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499A - Parking guidance system - Google Patents
Parking guidanc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1499A KR20140121499A KR1020130034324A KR20130034324A KR20140121499A KR 20140121499 A KR20140121499 A KR 20140121499A KR 1020130034324 A KR1020130034324 A KR 1020130034324A KR 20130034324 A KR20130034324 A KR 20130034324A KR 20140121499 A KR20140121499 A KR 201401214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king
- vehicle
- information
- visible light
- occupi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6—Parking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에 설치된 가시광 통신장치를 이용아여 주차장에 진입 시 차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주차시 길목에 설치되어 있는 LED 사이니지를 통하여 주차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및 주차유도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정보를 담은 가시광을 송수신하는 가시광 송수신부; 상기 주차장의 진입 및 진출 장소에 설치되며 상기 가시광 송수신부로부터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감지센서; 단위 주차장의 각 주차 면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 면의 점유 및 비점유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주차 면 감지센서;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차량의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주차안내 표시부; 상기 차량 감지 센서로부터 차량 정보를 전송받고, 주차면의 점유 상황을 파악하여 비점유되어 있는 주차 면으로 차량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주차안내 표시부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서버를 포함하여, 차량의 정보를 전달받아 비점유되어 있는 주차 면으로 바로 안내해주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가 주차할 수 있는 주차 면을 찾아서 계속적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이 바로 주차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주차유도 시스템을 제공한다. A parking induction system and a parking induction method that can easily identify a vehicle when entering a parking lot us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guide the parking position precisely through an LED signage installed at the time of parking / RTI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ible light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mounted on a vehicle and transmitting / receiving visible light containing information of a vehicle. A vehicle sensor installed at a place where the parking lot enters and exits and receives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visible light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 sensors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of the unit parking lot and sensing occupancy and non occupancy of the parking surface; A plurality of parking guide display portions for indicat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o a parkable parking surface; And a central control server that receives the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grasps the occupancy status of the parking space, and controls the parking guide display unit to guide the vehicle to a non-occupied parking spa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rking induction system having an advantage that the vehicle driver can immediately go to the parking side without having to continuously search for the parking side that can be park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차유도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차 가능한 한 개 이상의 주차 공간을 갖는 주차장에서 동주차장에 진입하거나 또는 진입을 희망하는 차량 또는 운전자에게 주차 가능한 면에 대한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보다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는 주차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induc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induc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in which a parking lot having one or more parking spaces capable of park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king induction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parking guidance system so that it can be quickly and easily understood.
요즘 차량의 증가로 인해 많은 사람이 목적지까지 자신이 차를 운전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이로 이내 볼 일을 마칠 때까지 차량을 주차장에 안정되게 주차시켜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므로, 차량의 출입이 많은 백화점, 관공서, 대형 건물 또는 주차용 빌딩과 같은 곳에서는 주차의 요금을 징수하면서 차량의 출입만 통제하는 상태에 있다.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vehicles these days, many people are driving their cars to their destinations, and it is often necessary to park the vehicle in a stable parking lot until the work is completed. Therefore, in places such as a department store, a government office, a large building, or a parking lot where a lot of vehicles are in and out, a parking lot is collected and the vehicle is controlled only to enter and exit.
즉, 차량의 입구를 통해 진입하여 요금의 징수를 위한 티켓을 운전자가 취하면 차단기를 열어주어 차량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주차를 완료한 차량이 출구로 나오면 기록된 진입 시간에 따라 적절한 요금을 지불하도록 한 후 요금이 지불된 후 차단기를 열어주어야만 차량의 주차장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That is, when the driver enters the vehicle through the entrance of the vehicle and takes a ticket for the collection of the fare, the breaker is opened to allow the vehicle to enter the inside. When the vehicle is parked at the exit, After the fare is paid, the breaker must be opened so that it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parking lot of the vehicl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는 차량이 주차장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스스로 빈 주차 공간을 찾아서 주차시켜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차를 주차하기 위해 주차장의 내부를 저속으로 주행함으로써 공기의 오염, 시간의 소모 및 좁은 공간에서 차량의 접촉 사고 등 많은 사고가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arking management system, it takes a lot of time to find and park an empty parking space by itself while the vehicle has entered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In addition, since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is driven at a low speed Air pollution, time consuming, and accidental contact of a vehicle in a narrow space.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주차 층의 입구와 주차장 블록들의 사이에 안내 인력을 배치하여 주차공간을 안내하고 더 이상의 공간이 없으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한 후 다른 주차장으로 유도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ethod of guiding a parking space by arranging guiding force between the entrance of each parking floor and the parking block, and blocking the entry of the vehicle if there is no more space, do.
