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24712A - User location based monito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user surroundings image using smart device - Google Patents

User location based monito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user surroundings image using smar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4712A
KR20140024712A KR1020120091115A KR20120091115A KR20140024712A KR 20140024712 A KR20140024712 A KR 20140024712A KR 1020120091115 A KR1020120091115 A KR 1020120091115A KR 20120091115 A KR20120091115 A KR 20120091115A KR 20140024712 A KR20140024712 A KR 20140024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image
user
service providing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1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순선
Original Assignee
홍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선 filed Critical 홍순선
Priority to KR1020120091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4712A/en
Publication of KR20140024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712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촬영 장치, 스마트 기기 및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1)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위치 정보가 위험 지역에 포함되면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2)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촬영 신호를 수신한 영상 촬영 장치에 구비된 초소형의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한 사용자 주변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3)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전송받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위급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4)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계 (3)에서 위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하면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비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위험 지역에 진입하면 영상 촬영 장치에서 사용자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스마트 기기를 통해 전송받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모니터링 결과 위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하면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비상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별도의 조치 없이도 원격지에서 위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영상을 통해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저장된 영상을 사후에 증거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위험 지역에서 촬영된 사용자 주변 영상을 실시간으로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지인이나 보안 업체 등에서 사용자를 하루 종일 감시하는 것과 같은 부담 없이도, 위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지역에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놓칠 수 있는 위급 상황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video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video monitoring service in a system including an image photographing device, a smart device,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ting, by the smart device, a photographing signal to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is included in a dangerous area; (2) receiving, by the smart device, a user's surrounding image photographed by a small camera module included in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receiving the photographing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image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in real time; (3)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determining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by monitoring the received image in real time; And (4) transmitting, b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 emergency signal to a predetermined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step (3).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ith a smart device enters a dangerous area,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captures an image of the user's surroundings, and captures the captured image. If the service provision server received through the device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s a result of monitoring, an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terminal, so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can be determined and responded promptly from a remote location without a user's additional action. The situation can be judged accurately, and the stored video can be used as evidence late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user's surrounding image photographed in a dangerous area to a predetermined terminal in real time, so that an emergency situation may occur without burden such as monitoring the user all day in a user acquaintance or a security company. Users can check the safety of users by receiving the images in real-time in the most probable area, and can quickly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that can be missed b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hereby enhancing the safety of users.

Description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USER LOCATION BASED MONITO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USER SURROUNDINGS IMAGE USING SMART DEVICE}USER LOCATION BASED MONITO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USER SURROUNDINGS IMAGE USING SMART DEVICE}

본 발명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monito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video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각종 사건, 사고, 강력 범죄 등도 자주 발생하게 되었으며,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예기치 않은 범죄 상황에 노출될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개인의 응급 상황 대응 관련 분야의 기술은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효율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발적인 대응을 위하여 호신 기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타인에게 도움을 청하기 어렵고, 위험에 처하게 되면 당황하여 호신 기기를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As the society becomes more complicated, various incidents, accidents, and violent crimes have occurred frequently, and the fear of exposure to unexpected crime regardless of sex is increasing. However, the technology of th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related field has not been able to escape from the existing method and thus the efficient and prompt response has not been achieved. In some cases, a voluntary response may be carried with a self-supporting device, but in such a case, it is difficult to call for help from another person, and in case of danger, the self-supporting device cannot be used properly.

갑작스러운 사건, 사고를 당하는 경우에는 신속한 신고나 외부의 도움 요청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개인의 응급 상황 대응 관련 기술로서, 종래에는 단축키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휴대폰이나, 응급 상황 신고 전용 단말기가 이용되었다. 이는 사용자가 응급 상황 발생 시 일정 버튼 등을 누르면 미리 지정된 지인에게 연결이 되거나, 경찰서 등에 신속하게 신고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들은, 개인이 의식을 가지고 버튼을 누르는 행위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므로, 범죄에 노출되는 상황과 같이 버튼을 누르는 행위가 불가한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In the case of a sudden incident or an accident, a prompt notification or an external assistance request is required. As a technology related to the emergency response of such an individual, a cell phone or a terminal for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when the user presses a schedule button or the lik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 user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erson or is quickly notified to the police station. However, such devices must be accompanied by an act of depressing the button with the consciousness of the individual,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act of pressing the button is impossible, such as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is exposed to a crime, it becomes useless.

