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26440A - Method of ordering using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of ordering using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440A
KR20140126440A KR20130044553A KR20130044553A KR20140126440A KR 20140126440 A KR20140126440 A KR 20140126440A KR 20130044553 A KR20130044553 A KR 20130044553A KR 20130044553 A KR20130044553 A KR 20130044553A KR 20140126440 A KR20140126440 A KR 20140126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input device
input
movement
instru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201300445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수길
홍상수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2013004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6440A/en
Publication of KR20140126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440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한 명령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광학식 입력 장치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다양한 부가적인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서 포인팅 위치를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capable of easily inputting a specific command, and it is possible to input various additional commands while using the conventional optical input device as it 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ntered by a simple method.

Description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METHOD OF ORDERING USING INPUT DEVICE}[0001] METHOD OF ORDERING USING INPUT DEVICE [0002]

본 발명은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한 명령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capable of easily inputting a specific command.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스마트 TV 등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디바이스에 간단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다양한 입력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입력 장치 중 하나의 종류로서 디바이스의 화면 상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는 포인팅 입력 장치가 존재한다. 에를 들면, 마우스, 트랙 패드, 터치 패드, 광학식 입력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 등이 그 것이다.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compu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mart TV have appeared. Various input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input information to such electronic devices in a simple and convenient manner. There is a pointing input device capable of indicating a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device as one kind of input device. For example, a mouse, a trackpad, a touch pad, an optical input device, and a stylus pen.

상기 예를 든 포인팅 입력 장치 중 광학식 입력장치는 다른 포인팅 입력 장치보다 크기가 작다는 점에서 장점을 갖는다. 또한, 터치 패드 및 스타일러스 펜과 달리 디바이스의 화면과 근접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The optical input device among the above-described pointing input devices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smaller in size than other pointing input devices. In addition, unlike the touch pad and the stylus pen, it has an advantage that information can be input even when it is not close to the screen of the device.

광학식 입력장치는 접촉부 상에 접촉되는 지시체의 움직임 및 상기 접촉부의 클릭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및 클릭을 감지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광학식으로 움직임을 감지하고, 스위치로 클릭을 감지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방식은 광원에서 발생한 광이 접촉부에 도달한 후, 반사될 수 있다. 반사된 광은 광센서에 의해 수광되어 접촉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방식은 돔키를 포함하고 있어, 돔키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금속 돔이 돔키 아래의 도체부와 접촉함으로써 작동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은 일 예에 불과하고, 상기 움직임 및 클릭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The optical input device can sense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member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lick of the contact portion. Various methods can be used for detecting the motion and the click.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 a method of optically sensing movement and sensing a click with a switch can be used. More specifically, the method shown in Fig. 1 can be reflected after the light generated in the light source reaches the contact portion. The reflected light is received by the optical sensor and can detect the movement of the contact portion. Also, the system shown in Fig. 1 includes a dome key, so that when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me key, the metal dome can operate by contacting the conductor under the dome key. 1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structures and methods for detecting the motion and clicking can be used.

그러나 종래의 광학식 입력장치는 작은 크기의 한계로 인해, 디바이스의 화면 상의 위치를 지시하는 것 이외에 다른 명령을 입력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서 포인팅 위치를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움직이는데 있어서, 다른 포인팅 입력 장치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고 조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due to the small size limitation, the conventional optical input device has a limitation in inputting other commands in addition to the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device. In addition, in moving the pointing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device in a quick and simple mann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takes more time and difficult operation than other pointing input devices.

