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42419A -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419A
KR20150142419A KR1020140071232A KR20140071232A KR20150142419A KR 20150142419 A KR20150142419 A KR 20150142419A KR 1020140071232 A KR1020140071232 A KR 1020140071232A KR 20140071232 A KR20140071232 A KR 20140071232A KR 20150142419 A KR20150142419 A KR 20150142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wireless charging
charging device
access p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2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준석
강성욱
김현욱
나승원
박연원
서경호
진형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1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2419A/en
Priority to PCT/KR2014/011637 priority patent/WO2015156477A1/en
Priority to US14/892,160 priority patent/US10135284B2/en
Priority to CN201480026209.3A priority patent/CN105379068B/en
Publication of KR20150142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419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단말이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을 시도할 때, 무선 충전 장치에서 단말에 인터넷 접속 대가로 개인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지 확인하고, 단말에서 개인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 경우 매장 내의 AP에 대한 접속 정보를 단말에 제공한 후, AP를 통해 전달되는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무선 충전 시스템의 응용 범위를 확대하고, 수집된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근거로 마케팅 정보 또는 별도의 추천 서비스로 활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terminal,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attempts to charge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onfirms whether the terminal agree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to the terminal in exchange for the Internet connection. If the terminal agree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n collects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ransmitted through the AP to expand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Based on the collected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rketing information or a separate recommendation service .

Description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terminal,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이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을 시도할 때, 무선 충전 장치에서 단말에 인터넷 접속 대가로 개인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지 확인하고, 단말에서 개인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 경우 매장 내의 AP에 대한 접속 정보를 단말에 제공한 후, AP를 통해 전달되는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terminal,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And if the terminal agree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it provides the terminal with access information to the AP in the store, and collects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ransmitted through the A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terminal,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무선 충전 장치(또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전자 기기가 필요로 하는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전력 전달 장치이다.A wireless charging device (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a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wirelessly transmits power required by an electronic device.

이러한 무선 충전 장치는 해당 무선 충전 장치에 인접한 단말과 통신하고, 해당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신호를 해당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에서는 충전 신호를 근거로 해당 단말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어, 배터리 충전 기능 이외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adjacent to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transmits a charging signal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charges a battery provided in the terminal based on the charging signal, There is an inefficient aspect that the service other than the function can not be provided.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09226호 [명칭: 확장된 무선 충전 영역을 위한 방법 및 장치]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009226 [Title: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WIRELESS REFILLING ZONE]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이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을 시도할 때, 무선 충전 장치에서 단말에 인터넷 접속 대가로 개인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지 확인하고, 단말에서 개인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 경우 매장 내의 AP에 대한 접속 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는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confirms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gree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to the terminal in exchange for an Internet connection when the terminal attempts to charg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terminal,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전 중 단말에 제공된 매장 내의 AP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단말에서 해당 AP에 접속할 때, AP를 통해 전달되는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terminal for collecting internet use information of a terminal transmitted through an AP when accessing to an AP based on access information to an AP in a store provided to the terminal during charging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근거로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단말과 통신하거나 단말에 충전 신호를 전송하여 단말에 포함된 배터리가 충전 중일 때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단말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전송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근거로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가 구비된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based on a Bluetooth low energy (BLE) scheme; And generates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when the battery included in the terminal is being charged by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or transmitting a charging signal to the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generated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o th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provide the terminal with access information for the access point installed in the store equipp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unit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는 단말에서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가 구비된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료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 수집에 동의하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indicates whether the terminal agrees to collect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 order to use the Internet free of charge through an access point installed in a store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And may include information for inquiring.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어부는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근거로 통신부에 포함된 BLE 또는 와이파이 모듈에 대한 접속 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provide the terminal with access information for the BLE or WiFi modul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응답 신호에 개인 정보 제공 부동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때, 제어부는 무료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단말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formation indicating unauthorized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a response signal, the control unit does not provide information on an access point capable of using the Internet free of charge, To provide a charging signal for charg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BLE 방식을 근거로 통신하고,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무료 인터넷 사용에 따른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무선 충전 장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통해 제어하고, 전송된 응답 신호에 대응하여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사용하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인터넷 사용에 따른 인터넷 사용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based on a BLE method and receiving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ransmitted from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response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user agree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ree Internet use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And accesses the access point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access point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use the Internet and transmits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on the basis of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through the use of the Internet through the access poi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control signa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인터넷 사용 정보는 단말의 접속한 사이트 정보, 검색어,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 접속 사이트에 머문 시간, 접속 사이트에서 선택된 내용, 사용 시간, 사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머문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sites connected to the terminal, search results according to search words, search terms, time spent on the access sites, contents selected on the access sites, usage time, used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time of arrival may be includ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부가 서비스 정보는 무선 충전 장치 또는 액세스 포인트가 구비된 매장별 프로모션 정보, 쿠폰 정보, 마케팅 정보, 제품별 리뷰 정보, 뉴스 정보 및 음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romotional information, coupon information, marketing information, product-specific review information, news information, and music information for each store provid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or access poi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를 통해, BLE 방식을 근거로 단말과 통신하거나 단말에 충전 신호를 전송하여 단말에 포함된 배터리가 충전 중일 때,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통신부를 통해 생성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제어부를 통해 전송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근거로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가 구비된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controll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based on a BLE method or transmits a charging signal to a terminal through a controller, ; Transmitting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generated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to a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access point provided in the store equipp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unit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 방법은 통신부를 통해, BLE 방식을 근거로 무선 충전 장치와 통신하거나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신호를 근거로 배터리를 충전 중일 때,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수신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무료 인터넷 사용에 따른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무선 충전 장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통해 제어하는 단계; 통신부를 통해 전송된 응답 신호에 대응하여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단계; 및 통신부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인터넷 사용에 따른 인터넷 사용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charging device on the basis of a BLE scheme or when a battery is being charged based on a charg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Receiving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response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o agree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ree Internet use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respons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ntrol unit; Receiving connection information for an access point transmitted from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 response to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ccessing the access point based on access information for the access point received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using the Internet; And receiving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Internet through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은 단말과 통신하거나 단말에 충전 신호를 전송하여 단말에 포함된 배터리가 충전 중일 때 생성되는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단말에 제공하고, 전송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근거로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는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단말;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근거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with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generated when a battery included in the terminal is being charged by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or transmitting a charging signal to the terminal,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provides connection information on an access point installed in a store to a terminal based on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signal; A terminal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based on access information to an access point transmitted from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using the Internet; An access point for collecting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providing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terminal; And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at generates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provides the generated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the access point.