그런데, 이러한 안내 인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빈 공간을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과도한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confirming the empty space even in the case of using such guidance personnel, and there is a problem that excessive manpower and cost are required.
따라서, 최근에는 주차표시 또는 안내를 자동적으로 할 수 있는 수단들이 적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블록 또는 층에 진출입하는 차량의 수를 확인하여 통합적으로 주차 가능대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적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방법 또한 부정확한 문제가 있고 종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빈 주차공간을 일일이 찾아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means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parking or guidance have been applied. For example, a method of displaying the number of vehicles capable of entering and leaving a predetermined block or a floor and displaying the total number of parking spaces integrally is applied. This method is also inaccurate, and as in the conventional case, .
또한, 주차공간에 차량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여 멀리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등을 점등하는 방법이 시도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정확하게 빈 주차공간을 찾는 데는 한계를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a method of lighting an indicator lamp so as to detect whether a vehicle is entering the parking space and to confirm it from a distance is attempted. Even in such a case, there is a limit to finding an accurate parking space.
한편, 이러한 복수의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은 소정의 라인으로 구획되어 있는데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정확한 주차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하나의 차량이 비스듬하거나 라인에 지나치게 인접하여 주차한 경우 나머지 차량들도 이에 대응하여 연쇄적으로 정확하지 않은 위치에 주차하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이는 주차 라인이 바닥면에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주차를 할 때 정확한 라인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는데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 parking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vehicles can be parked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lin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ccurate parking is difficult due to a narrow space. In particular, when one vehicle is parked obliquely or excessively adjacent to the line, the rest of the vehicles also have a problem of parking in a precisely inaccurate position. This is because the parking line is marked on the floor, which is why the driver is unable to locate the correct line when parking.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에 설치된 가시광 통신장치를 이용아여 주차장에 진입 시 차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주차시 길목에 설치되어 있는 LED 사이니지를 통하여 주차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rking light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easily identify a vehicle when entering a parking lot us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So that the parking guidance system can guide the user.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유도 시스템은 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정보를 담은 가시광을 송수신하는 가시광 송수신부; 상기 주차장의 진입 및 진출 장소에 설치되며 상기 가시광 송수신부로부터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감지센서; 단위 주차장의 각 주차 면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 면의 점유 및 비점유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주차 면 감지센서;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차량의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주차안내 표시부; 상기 차량 감지 센서로부터 차량 정보를 전송받고, 주차면의 점유 상황을 파악하여 비점유되어 있는 주차 면으로 차량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주차안내 표시부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rking induction system including: a visible light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mounted on an amount and transmitting / receiving visible light containing information of a vehicle; A vehicle sensor installed at a place where the parking lot enters and exits and receives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visible light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 sensors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of the unit parking lot and sensing occupancy and non occupancy of the parking surface; A plurality of parking guide display portions for indicat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o a parkable parking surface; And a central control server for controlling the parking guide display unit to receive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grasp occupancy of the parking space, and guide the vehicle to a non-occupied parking space.
상기 가시광 송수신부는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통해 발생되는 빛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visible light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transmits /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light generated through the headlight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주차안내 표시부는 LED 또는 LCD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안내 표시부는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을 나타내는 복수 개로 구성된 삼각형 또는 화살표 모양의 방향 표시부; 및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 면수를 숫자로 나타내는 주차 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parking guide display unit may be one of an LED or an LCD. Wherein the parking guide display unit comprises: a plurality of triangular or arrow-shaped direction display units indicating the ent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parking side display unit for indicating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that can be parked.
