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449A - Method for operating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 Google Patents
Method for operating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37449A KR20160037449A KR1020140129947A KR20140129947A KR20160037449A KR 20160037449 A KR20160037449 A KR 20160037449A KR 1020140129947 A KR1020140129947 A KR 1020140129947A KR 20140129947 A KR20140129947 A KR 20140129947A KR 20160037449 A KR20160037449 A KR 201600374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nu
- unit
- live
- display
- siz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86 mem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은, 메인(main)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가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 위로 이동한 경우에, 복수의 메뉴 아이콘을 포함하는 라이브 메뉴 바(bar)를 표시하는 단계, 포인터가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콘 위로 이동한 경우에, 라이브 메뉴 바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표시 크기를 제1 사이즈(size)로 확장하여 표시하는 단계,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하위 메뉴들을 표시하는 단계, 하위 메뉴들 중 어느 하나의 하위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콘텐츠 이용 중에 보다 적은 수의 동작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laying a main image on a display, displaying a plurality of menus when a pointer corresponding to a mo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moves over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Displaying a live menu bar including an icon and displaying a display siz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live menu bar in a first size when the pointer is moved over one of the plurality of menu icons; A step of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menu icons, a step of displaying submenus of the selected menu icon, an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submenus And display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step and the selected submenu. Accordingly, various user interface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e user can perform a desired function with a smaller number of operations during the use of the content, and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제공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하고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제공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영상제공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제공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제공하며, 이러한 방송 영상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providing an image that the user can view. The user can view the broadcast through the video providing device.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provides a user selected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and the broadcast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Currently, broadcasting is changing from analog broadcasting to digital broadcasting around the world.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Digital broadcasting refers to broadcasting in which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s are transmitted. Compared to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strong against external noise and has a small data loss, is advantageous for error correction, has a high resolution, and provides a clear screen. Also, unlike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capable of bidirectional service.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콘텐츠 이용 중에 보다 적은 수의 동작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제공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provide various user interfaces and can perform a desired function by a smaller number of operations during content u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은, 메인(main)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가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 위로 이동한 경우에, 복수의 메뉴 아이콘을 포함하는 라이브 메뉴 바(bar)를 표시하는 단계, 포인터가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콘 위로 이동한 경우에, 라이브 메뉴 바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표시 크기를 제1 사이즈(size)로 확장하여 표시하는 단계,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하위 메뉴들을 표시하는 단계, 하위 메뉴들 중 어느 하나의 하위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main image on a display; displaying a pointer corresponding to a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Displaying a live menu bar including a plurality of menu icons and displaying a display size of at least a part of the live menu bar in a case where the pointer moves over one of the plurality of menu icons The method 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콘텐츠 이용 중에 보다 적은 수의 동작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user interfaces can be provided to a user, and a user can perform a desired function with a smaller number of operations during content u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제공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제공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제공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셋탑박스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y one of platform configurations of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ny one of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nd FIG. 9 are diagrams showing, in a set-top box and a display device, any one of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to 18 are views referred to explain various examples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제공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1, an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및, 복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튜너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The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image or voice signal (CVBS / SIF). That is, the
또한, 튜너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Meanwhile, the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The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The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external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 / V input / output unit can receive video and audio signals from an external device. 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제공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The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제공장치(100) 외부의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저장부(140)는, 후술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저장부(140)는 IR 신호로써 다른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IR 포맷 키(key)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전자기기의 IR 포맷 키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1은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1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The user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from the
한편,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 영상제공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로부터, 사용자의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개인 이메일 정보 등의 개인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The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제공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제공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Meanwhile, the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제공장치(100)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로그인은, 영상제공장치(100) 자체의 로그인, 또는 영상제공장치(100)에 접속된 서버로의 로그인 또는 개인 정보에 의해 가입된 소정 웹 서버로의 로그인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예를 들어,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에 의해, 영상제공장치(100) 자체에 로그인한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 계정별로 설정된 개인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청 중인 영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시청 중인 영상과 함께, 개인 설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시청 중인 영상을 장면 전환하여, 개인 설정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the user logs in the
다른 예로, 영상제공장치(100)에 접속된 서버로 로그인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서버 접속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앱 서버(app server) 화면일 수 있다. 시청 중인 영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시청 중인 영상과 함께, 서버 접속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시청 중인 영상을 장면 전환하여, 서버 접속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when logging in to the server connected to the
한편, 제어부(170)는, 개인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영상제공장치(100)의 전원이 오프상태인 경우, 영상제공장치(100)의 전원을 온 하도록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개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웨이크 업 모드(wake up mode)로 전환하여, 각종 모듈 또는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한편,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영상제공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에 기초하여, 각 전자기기 등이 접속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다른 전자기기가 로그인 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또는, 제어부(170)는, 영상제공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해당 기기 정보,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channel signal or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nput signal may be further provided. The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stream signal TS output from the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humbnail list may be displayed in a simple view mode displayed on a partial area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image is displayed on the
한편, 도 1에서는, 영상제공장치(100)가,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하는 경우, 영상제공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로, 명명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하지 않는 개념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영상제공장치(100)는 연결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등을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Fig. 1, the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The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The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the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The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제공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photographs the user.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by a single camer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by a plurality of cameras. On the other hand,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embedded in the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근거리 자기장 통신(MFC)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Also,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는, 소정 전자기기와 근거리 자기장 통신 등에 의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는, 상술한 바에 따라, 휴대 단말기, 영상제공장치, 또는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 가능한,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 표시가 가능한 공간 리모콘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즉, 원격제어장치(200)는, RF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제공장치(100)로 개인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개인 정보 외에,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 등을 더 수신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영상제공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로부터,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다른 전자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기기로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를 할당하여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device information of other electronic devices, channel information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other electronic devices, frequency information, code information, or the like, from adjacent electronic devices in the vicinity of the
한편, 상술한 영상제공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Meanwhile, the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제공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제공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a block diagram of the
한편, 영상제공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1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1, the
도 2은 도 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The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프로세서(330)는, 영상제공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제공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제공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OSD 생성부(340)는, 영상제공장치(100) 자체에 로그인이 된 경우, 설정된 개인 화면을 생성 또는 구성할 수 있다. 또는, OSD 생성부(340)는, 접속된 서버로의 로그인하는 경우, 해당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서버 접속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서버 접속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생성하거나 구성할 수 있다. 또는, OSD 생성부(340)는,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웹 서버 접속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생성하거나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The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A frame rate converter (FRC) 350 can convert the frame rate of an input image. On the other hand, the
포맷터(Formatter)(360)는, 믹서(3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The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3D 영상 표시를 위해,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거나,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한편, 도 2에서는 OSD 생성부(340)와 영상 처리부(320)으로부터의 신호를 믹서(345)에서 믹싱한 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 등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믹서가 포맷터 뒤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2, a signal from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lock diagram of the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도 3은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of FIG.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3 (a), it is exemplified that the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3의 (b)), 앞뒤(도 3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차원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The user can move or rotate the
도 3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제공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3B illustrates that when the user moves the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제공장치로 전송된다. 영상제공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도 3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3C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user moves the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pecific button in the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ving speed and moving direction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간리모콘(201)은, 각종 입력키 또는 입력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input keys, input buttons, and the like.
