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017A -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thereof - Google Patents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3017A KR20140103017A KR1020130114316A KR20130114316A KR20140103017A KR 20140103017 A KR20140103017 A KR 20140103017A KR 1020130114316 A KR1020130114316 A KR 1020130114316A KR 20130114316 A KR20130114316 A KR 20130114316A KR 20140103017 A KR20140103017 A KR 201401030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user input
- display layer
- depth
-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이미지 표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사용자 단말의 이미지 표시 방법은 서로 다른 뎁스를 가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중첩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를 변경하여 사용자 입력에 의한 물리적 작용을 표현한다.And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of the user terminal. The image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user terminal displays a plurality of display layers having different depths in a superimposed manner. 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the depth of at least one display layer of the plurality of display layers is changed according to user input, Express the physical action by input.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이미지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이미지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and an image display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terminal displaying an image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layers and an image displaying method thereof.
근래에는 다양한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은 대부분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user terminals (e.g., smartphones or tablet PCs) have been used. Such a user terminal typically includes a touch screen for sensing user input.
한편, 사용자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 기존의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2차원적인 이미지 효과만을 제공하였다. 기존의 사용자 단말이 2차원적인 이미지 효과만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이미지 효과는 비사실적이고 부자연적인 한계를 가지게 된다.Meanwhile, when the user input is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e existing user terminal provides only the two-dimensional image effect at the point where the user input is detected. Since existing user terminals provide only two - dimensional image effects, image effects provided by existing user terminals have non - realistic and unnatural limitations.
따라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더욱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earch for ways to provide more realistic and natural image effects in response to user input.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뎁스를 가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3차원적인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이미지 표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image effect responding to user input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layers having different depths, And an image display method of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이미지 표시 방법은 서로 다른 뎁스를 가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중첩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of a user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plurality of display layers having different depths in a superimposed manner; And modifying the depth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layers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o provide an image effect responsive to the user input when a user input is sensed.
그리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에 물 표면의 투명도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splay layers may include a first display layer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second display layer having transparency of a water surface on the first display layer.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고정된 뎁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뎁스가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layer has a fixed depth, and the depth of the second display lay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그리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뎁스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상기 변경된 뎁스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물리적 작용을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step may include: changing the depth of the second display layer at which the user input is sensed when the user input is sensed; And expressing the physical action by the user input at a point where the user input is sensed using the first display layer and the second display layer having the changed depth.
또한, 상기 표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상기 변경된 뎁스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굴절률 및 반사율을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굴절률 및 반사율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물리적 작용을 표현할 수 있다.Also, the displaying may include calculating a refractive index and a reflectance at a point where the user input is sensed using the first display layer and the second display layer having the changed depth, The physical action by input can be expressed.
그리고, 상기 이미지 효과는, 잔물결 효과(riffle effect)일 수 있다.And, the image effect may be a riffle effect.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을 표시하는 화면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은 높은 뎁스값을 가지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은 낮은 뎁스값을 가질 수 있다.If the display screen is a screen displaying a plurality of display items, the area of the first display layer where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displayed has a high depth value, and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of the first display layer An unmarked area may have a low depth value.
그리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의 뎁스값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의 뎁스값 사이의 뎁스값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layer may have a depth value between a depth value of an area where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displayed and a depth value of an area where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not displayed.
또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 중 하나에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뎁스값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값보다 낮추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물에 잠기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f the user input is detec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the providing step may decrease a depth value of a point at which the user input is detected in the first display layer to a depth value of the second display layer And the display item in which the first user input is sensed can provide an image effect of being immersed in water.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서로 다른 뎁스를 가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중첩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user terminal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display layers having different depths in a superimposed manner; And a controller for changing the depth of at least one display layer of the plurality of display layers according to the user input 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provide the display unit.
