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553A - High voltage connector - Google Patents
High voltag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9553A KR20160129553A KR1020150061864A KR20150061864A KR20160129553A KR 20160129553 A KR20160129553 A KR 20160129553A KR 1020150061864 A KR1020150061864 A KR 1020150061864A KR 20150061864 A KR20150061864 A KR 20150061864A KR 20160129553 A KR20160129553 A KR 201601295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ing connector
- outer housing
- connector
- voltage connector
- connecting mea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8—Shield materia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케이블 접속을 위해 후단은 케이블이 인입되어 연결되는 상대 커넥터와 체결되고, 선단은 기기부착용 유니트에 결합되는 고전압 커넥터는 내부에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이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하우징은 도전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igh-voltage connector having a rear end coupled with a mating connector to which the cable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device mounting unit for cable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in the inner housing, And an outer housing provided on the vehicle, wherein the outer housing is formed of a conductive resin.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차폐 가능한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voltag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ieldable high voltage connector.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많은 전자장치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케이블과 그에 연결된 케이블 커넥터를 통해 다른 전자장치나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ypically, automobiles contain many electronic devices,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electronic devices or power sources through cables and cable connectors connected thereto.
자동차용 케이블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케이블의 도체 심선에 접속되는 단자와, 이 단자를 감싸 보호하면서 착탈되며 결합되는 한 조의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형태로 제공된다.An automotive cable connector is typically provided in the form of an assembly comprising a terminal connected to a conductor core of a cable and a set of connector housings that are detachably coupled while protecting the terminals.
즉, 도 1을 참고하여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를 살펴보면,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는 외부하우징(10)과, 외부하우징(10)에 조립되는 내부하우징(20) 및 외부 및 내부하우징(20) 사이에 설치되는 씰링부재(30) 등을 포함한다. 1, a conventional high-voltage connector includes an
상기 씰링부재(30)는 실리콘이나 연성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원형 혹은 타원형의 폐곡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밀착 결합성을 높이기 위해 골/마루 구조가 반복되는 실질적인 주름구조가 외부면에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aling
상기 내부하우징(20)은 단자(23)의 삽입을 위한 단자수용부(22)와, 씰링부재(30)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걸림홈(21)이 하우징 몸체에 형성되도록 절연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의해 사출 성형된다.The
상기 외부하우징(10)은 예컨대, 자동차 내부의 엔진룸과 같은 케이블 도입 대상체에 고전압 커넥터를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기기부착용 유니트에 체결되는 플랜지(Flange)(11)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하우징(10)은 전자파 차폐를 위해 바람직하게 메탈(Metal) 소재에 의해 다이캐스팅(Die casting) 성형 또는 차폐판 타입으로 성형된다. The
이와 같이 형성된 외부하우징(10)이 전자파의 차폐를 위하여 금속재질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므로 생산되는 제품의 중량이 무거울 뿐만 아니라, 가공하는데 많은 비용이 필요하므로 결과적으로 제품의 생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전압 커넥터의 외부하우징을 도전성 수지로 가공하여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결합 시, 외부하우징 자체가 차폐 수단이 되어 별도의 고전압 커넥터 내의 별도의 차폐 수단이 요구되지 않는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voltage connector which is made of a conductive resin, So that a high-voltage connector is not required.
또한,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결합 시, 고전압 커넥터의 외부하우징 자체가 차폐 수단이 되므로 별도의 금속 재질의 차폐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고전압 커넥터의 부품 수가 축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전압 커넥터 제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의 차폐 수단으로 인한 내부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igh-voltag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are combined, the outer housing of the high-voltage connector itself serves as the shielding means, so that no separate metal shielding means is required, so that the number of components of the high-voltage connector can be reduced.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voltage connector that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of manufacturing a high-voltage connector and prevent internal corrosion due to a shielding means made of a metal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도전성 수지로 가공한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할 때,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외부하우징에 금속 재질의 연결수단을 마련하여 고전압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 조립 시, 커넥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접지 처리하여 차폐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high-voltage connector including an outer housing made of a conductive resin is coupled with a mating connector, a metal connecting means is provided on the outer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ion, Voltage connector in which a shielding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by grounding noise generated in a high-voltage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의 외부하우징을 도전성 수지로 가공하여 생산되는 제품의 중량을 줄이는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voltage connector for reducing the weight of a product produced by processing an outer housing of a high-voltage connector into a conductive resin.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케이블 접속을 위해 후단은 케이블이 인입되어 연결되는 상대 커넥터와 체결되고, 선단은 기기부착용 유니트에 결합되는 고전압 커넥터는 내부에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이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하우징은 도전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igh voltage connector having a rear end coupled to a mating connector to which a cable is inserted and connected, and a front end connected to a device mounting unit, And an outer housing provided on the vehicle, wherein the outer housing is formed of a conductive resin. The outer housing is formed of a conductive resin.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의 외부하우징을 도전성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결합 시, 외부하우징이 차폐 수단이 되어 고전압 커넥터에서 발생되는 전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여 고전압 커넥터에서 전자파 차폐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housing of the high-voltage connector is formed of the conductive resin, so that when the high-voltag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are coupled, the outer housing becomes shielding means so that the radio wave generated in the high-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is effected in the high voltage connector.