이에 최근에는 센서에 의해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응급 상황을 감지하고 판단하여 호출하는 응급 호출기(특허출원번호 제10-2009-0109655 참조)와 같이 인체의 맥파와 가속도 등을 이용하여 응급 상황을 판단하는 방법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어떠한 상황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어서 신속한 대처에 한계가 있고, 사후에 증거자료도 남지 않아 피해자가 고통스러운 증거 조사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Recently, the emergency situation is determined using pulse waves and acceleration of the human body, such as an emergency pager (see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109655), which detects and judges an emergency situation of a user wearing a device by a sensor. How to do it.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accurately grasp what the situation is, and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quick action, and there is no evidence after the victim, so that the victim has to undergo a painful investigation process.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스마트 기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위험 지역에 진입하면 영상 촬영 장치에서 사용자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스마트 기기를 통해 전송받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모니터링 결과 위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하면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비상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별도의 조치 없이도 원격지에서 위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영상을 통해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저장된 영상을 사후에 증거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methods, when a user with a smart device enters a dangerous area,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captures an image around the user, and captures the captured image. I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he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terminal, so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can be determined and responded promptly from a remote location without the user's additional ac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which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data and use the stored video as evidence.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위험 지역에서 촬영된 사용자 주변 영상을 실시간으로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지인이나 보안 업체 등에서 사용자를 하루 종일 감시하는 것과 같은 부담 없이도, 위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지역에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놓칠 수 있는 위급 상황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image around the user taken in a dangerous area in real time to a predetermined terminal, the possibility o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without burden, such as monitoring the user all day in a user acquaintance or security company, etc. Users can check the safety of users by receiving images in this large area in real time, and can quickly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that can be missed b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o enhance users' safet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monito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영상 촬영 장치, 스마트 기기 및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the method including providing a video monitoring service in a system including an image photographing device, a smart device,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As

(1)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위치 정보가 위험 지역에 포함되면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1) transmitting, by the smart device, a photographing signal to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is included in a dangerous area;

(2)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촬영 신호를 수신한 영상 촬영 장치에 구비된 초소형의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한 사용자 주변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2) receiving, by the smart device, a user's surrounding image photographed by a small camera module included in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receiving the photographing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image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in real time;

(3)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전송받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위급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3)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determining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by monitoring the received image in real time; And

(4)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계 (3)에서 위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하면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비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4)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to a predetermined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in the step (3)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정해진 단말기는,Preferably, the predetermined terminal,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설정받은 사용자 지인의 단말기, 경찰 단말기, 병원 단말기, 소방서 단말기, 응급의료센터 단말기, 구급기관 단말기 및 보안 업체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At least one of a user acquaintance set from the smart device, a police terminal, a hospital terminal, a fire station terminal, an emergency medical center terminal, an ambulance terminal and a security company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 이전에는,Preferably, prior to step (1)

(a) 상기 스마트 기기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지역 및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위험 지역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by the smart device, at least one of an area received from a user and an area received from a service providing server as the dangerous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는,Preferably, in the step (1)

상기 스마트 기기가 위험 지역 진입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The smart device may output a danger zone entry warn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 및 단계 (2)에서는,Preferably, in step (1) and step (2),

상기 스마트 기기와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촬영 신호 및 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다.
The smart device and the image photographing device may transmit / receive a photographing signal and an image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 이후에는,Preferably, after the step (2)

(b)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전송받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전송하여 중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b)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received image to a predetermined terminal in real time and relaying the received imag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에서는,More preferably, in step (b),

상기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푸시 메시지로 상기 중계하는 영상의 도착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Arrival notification of the relaying video may be provided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 by a push messag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는,Preferably, in the step (3)

상기 영상의 화면이 급격히 흔들리면 위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If the screen of the image shakes rapidly,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 이후에는,Preferably, after the step (3)

(c)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위험 지역을 벗어나면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 촬영 중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by the smart device, a shooting stop signal to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leaves the dangerous area.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위험 지역에 진입하면 영상 촬영 장치에서 사용자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스마트 기기를 통해 전송받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모니터링 결과 위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하면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비상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별도의 조치 없이도 원격지에서 위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영상을 통해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저장된 영상을 사후에 증거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ith a smart device enters a dangerous area,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captures an image of the user's surroundings, and captures the captured image. If the service provision server received through the device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s a result of monitoring, an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terminal, so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can be determined and responded promptly from a remote location without a user's additional action. The situation can be judged accurately, and the stored video can be used as evidence la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위험 지역에서 촬영된 사용자 주변 영상을 실시간으로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지인이나 보안 업체 등에서 사용자를 하루 종일 감시하는 것과 같은 부담 없이도, 위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지역에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놓칠 수 있는 위급 상황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user's surrounding image photographed in a dangerous area to a predetermined terminal in real time, so that an emergency situation may occur without burden such as monitoring the user all day in a user acquaintance or a security company. Users can check the safety of users by receiving the images in real-time in the most probable area, and can quickly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that can be missed b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hereby enhancing the safety of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10이 수행되는 스마트 기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100이 수행되는 스마트 기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중계 영상의 도착 알림이 제공된 사용자 지인의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영상이 전송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비상 신호가 전송된 사용자 지인의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mart device in which step S10 is performed in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video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mart device in which step S100 is performed in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video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erminal of a user acquaintance provided with an arrival notification of a relay image in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video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flow of transmitting images in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erminal of a user acquaintance to which an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in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video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영상 촬영 장치(100), 스마트 기기(200),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using a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syste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and a smart device 200. ),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the predetermined terminal 400 may be configured.