본 발명은 단말이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을 시도할 때, 무선 충전 장치에서 단말에 인터넷 접속 대가로 개인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지 확인하고, 단말에서 개인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 경우 매장 내의 AP에 대한 접속 정보를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무선 충전 시스템의 응용 범위를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erminal attempts to charge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onfirms whether the terminal agree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t the price of the Internet connection, and if the terminal agree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of widening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충전 중 단말에 제공된 매장 내의 AP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단말에서 해당 AP에 접속할 때, AP를 통해 전달되는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수집된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근거로 마케팅 정보 또는 별도의 추천 서비스로 활용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erminal accesses an AP based on access information for an AP in a store provided to a terminal during charging, the terminal collects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ransmitted through the AP, As a result, it is effective to use it as marketing information or a separate recommendation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be properly understood.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more, 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term "comprising" or "comprising" or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urthermore,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describe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시스템(10)은 무선 충전 장치(100), 단말(200), 액세스 포인트(300) 및 서비스 제공 장치(4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충전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무선 충전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무선 충전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장치(100) 및 단말(200)은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또는 자기 공명 방식)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신호를 근거로 해당 단말(200)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한다. 또한, 해당 무선 충전 장치(100) 및 단말(200)은 블루투스에서 저전력용인 BLE를 사용한다.1,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10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 terminal 200, an access point 300, and a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 Not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10 shown in FIG. 1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1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10 may also be implemented by components. Her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the terminal 200 are equipped with the charging terminal 100 on the basis of the charg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rough the A4WP (Alliance for Wireless Power) Charge the battery. Als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the terminal 200 use a low-power BLE in Bluetooth.

무선 충전 장치(100)는 단말(200)과 통신할 때 또는 단말(200)이 충전 중일 때 생성되는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후, 단말(200)은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를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송한다. 이때, 응답 신호는 무료 인터넷 사용에 따른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개인 정보 제공 동의, 개인 정보 제공 부동의 등 포함)를 포함한다. 이후, 무선 충전 장치(100)는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예를 들어 개인 정보 제공 동의 포함)를 근거로 무선 충전 장치(100)가 구비된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접속 정보를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후, 단말(200)은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해당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무료로 인터넷을 사용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300)는 접속된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400)에 제공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근거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해당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단말(200)에 제공한다. 이후, 단말(200)은 서비스 제공 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수신 및 표시한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ransmits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generated when the terminal 200 is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200 or when the terminal 200 is being charged to the terminal 200. [ Then, the terminal 20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n respons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 At this time, the respons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o agree with the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free Internet (for example, the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etc.). Thereafter,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ransmits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o the access point 300 installed in the store equipp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agreement, for example) And transmits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00. After that, the terminal 200 uses the Internet free of charge through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300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access point 300. Also, the access point 300 collects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terminal 200 and provides the collected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to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Thereafter,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generates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and provides the generated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300. [ Then, the terminal 200 receives and displays the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또는 무선 충전기)(Power Transmitting Unit: PTU)(100)는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무선 충전 장치(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무선 충전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무선 충전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a wireless charging device (or a wireless charging unit)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20. Not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shown in FIG. 2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may also be implemented by components.

통신부(110)는 BLE(Bluetooth Low Energy)를 사용하여 BLE 방식을 사용하는 다른 단말과 통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other terminals using the BLE method using BLE (Bluetooth Low Energy).

또한, 통신부(11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BLE 방식을 사용하는 다른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전원 비콘 신호(power beacon signal)를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 power beacon signal for communication with another terminal using the BLE metho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

제어부(120)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The control unit 120 executes the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

또한, 제어부(120)는 A4WP 방식의 무선 충전에 있어서, 전원 비콘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생성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generates a power beacon sign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the wireless charging of the A4WP system.

