constitute an advance in the art.

시험관내 세포 이동 분석은 생성물의 상처 치유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하다. 상처 치유 과정은 고도로 복잡하며, 성장인자에 의해 제어된 일련의 구조화된 사건을 수반한다(Goldman, Adv Skin Wound Care, 2004, 1:24). 이들 사건은 증가된 혈관신생, 염증 면역세포에 의한 침윤 및 세포 증식의 증가를 포함한다. 상처 치유의 시작 단계는 개개 세포가 상처에 대해 양극화되고, 상처 영역에 근접하고 주위 조직을 재구성하기 위해 상처 영역 내로 이동하는 능력에 관해 다룬다. 세포이동과 상처 치유 사이의 상관관계를 시험함으로써 상처 치료법의 상처 치유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분석 은 당업계에서 잔보를 나타낼 것이다. 하기 개시내용에서 논의하는 바와 같이, 본 기술의 양상은 그들이 신생혈관생성을 촉진시키고, 항염증 활성을 촉진시키며, 항산화활성을 촉진시키고, 성장인자의 증가된 양 및 변형을 제공하는 생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당업계에서 상당한 진보를 나타낸다. 이하에 더 상세하게 논의하는 바와 같이, 이들 생성물 및 방법은 다수의 상처 치유 용도, 연조직 손상 또는 골형성 수복에서 사용될 수 있다.In vitro cell migration assays are important in assessing the potential for wound healing of products. The wound healing process is highly complex and involves a series of structured events controlled by growth factors (Goldman, Adv. Skin Wound Care, 2004, 1:24). These events include increased angiogenesis, infiltration by inflammatory immune cells, and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The initiation phase of wound healing deals with the ability of individual cells to become polarized to the wound, to move into the wound area to approach the wound area and reconstitute the surrounding tissue. An analysis that can assess the potential for wound healing of wound treatment by testing the correlation between cell migration and wound healing will provide a margin in the art. As discussed in the disclosure below, aspects of the present technique relate to products and methods that promote neovascularization, promote anti-inflammatory activity, promote antioxidant activity, and provide increased amounts and variants of growth factors And therefore represents a significant advance in the art. As discussed in more detail below, these products and methods can be used in a number of wound healing uses, soft tissue injuries, or osteogenesis restorations.

일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제공하되, 양막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하기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followed by cryopreservation of the amniotic membrane and subsequent thawing, comprising: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약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about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extracellular matrix that is natural to amniotic membrane; And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D) One or more types of depleted positive immunogenic cells.

다른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제공하되, 양막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하기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followed by cryopreservation of the amniotic membrane and subsequent thawing comprising:

A) 생존 세포,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 및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기질층,A) a substrate layer comprising a living cell,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and an extracellular matrix,

B) 생존 세포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포함하는 표층; 및B) a surface layer comprising viable cells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And

C)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C) one or more types of depleted amount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기질층 및 상피층에서 조합된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 세포이다.Over 40% of the combined cells in the matrix and epithelial layers are viable cells.

일 양상에서, 상기 개시내용은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을 갖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은 하기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having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comprises: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및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양막은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 유형을 가지며; 1종 이상의 조직 성분이 치료적 이점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Amniotic membrane has a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 types; One or more tissue components are present in an amount effective to provide a therapeutic benefit.

일 양상에서, 상기 개시내용은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을 갖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은 하기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having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comprises: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및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양막은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를 가지며, 1종 이상의 조직 성분은 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존재한다: The amniotic membrane has a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and one or more tissue components are present in an amount effective to:

(i)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 (i) Decreas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i)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 (ii) Increas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iii) 반응성 산소종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iii) reduc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v)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iv) Increas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 antioxidant;

(v) 프로테아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 (v) Decreas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vi)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는 것; (vi) Increasing cell proliferation;

(vii) 신생혈관생성을 증가시키는 것; 및/또는(vii) Increasing angiogenesis; And / or

(viii) 세포 이동을 증가시키는 것.(viii) To increase cell migration.

다른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동결보존된 태반을 포함하는 막을 제공하되, 태반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하기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mbrane comprising a cryopreserved placenta, followed by cryopreservation of the placenta and subsequent thawing, comprising:

A) 조직 세포(상기 태반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 the placental cells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태반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placenta membrane;

C) 태반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A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the placenta; And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D) One or more types of depleted amount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본 양상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태반막은 양막 및 융모막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of this aspect, the placental membrane comprises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ic membrane.

상기 양상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는 면역 반응을 생성하는데 충분한 수준 미만의 양으로 면역원성 인자를 생성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는 검출가능한 한계 미만의 양으로 면역원성 인자를 생성한다. In some embodiments of this aspect, a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produce an immunogenic agent in an amount less than a level sufficient to produce an immune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depleted amount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produce immunogenic agents in amounts less than the detectable limit.

상기 양상의 실시형태에서, 막은 조직 세포를 포함하되, 상기 조직 세포의 약 50% 내지 약 100%는 생존가능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직 세포의 약 60% 내지 약 100%는 생존가능하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직 세포의 약 70% 내지 약 100%는 생존가능하다.In an embodiment of this aspect, the membrane comprises tissue cells, wherein from about 50% to about 10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In some embodiments, about 60% to about 10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In a further embodiment, about 70% to about 10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상기 양상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막은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 (i) 내지 (viii)의 임의의 활성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1종 이상의 조직 성분(예를 들어, 생존 세포,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 및/또는 세포외 기질)을 제공한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foregoing aspects, the membrane may comprise one or more tissue components (e. G., Viable cells, one or more therapeutic agents, and / or adjuvants) in an amount effective to promote any activity in vitro or in vivo (i) / ≪ / RTI > or extracellular matrix).

상기 기재한 양상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막이 전달 기질에 고정되도록 전달 기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aspect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delivery substrate such that the membrane is secured to the delivery substrate.

상기 양상의 실시형태에서, 막은 후속적 해동 전에 장기간의 시간 동안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장기간의 시간은 약 6개월 내지 약 25개월 이상이다. 이들 실시형태에서, 조직 세포의 생존도는 해동 시 실질적으로 유지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직 세포의 생존도는 냉동 저장 되었을 때 적어도 약 25개월 이상 동안 실질적으로 유지된다.In embodiments of this aspect, the membrane may be stored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prior to subsequent thawing. In some embodiments, the long term time is from about 6 months to about 25 months or more. In these embodiments, the viability of tissue cells is substantially maintained at thawing. In some embodiments, the viability of the tissue cell is substantially maintained for at least about 25 months or more when cryopreserved.

상기 양상의 실시형태에서, 막은 해동되고, 해동 방법의 시작 30분 내에 사용을 위한 준비가 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is aspect, the membrane is thawed and ready for use within the first 30 minutes of the thawing method.

상기 양상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막은 해동 후 1시간까지 식염수 중에서 저장될 수 있고, 약 70% 생존 세포를 여전히 유지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of this aspect, the membranes can be stored in saline until 1 hour after thawing and still retain about 70% viable cells.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양막은 하기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a wound in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And

D) 고갈된 양의 1종 이상의 유형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D) Depleted amounts of one or more type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투여 시 막은 하기 중 하나 이상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Upon administration, the membrane provides viable cells,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promot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i)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i) a de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i)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 (ii)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iii) 반응성 산소종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iii) reduction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v)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iv)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tioxidants;

(v) 프로테아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v) Reduction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vi) 세포 증식의 증가; (vi)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vii) 신생혈관생성의 증가; 및/또는(vii) An increase in neovascularization; And / or

(viii) 세포 이동의 증가.(viii) Increased cell migration.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양상 및 실시형태에 따라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처 치유를 가속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여하는 단계는 초기 투여 단계 후 12주까지 상처 봉합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여하는 단계는 초기 투여 단계 후 5 내지 6주까지 상처 봉합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여하는 단계는 초기 투여 단계 후 28일까지 50% 이상만큼 상처 크기의 감소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실시형태에서, 투여하는 단계는 표준 상처 치료에 비해 적어도 약 44%만큼 상처 봉합률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accelerating wound healing comprising administering a membrane according to any of the aspects and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some embodiments,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promote wound closure for up to 12 week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phase. In some embodiments,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promote wound closure 5 to 6 week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step. In some embodiments,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promote a reduction in wound size by 50% or more by 28 day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step. In an embodiment,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improve wound closure rate by at least about 44% as compared to standard wound treatment.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상처 치유 치료 전에 난치성인 상처에 대해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양상 및 실시형태에 따라 상처 부위에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여하는 단계는 초기 투여 단계 후 12주까지 상처 봉합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여하는 단계는 초기 투여 단계 후 5 내지 6주까지 상처 봉합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여하는 단계는 초기 투여 단계 후 28일까지 50% 이상만큼 상처 크기의 감소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a subject for a wound that is refractory prior to a wound healing treatment, the method comprising administering a membrane to a wound site in accordance with any of the aspects and embodiments herein do. In some embodiments,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promote wound closure for up to 12 week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phase. In some embodiments,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promote wound closure 5 to 6 week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step. In some embodiments,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promote a reduction in wound size by 50% or more by 28 day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step.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양막은: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a chronic wound comprising administering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wherein the amniotic membrane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comprises: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And

D) 고갈된 양의 1종 이상의 유형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를 포함하고;D) Depleted amounts of one or more type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투여하는 단계는 만성 상처의 치유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가능한 치료 세포,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The administering step provides a viable therapeutic cell, an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promote the healing of chronic wounds.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급성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양막은 하기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an acute wound comprising administering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wherein the amniotic membrane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comprises: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And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 상기 투여하는 단계는 급성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양으로 생존 가능한 치료적 세포,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D) One or more types of depleted amount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The administering step provides a viable therapeutic cell,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that promotes acute wound healing.

상처 치료, 가속화된 상처 치료, 및/또는 만성 상처 치료에 관한 상기 양상의 실시형태에서, 상처는 열상, 찰과상, 화상, 창상, 구멍, 발사체에 의해 야기되는 상처, 표피 상처, 피부 상처, 만성 상처, 급성 상처, 외부 상처, 내부 상처, 선천성 상처, 궤양, 욕창, 당뇨성 궤양, 수도상처, 수술 절차 동안 또는 수술 절차에 부가하여 야기된 상처, 정맥 피부 궤양, 및 무혈관성 괴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above aspects relating to wound healing, accelerated wound healing, and / or chronic wound healing, the wound may include a wound, a scar, a burn, a wound, a wound caused by a projectile, a skin wound, a skin w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ute wound, an external wound, an internal wound, a congenital wound, an ulcer, a pressure ulcer, a diabetic ulcer, a water wound, a wound caused by or in addition to a surgical procedure, a venous dermal ulcer, and an avascular necrosis .

상기 방법에 관한 상기 양상의 실시형태에서, 막은: (i)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ii)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 (iii) 반응성 산소종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iv)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 (v) 프로테아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vi) 세포 증식의 증가; (vii) 신생혈관생성의 증가; 및/또는 (viii) 세포 이동의 증가 중 하나 이상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is aspect of the method, the membrane is: (i) a de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i)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iii) reduction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v)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 antioxidant; (v) reduc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vi)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vii) increased angiogenesis; And / or (viii) an increase in cell migration,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다른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대상체에게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염증성 안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양막은: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inflammatory eye disease in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is: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And

D) 고갈된 양의 1종 이상의 유형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를 포함하고; D) Depleted amounts of one or more type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상기 투여는 염증성 안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가능한 치료 세포,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The administration provides viable therapeutic cells,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treat inflammatory eye diseases.

본 양상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염증성 안질환은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또는 질환이다.In some embodiments of this aspect, the inflammatory eye disease is a wound or disease characterized by inflammation.

다른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대상체에게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조직 수복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양막은: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promoting tissue repair and / or tissue regeneration in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film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ryopreserved,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silver: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And

D) 고갈된 양의 1종 이상의 유형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를 포함하고; D) Depleted amounts of one or more type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상기 투여는 조직 수복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가능한 치료 세포,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The administration provides viable therapeutic cells,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promote tissue repair and / or tissue regeneration.

본 양상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조직 이식편 절차, 힘줄 수술, 인대 수술, 골 수술 및 척수 수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술 절차와 병용하여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직은 인간 조직이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인간 조직은 연골, 피부, 인대, 힘줄 또는 뼈이다. 이 양상 및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막은 조직 재생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is aspect, the method is used in conjunction with a surgical procedu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issue graft procedure, tendon surgery, ligament surgery, bone surgery, and spinal surgery. In some embodiments, the tissue is a human tissue. In a further embodiment, the human tissue is cartilage, skin, ligament, tendon or bone. In this and various embodiments, the membrane can stimulate tissue regeneration directly or indirectly.

다른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상처에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반응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양막은: 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modulating an inflammatory response comprising administering a film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ryopreserved to a wound,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is: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And

D) 고갈된 양의 1종 이상의 유형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를 포함하고;D) Depleted amounts of one or more type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투여는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 Administration provides viable cells,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reduc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 or increas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상처에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테아제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양막은 하기를 포함한다:In an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modulating protease activity, comprising administering a membrane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ryopreserved to a wound,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And

D) 고갈된 양의 1종 이상의 유형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D) Depleted amounts of one or more type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투여는 프로테아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프로테아제 저해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Administration provides viable cells,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reduc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and / or increas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inhibitor.

추가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반응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고, 상처에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양막은:In a fur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n amount of an antioxidant comprising a step of reduc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administering a membrane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ryopreserved to the wound and /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is: < RTI ID = 0.0 >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And

D) 고갈된 양의 1종 이상의 유형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를 포함하고;D) Depleted amounts of one or more type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투여는 ROS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Administration provides viable cells,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reduc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OS and / or increas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antioxidant.

다른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상처에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생혈관생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양막은: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increasing neovasculariza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a membrane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ryopreserved to a wound,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And

D) 고갈된 양의 1종 이상의 유형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를 포함하고;D) Depleted amounts of one or more type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상기 투여는 신생혈관생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의 양을 제공한다.The administration provides an amount of viable cells,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increase angiogenesis.

다른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상처에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이동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양막은: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increasing cell migra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a membrane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ryopreserved to a wound,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And

D) 고갈된 양의 1종 이상의 유형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를 포함하고;D) Depleted amounts of one or more type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상기 투여는 세포 이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의 양을 제공한다.The administration provides an amount of living cells,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increase cell migration.

또 다른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상처에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양막은: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increasing cell prolifera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a membrane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ryopreserved to a wound,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And

D) 고갈된 양의 1종 이상의 유형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를 포함하고;D) Depleted amounts of one or more type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상기 투여는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의 양을 제공한다.The administration provides an amount of living cells,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increase cell proliferation.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대상체에게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흉터 또는 구축 형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양막은:In an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preventing or reducing scarring or build up formation in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film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ryopreserved,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And

D) 고갈된 양의 1종 이상의 유형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를 포함하고; D) Depleted amounts of one or more type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상기 투여는 흉터 또는 구축 형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가능한 치료 세포,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The administration provides viable therapeutic cells,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prevent or reduce scarring or build-up.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 절차와 관련된 조직 접착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양막은:In one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or preventing tissue adhesion associated with a surgical procedure comprising administering a film comprising administering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wherein the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 Amniotic membrane: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And

D) 고갈된 양의 1종 이상의 유형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를 포함하고;D) Depleted amounts of one or more type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막은 조직에 투여되고, 조직 접착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The membrane is administered to the tissue and provides viable cells,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treat or prevent tissue adhesion.

염증성 반응을 조절하며, 프로테아제 활성을 조절하고, 반응성 산소종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며,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고, 신생혈관생성을 증가/촉진시키며, 세포 이동을 증가시키고,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흉터 또는 구축 형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임의의 상기 양상에서, 막의 투여는 상기 방법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자극 또는 유도할 수 있다.Modulate the inflammatory response, modulate protease activity, decreas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creas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tioxidants, increase / promote neovascularization, increase cell migration In any of the above aspects of the method of increasing cell proliferation or preventing or reducing scarring or build-up, administration of the membrane may stimulate or induce the method directly or indirectly.

다른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하기를 포함하는 상처 또는 조직 결함의 치료를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kit for the treatment of a wound or tissue defect comprising:

A)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기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양성 및 실시형태에 따른 막; 및A) A film according to any of the positives and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ontainer; And

B) 상처 또는 조직 결함을 치료하기 위해 막을 투여하기 위한 설명서.B) Instructions for administering the membrane to treat wounds or tissue defects.

실시형태에서, 키트는 부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부가물은 하나 이상의 항생제, 완화제, 각질용해제, 습윤제, 항산화제, 보존제, 치료제, 붕대, 도구, 절단 장치, 완충제, 해동 매질, 조절 매질, 겸자, 용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kit may further comprise an adduct. In a further embodiment, the adduct is selected from one or more antibiotics, emollients, exfoliants, wetting agents, antioxidants, preservatives, therapeutics, bandages, tools, cutting devices, buffers, thawing media, conditioning media, forceps, .

상기 개시내용은 하기 설명 및 비제한적 실시예로부터 명확해질 수 있는 다른 양상 및 실시형태를 제공한다.The foregoing disclosure provides other aspects and embodiments which may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from the non-limiting examples.

도 1은 다양한 냉동 방법 및 다양한 양의 동결보존 용액의 냉동 속도를 도시한 도면. 도 1a 내지 도 1d는 -80℃에서 냉동 전 4℃에서 30분 냉장 단계에 수반된다. 도 1e 내지 도 1h는 -80℃에서 직접적 냉동을 나타낸다.
도 2는 다양한 양의 동결보존 용액과 함께 저장될 때 양막의 세포 처리 회수(a) 및 세포 생존도(b)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다양한 양의 동결보존 용액과 함께 저장될 때 융모막의 세포 처리 회수(A) 및 세포 생존도(B)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융모양막의 세포 생존도에 대한 동결보존 효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양막(A) 및 융모막(B)의 세포 회수 처리(동결보존)에 대한 냉장 시간 및 냉동 매개변수 효과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양막에 대한 세포 생존도에 대한 냉장 시간 및 냉동 매개변수의 효과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생존가능한/죽은 균주를 이용하여 염색한 새로운 양막(A 및 C) 및 융모막(E)뿐만 아니라 동결보존된 양막(B 및 D) 및 융모막(F)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생존 세포는 녹색으로 나타내는 반면, 사멸 세포는 적색으로 나타낸다.
도 8은 중간체의 제조로부터의 다양한 태반막(영양막, 융모 영양막 (CT), 융모 영양막과 함께 양막(ACT), 양막(AM), 융모막(CM) 및 융모막과 함께 양막(A/C))에 의해 자극되는 T-세포로부터 IL-2Rα의 발현을 측정하는 혼합 림프구 반응(MLR) 분석으로부터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동결보존 후 중간체 및 태반막(양막(AM), 융모막(CM), 양막과 함께 융모막(A/C))의 제조로부터의 다양한 태반막에 의해 자극되는 T-세포로부터의 IL-2Rα의 발현을 측정하는 MLR 분석으로부터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다양한 막 제조(양막+융모막+영양막(ACT), 융모막+영양막(CT), 영양막(T), 양막(AM) 및 융모막(CM))로부터 방출된 지질다당류(lipopolysacchride: LPS) 자극 TNF-α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고수준의 TNF-α가 분비된 융모 영양막(CT)에 의한 T-세포 자극으로부터의 IL-2Rα의 발현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플라스틱 접착 양막(a) 및 융모막(b)으로부터 단리된 배양된 세포의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인간 골수 흡입물로부터 단리된 MSC를 비교(c)를 위해 나타낸다. 태반 유래 세포의 골형성 가능성을 알칼리 포스파타제(d)에 대한 보라색 염색에 의해 도시한다.
도 13은 동결보존된 양막에 비교하여 새로운 양막에서 VEGF의 발현을 도시한 도면.
도 14A는 양막 세포분쇄액 중의 IFN-2α 및 TGF-β3의 발현을 도시한 도면. 도 14 B는 양막(AM) 및 융모막(CM) 추출물 중의 bFGF의 발현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양막 세포분쇄액 중의 BMP-2, BMP-4, PLAB, PlGF (a) 및 IGF-1 (b)의 발현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양막(AM), 융모막(CM) 및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생성물 중의 EGF (a), IGFBP1 (b) 및 아디포넥틴(c)의 발현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양막, 융모막 및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생성물 중의 MMP 대 TIMP 비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2개의 별개의 태반 공여체에서 ELISA에 의해 측정된 양막 및 융모막 내 EGF의 발현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동결보존된 양막이 TNF-α에 노출될 때 고수준의 항염증 사이토카인 PGE-2을 생성한다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동결보존된 양막이 IL-1α(a) 및 TNF-α(b)와 같은 가용성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방출을 저해하고, 활성화된 면역 세포와 함께 공동 배양될 때 항염증 IL-10(C)의 방출을 상향조절한다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양막이 방출된 보라색 염료의 감소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MMP 활성을 저해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p<0.05) 능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동결보존된 양막에 의한 엘라스타제의 저해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동결보존된 양막 및 아스코르브산(강한 항산화제)의 항산화제 능력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동결보존된 양막이 초기 세포자멸사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DF)를 구할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 세포자멸사 세포는 염색질 및 핵 단편화의 그들의 응축에 기인하여 밝은 청색 점으로서 나타난다.
도 25는 동결보존된 양막이 관을 형성하기 위해 인간 제대정맥 내피세포(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를 촉진시키고, 형성된 관의 수는 음성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크다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셀 바이오랩스(Cell Biolabs) 24-웰 사이토셀렉트(Cytoselect) 상처 치유 분석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양막, 융모막 또는 양막/융모막 제제의 조합으로부터의 5% 조정배지로 처리한 인간 진피 미세혈관 내피 세포(HMVEC)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동결보존된 양막(양막)에 의한 내피세포 이동의 촉진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동결보존된 양막(양막)에 의한 섬유아세포 세포 이동의 촉진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동결보존된 양막(양막)에 의한 병에 걸린 각질세포 이동의 촉진을 도시한 도면.
도 31a 내지 도 31e는 환자 1에서 당뇨성 족부 궤양을 치료하기 위한 태반 생성물의 현저한 효능을 도시한 도면.
도 32A 내지 도 32D는 환자 2에서 당뇨성 족부 궤양을 치료하기 위한 태반 생성물의 현저한 효능을 도시한 도면.
도 33은 완전한 상처 봉합을 나타내는 임상 연구 결과가 대조군(47명의 환자 중 10명, 21.0% 상처 봉합, p=0.0001)에 비해 태반 생성물(50명의 환자 중 31명, 62.0% 상처 봉합)을 받은 환자에서 상당히 더 높았다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4는 대조군에 비해 태반 생성물에 대한 12주 평가 기간 동안 완전한 상처 치유의 통계적으로 더 큰 가능성을 나타내는 카플란-마이어(Kaplan-Meier) 분석을 도시한 도면(p<0.0001).
도 35는 태반 생성물에 의한 치료를 받은 환자가 대조군 아암에 비해 완전한 상처 봉합을 달성하기 위해 통계적으로 더 소수의 적용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도시한 도면(p=0.0001).
도 36은 12주까지 태반 생성물 치료법을 받은 대조군(n=26) 내 환자를 나타내는 카플란-마이어 분석이 67.8%의 상처 봉합 확률을 가진다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7A 내지 도 37F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동결보존된 막을 혼입하는 힘줄의 수술적 수복을 위한 방법의 일반적 개요를 도시한 도면.
도 38A 내지 도 38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동결보존된 막을 혼입하는 건증의 수술적 수복을 위한 방법의 일반적 개요를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llustrates various refrigeration methods and refrigeration rates for varying amounts of cryopreservation solution. Figs. 1a to 1d are carried out at -80 占 폚 for 30 minutes before refrigerating at 4 占 폚. 1E-1H show direct refrigeration at -80 < 0 &gt; C.
Figure 2 shows the cell processing count (a) and cell viability (b) of the amniotic membrane when stored with varying amounts of cryopreservation solution.
Figure 3 shows the number of cell treatments (A) and cell viability (B) of chorionic villus when stored with varying amounts of cryopreservation solution.
Fig. 4 shows the cryopreservation effect on the cell viability of the villous amniotic membrane.
5 is a view showing the refrigerating time and the refrigeration parameter effect on the cell recovery process (cryopreservation) of amniotic membrane (A) and chorion (B).
Figure 6 shows the effect of refrigeration time and refrigeration parameters on cell viability for amniotic membrane.
7 shows representative images of fresh amniotic membranes (A and C) and chorion (E) as well as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s (B and D) and chorion (F) stained with viable / dead strains. The surviving cells are green, while the apoptotic cells are red.
Fig. 8 shows the results of the immunoassay of various placenta membranes (amniotic membrane, chorionic villus (CT), amniotic membrane (ACT), amniotic membrane (AM), chorion (CM) (MLR) assay that measures the expression of IL-2R [alpha] from T-cells stimulated by IL-2R [alpha].
Figure 9 shows IL-2R &lt; alpha &gt; from T-cells stimulated by various placental membranes from the manufacture of intermediate and placental membranes (amniotic membrane (AM), chorionic membrane (CM) Lt; RTI ID = 0.0 &gt; MLR &lt; / RTI &gt; analysis.
10A and 10B show lipopolysacchride (LPS) released from various membrane preparations (amniotic membrane + chorioamnion membrane (ACT), chorionic membrane + trophoblast (CT), trophoblast (T) ) Stimulation TNF- [alpha]. &Lt; / RTI &gt;
Figure 11 shows the expression of IL-2R [alpha] from T-cell stimulation by a high level of TNF- [alpha] secreted chorionic villus (CT).
12 shows images of cultured cells isolated from plastic adherent amniotic membrane (a) and chorion (b). MSCs isolated from human bone marrow aspirate are shown for comparison (c). The possibility of osteogenesis in placenta-derived cells is shown by purple staining for alkaline phosphatase (d).
13 shows the expression of VEGF in new amniotic membrane as compared to frozen-preserved amniotic membrane.
14A is a diagram showing the expression of IFN-2 alpha and TGF- beta 3 in amniotic membrane cell lysate. FIG. 14B shows the expression of bFGF in amniotic membrane (AM) and chorion (CM) extracts.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expression of BMP-2, BMP-4, PLAB, PlGF (a) and IGF-1 (b) in amniotic membrane cell lysate.
Figure 16 shows the expression of EGF (a), IGFBP1 (b) and adiponectin (c) in amniotic membrane (AM), chorionic membrane (CM) and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Figure 17 shows MMP versus TIMP ratios in amniotic membrane, chorion, and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18 shows the expression of EGF in the amniotic membrane and chorioamnion as measured by ELISA in two distinct placental donors.
Figure 19 shows that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produces a high level of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PGE-2 when exposed to TNF- [alpha].
Figure 20 shows that the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inhibits the release of pre-soluble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la (a) and TNF-alpha (b) RTI ID = 0.0 &gt; C). &Lt; / RTI &gt;
Figure 21 shows that the amniotic membrane exhibi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 p &lt; 0.05) ability to inhibit MMP activity as evidenced by reduction of the purple dye released.
22 is a view showing the inhibition of elastase by the frozen-preserved amniotic membrane.
23 shows antioxidant ability of frozen-preserved amniotic membrane and ascorbic acid (strong antioxidant);
24 shows that the amphiprotected amniotic membrane can obtain early apoptotic human dermal fibroblast (HDF). Apoptotic cells appear as bright blue dots due to their condensation of chromatin and nuclear fragmentation.
Figure 25 illustrates that the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promotes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to form tubes and the number of tubes formed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negative control.
Figure 26 shows a Cell Biolabs 24-well Cytoselect wound healing assay.
Figure 27 shows representative images of human dermal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HMVEC) treated with 5% conditioned media from a combination of amniotic membrane, chorionic membrane or amniotic membrane / choroidal preparation.
28 is a view showing the promotion of endothelial cell migration by the frozen-preserved amniotic membrane (amniotic membrane);
29 is a view showing the promotion of fibroblast cell migration by the frozen-preserved amniotic membrane (amniotic membrane);
30 is a view showing the promotion of keratinocyte migration due to diseased by frozen-preserved amniotic membrane (amniotic membrane);
Figures 31A-31E illustrate the remarkable efficacy of placental products for treating diabetic foot ulcers in patient 1;
Figures 32A-D illustrate the remarkable efficacy of placental products for treating diabetic foot ulcers in patient 2;
Figure 33 shows that a clinical trial showing complete wound closure results in a placental product (31 of 50 patients, 62.0% wound suture) compared to the control (10 of 47 patients, 21.0% wound suture, p = 0.0001) &Lt; / RTI &gt;
Figure 34 shows Kaplan-Meier analysis (p &lt; 0.0001) showing statistically greater likelihood of complete wound healing during a 12 week evaluation period for placental product compared to the control.
Figure 35 is a plot (p = 0.0001) showing that patients treated with placental products require statistically fewer applications to achieve complete wound closure compared to control arms.
Figure 36 shows Kaplan-Meier analysis showing patients in the control (n = 26) who received placental product treatment up to 12 weeks has a wound closure probability of 67.8%.
37A-37F illustrate a general overview of a method for surgical repair of tendons incorporating the cryopreserved membranes disclosed herein.
38A-38C illustrate a general overview of a method for surgical repair of dry matter incorporating the cryopreserved membranes disclosed herein.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다음의 정의를 적용한다:The following definitions apply as used herein: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어" 또는 "예로서")는 비제한적 예를 의미한다."Exemplary" (or "for example" or "as an example") means non-limiting examples.

"융모막 조직" 또는 "융모막"은 태반 조직, 예를 들어, 영양막, 벽쪽 중배엽,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부터의 융모막 또는 이의 일부를 의미한다."Chorionic tissue" or "chorionic membrane" means a chorion or a part thereof from a placental tissue, for example, a trocar, mesenchymal stem, or a combination thereof.

"양막 조직" 또는 "양막"은 태반 조직으로부터의 양막 또는 이의 일부, 예를 들어, 상피층; 기저막; 치밀층; 섬유아세포층; 및 중간(스펀지) 층으로부터의 양막 또는 이의 일부를 의미한다."Amniotic membrane tissue" or "amniotic membrane" includes amniotic membrane or part thereof, such as an epithelial layer; Basement membrane; Dense layer; Fibroblast layer; And the amniotic membrane from the intermediate (sponge) layer or a portion thereof.

"태반 생성물" 또는 "태반막"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청구된 본 태반 생성물 및 막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는 태반막, 동결보존된 태반막, 동결보존된 융모양막, 동결보존된 융모막 및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용어를 포함하고, 이들 용어와 상호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태반 생성물은 조직 재생 및 상처 수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Placenta product" or "placenta membrane" means the present placenta products and membranes disclosed and claimed herein. The term includes terms including placenta membranes,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s, cryopreserved chorionic membranes, cryopreserved chorions, and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s,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se terms. Placenta products can be used for tissue regeneration and wound restoration.

"면역원성이 고갈된", "면역원성 세포가 고갈된" 또는 "면역원성 인자가 고갈된" 막 및 태반 생성물 또는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 또는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을 함유하는 막 및 태반 생성물은 일반적으로 생존 치료 세포를 보유하고/하거나 조직 상해(또는 결함)의 치료에 대한 치료 효능을 보유하며, 또한 적어도 1종의 면역원성 세포 유형(예를 들어, CD14+ 대식세포, 영양막 및/또는 모체 혈액 세포) 및/또는 천연 태반, 양막, 또는 융모막 내에 달리 존재하는 면역원성 인자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거나 고갈된 본 기술의 하나 이상의 태반 생성물을 지칭한다. 면역원성 세포 유형 및/또는 면역원성 인자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거나 또는 고갈된 막(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의 막과 유사)은 일부 양의 면역원성 세포/인자를 보유할 수 있지만, 보유된 양이 기능성 반응을 생성하는데 불충분한 수준에 있는(예를 들어, 검출가능한 양 미만으로, 무시할만한 양으로, 기능성 면역 반응을 생성하는데 불충분한 양으로) 막을 포함한다.The term " immunogenicity depleted ", "depleted immunogenic cells" or "depleted immunogenic agents" and placental products or "depleted amount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 At least one type of " at least one type of immunogenic cell "(e.g., at least one immunogenic cell type) Refers to one or more placental products of the art that are devoid, substantially absent or depleted of CD14 + macrophages, trophic and / or maternal blood cells) and / or immunogenic agents otherwise present in the natural placenta, amniotic membrane, or chorion . A membrane lacking, substantially absent or depleted (similar to the membrane of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with an immunogenic cell type and / or immunogenicity factor can retain some amount of immunogenic cells / (E.g., in an amount insufficient to produce a functional immune response, in a negligible amount, less than a detectable amount) at an insufficient level to produce a functional response.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세포외 기질" 또는 "ECM"은, 예를 들어, 양막, 융모막 및/또는 융모양막을 포함하는 태반 조직과 같은 조직과 관련된 세포외 기질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성분을 지칭한다. 상기 용어는 ECM, 예컨대 콜라겐, 라미닌, 피브로넥틴, 하이알루로난, 황산더마탄, 황산헤파린, 황산코드로이딘, 데코린 및 엘라스틴뿐만 아니라 ECM 중에 존재할 수 있는 가용성/기능성 치료 인자(예를 들어, 단백질 및 이의 단편을 포함함)의 구조적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An "extracellular matrix" or "ECM" as used herein refers to any one or more components of an extracellular matrix associated with a tissue, such as, for example, placental tissue, including amniotic membrane, chorionic membrane and / Quot; The term refers to soluble / functional therapeutic agents which may be present in the ECM, such as collagen, laminin, fibronectin, hyaluronan, sulfuric acid dermatan sulfate heparin sulfate cordate, decolin and elastin as well as ECM, Proteins, and fragments thereof).

"MSC"는 간충직 줄기 세포를 의미하며, 태아, 신생아, 성인 또는 출산후를 포함한다. "MSC"는 양막 MSC(AMSC) 및 융모막 MSC(CMSC)를 포함한다. MSC는 일반적으로 CD73, CD70, CD90, CD105 및 CD166 중 하나 이상을 발현시키고; 일반적으로 CD45 및 CD34를 발현시키지 않는다. MSC는 중배엽 계통(골형성, 연골원 및 지방세포화)로 분화된다."MSC" means hepatic stem cells and includes fetuses, newborns, adults, or postpartum. "MSC" includes amniotic membrane MSC (AMSC) and chorionic membrane MSC (CMSC). MSCs generally express one or more of CD73, CD70, CD90, CD105 and CD166; Generally, CD45 and CD34 are not expressed. MSCs are differentiated into the mesodermal system (osteogenesis, cartilage origin, and adipocytic).

"천연 세포" 또는 "조직 세포"는 태반막에 대해 천연이거나, 존재하거나 또는 내인성인 세포, 즉, 양막 또는 융모막을 포함하는 태반막에 외인성으로 첨가되지 않는 세포를 의미한다."Natural cells" or "tissue cells" means cells that are naturally, or are present or endogenous to the placental membrane, i.e. cells that are not exogenously added to the placental membrane, including amniotic membrane or chorion.

"천연 인자"는 태반막에 대해 천연이거나, 존재하거나 또는 내인성인 태반막 인자, 즉, 태반막에 외인성으로 첨가되지 않은 인자를 의미한다."Natural Factor" means a placental membrane factor that is naturally occurring, existing or endogenous to the placental membrane, i.e., a factor that is not exogenously added to the placental membrane.

"치료 세포" 또는 "유리한 세포"는 태반막의 기질층 및/또는 상피층에 존재하는 세포 및 성분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MSC, 섬유아세포 및/또는 상피세포를 포함한다. &Quot; Therapeutic cell "or" beneficial cell "includes cells and components present in the matrix layer and / or epithelial layer of the placenta membrane and includes, for example, MSCs, fibroblasts and / or epithelial cells.

"치료 인자"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태반-, 융모막 또는 양막-유래 인자를 의미한다. 치료 인자는 또한 세포 성장인자/단백질, 조직 수복 인자/단백질뿐만 아니라 상처 치유를 일반적으로 촉진시키는 다른 인자 및 단백질로서 분류될 수 있는 분자를 포함한다. 치료 인자의 비제한적 예는 항균성 인자, 화학유인물질, 리모델링 단백질, 예컨대 프로테아제 및 프로테아제 저해제, 면역조절 인자, 케모카인, 사이토카인, 성장인자 및 다른 인자를 포함한다. 치료 인자는 또한 신생혈관생성, 세포 증식 및 상피화를 촉진시키는 인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자의 비제한적 예는 TGFα, TGFβ1, TGFβ2, TGFβ3, EGF, HB-EGF, VEGF, VEGF-C, VEGF-D, HGF, PDGF-AA, PDGF-AB, PDGF-BB, PLGF, PEDF, Ang-2, IGF, IGFBP1, IGFBP2, IGFBP3, 아디포넥틴, α2-마크로글로불린, FGF(예를 들어, FGF-2/bFGF, KGF, KDG/FGF-7),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제(예를 들어, MMP-1, MMP-2, MMP-3, MMP-7, MMP-8, MMP-9, MMP-10, MMP-13), 메탈로프로테이나제의 조직 저해제(예를 들어, TIMP1, TIMP2), 트롬보스포딘(예를 들어, TSP1, TSP2), 피브로넥틴, IL-1RA, NGAL, 디펜신, G-CSF, LIF, IFN2α, PLAB 및 SDF1b를 포함한다. 용어 "치료 인자"는 용어 "태반 인자"와 상호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rapeutic agent" means a placenta, chorionic membrane, or amniotic membrane-derived factor that promotes wound healing. Therapeutic agents also include molecules that can be classified as cell growth factors / proteins, tissue repair factors / proteins as well as other factors and proteins that generally promote wound healing. Non-limiting examples of therapeutic factors include antimicrobial agents, chemoattractants, remodeling proteins such as proteases and protease inhibitors, immunomodulators, chemokines, cytokines, growth factors and other factors. Therapeutic agents also include factors that promote neovascularization, cell proliferation and epithelialization. Non-limiting examples of such facto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GFα, TGFβ1, TGFβ2, TGFβ3, EGF, HB-EGF, VEGF, VEGF-C, VEGF-D, HGF, PDGF-AA, PDGF- FGF (e.g., FGF-2 / bFGF, KGF, KDG / FGF-7), substrate metalloproteinase (e. G., FGF-2, IGF, IGFBP1, IGFBP2, IGFBP3, adiponectin, (For example, TIMP1 and TIMP2),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for example, TIMP1 and TIMP2), and MMP-1, MMP-2, MMP-3, MMP-7, MMP-8, MMP- , Thrombospondin (e.g., TSP1, TSP2), fibronectin, IL-1RA, NGAL, diphenshine, G-CSF, LIF, IFN2a, PLAB and SDF1b. The term "therapeutic facto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term "placental factor ".

"기질 세포"는 신생아 간충직 줄기 세포 및 신생아 섬유아세포로 구성된 존재하는(선택적으로 천연 비율로) 세포의 혼합 집단을 지칭한다. 신생아 간충직 줄기 세포와 신생아 섬유아세포는 둘 다 면역특권화되며; 둘 중 어떤 것도 면역 반응을 촉발하는 면역원성 세포 유형으로 존재하는 세포 단백질을 발현시키지 않는다."Stromal cell" refers to a mixed population of cells (optionally in natural proportions) consisting of neonatal hepatic stem cells and neonatal fibroblasts. Neonatal hepatic stem cells and neonatal fibroblasts are both immunocompromised; Neither expresses a cellular protein that is present in an immunogenic cell type that triggers an immune response.

"기질층"은 상피층을 함유하지 않는 태반막 내 층을 지칭한다."Substrate layer" refers to an intra-placental layer that does not contain an epithelial layer.

"시험관내" 는 세포의 배양 확장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생존가능한 유기체 밖에서(예를 들어, 인공 배양 배지를 이용하는 조직 배양 조건 하에서) 수행된 실험 및/또는 절차를 기재한다."In vitro " Describe procedures and / or procedures performed outside of a viable organism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culture expansion of a cell (e.g., under tissue culture conditions using an artificial culture medium).

"생체내"는 유기체, 예를 들어, 동물 또는 인간 내에서 수행되는 실험 및/또는 절차를 기재한다. "In vivo" describes experiments and / or procedures performed in an organism, e.g., an animal or human.

"동결보존" 또는 "동결보존적" 또는 "동결보호제"는 본 명세서에서 상호호환적으로 사용되며, 냉동 공정 동안 손상(예를 들어,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 물질이다. 적합한 동결보존제는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글리세롤,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프로판다이올,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1,2-프로판다이올(PROH)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동결보존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 피롤리다이온, 하이드록시에틸 전분, 다당류, 단당류, 알긴산염, 트레할로스, 라피노스, 덱스트란, 인간 혈청 알부민, 피콜, 리포단백질, 폴리비닐 피롤리돈, 하이드록시에틸 전분, 자가 혈장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비세포 침투성 동결보존제를 포함한다. 유용한 동결보존제의 다른 예는 문헌[Cryopreservation (BioFiles, Volume 5, Number 4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등록상표) Datasheet)]에 기재되어 있다."Cryopreserved" or "cryopreserved" or "cryoprotectant" are used interchangeably herein and are materials that help to prevent damage (e.g., cell damage) during the freezing process. Suitable cryopreservatives include dimethylsulfoxide (DMSO), glycerol, glycols,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propanediol, polyethylene glycol (PEG), 1,2-propanediol (PROH) ,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Other cryopreservatives include, for example, polyvinylpyrrolidone, hydroxyethyl starch, polysaccharides, monosaccharides, alginates, trehalose, raffinose, dextran, human serum albumin, phycol, lipoprotein, polyvinylpyrrolidone, For example, one or more non-cell permeable cryopreservatives selected from hydroxyethyl starch, autologous plasma, or combinations thereof. Other examples of useful cryopreservatives are described in Cryopreservation (BioFiles, Volume 5, Number 4, Sigma-Aldrich (TM) Datasheet).

"동결보존 용액" 또는 "동결보존 매질"는 적어도 1종의 동결보존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동결보존 용액 또는 매질은 추가 성분, 예를 들어, 혈청 알부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완충제, 전해질 용액 또는 식염수(예를 들어, 인산염 완충 식염수)를 지칭한다. 동결보존 용액 또는 매질은 용액, 슬러리, 현탁액 등일 수 있다."Cryopreservation solution" or "cryopreservation medium" refer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cryopreservative.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or medium refers to additional components, for example, serum albumin,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buffer, electrolyte solution or saline (e.g., phosphate buffered saline).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or medium may be a solution, a slurry, a suspension, or the like.

일반적 의미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법은 조작된 태반 조직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태반 생성물은 동결보존된 양막, 동결보존된 융모막 및/또는 동결보존된 융모양막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상에서, 동결보존 방법은 다량의 생존가능한 태반 세포(즉, 태반 조직(들)에 대해 천연인 세포)를 보유하고, 면역원성 세포 및 면역원성 세포와 관련된 인자의 고갈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내용은 태반 생성물, 및 특히 다수의 유리한 치료방법에서의 용도를 발견하는 생존 세포, 치료 인자, 세포외 기질 및 감소된 면역원성의 조합을 포함하는 동결보존된 양막, 융모막 및/또는 융모양막을 포함하는 막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논의하는 특정 양상에서, 막은 상처 또는 조직 결함에 적용될 수 있고, 생존 세포, 치료 인자, 적용되는 막에 대해 영역 내 변화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세포외 기질(예를 들어, 적응 의약)의 양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막은 (i)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ii)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 (iii) 반응성 산소종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iv)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 (v) 프로테아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vi) 세포 증식의 증가; (vii) 신생혈관생성의 증가; 및/또는 (viii) 세포 이동의 증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촉진시킴으로써 상처 치유의 정상 단계를 제공하거나 또는 촉진시킬 수 있는 양으로 생존 세포, 치료 인자 및 세포외 기질을 제공함으로써 만성상처와 같은 상처의 개선된 치유를 제공할 수 있다. 만성 상처 환경이 1) 고수준의 전염증 사이토카인, 2) 저수준의 항염증 사이토카인, 3) 고수준의 프로테아제 및 저수준의 그들의 저해제뿐만 아니라 4) 균형에 맞는 고수준의 산화제 및 저수준의 항산화제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동결보존된 막의 특징 및 기능성은 이러한 용도에 잘 적합화된다.In general terms,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provide a placental product comprising a manipulated placental tissue. For example, the placenta product may comprise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a cryopreserved chorion, and / or a cryopreserved vomiting amniotic membrane. In certain aspects, the cryopreservation method retains a large amount of viable placental cells (i. E., Cells that are natural to the placental tissue (s)) and provides depletion of the immunogenic cell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mmunogenic cells. As such, the present disclosure encompasses placental products and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s, chorionic membranes and / or chorionic membranes, including combinations of survival cells, therapeutic factors, extracellular matrix and reduced immunogenicity, particularly for use in a number of beneficial therapeutic methods, Or villous amniotic membrane. In certain aspects discussed below, the membranes can be applied to wound or tissue defects and include extracellular matrix capable of direct or indirect induction of changes in the region (e.g., Adaptive medicine). For example, the membrane can be (i) reduced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i)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iii) reduction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v)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 antioxidant; (v) reduc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vi)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vii) increased angiogenesis; And / or (viii) an increase in cell migration, thereby providing a survival cell, therapeutic factor, and extracellular matrix in an amount that can provide or facilitate normal phase of wound healing, such as a chronic wound Lt; RTI ID = 0.0 &gt; healing &lt; / RTI &gt; 3) high levels of proteases and low levels of their inhibitors, as well as high levels of oxidizing agents and low levels of antioxidants that are in balance, as well as a high level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The features and functionality of the cryopreserved membranes disclosed herein are well suited for such applications because they can include more than one.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기술은 당뇨성 족부 궤양, 정맥 다리 궤양 및 화상과 같은 상처 치유에서의 용도를 포함하는 임상 용도를 위한 태반 생성물을 개시한다. 제조 방법은 선택적으로 태반막으로부터의 본질적으로 모든 잠재적 면역원성 세포를 제거하는 한편, 상처 치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특정 세포를 보존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technique discloses placental products for clinical use, including use in wound healing, such as diabetic foot ulcers, vein leg ulcers, and burns. The method selectively removes essentially all of the potentially immunogenic cells from the placenta membrane while preserving certain cell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wound healing.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기술은 선택적으로 제활력화된(devitalized) 태반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실질적으로 모든 면역원성 세포가 선택적으로 없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막은 배양물 확장 세포를 함유하지 않는다.In some embodiments, the technique selectively discloses a devitalized placenta product. In an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may be substantially free of all immunogenic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membrane does not contain cultured expansion cells.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기술은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거나 또는 달리 공지된 적어도 1종의 치료인자 또는 2종 이상의 치료 인자, 예를 들어,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1(IGFBP1) 또는 아디포넥틴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을 제공한다.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상피 성장 인자(EGF) 및/또는 IGFBP1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항염증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태반 생성물을 제공한다.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태반 생성물을 제공한다.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접착 및 섬유증을 감소시키고, 일반적으로 흉터방지 활성을 촉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태반 생성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내용은 세포 이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태반 생성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본 개시내용은 맥관 구조의 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태반 생성물을 제공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techniques may be combined with at least one therapeutic factor disclosed herein or otherwise known,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apeutic factors, such as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1 (IGFBP1) or adiponectin To provide a placenta product comprising water. In an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may comprise epithelial growth factor (EGF) and / or IGFBP1. In an embodiment, the disclosure provides a placental product that can be used to increase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an embodiment, the disclosure provides a placental product that can be used to increase antioxidant activity. In embodiments, the disclosure provides placental products that can be used to reduce adhesion and fibrosis, and generally promote scarring activity. In some embodiments, the disclosure provides a placenta product that can be used to increase cell migration. In some embodiments, the disclosure provides a placenta product that can be used to increase the formation of angiostatic structures.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기술은 상처 치유 촉진을 위한 인자의 1차 공급원인 특정 유리한 세포의 생존도를 보존하는 한편, 면역원성 세포(예를 들어, 사멸 또는 비면역원성의 제공)를 선택적으로 고갈시키는 태반 생성물을 동결건조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technique may be used to selectively immunodeactive cells (e. G., Providing killing or non-immunogenicity) while preserving the viability of certain beneficial cells that are the primary source of factors for promoting wound healing Lt; RTI ID = 0.0 &gt; lyophilized &lt; / RTI &gt;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기술은 제조된 태반 생성물의 면역원성을 시험하기 위한 생분석을 개시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technique discloses a biosynthetic assay to test the immunogenicity of the placenta products produced.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기술은 시험관내에서 나타낸 것과 비슷한 MMP 대 TIMP의 치료비를 나타내는 태반 생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자들은 약 7 내지 10 내지 1의 MMP-9와 TIMP1의 비를 나타내는 태반 생성물의 개발에 대한 필요를 동정하였다.In some embodiments, the technique discloses a placental product that exhibits a treatment cost of MMP versus TIMP similar to that shown in vitro. The present inventors have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placental product that exhibits a ratio of MMP-9 to TIMP1 of about 7 to 10 to 1.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기술은 α2-마크로글로불린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을 개시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technique discloses a placental product comprising alpha 2-macroglobulin.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제 세린 프로테아제,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아스파르트산 프로테아제 및 메탈로프로테아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는 태반 생성물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제 세린 프로테아제를 비활성화시키는 태반 생성물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제 시스테인 프로테아제를 비활성화시키는 태반 생성물이 제공된다. 추가 양상에서, 이제 아스파르트산 프로테아제를 비활성화시키는 태반 생성물이 제공된다. 다른 양상에서, 이제 메탈로프로테아제를 비활성화시키는 태반 생성물이 제공된다.In some embodiments, there is now provided a placenta product capable of inactivating serine protease, cysteine protease, aspartic acid protease, and metalloprotease. In another embodiment, a placenta product is now provided that deactivates serine proteases. In another embodiment, a placenta product is now provided that deactivates the cysteine protease. In a further aspect, a placenta product is now provided that deactivates the aspartic acid protease. In another aspect, a placenta product is now provided that deactivates the metalloprotease.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기술은 bFGF를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을 개시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technique discloses a placental product comprising bFGF.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기술은 상처 치유에 바람직한 MMP 대 TIMP 비를 나타내는 태반 생성물을 개시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technique discloses a placental product that exhibits a desirable MMP to TIMP ratio for wound healing.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기술은 태반 생성물의 상처 치유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세포 이동 분석을 개시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technique discloses a cell migration assay that can assess the wound healing potential of placental products.

IGFBP1 및 아디포넥틴은 상처 치유에 중요한 본 명세서에 상정된 인자 중에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법에 따라 제조된 태반 생성물로부터 유래된 단백질의 평가는 EGF가 더 다량의 이들 조직에서 분비된 주요 인자 중 하나라는 것을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현재 개시된 양막에서 검출된 고수준의 EGF와 함께 상처 치유를 위한 EGF의 중요성은 본 개시내용에 의해 임상 용도를 위해 제조된 막 생성물의 평가를 위한 효력 마커로서 EGF의 선택을 뒷받침한다.IGFBP1 and adiponectin are among the agents envisioned herein that are important for wound healing. Evaluation of proteins derived from placental products prepared according to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indicates that EGF is one of the major factors secreted in these tissue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EGF for wound healing with the high level of EGF detected in amenoriminally disclosed amniotic membranes supports the selection of EGF as an efficacy marker for the evaluation of membrane products prepared for clinical use by this disclosure.

본 기술은 면역원성 세포를 선택적으로 고갈시키고, 다른 유리한 세포(간충직 줄기 세포, 상피세포 및 섬유아세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의 생존도를 보존하는 태반 생성물에 대한 동결보존 절차를 개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리한 세포는 치유의 촉진을 위한 인자의 1차 공급원이다.The present technique discloses a cryopreservation procedure for placental products that selectively deplete immunogenic cells and preserve the viability of other beneficial cells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mesenchymal stem cells, epithelial cells and fibroblasts). In some embodiments, the beneficial cells are the primary source of the factor for promoting healing.