따라서 종래의 광학식 입력 장치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다양한 부가적인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서 포인팅 위치를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왔다.Theref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method for inputting various additional commands while using the conventional optical input device as it is, and for inputting the pointing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device in a quick and simple mann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광학식 입력 장치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다양한 부가적인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서 포인팅 위치를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inputting various additional commands while using a conventional optical input device as it is, and a method of inputting a pointing position on a screen of a device in a quick and simple mann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의 일 실시예는 접촉부 상에 접촉되는 지시체의 움직임 및 상기 접촉부의 클릭을 감지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1지속시간 미만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제1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1지속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지속되면서,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한 경우 제2명령이 입력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for detecting a movement of a pointing device contacting a contact portion and a click of the contact portion, When the first instruction is input and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while the click lasts for a tim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duration The second command is inpu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의 일 실시예는 접촉부 상에 접촉되는 지시체의 움직임 및 상기 접촉부의 클릭을 감지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1지속시간 미만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제1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1지속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지속되면서, 제2지속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최초로 인식한 경우 제2명령이 입력되고, 제2지속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최초로 인식한 경우 제3명령이 입력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for detecting a movement of a pointing device contacting a contact portion and a click of the contact portion, If the first command is input and the input device continues the click for a period of tim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ime duration and before the second time duration elapses The second instruction is inputted when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is first recognized and the third instruction is inputted when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is first recognized after the second duration time has elapsed.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을 입력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In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and inputs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A second command or a third command having a characteristic can be input.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을 상하좌우(上下左右)의 4가지로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In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device, the input device can recognize the direction of the moving device by dividing the direction of the moving device into four directions: up, down, left and right have.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1지속시간 이상이면서 제2지속시간 미만의 시간동안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제2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제2명령 준비모드에서 상기 클릭이 지속되면서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최초로 인식한 경우 상기 제2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In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the second command is input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click lasts for a tim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duration and less than the second duration, The second instruction can be input when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is first recognized while the click continues in the second instruction preparation mode.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1지속시간 동안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이 없이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2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The instruction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switching to the second instruction preparation mode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click lasts for a first duration without movement of the indicator, It can be switched to the ready mode.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지시체가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인식한 경우 상기 일 방향에 따른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고, 그 후 상기 지시체가 정지한 것을 인식한 경우, 상기 지시체가 상기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인식할 때까지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지속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In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device and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is input,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indicating device is moving in one direction When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in accordance with the one direction is input and then recognizes that the indicating body has stopped,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is received until it is recognized that the indicating body is moving in the other direction The third command can be continuously input.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지시체가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인식한 경우 상기 일 방향에 따른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고, 그 후 상기 접촉부가 상기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인식 한 경우 상기 일 방향에 따른 제2명령 또는 제3명령과는 다른 상기 타 방향에 따른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In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device, the input of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is performed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indicating device is moving in one direction When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one direction is input and then the contact portion recognizes that the contact portion moves in the other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one direction, A second command or a third command along the other direction may be input.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중단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의 입력이 중지될 수 있다.In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the input of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may be such that input of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is stopped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click is stopped .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2지속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이 없이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3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되고, 제2지속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클릭이 지속되면서 상기 접촉부의 움직임을 최초로 인식한 경우 제3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Wherein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click lasts for a time longer than the second duration time without movement of the indicator, the input of the third instruction causes the third instruction A third command may be inputted when the movement of the contact portion is first recognized while the click continues after the second duration time has elapsed.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지속시간은 상기 제2지속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In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the first duration may be shorter than the second duration.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접촉부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져 버튼이 눌러지는 것을 인식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click by recognizing that the input device presses the button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tact portion.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지시체가 움직임이 없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는 것을 인식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click by recognizing that the input device touches the contact portion without moving the indicator.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은 상기 입력 장치와 연결된 디바이스의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는 명령일 수 있다.In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may be a command for adjusting a magnification of a screen of a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는 명령은, 상기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상(上) 방향인 경우 화면의 배율을 증가시키는 명령이고,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하(下) 방향인 경우 화면의 배율을 감소시키는 명령일 수 있다.In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the command for adjus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may include a magnification of the screen whe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when the command is input is upward And a command to decrease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whe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is a downward direction.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는 명령은, 상기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에 따라 상기 화면의 배율이 변하는 속도가 다른 명령일 수 있다.In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the input device senses the speed of motion of the pointing device, and the command to adjust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includes a motion of the pointing device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when the command is input The speed at which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varies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screen may be different.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은 상기 입력 장치와 연결된 디바이스의 화면의 스크롤을 조절하는 명령일 수 있다.In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may be a command for controlling scrolling of a screen of a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스크롤을 조절하는 명령은, 상기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상(上) 방향인 경우 현재 출력되는 화면보다 상부에 있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화면이 조절되고,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하(下) 방향인 경우 현재 출력되는 화면보다 하부에 있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화면이 조절되고,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좌(左) 방향인 경우 현재 출력되는 화면보다 좌측에 있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화면이 조절되고,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우(右) 방향인 경우 현재 출력되는 화면보다 우측에 있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화면이 조절되는 명령일 수 있다.In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the command for controlling the scrolling of the screen may include an instruction to scroll the screen whe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is upward when the command is input, The screen is adjusted such that the information on the upper side is outputted so that the informa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current output screen is outputted whe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is the lower direction, The screen is adjusted so that the information on the left side of the current output screen is output whe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indicated by the input device is the lef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is right ) Direction, the screen may be adjusted so that the information on the right side of the current output screen is output.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화면의 스크롤을 조절하는 명령은, 상기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화면이 이동하는 속도가 다른 명령일 수 있다.Wherein the input device senses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and the instruction to adjust the scrolling of the screen includes a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when the instruction is input, The speed at which the output image is moved may be different from the speed of the output image.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은 상기 입력 장치와 연결된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In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may be a command for controlling a movement of a cursor displayed on a screen of a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으로 상기 커서가 지속적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In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the command may be a command to control the cursor to continuousl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when the command is input.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명령은, 상기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에 따라 상기 커서가 이동하는 속도가 다른 명령일 수 있다.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device senses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and the comman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ursor includes a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when the command is input, The speed at which the cursor moves may be a different command.

본 발명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광학식 입력 장치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다양한 부가적인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서 포인팅 위치를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put various additional commands while using the conventional optical input device as it is, and it is possible to input the pointing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device in a quick and simple manner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의 입력 방식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우히나 순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put device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use state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a second instruction or a third i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이하, 본 발명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Hereinafter,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접촉부 상에 접촉되는 지시체의 움직임 및 상기 접촉부의 클릭을 감지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1지속시간 미만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제1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1지속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지속되면서,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한 경우 제2명령이 입력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for detecting a movement of a pointing member that touches a contact portion and a click of the contact portion, the input device be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lick lasts for less than a first duration The first command is input and the input device continues the click for a time longer than the first duration and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the second command is input to the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접촉부 상에 접촉되는 지시체의 움직임 및 상기 접촉부의 클릭을 감지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1지속시간 미만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제1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1지속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지속되면서, 제2지속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최초로 인식한 경우 제2명령이 입력되고, 제2지속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최초로 인식한 경우 제3명령이 입력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for detecting a movement of a pointing member on a contact portion and a click of the contact portion, The first instruction is input and when the input device first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before the second duration elapses while the click lasts for a tim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duration, And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to which a third command is input when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is first recognized after the second duration time has elapsed.