또한, 제어부(120)는 생성된 전원 비콘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송한다.Also,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the generated power beacon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또한, 제어부(120)는 전송되는 전원 비콘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전원 비콘 신호를 수신한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예를 들어 PRU advertisement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다.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example, a PRU advertisem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00 that receives the power beacon signal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power beacon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또한, 제어부(120)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해당 무선 충전 장치(100)에 인접한 해당 단말(200)과 통신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communicates with the corresponding terminal 200 adjacent to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또한, 제어부(120)는 해당 무선 충전 장치(100)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말(200)에 충전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타임 슬롯(또는 타임 시퀀스/전체 데이터 전송 가능 시간) 중에서 해당 무선 충전 장치(100)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말(200)에 해당 충전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을 스케줄링한다.In order to transmit the charging signal to one or more terminals 200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e controller 120 selects on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s 100 (or 100) among the time slots (or the time sequence / And transmits the charging signal to one or more terminals 200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

또한, 제어부(120)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포함된 인덕터(미도시)와 커패시터(미도시)를 제어하여 충전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무선 충전 장치(100)는 공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신호를 생성한다.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inductor (not shown) and the capacitor (not shown)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o generate a charging signal.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generates a charging signal for wireless charging by a resonance coupling method.

또한, 제어부(120)는 스케줄링된 타임 슬롯을 근거로 생성된 충전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250ms)으로 해당 무선 충전 장치(100)에 연결된 단말(200) 중 특정 단말에 전송한다.Also,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the charging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scheduled time slot to a specific one of the terminals 200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xample, 250 ms).

이때, 해당 무선 충전 장치(100)에 연결된 단말(200)이 복수인 경우, 제어부(120)는 복수의 단말(200)에 각각 전송하기 위한 충전 신호를 개별적으로 생성하고, 개별적으로 생성된 충전 신호를 각각 대응하는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무선 충전 장치(100)에 연결된 단말(200)이 복수인 경우, 제어부(120)는 복수의 단말(200)에 각각 전송하기 위한 하나의 충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하나의 충전 신호를 복수의 단말(200)에 각각 전송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erminals 200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e controller 120 individually generates charging signals for transmission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200,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200, respectively.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erminals 200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e controller 120 generates one charging signal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200,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200, respectively.

또한, 제어부(120)는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또는 충전 신호 전송 요청 신호)(예를 들어 PRU 다이내믹 파라미터 포함)를 근거로 해당 단말(200)에 충전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20 may also transmit a charging signal to the terminal 200 based on a control signal (or a charging signal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00 (including, for example, a PRU dynamic parameter).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에 단말(200)이 연결되는 경우 또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단말(200)에 충전 신호를 전송하여 단말(200)에 포함된 배터리(230)가 충전 중인 경우, 제어부(120)는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는 충전 중인 단말(200)에서 무선 충전 장치(100)가 구비된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무료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해당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 수집(또는 획득)에 동의하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단말(200)에 충전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는 빈 시간 구간에 생성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단말(200)에 전송한다.When the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or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ransmits a charging signal to the terminal 200 and the battery 230 included in the terminal 200 is being charged , The control unit 120 generates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terminal 200 to the access point 300 installed in the store equipp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in order to use the internet free of charge, May be a signal to inquire whether or not to consent to the collection (or acquisi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the generated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o the terminal 200 in a free time period in which the charging signal is not transmitted or received to the terminal 200.

또한, 제어부(120)는 생성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단말(200)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the generated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또한, 제어부(120)는 전송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응답 신호는 해당 단말(200)의 무료 인터넷 사용에 따른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개인 정보 제공 동의, 개인 정보 제공 부동의 등 포함)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Here, the respons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user 200 consents to the pro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ree Internet use (for example, the pro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the pro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etc.).

또한, 제어부(120)는 수신된 응답 신호를 근거로 응답 신호에 포함된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performs a corresponding function included in the response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즉, 개인 정보 제공 부동의를 나타내는 정보가 응답 신호에 포함된 경우, 제어부(120)는 해당 개인 정보 제공 부동의를 나타내는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200)에 무료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해당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해당 단말(200)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터리(23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신호를 제공한다.That is, when information indicating unauthorized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response signal,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a corresponding access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200 free of charge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200 based on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unauthorized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terminal 200 does not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oint 300 and provides a charging signal for charging the battery 230 at a preset interval to the terminal 200. [

또한, 개인 정보 제공 동의를 나타내는 정보가 응답 신호에 포함된 경우, 제어부(120)는 무선 충전 장치(100)가 구비된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접속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해당 무선 충전 장치(100)에 포함된(또는 구비된/설치된) BLE 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단말(200)에서 무료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통신부(110)에 포함된 BLE 또는 와이파이 모듈에 대한 접속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If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agreement is included in the response signal,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access point 300 installed in the store equipp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o the communication unit 11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0 To the terminal (20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use the Internet free of charg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ing the BLE or the WiFi module included in (or installed / installe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may transmit the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BLE or WiFi modul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10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또한, 전송된 통신부(110)에 포함된 BLE 또는 와이파이 모듈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단말(200)에서 해당 BLE 또는 와이파이 모듈에 접속할 때, 제어부(120)는 해당 BLE 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단말(200)과 접속한다.When the terminal 200 accesses the corresponding BLE or WiFi module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BLE or the Wi-Fi module included in the transmitted communication unit 110,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the BLE or the Wi- 200).

