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89992A -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992A
KR20150089992A KR1020150100927A KR20150100927A KR20150089992A KR 20150089992 A KR20150089992 A KR 20150089992A KR 1020150100927 A KR1020150100927 A KR 1020150100927A KR 20150100927 A KR20150100927 A KR 20150100927A KR 20150089992 A KR20150089992 A KR 20150089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user
terminal device
service
indu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타 미즈시마
히로키 후루하시
유스케 츠치다
료타 야스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디에누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디에누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디에누에
Publication of KR20150089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99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9Incentive being awarded or redeemed in connection with the playing of a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8Trade or exchange of good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2During e-commerce, i.e. online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1실시형태에 관한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에 대한 이익 등의 배분액을 더욱 적절하게 설정한다. 이 서버는 유도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 가능한 유도지 특정 정보를 송신하는 유도지 특정 정보 송신 모듈과, 유저가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되었을 때의 유도 이력 정보를 기억시키는 유도 이력 기억 모듈과, 유저를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유도원 특정 모듈과,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유저에 대한 과금을 제어하고, 과금액을 포함하는 정보를 기억시키는 과금 제어 모듈과,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유저에 대한 과금액에 의거하여.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 및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 대한 배분액을 설정하는 배분액 설정 모듈을 구비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SERV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APPLICATION}
본 출원은 일본국 특허출원 2013-202924(2013년 9월 30일 출원)에 의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은 참조에 의해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를 유저에 대해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광고주가 제휴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통해 웹 사이트상에서 광고를 게재하고, 게재된 광고의 클릭수 등에 의거하여 광고료 등의 보수를 지불하는 성공 보수형의 광고가 주로 인터넷상에서 실행되고 있다. 이러한 성공 보수형의 광고의 구조는 예를 들면 온라인 게임 소프트 등의 어플리케이션의 광고에의 적용도 검토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게재된 광고를 클릭하면,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용 사이트에 유저를 유도하는 바와 같은 구조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9207호 참조).
그러나, 상술한 광고의 구조에서는 클릭수 등에 따라 보수를 결정하는 것만으로는 결정된 보수가 충분히 합리적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게임 소프트 등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용 사이트로 유저를 유도해도, 그 유저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뿐 실제로는 플레이하지 않는 경우, 그 유저가 무료 플레이의 범위에서만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경우, 및 그 유저가 유료 플레이의 범위에서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경우에는 유도지의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가 얻을 수 있는 이익은 다르다. 그러나, 클릭수 등에 따라 보수를 결정하는 경우, 유도지의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가 실제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결정되는 보수는 유저를 유도한 자에게 있어서 반드시 합리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 서비스에 대한 이익 등의 배분액을 더욱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명세서 전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1 또는 복수의 서비스를 유저에 대해 제공하는 서버로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1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은 상기 유저를 상기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유도원 특정 모듈과,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상기 유저에 대한 과금을 제어하고, 과금액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과금 제어 모듈과,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상기 유저에 대한 상기 과금액에 의거하여, 해당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 및 해당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유저를 유도한 상기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 대한 배분액을 설정하는 배분액 설정 모듈을 구비한다. 여기서,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에 관계하는 다양한 액세스지(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취득(다운로드)지 및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의 제공을 받기 위한 액세스지 등)로 유저 또는 유저가 조작하는 단말 장치를 유도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 장치와, 해당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1 또는 복수의 서비스를 해당 단말 장치를 조작하는 유저에 대해 제공하는 서버를 구비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정보를 기억하는 단말용 기억 장치와,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소정의 단말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1 또는 복수의 단말용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은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특정 가능한 유도지 특정 정보를 상기 서버에 대해 요구하는 유도지 특정 정보 요구 모듈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유도지 특정 정보에 의해서 특정되는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에 관계하는 액세스지로 해당 단말 장치를 액세스시키는 유도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모듈과, 유저에 의한 상기 유도 영역의 선택에 응답하고,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에 관계하는 액세스지로 상기 단말 장치를 액세스시키는 액세스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1 또는 복수의 상기 유도지 특정 정보를 기억하는 서버용 기억 장치와, 소정의 서버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1 또는 복수의 서버용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서버용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고, 상기 유도지 특정 정보를 해당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유도지 특정 정보 송신 모듈과, 상기 유저를 상기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유도원 특정 모듈과,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상기 유저에 대한 과금을 제어하고, 과금액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과금 제어 모듈과,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상기 유저에 대한 상기 과금액에 의거하여, 해당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 및 해당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유저를 유도한 상기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 대한 배분액을 설정하는 배분액 설정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1 또는 복수의 서비스를 유저에 대해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유저를 상기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고,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상기 유저에 대한 과금을 제어하고, 과금액을 포함하는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상기 유저에 대한 상기 과금액에 의거하여, 해당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 및 해당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유저를 유도한 상기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 대한 배분액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의해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에 대한 이익 등의 배분액을 더욱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서버(10)를 포함하는 시스템(1)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로그램(50)의 모듈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과금 정보 관리 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30)와 서버(10)간의 통신의 상태를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8은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60)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로그인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과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과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과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과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과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서버(1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1)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버(10)는 일반적인 컴퓨터로서 구성되는 단말 장치(30)와 인터넷 등의 통신망(20)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이 단말 장치(30)를 조작하는 유저에 대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서버(10)에는 단말 장치(30) 이외의 도시하지 않은 단말 장치도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 서버(10)가 제공하는 서비스로서는 온라인 게임 또는 악곡 등의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나 복수의 단말 장치(30)를 조작하는 복수의 유저간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하는 플랫폼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CPU(프로세서)(11)와, 메인 메모리(12)와, 유저 I/F(13)와, 통신 I/F(14)와, 외부 메모리(15)와, 디스크 드라이브(16)를 포함하고, 이들 각 구성 요소가 버스(17)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CPU(11)는 외부 메모리(15)로부터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각종 서비스의 제공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12)에 로드하고, 로드한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을 실행한다. 메인 메모리(12)는 CPU(1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이용되며, 예를 들면, DRAM에 의해서 구성된다.