이하, 본 발명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contents necessary for explaining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디바이스에 입력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 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을 가진 디바이스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바이스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evice connected to a device and capable of inputting a user's command to the device. The device may be an electronic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device may be a device having a screen on which information is output. For example, the device may be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compu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mart TV, or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상기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 장치와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법은 유선 또는 무선을 가리지 않는다. 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의 경우 본 발명의 입력 장치가 랩탑 컴퓨터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스마트 TV의 경우 본 발명의 입력 장치가 스마트 TV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리모컨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력 장치가 어떠한 방식으로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있는지에 의해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는다.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vice so that data can be transmitted between the input device and the device. The way in which the data is transmitted is either wire or wireles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aptop computer,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grally formed in a laptop computer.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smart TV,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on a remote controller that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a smart TV.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strued as limited by how the input device is connected to the device.

본 발명의 입력 장치와 디바이스의 명령 전달 방식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가 별도의 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단순히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 또는 클릭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바이스는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입력 장치가 별도의 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 또는 클릭에 관한 정보에 따라 명령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력 장치는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최종적인 명령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 입력 장치는 디바이스에서 재처리를 요구하는 중간 형태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상의 운영 체제(OS ; Operating System)에 의해서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에 의해서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mand transmission method of the device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methods. For example, since the input device does not have a separate processor or the like, it can simply transmit to the devic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r click of the indicator that the input device has recognized. In this case, the device can generate an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input devic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processor or the like, data relating to the instruction can b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r click of the indicator indicated by the input device. In such a case, the input device may generate data relating to the final instruction that causes the device to perform a particular function. In other cases, the input device may generate intermediate forms of data that require reprocessing at the device. A device can process data received from an input device by an operating system (OS) on the device. Alternatively, data received from an input device by a separate application program can be processed.

본 발명에 따라 입력되는 명령은 입력 장치가 인식한 데이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의 지시체의 움직임 또는 클릭의 여부와 입력 장치가 인식한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에도 입력 장치가 인식한 데이터에 따라 명령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가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경우에, 입력 장치는 지시체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움직인 경우만을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입력 장치가 지시체가 움직임 없이 접촉부에 접촉되는 것을 인식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지시체가 완전한 움직임 없이 접촉부에 접촉된는 것은 매우 드물고, 입력 장치가 미세한 움직임이 있는 경우까지 움직임으로 인식하는 경우 입력 장치의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장치가 입력 장치의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지시체를 움직이는 경우가 아닌 비의도적인 미세한 움직임을 지시체의 움직임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The input comm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ermined by the data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Therefore, the comman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ata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even when the actual input or output of the indicator is different from the data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For example,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the input device can recognize that the moving body exists only when the indicating body moves over a predetermined range. This can be applied to recognize that the input device is touching the contact portion without moving the indicator. It is extremely rare that the indicating body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without complete movement and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until there is fine movement, a command different from the intention of the user of the input device can be inputted. Therefore, the input device may not recognize the unintentional fine movement as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rather than when the user of the input device intentionally moves the pointing device.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디바이스의 화면 등의 특정 위치를 지시하는 포인팅 입력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마우스, 트랙 패드, 터치 패드, 광학식 입력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 등이 될 수 있다.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ointing input device for indicating a specific position of a screen of the device or the like.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ouse, a trackpad, a touch pad, an optical input device, a stylus pen, or the like.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지시체가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접촉부 상에 접촉되는 지시체의 움직임 및 상기 접촉부의 클릭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지시체는 인체의 일부일 수 있다. 지시체로 인체의 일부가 사용되는 경우 통상적으로 손가락이 사용될 수 있다.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tact portion to which the indicator can be contacted.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member that touches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lick of the contact portion. The indicator may be part of a human body. When a part of the human body is used as an indicator, a finger may be used.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광학식 입력 장치일 수 있다. 광학식 입력 장치는 광을 이용하여 접촉부에 접촉되는 지시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입력 장치이다. 구체적인 광학식 입력 장치(301)의 구조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1은 광학식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광학식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광학식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학시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광학식 입력장치는 광원(315), 프리즘(335), 접촉부(340), 수광부(313)를 포함한다. 광원(315)에서 발생한 광이 프리즘(335)을 거쳐 접촉부(340) 표면의 지시체(700)에 도달한다. 지시체(700)에 도달한 광이 지시체에서 반사되어 수광부(313)에 도달할 수 있다. 수광부(313)는 수광한 광을 통해 지시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optical input device. An optical input device is an input device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a pointing device that contacts a contact portion using light. The structure of a specific optical input device 301 is shown in Figs. 1 to 3. Fig.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tical input device,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input device,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the optical input device. 1 to 3, the optical input device includes a light source 315, a prism 335, a contact portion 340,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313.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315 reaches the pointing body 700 on the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340 via the prism 335. Light reaching the pointing device 700 can be reflected by the pointing device and reach the light-receiving portion 313. The light receiving unit 313 can sense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unit through the received light.