태반 생성물, 그들의 유용성 및 그들의 면역적합성은 놀랍게도 모 영양막의 결핍 및 CD14+ 태아 대식세포의 선택적 제거에 의해 향상된다. 면역적합성은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입증될 수 있고, 이러한 입증은 혼합 림프구 반응(MLR)에 의해 그리고 지질다당류(LPS)-유도 종양 괴사 인자(TNF)-α 분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Placenta products, their availability, and their immunomodulatory properties are surprisingly enhanced by a deficiency of maternal membranes and selective removal of CD14 + fetal macrophages. Immunocompetence can be demonstrated by any means commonly known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such attestation can be determined by mixed lymphocyte reaction (MLR) and by lipopolysaccharide (LPS) -induced tumor necrosis factor (TNF) -a secretion .

본 태반 생성물은 선택적으로 실질적인 농도로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를 함유한다.This placenta product optionally contains a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at a substantial concentration.

본 태반 생성물은 세포 이동 및/또는 상처 치유를 자극하는 인자를 제공하고/하거나 선택적으로 분비한다. 이러한 인자의 존재는 임의의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방법에 의해 입증될 수 있다.The placenta product provides and / or selectively secretes factors that stimulate cell migration and / or wound healing. The presence of such factors can be demonstrated by any conventionally recognized method.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상처 치유 분석이 존재하며(셀 바이오랩스(Cell Biolabs)) 세포 이동은 인간 진피 미세혈관 내피 세포(HMVEC-d)(론자 인코포레이티드(Lonza Inc.))를 이용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태반 생성물로부터의 조정배지는 세포 이동을 향상시킨다.For example, there is a commercially available wound healing assay (Cell Biolabs) and cell migration is performed using human dermal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HMVEC-d) (Lonza Inc.) Can be evaluated. In one embodiment, the conditioned media from the subject placental product enhances cell migra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태반 생성물은 힘줄 수복, 연골 수복(예를 들어, 태퇴골과, 경골 고평부), 관/뼈 계면에서의 ACL 대체, 치아 조직 증가물, 누공(예를 들어, 크론병, G-관, 기관식도), 접착 장벽에서의 상실 조직(예를 들어, 비중격 수복, 진찰상 질벽 수복, 복벽 수복, 종양 절개), 진피 상처(예를 들어, 부분층 화상, 독성 표피 괴사융해, 수포성 표피 박리증, 괴저성 농피증, 궤양, 예를 들어, 당뇨성 궤양(예를 들어, 족부) 및 정맥 다리 궤양), 수술 상처, 탈장 수복, 힘줄 수복, 방광 수복, 뼈막 대체물, 켈로이드, 기관 열상, 상피 결함 및 고막의 수복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처를 치료함에 있어서 유용하다.The placental products disclosed herein can be used in a variety of form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endon restoration, cartilage restoration (e.g., femur and tibial plateau), ACL replacement at the tube / bone interface, (E. G., Partial laminar burns, toxic epidermal necrotizing lysis, &lt; RTI ID = 0.0 &gt; (Eg, foot) and vein leg ulcers), surgical wounds, hernia repair, tendon restoration, bladder restoration, osteoarthritis, keloid, tracheal laceration, osteoarthritis, Epithelial defects and repair of the eardrums, or alternatives.

본 명세서에 개시된 태반 생성물은 상처 치유 과정에 유리한 다음의 특성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The placental products disclosed herein exhibi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properties that are beneficial to the wound healing process:

a. 상피세포층, 양막의 ㎠ 당 대략의 세포 수는 약 500 내지 약 360,000; 약 10,000 내지 약 360,000; 약 10,000 내지 약 200,000; 또는 약 20,000; 약 25,000; 약 30,000; 약 35,000; 약 40,000; 약 45,000; 약 50,000; 약 55,000; 약 60,000; 약 65,000; 약 70,000; 약 75,000; 약 80,000; 약 85,000; 약 90,000; 약 95,000; 약 100,000; 약 105,000; 약 110,000; 약 115,000; 약 120,000; 약 125,000; 약 130,000; 약 135,000; 약 140,000; 약 145,000; 약 150,000; 약 155,000; 약 160,000; 약 165,000; 약 170,000; 약 175,000; 약 180,000; 약 185,000; 약 190,000; 또는 약 195,000이다.a. The epithelial cell layer, the approximate number of cells per cm &lt; 2 &gt; of amniotic membrane is about 500 to about 360,000; From about 10,000 to about 360,000; From about 10,000 to about 200,000; Or about 20,000; About 25,000; About 30,000; About 35,000; About 40,000; About 45,000; About 50,000; About 55,000; About 60,000; About 65,000; About 70,000; About 75,000; About 80,000; About 85,000; About 90,000; About 95,000; About 100,000; About 105,000; About 110,000; About 115,000; About 120,000; About 125,000; About 130,000; About 135,000; About 140,000; About 145,000; About 150,000; About 155,000; About 160,000; About 165,000; About 170,000; About 175,000; About 180,000; About 185,000; About 190,000; Or about 195,000.

b. 두꺼운 기저막(I, III, IV형 콜라겐, 라미닌 및 피브로넥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b. Thick basement membrane (including one or more of I, III, IV collagen, laminin and fibronectin),

c. 기질층;c.  A substrate layer;

d. 두께가 약 20 내지 약 500㎛인 양막, d. Amniotic membran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0 to about 500 탆,

e. 고트롬빈 활성,e. Antithrombin activity,

f. 저면역원성,f. Immunogenicity,

g. 동결보존된/동결보존성, g. Cryopreserved / cryopreserved,

h. 양막 MSC,h. Amniotic membrane MSC,

i. 진통 효과i. Analgesic effect

j. 흉터 감소,j.  Scar reduction,

k. 전염증 단백질, 예컨대 IL-1α 및 TNF-α의 감소,k. Reduction of proinflammatory proteins such as IL-l [alpha] and TNF-a,

l. 항염증 단백질, 예컨대 IL-10의 감소,l. Reduction of anti-inflammatory proteins, such as IL-10,

m. 예를 들어 CD8+ 및 CD4+ 림프구 증식의 저해 및/또는 CD4+ Treg 세포의 증가된 양 및/또는 활성에 의한 면역조절, m. For example, inhibition of CD8 + and CD4 + lymphocyte proliferation and / or immunomodulation by increased amount and / or activity of CD4 + Treg cells,

n. 항박테리아 단백질, 예컨대 디펜신 및 알란토인(용균성 단백질), n. Antibacterial proteins such as dipentin and allantoin (soluble protein),

o. 혈관 형성 및 재상피화, 예컨대 EGF, HGF 및 VEGF를 촉진시키는 혈관형성 및 유사분열촉진 인자,o. Angiogenesis and re-epithelization, such as angiogenesis and mitogen-promoting factors that promote EGF, HGF and VEGF,

p. CD70, CD73, CD90, CD105 및 CD166에 대해 양성이고 CD45 및 CD34에 대해 음성인 세포,p. Cells that are positive for CD70, CD73, CD90, CD105 and CD166 and negative for CD45 and CD34,

q. HLA-G를 발현시키는 세포,q. Cells expressing HLA-G,

r. 면역 내약성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 IDO 및 FAS 리간드를 발현시키는 세포, r. Cells that express IDO and FAS ligands that are likely to contribute to immunologic tolerance,

s. 인간 양막 상피 세포(hAEC)로 분화하는 능력을 지니는 세포p. Cells with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human amniotic epithelial cells (hAEC)

t. 신경, 간세포 및 췌장 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을 지니는 세포, t.  Cells having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neurons, hepatocytes and pancreatic cells,

u. 중배엽 계통(골형성, 연골원 및 지방세포화) 로 그리고 모두 3가지의 배엽층-외배엽(신경), 중배엽(골격근, 심장근육세포 및 내피) 및 외배엽(췌장)으로 분화하는 능력을 지니는 인간 양막 간충직 줄기 세포(hAMSC) , u. The human amniotic membrane with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mesodermal system (osteogenesis, cartilage source and adipocyte) and all three embryonic layers - ectoderm (nerve), mesoderm (skeletal muscle, cardiac muscle cell and endothelium) and ectodermal Stem cells (hAMSC),

v. hAMSC는 CD49d를 발현시키며, 이는 그들을 hAEC과 구별한다,v. hAMSC express CD49d, which distinguishes them from hAEC,

w. 줄기, 또는 다능성 및 자기 재생을 유지함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 배아 세포질 마커 Oct-4에 대해 양성인 hAMSC, w.  Stem, or hAMSC positive for the embryonic cytoplasmic marker Oct-4, which plays a role in maintaining pluripotency and self-renewal,

x. SSEA-3, SSEA-4, TRA-1-60, TRA-1-81에 대해 양성이고, SSEA-4 및 비종양형성에 대해 음성인 hAEC.x. HAEC positive for SSEA-3, SSEA-4, TRA-1-60, TRA-1-81, negative for SSEA-4 and non-tumorigenic.

본 발명자들은 이제 배양물 확장 세포를 함유하지 않는 태반 생성물의 개발에 대한 필요를 동정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lacental products that do not contain culture expanding cells.

본 발명자들은 이제 IGFBP1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의 개발에 대한 필요를 동정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placental product comprising IGFBP1.

본 발명자들은 이제 아디포넥틴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의 개발에 대한 필요를 동정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placental product comprising adiponectin.

본 발명자들은 이제 상처 치유에 바람직한 프로테아제 대 프로테아제 저해제의 비를 나타내는 태반 생성물의 개발에 대한 필요를 동정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lacental products that exhibit the ratio of protease to protease inhibitor desirable for wound healing.

본 발명자들은 이제 상처 치유 과정의 촉진을 위한 인자의 1차 공급원인 한편 막으로부터 면역원성 세포를 선택적으로 고갈시키는 유리한 세포의 생존도를 보존하는 태반 생성물을 동결보존하는 방법의 개발에 대한 필요를 동정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method of cryopreserving placental products that preserve the viability of advantageous cells that selectively deplete immunogenic cells from membranes, a primary source of factors for promoting wound healing processes Respectively.

본 발명자들은 이제 제조된 태반 생성물의 면역원성을 시험하기 위한 생분석의 개발에 대한 필요를 동정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bioassay to test the immunogenicity of the placenta products produced.

본 발명자들은 이제 생체내에서 나타낸 것과 비슷한 MMP 대 TIMP 비를 나타내는 태반 생성물의 개발에 대한 필요를 동정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제 약 7 내지 10 내지 1의 MMP-9와 TIMP1의 비를 나타내는 태반 생성물의 개발에 대한 필요를 동정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lacental products that exhibit an MMP to TIMP ratio similar to that shown in vivo. 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placental product that exhibits a ratio of MMP-9 to TIMP1 of about 7 to 10 to 1.

본 발명자들은 이제 α2-마크로글로불린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의 개발에 대한 필요를 동정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placental product comprising alpha 2-macroglobulin.

본 발명자들은 이제 세린 프로테아제,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아스파르트산 프로테아제, 및 메탈로 프로테아제를 비활성화시키는 태반 생성물의 개발에 대한 필요를 동정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제 세린 프로테아제를 비활성화하는 태발 생성물의 개발을 위한 필요를 동정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제 시스테인 프로테아제를 비활성화하는 태발 생성물의 개발을 위한 필요를 동정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제 아스파르트산 프로테아제를 비활성화하는 태발 생성물의 개발을 위한 필요를 동정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제 메탈로프로테아제를 비활성화하는 태발 생성물의 개발을 위한 필요를 동정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lacental products that deactivate serine proteases, cysteine proteases, aspartic acid proteases, and metalloproteases. 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captive product that deactivates serine proteases. 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captive product that deactivates cysteine protease. 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detoxification product that deactivates the aspartic acid protease. 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capturing product that deactivates metalloprotease.

본 발명자들은 이제 bFGF를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의 개발에 대한 필요를 동정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lacental products containing bFGF.

본 발명자들은 이제 태반막 생성물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세포 이동 분석의 개발에 대한 필요를 동정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cell migration assays to assess the potential of placental membrane products.

본 발명자들은 이제 간충직 줄기 세포, 상피세포 및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상처 치유를 위한 태반 생성물의 발생에 대한 필요를 동정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now identifi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lacental products for wound healing involving hepatic stem cells, epithelial cells and fibroblasts.

태반 생성물Placenta product

개요summary

일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제공하되, 양막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하기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followed by cryopreservation of the amniotic membrane and subsequent thawing, comprising: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And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D) One or more types of depleted amount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다른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제공하되, 양막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하기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followed by cryopreservation of the amniotic membrane and subsequent thawing comprising:

A) 생존 세포,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 및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기질층, A) A substrate layer comprising a surviving cell,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and an extracellular matrix,

B) 생존 세포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포함하는 표층; 및B) A surface layer comprising living cells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And

C)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C) One or more types of depleted amount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기질층 및 상피층에서 조합된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 세포가다.Over 40% of the combined cells in the matrix and epithelial layers are viable cells.

다른 양상에서, 상기 개시내용은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을 갖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은 하기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having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comprises: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및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양막은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 유형을 가지며; 1종 이상의 조직 성분이 치료적 이점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Amniotic membrane has a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 types; One or more tissue components are present in an amount effective to provide a therapeutic benefit.

일 양상에서, 상기 개시내용은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을 갖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제공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은 하기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having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comprises:

A) 조직 세포(상기 조직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wherein the tissue cells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및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C)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C)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amniotic membrane;

양막은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 유형을 가지며, 1종 이상의 조직 성분은 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존재한다: The amniotic membrane has a depleted positive functional immunogenic cell type, and one or more tissue components are present in an amount effective to:

(ii)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ii) decreas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i)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ii) increas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iii) 반응성 산소종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iii) reduc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v)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iv) increas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 antioxidant;

(v) 프로테아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v) decreas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vi)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는 것;(vi) increasing cell proliferation;

(vii) 신생혈관생성을 증가시키는 것; 및/또는(vii) increasing angiogenesis; And / or

(viii) 세포 이동을 증가시키는 것.(viii) increasing cell migration.

다른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동결보존된 태반을 포함하는 막을 제공하되, 태반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하기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mbrane comprising a cryopreserved placenta, followed by cryopreservation of the placenta and subsequent thawing, comprising:

A) 조직 세포(상기 태반 세포는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함);A) tissue cells (the placental cells are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태반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placental membrane;

C) 태반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C) extracellular matrix that is natural to the placenta; And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D) One or more types of depleted positive immunogenic cells.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양상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태반막은 양막 및 융모막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of aspects involving placental membranes cryopreserved, the placental membranes include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ic membrane.

상기 양상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는 면역 반응을 생성하는데 충분한 수준 미만의 양으로 면역원성 인자를 생성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는 검출가능한 한계 미만의 양으로 면역원성 인자를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는 모체 혈액 세포, 신생아 혈액 세포, 제대혈 세포, 조직 대식세포 및 영양막 중 임의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는 하나 이상의 조직 대식세포를 포함한다. 조직 대식세포는 임의의 특성규명된 대식세포, 예를 들어, CD11b+, CD14+, CD18+, CD40+ 및 CD86+ 및/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직 대식세포를 가질 수 있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는 면역 반응을 생성하는데 충분한 수준 미만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면역원성 인자(예를 들어, TNF-α, 및/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건 또는 달리 공지된 다른 면역원성 인자)를 생성한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면역원성 인자는 무시할만한 또는 검출가능한 한계 미만의 양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생존 세포의 10% 미만은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이다(예를 들어, 생존 세포의 10%, 9%, 8%, 7%, 6%, 5%, 4%, 3%, 2% 미만 또는 1% 미만).In some embodiments of this aspect, a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produce an immunogenic agent in an amount less than a level sufficient to produce an immune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depleted amount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produce immunogenic agents in amounts less than the detectable limit. As described herein, a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can be selected from any one or more of maternal blood cells, neonatal blood cells, umbilical blood cells, tissue macrophages, and trophoblasts. In a further embodiment, the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comprises one or more tissue macrophages. Tissue macrophages may have tissue macrophages that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y characterized macrophage, e. G., CD11b +, CD14 +, CD18 +, CD40 + and CD86 +, and / or combinations thereof. In a further embodiment, a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is treated with one or more immunogenic agents (e. G., TNF-a, and / or described herein or otherwise disclosed) in an amount less than a sufficient level to produce an immune response RTI ID = 0.0 &gt; immunogenicity &lt; / RTI &gt; In further embodiments, the immunogenicity factor may be produced in an amount that is negligible or below the detectable limit. In some embodiments, less than 10% of the viable cells are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e. G., 10%, 9%, 8%, 7%, 6%, 5%, 4%, 3% % Or less than 1%).

상기 양상의 실시형태에서, 막은 조직 세포를 포함하되, 상기 조직 세포의 약 50% 내지 약 100%는 생존가능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직 세포의 약 60% 내지 약 100%는 생존가능하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직 세포의 약 70% 내지 약 100%는 생존가능하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생존 세포는 간충직 줄기 세포(MSC), 섬유아세포 및/또는 상피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is aspect, the membrane comprises tissue cells, wherein from about 50% to about 10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In some embodiments, about 60% to about 10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In a further embodiment, about 70% to about 10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In a further embodiment, the surviving cells may comprise hepatic stem cells (MSC), fibroblasts and / or epithelial cells.

상기 양상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막은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 (i) 내지 (viii)의 임의의 활성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1종 이상의 조직 성분(예를 들어, 생존 세포,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 및/또는 세포외 기질)을 제공한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foregoing aspects, the membrane may comprise one or more tissue components (e. G., Viable cells, one or more therapeutic agents, and / or adjuvants) in an amount effective to promote any activity in vitro or in vivo (i) / &Lt; / RTI &gt; or extracellular matrix).

시험관내 생존가능한 유기체 밖에서(예를 들어, 인공 배양 배지를 이용하는 조직 배양 조건 하에서) 수행된 실험 및/또는 절차를 기재한다. 생체내는 유기체, 예를 들어, 동물 또는 인간 내에서 수행되는 실험 및/또는 절차를 기재한다.Experiments and / or procedures performed outside of an in vitro viable organism (e.g., under tissue culture conditions using an artificial culture medium) are described. Experiments and / or procedures performed in vivo in organisms such as animals or humans are described.

상기 기재한 양상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막이 전달 기질에 고정되도록 전달 기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aspect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delivery substrate such that the membrane is secured to the delivery substrate.

상기 양상의 실시형태에서, 막은 후속적 해동 전에 장기간의 시간 동안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장기간의 시간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시간 기간 동안의 이들의 다른 매달 및 일수 변형을 포함하여, 약 6개월 내지 적어도 약 36개월 이상, 대안적으로는 약 6개월 내지 적어도 약 24개월 이상, 대안적으로는 약 6개월 내지 약 25개월 이상, 대안적으로는 약 6개월 내지 적어도 약 적어도 약 12개월 이상, 대안적으로는 약 6개월 내지 약 10개월, 대안적으로는 약 6개월, 대안적으로는 약 3개월 내지 약 6개월, 대안적으로는 약 1개월 내지 약 3개월이다. 이들 실시형태에서, 조직 세포의 생존도는 해동 시 실질적으로 유지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직 세포의 생존도는 냉동 저장 되었을 때 적어도 약 24개월 동안 실질적으로 유지된다.In embodiments of this aspect, the membrane may be stored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prior to subsequent thawing. In some embodiments, the long term time may be from about 6 months to at least about 36 months, alternatively from about 6 months to at least about 24 months, including other monthly and day variations thereof for the various time periods described herein Alternatively from about 6 months to about 25 months, alternatively from about 6 months to at least about 12 months, alternatively from about 6 months to about 10 months, alternatively from about 6 months to about 25 months, Alternatively from about 3 months to about 6 months, alternatively from about 1 month to about 3 months. In these embodiments, the viability of tissue cells is substantially maintained at thawing. In some embodiments, the viability of the tissue cells is substantially maintained for at least about 24 months when cryopreserved.

상기 양상의 실시형태에서, 막은 해동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해동 방법의 시작 30분 내에 또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으로부터 변형된 바와 같이 사용을 위한 준비가 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is aspect, the membrane may be thawed and may be ready for use within the first 30 minutes of the thawing method as described herein, or as modified from generally known methods.

상기 양상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막은 해동 후 1시간까지 식염수 중에서 저장될 수 있고, 약 70% 생존 세포를 여전히 유지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is aspect, the membranes can be stored in saline until 1 hour after thawing and still retain about 70% viable cells.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는 동결보존 용액 및 양막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을 제공하되, 양막은 천연 치료 세포 및 천연 치료 인자를 포함하고, 동결보존 용액은 동결보존된 생성물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인 동결보존제의 양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양막은 다음의 면역원성 세포 유형(CD14+ 대식세포 및 모체 혈액 세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다가 실질적으로 없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provides a placenta product comprising a cryopreservation solution and a amniotic membrane, wherein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 natural therapeutic cell and a natural therapeutic factor, wherein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a quantity of a cryopreservative effective to provide a cryopreserved product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mniotic membrane is substantially free of at least one or both of the following immunogenic cell types (CD14 + macrophages and maternal blood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양막은 천연 양막의 구조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균질화되지 않거나 콜라게나제로 처리되지 않음).In one embodiment,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one or more layers that represent the structure of the natural amniotic membrane (e.g., not homogenized or treated with collagenas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막은 상처에 대해 진피 적용에 적합하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 membrane is suitable for dermal application to the wound.

본 명세서에 제공된 교시에 의해, 당업자는 이제 본 태반 생성물 또는 막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본 태반 생성물의 기술적 특징을 생성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본 명세서에 교시된 단계들에 의해 제조된다. 본 태반 생성물은 본 명세서에 교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기술의 생성물은 선별 단계들; 예를 들어, 기재된 기술적 특징 및 우수한 특성을 지니는 제제에 대한 선별 단계들에 의존하는 방법을 통해 생성될 수 있었다.By the teachings provided herein,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now produce the placenta product or membrane.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e that produces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placenta product. Thus, 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is produced by the steps taught herein. The placenta product is not limited to the products produced by the methods taught herein. For example, the product of the present technology may include selection steps; For example, by methods that rely on the selection steps for the formulation with the described technical features and superior properties.

본 태반 생성물은 다음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acenta product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technical characteristics:

a. 생존 가능한 치료적 천연 세포는 하나 이상의 계통(예를 들어, 골형성, 지방세포화 및/또는 연골원 계통)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a. Survivable therapeutic natural cells can differentiate into cells of one or more lines (e.g., bone formation, adipocyte and / or cartilage lineage)

b. 천연 치료 인자는 IGFBP1을 포함한다,b. Natural therapeutic factors include IGFBP1,

c. 천연 치료 인자는 아디포넥틴을 포함한다,c. Natural therapeutic factors include adiponectin,

d. 천연 치료 인자는 α2-마크로글로불린을 포함한다,d. Natural therapeutic agents include [alpha] 2-macroglobulin,

e. 천연 치료 인자는 bFGF를 포함한다,e. Natural therapeutic agents include bFGF,

f. 천연 치료 인자는 EGF를 포함한다,f. Natural therapeutic factors include EGF,

g. 천연 치료 인자는 특정 양의 MMP-9 및 TIMP1을 포함한다,g. Natural therapeutic factors include specific amounts of MMP-9 and TIMP1,

h. 천연 치료 인자는 약 7 내지 약 10의 비로 MMP-9 및 TIMP1을 포함한다,h. Natural therapeutic agents include MMP-9 and TIMP1 at a ratio of about 7 to about 10,

i. 태반 생성물은 배양 확장된 세포를 포함하지 않는다,i. Placenta products do not contain cultured expanded cells,

j. 동결보존 용액은 약 15mL 초과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j.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ntained about May be present in an amount greater than 15 mL,

k. 동결보존제는 DMSO를 포함한다,k. Cryopreservatives include DMSO,

l. 동결보존 용액은 알부민을 추가로 포함하되, 선택적으로 알부민은 인간 혈청 알부민(HSA)이다,l.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further comprises albumin, optionally albumin is human serum albumin (HSA)

m. 동결보존은 DMSO 및 알부민(예를 들어, HSA)을 포함하다,m. Cryopreservation includes DMSO and albumin (e.g., HSA)

n. 약 5,000 내지 약 500,000개 세포/㎠, 약 5,000 내지 약 240,000개 세포/㎠ 또는 약 20,000 내지 약 60,000개 세포/㎠ 를 포함한다,n. About 5,000 to about 500,000 cells / cm2, about 5,000 to about 240,000 cells / cm 2 Or from about 20,000 to about 60,000 cells / cm2 / RTI &gt;

o. 양막은 적어도: 약 2,000, 또는 약 2,400, 또는 약 4,000, 또는 약 6,000, 또는 약 8,000, 또는 약 10,000, 또는 약 10,585, 또는 약 15,000개 기질 세포/단위 ㎠의 양막을 포함한다,o.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mniotic membrane at least: about 2,000, or about 2,400, or about 4,000 , or about 6,000, or about 8,000, or about 10,000, or about 10,585, or about 15,000 stromal cells /

p. 양막은 약 2,000 내지 약 15,000개의 기질 세포/㎠의 양막을 포함한다,p.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mniotic membrane of about 2,000 to about 15,000 stromal cells / cm 2,

q. 기질 세포를 포함하되, 약 40%, 또는 약 50%, 또는 약 60%, 또는 약 70%, 또는 약 74.3%, 또는 약 83.4% 또는 약 90%, 또는 약 92.5% 또는 적어도 약 100%의 기질 세포는 냉동-해동 주기 후에 살아있다,q. About 40%, or about 50%, or about 60%, or about 70%, or about 74.3%, or about 83.4%, or about 90%, or about 92.5%, or at least about 100% The cells are alive after a freeze-thaw cycle,

r. 기질 세포를 포함하되, 약 40% 내지 약 92.5%의 기질 세포가 냉동-해동 주기 후에 살아있다,r. Wherein about 40% to about 92.5% of the stromal cells are alive after the freeze-thaw cycle,

s. 양막은 두께가 약 20㎛ 내지 약 500㎛; 약 20㎛ 내지 약 200㎛; 또는 약 20㎛ 내지 약 100㎛이다.p. The amniotic membrane has a thickness of about 20 탆 to about 500 탆; From about 20 [mu] m to about 200 [mu] m; Or from about 20 [mu] m to about 100 [mu] m.

t. 하기 중 임의의 것 미만으로 분비된다: 조직 배양 배지에서 조직 생성물의 2㎝ x 2㎝ 조각을 배치시키고 약 20 내지 약 24 시간 동안 박테리아 지질다당류에 대해 조직 생성물을 노출시킬 때 조직 배양 배지 내로 350pg/㎠, 225pg/㎠, 100pg/㎠ 또는 70pg/㎠ 이하의 TNF-α,t. Is secreted below any of the following: a 2 cm x 2 cm piece of tissue product is placed in the tissue culture medium and the tissue product is exposed to the bacterial lipid polysaccharide for about 20 to about 24 hours, Cm2, 225 pg / cm2, 100 pg / cm2, or 70 pg / cm2 The following TNF-alpha,

u. 냉장, 동결보존 및 해동 후, 하기 중 임의의 것 미만으로 분비된다: 조직 배양 배지에서 조직 생성물의 2㎝ x 2㎝ 조각을 배치시키고 약 20 내지 약 24 시간 동안 박테리아 지질다당류에 대해 조직 생성물을 노출시킬 때 조직 배양 배지 내로 350pg/㎠, 225pg/㎠, 100pg/㎠ 또는 70pg/㎠ 이하의 TNF-α,u. After chilling, cryopreservation, and thawing, they are secreted below any of the following: Place a 2 cm x 2 cm piece of tissue product in a tissue culture medium and expose the tissue product against the bacterial lipid polysaccharide for about 20 to about 24 hours , 350 pg / cm 2, 225 pg / cm 2, 100 pg / cm 2, or 70 pg / cm 2 into the tissue culture medium The following TNF-alpha,

v. 추가로 융모막을 포함한다,v. Further comprising chorionic villi,

w. 양막은 상피세포 층을 포함한다,w. The amniotic membrane contains a layer of epithelial cells,

x. 추가로 융모막을 포함하되, 양막 및 융모막은 천연 입체배치와 결합된다,x. Further comprising a chorionic membrane, wherein the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are associated with a natural stereotactic arrangement,

y. 추가로 융모막을 포함하되, 양막 및 융모막은 천연 입체배치에 부착되지 않는다,y. In addition, the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are not attached to the native stroma,

z. 추가로 융모막을 포함하되, 융모막은 양막에 대해 약 2 내지 약 4배 초과의 기질 세포를 포함한다,z. Further comprising a chorion, wherein the chorion comprises about 2 to about 4 times more stromal cells for amniotic membrane,

aa. 융모막을 포함하지 않는다;aa. Does not contain chorion;

bb. 융모막을 포함하되, 융모막은 양막에 대해 약 2 내지 약 4배 초과의 기질 세포를 포함하고,bb. Wherein the chorionic villus comprises about 2 to about 4 times more stromal cells for amniotic membrane,

cc. 상처에 대한 진피 도포에 적합하다.cc. It is suitable for applying dermis to wound.

세포cell

본 기술에 따르면, 태반 생성물은 양막의 천연 치료 세포를 포함한다. 세포는 MSC, 섬유아세포 및 상피세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technique,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amniotic membrane naturally treated cells. The cells include one or more of MSC, fibroblasts, and epithelial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천연 치료 세포는 생존 가능한 MSC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naturally treated cell comprises a viable MSC.

일 실시형태에서, 천연 치료 세포는 생존 가능한 섬유아세포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naturally treated cells comprise viable fibroblasts.

일 실시형태에서, 천연 치료 세포는 생존 가능한 상피세포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naturally-treated cells comprise viable epithelial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천연 치료 세포는 생존 가능한 MSC 및 생존 가능한 섬유아세포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naturally treated cells comprise viable MSCs and viable fibroblasts.

일 실시형태에서, 천연 치료 세포는 생존 가능한 MSC, 생존 가능한 섬유아세포 및 생존 가능한 상피세포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naturally-treated cells comprise viable MSCs, viable fibroblasts and viable epithelial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생존 가능한 치료적 천연 세포는 하나 이상의 계통(예를 들어, 골형성, 지방세포화 및/또는 연골원 계통)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생존 세포이다.In one embodiment, a viable therapeutic natural cell is a viable cell capable of differentiating into cells of one or more lines (e.g., bone formation, adipocyte and / or cartilage lineag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약 500 내지 약 360,000개 세포/㎠ 또는 약 40,000 내지 약 90,000개 세포/㎠를 포함하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about 500 to about 360,000 cells / Or from about 40,000 to about 90,000 cells / cm2.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적어도 약 2,000, 또는 약 2,400, 또는 약 4,000, 또는 약 6,000, 또는 약 8,000, 또는 약 10,000, 또는 약 10,585, 또는 약 15,000, 또는 약 180,000개 기질 세포/ 단위 ㎠의 태반 생성물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 product is at least about 2,000, or about 2,400, or about 4,000, or about 6,000, or about 8,000, or about 10,000, or about 10,585, or about 15,000, or about 180,000 substrate cells / Includes placenta products.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약 2,000 내지 약 15,000의 기질 세포/㎠의 태반 생성물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a placental product of from about 2,000 to about 15,000 stromal cells / cm 2.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기질 세포를 포함하되, 적어도 약 40%, 또는 약 50%, 또는 약 60%, 또는 약 70%, 또는 약 74.3%, 또는 약 83.4% 또는 약 90% 또는 약 92.5%, 또는 약 100%의 기질 세포는 냉동-해동 주기 후에 생존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at least about 40%, or about 50%, or about 60%, or about 70%, or about 74.3%, or about 83.4%, or about 90% %, Or about 100% of the stromal cells are viable after the freeze-thaw cycl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기질 세포를 포함하되, 약 40% 내지 약 100%의 기질 세포는 냉동-해동 주기 후에 살아있고, 대안적으로는 약 40% 내지 약 99.9%의 기질 세포는 살아있으며, 대안적으로 약 70% 내지 약 99%의 기질 세포는 생존가능하다. 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stromal cells, wherein from about 40% to about 100% of the stromal cells are alive after the freeze-thaw cycle, alternatively from about 40% to about 99.9% of the stromal cells are alive , Alternatively from about 70% to about 99% of the stromal cells are viabl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약 1% 미만 CD14+ 대식세포/총 세포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less than about 1% CD14 + macrophages / total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의 양막은 동일한 태반으로부터 유래된 융모막에 비해 약 2 내지 약 4배 미만의 기질 세포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amniotic membrane of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from about 2 to about 4 times less stromal cells as compared to the chorion from the same placenta.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양막에 대해 약 2 내지 약 4배 이상의 기질 세포를 함유하는 융모막을 추가로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further comprises a chorionic membrane containing from about 2 to about 4 times more stromal cells per amniotic membran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양막은 양막 생성물 중의 총 세포 수의 약 70%까지의 양으로 MSC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생성물은 태반 생성물의 양막 내 총 세포 수에 비해 적어도 약 1%, 적어도 약 2%, 적어도 약 3%, 적어도 약 4%, 적어도 약 5%, 약 1% 내지 약 10%, 또는 약 3% 내지 약 100%의 양으로 MSC를 포함한다. 양막 생성물 내 MSC의 총 수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MSC의 적어도 약 40%,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100%는 냉동-해동 주기 후에 생존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MSC in an amount up to about 70% of the total number of cells in the amniotic membrane product of the amniotic membrane. In some embodiments, the product is at least about 1%, at least about 2%, at least about 3%, at least about 4%, at least about 5%, from about 1% to about 10% Or MSC in an amount of about 3% to about 100%. In some embodiments of the total number of MSCs in the amniotic membrane product, at least about 40%, about 50%, about 60%, about 70%, or about 100% of the MSC is viable after the freeze-thaw cycl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양막은 양막 생성물 중의 총 세포 수의 약 100%까지의 양으로 섬유아세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생성물은 태반 생성물의 양막 내 총 세포 수에 비해 약 1%, 약 20%, 약 5% 내지 약 15%, 적어도 약 1%, 적어도 약 2%, 적어도 약 3% 또는 적어도 약 4%의 양으로 섬유아세포를 포함한다. 양막 생성물 내 섬유아세포의 총 수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섬유아세포의 적어도 약 40%,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100%는 냉동-해동 주기 후에 생존가능하다. 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fibroblasts in an amount up to about 100% of the total number of cells in the amniotic membrane product. In some embodiments, the product is present in an amount of about 1%, about 20%, about 5% to about 15%, at least about 1%, at least about 2%, at least about 3% Including fibroblasts in an amount of 4%. In some embodiments of the total number of fibroblasts in the amniotic membrane product, at least about 40%, about 50%, about 60%, about 70%, or about 100% of the fibroblasts are viable after the freeze-thaw cycl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의 양막은 태반 생성물의 양막 내 총 세포 수에 비해 약 5% 내지 약 100%, 약 5% 내지 약 50%, 약 5% 내지 약 30%, 약 10% 내지 약 30%, 약 15% 내지 약 25%, 적어도 약 5%, 적어도 약 10% 또는 적어도 약 15%의 양으로 기질 세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기질 세포의 적어도: 약 40%,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100%는 냉동-해동 주기 후에 생존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the amniotic membrane of the placental product is about 5% to about 100%, about 5% to about 50%, about 5% to about 30%, about 10% to about 30% %, About 15% to about 25%, at least about 5%, at least about 10%, or at least about 15%. Alternatively, at least about 40%, about 50%, about 60%, about 70%, or about 100% of the stromal cells are viable after the freeze-thaw cycl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의 양막은 태반 생성물의 양막 내 총 세포 수에 비해 약 60% 내지 약 100%, 약 60% 내지 약 90%, 약 70% 내지 약 90%, 약 40% 내지 약 90%, 약 50% 내지 약 90%,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60% 또는 적어도 약 70%의 양으로 상피세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피 세포의 적어도 약 40%,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100%는 냉동-해동 주기 후에 생존가능하다. In one embodiment, the amniotic membrane of the placental product is about 60% to about 100%, about 60% to about 90%, about 70% to about 90%, about 40% to about 90% %, About 50% to about 90%, at least about 40%, at least about 50%, at least about 60%, or at least about 70% of the epithelial cells. Alternatively, at least about 40%, about 50%, about 60%, about 70%, or about 100% of the epithelial cells are viable after the freeze-thaw cycle.

실시형태에서, 기능성 대식세포의 총 수는 약 10% 미만(예를 들어, 약 10%, 약 9%, 약 8%, 약 7%, 약 6%, 약 5%, 약 4%, 약 3%, 약 2% 미만, 또는 약 1% 미만의 생존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In embodiments, the total number of functional macrophages is less than about 10% (e.g., about 10%, about 9%, about 8%, about 7%, about 6%, about 5% , Less than about 2%, or less than about 1% of viable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의 양막은 약 4:1 내지 약 1:1 또는 약 3:1 내지 약 3:2, 또는 약 2:1의 비로 섬유아세포 및 MSC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amniotic membrane of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fibroblast and MSC at a ratio of about 4: 1 to about 1: 1, or about 3: 1 to about 3: 2, or about 2: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의 양막은 적어도 약 1,000개 세포/㎠, 적어도 약 2,000개 세포/㎠, 약 1,000 내지 약 5,000개 세포/㎠, 또는 약 2,000 내지 약 5,000개 세포/㎠의 양으로 MSC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MSC의 적어도 약 40%,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100%는 냉동-해동 주기 후에 생존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the amniotic membrane of the placental product is an MSC in an amount of at least about 1,000 cells / cm2 , at least about 2,000 cells / cm2, about 1,000 to about 5,000 cells / cm2, or about 2,000 to about 5,000 cells / . Alternatively, at least about 40%, about 50%, about 60%, about 70%, or about 100% of the MSCs are viable after the freeze-thaw cycl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의 양막은 적어도 약 2,000개 세포/㎠, 적어도 약 4,000개 세포/㎠, 약 2,000 내지 약 9,000개 세포/㎠ 또는 약 2,000 내지 약 9,000개 세포/㎠의 양으로 섬유아세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섬유아세포의 적어도 약 40%,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100%는 냉동-해동 주기 후에 생존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the amniotic membrane of the placental product is a fibroblast cell in an amount of at least about 2,000 cells / cm2, at least about 4,000 cells / cm2, about 2,000 to about 9,000 cells / cm2, or about 2,000 to about 9,000 cells / . Alternatively, at least about 40%, about 50%, about 60%, about 70%, or about 100% of the fibroblasts are viable after the freeze-thaw cycl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의 양막은 적어도 약 4,000, 적어도 약 8,000개 세포/㎠, 약 4,000 내지 약 18,000개 세포/㎠ 또는 약 4,000 내지 약 18,000개 세포/㎠의 양으로 기질세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기질 세포의 적어도: 약 40%,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100%는 냉동-해동 주기 후에 생존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the amniotic membrane of the placental product has at least about 4,000, at least about 8,000 cells / cm2, at least about 4,000 to about 18,000 cells / Or stromal cells in an amount of from about 4,000 to about 18,000 cells / cm2. Alternatively, at least about 40%, about 50%, about 60%, about 70%, or about 100% of the stromal cells are viable after the freeze-thaw cycl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의 양막은 적어도 약 10,000개 세포/㎠, 적어도 약 20,000개 세포/㎠, 적어도 약 32,000개 세포/㎠, 약 10,000 내지 약 72,000개 세포/㎠, 약 20,000 내지 약 72,000개 세포/㎠ 또는 약 32,000 내지 약 72,000개 세포/㎠의 양으로 상피세포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피세포의 적어도 약 40%,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100%는 냉동-해동 주기 후에 생존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the amniotic membrane of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at least about 10,000 cells / cm2, at least about 20,000 cells / cm2, at least about 32,000 cells / cm2, between about 10,000 and about 72,000 cells / At least about 40%, about 50%, about 60%, about 70%, or about 100% of the epithelial cells comprise the epithelial cells It is viable after a freeze-thaw cycl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의 양막은 약 3,000개 세포/㎠ 미만, 약 1,000개 세포/㎠ 미만 또는 약 500개 세포/㎠ 미만의 양으로 기능성 대식세포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amniotic membrane of the placenta product is about 3,000 cells / cm2 , Less than about 1,000 cells / cm2, or less than about 500 cells / cm2.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상피세포층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a layer of epithelial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융모막을 포함하지만, 실질적으로 영양막이 없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a chorionic membrane, but is substantially free of hypertrophy.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기능성 CD14+ 대식세포가 실질적으로 없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is substantially free of functional CD14 + macrophages.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모체 혈액 세포가 실질적으로 없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is substantially free of maternal blood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영양막, 기능성 CD14+ 대식세포, 및 모체 혈액 세포가 실질적으로 없다. 선택적으로, 태반 생성물은 생존 가능한 기질 세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태반 생성물은 생존 가능한 MSC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태반 생성물은 생존 가능한 섬유아세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태반 생성물은 생존 가능한 상피세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태반 생성물은 생존 가능한 MSC, 섬유아세포 및 상피세포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is substantially free of nutrient, functional CD14 + macrophages, and maternal blood cells. Alternatively,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viable stromal cells. Optionally, the placenta product comprises a viable MSC. Alternatively,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viable fibroblasts. Alternatively,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viable epithelial cells. Alternatively,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viable MSCs, fibroblasts and epithelial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융모막을 포함하지만, 모체 혈액 세포가 실질적으로 없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chorion, but is substantially free of maternal blood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융모막을 포함하지만, 모체 혈액 세포 및/또는 영양막 세포가 실질적으로 없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chorion but is substantially free of maternal blood cells and / or trophoblast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배양 확장된 세포가 실질적으로 없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is substantially free of cultured expanded cells.

태반 인자Placenta factor

본 기술에 따르면, 태반 생성물은 실시예를 포함하는 다양한 양상 및 실시형태에서 상기 정의되고 달리 기재한 바와 같은 양막의 천연 치료 인자를 포함한다. 표 10은 시험한 치료 인자 및 그들의 기능의 목록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ique, placental products include amniotic membrane natural therapies as defined and otherwise described above in various aspects and embodiments, including embodiments. Table 10 provides a list of the therapeutic factors tested and their function.

일 실시형태에서, 인자는 하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다: IGFBP1, 아디포넥틴, α2-마크로글로불린, bFGF, EGF, MMP-9 및 TIMP1. 선택적으로, 인자는 천연 양막 또는 이의 층(예를 들어, ±10% 또는 2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양/㎠으로 존재한다.In one embodiment, the factor comprise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IGFBP1, adiponectin, a2-macroglobulin, bFGF, EGF, MMP-9 and TIMP1. Alternatively, the factor is present in a quantity / cm2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natural amniotic membrane or layer thereof (e.g., +/- 10% or 20%).

일 실시형태에서, 인자는 VEGF, PDFG, HGF, SDF-1, KGF, IGFBP1, 아디포넥틴, α2-마크로글로불린, bFGF, EGF, MMP-9 및 TIMP1 등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인자는 이의 천연 양막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비로 존재한다. 선택적으로, 인자는 천연 양막 또는 이의 층(예를 들어, ±10% 또는 2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양/㎠으로 존재한다. In one embodiment, the factor includes VEGF, PDFG, HGF, SDF-1, KGF, IGFBP1, adiponectin, a2-macroglobulin, bFGF, EGF, MMP-9 and TIMP1. Optionally, the factor is present in a ratio substantially similar to its natural amniotic membrane. Alternatively, the factor is present in a quantity / cm2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natural amniotic membrane or layer thereof (e.g., +/- 10% or 20%).

일 실시형태에서, 인자는 약 7 내지 약 10(예를 들어, 약 7)의 비로 MMP-9 및 TIMP1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인자는 천연 양막 또는 이의 층(예를 들어, ± 10% 또는 2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양/㎠으로 존재한다.In one embodiment, the factor comprises MMP-9 and TIMP1 at a ratio of about 7 to about 10 (e.g., about 7). Alternatively, the factor is present in a quantity / cm2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natural amniotic membrane or layer thereof (e.g., +/- 10% or 20%).

일 실시형태에서, 인자는 표 10에 열거된 인자 중 하나 이상(예를 들어, 대다수 또는 모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인자는 천연 양막 또는 이의 층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비로 존재한다. 선택적으로, 인자는 천연 양막 또는 이의 층(예를 들어, ± 10% 또는 2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양/㎠으로 존재한다.In one embodiment, the factor includes one or more of the factors listed in Table 10 (e.g., the majority or all). Alternatively, the agent is present in a ratio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natural amniotic membrane or layer thereof. Alternatively, the factor is present in a quantity / cm2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natural amniotic membrane or layer thereof (e.g., +/- 10% or 20%).

일 실시형태에서, 이의 태반 생성물은 천연 양막 또는 이의 층 각각보다 실질적으로 TNF-α/ ㎠ 미만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substantially less than TNF-a / cm &lt; 2 &gt; than the natural amniotic membrane or layer thereof, respectively.

일 실시형태에서, 이의 태반 생성물은 천연 태반 생성물 또는 이의 층 각각보다 실질적으로 TNF-α/ ㎠ 미만을 분비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secretes substantially less than TNF-a / cm &lt; 2 &gt; than the natural placenta product or layer thereof, respectively.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하기 중 임의의 것 미만으로 분비된다: 조직 배양 배지에서 조직 생성물의 2㎝ x 2㎝ 조각을 배치시키고 약 20 내지 약 24 시간 동안 박테리아 지질다당류에 대해 조직 생성물을 노출시킬 때 조직 배양 배지 내로 420pg/mL, 350pg/mL 또는 280pg/mL TNF-α.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is secreted below any of the following: placing a 2 cm x 2 cm piece of tissue product in a tissue culture medium and exposing the tissue product against bacterial lipid polysaccharide for about 20 to about 24 hours ML, 350 pg / mL or 280 pg / mL TNF-a into tissue culture medium.

일 실시형태에서, 냉장, 동결보존 및 해동 후에, 태반 생성물은 하기 중 임의의 것 미만으로 분비된다: 조직 배양 배지에서 조직 생성물의 2㎝ x 2㎝ 조각을 배치시키고 약 20 내지 약 24 시간 동안 박테리아 지질다당류에 대해 조직 생성물을 노출시킬 때 조직 배양 배지 내로 420pg/mL, 350pg/mL 또는 280pg/mL TNF-α.In one embodiment, after refrigeration, cryopreservation, and thawing, the placenta product is secreted below any of the following: a 2 cm x 2 cm piece of tissue product is placed in the tissue culture medium and maintained for about 20 to about 24 hours When exposed to tissue products for lipid polysaccharides, 420 pg / mL, 350 pg / mL, or 280 pg / mL TNF-α into tissue culture medium.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TNF-α의 외인성으로 첨가된 저해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TNF-α의 저해제는 PGE2이다. 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further comprises an exogenously added inhibitor of TNF- [alpha]. Optionally, the inhibitor of TNF- [alpha] is PGE2.

일 실시형태에서, 생성물은 항생제 또는 항생제 칵테일로 처리될 수 있다. 항생제 칵테일의 하나의 비제한적 예는 황산겐타미신, 반코마이신 HCl 및 암포테리신 B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oduct can be treated with an antibiotic or antibiotic cocktail. One non-limiting example of an antibiotic cocktail includes gentamicin sulfate, vancomycin HCl, and amphotericin B.

구성 Configuration

본 기술의 태반 생성물은 천연 양막의 구조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교시에 의해, 당업자는 천연 구조를 나타내는 태반층, 예를 들어, 균질화되지 않거나 또는 층을 실질적으로 파괴하는 콜라게나제 또는 다른 효소로 처리되지 않은 층을 인식할 것이다.The placenta product of the present technology comprises one or more layers that represent the structure of the natural amniotic membrane. By the teachings provided herein,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a placental layer that exhibits a native structure, for example, a layer that is not homogenized or that has not been treated with collagenase or other enzymes that substantially destroy the layer.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양막의 천연 구조를 지니는 기질층을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a substrate layer having the native structure of the amniotic membran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양막의 천연 구조를 지니는 기저막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a basement membrane having the natural structure of the amniotic membrane.

다른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양막의 천연 구조를 지니는 상피층을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an epithelial layer having the native structure of the amniotic membran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양막의 천연 구조를 지니는 기질층 및 상피세포층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a matrix layer and a layer of epithelial cells having the native structure of the amniotic membran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 또는 이의 양막은 두께가 약 20㎛ 내지 약 500㎛; 약 20㎛ 내지 약 200㎛; 또는 약 20㎛ 내지 약 100㎛이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 product or amniotic membrane thereof has a thickness of from about 20 탆 to about 500 탆; From about 20 [mu] m to about 200 [mu] m; Or from about 20 [mu] m to about 100 [mu] m.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융모막을 포함하지만, 실질적으로 영양막이 없다.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융모막의 천연 구조를 지니는 기저막을 포함하고, 융모막은 영양막이 실질적으로 없다. 선택적으로, 융모막과 접촉 시 모 부분은 세포외 기질 단백질의 단편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태반 생성물은 디스파제(예를 들어, 디스파제 II)로 처리되었고/되었거나 세포외 기질 단백질 단편의 실질적인 부분은 말단 류신 또는 페닐알라닌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a chorionic membrane, but is substantially free of hypertrophy. 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comprises a basement membrane having a native structure of the chorion, and the chorion membrane is substantially free of hypertrophy. Optionally, the parent moiety upon contact with the chorionic membrane comprises a fragment of an extracellular matrix protein. Alternatively, the placental product has been treated with a dispase (e. G., Dispase II) and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extracellular matrix protein fraction comprises terminal leucine or phenylalanin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융모막을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태반 생성물 내 양막 및 융모막은 천연 입체배치와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양막 및 융모막은 천연 입체배치에서 서로 부착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further comprises a chorionic membrane. Alternatively, the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within the placenta product are associated with native conformations. Alternatively, the amniotic membrane and the chorionic membrane are not attached to each other in a native steric configuration.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융모막을 포함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 product does not contain a chorion.

제형Formulation

본 기술에 따르면, 태반 생성물은 동결보존 용액과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ique, the placenta product can be formulated with a cryopreservative solution.

일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하나 이상의 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 하나 이상의 비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one or more cell-permeable cryopreservants, one or more non-cell-permeable cryopreserva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선택적으로, 동결보존 용액은 DMSO, 글리세롤,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를 포함한다. Optionally,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one or more cell-permeable cryopreservation agents selected from DMSO, glycerol, glycols,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or combinations thereof.

선택적으로, 동결보존 용액은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에틸 전분, 다당류, 단당류, 당 알코올, 알긴산염, 트레할로스, 라피노스, 덱스트란,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를 포함한다. Optionally,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one or more cell-permeable cryopreservatives selected from polyvinylpyrrolidone, hydroxyethyl starch, polysaccharides, monosaccharides, sugar alcohols, alginates, trehalose, raffinose, dextran, .

유용한 동결보존제의 다른 예는 문헌["Cryopreservation" (BioFiles, Volume 5, Number 4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등록상표) 데이터시트)]에 기재되어 있다.Another example of a useful cryoprotectant is described in "Cryopreservation" (BioFiles, Volume 5, Number 4 Sigma-Aldrich (TM) Data Sheet).

일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를 포함하되, 대다수의 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는 DMSO이다. 선택적으로, 동결보존 용액은 실질적인 양의 글리세롤을 포함하지 않는다. In one embodiment,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a cell-permeable cryopreservation agent, with the majority of cell-permeable cryopreservation agents being DMSO. Optionally,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does not contain a substantial amount of glycerol.

일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DMSO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결보존 용액은 글리세롤을 다량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동결보존 용액은 실질적인 양의 글리세롤을 포함하지 않는다. In one embodiment,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DMSO. Optionally,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does not contain a large amount of glycerol. Optionally,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does not contain a substantial amount of glycerol.

일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알부민(예를 들어, HSA 또는 BSA), 전해질 용액(예를 들어, 플라즈마-라이트(Plasma-Lyte)), 또는 이들의 조합물과 같은 추가적인 성분을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albumin (e.g., HSA or BSA), electrolyte solution (e.g., Plasma-Lyte), or a combination thereof.

