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611A -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service about contents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service about contents inform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5611A KR20140065611A KR1020120130653A KR20120130653A KR20140065611A KR 20140065611 A KR20140065611 A KR 20140065611A KR 1020120130653 A KR1020120130653 A KR 1020120130653A KR 20120130653 A KR20120130653 A KR 20120130653A KR 20140065611 A KR20140065611 A KR 201400656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terminal
- content
- content information
- cond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9024—Graphs; Linked lis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말과 사용자의 단말과 다른 단말들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로 가공한 후 가공된 컨텐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인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차트, 통계 또는 목록 형식의 정보를 생성하는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정보 또는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단말 또는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정보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content information from a terminal of a user, a terminal of a user and other terminals, processing the content into information desired by a user, and providing the processed content information in real time do. An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information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conten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stored or reproduced in at least one terminal; A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nformation of a chart, a statistic, or a list format usi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And a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generated information or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r another termi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컨텐츠 목록, 컨텐츠 재생 횟수, 컨텐츠 재생 빈도 또는 컨텐츠 이용 정보 등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사용자들 간에 컨텐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content information such as a content list, a number of times of content reproduction, a content reproduction frequency, or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desired by users in real time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a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최근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서적, 만화, 음악, 동영상, 게임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들은 PC 등 타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한 연결을 통하여 모바일기기로 전송하여 이용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을 통하여 이용한다.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contents such as books, comics, music, movies, games or applications have been increasingly used through mobile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Users of mobile devices transmit content stored in a rider, such as a PC, to a mobile device through a connection using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or download or stream the content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사용자들은 대중매체나 컨텐츠 제공 사이트에서 일괄적을 보여주는 추천이나 순위 차트를 통하여 컨텐츠를 추천받거나 선택할 수 있다.Users can choose to receive or recommend content through mass media or content offerings, through a recommendation or ranking chart.
컨텐츠를 추천받는 다른 방법으로는 라디오 등의 방송이나 Off-Line 채널을 통하여 추천받거나 주변인을 통하여 추천을 받은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정보의 획득이 불규칙하며 필요하거나 원할 때 실시간으로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Other methods of recommending content include recommendation via radio or off-line channels, or recommendations from nearby people. This method has the problem that information acquisition is irregular and information can not be acquired in real time when it is needed or desired.
이와 같은 기존의 음악을 포함한 컨텐츠를 추천받는 방법은 획일적이며 개인별 선호를 반영하기 어려우며,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정보를 획득하기가 힘든 문제가 있다.Such a method of recommending contents including existing music is uniform, difficult to reflect individual preferences, and difficult to obtain information that a user wants to know.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단말과 사용자의 단말과 다른 단말들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로 가공한 후 가공된 컨텐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which can acquire content information from a terminal of a user, And a shared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은, 컨텐츠 정보 수집부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인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컨텐츠 정보 수집단계;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가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차트, 통계 또는 목록 형식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 및 컨텐츠 정보 전송부가 상기 생성된 정보 또는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단말 또는 다른 기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method comprising: a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conten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stored or reproduced in at least one terminal; A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step for generating at least one of a chart, a statistic, and a list format information usi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And a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generated information or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r another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 제목, 상기 단말에서 재생되는 컨텐츠 제목, 상기 단말에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는 컨텐츠의 가수 또는 배우에 관한 정보,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고 있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 상기 단말에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는 컨텐츠의 종류나 장르, 상기 단말의 소유자 또는 소지자에 관한 정보, 상기 단말 소유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서 등록된 사람에 대한 정보, 상기 단말에 등록된 상기 단말과 다른 번호 또는 다른 식별자를 가지는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단말에서 컨텐츠의 재생 빈도, 상기 단말에서 다운로드 된 컨텐츠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서 컨텐츠의 재생된 시각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title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a content title of the terminal, content of the content stored or reproduc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on an actor, The type and genre of contents stored or reproduc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owner or holder of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person registered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of the terminal owner, Information about another terminal having a different number or different identifier than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reproduction frequency of the content in the terminal, the content information downloaded from the terminal, And may include at least any one of them.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에 앞서,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가 상기 단말로부터 특정 조건을 입력 받는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입력 받은 특정조건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 하에서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차트, 통계 또는 목록 형식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method further includes a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step in which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part receives a specific condition from the terminal prior to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step, The generating step may generat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chart, a statistic, or a list usi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under the specific condition inputted or the preset condi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은, 설정된 시간이나 위치에서는 정보 수집을 제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llec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may restrict or prohibit collection of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or loc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는 서적, 만화, 음악, 동영상, 게임 또는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파일일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ent may be a book, a comic, a music, a moving picture, a game, or an applic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 중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step may be generat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mo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 중 상기 단말에 등록된 상기 단말과 다른 번호 또는 식별자를 가지는 다른 단말이나 상기 단말 소유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등록된 다른 단말에서 저장 또는 재생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step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llected contents information of another terminal having a number or an identifier different from that of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terminal, And may be generated using information on contents stored or reproduced in other terminals registered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정보 중 상기 단말이 위치한 장소의 특성과 적합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acquired,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step generates information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받는 특정 조건은, 상기 단말의 소유자 또는 소지자의 연령대에 관한 조건인 연령대 조건, 상기 컨텐츠의 종류 또는 장르에 관한 조건인 장르 조건,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에 관한 조건인 공간적 범위 조건 또는 상기 단말 소유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등록된 사람이나 상기 단말에 등록된 상기 단말과 다른 번호 또는 다른 식별자를 가지는 다른 단말 중 특정 범위에 대한 조건인 인적 범위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pecific condition to be received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ge range condition, a genre condition that is a condition related to a type or a genre of the content, a condition relating to an age range of the owner or a holder of the terminal, Or a human range condition that is a condition for a specific range of other terminals having a different number or different identifier from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terminal or the person registered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of the terminal owner .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정보 중 상기 단말이 위치한 장소의 특성과 적합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acquired,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step generates information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 전송부가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정보 또는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단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마케팅이 가능한 디바이스 또는 상기 마케팅이 가능한 디바이스에 광고를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obtained, 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may transmit at least any one of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r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step to a position Or to a server of a company providing the advertisement to the device capable of market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상기 입력 받은 특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Preferably, th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step may be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specific condi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정보 전송부는, 상기 특정 조건을 입력 받은 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상기 실시간맞춤차트를 상기 특정 조건을 입력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may process the real-time customized chart after receiving the specific condition in real time, and transmit the real-time customized chart to the terminal that has input the specific condi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른 기기란, 컨텐츠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기, 컨텐츠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기에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기기, 상기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기기, 상기 생성된 정보를 열람가능 한 기기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other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playing a content file, a device connected to a device capable of playing a content file by wire or wireless, a device capable of stor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ssible device or an application capable of installing an applic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인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차트, 통계 또는 목록 형식의 정보를 생성하는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정보 또는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단말 또는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정보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evice including: a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conten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stored or reproduced in at least one terminal; A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nformation of a chart, a statistic, or a list format usi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And a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generated information or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r another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 제목, 상기 단말에서 재생되는 컨텐츠 제목, 상기 단말에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는 컨텐츠의 가수 또는 배우에 관한 정보,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고 있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 상기 단말에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는 컨텐츠의 종류나 장르, 상기 단말의 소유자 또는 소지자에 관한 정보, 상기 단말 소유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서 등록된 사람에 대한 정보, 상기 단말에 등록된 상기 단말과 다른 번호 또는 다른 식별자를 가지는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단말에서 컨텐츠의 재생 빈도, 상기 단말에 다운로드된 컨텐츠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서 컨텐츠의 재생된 시각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title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a content title of the terminal, content of the content stored or reproduc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on an actor, The type and genre of contents stored or reproduc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owner or holder of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person registered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of the terminal owner, Information on another terminal having a different number or different identifier than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reproduction frequency of the content in the terminal, the content information downloaded in the terminal, And may include at least any one of them.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는, 상기 단말로부터 특정 조건을 입력 받는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는, 상기 입력 받은 특정조건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 하에서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차트, 통계 또는 목록 형식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evice further includes a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part for receiving a specific condition from the terminal, and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part may generate the conten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specific condition or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nformation of a chart, a statistic, or a list format can be generated using the content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는 서적, 만화, 음악, 동영상, 게임 또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일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ent may be a book, a comic, a music, a video, a game, or an application file.