본 발명의 입력 장치가 접촉부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은 접촉부의 움직임 여부 또는 움직임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움직임의 방향을 감지하는 것은 실제의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고, 소정의 단계로 구분된 방향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360°의 방향을 10°씩 36단계로 나누어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입력 장치가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은, 입력 장치가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을 상하좌우(上下左右)의 4가지로 구분하여 인식하는 것일 수 있다. 상하좌우 4가지로 구분하는 경우, 입력 장치는 상기 360°를 90°씩 4단계로 나누어 인식하는 것일 수 있다.When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contact por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the contact portion is moving or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Detecting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may sense the direction of the actual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or may be sensed in a direc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step.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can recognize 360 degrees by dividing the direction by 10 degrees into 36 steps. In another embodiment,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the input device may recogniz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by dividing the direction of the pointing device in four directions: up, down, left, and right. In the case of dividing into four types of upper, lower, left, and right, the input device may be one that recognizes the 360 degrees divided into four steps by 90 degrees.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클릭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 장치가 돔키 스위치(22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이외에도 멤브레인 스위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클릭을 감지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치는 접촉부에 가해지는 소정의 압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시체에 의해 접촉부(34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스위치(220)가 기판 상의 도체(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클릭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witch for detecting clicks. Referring to FIG. 3, the input device includes a dome switch 220.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a membrane switch or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ethod for detecting clicks. The switch can be operat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pplied to the contact portion. Referring to FIG. 3, the switch 2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or 210 on the substrate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ontact portion 340 by the indicating body so that the switch 220 can be detected as being clicked.

본 발명에서 클릭이 특정 시간 동안 지속된다는 것은 특정 시간 동안 접촉부에 가해지는 소정의 압력이 유지되어 스위치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함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lick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it means that the predetermined pressure applied to the contact portion for a specific time is maintained and the switch is kept operating.

본 발명에서 클릭은 스위치를 통한 클릭이 아닌 소프트 클릭(soft-click)일 수 있다. 소프트 클릭은 지시체가 접촉부 상에 접촉되었다가 분리되는데, 그 접촉되는 동안 움직임이 없이 접촉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가 지시체가 접촉부 상에 접촉되었다가 분리되는 동안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하지 않은 경우 소프트 클릭으로 인식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click may be a soft-click rather than a click via a switch. A soft click means that the indicator is contacted and separated on the contact, and is contacted without movement during the contact. Therefo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device does not recognize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while the indicating body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ing portion and is separated, it can be recognized as a soft click.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가 지시체의 움직임 또는 클릭을 인식하는 것에 따라 제1명령 또는 제2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명령은 입력 장치가 클릭이 제1지속시간 미만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입력된다. 제2명령은 입력 장치가 클릭이 제1지속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지속되면서,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한 경우 입력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instruction or a second instruction can be inputted as the input device recognizes movement or click of the indicator. More specifically, the first instruction is entered if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click lasts for less than the first duration. The second instruction is input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while the click lasts for a tim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dura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가 지시체의 움직임 또는 클릭을 인식하는 것에 따라 제1명령 내지 제3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명령은 입력 장치가 클릭이 제1지속시간 미만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입력된다. 제2명령은 입력 장치가 클릭이 제1지속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지속되면서, 제2지속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지시체의 움직임을 최초로 인식한 경우 입력된다. 제3명령은 제2지속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지시체의 움직임을 최초로 인식한 경우 입력된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mand to the third command can be input as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r click of the indicator. More specifically, the first instruction is entered if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click lasts for less than the first duration. The second instruction is entered when the input device first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before the second duration has elapsed, while the click lasts for a tim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duration. The third command is entered when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is first recognized after the second duration has elapsed.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지속시간은 통상의 클릭이 수행될 때 지속되는 시간일 수 있다. 통상의 클릭이 수행될 때 지속되는 시간이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C의 마우스 등의 1회 클릭 시 지속되는 시간일 수 있다. 제1지속시간은 조절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0.1초 내지 5초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duration may be a time duration when a normal click is performed. The time duration when a normal click is performed may be a time duration that occurs when a mouse or the like of a commonly used PC is clicked once. The first duration may be set to be adjustable, but may typically be selected in the range of 0.1 second to 5 seconds.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2지속시간이란 제1지속시간보다 긴 시간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지속시간이란 0.5초 내지 10초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duration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duration.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duration may be selected in the range of 0.5 seconds to 10 seconds.

상기 제1지속시간 및 제2지속시간의 구체적인 예시는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first duration and the second duration are on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통상의 클릭 형태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제1명령은 통상의 클릭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 상의 특정 개체를 선택하거나, 선택된 개체를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제1명령의 내용은 본 발명의 입력 장치와 연결된 디바이스 또는 상기 디바이스를 구동하게 하는 운영체제(OS)에서 별도로 정의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e input of the first command may be similar to a normal click form. The first command may be a command that performs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as a normal click. For example, it may be to select a specific entity on the screen or to execute the selected entity. More specifically, the contents of the first instruction may be separately defined in a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n an operating system (OS) that drives the device.