그리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에 물 표면의 투명도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splay layers may include a first display layer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second display layer having transparency of a water surface on the first display layer.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고정된 뎁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뎁스가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layer has a fixed depth, and the depth of the second display lay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뎁스를 변경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상기 변경된 뎁스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물리적 작용을 표현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depth of the point where the user input is detected in the second display layer, and changes the depth of the first display layer and the second display layer having the changed depth, The display layer can express the physical action by the user input at the point where the user input is sens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상기 변경된 뎁스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굴절률 및 반사율을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굴절률 및 반사율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물리적 작용을 표현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calculates a refractive index and a reflectance at a point where the user input is sensed using the first display layer and the second display layer having the changed depth, and outputs the calculated refractive index and reflectance to the user input Can express the physical action by.
그리고, 상기 물리적 작용은, 잔물결 효과(riffle effect)일 수 있다.And, the physical action may be a riffle effect.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을 표시하는 화면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은 높은 뎁스값을 가지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은 낮은 뎁스값을 가질 수 있다.If the display screen is a screen displaying a plurality of display items, the area of the first display layer where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displayed has a high depth value, and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of the first display layer An unmarked area may have a low depth value.
그리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의 뎁스값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의 뎁스값 사이의 뎁스값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layer may have a depth value between a depth value of an area where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displayed and a depth value of an area where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not display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 중 하나에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뎁스값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값보다 낮추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물에 잠기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 is detec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the controller may lower the depth value of the point where the user input is detected in the first display layer to a depth value of the second display layer, 1 < / RTI > user input can provide an image effect in which the sensed display item is submerg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3차원 이미지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can provide the user with a realistic and natural three-dimensional image effect in response to user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 맵을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전 및 후의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율 및 굴절률에 따라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렌더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펙큘러 하이라이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잔물결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도시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물에 잠기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A and 3B illustrate a depth map of a first display layer and a first display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illustrate a first display layer and a second display layer before and after a user input is sen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ndering a display layer according to reflectance and refractive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 specular high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and 7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ripple effec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8C illustrate a first display layer and a second display layer, when a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display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views for explaining a water-immersion effec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태블릿 PC,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스마트 TV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서로 다른 뎁스를 가지는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The
이때,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로서, 고정된 뎁스를 가질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특정 투명도(예를 들어, 물 표면의 투명도)를 가지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로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뎁스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에 표시된 이미지가 물에 잠긴 듯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의 변화에 따라 반사율 및 굴절률을 계산하고, 계산된 반사율 및 굴절률에 따르는 물리적 현상(예를 들어, 스넬의 법칙 또는 스펙큘러 하이라이트)이 적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display layer is an image display layer for displaying an image, and may have a fixed depth. The second display layer is a semi-transparent display layer having a certain transparency (e.g., transparency of the water surface), and the depth can be changed according to user input. Accordingly, the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12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마우스, 포인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른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특히, 디스플레이부(110)가 서로 다른 뎁스를 가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동안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를 변경하여,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뎁스를 변경하고,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변경된 뎁스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사용자 입력에 의한 물리적 작용을 표현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물 표면의 투명도를 가지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인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변경된 뎁스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굴절률 및 반사율을 계산하고, 계산된 굴절률 및 반사율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의한 물리적 작용(예를 들어, 스넬의 법칙, 스펙큘러 하이라이트 등)을 표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display layer is a semitransparent display layer having transparency of a water surface, the
이때, 물리적 작용에 의해,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잔물결 효과(riffle effect)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을 표시하는 월페이퍼 화면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은 높은 뎁스값을 가지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은 낮은 뎁스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의 뎁스값과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의 뎁스값 사이의 뎁스값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screen is a wall paper screen displaying a plurality of display items, a region of the first display layer where a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displayed has a high depth value, and a plurality of display items among the first display layers are not displayed The region may have a low depth value. Also, the second display layer may have a depth value between a depth value of an area where a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displayed and a depth value of an area where a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not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1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을 표시하는 시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 중 하나에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뎁스값을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값보다 낮추어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물에 잠기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while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3차원 이미지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부(210), 디스플레이부(220), 저장부(230), 사용자 입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한편, 도 2는 사용자 단말(200)이 통신 기능, 이미지 출력 기능, 이미지 효과 제공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components in the case where the user terminal 200 is a device hav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a communication function, an image output function, and an image effect providing function. Therefor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may be omitted or changed, and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added.
