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5744A - Cloud type operating method for certificate - Google Patents
Cloud type operating method for certific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15744A KR20140015744A KR1020120080360A KR20120080360A KR20140015744A KR 20140015744 A KR20140015744 A KR 20140015744A KR 1020120080360 A KR1020120080360 A KR 1020120080360A KR 20120080360 A KR20120080360 A KR 20120080360A KR 20140015744 A KR20140015744 A KR 201400157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rtificate
- terminal
- user
- identification information
- designa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6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LDSJMFGYNFIFRK-UHFFFAOYSA-N 3-azaniumyl-2-hydroxy-4-phenylbutanoate Chemical compound OC(=O)C(O)C(N)CC1=CC=CC=C1 LDSJMFGYNFIF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00 validat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04L9/3268—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using certificate validation, registration, distribution or revocation, e.g. certificate revocation list [CR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dditional secure or trusted devices, e.g. TPM, smartcard, USB or software tok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은,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N(N≥1)개의 단말을 지정 식별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이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의해 지정 식별되는 N개의 지정된 단말 중 제n(1≤n≤N) 단말인지 인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지정된 제n 단말로 인증된 경우에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가 상기 제n 단말을 통해 이용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operating a cloud type certificat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cloud type certific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operating a cloud type certificate executed by a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storing a certificate issued to a user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nd a second step of storing design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N (N≥1) terminals that can use the stored certificate; and N, in which the terminal used by the user is designated and identified by the design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third step of authenticating whether the terminal is the nth (1 ≦ n ≦ N) terminal among the designated terminals, and when the terminal of the user is authenticated as the designated nth terminal,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s stored in the nth terminal. A fourth step of processing to be used through.
Description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저장한 후에,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상기 단말에 구비된 인증서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toring a certificate issued to a user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on a network, the terminal used by the user can process a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s a certificate provided in the terminal. .
통신망을 이용한 비대면 방식으로 뱅킹거래를 이용하거나, 또는 일정 금액 이상의 지불결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발급된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인증서 처리가 수반되어야 한다.
In order to use banking transactions in a non-face-to-face manner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or to use payment settlement over a certain amount, a certificate processing using an accredited certificate issued to a user must be accompanied.
상기와 같은 인증서 처리를 위해서는 비대면 거래를 처리하는 사용자의 단말에 해당 사용자의 인증서가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과 연동 가능한 사용자의 휴대 매체(예컨대, USB메모리, IC카드, HSM, 플로피디스크 등)에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In order to process the certificate as described above, the user's certificate is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processing the non-face-to-face transaction, or the user's portable media (eg, USB memory, IC card, HSM, floppy disk)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the user's terminal. Etc.) should be stored in the user's certificate.
그러나 대부분의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특정 단말만을 이용하여 비대면 거래를 처리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이라면 어떠한 단말이라고 비대면 거래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인증서를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모든 단말에 저장하는 것은 보안상 치명적인 문제를 유발한다. 물론 사용자의 휴대 매체에 사용자의 인증서를 저장하고 상기 인증서 처리가 필요할 때마다 상기 휴대 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꺼내 쓸 수는 있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의 휴대 매체가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든 단말과 연동 가능한 것은 결코 아니다. 즉 상기 사용자의 휴대 매체와 연동 가능한 모듈을 구비한 단말을 제외한 다른 단말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 매체에 저장된 인증서를 꺼내 쓸 수 없다.
However, most users do not process non-face-to-face transactions using only one specific terminal. Any terminal used by the user can be used for non-face-to-face transactions. However, storing the user's certificate in all the terminals available to the user causes security problems. Of course, the user's certificate may be stored in the user's portable medium, and the user's certificate may be extracted from the portable medium whenever the certificate is required. However, the portable medium of the user may not be interoperable with all the terminals used by the user. In other words, except for a terminal having a module interoperable with the portable medium of the user, a terminal stored in the portable medium of the user cannot extract and write the certificat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N(N≥1)개의 단말을 지정 식별하여 등록한 후,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로부터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요청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지정 등록된 N개의 단말 중 제n(1≤n≤N) 단말인지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제n 단말로 인증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제n 단말을 통해 상기 저장된 인증서기 이용되도록 처리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store a certificate issued to a user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nd to identify and register N (N≥1) terminals that can use the stored certificate, the user When the user terminal is requested to use the stored certificate from the terminal to be used, the terminal of the user is authenticated whether it is an n (1≤n≤N) terminal among the N terminals designated and registered, and the terminal of the user is the nth terminal In the case of being authenticated to provide a cloud type certificate management method for processing to use the stored certificate device through the n-th terminal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은,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N(N≥1)개의 단말을 지정 식별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이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의해 지정 식별되는 N개의 지정된 단말 중 제n(1≤n≤N) 단말인지 인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지정된 제n 단말로 인증된 경우에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가 상기 제n 단말을 통해 이용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cloud type certificate, the method of operating a cloud type certificate executed by a server, comprising: a first step of storing a certificate issued to a user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 second step of storing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 RTI ID = 0.0 > ≥1) < / RTI > terminals, and n (1≤n≤N) of the N designated terminals whose terminal used by the user is identified and identified by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third step of authenticating whether the terminal is a terminal, and a fourth step of processing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o be used through the n-th terminal when the terminal of the user is authenticated to the designated n-th terminal.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본인 인증이 처리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an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is issued to the user when the identity authentication of the user is processed. The stored certificat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인증서를 발급한 인증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제공받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제공받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is to receive a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from the certificate server that issued the certificate to the user to store in the storage medium, or to provide a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from the user's termina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eceiving and storing in the storage medium.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인증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의 전체 구성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의 일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인증서에 일부 구성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인증서의 일부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기 N개의 지정된 단말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N개의 지정된 단말을 통해 이용될 인증서를 저장하는 사용자 소유의 휴대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may include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or may include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On the other hand, when some components are included in a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some of the stored certificates are stored in the N designated terminals or store the certificates to be used through the N designated terminals. It can be stored in a user-owned portable medium.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증서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는, 상기 인증서의 발급기관이 운영하는 저장매체, 상기 인증서의 등록기관이 운영하는 저장매체, 상기 서버에 구비된 저장매체, 상기 서버에서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torage medium for storing the certificate, the storage medium operated by the issuer of the certificate, the storage medium operated by the registration authority of the certificate, the storage medium provided in the server, the network accessible from the serve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torage medium o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상기 인증서가 이용될 단말을 지정 등록하는지에 대한 사용자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ep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performing a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on whether a user who has issued the certificate designates and registers a terminal to which the certificate is to be us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를 고유 인증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지정대상 식별정보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ep may further include acquir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uniquely authenticating the user who has issued the certificate, wherein the N design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mapped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d. Can b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는, 지정된 단말의 읽기/쓰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지정된 단말에 구비된 IC칩에 저장된 정보, 지정된 단말의 읽기전용 메모리에 기록된 정보, 지정된 단말의 하드웨어적 구성품에 할당된 정보, 지정된 단말의 통신식별 정보, 지정된 단말에서 생성된 정보, 지정된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 지정된 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정보, 지정된 코드생성모듈을 통해 동적 생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tored in a read / write memory of a designated terminal, information stored in an IC chip provided in a designated terminal, information recorded in a read-only memory of a designated terminal, and hardware of the designated terminal.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ssigned to a component,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ed terminal, information generated from a specified terminal, information input from a specified terminal, information identifying a program included in a specified terminal, and information dynamically generated through a designated code generation module It may be made of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은, 상기 인증서가 이용될 단말로 등록 가능한 각 단말의 종류, 통신망 및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각 단말의 지정대상 식별정보로 이용 가능한 M(M≥1)개의 지정 정보를 지정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 조건이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등록되는 단말의 지정대상 식별정보 조건에 부합하는 M개의 지정 정보 중에서 m(1≤m≤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based certificate management method, M (M≥M) that can be us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on the basis of at least one of a type,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latform that can be registered as a terminal to be used for the certificat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setting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ditions for designating 1 design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second step includes m (1≤ 1) among M designation information meeting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ditions of the registered terminal.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m ≦ M) design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단말 지정 등록을 위해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을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로 지정 등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상기 저장된 인증서가 이용될 단말로 지정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step, when designating and registering a terminal of a user connected for terminal designation registration as an available terminal,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cluding one or more designation information designated from the terminal of the user. Receiving the information, or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the terminal of the user from the receiving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designated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terminal of the user,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terminal of the us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cquiring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ignating the terminal to which the stored certificate is to be us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단말 지정 등록을 위해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 이외에 상기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다른 단말을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로 지정 등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로 등록되는 대상 단말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대상 단말에 대한 단말정보를 근거로 상기 대상 단말로부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대상 단말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대상 단말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단말을 상기 저장된 인증서가 이용될 단말로 지정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step, when designating and registering another terminal available to the user as a terminal that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terminal of the user connected for terminal designation registration, the certificate from the terminal of the user. Receiv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designation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target terminal registered as an available terminal, or one or more designation designated from the target terminal based on terminal information on the target terminal provided from the user's terminal. Received by the user through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receiving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or receiving one or mor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target termi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managing the target terminal It is possible that the stored certificate is It is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obtaining the specified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요청하는지에 대한 사용자 본인 인증 절차와, 상기 N개의 단말을 등록한 사용자가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요청하는지에 대한 사용자 본인 인증 절차 중, 적어도 하나의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includes a user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of whether a user who has issued the certificate requests the stored certificate, and a user who knows whether a user who has registered the N terminals requests the stored certificat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at least one identity verification procedur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를 고유 인증하는 사용자 식별정보가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step,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ly authenticating the user is mapped and stored with the designated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of the user is compared with the stor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uthenticating the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저장된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와 매칭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지정대상 식별정보와 상기 저장된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상기 지정된 제n 단말로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may include receiving, from the terminal of the user,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one or more desig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ored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uthenticating the terminal of the user as the designated n-th terminal by comparing the stored designat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로 이용 가능한 M(M≥1)개의 지정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지정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m(1≤m≤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의 구성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지정대상 식별정보와 상기 저장된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상기 지정된 제n 단말로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includes m (1≤m≤M) designation information used to designate and identify the terminal of the user among M (M≥1) designation information available as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firming a configuration of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receiving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m design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s terminal; and receiving the designated design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tored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uthenticating the terminal of the user as the designated n-th terminal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는, 지정된 단말에 고정 유지된 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지정된 단말에 고정 유지된 둘 이상의 정보 중 일부는 인증되고 나머지 일부는 인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대한 폐기 절차 또는 재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two or more designation information fixed to the designated terminal, and when some of the two or more information fixed to the designated terminal are authenticated and the other part is not authenticat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a discard procedure or a re-registration procedure for the designated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상기 제n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tep may provide the stored user's certificate to the n-th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의 일부 구성을 상기 제n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n 단말은, 상기 제공되는 인증서의 일부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구비되어 있거나, 상기 사용자 소유의 휴대 매체에 구비된 상기 인증서의 나머지 구성을 이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서의 일부 구성은, N개의 지정된 단말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N개의 지정된 단말 별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인증서의 나머지 구성은, N개의 지정된 단말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N개의 지정된 단말 별로 서로 다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tep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to the n-th terminal, the n-th terminal, the remaining configuration except for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provided It may be provided, or the remaining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provided in the user-owned portable media may be available. Meanwhile, some components of the certificate may be the same for N designated terminals or different for each of N designated terminals,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certificate may be the same for N specified terminals or N specified terminals. Each terminal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통해 상기 제n 단말의 인증서 처리를 대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tep may be performed for the certificate processing of the n-th terminal through the stored user's certificate.
본 발명에 따르면, 비대면 거래를 위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이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기만 한다면 언제 어디서나 해당 단말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비대면 거래를 위한 인증서 처리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 terminal used by a user for a non-face-to-face transaction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ertificate processing for the face-to-face transac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on the network through the terminal anytime, anywhere. There is an advantage to becom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에서 인증서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에서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을 지정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에서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사용자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에서 저장매체에 등록된 인증서를 확인/추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또는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클라우드 방식으로 인증서를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loud type certifica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provided in a terminal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 certificate in a cloud type certificat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pecifying and registering a terminal that can use a certificate in a cloud type certificat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 user who can use a certificate in a cloud type certificat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hecking / extracting a certificate registered to a storage medium in a cloud type certificat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or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using a certificate in a clou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서버 측에 구비된 구성부가 단말 측에 구현되거나, 반대로 단말 측에 구비된 구성부가 서버 측에 구현되는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a configuration provided on the server side is implemented on the terminal side, or conversely, a configuration portion provided on the terminal side is implemented on the server side.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ly.