제 1명령이 입력될 수 있는 일례로서, 제1명령은 제1지속시간 이상 클릭이 지속되다가 지시체의 움직임이 인식되지 않은 상태로 클릭이 제거되는 경우 입력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후술할 제2명령 준비모드 또는 제3명령 준비모드에서 아무런 지시체의 움직임이 인식되지 않은 상태로 클릭이 제거되는 경우 제1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제1명령이 입력되는 대신 아무런 입력 없이 명령이 종료되는 것도 가능하다.
A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command can be inputted, the first command can be inputted when the click is continued for a first duration or longer and the click is removed without recognizing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More specifically, when a click is re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any indicator is not recognized in a second command preparation mode or a third command preparation mo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 first command can be input. However, in such a ca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ommand is terminated without any input instead of the first command being input.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장치가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을 입력하는 것은,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은 유사한 특징을 가진 다양한 명령들의 집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이지만 상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방향에 관한 변수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방향에 관한 변수는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and inputs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when the input devic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A second command or a third command may be inputted.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may be a collection of various instructions having similar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is an instruction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but a variable related to the direction may be input in performing the predetermined function. The variable relating to the direction can be inputted through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준비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e input of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may be the input of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after switching to the ready mode.

더욱 구체적으로, 제2명령이 입력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제2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입력 장치가 클릭이 제1지속시간 이상이면서 제2지속시간 미만의 시간동안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제2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되고, 제2명령 준비모드에서 클릭이 지속되면서 지시체의 움직임을 최초로 인식한 경우 상기 제2명령이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 클릭이 제1지속시간 이상이면서 제2지속시간 미만의 시간동안 지속될 때, 입력 장치가 지시체의 움직임이 있음을 인식한 경우에도 제2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설정에 따라 입력 장치가 클릭이 제1지속시간 동안 지시체의 움직임이 없이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제2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되는 것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put of the second instruction will be described. The input of the second command is switched to the second command preparation mode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click lasts for a tim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duration and lasts less than the second duration, If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is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the second command may be inputted. When the click lasts for a tim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duration and lasts less than the second duration, it can be switched to the second instruction ready mode even if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the input device may be switched to the second command preparation mode when it recognizes that the click lasts for a first duration without movement of the indicator.

더욱 구체적으로, 제3명령이 입력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제3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입력 장치가 클릭이 제2지속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지시체의 움직임이 없이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제3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되고, 제2지속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클릭이 지속되면서 접촉부의 움직임을 최초로 인식한 경우 제3명령이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 제3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제2지속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지시체의 움직임이 없이 클릭이 지속되어야 한다.More specifically, the input of the third command will be described. The third command is input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click lasts for a time longer than the second duration and continues to move in the third command preparation mode, And the third command is inputted when the movement of the contact portion is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In order to enter the third command preparation mode, the click must be continued without movement of the indicator for a time longer than the second duration.

상술한 제2명령 준비모드 또는 제3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입력 장치와 연결된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형태가 제2명령 준비모드 또는 제3명령 준비모드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에 의해 지시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커서 등이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경우, 제2명령 준비모드 또는 제3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커서의 모양이 변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는 것(zoom in/zoom out)인 경우, 제2명령 준비모드 또는 제3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커서가 돋보기 모양으로 전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스크롤을 이동시키는 것인 경우, 제2명령 준비모드 또는 제3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커서가 스크롤 모양으로 전환될 수 있다.
When the mode is switched to the second instruction preparation mode or the third instruction preparation mode, the typ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can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second instruction preparation mode or the third instruction preparation mode. For example, when the cursor or the like indicating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input devic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evice, the shape of the cursor can be converted when switching to the second instruction preparation mode or the third instruction preparation mode . More specifically, when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is a zoom in / zoom out instruction and the second instruction preparation mode or the third instruction preparation mode is selected, the cursor is switched to a magnifying glass .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is to move the scroll, the cursor may be switched to the scroll shape when the mode is switched to the second instruction preparation mode or the third instruction preparation mode.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장치가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입력 장치가 지시체가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인식한 경우 일 방향에 따른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고, 그 후 지시체가 정지한 것을 인식한 경우, 지시체가 상기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인식할 때까지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의 입력 방식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우히나 순서도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and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is input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indicator moves in one direction When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is input and then recognizes that the instruction is stopped,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is continuously inputted until it is recognized that the instruction body is moving in the other direction other than the one direction Lt; / RTI >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a second instruction or a third i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은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경우에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구체적인 방향 정보를 지닌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는 동안 지시체는 지속적으로 움직임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충분히 큰 접촉면을 가지지 않는 한 접촉면 상에서 지시체가 지속적으로 움직임을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ma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For example, when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cursor, a second command or a third command having specific direc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dicator that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o this end, the indicator must be kept in motion while the second or third command is being input. However, it is not easy to keep the indicator constantly moving on the contact surface unless it has a sufficiently large contact surface.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supplement this method.