유저 I/F(13)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정보 입력 장치와, CPU(11)의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정보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통신 I/F(14)는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TCP/IP 드라이버나 PPP 드라이버 등의 통신용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조합으로서 실장되며, 통신망(20)을 통해 단말 장치(3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외부 메모리(15)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로 구성되고, 각종 서비스의 제공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또, 외부 메모리(15)에는 각종 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도 기억될 수 있다. 외부 메모리(15)에 기억될 수 있는 각종 데이터는 서버(1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서버(10)는 물리적으로 별체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되어도 좋다. 디스크 드라이브(16)는 CD-ROM, DVD-ROM, DVD-R 등의 각종 기억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또는 이들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 서버(10)는 계층 구조의 복수의 웹 페이지로 이루어지는 웹 사이트를 관리하는 웹 서버이다. 단말 장치(30)는 웹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HTML 데이터를 서버(10)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HTML 데이터를 해석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단말 장치(30)의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외부 메모리(15)에는 이 웹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HTML 데이터도 기억된다. HTML 데이터는 HTML 등의 마크업 언어로 기술된 HTML 문서로 이루어지고, 이 HTML 문서에는 다양한 화상이 관련지어진다. 또, HTML 문서에는 ActionScript이나 JavaScript(등록상표) 등의 스크립트 언어 등으로 기술된 프로그램이 매립될 수 있다.
외부 메모리(15)에는 단말 장치(30)에 있어서 브라우저 소프트웨어 이외의 실행 환경상에서 실행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도 저장될 수 있다. 이 각종 어플리케이션에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해당 프로그램 실행시에 참조되는 화상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Objective-C, Java(등록상표) 등의 오브젝트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다. 작성된 프로그램은 각종 데이터와 함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서 외부 메모리(15)에 기억된다. 외부 메모리(15)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송신 요구에 따라 단말 장치(30)에 송신된다. 서버(10)로부터 송신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단말 장치(30)에 있어서, CPU(31)의 제어에 따라 통신 I/F(34)를 통해 수신되고, 외부 메모리(35)에 송신되어 기억된다. 이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유저에 의한 단말 장치(30)의 조작에 따라 기동되고, 단말 장치(30)에 실장된 NgCore(상표)나 Android(상표) 등의 플랫폼상에서 실행된다. 서버(10)는 단말 장치(30)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각종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 서버(10)는 단말 장치(30)로부터 송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유저마다 기억함으로써, 유저마다 각종 서비스의 제공을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10)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를 관리하고, 해당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웹 페이지를 단말 장치(3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송신하는 것에 의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서버(10)는 이러한 브라우저 베이스의 서비스와는 대체적으로, 또는 브라우저 베이스의 서비스에 부가해서, 단말 장치(3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의 통신에 의거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어느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해도 각 유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마다 각종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지만, 서버(10)는 서비스의 제공 개시시의 유저의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서버(10)의 웹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실현되는 각종 서비스의 종류는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 장치(30)는 1실시형태에 있어서, 서버(10)로부터 취득한 웹 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상에서 표시하는 동시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실장한 임의의 정보 처리 장치이며, 스마트 폰, 태블릿 단말, 및 게임 전용 단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장치(3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CPU(프로세서)(31)와, 메인 메모리(32)와, 유저 I/F(33)와, 통신 I/F(34)와, 외부 메모리(35)를 포함하고, 이들 각 구성 요소가 버스(36)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CPU(31)는 외부 메모리(35)로부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32)에 로드하고, 로드한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을 실행한다. 메인 메모리(32)는 CPU(3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이용되며, 예를 들면, DRAM에 의해서 구성된다.
유저 I/F(33)는 유저의 입력을 접수하는 정보 입력 장치와, CPU(31)의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장치이며,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통신 I/F(34)는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TCP/IP 드라이버나 PPP 드라이버 등의 통신용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실장되고, 통신망(20)을 통해 서버(1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외부 메모리(35)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나 플래시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고,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 외부 메모리(35)는 서버(10)로부터 통신 I/F(34)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한 경우에는 이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기억한다.
이와 같은 아키텍처를 갖는 단말 장치(30)는 예를 들면, HTML형식의 파일(HTML 데이터)을 해석하여 화면 표시하기 위한 브라우저 소프트웨어를 구비하고 있고, 이 브라우저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의해 서버(10)로부터 취득한 HTML 데이터를 해석하여, 수신한 HTML 데이터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단말 장치(30)는 브라우저 소프트웨어에 내장되는 플러그 인 소프트(예를 들면, 어도비시스템즈사로부터 제공되고 있는 Flash Player)를 구비하고 있고, HTML 데이터에 내장된 SWF형식의 파일을 서버(10)로부터 취득하며, 해당 SWF형식의 파일을 브라우저 소프트웨어 및 플러그 인 소프트를 이용해서 실행할 수 있다. 또, 단말 장치(30)는 서버(10)로부터 취득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버(10)의 CPU(11)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로그램(50)의 모듈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프로그램(50)은 외부 메모리(15) 등에 기억되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30)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고 유저를 유도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특정 가능한 1 또는 복수의 유도지 특정 정보를 송신하는 유도지 특정 정보 송신 모듈(51)과, 유저가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에 유도되었을 때의 유저의 단말 장치(30)와 유도지 어플리케이션과 이 유저를 이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조합에 관한 유도 이력 정보를 외부 메모리(15) 등에 기억시키는 유도 이력 기억 모듈(52)과, 유저를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유도원 특정 모듈(53)과,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유저에 대한 과금을 제어하고, 과금액을 포함하는 정보를 외부 메모리(15) 등에 기억시키는 과금 제어 모듈(54)과,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유저에 대한 과금액에 의거하여, 이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 및 이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저를 유도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 대한 배분액을 설정하는 배분액 설정 모듈(55)을 구비한다.