도면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oud type certificate management system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네트워크 상의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저장한 후에,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200)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도면을 통해 설명되는 실시 방법은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이 미리 지정되는 구성을 기본 구성으로 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상기 저장매체(115)에 인증서가 저장되는 시점과 상기 저장된 인증서가 이용되는 시점의 사용자 본인 인증 절차에 대한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면,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을 지정하는 구성이 생략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또는 변형하여 실시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In more detail, in FIG. 1, after storing a certificate issued to a user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on a network, the terminal 200 used by the user may use a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s illustrated in FIG. 1,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refer to and / or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to implement the cloud type certificate management system. It may be inferred that the implementation is omitted, subdivided, or combin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the technical features are limited only by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Not. Preferably, the method described through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configuration in which a terminal that can use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s designated in advance.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urity features of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may be maintained when the certificate i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and when the stored certificate is us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nfiguration for designating a terminal that can use the certificate can be omitted, and 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implementation methods which are implemented by omitting or modifying some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시스템은,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200)과,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200)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하도록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을 통해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가 이용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운영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운영 서버(100)는 실시 방법에 따라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방식의 인증서를 운영하는 사업자 측에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인증서를 발급한 발급기관이나 상기 인증서의 등록기관(예컨대, 금융기관 등) 및 각종 제휴기관(예컨대, 금융결제원 등)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서버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 되는 시점의 비즈니스 여건과 관련 법률에 따라 상기 운영 서버(100)의 일부 구성은 사업자 측에 구축되고 나머지 일부 구성은 상기 발급기관이나 등록기관 또는 제휴기관 등에 구출되는 것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도면과 설명은 하나의 운영 서버(100)에서 본 발명의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를 운영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운영 서버(100)가 둘 이상의 서버 형태로 구현될 경우에 상기 둘 이상의 서버 중 서버(2)에서 특정 프로세스를 실제로 처리하지만 이를 위해 단말 또는 서버(1)에서 상기 서버(2)의 특정 프로세스를 유발하거나 이와 연관된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 또는 서버(1)에서도 상기 특정 프로세스가 “~되도록 처리”한다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The cloud-based certifica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one or more terminals 200 used by a user who has issued a certificate, and stores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and the terminal 200 used by the user. When requesting to use a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s used through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ion server 100.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rver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may be built on the operator side of operating the certificate of the cloud method, issuing issued the certificate Any server that exists on the network, including an institution, a registrar of the certificate (for example, a financial institution, etc.), and various affiliated organizations (for example, a financial settlement agency, etc.) may be formed in any form.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usiness conditions and related laws at the time of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ound that some components of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be built on the operator side, and some components may be rescued from the issuer, the registrar, or the affiliated organization. It is a bar. In addition,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loud-type certific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operation server 100, when the operation server 100 is implemented in more than one server form the two or more Among the servers, the server 2 actually processes a specific process, but for this purpose, the terminal or the server 1 also causes the terminal or the server 1 to cause a specific process of the server 2 or a process related thereto. It is to be noted that the term "process to be" can be used.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200)은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단말은 물론 상기 사용자가 인증서 등록 또는 이용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모든 단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이용하는 개인컴퓨터와 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유선단말(200), 사용자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하는 무선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이 상술된 유선단말(200)과 무선단말(20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망에 연결되는 결제단말(200)(예컨대, POS, CAT 등), 금융단말(200)(예컨대, CD, ATM), 통화단말(200)(예컨대, 유선전화, 무선전화, VoIP폰), 가전단말(200) 등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The terminal 200 used by the user is a generic term for all terminals that the user can use for registering or using a certificate as well as a terminal owned by the user. Preferably, the terminal 200 includes a personal computer, a laptop, and the like used by the user.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 wireless terminal 200 including a user's mobile phone, a smart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However,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wired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but the payment terminal 200 (for example, POS, CAT, etc.)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financial terminal 200 (For example, CD, ATM), call terminal 200 (eg, landline, wireless telephone, VoIP phone), consumer terminal 200, etc. It can be evident that it can include all kinds of terminal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은 상기 인증서 등록 또는 이용을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의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탑재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예컨대, 브라우져, 뱅킹프로그램, 결제프로그램 등)에 플러그인 처리되는 플러그인프로그램(예컨대, 액티브엑스 등)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탑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이 브라우져를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접속하는 경우에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 제공하는 페이지에 상기 인증서 등록 또는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코드(예컨대, 자바스크립트 등)를 삽입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탑재되지 않더라도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equipped with one or more programs for registering or using the certificate. The program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operating i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terminal 200 is mounted on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or an application program (eg, a browser,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200) A banking program, a payment program, etc.) may be mounted on the user's terminal 200 in the form of a plug-in program (eg, ActiveX).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a browser, the operation server 100 is a program for registering or using the certificate on the pag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Code (eg, JavaScript, etc.) may be inserted and provided to the user's terminal 200. In this case, even if a separate program is not mounted on the user's terminal 200
상기 운영 서버(100)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단말(200)을 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를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총칭으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하는 절차와,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N(N≥1)개의 단말(200)을 지정 식별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절차와,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200)이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의해 지정 식별되는 N개의 지정된 단말(200) 중 제n(1≤n≤N) 단말(200)인지 인증하는 절차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이 상기 지정된 제n 단말(200)로 인증된 경우에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가 상기 제n 단말(200)을 통해 이용되도록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만약 상기 운영 서버(100)가 둘 이상의 서버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절차는 각 서버에서 상호 연동하여 수행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과 운영 서버(100)는 통신망을 통한 인증서 이용이 가능한 수준의 보안 프로토콜(예컨대, 암/복호화 방식, 키 교환 알고리즘 등)이 설정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server 100 is a generic term for at least one serv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rvers operating a cloud type certific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rgeting a terminal 200 of one or more users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A procedure for storing a certificate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a procedure for storing identification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esignating and identifying N (N≥1) terminals 200 that can use the stored certificate, and a terminal used by the user. A procedure for authenticating whether the 200 is an n (1 ≦ n ≦ N) terminal 200 among the N designated terminals 200 identified and designated by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authenticated with the designated n-th terminal 200,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s processed through the n-th terminal 200. If the primary server 100 is composed of two or more server combinations, it is apparent that the procedure may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in each server.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operation server 100 is a security protocol (eg, encryption / decryption method, key exchange algorithm, etc.) of the level that can be us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se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for convenience. Let's do it.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될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본인 인증 절차부(120)와,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될 사용자의 인증서를 획득하는 인증서 획득부(105)와,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하는 인증서 저장부(11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include an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120 that performs an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a user who has been issued a certificate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and the storage medium 115. A certificate acquisition unit 105 for acquiring the user's certificate to be stored in the) and the certificate storage unit 110 for storing the obtained user's certificate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운영 서버(100)에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등록하도록 요청되는 경우, 상기 본인 인증 절차부(12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영 서버(100)의 회원으로 가입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ID/PW를 제공받아 인증하는 ID/PW 인증,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실명인증 서버(도시생략)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명을 인증받는 인터넷 실명 인증,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가입통신망(예컨대, 이동통신망, 전화망, VoIP망 등)의 통신수단정보(예컨대, 통신사정보, 전화번호, 장치식별정보 등)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통신수단정보를 상기 가입통신망의 통신사서버(도시생략)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가입자 명의를 인증받는 통신 가입자 인증,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카드사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한 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예컨대, 카드사 정보와 카드번호 등)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카드식별정보를 상기 카드를 발급한 카드사서버(도시생략)로 제공하여 상기 카드의 명의자를 인증받는 카드 명의자 인증,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은행에 개설된 사용자의 계좌에 대응하는 계좌식별정보(예컨대, 은행 정보와 계좌번호 등)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계좌식별정보를 상기 계좌가 개설된 은행서버(도시생략)로 제공하여 상기 계좌의 명의자를 인증받는 계좌 명의자 인증,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무선단말로 발송한 후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 입력(여기서, 상기 인증번호가 입력되는 사용자의 단말(200)은 상기 인증번호를 수신한 무선단말은 물론 상기 무선단말 이외에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200)을 포함)되어 수신되는 인증번호를 비교 인증하는 무선단말 점유 인증,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구비된 인증서(예컨대,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공인인증서 등)를 이용한 인증서 인증, 중에서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지정한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본인 인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본인 인증 절차가 상술된 방식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본인 여부를 인증할 수 있는 방식이면 어떤 방식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본인 인증은 상술된 방식 이외에도 사용자의 본인 여부를 인증할 수 있는 모든 방식의 본인 인증(예컨대, ARS를 이용한 본인 인증, 신분증을 이용한 대면 방식의 본인 인증, 화상(안면) 인식을 통한 본인 인증,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등)을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When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who accesses the operation server 100 is requested to register a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to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th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120 may perform one or more operations on the user. Perform identity verification process. Preferably, the user authentication for the user, ID / PW to receive and authenticate the ID / PW for the user from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registered as a member of the operation server 100 Authentication, Internet real name authentication to receive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name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from the user's terminal 200 and provide it to a real name authentication server (not shown) to authenticate the real name of the user, the user's terminal From 200, communication means information (e.g., communication company information, phone number,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tc.) of a subscription communication network (e.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elephone network, VoIP network, etc.) subscribed to by the user is received. Communication subscriber authentication for providing the communication means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not shown) of the subscribing communication network to authenticate the subscriber's name for the user, Card company server that receives the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card company information and card number, etc.) for the card issued to the user by the card company from the horse 200 and issues the card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card holder to authenticate the card holder of the card and receive accou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bank information and account number) corresponding to the user's account opened in the bank from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accou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bank server (not shown) where the account is opened, account holder authentication and authentication number for authenticating the account holder of the account are generated and sent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Input to the terminal 200 (wherein, the user's terminal 200, the authentication number is input, as well as the wireless terminal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number of the Wireless terminal occupancy authentication for comparing and authenticating the authentication number received by the user, including the terminal 200 used by the user other than the front terminal, and the terminal of the user when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exists in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At least one or two or more personal authentication specifi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be included among the certificate authentication using a certificate (eg, a public certificate previously issued to a user) provided in the 200. However, the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any method may be applied as long as it is a method capable of authenticating a user's identity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authent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bove-described method. In addition, all forms of identity verification that can authenticate the user's identity (eg, identity verification using ARS, face-to-face identity verification using identification card, identity verification through image (face) recognition, identity verification using biometric information, etc.) It is clear that it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본인 인증 절차부(120)는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i(i≥1)개의 본인 인증 방식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본인 인증 절차부(120)는 지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설정된 i개의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을 처리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ty verification procedure unit 120 has i (i≥1)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s for processing identity verification for a user who has issued a certificate. In step 120, the i-identification process set in the above-described order is performed to process identity authentication for the user who issued the certificate.
상기 인증서 획득부(105)는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될 사용자의 인증서를 획득한다.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는 인증서 발급기관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한 인증서의 원본이거나, 또는 상기 인증서 발급기관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한 인증서의 사본이거나, 또는 상기 인증서 발급기관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후 이를 복사한 인증서의 복사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ertificate obtaining unit 105 obtains a user's certificate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The certificate of the user is the original of a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by the certificate issuer, or a copy of a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by the certificate issuer, or copied after being issued to the user by the certificate issue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copy of the certificate.
본 발명의 제1 인증서 획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인증서 획득부(105)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인증서를 발급한 인증서 발급기관에 구비된 인증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는 상기 인증서 발급기관으로 인증서 발급을 신청하며, 상기 인증서 발급기관으로부터 상기 인증서 발급 승인(또는 발급)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되는 인증서에 대한 인증서 발급정보(예컨대, 인증서 발급기관에서 인증서를 발급받을 사용자에게 전달한 각종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서 획득부(105)는 상기 인증서 발급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증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되는 인증서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certificate obtai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tificate obtaining unit 105 may obtain a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from a certificate server provided in the certificate issuer that issued the certificate to the user. Preferably, the user applies for certificate issuance to the certificate issuing authority, and the certificate issuing information for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from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as the certificate issuance approval (or issuance) from the certificate issuing authority. When receiving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delivered to a user who will issue a certificate by a certificate issuing authority), the certificate obtaining unit 105 may obtain a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from the certificate server based on the certificate issuing information. have.
본 발명의 제2 인증서 획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인증서 획득부(105)는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의 사본을 저장 또는 관리하는 관리기관에 구비된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의 사본은 상기 인증서의 발급 신청을 처리하는 등록기관이나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통한 각종 인증을 처리하는 금융기관 등을 포함하는 관리기관의 기관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서 획득부(105)는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 사본을 관리하는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certificate acquis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tificate acquisition unit 105 may obtain a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from the institution server provided in the management agency that stores or manages a copy of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have. Preferably, a copy of a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may be stored in an institution server of a management institution including a registrar processing an application for issuing the certificate or a financial institution processing various authentications through the user's certificate. The certificate obtaining unit 105 may obtain a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from an institution server managing a copy of the certificate of the user.
본 발명의 제3 인증서 획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인증서 획득부(105)는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발급된 인증서를 복사하거나 또는 이전시키는 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구비된 메모리(예컨대, 컴퓨터에 구비된 하드디스크,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비휘발성 메모리 등)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과 연동 가능한 사용자의 각종 휴대 매체(예컨대, USB메모리, IC카드, HSM, 플로피디스크 등)에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가 보관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서 획득부(105)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상기 단말(200)의 메모리나 각종 휴대 매체에 보관된 인증서를 지정된 인증서 복사/이동 절차에 따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certificate acquis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tificate acquisition unit 105 may obtain the user's certificate in the form of copying or transferring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from the user's terminal 200. Preferably, a memory (for example, a hard disk provided in a computer, a nonvolatile memory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etc.) provided in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or a user who can interoperate with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Certificates issued to the user may be stored in various portable media (eg, USB memory, IC card, HSM, floppy disk, etc.), and the certificate acquiring unit 105 may be provided from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A certificate stored in the memory of 200 or various portable media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a designated certificate copy / move procedure.