상술한 것과 같이, 입력 장치는 움직이던 지시체가 정지한 경우라도, 지시체가 여전히 움직이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간주하여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지시체가 다시 움직이는 것을 인식한 경우, 새로 움직이는 방향을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입력하여야 한다. 따라서 입력 장치는 움직이던 지시체가 정지한 경우, 지시체가 다시 움직이기 전까지는 기존의 명령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기 위한 조건인 클릭이 유지되는 것은 만족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nput device can be recognized by considering that the indicating body is still moving in the moving direction even when the moving indicating body is stopped. However, if it recognizes that the indicator moves again, it must recognize the direction of the new movement and enter the corresponding command. Therefore, the input device can keep the existing command as long as the moving indication stops, until the indication moves again. In this case, it is satisfied that the click, which is a condition for inputting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is maintained.

예를 들어, 입력 장치가 지시체가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인식하여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었다가, 입력 장치가 지시체가 움직이지 않는 것을 인식한 경우, 입력되고 있는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지속되며 입력될 수 있다. 입력 장치가 지시체가 상기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인식하는 경우, 기존에 입력되고 있는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아닌 상기 타 방향에 대응되는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입력 장치가 다시 지시체가 움직이지 않는 것을 인식한 경우, 상기 타 방향에 대응되는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은 지속되며 입력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indicator moves in one direction and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is input and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indicator does not move,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The command is persistent and can be entered.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indicator is moving in the other direction than the one direction,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other direction other than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being inputted may be inputted have. If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indicator does not move again,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other direction may be continued and input.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입력 장치가 클릭이 중단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의 입력이 중지되는 것일 수 있다. 지시체의 움직임이 지속되는지 여부와 관련 없이 클릭이 중단되는 경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의 입력이 중지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e input of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may be such that the input of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is stopped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click is stopped. The input of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may be stopped if the click is interrupt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is continued.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의 일례로서,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은 입력 장치와 연결된 디바이스의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는 명령일 수 있다.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에 따라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는 명령이 입력될 때,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화면의 배율이 증가되는지 감소되는지를 조절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화면의 배율이 증가되는 것은 줌-인(zoom-in)기능으로 호칭될 수 있고, 화면의 배율이 감소되는 것은 줌-아웃(zoon-out)기능으로 호칭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may be a command for adjus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is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when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is input according to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Typically, increasing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may be referred to as a zoom-in function, and reducing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may be referred to as a zoon-out function.

바람직한 실시예로,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상(上) 방향인 경우 화면의 배율을 증가시키는 명령이고,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하(下) 방향인 경우 화면의 배율을 감소시키는 명령일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로,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우(右) 방향인 경우 화면의 배율을 증가시키는 명령이고,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좌(左) 방향인 경우 화면의 배율을 감소시키는 명령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방향은 일례에 불과하고,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is an upward direction, the command is an instruction to increase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Whe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is a downward direction And may be an instruction to reduce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In another possible embodiment, whe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indicated by the input device is the right direction, it is an instruction to increase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dicator indicated by the input device is the left It may be a command to reduce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However, the direction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장치는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는 명령은 명령이 입력될 때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에 따라 화면의 배율이 변하는 속도가 다른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체의 움직임이 상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할 경우 화면의 배율이 빠르게 증가되고, 지시체의 움직임이 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느리게 이동할 경우 화면의 배율이 천천히 증가될 수 있다.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input device may be to sense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indicator. In this case, the command for adjus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may be a different command at a speed at which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changes according to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indicator indicated by the input device when the command is input. For example, if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moves rapidly in the upward direction,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increases rapidly, and when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moves relatively slowly in the upward direction,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may slowly increase.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의 일례로서,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은 입력 장치와 연결된 디바이스의 화면의 스크롤을 조절하는 명령일 수 있다. 스크롤을 조절하는 것은 화면 출력 장치를 가진 디바이스에서, 화면에 나타난 내용이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화면에 표현되는 정보의 양이 한 화면의 분량을 넘는 경우, 화면에 정보의 일부만 표현되고 나머지 정보는 스크롤을 조절하여 출력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may b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scrolling of the screen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Controlling scrolling may mean adjusting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to move up or down or left or right, in a device having a screen output device. When the amount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exceeds the amount of one screen, only a part of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remaining information can be adjusted so as to be controlled by scrolling.

