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995A -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user terminals of contents sharing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user terminals of contents shar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94995A KR20140094995A KR1020130022764A KR20130022764A KR20140094995A KR 20140094995 A KR20140094995 A KR 20140094995A KR 1020130022764 A KR1020130022764 A KR 1020130022764A KR 20130022764 A KR20130022764 A KR 20130022764A KR 20140094995 A KR20140094995 A KR 201400949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ntent
- user
- public
- user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과의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연결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속성 정보를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로부터 송신된 단말 속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속성 정보 관리부, 상기 단말 속성 정보 관리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의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단말 정보를 표시하는 탐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 또는 공용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관리부를 포함한다.A user terminal constituting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formation storage for storing user profile information, a network connection unit for performing network connection with a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a public terminal, A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the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the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stored in the user terminal to the terminal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connected by the network connection unit, And a content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terminal f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텐츠 공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sharing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constituting a content sharing system.
통신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성능이 강화되면서 스마트폰, 태블릿PC, PMP 등과 같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한 서비스가 강화되고 있다. 특히, 집안의 TV를 중심으로 다수의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와의 콘텐츠 공유가 가능한 N스크린(N-screen) 기술이 주목되고 있다. N스크린은 동영상, 음악 등 하나의 콘텐츠를 다수의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연속적으로 즐길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As telecommunication services and multimedia capabilities are strengthened, services utilizing mobile multimedia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and PMPs are being strengthened. In particular, an N-screen technology capable of sharing contents with a plurality of mobile multimedia devices around a home TV is attracting attention. N screen refers to a technology that allows users to enjoy a single piece of content, such as video and music, in multiple multimedia devices continuously.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 N스크린은 TV를 주 단말로 지정하고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는 보조 단말로 지정하여 주 단말과 보조 단말 사이의 공유만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기기간 자유로운 N스크린 활용을 저해하여 서로 다른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하는 여러 사용자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형성에 어려움을 발생시킬 수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only the N screen is designated as the main terminal and the mobile multimedia device is designated as the auxiliary terminal, and only the sharing between the main terminal and the auxiliary terminal is performed. This hinders the use of free N screen among devices, which may cause difficulties in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users using different mobile multimedia devices.
그러므로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자가 선택하고,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및 단말 정보에 맞는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and a method for users to select various multimedia devices including mobile multimedia devices, and to share contents corresponding to user profile information and terminal information.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2-0094273호(발명의 명칭: SVC서버를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및 단말 재생 시스템)에는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과 다양한 스펙의 단말기에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의 영상 콘텐츠를 HD급, SD급, H.26급 등 다양한 공간적 해상도(Spatial resolution)와 화질(Quality), 다양한 프레임율(Frame-rate)을 가지도록 하나의 비트스트림을 구성하여 수신 단말에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여 복원 재생할 수 있고, SVC 기술을 사용하여 스트리밍에 의한 비디오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3-스크린 또는 그 이상의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SVC 서버를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및 단말 재생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In this regard, 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8-0094273 entitled " Streaming service and terminal playback system using SVC server " describes a method for providing one video content A bit stream is configured to have various spatial resolutions, quality, and various frame rates such as HD, SD, and H.26 levels, and a bitstream i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And a SVC server that provides a 3-screen or more n-screen service that enables video playback by streaming using SVC technology.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단말을 선택하여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콘텐츠 공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ent sharing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constituting a content sharing system capable of selecting a terminal to be shared by a user, .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텐츠 공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과의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연결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속성 정보를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로부터 송신된 단말 속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속성 정보 관리부, 상기 단말 속성 정보 관리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의 속성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단말 정보를 표시하는 탐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 또는 공용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관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constituting a content sharing system includes a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user profile information, a network connection with a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a public terminal, A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transmits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receives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And providing a search interface for displaying the terminal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and an interfa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mong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connected by the network connection unit, To the user And a content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selected terminal or receiving the content from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or the public terminal.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네트워크상 연결된 모든 단말 속성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탐색 인터페이스에 나타낼 수 있으며, 탐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network can be displayed on the search interface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terminal to be shared by the user can be selected through the search interface.