통신부(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21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The
특히, 통신부(210)는 외부의 서버나 장치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20)는 서로 다른 뎁스를 가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20)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물 표면의 투명도를 가지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이때,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 따라 뎁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뎁스 맵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뎁스를 변경시키지 않을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 역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뎁스가 변경될 수 있다.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에 위치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뎁스를 변경시킬 수 있다. 특히,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전반적으로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보다 높은 뎁스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일부 영역에서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보다 낮은 뎁스 값을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display layer can have depth according to the displayed image. For example, if the image display layer displays an image as shown in FIG. 3A, the image display layer can have a depth map as shown in FIG. 3B. On the other hand, the image display layer may not change the depth according to the user input, but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epth of the image display layer may als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he translucent display layer is located on the image display layer and can change the depth according to user input. In particular, a semi-transparent display layer can have a higher depth value than the image display layer as a whole, but in some areas it can have a depth value lower than the image display layer.
특히,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물 표면의 투명도를 가지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20)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표시하는 이미지가 물에 잠겨 있는 듯한 이미지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50)에 의해 계산된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표면의 모양에 따라 반사율 및 굴절률에 따라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표시하는 이미지에 다양한 물리적 효과(예를 들어, 스넬에 법칙에 따르는 굴절률에 의한 이미지 표시, 스펙큘러 하이라이트 등)를 제공할 수 있다.Particularly, by outputting an image using an image display layer displaying an image and a translucent display layer having transparency of a water surface, the
또한, 사용자 입력부(24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뎁스(또는 모양)가 변경된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표시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20)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잔물결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한편, 디스플레이부(2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TFT(thin film transistor), CRT(Cathode-Ray Tube)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The
저장부(230)는 사용자 단말(200)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3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230)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사용자 단말(2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상술한 사용자 단말(200)이 스마트 폰으로 구현된 경우, 베이스 모듈에는 GPS 기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며, 센싱 모듈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사용자 입력부(240)는 사용자 단말(200)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디스플레이부(220)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The
특히, 사용자 입력부(24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 입력부(220)는 터치 스크린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한편, 사용자 입력부(24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포인팅 디바이스, 마우스,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는 다른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제어부(25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제어부(2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251), ROM(252), 그래픽 처리부(253), 메인 CPU(25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55-1 ~ 255-n), 버스(256)를 포함한다. 이때, RAM(251), ROM(252), 그래픽 처리부(253), 메인 CPU(25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55-1 ~ 255-n) 등은 버스(25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2, the
ROM(25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54)는 ROM(25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30)에 저장된 O/S를 RAM(25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54)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51)에 복사하고, RAM(25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The
그래픽 처리부(25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사용자 입력부(24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출력부(24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The
메인 CPU(254)는 저장부(23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3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254)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The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55-1 내지 25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The first to n interfaces 255-1 to 255-n are connected to the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above. One of the interfaces may be a network interfac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via a network.