한편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인증서가 상기 인증서 서버로부터 획득된 것이 아니라면, 상기 인증서 획득부(105)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인증서가 상기 인증서 서버를 통해 상기 인증서 발급기관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와 동일한 인증서인지 검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서 획득부(105)는 상기 획득된 인증서를 상기 인증서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증 받거나, 또는 상기 인증서에 대응하는 인증서 파일을 해시한 해시 값을 상기 인증서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증 받거나, 또는 상기 인증서 서버로부터 사용자에 발급된 인증서 원본에 대한 해시 값을 수신한 후 상기 획득된 인증서의 해시 값과 비교하여 상기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가 검증된다고 함은, 상기 획득된 인증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의 원본과 동일한 인증서로서 해당 인증서의 위/변조나 손상이 전혀 없음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obtained user's certificate is not obtained from the certificate server, the certificate acquisition unit 105 is the same as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in the certificate issuing authority through the certificate server of the obtained user's certificate You can verify that it is a certificate. Preferably, the certificate acquiring unit 105 provides the obtained certificate to the certificate serv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ertificate or to provide the certificate server with a hash value hashing a certificate file corresponding to the certificate. The validity of the certificate may be verified or the hash value of the original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may be received from the certificate server, and then the validity of the certificate may be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e hash value of the obtained certificate. The fact that the user's certificate is verified means that the obtained certificate is the same certificate as the original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and there is no forgery or forgery or damage of the certificate.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가 획득되면, 상기 인증서 저장부(110)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한다. 상기 인증서가 저장되는 저장매체(115)는,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의 인증서를 보관할 만큼의 보안성이 확보된 저장용 매체의 총칭으로서,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서의 발급기관이 운영하는 저장매체(115), 상기 인증서의 등록기관이 운영하는 저장매체(115),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저장매체(115), 상기 운영 서버(100)에서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15)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도면1은 편의상 상기 저장매체(115)가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When the user's certificate is obtained, the certificate storage unit 110 stores the obtained user's certificate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The storage medium 115 in which the certificate is stored is a generic term for a storage medium that is secure enough to store a user's certificate on a network. The storage medium 115 is operated by an issuer of the certificat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At least one of a storage medium 115 operated by the registration authority of the certificate, a storage medium 115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a storage medium 115 on a network accessible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Can be.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torage medium 115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for convenienc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인증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의 전체 구성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의 일부 구성을 저장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서의 일부 구성이라 함은,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에 대응하는 인증서 파일을 구성하는 T(T≥1)개의 구성 항목 중에서 t(1≤t<T)개의 구성 항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서의 일부 구성은, 상기 인증서 파일을 구성하는 T개의 구성 항목 중 t개의 구성 항목의 일부 구성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인증서 파일을 구성하는 T개의 구성 항목 중 특정 구성 항목의 구성 값이 "123456789"일 경우에, 상기 인증서의 일부 구성은 상기 "123456789"라는 구성 값 중에서 "12345" 또는 "13579"와 같은 일부 구성 값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ncludes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or all of the components stored in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It is possible. Preferably, the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may include t (1≤t <T) configuration items among T (T≥1) configuration items constituting a certificate file corresponding to the user's certificate. have. Alternatively, the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may include some configuration values of t configuration items among the T configuration items constituting the certificate file. For example, when a configuration value of a specific configuration item among the T configuration items constituting the certificate file is “123456789”, some components of the certificate may be “12345” or “13579” among the configuration values “123456789”. It can contain some configuration values, such as
한편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에 일부 구성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인증서의 일부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인증서를 이용하는 N개의 지정된 단말(200)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N개의 지정된 단말(200)을 통해 인증될 인증서를 저장하는 사용자 소유의 휴대 매체(예컨대, USB메모리, IC카드, HSM, 플로피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some components are included in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some of the stored certificates are stored in the N designated terminals 200 using the certificate, or the N designated components. It may be stored in a user-owned portable medium (eg, USB memory, IC card, HSM, floppy disk, etc.) that stores a certificate to be authenticated through the terminal 2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인증서는, 상기 저장되는 인증서가 누구에게 발급된 인증서인지를 고유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may be mapped and stored wit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who the certificate is being issued to.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상기 인증서가 이용될 단말(200)을 지정 등록하는지에 대한 사용자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본인 인증 절차부(120)와,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200)을 지정 식별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식별정보 획득부(125)와,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에 의해 획득되는 N(N≥1)개의 지정된 단말(200)에 대한 N개의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 저장부(130)를 구비한다. 만약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200)을 지정 식별하여 등록하지 않는다면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와 식별정보 저장부(130)는 생략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1, the operation server 100 performs an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120 that performs a user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on whether a user who has issued the certificate designates and registers a terminal 200 in which the certificate is to be used. And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5 for acquiring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esignating and identifying the terminal 200 capable of using the stored certificate, and N (N≥1) obtain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5.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for storing the 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wo designated terminals (200). If the terminal 200 that can use the certificate is not identified and registe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5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may be omitted.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가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되는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200)을 지정 등록하는 절차가 수행되며, 이를 위해 상기 본인 인증 절차부(120)는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200) 지정 등록을 상기 운영 서버(100)에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200)과 연동하여 상기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상기 인증서가 이용될 단말(200)을 지정 등록하는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은, ID/PW 인증, 인터넷 실명 인증, 통신 가입자 인증, 카드 명의자 인증, 계좌 명의자 인증, 무선단말 점유 인증, 인증서 인증 중에서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지정한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본인 인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된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본인 인증이 수행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Before, during and after the user's certificate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a procedure of designating and registering the terminal 200 that can use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s performed. In order for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120 to interoperate with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connected to the operation server 100 to register the designated terminal 200 that can use the certificate, the user who issued the certificate has the certificate. Perform one or more user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s for specifying and registering the terminal 200 to be used. Preferably, the user authentication for the user is at least specified by the operating server 100 among ID / PW authentication, Internet real name authentication, communication subscriber authentication, card holder authentication, account holder authentication, wireless terminal occupancy authentication, certificate authentication A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identity authentication may be included, and various forms of identity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chem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본인 인증 절차부(120)는 상기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상기 인증서가 이용될 단말(200)을 지정 등록하는지에 대한 사용자 본인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j(j≥1)개의 본인 인증 방식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본인 인증 절차부(120)는 지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설정된 j개의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상기 인증서가 이용될 단말(200)을 지정 등록하는지에 대한 사용자 본인 인증을 처리한다.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의 등록 절차와 단말 지정 등록 절차가 연결되어 일괄적으로 처리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 절차는 1회만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단말 지정 등록 절차는 지정된 한도 내에서 반복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 상기 단말 지정 등록 절차를 위한 사용자 본인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120 is configured to process user identity authentication for whether the user who has issued the certificate designates and registers the terminal 200 in which the certificate is to be used. 1) identity authentication schemes are set, and the identity verification procedure unit 120 performs the j identity verification procedures according to a specified order, and the user who issued the certificate is the terminal 200 to which the certificate is to be used. User authentication for whether or not to specify the registration process. When the registration procedure of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and the terminal designation registration procedure are linked and processed in a batch,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user may be performed only once. However, the terminal designation registration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peatedly performed within a specified limit, and in this case, user identity authentication for the terminal designation registra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는 상기 인증서 저장부(110)에 의해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200)을 지정 식별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는,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의 읽기/쓰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 구비된 IC칩에 저장된 정보,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의 읽기전용 메모리에 기록된 정보,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의 하드웨어적 구성품에 할당된 정보,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의 통신식별 정보,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서 생성된 정보,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서 입력된 정보,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정보, 지정된 코드생성모듈을 통해 동적 생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5 obtains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esignating and identifying the terminal 200 that can use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designated by the certificate storage unit 110. Preferably, the designat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tored in a read / write memory of the designated terminal 200, information stored in an IC chip provided in the designated terminal 200, and designated terminal 200. Information recorded in the read-only memory of the inform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hardware components of the terminal 200 to be registered,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to be register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terminal 200 to be registered, designation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rminal 200 to be registered, information identifying a program included in the terminal 200 to be registered, and information dynamically generated through the designated code generation module may be formed.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의 읽기/쓰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의 하드디스크, 비휘발성 읽기/쓰기 메모리 등에 저장되어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키 값, 상기 인증서 이용과 관련(또는 지정된)된 프로그램의 식별 값,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어 저장된 값,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값, 상기 프로그램의 고유 값(예컨대, 프로그램의 일련번호, 프로그램에 할당된 토큰 등), 운영체제 고유 값(예컨대, 운영체제의 일련번호 등), 운영체제에 의해 저장된 값,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되는 사용자 인증서의 나머지 일부 구성, 카드정보, 계좌정보, 금융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read / write memory of the designated terminal 200 is stored in a hard disk, a nonvolatile read / write memory of the designated terminal 200, and uniquely identifies the designated terminal 200. A generic term for identifying information, preferably various key values stored in the memory, identification values of a program associated with (or designated) the use of the certificate, values generated and stored by the program, received and stored from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program. A value, a unique value of the program (e.g., a program serial number, a token assigned to the program, etc.), an operating system specific value (e.g., a serial number of the operating system, etc.), a value stored by the operating system, a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memory, Write down some of the remaining components, card information, account information, and financial information of the user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FIG. 1 may also include specific information.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 구비된 IC칩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예컨대, USIM, 금융IC칩, SE(Security Element) 등)에 저장되어 상기 IC칩을 통해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IC칩의 고유코드, 칩 일련번호, 상기 IC칩에 구비된 애플릿 식별코드, 상기 IC칩에 저장된 키 값, 상기 IC칩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되는 사용자 인증서의 나머지 일부 구성, 카드정보, 계좌정보, 금융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C chip provided in the designated terminal 200 is mounted on or detached from the designated terminal 200 (eg, USIM, financial IC chip, security element (SE), etc.) A generic term for information uniquely identifying the terminal 200 to be designated and registered through the IC chip, and preferably, a unique code of the IC chip, a chip serial number, an applet identification code provided in the IC chip,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key value stored in the IC chip,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IC chip, the remaining part of the user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card information, account information, financial information have.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의 읽기전용 메모리에 기록된 정보는,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 구비된 ROM 또는 상기 단말(200)을 구성하는 하드웨어적 구성품의 ROM에 저장되는 정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키 값, 고유코드, 식별코드, 일련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read-only memory of the designated terminal 200 is a generic term for information stored in a ROM included in the designated terminal 200 or a ROM of a hardware component constituting the terminal 200. Preferabl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designation information of various key values, unique codes, identification codes, serial numbers stored in the memory.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의 하드웨어적 구성품에 할당된 정보는,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을 구성하는 하드웨어적 구성품의 제조사에 의해 상기 하드웨어적 구성품에 할당되는 정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지정되는 단말(200)을 구성하는 CPU에 할당된 고유코드, 메인보드에 할당된 고유코드, 메모리에 할당된 고유코드, 하드디스크에 할당된 고유코드, 비휘발성 메모리에 할당된 고유코드, 통신모듈에 구비된 고유코드(예컨대, MAC 주소 등), 입력모듈에 할당된 고유코드, 출력모듈(예컨대, 디스플레이)에 할당된 고유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hardware component of the terminal 200 to be designated and registered is a generic term for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hardware component by the manufacturer of the hardware component constituting the terminal 200 to be designated and registered. Unique code assigned to the CPU constituting the designated terminal 200, unique code assigned to the motherboard, unique code assigned to the memory, unique code assigned to the hard disk, unique code assigned to the nonvolatile memory, communic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designation information of a unique code (eg, MAC address, etc.) provided in the module, a unique code assigned to the input module, a unique code assigned to the output module (eg, display).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의 통신식별 정보는,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의 통신망 접속을 위해 상기 단말(200)에 할당되는 정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200)이 접속하는 통신망의 종류/프로토콜에 따라 IP주소, MAC주소, 전화번호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함은 물론, 상기 단말(200)이 접속하는 통신망에 등록되는 네트워크ID, 시스템ID, 가입자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terminal 200 is a generic term for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terminal 200 to access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designated terminal 200, and preferably the terminal 200 connects.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P address, a MAC address, a telephone number, etc. according to the type / protocol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as well as specifying at least one of a network ID, a system ID, and a subscriber identification value registere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terminal 200 is connected. May contain information.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서 생성된 정보는,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적 생성되는 정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서 동적 생성되는 일회용코드, 각종 키 값을 적어도 하나 포함함은 물론, 상기 동적 생성되는 일회용코드나 각종 키 값을 가공(예컨대, 문자, 이미지, 1/2차원 바코드, 사운드, 멀티미디어 등의 형태로 가공)하거나 또는 상기 동적 생성되는 일회용코드나 각종 키 값을 이용하여 다른 정보를 가공(예컨대, 암호화 등)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esignated terminal 200 is a generic term of information dynamically generated by a program included in the designated terminal 200, and is preferably dynamically generated by the designated terminal 200. At least one disposable code and various key values, as well as processing the dynamically generated disposable code or various key values (for example, text, image, 1 / 2-dimensional barcode, sound, multimedia, etc.) o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designation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that is processed (for example, encryption) using the dynamically generated one-time code or various key values.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서 입력된 정보는,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 구비된 입력모듈을 통해 키 입력되는 정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기억을 토대로 키 입력되는 정보(예컨대, 비밀번호, PIN 등), 다른 단말기나 매체에 표시된 상태에서 키 입력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rminal 200 to be designated and registered is a generic term of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an input module provided to the terminal 200 to be designated and registered. Preferably, the input information is a key based on a user's memory. At least one designatio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among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a password, a PIN, etc.) and information input by a key in a state displayed on another terminal or a medium.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정보는, 상기 인증서 이용과 관련하여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정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그램의 식별 값,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값,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값, 상기 프로그램의 고유 값(예컨대, 프로그램의 일련번호, 프로그램에 할당된 토큰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rogram included in the designated registration terminal 200 is essential for identifying the program provided in the designated registration terminal 200 or the designated registration terminal 200 in connection with the use of the certificate. A general term of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rogram, which is preferably an identification value of the program, a value generated by the program, a value received from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program, a unique value of the program (eg, a serial number of the program). , Tokens assigned to the program, etc.).
상기 지정된 코드생성모듈을 통해 동적 생성된 정보는,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 구비된 코드생성모듈이나 또는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과 관련된 외부 장치나 서버에 구비된 코드생성모듈에 의해 동적 생성되는 정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지정된 코드생성모듈을 통해 동적 생성되는 일회용코드, 각종 키 값을 적어도 하나의 지정 정보를 포함함 물론, 상기 동적 생성되는 일회용코드나 각종 키 값을 가공(예컨대, 문자, 이미지, 1/2차원 바코드, 사운드, 멀티미디어 등의 형태로 가공)한 지정 정보, 또는 상기 동적 생성되는 일회용코드나 각종 키 값을 이용하여 다른 정보를 가공(예컨대, 암호화 등)한 지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정된 코드생성모듈이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의 외부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코드생성모듈에 의해 동적 생성된 지정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로 수신되거나, NFC를 통해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로 수신되거나,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로 인식(예컨대, 1/2차원 바코드 인식)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dynamically generated through the designated code generation module is stored in the code generation module included in the designated terminal 200, or the code generation module provided in an external device or a server associated with the designated registered terminal 200. A general term for the information dynamically generated by the controller, preferably, the disposable code dynamically generated through the designated code generation module and various key values include at least one designated information. Of course, the dynamically generated disposable code or various key values are processed. Processing other information (eg, encryption, etc.) using designated information (for example, text, image, 1 / 2-dimensional barcode, sound, multimedia, etc.) or the dynamically generated disposable code or various key values. At least one piece of designatio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signated code generation module exists outside of the designated registration terminal 200, the designated information dynamically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ion module is received by the designated registration terminal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r NFC The terminal 200 may be received through the designated registered terminal 200 or may be recognized (eg, 1 / 2-dimensional barcode recognition) as the designated registered terminal 200 through a camera provided in the designated registered terminal 200. have.
그러나 본 발명의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구성하는 지정 정보들이 상술된 지정 정보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을 지정 식별할 수 있는 지정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라도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지정대상 식별정보는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을 지정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지정 정보를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However, the designation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ignation information described above, and any designation information can be designated as long as the designation information can designate and identify the terminal 200 to be designated and designated. It may be included in,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designation information that can designate and identify the terminal 200 to be designated and register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는 상기 인증서가 이용될 단말(200)로 등록 가능한 각 단말(200)의 종류, 통신망 및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각 단말(200)의 지정대상 식별정보로 이용 가능한 M(M≥1)개의 지정 정보를 지정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 조건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등록되는 단말(200)의 지정대상 식별정보 조건에 부합하는 M개의 지정 정보 중에서 m(1≤m≤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5 i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ype, communication network, and platform of each terminal 200 that can be registered as the terminal 200 to which the certificate is to be used.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ditions for designating M (M≥1) designation information available as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set. In this case,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dition of the registered terminal 200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m (1 ≦ m ≦ M) design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corresponding M design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제1 단말 지정 등록 방식에 따르면, 단말 지정 등록을 위해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200)을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200)로 지정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는 상기 단말 지정 등록을 위해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을 상기 저장된 인증서가 이용될 단말(200)로 지정할 수 있는 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terminal designation regist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connected for terminal designation registration may be designated and registered as the terminal 200 that can use the certificate.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5 receives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designation information designated from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who is connected for the terminal designation registration, or receives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The stored certificate of the user's terminal 200 through at least one or two or more combinations of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designated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from the management server to manage Can obtain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m design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designated to the terminal 200 to be used.
본 발명의 제2 단말 지정 등록 방식에 따르면, 단말 지정 등록을 위해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200) 이외에 상기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다른 단말(200)을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200)로 지정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200)로 등록되는 대상 단말(200)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대상 단말(200)에 대한 단말정보를 근거로 상기 대상 단말(200)로부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대상 단말(200)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대상 단말(200)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다른 단말(200)을 상기 저장된 인증서가 이용될 단말(200)로 지정할 수 있는 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terminal designation regist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connected for terminal designation registration, other terminals 200 available to the user can be designated and registered as the terminal 200 available for the certificate. Can be.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ing unit 125 may specify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designation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target terminal 200 registered as the terminal 200 that can use the certificate from the user's terminal 200. Receives, or receives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designation information specified from the target terminal 200 on the basis of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target terminal 200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or Receiving one or more designated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target terminal 200 from the management server managing the target terminal 200, the other terminal 200 available to the user through at least one or two or more combinations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m design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designated to the terminal 200 to be used for the stored certificate may be obtained.