예를 들어, 공간리모콘(201)은, 확인키(Okay key)(291), 메뉴키(292), 사방향키(293), 채널 조정키(294), 볼륨 조정키(296)를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may include an Okay key 291, a
예를 들어, 확인키(Okay key)(291)는 메뉴 또는 항목 선택시 사용 가능하며, 메뉴키(292)는 소정 메뉴 표시를 위해 사용 가능하며, 사방향키(293)는 포인터 또는 인디케이터를 상,하,좌우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채널 조정키(294)는 채널 상, 하 조정시 사용 가능하며, 볼륨 조정키(296)는, 볼륨 업, 다운 조정 시 사용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kay key 291 may be used to select a menu or an item, the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백 키(back key)(297), 홈 키(home key)(29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키(297)는 이전 화면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홈 키(298)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시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may further include a
한편, 도면과 같이, 확인키(291)는, 스크롤 기능이 추가된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확인키(291)는 휠 키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즉, 확인키(291)가 눌려지는 경우, 해당 메뉴 또는 항목 선택으로 사용되고, 확인키(291)가 상,하로 스크롤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 스크롤링 또는 리스트 페이지 전환 등이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80)에 디스플레이(180)의 사이즈보다 더 큰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영상 탐색을 위해 확인키(291)를 스크롤링하면,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던 영상 영역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된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80)에 리스트 페이지가 표시되는 경우, 확인키(291)를 스크롤링하면, 현재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an imag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이러한 스크롤 기능은, 확인키(291)가 아닌 별도의 키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is scroll func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key other than the
한편, 사방향키(293)는, 도면과 같이, 원형 타입에서, 상,하,좌,우키가 각각 사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사방향키(293)에 대한 터치 입력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방향키(293) 내의 상 키(up key)에서부터 하 키(down key)까지 터치 동작이 있는 경우, 해당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입력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ur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780)를 포함할 수 있다. 5, the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제공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제공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제공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제공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제공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위한, NFC 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Further, the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제공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The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제공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제공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소정 전자기기와 근거리 자기장 통신 등에 의해,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신되는 개인 정보를, 영상제공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통신 방식은, IR 방식 또는 RF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개인 정보 외에,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 등을 더 수신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다른 전자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기기로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를 할당하여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키(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제공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제공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제공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The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또는,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해 나침반처럼 방위를 탐지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방위의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제공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제공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The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을 통하여 영상제공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제공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제공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7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제공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또한, 저장부(270)는 IR 신호로써 다른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IR 포맷 키(key)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전자기기의 IR 포맷 키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어부(7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7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제공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제어부(780)는, 전자기기와 근거리 자기장 통신 등에 의해, 수신된 개인 정보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영상제공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780)는, 수신된 개인 정보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영상제공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그 외, 제어부(780)는, 수신된 개인 정보를, 영상제공장치(100) 외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 전자기기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는, 미리 다른 전자기기로부터의 기기 정보,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에 기반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영상제공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21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 The user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2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2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가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좌표값 산출부(215)는 무선통신부(21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포인터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The coordinate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제공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제공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제공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제공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제공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880)로 전송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2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s another example, the coordinat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제공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y one of platform configurations of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제공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ny one of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제공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은, 상술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OS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Any one of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S-based software to perform the various operations described above.