또한, 사용자 단말간의 일대일 공유 및 공용 단말을 통한 다대다 공유가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원활한 콘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lso, it is possible to share one-on-one between user terminals and many-to-many sharing through a common terminal, thereby providing a method of sharing contents smoothly to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내 탐색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constituting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arch interface in a user terminal in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sharing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in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스크린을 이용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 공용 단말(300) 및 콘텐츠 제공 서버(400)를 포함한다.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및 공용 단말(300)이 콘텐츠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상호 공유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제 1 사용자 단말, 제 2 사용자 단말 및 제 n 사용자 단말(200)은 단말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탐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공용 단말(300)은 방송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전체 사용자 단말(200)과 콘텐츠를 공유하는 매개체로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400) 및 공용 단말(30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공용 단말(3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400) 및 사용자 단말(200) 에 접속할 수 있는 TV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TV는 예를 들어, 스마트 TV(Smart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콘텐츠 제공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200) 및 공용 단말(300)로 콘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 및 공용 단말(300)은 ASMD(Adaptive Source Multi Device)방식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400)로부터 융합 콘텐츠를 포함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ASMD란 재생 중인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N스크린 제공 방식을 말하며, 이때 융합 콘텐츠는 공용 단말(300)에서 재생 중인 방송 콘텐츠의 부가 정보를 포함한 것이다.The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The network may be a wired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 value added network (VAN),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ype wireless network.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constituting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정보 저장부(210), 단말 속성 정보 관리부(220), 네트워크 연결부(230), 인터페이스 제공부(240) 및 콘텐츠 관리부(250)를 포함한다.The
사용자 정보 저장부(21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즐겨 찾은 정보, 웹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특화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써 사용될 수 있다.The user
단말 속성 정보 관리부(220)는 사용자 단말(200)의 속성 정보를 주변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하고, 주변 사용자 단말(200) 및 공용 단말(300)로부터 송신된 단말 속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속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 및 공용 단말(300)의 식별 정보, 해상도, 위치, 성능 및 지원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200) 및 공용 단말(300)의 단말 속성 정보 중 식별 정보는 단말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The terminal attribute
네트워크 연결부(230)는 주변 사용자 단말(200) 및 공용 단말(300)과의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한다. 네트워크에 접속한 주변 사용자 단말(200) 및 공용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200)과 단말 속성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 제공부(240)는 단말 속성 정보 관리부(220)를 통해 수신한 주변 사용자 단말(200) 및 공용 단말(300)의 속성 정보를 표시하는 탐색 인터페이스(241)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200) 및 공용 단말(300)을 단말 속성 정보를 바탕으로 탐색 인터페이스(241)로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200) 및 공용 단말(300)을 탐색 인터페이스(241)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 및 공용 단말(300)은 탐색 인터페이스(241)상에 접속된 각 단말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요소를 그래픽으로 나타낼 수 있고, 사용자는 해상도를 나타내는 그래픽 요소를 통해 직관적으로 접속된 단말이 지원하는 해상도를 비교하여 원하는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240)에 의해 제공되는 탐색 인터페이스(241)의 일례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또한, 인터페이스 제공부(2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말이 공용 단말(300)인 경우 공용 단말(300)을 제어하는 공용 단말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용 단말(300)이 스마트TV일 경우, 인터페이스 제공부(240)는 스마트TV가 방송 콘텐츠를 재생 중일 때 채널, 음량, 화면 설정 등을 조절하는 리모콘 기능의 공용 단말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TV가 콘텐츠를 제공 중일 때에는, 인터페이스 제공부(240)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예컨대 방송 관련 게시판에 댓글 입력을 위한 키보드 인터페이스와 같이 콘텐츠의 특성에 맞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콘텐츠 관리부(250)는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콘텐츠를 네트워크 연결부(230)에 의해 연결된 주변 사용자 단말(200) 및 공용 단말(300)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200) 또는 공용 단말(30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관리부(250)는 ASMD방식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400)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와 단말 속성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를 수신하되, 콘텐츠는 공용 단말(300)에서 재생 중인 방송 콘텐츠의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융합 콘텐츠일 수 있다.The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부가 정보로서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배우 정보를 제 2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경우, 제 2 사용자 단말(200)은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배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또한, 콘텐츠 관리부(250)는 콘텐츠 제공 서버(40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 공용 단말(300) 또는 주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공용 단말(300)에 표시 중인 방송 콘텐츠에 대한 융합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콘텐츠 관리부(250)는 공용 단말(300)에 표시 중인 방송 콘텐츠에 대한 융합 콘텐츠를 주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일대일로 수신할 수 있으며, 공용 단말(300)에 표시 중인 융합 콘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공용 단말(300)에 표시 중인 융합 콘텐츠의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이 모두 수신할 수 있는 다대다 공유가 될 수 있다.The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방송 콘텐츠에 등장하는 배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융합 콘텐츠를 공용 단말(300)로 전송할 경우, 공용 단말(300)에 융합 콘텐츠가 표시되어 전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 단말 및 제 n 사용자 단말(200) 중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이 공용 단말(300)에 표시된 융합 콘텐츠를 수신하고자 한다면, 탐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용 단말(300)을 선택하여 앞서 표시된 융합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내 탐색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arch interface in a user terminal in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 인터페이스(241)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 단말의 단말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용 단말(300)로서 TV가 표시될 경우, 탐색 인터페이스(241)는 TV의 단말 속성 정보인 식별 정보, 해상도, 위치, 성능 및 지원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구성된 TV의 단말 정보 및 콘텐츠 수신 가능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the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나’를 중심으로 콘텐츠 수신이 가능한 단말을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을 그림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3 (b), a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contents around the user 'I' can be represented by a picture. The user can intuitively confirm the terminal to which the content is to be transmitted through a pictur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4 i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은 콘텐츠를 공유할 스크린의 개수에 한정을 하지 않으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과 복수의 공용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스크린 기능과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단말을 통해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은 공용 단말(300)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sharing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in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110)에서는,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과의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한다. 네트워크에 접속한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은 사용자 단말과 단말 속성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step S110, a network connection is made with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connected to the network can transmit and receive the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단계 (S120)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속성 정보를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영 단말로 송신하고,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로부터 송신된 단말 속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속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해상도, 위치, 성능 및 지원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120,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and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may be received. At this time, the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solution, location, performance, and support functions of the user terminal.