한편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는 상기 획득된 지정대상 식별정보가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을 고유하게 지정 식별할 수 있는 지정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지 검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는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m개의 지정 정보 중에서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에 고정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하여 기 저장된 다른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포함된 각 지정 정보 항목 별로 중복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획득된 지정대상 식별정보가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을 고유하게 지정 식별할 수 있는지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획득된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상기 지정 등록되는 단말(200)의 MAC 주소가 포함된 경우, 상기 MAC 주소는 기 저장된 다른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포함된 MAC 주소와 중복되어서는 안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5 verifies whether the acquired designated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designation information for uniquely designating and identifying the designated terminal 200. Preferab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5 is stored in the other designat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stored with respect to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that is fixedly maintained in the designated terminal 200 among the m specified information including the designat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performing the overlapping inspection for each of the designated information items included, it is possible to verify whether the acquired designated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uniquely identify and identify the designated registered terminal 200. For example, when the acquired designat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MAC address of the terminal 200 to be designated and registered, the MAC address should not be duplicated with the MAC address included in other previously designat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200)을 지정 식별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식별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에 의해 획득된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는 N개의 단말(200)을 지정 식별하는 N개의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에 의해 획득되는 N개의 지정된 단말(200)에 대한 N개의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If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esignating and identifying the terminal 200 that can use the stored certificate is obtain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stores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5. . Preferab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5 may obtain N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esignating and identifying N terminals 20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ing unit 130 may obta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5. N specified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N designated terminals 200 obtained by the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지정대상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가 저장된 저장매체(115)에 상기 인증서와 직접 매핑되어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인증서가 저장된 저장매체(115) 이외의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만약 상기 N개의 지정대상 식별정보가 상기 인증서가 저장된 저장매체(115) 이외의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더라도, 상기 N개의 지정대상 식별정보는 지정된 식별자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와 간접적으로 매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 piec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directly mapped to the certificate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n which the user's certificate is stored, or other than the storage medium 115 in which the certificate is stored. Can be stored in another database. If the N design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a database other than the storage medium 115 in which the certificate is stored, the N design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directly associated with a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through a designated identifier. It is preferable to map.
한편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는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가 획득되는 시점의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를 고유 인증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 및/또는 상기 저장된 인증서가 이용될 단말(200)을 지정 등록한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정보의 총칭으로서, 상기 본인 인증 절차부(120)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본인 인증 절차의 결과로서 상기 본인 인증에 사용된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본인 인증 절차와 연동되거나 또는 별도로 처리되는 사용자 식별정보 등록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예컨대, ID/PW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구성하는 지정 정보 중에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로 이용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5 may obtai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uniquely authenticates the user who issued the certificate at any time before, during, or after the point in time at which the designated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 general term for information uniquely identifying a user who has issued a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and / or a user who has designated and registered a terminal 200 in which the stored certificate is to be used, and simultaneously authenticates the user. As a result of the user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performed by the identity verification process unit 120,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 that includes the information used for the identity verification, or linked to or separately processed with the user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ss It may include user information (eg, ID / PW) received from the user's terminal 200 through. Alternatively, one or more pieces of designation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a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한편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와 동일인을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200)을 지정 등록하는 사용자와 동일인을 식별하는지 검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명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명의가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의 발급자 명의와 동일인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200)을 지정 등록한 사용자의 명의와 동일인을 식별하는지 검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 절차의 결과로서 획득된 것이라면,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은 생략 가능하다.
Meanwhi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5 identifies the same person as the user who has obtained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or identifies the same person as the user who designates and registers the terminal 200. Verify that it identifies Preferab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5 confirms the user name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onfirmed user name is the same as the issuer name of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or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verify whether 200 is identified with the same person as the name of the user who has designated and registered. If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as a result of the identity verification procedure for the user, valid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omitted.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에 의해 상기 사용자를 고유 인증하는 사용자 식별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식별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에 의해 획득된 N개의 지정대상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uniquely authenticating the user is obtain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5,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obtains N design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5. Map and stor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지정대상 식별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가 저장된 저장매체(115)에 상기 인증서와 함께 직접 매핑되어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인증서가 저장된 저장매체(115) 이외의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만약 상기 N개의 지정대상 식별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가 상기 인증서가 저장된 저장매체(115) 이외의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더라도, 상기 N개의 지정대상 식별정보 또는 사용자 식별정보는 지정된 식별자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와 간접적으로 매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 design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n which the user's certificate is stored and mapped directly with the certificate, or the storage medium in which the certificate is stored. It may be mapped to and stored in a database other than 115. If the N design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stored in a database other than the storage medium 115 in which the certificate is stored, the N design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hrough the designated identifier. It is desirable to map indirectly to the certificate stored at 115).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 지정 등록이 생략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 획득부(125)는 상기 사용자를 고유 인증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인증서와 직/간접적으로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terminal designation registration is omitt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5 may obtai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r. In this cas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s described above, the user's certificate may be mapped directly or indirectly.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가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되고, 상기 인증서가 이용될 N개의 지정된 단말(200)에 대한 지정대상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를 고유 인증하는 사용자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식별정보가 상기 인증서와 직/간접적으로 매핑되어 저장됨으로써,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클라우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다.
As described above, a certificate issued to a user i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and at least one of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N designated terminals 200 to which the certificate is to be used,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r. Sin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mapped and stored indirectly or indirectly with the certificate, preparation for using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n a cloud manner is completed.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이용되도록 요청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요청 정보 수신부(135)를 구비하며, 상기 인증서 이용을 요청하는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본인 인증 절차부(120)를 더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를 고유 인증하는 사용자 식별정보가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 경우,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인증서 이용을 요청하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operation server 100 receives request information for requesting a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from the user's terminal 200 to be used in the user's terminal 200. The receiver 135 further includes an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120 that performs an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user requesting the use of the certificate, o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ly authenticating the user identifies the designated object. When stored mapped to the information,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40 for authenticating the user requesting the use of the certificate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further provided.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하는 단말(200)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이용되도록 요청하게 되는데, 상기 요청 정보 수신부(135)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이용되도록 요청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요청하는데 필요한 하나 이상의 구성 정보(예컨대, 사용자 식별정보, 인증서 이용 방식, 용도, 대상, 관련서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서는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통해 지정 식별되는 사용자의 단말(200)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접속하는 것 자체가 상기 인증서를 이용하도록 요청하는 요청 정보로 해석될 수 있다.
The user accesses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terminal 200 used by the user and requests a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to be used in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The reques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35 ) Receives request information for requesting a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to be used in the user's terminal 200 from the user's terminal 200. Here, the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pieces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e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ertificate usage method, purpose, object, related server, etc.) required for requesting a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n some implementations,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designated and identified through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nterpreted as request information for requesting the user to use the certificate.
만약 상기 식별정보 저장부(130)에 의해 상기 사용자를 고유 인증하는 사용자 식별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부(140)는 상기 요청 정보 수신부(135)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또는 별도의 통신 연결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비교 인증(또는 검증 연산 후 예측된 결과 인증)하여 상기 저장된 인증서의 이용을 요청하는 사용자를 인증한다.
If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r is stor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40 i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ques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35 (or separate communication By comparing and authenticating (or authenticating the predicted result after the verification operati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s terminal 200 and the stor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connection, the user requesting the use of the stored certificate is authenticated.
한편 상기 식별정보 저장부(130)에 의해 상기 사용자를 고유 인증하는 사용자 식별정보가 저장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200)에 대한 지정대상 식별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본인 인증 절차부(120)는 상기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요청하는지에 대한 사용자 본인 인증 절차와 상기 N개의 단말(200)을 등록한 사용자가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요청하는지에 대한 사용자 본인 인증 절차 중 적어도 하나의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은, ID/PW 인증, 인터넷 실명 인증, 통신 가입자 인증, 카드 명의자 인증, 계좌 명의자 인증, 무선단말 점유 인증, 인증서 인증 중에서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지정한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본인 인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된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본인 인증이 수행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uniquely authenticating the user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is not stored, or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200 that can use the stored certificate is not stored, the person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120 performs a user authentication process on whether the user who has issued the certificate requests the stored certificate and a user authentication process on whether the user who has registered the N terminals 200 requests the stored certificate. Perform at least one identity verification procedure. Preferably, the user authentication for the user is at least specified by the operating server 100 among ID / PW authentication, Internet real name authentication, communication subscriber authentication, card holder authentication, account holder authentication, wireless terminal occupancy authentication, certificate authentication A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identity authentication may be included, and various forms of identity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chem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본인 인증 절차부(120)는 상기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요청하는지, 또는 상기 N개의 단말(200)을 등록한 사용자가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요청하는지에 대한 사용자 본인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k(k≥1)개의 본인 인증 방식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본인 인증 절차부(120)는 지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설정된 k개의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who issued the certificate requests the stored certificate, or whether the user who registered the N terminals 200 requests the stored certificate. There are k (k≥1)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s for processing the user identity authentication for the user, and th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120 may perform the k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s according to the specified order.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인증서 이용을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200)이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의해 지정 식별되는 N개의 지정된 단말(200) 중 제n(1≤n≤N) 단말(200)인지 인증하는 지정대상 인증부(145)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이 상기 지정된 제n 단말(200)로 인증된 경우에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가 상기 제n 단말(200)을 통해 이용되도록 처리하는 인증서 처리부(15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include nth (1 ≦ n) of N designated terminals 200 in which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use of the certificate is designated and identified by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N) designated target authentication unit 145 for authenticating whether the terminal 200 and the user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when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is authenticated with the designated n-th terminal 200. It is provided with a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for processing so that the certificate is used through the n-th terminal (200).
상기 지정대상 인증부(145)는 상기 인증서 이용을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해당 단말(200)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상기 식별정보 저장부(130)에 의해 저장된 N개의 지정된 단말(200)에 대한 N개의 지정대상 식별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인증서 이용을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200)이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의해 지정 식별되는 N개의 지정된 단말(200)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n 단말(200)인지 인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저장된 지정 정보,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의해 생성된 지정 정보,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입력된 지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designation target authentication unit 145 receives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designation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terminal 200 from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use of the certificate, and receives the designated design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N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N designated terminals 200 stor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use of the certificate is identified by the design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authenticates whether it is the nth terminal 200 corresponding to any one of N designated terminal 200 currently designated and identified. Preferably,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s terminal 200 includes design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200, design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ser's terminal 200, and the user's terminal 200. ) Includes one or more pieces of designation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design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지정대상 인증부(145)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로 이용 가능한 M개의 지정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을 지정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의 구성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상기 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상기 식별정보 저장부(130)에 의해 저장된 N개의 지정된 단말(200)에 대한 N개의 지정대상 식별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인증서 이용을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200)이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의해 지정 식별되는 N개의 지정된 단말(200)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n 단말(200)인지 인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ation target authentication unit 145 designates the designation including m designation information used to designate and identify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among M designation information available as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fter confirm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m design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s terminal 20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receives the designated design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N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N designation terminals 200 stored by the N, the N designation terminals 200 in which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use of the certificate is designated and identified by the design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can be authenticated whether the n-th terminal 200 corresponding to any one of).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는 지정된 단말(200)에 고정 유지된 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지정대상 인증부(145)는 상기 지정된 단말(200)에 고정 유지된 둘 이상의 정보 중 일부는 인증되고 나머지 일부는 인증되지 않는지 판별하며, 만약 상기 지정된 단말(200)에 고정 유지된 둘 이상의 정보 중 일부는 인증되고 나머지 일부는 인증되지 않는다면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대한 폐기 절차 또는 재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정된 단말(200)에 고정 유지된 둘 이상의 정보 중 일부는 인증되고 나머지 일부는 인증되지 않는다면, 이는 상기 지정된 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이나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하드웨어 구성품 등, 상기 단말(200)을 지정 식별하는 지정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상기 지정대상 인증부(145)는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대한 폐기 절차 또는 재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는 지정된 단말(200)에서 입력되거나 또는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지정대상 인증부(145)는 상기 입력 또는 생성되는 정보가 인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지정 단말 식별에 대한 오류를 발생시킨다. 또는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는 지정된 단말(200)에 고정 유지된 지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지정대상 인증부(145)는 상기 지정된 단말(200)에 고정 유지된 지정 정보가 모두 인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지정 단말 식별에 대한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wo or more designation information fixed to the designated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designation target authentication unit 145 may specify the designated terminal 200. Determine whether some of the at least two pieces of information fixed to the authentication is authenticated and some others are not authenticated, and if some of the two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fixed to the designated terminal 200 is authenticated and the remaining part is not authenticated, Disposal or re-registration procedures may be performed. That is, if some of two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fixed to the designated terminal 200 are authenticated and some of the information is not authenticated, the terminal 200 includes a program or an operating system included in the designated terminal 200, a hardware component, and the like. ) Designation information for designating and identifying) is changed, and therefore, the designation target authentication unit 145 may perform a revocation procedure or a re-registration procedure for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anwhile,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designation information input or generated by the designated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designation target authentication unit 145 may not authenticate the input or generated information. In this case, an error regarding th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is generated. Alternatively,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designation information fixed to the designated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designation target authentication unit 145 authenticates all designation information fixed to the designated terminal 200. If not, an error for the designated terminal identification may be generated.
만약 상기 인증서 이용을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200)이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제n 단말(200)로 인증되면, 상기 인증서 처리부(150)는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가 상기 제n 단말(200)을 통해 이용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 지정된 제n 단말(200)을 통해 저장된 인증서가 이용되도록 처리한다는 것은,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상기 지정된 제n 단말(200)로 제공하여 상기 제n 단말(200)에서 상기 인증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상기 제n 단말(200)에서 인증서를 이용하여 처리해야 할 동작(또는 작업)을 상기 운영 서버(100)(또는 인증서 처리부(150)가 구비된 서버)가 상기 제n 단말(200)을 대신하여 처리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을 의미한다.
If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requesting the use of the certificate is authenticated as the n-th terminal 200 capable of using the certificate,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stores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n the n-th terminal. Process to be used through the terminal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ing of using the certificate stored through the designated n-th terminal 200 may be performed by providing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to the designated n-th terminal 200 to provide the n-th terminal 200. The operation server 100 (or the server provided with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and the operation (or task) to be processed using the certificate in the n-th terminal 200. Denotes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f the processing on behalf of the n-th terminal 200.
본 발명의 제1 인증서 이용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인증서 처리부(150)는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상기 지정된 제n 단말(200)로 제공하며, 상기 제n 단말(200)은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수신하여 상기 제n 단말(200)의 인증서로 이용하여 금융거래, 지불결제를 포함하는 각종 인증서 이용 대상에 상기 수신된 인증서를 이용(예컨대, 사용자 인증, 암/복호화, 전자서명 등)한다.
