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869A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taste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tas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43869A KR20150043869A KR20130122835A KR20130122835A KR20150043869A KR 20150043869 A KR20150043869 A KR 20150043869A KR 20130122835 A KR20130122835 A KR 20130122835A KR 20130122835 A KR20130122835 A KR 20130122835A KR 20150043869 A KR20150043869 A KR 201500438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ffee
- information
- user
- coffee taste
- tas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피맛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taste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많은 사람들이 커피 마시기를 즐기고 있다. 대한민국 관세청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에 성인 1명이 338컵의 커피를 마셨다. 커피를 구입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 중 하나는 커피 자동판매기에서 구입하는 것이다. 커피 자동 판매기는 버스 정거장, 기차역, 사무실 등 전기가 공급되는 모든 곳에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커피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커피를 구매할 수 있다.Many people are enjoying coffee. According to a report from the Korea Customs Service, in 2011, one adult drank 338 cups of coffee. One of the easiest ways to buy coffee is to buy it at a coffee machine. Coffee vending machines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can be installed at all places where electricity is supplied, such as bus stops, train stations, offices, and so on. Thus, many people can purchase coffee using a coffee machine.
그러나, 커피 자동 판매기를 통해 커피를 구입하는 과정에서 세 가지의 단점이 존재한다. 첫 번째는, 고객이 커피 자동 판매기 내부의 위생 상태를 전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일부 커피 자동 판매기는 자판기 전면을 투명한 유리와 같은 물질을 설치하여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한 제품들도 있으나 대부분의 커피 자판기는 외부에서 내부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매년 지방자치단체의 위생 상태 점검에서 많은 커피 자판기들이 위생 불량으로 적발된다. However, there are three drawbacks in purchasing coffee through a coffee machine. The first is that the customer does not know the sanitary condition inside the coffee machine at all. Some coffee vending machines are designed to make the inside of the vending machine look transparent by installing materials such as transparent glass, but most coffee vending machines can not identify the inside from outside. Therefore, many coffee machines are caught as hygiene defects every year in the hygiene check of the local government.
두 번째는, 커피 자동 판매기에서 구입할 수 있는 커피의 맛을 고객이 조절할 수 없다는 것이다. 고객은 커피의 종류(블랙, 프림, 밀크, 등)는 선택할 수 있으나 커피에 포함되는 재료들의 양은 선택할 수 없다. 따라서, 고객은 획일적인 맛을 느낄 수 있는 커피만을 구입할 수 있다. The second is that customers can not control the taste of coffee that can be bought at a coffee machine. The customer can choose the type of coffee (black, prim, milk, etc.) but not the amount of ingredients in the coffee. Therefore, customers can purchase only coffee that can feel uniform taste.
세 번째는, 주의 깊은 관리가 필요한 질병(예. 당뇨병, 비만 등)이 있는 고객은 마시려고 하는 커피에 포함된 성분 (예. 당분, 카페인 등)의 양을 모르고 마신다는 것이다. 커피 한 잔에도 당분, 카페인 등 건강 관리에 위험이 될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것들이 누적이 되면 건강 관리에 심각한 위험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커피 한잔을 마심으로써 발생하는 칼로리의 양도 모르고 커피를 마신다. 따라서, 건강 관리를 위해서는 커피에 포함된 당분, 카페인 등의 성분의 양과 칼로리의 양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third is that customers with diseases that require careful care (eg, diabetes, obesity, etc.) do not know the amount of ingredients (eg, sugar, caffeine, etc.) in the coffee they are trying to drink. A cup of coffee contains ingredients that can pose a health risk, such as sugar and caffeine, which can pose a serious health risk if accumulated. In addition, drinking a cup of coffee does not know the amount of calories from drinking coffee. Therefore, for health care,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amount of sugar, caffeine, etc., and the amount of calories contained in the coffe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커피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커피에 포함될 재료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입맛이나 기분에 가장 적합한 커피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커피맛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electing a coffee type according to a preference of a user using a terminal, adjusting the amount of a material to be included in the selected coffee, And to provide a coffee taste control system that can be provided to customer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없었던 커피 자동판매기의 실내 위생 환경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위생 상태가 좋은 커피 자판기를 선택할 수 있는 커피맛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tely check the indoor hygiene environment of the coffee vending machine which can not be confirmed directly by the user's eyes and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 coffee machine Taste control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와 음용하는 커피의 종류 및 커피에 포함된 재료의 양을 결합하여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커피맛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ffee taste control system capable of managing health by combining a health state of a user, a kind of coffee to be consumed, and an amount of a material contained in coffee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피 자동 판매기 운영자는 커피 자동 판매기의 내부 위생 상태를 자판기의 문을 열어보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어, 자판기 유지 및 