도 3∼도 6은 서버(10)의 외부 메모리(15) 등에 구성되는 각 테이블에서 관리되는 정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어플리케이션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되는 정보의 일예이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테이블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어플리케이션 ID」에 대응지어, 이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인 「어플리케이션명」, 이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OS를 식별하는 「OSID」, 이 어플리케이션을 취득(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 사이트의 URL을 나타내는 「다운로드 사이트 URL」 등의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1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한 내용이어도 동작하는 OS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ID」가 설정되어 있고, 동작하는 OS에 따른 「다운로드 사이트 URL」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동작하는 OS가 다른 동일한 내용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ID」를 설정하게 해도 좋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ID」와 「OSID」의 조합에 의해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도록 해도 좋다.
도 4는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되는 정보의 일예이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30)를 식별하는 「단말 ID」와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 ID」의 조합에 대응지어, 이 단말 장치(30)의 유저를 이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유도원 어플리케이션 ID」, 이 단말 장치(30)의 유저를 이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한 시각을 나타내는 「유도 시각」, 이 단말 장치(30)에 있어서 이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이 처음 기동된 시각을 나타내는 「초회 기동 시각」 등의 정보를 관리한다.
도 5는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되는 정보의 일예이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ID」와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어플리케이션 ID」의 조합에 대응지어, 이 유저가 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에 처음 로그인했을 때의(서비스의 이용 유저로서 등록되었을 때의) 단말 장치(30)를 식별하는 「단말 ID」, 이 유저를 이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유도원 어플리케이션 ID」, 이 유저가 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에 처음 로그인한 시각을 나타내는 「초회 로그인 시각」 등의 정보를 관리한다.
도 6은 과금 정보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되는 정보의 일예이다.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과금 정보 관리 테이블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ID」와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어플리케이션 ID」의 조합에 대응지어, 이 유저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과금액을 나타내는 「과금액」 등의 정보를 관리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버(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단말 장치(30)의 유저가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에서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될 때의, 서버(10)와 단말 장치(30)의 사이의 통신의 상태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우선, 단말 장치(30)에 있어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면(스텝 S100), 단말 장치(30)로부터 서버(10)에 대해, 유도 영역용 정보가 요구된다(스텝 S110).
유도 영역용 정보의 요구를 수신하면, 서버(10)는 유도 영역용 정보를 특정해서 단말 장치(30)에 대해 송신한다(스텝 S120).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유저를 유도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소정의 룰로 특정하고, 이 특정한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유도 영역용 정보를 단말 장치(30)에 대해 송신한다. 단말 장치(30)에 송신하는 유도 영역용 정보에는 1실시형태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ID」(유도지 특정 정보)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화상이 포함된다. 여기서,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특정은 다양한 룰을 적용해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도원 어플리케이션마다 미리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해 두고, 이 설정에 따라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룰, 유저의 속성(예를 들면, 연령이나 성별 등)에 따라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룰, 현재 일자나 현재 시각에 따라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룰,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어플리케이션의 매상이나 다운로드 수에 따라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룰, 및 이들 룰을 조합한 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서버(10)로부터 유도 영역용 정보가 송신되면, 단말 장치(30)에서는 송신된 유도 영역용 정보에 대응하는 유도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도 8은 단말 장치(30)에 있어서 표시되는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60)의 일예이다. 표시 화면(60)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예를 들면, 온라인 게임)용의 화면이 표시되는 메인부(62)와, 이 메인부(6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유도 영역부(64)를 갖고, 유도 영역부(64)에는 4개의 유도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각 유도 영역에는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유도 영역용 정보에 포함되는 아이콘 화상이 표시되는 동시에 마찬가지로 유도 영역용 정보에 포함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ID」가 설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유도 영역부(64)에는 4개의 유도 영역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스텝 S120에서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서 4개의 어플리케이션이 특정되고, 이들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4개의 유도 영역용 정보가 서버(10)로부터 단말 장치(30)에 대해 송신되어 있다. 또한, 표시 화면(60)에 있어서의 유도 영역의 수는 몇 개라도 좋으며, 유도 영역의 표시 형태는 아이콘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하거나, 팝업 화면을 이용해서 표시하는 등, 다른 표시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또, 표시 화면(60)에 있어서의 복수의 유도 영역에 대해, 각 유도 영역을 식별하는 ID를 설정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각 유도 영역이 선택되는 빈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저가 표시 화면(60)의 유도 영역부(64)에 배치된 유도 영역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스텝 S130), 단말 장치(30)로부터 서버(10)에 유도 이력 정보가 송신되고, 서버(10)에서는 수신한 유도 이력 정보를 등록한다(스텝 S140). 유도 이력 정보는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30)를 식별하는 「단말 ID」와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유도원 어플리케이션 ID」와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 ID」에 의해서 구성되며, 이들 정보를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에 설정하는 것에 의해, 유도 이력 정보의 등록이 실행된다. 또한,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에 의해서 관리되는 정보 중, 「유도 시각」에는 유도 이력 정보를 등록할 때의 현재 시각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해서 유도 이력 정보를 등록하면, 서버(10)에서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사이트로 유저를 유도한다(스텝 S150).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30)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ID」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테이블의 대응하는 「다운로드 사이트 URL」을 취득하고, 이 취득한 「다운로드 사이트 URL」을 유저의 단말 장치(30)에 송신한다. 또한, 서버(10)에 의해서 다운로드 사이트에 리다이렉트하도록 해도 좋다. 또, 단말 장치(30)에 송신하는 유도 영역용 정보에 「다운로드 사이트 URL」을 포함시켜 표시 화면(60)의 유도 영역에 설정되도록 하고, 유저가 유도 영역을 선택하면, 단말 장치(30)가 다운로드 사이트에 직접 액세스하도록 해도 좋다.