바람직하게는, 제 14 항 또는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 중 상기 단말에 등록된 상기 단말과 다른 번호 또는 식별자를 가지는 다른 단말이나 상기 단말 소유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등록된 다른 단말에서 저장 또는 재생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5, wherein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vision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tent information having a different number or identifier than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terminal amo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Or may be information generated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s stored or reproduced in another terminal or another terminal registered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of the terminal own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받는 특정 조건은, 상기 단말의 소유자 또는 소지자의 연령대에 관한 조건인 연령대 조건, 상기 컨텐츠의 종류 또는 장르에 관한 조건인 장르 조건,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에 관한 조건인 공간적 범위 조건 또는 상기 단말 소유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등록된 사람이나 상기 단말에 등록된 상기 단말과 다른 번호 또는 다른 식별자를 가지는 다른 단말 중 특정 범위에 대한 조건인 인적 범위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pecific condition to be received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ge range condition, a genre condition that is a condition related to a type or a genre of the content, a condition relating to an age range of the owner or a holder of the terminal, Or a human range condition that is a condition for a specific range of other terminals having a different number or different identifier from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terminal or the person registered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of the terminal owner .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상기 입력된 특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Preferably,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vision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may be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specific condi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 중 상기 단말이 위치한 장소의 특성과 적합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acquired,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information using information that is suitable for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hav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 중 상기 단말이 위치한 장소의 특성과 적합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acquired,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information using information that is suitable for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hav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 전송부가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 또는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단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마케팅이 가능한 디바이스 또는 상기 마케팅이 가능한 디바이스에 광고를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acquired, 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or th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Or to a server of a company providing the advertisement to the device capable of marketing.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공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사용자 친구들, 서비스 이용중인 타 사용자들의 실질적인 컨텐츠 활용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정보 및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여 카페(Cafe), 바(Bar), 음식점 또는 서점 등의 서비스 업체는 고객들에게 서적, 만화, 음악, 동영상, 게임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때, 고객들이 선호하는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여 고객들이 선호하는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quire and share contents information desired by a user in real time. Als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and content service based on actual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of users, user friends, and other users using the service. In addition, a service company such as a cafe, a bar, a restaurant, or a bookstore uses contents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contents such as books, comics, music, movies, games, When a service is provided, customers can acquire preferred content information and provide a content service preferred by customer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의 친구실시간차트 생성부가 친구실시간차트를 생성하는 바람직한 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ystem to which a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red example in which a friend real-time chart generation unit of a contents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pparatus generates a friend real-time chart.
4 is a flowchart of a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substantially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spectively,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에 관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100)에 관하여 설명하면,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100)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130), 및/또는 컨텐츠 정보 전송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information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는 단말에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는 음악 파일과 관련된 정보인 컨텐츠 정보를 수집한다.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collects conten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related to a music file stored or reproduced in the terminal.
컨텐츠는 음악, 영화, 사용자 제작 컨텐츠(UCC, User Created Contents), 전자문서, 서적, 만화, TV 프로그램, 동영상, 게임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 청각이나 시각을 통하여 감상하거나 플레이(Play)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촉각이나 후각 등을 통하여 감상하거나 플레이(Play) 수 있는 것들도 포함될 수 있다.Contents refers to things that can be watched or played through hearing or vision, such as music, movies, user created contents (UCC), electronic documents, books, cartoons, TV programs, videos, games or applications, It may include things that can be viewed or played through tactile or olfactory sense.
컨텐츠 정보는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 제목, 단말에서 재생되는 컨텐츠 제목, 단말에 저장되거나 단말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가수 또는 배우,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고 있는 단말의 위치정보, 단말의 소유자 또는 소지자에 관한 정보, 단말 소유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서 등록된 사람에 대한 정보, 단말에서 컨텐츠가 재생된 횟수 또는 단말에서 컨텐츠가 재생된 시각, 단말에서 다운로드 된 컨텐츠 정보 등 컨텐츠를 이용한 활동의 전반적인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ntent title stored in the terminal, a content title reproduced at the terminal, a number or actor of the content stored in or reproduced from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here the content is stored or reproduced, Information about a person registered in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of a terminal owner, the number of times the content is played back in the terminal or the time at which the content is played back in the terminal, content information downloaded from the terminal, Or a combination thereof. ≪ RTI ID = 0.0 >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스마트폰, 컴퓨터, 노트북, MP3 플레이어, 오디오 기기, TV 또는 이동식 저장매체 등 컨텐츠를 저장하거나 재생할 수 있는 기기들을 의미한다.A terminal is a device capable of storing or reproducing contents such as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smart phone, a computer, a notebook, an MP3 player, an audio device, a TV, or a removable storage medium.
단말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설치가 가능한 단말인 것이 바람직하며,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가능한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 다양한 단말들이 가능하다.Preferably, the terminal is a terminal capable of installing an application, and the terminals capable of installing an application are various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computer, or a notebook.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는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단말에 저장되지 않더라도 인터넷이나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에 접속하는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may acquire information about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as well a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even if the content is not stored in the terminal bu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via the Internet, Can be collected.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는 저장된 컨텐츠 정보 수집부(112), 재생되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114), 수집 제한 설정부(116) 및/또는 컨텐츠 정보 분류부(118)를 포함한다.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includes a stored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2, a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4 to be played back, a collection restriction setting unit 116, and / or a content information classification unit 118.
구체적으로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가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가능한 단말에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각 단말별로 정보를 수집하여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에 전송한다.Specifically,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collects content information by installing an application for collecting content information in a terminal capable of installing an application, collecting information for each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에서 컨텐츠를 저장, 관리 또는 재생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에 접근 권한을 획득하여 프로그램을 통하여 컨텐츠의 목록, 컨텐츠 재생 시각, 컨텐츠 재생 횟수, 컨텐츠의 가수나 배우 등의 컨텐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의 가수나 배우 등의 정보는 컨텐츠 목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면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에서 인터넷 등을 통하여 별도로 획득 수집할 수도 있다.The application obtains the access right to the program that stores, manages or reproduces the content in the terminal, and obtains the content information such as the list of contents, the content reproduction time, the number of times of content reproduction, . The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the contents, the actor, etc. may be acquired and collected separately from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through the Internet or the like when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list is collected.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에 저장된 전화번호 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접근 권한을 획득하거나 연동하는 형식으로 단말에 등록된 다른 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아이디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can acquire information such as a telephone number or ID of another terminal registered in the terminal in a form of acquiring access authority or interworking with a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terminal or a social network service.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이 다운로드한 파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can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file downloaded by the terminal.