한편, 사용자에 의해 차량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이 주차한 주차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위치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arking position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arking position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the vehicle information by the user and displaying the parking posi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한편,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유도 방법은 중앙서버가 주차 면 감지센서로부터 점유 주차면 및 비점유 주차면의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중앙서버가 차량 감지센서로부터 차량정보를 전송받으면 상기 중앙제어서버가 비 점유 주차면을 검색하는 단계; 중앙서버가 주차안내 표시부에 차량을 검색된 비 주면 주차면으로 안내하기 위한 주차안내 표시를 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중앙서버가 주차 면 감지센서에 일정시간 간격으로 주차 면이 점유되었는지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주차 면이 점유되었으면 중앙제어서버는 점유된 주차 면의 고유 정보를 전송받아 주차 면의 상황을 갱신하고, 주차안내 표시부로 주차안내 표시 종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 감지센서는 차량의 가시광 통신을 통하여 차량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rking induction method comprising: receiving information on an occupied parking space and an unoccupied parking space from a parking sensor; When the central server receives the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searches for unoccupied parking faces;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central server can display a parking guide for guiding the vehicle to the parking surface when the vehicle is searched on the parking guide display unit; The central server transmits a confirmation signal to the parking sensor to check whether the parking space is occupi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If the parking space is occupied, the central control server may receive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occupied parking space, update the parking space, and transmit the parking guidance display end signal to the parking guide display unit. In this case,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receives vehicle information through visible light communication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의한 주차유도 시스템은 차량의 정보를 전달받아 비점유되어 있는 주차 면으로 바로 안내해주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가 주차할 수 있는 주차 면을 찾아서 계속적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이 바로 주차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Since the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guides the vehicle to a non-occupied parking surface, the advantage that the vehicle driver can move to the parking surface without having to continuously search for the parking surface to be parked .
또한, 불필요한 차량의 이동을 방지하기 때문에 공회전 및 불필요한 주행이 감소되므로 에너지소모가 저감되고, 정확한 위치로 주차면을 안내하기 때문에 주차관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unnecessary movement of the vehicle is prevented, idling and unnecessary traveling are reduced, energy consumption is reduced, and the parking surface is guided to the correct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이 적용된 주차장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주차안내 표시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parking in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king lot to which a parking in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rking guide display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parking in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이 적용된 주차장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서 주차안내 표시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parking in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arking lot to which a parking in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rking guide display unit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유도 시스템(100)은 차량 감지센서(110), 주차 면 감지센서(120), 주차안내 표시부(130), 중앙제어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간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각각의 정보를 전송한다. 1 to 3, a parking induc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차량 감지센서(110)는 상기 주차장의 진입 및 진출 장소에 설치되며 상기 가시광통신을 통하여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가시광 통신을 위하여 가시광 송수신부(111)가 차량에 장착된다. 상기 가시광 송수신부(111)는 차량의 정보를 담은 가시광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시광 송수신부(111)는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통해 발생되는 빛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하면서 헤드라이트를 키게 되면, 헤드라이트를 통해 전송되는 가시광 통신을 통하여 차량 정보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주차 면 감지센서(120)는 주차장의 각 주차면에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주차 면에 주차된 차량의 점유 및 비점유를 감지한 신호를 자신의 고유 ID와 함께 중앙제어서버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상부로 일정한 초음파를 지속적으로 발산하여 초음파가 가려지면 주차 면에 차량이 점유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The parking
주차안내 표시부(130)는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차량의 이동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화살표 방향과 함께 비 점유된 주차면의 숫자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주차안내 표시부(130)는 차량의 진입 방향을 함께 나타내는 화살표(a) 모양 또는 복수 개의 삼각형 모양(b)의 발광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차안내 표시부는 LED 또는 LCD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차안내 표시부는 방향 표시부(131), 주차 면 표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 표시부(131)는 상기 차량의 진입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a) 모양 또는 복수개의 삼각형(a) 모양을 할 수 있다. 상기 방향 표시부(131)는 주차장의 운행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각 교차지점마다 볼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의 직진, 좌회전, 우회전 등의 방향표시를 복수개의 삼각형 또는 화살표 모양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주차 면 표시부(132)는 상기 방향 표시부(131)와 함께 표시되며, 상기 방향 표시부(131)를 통하여 표시되는 방향에 주차 가능한 주차 면수를 숫자로 나타낸다. The parking
한편, 상기 주차안내 표시부(130)가 설치되어 있는 교차로에서 모든 방향에서 화살표를 볼 수 있도록 각 교차로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방향안내를 위해 방향을 표시할 경우 차량의 진행방향에 맞추어 회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arking
또한, 상기 주차안내 표시부(130)는 차량이 진입하지 않는 경우 또는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방향표시 이외에도 광고표시를 더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king
중앙제어서버(140)는 상기 차량 감지센서(110)로부터 차량 정보를 전송받고, 주차면의 점유 상황을 파악하여 비점유되어 있는 주차 면으로 차량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주차안내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The
한편, 본 발명인 주차유도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차량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주차한 주차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위치 표시 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주차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차장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 번호를 입력시키면 상기 주차위치 표시 장치(150)는 상기 중앙제어서버(140)로부터 주차된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주차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위치는 규칙적으로 이루어진 일련의 번호일 수 있다.