일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1용적% 내지 약 15용적% 알부민 및 약 5용적% 내지 약 20용적% 동결보존제(예를 들어, 약 10용적%)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결보존제는 DMSO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약 5% 내지 약 100%의 동결보존제, 대안적으로 약 5% 내지 약 20%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between 1 vol% and about 15 vol% albumin and between about 5 vol% and about 20 vol% cryopreservation (e.g., about 10 vol%). Optionally, the cryopreservative comprises DMSO. In some embodiments,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from about 5% to about 100% cryopreservation agent, alternatively from about 5% to about 20%.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약 20mL 또는 약 50mL 초과의 동결보존 용액으로 제형화된다. 선택적으로, 동결보존 용액은 적어도 1종의 동결보존제(또는 동결보존 제제)를 포함한다. 일부 양상에서, 적어도 1종의 동결보존제는 DMSO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1종 이상의 동결보존제가 있다면, DMSO는 다량의 총 동결보존제에서 발견된다). 선택적으로, 동결보존 용액은 실질적인 양의 글리세롤을 포함하지 않는다. 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 product is formulated into a cryopreserved solution of about 20 mL or greater than about 50 mL. Optionally,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at least one cryopreservative (or cryoprotectant). In some aspects, at least one cryoprotectant comprises DMSO (e.g., if one or more cryopreservants are present, DMSO is found in a large amount of total cryopreservation agent). Optionally,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does not contain a substantial amount of glycerol.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동결보존 용액을 포함한다. 동결보존 용액은, 선택적으로 막 고정 조성물로서(예를 들어, 나이트로셀룰로스 상에서) 태반 생성물을 함유하는 용기에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속 냉동 단계 동안 막을 보호하기 위해 충분한 양의 동결보존 용액이 첨가된다. 동결보존 용액에 의한 막의 주입은 막 내에 함유된 세포의 생존도를 유지한다. 적합한 동결보존 용액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지만, 일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제는 하나 이상의 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 하나 이상의 비세포 침투성 동결보존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동결보존 용액 중의 저장을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composition comprises a cryopreservation solution.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may optionally be added to a container containing the placenta product as a film-securing composition (for example, on nitrocellulose). Preferably, a sufficient amount of cryopreservation solution is added to protect the membrane during the subsequent freezing step. Injection of the membrane by the cryopreserved solution maintains the viability of the cells contained in the membrane. Although suitable cryopreservation solutions are known in the art, in one embodiment, the cryoprotectant is stored in a cryopreserved solution comprising one or more cell-permeable cryopreservation agents, one or more non-cell permeable cryopreservation ag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

적합한 동결보존제는 DMSO, 글리세롤,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프로판다이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1,2-프로판다이올 (PROH)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폴리비닐 피롤리다이온, 하이드록시에틸 전분, 다당류, 단당류, 알긴산염, 트레할로스, 라피노스, 덱스트란, 인간 혈청 알부민, 피콜, 리포단백질, 폴리비닐 피롤리돈, 하이드록시에틸 전분, 자가 혈장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세포 침투성 동결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 유용한 동결보존제의 다른 예는 문헌[Cryopreservation (BioFiles, Volume 5, Number 4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등록상표) Datasheet)]에 기재되어 있다. Suitable cryopreservativ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DMSO, glycerol, glycols,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propanediol, polyethylene glycol (PEG), 1,2-propanediol (PROH) . In some embodiments,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pyrrolidone, hydroxyethyl starch, polysaccharide, monosaccharide, alginate, trehalose, raffinose, dextran, human serum albumin, phycol, lipoprotein, polyvinylpyrrolidone, One or more non-cell permeable cryopreservatives selected from hydroxyethyl starch, autologous plasma, or a combination thereof. Other examples of useful cryopreservatives are described in Cryopreservation (BioFiles, Volume 5, Number 4, Sigma-Aldrich (TM) Datasheet).

예를 들어, 적합한 동결보존 용액은 적어도 약 0.001용적% 내지 100용적%, 적합하게는 약 2용적% 내지 약 20용적%, 바람직하게는 약 5용적% 내지 약 10용적%의 양으로 동결보존제, 예를 들어 DMSO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적어도 약 2 % 동결보존제(예를 들어, DMSO)를 포함한다. 추가로, 동결보존 용액은 혈청 알부민 또는 다른 적합한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약 1% 내지 약 20% 혈청 알부민 또는 다른 적합한 단백질, 대안적으로는 약 1% 내지 약 10%을 포함한다. 냉동-해동 과정 동안 막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그리고 세포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켜 생존도를 유지하기 위해 혈청 알부민 또는 다른 적합한 단백질이 제공된다. 혈청 알부민은 인간 혈청 알부민 또는 소 혈청 알부민일 수 있다. 동결보존 용액은 생리 완충제 또는 식염수, 예를 들어, 인산염 완충 식염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a suitable cryopreservation solution may be stored in an amount of at least about 0.001 vol% to 100 vol%, suitably about 2 vol% to about 20 vol%, preferably about 5 vol% to about 10 vol% For example, DMSO. In some examples,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at least about 2% cryopreservation agent (e. G., DMSO). Additionally,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may comprise serum albumin or other suitable protein. In some embodiments,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from about 1% to about 20% serum albumin or other suitable protein, alternatively from about 1% to about 10%. Serum albumin or other suitable protein is provided to stabilize the membrane during the freeze-thaw process and to maintain viability by reducing damage to the cells. The serum albumin may be human serum albumin or bovine serum albumin.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may further comprise a physiological buffer or saline, for example, phosphate buffered saline.

동결보존 과정 동안, 용기는 태반막을 뒤덮기 위한 충분한 양의 동결보존 용액으로 충전될 수 있다. 동결보존 용액의 양은, 예를 들어, 사용되는 용기의 유형 및 봉입뿐만 아니라 보존될 막의 크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인자에 필연적으로 의존할 수 있다. 조성물/장치 위에 놓이는데(또는 뒤덮는데) 필수적인 동결보존 용액의 양이 낮을 수록, 조성물은 더 빠르게 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냉동 해동 동안 세포 생존도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막의 상부 범위에 대해 허용되는 최소한의 양의 동결보존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추가로, 사용되는 막이 더 작고 용기가 더 작을 수록, 더 적은 동결보존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During the cryopreservation process, the container may be filled with a sufficient amount of cryopreservation solution to cover the placental membrane. The amount of cryopreservation solution may inevitably depend on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for example, the type of container used and the size of the membrane to be preserved as well as the seal. The lower the amount of cryoprotectant solution that is necessary to (or over) the composition / device, the faster the composition can be thawed. Thus, it may be desirable to use the minimum amount of cryopreservation solution allowed for the upper range of the membrane without compromising cell viability during cryopreservation. In addition, the smaller the membrane used and the smaller the vessel, the less cryopreservation solution may be used.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 7mL 내지 약 50ml, 대안적으로는 약 10mL 내지 약 50ml, 대안적으로는 약 15mL 내지 약 50ml, 대안적으로는 약 15mL 내지 약 25 ml의 양으로 동결보존 용액을 함유하는 백(bag)이 사용될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약 15mL의 동결보존 용액이 용기 또는 백에 첨가된다. 동결보존 용액의 양은 막을 완전히 침지시키는데 충분할 수 있다. 양은 사용되는 백의 크기 및 동결보존된 막의 크기에 의존할 것이다. 작은 백이 작은 막(예를 들어, 2㎝ x 2㎝ 막보다 더 작음)과 함께 사용된다면, 약 3mL 내지 약 10ml, 대안적으로 3mL 내지 약 7mL의 동결보존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a solution containing a cryopreserve solution in an amount from about 7 mL to about 50 mL, alternatively from about 10 mL to about 50 mL, alternatively from about 15 mL to about 50 mL, alternatively from about 15 mL to about 25 mL A bag can be used. In one preferred embodiment, about 15 mL of the cryopreserved solution is added to the container or bag. The amount of cryopreservation solution may be sufficient to completely immerse the membrane. The amount will depend on the size of the bag used and the size of the cryopreserved film. If a small bag is used with a small membrane (e.g., smaller than a 2 cm x 2 cm membrane), a cryopreservation solution of from about 3 mL to about 10 mL, alternatively from 3 mL to about 7 mL, may be used.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 7mL 내지 약 50ml, 대안적으로는 약 5mL 내지 약 20ml, 대안적으로는 약 7mL 내지 약 20ml, 대안적으로는 약 7mL 내지 약 15 ml를 함유하는 용기가 사용된다. 동결보존 용액의 양은 용기 내의 막을 충분히 침지시키는데 충분할 수 있다. 양은 사용되는 용기의 크기 및 동결보존된 막의 크기에 의존할 것이다. In some embodiments, a container containing from about 7 mL to about 50 mL, alternatively from about 5 mL to about 20 mL, alternatively from about 7 mL to about 20 mL, alternatively from about 7 mL to about 15 mL is used. The amount of cryopreservation solution may be sufficient to sufficiently immerse the membrane in the vessel. The amount will depend on the size of the container used and the size of the cryopreserved membrane.

일부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의 양은 냉동 및 후속적 해동 절차 동안 세포를 보호하는데 충분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70% 세포 생존도는 냉동-해동 후에 유지된다. 일부 양상에서, 적어도 75% 세포 생존도가 유지되며, 대안적으로 약 80% 세포 생존도가 유지되고, 대안적으로 85% 세포 생존도가 유지되며, 대안적으로 약 90% 세포 생존도가 유지되고, 대안적으로 약 95% 세포 생존도가 유지되며, 대안적으로 약 100% 세포 생존도가 유지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막의 생존도는 적어도 70%, 적어도 71%, 적어도 72%, 적어도 73%, 적어도 74%, 적어도 75%, 적어도 75%, 적어도 78%, 적어도 80%, 적어도 82%, 적어도 85%, 적어도 88%, 적어도 89%, 적어도 90%, 적어도 92%, 및 그 사이의 백분율이다. In some embodiments, the amount of cryopreservation solution is sufficient to protect the cells during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procedures. In some embodiments, at least 70% cell viability is maintained after freeze-thaw. In some aspects, at least 75% cell viability is maintained, alternatively about 80% cell viability is maintained, alternatively 85% cell viability is maintained, and alternatively about 90% cell viability is maintained , Alternatively about 95% cell viability is maintained, and alternatively about 100% cell viability is maintained. In some embodiments, the viability of the membrane is at least 70%, at least 71%, at least 72%, at least 73%, at least 74%, at least 75%, at least 75%, at least 78%, at least 80% 85%, at least 88%, at least 89%, at least 90%, at least 92%, and a percentage therebetween.

일부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의 양은 막의 구조적, 구성적 및/또는 3-D 구조를 보호하는데 충분하다. 이들 예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0.01% 내지 약 100%, 대안적으로는 약 2 % 내지 약 100%의 양으로 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를 함유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다당류 또는 단당류를 함유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amount of cryopreservation solution is sufficient to protect the structural, constitutive and / or 3-D structure of the membrane. In these examples,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ntains cell-permeable cryopreservation agent in an amount of from 0.01% to about 100%, alternatively from about 2% to about 100%. In some embodiments,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ntains polysaccharides or monosaccharides.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나이트로셀룰로스 종이 상에 배치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 product is placed on nitrocellulose paper.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양막 및/또는 융모막은 복수의 부문으로 절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막은 막 유형 및 특정 최종 용도 또는 해당 막의 용법에 따라서 임의의 적합한 크기일 것이고, 주문제작될 수 있다. 막의 적합한 크기는 약 1.5㎝ x 약 1.5㎝, 약 2㎝ x 약 2㎝, 약 3㎝ x 약 3cm, 약 4㎝ x 약 4㎝, 약 5㎝ x 약 5㎝, 약 6㎝ x 약 6㎝, 약 7㎝ x 약 7㎝, 약 8㎝ x 약 8㎝, 약 7. 5㎝ x 약 15㎝, 약 1. 5㎝ x 약 2㎝, 약 1.5㎝ x 약 3㎝, 약 2㎝ x 약 3㎝, 약 3㎝ x 약 4㎝, 약 2㎝ x 약 5㎝, 약 3㎝ x 약 5㎝, 약 4㎝ x 약 5㎝, 약 5㎝ x 약 7㎝, 약 5㎝ x 약 10㎝, 약 5㎝ x 약 15㎝, 약 7.5㎝ x 약 15㎝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0.1㎝ 내지 1㎝의 증분으로 임의의 변형 또는 크기 및 범위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 amniotic membrane and / or chorionic membrane may be cut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Optionally, the membrane will be of any suitable size depending on the membrane type and the particular end use or usage of the membrane, and can be customized. Suitable sizes of the membrane are about 1.5 cm x about 1.5 cm, about 2 cm x about 2 cm, about 3 cm x about 3 cm, about 4 cm x about 4 cm, about 5 cm x about 5 cm, about 6 cm x about 6 cm About 7 cm x about 7 cm, about 8 cm x about 8 cm, about 7.5 cm x about 15 cm, about 1.5 cm x about 2 cm, about 1.5 cm x about 3 cm, about 2 cm x about About 3 cm x about 4 cm, about 2 cm x about 5 cm, about 3 cm x about 5 cm, about 4 cm x about 5 cm, about 5 cm x about 7 cm, about 5 cm x about 10 cm , About 5 cm x about 15 cm, about 7.5 cm x about 15 c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ny variation or size and range in increments of 0.1 cm to 1 cm.

동결보존된 막은 놀랍게 긴 저장수명 또는 안정성을 가지며, 장기간의 시간 동안 냉동될 때 생존 세포를 보유한다. 동결보존된 생성물은 일단 해동되면 높은 세포 생존도의 체류(생존 세포의 적어도 40%, 50%, 60% 또는 70% 이상의 체류)로 2년 이상 동안 약 -20℃ 내지 약 -196℃(예를 들어, 약 -45 내지 약 -80℃)로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양상에서, 동결보존된 막은 고 체류의 생존 세포(예를 들어, 적어도 40% 생존 세포, 대안적으로 적어도 50% 생존 세포,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70% 생존 세포,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80%, 약 85%, 90%, 95% 또는 100% 생존 세포와 함께 해동하기 전 적어도 약 3개월, 적어도 약 6개월, 적어도 약 9개월, 적어도 약 12개월, 적어도 약 15개월, 적어도 약 24개월, 적어도 약 25개월, 적어도 약 36개월 동안 약 -20℃ 내지 약 -196℃(예를 들어, 약 -45 내지 약 -80℃)에서 저장될 수 있다.Cryopreserved membranes have surprisingly long shelf life or stability and retain viable cells when frozen for long periods of time. The cryopreserved product is preferably stored at a temperature of about -20 ° C to about -196 ° C for more than two years (eg, at least 40%, 50%, 60%, or 70% For example, from about -45 to about -80 &lt; 0 &gt; C). In some aspects, the cryopreserved membrane may be a viable cell (e.g., at least 40% viable cells, alternatively at least 50% viable cells, alternatively at least about 70% viable cells, alternatively at least about 80% viable cells, At least about 6 months, at least about 9 months, at least about 12 months, at least about 15 months, at least about 24 months, at least about 12 months, at least about 12 months, at least about 12 months, At least about 25 months, at least about 36 months, at a temperature of about-20 C to about -196 C (e.g., about -45 C to about -80 C).

다른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하기를 포함하는 상처 또는 조직 결함의 치료를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kit for the treatment of a wound or tissue defect comprising:

A)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기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양성 및 실시형태에 따른 막; 및A) A film according to any of the positives and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ontainer; And

B) 상처 또는 조직 결함을 치료하기 위해 막을 투여하기 위한 설명서.B) Instructions for administering the membrane to treat wounds or tissue defects.

실시형태에서, 키트는 하나 이상의 항생제, 완화제, 각질용해제, 습윤제, 항산화제, 보존제, 치료제, 붕대, 도구, 절단 장치, 완충제, 해동 매질, 조절 매질, 겸자, 용기 및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부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kit is selected from one or more antibiotics, an emollient, a keratolytic agent, a humectant, an antioxidant, a preservative, a therapeutic, a bandage, a tool, a cutting device, a buffer, a thawing medium, a conditioning medium, a forceps, Adducts.

제조Produce

개요 summary

본 기술의 태반 생성물은 본 명세서에 교시된 기술적 특징을 제공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태반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기술에 따라, 태반 생성물은 적어도 면역적합성인 양막을 포함한다.Placenta products of the present technology can be prepared from the placenta in any suitable manner that provides the technical features taught herein. According to the technique, the placenta product comprises amniotic membrane which is at least immunocompetent.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 product is produc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태반을 얻는 단계,a. The placenta obtaining step,

b. 태반막의 면역원성을 선택적으로 고갈시키는 단계; 및b. Selectively depleting the placental membrane immunogenicity; And

c. 태반막을 동결보존하는 단계.c. The placental membrane is cryopreserved.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적혈구 세포를 용혈시킴으로써, 혈병을 제거함으로써,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태반막으로부터 모체 혈액 세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lternatively, the method includes removing maternal blood cells from the placenta membrane, for example, by hemolyzing red blood cells, removing blood clots, or a combination thereof.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태반막을 하나 이상의 항생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ptionally, the method comprises treating the placental membrane with one or more antibiotics.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선택적으로 TNFα 방출의 LPS 자극에서 실질적인 감소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CD14+ 대식세포를 선택적으로 고갈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lternatively, the method comprises selectively depleting CD14 + macrophages, as evidenced by a substantial reduction in LPS stimulation of TNFa release.

선택적으로, 태반막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 하나 이상의 비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동결보존 용액 중의 막을 냉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Optionally, lyophilizing the placenta membrane comprises freezing the membrane in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ing one or more cell-permeable cryopreservation agents, one or more non-cell-permeable cryopreservation ag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선택적으로, 태반막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는 약 2℃ 내지 약 8℃에서 일정 시간 기간 동안 배치시키고, 이어서-80℃에서 냉동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TNFα 방출의 LPS 자극에서 실질적인 감소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CD14+ 대식세포를 선택적으로 고갈시키는 것을 포함한다.Optionally, lyophilizing the placenta membrane comprises Optionally, depleting CD14 + macrophages as demonstrated by substantial reduction in LPS stimulation of TNF [alpha] release by placing at a temperature of about 2 [deg.] C to about 8 [deg.] C for a period of time, followed by freezing at -80 [ .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양막의 상피세포층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ptionally, the method comprises maintaining an epithelial layer of amniotic membrane.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융모막 또는 이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융모막으로부터 영양막을 제거하는 한편, 융모막의 기질층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ptionally, the method comprises removing the chorion or part thereof. Optionally, the method comprises removing the nutrient film from the chorionic membrane while maintaining a substrate layer of the chorion.

본 기술의 예시적인 태반막은 붕대 또는 상처 드레싱과 함께 제조될 수 있거나 이들을 구비할 수 있다. Exemplary placental membranes of the present technology may be made or provided with bandages or wound dressings.

면역적합성 및 선택적 고갈Immunocompetence and selective depletion

일 실시형태에서, 본 기술의 태반 생성물 또는 막은 면역적합성이다. 면역적합성은 태반으로부터 면역원성 세포 또는 인자 또는 면역원성(또는 이의 양막)을 제거하는 임의의 선택적 고갈 단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or membrane of the present technique is immunocompetent. Immunocompetence may be performed by any optional depletion step that removes immunogenic cells or factors or immunogenicity (or amniotic membrane thereof) from the placenta.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를 선택적으로 고갈시킴으로써 면역적합성으로 된다. 태반은 태반 생성물(또는 이의 양막)로부터 면역원성 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한편 치료 세포를 유지함으로써 면역적합성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역원성 세포는 면역원성 세포를 사멸시킴으로써 또는 그것으로부터 태반의 정제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becomes immunocompetent by selectively depleting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The placenta may become immunocompetent by selectively removing immunogenic cells from the placenta product (or amniotic membrane thereof) while maintaining therapeutic cells. For example, immunogenic cells can be removed by killing immunogenic cells or by placental purification from them.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영양막을 선택적으로 고갈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영양막 층의 제거에 의해 면역적합성으로 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becomes immunocompetent by selectively depleting the trophic membrane, e.g., by removal of the trophic layer.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CD14+ 대식세포, 선택적으로 TNFα 방출의 LPS 자극의 실질적인 감소에 의해 또는 MLR 분석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기능성 CD14+ 대식세포의 선택적 고갈에 의해 면역적합성으로 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becomes immunocompetent by substantial reduction of CD14 + macrophage, optionally LPS stimulation of TNFa release, or by selective depletion of functional CD14 + macrophages, as evidenced by MLR analysis.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모체 혈액 세포의 선택적 고갈에 의해 면역적합성으로 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becomes immunocompetent by selective depletion of maternal blood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기능성 CD14+ 대식세포, 영양막 및 모체 혈액 세포의 선택적 고갈에 의해 면역적합성으로 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is rendered immunocompetent by selective depletion of functional CD14 + macrophages, trophic and maternal blood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영양막 및/또는 CD14+ 대식세포, 선택적으로 TNFα 방출의 LPS 자극의 실질적인 감소에 의해 또는 MLR 분석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기능성 CD14+ 대식세포의 선택적 고갈에 의해 면역적합성으로 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is immunoconjugated by a substantial reduction of LPS stimulation of the trophoblast and / or CD14 + macrophage, optionally TNFa release, or by selective depletion of functional CD14 + macrophages, as evidenced by MLR analysis .

영양막Nutrient 제거 remove

일 실시형태에서, 면역적합성(또는 선택적 고갈)은 태반 생성물로부터 영양막의 제거 또는 고갈에 의해 수행된다. 융모막으로부터의 영양막의 제거가 수행되는 한편, 융모막의 기질층이 유지된다. 놀랍게도, 이러한 태반 생성물은 다음의 우수한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가진다:In one embodiment, immunoconjugation (or selective depletion) is performed by elimination or depletion of the nutrient from the placenta product. Removal of the nutrient film from the chorion is performed while the substrate layer of the chorion is maintained. Surprisingly, such placental products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outstanding characteristics:

a. 실질적으로 비면역원성임;a. Substantially non-immunogenic;

b. 현저한 치유를 제공함; 그리고 b. Provides remarkable healing; And

c. 향상된 치료적 효능을 제공함.c. Provides improved therapeutic efficacy.

일 실시형태에서, 영양막이 제거되는 한편, 융모막의 기질층이 유지된다. In one embodiment, the nutrient film is removed while the substrate layer of the chorion is maintained.

영양막은 태반 생성물의 영양막 함량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영양막은 선택적으로 제거된다. 선택적으로, 영양막은 융모막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치료 성분의 실질적인 부분(예를 들어, MSCs, 치료 인자, 세포외 기질 등)를 제거하는 일 없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거나 또는 달리 제거된다. 선택적으로, 대다수의(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모든) 영양막이 제거된다.The nutrient film can be removed in any suitable manner that substantially reduces the nutrient content of the placenta product. In one embodiment, the nutrient film is selectively removed. Alternatively, the nutrient film is selectively removed or otherwise removed without removing a substantial portion (e.g., MSCs, therapeutic factors, extracellular matrix, etc.) of one or more therapeutic ingredients from the chorion. Alternatively, a majority (e.g., substantially all) of the nutrient film is removed.

영양막을 제거하는 한 가지 방법은 소화 효소, 예컨대 디스파제(예를 들어, 디스파제 II)를 이용하여 태반(예를 들어, 융모막 또는 양막-융모막)을 치료하는 단계 및 태반으로부터 영양막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는 박리 또는 스크레이핑과 같은 기계적 분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스크레이핑은 손가락과 같은 연성 기구를 이용하는 스크레이핑을 포함한다.One way to remove the trophoblasts is to treat the placenta (e.g., chorionic membrane or amniotic membrane-chorion) using digestive enzymes such as dispase (e.g., Dyspase II) and isolate the nutrient from the placenta . Optionally, the step of separating includes mechanical separation such as peeling or scraping. Optionally, the scraping includes scraping using a soft mechanism such as a finger.

영양막을 제거하는 일 방법은 약 30 내지 약 45분 동안 디스파제로 융모막을 처리하여 태반으로부터 영약막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디스파제는 약 1% 미만(예를 들어, 약 0.5%)의 용액 중에서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는 박리 또는 스크레이핑과 같은 기계적 분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스크레이핑은 손가락과 같은 연성 기구를 이용하는 스크레이핑을 포함한다.A method of removing the trophoblast comprises treating the chorion with dispase for about 30 to about 45 minutes to separate the herbicidal film from the placenta. Optionally, the dispase is provided in a solution of less than about 1% (e.g., about 0.5%). Optionally, the step of separating includes mechanical separation such as peeling or scraping. Optionally, the scraping includes scraping using a soft mechanism such as a finger.

태반(예를 들어, 융모막)으로부터 영양막을 제거하는 유용한 방법은 Portmann-Lanz et al. ("Placental mesenchymal stem cells as potential 자가 graft for pre- and perinatal neuroregeneration";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6) 194, 664-73),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esenchymal cells from human fetal membranes"; Journal Of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2007; 1: 296-305.), 및 (Concise Review: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s from Human Term Placenta: Outcome of the First International Workshop on Placenta Derived Stem Cells")에 의해 기재된다.A useful method for removing the supernatant from the placenta (e.g., chorion) is described by Portmann-Lanz et al. (&Quot;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esenchymal cells from human fetal membranes ";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6) 194, 664-73),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2007; 1: 296-305. &Quot; and Concise Review: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s from Human Primary Placenta: Outcome of the First International Workshop on Placenta Derived Stem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영양막은 동결보존 전에 제거된다.In one embodiment, the nutrient film is removed prior to cryopreservation.

대식세포 제거Removal of macrophages

일 실시형태에서, 기능성 대식세포는 태반 생성물이 고갈되거나 또는 제거된다. 놀랍게도, 이러한 태반 생성물은 다음의 우수한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가진다:In one embodiment, the functional macrophages are depleted of placental products or eliminated. Surprisingly, such placental products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outstanding characteristics:

a. 실질적으로 비면역원성임;a. Substantially non-immunogenic;

b. 현저한 치유를 제공함; 그리고 b. Provides remarkable healing; And

c. 향상된 치료적 효능을 제공함.c. Provides improved therapeutic efficacy.

기능성 대식세포는 태반 생성물의 대식세포 함량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대식세포는 태반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치료적 성분의 실질적인 부분(예를 들어, MSCs, 치료 인자 등)을 제거하는 일 없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거나 또는 달리 제거된다. 선택적으로, 대다수(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모든) 대식세포는 제거된다.The functional macrophages can be eliminated in any suitable manner that substantially reduces the macrophage content of the placental product. Alternatively, the macrophage is selectively removed or otherwise removed without removing a substantial portion (e.g., MSCs, therapeutic factors, etc.) of one or more therapeutic ingredients from the placenta. Alternatively, a majority (e. G., Substantially all) macrophages are removed.

면역 세포, 예컨대 대식세포를 제거하는 한 가지 방법은 빠른 냉동 속도, 예컨대 60 내지 100℃/분에 의해 면역 세포를 사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면역 세포를 제거하는 다른 방법은 일정 기간 동안 약 2℃ 내지 약 8℃에서 세포를 유지함으로써, 그리고 이어서, 약 1℃/분의 속도로 면역 세포를 냉동시킴으로써(예를 들어, 약 -20℃에서)면역 세포를 사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One method of removing immune cells, such as macrophages, involves immune cell killing by rapid freezing rates, such as 60-100 ° C / min. Another method of removing immune cells is by keeping the cells at about 2 ° C to about 8 ° C for a period of time and then by freezing the immune cells at a rate of about 1 ° C per minute (eg, at about -20 ° C ) &Lt; / RTI &gt;

면역 세포가 빠른 냉동 속도에 의해 제거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또한 기질 세포(예를 들어, MSC)와 같은 치료 세포에 유해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태반막을 약 2℃ 내지 약 8℃에서 일정 시간 기간 동안(예를 들어, 적어도 약 10분 동안, 예컨대 약 30 내지 60분 동안) 상기 냉동 온도에서(예를 들어, 2 내지 8℃에서 인큐베이션) 배치시키는 단계, 이어서 태반을 냉동시킴으로써(예를 들어, -80℃ ± 5℃에서 인큐베이션) CD14+ 대식세포를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선택적으로, 냉동시키는 단계는 10°/분 미만(예를 들어, 약 5°/분 미만, 예컨대 약 1°/분 미만)의 속도로 냉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lthough immune cells can be removed by fast freezing rates, this method may also be detrimental to therapeutic cells such as stromal cells (e.g., MSC). The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placental membrane is maintained at said refrigeration temperature (e.g., at 2 to 8 DEG C) for a period of time at about 2 DEG C to about 8 DEG C (e.g., for at least about 10 minutes, Incubation) followed by selective quenching of CD14 + macrophages by freezing the placenta (e.g., incubation at -80 ° C ± 5 ° C). Optionally, the freezing step includes freezing at a rate of less than 10 ° / minute (eg, less than about 5 ° / minute, such as less than about 1 ° / minute).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막을 약 2℃ 내지 약 8℃에 배치시키는 단계는 동결보존 용액이 태반 조직을 침투하도록(예를 들어 평형상태가 되도록) 충분한 시간 기간 동안 동결보존 용액(예를 들어, DMSO를 함유) 중에 태반막을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냉동시키는 단계는 약 1°/분의 속도로 온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냉동시키는 단계는 10°/분 미만(예를 들어, 약 5°/분 미만, 예컨대 약 1°/분)의 속도로 냉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placing the placental membrane at about 2 DEG C to about 8 DEG C includes cryopreserving solution (e.g., DMSO ) Containing the &lt; RTI ID = 0.0 &gt; placenta &lt; / RTI &gt; Optionally, the freezing step comprises reducing the temperature at a rate of about 1 DEG / min. Optionally, the freezing step includes freezing at a rate of less than 10 ° / minute (eg, less than about 5 ° / minute, eg, about 1 ° / minute).

일 실시형태에서, 약 2℃ 내지 약 8℃에서 태반막을 배치시키는 단계는 적어도 하기 중 어떤 것에 대해 약 -10 내지 15℃ 온도에서(예를 들어, 2 내지 8℃에서) 동결보존 용액(예를 들어, DMSO를 함유) 중에서 태반막을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10분, 20분, 30분, 40분 또는 50분. 다른 실시형태에서, 약 2℃ 내지 약 8℃에서 태반막을 배치시키는 단계는 하기 중 어떤 것에 대해 약 -10 내지 15℃의 온도에서(예를 들어, 2 내지 8℃에서) 동결보존 용액(예를 들어, DMSO를 함유) 중에서 태반막을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10 내지 120, 20 내지 90분 또는 30 내지 60분. 냉동시키는 단계는 10/분 미만(예를 들어, 약 5/분 미만, 예컨대 약 1/분 미만)의 속도로 냉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isposing the placental membrane at about 2 DEG C to about 8 DEG C comprises cryopreserving solution (e.g., at about-10 to 15 DEG C) (for example, at 2-8 DEG C) Containing DMSO): 10 min, 20 min, 30 min, 40 min or 50 min. In another embodiment, the step of disposing the placental membrane at about 2 DEG C to about 8 DEG C includes placing the placental membrane in a cryopreserved solution (e.g., at a temperature of about -10 to 15 DEG C For example, DMSO): 10 to 120, 20 to 90 minutes, or 30 to 60 minutes. The freezing step includes freezing at a rate of less than 10 / minute (e.g., less than about 5 / minute, such as less than about 1 / minute).

모체 혈액 세포의 제거Removal of maternal blood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모체 혈액 세포는 태반 생성물이 고갈되거나 또는 태반 생성물로부터 제거된다. 놀랍게도, 이러한 태반 생성물은 다음의 우수한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가진다:In one embodiment, maternal blood cells are depleted of placental products or removed from placental products. Surprisingly, such placental products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outstanding characteristics:

a. 실질적으로 비면역원성임;a. Substantially non-immunogenic;

b. 현저한 치유를 제공함; 그리고 b. Provides remarkable healing; And

c. 향상된 치료적 효능을 제공함. c. Provides improved therapeutic efficacy.

모체 혈액 세포는 태반 생성물의 이러한 세포 함량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모체 혈액 세포는 태반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치료 성분의 실질적인 일부(예를 들어, 치료 세포(예를 들어, MSC), 혈관형성 인자, 항산화제, 항염증제 등을 포함하는 치료 인자)를 제거하는 일 없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거나 또는 달리 제거된다.The maternal blood cells may be removed in any suitable manner that substantially reduces such cellular content of the placental product. Alternatively, maternal blood cells may be removed from the placenta by removing a substantial portion of one or more therapeutic components (e. G., Therapeutic agents including therapeutic cells (e. G., MSCs), angiogenic factors, antioxidants, Without the work being selectively removed or otherwise removed.

일 실시형태에서, 모체 혈액 세포의 제거는 총 혈병 및 임의의 과량의 혈액 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양막을(예를 들어, PBS와 같은 완충제를 이용하여) 린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removal of maternal blood cells comprises rinsing the amniotic membrane (e.g., with a buffer such as PBS) to remove total blood clots and any excess blood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모체 혈액 세포의 제거는 항응고제(예를 들어, 시트르산염 덱스트로스 용액)를 이용하여 양막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moval of maternal blood cells comprises treating the amniotic membrane using an anticoagulant (e. G. Citric acid dextrose solution).

일 실시형태에서, 모체 혈액 세포의 제거는 총 혈병 및 임의의 과량의 혈액 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양막을(예를 들어, PBS와 같은 완충제를 이용하여) 린스하는 단계를 및 항응고제(예를 들어, 시트르산염 덱스트로스 용액)를 이용하여 양막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removal of maternal blood cells comprises rinsing the amniotic membrane (e.g., with a buffer such as PBS) to remove total blood clots and any excess blood cells, and administering an anticoagulant (e. G. Citrate dextrose solution) to treat the amniotic membrane.

일 실시형태에서, 융모막은 유지되며, 모체 혈액 세포의 제거는 탯줄의 반대편 상의 태반 스커트 주위를 절단함으로써 태반으로부터 융모막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태반의 제대측 상의 융모막은 이 측면 상의 혈관신생에 기인하여 제거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the chorion is maintained, and removal of maternal blood cells involves separating the chorion from the placenta by cutting around the placental skir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mbilical cord. The chorion on the umbilical side of the placenta is not removed due to angiogenesis on this side.

일 실시형태에서, 융모막은 유지되며, 모체 혈액 세포의 제거는 탯줄의 반대편 상의 태반 스커트 주위를 절단함으로써 태반으로부터 융모막을 분리시키는 단계 및 양막 및 융모막을 (예를 들어, PBS와 같은 완충제를 이용하여) 린스하여 총 혈병 및 임의의 과량의 혈액 세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chorion is maintained, and removal of maternal blood cells is accomplished by separating the chorion from the placenta by cutting around the placental skir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mbilical cord, and the amniotic and chorionic membranes (e.g., using a buffer such as PBS ) Rinsing to remove total blood clots and any excess blood cells.

일 실시형태에서, 융모막은 유지되며, 모체 혈액 세포의 제거는 탯줄의 반대편 상의 태반 스커트 주위를 절단함으로써 태반으로부터 융모막을 분리시키는 단계 및 항응고제(예를 들어, 시트르산염 덱스트로스 용액)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chorion is maintained, and removal of maternal blood cells involves separating the chorion from the placenta by cutting around the placenta skir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mbilical cord and treating with an anticoagulant (e.g., a citrate dextrose solution) .

일 실시형태에서, 융모막은 유지되며, 모체 혈액 세포의 제거는 탯줄의 반대편 상의 태반 스커트 주위를 절단함으로써 태반으로부터 융모막을 분리시키는 단계, 융모막 양막을 (예를 들어, PBS와 같은 완충제를 이용하여) 린스하여 총 혈병 및 임의의 과량의 혈액 세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양막을 항응고제(예를 들어, 시트르산염 덱스트로스 용액)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chorion is maintained and removal of maternal blood cells is accomplished by separating the chorion from the placenta by cutting around the placental skir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mbilical cord, removing the chorionic membrane amniotic membrane (using, for example, a buffer such as PBS) Rinsing to remove total blood clots and any excess blood cells, and treating the amniotic membrane with an anticoagulant (e. G. Citric acid dextrose solution).

TNFαTNFα 방출의  Emissive LPSLPS 자극에서 실질적인 감소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은 면역원성의 선택적 고갈. Selective depletion of immunogenicity as evidenced by substantial reduction in stimulation.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LPS 자극 TNF-α 방출의 감소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면역원성이 선택적으로 고갈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대식세포가 선택적으로 고갈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is selectively depleted of immunogenicity as evidenced by a decrease in LPS-stimulated TNF-a release. 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is selectively depleted of macrophages.

일 실시형태에서, TNF-α는 대식세포의 사멸 또는 제거에 의해 고갈된다.In one embodiment, TNF-a is depleted by the killing or elimination of macrophages.

일 실시형태에서, TNF-α는 TNF-α 분비를 억제하는 PGE2에 의한 처리에 의해 기능성으로 고갈된다.In one embodiment, TNF- [alpha] is functionally depleted by treatment with PGE2 that inhibits TNF-a secretion.

일부 실시형태에서, TNF-α는 적어도 약 80%,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또는 적어도 약 100% 저해된다. In some embodiments, TNF- [alpha] is inhibited by at least about 80%, at least about 85%, at least about 90%, at least about 95%, or at least about 100%.

보존preservation

본 기술의 태반 생성물은 새롭게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일정 시간 동안 보존될 수 있다. 놀랍게도, 본 기술에서 동결보존은 면역적합성 태반 생성물을 초래한다. The placenta products of the present technology can be used fresh or can be preserved for a period of time. Surprisingly, cryopreservation in the art results in immunocompetent placental products.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동결보존된다. 태반 생성물은 동결보존제 용액 중의 냉동 온도에서(약 -20℃ 내지 약 -196℃, 예를 들어, -80℃ ± 5C에서) 인큐베이션에 의해 동결보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 product is cryopreserved. The placenta product can be cryopreserved by incubation at a cryopreservation temperature in a cryopreservative solution (at about -20 캜 to about -196 캜, e.g., at -80 캜 5C).

동결보존은, 예를 들어, 태반 생성물을 약 2℃ 내지 약 8℃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인큐베이션시키는 단계, 및 이어서 사용까지 -80℃에서 인큐베이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태반 생성물은 사용을 위해 해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태반 생성물은 세포 생존도가 냉동-해동 주기 후에 놀랍게도 잘 유지되는 방식으로 동결보존된다.Cryopreserv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incubating the placental product at about 2 [deg.] C to about 8 [deg.] C for 30 to 60 minutes, and then incubating at -80 [deg.] C until use. The placenta product can then be thawed for use. Alternatively, the placenta product is cryopreserved in such a way that cell viability remains surprisingly well after the cryo-thaw cycle.

일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은 하나 이상의 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 하나 이상의 비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동결보존 용액 중의 저장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결보존 용액은 DMSO, 글리세롤,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결보존 용액은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에틸 전분, 다당류, 단당류, 당 알코올, 알긴산염, 트레할로스, 라피노스, 덱스트란,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를 포함한다. 유용한 동결보존제의 다른 예는 문헌["Cryopreservation" (BioFiles, Volume 5, Number 4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등록상표) 데이터시트)]에 기재되어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ryopreservation comprises storage in a cryopreserved solution comprising one or more cell-permeable cryopreservation agents, one or more non-cell-permeable cryopreservation ag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Optionally,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one or more cell-permeable cryopreservation agents selected from DMSO, glycerol, glycols,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or combinations thereof. Optionally,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one or more non-cell-permeable freeze-dried compositions selected from polyvinylpyrrolidone, hydroxyethyl starch, polysaccharides, monosaccharides, sugar alcohols, alginates, trehalose, raffinose, dextran, Preservative. Another example of a useful cryoprotectant is described in "Cryopreservation" (BioFiles, Volume 5, Number 4 Sigma-Aldrich (TM) Data Sheet).

일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를 포함하되, 대다수의 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는 DMSO이다. 선택적으로, 동결보존 용액은 실질적인 양의 글리세롤을 포함하지 않는다. In one embodiment,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a cell-permeable cryopreservation agent, with the majority of cell-permeable cryopreservation agents being DMSO. Optionally,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does not contain a substantial amount of glycerol.

일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DMSO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결보존 용액은 글리세롤을 다량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동결보존 용액은 실질적인 양의 글리세롤을 포함하지 않는다. In one embodiment,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DMSO. Optionally,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does not contain a large amount of glycerol. Optionally,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does not contain a substantial amount of glycerol.

일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알부민(예를 들어, HSA 또는 BSA), 전해질 용액(예를 들어, 플라즈마-라이트(Plasma-Lyte)), 식염수 용액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과 같은 추가적인 성분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albumin (e.g., HSA or BSA), electrolyte solution (e.g., Plasma-Lyte), saline solution or any combination thereof .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동결보존 용액을 포함한다. 동결보존 용액은 막 고정 장치 또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기에 첨가된다. 바람직하게는, 후속 냉동 단계 동안 막을 보호하기 위해 용기에 충분한 양의 동결보존 용액이 첨가된다. 적합한 동결보존 용액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제는 하나 이상의 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 하나 이상의 비세포 침투성 동결보존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동결보존 용액 중의 저장을 포함한다. 적합한 동결보존제는 DMSO, 글리세롤,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프로판다이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1,2-프로판다이올 (PROH)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폴리비닐 피롤리다이온, 하이드록시에틸 전분, 다당류, 단당류, 알긴산염, 트레할로스, 라피노스, 덱스트란, 인간 혈청 알부민, 피콜, 리포단백질, 폴리비닐 피롤리돈, 하이드록시에틸 전분, 자가 혈장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세포 침투성 동결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 유용한 동결보존제의 다른 예는 문헌[Cryopreservation (BioFiles, Volume 5, Number 4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등록상표) Datasheet)]에 기재되어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composition comprises a cryopreservation solution.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is added to a vessel containing the membrane fixture or composition. Preferably, a sufficient amount of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is added to the vessel to protect the membrane during the subsequent freezing step. Suitable cryopreservation solutions are known in the art. In one embodiment, the cryoprotectant comprises a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ing one or more cell-permeable cryopreservants, one or more non-cell permeable cryopreservants, or a combination thereof. Suitable cryopreservativ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DMSO, glycerol, glycols,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propanediol, polyethylene glycol (PEG), 1,2-propanediol (PROH) . In some embodiments,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pyrrolidone, hydroxyethyl starch, polysaccharide, monosaccharide, alginate, trehalose, raffinose, dextran, human serum albumin, phycol, lipoprotein, polyvinylpyrrolidone, One or more non-cell permeable cryopreservatives selected from hydroxyethyl starch, autologous plasma, or a combination thereof. Other examples of useful cryopreservatives are described in Cryopreservation (BioFiles, Volume 5, Number 4, Sigma-Aldrich (TM) Datasheet).

예를 들어, 적합한 동결보존 용액은 적어도 약 0.001용적% 내지 100용적%, 적합하게는 약 2용적% 내지 약 20용적%, 바람직하게는 약 5용적% 내지 약 10용적%의 양으로 세포 침투성 동결보존제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적어도 약 2 % 세포-침투성 동결보존제를 포함한다. 추가로, 동결보존 용액은 혈청 알부민 또는 다른 적합한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약 1% 내지 약 20% 혈청 알부민 또는 다른 적합한 단백질, 대안적으로는 약 1% 내지 약 10%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 용액은 1용적% 내지 약 15용적% 알부민 및 약 5용적% 내지 약 20용적% 동결보존제(예를 들어, 약 10용적%)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결보존제는 (예를 들어, 다량으로) DMSO를 포함한다. 냉동-해동 과정 동안 막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그리고 세포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켜 생존도를 유지하기 위해 혈청 알부민 또는 다른 적합한 단백질이 제공된다. 혈청 알부민은 인간 혈청 알부민 또는 소 혈청 알부민일 수 있다. 동결보존 용액은 생리 완충제 또는 식염수, 예를 들어, 인산염 완충 식염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 suitable cryopreservation solution may be stored in an amount of at least about 0.001% by volume to 100% by volume, suitably from about 2% by volume to about 20% by volume, preferably from about 5% by volume to about 10% Preservative. In some instances,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at least about 2% cell-permeable cryopreservation agent. Additionally,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may comprise serum albumin or other suitable protein. In some embodiments,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from about 1% to about 20% serum albumin or other suitable protein, alternatively from about 1% to about 10%. In one embodiment,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comprises between 1 vol% and about 15 vol% albumin and between about 5 vol% and about 20 vol% cryopreservation (e.g., about 10 vol%). Optionally, the cryoprotectant comprises DMSO (e. G., In large amounts). Serum albumin or other suitable protein is provided to stabilize the membrane during the freeze-thaw process and to maintain viability by reducing damage to the cells. The serum albumin may be human serum albumin or bovine serum albumin.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may further comprise a physiological buffer or saline, for example, phosphate buffered saline.

일 실시형태에서, 동결보존은 나이트로셀룰로스 종이 상에 태반막을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cryopreservation comprises placing placental membranes on nitrocellulose paper.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막은 동결보존 전에 복수의 부문으로 절단된다. 선택적으로, 부문은 약 2℃ 내지 약 8℃에서 태반막을 배치시키기 전에 나이트로셀룰로스 종이 상에 배치된다.In one embodiment, placental membranes are cut into multiple sections prior to cryopreservation. Optionally, the section is placed on nitrocellulose paper prior to placing the placental membrane at about 2 [deg.] C to about 8 [deg.] C.

사용 방법How to use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태반 생성물, 및 특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동결보존된 막(예를 들어, 양막, 융모막 및/또는 융모양막)은 다수의 유리한 치료적 활성 및 효과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생존 세포, 치료 인자 및 세포외 기질의 양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서, 막은 다수의 치료 인자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동일 또는 유사한 치료적 이점을 제공하는, 치료 인자, 생존 세포 및 세포외 기질의 양을 제공하기 위해 세포를 촉진시킬 수 있는 환경에 적용되고 제공될 수 있다.As discussed above, placental products, and in particular the cryopreserved membranes described herein (e. G., Amniotic membrane, chorionic membrane and / or villous amniotic membrane), ar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a number of beneficial therapeutic activities and effects, And the amount of extracellular matrix. In the methods disclosed herein, the membrane is provided with an environment capable of promoting the cell to provide an amount of therapeutic agent, survival cell and extracellular matrix, which not only provides a plurality of therapeutic factors but also provides the same or similar therapeutic advantages And can be applied and provided.

따라서, 일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상처 부위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투여 시, 막은 하기 중 하나 이상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Accordingly, in one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a wound in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wound site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as described herein, wherein upon administration, the membrane comprises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promote one or more of:

(i)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i) a de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i)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ii)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iii) 반응성 산소종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iii) reduction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v)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iv)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 antioxidant;

(v) 프로테아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v) reduc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vi) 세포 증식의 증가;(vi)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vii) 신생혈관생성의 증가; 및/또는(vii) increased angiogenesis; And / or

(viii) 세포 이동의 증가.(viii) Increased cell migration.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양상 및 실시형태에 따라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처 치유를 가속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여하는 단계는 초기 투여하는 단계 후 12주까지 상처 봉합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여하는 단계는 초기 투여하는 단계 후 5 내지 6주까지 상처 봉합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여하는 단계는 초기 투여하는 단계 후 28일까지 50% 이상만큼 상처 크기의 감소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실시형태에서, 투여하는 단계는 표준 상처 치료에 비해 적어도 약 44%만큼 상처 봉합률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accelerating wound healing comprising administering a membrane according to any of the aspects and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some embodiments,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promote wound closure for up to 12 week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In some embodiments,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promote wound closure for 5 to 6 week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step. In some embodiments,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promote a reduction in wound size by 50% or more by 28 day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step. In an embodiment,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improve wound closure rate by at least about 44% as compared to standard wound treatment.

표준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를 위한 표준 관리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막 또는 생성물을 혼입하지 않는 임의의 치료를 지칭하고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표준 상처 치료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드레싱의 적용(예를 들어, 거즈, 붕대, 장벽 또는 검출 가능하지 않은 또는 소수의 생존 세포를 함유하는 생체공학처리된 막), 괴사 조직 제거, 항생제, 살브(salve), 연고 등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표준 상처 치료는 상처 드레싱 또는 붕대 및 오프로딩 장치와 함께 괴사 조직 제거를 포함할 수 있다..Standard care for standard wound healing or wound treatment may refer to and include any treatment that does not incorporate a membrane or product as described herein. Suitable standard wound treatment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pplication of dressings (e.g., gauze, bandages, barriers or bimetallically treated membranes containing undetectable or a few viable cells), necrosis, , Salve, ointment, and the like, and any combinations thereof. Standard wound treatments may include necrotic tissue removal with wound dressing or bandages and offloading devices.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상처 치유 치료 전에 난치성인 상처에 대해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양상 및 실시형태에 따라 상처 부위에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여하는 단계는 초기 투여하는 단계 후 12주까지 상처 봉합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여하는 단계는 초기 투여하는 단계 후 5 내지 6주까지 상처 봉합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여하는 단계는 초기 투여하는 단계 후 28일까지 50% 이상만큼 상처 크기의 감소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a subject for a wound that is refractory prior to a wound healing treatment, the method comprising administering a membrane to a wound site in accordance with any of the aspects and embodiments herein do. In some embodiments,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promote wound closure for up to 12 week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In some embodiments,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promote wound closure for 5 to 6 week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step. In some embodiments,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promote a reduction in wound size by 50% or more by 28 day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step.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상처부위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투여하는 단계는 만성 상처의 치유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치료 세포,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a chronic wound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wound site as disclosed herein, wherein the administering comprises administering to the surviving therapeutic cell an amount effective to promote healing of chronic wounds , An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상처 치료, 가속화된 상처 치료, 및/또는 만성 상처 치료에 관한 상기 양상의 실시형태에서, 상처는 열상, 찰과상, 화상, 창상, 구멍, 발사체에 의해 야기되는 상처, 표피 상처, 피부 상처, 만성 상처, 급성 상처, 외부 상처, 내부 상처, 선천성 상처, 궤양, 욕창, 당뇨성 궤양, 수도상처, 수술 절차 동안 또는 수술 절차에 부가하여 야기된 상처, 정맥 피부 궤양, 및 무혈관성 괴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above aspects relating to wound healing, accelerated wound healing, and / or chronic wound healing, the wound may include a wound, a scar, a burn, a wound, a wound caused by a projectile, a skin wound, a skin w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ute wound, an external wound, an internal wound, a congenital wound, an ulcer, a pressure ulcer, a diabetic ulcer, a water wound, a wound caused by or in addition to a surgical procedure, a vein skin ulcer, and an avascular necrosis do.