계속해서, 단말 장치(30)에서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사이트로 액세스하고(스텝 S160), 이 다운로드 사이트로부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동시에 인스톨하고(스텝 S170), 그 후, 인스톨한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된다(스텝 S180). 여기서,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이 처음 기동될 때에, 그 기동 시각이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의 「초회 기동 시각」에 설정되도록 하고, 유도 영역을 선택하고나서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할 때까지의 경과 시간(상술한 「유도 시각」과 「초회 기동 시각」에 의거하여 이끌어 낼 수 있다)이 소정 시간을 넘고 있는 경우에는 유도 이력 정보를 삭제하도록 해도 좋다. 즉, 유도 영역을 선택하고나서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할 때까지의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을 넘고 있는 경우에는 유효한 유도는 아니라고 간주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단말 장치(30)에서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 기동에 따라, 이 유도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에의 로그인 요구가 서버(10)에 대해 송신된다(스텝 S190). 로그인 요구를 송신할 때에는 단말 장치(30)의 「단말 ID」와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ID」와 유저의 「유저 ID」가 송신된다. 여기서, 1실시형태에서는 서버(10)가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에 대해 공통의 「유저 ID」를 설정할 수 있고, 단말 장치(30)의 유저는 이 공통의 「유저 ID」를 이용해서 각종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30)에 있어서 상술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서버(10)에 이미 로그인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로그인에서 이용된 「유저 ID」를 계승해서 이용하여, 스텝 S190의 로그인 요구가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30)로부터의 로그인 요구를 수신하면, 서버(10)에서는 도 9에 예시하는 로그인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200). 이 로그인 처리는 서버(10)가 제공하는 서비스에의 로그인 요구를 단말 장치(30)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서버(10)에 의해서 실행되는 처리이며, 도 7에 예시한 어플리케이션간의 유도의 유무에 관계없이, 단말 장치(30)로부터 로그인 요구를 수신했을 때에 실행된다. 로그인 처리에서는 우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그인의 허락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10). 로그인의 허락 여부의 판정은 패스워드 인증 등을 이용해서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로그인의 허락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는 일반적인 처리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이 유저에 의한 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에의 로그인이 신규 로그인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20). 구체적으로는 로그인 요구시에 단말 장치(30)로부터 송신되는 「유저 ID」와 「어플리케이션 ID」의 조합에 대응하는 레코드가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신규 로그인이라고 판정되고, 존재하는 경우에는 신규 로그인이 아니라고 판정된다.
그리고, 신규 로그인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그대로 로그인 처리를 종료하고, 신규 로그인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동시에 등록하고(스텝 S230), 이 로그인 처리를 종료한다.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특정은 구체적으로는 로그인 요구시에 단말 장치(30)로부터 송신되는 「단말 ID」와 「어플리케이션 ID」의 조합에 대응하는 「유도원 어플리케이션 ID」를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로부터 취득하고, 이 취득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 ID」를 이용해서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에 새로운 레코드를 작성한다. 또한,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의 「초회 로그인 시각」에는 현재 시각이 설정된다. 여기서, 유도 영역을 선택하고 나서 신규 로그인까지의 경과 시간(상술한 「유도 시각」과 「초회 로그인 시각」에 의거하여 이끌어낼 수 있다), 또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처음 기동하고나서 신규 로그인까지의 경과 시간(상술한 「초회 기동 시각」과 「초회 로그인 시각」에 의거하여 이끌어낼 수 있다)이 소정 시간을 넘고 있는 경우에는 「유도원 어플리케이션 ID」를 등록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즉, 유도 영역을 선택하고나서, 또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처음 기동하고나서 신규 로그인까지의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을 넘고 있는 경우에는 유효한 유도는 아니라고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신규 로그인이라고 판정된 경우이고,「단말 ID」와 「어플리케이션 ID」의 조합에 대응하는 레코드가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간의 유도에 따른 신규 로그인은 아니기 때문에,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의 「유도원 어플리케이션 ID」에는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이 「없음」인 것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면, Null값)이 설정된다.
이상, 유저가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에서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 대한 이익 등의 배분액을 설정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실시형태의 서버(10)에서는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에 있어서, 유저와 어플리케이션의 조합에 대응하는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이 관리되어 있다. 또, 과금 정보 관리 테이블에 있어서, 유저와 어플리케이션의 조합에 대응하는 과금액(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과금액)이 관리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 대한 이익 등의 배분액을 설정할 때에는 이 유저와 어플리케이션의 조합에 대응하는 과금액에 의거하여, 이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 및 이 유저를 이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 대한 배분액이 설정된다. 배분액의 구체적인 설정은 다양한 계산식을 적용해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과금액에 의거하여, 이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 서버(10)의 운영 사업자, 및 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사이트의 운영 사업자 등에 대한 배분액을 미리 정해진 비율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과금액이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 대한 배분액의 설정시에도 고려되기 때문에, 유도원의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게 있어서도 더욱 합리적인 배분액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은 서버(10)에 대해 유도 영역용 정보를 요구하고,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유도 영역용 정보에 대응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사이트 등으로 단말 장치(30)를 액세스시키는 유도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단말 장치(30)에 표시시키며, 유저에 의한 유도 영역의 선택에 응답해서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에 관계하는 액세스지로 단말 장치(30)를 액세스시키고, 또, 유도 이력 정보(「단말 ID」,「유도원 어플리케이션 ID」 및 「유도지 어플리케이션 ID」)를 서버(10)에 대해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이러한 유도 영역용 정보를 요구하는 모듈, 수신한 유도 영역용 정보에 대응하는 유도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모듈,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에 관계하는 액세스지로 단말 장치(30)를 액세스시키는 모듈, 및 유도 이력 정보를 송신하는 모듈 등을 구비한 애드 온 소프트웨어(SDK 등)를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게 공개하는 것에 의해, 각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는 상술한 배분액의 설정에 관한 프로그램(레베뉴(revenue) 쉐어 프로그램)에 용이하게 참가할 수 있게 된다.