우선,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은, 분리형 플랫폼으로서,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 플랫폼(4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이 분리되어 설계될 수 있다. OS 커널(OS Kernel)(410)은,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에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6, any one of the visual indicator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parate platform, including a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은, OS(operating system) 커널(410) 상의 드라이버(Driver)(420), 미들웨어(Middleware)(430),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은, OS(operating system) 커널(410) 상의 라이브러리(Library)(435), 프레임워크(Framework)(440),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5)을 포함할 수 있다.The
OS 커널(410)은, 운영체제의 핵심으로써, 영상제공장치의 구동시, 하드웨어 드라이버 구동, 영상제공장치 내의 하드웨어와 프로세서의 보안,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관리, 메모리 관리, 하드웨어 추상화에 의한 하드웨어에 대한 인터페이스 제공, 멀티 프로세스, 및 멀티 프로세스에 따른 스케쥴 관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OS 커널(410)은, 파워 매니지먼트(power management) 등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The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와이파이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파워 관리자(Power management), 바인더 드라이버(Binder Driver), 메모리 드라이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ardware driver in the
또한,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장치를 위한 드라이버로서,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character device driver)와, 블럭 장치 드라이버(block device), 및 네트워크 장치 드라이버(network device dirver)를 구비할 수 있다. 블럭 장치 드라이버는, 특정 블럭 단위로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단위 크기 만큼을 보관할 버퍼가 필요할 수 있으며,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는, 기본 데이터 단위 즉 캐릭터 단위로 전송하므로 버퍼가 필요없을 수도 있다. The hardware driver in the
이러한, OS 커널(410)은, 유닉스 기반(리눅스), 윈도우 기반 등 다양한 운영체제(OS) 기반의 커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OS 커널(410)은, 공개(open)된 OS 커널로서, 다른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가능한 범용일 수 있다. The
드라이버(420)는, OS 커널(410)과 미들웨어(430) 사이에 위치하며, 미들웨어(430)와 더불어, 애플리케이션층(450)의 동작을 위해 디바이스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420)는, 영상제공장치(100) 내의 마이컴(micom), 디스플레이 모듈, 그래픽 처리 유닛(GPU),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HDMI, SDEC(System Decoder 또는 역다중화부), VDEC(Video Decoder), ADEC(Audio Decoder), PVR(Personal Video Recorder), 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등의 드라이버(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버들은,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The
또한, 드라이버(420)는, 원격제어장치(200), 특히 상술한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는, 드라이버(420)외에, OS 커널(410) 또는 미들웨어(430) 내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Further, the
미들웨어(430)는, OS 커널(410)과 애플리케이션층(450) 사이에 위치하여,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하며, 다양한 환경 지원, 및 체계가 다른 업무와 상호 연동이 가능해진다.The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미들웨어(430)의 예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와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의 미들웨어가 있을 수 있으며,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 등이 있을 수 있다.Examples of the
미들웨어(43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0), 즉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애플리케이션(450)층은, 예를 들어, 영상제공장치(100) 내의 다양한 메뉴 등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User Interfac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들웨어(43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편집이 가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0)을 이용하여, 방송 영상 시청 중 원격제어장치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중 원하는 메뉴로의 진입이 가능하다. The
또한,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애플리케이션층(450)은,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 예약(reservation)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영상 녹화(Digital Video Recoder;DVR) 애플리케이션, 핫키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 내의 라이브러리(435)는, OS 커널(410)과 프레임워크(440)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워크(440)의 기본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러리(435)는,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c library), 비디오(video) 포맷과 오디오(audio) 포맷 등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435)는, C 또는 C++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워크(440)를 통해 개발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Meanwhile, the library 435 in the
라이브러리(435)는, 코어 자바 라이브러리(core java library)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VM)을 구비하는 런타임(runtime)(4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런타임(437)은, 라이브러리(435)와 함께 프레임워크(440)의 기본을 형성한다. The library 435 may include a runtime 437 having a core Java library and a virtual machine (VM). This runtime 437 forms the basis of the framework 440 along with the library 435.
가상 머신(VM)은, 복수의 인스턴스, 즉 멀티태스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머신일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각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 가상 머신(VM)이 할당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인스턴스 사이의 스케쥴 조정 또는 인터커넥트(interconnect)를 위해, OS 커널(410) 내의 바인더(Binder) 드라이버(미도시)가 동작할 수 있다.The virtual machine (VM) can be a plurality of instances, that is, a virtual machine that can perform multitasking. On the other hand, each virtual machine (VM) may be allocated and executed in accordance with each application in the
한편, 바인더 드라이버와 런타임(437)은,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과, C 기반의 라이브러리를 연결해줄 수 있다. Meanwhile, the binder driver and the runtime 437 can connect a Java-based application and a C-based library.
한편, 라이브러리(435)와 런타임(437)은, 레가시 시스템의 미들웨어에 대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brary 435 and the runtime 437 can correspond to the middleware of the legacy system.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 내의 프레임워크(440)는,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레임워크(440)는, 어떤 애플리케이션과도 호환 가능하며, 컴포넌트의 재사용, 이동 또는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440)는, 지원 프로그램,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엮어 주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애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와 관련한 액티비티 매니저(activity manager), 알림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공유 정보를 요약하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440)는,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amework 440 in the
프레임워크(44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5)은, 영상제공장치(100) 내에서 구동되어 표시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메일(email),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 달력(calendar), 지도(map), 브라우저(browser)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코어 애플리케이션(Cor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0)은,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The
또한, 애플리케이션층(455)은, 영상제공장치(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4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4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에 의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웹 앨범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위치기반 서비스(LBS), 지도 서비스, 웹 검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검색 서비스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게임, 일정관리 등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VOD) service, a web album service,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 location-based service (LBS), a map service, a web search Service, an application search service, and the like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various functions such as game and schedule management can be performed.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에 따른 영상제공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은, 통합형 플랫폼으로서, OS 커널(510), 드라이버(520), 미들웨어(530), 프레임워크(540), 및 애플리케이션층(550)을 포함할 수 있다. 7, any one of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도 7의 플랫폼은, 도 6과 비교하여, 도 6에 도시된 라이브러리(435)가 생략된 것과, 애플리케이션층(550)이 통합 레이어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그 외, 드라이버(520), 프레임워크(540)는, 도 6에 대응한다.The platform of FIG. 7 differs from FIG. 6 in that the library 435 shown in FIG. 6 is omitted, and the
한편, 도 6에 도시된 라이브러리(435)가, 도 7에 도시된 미들웨어(530)에 병합된 것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미들웨어(530)는, 레가시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 또는 ACAP의 미들웨어,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는, 물론,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런타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hat the library 435 shown in FIG. 6 is designed to be incorporated into the
애플리케이션층(550)은, 레가시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메뉴 관련 애플리케이션,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예약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고, 영상제공장치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메일, SMS, 달력, 지도, 브라우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애플리케이션층(550)은, 영상제공장치(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5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5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상술한 도 6 및 도 7의 플랫폼은 영상제공장치는 물론, 그 외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플랫폼은, 도 1에 도시된 저장부(140) 또는 제어부(170)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미도시)에, 저장 또는 탑재(loading)될 수도 있으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latforms of Figs. 6 and 7 can be used for general purpose in various electronic apparatuses as well as image providing apparatuses. 6 and 7 may be stored or loaded in the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플랫폼과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는 웹 OS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platfor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on a web OS basis.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제공장치 중 어느 하나를 셋탑박스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8 and FIG. 9 are diagrams showing one of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et-top box and a display apparatus.