단말의 소유자 또는 소지자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또는 최초로 실행할 때 단말의 소유자 또는 소지자가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f the owner or the owner of the terminal can be obtained by the owner or owner of the terminal to input it when installing the application or when executing the application for the first time.
단말의 위치 정보는 단말에 범지구위치결정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이 있는 경우 GPS 기능에 접근권한을 획득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If the terminal ha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func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an be acquired to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by obtaining access authority to the GPS function.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는 어플리케이션이 획득한 컨텐츠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컨텐츠 정보 분류부(118)는 전송받은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제목, 컨텐츠 장르, 컨텐츠가 실행된 단말의 소유자 정보 또는 컨텐츠가 실행된 시각 등 정보 종류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다. 분류 기준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류 기준이 미리 설정된 경우 분류는 설정된 바에 따른다.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may receive the conten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pplication. The content information classifying unit 118 classifies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into a content title, a content genre, own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n which the content is executed, And the time of execution.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may be set in advance, and when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is set in advance, the classifica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t criterion.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 파일이나 단말이 다운로드한 파일에 관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 수집은 저장된 컨텐츠 정보 수집부(112)에서 별도로 수집할 수 있다.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가 아닌 인터넷,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 수집은 재생되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114)에서 별로도 수집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related to the content file stored in the terminal or the file downloaded by the terminal can be separately collected by the stored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2. [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related to the case of playing the content through the Internet, the wired network, or the wireless network instead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can be collectively collect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4 to be reproduced.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각 단말들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이전에 획득한 정보에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변화가 발생하는 때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전에 획득한 정보에서 변화가 발생한다는 것은 저장된 컨텐츠의 종류에 변화가 있는 경우,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등 추가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경우가 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may collect the content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In addition,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in real time when a change occurs in previously acquired information. The occurrence of the change in the previously obtained information may be a case where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for example,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type of the stored content, or when the content is reproduced.
다만, 수집 제한 설정부(116)가 사용자의 요청이나 법적인 규제 또는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각 단말로부터의 컨텐츠 정보 수집을 제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이나 금지는 요일, 시간대, 장소, 컨텐츠 파일 확장자 등 컨텐츠 파일 제목에 포함된 특정 단어를 기준으로 설정되어 수집이 제한되거나 금지될 수 있다.However, the collection limit setting unit 116 may limit or prohibit collection of content information from each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legal regulation, or a predetermined setting. Such restriction or prohibition may be restricted or prohibited by collection based on a specific word contained in the title of the content file, such as day of the week, time zone, place, content file extension, and the like.
단말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의 단말로부터 컨텐츠 정보에 대한 수집 제한이나 금지 요청을 하면, 수집 제한 설정부(116)가 요청을 수신하여 수집제한이나 금지 요청을 한 단말로부터 컨텐츠 정보 수집을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설정을 할 수 있다.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makes a request to limit or prohibit collection of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application, the collection limit setting unit 116 receives the request and restricts the collection of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that has made the collection restriction or prohibition request It is possible to set a prohibited setting.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차트, 통계 또는 목록 등의 형식으로 사용자가 요청하는 정보 또는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에 설정된 로직에 따른 정보를 생성한다.The provision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generates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user in the form of a chart, a statistic, a list, or the like using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And generate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t logic.
사용자가 요청하는 정보란,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130)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관한 조건을 입력받아서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로 전송하면, 입력된 조건에 부합하는 정보를 말한다. The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user is information that satisfies the input conditions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unit 130 receives the condition related to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condition to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예를 들어, 사용자는 1달 이내에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다른 단말들에서 가장 많이 재생된 컨텐츠 또는 현재 가장 많이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요청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can request information about the most-played content or the most-played content at the other terminals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within one month. .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에 설정된 로직에 따른 정보 생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수집된 컨텐츠 정보 중 하루 단위로 총 재생횟수가 가장 많은 노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이 없더라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nformation generation according to the logic set in the content-to-be-provided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can be performed. Even if there is no request from the user, information about the song with the largest total number of reproduction times in one day amo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have.
다른 로직으로는, 수집된 컨텐츠 정보 중 일주일 동안 사용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등록된 단말들에서 가장 많이 재생된 노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이 없더라도 생성할 수 있다.Other logic may generate information on the songs that are reproduced the most in the terminals registered in the user's social network service for a week among the collected contents information even when there is no user's request.
로직의 설정은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는 정보에 관한 것이면 어느 것이든지 설정 가능하다.The setting of the logic can be set to any information that can be generated usi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는 차트 생성부(122), 실시간 맞춤형 통계 생성부(124), 실시간 맞춤형 목록 생성부(126) 및/또는 맞춤형 정보 생성부(128)를 포함한다.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includes a chart generating unit 122, a real time customized statistic generating unit 124, a real time customized list generating unit 126, and / or a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8.
실시간 차트 생성부(122)는 공간실시간차트 생성부(122a), 친구실시간차트 생성부(122c) 및/또는 실시간맞춤차트 생성부(122e)를 포함한다. 차트는 순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al-time chart generating unit 122 includes a space real-time chart generating unit 122a, a friend real-time chart generating unit 122c, and / or a real-time fitting chart generating unit 122e. The chart may include ranking information.
공간실시간차트 생성부(122a)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컨텐츠 정보 중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실시간차트를 생성한다.The spatial real-time chart generating unit 122a generates a spatial real-time chart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mong the contents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ent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
공간실시간차트 생성부(122a)는 컨텐츠 정보 중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고 있는 단말의 위치에 관한 정보와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130)에서 입력받은 조건 중 범위에 관한 조건을 이용하여 공간실시간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이나 로직에 따라 차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The spatial real-time chart generating unit 122a generates a spatial real-time chart us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where the content is stored or reproduced among the contents information and the condition about the range of the condition input from the contents information generating condition unit 130 Can be generated. Alternatively,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may generate a chart according to preset conditions or logic.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130)는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에서 정보 제공을 원하는 곳에서 정보 생성의 조건을 설정하면 이를 입력받아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는 추후 설명한다.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unit 130 receives the 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and sets the condition of information generation in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to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More specifically, it will be described later.
공간실시간차트의 예를 들면, 현재 사용자의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500m이내에 속해 있는 단말들이 현재 많이 재생되고 있는 음악 장르에 관한 차트나, 1주일 내에 많이 재생되고 있는 노래에 관한 차트가 공간실시간차트의 예이다.For example, in a real-time chart of space, a chart about a music genre in which terminals within a radius of 500 m are currently being reproduced based on the position of a terminal of the current user, and a chart about a song being played a lot within one week, This is an example of a chart.
카페, 술집 또는 Bar 등의 서비스업체에서는 자신의 카페, 술집 또는 Bar 내에 속해 있는 손님들의 단말에서 소정의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재생된 노래 제목에 대한 공간실시간차트를 제공받아서 손님들에게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A service company such as a cafe, bar, or bar is provided with a space real-time chart for the song titles that are reproduced most frequent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a terminal of a guest in a cafe, a bar, or a bar, .