상기 상처 치유 방법에 관한 상기 양상의 실시형태에서, 막은: (i)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ii)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 (iii) 반응성 산소종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iv)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 (v) 프로테아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vi) 세포 증식의 증가; (vii) 신생혈관생성의 증가; 및/또는 (viii) 세포 이동의 증가 중 하나 이상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above aspects of the wound healing method, the membrane comprises: (i) a reduction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i)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iii) reduction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v)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 antioxidant; (v) reduc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vi)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vii) increased angiogenesis; And / or (viii) an increase in cell migration,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대상체에게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염증성 안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투여는 염증성 안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치료 세포,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 본 양상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피화를 촉진시키고/시키거나, 통증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일반적으로 눈 조직의 염증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될 수 있는 임의의 기법을 이용하여 막의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막은 수술은 수술 인레이(inlay) 또는 이식편 기법을 통해, 온레이 또는 패치 기법을 통해 또는 인레이와 온레이 기법의 병용을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방법은 눈 수술(예를 들어, 광회절 각막 절제술(PRK)), 눈 외상(예를 들어, 열상, 화상 또는 찰과상), 또는 안 조직에서 염증의 양을 초래할 수 있는 염증 또는 치료를 특징으로 하는 안 질환과 관련될 수 있다. 본 방법에 의해 포함되는 "염증성 안질환"을 포함하는 적응증의 비제한적 예는 각막 또는 결막 표면(들)의 일반적 수복/재구성, 예를 들어, 지속적 상피 결함, 각막 궤양; 각막 이식; 데스메막 탈출증; 각막 천공; 상피 또는 상피하부 병변 또는 종양의 절개 후 결함(결막 종양, 결막 상피내 종양, 상피하 병변, 대상 각막병증, 흉터, 눈꺼풀의 가장자리와 평행한 결막 주름); 급성 화학적 화상; 급성 각막염; 통증성 물집각막병증; 부분적 또는 완전한 윤부 줄기세포 결핍증(줄기 세포 이식이 있음); 급성 스티븐슨 존슨 증후군; 검구유착; 뇌궁 재건; 무안구증; 여과포복원술; 공막연화증; 및 익상편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문헌[Meller, D., et al., Dtsch. Arztebl. Int., (2011); 108(14):243-248] 참조).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an inflammatory eye disease in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membrane as disclosed herein, wherein administration comprises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surviving therapeutic cell , An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embodiment of this aspect, the method includes administration of the membrane using any technique that may be associated with promoting and / or reducing pain, and / or generally reducing inflammation of the eye tissue . For example, the membrane can be surgically administered via a surgical inlay or graft technique, via an onlay or patch technique, or through a combination of an inlay and an onlay technique. In general, the method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or healing which may result in eye surgery (e.g., photorefractive keratectomy (PRK)), eye trauma (e.g. lacerations, burns or abrasions) &Lt; / RTI &gt; Non-limiting examples of indications that include "inflammatory eye diseases &quot;, which are encompassed by the present methods include general restoration / reconstitution of the corneal or conjunctival surface (s), such as persistent epithelial defects, corneal ulcers; Corneal transplantation; Descemet's membrane prolapse; Corneal perforation; Defects after epithelial or subepithelial lesion or tumor incision (conjunctival tumor, conjunctival epithelial tumor, subepithelial lesion, target keratopathy, scar, conjunctival fold parallel to the edge of the eyelid); Acute chemical burn; Acute keratitis; Painful blister keratopathy; Partial or complete limbal stem cell deficiency (with stem cell transplantation); Acute Stevenson-Johnson syndrome; Penile adhesion; Reconstruction of the internal organs; Anorexia nervosa; Filtration repair; Scleroderma; And pterygia (see, for example, Meller, D., et al., Dtsch. Arztebl. Int., (2011); 108 (14): 243-248,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대상체에게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조직 수복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되, 투여는 조직 수복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치료 세포,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 본 양상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조직 이식편 절차, 힘줄 수술, 인대 수술, 골 수술 및 척수 수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술 절차와 병용하여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직은 인간 조직이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인간 조직은 연골, 피부, 인대, 힘줄 또는 뼈이다. 이 양상 및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막은 조직 재생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promoting tissue repair and / or tissue regeneration in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a membrane as disclosed herein to a subject, wherein administration comprises administering a tissue repair and / Cell, an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stimulate the immune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of this aspect, the method is used in conjunction with a surgical procedu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issue graft procedure, tendon surgery, ligament surgery, bone surgery, and spinal surgery. In some embodiments, the tissue is a human tissue. In a further embodiment, the human tissue is cartilage, skin, ligament, tendon or bone. In this and various embodiments, the membrane can stimulate tissue regeneration directly or indirectly.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상처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상기 투여는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 실시형태에서, 전염증 사이토카인은 TNF-α 및 IL-1α,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항염증 사이토카인은 IL-10 또는 PGE2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modulating an inflammatory response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wound a membrane as disclosed herein, wherein the administration reduces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increas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In an embodiment,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is selected from TNF-a and IL-l [alpha], or a combination thereof. In one embodiment,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may be selected from IL-10 or PGE2 or a combination thereof.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상처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테아제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투여는 프로테아제 활성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프로테아제 저해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 실시형태에서, 프로테아제는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제(MMP) 및 엘라스타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테아제 저해제는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제(TIMP)의 조직 저해제를 포함한다.In this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modulating protease activity, comprising administering a membrane as described herein to a wound, wherein the administration comprises reducing the protease activity and / or reduc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inhibitor Cell, an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increase the amount of the compound of the invention. In an embodiment, the protease can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ubstrate metalloproteinase (MMP) and an elastase, or any combination thereof. In some embodiments, the at least one protease inhibitor comprises a tissue inhibitor of a substrate metalloproteinase (TIMP).

추가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상처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응성 산소종(ROS)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되, 투여는 ROS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막에 의해 제공되는 항산화제 능력은 약 250mM까지 아스코르브산의 용액과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막은 산화제-유도 세포자멸사로부터 세포를 구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막은 산화제에 노출되고/되거나 산화적 손상을 겪은 후에 세포가 세포자멸사를 겪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예방할 수 있다. 일부 양상에서, 생성물은 적어도 약 50%,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60%,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70%,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80%,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90% 만큼 산화제 유도 세포자멸사를 겪는 세포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 further aspect,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reduc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omprising administering a membrane as described herein to a wound, wherein administration comprises administering an amount of ROS and /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reduce the activity and / or increas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antioxidant. In some embodiments, the antioxidant capacity provided by the membrane may be equivalent to a solution of ascorbic acid to about 250 mM. In some embodiments, the membrane can obtain cells from oxidant-induced apoptosis. In some embodiments, the membrane may reduce or prevent the cell from undergoing apoptosis after exposure to oxidants and / or after undergoing oxidative damage. In some aspects, the product is a cell that undergoes oxidant induced apoptosis by at least about 50%, alternatively at least about 60%, alternatively at least about 70%, alternatively at least about 80%, alternatively at least about 90% Can be reduced.

다른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상처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생혈관생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되, 투여는 신생혈관생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막은 혈관 표피 성장 인자(VEGF) 또는 표피 성장 인자(EGF)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막은 혈관 형성을 촉진시킨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increasing angiogenesis, comprising administering a membrane as described herein to a wound, wherein the administration is effected in an amount effective to increase neovascularization,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some embodiments, the membrane provides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vascular epidermal growth factor (VEGF) or epidermal growth factor (EGF) or combinations thereof. In some embodiments, the membrane promotes angiogenesis.

일부 실시형태에서, 막은 혈관 형성을 촉진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막은 조직 내에서 봉합된 관 또는 혈관의 형성을 촉진 및/또는 향상시킬 수 있다. 시험관내 막은 HUVEC에 의한 봉합 관의 형성을 촉진시킨다.In some embodiments, the membrane promotes angiogenesis. In some embodiments, the membrane may facilitate and / or improve the formation of a sutured tube or blood vessel within the tissue. The in vitro membrane facilitates the formation of a suture tube by HUVEC.

다른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상처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이동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되, 투여는 세포 이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막은 내피세포, 섬유아세포 및 상피세포,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포의 세포 이동을 유도한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increasing cell migra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a membrane as described herein to a wound, wherein the administration comprises administering to the wound a cell, an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some embodiments, the membrane induces cell migration of cel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ndothelial cells, fibroblasts and epithelial cells, and combinations thereof.

또 다른 양상에서, 개시내용은 상처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되, 투여는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increasing cell prolifera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wound a membrane as described herein, wherein the administration is effected in an amount effective to increase cell proliferation, / RTI &gt;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추가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대상체에게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흉터 또는 구축 형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되, 투여는 흉터 또는 구축 형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치료 세포,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한다. 본 방법의 실시형태에서, 막은 흉터 형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IFN-2α 및/또는 TGF-β3 의 양 또는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 fur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preventing or reducing scarring or build-up in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film as described herein, wherein the administration is to prevent or reduce scarring or build-up An effective amount of a survival therapeutic cell, an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embodiment of the method, the membrane may increase the amount or activity of IFN-2 alpha and / or TGF- beta 3 in an amount effective to prevent or reduce scar formation.

염증성 반응을 조절하며, 프로테아제 활성을 조절하고, 반응성 산소종의 양을 감소시키며, 항산화제의 양을 증가시키고, 신생혈관생성을 증가/촉진시키며, 세포 이동을 증가시키고,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흉터 또는 구축 형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임의의 상기 양상에서, 막의 투여는 상기 방법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자극 또는 유도할 수 있다.Modulate the inflammatory response, modulate protease activity, decrease the amount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crease the amount of antioxidants, increase / promote neovascularization, increase cell migration, increase cell proliferation Or scar or build-up formation, the administration of the membrane may stimulate or induce the method directly or indirectly.

본 기술의 태반 생성물은 임의의 조직 손상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치료방법은, 예를 들어,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본 기술의 태반 생성물을 투여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The placental product of the present technology can be used to treat any tissue injury. The therapeutic method can be provided, for example, by administering the placenta product of the present technique to a subject in need of treatment.

본 기술의 전형적인 투여 방법은 국소 투여이다. 본 기술의 투여하는 단계는 접근이 수술적 절차에 의해 획득되는 내부 조직에 대한 투여를 선택적으로 수반할 수 있다.A typical method of administration of the technology is topical administration. The administering step of the technique may optionally involve the administration of an access to an internal tissue obtained by a surgical procedure.

태반 생성물은 자가로, 동종이계로 또는 이종으로 투여될 수 있다.The placental product may be administered autologously, allogeneically or heterologously.

일 실시형태에서, 본 태반 생성물은 대상체에게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투여된다. 선택적으로, 상처는 열상, 찰과상, 열적 화상 또는 화학적 화상, 창상, 구멍 또는 발사체에 의해 야기되는 상처이다. 선택적으로, 상처는 표피 상처, 피부 상처, 만성 상처, 급성 상처, 외부 상처, 내부 상처, 선천성 상처, 궤양 또는 욕창이다. 이러한 상처는 우연적 또는 고의적, 예를 들어, 수술 절차 동안 또는 수술 절차에 부속하여 야기되는 상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처는 투여 전에 수술에 의해 봉합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 product is administered to a subject to treat a wound. Optionally, the wound is a laceration, abrasion, thermal burn or chemical burn, wound, hole or wound caused by a projectile. Optionally, the wound is a cutaneous wound, a skin wound, a chronic wound, an acute wound, an external wound, an internal wound, a congenital wound, an ulcer or a bedsore. Such wounds may be accidental or intentional, for example, wounds caused during or during surgical procedures. Optionally, the wound is sutured by surgery prior to administration.

일 실시형태에서, 본 태반 생성물은 화상을 치료하기 위해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선택적으로, 화상은 1도 화상, 2도 화상(부분층 화상), 3도 화상(전체층 화상), 화상 상처의 감염, 절개 및 비절개 화상 상처의 감염, 이미 이식 또는 치유된 상처로부터의 상피 손실, 또는 화상 상처 농가진이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 product is administered to a subject to treat a burn. Alternatively, the image may be an image of a first degree image, a second degree image (partial layer image), a third degree image (full layer image), an infection of a burn wound, an infection of an incision and a non-incision burn wound, Loss, or burn scratches.

일 실시형태에서, 본 태반 생성물은 대상체에게 궤양, 예를 들어, 당뇨성 궤양(예를 들어, 족부 궤양)을 치료하기 위해 투여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 product is administered to a subject to treat an ulcer, e.g., a diabetic ulcer (e.g., a foot ulcer).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대상체의 피부 위에, 예를 들어 각질층 상에, 상처 부위에 태반 생성물을 직접적으로 배치시킴으로써 투여되고, 따라서 상처는,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뒤덮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태반 생성물은 이식물로서, 예를 들어, 피하 이식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 product is administered by placing a placental product directly on the skin of the subject, for example on the stratum corneum, at the wound site, and thus the wound may be covered, for example, with an adhesive tape .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placenta product may be administered as an implant, for example, as a subcutaneous implant.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주름 또는 노화의 다른 특징을 감소시키기 위해 표피에 투여된다. 이러한 치료는 또한 소위 미용 수술(예를 들어, 융비술, 주름살 절제 등)과 유용하게 병용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 product is administered to the epidermis to reduce wrinkles or other characteristics of aging. Such treatment is also usefully combined with so-called cosmetic surgery (e.g., laparoscopy, wrinkle resection, etc.).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진피 제거 절차 또는 진피 마모 절차(예를 들어, 레이저 제거, 열 제거, 전기적 제거, 심부 진피 제거, 진피하 제거, 부분적 제거 및 미세진피 마모)와 관련된 치유를 가속화하기 위해 표피에 투여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is used to accelerate healing associated with a dermis removal procedure or a dermis abrasion procedure (e.g., laser ablation, thermal ablation, electrical ablation, deep dermis removal, subepithelialization, To the epidermis.

본 기술의 태반 생성물로 치료될 수 있는 다른 병리는 외상성 상처(예를 들어, 민간 및 군대 상처), 수술적 흉터 및 상처, 척추 고정술, 척수 손상, 무혈관성 괴사, 재건 수술, 제거 및 허혈을 포함한다.Other pathologies that can be treated with placental products of the present technology include trauma wounds (e.g., civilian and military wounds), surgical scars and wounds, spinal fixation, spinal cord injury, avascular necrosis, reconstructive surgery, do.

일 실시형태에서, 본 기술의 태반 생성물은 조직 이식편 절차에서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태반 생성물은 이식편의 일부에 적용되고, 이어서, 생물학적 기재에 (예를 들어, 기재에 대한 치유 및/또는 부착을 촉진시키기 위해) 부착된다. 비제한적 예로서, 조직, 예컨대 피부, 연골, 인대, 힘줄, 뼈막, 연골막, 활막, 근막, 장간막 및 건이 조직 이식편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 product of the technique is used in a tissue graft procedure. Alternatively, the placental product i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graft and then attached to the biological substrate (e.g., to promote healing and / or adhesion to the substrate). As a non-limiting example, tissues such as skin, cartilage, ligament, tendon, osteoclast, cartilage, synovial membrane, fascia, mesentery and tendon can be used as tissue grafts.

일 실시형태에서, 태반 생성물은 힘줄 또는 인대의 치유를 촉진시키기 위해 힘줄 또는 인대에서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태반 생성물은 뼈에 부착된 힘줄 또는 인대의 일부에 적용된다. 수술은, 예를 들어, 무릎 수술, 어깨, 다리 수술, 팔 수술, 팔꿈치 수술, 손가락 수술, 손 수술, 손목 수술, 발가락 수술, 족부 수술, 발목 수술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힘줄 또는 인대 수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태반 생성물은 힘줄 또는 인대의 뼈에 대한 고정을 촉진시키기 위한 이식 또는 재건 절차에서 힘줄 또는 인대에 적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placental products are used in tendons or ligaments to promote healing of tendons or ligaments. Alternatively, the placental product i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tendon or ligament attached to the bone. Surgery may be any tendon or ligament surgery including, for example, knee surgery, shoulder, leg surgery, arm surgery, elbow surgery, finger surgery, hand surgery, wrist surgery, toe surgery, foot surgery, have. For example, placental products may be applied to the tendons or ligaments in implantation or reconstruction procedures to promote fixation of the tendons or ligaments to the bones.

본 발명자들의 통찰 전체적으로, 놀랍게도 본 기술의 태반 생성물이 힘줄 및 인대 수술을 위한 우수한 치료(예를 들어, 치유, 치유 시간 및/또는 치유 강도)를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힘줄 및 인대 수술은 힘줄 또는 인대의 뼈에 대한 고정을 수반할 수 있다. 이론에 의해 구속되는 일 없이, 본 발명자들은 본 태반 생성물에서 MSC의 골형성 및/또는 연골원 가능성이 힘줄 또는 인대의 치유 과정 및 치유 강도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믿는다. 본 발명자들은 본 태반 생성물이 뼈막 기반 치료법에 대한 대안의 또는 부가적인 치료를 제공한다는 것을 믿는다. 예를 들어, 유용한 뼈막 기반 치료는 문헌[Chen et al. ("Enveloping the tendon graft with periosteum to enhance tendon-bone healing in a bone tunnel: A biomechanical and histologic study in rabbits"; Arthroscopy. 2003 Mar;19(3):290-6), Chen et al. ("Enveloping of periosteum on the hamstring tendon graft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rthroscopy. 2002 May-Jun;18(5):27E), Chang et al. ("Rotator cuff repair with periosteum for enhancing tendon-bone healing: a biomechanical and histological study in rabbits"; Knee Surgery, Sports Traumatology, Arthroscopy Volume 17, Number 12, 1447-1453)]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참고로 포함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ors, it has surprisingly been found that placental products of the present technology provide excellent treatment (e.g., healing, healing time and / or healing strength) for tendon and ligament surgery. Tendon and ligament surgery may entail fixation to tendon or ligament bones. Without being bound by theory, the inventors believe that the osteogenesis and / or cartilage potential of MSC in the present placenta product promotes healing process and healing strength of the tendon or ligament. The present inventors believe that the present placental product provides an alternative or additional treatment for a peletal-based treatment. For example, useful osteoblast-based therapies are described in Chen et al. 2003; 19 (3): 290-6). Chen et al. (2003) reported that the tendon-bone healing in a bone tunnel was superior to that of the tendon graft with periosteum. ("Enveloping of periosteum on the hamstring tendon graft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rthroscopy 2002 May-Jun; 18 (5): 27E), Chang et al. (&Quot; Rotator cuff repair with periosteum for enhancing tendon-bone healing: a biomechanical and histological study in rabbits ", Knee Surgery, Sports Traumatology, Arthroscopy Volume 17, Number 12, 1447-1453) .

힘줄 또는 인대 수술 방법의 비제한적 예로서, 힘줄은 태반막에 봉합되고/되거나 감싸지거나 또는 봉입되고, 힘줄은 뼈에 부착된다. 선택적으로, 힘줄은 뼈에 부착되기 전에 뼈 터널 내로 배치된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a tendon or ligament surgical procedure, tendons are sutured and / or wrapped or encased in placental membranes, and tendons attached to the bones. Optionally, the tendon is placed into the bone tunnel prior to attachment to the bone.

일 실시형태에서, 힘줄 또는 인대 수술은 이식편 절차이되, 태반 생성물은 이식편에 적용된다. 선택적으로, 이식편은 동종이식편, 이종이식편, 또는 자가 이식편이다.In one embodiment, tendon or ligament surgery is a graft procedure, and the placenta product is applied to the graft. Alternatively, the graft is a homograft, a xenograft, or a graft.

일 실시형태에서, 힘줄 또는 인대 수술은 찢어진 인대 또는 힘줄의 수복이되, 태반 생성물은 찢어진 인대 또는 힘줄에 적용된다.In one embodiment, tendon or ligament surgery is a repair of torn ligaments or tendons, and placental products are applied to torn ligaments or tendons.

태반 생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힘줄의 비제한적 예는 손가락폄근 힘줄, 햄스트링 힘줄, 이두박근 힘줄, 아킬레스건, 신근, 및 회전근개 힘줄을 포함한다.Non-limiting examples of tendons to which placental products may be applied include femoris tendon, hamstring tendon, biceps tendon, Achilles tendon, extensor, and rotator cuff tendon.

일 실시형태에서, 본 기술의 태반 생성물은 상처 부위에 태반 생성물을 적용함으로써 섬유증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l product of the present technique is used to reduce fibrosis by applying a placental product to the wound site.

일 실시형태에서, 본 기술의 태반 생성물은 항 접착 상처 장벽으로서 사용되되, 태반 생성물은 상처 부위에, 예를 들어, 섬유증(예를 들어, 수술후 섬유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용된다.In one embodiment, the placenta product of the present technique is used as an anti-adhesion wound barrier, wherein the placenta product is applied to the wound site to reduce, for example, fibrosis (e.g., post-surgical fibrosis).

태반 생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상처 부위의 비제한적 예는 수술로 유도되거나 또는 척추, 추궁절제술, 무릎, 어깨 또는 분만, 외상 관련 상처 또는 손상, 심혈관 절차를 수반하는 수술과 관련된 것을 포함하여, 신생혈관생성 자극, 뇌/신경학적 절차, 화상 및 상처 치유 및 안과적 절차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상처 부위는 척추의 수술과 관련되며, 태반 생성물의 기질측은 경막(예를 들어, 경막과 접하는 기질측)에 적용된다. 상처 부위 및/또는 방법의 선택을 포함하는 이러한 절차에 대한 방향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예를 들어, WO 2009/132186 및 미국 특허 제2010/0098743호에서 찾을 수 있다.Non-limiting examples of wound sites to which placental products may be applied include surgery induced or induced by neovascularization, including spinal, choledochotomy, knee, shoulder or delivery, trauma related injuries or injuries, Stimulation, brain / neurological procedures, burns and wound healing, and ophthalmic procedures. For example, optionally, the wound site is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vertebrae, and the substrate side of the placenta product is applied to the dura (e.g., the substrate side in contact with the dura). Directions for such procedures, including selection of wound sites and / or methods, can be found in, for example, WO 2009/132186 and US patent application no. 2010/0098743,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기술의 태반 생성물은 선택적으로 상처의 접착 또는 섬유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술후 섬유증은 모든 수술적 상처 치유의 자연적 결과이다. 예로서, 수술후 경막외 접착은 추궁절제술 수술 몇 개월 후에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지각과민의 재발을 야기하는 척수경막낭 및 신경근의 테터링, 견인 및 압박을 야기한다. 흉터 조직의 제거를 위한 반복된 수술은 흉터 조직에 의해 둘러싸이는 신경 구조를 동정하는 것의 어려움 때문에 불량한 결과 및 증가된 손상 위험과 관련된다. 따라서, 경험적 및 임상 연구는 경막 및 신경근에 대한 흉터 조직의 접착을 방지하는 것에 주로 중점을 두었다. 척추 접착은 척추 수술의 부전에서 주요 기여 인자로서 연루되었다. 섬유증 흉터 조직은 재발 통증 및 신체장애와 관련될 수 있는 신경근의 압박 및 테터링을 야기한다.The placental product of the present technique may optionally be used to reduce adhesion of the wound or fibrosis. Postoperative fibrosis is a natural consequence of all surgical wound healing. As an example, postoperative epidural adhesions result in tetraling, traction and compression of the spinal dural sac and neuromuscular muscles that cause recurrence of the sensory hypersensitivity typical of a few months after surgery. Repeated surgeries for removal of scar tissue are associated with poor outcomes and increased risk of injury due to the difficulty of identifying the nerve structures surrounded by scar tissue. Thus, empirical and clinical studies have focused primarily on preventing scar tissue adhesion to the dural and nerve roots. Spinal adhesion was implicated as a major contributing factor in the failure of spinal surgery. Fibrosis Scar tissue causes compression and tethering of the nerve roots,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recurrent pain and disability.

이론에 의해 구속되는 일 없이,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태반 생성물이 감소된 수의 면역 세포뿐만 아니라 증가된 수의 세포 인자(예를 들어, TGF-β3, HGF, VGF, EGF, HE, 하이알루론산 등)를 포함하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인시추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 교시된 태반 생성물이 상처의 접착 또는 섬유증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믿는다. 본 기술의 상처 드레싱 및 과정의 한 가지 이점은 수술 후 및 특히 등 수술 후 접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항-접착 장벽이 제공된다는 점이다.Without being bound by theory,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at least in part, that the placental product inhibits a reduced number of immune cells as well as an increased number of cellular factors (e.g., TGF-β3, HGF, VGF, EGF, HE, Etc.), it is believed that the placental product taught herein is useful for reducing adhesion or fibrosis of the wound. One advantage of the wound dressings and procedures of the present technology is that they provide anti-adhesion barriers that can be used to prevent adhesion after surgery and especially after back surgery.

앞 단락들에서, 단수의 사용은 구체적으로 표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단어는 달리 구체화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를 의미한다. 추가로, 본 기술의 양상이 대안의 목록과 관련하여 기재되는 경우, 상기 기술은 대안의 그리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의 목록의 임의의 개개 구성원 또는 하위 그룹을 포함한다.In the preceding paragraphs, the use of the singular may include a plurality, except where specifically indicated. As used herein, the word "one or more" means &quot; one or more &quot; In addition, where aspects of the present technology ar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 list of alternatives, the techniques include any individual member or subgroup of alternatives and a list of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공개된 특허출원을 포함하는 모든 특허 및 간행물의 개시내용은 각각의 특허 및 간행물이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참고로 포함되는 것과 동일한 정도로 그들의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The disclosures of all patents and publications, including those disclosed in the open patent application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o the same extent as if each patent and publication was specifically and individually indicated to be incorporated by reference.

본 기술의 범주는 상기 기재한 구체적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기술은 특히 기재되고 여전히 수반하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인 것 이외로 실행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technology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technology may be practiced other than as specifically described and sti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마찬가지로, 다음의 실시예는 본 기술을 더 완전히 예시하기 위해 제시한다. 그러나 그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넓은 범주의 기법으로 제한되는 것으로서 어떠한 방법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Likewise,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esented to more fully illustrate the technique. They should, however, not be interpreted in any way as being limited to the broad scope of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법 및 그의 이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는 본 기술의 구체적 실시형태를 기재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 구체적 실시예를 제공함으로써, 본 기술의 범주 및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현재 기재된 기술의 전체 범주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대상 및 임의의 변경, 변형 또는 해당 청구범위의 동등물을 포함한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and their advantages will be more readily appreciat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technology. By way of providing these specific embodiments, they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r the extent of the present techniqu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ntire scope of the presently described technology includes the subject matter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any alterations, variations or equivalents of such claims.

실시예Example

본 기술의 다른 특징 및 실시형태는 그의 의도된 범주를 제한하기보다는 본 기술의 예시를 위해 제공되는 다음의 실시예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Other feature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technology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examples, which are provided by way of illustration of the present technology, rather than limiting its intended scope.

제조 과정Manufacturing process

실시예 1 양막 생성물의 예시적인 제조 과정Example 1 Exemplary Manufacturing Process of Amniotic Membrane Product

일 실시형태에서, 및 본 명세서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은 분만 후 태반으로부터의 양막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또는 대안적으로, 다음의 실시예에서 "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이러한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and as discussed herein, this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of making a placental product (or, alternatively, the "membran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from placenta after parturition . One such method includes the following:

a. 태반 표면에 가까운 탯줄의 제거,a. Removal of umbilical cord close to the placenta surface,

b. 태반 스커트에 대한 양막의 둔적박리,b. Dull amniotic membrane detachment of placenta skirt,

c. 태반을 뒤집어서 양막을 완전히 제거,c. The placenta is inverted to completely remove the amniotic membrane,

d. PBS 중에서 양막을 린스하여 적혈구를 제거,d. The amniotic membrane was rinsed in PBS to remove red blood cells,

e. 양막을 11% ACD-A 용액으로 1회 린스하여 적혈구의 제거를 도움,e. The amniotic membrane was rinsed once with 11% ACD-A solution to help remove red blood cells,

f. 양막을 PBS로 린스하여 ACD-A 용액을 제거,f. The amniotic membrane was rinsed with PBS to remove the ACD-A solution,

g. PBS를 사용하여 양막으로부터 임의의 남아있는 혈액을 제거,g. Any remaining blood was removed from the amniotic membrane using PBS,

h. 양막의 상피 및 기질층의 부분이 아닌 임의의 다른 성분을 부드럽게 제거,h. Gently remove any other ingredients that are not part of the amniotic membrane epithelium and the substrate layer,

i. PBS 중에 양막을 넣고 한쪽으로 치워둠,i. Place the amniotic membrane in PBS and set aside,

j. 양막을 항생제 용액을 함유하는 보틀 내에 넣고, 37℃±2℃에서 24 내지 2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킴,j. The amniotic membrane is placed in a bottle containing the antibiotic solution and incubated at 37 ° C ± 2 ° C for 24-28 hours,

k. 인큐베이터로부터 보틀을 제거하고, 막을 PBS로 린스하여 항생제 용액을 제거함,k. The bottle is removed from the incubator, the membrane is rinsed with PBS to remove the antibiotic solution,

l. 강화된 나이트로셀룰로스 종이 상에 양막(상피측 올림)을 두고, 맞는 크기로 절단함, l. Amniotic membrane (epithelial side up) is placed on the reinforced nitrocellulose paper, cut to the right size,

m. FP-90 동결백 내에 넣고 열 밀봉시킴,m. Packed in an FP-90 frozen bag and heat-sealed,

n. 주사기를 통해 백에 50mL 동결보존 용액을 첨가하고, 주사기를 이용하여 백 내에 갖혀있는 임의의 공기를 제거함, n. A 50 mL cryopreservation solution was added to the bag through a syringe and the syringe was used to remove any air trapped in the bag,

o. FP-90 백 상의 용액 라인을 관 밀봉시킴, o. Tube sealing of the solution line of the FP-90 bag,

p. 백을 2차백 내로 넣고, 열 밀봉시킴,p. The bag was poured into a secondary bag, heat sealed,

q. 유닛을 패키징 카톤 내로 넣음,q. Placing the unit into a packaging carton,

r. 2 내지 8℃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냉장시키고, 스티로폼 용기 내 -80℃±5℃에서 냉동시킴.r. Refrigerate for 30 to 60 minutes at 2 to 8 캜 and freeze at -80 5 캜 in a styrofoam container.

실시예Example 2 융모막을 함유하는 태반 생성물의 예시적 제조방법 2 &lt; / RTI &gt; Preparation of Placenta Product Containing Chorionic Film

분만 후 태반으로부터 융모막 및 선택적으로 양막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을 제조하는 한 가지 방법:One way to produce placental products containing chorionic villi and optionally amniotic membrane from placenta after delivery:

a. 태반 표면에 가까운 탯줄의 제거,a. Removal of umbilical cord close to the placenta surface,

b. 태반 스커트에 대한 양막의 둔적박리,b. Dull amniotic membrane detachment of placenta skirt,

c. 태반을 뒤집어서 양막을 완전히 제거,c. The placenta is inverted to completely remove the amniotic membrane,

d. 태반 스커트 주위를 절단함으로써 융모막을 제거,d. Removing the chorion by cutting around the placenta skirt,

e. PBS 중에서 막을 둘 다 린스하여 적혈구를 제거,e. Both membranes were rinsed in PBS to remove red blood cells,

f. 막을 둘 다 11% ACD-A 용액으로 1회 린스하여 적혈구의 제거를 도움,f. Both membranes were rinsed once with 11% ACD-A solution to help remove red blood cells,

g. 막을 둘 다 PBS로 린스하여 ACD-A 용액을 제거,g. Both membranes were rinsed with PBS to remove the ACD-A solution,

h. 200ml 0.5% 디스파제용액 중에서 37℃±2℃로 30 내지 45분 동안 융모막을 처리함,h. Treating the chorions in 200 ml 0.5% dispase solution at 37 ° C ± 2 ° C for 30-45 minutes,

i. 디스파제 처리가 완전하게 될 때, 융모막을 PBS로 린스하여 디스파제 용액을 제거,i. When the dispase treatment is complete, the chorion is rinsed with PBS to remove the dispase solution,

j. 영양막층을 융모막으로부터 부드럽게 제거,j. Smoothly remove the trophoblast from the chorion,

k. 융모막을 항생제 용액을 함유하는 보틀 내에 넣고, 37℃±2℃에서 24 내지 2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킴,k. The chorion is placed in a bottle containing the antibiotic solution and incubated at 37 ° C ± 2 ° C for 24-28 hours,

l. 인큐베이터로부터 보틀을 제거하고, 융모막을 PBS로 린스하여 항생제 용액을 제거함,l. The bottle was removed from the incubator, the chorion was rinsed with PBS to remove the antibiotic solution,

m. 강화된 나이트로셀룰로스 종이 상에 융모막을 두고, 맞는 크기로 절단함, m. The chorion is placed on cellulose paper with reinforced nitrocellulose, cut to the right size,

n. 각각의 조각을 FP-90 동결백 내에 넣고 열 밀봉시킴,n. Each piece was placed in an FP-90 freeze bag and heat sealed,

o. 주사기를 통해 백에 50mL 동결보존 용액을 첨가하고, 주사기를 이용하여 백 내에 갖혀있는 임의의 공기를 제거함, o. A 50 mL cryopreservation solution was added to the bag through a syringe and the syringe was used to remove any air trapped in the bag,

p. FP-90 백 상의 용액 라인을 관 밀봉시킴, p. Tube sealing of the solution line of the FP-90 bag,

q. 백을 2차 백 내로 넣고, 열 밀봉시킴, q. The bag was put into a secondary bag, and heat-sealed,

r. 유닛을 패키징 카톤 내로 넣음, r. Placing the unit into a packaging carton,

s. 2 내지 8℃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냉장시킴, p. Refrigerate at 2-8 [deg.] C for 30-60 minutes,

t. 스티로폼 용기 내 -80℃±5℃에서 냉동시킴.t. Frozen in Styrofoam container at -80 ° C ± 5 ° C.

실시예 3 융모양막 생성물의 예시적인 제조방법Example 3: Exemplary preparation of villous amniotic membrane product

본 개시내용은 하기를 포함하는, 분만 후 태반으로부터의 양막 및 융모막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making a placental product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ic membrane from placenta postpartum, comprising:

a. 태반 표면에 가까운 탯줄의 제거,a. Removal of umbilical cord close to the placenta surface,

b. 태반 스커트에 대한 양막의 둔적박리,b. Dull amniotic membrane detachment of placenta skirt,

c. 태반을 뒤집음,c. Overturning the placenta,

d. 태반 스커트 주위를 절단함으로써 융모막 및 부착된 양막(융모양막)을 제거,d. Cutting around the placenta skirt removes the chorion and attached amniotic membrane (villous amniotic membrane)

e. PBS 중에서 막을 둘 다 린스하여 적혈구를 제거,e. Both membranes were rinsed in PBS to remove red blood cells,

f. 막을 둘 다 11% ACD-A 용액으로 1회 린스하여 적혈구의 제거를 도움,f. Both membranes were rinsed once with 11% ACD-A solution to help remove red blood cells,

g. 막을 둘 다 PBS로 린스하여 ACD-A 용액을 제거,g. Both membranes were rinsed with PBS to remove the ACD-A solution,

h. 막을 항생제 용액을 함유하는 보틀 내에 넣고, 37℃±2℃에서 24 내지 2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킴,h. The membrane is placed in a bottle containing the antibiotic solution and incubated at 37 ° C ± 2 ° C for 24-28 hours,

i. 인큐베이터로부터 보틀을 제거하고, PBS로 린스하여 항생제 용액을 제거함, i. The bottle is removed from the incubator and rinsed with PBS to remove the antibiotic solution,

j. 영양막층을 융모막으로부터 부드럽게 제거,j. Smoothly remove the trophoblast from the chorion,

k. 강화된 나이트로셀룰로스 종이 상에 융모양막을 두고, 맞는 크기로 절단함, k. The vitreous membrane is placed on cellulose paper with reinforced nitrocellulose, cut to the right size,

l. 각각의 조각을 FP-90 동결백 내에 넣고 열 밀봉시킴,l. Each piece was placed in an FP-90 freeze bag and heat sealed,

m. 주사기를 통해 백에 50mL 동결보존 용액을 첨가하고, 주사기를 이용하여 백 내에 갖혀있는 임의의 공기를 제거함, m. A 50 mL cryopreservation solution was added to the bag through a syringe and the syringe was used to remove any air trapped in the bag,

n. FP-90 백 상의 용액 라인을 관 밀봉시킴, n. Tube sealing of the solution line of the FP-90 bag,

o. 백을 2차 백 내로 넣고, 열 밀봉시킴, o. The bag was put into a secondary bag, and heat-sealed,

p. 유닛을 패키징 카톤 내로 넣음, p. Placing the unit into a packaging carton,

q. 2 내지 8℃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냉장시킴, q. Refrigerate at 2-8 [deg.] C for 30-60 minutes,

r. 스티로폼 용기 내 -80℃±5℃에서 냉동시킴.r. Frozen in Styrofoam container at -80 ° C ± 5 ° C.

실시예Example 4 예시적인 태반 생성물 제조방법 4 Example of Placental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현재 개시된 제조절차에 따른 양막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 막의 제조를 위한 한 가지 방법에 관한 추가의 상세한 설명을 이하에 제공한다.A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of one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placental product membranes containing amniotic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ly disclosed manufacturing process is provided below.

태반을 생물학적 안전 캐비닛 내에서 처리하였다. 우선 탯줄을 제거하고 나서, 양막을 둔적박리를 이용하여 밑에 있는 융모막으로부터 박리시켰다. 막을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뉴욕주 그랜드 아일랜드에 소재한 깁코 인비트로젠(Gibco Invitrogen))로 린스하여 덩어리 혈병 및 임의의 과량의 혈액 세포를 제거한다. 이어서, 막을 식염수(일리노이주 디어필드에 소재한 박터 헬스케어 코포레이션(Baxter Healthcare Corp)) 중의 11% 항응고제 시트르산염 덱스트로스 용액(USP) 화학식 A(ACD-A)(일리노이주 디어필드에 소재한 박터 헬스케어 코포레이션)으로 세척하여 남아있는 혈액 세포를 제거하였다.The placenta was processed in a biological safety cabinet. First, the umbilical cord was removed, and the amniotic membrane was detached from the underlying chorion using blunt dissection. The membranes are rinsed with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Gibco Invitrogen, Grand Island, NY) to remove lumps and any excess blood cells. The membrane was then treated with 11% anticoagulant citrate dextrose solution (USP) formulation A (ACD-A) (Bacterium Healthcare, Deerfield, IL) in saline (Baxter Healthcare Corp, Deerfield, Ill. &Lt; / RTI &gt; corporation) to remove the remaining blood cells.

양막의 기질층을 상피 및 기질층의 부분이 아닌 임의의 다른 성분을 부드럽게 긁어냄으로써 세정하였다. The amniotic membrane substrate layer was cleaned by gently scraping any other components that were not part of the epithelium and substrate layers.

이어서, 양막을 37℃±2℃에서 24 내지 28시간 동안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MEM)에서 황산 겐타마이신(50㎍/mL)(일리노이주 샴버그에 소재한 아브락시스 파마슈티칼 프로덕츠(Abraxis Pharmaceutical Products)), 반코마이신 HCl(50㎍/mL)(일리노이주 레이크 포레스트에 소재한 호스피라), 및 암포테리신 B(2.5㎍/mL)(미조리주 세인트루이스에 소재한 시그마알드리치(Sigma Aldrich))로 이루어진 항생제 용액 250mL를 지니는 통기 플라스그에서 각각 소독시켰다. 인큐베이션 기간 후에, 막을 PBS로 세척하여 임의의 잔여 항생제 용액을 제거하였다.Amniotic membrane was then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at 37 ° C ± 2 ° C for 24-28 hours with gentamicin sulfate (50 μg / ml) (Abraxis Pharmaceuticals, Shamburg, Ill. (Sigma Aldrich, St. Louis, MO)), vancomycin HCl (50 μg / mL) (Hospira, Lake Forest, Ill.) And amphotericin B 0.0 &gt; mL &lt; / RTI &gt; of the solution. After the incubation period, the membrane was washed with PBS to remove any residual antibiotic solution.

막을 옵티트란(Optitran) BA-S 85 강화 나이트로셀룰로스 종이(독일 대셀에 소재한 와트만(Whatman)) 상에 고정시키고, FP-90 동결백(노스캐롤라이나주 윈스턴세이럼에 소재한 카터 메디컬 리미티드(Charter Medical Ltd.)) 내로 패키징하기 전에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였다. 양막의 기질측을 나이트로셀룰로스 종이에 대해 고정시켰다. 일단 막 단위를 FP-90 동결백에 넣고 동결백을 열 밀봉시키면, 10% 다이메틸 설폭사이드(DMSO)(아일랜드 갈웨이에 소재한 바이오니케 테오 인베린 코포레이션(Bioniche Teo. Inverin Co.)) 및 5% 인간 혈청 알부민(HSA)(캘리포니아주 웨스트 레이크 빌리지에 소재한 박터)를 함유하는 50mL의 동결보존 용액을 중심 튜빙 라인을 통해 첨가하였다. 임의의 과량의 공기를 제거하고 나서, 후속적으로 튜빙 라인을 밀봉시켰다.The membrane was fixed on an Optitran BA-S 85 fortified nitrocellulose paper (Whatman, Germany Dassel) and packed in a FP-90 freeze bag (Charter, Inc., Winston-Salem, North Carolina) Medical Ltd.)). The substrate side of amniotic membrane was fixed against nitrocellulose paper. Once the membrane unit was placed in an FP-90 frozen bag and the frozen bag was heat-sealed, 10% dimethyl sulfoxide (DMSO) (Bioniche Teo Inverin Co., Galway, Ireland) and 5 50 mL of cryopreserved solution containing 10% human serum albumin (HSA) (Bauter, Westlake Village, CA) was added via the center tubing line. After any excess air was removed, the tubing line was subsequently sealed.

FP-90 동결백을 만거 백(10인치 x 6인치)(펜실베니아 뉴브리튼에 소재한 만거 인더스트리즈(Mangar Industries)) 내로 넣고 나서, 이어서, 열 밀봉시켰다. 만거 백을 패키징 카톤 내에 넣었다(10.5 인치 x 6.5 인치 x 0.6 인치)(뉴욕주 로체스터에 소재한 다이아몬드 패키징(Diamond Packaging)). 스티로폼 용기 내 -80℃±5℃에서 냉동시키기 전에 모든 카톤을 2 내지 8℃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냉장시켰다.The FP-90 frozen bag was placed into a manger bag (10 inches by 6 inches) (Mangar Industries, New Britain, Pa.) And then heat sealed. The mugger bag was placed in a packaging carton (10.5 inches x 6.5 inches x 0.6 inches) (Diamond Packaging, Rochester, NY). All cartons were refrigerated at 2-8 캜 for 30-60 minutes before freezing at -80 5 캜 in Styrofoam containers.

실시예 4.1 나이트로셀룰로스 종이 상에 고정된 막에 대한 해동 시간.Example 4.1 Thawing time for membranes fixed on nitrocellulose paper.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동결보존된 막은 다른 동결보존된 생성물보다 더 빠르게 해동되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빠른 해동 프로파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막이 요구 시 용도 및 적용을 위해 효율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해동 프로토콜을 이하에 논의한다.The cryopreserved membranes described herein can exhibit properties that thaw faster than other cryopreserved products. Fast thawing profiles enable the films described herein to be used efficiently and effectively for demanding applications and applications. One thawing protocol is discussed below.

초저온 냉동고 (-80℃)로부터 꺼낸 나이트로셀룰로스 종이 상에서 패키징한 2로트의 태반 조직으로부터 2개의 샘플을 취하였다.Two samples were taken from two lots of placenta tissue packaged on nitrocellulose paper taken from a cryogenic freezer (-80 占 폚).

실온의 물로 채운 해동 수반 내에 태반 조직을 함유하는 동결백을 넣었다.A frozen bag containing placenta tissue was placed in the thawing chamber filled with water at room temperature.

관찰가능한 얼음 결정이 남아있지 않을 때 결정한 해동 시간을 기록하였다.The thawing time determined when no observable ice crystals remained was recorded.

결과 result

50mL 동결보존 용액을 이용하여 동결보존된 태반막 생성물에 대한 해동 시간.Thawing time for placental membrane products frozen with 50 mL cryopreservation solution. 공여자Donor 해동시간(분)Thawing time (min) AA 2424 BB 2828 평균Average 2626

해동이 완전하게 되는 동안, 모든 얼음 결정은 사라져야 한다. 다르게는, 얼음의 중량은 막이 찢어지게 하거나 또는 막이 나이트로셀룰로스 종이를 떨어지게 하여 해동이 완료된 때 자기 접힘을 야기할 수 있다. 결과를 상기 표 1에 나타내며, 평균 해동 시건은 26분이고,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동결보존된 막에 대한 "요구 시" 용도 및 적용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입증한다.While thawing is complete, all ice crystals must disappear. Alternatively, the weight of the ice may cause the membrane to tear or cause the membrane to fall off the cellulose paper to cause self-folding when thawing is complet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above and demonstrate that the average thawing time is 26 minutes and thus facilitates "on demand" application and application to the cryopreserved membranes described herein.

실시예 5. 융모양막 생성물의 예시적인 제조방법Example 5. Exemplary preparation of chorioamnion product

현재 개시된 제조 절차에 따라 양막 생성물 및 융모막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의 한 가지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One method of preparing placental products, including amniotic membrane products and chorion, according to the presently disclosed manufacturing procedure is as follows:

태반을 생물학적 안전 캐비닛 내에서 처리하였다. 우선 탯줄을 제거하고 나서, 양막에 부착된 융모막을 태반 스커트로부터 절단하였다. 막을 둘 다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뉴욕주 그랜드 아일랜드에 소재한 깁코 인비트로젠(Gibco Invitrogen))로 린스하여 덩어리 혈병 및 임의의 과량의 혈액 세포를 제거한다. 이어서, 막을 식염수(일리노이주 디어필드에 소재한 박터 헬스케어 코포레이션(Baxter Healthcare Corp)) 중의 11% 항응고제 시트르산염 덱스트로스 용액(USP) 화학식 A(ACD-A)(일리노이주 디어필드에 소재한 박터 헬스케어 코포레이션)으로 세척하여 남아있는 혈액 세포를 제거하였다.The placenta was processed in a biological safety cabinet. First, the umbilical cord was removed, and the chorion attached to the amniotic membrane was cut from the placenta skirt. Both membranes are rinsed with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Gibco Invitrogen, Grand Island, NY) to remove lumps and any excess blood cells. The membrane was then treated with 11% anticoagulant citrate dextrose solution (USP) formulation A (ACD-A) (Bacterium Healthcare, Deerfield, IL) in saline (Baxter Healthcare Corp, Deerfield, Ill. &Lt; / RTI &gt; corporation) to remove the remaining blood cells.

이어서, 융모양막을 37℃±2℃에서 24 내지 28시간 동안 DMEM에서 황산 겐타마이신(50㎍/mL)(일리노이주 샴버그에 소재한 아브락시스 파마슈티칼 프로덕츠(Abraxis Pharmaceutical Products)), 반코마이신 HCl(50㎍/mL)(일리노이주 레이크 포레스트에 소재한 호스피라), 및 암포테리신 B(2.5㎍/mL)(미조리주 세인트루이스에 소재한 시그마알드리치(Sigma Aldrich))로 이루어진 항생제 용액 500mL를 지니는 통기 플라스크에서 각각 소독시켰다. 인큐베이션 기간 후에, 막을 PBS로 세척하여 임의의 잔여 항생제 용액을 제거하였다. 융모막의 영양막층을 둔적박리를 이용하여 부드럽게 제거하였다.The chorion amniotic membrane was then treated with gentamicin sulfate (50 μg / mL) (Abraxis Pharmaceutical Products, Inc., Schaumburg, IL), vancomycin HCl (Sigma Aldrich, St. Louis, MO), and Amphotericin B (2.5 占 퐂 / mL) (Sigma Aldrich, St. Louis, MO) Respectively. After the incubation period, the membrane was washed with PBS to remove any residual antibiotic solution. The trophoblastic layer of the chorion was gently removed using dull exfoliation.

막을 옵티트란(Optitran) BA-S 85 강화 나이트로셀룰로스 종이(독일 대셀에 소재한 와트만(Whatman)) 상에 고정시키고, FP-90 동결백(노스캐롤라이나주 윈스턴세이럼에 소재한 카터 메디컬 리미티드(Charter Medical Ltd.)) 내로 패키징하기 전에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였다. 일단 막 단위를 FP-90 동결백에 넣고 동결 백을 열 밀봉시키면, 10% 다이메틸 설폭사이드(DMSO)(아일랜드 갈웨이에 소재한 바이오니케 테오 인베린 코포레이션(Bioniche Teo. Inverin Co.)) 및 5% 인간 혈청 알부민(HSA)(캘리포니아주 웨스트 레이크 빌리지에 소재한 박터)를 함유하는 50mL의 동결보존 용액을 중심 튜빙 라인을 통해 첨가하였다. 임의의 과량의 공기를 제거하고 나서, 후속적으로 튜빙 라인을 밀봉시켰다.The membrane was fixed on an Optitran BA-S 85 fortified nitrocellulose paper (Whatman, Germany Dassel) and packed in a FP-90 freeze bag (Charter, Inc., Winston-Salem, North Carolina) Medical Ltd.)). Once the membrane unit was placed in an FP-90 frozen bag and the frozen bag was heat-sealed, 10% dimethyl sulfoxide (DMSO) (Bioniche Teo Inverin Co., Galway, Ireland) and 5 50 mL of cryopreserved solution containing 10% human serum albumin (HSA) (Bauter, Westlake Village, CA) was added via the center tubing line. After any excess air was removed, the tubing line was subsequently sealed.

FP-90 동결백을 만거 백(10인치 x 6인치)(펜실베니아 뉴브리튼에 소재한 만거 인더스트리즈(Mangar Industries)) 내로 넣고 나서, 이어서, 열 밀봉시켰다. 만거 백을 패키징 카톤 내에 넣었다(10.5 인치 x 6.5 인치 x 0.6 인치)(뉴욕주 로체스터에 소재한 다이아몬드 패키징(Diamond Packaging)). 스티로폼 용기 내 -80℃±5℃에서 냉동시키기 전에 모든 카톤을 2 내지 8℃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냉장시켰다.The FP-90 frozen bag was placed into a manger bag (10 inches by 6 inches) (Mangar Industries, New Britain, Pa.) And then heat sealed. The mugger bag was placed in a packaging carton (10.5 inches x 6.5 inches x 0.6 inches) (Diamond Packaging, Rochester, NY). All cartons were refrigerated at 2-8 캜 for 30-60 minutes before freezing at -80 5 캜 in Styrofoam containers.

실시예 6 태반막의 효소 분해 후 세포 수 및 세포 생존도의 정량적 평가Example 6 Quantitative evaluation of cell number and cell viability after enzymatic degradation of placental membrane

양막 및 융모막 및 (상기로부터의) 본 태반막 생성물을 과정 전체적으로 세포 수 및 세포 생존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들 분석을 (항생제 처리 단계 전) 새로운 태반 조직, 항생제 처리 후 태반 조직 및 해동 후 생성물 단위에 대해 수행하였다. 세포를 효소 분해를 이용하여 태반막으로부터 단리시켰다. 동결보존된 생성물 단위에 대해, FP-90 동결백을 우선 패키징 카톤 및 만거백으로부터 제거하였다. 이어서, FP-90 동결백을 실온의 물욕에서 2 내지 3분 동안 해동시켰다. 초기 실험은 37℃±2℃ 수욕의 사용을 수반하였다. 해동 후, 태반막을 FP-90 동결백으로부터 제거하고 나서, 최소 1분 및 최대 60분 동안 식염수를 함유하는 저장소(일리노이주 디어필드에 소재한 박터 헬스케어 코포레이션) 내에 넣었다. 각각의 막을 분해 전 강화된 나이트로셀룰로스 종이로부터 분리시켰다.The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and the placental membrane products (from above) were evaluated for overall cell viability and cell viability throughout the course. These analyzes were performed on new placental tissue (before antibiotic treatment), placental tissue after antibiotic treatment, and product units after thawing. Cells were isolated from placental membranes using enzyme digestion. For cryopreserved product units, FP-90 frozen bags were first removed from the packaging cartons and machetes. The FP-90 frozen bag was then thawed for 2 to 3 minutes in a water bath at room temperature. Initial experiments involved the use of a 37 ° C ± 2 ° C water bath. After thawing, the placental membrane was removed from the FP-90 frozen bag and placed in a reservoir containing saline (Bartter Healthcare Corporation, Deerfield, Ill.) For a minimum of 1 minute and a maximum of 60 minutes. Each membrane was separated from the reinforced nitrocellulose paper before disassembly.