즉,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2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위험 지역에 진입하면 스마트 기기(200)가 영상 촬영 장치(100)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여,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사용자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스마트 기기(200)가 수신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하여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모니터링 결과 위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에 비상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위급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신속하게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carrying the smart device 200 enters a dangerous area, the smart device 200 transmits a shooting signal to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and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captures an image of the surroundings of the user. The smart device 200 receives the captured image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for monitoring.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 400 to accurately identify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and take an appropriate action prompt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a syste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for a user using the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영상 촬영 장치(100)는, 초소형의 카메라 모듈(110)이 구비되어 사용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쉽게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00)는 목걸이, 귀걸이, 브로치 등의 형태로 되어, 사용자가 착용 시 영상 촬영 장치(100)임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면서, 항상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 촬영 장치(100)는 목걸이 형태의 장치로서 카메라 모듈(110)이 사용자의 정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드러나 있어, 사용자 전면의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is a device that is provided with a miniature camera module 110 to photograph an image around a user, and may be easily worn by a user.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may be in the form of a necklace, an earring, a brooch, and the like, so that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is always expos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user wears it, so that the image around the user can be captured without the user's manipulation. .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cklace-type device, and the camera module 110 is ex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ront of the user, thereby collecting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user. .

특히, 본 발명의 영상 촬영 장치(100)는 블루투스 모듈을 내장하고 있어서, 카메라 모듈(110)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 주변 영상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스마트 기기(200)에 블루투스 통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은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의 하나로서, 별도의 케이블 연결 없이 고속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무선 전송에 따른 보안 위협에도 상대적으로 안전하기 때문에, 영상 촬영 장치(100)에 내장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면 사용자 주변 영상을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200)에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Bluetooth module, the image surrounding the user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10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200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Bluetooth communication is on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at high speed without a separate cable connection. In addition, since it is relatively safe even against a security threat caused by wireless transmission, by using the Bluetooth module built in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a user's surrounding image can be safely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200 possessed by the user.

스마트 기기(200)는, 영상 촬영 장치(100)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고,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촬영한 사용자 주변 영상을 전송받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200)는 이동통신망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 장치(100)에 촬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기기(200)에는 영상 촬영 장치(100)와의 안전한 통신을 위하여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의 하나로서 스마트 기기(200)가 영상 촬영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200)는 휴대가 가능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신호는 벽이나 가방 등을 통과해서 전송될 수 있으므로, 가방이나 주머니 등에 들어있는 스마트 기기(200)가 사용자가 착용한 영상 촬영 장치(100)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고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다.
The smart device 200 may transmit a photographing signal to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receive a user's surrounding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and transmit an image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have. The smart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200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function, and transmit a photographing signal to the image capturing device 100 using the 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Can be. In this case, the smart device 200 may be equipped with a Bluetooth function for safe communication with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Since Bluetooth is on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a certain distance must be maintained in order for the smart device 200 to communicate with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by Bluetooth, so the smart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portable device. . In addition, since the Bluetooth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wall or a bag, the smart device 200 included in the bag or the pocket transmits a shooting signal to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worn by the user and displays the captured image. Can be sent.