더욱 구체적으로, 입력 장치가 인식한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이 이동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명령이 입력될 때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상 방향인 경우 현재 출력되는 화면보다 상부에 있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화면이 조절되고,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하 방향인 경우 현재 출력되는 화면보다 하부에 있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화면이 조절되고,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좌 방향인 경우 현재 출력되는 화면보다 좌측에 있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화면이 조절되고,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우 방향인 경우 현재 출력되는 화면보다 우측에 있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화면이 조절되는 명령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croll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For example, whe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indicated by the input device is upward when the command is input, the screen is adjusted so that information above the current output screen is output, and when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If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is the left direction, the information on the left side of the current output screen is output And if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is the right direction, the screen may be adjusted such that the information on the right side of the current output screen is output.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장치는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면의 스크롤을 조절하는 명령은 명령이 입력될 때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이 이동하는 속도가 다른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체의 움직임이 상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할 경우 스크롤이 지시체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되고, 지시체의 움직임이 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느리게 이동할 경우 스크롤이 지시체의 움직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천천히 이동될 수 있다.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input device may be to sense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indicator. In this case, the command for controlling the scrolling of the screen may be a different command at a speed at which the screen to be outputted moves according to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when the command is inputted. For example, when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moves fast in the upward direction, the scroll is rapidly moved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and when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moves relatively slowly in the upward direction, Can be moved relatively slowly.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의 일례로서,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은 입력 장치와 연결된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은 클릭을 유지한 상태에서 지시체의 움직임이 존재하다가 정지하여도 지속적으로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커서의 움직임을 효과적을 제어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와 같이 접촉부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커서를 멀리 이동시는 경우 다수 번의 지시체의 움직임을 입력하여야 한다. 지시체를 접촉부에 다수 번 접촉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은 빠른 조작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작의 편의성도 높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의 기능을 사용하여 한번의 접촉으로 커서를 멀리 이동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may b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can be continuously input into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even if there is motion of the indicating body while the click is maintained and then the motion stops. This function can be used to effective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ursor. When the contact portion is relatively small like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rsor is moved far away, it is necessary to input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body a plurality of times. Repeated contact of the pointing member with the contact portion a plurality of times has a problem that not only quick operation is possible but also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is not high. Thus, the function of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described above can be used to move the cursor away with a single touch.

더욱 구체적으로,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명령은 명령이 입력될 때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으로 커서가 지속적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될 때, 입력 장치가 지시체가 우 방향으로 움직이다가 정지하는 것을 인식한 경우, 클릭이 제거되어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의 입력이 중단될 때까지, 커서가 지속적으로 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mmand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cursor may b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cursor to continuousl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that the input device recognized when the command is input. For example, when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is inputted,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instruction body moves in the right direction and stops, the click is removed and the input of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is stopped Until then, you can enter commands so that the cursor moves continuously in the right direction.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장치는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명령은 명령이 입력될 때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에 따라 커서가 이동하는 속도가 다른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체의 움직임이 상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할 경우 커서가 지시체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되고, 지시체의 움직임이 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느리게 이동할 경우 커서가 지시체의 움직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천천히 이동될 수 있다.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input device may be to sense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indicator. In this case, the command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cursor may be a different command at a speed at which the cursor moves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when the command is inputted. For example, when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moves fast in the upward direction, the cursor moves quickly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and when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moves relatively slowly in the upward direction, the cursor moves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Can be moved relatively slowly.

220 : 돔 키 스위치
301 : 입력 장치 313: 수광부
315 : 광원 335 : 프리즘
340 : 접촉부 700 : 지시체
220: Dome Key Switch
301: input device 313:
315: light source 335: prism
340: Contact portion 700: Indicator

Claims (22)