또, 1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 대신에, 또는 부가해서, 유도원 웹 페이지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웹 페이지에 있어서 상술한 유도 영역을 표시하도록 하고, 이 유도 영역의 선택에 응답해서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저를 유도하는 구조를 도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도원 어플리케이션 ID」에 상당하는 유도원 웹 페이지를 특정하는 정보로서는 해당 웹 페이지를 식별하는 정보, 또는 해당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웹 페이지에 의해서 구성되는 서비스를 식별하는 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에 의해서 특정되는 유도원 웹 페이지의 제공자를 관리하는 것에 의해,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과금액에 의거하여, 유도원 웹 페이지의 제공자에 대한 배분액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가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복수의 웹 페이지에 의해서 구성하고, 이 웹 페이지에 유도 영역을 포함시키는 것이 상정된다. 또한, 유도원 웹 페이지를 적용하는 경우, 유저에 의한 유도 영역의 선택에 응답해서 송신되는 유도 이력 정보를, 단말 장치(30)의 외부 메모리(35) 등에 쿠키로서 일단 캐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었을 때, 인스톨되었을 때, 또는 기동되었을 때 등에, 단말 장치(30)의 외부 메모리(35) 등에 쿠키로서 포함되는 유도 이력 정보가 서버(10)에 송신되고, 서버(10)에서는 수신한 유도 이력 정보를 이용해서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에 새로운 레코드를 작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저가 복수의 단말 장치(30)나 복수의 「유저 ID」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고려한다. 도 10은 유저가 단일의 단말 장치(30)(T001)와 복수의 유저 ID(U001 및 U002)를 이용해서 서버(10)가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로서, 이하의 순서로 어플리케이션간의 유도(다운로드, 인스톨 및 초회 기동) 및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에의 로그인을 실행한 경우의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 및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의 설정 내용을 나타낸다.
(1) 단말 장치(30)(T001)상에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1)에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유도.
(2) 단말 장치(30)(T001)상에서 유저 ID(U001)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로그인.
(3) 단말 장치(30)(T001)상에서 유저 ID(U002)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로그인.
이 경우, 1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에는 유저 ID(U001)와 어플리케이션(AP002)의 조합에 대해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1)이 설정되고, 마찬가지로, 유저 ID(U002)와 어플리케이션(AP002)의 조합에 대해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1)이 설정된다. 따라서, 유저 ID(U001)에 의한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과금액 및 유저 ID(U002)에 의한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과금액의 양쪽이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1)의 제공자의 배분액의 설정시에 고려된다.
도 11은 유저가 복수의 단말 장치(30)(T001 및 T002)와 단일의 유저 ID(U001)를 이용해서 서버(10)가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로서, 이하의 순서로 어플리케이션간의 유도 및 서비스에의 로그인을 실행한 경우의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 및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의 설정 내용을 나타낸다.
(1) 단말 장치(30)(T001)상에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1)에서 어플리케이션(AP002)으로 유도.
(2) 단말 장치(30)(T002)상에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3)에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유도.
(3) 단말 장치(30)(T001)상에서 유저 ID(U001)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로그인.
(4) 단말 장치(30)(T002)상에서 유저 ID(U001)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로그인.
이 경우, 1실시형태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에는 유저 ID(U001)와 어플리케이션(AP002)의 조합에 대해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1)이 설정되고, 단말 장치(30)(T002)상에서 어플리케이션(AP002)으로 유도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3)은 (단말 장치(30)(T002)상에서의 유저 ID(U001)를 이용한 로그인은 신규 로그인이 아니기 때문에)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에 설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저 ID(U001)에 의한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과금액은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1)의 제공자의 배분액의 설정시에 고려되고,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3)의 제공자의 배분액의 설정시에는 고려되지 않는다.
도 12는 유저가 복수의 단말 장치(30)(T001 및 T002)와 복수의 유저 ID(U001 및 U002)를 이용해서 서버(10)가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로서, 이하의 순서로 어플리케이션간의 유도 및 서비스에의 로그인을 실행한 경우의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 및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의 설정 내용을 나타낸다.
(1) 단말 장치(30)(T001)상에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1)에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유도.
(2) 단말 장치(30)(T002)상에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3)에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유도.
(3) 단말 장치(30)(T001)상에서 유저 ID(U001)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로그인.
(4) 단말 장치(30)(T002)상에서 유저 ID(U001)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로그인.
(5) 단말 장치(30)(T002)상에서 유저 ID(U002)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로그인.
(6) 단말 장치(30)(T001)상에서 유저 ID(U002)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로그인.
이 경우, 1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에는 유저 ID(U001)와 어플리케이션(AP002)의 조합에 대해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1)이 설정되고, 또 유저 ID(U002)와 어플리케이션(AP002)의 조합에 대해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3)이 설정된다. 따라서, 유저 ID(U001)에 의한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과금액은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1)의 제공자의 배분액의 설정시에 고려되고, 유저 ID(U002)에 의한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과금액은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3)의 제공자의 배분액의 설정시에 고려된다.