보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커피맛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ffee machine dispenser capable of verifying the internal sanitary condition of a coffee machine without having to open the door of the machine, And to provide a coffee taste control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커피맛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커피맛 제어서버에 송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피맛 제어서버로부터 커피맛 추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커피맛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 및 상기 커피맛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커피맛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커피맛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커피맛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ffee taste information selected by a user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re transmitted to a coffee taste control server, and coffee taste recommend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ffee taste control server and provided to the user Wherein the computer generates coffee taste recommend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health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coffee taste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coffee taste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The coffee taste control server transmits the coffee taste control server to th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맛 제어 시스템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커피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커피에 포함될 재료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입맛이나 기분에 가장 적합한 커피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offee tas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erminal to select the type of coffee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nd adjust the amount of the material to be included in the selected coffee to adjust the taste of coffee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맛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없었던 커피 자동판매기의 실내 위생 환경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위생 상태가 좋은 커피 자판기를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ffee tas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tely check an indoor hygiene environment of a coffee machine, which can not be directly confirmed by the user's eyes, and the user can select a coffee machine having a good hygiene condition.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맛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건강상태와 음용하는 커피의 종류 및 커피에 포함된 재료의 양을 결합하여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ffee tas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age health by combining the health state of the user with the type of coffee to be consumed and the amount of the material included in the coffee.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맛 제어 시스템은 커피 자동 판매기 운영자는 커피 자동 판매기의 내부 위생 상태를 자판기의 문을 열어보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어, 자판기 유지 및 보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ffee tas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perator of the coffee machine to check the internal hygiene state of the coffee machine without having to open the door of the machine, thereby shortening the maintenance and repair time of the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맛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맛 제어 방법이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맛 제어서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 판매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 shows a coffee tas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xample in which a coffee tast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terminal.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ffee taste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nly.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맛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1 shows a coffee tas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맛 제어 시스템은 단말기(100) 및 커피맛 제어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ffee tas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단말기(100)는 사용자 주변의 커피 자동 판매기(400)를 검색하여 단말기(10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된 커피 자동 판매기(4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의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커피맛 제어서버(300)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유익한 커피맛을 결정하는 커피, 프림 및 설탕의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커피 자동 판매기(400)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유익한 커피맛을 결정하는 커피, 프림 및 설탕의 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커피맛 정보 및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커피맛 제어서버(300)에 송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커피맛 제어서버(300)로부터 커피맛 추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커피맛 제어서버(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커피맛을 결정하는 커피, 프림 및 설탕의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커피, 프림, 설탕의 양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유익한 커피맛을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유익한 커피맛을 결정하는 커피, 프림 및 설탕의 양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로부터 커피맛 정보 및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 및 커피맛 정보를 이용하여 커피맛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ffe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맛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커피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커피에 포함될 재료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입맛이나 기분에 가장 적합한 커피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offee tas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 type of coffee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user and adjusts the amount of the material to be included in the selected coffee to provide a coffee best suited to the taste or mood of the user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건강정보 수집모듈(101), 추천 및 경고 모듈(102) 및 커피맛 제어모듈(103), 위생상태 표시모듈(104), 영양성분표시 모듈(105), 소액결제모듈(106) 및 통신모듈(107)을 포함할 수 있다.2, a