우선 도 8에 대하여 설명하면, 셋탑 박스(750)와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set-
셋탑 박스(7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755), 저장부(758), 신호 처리부(76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763), 및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76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t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755)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The
저장부(758)는, 신호 처리부(7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76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75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758)는, 상술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The
신호 처리부(760)는, 입력되는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 등을 수행하며,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디코더 또는 음성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765)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70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76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신호 처리부(760)로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76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온/오프, 동작 입력, 설정 입력 등의 다양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부(760)로 전달할 수 있다.The user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76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700)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 외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external
한편, 셋탑 박스(750)는, 별도의 미디어(media) 재생을 위한 미디어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입력부의 예로는, 블루레이 입력부(미도시)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즉, 셋탑 박스(750)는,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되는 블루레이 디스크 등의 미디어는 신호 처리부(760)에서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 등의 신호 처리 이후, 그 표시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765)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700)로 전송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t-
디스플레이장치(700)는, 튜너(77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773), 복조부(775), 저장부(778), 제어부(78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783), 디스플레이부(790), 및 오디오 출력부(795)를 포함할 수 있다.The
튜너(770), 복조부(775), 저장부(778), 제어부(78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783), 디스플레이부(790), 및 오디오 출력부(795)는, 상술한 도 1에서 기술한 튜너(110), 복조부(120), 저장부(140), 제어부(17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에 대응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773)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셋탑 박스(750)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이에 따라, 셋탑 박스(75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제어부(170)를 거쳐, 디스플레이부(790) 또는 오디오 출력부(795)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Accordingly,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set-
한편, 도 9에 대하여 설명하면, 셋탑 박스(750)와 디스플레이장치(700)는, 도 8에 도시된 셋탑 박스(750)와 디스플레이장치(700)와 동일하나, 다만, 튜너(770) 및 복조부(775)의 위치가 디스플레이장치(700) 내가 아닌 셋탑 박스(750) 내에 위치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9, the set-
그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면, 신호 처리부(760)는 튜너(770) 및 복조부(77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763)는, 채널 선택, 채널 저장 등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A to 18 are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examples of an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제공장치는 메인(main)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S1010). 예를 들어, 도 11a와 같이, 상기 메인 영상은, 소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에 기초하거나 IPTV 방송 채널과 같이 네트워크로 수신된 방송 콘텐트 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11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영상은, 웹 OS 기반에서 방송 콘텐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한 화면일 수 있다.10,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 main image on the display 180 (S10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A, the main image may be a
이후,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205)를 상기 디스플레이(180)의 소정 영역 위로 이동한 경우에(S1020), 복수의 메뉴 아이콘(1121, 1122, 1123, 1124)을 포함하는 라이브 메뉴 바(live menu bar, 1120)를 상기 디스플레이(180)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30)Thereafter, when the user operates the
여기서, 상기 라이브 메뉴 바는 상기 메인 영상 위에 오버레이(ovrelay)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라이브 메뉴 바(1120)는 메인 콘텐츠의 1 레이어(Layer)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언제 어디서든 호출가능한 메뉴로, 상기 1 레이어의 콘텐트 속성, UI속성에 따라 상황에 맞는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live menu bar may be overlaid on the main image and displayed. The
따라서, 상기 라이브 메뉴 바(1120)가 포함하는 메뉴 아이콘들은 상기 메인 영상의 종류(type)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menu icons included in the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방송 콘텐트, VOD 콘텐트를 메인 콘텐트로 이용하다가 소정 영역, 예를 들어, 우측 에지(edge) 영역으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면, 우측 영역에 방송 콘텐트 관련 메뉴 또는, VOD 콘텐트 관련 메뉴 등으로 구성된 메뉴 아이콘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uses a broadcast content and VOD content as main content and moves the pointer to a predetermined area, for example, a right edge area, a menu related to a broadcast content or a menu related to a VOD conten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이 경우에, 메뉴 아이콘들은 바 타입(bar type)의 그래픽 오브젝트에 구획된 영역들에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nu icons may be displayed in the areas partitioned by graphic objects of bar type.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라이브 메뉴 바(1120)는 방송 관련 메뉴들(1121, 1122, 1123)과 이전 단계로 돌아가는 히스토리 백(history back) 기능의 백(back) 메뉴(1124)를 포함할 수 있다. 11B, the
예를 들어, 현재 포어그라운드(Foreground)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방송 콘텐트인 경우에, 상기 라이브 메뉴 바(1120)의 퍼스트 뎁스(1st Depth) 메뉴 카테고리는 방송 관련 메뉴들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application currently running in the foreground is broadcast content, the first depth menu category of the
예를 들어, 도 11b에 예시된 라이브 메뉴 바(1120)가 포함하는 방송 관련 메뉴들(1121, 1122, 1123)은 각각 채널 메뉴(Channels), 추천 메뉴(Recommended), 녹화 메뉴(Recordings)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broadcast related
한편, 상기 채널 메뉴(Channels)는‘Now, Next’또는‘DTV, ATV, Radio’ 또는‘Favorite A, Favorite B, Favorite C’등의 세컨드 뎁스의 하위 메뉴들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hannel menu may include sub-menus of 'second, depth, such as' Now, Next' or 'DTV, ATV, Radio' or 'Favorite A, Favorite B, Favorite C'
또한, 추천 메뉴(Recommended)는‘Video, Photo, Music’또는‘현재방송, 미래방송' 등의 하위 메뉴들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recommended menu (Recommended) may include submenus such as 'Video, Photo, Music' or 'Current broadcasting, Future broadcasting'.
또한, 녹화 메뉴(Recordings)는 'Finish, Schedule, Recent' 등의 하위 메뉴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ordings may include sub-menus such as 'Finish, Schedule, Recent'.