According to the first certificate u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provides the stored user's certificate to the designated n-th terminal 200, the n-th terminal 200 receives the user's certificate The received certificate is used (eg, user authentication, encryption / decryption, digital signature, etc.) for various certificate use targets including financial transactions and payment using the certificate of the n-th terminal 200.
상기 제1 인증서 이용 방식에서 상기 인증서 처리부(150)는 상기 저장된 사용자 인증서의 전체 구성을 상기 지정된 제n 단말(200)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저장된 사용자 인증서의 일부 구성을 상기 제n 단말(200)로 제공하는 것(단, 인증서의 일부 구성을 제n 단말(200)로 제공하는 경우에도 저장매체(115)에는 인증서의 전체 구성이 저장되는 것이 가능)이 가능하다.
In the first certificate using method,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provides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stored user certificate to the designated n-th terminal 200 or provides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stored user certificate to the n-th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provide (However, even when provid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to the n-th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store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in the storage medium 115).
만약 인증서 처리부(150)가 상기 저장된 사용자 인증서의 일부 구성을 상기 지정된 제n 단말(200)로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n 단말(200)은 상기 제공되는 인증서의 일부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구비되어 있거나, 상기 사용자 소유의 휴대 매체에 구비된 상기 인증서의 나머지 구성을 이용 가능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신되는 인증서의 일부 구성과 상기 구비된 나머지 구성을 조합하여 상기 인증서의 전체 구성을 만든 후에 상기 인증서의 전체 구성을 이용하여 각종 인증서 처리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서 처리부(150)가 상기 저장된 사용자 인증서의 일부 구성을 지정된 단말(200)로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공되는 인증서의 일부 구성은 N개의 지정된 단말(200)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N개의 지정된 단말(200) 별로 서로 다른 것이 가능하며, 이 때 상기 지정된 단말(200) 측에 구비된 상기 인증서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수신되는 일부 구성에 대응하여 N개의 지정된 단말(200)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N개의 지정된 단말(200) 별로 서로 다른 것이 가능하다.
If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provides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stored user certificate to the designated n-th terminal 200, the n-th terminal 200 is provided with the remaining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provided certificate. Or the remaining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provided in the portable media owned by the user is available, and after combining the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received certificate with the remaining configuration,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is generated.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can be used to process various certificat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provides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stored user certificate to the designated terminal 200, the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provided certificate is the same or N specified for the N specified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be different for each terminal 200, wherein the remaining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provided on the designated terminal 200 side is the same for the N specified terminal 200 in response to the received some configuration, or It is possible to be different for each of the N specified terminal (2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제n 단말(200)로 제공되는 인증서는 지정된 사용 제한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n 단말(200)로 제공되는 인증서는 상기 제n 단말(200)에 임시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n 단말(200)로 제공되는 인증서는 상기 제n 단말(200)의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상기 제n 단말(20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소멸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n 단말(200)로 제공되는 인증서는 일회용 또는 지정된 횟수 이내의 사용 횟수 제한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n 단말(200)로 제공되는 인증서는 상기 제n 단말(200)에 저장되는 형태와 무관하게 지정된 횟수만큼만 사용 가능하며, 이후에는 자동으로 소멸(예컨대, 상기 인증서 파일 내에 자동 소멸 코드가 포함됨)되거나, 또는 인증서 기능이 자동으로 중지될 수 있다. 또는 제n 단말(200)로 제공되는 인증서는 만료 일시 제한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n 단말(200)로 제공되는 인증서는 수 분에서 수 시간, 또는 하루 내지 일주일 등과 같이 제한된 만료 일시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이후에는 자동으로 소멸되거나, 또는 인증서 기능이 자동으로 중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tificate provided to the designated n-th terminal 200 is preferably set to a specified usage restriction. Preferably, the certificate provided to the n-th terminal 200 may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n-th terminal 200. That is, the certificate provided to the n-th terminal 200 may be automatically expired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n-th terminal 200 is cut off by being stored in the volatile memory of the n-th terminal 200. Alternatively, the certificate provided to the n-th terminal 200 may be set to limit the number of times of single use or within a specified number of times. That is, the certificate provided to the n-th terminal 200 may be used only a specified number regardless of the form stored in the n-th terminal 200, and then automatically extinguished (for example, an auto-extinguish code in the certificate file). Or the certificate function may be automatically stopped. Alternatively, the certificate provided to the n-th terminal 200 may be set to limit an expiration date. That is, the certificate provided to the n-th terminal 200 may be used only for a limited expiration date such as several minutes to several hours, or one to one week, and then automatically expired or the certificate function may be automatically stopped. have.
한편 상기 제1 인증서 이용 방식에서 상기 인증서 처리부(150)는 상기 인증서를 상기 제n 단말(200)에서 이용 가능한 구조로 가공하여 상기 제n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는 해당 인증서의 발급 시점과 동일한 구성 정보를 지닌 원본이라고 할지라도, 상기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서 파일의 파일 구조는 상기 제n 단말(200)에서 이용 가능한 파일 구조로 가공되거나, 또는 상기 제n 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 가능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n 단말(200)로 제공되는 인증서에 지정된 사용 제한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사용 제한에 따라 상기 인증서의 구성 정보 중 일부(예컨대, 인증서 만료 일시 등)가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 제한을 설정하는 데이터 셋트나 실행 코드(예컨대, 자동소멸 스크립트 코드 등)가 상기 인증서에 첨부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first certificate using method, the certificate processor 150 may process the certificate into a structure usable by the n-th terminal 200 and provide it to the n-th terminal 200. That is, even if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s an original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information as the time of issuance of the certificate, the file structure of the certificate file including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n-th terminal 200. It may be processed into a usable file structure or may be processed into a usable form through a program provided in the n-th terminal 200. In addition, when a usage limit specified in a certificate provided to the n-th terminal 200 is set, some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eg, a certificate expiration date and the like) of the certifica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age limit, or the usage limit is changed. The data set or executable code (for example, auto-destruction script code, etc.) to be set may be attached to the certificat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인증서 이용 방식에서 상기 인증서 처리부(150)는 상기 인증서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15)를 상기 제n 단말(200)에서 이용 가능한 가상의 저장영역으로 마운트(Mount)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제n 단말(200)은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상기 제n 단말(200)에 구비된 인증서처럼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certificate using method,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mounts the storage medium 115 storing the certificate as a virtual storage area available to the n-th terminal 200 ( Mounting), in this case, the n-th terminal 200 may use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as a certificate provided in the n-th terminal 200.
본 발명의 제2 인증서 이용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인증서 처리부(150)는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통해 상기 제n 단말(200)의 인증서 처리를 대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행되는 인증서 처리는, 상기 제n 단말(200)에서 상기 인증서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인증서 처리(예컨대, 인증서 기반 사용자 인증, 암/복호화, 전자서명 등)를 대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certificate u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may substitute for the certificate processing of the n-th terminal 200 through the stored user's certificate. In this case, the substitute certificate processing may be performed for all certificate processing (eg, certificate-based user authentication, encryption / decryption, digital signature, etc.) that can use the certificate in the n-th terminal 200.
상기 제2 인증서 이용 방식에서 상기 인증서 처리부(150)는 상기 지정된 제n 단말(200)로부터 인증서 처리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인증서 처리 절차(예컨대, 인증서 기반 사용자 인증 절차, 암/복호화 절차, 전자서명 절차 등)를 수행한 후, 상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를 지정된 대상 장치(예컨대, 제n 단말(200) 또는 상기 제n 단말(200)로부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를 수신할 인증 서버(도시생략))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서 처리부(150)는 상기 제n 단말(200)로부터 상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를 전달할 대상 장치를 식별하는 대상 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대상 장치 식별정보로 상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대상 장치가 고정된다면 상기 대상 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In the second certificate using method,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receives data to be certificated from the designated n-th terminal 200 and processes a certificate (for example, certificate-based) on the received data using the stored certificate. After performing a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an encryption / decryption procedure, an electronic signature procedure, and the like, the certificated data is transferred to a designated target device (eg, the n-th terminal 200 or the n-th terminal 200).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not shown) to receiv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receives targe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target device to which the certificated data is to be transmitted from the n-th terminal 200, and receives the received targe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ertificated data may be transferred to the. If the target device is fixed, the targe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not be receiv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인증서 이용 방식에서 상기 인증서 처리부(150)는 상기 인증서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15)와 인증서 처리부(150)를 상기 제n 단말(200)과 연동 이용 가능한 가상의 외부 디바이스로 마운트 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제n 단말(200)은 상기 제n 단말(200)에 의해 수행될 인증서 처리를 상기 마운트 처리된 가상의 디바이스를 통해 처리하는 것처럼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certificate using method, the certificate processor 150 may use the storage medium 115 and the certificate processor 150 for storing the certificate in association with the n-th terminal 200. Mount the virtual external device, and in this case, the n-th terminal 200 processes the certificate processing to be performed by the n-th terminal 200 through the mounted virtual device. Can be used as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200)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21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215 provided in a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이 무선단말(200)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인증서 등록과 이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프로그램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는 각종 단말(200)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215)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In more detail, FIG. 2 illustrates a program provided i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for certificate registration and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terminal 200 is the wireless terminal 200. As a function configuration,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refer to the function of the application 215 provided in the various terminals 200 used by the user by referring to and / or modifying the drawing 2.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may be infer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and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제어부(201)와 메모리부(213)와 화면 출력부(202)와 키 입력부(203)와 사운드 출력부(204)와 사운드 입력부(205)와 카메라부(206)와 무선망 통신모듈(209)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과 NFC모듈(210)과 위치 측위모듈(211)과 USIM 리더부(212)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07)를 구비한다.
2,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control unit 201, a memory unit 213, a screen output unit 202, a key input unit 203, a sound output unit 204, a sound input unit 205, A camera module 206,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209,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8, an NFC module 210, a positioning module 211, a USIM reader 212 and a USIM, And a battery 207 for the battery.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에 따른 인증서 등록과 이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215)의 구성을 본 제어부(2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trol unit 201 is a general ter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control unit 201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01 loads and executes at least one program code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processor into the execution memory, and calculates at least one result through the bus. By transmitting to the negativ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configuration of the application 215 for certificate registration and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ler 201.
상기 메모리부(213)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13)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21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13)에 저장된다.
The memory unit 213 is a generic term for a nonvolatile memory corresponding to a storage resource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201 and at least used by the program code. Store and maintain one data set. The memory unit 213 basically includes a system program code and a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communication program code and a communication data set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program code and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215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stored in the memory unit 213. [
상기 화면 출력부(202)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출력 자원에 대응되는 화면출력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화면출력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The screen output unit 202 is composed of a screen output devic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device) corresponding to an output resourc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 screen output module for driving the screen output device. 201 and a bus, and outputs the calcul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screen output among the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201 to the screen output device.
상기 키 입력부(203)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입력 자원에 대응되는 키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202)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키입력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1)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The key input unit 203 comprises a key input device (or a touch screen device coupled to the screen output unit 202) corresponding to an input resourc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 key input module for driving the key input device And inputs a command for instruct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201 or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01 by a bus connection with the control unit 201. [
상기 사운드 출력부(204)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출력 자원에 대응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The sound output unit 204 includes a speaker corresponding to an output resourc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 sound module for driving the speaker,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1 by a bus so that the control unit 201 The oper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sound output is output from the various operation results of the through the speaker. The sound module decodes sound data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and converts the sound data into a sound signal.
상기 사운드 입력부(205)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입력 자원에 대응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1)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The sound input unit 205 includes a microphone corresponding to an input resourc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 sound module for driving the microphone, and transmits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controller 201. do. The sound module encodes and encodes a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상기 카메라부(206)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카메라 자원의 총칭으로서,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camera unit 206 is a generic term for camera resources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camera unit 206 includes an optical unit,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nd a camera module for driving the camera unit, and is input to the CCD through the optical unit. Acquire bitmap data. The bitmap data may include both still image data and moving image data.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은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통신 자원으로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은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은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통신장치 또는 무선AP에 접속한다.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209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8 are communication resource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209 accesse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base st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8 connects to a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or a wireless AP located in a short distance.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은 상기 무선단말(200)을 무선 통신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01)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은 상기 무선단말(2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전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전화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209 is a general term for a communication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includes an antenna, an RF module, a baseband module,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frequency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1 through a bus so as to transmit calculation results correspond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201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receive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control unit 201, and maintains connection, registration, communication, and handoff procedur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209 can connect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a telephon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telephone communication channel and a data channel via the exchange, and in some cases, To a data network that provides wireless network data communication based on packet communication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은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209 i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connec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registration, call processing, call connec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according to a CDMA / WCDMA standard . Meanwhile,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209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further include a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connection to the portable Internet, location registra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according to the IEEE 802.16 standard,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209.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모듈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과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은 무선AP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8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session u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as a communication medium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of Wi-Fi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8 may be integrated with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209.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8 connects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a data network providing packet-based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AP.
상기 NFC모듈(210)은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NFC 자원의 총칭으로서,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에 따라 10cm 내외의 근접 거리에서 단말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접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NFC 모듈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과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NFC모듈(210)은 13.56Mz 주파수 대역 이외에 ISO 18000 시리즈 규격이 지원하는 다른 주파수 대역(예컨대, 900Mhz 대역 등)의 근접 통신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아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NFC모듈(210)이 근접하여 통신하는 대상에 따라 상기 NFC모듈(210)은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통신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The NFC module 210 is a generic term for NFC resource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NFC module 210 is a proximity that transmits data between terminals at a proximity distance of about 10 cm according to a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standard using a 13.56 Mz frequency b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e NFC module may be integrated wit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8 or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NFC module 210 can provide proximity communication of other frequency bands (for example, 900 MHz band) supported by the ISO 18000 series standard in addition to the 13.56 Mz frequency band, No. Meanwhile, the NFC module 210 may be included in a communication resourc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ccording to a target to which the NFC module 210 communicates in close proximity.
상기 위치 측위모듈(211)은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위치측위 자원의 총칭으로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GPS 측위모듈로 구성되며, 지구 궤도를 공전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이동 위치 정보를 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모듈(211)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과 연계된 통신망 상의 측위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과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 간 주파수 도달 시간(또는 도달 각)을 이용하여 지상파 측위 방식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지상파 측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sitioning module 211 is a generic term for positioning resource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is composed of a GPS positioning module for positioning a moving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t least three orbiting the earth's orbit. Receiving satellite signals transmitted from more than one GPS satellite to calculate the movem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location module 211 is connected to at least two base stations (or connection points) (Or an arrival angl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The terrestrial positioning module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a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n a terrestrial positioning system.