건강정보 수집모듈(101)은 사용자의 건강관리 정보를 커피맛 제어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건강정보 수집모듈(101)은 추천 및 경고 모듈(102)이 추천 및 경고 메세지를 생성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건강관리 정보는 질병 유무, 질병 종류, 키, 체중 등의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정보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health
추천 및 경고 모듈(102)은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커피맛이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유익한지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유익한 경우 추천하는 메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커피가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불익한 경우 경고 메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맛 제어서버(300)가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기초로 현재 선택한 커피맛이 유익하다고 판단한 경우, 유익하다는 신호를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유익하다는 신호를 기초로 추천한다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커피맛 제어서버(300)가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기초로 현재 선택한 커피맛이 불익하다고 판단한 경우, 불익하다는 신호를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불익하다는 신호를 기초로 현재 선택한 커피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해롭다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The recommendation and
커피맛 제어모듈(103)은 커피, 프림 및 설탕의 양을 조절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추천 및 경고 모듈(102)이 추천한 커피를 제조하도록 커피, 프림 및 설탕의 양을 조절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커피맛 제어모듈(103)에서 생성된 신호는 자판기 관리부(430)의 액추에이터 제어모듈(404)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커피맛 제어모듈(103)에서 생성된 신호를 수신한 액추에이터 제어모듈(404)은 자판기 커피 액추에이터(420)의 커피, 프림 및 설탕의 양을 조절하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ffee
위생상태 표시모듈(104)은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의 환경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생상태는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의 공기 오염도, 청소상태, 커피재료상태 및 온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hygiene
영양성분표시 모듈(105)은 사용자가 선택한 커피의 칼로리양과 당분의 양을 포함하는 영양성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양성분표시 모듈(105)은 표시 기준 분량, 영양성분 및 영양소 기준치에 대한 비율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기준 분량은 예를 들어 영양성분 함량은 1회 제공량당, 100g당, 100㎖당, 또는 포장 하나당 함유된 값을 표시할 수 있으며, 영양소 함량은 반드시 정해진 단위를 이용해 표시하는 것은 아니고, 영양성분 수치는 일정한 반올림 규칙에 의해 표시할 수도 있다. 영양성분은 열량, 탄수화물(당류), 단백질, 지방(포화지방, 트랜스 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 영양소 기준치에 대한 비율은 해당 식품이 하루에 필요한 영양소에서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는지가 될 수 있다.The nutrition
소액결제모듈(106)은 사용자가 선택한 커피의 가격을 산정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통신업체의 소액결제 시스템을 통해 커피의 가격을 결제할 수 있다. 소액결제모듈(404)은 해당 통신 업체의 소액결제 시스템에 연결하거나, 해당 통신 업체의 소액결제 시스템을 활성화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결제하는 방법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통신모듈(107)은 커피 자동 판매기(400) 및 커피맛 제어서버(300)를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망(500)으로 연결할 수 있다. 통신망(500)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등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IX,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EVDO(Evolution Data Optimized), LTE(Long Term Evolution) 및 WiMax 모뎀 성능의 모두 또는 서브세트(subset)와 함께 가능한 2G, 3G 및 4G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텔레매틱스 단말기(Telematics Terminal),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와이브로 단말기(Wibro Terminal),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네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telematics terminal,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A variety of devices such as a digital assistant (PDA), a wibro terminal, an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terminal, an AVN (Audio Video Navigation) terminal,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a navigation terminal Or a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맛 제어 방법이 단말기(100)에서 구현되는 예(200)를 나타낸 것이다.FIG. 3 illustrates an example 200 in which a method of controlling coffee t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도 3을 참조하면, 201에서 청소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의 공기 오염도, 청소상태, 커피재료상태 및 온도정보를 기초로 청소 상태가 양호함을 표시할 수 있다. 202에서 마지막 청소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203에서 일주일 동안 청소한 횟수를 계산하여 평균 청소 횟수를 표시할 수 있다. 204에서 물이 있음을 표시할 수 있고, 205에서 여유분의 컵이 있는지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여유분의 겁이 없다고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다음 절차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206은 커피 자동 판매기(400)에서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나타낸다. 