또한, 제어부(120)는 해당 BLE 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서 단말(200)이 사용하는 인터넷 사용 정보를 수집(또는 획득)한다. 여기서, 인터넷 사용 정보는 단말(200)의 접속한 사이트 정보(예를 들어 URL 정보), 검색어, 해당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 접속 사이트에 머문 시간, 접속 사이트에서 선택된(또는 터치된) 내용, 사용 시간, 사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정보, 해당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머문 시간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collects (or acquires) Internet usage information used by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corresponding BLE or WiFi module. Here,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ite (e.g., URL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a search word, a search result according to the search word, a time spent on the connection site, Time, used social network service (SNS) information, time spent on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 like.

또한, 제어부(120)는 수집된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400)에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provides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with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terminal 200.

또한, 제어부(120)는 제공된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단말(200)에 제공한다.The control unit 120 provides the terminal 200 with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in response to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provid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0)은 제 1 통신부(210), 제 1 제어부(220) 및 배터리(230)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단말(2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200)은 PRU(Power Receiving Unit)(미도시)을 포함한다.3, the terminal 20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a first control unit 220, and a battery 230. As shown in FIG.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200 shown in Fig. 3 are not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The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Here, the terminal 200 includes a PRU (Power Receiving Unit) (not shown).

제 1 통신부(210)는 BLE를 사용하여 BLE 방식을 사용하는 다른 단말과 통신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uses the BLE to communicate with other terminals using the BLE method.

또한, 제 1 통신부(210)는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Als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the power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제 1 제어부(220)는 단말(2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The first control unit 220 executes the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terminal 200.

또한, 제 1 제어부(220)는 A4WP 방식의 무선 충전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비콘 신호를 근거로 해당 무선 충전 장치(100)에 연결(또는 통신)을 요청하기 위해서 제어 신호(예를 들어 PRU advertisement 신호)를 제 1 통신부(210)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송한다.The first control unit 220 may control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n order to request connection (or communication)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based on the power supply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For example, a PRU advertisement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

또한, 제 1 제어부(220)는 전송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해당 무선 충전 장치(100)와의 연결(또는 통신)을 성립한다.Also, the first controller 220 establishes connection (or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based on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또한, 제 1 제어부(2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제어 신호(또는 충전 신호 전송 요청 신호)(예를 들어 PRU 다이내믹 파라미터 포함)를 전송한다.Also, the first controller 220 transmits a control signal (or a charge signal transmission request signal) (for example, a PRU dynamic parameter)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또한, 제 1 제어부(2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신호를 제 1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 1 제어부(220)는 앞서 전송된 제어 신호(예를 들어 PRU 다이내믹 파라미터 포함)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신호를 제 1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220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to receive a charg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unit 220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to receive the charg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for example, PRU dynamic parameter) transmitted previously It is possible.

또한, 제 1 제어부(220)는 수신된 충전 신호를 근거로 배터리(230)를 충전한다. 이때, 단말(200)은 무선 충전 장치(100)와 공진 결합 방식에 의해 해당 배터리(230)를 충전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lso, the first controller 220 charges the battery 230 based on the received charging signal. At this time, the terminal 20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component for charging the battery 230 by the resonance coupling metho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

또한, 제 1 제어부(220)는 무선 충전 장치(100)와 충전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는 빈 시간 구간에 해당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제 1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는 충전 중인 단말(200)에서 무선 충전 장치(100)가 구비된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무료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해당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 수집(또는 획득)에 동의하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220 transmits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during an idle time period in which the charging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or receiv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 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terminal 200 to the access point 300 installed in the store equipp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in order to use the internet free of charge, May be a signal to inquire whether or not to consent to the collection (or acquisition).

또한, 제 1 제어부(220)는 수신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근거로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응답 신호는 해당 단말(200)의 무료 인터넷 사용에 따른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개인 정보 제공 동의, 개인 정보 제공 부동의 등 포함)를 포함한다.Also, the first control unit 220 generates a response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Here, the respons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user 200 consents to the pro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ree Internet use (for example, the pro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the pro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etc.).

또한, 제 1 제어부(220)는 생성된 응답 신호를 제 1 통신부(210)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송한다.The first control unit 220 transmits the generated response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또한, 제 1 제어부(220)는 전송된 응답 신호에 대응하여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접속 정보(또는 무선 충전 장치(100) 내의 통신부(110)에 포함된 BLE 또는 와이파이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제 1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다.The first control unit 22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access point 300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response signal BLE or Wi-Fi connection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또한, 제 1 제어부(220)는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접속 정보(또는 무선 충전 장치(100) 내의 통신부(110)에 포함된 BLE 또는 와이파이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해당 액세스 포인트(300)(또는 통신부(110)에 포함된 BLE 또는 와이파이)에 접속(또는 통신)한다. 이때, 제 1 제어부(220)는 단말(200)에 구비된 USIM의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국제 이동국 식별 번호) 및 단말(200) 고유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국제 이동 단말기 식별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한다. 여기서, IMSI는 이동 국가 코드(Mobile Country Code: MCC), 이동 네트워크 코드(Mobile Network Code: MNC), 이동 가입자 식별 번호(Mobile Subscriber Identity: MSI), 국가 이동 가입자 식별 번호(Mobile Subscriber Identifier Number: MSIN) 등을 포함한다. 또한, IMEI는 단말기 고유의 일련 번호, 단말기의 제조사, 모델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제어부(220)는 확인된 IMSI, IMEI 중 적어도 하나를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300)(BLE 또는 와이파이를 포함한 통신부(110))에 제 1 통신부(220)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The first controller 220 controls the access point 300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access point 300 (or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BLE or WiFi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Or the BLE or the Wi-Fi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first controller 220 transmits an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of the USIM and an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 unique to the terminal 200, ≪ / RTI > Here, the IMSI includes a Mobile Country Code (MCC), a Mobile Network Code (MNC), a Mobile Subscriber Identity (MSI), a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Number (MSIN) ) And the like. The IMEI includes a unique serial number of the terminal, a manufacturer of the terminal, model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first control unit 220 may provide at least one of the identified IMSI and IMEI to the access point 300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ing the BLE or the Wi-Fi)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또한, 제 1 제어부(220)는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300)(또는 통신부(110)에 포함된 BLE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무료로 인터넷 등을 이용한다. 이때,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는 해당 액세스 포인트(300)(또는 통신부(110)에 포함된 BLE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Also, the first control unit 220 uses the Internet or the like free of charge through the access point 300 (or the BLE or WiFi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10) connected thereto. At this time,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may be collected through the access point 300 (or the BLE or WiFi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10).