상기 USIM 리더부(212)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The USIM reader 212 is a generic term of a configuration for exchanging at least one data set with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that is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mobile station 200 based on the ISO / IEC 7816 standard , And the data set is exchanged in a half duplex communication manner through an APDU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212)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USIM is a SIM type card having an IC chip according to the ISO / IEC 7816 standard, an input / output interface including at least one contact point connected to the USIM reader unit 212, and at least one IC chip program code. And an IC chip memory for storing a data set, and a program code for the IC chip or extracting (or processing) the data set according to at least on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interface. It includes a processor for transmitting to the input and output interface.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프로그램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215)이 다운로드되어 상기 메모리부(213)에 저장된다. 상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215)은 운영 서버(100)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되거나, 메시지 수신에 의해 사용자 확인 후 또는 자동으로 구동(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을 사용자 확인 후 또는 자동으로 구동하기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이 미리 구동 중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The application 21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ownloaded from a program providing server (eg, Apple's App Store, etc.) through a data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resource is accessible,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213. The downloaded application 215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may be manually driven by a user, or may be automatically driven (or activated) after user confirmation or by receipt of a message. On the other hand, a separate program may be running in advance to activate the application 215 after user confirmation or automatically,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접속하여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키나 또는 사용자의 회원 자격을 인증받는 회원 가입/인증부(220)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의 유효성을 인증받는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를 구비하며, 상기 운영 서버(100)에는 상기 회원 가입/인증부(220)와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의 동작에 대응하는 서버 측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부(도시생략)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application 215 accesses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a data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resource is accessible, thereby registering the user as a member or registering / authenticating the user's membership. And an application authentication unit 225 for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215 through at least on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resource can be connected. A component (not shown) configured to perform server-side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s of the authenticator 220 and the application authenticator 225 is provided.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접속하는 통신 연결 매크로 정보를 구비하며, 상기 회원 가입/인증부(220)는 상기 화면 출력부(202)를 통해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사용자 정보(예컨대,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와 회원 계정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회원 계정을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킨다.
The application 215 has communication connection macro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a data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resource is accessible, and the member registration / authentication unit 220 is the screen output unit 202. Outputs user interface (e.g., name, social security number, etc.) and a member account for inputting a member account through the data network, and inputs user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terface to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data network; Send the member account to join the user as a member.
한편 상기 사용자의 회원 가입은 상기 무선단말(200) 이외에 별도의 사용자의 단말(200)을 통해 가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이미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을 통해 회원으로 가입된 경우, 상기 회원 가입/인증부(220)는 상기 사용자의 회원 계정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회원 계정을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가 회원인지 인증시킨다.
Meanwhile, membership of the user may be subscribed through a separate user terminal 200 in addi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refore, when the user is already registered as a member, or as a member through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the member registration / authentication unit 220 outputs an interface for inputting the member account of the user, The member account input through the interface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data network to authenticate whether the user is a member.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과 전화통화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과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215)과 운영 서버(100) 사이에 미리 합의된 암/복호화 통신 과정을 수행되며, 편의상 상기 암/복호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application authenticator 225 authenticates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215 to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at least one communication network of a data network and a telephone call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resource is access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215 is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encryption / decryption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the application 215 and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for convenience, the encryption / decryp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1 애플리케이션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키 값이 설정된 상태로 상기 프로그램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되며, 이 경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고유 키 값을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고유 키 값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상기 고유 키 값과 함께 전송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과 동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215 is downloaded through the program providing server with a unique key value that can be identified as an application op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is set.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authenticator 225 may transmit the unique key value to the operation server 100, thereby authenticating that the application 215 is an application op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authentication unit 225 and at least on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unique key value to the operating server 100 and the unique key value; By transmitting together,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authenticate that the application 215 is an application op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that the application 215 is running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본 발명의 제2 애플리케이션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프로그램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에 기 지정된 절차에 따라 데이터망 상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앱 식별 값(예컨대, 애플사의 APNS에 의해 할당되는 디바이스 토큰 등)이 할당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앱 식별 값을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앱 식별 값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상기 앱 식별 값과 함께 전송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과 동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application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215 is downloaded through the program providing server after the application identification value (for example, uniquely identifying the application 215 on the data network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Device tokens assigned by Apple's APNS, etc.).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authentication unit 225 transmits the app identification value to the operation server 100, thereby allowing the application 215 to execute the application. It can be authenticated that the application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authentication unit 225 and at least on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app identification value to the operating server 100 and the app identification value; By transmitting together,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authenticate that the application 215 is an application op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that the application 215 is running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본 발명의 제3 애플리케이션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적어도 하나의 키 값과 키 교환 프로토콜 및 암/복호화 규칙이 설정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가 정의된 인증서가 탑재된 상태로 상기 프로그램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인증서에 정의된 인증 절차에 따라 상기 인증서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 값과 키 교환 프로토콜 및 암/복호화 규칙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인증서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상기 인증 절차에 더 이용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과 동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application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215 has at least one key value, a key exchange protocol and an encryption / decryption rule are set, and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authenticating the application 215 using the same is defined. The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through the program providing server with a certificate mounted therein.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authentication unit 225 may perform at least one key value and key exchange protocol set in the certificate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defined in the certificate. And selectively use an encryption / decryption rule to authenticate that the application 215 is an application op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Meanwhile, the application authenticator 225 further uses the at least on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alloca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in the process of using the certificate, thereby allowing the application 215 to perform the authentication. At the same time as the application that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can be authenticated that the application 215 is running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본 발명의 제4 애플리케이션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상기 전화통화망의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부터 발송된 인증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인증번호를 상기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상기 인증번호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과 동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application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eives the authentication number sent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message exchange protocol of the telephone call network, the received authentication number is By receiving an input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data network, the application 215 may be authenticated that the application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Meanwhile, the application authentication unit 225 transmits at least on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assign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ogether with the authentication number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number to the operation server 100. As a result, the application 215 may be an application op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at the same time, the application 215 may be authenticated that the application is running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본 발명의 제5 애플리케이션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제1 내지 제4 애플리케이션 인증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한 인증 방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According to a fifth application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authentication unit 225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the applic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an authentication metho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application authentication methods).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the validity of 215, where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운영 서버(100)의 본인 인증 절차부(120)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을 처리하는 본인 인증 처리부(23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application 215 includes an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230 that processes identity authentication for the user in association with th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120 of the operation server 100.
상기 본인 인증 처리부(230)는 상기 운영 서버(100)의 본인 인증 절차부(120)가 사용자의 본인 인증을 위해 지정된 순서에 따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본인 인증 절차에 대한 단말 측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ID/PW 인증, 인터넷 실명 인증, 통신 가입자 인증, 카드 명의자 인증, 계좌 명의자 인증, 무선단말 점유 인증, 인증서 인증 중 하나 이상의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Th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23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a terminal-side operation for one or mor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s performed by th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120 of the operation server 100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specified for the user's identity authentication Collectively, one or mor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s may be performed, preferably ID / PW authentication, Internet real name authentication, communication subscriber authentication, cardholder authentication, account holder authentication, wireless terminal occupancy authentication, certificate authentication.
상기 본인 인증 처리부(230)는 인증서 등록, 단말 지정 등록 및 인증서 이용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의 본인 여부를 인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 identity verification processor 230 performs an operation of authenticating the identity of the user in at least one of a certificate registration, a terminal designation registration, and a certificate use process.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 획득부(105)를 통해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가 획득되어 상기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 저장부(110)를 통해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사용자의 인증서가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인증서 등록부(23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application 215 obtains a certificate issued to a user through the certificate acquisition unit 105 of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stores the certificate storage unit 110 of the operation server 100. It is provided with a certificate registration unit 235 for processing so that the user's certificate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through.
상기 인증서 등록부(235)는 상기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 획득부(105)를 통해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될 사용자의 인증서가 획득되도록 처리한다.
The certificate registration unit 235 processes the user's certificate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through the certificate acquisition unit 105 of the operation server 100 is obtained.
본 발명의 제1 인증서 획득 방식에 따라 인증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인증서 등록부(235)는 상기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 획득부(105)가 상기 인증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인증서 발급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 획득부(105)를 통해 상기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될 사용자의 인증서가 획득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When the user's certificate is obtained through the certificate server according to the first certificate acquis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tificate registration unit 235 is the certificate acquisition unit 105 of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certificate server By transmitting certificate issuance information necessary to obtain a user's certificate to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user's certificate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through the certificate acquisition unit 105 of the operation server 100 is Can be processed to be acquired.
본 발명의 제2 인증서 획득 방식에 따라 지정된 기관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서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인증서 등록부(235)는 상기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상기 기관 서버를 운영하는 기관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 획득부(105)를 통해 상기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될 사용자의 인증서가 획득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When the user's certificate is obtained through the designated institution server according to the second certificate acquis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tificate registration unit 235 operat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uniquely identifying the user and the institution information for operating the institution server. By transmitting to the server 100, it can be processed so that the user's certificate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is obtained through the certificate acquisition unit 105 of the operation server 100.
본 발명의 제3 인증서 획득 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200)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이용 중인 사용자의 인증서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인증서 등록부(23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메모리부(213)(또는 USIM을 포함하는 IC칩)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 매체에 저장된 인증서를 추출하고, 지정된 인증서 복사/이전 절차에 따라 상기 추출된 인증서를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 획득부(105)를 통해 상기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될 사용자의 인증서가 획득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certificate obtai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r's certificate is provided in the terminal 200 or is being used in the user's terminal 200, the certificate registration unit 235 is the wireless terminal 200 Extract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memory unit 213 (or the IC chip including the USIM) or stored in the portable medium of the user, and transfer the extracted certificate according to a designated certificate copy / transfer procedure. By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to), it can be processed so that the user's certificate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is obtained through the certificate acquisition unit 105 of the operating server 100.
상기 제1 내지 제3 인증서 획득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획득된 인증서는 상기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된다.
Certificates obtain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certificate acquisition methods ar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한편 상기 인증서 등록부(235)는 상기 운영 서버(100)로부터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의 나머지 일부 구성을 제공받아 상기 메모리부(213) 또는 IC칩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서의 나머지 일부 구성은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로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가 이용되는 시점에 상기 운영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서의 일부 구성과 조합되어 이용 가능한 인증서의 전체 구성을 구성하는데 이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ertificate registration unit 235 may receive the remaining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store it in the memory unit 213 or IC chip, the remaining part of the certificate The configuration constitutes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that can be used as the design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in combination with some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at the time when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s used. It is used to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운영 서버(100)의 식별정보 획득부(125)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또는 무선단말(200) 이외에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다른 단말(200))에 대한 지정대상 식별정보가 획득되어 상기 운영 서버(100)의 식별정보 저장부(130)를 통해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말 지정 처리부(24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application 215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other terminal available to the user other than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5 of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a terminal designation processor 240 for processing such that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200) is obtained and stor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of the operation server 100.
상기 단말 지정 처리부(240)는 상기 메모리부(213)에 저장된 정보, 상기 USIM을 포함하는 IC칩에 저장된 정보, 상기 무선단말(200)의 읽기전용 메모리에 기록된 정보, 상기 무선단말(200)의 하드웨어적 구성부에 할당된 정보, 상기 무선단말(200)의 통신식별 정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생성된 정보, 키 입력부(203)를 통해 입력된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을 식별하는 정보, 지정된 코드생성모듈을 통해 동적 생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m개의 지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운영 서버(100)의 식별정보 획득부(125)를 통해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가 획득되도록 처리한다.
The terminal designation processor 240 may includ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213, information stored in an IC chip including the USIM, information recorded in a read-only memory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Information assigned to a hardware componen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wireless terminal 200, information input through a key input unit 203, and identification of the application 215. Acquiring at least one piece of specifi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dynamically generated information through a designated code generation module, and operating the designat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obtained m pieces of specified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By providing to the server 100, the designat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ocess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5 of the operation server 1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에 대한 지정대상 식별정보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저장된 지정 정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생성된 지정 정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입력된 지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단말 지정 처리부(240)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각종 자원(예컨대, 저장 자원, 출력 자원, 입력 자원, 카메라 자원, 통신 자원, NFC 자원, 위치측위 자원 등)의 사용권한을 득하고 이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포함될 m개의 지정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들어, 상기 단말 지정 처리부(240)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각종 자원으로부터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포함될 특정 지정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각종 자원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지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design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designation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It comprises one or more of the designated information input from the specified information, the terminal designation processing unit 240 to configure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various resource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eg, storage resources, Output resources, input resources, camera resources, communication resources, NFC resources, location resources, etc.) to obtain the use rights and obtains the m specified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is. For example, the terminal designation processor 240 obtains specific designation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various resource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designates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arious resources. You can create assignment information.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운영 서버(100)의 지정대상 인증부(145)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이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N개의 지정된 단말(200) 중 제n 단말(200)로 인증시키는 지정 단말 인증부(245)와, 상기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 처리부(150)와 연동하여 상기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한 인증서 처리가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인증서 이용부(25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application 215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use N certificates that ar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through the designated target authentication unit 145 of the operation server 100. A certificat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is linked to a designated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245 for authenticating to the n-th terminal 200 among the designated terminals 200 and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of the operation server 100. It is provided with a certificate using unit 250 for processing so that the used certificate processing.
상기 인증서 이용부(250)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서를 이용한 인증서 처리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지정 단말 인증부(245)는 상기 메모리부(213)에 저장된 정보, 상기 USIM을 포함하는 IC칩에 저장된 정보, 상기 무선단말(200)의 읽기전용 메모리에 기록된 정보, 상기 무선단말(200)의 하드웨어적 구성부에 할당된 정보, 상기 무선단말(200)의 통신식별 정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생성된 정보, 키 입력부(203)를 통해 입력된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을 식별하는 정보, 지정된 코드생성모듈을 통해 동적 생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m개의 지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운영 서버(100)의 지정대상 인증부(145)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이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N개의 지정된 단말(200) 중 제n 단말(200)로 인증되도록 처리한다.
When the certificate processing using the user's certificate is to be performed through the certificate using unit 250, the designated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245 is stored in the IC chip includ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213, the USIM. Inform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a read-only memory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formation assigned to a hardware componen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wireless terminal 200 M specified information in which at least one or two or more of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abov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203, information identifying the application 215, and dynamically generated information through a designated code generation module are combined. Acquiring and providing the designat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obtained m specified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designated object authentication unit 145 of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The terminal 200 processes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to be authenticated to the nth terminal 200 among the N designated terminals 200 availabl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을 제n 단말(200)로 인증시키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저장된 지정 정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생성된 지정 정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입력된 지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지정 단말 인증부(245)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각종 자원(예컨대, 저장 자원, 출력 자원, 입력 자원, 카메라 자원, 통신 자원, NFC 자원, 위치측위 자원 등)의 사용권한을 득하고 이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포함될 m개의 지정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들어, 상기 지정 단말 인증부(245)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각종 자원으로부터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포함될 특정 지정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각종 자원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지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n-th terminal 200 includes design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designation generated by the wireless terminal 200. Information, one or more designated information among the designated information input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designated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245 i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configure the designated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 to obtain use rights of various resources (eg, storage resources, output resources, input resources, camera resources, communication resources, NFC resources, positioning resources, etc.) and to be included in the designated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se. Obtain the specifie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esignated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245 obtains specific designation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various resources provided in the radio terminal 200 or by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arious resources. Specific specific information can be created.