다만 206의 4개의 종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메뉴는 다양하게 변형이 될 수 있다. 207에서 커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208에서 프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209에서 설탕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후 211에서 커피 뽑기를 탭(Tap)하면, 커피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210에서 현재 뽑은 커피의 설정을 저장할 수 있으며, 차후 210만을 탭하여, 위의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어플리케이션의 디자인과 종류를 도 3으로 한정한다는 의미는 아니다.Referring to FIG. 3, a cleaning state may be indicated at 201. In one embodiment, it can be shown that the cleaning status is good based on the air pollution degree inside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맛 제어서버(300)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ffe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맛 제어서버(300)는 시맨틱 추론기(320), 저장부(330) 및 통신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맨틱 추론기(320)는 건강상태 추론부(321), 커피 종류 추천부(322), 커피 프림 설탕양 추천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offee
건강상태 추론부(321)는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추론하고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커피맛 제어서버(30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건강상태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The health
건강상태 추론부(321)는 단말기(100)로부터 현재 음용하려는 커피의 종류와 커피에 포함된 재료의 양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피의 종류와 커피에 포함된 재료의 양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추론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시는 커피의 종류 및 커피에 포함된 재료의 양과 음용한 커피와 연관된 사용자의 건강 정보 추론에 사용된 건강 정보를 저장부(33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해야 하는 질병(예,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의 질병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건강상태 추론부(321)는 입력된 커피 종류, 커피에 포함된 재료의 양, 사용자의 질병 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커피 종류와 커피에 포함될 재료의 양을 추천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health
커피맛 종류 추천부(322)는 건강상태에 상응하는 커피의 맛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커피 프림 설탕양 추천부(323)는 결정된 커피맛을 제조하기 위한 커피, 프림 및 설탕의 양을 결정하고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시맨틱 추론기(320)는 시맨틱 웹 기반의 온톨로지 추론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ffee flavor
저장부(330)는 커피의 종류 저장부(331), 커피, 프림, 설탕량 저장부(332) 및 건강 온톨로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온톨로지(333)는 건강에 대한 정보가 단어들과의 관계에서 구성된 일종의 사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건강 온톨로지(333)는 새로운 정보가 추가로 입력될 수 있으며, 새로운 추론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 기반의 지식 처리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The
통신모듈(310)은 단말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500)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망(50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 판매기(400)는 자판기 상태정보 수집센서(410), 자판기 커피 액추에이터(420) 및 자판기 관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자판기 상태정보 수집센서(410)는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의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의 환경정보는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의 공기 오염도, 청소상태, 커피재료상태 및 온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nding machine condition
공기 오염도는 담배 연기, 화장품/헤어스프레이의 냄새, 주류의 냄새, 식품/과일의 부패 냄새, 요리 및 조리중 발생하는 냄새, 살충제/방충제의 냄새, 난방기기/연소기기의 연소가스 및 가구/건자재/접착제에서 발생되는 VOC가스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열선형 반도체 센서를 이용하여 공기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으나, 측정 대상이나 측정 장비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소 상태는 믹스통의 연결상태, 컵 받침대의 청결상태, 커피재료 보관함의 청결상태 및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청소 여부는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자동 세척 진행 상태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커피재료상태는 커피, 설탕 및 프림의 건조상태 및 보관상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온도는 커피 자동 판매기(400) 내부에 설치된 온도계를 통해서 측정될 수 있다.The air pollution degree refers to the degree of air pollution, such as tobacco smoke, the smell of cosmetics / hair spray, the smell of the mainstream, the smell of food / fruit, the smell generated during cooking and cooking, the smell of pesticides / insect repellents, / ≪ / RTI > VOC gas generated in the adhesive can be measured. In addition, the air pollution degree can be measured using a hot-wire type semiconductor sensor, but the object to be measured and the measuring equipmen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cleaning state can be a connection state of the mix trough, a clean state of the cup base, a clean state of the coffee material storage box, and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Whether or not the cleaning is performed may be the automatic cleaning progress state of the
자판기 커피 액추에이터(420)는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커피의 맛을 조절할 수 있다. 자판기 커피 액추에이터(420)는 커피, 설탕 및 프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자판기 관리부(400)가 자판기 커피 액추에이터(420)에 모터의 작동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커피, 설탕 및 프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The vend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기 관리부(430)는 센서정보 수집모듈(401), 센서정보 저장부(402), 통신모듈(403) 및 액추에이터 제어모듈(404)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nding machine management unit 430 may include a sensor
센서정보 수집모듈(401)은 자판기 상태정보 수집센서(410)가 수집한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의 환경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의 환경정보는 공기 오염도, 청소상태, 커피재료상태 및 온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나 특별히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의 환경정보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사용 빈도수 및 설치 장소에 따라서 환경정보의 수집 주기를 단축할 수 있다.The sensor