친구실시간차트 생성부(122c)는 친구실시간차트를 생성한다. 친구실시간차트 생성부(122c)는 단말에 등록된 전화번호 또는 아이디 등의 고유 식별자를 가지는 또 다른 단말에서 재생되거나 저장된 컨텐츠 파일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친구실시간차트를 생성한다. 고유 식별자를 가지는 또 다른 단말에서 재생되거나 저장된 컨텐츠 파일에 관한 정보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정보에 포함된다.The friend real-time chart generating unit 122c generates a friend real-time chart. The friend real-time chart generating unit 122c generates a friend real-time chart generated using information on a content file reproduced or stored in another terminal having a unique identifier such as a phone number or ID registered in the terminal.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file reproduced or stored in another terminal having the unique identifier i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친구실시간차트의 예를 들면, 단말에서 요청이 있거나 미리 설정된 조건과 로직에 따라 단말에 등록된 번호들에 해당하는 다른 단말들에서 소정의 기간 동안 많이 재생된 음악이나 영화 또는 드라마에 대한 차트일 수 있다. 또는 수집된 컨텐츠 정보 중 단말 소지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소지자가 졸업한 고등학교의 졸업생들이 가장 많이 듣는 음악에 대한 차트도 예가 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friend real time chart are charts for music, movies, or dramas that have been requested by the terminal or have been played many tim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t other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s register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and logic have. Or an example of a chart of the music that a graduate of a high school graduate graduated from a terminal holder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holder among the collected contents information most frequently listens to.
친구실시간차트는 수집된 컨텐츠 정보 중 소셜네트워트서비스를 통하여 등록된 사람들의 현재 가장 많이 듣고 있는 음악에 대한 차트도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A friend's real-time chart can be an example of a chart of the music currently being heard by the people registered through the social network service among collected contents information.
실시간맞춤차트 생성부(122e)는 컨텐츠 정보 생성조건부로부터 특정 조건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조건에 기반하여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맞춤차트를 생성한다. 특정 조건에 관하여는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에서 함께 설명한다.The real-time custom chart generating unit 122e generates a real-time customized chart using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on the basis of the condition inputted from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condition unit. The specific conditions are described together in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part.
실시간 통계 생성부(124)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를 생성한다.The real-time statistic generating unit 124 generates statistics us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ent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생성된 통계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강남역 1 킬로미터 이내에 있는 단말에서 음악 파일이 가장 많이 재생되는 시간대에 관한 통계,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및 고려대학교 내에서 가장 많이 듣는 노래의 장르에 관한 통계, 현재 사용자의 휴대폰에 저장된 사람들이 주로 듣는 노래에 관한 통계 등 다양한 변수를 가진 통계를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계는 차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statistics about the time when music files are played most within 1 km from Gangnam station, statistics about the genres of songs most hear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Statistics with various variables such as statistics about songs that are mainly heard by people stored in the user's mobile phone can be generated us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 These statistics may be charted.
실시간 통계 생성부(124)에서 통계를 생성하는 방법은 실시간 차트 생성부(122)가 차트를 생성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즉, 미리 설정된 임의의 조건하에서 실시간 통계 생성부(124)가 통계를 생성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130)로부터 조건을 입력받아 조건에 맞는 통계를 생성할 수도 있다.The method of generating statistics in the real-time statistic generating unit 124 is similar to the method in which the real-time chart generating unit 122 generates a chart. That is, the real-time statistics generator 124 may generate statistics under a predetermined condition, and may generate the statistic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by receiving the conditions from the content-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130. [
실시간 목록 생성부(126)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목록을 생성한다. 목록은 차트와 달리 순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The real-time list generation unit 126 generates a list us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Unlike charts, the list may not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rankings.
실시간 목록 생성부(126)가 생성하는 목록의 예는 단말에 등록된 전화번호를 가진 휴대폰에 저장된 음악파일의 제목에 관한 목록, 단말이 속해 있는 위치에서 200미터 반경 내에 속해있는 또 다른 단말에서 재생된 음악파일의 제목에 관한 목록 등 다양한 예가 있다.Examples of the list generated by the real-time list generation unit 126 include a list of titles of music files stored in a mobile phone having a phone number registered in the terminal, And a list of the titles of the music files.
목록의 종류는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130)에서 입력받은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시간 목록 생성부(126)는 실시간 목록 생성부(126)에 미리 설정된 조건이나 로직에 따른 목록도 생성할 수 있다.The type of the lis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in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unit 130. [ The real-time list generation unit 126 may generate a list according to conditions or logic preset in the real-time list generation unit 126.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130)는 사용자가 단말을 통하여 조건을 설정하면, 설정된 조건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받아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로 조건을 전송한다.When the user sets a condition through the terminal,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condition unit 130 receives the set condition by wireless or wire and transmits the condition to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130)가 전송받는 조건은 단말에 각종 조건들이 미리 인터페이스화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여 설정된 조건일 수 있으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단어나 문장이 조건이 될 수 있다.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part 130 is transmitted may be a condition that is set by using various conditions pre-interfaced with the terminal, but the condition may be a word or a sentence directly input by the user.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130)는 연령대 조건부(131), 컨텐츠 장르 조건부(133), 공간적 범위 조건부(135), 인적 범위 조건부(137) 및/또는 조건 분류부(139)를 포함한다.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part 130 includes an age range condition part 131, a content genre condition part 133, a spatial range condition part 135, a human range condition part 137, and / or a condition classification part 139.
특정 조건은 연령대 조건, 음악 장르 조건, 공간적 범위 조건 또는 인적 범위 조건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조건이 될 수 있다.The specific condition may be various conditions desired by the user such as age range condition, music genre condition, spatial range condition or human range condition.
구체적으로 각각의 조건을 설명하면, 연령대 조건은 10대, 20대, 30대, 25세 전후, 30대 후반, 27세, 남 또는 여 등의 연령이나 성별을 구분할 수 있는 단어나 문장이 될 수 있다. 연령대 조건부(131)가 연령대 조건을 입력받아 조건 분류 또는 전송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Describing each condition in detail, the age condition can be a word or a sentence that can distinguish the age or sex of the teen, the twenties, the thirties, the twenties, the twenties, the twenties, have. The age range condition unit 131 receives the age range condition and performs processing such as condition classification or transmission.
컨텐츠 장르 조건은 영화 컨텐츠 관련 컨텐츠의 경우 멜로, 액션, 공포 또는 추리 등으로, 음악 컨텐츠 관련 컨텐츠의 경우 힙합, 락(Rock), 발라드, 댄스, 걸그룹 또는 아이돌 등의 음악 장르를 구분할 수 있는 단어나 문장으로 구성된 입력이 될 수 있다. 컨텐츠 장르 조건부(133)가 컨텐츠 장르의 조건을 입력받아 조건 분류 또는 전송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ent genre condition is a word that can distinguish music genres such as hip-hop, rock, ballad, dance, girl group, or idol in melody, action, horror, It can be an input consisting of a sentence. The content genre condition unit 133 receives conditions of the content genre and performs processing such as condition classification or transmission.
공간적 범위 조건은 도시, 지역,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이내, 건물, 카페 내 또는 음식점 내 등 공간적 범위를 지정하거나 구분할 수 있는 단어나 문장으로 구성된 입력이 될 수 있다. 공간적 범위 조건부(135)가 공간적 범위 조건을 입력받아 조건 분류 또는 전송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The spatial range condition may be an input composed of words or sentences that can specify or distinguish a spatial rang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location of a city, an area, a terminal, a building, a cafe, or a restaurant. The spatial range condition unit 135 receives the spatial range condition and performs processing such as condition classification or transmission.