특히, 디스플레이부(220)가 서로 다른 뎁스를 가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동안 사용자 입력부(24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25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를 변경하여,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뎁스를 가지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310)와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320)가 중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20)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310) 중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320)의 뎁스값보다 작은 뎁스값을 가지는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물에 잠겨 있는 듯한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4A, the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310) 중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320)의 뎁스값보다 작은 뎁스값을 가지는 영역에 대한 반사율 및 굴절률을 계산하고, 계산된 반사율 및 굴절률에 따라 이미지가 물에 잠긴 듯한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가 반사율 및 굴절률에 따라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렌더링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우선, 제어부(250)는 빛(light)을 생성한다(S510). 이때, 빛은 임의의 공간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First, the
그리고, 제어부(250)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320)의 노말 벡터를 계산한다(S520). 이때, 제어부(250)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320)의 각 픽셀에 대한 노말 벡터로서 각 픽셀의 수직 벡터를 계산할 수 있다.Then, the
그리고, 제어부(250)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320)의 표면 및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각 픽셀의 반사율 및 굴절률을 계산한다(S530).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프레넬 공식(Fresnel’s formulas)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위치 및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노말 벡터 방향에 따라 각 픽셀의 반사율 및 굴절률을 계산할 수 있다.Then, the
그리고, 제어부(250)는 반사율에 따라 스펙큘러 하이라이트(specular highlight)를 생성하고, 굴절률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렌더링한다(S540).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계산된 반사율에 따라 스펙큘러 하이라이트로 처리하거나 환경맵을 이용하여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에 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결(riffle)의 Height field를 이용하여 3차원 수면 메쉬(Mesh)를 생성하고, 임의의 위치에 빛(light)를 추가하며, 빛, 카메라, 수면의 위치 및 각도에 따라 3D 쉐이딩(shading)을 수행하여 스펙큘러 하이라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스넬의 법칙에 따라 계산된 굴절률을 이용하여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렌더링할 수 있다.The
그리고, 제어부(250)는 반사율 및 굴절률에 따른 렌더링 결과를 합성한다(S550). 그리고, 제어부(250)는 반사율 및 굴절률에 따라 렌더링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T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에 표시된 이미지가 물에 잠기는 듯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layer can provide a water-immersion effect.
한편, 도 4a와 같이, 서로 다른 뎁스를 가지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310)와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320)가 중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터치 스크린의 임의의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25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320) 중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지점의 뎁스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감소하는 뎁스값은 사용자 터치의 세기에 따라 상이해 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사용자 터치의 세기가 강할수록 뎁스값을 더욱 많이 감소시키며, 사용자 터치의 세기가 약할 수록 뎁스값을 작게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320)는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순간을 도시한 도면이며, 기설정된 시간동안 물결이 치는 듯이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320)의 뎁스값이 변경될 수 있다.4A, while the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320)의 뎁스값이 변경되면, 제어부(250)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반사율 및 굴절률을 다시 계산하여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렌더링하여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depth value of the
이로 인해, 제어부(250)는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지점에 잔물결 현상(riffle effect)이 발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가 렌더링된 상태에서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25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물결 효과(riffle effect)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250)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를 바탕으로 잔물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뎁스값이 높은 방향보다 뎁스값이 낮은 방향으로 잔물결이 더욱 많이 형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 단말은 더욱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3차원 잔물결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can provide a more realistic and natural three-dimensional ripple effect to the user.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9B.