단계 (S130)에서는, 상기 단계에서 수신한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의 단말 속성 정보를 표시하는 탐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속성 정보를 바탕으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IPTV 및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이 사용자를 중심으로 그림으로 나타낸 탐색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말이 공용 단말인 경우 공용 단말을 제어하는 공용 단말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용 단말에 재생 중인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게시판에 댓글 입력을 위한 키보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In step S130, a search interface may be provided to display the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user terminals and public terminals received in the step. For example, a search interface can be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such as IPTV, a tablet PC, a smart phone, or the like, in which content can be shared based on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selected by the user is a public terminal, a public terminal control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public terminal can be provided. For example, a keyboard interface for inputting a comment on a bulletin board related to the broadcast content being played back on the public terminal may be provided.
단계 (S140)에서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영 단말 중 탐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단말에 전송하거나, 탐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변 사용자 단말 또는 공용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ASMD방식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와 단말 속성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콘텐츠는 공용 단말에서 재생 중인 방송 콘텐츠의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융합 콘텐츠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 공용 단말 또는 주변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용 단말에 표시 중인 방송 콘텐츠에 대한 융합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140, the content stored in the user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earch interface among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connected to the network, or transmitted from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or the public terminal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earch interface Content can be received. At this tim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can receive the content matching the user profile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ASMD method, wherein the content is a fusion content inclu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content being played back on the public terminal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fusion content for a broadcast content being displayed on a public terminal from a public terminal or a surrounding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and stored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단말이 방송 콘텐츠에 등장하는 배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융합 콘텐츠를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경우, 제 2 사용자 단말은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융합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단말이 융합 콘텐츠를 공용 단말로 전송할 경우, 제 2 사용자 단말 또는 제 n 사용자 단말은 공용 단말에 표시된 융합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first user terminal transmits a convergent content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actor appearing in broadcast content to a second user terminal, the second user terminal can receive the convergent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have. Also,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transmits the converged contents to the public terminal, the second user terminal or the nth user terminal can receive the converged contents displayed on the public terminal.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콘텐츠 공유 시스템 200: 사용자 단말
210: 사용자 정보 저장부 220: 단말 속성 정보 관리부
230: 네트워크 연결부 240: 인터페이스 제공부
241: 탐색 인터페이스 250: 콘텐츠 관리부
300: 공용 단말 400: 콘텐츠 제공 서버100: content sharing system 200: user terminal
210: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30: network connection unit 240: interface providing unit
241: Search interface 250: Content manager
300: public terminal 400: content providing server
Claims (10)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과의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연결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속성 정보를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로부터 송신된 단말 속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속성 정보 관리부,
상기 단말 속성 정보 관리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의 속성 정보를 표시하는 탐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 또는 공용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관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In a user terminal constituting a content sharing system,
A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user profile information,
A network connection unit for performing a network connection between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A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receiving the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An interfa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search interface for display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managing unit;
And a content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stored in the user terminal to the terminal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connected by the network connection unit or receiving the content from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or the public terminal.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ASMD(Adaptive Source Multi Device)방식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와 상기 단말 속성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를 수신하되,
상기 콘텐츠는 상기 공용 단말에서 재생 중인 방송 콘텐츠의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융합 콘텐츠인 사용자 단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receive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profile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er through an ASMD (Adaptive Source Multi Device)
Wherein the content is fused content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content being played back by the public terminal.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 상기 공용 단말 또는 주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용 단말에 표시 중인 방송 콘텐츠에 대한 융합 콘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receives fusion content for the broadcast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public terminal from the public terminal or the neighboring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and stored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말이 공용 단말인 경우 상기 공용 단말을 제어하는 공용 단말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provides a public terminal control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public terminal when the terminal selected by the user is a public terminal.