한편, 스마트 기기(200)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제품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2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루투스 통신으로 영상 촬영 장치(100)를 제어하고 영상을 수신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2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20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확인, 편집, 삭제 등을 할 수 있으며, 위험 지역을 설정하는 등 각종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Meanwhile, the smart device 200 refers to a product that is not limited in function and that can change or expand a substantial part of the function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and may be a smart phone, a smart note, a tablet PC, or the like. However, the smart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terminal as listed, and controls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receives an image,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If the image can be transmitted, the smart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lay any role,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specific terminal. In addition, the smart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progra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monitoring service around the user using the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execute the installed application program to check, edit, and delete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and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convenient interfaces such as setting a dangerous area.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기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위급 상황 발생 시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에 비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인터넷, 인트라넷, 유무선 통신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기기(200) 및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마트 기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에 실시간으로 중계할 수도 있다.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monitor an image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200 in real time through a network, and may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to a predetermined terminal 400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communicate with the smart device 200 and the predetermined terminal 400 through a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an intranet,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signals and data. Can be.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store the image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200 in a database, and may relay the image to the terminal 400 in real time through a network.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비상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주변 영상을 더 전송받을 수도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는, 스마트 기기(200)로부터 설정받은 사용자 지인의 단말기(400a), 경찰 단말기(400b), 병원 단말기(400c), 소방서 단말기(400d), 보안 업체 단말기(400e), 응급의료센터 단말기 또는 구급기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가족이나 친구 등 사용자의 지인에게 비상 신호를 전송하거나, 경찰, 병원, 소방서, 응급의료센터, 구급기관 등 비상 상황에 대응이 가능한 기관에 비상 신호를 전송하여, 위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보안 업체 간의 협력을 통하여, 보안 업체 단말기(400e)에 사용자 주변 영상을 전송하고 사용자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도록 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terminal 400 may receive an emergency signal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and may further receive a user surrounding image.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terminal 400 is a terminal 400a, a police terminal 400b, a hospital terminal 400c, a fire station terminal 400d, a security company terminal 400e of a user acquaintance set up from the smart device 200. It may be at least one of an emergency medical center terminal or an emergency rescue terminal. In other words, emergency signals are sent to acquaintances of users such as family members or friends, or to emergency responders such as police, hospitals, fire departments, emergency medical centers, and emergency services. You can make it possible. In addition,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and the security company,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user surrounding image to the security company terminal 400e and monitor the user's situation in real tim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스마트 기기(200)의 위치 정보가 위험 지역에 포함되면 영상 촬영 장치(100)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00), 스마트 기기(200)가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하는 단계(S200),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위급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에 비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200)가 위험 지역을 저장하는 단계(S10),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영상을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에 전송하여 중계하는 단계(S300) 및 스마트 기기(200)의 위치 정보가 위험 지역을 벗어나면 영상 촬영 장치(100)에 촬영 중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based on a location using a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around the user using the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recording an imag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200 is included in a dangerous area. Transmitting a photographing signal to the device 100 (S100), Smart device 200 receives the image taken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100 and transmits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200), Providing a service The server 300 monitors an image in real time to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S400)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a predetermined terminal 400 (S500). In step S10 of storing the dangerous area by the smart device 200,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ransmits an image to a predetermined terminal 400 and relays it (S300) and the smart device 200. Has location information A step (S600) for transmitting a stop recording signal to outside the test area image taking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by further comprising.

단계 S10에서는, 스마트 기기(20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지역 및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위험 지역으로 저장할 수 있다. 즉, 단계 S10에서는, 위험 지역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위험한 것으로 알려지거나 사고가 다발하는 우범 지역 등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제공하고, 이러한 지역을 위험 지역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10에서 저장하는 위험 지역은 하나일 수도 있으나, 복수일 수도 있다.
In operation S10, the smart device 200 may store at least one of an area received from the user and an area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s a dangerous area. That is, in step S10, the dangerous area may be directly input from the user, but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provide a crime area or the like, which is generally known to be dangerous or an accident occurs frequently, and may store the area as a dangerous area. . On the other hand, there may be one, but a plurality of danger zones stored in step S1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10이 수행되는 스마트 기기(2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10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위험 지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제공하는 자동 위험 지역 중에서 선택하여 위험 지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자주 지나가는 길 등에서 어둡거나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 등을 위험 지역으로 직접 설정하거나,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제공하는 일반적인 우범 지역 등을 위험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설정한 위험 지역 중에서 모니터링 할 대상이 되는 위험 지역을 선택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mart device 200 in which step S10 is performed in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in step S10 of the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around the user using the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directly set a dangerous area, and provide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danger zone may be set by selecting from the auto danger zone provided by the 300. As such, the user may directly set a dark or accidental area or the like as a dangerous area on a frequent road, or set a general crime area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s a dangerous area.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a dangerous area to be monitored from among the dangerous areas that have already been set, so that monitor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단계 S100에서는, 스마트 기기(200)가 스마트 기기(200)의 위치 정보가 위험 지역에 포함되면 영상 촬영 장치(100)에 촬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기기(200)의 이동통신망 또는 GPS 기능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한 위치 정보가 단계 S10에서 설정한 위험 지역 내이면, 영상 촬영 장치(100)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 주변 영상을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신호는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In operation S100,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200 is included in the dangerous area, the smart device 200 may transmit a photographing signal to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That is,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GPS function of the smart device 20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200 is grasped, and if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is within the dangerous area set in step S10,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The photograph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collect the user's surrounding image. In this case, the photograph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by Bluetooth communication.