Meanwhile, the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rking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의 주차유도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parking induction method of the parking in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parking in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중앙서버가 주차 면 감지센서로부터 점유 주차면 및 비점유 주차면의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S110)와, 중앙서버가 차량 감지센서로부터 차량정보를 전송받으면 상기 중앙제어서버가 비 점유 주차면을 검색하는 단계(S120)와, 중앙서버가 주차안내 표시부에 차량을 검색된 비 주면 주차면으로 안내하기 위한 주차안내 표시를 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30)와, 중앙서버가 주차 면 감지센서에 일정시간 간격으로 주차 면이 점유되었는지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40)와, 주차 면이 점유되었으면 중앙제어서버가 점유된 주차 면의 고유 정보를 전송받아 주차 면의 상황을 갱신하고(S150), 주차안내 표시부로 주차안내 표시 종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10 of receiving information on an occupied parking space and an unoccupied parking space from a parking sensor, (S130) of searching for a non-occupied parking surface by the control server, and transmitting (S130)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central server can display a parking guide for guiding the vehicle to the non-main- A step S140 of transmitting a confirmation signal to the central server whether or not the parking space is occupied by the parking sensor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S140); and if the parking space is occupied, receiv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parking space occupied by the central control server (S150), and transmitting a parking guide display end signal to the parking guide display unit (S160).
상기 중앙제어서버(140)는 S110 단계에서 비 점유 주차면의 위치 및 개수를 파악한다. 또한, 상기 S120단계에서 차량 감지센서는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가시광 송수신부로부터 가시광 통신을 통하여 차량의 정보를 전달받는다. 또한, 상기 S130단계에서 주차안내 표시부를 제어하여 이동 경로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S140단계에서 주차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주차가 완료되었을 경우 S150단계에서 주차 면 정보를 갱신한 후 S160단계를 통하여 주차안내 표시부의 안내를 종료시킨다.
Th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operation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사용자는 차량을 주차장 내부로 이동시키면서 헤드라이트를 켜서 차량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가시광 송수신부(111)를 활성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시광 송수신부가 활성화되면 차량 감지센서(110)는 주차장으로 들어오는 차량의 정보를 전송받아 중앙제어서버(140)로 전송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user turns on the headlight while activating the visible light transmitting / receiving
한편, 차량의 정보를 전송받은 중앙제어서버(140)는 주차 면 감지센서(120)로부터 비점유된 주차 면 위치를 전송받아 차량을 비점유된 주차 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주차안내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Meanwhile, the
상기 주차안내 표시부(130)는 상기 중앙제어서버의 제어를 받아 차량을 비 점유된 주차 면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삼각형 또는 화살표로 이동경로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주차안내 표시부는 비 점유된 주차 면으로 가기 까지 차량의 직진, 좌회전, 우회전등의 표시를 하여 차량을 안내한다. 예를 들면, 도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구에서부터 목적된 주차 면으로 가는 경로인 경우, 직진, 좌회전, 우회전, 좌회전의 경로를 각 교차로에 있는 주차안내 표시부에 표시한다. 즉, 입구에서 제일 첫 번째로 만나는 교차로에 있는 제1 주차안내 표시부(130a)는 직진하라는 표시가 생성되고, 직진을 했을 경우 두 번째로 만나는 제2 주차안내 표시부(130b)는 왼쪽 방향의 표시가 생성되고, 안내에 따라 좌회전을 했을 경우 세 번째로 만나는 제3 주차안내 표시부(130c)는 오른쪽 방향의 표시가 생성되고, 안내에 따라 우회전을 했을 경우 네 번째로 만나는 제4 주차안내 표시부(130d)는 왼쪽 방향의 표시가 생성된다. 이때, 네 번째 만나는 제4 주차안내 표시부(130d)에는 주차 가능한 주차 면 수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주차안내 표시부를 보고 안내에 따라 차량을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주차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e parking
상기와 같이 비점유된 주차 면으로 이동하여 차량을 주차시키게 되면 주차 면 감시센서(120)에 의해 차량이 감지되어 점유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중앙제어서버(140)로 전송한다. 주차 면의 점유 정보를 전송받은 중앙제어서버(140)는 새롭게 점유된 주차 면의 정보를 갱신하여 다음 차량에는 다른 주차 면을 안내할 수 있도록 주차안내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is parked by moving to a non-occupied parking surface as described abov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detected and occupied by the parking