접촉부 상에 접촉되는 지시체의 움직임 및 상기 접촉부의 클릭을 감지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1지속시간 미만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제1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1지속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지속되면서,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한 경우 제2명령이 입력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for detecting a movement of a pointing member contacting a contact portion and a click of the contact portion,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click lasts for less than a first duration, a first command is input,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while the click lasts for a tim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duration,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접촉부 상에 접촉되는 지시체의 움직임 및 상기 접촉부의 클릭을 감지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1지속시간 미만의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제1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1지속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지속되면서, 제2지속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최초로 인식한 경우 제2명령이 입력되고, 제2지속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최초로 인식한 경우 제3명령이 입력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for detecting a movement of a pointing member contacting a contact portion and a click of the contact portion,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click lasts for less than a first duration, a first command is input,
The second instruction is input when the input device first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before the second duration elapses while the click lasts for a time longer than the first duration and after the second duration has elapsed When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is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a third command is inputted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을 입력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and inputs a second command or a third command,
A second command or a third command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is input according to a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을 상하좌우(上下左右)의 4가지로 구분하여 인식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by dividing the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into four types of up, down, right and left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1지속시간 이상이면서 제2지속시간 미만의 시간동안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제2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제2명령 준비모드에서 상기 클릭이 지속되면서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최초로 인식한 경우 상기 제2명령이 입력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second command is input,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click lasts for a tim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duration and lasts less than the second duration, the mode is switched to the second command preparation mode, and while the click continues in the second command preparation mode, When the first instruction is recognized, the second instruction is input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1지속시간 동안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이 없이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2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Switching to the second instruction ready mode means,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click lasts for a first duration without any movement of the indicator, it switches to the second command preparation mode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지시체가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인식한 경우 상기 일 방향에 따른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고, 그 후 상기 지시체가 정지한 것을 인식한 경우, 상기 지시체가 상기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인식할 때까지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so that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is input,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indicating body is moving in one direction, when a second command or a third command according to the one direction is input and then recognizes that the indicating body has stopped,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is continuously inputted until it is recognized that the other instruction is moved in the other direction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지시체가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인식한 경우 상기 일 방향에 따른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고, 그 후 상기 접촉부가 상기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인식 한 경우 상기 일 방향에 따른 제2명령 또는 제3명령과는 다른 상기 타 방향에 따른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the input of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indicating body is moving in one direction, when a second command or a third command according to the one direction is input and then recognizes that the contacting portion moves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one direction, A second instruction or a third instruction in the other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in the one direction is input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중단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의 입력이 중지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is input,
Whe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click is to be interrupted, the input of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is stopped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이 제2지속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이 없이 지속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3명령 준비모드로 전환되고, 제2지속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클릭이 지속되면서 상기 접촉부의 움직임을 최초로 인식한 경우 제3명령이 입력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third command is input,
The input device is switched to the third command preparation mode when the click recognizes that the click lasts for a time longer than the second duration time without movement of the indicator, the click is continued after the second duration elapses When the movement of the contact portion is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a third command is inputted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속시간은 상기 제2지속시간보다 짧은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duration is shorter than the second duration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접촉부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져 버튼이 눌러지는 것을 인식하는 것인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click,
Wherei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button is pressed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클릭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지시체가 움직임이 없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는 것을 인식하는 것인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e click,
Wherein the input device recognizes that the indicator does not move and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은 상기 입력 장치와 연결된 디바이스의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는 명령인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is an instruction to adjust a magnification of a screen of a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는 명령은,
상기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상(上) 방향인 경우 화면의 배율을 증가시키는 명령이고,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하(下) 방향인 경우 화면의 배율을 감소시키는 명령인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mmand for adjus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may include:
Wherein whe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is an upward direction when the command is input,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is a downward direction, If the direction is the command to reduce the scale of the screen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화면의 배율을 조절하는 명령은,
상기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에 따라 상기 화면의 배율이 변하는 속도가 다른 명령인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input device senses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indicator,
The command for adjus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may include:
When the command is input, the speed at which the magnification of the screen changes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indicated by the input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speed of the command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은 상기 입력 장치와 연결된 디바이스의 화면의 스크롤을 조절하는 명령인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cond command or the third command is a command for controlling scrolling of a screen of a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스크롤을 조절하는 명령은,
상기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상(上) 방향인 경우 현재 출력되는 화면보다 상부에 있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화면이 조절되고,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하(下) 방향인 경우 현재 출력되는 화면보다 하부에 있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화면이 조절되고,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좌(左) 방향인 경우 현재 출력되는 화면보다 좌측에 있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화면이 조절되고,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우(右) 방향인 경우 현재 출력되는 화면보다 우측에 있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화면이 조절되는 명령인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mmand to adjust the scrolling of the screen includes:
Whe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when the command is input is upward, the screen is adjusted such that information above the current screen is outputted, The screen is adjusted so that information below the current output screen is output whe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is the lower direction and whe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is the left direction, The screen is adjusted so that the information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is output, and whe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dicating body recognized by the input device is the right direction, sign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화면의 스크롤을 조절하는 명령은,
상기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화면이 이동하는 속도가 다른 명령인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input device senses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indicator,
The command to adjust the scrolling of the screen includes:
When the command is input, the speed at which the output screen moves is different from the speed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indicated by the input device,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명령 또는 제3명령은 상기 입력 장치와 연결된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명령인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cond instruction or the third instruction is an instruction for controlling a movement of a cursor displayed on a screen of a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명령은,
상기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방향으로 상기 커서가 지속적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명령인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instruction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ursor comprises:
When the command is input, controls the cursor to continuousl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indicated by the input device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명령은,
상기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입력 장치가 인식한 지시체의 움직임의 속도에 따라 상기 커서가 이동하는 속도가 다른 명령인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input device senses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indicator,
Wherein the instruction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ursor comprises:
When the instruction is input, the speed at which the cursor moves according to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indicator indicated by the input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speed
A command input method using an input device.

KR20130044553A 2013-04-23 2013-04-23 Method of ordering using input device Withdrawn KR201401264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553A KR20140126440A (en) 2013-04-23 2013-04-23 Method of ordering using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553A KR20140126440A (en) 2013-04-23 2013-04-23 Method of ordering using inpu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440A true KR20140126440A (en) 2014-10-31

Family

ID=5199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4553A Withdrawn KR20140126440A (en) 2013-04-23 2013-04-23 Method of ordering using inpu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644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2174B2 (en) Selective input signal rejection and modification
US96718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touch screen with varying sensitivity regions
US11048342B2 (en) Dual mode optical navigation device
AU2008258177B2 (e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KR101194883B1 (en) system for controling non-contact screen and method for controling non-contact screen in the system
US20150029402A1 (en) Remote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controller
WO2010032268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raphical objects
KR101328385B1 (en) Tactile finger tip mous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CN101833389A (en) Auxiliary method for controlling cursor movement by touch control plate
KR101363661B1 (en) Smart Remote Controller Using Edge Sliding UI
KR101348696B1 (en) Touch Screen Apparatus based Touch Patter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83300A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one point touch, and apparatus therefor
US11216121B2 (en) Smart touch pad device
KR101791222B1 (en) Portable electric device for providing mouse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540086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input determination
KR20140105961A (en) 3D Air Mouse Having 2D Mouse Function
KR20140126440A (en) Method of ordering using input device
KR20130112350A (en) Touch screen apparatus based touch patter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46444B1 (en) Virtual mouse driving method
KR20080006780A (en) Method of implementing funtion of wireless mous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CN105892916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203204558U (en) Index input device
KR101436586B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one point touch, and apparatus therefor
JP2018124903A (e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with using finger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KR20140077607A (en) Optical finger m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