단계 S100에서 스마트 기기(200)가 전송한 촬영 신호를 수신한 영상 촬영 장치(100)는, 내장된 카메라 모듈(110)을 작동하여 사용자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모듈(110)은 초소형으로서, 이때 초소형이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 형태로 영상 촬영 장치(100)가 구현되었을 때, 일반적인 펜던트나 펜던트에 부착된 장식물 등과 구분되기 어려울 정도로 작은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렌즈의 크기가 0.1~20㎜ 정도의 소형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촬영 장치(100)의 카메라 모듈(110)을 초소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영상 촬영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 등에 부담이 없고 착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In operation S100,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that receives the photographing signal transmitted by the smart device 200 may operate an embedded camera module 110 to capture an image of a user's surroundings. At this time, the camera module 110 is a very small, in this case, when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necklace as shown in FIG. This may mean a small camera having a lens size of about 0.1 to 20 mm. As such, by providing the camera module 110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in a very small size, there is no burden on the neck or shoulder of the user who wears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and the wearing comfort may be excellent.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100이 수행되는 스마트 기기(2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100에서는, 스마트 기기(200)가 위험 지역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여 영상 촬영 장치(100)에 촬영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스마트 기기(200)가 위험 지역 진입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위험 지역 진입 경고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및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진동 등의 햅틱(haptic)으로 더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위험 지역에 진입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스스로 조심할 수 있고, 주변에 위치한 범죄자나 다른 사람들에게도 경각심을 일으켜 위험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위험 지역 진입 경고를 통하여 영상 촬영 장치(100)의 존재를 외부에서 인식하게 되면 범인의 의지를 꺾어 범행을 방지할 수도 있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mart device 200 in which step S100 is performed in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using a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in step S100 of the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around the user using the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smart device 200 enters a dangerous area. By transmitting a shooting signal to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the smart device 200 may output a warning to enter the danger zone. The danger zone entry warning may be output as text and sound as shown in FIG. 4, and may be further output as a haptic such as vibration. As such, by notifying the user that the dangerous area has been entered, the user may be careful about himself or herself, and may be alerted to criminals or others located nearby to prevent the dangerous situation from occurring. In addition, when the presence of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is externally recognized through the danger zone entry warning, the criminal may be prevented by breaking the will of the criminal.

단계 S200에서는, 스마트 기기(200)가 촬영 신호를 수신한 영상 촬영 장치(100)에 구비된 초소형의 카메라 모듈(110)에서 촬영한 사용자 주변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기기(200)는 영상 촬영 장치(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기기(200)가 영상 촬영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주변 영상을 수신할 때에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영상을 전송할 때에는 인터넷, 유무선 통신망, 이동통신망 등의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200에서는 스마트 기기(200)가 원격지에 있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안정적으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기기(200)는 수신한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증거자료 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도 있다.
In operation S200, the smart device 200 receives a user surrounding image photographed by the ultra-compact camera module 110 included in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that receives the photographing signal, and provides the received image in real time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 to 300. That is, the smart device 200 may transmit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 real time. In this case, when the smart device 200 receives the user's surrounding image from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it uses Bluetooth communication, and when transmitting the image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used. It is available. Therefore, in step S200, the smart device 200 can stably transmit the image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 the remote. On the other hand, the smart device 200 may store the received image in the memory to secure the evidence and the like.