도 13은 유저가 복수의 단말 장치(30)(T001 및 T002)와 단일의 유저 ID(U001)를 이용해서 서버(10)가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로서, 이하의 순서로 어플리케이션간의 유도 및 서비스에의 로그인을 실행한 경우의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 및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의 설정 내용을 나타낸다.
(1) 단말 장치(30)(T001)상에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1)에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유도.
(2) 단말 장치(30)(T002)상에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유도 없이) 어플리케이션(AP002)을 도입(다운로드, 인스톨 및 초회 기동).
(3) 단말 장치(30)(T001)상에서 유저 ID(U001)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로그인.
(4) 단말 장치(30)(T002)상에서 유저 ID(U001)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로그인.
이 경우, 1실시형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에는 유저 ID(U001)와 어플리케이션(AP002)의 조합에 대해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1)이 설정된다. 따라서, 단말 장치(30)(T001)상에서 유저 ID(U001)에 의한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과금액, 및 단말 장치(30)(T002)상에서 유저 ID(U001)에 의한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과금액의 양쪽이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1)의 제공자의 배분액의 설정시에 고려된다.
도 14는 유저가 복수의 단말 장치(30)(T001 및 T002)와 복수의 유저 ID(U001 및 U002)를 이용해서 서버(10)가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로서, 이하의 순서로 어플리케이션간의 유도 및 서비스에의 로그인을 실행한 경우의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 및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의 설정 내용을 나타낸다.
(1) 단말 장치(30)(T001)상에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1)에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유도.
(2) 단말 장치(30)(T002)상에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유도 없이) 어플리케이션(AP002)을 도입.
(3) 단말 장치(30)(T001)상에서 유저 ID(U001)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로그인.
(4) 단말 장치(30)(T002)상에서 유저 ID(U001)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로그인.
(5) 단말 장치(30)(T002)상에서 유저 ID(U002)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로그인.
(6) 단말 장치(30)(T001)상에서 유저 ID(U002)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AP002)에 로그인.
이 경우, 1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에는 유저 ID(U001)와 어플리케이션(AP002)의 조합에 대해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1)이 설정되고, 유저 ID(U002)와 어플리케이션(AP002)의 조합에 대해서는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이 「없음」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유저 ID(U001)에 의한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과금액은 유도원 어플리케이션(AP001)의 제공자의 배분액 설정시에 고려되고, 유저 ID(U002)에 의한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과금액은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의 배분액의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10∼도14를 이용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버(10)에서는 유저가 복수의 단말 장치(30) 및 복수의 「유저 ID」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간의 유도 및 서비스에의 로그인을 실행한 경우에도, 서비스에의 신규 로그인시의 단말 장치(30)와 동일한 단말 장치(30)상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간의 유도에 의거하여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한다고 하는 룰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서, 「유저 ID」와 「어플리케이션 ID」의 조합에 대해 1개의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고, 이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의 배분액의 설정시에,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과금액을 고려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버(10)에서는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저를 유도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고, 이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유저에 대한 과금액에 의거하여,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 및 이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저를 유도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 대한 배분액을 설정한다. 따라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 대한 배분액을 설정할 때에,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유저에 대한 과금액이 고려되기 때문에,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 있어서 더욱 합리적인 배분액을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에 대한 이익 등의 배분액을 더욱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버(10)에서는 단말 장치(30)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해서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ID」(유도지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유도 영역용 정보를 단말 장치(30)에 송신하고,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은 송신된 유도 영역용 정보에 대응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사이트(관계하는 액세스지)로 단말 장치(30)를 액세스시키는 유도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 단말 장치(30)에 표시시킨다. 따라서,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유도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서버(10)에 의해서 지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유도 영역에 설정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서버(10)의 운영 사업자에 의해서 관리할 수 있다.
또,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버(10)에서는 유저가 유도 영역을 선택했을 때의(유도지 어플리케이션에 유도되었을 때의) 유저의 단말 장치(30)와 유도지 어플리케이션과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조합에 관한 유도 이력 정보를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에 등록하고, 신규 로그인일 때의(유저가 서비스의 이용 유저로서 등록되었을 때의), 유저의 단말 장치(30)와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조합과 유도 이력 정보의 비교에 의거하여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한다. 따라서, 신규 로그인일 때의 단말 장치(30)와 동일한 단말 장치(30)상에서의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유도에 의거하여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할 수 있다.
1실시형태에서는 유도 영역이 선택되었을 때에 유도 이력 정보를 등록하고, 신규 로그인일 때의 유저의 단말 장치(30)와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조합과 유도 이력 정보의 비교에 의거하여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도록 했지만, 유도 이력 정보를 등록하는 타이밍은 유도 영역이 선택되었을 때 이외의 타이밍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었을 때,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었을 때, 또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이 처음 기동되었을 때 등이라도 좋다. 또,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타이밍은 신규 로그인일 때 이외의 타이밍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로그인할 때마다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로그인시의 단말 장치(30)와 동일한 단말 장치(30)상에서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유도에 의거하여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면 좋다.