또한,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결합 시, 고전압 커넥터의 외부하우징 자체가 차폐 수단이 되므로 별도의 금속 재질의 차폐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고전압 커넥터의 부품 수가 축소될 수 있다. 그 결과, 고전압 커넥터의 제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의 차폐 수단에 의한 내부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high-voltag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are combined, the outer housing of the high-voltage connector itself serves as the shielding means, so that no separate metal shielding means is required, so that the number of components of the high-voltage connector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productivity of the high voltage connector can be improved, and the occurrence of internal corrosion by the metal shielding means can be prevented.
특히, 고전압 커넥터의 외부하우징에 금속 재질의 연결수단을 마련하여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결합 시, 커넥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접지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고전압 커넥터의 차폐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high-voltag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noise generated in the connector can be grounded by providing connection means made of metal on the outer housing of the high-voltage connector. This has the effect of keeping the shielding performance of the high voltage connector constant.
또한, 외부하우징을 도전성 수지로 성형하기 때문에 종래의 금속 재질로 형성된 외부하우징과 비교하여 중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의 제품 중량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outer housing is formed of a conductive resin, the weight is reduced as compared with an outer housing formed of a conventional metal material.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product weight of the high voltag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조립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외부하우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외부하우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절단선 Ⅶ-Ⅶ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외부하우징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절단선 Ⅸ-Ⅸ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igh voltage connecto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igh voltag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embl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igh voltage connector of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outer housing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in Fig. 4,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outer housing of Fig. 3,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section line VII-VII in FIG. 6,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outer housing of FIG. 3,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section line IX-IX of Fig.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b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ortion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조립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외부하우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high voltage connector and a mat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embl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igh voltage connector of FIG. 2,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0)는, 케이블 접속을 위해 후단은 케이블이 인입되어 연결되는 상대 커넥터와 체결되고, 선단은 기기부착용 유니트에 결합된다. 이때, 고전압 커넥터(100)는, 내부에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는 내부하우징(140)과, 상기 내부하우징(140)이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공간(126)이 형성되며,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외부하우징(120)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하우징(120)은 도전성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and 3, a high-
상기 내부하우징(140)에는 단자의 삽입을 위한 단자수용부가 마련되며, 절연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의해 사출 성형되는 부재로서, 내부하우징(140)의 단자수용부에 삽입된 단자는 내부로 도입되는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상기 외부하우징(120)은 전자파 차폐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수지로 성형되고, 외부하우징(120)은 내부하우징(140)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전 후면이 개구 형성된 결합공간(126)이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와 같이 외부하우징(120)이 도전성 수지로 성형되기 때문에 내부하우징(140)과 외부하우징(120)이 조립된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가 결합되면 외부하우징(120) 자체가 차폐 수단이 되어 별도의 차폐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 When the
이로 인하여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 결합 시, 고전압 커넥터(100)의 외부하우징(120) 자체가 차폐 수단이 되므로 별도의 금속 재질의 차폐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고전압 커넥터(100)의 부품 수가 축소될 수 있다. 그 결과, 고전압 커넥터(100)의 제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의 차폐 수단에 의한 내부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high-
또한, 외부하우징(120)을 도전성 수지로 성형하기 때문에 종래의 금속 재질로 형성된 외부하우징과 비교하여 중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100)의 제품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한편,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100)와 체결되는 상대 커넥터(200)는 상대커넥터 외부하우징과 상대커넥터 내부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대커넥터 외부하우징은 도전성 수지로 성형되어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 체결 시 커넥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차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상기 외부하우징(120)이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가 결합되면 차폐 수단임과 동시에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When the