단계 S3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전송받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에 전송하여 중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위험 지역에 있는 경우,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수집한 영상을 사용자의 지인이나 보안 업체 등이 직접 모니터링 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단계 S300에서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에 전송하여 중계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300에서는,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에 푸시 메시지로 중계하는 영상의 도착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In operation S300,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relay the received image to the terminal 400 in real time in real time. That is, when the user is in a dangerous area, the acquaintance or security company of the user directly monitors the image collected by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so as to grasp the situation of the user in real time. It can be relayed by transmitting to a predetermined terminal 400. At this time, in step S300, the arrival notification of the video relayed in the push message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 400 may be provid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중계 영상의 도착 알림이 제공된 사용자 지인의 단말기(400a)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300에서는, 푸시 메시지로 사용자가 착용한 영상 촬영 장치(100)에 의하여 중계되는 영상이 도착했음을 사용자 지인의 단말기(400a)와 같은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에 푸시 메시지로 알려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푸시 메시지에서 “영상 보기”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 지인 등은 사용자 주변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S300에서는, 사용자가 위험 지역 내에 있을 때 영상을 전송하기 때문에, 사용자 지인 등은 사용자를 하루 종일 감시하는 것과 같은 부담 없이도, 위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경우에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erminal 400a of a user acquaintance provided with an arrival notification of a relay image in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s shown in FIG. 5, in step S300 of the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around the user using the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worn by the user by a push message is provided. By the arrival of the video relayed by the user acquaintances such as the terminal 400a can be informed in a push message to a predetermined terminal 400. By selecting “view image” in the push message shown in FIG. 5, a user acquaintance may monitor the user's surrounding image in real time. In step S30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transmits the image when the user is in a dangerous area, the user acquaintances receive the image in real time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is likely to occur even without the burden of monitoring the user all day long. You can check whether the user is saf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영상이 전송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단계 S100 및 단계 S200에서 스마트 기기(200)와 영상 촬영 장치(100)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촬영 신호 및 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고, 단계 S200에서 스마트 기기(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영상을 전송하며, 단계 S30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다시 네트워크를 통해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에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한 영상 촬영 장치(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스마트 기기(200),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에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중계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영상을 전송받는 사용자 지인이나 보안 업체 등은, 사용자 주변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transmitting images in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around the user using the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device 200 and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S100 and S200) may be used. 100 may transmit and receive a photographing signal and an image by u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and in step S200, the smart device 200 transmits an image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and in step S300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May again transmit the image to the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worn by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200,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the predetermined terminal 400 in real time to be relayed. Can be. A user acquaintance or a security company receiving an image using the predetermined terminal 400 may check the image around the user in real time.

단계 S4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전송받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위급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단계 S200에서 전송받은 사용자 주변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 위급 상황 발생 여부의 판단은 전송받은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처리될 수 있으며,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의 화면이 급격히 흔들리면 위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쓰러지거나 누군가에게 맞는 등의 상황에서는 영상 촬영 장치(100)가 심하게 흔들릴 수 있으므로, 촬영된 영상의 화면이 급격히 흔들릴 수 있다. 또한, 영상에 흉기가 등장하는 경우 등에도 위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operation S400,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by monitoring the received image in real time.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store the surrounding image of the user received in step S200 in a database, and may monitor the image in real time to determine the user's situation.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step S400 may be processed by analyzing the received image, and may utilize image analysis technology. For example, if the screen of the image shakes rapidly,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Since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may be severely shake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falls down or is suitable for someone, the screen of the captured image may be sharply shaken. In addi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even when a weapon appears in an image.

한편, 단계 S400에서는, 위급 상황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관리자에게 비상 상황의 확인을 받아 비상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관리자로부터 비상 신호를 전송할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의 선택을 입력받아, 선택된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에 비상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S400, in order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administrator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receive the confirm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and may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In addition, the manager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receive a selection of a predetermined terminal 400 to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and may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to the selected predetermined terminal 400.

단계 S5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단계 S400에서 위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하면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에 비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위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지인의 단말기(400a)에 비상 신호를 전송하거나, 경찰 단말기(400b), 병원 단말기(400c), 소방서 단말기(400d), 보안 업체 단말기(400e) 등에 비상 신호를 전송하여 신고를 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마트 기기(2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위치한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정해진 단말기(400)에 비상 신호와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단계 S200에서 수신한 사용자 주변 영상을 더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기기(200)의 위치 정보나 영상을 비상 신호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처한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다.
In operation S500, whe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operation S400,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 400. That is, emergency respons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400a of a user acquaintance, or a police terminal 400b, a hospital terminal 400c, a fire station terminal 400d, and a security company terminal 400e so as to quickly respond in an emergency situation. You can report by sending an emergency signal to your back. In this case,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mart device 200, or may receive the information on the dangerous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transmit it with the emergency signal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 400, in step S200 The received surrounding image of the user may be further transmitted. As such, by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image of the smart device 200 with the emergency signal,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situation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and to respond quickly.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비상 신호가 전송된 사용자 지인의 단말기(400a)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500에서는, 비상 신호를 사용자 지인의 단말기(400a)에 푸시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고 사용자 지인이 위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지인의 단말기(400a)에 구비된 모바일 지도 등과 연동하여, 주소로만 알기 어려운 스마트 기기(200)의 위치를 사용자 지인이 쉽게 파악할 수 있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erminal 400a of a user acquaintance to which an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in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around a user using a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in step S500 of the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around the user using the smar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ergency signal is pushed to the terminal 400a of the user acquaintance. By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200 together,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o quickl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acquaintance. In addition, in conjunction with a mobile map provided in the terminal 400a of the user acquaintance, the user acquaintance can easi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smart device 200 that is difficult to know only by the address.