또한, 제 1 제어부(220)는 액세스 포인트(300)(또는 통신부(110)에 포함된 BLE 또는 와이파이)를 통한 인터넷 사용에 따라 수집된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제공 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또는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제 1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정보는 무선 충전 장치(100)(또는 액세스 포인트(300))가 구비된 매장별 프로모션 정보, 쿠폰 정보, 마케팅 정보, 제품별 리뷰 정보, 뉴스 정보, 음악 정보 등 다양한 콘텐츠 큐레이션(contents curation)을 포함한다.The first control unit 220 may control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based on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through the access point 300 (or the BLE or WiFi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10) 4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the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 Here,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includes various content curations (e.g., promotional information, coupon information, marketing information, product-specific review information, news information, and music information) for each store provid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or the access point 300) contents curation).

또한, 제 1 제어부(220)는 수신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표시한다.Also, the first control unit 220 displays the received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unit (not shown).

또한, 제 1 제어부(220)는 표시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제공 장치(400)와의 연동에 의해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또는 결제 기능)를 수행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220 performs a purchase procedure (or a payment function) for a specific product by interlocking with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based on the displayed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와 단말(200) 간의 연동에 의해 해당 배터리(230)에 대한 충전이 완료(또는 중지)된 경우(또는 해당 단말(200)이 무선 충전 장치(100)에 비접촉 상태가 되는 경우)에도, 단말(200)이 해당 액세스 포인트(300)의 서비스 반경 내에 위치하는 한, 제 1 제어부(220)는 계속하여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When charging of the battery 230 is completed (or stopped) by interlocking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the terminal 200 (or when the terminal 200 is in the non-contact state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e first control unit 220 can continue to use the Internet through the access point 300 as long as the terminal 200 is within the service radius of the access point 300. [

배터리(230)는 해당 단말(200)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battery 230 supplies power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200.

또한, 배터리(230)는 제 1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충전 신호를 근거로 충전 기능을 수행한다.Also, the battery 230 performs a charging function based on the charg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unit 220.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300)는 무선 충전 장치(100)가 구비된 임의의 매장 내에 설치(또는 구비)한다.An access point (AP) (300) is installed (or included) in any store equipp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또한, 액세스 포인트(300)는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접속(또는 통신)을 시도하는 단말(200)과 통신한다.The access point 300 also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200 attempting to access (or communicate)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access point 300.

또한, 액세스 포인트(300)는 연결된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수집(또는 획득)한다. 여기서, 인터넷 사용 정보는 단말(200)의 접속한 사이트 정보(예를 들어 URL 정보), 검색어, 해당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 접속 사이트에 머문 시간, 접속 사이트에서 선택된(또는 터치된) 내용, 사용 시간, 사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정보, 해당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머문 시간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ccess point 300 collects (or acquires)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terminal 200. [ Here,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ite (e.g., URL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a search word, a search result according to the search word, a time spent on the connection site, Time, used social network service (SNS) information, time spent on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 like.

또한, 액세스 포인트(300)는 수집된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400)(또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제공(또는 전송)한다.The access point 300 also provides (or transmits) the collected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to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or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또한, 액세스 포인트(300)는 전송된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해당 단말(200)에 전송(또는 제공)한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정보는 무선 충전 장치(100)(또는 AP(300))가 구비된 매장별 프로모션 정보, 쿠폰 정보, 마케팅 정보, 제품별 리뷰 정보, 뉴스 정보, 음악 정보 등 다양한 콘텐츠 큐레이션을 포함한다.The access point 300 transmits (or provides) the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200 in response to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terminal 200. Here,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includes various contents curations such as promotional information, coupon information, marketing information, product-specific review information, news information, and music information for each store provid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or AP 300) do.