이를 위하여 외부하우징(120)은 상기 상대 커넥터(200)와 결합 시, 상기 상대 커넥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복수의 연결수단(160)이 설치된 체결부(122)를 포함한다. The
상기 체결부(122)는, 차량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차량에 외부하우징(120)이 체결되도록 하며, 상대 커넥터(200)에 형성된 커넥터 결합공간(미도시)에 삽입되며 상대 커넥터(200)와 맞물리게 된다. The
이때, 체결부(122)와, 상기 체결부(122)와 접하는 상대 커넥터(200)의 접지부(미도시)는 평면 형상이기 때문에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 체결 시, 충분히 접하지 못하고 경우에 따라서 들뜸 현상이 발생하여 전기 접촉 신뢰성이 저하되기도 한다. Since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부(122)의 표면에서 상대 커넥터(22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수단(160)을 설치하여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가 결합되면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가 들뜸 없이 전기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In order to prevent this, when the
보다 자세하게, 상기 연결수단(16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대 커넥터(200)를 향해 돌출되며, 금속과 같은 도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특히, 연결수단(160)은 상기 체결부(122)에 인서트(Insert) 사출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160)은 체결부(122)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연결수단(160)을 체결부(122)에 형성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연결수단(160)은 체결부(122)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연결수단(160)은 상측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체결부(122)가 상대 커넥터(200)에 결합되어 맞물릴 때, 상기 연결수단(160)의 상측이 상대 커넥터(200)의 내벽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대 커넥터(200)의 접지부(미도시)와 연결수단(160)이 밀착되면서 접촉 효율이 향상되어 전기 접촉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4, the connecting
한편 도 6은 도 3의 외부하우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절단선 Ⅶ-Ⅶ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outer housing of FIG. 3,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section line VII-VII of FIG.
도 6 및 도 7의 설명에 앞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도면부호 중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경우 동일한 구성이라고 가정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FIGS. 6 and 7,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in FIGS. 2 to 5 among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FIG. 6 and FIG. 7 are assumed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s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이와 다르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수단(160)은, 상기 외부하우징(120)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상기 외부하우징(120)은, 상기 연결수단(160)이 삽입되는 삽입홈(124)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160)은 상기 삽입홈(124)에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6 and 7, the connecting means 160 is inserted into the
즉, 외부하우징(120) 성형 시, 체결부(122) 표면에 삽입홈(124)을 형성하고, 외부하우징(120)의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삽입홈(124)에 연결수단(160)을 삽입한다. 이와 같이 연결수단(160)이 외부하우징(120) 성형 후, 후 작업으로 장착됨에 따라 연결수단(160)이 파손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체결부(122)에서 분리하여 다른 연결수단을 체결부(122)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상기와 같이 후 작업을 통해 연결수단(160)을 체결부(122)에 설치될 때, 연결수단(160)이 체결부(122)의 삽입홈(124)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connecting means 16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이를 위하여, 연결수단(160)은, 상기 삽입홈(124) 삽입 시, 상기 삽입홈(124)보다 돌출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200)와 결합 시, 상기 상대 커넥터(200)와 맞물리며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162)와, 상기 탄성부(162)의 양 단에서 상기 탄성부(162)의 외측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24)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162)를 고정하는 고정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ans 16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상기 탄성부(162)는 앞서 설명된 연결수단(160)이 체결부(122)에 인서트 사출될 경우, 곡면의 연결수단(160)이 체결부(122)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수단(160)이 체결부(122)의 삽입홈(124)에 삽입되면, 탄성부(162)가 삽입홈(124)에서 돌출된 구조와 대응될 수 있다. The
또한, 앞선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의 체결부(122)가 상대 커넥터(200)에 결합되어 맞물릴 때, 상기 연결수단(160)이 상대 커넥터(200)의 내벽에 의해 가압되면서 탄성 변형 구조와 같이, 상기 탄성부(162)는 체결부(122)가 상대 커넥터(200)에 결합되어 맞물리면, 가압되면서 탄성 변형되어 상대 커넥터(200)와 연결수단(160)이 완전 밀착되어 접촉 효율이 향상되어 전기 접촉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4 and 5, when the
상기 고정부(164)는 삽입홈(124)에 삽입된 연결수단(160)이 삽입홈(124)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부(162)는 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고정부(164)는 탄성부(162)의 양 단에 체결부(122)가 상대 커넥터(200)에 장착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수단(160)은 판 스프링과 유사한 구조 및 유사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The fixing
특히 고정부(164)는 탄성부(162)의 양 단에서 고전압 커넥터(100)가 상대 커넥터(200)에 결합되는 방향(도 2의 화살표 참고)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수단(160)은 체결부(122)의 둘레를 감싸며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수단(160)은 체결부(122)의 전, 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수단(160)의 설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124)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124)에 고정부(164)를 장착함으로써, 연결수단(160)이 외부하우징(120)의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xing
한편, 도 8은 도 3의 외부하우징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절단선 Ⅸ-Ⅸ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outer housing of FIG. 3, and 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section line IX-IX of FIG.