한편, 상기 라이브 메뉴 바(1120)가 최초 표시된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로 돌아가는 백(back) 메뉴(1124)는 닫기(Close) 메뉴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한편, 라이브 메뉴 바(1120)는 현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채널, 콘텐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메인 콘텐트과 변경되는 경웅에는 메인 콘텐트의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포인터(205)가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콘 (1121) 위로 이동한 경우(S1040), 상기 라이브 메뉴 바(1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표시 크기를 제1 사이즈(size)로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50)If the
또는, 상기 라이브 메뉴 바(1120)가 복수의 선택 영역으로 나뉘고, 선택 영역이 각각 하나의 메뉴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상기 포인터(205)가 복수의 선택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영역 위로 이동하는 경우에(S1040), 상기 라이브 메뉴 바(1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표시 크기를 제1 사이즈(size)로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50)Alternatively, when the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상기 라이브 메뉴 바(1120)를 전체적으로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인터가 위치하는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영역을 상기 제1 사이즈(size)까지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도 11c는 포인터(205)가 이동한 영역(1121)을 확장하여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1C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한편, 상기 제1 사이즈(size)까지 확장된 영역(1130)에는 대응하는 메뉴 아이콘의 추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메뉴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채널 메뉴 아이콘 영역(1121)이 확장되고, 메뉴 명칭 'CHANNELS'가 추가 정보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포인팅(pointing)하고 있는 메뉴가 채널 메뉴임을 알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enu icon may be displayed in the
메인 영상을 시청하다가 라이브 메뉴 바가 호출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어느 메뉴를 원하는 지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which menu the user wants when the live menu bar is called while watching the main video.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 영상과 관련된 메뉴로 구성되는 라이브 메뉴 바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라이브 메뉴 바의 정보를 아이콘 형태로 작은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메인 영상의 시청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포인터의 이동에 따라 라이브 메뉴 바의 영역을 확장하고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ovides a live menu bar composed of menus related to the main image, but also displays the information of the live menu bar in a small area in the form of an ic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viewing of the main image. In addition, as the pointer moves, the area of the live menu bar can be expanded and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provided.
한편,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메뉴 아이콘의 하위 메뉴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n object indicating the number of the submenus of the menu icon.
도 11d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S1060),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하위 메뉴들(1131, 1132)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70)11D, when the
예를 들어, 확장된 '채널 메뉴' 영역(1130) 위에 포인터(205)가 위치한 상태에서 확인 키를 클릭하는 등 선택 입력이 있으면, '채널 메뉴'의 하위 메뉴들(1131, 1132)이 표시된다. 이 경우에 하위 메뉴들(1131, 1132)는 라이브 메뉴 바(1120)의 다른 상위 메뉴(1122, 1123)을 대체하여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re is a selection input such as clicking the OK key while the
도 11e와 도 11f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하위 메뉴들(1122, 1123) 중 어느 하나의 하위 메뉴(1122)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S1080), 상기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1140, 115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90)11E and 11F, when the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의 크기를 제2 사이즈(size)까지 확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사이즈는 상기 제1 사이즈보다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은 상기 메인 영상 위에 오버레이(ovrelay)되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enu may be overlaid on the main image.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70)는 상기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의 크기를 제2 사이즈(size)까지 점진적으로 확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포인터로 라이브 메뉴 바(1120)의 메뉴 카테고리에 후버(hover)시, 라이브 메뉴 바(1120)의 선택 영역이 넓어지고, 어느 하나의 메뉴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 카테고리의 세컨드 뎁스(2nd Depth) 항목이 아래로 펼쳐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lection area of the
또한, 사용자가 세컨드 뎁스(2nd Depth) 항목을 선택하면 우측에서 관련 콘텐트가 펼쳐질 수 있다. 이때,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선택된 하위(sub)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의 크기를 제2 사이즈(size)까지 점진적으로 확장면서 펼쳐지는 효과를 줄 수 있다.Also, when the user selects the second depth item, the related content can be expanded on the right side. At this time, the animation effect may be applied to enlarge the size of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enu gradually to the second size (size).
예를 들어, 도 11e와 같이 기설정된 소정 크기로 상기 선택된 하위(sub)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1140)을 표시하다가, 도 11f와 같이 더 크게 점진적으로 확장하여 최종적으로 더 큰 화면(1150)으로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E, a screen 114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enu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라이브 메뉴 바가 표시되었던 영역으로 다시 포인터가 이동한 경우에, 상기 라이브 메뉴 바를 재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inter moves to the area where the live menu bar is displayed, the
이 경우에, 상기 라이브 메뉴 바를 상기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오버레이(ovrelay)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ve menu bar can be overlaid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enu and displayed.
예를 들어,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이 호출된 상태에서 다시 우측에지(edge)로 포인터가 이동하면, 도 11g와 같이, 퍼스트 뎁스의 상위 메뉴 아이콘들로 구성되는 라이브 메뉴 바(1120)를 재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enu is called and the pointer moves to the right edge, as shown in FIG. 11G, the
한편, 하위 메뉴(Sub menu)가 많은 경우에는, 특정 모션 제스쳐 또는 휠(Wheel, 291) 입력으로, 스크롤(Scroll)하여, 하위 메뉴들 간에 이동하거나, 하위 메뉴들을 변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many sub menus, a specific motion gesture or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위 메뉴 선택 시 상위 메뉴는 원래 크기로 작아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submenu is selected, the upper menu may be reduced to its original size.
도 12a 내지 도 12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I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콘텐트가 VOD인 경우, 즉, 메인 영상이 VOD 재생 화면인 경우를 예시한다.12A to 12F illustrate a UI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the main screen is a VOD playback screen when the main content is a VOD.