단계 S600에서는, 스마트 기기(200)가, 스마트 기기(200)의 위치 정보가 위험 지역을 벗어나면 영상 촬영 장치(100)에 촬영 중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기기(200)는 단계 S10에서 설정한 위험 지역을 벗어나면 촬영 중지 신호를 영상 촬영 장치(100)에 전송하여, 사용자 주변 영상의 촬영 및 영상의 전송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단계 S40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위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기기(2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단계 S600을 처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기기(200)가 영상 촬영 장치(100)에 촬영 중지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여, 위험 지역을 벗어나더라도 사용자 주변 영상의 촬영이 지속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위급 상황에서는 위험 지역 여부에 상관없이 영상을 촬영하고, 스마트 기기(20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촬영된 영상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위급 상황을 추적하고 증거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In operation S600,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200 leaves the dangerous area, the smart device 200 may transmit a stop signal to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That is, when the smart device 200 leaves the dangerous area set in step S10, the smart device 200 may transmit a stop signal to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to stop capturing the image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image. However, whe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step S400, the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200 through the network so as not to process step S600. That is, the smart device 200 may not transmit the stop signal to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so that even if the user is out of the danger zone, the recording of the image around the user may be continued. As such, in an emergency situation, an image may be taken regardless of a danger area,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the captured image through the smart device 200 to track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and secure evidence data. hav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vention.

100: 영상 촬영 장치 110: 카메라 모듈
200: 스마트 기기 300: 서비스 제공 장치
400: 미리 정해진 단말기 400a: 사용자 지인의 단말기
400b: 경찰 단말기 400c: 병원 단말기
400d: 소방서 단말기
S10: 스마트 기기가 위험 지역을 저장하는 단계
S100: 스마트 기기의 위치 정보가 위험 지역에 포함되면 영상 촬영 장치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S200: 스마트 기기가 영상 촬영 장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S300: 서비스 제공 서버가 영상을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전송하여 중계하는 단계
S400: 서비스 제공 서버가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위급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500: 서비스 제공 서버가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비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S600: 스마트 기기의 위치 정보가 위험 지역을 벗어나면 영상 촬영 장치에 촬영 중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100: video recording device 110: camera module
200: smart device 300: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predetermined terminal 400a: terminal of the user acquaintance
400b: police terminal 400c: hospital terminal
400d: fire station terminal
S10: step where the smart device saves the hazardous area
S100: step of transmitting a shooting signal to the imaging devic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is included in the danger area
S200: step of receiving, by the smart device,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S300: step of relaying, b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ting an image to a predetermined terminal
S400: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b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monitors the video in real time
S500: step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a predetermined terminal
S600: transmitting a stop signal to the video recording devic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is out of the danger zone

Claims (9)

영상 촬영 장치, 스마트 기기 및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1)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위치 정보가 위험 지역에 포함되면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2)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촬영 신호를 수신한 영상 촬영 장치에 구비된 초소형의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한 사용자 주변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3)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전송받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위급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4)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계 (3)에서 위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하면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비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an image monitoring service in a system including an image photographing device, a smart device,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1) transmitting, by the smart device, a photographing signal to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is included in a dangerous area;
(2) receiving, by the smart device, a user's surrounding image photographed by a small camera module included in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receiving the photographing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image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in real time;
(3)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determining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by monitoring the received image in real time; And
And (4) transmitting the emergency signal to a predetermined terminal whe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step (3). How to Prov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설정받은 사용자 지인의 단말기, 경찰 단말기, 병원 단말기, 소방서 단말기, 응급의료센터 단말기, 구급기관 단말기 및 보안 업체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terminal,
Location based user surrounding image using the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of the terminal, police terminal, hospital terminal, fire station terminal, emergency medical center terminal, emergency services terminal and security company terminal of the user acquaintance set from the smart device. How to Provide Monitoring Ser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이전에는,
(a) 상기 스마트 기기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지역 및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위험 지역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before step (1),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by the smart device, at least one of an area received from a user and an area received from a service providing server as the dangerous area. How to Provide Monitoring Ser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위험 지역 진입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step (1)
Wherein the smart device outputs a warning to enter the danger zone, location-based user surrounding image monito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ma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및 단계 (2)에서는,
상기 스마트 기기와 상기 영상 촬영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촬영 신호 및 영상을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1) and step (2),
The smart device and the image photographing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a photographing signal and an image by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location-based image monito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sma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이후에는,
(b)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전송받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전송하여 중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fter the step (2)
and (b) transmitting, b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received image to a predetermined terminal in real time, and relaying the received image, in real ti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푸시 메시지로 상기 중계하는 영상의 도착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in step (b),
And providing a notification of arrival of the relayed video in a push message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영상의 화면이 급격히 흔들리면 위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step (3)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video monitoring service around the user using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f the screen of the video shakes sharp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 이후에는,
(c)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위험 지역을 벗어나면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 촬영 중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fter the step (3)
(c) the smart device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a stop signal to the image capturing devic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leaves the dangerous area; How to provide video monitoring service.
KR1020120091115A 2012-08-21 2012-08-21 User location based monito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user surroundings image using smart device Abandoned KR201400247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115A KR20140024712A (en) 2012-08-21 2012-08-21 User location based monito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user surroundings image using smar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115A KR20140024712A (en) 2012-08-21 2012-08-21 User location based monito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user surroundings image using smar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712A true KR20140024712A (en) 2014-03-03