도 8 및 도 9의 설명에 앞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도면부호 중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경우 동일한 구성이라고 가정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Figs. 8 and 9,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in Figs. 2 to 7 among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Figs. 8 and 9 are assumed to be the sam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수단(160)은, 상기 체결부(12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대 커넥터(200)를 향해 돌출된 돌부(16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and 9, the connecting
상기 돌부(166)는 외부하우징(120)이 성형될 때, 외부하우징(120)의 체결부(122) 표면에 체결부(122)와 일체로 성형된다. 따라서, 돌부(166)는 외부하우징(120)과 동일 재질의 도전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가 결합되어도 차폐 기능 수행에 어려움이 따른다. The protruding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돌부(166) 표면에 도금층(168)을 형성하여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가 결합될 때 상기 도금층(168)이 상대 커넥터(200) 내면에 접하도록 하여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 결합 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A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돌부(166)는 외부하우징(120)과 같이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형으로 형성되어 돌부(166)는 소정의 탄성을 보유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 결합 시 돌부(166)가 상대 커넥터(200)에 의해 가압되어 돌부(166) 표면 일부가 일그러지면서 체결부(122)가 상대 커넥터(200)에 결합되어 맞물릴 수 있게 된다. Also,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결수단(160)은, 외부하우징(120) 체결부(122)의 표면에 다수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체결부(122)의 상면 및 하면 모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200)와 다수의 위치에서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ans 16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또한, 체결부(122) 표면에 대해 연결수단(160)의 돌출된 높이는 상대 커넥터(200)와의 전기 접촉 신뢰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connecting means 160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이 고전압 커넥터(100)의 외부하우징(120)을 도전성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 결합 시, 외부하우징(120)이 차폐 수단이 되어 고전압 커넥터에서 발생되는 전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여 고전압 커넥터에서 전자파 차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또한,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커넥터(200) 결합 시, 고전압 커넥터(100)의 외부하우징(120) 자체가 차폐 수단이 되므로 별도의 금속 재질의 차폐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고전압 커넥터(100)의 부품 수가 축소될 수 있다. 그 결과, 고전압 커넥터(100)의 제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의 차폐 수단에 의한 내부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특히, 고전압 커넥터(100)의 외부하우징(120)에 금속 재질의 연결수단을 마련하여 고전압 커넥터(100)와 상대 커넥터(200) 결합 시, 커넥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접지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고전압 커넥터의 차폐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high-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고전압 커넥터
120: 외부하우징
122: 체결부
124: 삽입홈
126: 결합공간
140: 내부하우징
160: 연결수단 100: high voltage connector 120: outer housing
122: fastening part 124: insertion groove
126: coupling space 140: inner housing
160: Connection means
Claims (6)
내부에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는 내부하우징(140);
상기 내부하우징(140)이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공간(126)이 형성되며,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외부하우징(120); 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하우징(120)은 도전성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A high-voltage connector having a rear end coupled to a mating connector (200) to which a cable is inserted and connected for cable connection, and a front end coupled to a device mounting unit,
An inner housing 140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therein;
An outer housing 120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having an engaging space 126 into which the inner housing 140 is inserted and engaged; ≪ / RTI >
Wherein the outer housing (120) is formed of a conductive resin.
상기 외부하우징(120)은,
상기 상대 커넥터(200)와 결합 시, 상기 상대 커넥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복수의 연결수단(160)이 설치된 체결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housing (120)
And a coupling part (122)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means (160) electrically connectable to the mating connector (200) when coupled to the mating connector (200).
상기 연결수단(160)은, 상기 상대 커넥터(200)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체결부(122)에 인서트(Insert) 사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ng means 160 protrudes toward the mating connector 200,
Wherein the fastening part (122) is formed by insert injection.
상기 연결수단(160)은, 상기 외부하우징(120)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상기 외부하우징(120)은, 상기 연결수단(160)이 삽입되는 삽입홈(124)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160)은 상기 삽입홈(124)에서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ng means 160 is inserted into the outer housing 120,
The outer housing 120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124 into which the connecting means 160 is inserted,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160) is removable from the insertion groove (124).