도 12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VOD 재생 콘텐츠 화면인 메인 영상(1210)을 이용하다가, 메인 영상(1210)의 소정 영역, 예를 들어, 우측 에지(edge) 영역으로 포인터(205)를 이동시키면, n개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라이브 메뉴 바(1220)를 표시할 수 있다.12A, when the user uses the
한편, 라이브 메뉴 바(1220)는 상기 메인 영상(1210)이 VOD 재생 콘텐츠이므로, VOD 관련 카테고리의 메뉴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 메뉴 항목(Movies, 1221), 애플리케이션과 게임 메뉴 항목(Apps & Games, 1222), 검색 메뉴 항목(Search, 1223) 3D 콘텐트 메뉴 항목 등의 메뉴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또한, 상기 메뉴 항목들을 하위 메뉴 항목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과 게임 메뉴 항목(1222)은‘유료, 무료, 인기’또는‘퍼즐, 아케이드, 액션, 롤플레이' 등의 하위 메뉴 항목들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enu items may have sub menu items. For example, the application and
또한, 라이브 메뉴 바(1220)는 백(back) 메뉴 아이콘(1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라이브 메뉴 바(1220)는 메인 영상(1210) 위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포인터를 라이브 메뉴 바(1220)에 호버(hover)시키면, 라이브 메뉴 바(1220)의 적어도 일부 선택 영역(1230)이 넓어진다. 이 때, 넓어진 선택 영역(1230)에는 대응하는 메뉴의 명칭 등 추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B, when the user hoveres the pointer over the
도 12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소정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 카테고리의 하위 메뉴 항목들(1231, 1232, 233)이 아래로 펼쳐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C,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enu, the
또한, 사용자가 하위 메뉴 항목들(1231, 1232, 1233) 중 하나를 선택하면 우측에서 관련 콘텐트(1240, 1250)가 확장되어 펼쳐질 수 있고, 도 12d, 도 12e와 같이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Also,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도 12f를 참조하면, 이 경우에도,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1250)이 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우측 엣지 영역으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면 라이브 메뉴 바(1220)를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1250)에 중첩하여 재표시할 수 있다.12F, in this state, if the user moves the pointer to the right edge area again in a state in which 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브 메뉴 바 위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휠(wheel) 키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라이브 메뉴 바를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scroll)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heel key inpu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received while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live menu bar, the live menu bar is scrolled up and down )can do.
예를 들어, 도 12a와 같이, 영화 메뉴 항목(1221), 애플리케이션과 게임 메뉴 항목(1222), 검색 메뉴 항목(1223)을 포함하는 라이브 메뉴 바 위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휠(wheel) 키를 위로 움직이는 입력이 수신되면, 영화 메뉴 항목(1221)의 표시는 종료되고, 애플리케이션과 게임 메뉴 항목(1222), 검색 메뉴 항목(1223)이 위로 스크롤되면서, 표시되지 않던 3D 메뉴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A, when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a live menu bar including a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는, 메인 콘덴츠에 따라 달라지는 라이브 메뉴 바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포어그라운드(Foreground)로 실행되는 메인 콘덴트가 외부 입력일때, 라이브 메뉴 바의 퍼스트 뎁스(1s tDepth) 카테고리는 안테나, HDMI 1, HDMI 2, Component, AUX 등일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live menu bar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main contents. For example, the first depth (1s tDepth) category of the live menu bar can be an antenna,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는 외부 입력 장치에 맞는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기가 연결된 경우에는 최신 게임을 추천하거나, 셋탑 박스(Set-Top Box)가 연결되었을 경우에는 장르 별 채널을 추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tent suitable for an external input apparatus. For example, when a game machine is connected, a latest game is recommended, or when a set-top box is connected, a channel for each genre can be recommended.
도 13a는 라이브 메뉴 바를 이용하여 메뉴 중 추천 콘텐트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메인 영상(1310)위에 추천 콘텐트 화면(1320)이 중첩되어 표시된느 예를 도시한 것이다.13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recommended
사용자가 추천 콘텐트 화면(1320)에 포함된 추천 컨텐트 화면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콘텐트 항목을 선택하면, 도 13b와 같이, 영상제공장치는 바로 추천 콘텐트(1330)를 재생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recommended content items included in the recommended
도 14a 내지 도 14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I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14A to 14F show a UI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포인터를 소정 영역으로 움직이면, 도 14a와 같이, 메인 영상(1410)에 중첩하여 복수의 상위 메뉴 아이콘들(1421, 1422, 1423)을 포함하는 라이브 메뉴 바(1420)를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user moves the pointer to a predetermined area, a
또한, 사용자가 포인터(205)를 라이브 메뉴 바(1420) 위로 이동시키면, 라이브 메뉴 바(14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제 1사이즈까지 확장하여 표시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moves the
도 14b는 전체 영역이 확장된 라이브 메뉴 바(1430)를 예시한 것이다.14B illustrates a
확장된 라이브 메뉴 바(1430)의 선택 영역들(1431, 1432, 1433)은 각각 대응하는 메뉴의 명칭 등 추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도 14c를 참조하면, 확장된 라이브 메뉴 바(1430)의 선택 영역들(1431, 1432, 1433)은 상기 메뉴 아이콘의 하위 메뉴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C, the selected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메뉴 아이콘의 하위 메뉴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중 하나를 다른 오브젝트와 색상, 모양 등 표시 상태를 달리 표시함으로써, 하위 메뉴들 중 현재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페이지를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objects representing the number of the submenus of the menu icon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from other objects in display state such as color, shape, and the like, hav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콘 위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휠(wheel) 키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메뉴 아이콘의 하위 메뉴들을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scroll)하여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heel key inpu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received while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any one of the menu icons of the plurality of menu icons, The submenus of the menu icon positioned can be displayed by scroll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도 14d, 도 14e, 도 14f는 각각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메뉴 아이콘-추천 메뉴 항목의 하위 메뉴들(1444, 1445, 1446)이 스크롤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14D, 14E, and 14F illustrate examples in which 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영상을 축소하여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에 상위 메뉴, 하위 메뉴, 추가 정보 또는 기능 등을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image may be reduced and displayed, and a higher menu, a lower menu, additional information, or a function may be displayed in the remaining area.