서비스 제공 장치(또는 서버)(400)는 AP(300) 또는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수신한다.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or server) 400 receives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transmitted from the AP 300 or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수신된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근거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정보는 무선 충전 장치(100)(또는 AP(300))가 구비된 매장별 프로모션 정보, 쿠폰 정보, 마케팅 정보, 제품별 리뷰 정보, 뉴스 정보, 음악 정보 등 다양한 콘텐츠 큐레이션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generates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terminal 200. Here,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includes various contents curations such as promotional information, coupon information, marketing information, product-specific review information, news information, and music information for each store provid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or AP 300) do.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수신된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에 응답하여 생성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해당 AP(300) 또는 무선 충전 장치(100)를 통해 단말(200)에 제공한다.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provides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terminal 200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AP 300 or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가 서비스 정보 생성 및 제공 기능을 서비스 제공 장치(400)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근거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기능은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generates and provides the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Generating and providing functions may be per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

이와 같이, 단말이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을 시도할 때, 무선 충전 장치에서 단말에 인터넷 접속 대가로 개인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지 확인하고, 단말에서 개인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 경우 매장 내의 AP에 대한 접속 정보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terminal attempts to charge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onfirms whether the terminal agree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to the terminal in exchange for the Internet connection. If the terminal agree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또한, 이와 같이, 충전 중 단말에 제공된 매장 내의 AP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단말에서 해당 AP에 접속할 때, AP를 통해 전달되는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terminal accesses the corresponding AP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AP in the store provided to the terminal during charging,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ransmitted through the AP can be collec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ure 4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무선 충전 장치(100)는 단말(200)과 연결되거나(또는 통신을 시작하거나) 또는 단말(200)에 충전 신호를 전송하여 단말(200)에 포함된 배터리(230)가 충전 중인 상태에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는 충전 중인 단말(200)에서 무선 충전 장치(100)가 구비된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무료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해당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 수집(또는 획득)에 동의하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Firs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s connected to (or start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200 or transmits a charging signal to the terminal 200, so that the battery 230 included in the terminal 200 is being charged , And generates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terminal 200 to the access point 300 installed in the store equipp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in order to use the internet free of charge, May be a signal to inquire whether or not to consent to the collection (or acquisition).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는 생성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해당 단말(200)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ransmits the generated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200.

일 예로,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신호를 근거로 단말(200)에 포함된 배터리(230)가 충전 중일 때, 무선 충전 장치(100)는 무선 충전 장치(100)가 구비된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무료로 인터넷 접속 대가에 따른(또는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개인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해당 단말(200)에 전송한다(S410).For example, when the battery 230 included in the terminal 200 is being charged based on the charg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tore 200 equipp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for inquiring whether or not the user agree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ternet access fee (or using the Internet) free of charge through the access point 300 install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200 (S410).

이후, 단말(200)은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수신한다.Then, the terminal 200 receives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

또한, 단말(200)은 수신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근거로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응답 신호는 해당 단말(200)의 무료 인터넷 사용에 따른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개인 정보 제공 동의, 개인 정보 제공 부동의 등 포함)를 포함한다.Also, the terminal 200 generates a response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Here, the respons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user 200 consents to the pro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ree Internet use (for example, the pro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the pro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etc.).

또한, 단말(200)은 생성된 응답 신호를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200 transmits the generated response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일 예로, 단말(200)은 개인 정보 제공 동의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단말(200)은 수신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생성된 응답 신호를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송한다(S420).For example, the terminal 200 generate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a personal information provision agreement. In addition, the terminal 20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received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S420).

이후,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전송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Thereafter,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receives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00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는 수신된 응답 신호를 근거로 응답 신호에 포함된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performs a corresponding function included in the response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즉, 개인 정보 제공 부동의를 나타내는 정보가 응답 신호에 포함된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는 해당 개인 정보 제공 부동의를 나타내는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200)에 무료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해당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해당 단말(200)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터리(23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신호를 제공한다.That is, when the response signal includes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is unavailabl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can use the Internet free of charge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200 based on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is unavailable The terminal 200 does not provide information on the access point 300 and provides a charging signal for charging the battery 23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terminal 200.

또한, 개인 정보 제공 동의를 나타내는 정보가 응답 신호에 포함된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는 무선 충전 장치(100)가 구비된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접속 정보를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때, 무선 충전 장치(100)는 해당 무선 충전 장치(100)에 포함된(또는 구비된/설치된) BLE 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단말(200)에서 무료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통신부(110)에 포함된 BLE 또는 와이파이 모듈에 대한 접속 정보를 단말(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ransmits access information to the access point 300 installed in the store wher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s installed to the terminal 200, Lt; / RTI >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can use the Internet free of charge from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ing the BLE or the WiFi module included (or installed / installed)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The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BLE or WiFi modul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

일 예로, 무선 충전 장치(100)가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개인 정보 제공 동의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때, 무선 충전 장치(100)는 해당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접속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접속 정보를 단말(200)에 전송한다(S430).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receive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a personal information provision agreemen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00,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may connect to the access point 300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store And transmits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identified access point 300 to the terminal 200 (S430).

이후, 단말(200)은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Then, the terminal 200 receives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access point 300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

또한, 단말(200)은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해당 액세스 포인트(300)에 접속(또는 통신)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200 accesses (or communicates with)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300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received access point 300.

일 예로, 단말(200)은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무선 충전 장치(100)가 구비된(또는 해당 단말(200)이 위치한)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300)와 통신한다.For example,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n access point 300 installed in a store wher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s installed (or the terminal 200 is located) based on access information to the access point 300 Communication.

이때, 단말(200)이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충전 장치(100) 내의 통신부(110)에 포함된 BLE 또는 와이파이 모듈에 대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200)은 수신된 BLE 또는 와이파이 모듈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해당 BLE 또는 와이파이 모듈에 접속할 수도 있다(S440).At this time, when the terminal 200 receives the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BLE or the WiFi modul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e BLE or the WiFi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BLE or the WiFi module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S440).