상기 연결수단(160)은,
상기 삽입홈(124) 삽입 시, 상기 삽입홈(124)보다 돌출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200)와 결합 시, 상기 상대 커넥터(200)와 맞물리며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162)와,
상기 탄성부(162)의 양 단에서 상기 탄성부(162)의 외측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24)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162)를 고정하는 고정부(1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necting means (160)
An elastic part 162 protruding from the insertion groove 124 when the insertion groove 124 is inserted and being elastically deformed when engaged with the mating connector 200 when engaged with the mating connector 200,
And a fixing portion 164 form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portion 162 toward the outside of the elastic portion 162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4 to fix the elastic portion 162 Features high voltage connector.
상기 연결수단(160)은,
상기 체결부(12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대 커넥터(200)를 향해 돌출된 돌부(166)와,
상기 돌부(166)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200)와 결합 시, 상기 상대 커넥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금층(16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ng means (160)
A protrusion 166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upling part 122 and protruding toward the mating connector 200,
And a plating layer (168) formed on a surface of the protrusion (166)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ting connector (200) when the mating connector is coupled with the mating connector (2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1864A KR101692812B1 (en) | 2015-04-30 | 2015-04-30 | High voltag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1864A KR101692812B1 (en) | 2015-04-30 | 2015-04-30 | High voltage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9553A true KR20160129553A (en) | 2016-11-09 |
KR101692812B1 KR101692812B1 (en) | 2017-01-05 |
Family
ID=5752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1864A Active KR101692812B1 (en) | 2015-04-30 | 2015-04-30 | High voltag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281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3428B1 (en) | 2019-10-22 | 2020-03-02 | 이수빈 | 3D printer |
KR20230039148A (en) * | 2021-09-13 | 2023-03-21 | 주식회사 경신 | High voltage type junction-block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43032B1 (en) | 2021-02-26 | 2025-08-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nection parts for connector shielding and shiel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8944A (en) * | 2009-02-02 | 2010-08-11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Elastic piece for applying electric current, shielded connector and shielded connector set with the same |
KR20120097780A (en) * | 2011-02-25 | 2012-09-05 | 타이코에이엠피(유) | A shielded connector |
JP2012212677A (en) * | 2006-02-13 | 2012-11-01 | Eepd Electronic Equipment Produktion & Distribution Gmbh | Shielding in region of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ttached to opening of housing wall |
-
2015
- 2015-04-30 KR KR1020150061864A patent/KR10169281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12677A (en) * | 2006-02-13 | 2012-11-01 | Eepd Electronic Equipment Produktion & Distribution Gmbh | Shielding in region of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ttached to opening of housing wall |
KR20100088944A (en) * | 2009-02-02 | 2010-08-11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Elastic piece for applying electric current, shielded connector and shielded connector set with the same |
KR20120097780A (en) * | 2011-02-25 | 2012-09-05 | 타이코에이엠피(유) | A shielded connecto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3428B1 (en) | 2019-10-22 | 2020-03-02 | 이수빈 | 3D printer |
KR20230039148A (en) * | 2021-09-13 | 2023-03-21 | 주식회사 경신 | High voltage type junction-blo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2812B1 (en) | 2017-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08026B2 (en) | Waterproof structure | |
US7575476B2 (en) | Power distribution module and header assembly therefor | |
KR101860224B1 (en) |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connector system | |
JP6082701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 |
US9099814B2 (en) | Shielded electrical header assembly | |
US9592775B2 (en) | Wiring harness protector fixing structure | |
WO2014060789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111555063B (en) |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 |
US8535095B2 (en) | Clip-type elastic contact piece and shielded connector housing assembly having the same | |
CN113795982A (en) | Connector | |
CN113904162A (en) |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 |
US12142878B2 (en) | Shielded connector | |
KR101692812B1 (en) | High voltage connector | |
KR101645114B1 (en) | Wire harness | |
JP2015005432A (en) | Shield connector | |
KR101019269B1 (en) | Sealed Connector Housing Assembly | |
KR101608357B1 (en) | High voltage connector | |
JP7134792B2 (en) | shield connector | |
KR101872838B1 (en) | High voltage connector | |
KR101783853B1 (en) | High voltage connector | |
KR20210060819A (en) | Bundle Shielded Connector | |
KR101692814B1 (en) | High voltage connector | |
KR101692813B1 (en) | High voltage connector | |
KR100998813B1 (en) | Shielded connector housing assembly and conductive elastic member for the same | |
KR102270957B1 (en) | Electrical device and connection arrangement having an electrica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