한편, 점유된 주차 면에서 차량이 빠져나갔을 경우 상기 주차 면 감지센서는 비점유 주차 면이라는 정보를 중앙제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제어서버는 주차 면 정보를 갱신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vehicle has escaped from the occupied parking space, the parking sensor detects the non-occupied parking spac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the central control server updates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주차유도 시스템은 차량의 정보를 전달받아 비점유되어 있는 주차 면으로 바로 안내해주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가 주차할 수 있는 주차 면을 찾아서 계속적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이 바로 주차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불필요한 차량의 이동을 방지하기 때문에 공회전 및 불필요한 주행이 감소되므로 에너지소모가 저감되고, 정확한 위치로 주차면을 안내하기 때문에 주차관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since the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directly guides the vehicle to a non-occupied parking surface, it is possible for the vehicle driver to move to the parking surface without having to continuously search for the parking surface There is an advantage. In addition, since unnecessary movement of the vehicle is prevented, idling and unnecessary traveling are reduced, energy consumption is reduced, and the parking surface is guided to the correct position.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an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주차유도 시스템 110: 차량 감지센서
111: 가시광 송수신부 120: 주차 면 감지센서
121: 주차 면 122: 비점유 주차면
130: 주차안내 표시부 131: 방향 표시부
132: 주차 면 표시부 140: 중앙제어서버
150: 주차 위치 표시장치100: Parking induction system 110: Vehicle detection sensor
111: visible light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20: parking sensor
121: parking surface 122: unoccupied parking surface
130: Parking guide display part 131: Direction display part
132: parking side display unit 140: central control server
150: Parking position indicator
Claims (7)
상기 주차장의 진입 및 진출 장소에 설치되며 상기 가시광 송수신부로부터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감지센서;
단위 주차장의 각 주차 면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 면의 점유 및 비점유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주차 면 감지센서;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차량의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주차안내 표시부;
상기 차량 감지 센서로부터 차량 정보를 전송받고, 주차면의 점유 상황을 파악하여 비점유되어 있는 주차 면으로 차량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주차안내 표시부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서버를 포함하는 주차유도 시스템.A visible light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mounted on a vehicl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visible light containing information of a vehicle;
A vehicle sensor installed at a place where the parking lot enters and exits and receives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visible light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 sensors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of the unit parking lot and sensing occupancy and non occupancy of the parking surface;
A plurality of parking guide display portions for indicat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o a parkable parking surface;
And a central control server that receives the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grasps occupancy of the parking space, and controls the parking guide display unit to guide the vehicle to a non-occupied parking space.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통해 발생되는 빛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visible light transmitting /
And transmits /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light generated through a headlight of the vehicle.
LED 또는 LCD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rking guide display unit comprises: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use either the LED or the LCD.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을 나타내는 복수 개로 구성된 삼각형 또는 화살표 모양의 방향 표시부; 및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 면수를 숫자로 나타내는 주차 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4. The parking gui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3,
A plurality of triangular or arrow-shaped direction display portions indicating the ent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nd a parking side display unit for indicating the number of parkingable parking spaces by a number.