인적 범위 조건은 단말 소유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등록된 사람이나 단말에 등록된 다른 번호 또는 다른 식별자를 가지는 다른 단말 중 특정 범위에 대한 조건이다.The human range condition is a condition for a specific range of other terminals having different numbers or other identifiers registered in the subscriber's terminal or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subscriber's social network service.
구체적으로, 인적 범위 조건은 단말에 저장된 전화번호, 아이디, 단말의 소유자 또는 사용자, 즐겨찾기 설정한 사람, 특정 그룹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에 등록된 사람 등의 인적 범위를 지정하거나 구분할 수 있는 단어나 문장으로 구성된 입력이 될 수 있다. 인적 범위 조건부(137)가 인적 범위 조건을 입력받아 조건 분류 또는 전송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Specifically, the human range condition designates a human range such as a phone number stored in the terminal, an ID, an owner or user of the terminal, a favorite set person, a specific group, or a person registered in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Or an input consisting of words or phrases that can be distinguished. The human range condition unit 137 receives human range conditions and performs processing such as condition classification or transmission.
조건 분류부(139)는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을 직접 단어나 문장으로 입력하는 경우,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130)는 단어나 문장을 전송받아 조건을 분류하거나 알맞게 변형한다. 조건 분류부(139)가 조건을 분류하거나 알맞게 변형하는 과정에서 온톨로지(Ontology)기반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s a desired condition directly into a word or a sentence, the conditional classification unit 139 receives the word or sentence and classifies or appropriately transforms the condition. An ontology-based technique may be used in the course of classifying or appropriately modifying conditions by the condition classifier 139.
구체적으로, 조건 분류부(139)에서 분류된 조건이 조건 분류부(139)에서 미리 내장되거나 설정된 조건 중 어느 하나와 부합하는 경우 미리 내장되거나 설정된 조건 중 부합하는 조건으로 지정하여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로 지정된 조건을 전송한다.Specifically, when the condition classified by the condition classifying unit 139 matches any of the conditions pre-embedded or set in the condition classifying unit 139, 120).
조건 분류부는(139)는 조건을 분류한 것이 미리 설정된 조건 중 어느 하나와 부합하지 않는 경우. 가장 부합하는 조건으로 알맞게 변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온톨로지(Ontology)기반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ndition classifying section (139) classifies the condition into a condition that does not match any of preset conditions. It can be modified appropriately to the best match condition. Ontology based technology can be used in this process.
온톨로지란, 단어와 관계들로 구성된 일종의 사전이라 생각할 수 있으며, 온톨로지에는 특정 도메인에 관련된 단어들이 계층적으로 표현되어 있고, 추가적으로 이를 확장할 수 있는 추론 규칙이 포함되어 있어, 웹 기반의 지식 처리나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지식 공유나 재사용 등이 가능하다.Ontology can be thought of as a kind of dictionary composed of words and relations. Ontology includes hierarchical expressions of words related to a specific domain, and additionally includes inference rules that can extend them. Knowledge sharing and reuse among application programs is possible.
컨텐츠 정보 전송부(140)는 실시간 전송부(142), 주기적 전송부(144) 및/또는 맞춤형 전송부(146)를 포함한다.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includes a real time transmission unit 142, a periodic transmission unit 144, and / or a customized transmission unit 146. [
컨텐츠 정보 전송부(140)는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정보를 컨텐츠 정보를 요청한 단말로 전송한다. 이 경우 실시간 전송부(142)가 정보 요청을 받은 후 요청된 정보를 요청한 단말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40 transmits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to the terminal requesting the conten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real time transmission unit 142 can transmit the requested information to the requesting terminal in real time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request.
정보를 요청한 단말은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에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대상이 되는 단말일 수 있으며, 대상이 되지 않는 단말일 수 있다.The terminal requesting the information may be a terminal to which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collects the content information, and may not be the target terminal.
예를 들어, 친구들끼리 컨텐츠 정보 중 자신들이 즐겨 듣는 음악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각 친구들이 음악을 재생하는데 사용하는 단말은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에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대상임과 동시에 컨텐츠 정보 전송부(140)가 생성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대상이기도 하다.For example, when friends share information about music they listen to in content information, a terminal used by each friend to play music is a target of collecting content information in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At the same time, 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40 is an object providing the generated content information.
커피숍에서 현재 해당 커피숍에 있는 사람들이 즐겨 듣는 음악에 대한 정보를 얻어 정보를 얻은 것을 기반으로 음악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커피숍은 생성된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는 대상일 뿐, 컨텐츠 정보의 수집 대상은 아닐 수 있다. 또는, 커피숍은 생성된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는 대상임과 동시에 컨텐츠 정보 전송부(140)가 생성된 컨텐츠 정보를 커피숍 내에 존재하는 User A의 단말(220)에 제공할 수도 있다.When a coffee shop wants to provide music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people who are currently enjoying the music they enjoy at the current coffee shop, the coffee shop is a target for receiving the generated content information, It may not be the subject. Alternatively, the coffee shop may collect the generated content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40 may provide the generated cont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20 of the user A existing in the coffee shop.
또는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의 맞춤형 정보 생성부(128)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컨텐츠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정보 또는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의 특성을 고려하여 User A의 단말(220)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Or when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8 of the provision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or 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provision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The terminal 220 may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that the user of the terminal A 220 may be interested in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generated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즉, 예를 들면, 획득된 위치정보가 음반 판매점인 경우, 컨텐츠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정보 또는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User A의 단말(220)에서 높은 빈도로 재생된 음악 파일의 가수의 최근 발매된 음반 정보 등을 User A의 단말(220)에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is a music store,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or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viding-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To the terminal 220 of the user A, the recently released music information of the singer of the music file reproduced at a high frequency in the user A '.
실시간 전송부(142)는 특정 단말의 컨텐츠 정보에 변화가 있는 경우, 또는 수집된 컨텐츠 정보의 차트 순위에 변화가 있는 경우 단말들에 변화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real time transmission unit 142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change to the terminals in real time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or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chart ranking of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실시간으로 요청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는 것은 요청이 있는 직후 바로 요청에 대한 처리를 하여 요청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To transmit the requested information in real time means to process the request immediately after the request and send the requested information.
또는 컨텐츠 정보 전송부(140)는 컨텐츠 정보를 제공한 단말들로 미리 설정된 조건과 로직에 따라 생성된 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주기적 전송부(144)가 컨텐츠 정보를 제공한 단말 또는 다른 기기들로 컨텐츠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전송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40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transmits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conditions and logic set in advance to terminals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periodic transmission unit 144 may periodically or periodically transmit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r other devices providing the content information.
다른 기기는 컨텐츠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기, 컨텐츠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기에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기기,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기기, 생성된 정보를 열람가능 한 기기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가능 한 기기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Other devices may be devices capable of playing content files, devices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 to devices capable of playing content files, devices capable of storing generated information, devices or applications capable of browsing generated information It can be any one of the devices.