센서정보 저장부(402)는 센서정보 수집모듈(401)이 수집한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의 환경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정보의 데이터는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설치 위치, 커피 재료의 사용 빈도수,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의 공기 오염도, 청소상태, 커피재료상태 및 온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커피 자동 판매기(4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통신모듈(403)은 단말기(100)와 커피 자동판매기(400)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500)으로 연결할 수 있다. 통신망(50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액추에이터 제어모듈(404)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자판기 커피 액추에이터(420)의 커피, 프림 및 설탕의 양을 조절하는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 제어모듈(404)이 블랙커피를 명령하면, 커피의 양를 조절하는 모터만을 작동시키고, 프림 및 설탕의 양을 조절하는 모터는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 판매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 판매기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주변의 커피 자동 판매기(400)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의 환경정보 및 커피 자동 판매기(400)에서 판매되는 커피 가격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커피맛 제어서버(300)로부터 수신하고, 건강정보에 상응하는 커피의 종류를 추천하는 단계, 사용자가 추천된 커피의 종류를 선택하면 결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결제정보에 해당하는 금액이 결제되면 커피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arching for a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단계 S501에서 사용자의 주변에 위치한 커피 자동 판매기(400)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주변에 위치한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위치 검색은 LTPS(Localized-Temporal Personalization System)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LTPS 알고리즘은 의미적 지역(Semantic Area) 클러스터링, 장소적 특성(Character of place) 키워드군 통계, 키워드의 시간대별 분포 분석, 추출된 검색어의 카테고리별, 키워드별 랭킹 요소를 활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executed, the
단계 S502에서 사용자는 검색된 주변의 커피 자동 판매기(400)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단말기(100)는 자판기 관리부(300)로부터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의 환경정보 예를 들어 커피 자동 판매기(400)의 내부의 공기 오염도, 청소상태, 커피재료상태 및 온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계 S504에서 자판기의 위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502, the user can select the searched
단계 S505에서 구매진행 여부를 요청할 수 있다. 만약 구매진행 요청을 수신하면, 단계 S506에서 커피맛 제어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질병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질병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507에서 커피의 종류와 재료의 양을 추천할 수 있다. 단계 S508에서 사용자가 커피의 종류를 선택하면, 단계 S509에서 커피에 들어가는 재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10에서 섭취량과 건강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섭취량과 건강 정보를 확인한 후 단계 S511에서 결재 여부를 요청할 수 있으며, 결재가 이루어지면 단계 S512에서 자판기로 결제 정보가 전달되고, 단계 S513에서 커피가 배출된다.In step S505, it is possible to request whether or not to proceed with the purchase. If the purchase request is receiv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s diseas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 coffe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맛 제어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ffee tast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a variety of means for processing information electronically and recorded in a storage medium. The storag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software. Examples of storag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above-mentioned medium may also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 light or metal wire, wave guide, etc.,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designat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devices for processing information electronically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for example, a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 커피 자동 판매기 제어장치 101 : 건강정보 수집모듈
102 : 추천 및 경고 모듈 103 : 커피맛 제어모듈
104 : 위생상태 표시모듈 105 : 영양성분표시 모듈
106 : 소액결제모듈 107 : 통신모듈
300 : 커피맛 제어서버 310 : 통신모듈
320 : 시맨틱 추론기 321 : 건강상태 추론부
322 : 커피종류 추천부 323 : 커피 프림 설탕량 추천부
330 : 저장부 331 : 커피종류 저장부
332 : 커피 프림 설탕량 저장부 333 : 건강 온톨로지
401 : 센서정보 수집모듈 402 : 센서정보 저장부
403 : 통신모듈 404 : 액추에이터 제어모듈
410 : 자판기 상태정보 수집센서 420 : 자판기 커피 액추에이터
430 : 자판기 관리부 500 : 통신망100: Coffee vending machine control device 101: Health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02: Recommendation and warning module 103: Coffee taste control module
104: hygiene status display module 105: nutrition display module
106: Small payment module 107: Communication module
300: coffee taste control server 310: communication module
320: Semantic reasoning machine 321: Health state reasoning part
322: coffee type recommendation part 323: coffee primed sugar amount recommendation part
330: storage unit 331: coffee type storage unit
332: Coffee priming amount of sugar 333: Health ontology
401: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402: sensor information storage part
403: Communication module 404: Actuator control module
410: Vending machine status information collection sensor 420: Vending machine coffee actuator
430: vending machine management unit 500: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1)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커피맛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 및 상기 커피맛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커피맛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커피맛 제어서버;
를 포함하는 커피맛 제어 시스템.