구체적으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910 내지 99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81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아이템(910 내지 990)이 위치하는 영역에는 높은 뎁스값을 갖고, 디스플레이 아이템(910 내지 990)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는 낮은 뎁스값을 갖게 된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820)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810) 중 디스플레이 아이템(910 내지 990)이 위치한 영역과 디스플레이 아이템(910 내지 990)이 위치하지 않은 영역 사이의 뎁스값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A, while a plurality of
이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810) 및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820)가 중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910 내지 990) 중 하나가 터치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50)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된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위치하는 영역의 뎁스값을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820)의 뎁스값보다 낮출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어부(250)는 터치된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물에 감기는 듯한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8B, when a user command is input in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910 내지 99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5 디스플레이 아이템(950)이 터치되면, 제어부(250)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터치된 제5 디스플레이 아이템(950)이 위치하는 영역의 뎁스값을 반투명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값보다 낮추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디스플레이 아이템(950)이 물에 잠기는 듯한 이미지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에게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3차원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200 can provide a realistic and natural three-dimensional image effect to the user.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이미지 출력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image output method of the
우선, 사용자 단말(100)은 서로 다른 뎁스를 가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중첩적으로 표시한다(S101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물 표면의 투명도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중첩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First, the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0).Then, the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를 변경하여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한다(S103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도 3a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잔물결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도 8a 내지 도 9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물에 잠기는 듯한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 is detected, the
상술한 바와 같은 이미지 출력 방법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3차원 이미지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With the image output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이미지 출력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100)의 이미지 출력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image output method of the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is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but semi-permanently stores data and is readable by the apparatus. In particular, the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on non-volatile readable media such as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220: 디스플레이부 120,240: 사용자 입력부
130, 250: 제어부 210: 통신부
230: 저장부110, 220:
130, 250: a control unit 210:
230:
Claims (18)
서로 다른 뎁스를 가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중첩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및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of a user terminal,
Displaying a plurality of display layers having different depths in an overlapping manner;
And changing the depth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layers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o provide an image effect responsive to the user input 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에 물 표면의 투명도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display layers comprises:
A first display layer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second display layer having transparency of a water surface on the first display layer.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고정된 뎁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뎁스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display layer has a fixed depth,
Wherein the depth of the second display lay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뎁스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상기 변경된 뎁스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물리적 작용을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viding step comprises:
Changing a depth of a point where the user input is sensed in the second display layer when the user input is sensed; And
And expressing the physical action by the user input at a point where the user input is sensed using the first display layer and the second display layer having the changed depth.
상기 표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상기 변경된 뎁스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굴절률 및 반사율을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굴절률 및 반사율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물리적 작용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aid expressing comprises:
Calculating a refractive index and a reflectance at a point where the user input is sensed by using the first display layer and the second display layer having the changed depth, and expressing the physical action by the user inpu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fractive index and reflectance And displaying the image.
상기 이미지 효과는,
잔물결 효과(riffle effec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mage effect comprises:
Wherein the image is a ripple effect.
디스플레이 화면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을 표시하는 화면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은 높은 뎁스값을 가지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은 낮은 뎁스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display screen is a screen displaying a plurality of display items,
Wherein an area in which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of the first display layer is displayed has a high depth value and an area in which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not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layer has a low depth value Way.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의 뎁스값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의 뎁스값 사이의 뎁스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display layer has a depth value between a depth value of an area where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displayed and a depth value of an area where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not displayed.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 중 하나에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뎁스값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값보다 낮추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물에 잠기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roviding step comprises:
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a depth value of a point where the user input is detected in the first display layer is lower than a depth value of the second display layer, Wherein the display item provides a water-immersion image effect.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display layers having different depths in a superimposed manner;
A user input section for detecting user inpu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change the depth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layers according to the user input when the user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and provide an image effect responsive to the user input, And a user terminal.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에 물 표면의 투명도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lurality of display layers comprises:
A first display layer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second display layer having transparency of a water surface on the first display layer.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고정된 뎁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뎁스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display layer has a fixed depth,
Wherein the depth of the second display lay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뎁스를 변경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상기 변경된 뎁스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물리적 작용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Wherein when the user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a depth of the point where the user input is sensed is changed in the second display layer, and the first display layer and the second display layer having the changed depth are used, And expresses the physical action by the user input at a point where the user input is detec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상기 변경된 뎁스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굴절률 및 반사율을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굴절률 및 반사율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물리적 작용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Calculating a refractive index and a reflectance at a point where the user input is sensed using the first display layer and the second display layer having the changed depth to express the physical action by the user inpu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fractive index and reflectance Lt; / RTI >
상기 이미지 효과는,
잔물결 효과(riffle effec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image effect comprises: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a riffle effect.