맞춤형 전송부(146)가 맞춤형 정보 생성부(128)에서 생성된 정보를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에 위치 정보가 수집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예는 차후 서술한다.The customized transmission unit 146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8 to the terminal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is collect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 A concrete example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ystem to which a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를 참조하여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100)가 적용된 시스템에서 컨텐츠 정보 중 컨텐츠 재생 정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바람직한 예를 살펴본다.Referring to FIG. 2, a preferred embodiment of collecting information on content reproduction information among content information in a system to which the content information
User A의 단말(220)에는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210)이 설치되어 있고 컨텐츠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210)은 User A의 단말(220)에서 컨텐츠 재생(222)에 대한 정보를 계속적으로 수집한다. 컨텐츠 재생은 컨텐츠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21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플레이어(222a)를 이용하여 재생될 수 있으며, 다른 컨텐츠 플레이어(222c)를 이용하여 재생될 수도 있다.A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210 for collecting content information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220 of the user A and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21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또는, 임베디드 컨텐츠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Embedded Media Player)(222e)을 통한 컨텐츠 재생이 가능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Streaming) 방식(222g)으로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play back the content through the embedded content player application 222e or the streaming method 222g.
컨텐츠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210)은 상기에서 설명한 여러 방식으로 재생되는 컨텐츠 재생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210 collects information on content reproduction that is reproduced in various ways as described above.
또한, 컨텐츠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210)은 User A의 단말(220)에서 다운로드된 컨텐츠 또는 저장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도 수집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210 may also collect information about contents downloaded from the terminal 220 of the user A or stored contents.
컨텐츠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210)에서 수집한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100)의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로 전송된다.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210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of the content information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100)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로 전송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차트, 통계 또는 목록 등의 각종 형식으로된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User A의 친구들의 단말들(230)로 전송한다.The content information
User A의 친구들의 단말들(230)의 각각의 단말에도 컨텐츠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210)이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말에 설치된 컨텐츠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은 각각의 단말에서 재생되는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100)의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로 전송한다. User A의 친구들의 단말들(230)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차트, 통계 또는 목록 등의 형식으로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User A의 단말(22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ents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210 may be installed in each terminal of the friends 230 of the user A and the contents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each terminal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s reproduction And transmit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of the content information
도 3은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의 친구실시간차트 생성부가 친구실시간차트를 생성하는 바람직한 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red example in which a friend real-time chart generation unit of a contents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pparatus generates a friend real-time chart.
도 3을 참조하여 친구실시간차트를 생성하는 바람직한 예를 설명하면, User A의 친구들의 단말들(23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집한다. 컨텐츠 정보 중 파일의 재생 횟수, 추천(like) 횟수 등을 고려하여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100)에서 친구실시간 차트를 생성한다. 도 3에서는 Buddy Chart(310)가 컨텐츠 중 음악에 관하여 생성된 친구실시간차트의 일 예가 된다.Referring to FIG. 3,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referred example of generating a friend real time chart.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the terminals 230 of the friends of the user A. A friend real time chart is created in the contents information sharing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100)의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가 차트를 생성할 때에는 특정 로직(Logic)에 의하여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provision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of the content information
특정 로직은 수집된 컨텐츠 정보 중 노래 제목, 재생 횟수, 1달이나 1주일 등의 기간 또는 추천 횟수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는 User A의 친구들의 단말들(230)에서 1주일 동안 동일한 노래 제목이 재생된 횟수에 추천 횟수를 더한 수가 높은 것을 1순위로 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친구실시간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The particular logic may take into account the duration of the song title, the number of plays, the month, the week, etc., or the recommended number of times of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ent-to-be-provided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may sort content in which the same number of times the same song title is reproduced for one week in the terminals 230 of the friends of the user A, You can create a friend real time chart.
생성된 친구실시간차트는 User A의 단말(230)에 전송될 수 있다.The generated friend real time char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30 of User A.
카페(Cafe)와 같은 곳에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카페는 카페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에서 최근 10일 동안 가장 많이 재생된 음악 제목에 관한 차트를 제공받아서 카페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차트 순위대로 음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a method of providing a music servic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ce such as a cafe can be described as follows. A cafe is a chart showing a music title most played in the last 10 days ,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music service to the people using the cafe in the chart rank.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공유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100)를 이용하여 카페(Cafe), 바(Bar), 음식점 등에서 고객들에게 음악서비스를 제공할 때, 고객들이 선호하는 컨텐츠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공감적인 음악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lso, when a music service is provided to customers in a cafe, a bar, a restaurant, and the like using the content info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100)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음악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음악, 영화, 사용자 제작 컨텐츠(UCC, User Created Contents), 전자문서, 서적, 만화, TV 프로그램, 동영상, 게임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 청각이나 시각을 통하여 감상하거나 플레이(Play)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촉각이나 후각 등을 통하여 감상하거나 플레이(Play)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컨텐츠에서 모두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contents information sharing
예를 들면, User A의 단말(220)에서 전자 서적의 이용 빈도 등 전자 서적과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가 수집하면 이를 이용하여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에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정보는 컨텐츠 정보 전송부(140)를 통하여 User A의 단말(220)이나 User A의 단말(220)이 아닌 단말로도 전송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collects content information related to an electronic book, such as the frequency of use of an electronic book, in the terminal 220 of the user A,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provides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20 other than the terminal 220 of the user A or the terminal 220 of the user A through 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40. [
음악 파일이 아닌 전자서적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100)가 User A의 단말(22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가 서점에 해당하는 경우, 맞춤형 정보 생성부(128)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User A의 단말(220)에서 저장 또는 이용된 전자 서적에 관하여 수집된 정보, User A의 친구들 단말들(230)에서 저장 또는 이용된 전자 서적에 관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User A의 단말(220)이 관심 가질 만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Describe more specifically about electronic books, not music files. If the content information
예를 들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한 결과 User A가 무협소설에 관한 전자 서적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User A의 친구들이 일본 만화에 관한 전자 서적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경우, User A의 단말(220)의 위치가 서점인 경우, 맞춤형 정보 생성부(128)는 최근 인기 있는 무협소설, 최근 인기 있는 일본 만화, 최근 있기 있는 무협을 주제로 한 일본 만화 등 관심을 가질만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맞춤형 정보 생성부(128)에서 생성된 정보는 맞춤형 전송부(146)에서 서점에 위치한 User A의 단말(220)로 전송할 수 있다. 맞춤형 정보 생성부(128)는, User A의 단말(220)이 위치한 서점의 정보를 전송 받아, 해당 서점에 존재하는 서적 중에서 User A가 관심을 가질만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A uses the electronic books related to the martial arts novel most frequently as a result of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the friends of the user A use the electronic books related to the Japanese comics the most, If the location is a bookstore,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8 can generate information that may be of interest, such as recent popular martial arts novels, recent popular Japanese manga, and Japanese manga on the subject of recent martial arts.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8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20 of the user A located in the bookstore in the customized transmission unit 146.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8 may receive the information of the bookstore where the terminal 220 of the user A is located and may generate information that may be of interest to the user A among the books in the bookstore.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100)는 예로 든 음악, 서적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다양한 컨텐츠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That is, the content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a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가 각 단말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집한다(S410 단계).Referring to FIG. 4, a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method will be described.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collects content information from each terminal (S410).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130)가 각 단말로부터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을 수신한다(S420 단계).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unit 130 receives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from each terminal (step S420).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20)가 미리 설정된 조건 또는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130)에서 입력받은 조건하에서 컨텐츠 정보 수집부(110)가 수집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차트, 통계 또는 목록 등의 형식을 가진 사용자 맞춤형 실시간 컨텐츠 정보를 생성한다(S430 단계).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generates a format such as a chart, a statistic, or a list by using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under a preset condition or a condition input from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condition unit 130 Customized real-time content information having the user-customized real-time content information is generated (step S430).