이후, 단말(200)은 해당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무료로 인터넷 등을 이용한다.Thereafter, the terminal 200 uses the Internet or the like free of charge through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300.

또한, 해당 액세스 포인트(300)는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수집(또는 획득)한다. 여기서, 인터넷 사용 정보는 단말(200)의 접속한 사이트 정보(예를 들어 URL 정보), 검색어, 해당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 접속 사이트에 머문 시간, 접속 사이트에서 선택된(또는 터치된) 내용, 사용 시간, 사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정보, 해당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머문 시간 등을 포함한다.Also, the access point 300 collects (or acquires)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 Here,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ite (e.g., URL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a search word, a search result according to the search word, a time spent on the connection site, Time, used social network service (SNS) information, time spent on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 like.

또한, 액세스 포인트(300)는 수집된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400)(또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제공(또는 전송)한다.The access point 300 also provides (or transmits) the collected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to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or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일 예로, 액세스 포인트(300)는 해당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400)에 전송한다. 이때,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400)의 전송 요청이 있을 때, 액세스 포인트(300)는 수집된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400)에 전송한다(S450).The access point 300 collects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using the Internet through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300 and transmits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terminal 200 to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 Lt; / RTI > At this time, whe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a transmission request of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is received, the access point 300 transmits the collected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to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S450).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액세스 포인트(300)(또는 BLE 또는 와이파이를 포함한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수신한다.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receives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transmitted from the access point 300 (or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including the BLE or the Wi-Fi).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수신된 단말(200)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근거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해당 액세스 포인트(300)(또는 무선 충전 장치(100))를 통해 단말(200)에 제공한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정보는 무선 충전 장치(100)(또는 액세스 포인트(300))가 구비된 매장별 프로모션 정보, 쿠폰 정보, 마케팅 정보, 제품별 리뷰 정보, 뉴스 정보, 음악 정보 등 다양한 콘텐츠 큐레이션을 포함한다(S460).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also generates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to the access point 300 (or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To the terminal 200 via the Internet. Here,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includes various contents curations such as promotional information, coupon information, marketing information, product-specific review information, news information, and music information for each store provid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or the access point 300) (S460).

이후, 단말(200)은 액세스 포인트(300)(또는 무선 충전 장치(10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The terminal 200 receives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through the access point 300 (or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또한, 단말(200)은 수신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표시한다(S470).In addition, the terminal 200 displays the received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S47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 PRU를 포함하는 단말(또는 사용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 서비스 제공 장치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terminal, and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reated in a computer program, and th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field have. In addition, the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which can be read by a computer,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or user device) including a PRU, an access point,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or the like, thereby realiz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a terminal,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무선 충전 장치, PRU를 포함하는 단말(또는 사용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 서비스 제공 장치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 PRU를 포함하는 단말(또는 사용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 서비스 제공 장치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carrier wave medium. A computer program embody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terminal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device, a terminal (or user device) including a PRU, an access point,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an external memory such as a smart card storing and installing a computer program implement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a terminal,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Or a user device), an access point, a service providing device, or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이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을 시도할 때, 무선 충전 장치에서 단말에 인터넷 접속 대가로 개인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지 확인하고, 단말에서 개인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 경우 매장 내의 AP에 대한 접속 정보를 단말에 제공하여, 무선 충전 시스템의 응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attempts to charge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onfirms whether the terminal agree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to the terminal in exchange for the Internet connection, If the user agrees, the appl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can be extended by providing the terminal with access information to the AP in the sto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충전 중 단말에 제공된 매장 내의 AP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단말에서 해당 AP에 접속할 때, AP를 통해 전달되는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근거로 마케팅 정보 또는 별도의 추천 서비스로 활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ransmitted through the AP when the terminal accesses the corresponding AP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AP in the store provided to the terminal during charging , And can be utilized as marketing information or another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terminals.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단말이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을 시도할 때, 무선 충전 장치에서 단말에 인터넷 접속 대가로 개인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지 확인하고, 단말에서 개인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 경우 매장 내의 AP에 대한 접속 정보를 단말에 제공한 후, AP를 통해 전달되는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무선 충전 시스템의 응용 범위를 확대하고, 수집된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근거로 마케팅 정보 또는 별도의 추천 서비스로 활용하는 것으로, 무선 충전 시스템 분야, 광고/홍보/마케팅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erminal attempts to charge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onfirms whether the terminal agree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t the price of the Internet connection, and if the terminal agree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n collects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ransmitted through the AP to expand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uses it as marketing information or a separate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terminals And can be widely used in the field of wireless charging system, advertisement / publicity / marketing field, and the like.