상기 지정 단말 인증부(245)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이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제n 단말(200)로 인증되면, 상기 인증서 이용부(250)는 상기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제공받거나, 또는 상기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 처리부(150)로 인증서 처리가 데이터를 전송한다.
I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authenticated to the n-th terminal 200 that can use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through the designated terminal authentication unit 245, the certificate using unit 250 is the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of the operation server 100 receives a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or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transmits data to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of the operation server 100.
본 발명의 제1 인증서 이용 방식에 따라 상기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서 이용부(250)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지정된 저장 영역(예컨대, 휘발성 메모리 영역,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 등)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이용한 인증서 처리의 대상에 해당하는 데이터(예컨대, 금융거래 정보, 지불결제 정보 등)를 확인한 후, 상기 인증서에 구비된 각종 키(예컨대, 사용자의 공개키, 개인키 등)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인증서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인증서 이용부(250)는 상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는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인증 서버로 전송된다.
When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s received through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of the operation serv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certificate u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tificate using unit 250 receives the received certificate. The stored user's certificate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e.g., volatile memory area, non-volatile memory area, etc.), and data corresponding to the object of certificate processing using the user's certificate (e.g.,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etc.) ), The certificate processing procedure for the data is performed using various keys (eg, the user's public key, private key, etc.) included in the certificate. The certificate using unit 250 transmits the certificated data to a designated authentication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제2 인증서 이용 방식에 따라 상기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 처리부(150)가 상기 인증서 처리 대상 데이터에 대한 인증서 처리를 대행하는 경우, 상기 인증서 이용부(250)는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이용한 인증서 처리의 대상에 해당하는 데이터(예컨대, 금융거래 정보, 지불결제 정보 등)를 확인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 만약 상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가 상기 무선단말(200)로 수신되도록 지정된다면, 상기 인증서 이용부(250)는 상기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 처리부(150)로부터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통해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상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인증 서버로 전송하다. 한편 상기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 처리부(150)는 상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지정된 인증 서버로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When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of the operation server 100 substitutes the certificate processing for the certificate processing target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certificate u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tificate using unit 250 may convert the certificate of the user. Check the data (eg,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etc.)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of the certificate processing used,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f the certificated data is designated to be received by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certificate using unit 250 may determine the user's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from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of the operation server 100. After receiving the certificated data through a certificate, the certificated data is transmitted to a designated authentication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Meanwhile, the certificate processing unit 150 of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directly transmit the certificated data to the designated authentication server, where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면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에서 인증서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 certificate in a cloud type certificat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 후에 인증서 발급기관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한 인증서를 네트워크 상의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등록하는 과정에 대한 일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인증서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More specifically, Figure 3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process for registering a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by the certificate issuer to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on the network after the user authentication for the user.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refer to and / or modify this drawing 3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some steps may be omitted or the order may be changed) for the certificate registration process. Although there will b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nd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도면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단말(200)은 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100)에 접속하여 인증서 발급기관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한 인증서를 네트워크 상의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등록하도록 요청하며(3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이용 가능한 i개의 본인 인증 방식을 확인하고(305),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과 연계하여 상기 i개의 본인 인증 절차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수행한다(310).
Referring to FIG. 3, the user terminal 200 accesses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quests a certificate issuing authority to register a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to a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on a network (300). In response thereto, the operation server 100 checks the i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s available in the user's terminal 200 (305), and the i identity verification procedure in connection with the user's terminal 200. Is performed in the specified order (310).
만약 상기 사용자의 본인 인증이 처리되지 않는다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 본인 인증 오류를 제공하여 출력시킨다(315). 한편 상기 사용자의 본인 인증이 처리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될 사용자의 인증서를 획득한다(320). 상기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될 사용자의 인증서는 상기 도면1에 설명된 제1 인증서 획득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발급한 인증서 발급기관에 구비된 인증서 서버로부터 획득되거나(320), 또는 제2 인증서 획득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기관 서버로부터 획득되거나(320), 또는 제3 인증서 획득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이용 중인 인증서를 복사/이전하는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320).
If the user authentication of the user is not processed, the operation server 100 provides the user authentication error to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and outputs (315).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of the user is processed, the operation server 100 obtains the user's certificate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320). The user's certificate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is obtained from a certificate server provided in the certificate issuer that issued the user's certificate according to the first certificate obtaining method described in FIG. Copying a certificate that is obtained from an institution server of a management authority managing a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according to a second certificate obtaining method (320) or used by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according to a third certificate obtaining method. It may be obtained in the manner of moving (320).
만약 상기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될 사용자의 인증서가 획득되지 않는다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 인증서 획득 오류를 제공하여 출력시킨다(325). 한편 상기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될 사용자의 인증서가 획득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인증서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한다(330).
If the user's certificate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is not obtained, the operation server 100 provides a certificate acquisition error to the user's terminal 200 and outputs the error (325). Meanwhile, when a user's certificate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is obtained, the operation server 100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obtained user's certificate (330).
만약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인증서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한다(340).
If the validity of the obtained user's certificate is verified, the operation server 100 stores the obtained user's certificate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340).
도면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에서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200)을 지정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signating and registering a terminal 200 that can use a certificate in a cloud type certificat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N개의 단말(200)을 미리 지정하여 등록하는 과정에 대한 일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 지정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은 상기 도면3의 과정 전에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200)을 미리 지정 등록하지 않는다면 본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In more detail, FIG. 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previously designating and registering N terminals 200 that can use a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through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3. A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example, some steps may be omitted or changed in order) of the terminal designation registration process by referring to and / or modifying the drawing 4. Implementation method) may be infer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nd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Meanwhile, the process shown in FIG. 4 may be performed before the process of FIG. In addition, if the terminal 200 that can use the certificate is not designated and registered in advance,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4 may be omitted.
도면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단말(200)은 자신(또는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다른 각종 단말(200))을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200)로 지정 등록하도록 요청하며(4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이용 가능한 j개의 본인 인증 방식을 확인하고(405),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과 연계하여 상기 j개의 본인 인증 절차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수행한다(410). 한편 본 도면4가 상기 도면3의 과정과 함께 일괄 수행된다면, 상기 사용자 본인 인증은 상기 도면3에서 이미 수행되었으므로 생략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4, the user's terminal 200 may use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through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3 for itself (or other various terminals 200 available to the user). Request the designated registration to the terminal 200 (400), the corresponding operation server 100 checks j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s available in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405), the terminal of the user In operation 410, the j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s are per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specified order. On the other hand, if the Figure 4 is carried out together with the process of Figure 3, the user identification is already performed in Figure 3 can be omitted.
만약 상기 사용자의 본인 인증이 처리되지 않는다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 본인 인증 오류를 제공하여 출력시킨다(415). 한편 상기 사용자의 본인 인증이 처리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의해 지정 등록될 단말(200)에 대한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m개의 지정 정보를 확인하고(420),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 상기 지정 등록될 단말(200)에 대한 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요청한다(425).
If the user authentication of the user is not processed, the operation server 100 provides a user authentication error to the user terminal 200 to output (415).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of the user is processed, the operation server 100 checks the m specifi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200 to be designated and registered by the user's terminal 200 ( In operation 425,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requests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m design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200 to be designated and registered (425).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은 상기 지정 등록될 단말(200)에 대한 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추출하거나, 생성하거나, 입력받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획득한 후(430), 상기 획득된 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435).
After the user's terminal 200 obtains through one or more of extracting, generating, or receiving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m design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200 to be designated and registered (430). In operation 435,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obtained m design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10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 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고(440),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포함된 m개의 지정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실시한다(445).
The operation server 100 receives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m designation information (440), and validates at least one of the m desig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445). ).
만약 상기 수신된 지정대상 식별정보가 검증되지 않는다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 지정대상 식별정보 오류를 제공하여 출력시킨다(450). 한편 상기 수신된 지정대상 식별정보가 검증된다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와 직/간접적으로 매핑하여 저장한다(455).
If the received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verified, the operation server 100 outputs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error to the user's terminal 200 (450). On the other hand, if the received designat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verified, the operation server 100 directly or indirectly with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Map and store (455).
도면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에서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사용자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 user who can use a certificate in a cloud type certificat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증서를 등록한 사용자 또는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단말(200)을 지정 등록한 사용자를 미리 식별하여 등록하는 과정에 대한 일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용자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본 도면5는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간소화하거나 또는 자동화하기 위한 것으로, 만약 상기 인증서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본인 인증 절차가 이용된다면 본 도면5는 생략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FIG. 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identifying and registering a user who has registered a certificate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3 or a user who has designated and registered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drawings,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refer to and / or modify this drawing 5 to implement various methods for the user registration process (e.g., some steps may be omitted or sequenced).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odified implementation metho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In particular, FIG. 5 is for simplifying or automating authentication of a user in the process of using a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f the user's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is use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certificate, FIG. May be omitted.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3 또는 도면4에 도시된 과정 중에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고유 인증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요청하고(5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은 상기 사용자를 고유 인증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며(505),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상기 사용자를 고유 인증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획득한다(510). 한편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도면3 또는 도면4에 도시된 과정에서 수행된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 절차의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 본인 인증 과정에 사용된 정보 중에서 획득될 수 있다(510).
Referring to FIG. 5, in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3 or FIG. 4,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uniquely authenticate a user corresponding to a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to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Reques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500), and correspondingly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determine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r and transmits to the operation server 100 (505), the operation server 100 ) Obtain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ly authenticating the user from the user's terminal 200 (510). Meanwhil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information used in the user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for the user performed in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3 or FIG. 4 (51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데(515), 만약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한 오류를 제공하여 출력시킨다(520). 한편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지정대상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와 직/간접적으로 매핑하여 저장한다(525).
The operation server 100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obtain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515). If the validity of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verified, the operation server 100 is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In operation 520, an error regard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and output. On the other hand, if the validity of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verified,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ure 3 the designated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ure 4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s mapped and stored directly or indirectly (525).
도면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에서 저장매체(115)에 등록된 인증서를 확인/추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hecking / extracting a certificate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n a cloud type certificat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클라우드 방식으로 인증서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확인하거나 추출하는 과정에 대한 일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인증서 확인/추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은 상기 도면3의 과정 전에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200)을 미리 지정 등록하지 않는다면 본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In more detail, FIG. 6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checking or extracting a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through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3 to use the certificate in a cloud metho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refer to and / or modify this drawing 6 to implement various methods for the certificate verification / extraction process (eg, some steps may be omitted or the order may be changed). Although it can be inferre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nd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Meanwhile, the process shown in FIG. 6 may be performed before the process of FIG. In addition, if the terminal 200 that can use the certificate is not designated and registered in advance,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6 may be omitted.
도면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단말(200)은 운영 서버(100)로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하도록 요청하며(6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이용 가능한 k개의 본인 인증 방식을 확인하고(605),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과 연계하여 상기 k개의 본인 인증 절차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수행한다(610). 한편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615).
Referring to FIG. 6, the user terminal 200 requests the operation server 100 to use a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through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3 (600), and correspondingly, The server 100 checks k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s available in the user's terminal 200 (605), and performs the k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s in a specified order in association with the user's terminal 200. 610. Meanwhile, whe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through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5,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authenticate the user through the register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615).
만약 상기 사용자의 본인 인증이 처리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한 사용자 인증이 처리되지 않는다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오류를 제공하여 출력시킨다(620). 한편 상기 사용자의 본인 인증이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한 사용자 인증이 처리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인증서 이용을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200)을 지정 등록된 단말(200)로 인증하기 위한 m개의 지정 정보를 확인하고(625),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 상기 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요청한다(630).
If the user authentication of the user is not processed or the us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processed, the operation server 100 outputs the authentication error for the user to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and outputs it. (620). Meanwhile,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of the user is processed or the us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ocessed, the operation server 100 authenticates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use of the certificate to the designated terminal 200. In operation 625, the M designation information is checked (625), and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requests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m designation information (630).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은 상기 요청된 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추출하거나, 생성하거나, 입력받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획득한 후(635), 상기 획득된 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640).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extracts, generates, or receives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quested m designation information through one or more of obtaining (635), and then, the obtained m designations The designated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100 (64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 대상 식별정보를 획득하고(645),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지정대상 식별정보와 상기 획득된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을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지정 등록된 제n 단말(200)로 인증한다(650).
The operation server 100 obtains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m designation information (645), and designates the designated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cquired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In comparison, the user's terminal 200 is authenticated to the designated nth terminal 200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4 (650).
만약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이 지정 등록된 제n 단말(200)로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대한 지정대상 오류를 제공하여 출력시키며(655), 필요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대한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폐기하거나, 또는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응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을 지정대상으로 다시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이 지정 등록된 제n 단말(200)로 인증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지정된 저장매체(115)로부터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와 직/간접적으로 매핑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확인 또는 추출한다(660).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은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가 확인됨에 따라 상기 운영 서버(100)로부터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가 이용 가능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665).
If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is not authenticated with the designated registered n-th terminal 200, the operation server 100 provides an error of designation for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and outputs the error 655. , If necessary, discard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or apply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4 to re-register the user terminal 200 as the designation target. have.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terminal 200 is authenticated with the designated registered n-th terminal 200, the operation server 100 of the user mapp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designated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Verify or extract the certificate (660).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terminal 200 stores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as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s confirm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vailable state (665).
도면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클라우드 방식으로 인증서를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using a certificate in a clou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사용자의 단말(200)로 제공하여 이용되도록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일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인증서 이용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은 상기 도면3의 과정 전에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200)을 미리 지정 등록하지 않는다면 본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In more detail, FIG. 7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providing a user's certificat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to a user's terminal 200 to be used,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refer to and / or modify this drawing 7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some steps may be omitted or the order may be changed) for the certificate usage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nd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Meanwhile, the process shown in FIG. 7 may be performed before the process of FIG. 3. In addition, if the terminal 200 that can use the certificate is not designated and registered in advance,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7 may be omitted.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가 추출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15)로부터 추출된 사용자의 인증서에 지정된 사용 제한을 설정한 후(700),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의 제n 단말(200)로 제공하며(705),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n 단말(200)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저장매체(115)로부터 추출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수신하여 상기 인증서에 설정된 사용 제한에 따라 유지한다(710).
Referring to FIG. 7, when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s extracted through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6, the operation server 100 is assigned to the user's certificate extracted from the storage medium 115. After setting the usage restriction (700), the user's certificate is provided to the n-th terminal 200 of the authenticated user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ure 6 (705), and corresponding to the n-th terminal of the user In operation 710, the user's certificate received from the storage medium 115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maintained according to the usage restriction set in the certificate.
이후, 상기 사용자의 제n 단말(200)은 인증서 처리 대상 데이터를 확인하고(715), 상기 유지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통해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인증서 처리 절차(예컨대, 사용자 인증, 암/복호화, 전자서명 등)를 수행한다(720).
Then, the n-th terminal 200 of the user checks the certificate processing target data (715), and the certificate processing procedure (for example, user authentication, encryption / decryption, digital signature) for the data through the retained user's certificate Etc.) (720).