디스플레이 화면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을 표시하는 화면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은 높은 뎁스값을 가지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은 낮은 뎁스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사용자 단말.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display screen is a screen displaying a plurality of display items,
Wherein the area of the first display layer in which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displayed has a high depth value and the area of the first display layer in which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not displayed has a low depth value.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의 뎁스값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의 뎁스값 사이의 뎁스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econd display layer has a depth value between a depth value of an area where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displayed and a depth value of an area where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are not display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아이템 중 하나에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뎁스값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뎁스값보다 낮추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디스플레이 아이템이 물에 잠기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items, a depth value of a point where the user input is detected in the first display layer is lower than a depth value of the second display layer, Wherein the display item provides a water-immersion image effect.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8674A KR20140103042A (en) | 2013-02-15 | 2014-01-24 |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thereof |
JP2015557942A JP6427504B2 (en) | 2013-02-15 | 2014-02-14 | User terminal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
CN201410051940.3A CN103997634B (en) | 2013-02-15 | 2014-02-14 | User terminal and its method for showing image |
PCT/KR2014/001205 WO2014126407A1 (en) | 2013-02-15 | 2014-02-14 | User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thereof |
EP14155233.1A EP2767973A1 (en) | 2013-02-15 | 2014-02-14 | User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thereof |
US14/180,697 US20140237403A1 (en) | 2013-02-15 | 2014-02-14 | User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361765147P | 2013-02-15 | 2013-02-15 | |
US61/765,147 | 2013-02-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3017A true KR20140103017A (en) | 2014-08-25 |
Family
ID=517475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4316A Pending KR20140103017A (en) | 2013-02-15 | 2013-09-26 |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thereof |
KR1020140008674A Ceased KR20140103042A (en) | 2013-02-15 | 2014-01-24 |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thereof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8674A Ceased KR20140103042A (en) | 2013-02-15 | 2014-01-24 |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thereof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6427504B2 (en) |
KR (2) | KR20140103017A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43701B2 (en) * | 2002-01-07 | 2006-05-09 | Xerox Corporation | Opacity desktop with depth perception |
US20100085379A1 (en) * | 2007-03-09 | 2010-04-08 | Pioneer Corporation | Effect device, av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
KR101638056B1 (en) * | 2009-09-07 | 2016-07-1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
JP2011018356A (en) * | 2010-09-01 | 2011-01-27 | Sharp Corp | Portable telephone set,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ith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recorded thereon |
KR101728725B1 (en) * | 2010-10-04 | 2017-04-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2013
- 2013-09-26 KR KR1020130114316A patent/KR20140103017A/en active Pending
-
2014
- 2014-01-24 KR KR1020140008674A patent/KR20140103042A/en not_active Ceased
- 2014-02-14 JP JP2015557942A patent/JP642750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6511898A (en) | 2016-04-21 |
KR20140103042A (en) | 2014-08-25 |
JP6427504B2 (en) | 2018-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08703B2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device thereof | |
US9591295B2 (en) | Approaches for simulating three-dimensional views | |
US9437038B1 (en) | Simulating three-dimensional views using depth relationships among planes of content | |
KR102284108B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creen sharing with external display apparatus | |
KR10220289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applications | |
US20150091903A1 (en) | Simulating three-dimensional views using planes of content | |
US9389703B1 (en) | Virtual screen bezel | |
EP2743814A2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 |
KR102413074B1 (en) | User termina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 |
US12073070B2 (en) | Dynamic element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KR20160084629A (en) | Content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 |
EP2998833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screen thereof | |
WO2017097142A1 (en) | Interface oper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a smart terminal | |
CN103997634B (en) | User terminal and its method for showing image | |
KR20140103017A (en) |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thereof | |
US9910832B2 (en) | Selecting user interface elements to display linked documents with a linking document | |
US20180067632A1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240184443A1 (en) | Display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 |
KR101803770B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rendering thereof | |
US10380784B2 (en) | Electronic apparatus for mapping texture image and generating blending image | |
TWI724096B (en) |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mart terminal for interface oper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4 | Withdrawal of earlier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priority claim |
Patent event date: 201309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C12041R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