컨텐츠 정보 전송부(140)는 생성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한 단말 또는 컨텐츠 정보 수집의 대상이 된 단말들로 전송한다(S440 단계).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40 transmits the generated content information to the requested terminal or the terminals that are the target of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440).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공유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quire and share contents information desired by a user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카페(Cafe), 바(Bar) 또는 음식점 등에서 고객들에게 음악서비스를 제공할 때, 고객들이 선호하는 컨텐츠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공감적인 음악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lso, when a music service is provided to customers in a cafe, a bar, a restaurant or the like using the contents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quire content information preferred by customers in real time, Service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User A의 단말(220)의 위치 정보와 User A의 단말(220)에서 다운로드, 저장 또는 재생되는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100)에서 획득된 정보와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User A의 단말(220)이 위치하고 있는 근처의 마케팅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통하여 User A가 관심을 가질만한 광고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마케팅이 가능한 디바이스로는 TV, 광고판, 디스플레이 기기 등이 될 수 있다. 광고판은 지하철, 길거리 등 다양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s terminal 220 and information of contents downloaded, stored or reproduced at the terminal 220 of the user A to generate information , The user A may receive advertisements or contents that may be of interest to the user A through a device capable of marketing near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220 of the user A is located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ntents information sharing
즉, User A의 단말(220)의 위치가 User A의 자택인 경우, User A의 자택의 TV를 통하여 제공되는 광고나 컨텐츠 내용이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수집 또는 생성된 정보를 이용한 광고나 컨텐츠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User A의 단말(220)에서 다운로드하고 재생된 컨텐츠가 다이어트에 관한 내용이 가장 많은 경우, User A의 단말(220)의 위치가 자택인 경우, User A의 자택에 존재하는 TV와 같은 디바이스에서 나오는 광고 나 컨텐츠 추천에 다이어트에 관한 광고가 나오거나 컨텐츠를 추천하도록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서 정보를 수신 받아 활용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220 of the user A is the home of the user A, the advertisements or content contents provided through the TV of the home of the user A are collected or generated using the contents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It can be an advertisement or content used. 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the contents downloaded and reproduced from the terminal 220 of the user A have the largest content regarding the diet, whe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220 of the user A is home, It is possible to receive and utilize the information in the contents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evice and method so as to advertise the diet or recommend the contents to advertisements or content recommendation from devices such as TV.
또 다른 예로는, User A의 단말(220)이 지하철 역 내인 경우, User A의 단말(220)과 가장 근접한 광고판에서 User A가 선호하거나, User A의 친구들의 단말(230)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 저장 또는 재생된 컨텐츠에 관련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서 수집 및 생성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terminal 220 of the user A is within the subway station, the user A prefers the advertisement board closest to the terminal 220 of the user A, or downloads the most from the terminal 230 of the friends of the user A, The information collected and generat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can be utilized so as to provide advertisements related to the stored or reproduced contents.
즉, 맞춤형 정보 생성부(128)에서 생성된 정보를 맞춤형 전송부(146)가 User A의 단말(220)이 위치한 곳 근처의 광고나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디바이스 또는 광고나 컨텐츠 제공 업체로 전송하고, 광고나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디바이스 또는 광고나 컨텐츠 제공 업체는 전송된 정보를 활용하여 User A의 단말(220)이 관심을 가질만한 광고나 컨텐츠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customized transmission unit 146 transmits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ustomiz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8 to an advertisement near the place where the user A's terminal 220 is located, 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contents or an advertisement or a content provider, A device or an advertisement or a content provider capable of providing advertisements or contents can select and provide advertisements or contents that user A's terminal 220 may be interested in using the transmitted info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100)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content information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Computer-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fashion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of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2)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가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차트, 통계 또는 목록 형식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 및
컨텐츠 정보 전송부가 상기 생성된 정보를 상기 단말 또는 다른 기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A content information collecting step of collecting conten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s stored or reproduced in at least one terminal,
A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step for generating at least one of a chart, a statistic, and a list format information usi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And
And a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r another device.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 제목, 상기 단말에서 재생되는 컨텐츠 제목, 상기 단말에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는 컨텐츠의 가수 또는 배우에 관한 정보,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고 있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 상기 단말에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는 컨텐츠의 종류나 장르, 상기 단말의 소유자 또는 소지자에 관한 정보, 상기 단말 소유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서 등록된 사람에 대한 정보, 상기 단말에 등록된 상기 단말과 다른 번호 또는 다른 식별자를 가지는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단말에서 컨텐츠의 재생 빈도, 상기 단말에서 다운로드 된 컨텐츠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서 컨텐츠의 재생된 시각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tent title stored in the terminal, a content title reproduced at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actors or actors of contents stored or reproduced in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owner or owner of the terminal, information on a person registered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of the terminal owner, information on the user registered in the terminal,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nother terminal having a different number or a different identifier from the registered terminal, information on the reproduction frequency of the content on the terminal, content information downloaded on the terminal, or information on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content on the terminal And a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oom .
상기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에 앞서,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가 상기 단말로부터 특정 조건을 입력받는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특정조건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 하에서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차트, 통계 또는 목록 형식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method may further include, before the provision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step,
Further comprising a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step in which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part receives a specific condition from the terminal,
Wherein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step generates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chart, a statistic, or a list form usi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under the input specific condition or preset conditions.
상기 컨텐츠정보 수집은, 설정된 시간이나 위치에서는 정보 수집을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is to restrict or prohibit information collection at a set time or location.
상기 컨텐츠는 서적, 만화, 음악, 동영상, 게임 또는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is a book, a comic, a music, a moving picture, a game, or an application.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 중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Wherein th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step is generat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mo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 중 상기 단말에 등록된 상기 단말과 다른 번호 또는 식별자를 가지는 다른 단말이나 상기 단말 소유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등록된 다른 단말에서 저장 또는 재생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Th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step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rminal having a different number or an identifier from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terminal among the collected contents information or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Is generated by using information about contents stored or reproduced in another terminal register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method.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정보 중 상기 단말이 위치한 장소의 특성과 적합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step comprises:
Wherei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acquired, information is generated by using inform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and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 전송부가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정보 또는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단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마케팅이 가능한 디바이스 또는 상기 마케팅이 가능한 디바이스에 광고를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acquired, 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may transmit at least any one of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r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step to a location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To a server capable of marketing, or a server of a company providing advertisement to a device capable of marketing.
상기 입력받는 특정 조건은, 상기 단말의 소유자 또는 소지자의 연령대에 관한 조건인 연령대 조건, 상기 컨텐츠의 종류 또는 장르에 관한 조건인 장르 조건,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에 관한 조건인 공간적 범위 조건 또는 상기 단말 소유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등록된 사람이나 상기 단말에 등록된 상기 단말과 다른 번호 또는 다른 식별자를 가지는 다른 단말 중 특정 범위에 대한 조건인 인적 범위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pecific conditions to be received include at least one of an age range condition that is an age range condition of the owner or a holder of the terminal, a genre condition that is a condition related to the type or genre of the content, a spatial range condition that is a condition relat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a human range condition that is a condition for a specific range of other terminals having different numbers or different identifiers from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owner's social network service or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terminal. Shared services method.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상기 입력 받은 특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step is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specific condition.