양막을 로커(rocker) 상에서 37℃±2℃로 20 내지 40분 동안 40mL의 0.75% 콜라게나제(뉴저지주 레이크우드에 소재한 워싱턴 바이오케미컬 코포레이션(Worthington Biochemical Corp.)) 용액을 이용하여 분해시켰다. 콜라게나제 분해 후에, 샘플을 2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시켰다. 상청액을 제거하고 나서, 30mL의 0.05% 트립신-EDTA(메릴랜드주 워커스빌에 소재한 론자(Lonza))를 첨가하고 나서, 로커 상에서 37℃±2℃로 추가 5 내지 15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트립신을 사용 전에 수욕에서 37℃±2℃로 가온시켰다. 트립신 분해 후에, 상청액을 100㎛ 세포 스트레이너(strainer) 나일론 필터를 통해 여과시켜 임의의 파편을 제거하였다. 15ml DMEM을 스트레이너를 통해 동일한 원심관 내로 통과시켰다. 2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를 수행하고 나서, 상청액을 제거하였다. 세포 펠렛을 펠렛 크기와 비례하는 DMEM의 용적을 이용하여 재구성하고 나서, 20μL의 재현탁 세포 현탁액을 계수화를 위해 80μL의 트립신 블루(미조리주 세인트 루이스에 소재한 시그마 알드리치)와 혼합하였다. 세포 계수 샘플을 혈구계 내에 넣고, 현미경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Amniotic membrane was resolved on a rocker at 37 ° C ± 2 ° C for 20 to 40 minutes with 40 mL of 0.75% collagenase (Worthington Biochemical Corp., Lakewood, NJ) solution. After collagenase digestion, the samples were centrifuged at 2000 rpm for 10 minutes. After removing the supernatant, 30 mL of 0.05% trypsin-EDTA (Lonza, Walkersville, MD) was added and then incubated for an additional 5-15 minutes on the rocker at 37 ° C ± 2 ° C. Trypsin was warmed to 37 ° C ± 2 ° C in a water bath before use. After trypsin digestion, the supernatant was filtered through a 100 [mu] m cell strainer nylon filter to remove any debris. 15 ml DMEM was passed through the strainer into the same centrifuge tube. After centrifugation at 2000 rpm for 10 minutes, the supernatant was removed. The cell pellet was reconstituted using a volume of DMEM proportional to the pellet size and then 20 μL of the resuspended cell suspension was mixed with 80 μL trypsin blue (Sigma Aldrich, St. Louis, MO) for digestion. Cell count samples were placed in the hemocytometer and assessed using a microscope.

융모막을 로커(rocker) 상에서 37℃±2℃로 20 내지 40분 동안 25mL의 0.75% 콜라게나제 용액을 이용하여 분해시켰다. 콜라게나제 분해 후에, 상청액을 100㎛ 세포 스트레이너(strainer) 나일론 필터를 통해 여과시켜 임의의 파편을 제거하였다. 2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를 수행하고 나서, 상청액을 제거하였다. 세포 펠렛을 펠렛 크기와 비례하는 DMEM의 용적을 이용하여 재구성하고 나서, 20μL의 재현탁 세포 현탁액을 계수화를 위해 80μL의 트립신 블루와 혼합하였다. 세포 계수 샘플을 혈구계 내에 넣고, 현미경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The chorion was detached on a rocker at 37 ° C ± 2 ° C for 20 to 40 minutes using 25 mL of 0.75% collagenase solution. After collagenase digestion, the supernatant was filtered through a 100 [mu] m cell strainer nylon filter to remove any debris. After centrifugation at 2000 rpm for 10 minutes, the supernatant was removed. The cell pellet was reconstituted using a volume of DMEM proportional to the pellet size and then 20 μL of the resuspended cell suspension was mixed with 80 μL of trypsin blue for digestion. Cell count samples were placed in the hemocytometer and assessed using a microscope.

막의 초기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임의의 가공 전에 태반막을 분석하였다.Placental membranes were analyzed before any processing to determine the initial properties of the membranes.

표 2는 32개의 태반 로트로부터의 양막 및 융모막에 대한 ㎠ 당 평균 세포 및 세포 생존도 값을 포함한다.Table 2 contains the mean cell and cell viability values per square centimeter for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from 32 placental lots.

평균적으로, 양막에 대해 ㎠ 당 91,381개의 생존 세포가 있으며 대응하는 평균 세포 생존도는 84.5%였다. 융모막에 대해, ㎠ 당 51,614개의 생존 세포가 있으며, 대응하는 세포 생존도는 86.0%였다.On average, there were 91,381 viable cells per square centimeter of amniotic membrane and corresponding mean cell viability was 84.5%. For the chorion, there were 51,614 viable cells per cm &lt; 2 &gt;, corresponding cell viability was 86.0%.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이들 데이터는 본 기술의 특정 실시형태에 의해 유용한 세포 수; 예를 들어, 약 10,000 내지 약 360,000개 세포/㎠를 함유하는 양막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을 예시한다. 양막은 상피세포 및 기질 세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피세포 대 기질 세포의 비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3개의 태반 로트로부터의 양막을 분석하였다. 우선, 5㎝ x 5㎝ 조각의 양막을 30분 동안 수욕에서 37℃±2℃로 대략 25mL의 0.05% 트립신-EDTA(메릴랜드주 워커스빌에 소재한 론자)를 이용하여 분해시켰다. 인큐베이션 단계 후에, 막으로부터 세포를 부드럽게 스크레이핑함으로써 상피세포를 제거하였다. PBS(뉴욕주 그랜드 아일랜드에 소재한 깁코 인비트로젠)을 이용하여 린스한 후에, 후속적으로 막을 융모막과 동일한 방식으로(상기 기재) 분해시켰다. 추가로, 다른 무결함 5㎝ x 5㎝ 조각의 양막을 표준 절차(상기 기재)를 이용하여 분해시켜 총 세포 수를 결정하였다. 이어서, 기질 세포의 백분율을 상피세포가 제거된 양막으로부터의 세포 수를 무결함 막으로부터의 세포 수로 나눔으로써 결정하였다.These data may include the number of cells useful by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technology; For example, a placenta product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ontaining from about 10,000 to about 360,000 cells / cm2 is illustrated. Since the amniotic membrane is composed of epithelial cells and stromal cell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ratio of epithelial to stromal cells. Amniotic membranes from three placenta litters were analyzed. First, a 5 cm x 5 cm piece of amniotic membrane was resolved in a water bath for 30 minutes at 37 ° C ± 2 ° C using approximately 25 mL of 0.05% Trypsin-EDTA (Lonza, Walkersville, MD). After the incubation step, epithelial cells were removed by gentle scraping of cells from the membrane. After rinsing with PBS (Gibco Invitrogen, Grand Island, NY), the membrane was subsequently degra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horion (described above). In addition, another amorphous 5 cm x 5 cm piece of amniotic membrane was digested using standard procedures (described above) to determine the total number of cells. Subsequently, the percentage of stromal cells was determined by dividing the number of cells from the amniotic membrane from the epithelial cells by the number of cells from the defect-free membrane.

결과는 총 세포의 19%가 기질 세포라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대략 17,362개의 기질 세포가 대략 74,019개의 상피세포를 지니는 양막 내에 존재한다. 이들 데이터는 양막에 비해 융모막 내 대략 3배 이상의 기질 세포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 비는 융모막 및 양막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을 제공하는 본 기술의 특정 실시형태와 일치되되, 융모막은 양막에 비해 약 2 내지 4배 더 많은 기질 세포를 포함한다.The results indicate that 19% of total cells are stromal cells. Thus, approximately 17,362 stromal cells are present in the amniotic membrane with approximately 74,019 epithelial cells. These data indicate that there are approximately three times more stromal cells in the chorioamnion than in the amniotic membrane. This ratio is consistent with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technology that provide a placenta product comprising chorionic villi and amniotic membrane, wherein the choroidal membrane comprises about 2 to 4 times more stromal cells than amniotic membrane.

㎠ 당 생존 세포 및 세포 생존도를 항생제 처리 단계 후에 평가하였다. 처리 세포 회수를 항생제 처리(본 명세서에 기재한 기법에서 이전에 기재한 바와 같음) 전 및 후의 생존 세포 수와 비교함으로써 계산하였다. 표 3은 이들 분석으로부터의 결과를 제공한다.Survival cells and cell viability per ㎠ were evaluated after the antibiotic treatment step. The treated cell recovery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number of viable cells before and after antibiotic treatment (as previously described in the technique described herein). Table 3 provides the results from these analyzes.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실시예 7 태반 생성물 동결보존 절차의 개발Example 7 Development of Placental Product Freezing Preservation Procedure

동결보존은 조직 및 살아있는 세포의 공급원을 제공하는 방법이다. 동결보존의 주된 목적은 저온 냉동 및 저장 동안 생물학적 물질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일반적 동결보존 규칙이 모든 세포, 조직 및 기관에 대해 적용가능하지만, 특정 동결보존 용액 및 절차가 생물학적 물질의 각각의 유형에 대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태반막으로부터 면역원성 세포를 선택적으로 고갈시키고 치유 촉진을 위한 인자의 주된 공급원인 다른 유리한 세포의 생존도를 보존할 수 있는 태반막 생성물에 대한 동결보존 절차를 개시한다.Cryopreservation is a method of providing a source of tissue and living cells. The main purpose of cryopreservation is to minimize damage to biological material during cryogenic refrigeration and storage. Although general cryopreservation rules are applicable to all cells, tissues and organs, certain cryopreservation solutions and procedures must be developed for each type of biological material. This application discloses a cryopreservation procedure for placental membrane products that can selectively deplete immunogenic cells from placental membranes and preserve the viability of other beneficial cells that are the primary source of factors for promoting healing.

태반막에 대한 동결 보존 방법 개발 동안, 본 발명자들은 동결보존 용액의 용적, 냉동 전 조직 평형상태의 효과, 및 냉동 절차를 위한 냉각 속도를 포함하는 동결보존의 중요한 매개변수를 평가하였다.During development of the cryopreservation method for placenta membranes, the present inventors evaluated important parameters of cryopreservation, including the volume of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the effect of pre-cryoprotective state, and the cooling rate for the cryopreservation procedure.

면역억제의 부재 시 조직 동종이식편의 수용은 조직 내 존재하는 부수체(satellite) 면역 세포의 수에 의존할 것이다. 동결보존은 조직 면역원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접근이다. 이 접근은 DMSO의 존재 하에서 냉동 손상에 대한 상이한 세포 유형의 차별적인 감수성에 기반하며; 백혈구는 빠른 냉각 속도에 민감하다. 냉동 속도 1℃/분은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및 조직에 대해 최적으로 고려된다. 빠른 냉동 속도, 예컨대 60 내지 100℃/분은 면역 세포를 제거한다. 그러나, 이런 유형의 절차는 본 기술에 따른 보존에 대해 바람직한 다른 조직 세포에 대해 유해하다. 개발된 동결보존 절차는 10% DMSO를 함유하는 동결보존 용액을 이용하는데, 이는 물이 저온에서 결정을 형성할 때 세포를 파괴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성분이다. 동결보존의 제2 단계는 동결보존 용액 중의 태반막의 완전한 평형상태였으며, 이는 30 내지 60분 동안 4℃에서 동결보존 용액 중의 막의 침지에 의해 달성된다. 이 단계는 DMSO가 태반 조직을 침투하게 한다. 일부 데이터는 냉동 전 조직 평형상태가 림프구의 생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지만(예를 들어, 문헌[Taylor & Bank, Cryobiology, 1988, 25:1]); 그러나, 이 데이터는 조직 평형상태 후조차 대식세포의 실질적인 수가 생존한다는 것을 나타낸다.In the absence of immunosuppression, the acceptance of tissue allografts will depend on the number of satellite immune cells present in the tissue. Cryopreservation is an approach that can be used to reduce tissue immunogenicity. This approach is based on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of different cell types to cryopreservation in the presence of DMSO; Leukocytes are sensitive to fast cooling rates. The freezing rate of 1 [deg.] C / min is considered optimal for cells and tissues containing immune cells. Fast freezing rates, such as 60-100 ° C / min, remove immune cells. However, this type of procedure is detrimental to other tissue cells desirable for conserv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technique. The cryopreservation procedure developed uses a cryopreservation solution containing 10% DMSO, which is an important component that protects cells from destruction when water forms crystals at low temperatures. The second stage of cryopreservation was the complete equilibrium state of the placenta membranes in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which was achieved by immersion of the membranes in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at 4 DEG C for 30 to 60 minutes. This step allows DMSO to penetrate the placental tissue. Some data indicate that pre-freeze tissue equilibrium can affect the survival of lymphocytes (e.g., Taylor & Bank, Cryobiology , 1988, 25: 1); However, this data indicates that even after tissue equilibrium, a substantial number of macrophages survive.

예상치 못하게 약 2℃ 내지 약 8℃에서 DMSO-함유 용액 중의 30 내지 60분 태반막 평형상태는, 이들 유형의 세포가 약 1℃/분의 속도에서조차 냉동을 견뎌낼 수 없도록, 냉동에 대해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의 민감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The placental membrane equilibrium in the DMSO-containing solution at about 2 ° C to about 8 ° C unexpectedly prevented placental membrane equilibrium in the presence of macrophages for freezing such that these types of cells could not withstand freezing even at a rate of about 1 ° C / Lt; RTI ID = 0.0 &gt; immune &lt; / RTI &gt;

막 생성물의 잠재적 동결보존 조건의 온도 프로파일을 분석하기 위해 온도 맵핑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들 결과를 도 1에 도시한다. 여덟(8)개의 FP-90 동결백을 20mL 또는 50mL의 동결보존 용액으로 채우고 나서, 온도 프로브를 각각의 동결백 내부에 넣었다. 매개변수의 제1 세트(각각 도 1a 내지 도 1d의 조건 1 내지 4)를 냉동(-80℃ ± 5℃) 전 30분 냉장(2 내지 8℃) 단계를 수반하였다. 추가로, 분석은 스티로폼 용기 내에서 또는 냉동고 저장에서의 동결백 냉동을 수반하였다. 매개변수의 제2 세트(각각 도 1e 내지 도 1h의 조건 5 내지 8)는 스티로폼 용기 내에서 또는 냉동고 저장에서 동결백의 직접적 냉동(-80℃±5℃)을 수반하였다. 결과는 조건 6 및 조건 2가 대부분의 점진적인 온도 감소를 나타내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점진적 온도 감소는 전형적으로 세포 생존도를 보존하기 위해 요망된다. 조건 6과 조건 2 사이의 차이는 조건 2가 30분 냉장 단계를 포함하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냉동 시 잠열 진행의 경우, 온도는 냉동의 시작으로부터 -4℃까지의 감소를 추가로 시험하였다. 조건 6에 대해, 이 기간 동안 냉각 속도는 대략 -1℃/분이었다. 조건 2에 대한 냉각 속도는 동일한 시간틀 동안 대략 -0.4℃/분이었다. 따라서, 더 느린 냉각 속도가 최적의 세포 생존도를 유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요망되기 때문에, 조건 2를 비제한적 동결보존 과정 내로의 혼입을 위해 선택하였다.Temperature mapp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temperature profiles of potentially cryopreservation conditions of the film product. These results are shown in Fig. Eight (8) FP-90 frozen bags were filled with 20 mL or 50 mL of cryopreserved solution, and then the temperature probe was placed inside each freezing bag. The first set of parameters (conditions 1 to 4 of Figures 1a to 1d, respectively) was followed by a refrigerated (2-8 ° C) step for 30 minutes before freezing (-80 ° C ± 5 ° C). In addition, the analysis involved freeze bag freezing in styrofoam containers or in freezer storage. The second set of parameters (conditions 5 to 8 of FIGS. 1E-1H, respectively) involved direct refrigeration (-80 ° C ± 5 ° C) of the freeze bag in the styrofoam container or in the freezer stor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dition 6 and condition 2 showed the most gradual temperature decrease. Progressive temperature reduction is typically desired to preserve cell viability. The difference between condition 6 and condition 2 is that condition 2 involved a 30 min refrigeration step. Therefore, in the case of latent heat progression during freezing, the temperature was further tested to decrease to -4 캜 from the beginning of the freezing. For condition 6, the cooling rate during this period was approximately -1 DEG C / min. The cooling rate for Condition 2 was approximately -0.4 ° C / min during the same time frame. Thus, condition 2 was chosen for incorporation into a non-limiting cryopreservation process, since slower cooling rates are generally desired to maintain optimal cell viability.

도 2a는 처리(동결보존) 양막에 대한 세포 회수에 대한 동결보존 용액 용적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2b는 양막에 대한 세포 생존도에 대한 동결보존 용액의 효과를 도시한다.Figure 2a shows the effect of cryopreserved solution volume on cell recovery for treated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Figure 2b shows the effect of a cryopreserved solution on cell viability for amniotic membrane.

처리(동결보존) 세포 회수를 동결보존(본 명세서에서 이전에 기재한 바와 같음) 전 및 후의 생존 세포 수와 비교함으로써 계산하였다. 본 의도는 최대 세포 회수를 제공하는 동결보존 조건을 동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용된 분석(트립신 블루 제외)은 태반의 상이한 부분으로부터 조직 샘플을 취하는 것을 필요로 하며, 각각의 조직 샘플이 상이한 세포 수를 함유하기 때문에, 정확한 세포 회수 측정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자들이 접한 큰 범위의 처리 세포 회수(10% 내지 410%)를 설명한다. 반면에, 세포 생존도는 살아있는 세포 수를 조직의 동일한 조각 내 총 세포 수와 비교함으로써 계산하였다. 따라서, 세포 생존도를 사용하여 동결보존 절차의 매개변수를 최적화하였다.The treatment (cryopreserved) cell count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o viable cell count before and after cryopreservation (as described herein before). The intention was to identify cryopreservation conditions that provide the maximum cell count. However, the analysis used (except trypsin blue) requires taking tissue sample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placenta, and it is impossible to obtain accurate cell recovery measurements, since each tissue sample contains a different number of cells. This accounts for a large range of treated cell counts (10% to 410%) encountered by the present inventors. On the other hand, cell viability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number of living cells to the total number of cells in the same piece of tissue. Thus, cell viability was used to optimize the parameters of the cryopreservation procedure.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50mL 용적의 동결보존 용액 용적은 5x5 태반막에 대한 10mL 및 20mL에 비교하여 동일한 세포 회수를 제공하였다. 이들 데이터는 10mL 동결보존 용액 용적이 본 기술에 따라 세포 생존도가 70% 초과인 태반 생성물을 제공하는데 충분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결과를 융모막에 대해 얻었다.As shown in FIG. 2B, a 50 mL volume of the cryopreservation solution volume provided the same cell count compared to 10 mL and 20 mL for the 5x5 placental membrane. These data indicate that a 10 mL cryopreservation solution volume is sufficient to provide a placental product with a cell viability of greater than 70%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ique. The same results were obtained for the chorioamnion as can be seen from Figs. 3A and 3B.

동결보존 방법이 무결함 융모양막의 보존에 적용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융모양막을 새로운 태반으로부터 절단하였고, 항생제 중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다. 이어서, 영양막층을 제거하고 나서, 막을 2cm x 2cm 조각으로 절단하였다. 두 막이 무결함으로 남아있도록 전체 과정 내내 관리하였다. 새로운 그리고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제조하고 나서, 세포 생존도를 측정하기 위한 표색 분석인 MTT 분석(바이오티움(Biotium) 30006)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메커니즘은 가용성 테트라졸륨염의 청색 포마잔 침전으로의 대사 환원이 무결함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지니는 생존 세포의 존재에 의존한다는 사실에 기반한다. 샘플을 MTT 분석 매질 중에서 3 내지 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전환 기간의 마지막에, 샘플을 DMSO 중에서 1시간 동안 37℃에서 추출하였다. 추출 기간의 마지막에, 0.2mL의 각각의 추출물을 96-웰 플레이트의 웰로 옮겼다. 세포 생존도에 비례하는 흡수성을 블랭크로서 DMSO 추출 완충제를 이용하여 570㎚에서 플레이트 판독기(스펙트라맥스(Spectramax) 340PC, 몰레큘러 디바이스(Molecular Devices)) 상에서 흡수하였다. 도 4는 새로운 그리고 해동된 동결보존된 샘플로부터 얻은 MTT 값을 나타낸다. 데이터로부터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생존도는 새로운 동결보존 융모양막 샘플과 해동 후 동결보존 융모양막 샘플 사이에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the cryopreservation method could be applied to the preservation of defect - free villous amniotic membrane. Chorionic amniotic membrane was excised from new placenta and incubated overnight in antibiotics. Subsequently, the membrane was cut into 2 cm x 2 cm pieces after removing the nutrient layer. Both membranes were maintained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to remain intact. New and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s were prepared and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MTT assay (Biotium 30006), a colorimetric assay for measuring cell viability. The analytical mechanism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metabolic reduction of the soluble tetrazolium salt to the blue formazan precipitate depends on the presence of viable cells with defect-free mitochondrial function. Samples were incubated in the MTT assay medium for 3 to 4 hours. At the end of the conversion period, samples were extracted in DMSO for 1 hour at 37 占 폚. At the end of the extraction period, 0.2 mL of each extract was transferred to the wells of a 96-well plate. Absorbency proportional to cell viability was absorbed on a plate reader (Spectramax 340PC, Molecular Devices) at 570 nm using DMSO extraction buffer as a blank. Figure 4 shows the MTT values obtained from fresh and thawed cryopreserved samples. As shown by the data, cell viabil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resh cryopreserved villus amniotic membrane samples and thawed freeze-preserved villus amniotic membrane samples.

동결보존 처리 후 세포 회수를 최대화하는 상이한 잠재적 냉동 조건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5A(양막) 및 도 5B(융모막)은 융모막에 대한 처리(동결보존) 세포 회수에 대해 냉장시간 및 냉동매개변수의 효과를 나타내는 이들 결과를 도시한다. 3개의 조건을 분석하였다. 이들 조건은 온도 맵핑 연구와 관련되었다. 제1 조건은 냉동고 내에서 저장 시 생성물 단위를 직접적으로 냉동시키는 단계를 수반하였다(-80℃±5℃). 제2 조건은 또한 직접 냉동을 포함하였지만, 생성물 단위는 냉동기 내의 스티로폼 용기에 넣는다. 제3 조건은 냉동 단계 30분 전의 냉장(약 2℃ 내지 약 78℃) 기간을 포함하였다. 양막에 대해, 3개의 태반 로트를 평가하였다. 두(2)개의 태반 로트를 융모막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는 제3 조건이 막 유형 둘 다에 대해 최적이라는 것을 나타내었다.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different potential freezing conditions that maximize cell recovery after cryopreservation treatment. Figures 5A (amniotic membrane) and Figure 5B (chorion) show these results showing the effect of refrigeration time and refrigeration parameters on treatment (cryopreserved) cell recovery on chorion. Three conditions were analyzed. These conditions were related to temperature mapping studies. The first condition involved a step of freezing the product unit directly during storage in the freezer (-80 ° C ± 5 ° C). The second condition also included direct freezing, but the product unit is placed in a styrofoam container in the freezer. The third condition included a refrigeration (about 2 캜 to about 78 캜) period 30 minutes before the refrigeration step. For the amniotic membrane, three placenta lots were evaluated. Two (2) placental lots were analyzed for chorioamn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hird condition was optimal for both membrane types.

양막의 세포 생존도에 대한 냉장 시간 및 냉동 매개변수의 효과를 또한 시험하였다. 흡광도가 세포 생존도에 비례하는 경우 상기 기재한 MTT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도를 측정하였다. 4가지 온도 평형상태 시간을 시험하였다: 직접 냉동(0 hr), 1시간 또는 4시간 동안의 냉장고(4℃) 내 평형상태 및 4시간 동안 실온에서의 평형상태. 각각의 조건에 대해, 냉동고 저장 시 또는 스티로폼 박스에서 직접적으로 생성물을 냉동시키는 것을 또한 시험하였다. 도 6은 연구 결과를 도시하며, 양막을 4℃에서 1시간까지 동안 저장하고, 이어서, 스티로폼 박스 내에서 냉동시켰을 때, 가장 높은 세포 생존도가 얻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조건은 가장 크게 처리된 세포 회수 및 세포 생존도를 제공함에 따라 추가 개발을 위해 선택하였다.The effect of refrigeration time and freezing parameters on amniotic membrane cell viability was also tested. When the absorbance was proportional to cell viability,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the MTT assay described above. Four temperature equilibration times were tested: direct freezing (0 hr), equilibrium in a refrigerator (4 ° C) for 1 hour or 4 hours and equilibrium at room temperature for 4 hours. For each condition, it was also tested to freeze the product either in the freezer storage or directly in the styrofoam box. Figure 6 show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shows that the highest cell viability is obtained when the amniotic membrane is stored at 4 DEG C for up to 1 hour and then frozen in the styrofoam box. This condition was chosen for further development as it provided the most extensive cell recovery and cell viability.

양막 및 융모막에 대해 평가한 모든 동결보존 매개변수를 표 4 및 표 5에 요약한다.All cryopreservation parameters evaluated for amniotic membrane and chorioamnion are summarized in Tables 4 and 5.

이들 실험으로부터의 세포 생존도의 평가는 제조 과정에 대한 최종 매개변수의 선택을 초래하였다. 추가로, 모든 평균 세포 생존도 값은 70% 이상이었다.Evaluation of cell viability from these experiments led to the selection of the final parameters for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all the mean cell viability values were above 70%.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이들 데이터는 약 40,000 내지 약 90,000 또는 내지 약 260,000개 세포/㎠을 함유하는 양막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 막을 제공하는 본 기술의 특정 실시형태와 일치된다.These data are consistent with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technology to provide a placental product membrane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ontaining from about 40,000 to about 90,000 or about 260,000 cells / cm2.

실시예Example 8. 동결보존 양막의 안정성 8. Stability of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본 기술의 하나의 독특한 양상은 동결보존 방법이 장기간의 시간 동안 세포 생존도를 보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포 생존도가 2년의 저장 후에 유지되는지의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양막의 3개 로트를 최종 제조 및 동결보존 처리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세포 생존도를 0시간(1주 저장), 저장 후 12개월, 24개월 및 25개월에 실시예 6에 기재한 정량적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표 6은 장기간 저장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세포 생존도는 모든 시점에 모든 로트에 대해 70% 초과로 남아있다는 것을 입증한다.One unique aspect of the technique is that the cryopreservation method can preserve cell viability over a prolonged period of time. To test whether cell viability is maintained after two years of storage, three lots of amniotic membrane were prepared using final preparation and cryopreservation treatment.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using the quantitativ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6 at 0 hours (1 week storage), 12 months, 24 months and 25 months after storage. Table 6 demonstrates that after prolonged storage and subsequent thawing, cell viability remains above 70% for all lots at all time points.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7

실시예Example 9 조직 염색에 의한 세포  9 Cells by Tissue Dyeing 생존도의Survival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evaluation

양막 및 융모막을 라이브/대드(LIVE/DEAD)(등록상표) 생존도/세포독성 키트(오리건주 유진에 소재한 몰레큘러 프로브 인코포레이티드(Molecular Probes Inc.))를 이용하여 염색하여 세포 생존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제조업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염색을 수행하였다. 대략 0.5㎝ x 0.5㎝의 막 세그먼트를 사용하였다.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염색막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강하고 균일한 녹색 형광은 살아있는 세포의 존재를 나타내었고, 밝은 적색광은 사멸 세포의 존재를 나타내었다. 새로운 양막 및 융모막뿐만 아니라 동결보존된 양막 및 융모막의 이미지는 제조 과정이 해동 후 막의 표현형 특징을 변경시키지 않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were stained with Live / DEAD (TM) Viability / Cytotoxicity Kit (Molecular Probes Inc., Eugene, Oreg.) To determine cell viability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Dyeing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protocol. A film segment of approximately 0.5 cm x 0.5 cm was used. Evaluation of dye films was performed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e. Strong and uniform green fluorescence showed the presence of living cells, and bright red light showed the presence of apoptotic cells. Images of fresh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as well as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ic membrane, proved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did not alter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the membrane after thawing.

도 7은 새로운 양막의 상피층(A), 동결보존된 양막의 상피층(B), 새로운 양막의 기질층(C), 동결보존된 양막의 기질층(D), 새로운 융모막(E) 및 동결보존된 융모막(F)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포함한다. 살아있는 세포는 녹색이며, 사멸 세포는 적색이다. 이들 이미지는 제조과정이 막의 표현형 특징 및 해동 후 막 내의 생존 세포 유형(상피 및 기질 세포)의 비율을 변경시키지 않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 new amniotic membrane epithelium (A),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epithelium (B), a new amniotic membrane substrate layer (C),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substrate layer (D) And a representative image of the chorion (F). Living cells are green, and dead cells are red. These images demonstrate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did not alter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the membrane and the proportion of surviving cell types (epithelial and stromal cells) in the membrane after thawing.

실시예 10 예시적인 제조과정은 태반막으로부터 면역원성 요소를 제거한다Example 10 An exemplary preparation procedure removes immunogenic elements from placental membranes

인간 양막 및 융모막의 하나의 독특한 특징은 태아순환으로부터 백혈구의 이동을 방지하는 태아 혈관의 부재이다. 태아측에서, 융모양막 중배엽 층 내에 존재하는 대식세포는 면역 세포의 집단만을 나타낸다. 따라서, 양막 및 융모막 내 존재하는 태아 대식세포는 조직 면역원성의 주된 공급원이다. 그러나, 양막 내 대식세포의 수는 융모막보다 상당히 더 낮으며(Magatti et al, Stem Cells, 2008, 26: 182), 이는 양막의 낮은 면역원성 및 공여자와 수용자 사이의 매칭 없이 HLA를 가로지르는 그의 능력을 설명한다(Akle et al, Lancet, 1981, 8254:1003; Ucakhan et al., Cornea, 2002, 21:169). 대조적으로, 융모막은 면역원성이 고려된다. 결막 결함의 복원성형을 위해 양막을 융모막과 함께 사용하는 연구에서, 성공률은 낮았다(De Roth Arch Ophthalmol, 1940, 23: 522). 이론에 의해 구속되는 일 없이, 본 발명자들은 다른 면역원성 세포 유형 중에서 모 영양막 및 CD14+ 태아 대식세포의 태반막으로부터의 제거는 시험관내 림프구의 활성화를 방지한다는 것을 믿는다. 모 영양막의 제거는 직접적 세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반면, 이 기법에 기재된 동결보존 처리는 CD14+ 세포를 제거한다.One unique feature of the human amnion and chorion is the absence of fetal blood vessels that prevent migration of white blood cells from the fetal circulation. On the fetal side, macrophages present in the villous amniotic membrane mesoderm layer represent only a population of immune cells. Thus, fetal macrophages present in the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are the major sources of tissue immunogenicity. However, the number of macrophages in the amnion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horionic villi (Magatti et al, Stem Cells, 2008, 26: 182), because of the low immunogenicity of amniotic membrane and its ability to cross HLA without matching between donor and recipient (Akle et al, Lancet, 1981, 8254: 1003; Ucakhan et al., Cornea, 2002, 21: 169). In contrast, chorioamnion is considered immunogenicity. In studies using amniotic membrane with chorionic villi for reconstruction of conjunctival defects, the success rate was low (De Roth Arch Ophthalmol, 1940, 23: 522). Without being bound by theory, the inventors believe that removal of parental and CD14 + fetal macrophages from placental membranes among other immunogenic cell types prevents the activation of in vitro lymphocytes. The removal of the parental supernatant can be achieved by direct washing, whereas the cryopreservation treatment described in this technique removes CD14 + cells.

면역원성 시험을 사용하여 안전한 임상 치료로서 태반 생성물 막을 특성규명하였다. 2가지 생체분석(혼합 림프구 반응(MLR) 및 지질다당류(LPS)-유도 종양 괴사 인자(TNF)-α 분비)를 사용하여 상이한 제조 단계에서 태반 생성물의 면역원성을 시험하였다.The immunogenicity test was used to characterize placental product membranes as safe clinical treatments. The immunogenicity of the placental products was tested at different manufacturing steps using two biomolecular analyzes (mixed lymphocyte reaction (MLR) and lipopolysaccharide (LPS) -induced tumor necrosis factor (TNF) -α secretion).

실시예 10.1 혼합 림프구 반응(MLR)Example 10.1 Mixed Lymphocyte Reaction (MLR)

MLR은 세포 및 조직 면역원성을 시험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시험관내 분석 유형이다. 분석은 실험 조직 배양 플레이트의 웰 내에서 함께 혼합할 때 다른 개체로부터 유래된 동종이계 세포 및 조직(자극제)의 표면 상에서 발현된 동종이계 인간 백혈구 항원(HLA) 및 다른 항원 분자를 인식하는 한 개체로부터 유래된 면역 세포(반응자)의 능력에 기반한다. 동종이계 세포 및 조직에 의한 자극에 대한 면역 세포의 반응을 다양한 방법, 예컨대 특정 사이토카인(예를 들어, 인터류킨(IL-2)의 분비, 특정 수용체(예를 들어, IL-2R)의 발현 또는 세포 증식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활성화된 면역 세포의 특징이다.MLR is a type of in vitro assay widely used to test cell and tissue immunogenicity. The assay is performed from an individual that recognizes homologous human leukocyte antigen (HLA) and other antigenic molecules expressed on the surface of allogeneic cells and tissues (stimulators) derived from other individuals when mixed together in the wells of an experimental tissue culture plate Based on the ability of the derived immune cell (the responder). The response of immune cells to stimulation by allogeneic cells and tissues can be measured by a variety of method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administration of certain cytokines (e.g., secretion of interleukins (IL-2), expression of specific receptors Can be measured using cell proliferation, all of which are characteristic of activated immune cells.

현재 개시된 제조 과정의 상이한 단계들을 나타내는 태반 조직 샘플을 면역원성 시험을 위해 사용하였다. 이들 샘플은 출발 물질로서 융모 영양막(ACT)을 지니는 양막을 포함하였고, 분리된 융모 영양막(CT), 융모막(CM), 영양막(T), 양막(AM), 및 양막과 융모막(A/C) 둘 다를 정제하고 동결보존된(최종 생성물) 조직을 시험하였다.Placental tissue samples representing the different steps of the presently disclosed manufacturing process were used for immunogenicity testing. These samples included amniotic membrane with chorionic villus (ACT) as a starting material and isolated chorionic villus (CT), chorionic membrane (CM), trophoblast (T), amniotic membrane (AM),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ic membrane (A / Both were purified and cryopreserved (end product) tissue was tested.

MLR 분석을 위해, 태반 조직으로부터의 세포를 280U/mL의 II형 콜라게나제(워싱턴(Worthington), 카탈로그 번호 4202)를 이용하여 단리시켰다. 조직을 60 내지 90분 동안 37℃±2℃에서 효소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나서, 얻어진 세포 현탁액을 100㎛ 필터를 통해 여과시켜 조직 파편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단일 세포 현탁액을 베크만(Beckman), TJ-6을 이용하여 2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DPBS를 이용하여 2회 세척하였다. 각각의 세척 후에 상청액을 폐기하고, 세포를 2mL의 DMEM(인비트로젠(Invitrogen), 카탈로그 번호 11885) 중에서 재현탁시키고 나서, 트립판 블루 염료(인비트로젠, 카탈로그 번호 15250-061)의 존재 하에 세포를 계수화함으로써 세포 수 및 세포 생존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태반 유래 세포를 5% 소 태아 혈청(FBS)으로 보충한 DMEM 중의 24-웰 배양 플레이트 내 1:5의 비로 동종이계 hPBMC와 혼합하고 나서, 37℃±2℃에서 5% CO2, 95% 습도를 함유하는 인큐베이터에서 4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hPBMC)를 단독으로 음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고, 2명의 상이한 공여자로부터 유래된 hPBMC의 2개 세트의 혼합물을 양성 MLR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4일의 인큐베이션 후에, 세포를 웰로부터 수집하고, 프로테아제 저해제 칵테일(로슈(Roche), 카탈로그 번호 11836153001)로 보충한 용해 완충제(시그마(Sigma), 카탈로그 번호 C2978)를 이용하여 용해시키고 나서, IL-2Rα를 제조업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IL-2Rα ELISA 키트(알앤디 시스템즈(R&D Systems), 카탈로그 번호 SR2A00)를 이용하여 세포 용해물 중에서 측정하였다.For MLR analysis, cells from placental tissue were isolated using 280 U / mL type II collagenase (Worthington, catalog number 4202). Tissue was treated with enzyme at 37 ° C ± 2 ° C for 60 to 90 minutes and then the resulting cell suspension was filtered through a 100 μm filter to remove tissue debris. The single cell suspension was then centrifuged at 2000 rpm for 10 minutes using Beckman, TJ-6 and washed twice with DPBS. The supernatant was discarded after each wash and the cells were resuspended in 2 mL of DMEM (Invitrogen, Cat. # 11885) and then resuspended in the presence of Trypan blue dye (Invitrogen, catalog # 15250-061) Cells were enumerated and evaluated for cell number and cell viability. Placenta derived cells were mixed with homologous hPBMC at a ratio of 1: 5 in a 24-well culture plate in DMEM supplemented with 5% fetal bovine serum (FBS) and then incubated at 37 ° C ± 2 ° C with 5% CO 2 , 95% Lt; / RTI &gt; for 4 days.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hPBMC) were used alone as negative controls and a mixture of two sets of hPBMCs derived from two different donors was used as a positive MLR control. After 4 days of incubation the cells were harvested from the wells and lysed with lysis buffer supplemented with protease inhibitor cocktail (Roche, Cat # 11836153001) (Sigma, Cat # C2978) 2R [alpha] was measured in cell lysates using the IL-2R [alpha] ELISA kit (R & D Systems, catalog number SR2A00)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protocol.

IL-2Rα 수준은 동종이계 세포에 의해 발현된 면역원성 분자에 반응하는 T 세포의 활성화 측정이다. 도 8 및 도 9에 제시된 결과는 최종 생성물의 낮은 면역원성을 야기하는 태반막의 제조방법을 입증한다.IL-2R [alpha] levels are measures of activation of T cells that respond to immunogenic molecules expressed by allogeneic cells. The results presented in Figures 8 and 9 demonstrate a method of producing placental membranes resulting in low immunogenicity of the final product.

도 8은 제조과정이 태반 생성물의 면역원성을 연속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을 입증한다. 제조과정의 상이한 단계를 나타내는 샘플을 hPBMC와 함께 4일 동안 공동배양시켰다. IL-2Rα를 T-세포 활성화의 마커로서 세포 용해물 중에서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면역 세포 활성화의 기저 수준을 나타낸다: 하나의 공여자로부터 유래된 PBMC를 단독으로 배양시켰다. 양성 대조군: 2명의 상이한 공여자로부터 유래된 PBMC의 혼합물.Figure 8 demonstrates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continuously reduces the immunogenicity of placental products. Samples representing the different step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were co-incubated with hPBMC for 4 days. IL-2R [alpha] was measured in cell lysates as a marker of T-cell activation. Negative controls indicate basal levels of immune cell activation: PBMCs derived from one donor were cultured alone. Positive Control: A mixture of PBMCs derived from two different donors.

도 9는 동결보존 시 면역원성의 상당한 감소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면역원성의 선택적 고갈이 본 태반 생성물을 생성하는 본 동결보존 과정으로부터 초래된다는 것을 입증한다.Figure 9 demonstrates that selective depletion of immunogenicity results from the present cryopreservation process that produces the placenta product, as evidenced by a significant reduction in immunogenicity upon cryopreservation.

실시예 10.2 태반막 세포에 의한 LPS-유도 TNF-α 분비Example 10.2 LPS-Induced TNF-a Secretion by Placental Membrane Cells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양막 및 융모막 내 존재하는 태아 대식세포는 조직 면역원성의 주된 공급원이다. 이론에 의해 구속되는 일 없이,본 발명자들은 태반막으로부터 CD14+ 태아 대식세포가 림프구의 활성화를 방지하고, 염증 사이토카인 분비 및 조직 면역원성 수준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믿는다. 태아 태반막 내 대식세포는 TNF-α와 같은 염증 사이토카인의 분비에 의한 박테리아 LPS에 반응한다. 따라서, LPS에 반응하는 TNF-α의 분비는 각각의 중요한 제조 단계에서 태반막의 조직 면역원성을 특성규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다. 각각의 제조 단계로부터의 샘플은 영양막(T), 양막과 융모 영양막(ACT), 융모 영양막(CT), 융모막(CM), 및 양막(AM)을 포함하였다.As described herein, fetal macrophages present in the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are the major sources of tissue immunogenicity. Without being bound by theory, the inventors believe that CD14 + fetal macrophages from placental membranes prevent lymphocyte activation and reduce 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 and tissue immunogenicity levels. Macrophages in the fetal placenta respond to bacterial LPS by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α. Thus, secretion of TNF-a responsive to LPS is used herein to characterize tissue immunogenicity of placental membranes at each critical manufacturing step. Samples from each of the manufacturing steps included a nutrient (T),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ic villus (ACT), chorionic villus (CT), chorionic membrane (CM), and amniotic membrane (AM).

중간물 및 최종 생성물을 나타내는 태반막 조각(2㎝ x 2cm)을 조직 배양 배지에 넣었고, 20 내지 24시간 동안 박테리아 LPS(1㎍/mL)에 노출시켰다. 이어서, 조직 배양 상청액을 수집하고 나서, 제조업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TNF-α ELISA 키트(알앤디 시스템즈)를 이용하여 TNF-α의 존재에 대해 시험하였다. 고수준의 TNF-α의 분비에 의해 LPS에 반응하는 단핵구를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간 hPBMC(세라케어(SeraCare))를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LPS 없이 hPBMC 및 태반 조직을 분석에서 대조군으로서 포함시켰다. 이 분석에서, 자발적 그리고 LPS-유도 TNF-α 분비 둘 다에 대해 약 70pg/㎠(280pg/mL에 대응) 초과의 배양 배지에서 검출된 TNF-α를 면역원성으로 고려하였다(문헌[Fortunato, et al.1996] 참조).Placental membrane fragments (2 cm x 2 cm) representing the intermediate and final products were placed in tissue culture media and exposed to bacterial LPS (1 μg / mL) for 20-24 hours. The tissue culture supernatant was then collected and then tested for the presence of TNF- [alpha] using the TNF-alpha ELISA kit (R & D Systems)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protocol. Human hPBMC (SeraCare), known to contain monocytes reactive with LPS by secretion of high levels of TNF-a,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HPBMC and placental tissue without LPS were included as controls in the analysis. In this assay, TNF-a detected in culture media in excess of about 70 pg / cm2 (corresponding to 280 pg / mL) for both spontaneous and LPS-induced TNF-a secretion was considered immunogenicity (Fortunato, et al. 1996).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과정은 태반 생성물의 면역원성을 연속적으로 감소시킨다. AM 및 CM은 1397.1 및 917.2pg/ml에서 각각 ACT 및 CT에 비교하여 23.5 및 40pg/ml TNF-α 분비만을 가졌다. LPS가 없는 배지에서 배양시킨 조직은 TNF-α 분비의 기저 수준을 나타낸다. 고수준의 TNF를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진 PBMC를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As shown in FIGS. 10A and 10B, the manufacturing process continuously reduces the immunogenicity of the placental product. AM and CM had only 23.5 and 40 pg / ml TNF-a secretion at 1397.1 and 917.2 pg / ml compared to ACT and CT, respectively. Tissue cultured in LPS-free medium represents the basal level of TNF-a secretion. PBMCs known to secrete high levels of TNF were used as positive control.

융모영양막(CT)은 무결함 영양막과 함께 융모막을 포함한다. 고수준의 TNF-α를 분비한 CT 막을 2명의 상이한 PBMC 공여자에 대해 MLR에서 시험하였다(도 11). CT 세포를 4일 동안 PBMC와 함께 배양시켰다. IL-2Rα를 T-세포 활성화의 마커로서 세포 용해물 중에서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 2명의 상이한 공여자로부터 유래된 PBMC의 혼합물.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분석 결과는 MLR 데이터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LPS에 반응하여 고수준의 TNF-α를 생성하는 조직은 MLR 분석에서 면역원성이다.The chorionic villus (CT) contains the chorion together with a deficient hypertrophic membrane. CT membranes secreting high levels of TNF-a were tested in the MLR for two different PBMC donors (Figure 11). CT cells were cultured with PBMC for 4 days. IL-2R [alpha] was measured in cell lysates as a marker of T-cell activation. Positive Control: A mixture of PBMCs derived from two different donors. As can be seen in Figure 11,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orrelate with MLR data: tissues that produce high levels of TNF-a in response to LPS are immunogenic in MLR analysis.

결론적으로, 저수준의 TNF-α 및 AM 및 CM에 의한 LPS에 대한 반응의 부재는 본 기법에 기재한 예시적인 동결보존 방법이 양막 및 융모막으로부터 생존가능한 기능성 대식세포를 제거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는 이러한 동종이계 생성물의 안전성을 보장한다는 것을 나타낸다.In conclusion, the absence of a response to low levels of TNF-α and LPS by AM and CM indicates that the exemplary cryopreservation method described in this technique removes viable functional macrophages from the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Indicating that the safety of the product is guaranteed.

태반막 내에 존재하는 세포의 특성규명Characterization of Cells in the Placental Membrane

실시예 11 형광 활성화 세포 분류(FACS)에 의한 태반 세포의 분석Example 11 Analysis of placental cells by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ACS)

양막 및 융모막의 세포 조성물을 아는 것은 상처 치유 및 면역원성에서 잠재적 기능성 역할의 철저한 이해를 연구하는데 중요하다. 이전의 보고는 양막과 융모막이 둘 다 다중 세포 유형을 함유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양막과 융모막 둘 다에 대해 동정한 기질 세포에 추가로, 양막은 또한 상피세포를 함유한다. 양막 또는 융모막 중 하나 내에 태아 혈관이 없지만, 막은 둘 다 상주하는 태아 대식세포를 포함한다. 모체 혈액 순환 및 탈락막에 대한 근접성은 면역원성 세포(모 백혈구 및 영양막 세포)의 잠재적 공급원을 제공하며, 따라서 면역원성의 잠재적 공급원이다. 양막 및 융모막의 세포 조성물을 조사하기 위해, 형광 활성화 세포 분류(FACS) 분석을 수행하였다. 데이터는 양막에 대한 태아 상피 세포, 및 융모막에 대한 기질 세포에 추가로 기질 세포의 존재를 입증하였다. 현재 개시된 태반 조성물의 한 가지 독특한 특징은 (상피세포 및 섬유아세포에 추가로) 상처 치유에 중요한 3가지 세포 유형 중 하나가 되는 것으로 나타난 MSC의 존재이다.Knowing the cellular composition of the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are important for studying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functional roles in wound healing and immunogenicity. Previous reports have demonstrated that both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ic membrane contain multiple cell types. In addition to stromal cells identified for both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amniotic membrane also contains epithelial cells. Fetal blood vessels are absent in either the amniotic membrane or chorion, but the membranes contain both fetal macrophages in which they reside. Proximity to maternal blood circulation and decidual membranes provides a potential source of immunogenic cells (monocytes and trophoblast cells) and is thus a potential source of immunogenicity.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ACS)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mniotic and chorionic cell compositions. The data demonstrate the presence of stromal cells in fetal epithelial cells for amniotic membrane, and stromal cells for chorion. One unique feature of the presently disclosed placental composition is the presence of MSCs (in addition to epithelial cells and fibroblasts) which appears to be one of three cell types important for wound healing.

실시예 11.1 FACS 절차: 단일 세포 현탁액 제조Example 11.1 FACS Procedure: Single cell suspension preparation

정제된 양막 및 융모막을 FACS를 통한 세포 표현형 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양막 및 융모막으로부터의 세포를 280U/mL 콜라게나제 II형(워싱턴, 카탈로그 번호 4202)을 이용하여 단리시켰다. 조직을 60 내지 90분 동안 37℃±2℃에서 효소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나서, 얻어진 세포 현탁액을 100㎛ 필터를 통해 여과시켜 조직 파편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단일 세포 현탁액을 베크만(Beckman), TJ-6을 이용하여 2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DPBS를 이용하여 2회 세척하였다. 상청액을 각각의 세척 후 폐기하고 나서, 세포를 2mL의 FACS 염색 완충제(DPBS + 0.09% NaN3 +1% FBS) 중에서 재현탁시켰다.Purified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were used for cell phenotype analysis via FACS. Cells from the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were isolated using 280 U / mL collagenase type II (Washington, catalog # 4202). Tissue was treated with enzyme at 37 ° C ± 2 ° C for 60 to 90 minutes and then the resulting cell suspension was filtered through a 100 μm filter to remove tissue debris. The single cell suspension was then centrifuged at 2000 rpm for 10 minutes using Beckman, TJ-6 and washed twice with DPBS. After discarding the supernatant after each wash, the cells were resuspended in 2 mL of FACS staining buffer (DPBS + 0.09% NaN 3 + 1% FBS).

실시예 11.2 특정 세포 마커에 대한 면역표지 세포Example 11.2 Immunoassay for specific cell markers

일단 단일 세포 현탁액을 실시예 11.1에 따라 제조하면, 100μL의 FACS 염색 완충제 중의 최소 1x105개 세포를 형광염료로 표지한 항체로 처리하였다. 표 7은 사용한 항체의 설명을 제공한다. 세포 표면 마커에 대해, 세포를 암실 실온에서 30분 동안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시킨 후, 베크만(Beckman) TJ-6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5분 동안 1300rpm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FACS 염색 완충제를 이용하여 2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400μL의 FACS 염색 완충제 중에서 재현탁시키고 나서, BD FACS칼리버(BD FACSCalibur)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세포 생존도를 평가하기 위해, 10μL의 7-AAD(7-아미노-악티노마이신 D) 시약(BD, 카탈로그 번호 559925)을 초기 FACS 분석 직후에 첨가하고 다시 분석하였다. 세포내 염색을 위해, 세포를 침투시키고, 제조업자의 권고(BD 사이토픽스/사이토펌(BD Cytofix/Cytoperm), 카탈로그 번호 554714)에 따라 표지하고 나서, BD FACS칼리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Once a single cell suspens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1.1, at least 1x10 &lt; 5 &gt; cells in 100 [mu] L of FACS staining buffer were treated with a fluorescent dye labeled antibody. Table 7 provides a description of the antibodies used. For cell surface markers, cells were incubated with antibody for 30 minutes in darkness room temperature, then centrifuged at 1300 rpm for 5 minutes using Beckman TJ-6 centrifuge and centrifuged twice using FACS staining buffer And washed. The cells were then resuspended in 400 [mu] L of FACS staining buffer and then analyzed using a BD FACScalibur flow cell analyzer. To assess cell viability, 10 μL of 7-AAD (7-amino-actinomycin D) reagent (BD, catalog number 559925) was added immediately after the initial FACS analysis and analyzed again. For intracellular staining, cells were infiltrated and labeled according to manufacturer's recommendations (BD Cytofix / Cytoperm, catalog number 554714) and analyzed using a BD FACS caliber flow cytometer.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09

실시예 12 태반 세포의 표현형 분석Example 12 Expression Analysis of Placental Cells

양막과 융모막 둘 다의 단일 세포 현탁액의 FACS 분석은 막이 둘 다 MSC의 존재와 연루된 간충직 줄기 세포에 특이적인 세포 발현 마커, 예컨대 CD105 및 CD166 (표 7에 언급)을 함유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추가로, CD14를 발현시키는 매우 소수의 태반 대식세포를 검출하였다. CD14+ 태반 대식세포 상에서 더 발현될 가능성이 있는 일부 면역원성 마커를 검출하였지만, 이들 마커 범위는 매우 넓다. 이들 범위를 다음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1) 태반 공여체 사이의 세포 수의 높은 가변성; 및 2) 세포 현탁액 중의 높은 그리고 가변적인 세포 및 조직 파편의 존재를 포함하는 기술적 문제. 파편을 개폐할 수 있지만, 크기가 세포와 비슷한 파편 입자는 각각의 시험 마커에 대해 계산한 %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표 8은 선택적 CD 마커에 기반한 태반막의 세포 조성물의 특성규명을 나타낸다. 추가로, 표 9는 합류(계대 0 세포)까지 37℃±2℃에서 DMEM 중의 10% FBS 중에서 배양시킨 양막 및 융모막으로부터 단리시킨 세포의 FACS 분석을 제공한다.FACS analysis of single cell suspensions of both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ic membrane demonstrates that both membranes contain cell expression markers specific for hepatocyte stem cells involved in the presence of MSC, such as CD105 and CD166 (refer to Table 7). In addition, very few placenta macrophages expressing CD14 were detected. Some immunogenicity markers that are more likely to be expressed on CD14 + placental macrophages were detected, but these marker ranges are very broad. These ranges can be explained by: 1) high variability of cell numbers between placental donors; And 2) a technical problem involving the presence of high and variable cellular and tissue debris in the cell suspension. Debris particles similar in size to cells that can be opened or closed will affect the accuracy of the% calculated for each test marker. . Table 8 shows the characterization of the cellular composition of the placental membrane based on the selective CD marker. In addition, Table 9 provides FACS analysis of cells isolated from amniotic and chorioamnion cultures cultured in 10% FBS in DMEM at 37 ° C ± 2 ° C to confluence (passage 0 cells).