사용자에 의해 차량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이 주차한 주차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위치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는 주차유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rking position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vehicle information by a user so as to display the parked posi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중앙서버가 차량 감지센서로부터 차량정보를 전송받으면 상기 중앙제어서버가 비 점유 주차면을 검색하는 단계;
중앙서버가 주차안내 표시부에 차량을 검색된 비 주면 주차면으로 안내하기 위한 주차안내 표시를 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중앙서버가 주차 면 감지센서에 일정시간 간격으로 주차 면이 점유되었는지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주차 면이 점유되었으면 중앙제어서버는 점유된 주차 면의 고유 정보를 전송받아 주차 면의 상황을 갱신하고, 주차안내 표시부로 주차안내 표시 종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유도 방법.Receiving information on an occupied parking space and an unoccupied parking space from a parking sensor;
When the central server receives the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searches for unoccupied parking faces;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central server can display a parking guide for guiding the vehicle to the parking surface when the vehicle is searched on the parking guide display unit;
The central server transmits a confirmation signal to the parking sensor to check whether the parking space is occupi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If the parking space is occupied, the central control server receiv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occupied parking space to update the state of the parking space, and transmits a parking guidance display end signal to the parking guidance display portion.
차량 감지센서는 차량의 가시광 통신을 통하여 차량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receives vehicle information through visible light communication of the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4324A KR20140121499A (en) | 2013-03-29 | 2013-03-29 | Parking guidanc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4324A KR20140121499A (en) | 2013-03-29 | 2013-03-29 | Parking guidance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1499A true KR20140121499A (en) | 2014-10-16 |
Family
ID=5199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4324A Withdrawn KR20140121499A (en) | 2013-03-29 | 2013-03-29 | Parking guidanc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21499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09038A1 (en) * | 2016-07-07 | 2018-01-1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parking control system including same |
CN114927004A (en) * | 2022-03-28 | 2022-08-19 | 知鱼智联科技股份有限公司 | Underground parking lot vehicle guiding method and system |
KR20230174431A (en) * | 2022-06-21 | 2023-12-28 | 박노천 | Reflector, the driving method thereof,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13
- 2013-03-29 KR KR1020130034324A patent/KR20140121499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09038A1 (en) * | 2016-07-07 | 2018-01-1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parking control system including same |
CN109451760A (en) * | 2016-07-07 | 2019-03-08 | Lg伊诺特有限公司 |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park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
US10909849B2 (en) | 2016-07-07 | 2021-02-02 | Lg Innotek Co., Ltd. |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parking control system including same |
CN109451760B (en) * | 2016-07-07 | 2021-11-02 | Lg伊诺特有限公司 |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park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
CN114927004A (en) * | 2022-03-28 | 2022-08-19 | 知鱼智联科技股份有限公司 | Underground parking lot vehicle guiding method and system |
KR20230174431A (en) * | 2022-06-21 | 2023-12-28 | 박노천 | Reflector, the driving method thereof,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121500A (en) | Parking guidance system | |
KR10190196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nomous driving controll using navigation | |
KR101682281B1 (en) | Parking lot automatic guide system | |
JP4205640B2 (en) | Automatic parking system | |
US20120200430A1 (en) | Method and device for assisting a driver in finding a parking spot | |
TWI585722B (en) | Innovated Smart Parking Assistance System and Information System | |
KR101781754B1 (en) |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lighting | |
KR101672257B1 (en) | Parking guidance system | |
JP5492752B2 (en) | Train stop position display guidance system | |
KR20160132531A (en) | System for parking information guiding of underground parking lot | |
JP2010117864A (en) | Parking-lot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 |
US7701361B2 (en) | Parking information sensing device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 |
JP2012233856A (en) | Emergency vehicle route guidance device | |
KR20140121499A (en) | Parking guidance system | |
KR20170133133A (en) | An apparatus for ararming collision risk and guiding parking | |
KR101488571B1 (en) | Parking Guide System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Parking Guide Method Using The Same | |
JP4848951B2 (en) | Road-to-vehicle communica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in-vehicle device used therefor, optical beacon | |
JP2015001917A (en) | Electronic equipment, road traffic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road traffic information display program | |
JP4770848B2 (en) | Transportation system and central equipment | |
CN113112832A (en) | Fog region highway interchange safety guiding system and method | |
KR20110057851A (en) |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 |
KR20070120681A (en) | Parking Guidance System | |
CN207966202U (en) | A kind of parking deviation-rectifying system | |
JP2015114851A (en) | Traffic safety support device, and traffic safety support system | |
JP2009151399A (en) | Guidance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9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03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