상기 컨텐츠 정보 전송부는, 상기 특정 조건을 입력받은 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상기 특정 조건을 입력한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processes the specific conditions in real tim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step to the terminal that has input the specific conditions.
상기 다른 기기란, 컨텐츠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기, 컨텐츠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기에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기기, 상기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기기, 상기 생성된 정보를 열람가능 한 기기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ther device may be a device capable of playing a content file, a device connected to a device capable of playing a content file by wire or wireless, a device capable of stor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a device capable of view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Wherein the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stallable device and an installable device.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차트, 통계 또는 목록 형식의 정보를 생성하는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정보 또는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단말 또는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
A cont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conten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stored or reproduced in at least one terminal;
A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nformation of a chart, a statistic, or a list format usi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And
And a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generated information or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r another terminal.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 제목, 상기 단말에서 재생되는 컨텐츠 제목, 상기 단말에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는 컨텐츠의 가수 또는 배우에 관한 정보,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고 있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 상기 단말에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되는 컨텐츠의 종류나 장르, 상기 단말의 소유자 또는 소지자에 관한 정보, 상기 단말 소유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서 등록된 사람에 대한 정보, 상기 단말에 등록된 상기 단말과 다른 번호 또는 다른 식별자를 가지는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단말에서 컨텐츠의 재생 빈도, 상기 단말에 다운로드된 컨텐츠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서 컨텐츠의 재생된 시각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tent title stored in the terminal, a content title reproduced at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actors or actors of contents stored or reproduced in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owner or owner of the terminal, information on a person registered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of the terminal owner, information on the user register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on another terminal having a different number or different identifier than the registered terminal, information on the reproduction frequency of the content on the terminal, content information downloaded on the terminal, or information on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content on the terminal Wherein the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pparatus comprises:
상기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는,
상기 단말로부터 특정 조건을 입력받는 컨텐츠 정보 생성 조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는, 상기 입력받은 특정조건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 하에서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차트, 통계 또는 목록 형식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ent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pparatus comprises:
And a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condition part for receiving a specific condition from the terminal,
Wherein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chart, a statistic, or a list form usi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under the input specific condition or preset conditions.
상기 컨텐츠는 서적, 만화, 음악, 동영상, 게임 또는 어플리케이션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tent is at least one of a book, a cartoon, a music, a moving picture, a game, or an application file.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 중 상기 단말에 등록된 상기 단말과 다른 번호 또는 식별자를 가지는 다른 단말이나 상기 단말 소유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등록된 다른 단말에서 저장 또는 재생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
1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16,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terminal having a different number or identifier than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terminal or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of the terminal owner And the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information on contents stored or reproduced in the registered other terminal.
상기 입력받는 특정 조건은, 상기 단말의 소유자 또는 소지자의 연령대에 관한 조건인 연령대 조건, 상기 컨텐츠의 종류 또는 장르에 관한 조건인 장르 조건,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에 관한 조건인 공간적 범위 조건 또는 상기 단말 소유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등록된 사람이나 상기 단말에 등록된 상기 단말과 다른 번호 또는 다른 식별자를 가지는 다른 단말 중 특정 범위에 대한 조건인 인적 범위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pecific condition to be receive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ge range condition that is an age range condition of the owner or a holder of the terminal, a genre condition that is a condition related to the type or genre of the content, a spatial range condition that is a condition related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a human range condition that is a condition for a specific range of other terminals having different numbers or different identifiers from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owner's social network service or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terminal. Shared Services Device.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상기 입력된 특정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vision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is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collected conten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specific condition.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 중 상기 단말이 위치한 장소의 특성과 적합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acquired, the terminal generates information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which is collected from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information that is appropriate.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 전송부가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 또는 상기 제공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단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마케팅이 가능한 디바이스 또는 상기 마케팅이 가능한 디바이스에 광고를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장치.16. The method of claim 15,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acquired, 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transmits at least any one of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or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roviding target cont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to a location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To a server of a company that provides advertisement to a device capable of marketing or a device capable of market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653A KR20140065611A (en) | 2012-11-19 | 2012-11-19 |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service about contents inform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653A KR20140065611A (en) | 2012-11-19 | 2012-11-19 |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service about contents inform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5611A true KR20140065611A (en) | 2014-05-30 |
Family
ID=5089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0653A Ceased KR20140065611A (en) | 2012-11-19 | 2012-11-19 |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service about contents inform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65611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56520A1 (en) * | 2016-09-23 | 2018-03-29 |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 Mobile data transfer device using mobile terminal utilization tendency, and method using same |
WO2018139777A1 (en) * | 2017-01-24 | 2018-08-02 | 김훈 | Numeric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using data structure |
WO2021177804A1 (en) * | 2020-03-06 | 2021-09-10 | 허인 |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sharing method |
US11354519B2 (en) | 2017-01-24 | 2022-06-07 | Hoon Kim | Numeric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enabling numerical information search |
-
2012
- 2012-11-19 KR KR1020120130653A patent/KR20140065611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56520A1 (en) * | 2016-09-23 | 2018-03-29 |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 Mobile data transfer device using mobile terminal utilization tendency, and method using same |
WO2018139777A1 (en) * | 2017-01-24 | 2018-08-02 | 김훈 | Numeric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using data structure |
US11354519B2 (en) | 2017-01-24 | 2022-06-07 | Hoon Kim | Numeric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enabling numerical information search |
WO2021177804A1 (en) * | 2020-03-06 | 2021-09-10 | 허인 |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shar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69090B2 (en)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indications regarding recommended content | |
US11455465B2 (en) | Book analysis and recommendation | |
KR101061806B1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media service system that performs media service through wired and wireless network | |
KR101585585B1 (en) |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user from a third party application based on action types | |
TWI528829B (en) |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portable media player, and method for media content programming, delivery, and consumption | |
AU2009229679A1 (en) | Keyword-advertisement method using meta-information related to digital contents and system thereof | |
US2013023844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on and Networking of at Least Artists, Performers, Entertainers, Musicians, and Venues | |
Schedl | Ameliorating music recommendation: Integrating music content, music context, and user context for improved music retrieval and recommendation | |
Lehtiniemi | Evaluating SuperMusic: streaming context-aware mobile music service | |
KR20140065611A (en) |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service about contents information | |
KR101070604B1 (en) | Method on multimedia content matching advertisement on wire or wireless network | |
US20140196100A1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media recommendations and a method therein | |
JP6369979B2 (en) |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system, data display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display method, and program | |
KR20140037534A (en) | Method for providing sns information using intelligent categories | |
KR10229736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based on user characteristic using content playing apparatus | |
US20110153613A1 (en) |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and method using locational/societal relation-based automatic category generation | |
KR20170058889A (en) | Method and program for location-based music streamimg service | |
CN106462618B (en) | Dynamic current results for a second device | |
JP6289134B2 (en) | Data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data processing program, and data processing system | |
KR101070741B1 (en) | Method on advertisement of content syndication system participating in digital content syndication of digital content using wire or wireless network | |
JP2016019130A (en) | Dar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or, terminal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 |
CN119250904A (en) |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medium and program product | |
TW201710932A (en) |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 |
KR20150045876A (en) | File format for transmitting audio data and its constructing method | |
KR20200023715A (en) | Method ana apparatus for recommendation contents based on common concern of vehicle's occupa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7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