이들 데이터는 양막 및 융모막으로부터 유래된 세포가 배양 후 MSC와 유사한 표현형을 보유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결론적으로, 태반 조직 내 기질 세포의 존재를 FACS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These data demonstrate that cells from amnion and chorionic villus possess a phenotype similar to MSC after incubation. In conclusion, the presence of stromal cells in placenta tissue was confirmed by FACS analysis.

이들 데이터는 MSC를 함유하는 양막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을 제공하는 본 기술의 특정 실시형태와 일치된다.These data are consistent with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technology to provide a placental product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ontaining MSCs.

선택적 CD Optional CD 마커에On the marker 기반한Based 태반막의Placental membrane 세포 조성물의 특성규명. Characterization of cell compositions. 마커Marker 양막(범위%)Amniotic membrane (range%) 융모막(범위%)Chorion (range%) MSC 마커MSC marker CD105
CD166
CD105
CD166
72.1-88.2
17.3-58.0
72.1-88.2
17.3-58.0
6.4-78.5
4.8-51.5
6.4-78.5
4.8-51.5
조혈세포 마커Hematopoietic cell marker CD14
CD45
CD14
CD45
6.93-10.5
4.4-9.9
6.93-10.5
4.4-9.9
0.9-6.1
4.6-14.7
0.9-6.1
4.6-14.7
면역 공-Immune Ball -
자극 인자Stimulating factor
HLA-DR
CD86
CD40
HLA-DR
CD86
CD40
0-5.6
24.3-49.6
7.0-68.7
0-5.6
24.3-49.6
7.0-68.7
0-14.7
4.9-22.5
2-5.8
0-14.7
4.9-22.5
2-5.8
영양막 마커Nutrition marker 사이토케라틴-7Cytokeratin-7 1.36-4.661.36-4.66 2.71-23.072.71-23.07

태반 placenta 로트Lot D16으로부터 배양 세포( D16 to cultured cells ( 계대Pass 0)의0) of FACSFACS 분석. analysis. 세포 표면 마커Cell surface marker 양막(%)amnion(%) 융모막(%)Chorion (%) CD45CD45 2.182.18 0.530.53 CD166CD166 92.7792.77 82.6282.62 CD105CD105 83.0283.02 86.7386.73 CD49aCD49a 92.2892.28 92.2692.26 CD73CD73 89.5789.57 94.5794.57 CD41aCD41a -0.03-0.03 -0.05-0.05 CD34CD34 -0.23-0.23 -0.25-0.25 HLA-DRHLA-DR -0.23-0.23 -0.19-0.19 CD19CD19 -0.19-0.19 -0.22-0.22 CD14CD14 -0.25-0.25 -0.27-0.27 CD90CD90 99.1299.12 98.0098.00

실시예 13 태반 생성물로부터 유래된 세포의 접착.Example 13 Adhesion of cells derived from placenta products.

특정 세포 마커의 존재에 추가로, 그것이 정상 배양 조건 하에서 접착 특성을 나타내고 섬유아세포 유사 형태를 가진다면 MSC로서 분류할 수 있다. 세포를 본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은 양막 및 융모막으로부터 단리시키고, MSC 배지에 플레이팅 하고 나서, 그들이 합류에 도달될 때까지 37℃±2℃에서 배양시켰다. 이어서, 스틱 배양 접시에 접착되는 그들의 능력을 평가하였다.In addition to the presence of specific cell markers, it can be classified as an MSC if it exhibits adhesive properties under normal culture conditions and has fibroblast-like morphology. Cells were isolated from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as described in this technique and plated in MSC medium and then incubated at 37 ° C ± 2 ° C until they reached confluence. Then, their ability to be adhered to a stick culture dish was evaluated.

도 12는 양막(도 12a) 및 융모막(도 12b)으로부터 단리 및 배양한 세포의 플라스틱 접착을 입증하는데, 이는 인간 골수 흡입물로부터 단리 및 확장된 MSC와 유사하다(도 12c). 이들 데이터는 양막 및 융모막으로부터 유래된 세포가 MSC와 유사한 표현형을 보유한다는 것을 나타낸다.Figure 12 demonstrates plastic adhesion of cells isolated and cultured from amniotic membrane (Figure 12a) and chorion (Figure 12b), similar to isolated and expanded MSCs from human bone marrow ash (Figure 12c). These data indicate that cells derived from the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ic villus possess a phenotype similar to MSC.

추가로, MSC는 또한 상이한 결합조직 유형으로 분화되는 그들의 능력에 의해 나타낸다. 따라서, 골형성 분화를 겪는 태반 유래 세포의 능력을 시험하였다. 태반 세포를 단리시키고 나서, 그들이 합류에 도달될 때까지 37℃±2℃에서 배양시켰다. 이어서, 골형성 배지를 배양물에 첨가하고 나서, 알칼리 포스파타제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알칼리 포스파타제는 뼈의 무기염화에 수반된 효소이며, 잘 알려진 골형성 마커이다. 도 12d는 몇몇 세포를 알칼리 포스파타제 발현을 나타내는 보라색 염료를 이용하여 염색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태반막 내 존재하는 MSC가 그들의 분화 가능성을 보유한다는 것을 입증한다.In addition, MSCs are also represented by their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different connective tissue types. Thus, the ability of placenta-derived cells to undergo osteogenic differentiation was tested. Placental cells were isolated and then incubated at 37 ° C ± 2 ° C until they reached confluence. The osteogenic medium was then added to the culture and the expression of alkaline phosphatase was measured. Alkaline phosphatase is an enzyme involved in the inorganic chloride of bone and is a well known bone formation marker. Figure 12d shows that some cells are stained with a purple dye that exhibits alkaline phosphatase expression. This demonstrates that MSCs present in placental membranes retain their potential for differentiation.

치료 인자Therapeutic factor

실시예 14 동결보존은 태반막에서 치료인자 수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Example 14 Cryopreservation does not impair therapeutic factor levels in placental membranes

본 발명자들은 동결보존 처리가 상처 치유에 중요한 성장인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처음 연구하였다. 혈관 내피성장인자(VEGF)를 선택하였는데, 그것이 신생혈관생성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하기 때문이다. VEGF을 8M 구아니딘 염산염(GuHCl) 용액, 비드 균질기, 및 24 시간 동안 GuHCl 용액과 함께 인큐베이션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새로운 양막 및 동결보존된 양막 생성물(본 기술에 의해 기재한 바와 같음)로부터의 VEGF 발현을 제조업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효소-결합 면역흡착분석(ELI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13의 결과는 본 기술에 기재한 절차를 이용하여 막을 동결보존함으로써, 새로운 막에 비해 성장인자 발현의 상실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The inventors first investigated whether cryopreservation affects the level of growth factors important for wound healing.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was chosen because it is important in promoting angiogenesis. VEGF was extracted using incubation with 8 M guanidine hydrochloride (GuHCl) solution, bead homogenizer, and GuHCl solution for 24 hours. VEGF expression from new amnion and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products (as described by the present technology) was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ant assay (ELISA)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protocol. The results in Figure 13 show that there is no loss of growth factor expression relative to the new membrane by cryopreserving the membrane using the procedure described in the art.

실시예 15 치료 인자 분석Example 15 Analysis of therapeutic factors

양막 및 융모막의 단백질 프로파일을 서치라이트 멀티플렉스(SearchLight Multiplex) 화학발광 어레이 또는 ELISA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조직막 추출물 내의 그리고 배양 배지 내 조직에 의해 분비되는 단백질의 존재를 연구하였다. 시험은 상처 치유에 중요한 단백질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동정한 단백질 목록을 표 10에 기재한다.Protein profiles of amnion and chorion were studied using a SearchLight Multiplex chemiluminescence array or ELISA. The presence of proteins secreted by tissue membrane extracts and by tissue in culture media was studied. The test consisted of protein analysis important for wound healing. Table 10 lists the identified proteins.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0

실시예 15.1 치료 인자 프로파일링을 위한 양막 및 융모막 샘플의 제조Example 15.1 Preparation of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ic villus samples for therapeutic factor profiling

양막 및 융모막을 단리시키고,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 1 및 2에서 개시한 제조 프로토콜에 따라 -80℃±5℃에서 패키징하였다. 이어서 패키징한 막을 37℃±2℃ 수욕에서 해동시키고 나서, DPBS로 3회 세척하였다. 막을 8㎠ 조각으로 절단하였다. 조직 용해물 샘플에 대해, 막의 하나의 8㎠ 조각을 액화 질소 중에서 순간 냉동시키고,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한 조직을 1.5mL 마이크로원심분리관에 옮기고 나서, 프로테아제 저해제(로슈, 카탈로그 번호 11836153001)와 함께 500μL의 용해 완충제(세포 신호전달 기법, 카탈로그 번호 9803)를 첨가하고 나서, 빈번하게 교반시키면서 30분 동안 얼음 상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이어서, 조직 용해물을 16000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시켰다. 상청액을 수집하고 나서, 오숀 바이오시스템즈(Aushon Biosystems)에 의한 단백질 어레이 분석을 위해 보냈다. 상청액 샘플에 대해, 막의 1개의 8㎠ 조각을 12-웰 접시의 웰에 플레이팅하고 나서, 2mL의 DMEM +1% HSA+ 항생제/항진균제를 첨가하고 나서, 37℃±2℃에서 3, 7 또는 14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인큐베이션 후, 조직 및 배양 배지를 15mL 원심관에 옮기고 나서, 20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시켰다. 배양 상청액을 수집하고 나서, 오숀 바이오시스템즈에 의한 단백질 어레이 분석을 위해 보냈다.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were isolated and packaged at -80 ° C ± 5 ° C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tocol described in Examples 1 and 2 herein. The packaged membrane was then thawed at 37 占 폚 占 2 占 폚 water bath and then washed three times with DPBS. The membrane was cut into 8 cm 2 pieces. For the tissue melt sample, one 8 cm 2 piece of membrane was instantaneously frozen in liquefied nitrogen and ground using a mortar. The pulverized tissue was transferred to a 1.5 mL microcentrifuge tube and then 500 μL of a lysis buffer (cell signaling technique, Catalog No. 9803) was added with a protease inhibitor (Roche, catalog number 11836153001) and then incubated for 30 minutes Lt; / RTI &gt; on ice. The tissue lysate was then centrifuged at 16000 g for 10 minutes.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then sent for protein array analysis by Aushon Biosystems. For the supernatant sample, one 8 cm 2 piece of membrane was plated into the wells of a 12-well dish and then 2 mL of DMEM + 1% HSA + antibiotic / antifungal agent was added followed by 3, 7 or 14 Lt; / RTI &gt; After incubation, the tissue and culture medium was transferred to a 15 mL centrifuge tube and then centrifuged at 2000 rpm for 5 minutes. The culture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then sent for protein array analysis by Oshon Biosystems.

실시예 15.2 조직 용해물 중에 존재하는 치료 인자Example 15.2 Therapeutic Factors Present in Tissue Seawater

태반 생성물 용해물을 조직 수복에 중요한 단백질의 존재에 대해 분석하였다. 표 11은 본 기술의 예시적인 태반 조직 생성물의 용해물의 생화학적 프로파일을 도시한다.Placenta product lysates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proteins important for tissue repair. Table 11 shows the biochemical profile of a lysate of an exemplary placental tissue product of the art.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2

실시예 15.3 14일의 기간에 걸친 치료 인자의 지속적 방출Example 15.3 Continuous release of therapeutic agent over a period of 14 days

본 기술의 태반 생성물은 또한 상처 치유 치료에 바람직한 지속적 효과를 입증한다. 세포외 기질 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양막 내의 생존 세포의 존재는 적어도 14일 동안 제공될 상처 치유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의 칵테일을 허용한다. 양막을 해동시키고, 조직 배양 웰 상에 플레이팅하고 나서, 37℃±2℃에서 3, 7 및 14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각각의 시점에, 배양 상청액 샘플을 수집하고 나서, 실시예 15.1에 기재한 바와 같은 단백질 어레이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표 12는 단백질 어레이 분석을 통해 측정한 바와 같이 3, 7 및 14일에 양막 로트의 조직 배양 상청액 중의 다양한 선택 인자 수준을 설명한다.The placental products of the present technology also demonstrate a sustained effect desirable for wound healing therapies. The presence of extracellular matrix and viable cells in the amniotic membrane described herein allows cocktails of proteins known to be important for wound healing to be provided for at least 14 days. The amniotic membrane was thawed, plated on tissue culture wells, and incubated at 37 ° C ± 2 ° C for 3, 7 and 14 days. At each time point, culture supernatant samples were collected and then measured by protein array analysis as described in Example 15.1. Table 12 illustrates various selective factor levels in tissue culture supernatants of amniotic membrane lots at 3, 7 and 14 days as determined by protein array analysis.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4

실시예Example 15.4 양막 내 인터페론  15.4 Amniotic interferon (( IFNIFN -- ) 및 형질전환 성장 인자-)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3β3 (TGF-β3)의 존재 (TGF-β3)

인터페론-α 및 TGF-β3은 다양한 조직에서 섬유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사이토카인/성장인자이다. 임상적으로, IFN-2α 및 TGF-β3은 흉터 및 구축 형성의 방지에 의해 상처 치유를 조절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Ishida, Kondo et al. 2004; Ferguson, Duncan et al. 2009). IFN-2α는 섬유아세포 증식을 저해하고, 콜라겐 및 피브로넥틴 합성 및 섬유아세포-매개 상처 구축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Wang, Crowston et al. 2007). 임상적으로, IFN-2α는 피하로 투여되고 흉터질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Nedelec et al, Lab Clin Med 1995, 126:474). TGF-β3은 세포외 기질의 침착을 조절하고, 설치류 경피 상처 모델에서 주사할 때 흉터 형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적으로, TGF-β3은 상처 부위에 주사할 때 흉터 외괸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Occleston et al., J Biomater Sci Polym Ed 2008, 19:1047). TGF-β3은 섬유아세포-근섬유아세포 분화를 조절하고, 전섬유화(profibrotic) 유전자 전사를 제한하는 TGF-β1 길항제로서 작용한다(Chang, Kishimoto et al. 2014).Interferon-a and TGF-b3 are cytokine / growth factors that are known to reduce fibrosis in a variety of tissues. Clinically, IFN-2α and TGF-β3 have been implicated in the regulation of wound healing by preventing scarring and build-up (Ishida, Kondo et al., 2004; Ferguson, Duncan et al. IFN-2alpha inhibits fibroblast proliferation and may play a role in reducing collagen and fibronectin synthesis and fibroblast-mediated wound formation (Wang, Crowston et al. 2007). Clinically, IFN-2 alpha has been shown to be administered subcutaneously and to improve scarring (Nedelec et al, Lab Clin Med 1995, 126: 474). TGF-β3 modulates the deposition of extracellular matrix and reduces scar formation when injected in a rodent transcutaneous wound model. Clinically, TGF-β3 has been shown to improve scarring when injected at wound sites (Occleston et al., J Biomater Sci Polym Ed 2008, 19: 1047). TGF-β3 functions as a TGF-β1 antagonist that regulates fibroblast-myofibroblast differentiation and limits profibrotic gene transcription (Chang, Kishimoto et al. 2014).

본 기술에 기재된 태반 생성물을 IFN-2α 및 TGF-β3의 존재에 대해 분석하였다. 간략하게, 해동 후에, 막을 균질화시키고, 16,000g에서 원심분리시켜 얻어진 상청액을 수집한다. 상청액을 맙테크(MabTech)(IFN-2α) 및 알앤디 시스템즈(TGF-β3)로부터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ELISA 키트 상에서 분석하였다. 도 14는 태반 생성물 세포분쇄액 중의 IFN-2α (A) 및 TGF-β3 (B)의 상당한 발현을 나타낸다.The placental products described in this technique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IFN-2 alpha and TGF- beta 3. Briefly, after thawing, the membranes are homogenized and the supernatant obtained by centrifugation at 16,000 g is collected. The supernatants were analyzed on a commercially available ELISA kit from MabTech (IFN-2 alpha) and from Ald Systems (TGF- beta 3). Figure 14 shows significant expression of IFN-2? (A) and TGF-? 3 (B) in the placental product cell lysate.

실시예Example 15.5 양막 및 융모막  15.5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ic membrane 내 bFGF의My bFGF 존재 existence

bFGF는 신생혈관생성, 조직 수복 및 상처 치유를 포함하는 다양한 세포 처리를 조절한다(Presta et al., 2005, Reuss et al., 2003, 및 Su et al., 2008). 상처 치유 모델에서, bFGF는 상처 봉합을 증가시키고, 상처 부위에서 혈관 형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Greenhalgh et al., 1990). 현재 개시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양막 및 융모막으로부터 유래된 단백질의 평가는 bFGF가 태반 조직 단백질 추출물 내 주요 인자 중 하나라는 것을 나타내었다. 도 14B는 태반막의 단백질 프로파일 평가 동안 검출된 두 공여자로부터의 양막 (AM) 및 융모막(CM)에 의한 bFGF의 발현을 도시한다.bFGF regulates a variety of cellular processes including neovascularization, tissue repair and wound healing (Presta et al., 2005, Reuss et al., 2003, and Su et al., 2008). In wound healing models, bFGF has been shown to increase wound closure and improve angiogenesis at wound sites (Greenhalgh et al., 1990). Evaluation of proteins derived from the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from the cholestatic membranes prepared by the presently disclosed production method indicates that bFGF is one of the major factors in placental tissue protein extract. Figure 14B shows the expression of bFGF by amniotic membrane (AM) and chorionic membrane (CM) from two donors detected during protein profile evaluation of the placental membrane.

실시예Example 15.6 양막 내 태반 성장 인자  15.6 Amniotic placental growth factor PLGFPLGF (( PLGFPLGF ) 및 인슐린 성장 인자-1 (IGF-1)의 존재) And the presence of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이론에 의해 구속되는 일 없이, 본 발명자들은 상처 수복을 위한 본 태반 생성물의 효능이 중요한 세포 처리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조직의 발생 및 항상성에서의 BMP, IGF-1 및 PlGF의 역할에 부분적으로 기인한다는 것을 믿는다. BMP-2 및 BMP-4는 세포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에 추가로 MSC의 조골세포로의 분화를 자극할 수 있고; 태반 BMP 또는 PLAB는 배아 발생을 매개하는 것으로 시사된 BMP 패밀리의 신규한 구성원이다.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1(IGF-1)는 골전구 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태반 유래 성장 인자(PlGF)는 조골세포에 대한 미토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Without being bound by theory, the inventors believe that the efficacy of the present placental product for wound restoration is due in part to the role of BMP, IGF-1 and PlGF in the development and homeostasis of various tissues by modulating cellular processes that are important Believe. BMP-2 and BMP-4 can stimulate the differentiation of MSC into osteoblasts in addition to promoting cell growth; Placental BMP or PLAB is a novel member of the BMP family suggested to mediate embryonic development.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can promote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bone progenitor cells. Placenta-derived growth factor (PlGF) can act as a mitogen for osteoblasts.

본 기술에 기재된 태반 생성물은 조직 수복 단백질의 존재에 대해 분석하였다. 간략하게, 해동 생성물을 DMEM + 10% FBS 중에서 7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이어서, 막을 배양 배지와 함께 비드 균질기 내에서 균질화시켰다. 세포분쇄액을 원심분리시키고 나서, 상청액을 알앤디 시스템즈로부터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ELISA 키트 상에서 분석하였다.The placental products described in this technique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tissue repair proteins. Briefly, the thawed product was incubated in DMEM + 10% FBS for 72 hours. The membranes were then homogenized in a bead homogenizer with the culture medium. The cell lysate was centrifuged and then the supernatant was analyzed on a commercially available ELISA kit from Alded Systems.

도 15는 양막의 몇몇 공여자에서 BMP-2, BMP-4, BMP-7, PLAB, PlGF 및 IGF-1의 상당한 발현을 나타낸다.Figure 15 shows significant expression of BMP-2, BMP-4, BMP-7, PLAB, PlGF and IGF-1 in some donors of the amniotic membrane.

실시예 15.7 양막 내 α2-마크로글로불린의 존재Example 15.7 Presence of? 2-macroglobulin in the amniotic membrane

α2-마크로글로불린은 모두 4가지의 메커니즘적 분류로부터의 프로테이나제(세린 프로테이나제, 시스테인 프로테이나제, 아스파르트산 프로테이나제 및 메탈로프로테이나제)를 비활성화시키는 혈장 단백질로서 알려져 있다. 이 단백질의 다른 중요한 기능은 사이토카인 및 성장인자의 저장소로서 작용하는데, 이의 예는 TGF, PDGF 및 FGF를 포함한다. 당뇨성 궤양 또는 정맥 궤양과 같은 만성 상처에서, 고량의 프로테아제의 존재가 성장인자의 빠른 분해 및 상처 치유의 지연을 야기한다. 따라서, 만성 상처 치유에 대해 설계한 생성물 중의 α2-마크로글로불린의 존재가 유리할 것이다. 단백질 어레이 분석 결과는 양막 및 융모막이 α2-마크로글로불린을 함유한다는 것을 나타낸다(표 13). 이들 예비 데이터는 공여자 사이의 높은 가변성을 나타내지만, 상처 치유에서 이 단백질의 중요성은 단백질 어레이 대신 단일 분석물 ELISA를 이용하는 태반 조직 내 α2-마크로글로불린의 추가적인 평가를 촉진시켰는데, 이는 프로파일링을 위한 하나의 샘플 내 다중 단백질의 존재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도구이다.α2-macroglobulin is a plasma protein that deactivates proteases (serine protease, cysteine protease, aspartate protease and metalloproteinase) from all four mechanistic classes It is known. Other important functions of this protein function as a reservoir of cytokines and growth factors, examples of which include TGF, PDGF and FGF. In chronic wounds such as diabetic ulcers or vein ulcers, the presence of high amounts of protease causes rapid degradation of growth factors and delayed wound healing. Thus, the presence of [alpha] 2-macroglobulin in the product designed for chronic wound healing would be advantageous. Protein array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ic membrane contain alpha 2-macroglobulin (Table 13). Although these preliminary data show high variability among donors, the importance of this protein in wound healing has prompted an additional assessment of a2-macroglobulin in placental tissue using a single analyte ELISA instead of a protein array, It is a useful tool for assessing the presence of multiple proteins in one sample.

이들 데이터는 α2-마크로글로불린을 함유하는 양막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을 제공하는 본 기술의 특정 실시형태와 일치된다.These data are consistent with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technology to provide placental products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ontaining alpha 2-macroglobulin.

태반 조직 단백질 추출물 내 α2-마크로글로불린의 발현.Expression of α2-Macroglobulin in Placenta Tissue Protein Extract. 샘플Sample α 2-마크로글로불린 (pg/mL/ 8㎠)α 2-macroglobulin (pg / mL / 8 cm 2) AM75AM75 77 CM75CM75 790790 AM78AM78 5304253042 CM78CM78 10141014

실시예 16 예시적인 태반 조직 및 2개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생성물에서 치료 인자의 비교Example 16 Comparison of Therapeutic Parameters in Illustrative Placental Tissue and Two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비교를 위해, 살아있는 세포, 더마그래프트 및 애플리그라프를 함유하는 2개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생성물의 프로파일을 서치라이트 멀티플렉스(SearchLight Multiplex) 화학발광 어레이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분석하였다.For comparison, profiles of two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containing living cells, Dermagraft and Applescript were similarly analyzed using a SearchLight Multiplex chemiluminescent array.

실시예 16.1 예시적인 태반 조직 및 2개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생성물의 비교를 위한 프로토콜 Example 16.1 Protocol for comparison of exemplary placental tissue and two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더마그래프트를 시험하기 위해, 막을 해동시키고, 제조업자의 설명서에 따라 세척하였다. 더마그래프트막을 7.5㎠ 조각으로 절단하였다. 조직 용해물에 대해, 막의 하나의 7.5㎠ 조각을 액화 질소 중에서 순간 냉동시키고,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한 조직을 1.5mL 마이크로원심분리관에 옮기고 나서, 프로테아제 저해제(로슈, 카탈로그 번호 11836153001)와 함께 500μL의 용해 완충제(세포 신호전달 기법, 카탈로그 번호 9803)를 첨가하고 나서, 빈번하게 교반시키면서 30분 동안 얼음 상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이어서, 샘플을 16000 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시켰다. 상청액을 수집하고 나서, 오숀 바이오시스템즈(Aushon Biosystems)에 의한 단백질 어레이 분석을 위해 보냈다. 조직 배양물에 대해, 막의 1개의 7.5㎠ 조각을 12-웰 접시의 웰에 플레이팅하고 나서, 2mL의 DMEM +1% HSA+ 항생제/항진균제를 첨가하고 나서, 37℃±2℃에서 3, 7 또는 14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인큐베이션 후, 조직 및 배양 배지를 15mL 원심관에 옮기고 나서, 20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시켰다. 배양 상청액을 수집하고 나서, 오숀 바이오시스템즈에 의한 단백질 어레이 분석을 위해 보냈다.To test the dermagraft, the membranes were thawed and wash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The Durma graft membrane was cut into 7.5 cm 2 pieces. For the tissue lysate, one 7.5 cm 2 piece of membrane was instantaneously frozen in liquefied nitrogen and ground using a mortar bowl. The pulverized tissue was transferred to a 1.5 mL microcentrifuge tube and then 500 μL of a lysis buffer (cell signaling technique, Catalog No. 9803) was added with a protease inhibitor (Roche, catalog number 11836153001) and then incubated for 30 minutes Lt; / RTI &gt; on ice. The sample was then centrifuged at 16000 g for 10 minutes.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then sent for protein array analysis by Aushon Biosystems. For the tissue culture, one 7.5 cm 2 piece of membrane was plated into the wells of a 12-well plate followed by the addition of 2 mL of DMEM + 1% HSA + antibiotic / antifungal agent followed by 3, 7, Lt; / RTI &gt; for 14 days. After incubation, the tissue and culture medium was transferred to a 15 mL centrifuge tube and then centrifuged at 2000 rpm for 5 minutes. The culture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then sent for protein array analysis by Oshon Biosystems.

애플리그라프를 시험하기 위해, 막을 7.3㎠ 조각으로 절단하였다. 조직 용해물에 대해, 막의 하나의 7.3 ㎠ 조각을 액화 질소 중에서 순간 냉동시키고,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한 조직을 1.5mL 마이크로원심분리관에 옮기고 나서, 프로테아제 저해제(로슈, 카탈로그 번호 11836153001)와 함께 500μL의 용해 완충제(세포 신호전달 기법, 카탈로그 번호 9803)를 첨가하고 나서, 빈번하게 교반시키면서 30분 동안 얼음 상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이어서, 샘플을 16000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시켰다. 상청액을 수집하고 나서, 오숀 바이오시스템즈(Aushon Biosystems)에 의한 단백질 어레이 분석을 위해 보냈다. 조직 배양물에 대해, 막의 1개의 7.3㎠ 조각을 12-웰 접시의 웰에 플레이팅하고 나서, 2mL의 DMEM + 1% HSA+ 항생제/항진균제를 첨가하고 나서, 37℃±2℃ 에서 3, 7 또는 14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인큐베이션 후, 조직 및 배양 배지를 15mL 원심관에 옮기고 나서, 20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시켰다. 배양 상청액을 수집하고 나서, 오숀 바이오시스템즈에 의한 단백질 어레이 분석을 위해 보냈다.To test the application, the membrane was cut into 7.3 cm 2 pieces. For tissue lysates, one 7.3 cm2 piece of membrane was instantaneously frozen in liquefied nitrogen and ground using a mortar bowl. The pulverized tissue was transferred to a 1.5 mL microcentrifuge tube and then 500 μL of a lysis buffer (cell signaling technique, Catalog No. 9803) was added with a protease inhibitor (Roche, catalog number 11836153001) and then incubated for 30 minutes Lt; / RTI &gt; on ice. The sample was then centrifuged at 16000 g for 10 minutes.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then sent for protein array analysis by Aushon Biosystems. For the tissue culture, one 7.3 cm 2 piece of membrane was plated into the wells of a 12-well dish and then 2 mL of DMEM + 1% HSA + antibiotic / antifungal agent was added followed by 3, 7, Lt; / RTI &gt; for 14 days. After incubation, the tissue and culture medium was transferred to a 15 mL centrifuge tube and then centrifuged at 2000 rpm for 5 minutes. The culture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then sent for protein array analysis by Oshon Biosystems.

실시예 16.2 예시적인 태반 조직 및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생성물의 제3일 상청액 중에 존재하는 치료 인자Example 16.2 Third Day of Example Placental Tissue and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Therapeutic agents present in the supernatant

단백질 어레이 데이터 분석은 대다수의 선택된 시험 인자(표 11을 지칭)를 양막, 융모막, 애플리그라프 및 더마그래프트에서 발현시켰다. 3종의 단백질을 애플리그라프 및 더마그래프트에서 검출가능하지 않은 양막 및/또는 융모막에 대해 독특한 것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단백질은 EGF, IGFBP1 및 아디포넥틴이다. 상처 치유를 위해 모두 3종의 단백질이 중요하다. 도 16은 양막(AM), 융모막(CM) 및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생성물에서 EGF(a), IGFBP1(b), 및 아디포넥틴(c)의 발현을 도시한다. AM75 및 AM78은 본 기술(예를 들어, 동결보존)의 동결보존된 태반 생성물인 반면, CM75 및 CM78은 동결보존된 융모막 생성물이다. 이들 단백질은 상처 치유를 위한 본 태반 생성물의 치료 효능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해 믿어진다.Protein array data analysis expressed the majority of the selected test agents (designated Table 11) in amniotic membrane, chorionic villus, Applescript and Derma graft. Three proteins were identified as uniqu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 or chorionic membrane which were not detectable in the appliGraphs and Derma grafts. These proteins are EGF, IGFBP1 and adiponectin. All three proteins are important for wound healing. Figure 16 shows the expression of EGF (a), IGFBP1 (b), and adiponectin (c) in amniotic membrane (AM), chorionic membrane (CM) and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AM75 and AM78 are cryopreserved placenta products of the present technology (e.g., cryopreserved) whereas CM75 and CM78 are cryopreserved chorionic villus products. These proteins are believed by the inventors to enable therapeutic efficacy of the present placenta product for wound healing.

이들 데이터는 EGF, IGFBP1, 및/또는 아디포넥틴을 함유하는 양막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을 제공하는 본 기술의 특정 실시형태와 일치된다.These data are consistent with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technology to provide a placental product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ontaining EGF, IGFBP1, and / or adiponectin.

표 14는 본 기술의 예시적인 태반 생성물의 상청액 및 2종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생성물(음성 배경의 차감 후에 8㎠ 마다 조절된 결과)의 생화학적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AM75 및 AM 78은 본 기술의(예를 들어, 동결보존된) 태반 생성물이며, CM75 및 CM78은 동결보존된 융모막 생성물이다.Table 14 shows the biochemical profile of the exemplary placental product supernatant and the two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the present technology (the result being adjusted every 8 cm 2 after subtraction of the negative background). AM75 and AM 78 are placental products of the technology (e.g., cryopreserved), and CM75 and CM78 are cryopreserved chorionic villus products.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5

MMP와 TIMP는 둘 다 상처 치유에 중요한 인자이다. 그러나, 이들 단백질의 발현은 고도로 조절되고 조정되어야 한다. TIMP에 대한 과량의 MMP는 불량한 만성 상처 치유의 마커이다. 본 발명자들은 MMP 및 TIMP의 발현 및 양막 및 융모막에서 그의 비를 연구하였고, 그를 애플리그라프 및 더마그래프트에서 발현 프로파일에 비교하였다.Both MMP and TIMP are important factors in wound healing. However, the expression of these proteins must be highly regulated and regulated. Excessive MMP for TIMP is a marker of poor chronic wound healing. We studied the expression of MMP and TIMP and their ratio in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and compared them to expression profiles in Applescript and Dermagraft.

표 14 및 도 17의 결과는 모든 막이 MMP 및 TIMP를 발현시키지만; 그러나 해동된 태반 생성물 및 융모막에서의 비가 상당히 더 낮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들 막은 상처 치유에 더 유리할 것이다(도 17).The results in Table 14 and Figure 17 show that all membranes express MMP and TIMP; However, it was shown that the ratio in the thawed placenta product and chor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us, these membranes would be more beneficial for wound healing (Figure 17).

축적된 데이터는 MMP 대 TIMP 비가 비치유 상처의 경우에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MMP-9와 TIMP1 사이의 비는 양호한 치유를 위한 것에 대해 대략 7 내지 10이고, 불량한 치유에 대해 18 내지 20 이상이다. 태반 조직, 애플리그라프 및 더마그래프트에 의해 분비되는 MMP와 TIMP 사이의 비의 분석은 양막 및 융모막 생성물이 상처 치유에 바람직한 대략의 비 7로 MMP 및 TIMP를 함유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더마그래프트는 비가 20 초과이며, 애플리그라프는 비가 200 초과이다.The accumulated data indicate that the MMP versus TIMP ratio is higher in the case of non-healing wounds. For example, the ratio between MMP-9 and TIMP1 is approximately 7 to 10 for good healing and 18 to 20 or more for poor healing. Analysis of the ratio between MMP and TIMP secreted by placental tissue, Applescript and Derma graft indicates that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ic villus products contain MMP and TIMP at approximately the ratio 7 desirable for wound healing. In contrast, the Dermagraft has a ratio of more than 20, and Apples has a ratio of more than 200.

이들 데이터는 약 7 내지 10 대 1의 비로 MMP-9 및TIMP1을 함유하는 양막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을 제공하는 본 기술의 특정 실시형태와 일치된다.These data are consistent with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technology to provide a placental product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ontaining MMP-9 and TIMP1 at a ratio of about 7 to 10: 1.

실시예 17 양막 조직 효능을 위한 마커로서 EGF의 확립Example 17 Establishment of EGF as a marker for amniotic membrane efficacy

EGF는 상처 치유에 중요한 인자이다(Schultz et al., 1991, Komarcevic, 2000, 및 Hong et al., 2006). EGF가 없음 또는 감소된 양은 만성 상처의 한 가지 특징이다(Harding et al., 2002). 본 출원에 의해 개시된 개발된 제조 과정에 따라 제조된 양막으로부터 유래된 단백질의 평가는 EGF가 이들 조직에 의해 더 다량으로 분비된 주된 인자 중 하나라는 것을 나타낸다. 현재 개시된 양막에서 검출된 고수준의 EGF와 함께 상처 치유를 위한 EGF의 중요성은 본 개시내용에 의해 임상 용도를 위해 제조된 막 생성물의 평가를 위한 효력 마커로서 EGF의 선택을 뒷받침한다. 알앤디 시스템즈사로부터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ELISA 키트를 양막에 의해 분비된 EGF를 측정하기 위한 그의 적합성의 평가를 위해 선택하였다. ELISA 정량화는 생분석 검정 타당성에 대한 FDA 및 ICH 가이드에 의해 확립된 표준을 충족시킨다(Validation of Analytical Procedures: Text and Methodology Q2(R1), 1994; ICH Harmonized Tripartite Guideline and Guidance for Industry Bioanalytical Method Validation, 2001). 본 방법에 의해 EFG의 발현에 대해 평가한 양막은 단백질 어레이 데이터를 확인하였고, EGF가 이들 조직에서 임상적으로 상당한 수준에서 발현된 독특한 인자였다는 것을 추가로 입증하였다.EGF is an important factor in wound healing (Schultz et al., 1991, Komarcevic, 2000, and Hong et al., 2006). The absence or reduced amount of EGF is one characteristic of chronic wounds (Harding et al., 2002). The evaluation of amniotic membrane-derived proteins produced according to the developed manufacturing process disclos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indicates that EGF is one of the major factors secreted by these tissues in a larger amount. The importance of EGF for wound healing with the high level of EGF detected in the amenoriminally disclosed amniotic membrane supports the selection of EGF as an efficacy marker for the evaluation of membrane products prepared for clinical use by this disclosure. Commercially available ELISA kits from R & D Systems Inc. were selected for evaluation of their suitability for measuring amniotic membrane secreted EGF. ELISA quantification meets the standards established by the FDA and the ICH Guidelines on the validity of biological assay assays (ICH Harmonized Tripartite Guideline and Guidance for Industry Bioanalytical Method Validation, 2001 ). Amniotic membranes evaluated for expression of EFG by this method identified protein array data and further demonstrated that EGF was a unique factor expressed at clinically significant levels in these tissues.

실시예 17.1 EGF의 양막 조직 발현Example 17.1 Amniotic Membrane Tissue Expression of EGF

단백질 어레이 분석은 EGF가 양막에서 독특하게 발현되었지만, 융모막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초기 증거를 제공하였다(표 15). 양막에서 측정된 EGF의 수준은 임상적 의미를 가진다.Protein array analysis provided early evidence that EGF was uniquely expressed in the amniotic membrane, but not in the chorion (Table 15). The level of EGF measured in the amniotic membrane has clinical significance.

다수의 공여자로부터의 양막 및 융모막 내 EGF의 발현 범위를 나타내는 단백질 어레이 데이터Protein array data showing the expression range of EGF in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ic membrane from multiple donors 양막 (pg/ml)Amniotic membrane (pg / ml) 융모막 (pg/ml)Chorioamnion (pg / ml) EGFEGF 127.3-361.4127.3-361.4 0-0.80-0.8

이들 데이터는 선택적으로 실질적인 양으로 EGF를 함유하는 양막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을 제공하는 본 기술의 특정 실시형태와 일치된다.These data are in accordance with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technology to provide a placental product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optionally containing EGF in substantial amounts.

태반 생성물의 세포분쇄액Cell lysate of placenta product

태반 생성물을 얼음 결정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해동시켰다. 이어서, 막을 백으로부터 제거하고 나서, 나이트로셀룰로스에 여전히 접착되어 있는 동안 4㎝ x 2㎝ 조각으로 절단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조직 조각을 나이트로셀룰로스로부터 제거하고 나서, PBS로 2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조직을 액체 질소를 이용하여 균질화 관 내에서 순간 냉동시켰다. 후속적으로, 하나의 사전 냉동시킨 5㎜ 강철 비드를 각각의 관에 첨가하고 나서, 이어서, 샘플을 500 μL 균질화 매질 중에서 제조업자의 권고에 따라 퀴아젠 조직 용해기(Qiagen Tissue Lyser)를 이용하여 균질화시켰다. 조직 세포분쇄액을 EGF 발현을 위해 ELISA에 의해 분석할 때까지 -80℃±5℃에서 저장하였다.The placenta product was thawed until no ice crystals were present. The membrane was then removed from the bag and then cut into 4 cm x 2 cm pieces while still adhered to the nitrocellulose. Each piece of tissue was then removed from the nitrocellulose and then washed twice with PBS. Each tissue was then instantaneously frozen in a homogenization tube with liquid nitrogen. Subsequently, one pre-frozen 5 mm steel bead was added to each tube and then the sample was homogenized in a 500 [mu] L homogenization medium using a Qiagen Tissue Lyser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recommendations . Tissue cell lysates were stored at -80 ° C ± 5 ° C until analyzed by ELISA for EGF expression.

양막 내 Amniotic membrane EGFEGF 발현 Expression

양막 제조에서 EGF의 측정은 신뢰가능하고 재생가능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다수의 공여자에서 EGF의 측정은 이런 정량화 방법이 임상 상황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 개시내용에 의하여 제조된 조직 내 효능을 평가하는 가치있는 방법이라는 것을 나타내었다. 도 18은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 및 분석된 해동된 태반 생성물 및 융모막에서 EGF의 대표적인 발현을 나타낸다. 결과를 다수의 조직 제조에서 재현하였다.Measurement of EGF in amniotic membrane preparation has proven to be reliable and reproducible. Measurement of EGF in a number of donors has shown that this quantification method is a valuable method for assessing the efficacy in tissues produced by this disclosure for use in clinical situations. Figure 18 shows representative expression of EGF in thawed placenta products and chorions produced and analyzed by the methods described above. The results were reproduced in multiple tissue preparations.

이들 데이터는 EGF를 함유하는 양막을 포함하는 태반 생성물을 제공하는 본 기술의 특정 실시형태와 일치된다.These data are consistent with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technology to provide a placental product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ontaining EGF.

기능 연구:Functional studies:

실시예 18 태반막의 면역조절 효과Example 18 Immunoregulatory Effect of Placental Membrane

만성 상처는 정상 치유 단계를 통해 진행되지 못하고 종종 염증 단계에서 멈춰진다(Maxson, Lopez et al. 2012). 만성 상처 환경의 특징은 1) 고수준의 전염증 사이토카인, 예컨대 TNF-α 및 IL-1α, 2) 저수준의 항염증 사이토카인, 3) 고수준의 프로테아제 및 저수준의 그들의 저해제뿐만 아니라 4) 균형에 맞는 고수준의 산화제 및 저수준의 항산화제를 포함한다. 따라서 손상 부위에서 염증 제어는 치유 과정을 재시작/진행하기 위한 열쇠이다. 항염증 활성에 대한 태반막의 효능을 상처 치유에 대해 연구하였다.Chronic wounds do not progress through the normal healing phase and are often stopped at the inflammatory stage (Maxson, Lopez et al. 2012).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ronic wound environment are as follows: 1) a high level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α and IL-1α, 2) low levels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3) high levels of proteases and low levels of their inhibitors, High levels of oxidizing agents and low levels of antioxidants. Thus, inflammation control at the site of injury is the key to resuming / proceeding the healing process. The efficacy of placental membranes for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studied for wound healing.

실시예 18.1 종양 괴사 인자 알파(TNF-α) 자극Example 18.1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 stimulation

조직 샘플을 1ng/ml의 TNF-α(전염증 인자)와 함께 또는 이것 없이 18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상청액을 수집하고 나서, 프로스타글란딘 E2(PGE2)의 농도를 PGE2 단클론성 효소 면역분석(EIA) 키트(카이만(Caym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19는 본 발명자들의 태반막 생성물(양막 생성물)이 TNF-α에 노출될 때 고수준의 항염증 사이토카인 PGE2를 생성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Tissue samples were incubated for 18 hours with or without 1 ng / ml TNF-alpha (proinflammatory factor). After collecting the supernatant, the concentration of prostaglandin E2 (PGE2) was measured using a PGE2 monoclonal enzyme immunoassay (EIA) kit (Cayman). Figure 19 shows that our placental membrane product (amniotic membrane product) produces a high level of anti-inflammatory cytokine PGE2 when exposed to TNF- [alpha].

실시예 18.2 말초혈액 단핵 세포(PBMC) 분석Example 18.2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 Analysis

PBMC를 세라케어 라이프 사이언시즈사(SeraCare Life sciences)로부터 얻었다. 모든 실험을 웰 당 1mL 분석 매질에서 106개 단핵 세포와 함께 24웰 플레이트에서 2회 중복하여 수행하였다.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저해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T 세포 미토겐 - 항-CD3 단클론성 항체(CD3) 및 항-CD28 단클론성 항체(CD28)를mL 당 1㎍으로 첨가하여 면역 세포를 활성화하였다. 이어서, 조직 샘플을 습한 분위기에서 48시간 동안 37℃ 및 5% CO2에서 활성화된 PBMC와 함께 인큐베이션시켰다. TNF-α 및 IL-1α 생성을 ELISA 듀오셋(Duoset) 키트(알앤디 시스템즈)를 이용하여 상청액 중에서 측정하였다. 항염증 인자 IL-10의 방출을 시험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100ng/ml LPS와 함께 4시간 동안 PBMC를 사전 자극하고, 이어서, 추가 24시간 동안 자극 PBMC과 함께 조직 샘플을 인큐베이션시켰다(10ng/mL TNF-α와 함께 밤새 사전자극). IL-10 듀오셋 키트(알앤디 시스템즈)를 이용하여 IL-10을 상청액에서 검출하였다. LPS 자극이 없는 PBMC는 음성 대조군으로서 포함시켰다. 태반막 생성물은 가용성 전염증 사이토카인(TNF-α, 및 IL-1α)의 방출을 크게 저해하였고, 활성화된 면역 세포와 함께 공동배양하였을 때 항염증 IL-10의 방출을 상향조절하였다(도 20에서 나타냄).PBMC were obtained from SeraCare Life sciences.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duplicate in 24 well plates with 10 6 mononuclear cells in 1 mL assay medium per well. Immune cells were activated by adding T cells mitogen-anti-CD3 monoclonal antibody (CD3) and anti-CD28 monoclonal antibody (CD28) at 1 μg per mL to test the inhibitory effect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bsequently, the tissue samples were incubated with a humid atmosphere 48 hours 37 ℃ and activated PBMC in 5% CO 2 for from. TNF- [alpha] and IL-l [alpha] production was measured in supernatants using an ELISA Duoset kit (R & D Systems). To test the release of the anti-inflammatory factor IL-10, we pre-stimulated PBMC with 100 ng / ml LPS for 4 hours and then incubated tissue samples with stimulated PBMC for an additional 24 hours (10 ng / mL Pre-stimulation overnight with TNF-a). IL-10 was detected in the supernatant using an IL-10 Duo Set Kit (R &amp; D Systems). PBMCs without LPS stimulation were included as negative controls. The placental membrane product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release of pre-soluble inflammatory cytokines (TNF-a, and IL-l [alpha]) and upregulated the release of anti-inflammatory IL-10 when co-cultured with activated immune cells Lt; / RTI &gt;

실시예 18.3 양막에 의한 프로테아제의 상승된 수준의 조절Example 18.3 Modulation of elevated levels of protease by amniotic membrane

만성 상처에서 연장된 염증 반응은 특히 MMP 및 호중구 엘라스타제 활성이 증가된 강화된 프로테아제 반응을 생성한다. MMP 및 엘라스타제는 정상 생리학적 및 병리적 과정, 예컨대 기저막의 분해, ECM의 리모델링, 결합조직 전환, 신생혈관생성, 재생 및 상처 수복에 연루된다. 그러나, 과량의 MMP 및 엘라스타제는 ECM 성분을 파괴하며, 치유에 필수적인 성장인자 및 그들의 수용체를 손상시킨다. 이 연구에서, 본 발명자들은 태반막 생성물이 MMP 및 엘라스타제의 저해를 매개하는지의 여부를 연구하였다.The prolonged inflammatory response in chronic wounds results in an enhanced protease response, especially with increased MMP and neutrophil elastase activity. MMP and elastase are implicated in normal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cesses such as degradation of basement membrane, remodeling of ECM, connective tissue conversion, neovascularization, regeneration and wound restoration. However, excess MMP and elastase destroy the ECM components and damage growth factors essential to healing and their receptors. In this study, we studied whether placental membrane products mediate inhibition of MMP and elastase.

MMP 활성을 위한 아조콜 분석Azocol analysis for MMP activity

아조콜은 보라색 아조염료가 스며든 불용성, 분쇄된 콜라겐이다. 단백질 분해 시, 가용성 아조 염료는 방출되며, 550㎚에서 흡광도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아조콜은 환경에서 프로테아제 활성을 시험하기 위한 색원체 비특이적 기질로서 종종 사용된다. 상기 분석은 지앙(Jiang) 등에 의해 개발된 변형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Jiang, Tan et al. 2007). 아조콜을 세척하고 나서, 최종 농도 1.5㎎/mL로 10mM PBS, pH 7.4에서 현탁시켰다. 콜라게나제 IV를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는데, 그의 두 활성 형태, 즉, MMP-2 및 MMP-9(각각 72kD 및 92kD)가 불량한 치유와 관계 있는 만성 다리 궤양으로부터의 상처에서 발현이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Trengove, Stacey et al. 1999). 양막 생성물을 5시간 동안 37℃ 인큐베이터에서 부드러운 끝에서 끝으로의 회전 하에 0.1%(w/v) 콜라게나제 IV(라이크 테크놀로지즈(Life Technologies)) 및 아조콜 현탁액과 함께 인큐베이션시켰다. 반응을 10,000 xg에서 8시간 동안 샘플을 원심분리시킴으로써 중단시켰다. 상청액 용액의 흡광도를 ELISA 판독기(스펙트라맥스(spectramax))를 이용하여 550nm에서 측정하고, 양측 스튜던트 t 검정을 수행하여 통계학적 유의도를 결정하였다(p<0.05). 도 21은 동결보존된 양막이 MMP 활성을 유의하게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Azocol is an insoluble, crushed collagen impregnated with a purple azo dye. Upon proteolysis, the soluble azo dye is released and can be detected by absorbance at 550 nm. Thus, azocol is often used as a color-forming nonspecific substrate for testing protease activity in the environment.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transformation method developed by Jiang et al. (Jiang, Tan et al. 2007). The azocol is washed and then suspended in 10 mM PBS, pH 7.4, to a final concentration of 1.5 mg / mL. Collagenase IV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indicating that its two active forms, MMP-2 and MMP-9 (72 kD and 92 kD, respectively), were elevated in wound from chronic leg ulcers associated with poor healing (Trengove, Stacey et al. 1999). Amniotic membrane products were incubated with 0.1% (w / v) collagenase IV (Life Technologies) and azocol suspension for 5 hours under rotation from a soft end to a tip in a 37 ° C incubator. The reaction was stopped by centrifuging the sample at 10,000 xg for 8 hours. The absorbance of the supernatant solution was measured at 550 nm using an ELISA reader (spectramax) and 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by performing a two-sided Student t test (p < 0.05). Figure 21 demonstrates that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can significantly inhibit MMP activity.

호중구 엘라스타제 분석Neutrophil elastase analysis

양막 생성물을 1% FBS와 함께 24시간 동안 DMEM 중에서 100ng 정제된 인간 호중구 엘라스타제(시그마(Sigma))와 함께 사전조건화시켰다. 사전 조건화된 조직 샘플 및 100ng 새로운 호중구 엘라스타제를 4시간 동안 37℃에서 0.5M NaCl, 10% DMSO 및 1mM 엘라스타제 기질(시그마)을 함유하는 0.1M HEPES 완충제의 최종 용적 500㎕, pH 7.4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기질 분해를 OD405를 측정함으로써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였다. 도 22는 동결보존된 양막이 엘라스타제 활성을 대략 94%까지 저해하였다는 것을 도시한다.The amniotic membrane product was preconditioned with 100 ng purified human neutrophil elastase (Sigma) in DMEM for 24 hours with 1% FBS. Pre-conditioned tissue samples and 100 ng of fresh neutrophil elastase were incubated for 4 hours at 37 DEG C in a final volume of 500 l of 0.1 M HEPES buffer containing 0.5 M NaCl, 10% DMSO and 1 mM elastase substrate (Sigma), pH 7.4 &Lt; / RTI &gt; Substrate degradation was monitored continuously by measuring OD 405 . Figure 22 shows that the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inhibited elastase activity by approximately 94%.