예를 들어, 하위 메뉴들 중 어느 하나의 하위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 메인 영상을 축소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축소된 메인 영상의 주위 서브 영역(Sub area)에 상기 라이브 메뉴 바에서 선택되지 않았던 메뉴들을 더 표시하거나 상기 축소된 메인 영상의 주위에 상기 메인 영상과 관련된 메뉴들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영역의 메뉴의 또다른 서브 메뉴(Sub menu)가 존재하는 경우에 서브 영역 중간의 빈칸에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submenus is received, the main image can be displayed in a reduced size. In this case, menus that are not selected in the live menu bar may be further displayed in a sub area of the reduced main image, or menus related to the main image may be further displayed around the reduced main image . In addition, when another sub menu of the menu of the sub area exists, it can be displayed in the blank space in the middle of the sub area.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UI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15A to 15D illustrate a UI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a와 같이, 라이브 메뉴 바의 채널 메뉴 항목(1520)이 선택되어, 채널 메뉴 항목(1520)의 하위 메뉴 항목(1521, 1522)이 메인 영상(1510) 위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하위 메뉴 항목(1522)을 선택하면, 도 15b와 같이, 메인 영상(1510)을 축소하여 표시하고, 선택된 하위 메뉴 항목(1522)에 대응하는 화면(1540)을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또한, 축소된 메인 영상(1530) 주위에 선택된 메뉴(1551) 뿐만 아니라 라이브 메뉴 바에서 선택되지 않았던 메뉴들(1552, 1553)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not only the
또한, 축소된 메인 영상(1530) 주위에 메뉴들이 표시되고 남은 공간(1554)에 TV의 부가정보 또는 TV가 아닌 경우에는 제어(Control) OSD(OSS)를 표시하여 모션 원격제어장치로 간단한 제어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menus are displayed around the reduced
도 15b에서는 축소된 메인 영상(1530) 주위에 메뉴들이 표시되고 남은 공간(1554)에 볼륨 조정 메뉴와 채널 조정 메뉴가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15B, menus are displayed around the reduced
또한, 메인 영상 채널 전환 또는 메인 콘텐츠의 변경 시에는 현재 표시되는 서브 영역의 내용이 메인 영상 채널 또는 메인 콘텐츠와 관련된 내용인 경우, 채널전환, 콘텐츠 전환에 맞춰서 메뉴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환된 채널이 녹화 시리즈물인 경우 서브 영역의 메뉴가 녹화(Recording)로 자동 변경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currently displayed sub-area is related to the main video channel or the main content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main video channel or changing the main content, the menu may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nel switching and content switching. For example, if the switched channel is a recording series, the sub-area's menu may be automatically changed to Recording.
도 15c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 메뉴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1555)도 포함하는 하위 메뉴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C, an object indicating the number of submenus including the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위 메뉴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중 하나를 다른 오브젝트와 색상, 모양 등 표시 상태를 달리 표시함으로써, 하위 메뉴들 중 현재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페이지를 나타낼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of the objects representing the number of the lower menus may b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among the lower menus by displaying different display states such as color, shape and the like with other objects.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휠(291)을 통한 입력에 따라 하위 메뉴들은 토글(toggle)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menus can be toggled according to the input through the
한편, 상기 축소된 메인 영상(1520) 또는 선택된 하위 메뉴 항목(1522)에 대응하는 화면(1540)에 포함되는 콘텐트를 선택하는 입력 또는 채널 전환 명령을 수신하면, 도 15d와 같이, 상기 축소된 메인 영상 또는 명령에 따른 콘텐트, 채널 영상을 전체 화면(1560)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pon receiving an input or channel switching command for selecting the content included in the reduced
도 16a를 참조하면, 선택된 하위 메뉴 항목(1522)에 대응하는 화면(1540)외에도 서브 영역의 남는 공간에 다른 하위 메뉴 항목(1610)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A, in addition to the
또한, 이 경우에도,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휠(291)을 통한 입력에 따라 하위 메뉴들은 토글(toggle)할 수 있고, 토글된 하위 메뉴(1620)를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된 하위 메뉴 항목(1620)에 대응하는 화면(1630)이 표시될 수 있다.Also in this case, the submenus can be toggled according to the input through the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I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17 and 18 show a UI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상술한 하위 메뉴 항목들이 아래로 펼쳐지는 것처럼 표시되는 다른 실시예와 달리, 선택된 상위 메뉴(1720)의 하위 메뉴들(1721, 1722, 1723, 1724)은 선택된 상위 메뉴(1720)의 상측(1723, 1724)과 하측(1721, 1722)에 나누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하위 메뉴들(1721, 1722, 1723, 1724)은 상위 메뉴 위로 펼쳐지는 것처럼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17, the
도 18은 상하위 메뉴들을 표시하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8 shows various examples of displaying the upper and lower menus.
도 18의 (a)를 참조하면, 선택된 상위 메뉴 항목(1810), 선택된 상위 메뉴 항목(1810)의 하위 메뉴 항목 중 선택된 하위 메뉴 항목(1811), 그리고 선택된 하위 메뉴 항목(1811)의 하위 메뉴 항목들(1812, 1813)이 차례로 아래로 펼쳐지는 것처럼 표시되어 메뉴들의 계층적 구조를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A, a select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I 화면들은 메뉴 항목들을 인접하게 표시하지 않고, 이격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I scree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menu items without being displayed adjacent to each other.
도 18의 (b)를 참조하면, 선택된 상위 메뉴 항목(1820), 선택된 상위 메뉴 항목(1820)의 하위 메뉴 항목 중 선택된 하위 메뉴 항목(1821)이 화면 좌측 상부에 표시되고, 선택된 하위 메뉴 항목(1821)의 하위 메뉴 항목들(1823)은 화면 우측에 표시될 수 있다.18B, a selected
도 18의 (ㅊ)를 참조하면, 선택된 상위 메뉴 항목(1830), 선택된 상위 메뉴 항목(1830)의 하위 메뉴 항목들(1831, 1832, 1833)이 화면 좌측 상부에 표시되고, 선택된 하위 메뉴 항목(1831)의 하위 메뉴 항목들(1834)은 화면 우측에 표시될 수 있다.18, the sele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user interfaces can be provided to a user.