10: 무선 충전 시스템 100: 무선 충전 장치
200: 단말 300: 액세스 포인트
400: 서비스 제공 장치 110: 통신부
120: 제어부 210: 제 1 통신부
220: 제 1 제어부 230: 배터리
10: wireless charging system 100: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terminal 300: access point
400: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10: communication unit
120: control unit 210: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first control unit 230: battery

Claims (11)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근거로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단말과 통신하거나 상기 단말에 충전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에 포함된 배터리가 충전 중일 때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송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근거로 상기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가 구비된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based on a Bluetooth low energy (BLE) scheme;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or transmitting a charging signal to the terminal to generate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when the battery included in the terminal is being charge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o the terminal And providing connection information for an access point installed in a store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he terminal based on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가 구비된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료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 수집에 동의하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access point installed in the store equipp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inquire whether or not the terminal agrees with the collection of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herein th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wireless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근거로 상기 통신부에 포함된 BLE 또는 와이파이 모듈에 대한 접속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provide the terminal with access information for a BLE or a WiFi modul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based on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에 개인 정보 제공 부동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때, 상기 제어부는 무료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상기 단말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respons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unauthorized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does not provide information on an access point capable of using the Internet for free, To the wireless device.
BLE 방식을 근거로 통신하고,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무료 인터넷 사용에 따른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어하고, 상기 전송된 응답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사용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인터넷 사용에 따른 인터넷 사용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based on the BLE system and receives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 response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o agree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ree Internet us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on the basis of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access point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use the Internet and transmits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on the basis of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through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access poin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사용 정보는 상기 단말의 접속한 사이트 정보, 검색어, 상기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 접속 사이트에 머문 시간, 접속 사이트에서 선택된 내용, 사용 시간, 사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머문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site connected to the terminal, a search result according to the search word, a search result according to the search term, a time spent on an access site, content selected on an access site, usage time, used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 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구비된 매장별 프로모션 정보, 쿠폰 정보, 마케팅 정보, 제품별 리뷰 정보, 뉴스 정보 및 음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promotional information, coupon information, marketing information, product-specific review information, news information, and music information for each store provid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or the access point.
제어부를 통해, BLE 방식을 근거로 단말과 통신하거나 상기 단말에 충전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에 포함된 배터리가 충전 중일 때,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통신부를 통해 상기 생성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송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근거로 상기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가 구비된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Generating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when the battery included in the terminal is being charged by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based on the BLE method or transmitting a charging signal to the terminal through the controller;
Transmitting the created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o the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nd
And transmits the access information for the access point installed in the store equipp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he terminal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hrough the controller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통신부를 통해, BLE 방식을 근거로 무선 충전 장치와 통신하거나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신호를 근거로 배터리를 충전 중일 때,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무료 인터넷 사용에 따른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어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송된 응답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인터넷 사용에 따른 인터넷 사용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
Receiving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when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based on the BLE method or charging the battery based on the charg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part;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response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user agree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eceived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through the control unit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Receiving connection information for an access point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response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ccessing the access point based on access information on the received access point through the control unit to use the Internet; And
And receiving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Internet through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10.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9 is recorded. 단말과 통신하거나 상기 단말에 충전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에 포함된 배터리가 충전 중일 때 생성되는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전송된 개인 정보 제공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근거로 매장 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무선 충전 장치;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단말;
상기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단말의 인터넷 사용 정보를 근거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generated when a battery included in the terminal is being charged by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or transmitting a charging signal to the terminal, providing the terminal with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inquiry signal,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provides access information to an access point installed in a store based on a transmitted response signal to the terminal;
A terminal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based on access information to an access point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using the Internet;
An access point for collecting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providing Internet usage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terminal; And
And a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generating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us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providing the generated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the access point.
KR1020140071232A 2014-04-11 2014-06-12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Withdrawn KR20150142419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232A KR20150142419A (en) 2014-06-12 2014-06-12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PCT/KR2014/011637 WO2015156477A1 (en) 2014-04-11 2014-12-01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same,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14/892,160 US10135284B2 (en) 2014-04-11 2014-12-01 Wireless charging equipment for providing charging service to selective users
CN201480026209.3A CN105379068B (en) 2014-04-11 2014-12-01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232A KR20150142419A (en) 2014-06-12 2014-06-12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419A true KR20150142419A (en) 2015-12-22

Family

ID=5508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232A Withdrawn KR20150142419A (en) 2014-04-11 2014-06-12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241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6426A1 (en) * 2018-04-27 2019-10-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lectrical charger, wireless-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226A (en) 2008-05-13 2011-01-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ed wireless charging are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226A (en) 2008-05-13 2011-01-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ed wireless charging are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6426A1 (en) * 2018-04-27 2019-10-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lectrical charger, wireless-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4208B2 (en) NFC assisted wireless charging
KR1022727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utomatically for geo-fence,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including the same
CN110601280A (en) Wireless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135284B2 (en) Wireless charging equipment for providing charging service to selective users
CN104168625A (en) Intelligent device, method for connecting intelligent device to wireless routing device, and wireless routing device
CN103856245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enable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KR20170000671A (e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ush message based on user location, user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102144021B1 (en)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JP2013026813A (en) Apparatus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CN205318520U (en) Vending machine positioning system
CN105576854A (en)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US9723562B2 (en) Position-based mobile terminal power management device
KR102312362B1 (en)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service providing device,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102223730B1 (en) Electronic card having communication module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thereof
KR20150142419A (en)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WO2019082919A1 (en) Billing system for electric charging and billing method for electric charging
CN110866789A (en) Mobile power supply advertisement playing method, mobile power supply and mobile power supply leasing equipment
KR102252525B1 (en)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US9760843B1 (en) Pooling network devices
KR102178165B1 (en)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CN103327524A (en)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 terminal monitoring report
KR102178167B1 (en)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20160007818A (en)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20150116734A (en)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102264922B1 (en) Server,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