상기 단말 속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의 식별 정보, 해상도, 위치, 성능 및 지원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solution, location, performance, and support functions of a user terminal and a public terminal.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과의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속성 정보를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로부터 송신된 단말 속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의 단말 속성 정보를 표시하는 탐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 및 공영 단말 중 상기 탐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탐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변 사용자 단말 또는 공용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A content sharing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Performing a network connection with a neighboring user terminal and a public terminal;
Transmit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and receiving terminal propert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Providing a search interface for displaying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received in the step
The content stored in the user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earch interface among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and the public terminal connected to the network or the content is transmitted from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or the public terminal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earch interface And receiving the content.
상기 선택된 단말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는 ASMD방식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와 상기 단말 속성 정보에 매칭되는 콘텐츠를 수신하되,
상기 콘텐츠는 상기 공용 단말에서 재생 중인 방송 콘텐츠의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융합 콘텐츠인 콘텐츠 공유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selected terminal comprises receiving,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via the ASMD scheme, user profil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nd content matched with the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Wherein the content is a convergent content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content being reproduced by the public terminal.
상기 선택된 단말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 상기 공용 단말 또는 주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용 단말에 표시 중인 방송 콘텐츠에 대한 융합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selected terminal comprises receiving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receiving the converged content of the broadcast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public terminal from the public terminal or the surrounding user terminal.
상기 탐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말이 공용 단말인 경우 상기 공용 단말을 제어하는 공용 단말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 of providing the search interface provides a public terminal control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public terminal when the terminal selected by the user is a public terminal.
상기 단말 속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의 식별 정보, 해상도, 위치, 성능 및 지원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solution, location, performance, and support functions of a user terminal and a public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7593 | 2013-01-23 | ||
KR20130007593 | 2013-01-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4995A true KR20140094995A (en) | 2014-07-31 |
Family
ID=5174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2764A Ceased KR20140094995A (en) | 2013-01-23 | 2013-03-04 |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user terminals of contents shar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94995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80426A (en) * | 2015-03-23 | 2015-07-15 |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 Method for updating application of intelligent terminal through intelligent television |
WO2016159484A1 (en) * | 2015-04-02 | 2016-10-06 | 한국과학기술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personalized content using user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
US11361148B2 (en) | 2015-10-16 | 2022-06-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sharing content with an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thereof |
-
2013
- 2013-03-04 KR KR1020130022764A patent/KR2014009499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80426A (en) * | 2015-03-23 | 2015-07-15 |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 Method for updating application of intelligent terminal through intelligent television |
WO2016159484A1 (en) * | 2015-04-02 | 2016-10-06 | 한국과학기술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personalized content using user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
US11361148B2 (en) | 2015-10-16 | 2022-06-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sharing content with an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50414B2 (en) | Signal distribution system with user-defined channel containing information from external network | |
US8719892B2 (en) | System for exchanging media content between a media content processor and a communication device | |
US986020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content | |
US20110214061A1 (en) |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lient Devices | |
CN102362506B (en) | There is the display unit of network function and control its method | |
US9398255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US9990693B2 (en) | Method and device for rendering multimedia content | |
KR101473254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ulti angle video to devices | |
US20070089145A1 (en) | System and method of delivering video data | |
JP2013510452A (en) |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content | |
KR20250095587A (en) |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of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for multilateral videotelephony | |
KR20140094995A (en) |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user terminals of contents sharing system | |
KR20150065365A (en) |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contents, method for displaying recommendation contents, comput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
KR10209977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clip video, and server for providing preview video | |
KR101445260B1 (en) |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eamlessly | |
KR20130042763A (en) |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sharing, and device for sharing contents | |
KR20150066914A (en) |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broadcasting contents to device, and the device | |
KR101308926B1 (en) | Broadcast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function of popular application recommendation | |
CN110430383B (en) | Terminal, signaling server, audio and video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KR101669232B1 (en) | Method for sharing media contents, contents server and system | |
KR101546387B1 (en) | Content sharing server and method for performing content shaing process betweens a plurality of diveces | |
KR20150066916A (en) | Serv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ush message being related to application installation to device, and the device | |
KR101861730B1 (en) |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 sharing service | |
Yoon et al. | Classification of N-screen services, scenarios and its standardization | |
KR101513944B1 (en) | Set-top box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ideo data to plura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9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3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