실시예Example 18.4 상처에서  18.4 In the wound ROS의ROS 중화 Neutralization

면역 세포, 예컨대 호중구 및 대식세포는 반응성 산소종(ROS)을 생성한다. 저농도의 ROS는 미생물에 대해 신호전달 및 방어를 제공한다. 그러나, 다량의 ROS는 세포외 구조 단백질, 지질 및 DNA를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MMP, 세린 프로테아제 및 염증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향상시키는데, 이는 상처 치유를 손상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제 능력 키트를 이용하여 태반막 생성물의 총 항산화제 능력을 처음으로 연구하였다. 게다가, 태반막 생성물이 산화제 유도 세포자멸사로부터의 진피 섬유아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시험하였다.Immune cells such as neutrophils and macrophages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ow concentrations of ROS provide signaling and defense against microorganisms. However, large amounts of ROS not only damage extracellular structural proteins, lipids and DNA, but also enhance the expression of MMPs, serine proteases and inflammatory cytokines, which impairs wound healing. The inventors first studied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placental membrane products using an antioxidant ability kit. In addition, it was tested whether placental membrane products could protect dermal fibroblasts from oxidant-induced apoptosis.

항산화제 분석Antioxidant analysis

양막 생성물로부터의 조정배지의 항산화제 활성을 제조업자의 설명서에 따라 항산화제 분석 키트(시그마 CS079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은 산화적 조건에 노출될 때 녹색 신호를 생성하는 ABTS로부터의 라디칼 양이온 ABTS+의 방출에 기반한다. 생성된 색 강도의 저해는 샘플의 항산화제 능력과 관련될 수 있다. 도 23은 양막 생성물이 250μM 아스코르브산만큼 강한 항산화제 능력을 가진다는 것을 입증한다.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nditioned media from amniotic membrane products was determined using an antioxidant assay kit (Sigma CS0790)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apos; s instructions. The method is based on the release of the radical cation ABTS + from ABTS which produces a green signal when exposed to oxidative conditions. Inhibition of the resulting color intensity may be related to the antioxidant capacity of the sample. Figure 23 demonstrates that the amniotic membrane product has the stronger antioxidant ability as 250 [mu] M ascorbic acid.

세포 생존 분석Cell survival analysis

세포 생존 분석을 김(Kim) 등에 의해 보고된 변형 방법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Kim, Park et al. 2008). 정상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NHDF)(론자)를 24-웰 플레이트에서 5 x 104개 세포/웰의 밀도로 플레이팅하고, 0.1% FBS로 보충한 DMEM 중에서 24시간 동안 영양을 차단하였다. 후속적으로, 유기 하이드로퍼옥사이드인 tert-뷰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tbOOH)를 3시간 동안 NHDF에 대한 산화적 손상을 유도하기 위한 산화제로서 사용하였다. tbOOH 함유 배지를 정상 배양 배지로 대체하고 나서, 양막 생성물을 HDF와 함께 인큐베이션시켜서 구조 과정을 시작한다. 양성 대조군을 250μM 아스코르브산으로 대체하였다. 4시간 후에, NHDF를 10㎍/ml 호크스트(Hoechst)와 함께 30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시킴으로써 그리고 ImageJ(NIH)를 이용하는 형광 현미경에 의해 강하게 응축된 염색질 및/또는 단편화된 핵을 갖는 세포의 백분율을 스코어링함으로 세포자멸사를 결정하였다. 도 24는 양막 생성물이 해당 초기 세포자멸사 HDF를 80%까지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Cell viability assays were performed using the modified method reported by Kim (Kim, Park et al. 2008). To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 (Lonza) in a 24-well plate for 5 x 10 4 cells / well plated at a density of, and 24 hours in a DMEM supplemented with 0.1% FBS nutrition was blocked. Subsequently, tert-butyl hydroperoxide (tbOOH), an organic hydroperoxide, was used as an oxidizing agent to induce oxidative damage to NHDF for 3 hours. After replacing the tbOOH containing medium with the normal culture medium, the amniotic membrane product is incubated with HDF to start the rescue procedure. The positive control was replaced with 250 [mu] M ascorbic acid. After 4 hours, NHDF was incubated with 10 [mu] g / ml Hoechst for 30 min at 37 [deg.] C, and by fluorescence microscopy using ImageJ (NIH) for cells with strongly condensed chromatin and / or fragmented nuclei Apoptosis was determined by scoring percentages. Figure 24 demonstrates that amniotic membrane products can up to 80% of their initial apoptotic HDF.

실시예Example 19  19 태반막Placenta membrane 생성물은 신생혈관생성을  The product was used to induce angiogenesis 향상시킨다Improve

신혈관형성은 상처 치유 과정에서 중대한 단계이다. 새로운 혈관의 형성은 일시적인 과립화 기질의 생성 및 각질세포의 생존을 위한 충분한 영양소 공급과 함께 섬유아세포를 제공하는데 필수적이다.Neovascularization is a critical step in the wound healing process. The formation of new blood vessels is essential to provide fibroblasts with sufficient nutrient supply for the production of transient granulation substrates and the survival of keratinocytes.

관 형성Tube formation

양막 생성물의 혈관형성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해, HUVEC(론자)를 양막 생성물, 매트리겔(Matrigel)(BD)-코팅 배양 웰 상에서 104개 세포/웰의 농도로 양막 생성물로부터 유도된 조정 배지를 이용하여 파종시켰다. 조정배지를 3일 동안 2% FBS로 보충한 내피세포 성장 배지 EBM(론자)에서 배양 양막 생성물에 의해 얻었다. 성장인자의 모든 필수 칵테일로 보충한 EBM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8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각각의 샘플로부터의 필드를 도립 현미경에 의해 무작위로 촬영하고, 봉합관의 수를 계수화하고 나서, 이미지J(NIH)에 의해 플롯팅하였다.To test the potential for angiogenesis of amniotic membrane products, HUVECs were immunized with amniotic membrane-derived conditioned media derived from amniotic membrane products at a concentration of 10 4 cells / well on Matrigel (BD) -coated culture wells Lt; / RTI &gt; Conditioned media were obtained by culturing amniotic membrane products in endothelial growth medium EBM (longe) supplemented with 2% FBS for 3 days. EBM supplemented with all essential cocktails of growth factors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After 8 hours of incubation, the fields from each sample were randomly photographed by an inverted microscope, the number of sealants was digitized and then plotted by Image J (NIH).

도 25는 양막 생성물로부터의 조정배지가 양성 대조군과 동일하게 관 형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입증한다.Figure 25 demonstrates that the conditioned medium from the amniotic membrane product improves tube formation as with the positive control.

실시예Example 20 태반 조직은 세포 이동 및 상처 치유를  20 Placental tissue can be used for cell migration and wound healing 향상시킨다Improve

상처 치유 과정은 고도로 복잡하며, 성장인자에 의해 제어된 일련의 구조화된 사건을 수반한다(Goldman, 2004). 이들 사건은 증가된 혈관신생, 염증 면역세포에 의한 침윤 및 세포 증식의 증가를 포함한다. 상처 치유의 시작 단계는 개개 세포가 상처에 대해 양극화되고, 상처 영역에 근접하고 주위 조직을 재구성하기 위해 상처 영역 내로 이동하는 능력에 관해 다룬다. 3가지 유형의 세포가 세포 이동 과정에서 주로 수반된다. 그들은 혈관 내피세포, 섬유아세포 및 각질세포이다. 혈관 내피세포는 상처 영역으로 이동하며, 적절한 상처 치유를 위해 필수적인 산소 및 영양소를 제공하는 새로운 혈관을 형성한다. 섬유아세포는 다양한 결합조직 성분을 재구성하기 위해 과립화 조직을 형성하도록 상처 부위에 이동할 필요가 있다. 재상피화(상처 봉합)는 각질세포의 지향성 이동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오시리스(Osiris)에서 생산된 양막 및 융모막으로부터 분비된 인자가 3가지 유형의 세포 이동 및 상처 필드 봉합을 촉진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추구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도 26(셀 바이오랩스(Cell Biolabs)) 및 트랜스웰(transwell) 세포 이동 분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상처 치유 분석을 이용하였다. 세포주는 인간 미세혈관 내피세포(HMVEC, 론자 인코포레이티드(Lonza Inc.)), 인간 제대 내피세포(HUVEC, 론자 인코포레이티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HDF, 론자 인코포레이티드) 및 병에 걸린 인간 각질세포(D-HEK 론자 인코포레이티드)를 포함한다. 결과는 모두 3가지 유형의 세포의 세포 이동이 태반막으로부터의 조정배지에 의한 처리에 의해 향상된다는 것을 나타낸다.The wound healing process is highly complex and involves a series of structured events controlled by growth factors (Goldman, 2004). These events include increased angiogenesis, infiltration by inflammatory immune cells, and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The initiation phase of wound healing deals with the ability of individual cells to become polarized to the wound, to move into the wound area to approach the wound area and reconstitute the surrounding tissue. Three types of cells a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cell migration. They are vascular endothelial cells, fibroblasts and keratinocytes. Vascular endothelial cells migrate to the wound area and form new blood vessels that provide essential oxygen and nutrients for proper wound healing. Fibroblasts need to migrate to the wound site to form granular tissue to reconstitute various connective tissue components. Re-epithelialization (wound closure) requires directed migration of keratinocytes. Thus, the inventors sought to determine whether factors secreted from the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produced in Osiris, promote three types of cell migration and wound field suture. To achieve this, we used commercially available wound healing assays as can be seen in Figure 26 (Cell Biolabs) and transwell cell migration assays. The cell lines are derived from huma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HMVEC, Lonza Inc.), human umbilical endothelial cells (HUVEC, Lonza Inc.), human dermal fibroblasts (HDF, Lonza Inc.) &Lt; / RTI &gt; diseased keratinocytes (D-HEK Theoreticians). The results indicate that cell migration of all three types of cells is enhanced by treatment with conditioned media from placental membranes.

실시예 20.1 태반막 조정배지는 내피세포 이동 및 상처 필드 봉합을 지지한다Example 20.1 Placental Membrane Conditioning Medium Supports Endothelial Cell Migration and Wound Field Suture

트립신화를 통해 세포를 수집하고 나서, 펠렛화하고, 계수화한 후 2X105개 세포/mL의 밀도로 완전한 각질세포 배지에서 재현탁시켰다. 이어서, 250ul(5X104개 세포)의 세포 현탁액을 상처 치유 삽입물(사이토셀렉트 24웰 상처 치유 분석 플레이트, 셀 바이오랩스(Cell Biolabs))을 함유하는 웰의 각각의 측면에 피펫팅한다. 세포를 완전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성장시켰다. 24시간 후에, 상처 삽입물을 제거한다. 동시에, 완전한 각질세포 배지를 제거하고 나서, 실험 배지로 대체한다. 완전 각질세포 배지 및 기저 각질세포 배지를 각각 양성 및 음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실험 배지를 만들기 위해, 태반막을 조직 배양 인큐베이터에서 1% 인간 혈청 알부민(HSA)과 함께 DMEM 중에서 3일 동안 인큐베이션시킨다. 이어서, 얻어진 조직 및 배지를 에펜도르프관에 넣고 나서, 마이크로원심분리기에서 고속으로 회전시켰다. 상청액을 수집하고 나서, 사용시까지 -80 C에서 저장하였다. 이동 및 상처 치유 연구를 위해, 태반막으로부터의 조정배지를 기저 각질 세포에서 1:20으로 희석시킨 후, 실험 웰에 첨가한다. 18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나서, 세포를 4% 파라폼알데하이드 중에서 20분 동안 고정시키고,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염색한다. 이어서, 각각의 웰에서 상처 필드를 촬영한다. 상처 필드의 양에 의해 결정되는 상처 치유는 조정배지가 웰에 첨가되기 전에 취해지는 대조군 사진에 비해 실험의 마지막에 여전히 가시적이다.Cells were harvested through trypsinization, pelleted, digested, and resuspended in complete keratinocyte at a density of 2 x 10 5 cells / mL. The cell suspension of 250 ul (5 x 10 4 cells) is then pipetted onto each side of the well containing wound healing insert (cytoselect 24-well wound healing assay plate, Cell Biolabs). Cells were grown in complete medium for 24 hours. After 24 hours, the wound insert is removed. At the same time, the complete keratinocyte medium is removed and replaced with the experimental medium. Complete keratinocyte and basal keratinocyte media were used as positive and negative controls, respectively. To make the experimental medium, placenta membranes are incubated in DMEM for 3 days with 1% human serum albumin (HSA) in tissue culture incubator. Subsequently, the obtained tissue and culture medium were placed in an Eppendorf tube and then rotated at a high speed in a microcentrifuge.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stored at -80 ° C until use. For migration and wound healing studies, the conditioned media from the placenta membranes is diluted 1:20 in basal keratinocytes and then added to the experimental wells. After 18 hours, the medium is removed and the cells are fixed in 4% paraformaldehyde for 20 minutes and stained with crystal violet. The wound field is then photographed in each well. Wound healing a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wound field is still visible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as compared to control photography taken before the conditioned medium is added to the wells.

양막 및 융모막으로부터의 조정배지를 사용하여 이들 막이 내피세포 이동 및 상처 필드 봉합을 촉진하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태반 양막, 융모막, 및 양막/융모막의 조합물로부터의 조정배지는 실험 상처 필드 내로의 내피 세포 이동을 뒷받침하였다(도 27).Control media from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 were used to assess the ability of these membranes to promote endothelial cell migration and wound field suture. The conditioned medium from the combination of placenta amniotic membrane, chorion, and amniotic membrane / chorioamnium supported endothelial cell migration into the experimental wound field (Figure 27).

실시예 20.2 태반막 조정배지는 내피세포, 섬유아세포, 및 각질세포 이동을 뒷받침한다.Example 20.2 Placental membrane conditioning media supports endothelial cells, fibroblasts, and keratinocyte migration.

트랜스웰 세포 이동 분석Transwell cell migration assay

8㎛ 포어(BD)를 이용하는 플루로블록 트랜스웰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간 제대 정맥 내피 세포, 인간 정상 진피 섬유아세포 및 인간 질환 각질세포(II형 당뇨병)(론자) 상에서 이동 분석을 수행하였다. 100,000개 세포를 0.1% FBS와 함께 DMEM 중에서 현탁시키고 나서, 트랜스웰의 상부챔버에 첨가하여 유사분열을 저지하였다. 다음 날, 조직 샘플로부터 유도된 조정배지를 하부 챔버에 첨가하고 나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다. 인큐베이션 후에, 필터를 통해 이동된 세포를 고정시키고 나서, 칼세인(몰레큘러 프로브(Molecular Probe))에 대해 염색하였다. 필드를 형광 도립 현미경에 의해 시각화시키고 나서, 10x 확대 하에 4개의 무작위로 선택한 필드로부터 사진을 촬영하였다. 본 발명자들의 결과는 양막 생성물이 내피세포(도 27 및 28), 섬유아세포(도 29), 및 각질세포(도 30)의 이동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입증하였다.Mo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o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man normal dermal fibroblasts, and human disease keratinocytes (type II diabetes) (loner) using a fluoro block transwell system using 8 mu m pore (BD). 100,000 cells were suspended in DMEM with 0.1% FBS and then added to the upper chamber of the transwell to inhibit mitosis. The following day, conditioned media derived from tissue samples was added to the lower chamber and then incubated overnight. After incubation, the cells migrated through the filter were fixed and stained against Carlsein (Molecular Probe). The field was visualized by a fluorescence inversion microscope and then photographed from four randomly selected fields under 10x magnificat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monstrated that the amniotic membrane product promotes the migration of endothelial cells (FIGS. 27 and 28), fibroblasts (FIG. 29), and keratinocytes (FIG. 30).

임상 연구Clinical Research

실시예 21 당뇨성 족부 궤양을 치료하기 위한 태반 생성물의 용도Example 21 Uses of Placenta Products to Treat Diabetic Foot Ulcers

목적: 인간 섬유아세포 또는 인간 섬유아세포 및 각질세포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생체공학처리된 피부 대체물에도 불구하고, 공개된 비율의 만성 상처 치유는 이들 새로운 치료법에 대해서조차 저항성인 모든 상처의 거의 절반으로 낮게 남아있다. 하지절단 후 5년 사망률이 39% 내지 68%가 됨에 따라 당뇨성 족부 궤양으로부터의 이환율 및 사망률은 실질적이다. (Page J. J of Foot & Ankle Surgery 2002; 41(4):251-259; Isumi Y., et al. Diabetes Res 및 Clin Practice 2009; 83:126-131).OBJECTIVES: Despite the biologically treated skin substitutes containing human fibroblasts or a combination of human fibroblasts and keratinocytes, the published rate of chronic wound healing has been reduced to almost half of all wounds resistant to these new therapies It remains low. The morbidity and mortality from diabetic foot ulcers is substantial as the 5-year mortality rate is 39% to 68% after limb amputation. (Page J. J Foot & Ankle Surgery 2002; 41 (4): 251-259; Isumi Y., et al. Diabetes Res and Clin Practice 2009; 83: 126-131).

필수적 혈관형성 및 항염증 성장인자를 제공하는 동결보존된 태반막 생성물을 절단의 위험에 있는 만성 피부 궤양을 지니는 환자의 결과를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에 도입하였다.A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 product providing essential angiogenic and antiinflammatory growth factors was introduced in an effort to improve the outcome of patients with chronic skin ulcers at risk of cleavage.

목적: 이용가능한 치료법에 대해 비반응성이며 절단의 위험에 있는 만성 당뇨성 족부 궤양을 지니는 환자는 치료가 고려되었다. 모든 상처를 동결보존된 태반막의 적용 전에 공격적으로 제거하였다. 환자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본 기술의 막 생성물의 적용은 치료하는 의사의 재량이다. 오프로딩(Offloading)은 환자 둘 다에서 권장되었다. PURPOSE : Patients with chronic diabetic foot ulcers that are unreactive to available therapies and at risk of cleavage have been considered for treatment. All wounds were aggressively removed prior to application of frozen placental membranes. The patient is assessed periodically and the application of the membrane product of the present technology is at the discretion of the treating physician. Offloading was recommended in both patients.

도입Introduction

미국 식품 의약 관리국(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에 따라, 만성, 피부 궤양을 지속가능한 구조적, 기능성 및 미용적 봉합을 생성하는 정돈된 그리고 시기적절한 일련의 사건을 통해 진행되지 않은 상처로서 정의한다(2). 가장 통상적인 만성 상처는 욕창 및 다리 궤양을 포함한다. 말초 신경병증, 기형 및 작은 외상의 트라이어드는 족부 궤양을 야기하는 발작의 가장 빈번한 원인으로서 나타났다. 치유율에 대해, 만성 상처에 대한 적절한 벤치마크는 매주 10 내지 15%의 크기 감소, 또는 1개월 기간에 걸쳐 50%의 크기 감소이다. 당뇨병이 있는 거대 건강유지조직의 8,905명의 환자의 램세이(Ramsey) 등에 의해 수행된 3년 후향 코호트 연구는 궤양의 5.8% 누적 발생률을 보고하였다. 진단 시, 이들 환자 중 15%는 골수염이 발생되었고, 16%는 하지의 부분 절단이 필요하였다.According to the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chronic, skin ulcers are defined as wounds that have not progressed through a series of timely and timely events that produce sustainable structural, functional, and cosmetic sutures. (2). The most common chronic wounds include bedsores and leg ulcers. Triad of peripheral neuropathy, anomalies and minor trauma were the most frequent causes of seizures leading to foot ulcers. For healing rates, an appropriate benchmark for chronic wounds is a size reduction of 10-15% per week, or a 50% reduction in size over a one month period. A 3-year posterior cohort study performed by Ramsey et al in 8,905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showed a 5.8% cumulative incidence of ulcer. At diagnosis, 15% of these patients developed osteomyelitis, and 16% required partial cleavage of the lower limb.

하지절단의 대략 80% 내지 85%는 족부 궤양에 의해 진행된다. 하지절단 후 5년 사망률이 39% 내지 68%이됨에 따라 당뇨성 족부 궤양으로부터의 이환율 및 사망률은 실질적이다. (2). 이들 사망률은 유방암, 결장암 및 전립선암에 대한 5년 사망률보다 더 높다.Approximately 80% to 85% of limb amputations are progressed by foot ulcers. The morbidity and mortality from diabetic foot ulcers are substantial as the 5-year mortality rate after limb removal is 39% to 68%. (2). These mortality rates are higher than the 5-year mortality rate for breast cancer, colon cancer and prostate cancer.

만성 당뇨성 궤양화의 치료를 위한 생체공학처리된 조직의 모든 진보에도 불구하고, 치료법에 대해 내성이 있고, 만성 상처를 야기하는 궤양이 있는 환자는 많다. 이들 더 새로운 치료법의 단지 50%에 접근하는 치유율 때문에, 재생 의학에서 줄기 세포의 사용은 특히 최근에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궁극적인 목적은 기능성 피부의 회복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예비 연구는 피아미(Fiami) 등에 의해 수행되는데, 그들은 탯줄 혈액으로부터 간충직 줄기 세포를 단리시키고, 그들을 탈상피화된 진피 조각에 접종하였다. 이 예비 연구 결과는 말초 줄기 세포가 신생혈관형성을 생존 및 발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조직 수복을 위한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에 추가로, 간충직 줄기 세포는 낮은 면역원성을 나타내며, 공여자와 수용자 사이의 적합성 시험을 겪는 일 없이 보편적으로 이식될 수 있다.Despite all advances in biotechnology-treated tissue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diabetic ulcers, many patients are resistant to treatment and have ulcers that cause chronic scarring. Because of the healing rate approaching only 50% of these newer therapies, the use of stem cells in regenerative medicine has recently become of particular interest. The ultimate goal is to promote the recovery of functional skin. Preliminary studies were performed by Fiami et al., Which isolated hepatocellular stem cells from umbilical cord blood and inoculated them into de-epithelialized dermis pieces. This preliminary study indicates that peripheral stem cells can survive and express neovascularization. In addition to indicating the potential for tissue repair, hepatic stem cells exhibit low immunogenicity and can be universally transplanted without undergoing a compatibility test between donor and recipient.

이 연구에서, 현저한 치유의 임상 증거는 절단이 고려되는 2개의 만성 상처의 치료를 위해 동결보존된 막 생성물을 이용한다. 근본적인 상처 관리는 여전히 적절한 괴사 조직 제거, 오프로딩, 수분환경 유지 및 적절한 관류 및 감염 제어를 포함하는 임의의 치료 프로토콜에서 종합적인 상처 치유의 주춧돌이다.In this study, clinical evidence of significant healing utilizes cryopreserved membrane products for the treatment of two chronic wounds in which cleavage is considered. Fundamental wound management is still the cornerstone of comprehensive wound healing in any treatment protocol including appropriate necrosis removal, offloading, maintenance of the water environment and proper perfusion and infection control.

물질matter

천연 상피세포, 및 신생아 섬유아세포, 세포외 기질(ECM) 및 간충직 줄기 세포(MSC)로 이루어진 기질층의 이중층을 포함하는 양막으로부터 유래된 동종이식편을 포함하는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생성하였다.The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s comprising native epithelial cells and allografts derived from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ing a bilayer of a substrate layer consisting of neonatal fibroblasts, extracellular matrix (ECM) and hepatic stem cell (MSC) Respectively.

사지구제술: 사례 1 Limb surgery: Case 1

이력 및 신체검사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오른쪽 발 네 번째와 다섯 번째 발가락 사이의 배측면 상의 수포형성, 부종 및 통증 및 다섯 번째 발가락 측면의 작은 병변을 지니는 70세 남성이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참석 2주 전 영역에 대한 작은 외상의 이력을 보고하였다. 환자는 II형 진성 당뇨병, 고혈압, 심부전, 만성 봉합성 폐질환, 및 1주 3회 혈액투석 치료를 받는 만성 신장 질환이 있었다. 환자는 대동맥-정맥 이식편 대체의 수술 이력이 있었다. 그는 알코올, 담배 또는 약물 사용의 임의의 이력을 부인하였다. 신체검사는 활성 화농성 배농 또는 악취을 나타내지 않았고, 촉진 시 무름을 나타내지 않았다. 혈관 검사는 족배 동맥 및 후경골 동맥에서 촉진할 수 없는 맥박을 나타내었다. 도플러 검사는 이상 후경 골동맥과 함께 단상성 족배 동맥 맥박을 나타내었다. 다섯 번째 발가락은 괴저 변화가 있으며, 촉진 시 차가웠다. 네 번째 발가락에서 허혈성 변화가 있었다. 방사선 촬영 평가는 네 번째 간극의 연조직 기체뿐만 아니라 다섯 번째 발가락 끝을 나타내는 산발적 공기 밀도를 나타내었다.A 70-year-old male with vesicle formation, edema and pain on the lateral aspect of the fourth and fifth toes on the right foot and a small lesion on the side of the fifth toe came to the emergency room. The patient reported a history of minor trauma to the area two weeks before the visit. The patient had chronic kidney disease receiving type II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heart failu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hemodialysis three times a week. The patient had a history of replacement of the aortic-vein graft. He denied any history of alcohol, tobacco or drug use. Physical examination did not show active purulent drainage or odor, and showed no smell upon stimulation. The angiogram showed pulses that could not be accelerated in the parietal and posterior tibial arteries. Doppler examinations showed monoclinic papillary arterial pulses with posterior fossa oval artery. The fifth toe had gangrene changes and was cold when accelerated. There was an ischemic change in the fourth toe. The radiographic evaluation showed sporadic air density indicating the fifth toe tip as well as the soft tissue gas of the fourth gap.

수술전 관리Preoperative management

환자는 적절한 신장 투약 시 반코마이신 및 피페라실린 및 타조박탐의 정맥내 항생제를 시작하였다.The patient initiated intravenous antibiotics of vancomycin and piperacillin and tazobactam in appropriate kidney dosing.

수술 관리Operation management

환자는 네 번째 사이틈의 절개 및 배출을 수행한 수술실로 갔고, 중족골 수준에 대한 부분적인 다섯 번째 광선 절개를 합병증 없이 수행하였다. 상처를 개방된 채로 두었고, 멸균 정상 식염수를 이용하여 습윤화한 멸균 거즈로 채우고 나서, 멸균 압박 드레싱으로 덮었다. 수술 중 소견은 화농 및 악취를 지니는 주변 조직의 융해괴사를 나타내었다. 환자는 2회의 후속적 수술 괴사 조직 제거를 겪었으며, 두번째는 제4 및 제5 중족골의 추가적인 제거를 야기하였다. 제3 수술에서, 괴사성 연조직의 추가적인 괴사 조직 제거 및 네 번째 발가락의 절단을 수행하였다. 2010년 5월 20일에,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이용하는 치료를 개시하였다. 이식편 배치 전에, 환자는 상당한 잔여 협착증 없이 슬와동맥 및 비골동맥의 성공적인 재개를 겪었다.The patient went to the operating room where the incision and discharge of the fourth interstice was performed, and a partial fifth incision of the metatarsal level was performed without complications. The wound was left open and filled with sterile gauze moistened with sterile normal saline, then covered with sterile pressure dressing. The intraoperative findings showed fusion necrosis of peripheral tissues with pyrogen and odor. The patient underwent two subsequent follow-up surgical necrosis removal and the second caused additional removal of the fourth and fifth metatarsals. In the third operation, additional necrotic tissue removal of the necrotic soft tissue and cleavage of the fourth toe were performed. On May 20, 2010, treatment with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s was initiated. Prior to implant placement, the patient underwent successful resumption of the dorsal and peroneal arteries without significant residual stenosis.

수술후 과정Postoperative course

환자는 병원에서 퇴원하고 2일 내에 그의 족부 수술의사의 사후지도를 받았다. 초기 시험 시, 감염의 임상징후가 없었으며, 근위 배측 절개는 접합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번째 발가락은 거무스름하며 겉모습이 차가웠다.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는데, 이는 연조직 가스 또는 급성 골수염의 증거를 나타내지 않았다. 건식 멸균 드레싱을 적용하였다. 환자는 통원치료실에서의 6회의 추가 방문에서 동결보존된 태반막의 적용을 받았다. 각각의 적용 전에, 농양, 봉와직염, 배농, 혈종형성 및 감염에 대해 상처를 평가하였다. 각각의 방문 시, 상처는 크기가 감소되었고, 이전의 방문에 비해 사실 상 더 많은 과립을 나타내었다. 세번째 적용 시, 상처는 크기가 50% 감소되었다.The patient wa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and within two days he was followed by his foot doctor. At initial testing, there were no clinical signs of infection and proximal dorsal incision was seen to be spliced. The third toe was dark and the appearance was cold. Radiographs were taken showing no evidence of soft tissue gas or acute osteomyelitis. Dry sterile dressing was applied. Patients were covered with cryopreserved placenta membranes at six additional visits at the outpatient clinic. Before each application, the wound was assessed for abscess, ringworm, drainage, hematogenesis and infection. At each visit, the wound was reduced in size and in fact showed more granules than previous visits. In the third application, the wound was reduced in size by 50%.

19주에, 상처는 봉합되었고, 환자는 교정구두만을 사용하면서 환부 사지에 대해 체중부하를 유지하도록 지시받았다.At 19 weeks, the wound was sutured and the patient was instructed to maintain weight bearing on the affected limb while using only the orthodontic shoes.

주목할 만한 상처 치유의 사진은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기술의 태반 생성물에 의해 매개된다. 패널 a: 동결보존된 태반막 생성물의 첫 번재 적용; b: 첫 번째 동결보존된 태반막의 8주 후에, 본 막 생성물 적용; c: 첫 번째 동결보존된 태반막의 10 1/2주 후에, 본 막 생성물 적용; d: 첫 번째 동결보존된 태반막의 12주 후에, 본 막 생성물 적용; e: 첫 번째 동결보존된 태반막의 19주 후에, 본 막 생성물 적용.A photograph of the notable wound healing is mediated by the placenta product of the technique as shown in Fig. Panel a: First application of cryopreserved placental product; b: after 8 weeks of the first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 apply this film product; c: after 10 1/2 weeks of the first cryopreserved placenta membrane, apply the present membrane product; d: after 12 weeks of the first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 apply this film product; e: After 19 weeks of the first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 the present membrane product is applied.

사지구제술Limb salvage : 사례 2: Case 2

이력 및 신체검사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방문 몇 주전에 이전의 외상에 대해 이차적인 좌측 엄지발가락의 발바닥 양상에 큰 궤양을 지니는 44세의 남성이 통원치료실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말초 신경병증,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및 골수염과 합병된 과거 5년동안의 진성 당뇨병 이력이 있었다. 과거의 수술 이력은 복부대동맥류 수복 및 환상절제술을 포함하였다. 신체검사시, 궤양은 4.0㎝ x 2.0㎝ x 1.5㎝로 측정되었고, 힘줄이 노출된 끝마디뼈를 살펴보았다. 상승적 봉와직염 또는 림프관염이 없었으며, 온도 구배는 증가되지 않았다. 모세관 충진 시간, 모발 성장 및 조직 긴장도는 모두 정상이었다. 족배 동맥 및 후경골 동맥에서 뚜렷한 맥박이 있었다. 방사선 촬영 검사는 연조직 가스에 대해 음성이었다. 자기 공명 이미징은 끝마디뼈에 인접한 배측 연조직 영역에서 작은 연조직 농양을 지니는 엄지 발가락의 첫마디뼈 및 끝마디뼈의 원위 양상에서 골수염을 나타내었다.A few weeks before the visit, a 44-year-old man with a large ulcer on the foot of the second left toe of the left to the previous trauma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The patient had a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for the past 5 years, combined with peripheral neuropathy, hypertension, dyslipidemia, and osteomyelitis. Past history of surgery included abdominal aortic aneurysm repair and phantom resection. On physical examination, the ulcer was measured as 4.0 cm x 2.0 cm x 1.5 cm, and the tendon bone was examined. There was no synovial or lymphatic salt, and the temperature gradient was not increased. Capillary filling time, hair growth and tissue tension were all normal. There was a distinct pulse in the pedicular artery and posterior tibial artery. Radiographs were negative for soft tissue gases.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osteomyelitis in the distal aspect of the first metatarsal and tarsal bones with small soft tissue abscesses in the soft tissue area adjacent to the tarsal bones.

수술전 관리Preoperative management

환자는 정맥내 항생제를 시작하였다. 그는 모든 비생존 가능 조직의 절제 괴사 조직 제거 및 본 발명의 막 생성물의 적용을 위해 수술실로 갔다.The patient started intravenous antibiotics. He went to the operating room to remove ablative necrosis of all non-viable tissues and to apply the membran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수술 관리Operation management

궤양을 날카로운 절개와 버사제트(VERSAJET)(상표명) 둘 다의 이용에 의해 건강한 조직으로 절제술을 시행하여, 발바닥으로 노출된 첫마디 뼈의 두부를 남겨두었다. 이어서, 동결보존된 태반막 생성물을 상처층 위에 두었고, 뼈를 노출시켰다. 환자는 합병증 없이 절차를 견뎠다. 환자는 정맥내 항생제 치료법의 5주 과정에 대한 수술 다음 날 병원에서 퇴원하였다.Resection with healthy tissue was performed by using both ulcer-sharp incisions and VERSAJET (trade name) to leave the head of the first bony bone exposed to the soles of the feet. The cryopreserved placental film product was then placed on the wound layer and the bones were exposed. The patient survived the procedure without complications. The patient wa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the day after surgery for the 5-week course of intravenous antibiotic therapy.

수술후 과정Postoperative course

환자는 환부가 있는 사지에 엄격하게 체중부하가 남아있지 않도록 지시받았고, 수술후 제6일에 후속조치를 위해 복귀하였다. 드레싱은 깨끗하고, 건조하였으며 완전하였다. 농양, 봉와직염, 불편함 또는 배농과 같은 수술후 합병증이 없었고, 감염의 임상 징후는 없었다. 환자는 다음 8주의 과정에 걸쳐 동결보존된 태반막 생성물의 총 7회 적용을 받았다. 각각의 방문 시, 상처를 감염의 임상 징후에 대해 살펴보았다. 각각의 방문 시 평가는 상처 기재에 대한 과립화 조직의 현저한 발생 및 크기의 상당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동종이식편 조직의 초기 적용 8주 후에 상처는 봉합되었다.The patient was instructed not to have a strictly weight bearing on the affected limb and returned for follow-up on postoperative day 6. The dressing was clean, dry and complete.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abscess, ringworm, discomfort, or drainage, and there were no clinical signs of infection. The patient received a total of 7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 products over the next 8 weeks. At each visit, we looked at clinical signs of wound infection. Each visit evaluation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size and size of the granulation tissue on the wound substrate. After 8 weeks of initial application of allograft tissue, the wound was sutured.

주목할 만한 상처 치유의 사진은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기술의 태반 생성물에 의해 매개된다. 패널 A: 골수염, 노출된 힘줄, 뼈에 대한 조사. 수술 괴사 조직 제거 후에 첫 번째 동결보존된 태반막 이식편을 적용하였다; B: 동결보존된 태반막 이식편의 1회 적용 후 상태, 상처는 사실상 과립이며, 감염의 징후는 없다; C: 수술 개입 3주 후에, 동결보존된 태반막 이식편에 대한 2회 적용으로, 상처는 둘레와 깊이가 상당히 더 작아진다; D: 수술적 개입 6주 후에, 상처는 거의 봉합되며; 8주에 그리고 동결보존된 태반막 이식편의 7회 적용 시, 상처는 봉합된다.A photograph of the notable wound healing is mediated by the placenta product of the technique as shown in Fig. Panel A: Investigation of osteomyelitis, exposed tendons and bones. The first cryopreserved placental graft was used after surgical necrosis; B: After a single application of the frozen placental membrane graft, the wound is virtually granular and there is no indication of infection; C: After three weeks of surgical intervention, with two applications of cryopreserved placental graft, the wound becomes significantly smaller in circumference and depth; D: After 6 weeks of surgical intervention, the wound is almost closed; At 8 weeks and 7 times of cryopreserved placental graft, the wound is sutured.

결론conclusion

과거 몇 십년 간의 피부 조직 공학에서의 엄청난 진보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치료법은 만성 당뇨성 궤양화의 치료에서 효능이 제한되었다. 두 환자의 이런 사례 보고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줄기 세포를 함유하는 진보된 치료법의 사용은 절개 대신 이들 환자를 궁극적으로 치유하고, 사망률을 감소시키며, 동시에 현재 시판 중인 표준 치료에 대한 비용 효과적인 대안이 되는데 유용함을 증명할 수 있다. 이 사례 보고에서 강조된 환자 둘 다 본 기술의 막 생성물의 7회 적용을 받았다. 환자 둘 다에서 완전하게 치유되었다.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은 보고되지 않았고, 본 발명의 막 생성물은 절개 위험에 있는 당뇨성 족부 궤양을 지니는 2명의 환자의 초기 평가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이었다. 이들 결과는 저항성의, 만성 상처를 지니는 환자가 이 새로운 치료법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Despite tremendous advances in skin tissue engineering in the past few decades, current therapies have limited efficacy in the treatment of chronic diabetic ulcers. As shown in this case report of both patients, the use of advanced therapies containing stem cells ultimately heals these patients instead of incising them, reduces mortality, and at the same time is a cost effective alternative to currently available standard therapies It can prove useful. Both of the patients highlighted in this case report were subjected to seven applications of the membrane product of the technology. Both patients were completely healed. Therapeutic complications were not reported and the membran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afe and effective in the initial evaluation of two patients with diabetic foot ulcers at risk of inci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atients with resistant, chronic wounds should consider this new treatment.

실시예Example 22 장래 임상 시험 연구에서 만성 당뇨성 족부 궤양의 치료를 위한 태반막의 효능 및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placenta membrane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diabetic foot ulcers in future clinical trial studies

당뇨성 족부 궤양은 상당한 이환율 및 증가된 건강관리 비용을 야기한다 전세계적 유행병이다. 이 연구는 만성 당뇨성 족부 궤양을 치유하기 위한 표준 상처 관리(N=47)에 비교하여 동결보존된 태반막(N=50)의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이 실시예는 만성 당뇨성 족부 궤양의 치료를 위해 양막으로부터 유래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동결보존된 태반막 생성물(예를 들어, 그라픽스(Grafix)(등록상표), 메릴랜드주 컬럼비아에 소재한 오시리스 세라퓨틱스(Osiris Therapeutics))의 안전성 및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전향적, 다중심, 무작위, 단일 맹검 임상 시험의 부분이다. 본 연구는 1975 헬싱키 선언의 윤리 가이드라인을 따랐고, 임상연구 등록 사이트(ClinicalTrials.gov)에 등록하였다(NCT01596920). 환자는 등록 전에 표준 IRB 승인 동의서를 검토하고 서명하였다. 환자는 2012년 5월부터 2013년 4월까지 등록되었다.Diabetic foot ulcers result in significant morbidity and increased health care cost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s (N = 50) compared to standard wound management (N = 47)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diabetic foot ulcers. This example illustrates the use of a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 product (see, for example, Grafix &lt; (R) &gt;, Osirisera &lt; (R) &gt;, Columbia, Maryland) derived from amniotic membrane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diabetic foot ulcers It is part of a prospective, multicenter, randomized, single-blinded clinical trial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paclitaxel (Osiris Therapeutics). This study followed the Ethics Guidelines of the Helsinki Declaration of 1975 and enrolled in Clinical Trials.gov (NCT01596920). The patient reviewed and signed the standard IRB consent form before enrollment. Patients were enrolled from May 2012 to April 2013.

중요한 포함 기준은 확인된 I형 또는 II형 당뇨병, 환자 연령 18세 내지 80세, 4주 내지 52주에 존재하는 상처 지수, 발바닥 또는 발등 표면 상의 복사뼈 아래에 위치된 상처, 및 1㎠ 내지 15㎠의 궤양을 포함하였다. 주요 제외 기준은 12% 초과의 헤모글로빈 A1c, 골수염 또는 봉와직염을 포함하는 활성 감염의 증거, 발목상완지수 < 0.70 또는 > 1.30, 또는 발가락 상완 지수 0.50 이하 또는 부적절한 동맥 박동에 의한 환부 족부에 대한 부적절한 순환, 노출된 근육, 힘줄, 뼈 또는 관절낭에 의한 도플러 연구, 및 선별 기간 동안 상처 면적의 30% 이상의 감소를 포함하였다.Critical inclusion criteria include confirmed wound type I or type II diabetes, age 18 to 80 years of patient age, wound index present at 4 to 52 weeks, wound located below the radiating bone on the soles or soles of the foot and 1 cm 2 to 15 cm 2 Of ulcers. The primary exclusion criteria included evidence of an active infection, including an excess of 12% of hemoglobin A1c, osteomyelitis or ringworm, an ankle brachial index <0.70 or> 1.30, or a toe brachial index of less than 0.50, or improper circulation to the affected foot, Doppler studies by exposed muscles, tendons, bones or capsules, and a reduction of more than 30% of the wound area during the screening period.

일(1)주 선별 기간 후에, 환자를 동결보존된 태반 생성물 또는 대조군 치료 아암에 대해 1:1 비로 무작위화하였다. 태반 생성물 치료에 대해 무작위화된 환자는 84일까지 1주(± 3일) 1회(맹검 치료기) 태반 생성물의 적용을 받았다. 대조군의 환자는 84일까지 동안 1주(± 3일) 1회 표준 상처 치료법을 받았다. 모든 상처를 적절하게 세정하고, 각각의 매주 방문 시 메수, 조직 니퍼 및/또는 큐렛에 의해 상처로부터 모든 비생존성 연조직을 제거하도록 수술에 의해 제거하였다. 태반 생성물 그룹으로 무작위화한 환자에 대해,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상처 및 가장자리와 완전하게 접촉되게 두었다. 그룹 둘 다에서 상처는 수술적 괴사 조직 제거, 오프로딩 및 비접착 드레싱을 포함한 표준 상처 관리를 받았다. 모든 환자는 비접착 드레싱을 받았다: 중등증의 배농 상처에 대해 어댑틱(ADAPTIC)(등록상표)(영국 개트윅에 소재한 시스타제닉스사(Systagenix)) 및 식염수를 적신 거즈 또는 알레빈(ALLEVYN)(등록상표)(영국 런던에 소재한 스미스 앤드 네퓨사(Smith and Nephew)). 이어서, 외부 드레싱을 적용하였다. 환자는 발바닥 상처에 대해 워커 부츠 또는 상처가 발등 또는 발목 상에 있었다면 수술후 신발을 제공받았다. 맞춤 오프 로딩 부츠는 부서 조사자의 재량으로 처방될 수 있다. 추가로, 사용한 오프-로딩 장치는 상처 크기 또는 위치의 변화를 수용하는데 필요하다면 바꿀 수 있었다.(1) After the weekly screening period, the patients were randomized to a 1: 1 ratio for cryopreserved placenta products or control arm. Patients randomized to treatment with placenta products received placental product once (weekly) for one week (± 3 days) until day 84 (blinded treatment).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one standard wound treatment for one week (± 3 days) for up to 84 days. All wounds were adequately cleaned and removed by surgery to remove all non-viable soft tissue from the wound by the scalp, tissue nipper and / or curette at each weekly visit. For patients randomized to placental product groups, the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 was placed in complete contact with the wound and the rim. In both groups the wound received standard wound care including surgical necrosis removal, offloading and non-adhesive dressing. All patients received non-adhesive dressing: ADAPTIC (R) (Systagenix, Gatwick, UK) and saline-gauze or ALLEVYN (R) for drainage wounds of the middle ear (Smith &amp; Nephew, London, UK). Subsequently, external dressing was applied. Patients were provided with postoperative footwear if walker boots or wounds were on the foot or ankle for foot injuries. Custom off-loading boots can be ordered at the discretion of the department investigator. In addition, the off-loading device used could be changed if necessary to accommodate changes in wound size or position.

환자를 임상 부서에서 매주 평가하였다. 이어서, 완전한 상처 봉합을 달성한 환자를 후속조치기 동안, 처음 1개월 동안 2회 그리고 이어서 2회의 추가 방문 동안 매달 계속해서 평가하였다. 맹검 치료기의 마지막까지 봉합되지 않은 상처의 대조군 환자는 태반 생성물(그라픽스(GRAFIX)(등록상표))이 84일까지 매주 적용된 개방 표지 치료기의 태반 생성물을 받을 수 있었다. 맹검 치료기, 후속조치 방문 시뿐만 아니라 개방 표지 치료기 동안 각각의 방문 시 결과 및 안전성 평가를 하였다.Patients were evaluated weekly by the clinical department. The patient who achieved complete wound closure was then continuously assessed monthly during the follow-up period, twice for the first month and then for two subsequent visits. A control patient with a non-sutured wound to the end of the blinded treatment was able to receive the placental product of the open label therapy applied weekly until the placenta product (GRAFIX &lt; RTI ID = 0.0 &gt; (R) Results and safety assessments were made at each visit during blinded therapy, follow-up visit, as well as open-label treatment.

연구의 1차 종말점은 지수 상처의 완전한 상처 봉합 평가였다. 완전한 상처 봉합을 부서 조사자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상처 배액이 없는 100% 재상피화로서 정의하였다. 상처 봉합의 확인은 초기 후속조치 방문 2주 후에 이루어졌다. 상처 봉합은 디지털화된 아세트산염 트레이싱 및 사진을 통해 모든 상처를 검토한 2명의 맹검 상처 관리 전문가가 있는 중앙 상처 코어 연구소(central wound core laboratory)를 통해 독립적으로 확인하였다. 2차 목적은 태반 생성물을 받은 환자 대 카플란-마이어 분석에 의해 측정한 바와 같은 대조군을 받은 환자 중의 초기 상처 봉합에 대한 시간을 포함하였다. 28일까지 상처 크기의 50% 이상 감소, 봉합에 필요한 적용의 수, 및 초기 상처 치유 후 상처 재발을 달성한 환자의 비율을 또한 결정하였다. 개방 표지 치료기에서, 맹검 치료기에서 대조군에 있는 환자에 대한 태반 생성물에 의한 상처 봉합을 평가하였다. 안전성 평가는 국립암연구소(NCI)의 유해사건에 대한 통상적인 용어 기준(CTCAE) 버전 3에서 약술한 바와 같은 유해 사건의 수, 유형 및 중증도를 포함하였다.The primary endpoint of the study was complete wound closure evaluation of the index wound. Complete wound closure was defined as 100% re-epithelization without wound drainage as determined by department investigators. Confirmation of wound closure was made two weeks after the initial follow-up visit. The wound closure was independently verified through a central wound core laboratory with two blind wound care specialists who reviewed all scars via digitized acetic acid tracing and photographs. The secondary purpose included time for initial wound closure in patients receiving a control as measured by Kaplan-Meier analysis versus patients receiving placental products. A reduction of more than 50% of wound size by 28 days, the number of applications required for suturing, and the percentage of patients who achieved wound recurrence after initial wound healing were also determined. In open label therapy, wound closure by placental products was evaluated for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in blinded therapy. The safety assessment included the number, type, and severity of adverse events as outlined in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s (NCI) CTCAE Version 3 standard for adverse events.

샘플 크기 및 통계학적 분석: 연구 샘플 크기는 대조군 아암에서 30% 및 태반 생성물 그룹에서 50%의 추정 봉합률(중퇴율 30%)에 기반한다. 이들 추정 하에서, 각각의 치료 아암에서 94명의 완료 환자는 80% 검증력으로 0.05의 양측 제1종 오류를 충족할 필요가 있었다. 사전 구체화된 중간 분석을 50% 등록에서 계획하였다. 중간 분석은 오브라이언-플레밍(O'Brien-Fleming) 경계 형상을 이용하는 에머손-플레밍 대칭 그룹(Emerson-Fleming symmetric group)에 기반하여 단측 우수성 설계를 이용하였다(Emerson and Fleming, 1989). 분석을 비맹검 통계학자에 의해 수행하였고, 맹검 검토 위원회에 보고하였다. 중간 분석 후, 맹검 검토 위원회는 대조군 아암에 비한 태반 생성물의 압도적인 우수성 때문에 연구 등록을 종결할 것을 권고하였다.SAMPLE SIZE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sample size is based on an estimated closure rate (30% dropout rate) of 30% in the control arm and 50% in the placenta product group. Under these estimates, 94 complete patients in each treatment arm needed to meet both side 1 errors of 0.05 with 80% validity. A pre-specified interim analysis was planned at 50% registration. Intermediate analysis used a one-sided excellence design based on the Emerson-Fleming symmetric group using O'Brien-Fleming boundary geometry (Emerson and Fleming, 1989). Analysis was performed by a non-blinded statistician and reported to a blinded review committee. After the interim analysis, the blinded review committee recommended that the study registration be terminated because of the overwhelming superiority of the placenta product compared to the control arm.

치료의향분석 기준에 대해 SAS 버전 9.2를 이용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준 인구통계학 및 임상 변수를 연구의 각각의 처리 아암에 대해 요약하였다.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및 대상수, 범주 변수를 포함한 연속적 변수 분포의 설명적 개요는 빈도 및 백분율에 대해 요약하였다. 처리군 요약을 모든 연구 부서에 걸쳐 구성하였다. 연속적 측정을 위한 범주적 변수 및 분산 분석(ANOVA) 기법에 대한 카이 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처리군 간의 통계학적 비교를 수행하였다. 콕스(Cox) 비례 위험 회귀 분석을 시간 대 사건(상처 봉합) 데이터에 대해 수행하였다.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version 9.2 for treatment intention analysis criteria. The baseline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were summarized for each treatment arm of the study. A descriptive summary of the distribution of continuous variables, including mean, standard deviation, median and target numbers, and categorical variables, is summarized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Treatment group summaries were constructed across all study divisions. Statistical comparisons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were performed using the Chi-square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and ANOVA for continuous measures. A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time vs. event (wound closure) data.

결과result

환자 인구통계학 및 기준 특징을 표 16에 제시한다. 선별 동안, 139명의 환자를 평가하였다. 선별되지 못한 42명의 환자가 있으며, 이 중 6명은 30% 이상의 상처 면적 감소가 있었기 때문에 기간 중의 1주 실행 후에 자격을 잃었다. 97명의 환자를 후속적으로 무작위화하였고, 50명은 태반 생성물을 받았으며, 47명은 표준 상처 치료법을 받았다. 2개의 치료군 간의 기준 특징에서 상당한 차이가 없었다. 계획한 중간 분석은 대조군에 비해 1차 및 2차 종말점에 대해 태반 생성물을 받은 환자 중에서 압도적인 효능을 나타내었다(표 17). 중간 분석 후, 맹검 검토 위원회는 압도적인 우수성 때문에 연구 등록을 종결할 것을 권고하였다.Patient demographics and baseline characteristics are presented in Table 16. During the screening, 139 patients were evaluated. Of the 42 patients who were not screened, 6 of them lost qualification after a week of running because they had a wound area reduction of 30% or more. 97 patients were subsequently randomized, 50 received placental products, and 47 received standard wound ca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elin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The planned interim analyzes showed overwhelming efficacy among patients receiving placental products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endpoints compared to the control (Table 17). After the interim analysis, the Blind Review Committee recommended that the study registration be terminated due to overwhelming excellence.