1실시형태에서는 신규 로그인일 때의 유저의 단말 장치(30)와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조합과 유도 이력 정보의 비교에 의거하여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도록 했지만, 이와 같이, 유도 이력 정보와 신규 로그인을 개별적으로 관리하지 않아도 좋다. 즉,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되었을 때에(예를 들면, 유도 영역이 선택되었을 때,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었을 때,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었을 때, 또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이 처음 기동되었을 때 등), 서버(10)에 있어서, 단말 장치(30)의 유저에 대해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용의 「유저 ID」를 부여하고(예를 들면, 단말 장치(30)의 「단말 ID」에 의거하여 자동 설정해서 부여하고), 이「유저 ID「를 이용해서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에 있어서 「유저 ID「를 관리하도록 하면, 유저와 어플리케이션의 조합에 대응하는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유도 이력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하게 되기 때문에, 신규 로그인 관리 테이블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1실시형태에서는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유도 영역의 유저에 의한 선택에 응답해서,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사이트로 유저를 유도하도록 했지만, 유저의 유도지는 다운로드 사이트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의 제공을 받기 위한 액세스지로 유저를 유도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이 단말 장치(30)에 이미 인스톨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비스의 제공을 받기 위한 액세스지에 유도하고, 인스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운로드 사이트에 유도하도록 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처리 및 수순은 실시형태 중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된 것 이외에도,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임의의 조합에 의해서 실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처리 및 수순은 집적 회로, 휘발성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스토리지 등의 매체에, 해당 처리에 상당하는 로직을 실장하는 것에 의해서 실현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처리 및 수순은 그들 처리 수순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실장하고, 각종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 중에서 설명되는 처리 및 수순이 단일의 장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모듈에 의해서 실행되는 취지가 설명되었다고 해도 그러한 처리 또는 수순은 복수의 장치, 복수의 소프트웨어, 복수의 컴포넌트 및/또는 복수의 모듈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 중에서 설명되는 데이터, 테이블, 또는 데이터베이스가 단일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취지가 설명되었다고 해도, 그러한 데이터, 테이블, 또는 데이터베이스는 단일의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메모리 또는 복수의 장치에 분산해서 배치된 복수의 메모리에 분산해서 저장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요소는 그들을 더욱 적은 구성 요소에 통합하거나, 또는 더욱 많은 구성 요소로 분해하는 것에 의해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발명의 구성 요소가 단수 혹은 복수의 어느 한쪽으로서 설명된 경우, 또는 그 단수 혹은 복수의 어느 것으로도 한정하지 않고 설명된 경우에도, 문맥상 별도로 해석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해당 구성 요소는 단수 또는 복수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10; 서버 20; 통신망
30; 단말 장치 11, 31; CPU
12,32; 메인 메모리 13,33; 유저 I/F
14,34; 통신 I/F 15,35; 외부 메모리
16; 디스크 드라이브 17,36; 버스

Claims (9)

  1.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1 또는 복수의 서비스를 유저에 대해 제공하는 서버로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1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은,
    상기 유저를 상기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한 1 이상의 유도원 어플리케이션 중 유효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유도원 특정 모듈과,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상기 유저에 대한 과금을 제어하고, 과금액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과금 제어 모듈과,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상기 유저에 대한 상기 과금액에 의거하여, 해당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 및 해당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유저를 유도한 상기 유효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 대한 배분액을 설정하는 배분액 설정 모듈을 구비하는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유저에 의한 선택에 응답해서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에 관계하는 액세스지로 해당 유저의 단말 장치를 액세스시키는 유도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해당 단말 장치에 표시시키고,
    상기 유도원 특정 모듈은 상기 유저에 의한 상기 유도 영역의 선택에 응답해서 상기 액세스지로 해당 유저의 단말 장치를 액세스시킨 1 이상의 유도원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유효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는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특정 가능한 1 또는 복수의 유도지 특정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고, 상기 유도지 특정 정보를 해당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유도지 특정 정보 송신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송신된 상기 유도지 특정 정보에 의해서 특정되는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에 관계하는 액세스지로 상기 단말 장치를 액세스시키는 상기 유도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해당 단말 장치에 표시시키는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은 상기 유저가 상기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되었을 때의 해당 유저의 단말 장치와 해당 유도지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조합에 관한 유도 이력 정보를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유도 이력 기억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유도원 특정 모듈은 상기 유저가 상기 서비스의 이용 유저로서 등록되었을 때의 해당 유저의 단말 장치와 해당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조합과 상기 유도 이력 정보의 비교에 의거하여 상기 유효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서버.
  5. 복수의 단말 장치와, 해당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1 또는 복수의 서비스를 해당 단말 장치를 조작하는 유저에 대해 제공하는 서버를 구비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정보를 기억하는 단말용 기억 장치와,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소정의 단말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1 또는 복수의 단말용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은,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특정 가능한 유도지 특정 정보를 상기 서버에 대해 요구하는 유도지 특정 정보 요구 모듈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유도지 특정 정보에 의해서 특정되는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에 관계하는 액세스지로 해당 단말 장치를 액세스시키는 유도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모듈과,
    유저에 의한 상기 유도 영역의 선택에 응답하고,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에 관계하는 액세스지로 상기 단말 장치를 액세스시키는 액세스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1 또는 복수의 상기 유도지 특정 정보를 기억하는 서버용 기억 장치와,
    소정의 서버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1 또는 복수의 서버용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서버용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고, 상기 유도지 특정 정보를 해당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유도지 특정 정보 송신 모듈과,
    상기 유저를 상기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한 1 이상의 유도원 어플리케이션 중 유효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유도원 특정 모듈과,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상기 유저에 대한 과금을 제어하고, 과금액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과금 제어 모듈과,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상기 유저에 대한 상기 과금액에 의거하여, 해당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 및 해당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유저를 유도한 상기 유효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 대한 배분액을 설정하는 배분액 설정 모듈을 구비하는 시스템.