만약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인증서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의 제n 단말(200)은 상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를 지정된 인증 서버로 전송하며(725),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를 수신하고(730),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통해 상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를 인증(예컨대, 사용자 인증, 암/복호화, 전자서명 검증 등)한다(735).
If the certificate processing for the data is completed, the n-th terminal 200 of the user transmits the certificated data to a designated authentication server (725), and correspondingly, the authentication server transmits the certificated data. Received (730), and authenticates (e.g., user authentication, encryption / decryption, digital signature verification, etc.) the certificated data through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735).
만약 상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가 인증되면,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인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요청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며(740), 상기 인증된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는 상기 인증 서버와 연동하는 별도의 서비스제공서버(예컨대, 은행 서버, 카드사 서버 등)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If the certificated data is authenticated, the authentication server processes the requested service from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using the authenticated data to be provided (740), and the service using the authenticated data is It may be provided through a separate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example, a bank server, a card company server, etc.) interlocking with the authentication server.
도면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클라우드 방식으로 인증서를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using a certificate in a cloud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수행될 인증서 처리를 대행하는 과정에 대한 일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인증서 이용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도면8에 도시된 과정은 상기 도면3의 과정 전에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200)을 미리 지정 등록하지 않는다면 본 도면8에 도시된 과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In more detail, Figure 8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process for performing a certificate processing to be performed in the user's terminal 200 through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115,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refer to and / or modify this drawing 8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some steps may be omitted or the order may be changed) for the certificate usage proces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Meanwhile,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8 may be performed before the process of FIG. 3. In addition, if the terminal 200 that can use the certificate is not designated and registered in advance,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8 may be omitted.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이용 가능함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의 제n 단말(200)은 인증서 처리 대상 데이터를 확인하고(800),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인증서 처리 대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이용한 인증서 처리가 수행되도록 요청하며(805), 이에 대응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제n 단말(200)로부터 상기 인증서 처리 대상 데이터를 수신하고(810),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통해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인증서 처리 절차(예컨대, 사용자 인증, 암/복호화, 전자서명 등)를 대행하여 수행한다(815).
Referring to FIG. 8,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s available through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6, the n-th terminal 200 of the user checks the certificate processing target data ( 800, requesting that the certificate processing using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is performed by transmitting the certificate processing target data to the operation server 100 (805), and correspondingly, the operation server 100. ) Receives the certificate processing target data from the user's n-th terminal 200 (810), and the certificate processing procedure (for example, the user for the received data through the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15) Authentication, encryption / decryption, digital signature, etc.) on behalf of the server (815).
만약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인증서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지정된 대상 장치로 상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를 전달한다(820).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제n 단말(2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은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통해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를 수신하고(825), 상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를 지정된 인증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830). 또는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는 상기 인증 서버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If the certificate processing for the data is completed, the operation server 100 transfers the certificated data to the designated target device (820). Preferably, the certificated data may be delivered to the n-th terminal 200 of the user, in which case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receives the certificated data through the user's certificate (825) In operation 830, the certificated data may be transmitted to a designated authentication server. Alternatively, the certificated data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 또는 운영 서버(10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인증서를 통해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를 수신하고(835),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통해 상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를 인증(예컨대, 사용자 인증, 암/복호화, 전자서명 검증 등)한다(840).
The authentication server receives the certificated data through the user's certificate from the terminal 200 or the operation server 100 of the user (835), and authenticates the certificated data through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Eg, user authentication, encryption / decryption, digital signature verification, etc.) (840).
만약 상기 인증서 처리된 데이터가 인증되면,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인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요청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며(845), 상기 인증된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는 상기 인증 서버와 연동하는 별도의 서비스제공서버(예컨대, 은행 서버, 카드사 서버 등)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If the certificated data is authenticated, the authentication server processes the requested service from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using the authenticated data to be provided (845), and the service using the authenticated data is It may be provided through a separate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example, a bank server, a card company server, etc.) interlocking with the authentication server.
100 : 운영 서버 105 : 인증서 획득부
110 : 인증서 저장부 115 : 저장매체
120 : 본인 인증 절차부 125 : 식별정보 획득부
130 : 식별정보 저장부 135 : 요청 정보 수신부
140 : 사용자 인증부 145 : 지정대상 인증부
150 : 인증서 처리부 200 : 단말100: operation server 105: certificate acquisition unit
110: certificate storage unit 115: storage medium
120: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125: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0: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reques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0: user authentication unit 145: target authentication unit
150: certificate processing unit 200: terminal
Claims (21)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N(N≥1)개의 단말을 지정 식별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이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의해 지정 식별되는 N개의 지정된 단말 중 제n(1≤n≤N) 단말인지 인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지정된 제n 단말로 인증된 경우에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가 상기 제n 단말을 통해 이용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In the cloud type certificate operation method executed by the server,
A first step of storing a certificate issued to a user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 second step of storing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esignating and identifying N (N≥1) terminals that can use the stored certificate;
A third step of authenticating whether the terminal used by the user is an nth (1 ≦ n ≦ N) terminal among N designated terminals designated and identified by the designat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d a fourth step of processing a user's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o be used through the n-th terminal when the user's terminal is authenticated as the designated n-th terminal.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본인 인증이 처리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an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a user who has received a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storing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in the storage medium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of the user is processed.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인증서를 발급한 인증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제공받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를 제공받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e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from the certificate server that issued the certificate to the user and store in the storage medium,
And receiving at least on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from the terminal of the user and storing the certificate in the storage medium.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의 전체 구성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의 일부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ncludes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or
Cloud type certificate opera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인증서에 일부 구성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인증서의 일부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기 N개의 지정된 단말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N개의 지정된 단말을 통해 이용될 인증서를 저장하는 사용자 소유의 휴대 매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f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ncludes some configuration,
Except for some components of the stored certificate,
Stored in the N designated terminals, or
And storing the certificate to be used through the N designated terminals.
상기 인증서의 발급기관이 운영하는 저장매체,
상기 인증서의 등록기관이 운영하는 저장매체,
상기 서버에 구비된 저장매체,
상기 서버에서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The storage medium of claim 1, wherein the storage medium storing the certificate comprises:
A storage medium operated by the issuer of the certificate;
A storage medium operated by the registrar of the certificate;
A storage medium provided in the server,
At least one of a storage medium on a network accessible from the server.
상기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상기 인증서가 이용될 단말을 지정 등록하는지에 대한 사용자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performing a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on whether the user who has issued the certificate designates and registers a terminal to which the certificate is to be used.
상기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를 고유 인증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지정대상 식별정보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btain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uniquely authenticating the user who has issued the certificate;
The N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mapped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ud type certificate management method.
지정된 단말의 읽기/쓰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지정된 단말에 구비된 IC칩에 저장된 정보, 지정된 단말의 읽기전용 메모리에 기록된 정보, 지정된 단말의 하드웨어적 구성품에 할당된 정보, 지정된 단말의 통신식별 정보, 지정된 단말에서 생성된 정보, 지정된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 지정된 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정보, 지정된 코드생성모듈을 통해 동적 생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dentific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read / write memory of the designated termi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IC chip provided in the designated terminal, information recorded in the read-only memory of the designated terminal, information assigned to the hardware components of the designated terminal, and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terminal Clou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pecified termin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specified terminal, information identifying a program provided in the designated terminal, information dynamically generated through the designated code generation module How the certificate works.
상기 인증서가 이용될 단말로 등록 가능한 각 단말의 종류, 통신망 및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각 단말의 지정대상 식별정보로 이용 가능한 M(M≥1)개의 지정 정보를 지정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 조건이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등록되는 단말의 지정대상 식별정보 조건에 부합하는 M개의 지정 정보 중에서 m(1≤m≤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dition for designating M (M≥1) designation information available as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on the basis of at least one of the types, communication networks, and platforms that can be registered as terminals to which the certificate is to be use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tting up,
The second step is a cloud, characterized in that to obtain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m (1≤m≤M) of the specified information from the M designation information that meets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ditions of the terminal registered; How the certificate works.
단말 지정 등록을 위해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을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로 지정 등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상기 저장된 인증서가 이용될 단말로 지정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erminal of the user who is connected for terminal designation registration is registered and registered as an available terminal,
Receiv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designation information designated from the user's terminal,
Receiving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designation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terminal of the user from the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the terminal of the user,
And acquiring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ignating the terminal of the user as a terminal to be used for the stored certificate through at least one or two or more combinations thereof.
단말 지정 등록을 위해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 이외에 상기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다른 단말을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로 지정 등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서를 이용 가능한 단말로 등록되는 대상 단말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대상 단말에 대한 단말정보를 근거로 상기 대상 단말로부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대상 단말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대상 단말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단말을 상기 저장된 인증서가 이용될 단말로 지정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erminal designates and registers another terminal available to the user as an availabl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terminal of the user connected for terminal designation registration,
Receiving, from the terminal of the user, designat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designated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target terminal registered as a terminal that can use the certificate;
Receiv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designation information designated from the target terminal on the basis of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target terminal provided from the terminal of the user,
Receiving one or mor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ignated to the target terminal from a management server managing the target terminal,
And acquiring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ignating a terminal available to the user as a terminal to which the stored certificate is to be used through at least one or two or more combinations thereof.
상기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요청하는지에 대한 사용자 본인 인증 절차와, 상기 N개의 단말을 등록한 사용자가 상기 저장된 인증서를 요청하는지에 대한 사용자 본인 인증 절차 중, 적어도 하나의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of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for whether the user who has issued the certificate requests the stored certificate and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for whether the user who has registered the N terminals requests the stored certificate. Cloud-type certificate opera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상기 사용자를 고유 인증하는 사용자 식별정보가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ly authenticating the user is mapped and stored with the designated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ng the user by compar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of the user with the stor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loud type certificate opera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made.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저장된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지정 정보와 매칭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지정대상 식별정보와 상기 저장된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상기 지정된 제n 단말로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from the terminal of the user,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one or more desig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ored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d comparing the received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stored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uthenticate the terminal of the user as the designated n-th terminal.
지정대상 식별정보로 이용 가능한 M(M≥1)개의 지정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지정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m(1≤m≤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의 구성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m개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지정대상 식별정보와 상기 저장된 지정대상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상기 지정된 제n 단말로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dent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m (1≤m≤M) designation information used for designating and identifying the terminal of the user among the M (M≥1) designation information available as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ep;
Receiving identification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m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user; And
And comparing the received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stored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uthenticate the terminal of the user with the designated n-th terminal.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는, 지정된 단말에 고정 유지된 둘 이상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지정된 단말에 고정 유지된 둘 이상의 정보 중 일부는 인증되고 나머지 일부는 인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지정대상 식별정보에 대한 폐기 절차 또는 재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esignation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two or more designation information fixed to the designated terminal.
And performing a discarding procedure or a re-registration procedure for the designated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some of the at least two pieces of information fixed to the designated terminal are authenticated and some are not authenticated. How a certificate works.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상기 제n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Cloud-based certificate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the stored user's certificate to the n-th terminal.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서의 일부 구성을 상기 제n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n 단말은, 상기 제공되는 인증서의 일부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구비되어 있거나, 상기 사용자 소유의 휴대 매체에 구비된 상기 인증서의 나머지 구성을 이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It provides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issued to the user to the n-th terminal,
The n-th terminal has a remaining configuration except for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provided certificate, or the cloud-based certificate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provided in the user-owned portable media can be used.
상기 인증서의 일부 구성은,
N개의 지정된 단말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N개의 지정된 단말 별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인증서의 나머지 구성은,
N개의 지정된 단말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N개의 지정된 단말 별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Some components of the certificate,
The same for N designated terminals, or
It is characterized by different for each of the N specified terminal,
The remaining configuration of the certificate,
The same for N designated terminals, or
Cloud-based certificate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for each of the N specified terminal.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서를 통해 상기 제n 단말의 인증서 처리를 대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Cloud-based certificate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the certificate processing of the n-th terminal through the stored user's certific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0360A KR20140015744A (en) | 2012-07-24 | 2012-07-24 | Cloud type operating method for certific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0360A KR20140015744A (en) | 2012-07-24 | 2012-07-24 | Cloud type operating method for certificat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8792A Division KR20190112701A (en) | 2019-09-26 | 2019-09-26 | Cloud Type Operating Method for Certifica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5744A true KR20140015744A (en) | 2014-02-07 |
Family
ID=5026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0360A Ceased KR20140015744A (en) | 2012-07-24 | 2012-07-24 | Cloud type operating method for certifica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15744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5196A (en) * | 2015-01-07 | 2016-07-15 | 정진욱 | Mobile simple payment system using payment authentication call and bank identification number, and method thereof |
KR102812417B1 (en) * | 2025-01-02 | 2025-05-26 | (주)케이스마텍 | Key4C Key Management System Plugi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
2012
- 2012-07-24 KR KR1020120080360A patent/KR20140015744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5196A (en) * | 2015-01-07 | 2016-07-15 | 정진욱 | Mobile simple payment system using payment authentication call and bank identification number, and method thereof |
KR102812417B1 (en) * | 2025-01-02 | 2025-05-26 | (주)케이스마텍 | Key4C Key Management System Plugi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08125A (en) | Payment by using payment identification number dynamic mapped user's payment tool | |
KR101812765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Object mapped One Time Code | |
KR101505847B1 (en) | Method for Validating Alliance Application for Payment | |
KR102196337B1 (en) | Cloud Type Operating Method for Certificate | |
KR20140015744A (en) | Cloud type operating method for certificate | |
KR20140105423A (en) | System for Providing Payment Service by using One Time Code | |
KR20130011198A (en) | One time code created by random number medium | |
KR102193696B1 (en) | Method for Providing Safety Login based on One Time Code by using User’s Card | |
KR102193160B1 (en) | Method for Providing Transacting Linked Authentication Code | |
KR20190112701A (en) | Cloud Type Operating Method for Certificate | |
KR101710721B1 (en) | Method for Operating Mobile OTP by using Location | |
KR101183714B1 (en) | Method and system for certificating by media combination, smart phone | |
KR101615689B1 (en) | Method for Providing Mobile OTP based on Location | |
KR20200118783A (en) | Cloud Type Operating Method for Certificate | |
KR20130008124A (en) | Payment by using payment identification number dynamic mapped individual financial institution | |
KR102210898B1 (en) | Method for Linking Transaction to One Time Authentication Code | |
KR20160142807A (en) |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ayment | |
KR20160017013A (en) |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ayment | |
KR20160025540A (en) | Method for Certificating Face-To-Face Service by using User's Mobile Device | |
KR20140080905A (en) | Method for Providing Non-Medium Payment Service | |
KR101561686B1 (en) | Method for Providing OTP based on Location | |
KR20100129107A (en) | Mobile Voucher Operation Method an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 |
KR20160139073A (en) | Method for Authenticating Interlocked Transaction by using One Time Code | |
KR20110003818A (en) | Method for processing mobile voucher admission using rf communication | |
KR20120112342A (en) | Method for outputting token cod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7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7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