Family

ID=5064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115A Abandoned KR20140024712A (en) 2012-08-21 2012-08-21 User location based monito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user surroundings image using smar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4712A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464A (en) * 2014-09-16 2016-03-24 박찬영 Social security network method and system
WO2016072644A1 (en) * 2014-11-06 2016-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warning of danger
WO2017146297A1 (en) * 2016-02-22 2017-08-31 신현해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llegal leakage of hidden camera image and coping with crime in real-time
WO2018070565A1 (en) * 2016-10-12 2018-04-19 신현해 Camera module and wearable accessory device comprising same
US10121075B2 (en) 2014-11-06 2018-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warning of danger
KR20200066033A (en)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디투리소스 Intelligent System for Identifying Pot Hole using Mobile Device
KR20200071827A (en) 2018-11-30 2020-06-22 주식회사 디투리소스 Pot Hole Identifying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265840B1 (en) * 2020-10-07 2021-06-17 (주)일신이디아이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neckband type omnidirectional camera in LTE integra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464A (en) * 2014-09-16 2016-03-24 박찬영 Social security network method and system
WO2016072644A1 (en) * 2014-11-06 2016-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warning of danger
US10121075B2 (en) 2014-11-06 2018-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warning of danger
WO2017146297A1 (en) * 2016-02-22 2017-08-31 신현해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llegal leakage of hidden camera image and coping with crime in real-time
WO2018070565A1 (en) * 2016-10-12 2018-04-19 신현해 Camera module and wearable accessory device comprising same
KR20200066033A (en)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디투리소스 Intelligent System for Identifying Pot Hole using Mobile Device
KR20200071827A (en) 2018-11-30 2020-06-22 주식회사 디투리소스 Pot Hole Identifying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265840B1 (en) * 2020-10-07 2021-06-17 (주)일신이디아이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neckband type omnidirectional camera in LTE integra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0272B2 (en) Personal safety and security mobile application responsive to changes in heart rate
KR20140024712A (en) User location based monito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user surroundings image using smart device
US8665089B2 (en) Personal safety mobile notification system
KR101583378B1 (en) Individual protec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863082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hreat assessment, safety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individuals and groups
KR101654609B1 (en) Remote Smart Monitoring System for Handicapped, Disabled and Elderly Living Alone and Method thereof
US20150230072A1 (en) Personal safety mobile notification system
US2014011814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questing the aid of security volunteers using a security network
JP4891113B2 (en) Emergency call system with emergency call function and emergency response function
CN102378995A (en) Emergency call device
CN104900006A (en) Wearable device-based smart personal security system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JP2008203985A5 (en)
JP6388018B2 (en) Safety confirmation device, safety confirmation system, safety confirmation method, and safety confirmation program
KR101485449B1 (en) Method for responding to emergency situations by cooperation between users using smart device
US20140176329A1 (en) System for emergency rescue
KR20100061104A (en) Realtime interactive safety control system using cctv camera, and method thereof
CN108288365A (en) A kind of intelligent alarm method, intelligent terminal and intelligent alarm processing system
KR20110035420A (en) Hazard notification method using detection sensor
KR101509924B1 (en) Crime preventing potable device, Crime monitoring system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KR101453248B1 (en) Crime prevention monitoring system for electronic ankle bracelet wearers
JP2017080382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automatic imag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KR100975861B1 (en) Family peace of mind service system
EP3440647B1 (en) Method for the remote monitoring of persons through smart mobile terminals and web services
JP6514488B2 (en) Wearable terminal
JP5982674B1 (en) Automatic ima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7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