  6.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1 또는 복수의 서비스를 유저에 대해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유저를 상기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한 1 이상의 유도원 어플리케이션 중 유효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고,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상기 유저에 대한 과금을 제어하고, 과금액을 포함하는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상기 유저에 대한 상기 과금액에 의거하여, 해당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 및 해당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유저를 유도한 상기 유효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자에 대한 배분액을 설정하는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이력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를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도한 유도시각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 처음 기동된 초회 기동 시각 정보를 더 포함하는 서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이력 기억 모듈은,
    상기 유도시각 정보와 상기 초회 기동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할 때까지의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을 넘는 경우 해당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유도 이력 정보를 삭제하는 서버.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원 특정 모듈은,
    등록된 유저가 상기 유도지 어플리케이션에 신규 로그인한 경우에만, 유효 유도원 어플리케이션으로 특정하는 서버.
KR1020150100927A 2013-09-30 2015-07-16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Ceased KR201500899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02924 2013-09-30
JP2013202924A JP5475180B1 (ja) 2013-09-30 2013-09-30 アプリケーションを用いたサービスを提供するサーバ、システム及び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050A Division KR20150055531A (ko) 2013-09-30 2014-07-08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992A true KR20150089992A (ko) 2015-08-05

Family

ID=507498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050A Ceased KR20150055531A (ko) 2013-09-30 2014-07-08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20150100927A Ceased KR20150089992A (ko) 2013-09-30 2015-07-16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050A Ceased KR20150055531A (ko) 2013-09-30 2014-07-08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095165A1 (ko)
EP (1) EP2854090A1 (ko)
JP (1) JP5475180B1 (ko)
KR (2) KR20150055531A (ko)
CN (1) CN1041136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4863B (zh) * 2015-12-28 2019-09-17 北京神州绿盟信息安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协议检测的方法及设备
US10417671B2 (en) 2016-11-01 2019-09-17 Yext, Inc. Optimizing dynamic review generation for redirecting request links
US10395027B2 (en) * 2016-12-09 2019-08-27 Vmware, Inc. Co-existence of management applications and multiple user device management
US10572280B2 (en) * 2017-02-17 2020-02-25 Google Llc Mobile application activity detector
CN107562636A (zh) * 2017-09-21 2018-01-09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应用软件的启动时间测试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9141A (en) * 1997-06-27 2000-02-22 Amazon.Com, Inc. Internet-based customer referral system
JP2002055913A (ja) * 2000-08-10 2002-02-20 Seiko Epson Corp ネットワーク上での印刷を仲介するシステム
KR20010089012A (ko) * 2000-03-20 2001-09-29 전성영 인터넷 금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10037283A1 (en) * 2000-03-27 2001-11-01 Mullaney Julian S.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facilitating the establishment of cross-referral agreements among members of a marketing community
JP2003091514A (ja) * 2001-09-18 2003-03-28 Fuji Xerox Co Ltd 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8321269B2 (en) * 2004-10-26 2012-11-27 Validclick, Inc Method for performing real-time click fraud detection, prevention and reporting for online advertising
CN100365984C (zh) * 2006-02-22 2008-01-30 北京邮电大学 基于服务等级协议的互联网业务的服务质量计费方法
CN101414372A (zh) * 2007-10-19 2009-04-22 潘广和 对互联网广告信息按保存付费的设备和方法
JP4970361B2 (ja) 2008-06-25 2012-07-04 株式会社アイタック アフィリエイト広告管理システム
EP2455904A4 (en) * 2009-07-14 2013-01-16 Rakuten Inc ASSIGNMENT AND ALLOCATION DEVICE, ASSIGNMENT AND ALLOCATION SYSTEM, ASSIGNMENT AND ALLOCATION METHOD, ASSIGNMENT AND ALLOCATION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BR112012033100B1 (pt) * 2010-06-29 2021-08-24 Rakuten, Inc Dispositivo de provisão de informação, método de rpocessamento de pagamento de recompensa, e, mídia de gravação
US20120316937A1 (en) * 2011-06-09 2012-12-13 Lotan Amir Method and Apparatus For Affiliate Marketing
JP5445606B2 (ja) * 2012-03-15 2014-03-19 株式会社セガ 広告提供システム、広告制御装置、及び広告制御プログラム
US10339551B2 (en) * 2013-10-16 2019-07-02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to assess finder's fee for customer traffic at a merchant lo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69398A (ja) 2015-04-13
KR20150055531A (ko) 2015-05-21
US20150095165A1 (en) 2015-04-02
EP2854090A1 (en) 2015-04-01
CN104113603A (zh) 2014-10-22
CN104113603B (zh) 2016-08-24
JP5475180B1 (ja)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0361B2 (ja) アフィリエイト広告管理システム
KR20150089992A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1240A (ko) 보수 부여 장치, 보수 부여 방법 및 보수 부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60110754A1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5406388B1 (ja) 電子コンテンツを推奨するサーバ装置
KR20160023689A (ko) 관리 장치, 관리 방법, 단말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US20100161398A1 (en) Web-based advertising reward system
KR102004969B1 (ko) 광고 운용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1475472B2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5658320B2 (ja)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32436A (ja) 電子コンテンツを推奨するサーバ装置
JP2015069637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を用いたサービスを提供するサーバ、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2109379A (ja) 電子情報の流通管理方法、システム、記録媒体、プログラム信号
JP7503113B2 (ja) 報酬付与装置、報酬付与プログラム、および、報酬付与方法
KR101837255B1 (ko)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98099B1 (ko)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단말
JP2020042769A (ja) コンテンツ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42733A (ja) コンテンツ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05394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866242B2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配信装置
KR20110068551A (ko) 웹 페이지의 로딩 소요시간 측정을 위한 위젯과 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로딩 소요시간을 포인트로 전환하는 방법 및 이들을 위한 기록매체
JP7692972B2 (ja) 所定のサービスを利用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並びに、所定の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5753637B1 (ja) 報酬付与システム
KR101502530B1 (ko) 사용자에 대하여 보수를 부여하는 서버 및 방법
KR20140004964A (ko)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제공하는 마켓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71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4070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4008505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