효능 평가Efficacy evaluation

맹검 처리기 완저한 상처 봉합을 달성한 환자의 비율은 도 3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조군(47명 중 10명, 21.0%, p=0.0001)에 비해 태반 생성물(50명 중 31명, 62.0%)을 받은 환자에서 상당히 더 높았다. 대조군에 비해 태반 생성물 환자에 대한 완전한 치유를 위한 오즈비(odds ratio)는 6.037이었다(95% CI 2.449-14.882). 태반 생성물 그룹은 도 3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된 그룹 둘 다에서 상처 중의 대조군(42 대 69.5일, p=0.019)에 비해 완전한 상처 봉합에 대해 상당히 더 빠른 중앙값 시간을 가졌다. 카플란-마이어 분석은 태반 생성물에 대한 12주 평가 기간 동안 완전한 상처 치유의 통계적으로 더 큰 가능성을 도시한다(도 34). 태반 생성물 그룹에 대한 봉합 확률은 표준 관리 그룹에 대한 27.1%에 비교하여 67.1%였다(로그-순위법, p<0.0001). 태반 생성물 환자는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조군 아암의 환자에 비해 봉합을 달성하는데 더 적게 연구 방문(즉, 적용)을 필요로 하였다(6 대 12, p<0.001). 제28일까지 상처 크기의 적어도 50% 감소를 지니는 환자의 비교는 태반 생성물 그룹에서 50명의 환자 중 31명(62.0%)이 대조군에서의 47명 중 19명(40.4%)에 비해 이 감소를 달성하였다는 것을 나타내었다(p=0.035). 대조군으로부터 빠진 11명(23.4%)의 환자에 비해 태반 생성물 그룹의 완료 전 연구에서 빠진 8 명(16%)의 환자가 있었다.The proportion of patients achieving a complete wound closure was 31% (50/50, 62.0%)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10/47, 21.0%, p = 0.0001)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who received it. The odds ratio for complete healing of placental product patients was 6.037 (95% CI 2.449-14.882) compared to the control. The placenta product group had a significantly faster median time for complete wound closu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42 vs. 69.5 days, p = 0.019) in wound in both sealed groups as shown in FIG. Kaplan-Meier analysis shows a statistically greater likelihood of complete wound healing during a 12 week evaluation period for placenta products (FIG. 34). The stitching probability for the placenta product group was 67.1% compared to 27.1% for the standard control group (log-rank method, p <0.0001). Patients with placenta products required less study visits (ie, application) to achieve suture than the control arm's patients (6 vs. 12, p <0.001), as shown in FIG. Comparisons of patients with at least a 50% reduction in wound size by day 28 showed that 31 (62.0%) of the 50 patients in the placenta product group achieved this reduction compared to 19 of the 47 (40.4%) in the control group (P = 0.035), respectively. Eight patients (16%) were missing from the study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placenta product group compared to 11 patients (23.4%) who were excluded from the control group.

처음 12주 연구 기간 동안 봉합된 DFU의 상처 재발을 평가하였다. 총 12주 동안 제2주, 제4주에 그리고 4주마다의 후속조치는 궤양이 대조군에서의 70.0%(10명 중 7명 환자)에 비해 태반 생성물 그룹의 환자 82.1%(28명 환자 중 23명)에서 봉합된 채로 남아있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p=0.42).During the first 12 weeks of study, wound recurrence of the sealed DFU was evaluated. Follow-up at Week 2, Week 4, and Week 4 over a total of 12 weeks showed that ulcers were 82.1% (28 of 28 patients) of the placenta product group compared to 70.0% (7 of 10 patients) ) (P = 0.42).

개방 표지기: 처음 12주 치료 기간 동안 치유되지 않은 대조군 아암의 환자는 태반 생성물 치료법을 12주까지 받도록 크로스오버 할 수 있었다(n=26). 태반 생성물 치료법을 받은 후에, 봉합 확률은 67.8%이고, 이들 환자의 봉합에 대한 중앙값 시간은 42일이었다. (도 36) Open markers : Patients in control arms that were not cured during the first 12 weeks of therapy could be crossovered to receive placental product therapy for up to 12 weeks (n = 26). After receiving placental product therapy, the stitching probability was 67.8% and the median time for stitching in these patients was 42 days. (Fig. 36)

회귀 분석: 콕스 비례 위험 회귀 분석을 치료군, 궤양의 지속시간, 기준 궤양 면적, 글루코스 제어(당화 헤모글로빈), 궤양 위치 및 공변량으로서 BMI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들 변수에 대한 조절 후에, 태반 생성물이 봉합에 대한 시간에 대해 상당한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p<0.0001). 위험비는 4.77였는데(95% CI 2.279, 9.971), 이는 표준 상처 치료법에 대해 태반 생성물에 의한 봉합의 우수한 오즈를 나타낸다. Regression analysis: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BMI as the treatment arm, duration of ulcer, baseline ulcer area, glucose control (glycated hemoglobin), ulcer location and covariate. After adjustment for these variables, placental produc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ime for stitching (p < 0.0001). The hazard ratio was 4.77 (95% CI 2.279, 9.971), indicating excellent oz of suture by placental product for standard wound treatment.

안전성 평가: 전반적으로, 대조군 환자에 비해 적어도 하나의 유해 사건을 경험한 태반 생성물 환자는 더 소수였다(44.0% 대 66.0%, p=0.031). 태반 생성물에 대해 무작위화된 환자 중에서, 상처 관련 감염을 지니는 환자는 상당히 더 적었고(18.0% 대 36.2%, p=0.044), 상처 감염과 관련된 심각한 유해 사건이 더 적으며(8% 대 21.3%, p=0.084) 대조군보다 태반 생성물 그룹에서 감염과 관련된 입원은 더 적었다(6% 대 15%, p=0.15). (표 18). Safety evaluation: Overall, placenta product patients who experienced at least one adverse events compared to the control patients was fewer (44.0% vs. 66.0%, p = 0.031). Among patients randomized to placental products, significantly fewer wound-related infections (18.0% versus 36.2%, p = 0.044), fewer serious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wound infections (8% versus 21.3% p = 0.084). There was less infection-related hospitalization in the placenta produc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6% vs. 15%, p = 0.15). (Table 18).

논의Argument

인 연구의 결과는 본 명세서에 개시한 바와 같은 태반생성물의 매주 적용이 당뇨성 족부 궤양의 치유율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며, 표준 상처 치료법에 비해 당뇨성 족부 합병증을 감소시켰다는 것을 입증한다. 이 연구에서, 모든 1차 및 2차 종말점은 지금까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사전 구체화된 중간 분석을 충족시키는 다중심 DFU 시험에서만 태반 생성물의 임상적 이점을 나타내었다. 이는 또한 당뇨성 족부 궤양의 치료를 위해 인간 양막을 연구하기 위한 다중심 무작위 제어 시험(RCT)의 첫 번째 보고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자들의 지식에 대해, 이는 진보된 피부 대체물에 대한 첫 번째의 거대, 다중심 RCT이며, 여기서 1차 종말점, 100% 재상피화는 서드 파티(3rd party) 맹검 상처 관리 전문가에 의해 확인하여, 추가로 잠재적 편향을 추가로 제거하고, 종말점 결과의 신뢰성을 증가시켰다. 태반 생성물 그룹은 도 3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당히 더 높은 완전한 봉합률(191% 상대적 개선)을 가졌다.Results demonstrate that weekly application of placental products as disclosed herein effectively improves the cure rate of diabetic foot ulcers and reduces diabetic foot complications compared to standard wound treatments. In this study, all primary and secondary endpoints presented clinical benefits of placental products only in multicenter DFU trials, which so far have met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specified interim analyzes. It is also the first report of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to study human amniotic membrane for the treatment of diabetic foot ulcers. Additionally, the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ors, it checked by a the first large, for the advanced skin substitute center RCT, wherein the first end point, 100% re-epithelialization was blinded third party (3 rd party) wound care professionals Thereby further eliminating the potential bias and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end point results. The placenta product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complete seal rate (191% relative improvement) as shown in FIG.

이 연구에서, 수술 괴사 조직 제거를 연구 방문 시 모든 환자에 대해 행하였다. 다른 연구는 소수의 DFU가 3상 DFU 시행에서 수술 괴사 조직 제거를 받았다는 것과(Steed, D.L., et al., Effect of extensive debridement and treatment on the healing of diabetic foot ulcers. Diabetic Ulcer Study Group. J Am Coll Surg, 1996. 183(1): p. 61-4; Saap, L.J. and V. Falanga, Debridement performance index and its correlation with complete closure of diabetic foot ulcers. Wound Repair Regen, 2002. 10(6): p. 354-9), 상처 괴사 조직 제거의 빈도가 상처 치유와 관련된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문헌[Steed et al., 상기 참조, 표 19] 참조).In this study, surgical necrotic tissue removal was performed on all patients at study visit. Other studies have shown that a small number of DFUs have undergone surgical necrosis removal in three-phase DFU procedures (Steed, DL, et al., Diabetic Ulcer Study Group, J Am Coll Surg, 1996. 183 (1): 61-4; Saap, LJ and V. Falanga, Debridement performance index and its correlation with complete closure of diabetic foot ulcers Wound Repair Regen, 2002. 10 (6): p. 354-9) and reported that the frequency of wound necrosis is associated with wound healing. (See Steed et al., Supra, Table 19).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0

실시예Example 23 힘줄 수복 방법에서 동결보존된 막 23 Cryopreserved membranes in the tendon repair method

동결보존된 막을 이식을 위한 준비가될 때까지 -80˚C(±5˚C)에서 유지한다. 냉동막을 해동시키고 나서, 패키징 삽입물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린스한다. 추가적인 정보를 오시리스 세라퓨틱스에 의해 제공되는 그래픽스 제조 가이드(Grafix Preparation Guide)에서 찾을 수 있다. 해동 후, 린스 단계를 수행하고 나서, 이식편을 사용 1시간 전까지 린스 수반에 보유할 수 있다. 일단 막이 해동되고 린스되면, 이식을 위한 준비가 된다.Keep the cryopreserved membrane at -80 ° C (± 5 ° C) until ready for transplantation. After thawing the frozen membrane, rinse using a protocol that provides a packaging insert.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found in the Grafix Preparation Guide provided by Osiris Seraputics. After thawing, the rinsing step can be carried out and then the grafts can be held in the rinse head 1 hour prior to use. Once the membrane is thawed and rinsed, it is ready for transplantation.

동결보존된 막이 방향성(예를 들어, 양막)을 갖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패키징은 막의 방향성을 나타낼 수 있다(예를 들어, 측면이 상피이거나 또는 비접착측이고/이거나 기질 또는 막의 접착측임). 양막을 이용할 때, 기질층은 수복된 조직 표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Depending on whether the cryopreserved film has a directional (e.g., amniotic) membrane, the packaging can exhibit film orientation (e.g., the side is epithelium or unadhered side and / or the adhesive side of the substrate or membrane). When amniotic membrane is used, the substrate layer can be placed in contact with the restored tissue surface.

다음의 기법은 힘줄 수복 커버링 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동결보존된 막을 이용할 때 성공적으로 증명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예를 제공한다.The following technique provides an example that is expected to be successfully demonstrated when using the cryopreserved membranes disclosed herein after tendon restoration covering.

적용을 위한 막의 제조Fabrication of membranes for application

적용 과정의 시작 전에, 상처 및 수복 부위의 임의의 관류가 완료되어야 하며, 임의의 흡인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는 막이 흡인 시 포획되지 않거나 적용 후 파괴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동결보존된 막(예를 들어, 나이트로셀룰로스)과 함께 포함된 임의의 장착 지지체는 해동이 완료된 후 조심해서 제거한다. 나이트로셀룰로스 지지체 상에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이 제공될 때, 분취 방법은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Prior to the beginning of the application procedure, any perfusion of the wound and restoration site should be completed and any aspiration must be performed. This ensures that the membrane will not be trapped upon aspiration or destroyed after application. Any mounted support included with the cryopreserved membrane (e. G., Nitrocellulose) is carefully removed after thawing is complete. When provided with a film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ryopreserved on a nitrocellulose support, the method of dispensing may comprise:

1. 2-인치 리본(가단성 있음)을 이용하여, 막의 상피측을 리본과 접촉되게 배치시킨다. 이 위치에서, 막의 기질측을 막 상부 상의 나이트로셀룰로스 프레임을 이용하여 노출시킨다.1. Using a 2-inch ribbon (with malleability), place the epithelial side of the membrane in contact with the ribbon. In this position, the substrate side of the membrane is exposed using a nitrocellulose frame on top of the membrane.

2. 단일 또는 2개의 비외상성 겸자를 이용하고, 막을 (예를 들어, 손가락을 이용하여) 안정화시키는 동안, 나이트로셀룰로스 프레임을 막으로부터 천천히 당기기 시작한다. 볼링/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기질층의 적절한 동정을 보장하기 위해 항상 막을 리본과 접촉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2. Using a single or two non-traumatic forceps, begin to slowly pull the nitrocellulose frame from the membrane while stabilizing the membrane (eg, using a finger). It may be desirable to always keep the membrane in contact with the ribbon to prevent bowling / shrinkage and to ensure proper identification of the substrate layer.

3. 일단 후판을 제거하면, 겸자, 손가락 또는 프리엘리베이터(freer-elevator)를 이용하여 막을 조심해서 주름을 편다. 막은 이제 기질층이 위에 있고, 힘줄에 전달될 준비가 된다. 예를 들어, 도 37A 내지 B 참조.3. Once the thick plate is removed, use a forceps, finger, or freer elevator to carefully wrinkle the membrane. The membrane is now on the substrate layer, ready to be delivered to the tendon. See for example FIGS. 37A-B.

힘줄에 대한 막의 전달Delivery of membranes to tendons

힘줄의 수술적 수복 후에, 수복된 힘줄 세그먼트를 조심스럽게 집어넣어서 리본이 수복 부위 아래로 통과하게 한다. 막의 기질측은 이제 수복된 힘줄과 접할 것이다. (도 37C). 비외상 겸자를 이용하여, 막의 하나의 전체 측면을 조심해서 들어올려 그것이 힘줄 세그먼트 위에 놓이게 할 것이다. 막(접착측)은 힘줄에 자연스럽게 접착될 것이지만, 주름을 펴고 필요하다면 재위치시킬 수 있다. (도 37D). 겸자 또는 다른 기기 중 하나를 이용하여 적용된 막을 안정화시키는 동안, 남아있는 막 부분을 반대 방향으로 싸서 남아있는 힘줄 세그먼트를 감싼다. 임의의 여분의 막은 이전에 막이 적용된 부문과 겹쳐지게 할 수 있다. (도 37E). 이 적용은 장벽 시스(sheath)에서 수복된 힘줄을 완전히 둘러쌀 것이다. 기질층의 접착 특성 및 임의의 재흡수성 봉합으로부터의 잠재적 염증 반응 때문에, 이러한 봉합은 이식편이 제자리에 유지되는데 권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After surgical repair of the tendons, the restrained tendon segments are carefully inserted to allow the ribbon to pass under the restoration site. The substrate side of the membrane will now touch the restored tendon. (Fig. 37C). Using a non-trauma forceps, carefully lift one entire side of the membrane and place it on the tendon segment. The membrane (adhesive side) will naturally bond to the tendons, but it can wrinkle and reposition if necessary. (Fig. 37D). While stabilizing the applied membrane with one of the forceps or other instruments, wrap the remaining membrane por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rap the remaining tendon segment. Any extra film can be overlapped with previously applied film. (Fig. 37E). This application will completely enclose the restrained tendons in the barrier sheath. Because of the adhesion properties of the substrate layer and the potential inflammatory response from any reabsorbable sutures, such sutures may not be recommended for the graft to remain in place.

힘줄이 여전히 들어가 있는 동안, 리본을 조심해서 제거하고, 힘줄을 시스 내로 다시 재배치시킬 것이다. 힘줄 시스를 봉합 시 막을 부적절하게 혼입하지 않도록 조심해서 봉합한다. (도 37F). 관류 또는 흡인이 필요한 것으로 증명되면, 막의 예리한 관찰은 막 파괴 또는 손실을 피하는데 필수적일 것이며, 또는 레이-테크(Ray-tec) 스펀지를 이용하여 조심해서 닦는 것이 권장될 수 있다. 흡인 사용의 제한은 막 파괴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예상된다.While the tendon is still in place, carefully remove the ribbon and reposition the tendon back into the sheath. Suture the tendon sheath carefully so as not to mix the membrane improperly. (Fig. 37F). If perfusion or aspiration is proven to be necessary, a sharp observation of the membrane will be essential to avoid membrane breakage or loss, or it may be advisable to carefully wipe with a Ray-tec sponge. Restrictions on the use of aspiration are expected to reduce the likelihood of membrane breakage.

논의Argument

힘줄 파열의 수술적 재구성은 대부분의 족부 및 발목 수술 실행에서 흔하다. 가장 흔한 수술 후 합병증 중 하나는 연조직 구조 주위에 대한 수복 힘줄의 접착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동결보존된 막, 예를 들어,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은 자연적으로 항접착성 및 항염증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염증 및 반흔 형성의 결과적인 증가가 해로운 영역에서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으로 적합하다. 막은 증가된 구조적 무결성을 반드시 제공하지는 않을 것이고, 그렇게 해서, 힘줄 파열 수복에서 막의 단 하나의 용도는 구조적 강화가 필요하지 않을 때, 또는 구조적 강화를 제공하는 다른 생성물과 조합하여 막을 이용할 때 적절하다. 최근의 연구는 동결보존된 막을 무세포 진피 이식편 및 PRP와 함께 사용하였을 때 진피 이식편의 숙주 혼입률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연구는 이식 부위의 생리적으로 동일한 조직 내로 이식편의 조직학적 리모델링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증가된 혼입 속도, 조직 분화 및 리모델링을 관찰하였다. 이들 특징은 조직 접착의 저해/방지, 수술후 기간 동안 흉터의 저해/방지, 및 힘줄 수복에 관한 용도로 동결보존된 막을 사용하게 한다.Surgical reconstruction of tendon ruptures is common in most foot and ankle operative procedures. One of the most comm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s the adhesion of restoration tendons around soft tissue structures. Membranes containing the cryopreserved membranes disclosed herein, such as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s, have been found to have naturally antiadhesive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Therefore, it is ideally suited to use in a detrimental area where the resulting increase in inflammation and scar formation is. The membrane will not necessarily provide increased structural integrity and so the only use of the membrane in tendon rupture restoration is appropriate when structural reinforcement is not needed or when using the membrane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ducts that provide structural reinforcement.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when the cryopreserved membranes are used with an acellular dermis graft and PRP, the host inclusion rate of dermal grafts is improved. The research suggests a histological remodeling of the graft into the physiologically identical tissues of the graft site. Furthermore, increased incorporation rates, tissue differentiation and remodeling were observed. These features allow the use of cryopreserved membranes for inhibition / prevention of tissue adhesion, scar inhibition / prevention during postoperative period, and tendon restoration.

실시예 23.1 힘줄수수 방법에서 동결보존된 막 Example 23.1 A cryopreserved membrane in a tendon transfer method

통증이 있는 결절 및 만성 건증을 지니는 72세의 여성 환자가 내원하였다. 환자는 결절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다(도 38A). 동결보존된 막을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해동시킬 수 있고, 바늘과 같은 형태로 말았다(도 38B). 이어서, 막을 힘줄 내부에 삽입하고 나서, 힘줄을 봉합사를 이용하여 봉합시킨다(도 38C). 막은 가속화된 상처 치유 및 조직 수복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수복된 힘줄에 대한 접착을 방지할 것으로 예상된다.A 72 - year - old female patient with painful nodule and chronic diverticulitis was admitted. The patient underwent surgery to remove the nodules (Fig. 38A). The cryopreserved membrane could be thawed as discussed above and was shaped like a needle (Fig. 38B). Subsequently, the membrane is inserted into the tendon, and then the tendon is sutured using a suture (Fig. 38C). The membrane is expected to promote accelerated wound healing and tissue repair as well as prevent adhesion to the restrained tendons.

참고문헌references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2

Claims (79)

동결건조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으로서, 동결건조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상기 양막은 하기를 포함하는, 동결건조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
A) 조직 세포로서,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가 생존가능한, 상기 조직 세포;
B)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C)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
A film comprising a lyophilized amniotic membrane, said lyophilized membrane comprising, after lyophilization and subsequent thawing, said amniotic membrane comprising:
A) a tissue cell, said tissue cell being native to said amniotic membrane and capable of surviving more than 40% of said tissue cells;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said amniotic membrane;
C) an extracellular matrix that is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D) One or more types of depleted positive immunogenic ce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유형은 모체 혈액 세포, 신생아 혈액 세포 및 조직 대식세포로부터 선택되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2. The membrane of claim 1, wherein the type of depleted positive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is selected from maternal blood cells, neonatal blood cells, and tissue macrophag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유형은 CD11b+, CD14+, CD18+, CD40+ 및 CD8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조직 대식세포를 포함하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ype of depleted positive functional immunogenic cell is a membrane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comprising at least one tissue macrophag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D11b +, CD14 +, CD18 +, CD40 + and CD86 +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는 면역 반응을 생성하는데 충분한 수준 미만의 양으로 면역원성 인자를 생성하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4. The membrane of claim 1, wherein the depleted positive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produce an immunogenic factor in an amount less than a level sufficient to produce an immune respons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는 350pg/㎠ 이하의 양으로 TNF-α를 생성하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5. The membrane of claim 4, wherein the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produce TNF-a in an amount of less than 350 pg / cm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는 검출가능한 한계 미만의 양으로 면역원성 인자를 생성하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3. The membrane of claim 1, wherein the depleted positive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produce an immunogenic factor in an amount less than a detectable lim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 기질은 하나 이상의 세포외 기질 단백질을 포함하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The membrane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ellular matrix comprises at least one extracellular matrix prot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존 세포(viable cell)는 하나 이상의 상피세포, 간충직 줄기 세포, 섬유아세포,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The membrane of claim 1, wherein said viable cell comprises at least one epithelial cell, hepatic stem cell, fibroblast,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세포의 약 50% 내지 약 100%는 생존가능한,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2. The membrane of claim 1, wherein from about 50% to about 10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세포의 약 60% 내지 약 100%는 생존가능한,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7. The membrane of claim 1, wherein from about 60% to about 10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세포의 약 70% 내지 약 100%는 생존가능한,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7. The membrane of claim 1, wherein from about 70% to about 10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제1항에 있어서, 생존 세포의 10% 미만은 기능성 CD14+ 대식세포인,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The membrane of claim 1, wherein less than 10% of the viable cells are functional CD14 + macrophages, the membrane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제1항에 있어서, 생존 세포의 1% 미만은 기능성 CD14+ 대식세포인,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The membrane of claim 1, wherein less than 1% of the viable cells are functional CD14 + macrophages, the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동결건조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으로서, 동결건조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상기 양막은,
A) 생존 세포,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 및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기질층,
B) 생존 세포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포함하는 상피층; 및
C)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 중 하나 이상의 유형을 포함하되,
상기 기질층 및 상피층에서 조합된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 세포인, 동결건조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
A film containing a lyophilized amniotic membrane, wherein, after lyophilization and subsequent thawing,
A) a substrate layer comprising a living cell,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and an extracellular matrix,
B) an epithelial layer comprising living cells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And
C) one or more types of depleted amount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Wherein more than 40% of the combined cells in the substrate and epithelial layers are viable cells.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막으로서,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상기 태반막은 하기를 포함하는,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막:
A) 조직 세포로서, 상기 태반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가 생존가능한, 상기 조직 세포;
B) 상기 태반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C) 상기 태반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
A membrane comprising a cryopreserved placenta membrane,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placental membrane comprises a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 comprising:
A) a tissue cell, said tissue cell being native to said placenta membrane and capable of surviving more than 40% of said tissue cells;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the placental membrane;
C) extracellular matrix that is natural to the placenta; And
D) One or more types of depleted positive immunogenic cell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태반막은 양막 및 융모막을 포함하는,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막.16. The membran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placental membrane comprises amniotic membrane and chorionic membran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유형은 모체 혈액 세포, 신생아 혈액 세포, 조직 대식세포 및 영양막으로부터 선택되는,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막.16. The membrane of claim 15, wherein the type of depleted positive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is selected from maternal blood cells, neonatal blood cells, tissue macrophages, and trophoblast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는 CD11b+, CD14+, CD18+, CD40+ 및 CD8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조직 대식세포를 포함하는,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막.18. The membrane of claim 17, wherein the depleted positive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comprise at least one tissue macrophag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D11b +, CD14 +, CD18 +, CD40 + and CD86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는 면역 반응을 생성하는데 충분한 수준 미만의 양으로 면역원성 인자를 생성하는,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막.16. The membrane of claim 15, wherein the depleted positive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produce an immunogenic factor in an amount less than a level sufficient to produce an immune respons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은 350pg/㎠ 이하의 양으로 TNF-α를 생성하는,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막.20. The membrane of claim 19, wherein the at least one type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 produces TNF-a in an amount of less than 350 pg / cm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는 검출가능한 한계 미만의 양으로 면역원성 인자를 생성하는,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막.16. The membrane of claim 15, wherein the depleted positive functional immunogenic cell produces an immunogenic factor in an amount less than a detectable limi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태반 영양막이 실질적으로 고갈된,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막.16. The membrane of claim 15, wherein the membrane is substantially depleted of placental nutrient, the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 기질은 하나 이상의 세포외 기질 단백질을 포함하는,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막.16. The membrane of claim 15, wherein said extracellular matrix comprises at least one extracellular matrix protei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생존 세포는 하나 이상의 상피세포, 간충직 줄기 세포, 섬유아세포,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막.16. The membrane of claim 15, wherein the viable cell comprises at least one epithelial cell, hepatic stem cell, fibroblast,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세포의 약 50% 내지 약 100%는 생존가능한,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막.16. The membrane of claim 15, wherein from about 50% to about 10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the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세포의 약 60% 내지 약 100%는 생존가능한,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막.16. The membrane of claim 15, wherein from about 60% to about 10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the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세포의 약 70% 내지 약 100%는 생존가능한,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막.16. The membrane of claim 15, wherein from about 70% to about 10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the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 제15항에 있어서, 생존 세포의 10% 미만은 기능성 CD14+ 대식세포인,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막.16. The membrane of claim 15, wherein less than 10% of the viable cells are functional CD14 + macrophages, the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 제15항에 있어서, 생존 세포의 1% 미만은 기능성 CD14+ 대식세포인, 동결보존된 태반막을 포함하는 막.16. The membrane of claim 15, wherein less than 1% of the viable cells are functional CD14 + macrophages, the cryopreserved placental membrane.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을 갖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으로서,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은:
A) 조직 세포로서,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가 생존가능한, 상기 조직 세포
B)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및
C)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되;
상기 양막은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 유형을 가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은 치료적 이점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을 갖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having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comprises:
A) tissue cell, said tissue cell being native to said amniotic membrane and capable of surviving more than 40% of said tissue cells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said amniotic membrane; And
C) a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for said amniotic membrane;
The amniotic membrane has a depleted positive functional immunogenic cell type;
Wherein the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is present in an amount effective to provide a therapeutic benefit.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을 갖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으로서,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은:
A) 조직 세포로서,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가 생존가능한, 상기 조직 세포;
B)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및
C)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되,
상기 양막은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 유형을 가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은,
(i)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ii)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iii) 반응성 산소종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iv)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v) 프로테아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vi)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vii) 신생혈관생성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viii) 세포 이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을 갖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having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comprises:
A) a tissue cell, said tissue cell being native to said amniotic membrane and capable of surviving more than 40% of said tissue cells;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said amniotic membrane; And
C) an extracellular matrix native to said amniotic membrane,
The amniotic membrane has a depleted positive functional immunogenic cell type;
Wherein the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comprises:
(i) reduce and / or reduc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i) increas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 anti-inflammatory cytokine;
(iii) reduce and / or reduc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v) increas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 antioxidant;
(v) reduc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and /
(vi) increase cell proliferation and / or;
(vii) increase and / or increase neovascularization;
(viii) present in an amount effective to increase cell migration,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having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은 시험관내에서:
(i)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ii)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
(iii) 반응성 산소종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iv)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
(v) 프로테아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vi) 세포 증식의 증가;
(vii) 신생혈관생성의 증가; 및/또는
(viii) 세포 이동의 증가를 촉진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을 갖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is administered in vitro:
(i) a de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i)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iii) reduction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v)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 antioxidant;
(v) reduc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vi)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vii) increased angiogenesis; And / or
(viii) an amount effective to promote an increase in cell migration,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having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은 생체내에서:
(i)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ii)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
(iii) 반응성 산소종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iv)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
(v) 프로테아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vi) 세포 증식의 증가;
(vii) 신생혈관생성의 증가; 및/또는
(viii) 세포 이동의 증가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을 갖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is administered in vivo:
(i) a de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i)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iii) reduction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v)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 antioxidant;
(v) reduc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vi)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vii) increased angiogenesis; And / or
(viii) an amount effective to promote an increase in cell migration,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having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막이 치료적 이점이 필요한 대상체에게 적용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은:
(i)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ii)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iii) 반응성 산소종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iv)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v) 프로테아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vi)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vii) 신생혈관생성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viii) 세포 이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조직 성분을 갖는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
31. The method of claim 30, wherein when the membrane is applied to a subject in need of a therapeutic benefit,
(i) reduce and / or reduc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i) increas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 anti-inflammatory cytokine;
(iii) reduce and / or reduc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v) increas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 antioxidant;
(v) decreas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vi) increase cell proliferation and / or;
(vii) increase and / or increase neovascularization;
(viii) present in an amount effective to increase cell migration,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having at least one tissue component.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막은 전달 기질에 고정되는, 막.35. The membra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4, wherein the amniotic membrane is fixed to a delivery substrate.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기질은 나이트로셀룰로스인, 막.36. The membrane of claim 35, wherein the delivery substrate is nitrocellulose.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존된 양막은 후속적 해동 전에 장기간의 시간 동안 저장되는, 막.35. The membrane of any one of claims 1 to 34, wherein the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is stored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prior to subsequent thawing.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장기간의 시간은 약 6개월 내지 적어도 약 36개월인, 막.38. The membrane of claim 37, wherein the prolonged period of time is from about 6 months to at least about 36 months.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세포의 생존도는 해동 시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막.38. The membrane of claim 37, wherein the viability of the tissue cells is substantially maintained during thawing.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세포의 상기 생존도는 냉동 저장 되었을 때 적어도 약 25개월 동안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막.35. The membrane of any one of claims 1 to 34, wherein said viability of said tissue cells is substantially maintained for at least about 25 months when cryopreserved.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존된 양막은 해동되고, 해동 방법의 시작 30분 내에 사용을 위한 준비가 될 수 있는, 막.35. The membra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4, wherein the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is thawed and can be ready for use within the first 30 minutes of the thawing method. 대상체에 대한 상처의 치료방법으로서, 상처 부위에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상기 양막은:
A) 조직 세포로서,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가 생존가능한, 상기 조직 세포
B)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C)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을 포함하되;
투여 시 상기 막은 하기 중 하나 이상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상기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하는, 상처의 치료방법:
(i)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ii)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
(iii) 반응성 산소종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iv)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
(v) 프로테아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vi) 세포 증식의 증가;
(vii) 신생혈관생성의 증가; 및/또는
(viii) 세포 이동의 증가.
A method of treating a wound on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a film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ryopreserved at the wound site,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 tissue cell, said tissue cell being native to said amniotic membrane and capable of surviving more than 40% of said tissue cells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said amniotic membrane;
C) an extracellular matrix that is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D) at least one type of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Upon administration, the membrane provides the living cell,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promot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i) a de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i)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iii) reduction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v)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 antioxidant;
(v) reduc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vi)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vii) increased angiogenesis; And / or
(viii) Increased cell migration.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는 열상, 찰과상, 화상, 창상, 구멍, 발사체에 의해 야기되는 상처, 표피 상처, 피부 상처, 만성 상처, 급성 상처, 외부 상처, 내부 상처, 선천성 상처, 궤양, 욕창, 당뇨성 궤양, 수술 절차 동안 또는 수술 절차에 부가하여 야기된 상처, 정맥 피부 궤양, 척수손상, 눈 상처, 눈 손상, 귀 손상, 이비인후과 상처 또는 손상, 눈 손상 및 무혈관성 괴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처의 치료방법.43. 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said woun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erations, abrasions, burns, wounds, holes caused by projectiles, epidermal wounds, skin wounds, chronic wounds, acute wounds, external wounds, internal woun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abetic ulcers, wounds caused in addition to surgical procedures or in addition to surgical procedures, vein skin ulcers, spinal cord injuries, eye wounds, eye injuries, ear injuries, otitis media wounds or injuries, eye injuries and avascular necrosis , A method of treating wounds.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는 열상, 화상, 만성 상처, 급성 상처, 당뇨성 궤양, 수술 절차 동안 또는 수술 절차에 부가하여 야기된 상처 및 정맥 피부 궤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처의 치료방법.43. 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the woun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erations, burns, chronic wounds, acute wounds, diabetic ulcers, wounds caused by or in addition to surgical procedures, and vein skin ulcers.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하기 중 하나 이상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촉진시키는, 상처의 치료방법:
(i)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ii)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
(iii) 반응성 산소종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iv)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증가;
(v) 프로테아제의 양 및/또는 활성의 감소;
(vi) 세포 증식의 증가;
(vii) 신생혈관생성의 증가; 및/또는
(viii) 세포 이동의 증가.
43. 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the membrane promotes, directly or indirectl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i) a de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i)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iii) reduction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v)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n antioxidant;
(v) reduc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vi)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vii) increased angiogenesis; And / or
(viii) Increased cell migration.
수술 절차와 관련된 조직 접착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양막은,
A) 조직 세포로서,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는 생존가능한, 조직 세포;
B)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C)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
D) 고갈된 양의 1종 이상의 유형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를 포함하며,
상기 막은 조직에 투여되고, 조직 접착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하는, 수술 절차와 관련된 조직 접착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A method of treating or preventing tissue adhesion associated with a surgical procedure comprising administering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A) tissue cells, tissue cells which are native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in which more than 40% of the tissue cells are viable;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said amniotic membrane;
C) an extracellular matrix that is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D) a depleted amount of one or more types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Wherein the membrane is administered to a tissue and provides a survival cell, an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treat or prevent tissue adhesion.
치유가 필요한 상처를 갖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를 가속화시키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상처 부위에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의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투여하는 단계는 초기 투여하는 단계 후 12주까지 상처 봉합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상처 치유를 가속화시키는 방법.
A method of accelerating wound healing in a subject having a wound requiring healing,
a) administering to the wound site a membra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4,
Wherein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promote wound closure up to 12 week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step.
치유가 필요한 상처를 갖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를 가속화시키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상처 부위에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의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투여하는 단계는 초기 투여하는 단계 후 5 내지 6주까지 상처 봉합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상처 치유를 가속화시키는 방법.
A method of accelerating wound healing in a subject having a wound requiring healing,
a) administering to the wound site a membra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4,
Wherein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promote wound closure for 5 to 6 week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step.
치유가 필요한 상처를 갖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를 가속화시키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상처 부위에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의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투여하는 단계는 초기 투여하는 단계 후 28일까지 50% 이상만큼 상처 크기의 감소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상처 치유를 가속화시키는 방법.
A method of accelerating wound healing in a subject having a wound requiring healing,
a) administering to the wound site a membra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4,
Wherein the administering step is effective to promote a reduction in wound size by at least 50% by 28 day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step.
치유가 필요한 상처를 갖는 대상체에서 상처 봉합률을 개선시키는 방법으로서,
a) 상처 부위에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의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투여하는 단계는 표준 상처 치료에 비해 적어도 약 44%만큼 상처 봉합율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인, 상처 봉합률을 개선시키는 방법.
A method of improving wound closure rate in a subject having a wound requiring healing,
comprising the steps of: a) administering to the wound site a membra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4,
Wherein said administering is effective to improve wound closure rate by at least about 44% relative to standard wound treatment.
상처 치유 치료 전에 난치성인 상처에 대해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상처 부위에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의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투여하는 단계는 초기 투여하는 단계 후 12주까지 상처 봉합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상처 치유 치료 전에 난치성인 상처에 대해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method of treating a subject for a wound that is refractory prior to a wound healing treatment,
a) administering to the wound site a membra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4,
Wherein said administering is effective to promote wound closure up to 12 week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step.
만성 상처의 치료방법으로서, 상기 상처 부위에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상기 양막은:
A) 조직 세포로서,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가 생존가능한, 상기 조직 세포
B)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C)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투여하는 단계는 만성 상처의 치유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치료 세포(viable therapeutic cell),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하는, 만성 상처의 치료방법.
A method of treating chronic wounds comprising administering a film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ryopreserved to the wound site,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 tissue cell, said tissue cell being native to said amniotic membrane and capable of surviving more than 40% of said tissue cells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said amniotic membrane;
C) an extracellular matrix that is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D) at least one type of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Wherein said administering provides a viable therapeutic cell, an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promote healing of chronic wounds.
대상체에서 염증성 안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에게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상기 양막은:
A) 조직 세포로서,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가 생존가능한, 상기 조직 세포
B)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C)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투여는 염증성 안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치료 세포,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하는, 염증성 안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method of treating inflammatory eye disease in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A) tissue cell, said tissue cell being native to said amniotic membrane and capable of surviving more than 40% of said tissue cells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said amniotic membrane;
C) an extracellular matrix that is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D) comprises at least one type of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Wherein said administration provides a survival therapeutic cell, an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treat inflammatory eye diseases.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안질환은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또는 질환인, 대상체에서 염증성 안질환을 치료하는 방법.57. The method of claim 53, wherein the inflammatory eye disease is a wound or disease characterized by inflammation. 대상체에서 조직 수복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에게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상기 양막은:
A) 조직 세포로서,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가 생존가능한, 상기 조직 세포
B)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C)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투여는 조직 수복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치료 세포,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하는, 조직 수복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시키는 방법.
A method of promoting tissue repair and / or tissue regeneration in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 tissue cell, said tissue cell being native to said amniotic membrane and capable of surviving more than 40% of said tissue cells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said amniotic membrane;
C) an extracellular matrix that is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D) at least one type of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Wherein said administration provides a survival therapeutic cell, an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promote tissue repair and / or tissue regeneration.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조직 이식편 절차, 힘줄 수술, 인대 수술, 골 수술 및 척수 수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술 절차와 병용하여 사용되는, 대상체에서 조직 수복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시키는 방법.57. The method of claim 55, wherein the method is used in conjunction with a surgical procedu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issue graft procedure, tendon surgery, ligament surgery, bone surgery, and spinal cord surgery to promote tissue repair and / Way.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은 인간 조직인, 대상체에서 조직 수복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시키는 방법.57. The method of claim 55, wherein the tissue is human tissue, wherein the tissue repair and / or tissue regeneration is promoted in the subject.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조직은 연골, 피부, 인대, 힘줄 또는 뼈인, 대상체에서 조직 수복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시키는 방법.57. The method of claim 55, wherein said human tissue is cartilage, skin, ligament, tendon or bone, which promotes tissue repair and / or tissue regeneration in a subject.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조직 재생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자극하는, 대상체에서 조직 수복 및/또는 조직 재생을 촉진시키는 방법.56. The method of claim 55, wherein the membrane stimulates tissue regeneration, directly or indirectly, to promote tissue regeneration and / or tissue regeneration in a subject. 염증성 반응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상처에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상기 양막은:
A) 조직 세포로서,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가 생존가능한, 상기 조직 세포
B)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C)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투여는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양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양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상기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하는, 염증성 반응을 조절하는 방법.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method of modulating an inflammatory response comprising administering a film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ryopreserved to a wound,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 tissue cell, said tissue cell being native to said amniotic membrane and capable of surviving more than 40% of said tissue cells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said amniotic membrane;
C) an extracellular matrix that is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D) at least one type of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Wherein said administration modulates an inflammatory response that provides said viable cell,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reduce the amount of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 or increase the amount of anti-inflammatory cytokine How to.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전염증 사이토카인은 TNF-α 및 IL-1α,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염증성 반응을 조절하는 방법.61. The method of claim 60, wherein said proinflammatory cytokine consists essentially of TNF- [alpha] and IL-l [alpha], or a combination thereof.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 사이토카인은 IL-10 또는 PGE2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염증성 반응을 조절하는 방법.61. The method of claim 60, wherein said anti-inflammatory cytokine consists essentially of IL-10 or PGE2 or a combination thereof. 프로테아제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상처에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상기 양막은:
A) 조직 세포로서,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가 생존가능한, 상기 조직 세포
B)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C)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투여는 프로테아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프로테아제 저해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상기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하는, 프로테아제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
A method of modulating protease activity comprising administering a membrane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ryopreserved to a wound,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 tissue cell, said tissue cell being native to said amniotic membrane and capable of surviving more than 40% of said tissue cells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said amniotic membrane;
C) an extracellular matrix that is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D) comprises at least one type of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Wherein said administration comprises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protease inhibitor, said protease inhibitor, which provides said living cell,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reduce and / or increas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the protease or to increase the amount and / Lt; / RTI &gt;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테아제는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제(MMP) 및 엘라스타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프로테아제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65. The method of claim 63, wherein the proteas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ubstrate metalloproteinase (MMP) and an elastase, or a combination thereof.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테아제 저해제는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제(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 TIMP)의 조직 저해제를 포함하는, 프로테아제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66. The method of claim 63, wherein said at least one protease inhibitor comprises a 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 (TIMP). 반응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상기 양막은:
A) 조직 세포로서,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가 생존가능한, 상기 조직 세포
B)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C)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투여는 ROS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항산화제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하는, 반응성 산소종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A method of reducing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a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omprising administering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 tissue cell, said tissue cell being native to said amniotic membrane and capable of surviving more than 40% of said tissue cells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said amniotic membrane;
C) an extracellular matrix that is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D) comprises at least one type of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The administration can be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reactive oxygen species which provides a viable cell, an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reduce the amount and / or activity of ROS and / or increase the amount and / Lt; RTI ID = 0.0 &gt; and / or &lt; / RTI &gt;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생존 치료 세포,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는 아스코르브산의 250mM 용액과 동일한 항산화제 능력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제공되는, 반응성 산소종의 양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방법.67. The method of claim 66, wherein said surviving therapeutic cells,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reduced amount and / or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provided in an amount effective to provide the same antioxidant capacity as a 250 mM solution of ascorbic acid. How to do it. 신생혈관생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처에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상기 양막은:
A) 조직 세포로서,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가 생존가능한, 상기 조직 세포;
B)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C)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투여는 신생혈관생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상기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하는, 신생혈관생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method of increasing angiogenesis comprising administering a membrane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ryopreserved to a wound,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 a tissue cell, said tissue cell being native to said amniotic membrane and capable of surviving more than 40% of said tissue cells;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said amniotic membrane;
C) an extracellular matrix that is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D) comprises at least one type of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Wherein said administration provides said viable cell,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increase angiogenesis.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생존 치료 세포,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는 혈관 표피 성장 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또는 표피 성장 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양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제공되는, 신생혈관생성을 증가시키는 방법.69. The method of claim 68, wherein said surviving treatment cells,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or epidermal growth factor (EGF) / RTI &gt; and / or &lt; RTI ID = 0.0 &gt; activity. &Lt; / RTI &gt; 상처 부위에 대한 세포 이동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처에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상기 양막은:
A) 조직 세포로서,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가 생존가능한, 상기 조직 세포
B)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C)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투여는 세포 이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상기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하는, 상처 부위에 대한 세포 이동을 증가시키는 방법.
A method of increasing cell migration to a wound site comprising administering a film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ryopreserved to the wound,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the amniotic membrane comprises:
A) tissue cell, said tissue cell being native to said amniotic membrane and capable of surviving more than 40% of said tissue cells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said amniotic membrane;
C) an extracellular matrix that is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D) comprises at least one type of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Wherein said administration provides said viable cell,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increase cell migration.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이동은 내피세포, 섬유아세포 및 상피세포,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포를 포함하는, 상처 부위에 대한 세포 이동을 증가시키는 방법.71. The method of claim 70, wherein said cell migration comprises cel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ndothelial cells, fibroblasts and epithelial cells, and combinations thereof.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처에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상기 양막은:
A) 조직 세포로서,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가 생존가능한, 상기 조직 세포
B)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C)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면역원성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투여는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상기 생존 세포, 세포외 기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하는,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는 방법.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method of increasing cell prolifera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a membrane comprising amniotic membrane cryopreserved to a wound,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A) tissue cell, said tissue cell being native to said amniotic membrane and capable of surviving more than 40% of said tissue cells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said amniotic membrane;
C) an extracellular matrix that is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D) comprises at least one type of depleted amount of functional immunogenic cells;
Wherein said administration provides said viable cell, extracellular matrix, and / or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increase cell proliferation.
대상체에서 흉터 또는 구축 형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에게 동결보존된 양막을 포함하는 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동결보존 및 후속적 해동 후에, 상기 양막은:
A) 조직 세포로서,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이며, 상기 조직 세포의 40% 초과가 생존가능한, 상기 조직 세포
B)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하나 이상의 치료적 인자;
C) 상기 양막에 대해 천연인 세포외 기질; 및
D) 고갈된 양의 기능성 CD14+ 대식세포를 포함하고;
상기 투여는 흉터 또는 구축 형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생존 치료 세포,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를 제공하는, 흉터 또는 구축 형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method for preventing or reducing scarring or build-up in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to said subject a film comprising a cryopreserved amniotic membrane, wherein after cryopreservation and subsequent thawing,
A) tissue cell, said tissue cell being native to said amniotic membrane and capable of surviving more than 40% of said tissue cells
B)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that are natural to said amniotic membrane;
C) an extracellular matrix that is natural to the amniotic membrane; And
D) depleted positive functional CD14 + macrophages;
Wherein said administering provides a survival therapeutic cell, an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in an amount effective to prevent or reduce scarring or build-up, a method of preventing or reducing scarring or build-up formation.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생존 치료 세포,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는 흉터 형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IFN-2α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하는, 대상체에서 흉터 또는 구축 형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73. The method of claim 73, wherein said surviving therapeutic cells,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eventing scarring or build-up in a subject that is present in an amount effective to increase IFN-2 alpha in an amount effective to prevent or reduce scar formation; / RTI &gt;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생존 치료 세포, 세포외 기질 및 하나 이상의 치료 인자는 흉터 형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TGF-β3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하는, 대상체에서 흉터 또는 구축 형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74. The method of claim 74, wherein said surviving therapeutic cells, extracellular matrix and one or more therapeutic factor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eventing scarring or build-up in a subject that is present in an amount effective to increase TGF-? 3 in an amount effective to prevent or reduce scar formation; / RTI &gt; 제59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에 대한 상기 막의 투여는 상기 방법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자극 또는 유도하는, 방법.7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9 to 75, wherein administration of the membrane to the wound stimulates or induces the method directly or indirectly. 하기를 포함하는 상처 또는 조직 결함의 치료를 위한 키트:
A)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기에서의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의 막; 및
B) 상기 상처 또는 조직 결함을 치료하기 위해 막을 투여하기 위한 설명서.
A kit for the treatment of a wound or tissue defect comprising:
A) a membra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4 in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ontainer; And
B) Instructions for administering the membrane to treat the wound or tissue defect.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부가물을 더 포함하는, 상처 또는 조직 결함의 치료를 위한 키트.77. The kit of claim 77, wherein the kit further comprises an adduct.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물은 하나 이상의 항생제, 완화제, 각질용해제, 습윤제, 항산화제, 보존제, 치료제, 붕대, 도구, 절단 장치, 완충제, 해동 매질, 조절 매질, 겸자, 용기 및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상처 또는 조직 결함의 치료를 위한 키트.79. The composition of claim 78, wherein the adduct is one or more of an antibiotic, an emollient, a keratolytic agent, a wetting agent, an antioxidant, a preservative, a therapeutic, a bandage, a tool, a cutting device, a buffer, a thawing medium, A kit for the treatment of wounds or tissue defects, selected from water.
KR1020167034202A 2014-05-07 2014-05-07 Immunocompatible amniotic membrane products Withdrawn KR2017000257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4/037208 WO2015171144A1 (en) 2014-05-07 2014-05-07 Immunocompatible amniotic membrane produ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72A true KR20170002572A (en) 2017-01-06

Family

ID=5439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202A Withdrawn KR20170002572A (en) 2014-05-07 2014-05-07 Immunocompatible amniotic membrane products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139936A4 (en)
JP (1) JP2017514879A (en)
KR (1) KR20170002572A (en)
AU (1) AU2014393404A1 (en)
CA (1) CA2948133A1 (en)
SG (1) SG11201609255XA (en)
WO (1) WO201517114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0947B2 (en) 2010-02-18 2022-11-29 Osiris Therapeutics, Inc. Methods of manufacture of immunocompatible amniotic membrane produc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39934A4 (en) * 2014-05-07 2017-11-15 Osiris Therapeutics, Inc. Immunocompatible chorionic membrane products
US20160095307A1 (en) 2014-10-07 2016-04-07 NuTech Medical,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hypothermic storage of placental tissue
US10271942B2 (en) 2016-08-24 2019-04-30 Arthrex, Inc. Tissue use for repair of injury
WO2020045608A1 (en) * 2018-08-30 2020-03-05 淑子 吉田 Tendon/tendon sheath regeneration/restoration material, and use of same
US11511017B2 (en) 2019-03-12 2022-11-29 Arthrex, Inc. Ligament reconstruc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2142A (en) * 1997-02-28 2000-11-28 Tseng; Scheffer C. G. Grafts made from amniotic membrane; methods of separating, preserving, and using such grafts in surgeries
EP2335634A1 (en) * 2000-02-11 2011-06-22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Photochemical tissue bonding
US20020039788A1 (en) * 2000-02-29 2002-04-04 Isseroff Roslyn R. Corneal epithelial graft composites
US20030187515A1 (en) * 2002-03-26 2003-10-02 Hariri Robert J. Collagen biofabric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 collagen biofabric
WO2005021014A1 (en) * 2003-09-03 2005-03-10 Jiuchang Miao Preparation of biological amnion preservable at room temperature
EP1932549B1 (en) * 2005-08-26 2016-12-28 AMNOS Co., Ltd. Dried amnion and method for drying treatment of amnion
US8372437B2 (en) * 2006-08-17 2013-02-12 Mimedx Group, Inc. Placental tissue grafts
WO2011074208A1 (en) * 2009-12-18 2011-06-23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Method for preparation of corneal transplantation material by transparentization of skin dermis or amnion
EP3351625A1 (en) * 2010-02-18 2018-07-25 Osiris Therapeutics, Inc. Methods of manufacture of immunocompatible amniotic membrane products
US8632512B2 (en) * 2010-04-09 2014-01-21 Kci Licensing, Inc. Apparatus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chronic wounds
EP3139934A4 (en) * 2014-05-07 2017-11-15 Osiris Therapeutics, Inc. Immunocompatible chorionic membrane product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0947B2 (en) 2010-02-18 2022-11-29 Osiris Therapeutics, Inc. Methods of manufacture of immunocompatible amniotic membrane products
US11590172B2 (en) 2010-02-18 2023-02-28 Osiris Therapeutics, Inc. Immunocompatible chorionic membrane products
US11590173B2 (en) 2010-02-18 2023-02-28 Osiris Therapeutics, Inc. Methods of manufacture of therapeutic products comprising vitalized placental dispersions
US11638725B2 (en) 2010-02-18 2023-05-02 Osiris Therapeutics, Inc. Methods of manufacture of immunocompatible chorionic membrane products
US11986498B2 (en) 2010-02-18 2024-05-21 Osiris Therapeutics, Inc. Therapeutic products comprising vitalized placental dispersions
US12109241B2 (en) 2010-02-18 2024-10-08 Osiris Therapeutics, Inc. Methods of manufacture of immunocompatible chorionic membrane products
US12318408B2 (en) 2010-02-18 2025-06-03 Osiris Therapeutics, Inc. Methods of manufacture of therapeutic products comprising vitalized placental disper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609255XA (en) 2016-12-29
JP2017514879A (en) 2017-06-08
EP3139936A1 (en) 2017-03-15
CA2948133A1 (en) 2015-11-12
WO2015171144A1 (en) 2015-11-12
AU2014393404A1 (en) 2016-11-24
EP3139936A4 (en)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0947B2 (en) Methods of manufacture of immunocompatible amniotic membrane products
US20150010610A1 (en) Immunocompatible amniotic membrane products
US20150010609A1 (en) Immunocompatible chorionic membrane products
US20150010506A1 (en) Therapeutic placental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e
JP2017514876A (en) Therapeutic placenta composition, its production and use
KR20160149292A (en) Immunocompatible chorionic membrane products
KR20170002572A (en) Immunocompatible amniotic membrane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