또힌. 메인 콘텐츠 이용 중에 메인 콘텐츠와 관련된 메뉴를 원할 때 항상 호출할 수 있고, 보다 적은 수의 동작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이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gain. It is possible to invoke a menu associated with the main content at any time during use of the main content, and to perform a desired function with a smaller number of operations, thereby improving usability.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제공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applied t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May be selectively combined.
한편, 본 발명의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제공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processor included in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fashion can be stored and execut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튜너부
120: 복조부
130 :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35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40 : 저장부
150 :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170 : 제어부
180 : 디스플레이
200 : 원격제어장치 110: tuner unit
120: demodulator
130: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Network interface unit
140:
150: user input interface unit
170:
180: Display
200: remote control device
Claims (20)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 위로 이동한 경우에, 복수의 메뉴 아이콘을 포함하는 라이브 메뉴 바(bar)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가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콘 위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라이브 메뉴 바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표시 크기를 제1 사이즈(size)로 확장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하위 메뉴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하위 메뉴들 중 어느 하나의 하위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Displaying a main image on a display;
Displaying a live menu bar including a plurality of menu icons when a pointer corresponding to a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moves over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Expanding a display size of at least a part of the live menu bar to a first size when the pointer moves over one of the plurality of menu icons;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 menu ic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enu icons;
Displaying submenus of the selected menu icon;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 submenu of any one of the submenus; And
And display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enu.
상기 라이브 메뉴 바가 포함하는 메뉴 아이콘들은 상기 메인 영상의 종류(type)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nu icons included in the live menu bar differ according to a type of the main image.
상기 라이브 메뉴 바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제1 사이즈(size)로 확장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위치하는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영역을 상기 제1 사이즈(size)까지 확장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expanding at least a part of the live menu bar to a first size includes displaying an area corresponding to a menu icon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by extending the menu icon to the first size, The method comprising:
상기 제1 사이즈(size)까지 확장된 영역에는 대응하는 메뉴 아이콘의 추가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enu icon is displayed in an area extending to the first size.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메뉴 명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a menu name corresponding to the menu icon.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메뉴 아이콘의 하위 메뉴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an object representing a number of submenus of the menu icon.
상기 라이브 메뉴 바는 상기 메인 영상 위에 오버레이(ovrelay)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ve menu bar is overlaid on the main image and displayed.
상기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의 크기를 제2 사이즈(size)까지 확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expanding a size of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ower menu to a second size.
상기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의 크기를 제2 사이즈(size)까지 확장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의 크기를 제2 사이즈(size)까지 점진적으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of expanding the size of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ower menu to the second size progressively expands the size of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ower menu to a second size. 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providing apparatus.
상기 제2 사이즈는 상기 제1 사이즈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size is larger than the first size.
상기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은 상기 메인 영상 위에 오버레이(ovrelay)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enu is overlaid on the main image and displayed.
상기 라이브 메뉴 바가 표시되었던 영역으로 다시 포인터가 이동한 경우에, 상기 라이브 메뉴 바를 재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redisplaying the live menu bar when the pointer moves back to the area where the live menu bar was displayed.
상기 라이브 메뉴 바를 재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브 메뉴 바를 상기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 위에 오버레이(ovrelay)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ep of redisplaying the live menu bar displays the live menu bar by ovrelaying the live menu bar on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enu.
상기 라이브 메뉴 바 위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휠(wheel) 키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라이브 메뉴 바를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scroll)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scrolling the live menu bar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a wheel key inpu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received while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live menu bar, Lt; / RTI >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콘 위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휠(wheel) 키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메뉴 아이콘의 하위 메뉴들을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scroll)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a wheel key inpu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received while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any one of the menu icons, the submenus of the menu icon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are scro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scrolling the displayed image on the display screen.
상기 하위 메뉴들 중 어느 하나의 하위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메인 영상을 축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hen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submenus, reducing the main image.
상기 축소된 메인 영상의 주위에 상기 라이브 메뉴 바에서 선택되지 않았던 메뉴들을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17. 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displaying menus that are not selected in the live menu bar around the reduced main image.
상기 축소된 메인 영상의 주위에 상기 메인 영상과 관련된 메뉴들을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further displaying menus related to the main image around the reduced main image.
상기 축소된 메인 영상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17. The method of claim 16,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the reduced main image;
And displaying the main image on a full screen.
상기 메인 영상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되는 메인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브 메뉴 바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changing the live menu bar based on the changed main image when the main image is chang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9947A KR20160037449A (en) | 2014-09-29 | 2014-09-29 | Method for operating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9947A KR20160037449A (en) | 2014-09-29 | 2014-09-29 | Method for operating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7449A true KR20160037449A (en) | 2016-04-06 |
Family
ID=5579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9947A Withdrawn KR20160037449A (en) | 2014-09-29 | 2014-09-29 | Method for operating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37449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87960B2 (en) | 2022-05-18 | 2025-04-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2014
- 2014-09-29 KR KR1020140129947A patent/KR20160037449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87960B2 (en) | 2022-05-18 | 2025-04-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00738B2 (en) | Remote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10031637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9182890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9363570B2 (en) |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shared home screen | |
KR101779858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8804043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lurality of input port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2104438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2111406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2163860B1 (en) |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 |
KR102046642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1916437B1 (en) | Mobile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30066334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2056165B1 (en) |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2110532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9542008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60037449A (en) | Method for operating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 |
KR102039486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30079926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2224635B1 (en) |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 |
KR102141046B1 (en) |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 |
KR102104445B1 (en) |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30033182A (en) |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 |
KR20140092588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