A terminal for transmitting coffee taste information selected by a user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a coffee taste control server, receiving coffee taste recommendation information from the coffee taste control server and providing the coffee taste recommend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And
When the coffee taste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re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coffee taste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user health state information and the coffee taste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offee taste control server transmitting the coffee taste;
/ RTI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2835A KR20150043869A (en) | 2013-10-15 | 2013-10-15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tas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2835A KR20150043869A (en) | 2013-10-15 | 2013-10-15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tas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3869A true KR20150043869A (en) | 2015-04-23 |
Family
ID=53036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22835A Withdrawn KR20150043869A (en) | 2013-10-15 | 2013-10-15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tas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43869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2099A (en) * | 2015-06-29 | 2017-01-06 | (주)이즈미디어 | Coffee machine control system |
KR20210062419A (en) | 2019-11-21 | 2021-05-31 | 주식회사 커피볶는집 | Coffee product recommendation and relay system |
KR102404728B1 (en) * | 2021-12-15 | 2022-06-02 | 박준 | Method for implementing and transmitting artificial flavors of video and image |
WO2022220342A1 (en) * | 2021-04-14 | 2022-10-20 | (주)메디프레소 |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tea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ai system |
-
2013
- 2013-10-15 KR KR20130122835A patent/KR20150043869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2099A (en) * | 2015-06-29 | 2017-01-06 | (주)이즈미디어 | Coffee machine control system |
KR20210062419A (en) | 2019-11-21 | 2021-05-31 | 주식회사 커피볶는집 | Coffee product recommendation and relay system |
WO2022220342A1 (en) * | 2021-04-14 | 2022-10-20 | (주)메디프레소 |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tea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ai system |
KR20220142354A (en) * | 2021-04-14 | 2022-10-21 | (주)메디프레소 | A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tea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
KR102404728B1 (en) * | 2021-12-15 | 2022-06-02 | 박준 | Method for implementing and transmitting artificial flavors of video and imag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ebrok et al. | Household food waste: Drivers and potential intervention points for design–An extensive review | |
US10110677B2 (en) | Context-aware decision making | |
Bellia et al. | Street food and food safety: a driver for tourism? | |
US9898788B1 (en) | Predictive restaurant ordering | |
US20170316488A1 (en) | Systems and Methods of Food Management | |
US1078960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sis of beverage dispensing data | |
US20140006131A1 (en) | Interactive Inventory Systems and Methods | |
US12079847B1 (en) | Interactive aroma dispensing system | |
US11761701B2 (en) | Refrigerator inventory device | |
KR20150043869A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taste | |
WO2011163131A2 (en) | Personalized food identification and nutrition guidance system | |
US20100179881A1 (en) | System for making product purchases | |
US2010008819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Purchase Decisions | |
CN105788081A (en) | Commercial self-service scone vending machine and scone making method | |
KR10161248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 |
KR20140054473A (en) | System and method for shopping assistant to grocery items | |
EP1301877A2 (en) | Target rater | |
JPWO2015151199A1 (en) | Demand forecasting system, demand forecasting method and program | |
US9053185B1 (en) | Generating a representative model for a plurality of models identified by similar feature data | |
US20210264502A1 (en) | Electronic Menu, Ordering, and Payment System and Method | |
US20220318816A1 (en) | Speech, camera and projector system for monitoring grocery usage | |
US20230008912A1 (en) | Menu recommendation system, menu recommendation method,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KR101782303B1 (en) | Home made food-menu offering system with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2353304B1 (en) | Marke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 |
CN118115231A (en) | Shopping list gener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