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34273A -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with object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with object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273A
KR20130134273A KR1020120057678A KR20120057678A KR20130134273A KR 20130134273 A KR20130134273 A KR 20130134273A KR 1020120057678 A KR1020120057678 A KR 1020120057678A KR 20120057678 A KR20120057678 A KR 20120057678A KR 20130134273 A KR20130134273 A KR 20130134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virtual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object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6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수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임페이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임페이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임페이퍼
Priority to KR1020120057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4273A/en
Publication of KR20130134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273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물 오브젝트의 형태적, 기능적인 면과의 연관성을 가지는 증강현실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은 오브젝트 연계정보 데이터베이스, 실사 영상 수신부, 오브젝트 인식부, 오브젝트 식별정보 비교부, 가상 메뉴 증강부,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오브젝트 연계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 식별정보에 하나 이상의 가상 메뉴가 연계되도록 정의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실사 영상 수신부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한다. 상기 오브젝트 인식부는 상기 실사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인식한다. 상기 오브젝트 식별정보 비교부는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상기 오브젝트 연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상기 가상 메뉴 증강부는 상기 비교를 통해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연계된 가상 메뉴를 상기 오브젝트 상에 증강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된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처리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an objec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having an association with a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 of a real object.
To this end, the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an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ject association information database, a live image receiving unit, an object recognition unit, an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arison unit, a virtual menu enhancer, and a controller. The object association information database stores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information defined to associate one or more virtual menus with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live image receiving unit receives a live image captured by a camera. The object recognizer recognizes an object included in the live image.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arison unit compares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object with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object association information database. When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dentified through the comparison, the virtual menu enhancer augments the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object. If the enhanced virtual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processes a corresponding function.

Description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및 방법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WITH OBJECT AND METHOD THEREOF}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object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WITH OBJEC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물 오브젝트의 형태적, 기능적인 면과의 연관성을 가지는 증강현실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an objec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having an association with a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 of a real object.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사용자가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영상을 겹쳐 보여주는 기술로서, 현실세계에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증강현실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과 대비된다. 즉, 가상현실기술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의 환경에 몰입하게 하므로 사용자는 실제 환경을 볼 수 없는 반면, 증강현실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실제 환경을 볼 수 있으며, 실제 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형태를 띤다.Augmented Reality (AR) is a technology that superimposes a virtual image on the real world that the user sees, and is also called Mixed Reality (MR) because it shows the virtual world with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real world as a single image. . Such augmented reality is contrasted with virtual reality. In other words, VR technology generally allows users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virtual environment, while the user cannot see the real environment, whereas in AR technology, the user can see the real environment, and the real environment and the virtual objects are mixed. Takes shape.

이와 같은 증강현실 기술은 연산처리량이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성능 사양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였지만, 최근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를 기본 사양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계산량이 많은 연산도 처리할 수 있는 높은 사양을 구비하고 있어, 3D 렌더링, 또는 카메라 영상 처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나아가 고성능 데스크톱에서 가능했던 가상현실 기술이나 증강현실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Sinc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has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al processing, it has generally been used in a system having a high performance specification. However, recently rele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 camera as a basic specification, and can handle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It is equipped with high specifications,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such as 3D rendering or camera image processing to users, and also provides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at were possible in high-performance desktops.

현재 단말기에 증강현실 기술이 적용되는 사례로 "핫코드"와 "비주얼코드 인식 시스템"이 있다. 먼저, "핫코드"란 종래의 바코드를 이용하는 기술로, 사용자가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기(일명, 카메라폰)로 바코드를 비추기만 하면, 카메라폰의 카메라가 상기 바코드를 포착하여 해당 컨텐츠가 있는 인터넷 상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증강현실 기술을 말한다. 그리고 "비주얼코드 인식 시스템"란 바코드를 인식하여 단말기의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즉, 텍스트, 또는 음성, 또는 이미지 등과 같은 가상 오브젝트)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증강 해주는 증강현실 기술이다.Currently,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applied to handsets such as "hot code" and "visual code recognition system." First, "hot code" is a technology using a conventional bar code, the user simply illuminates the bar code with a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ka camera phone), the camera of the camera phone captures the bar code and the Internet with the corresponding content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at moves to the space of the image. The "visual code recognition system" is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or recognizing a barcode and augmenting information (ie, a virtual object such as text, voice, or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terminal on the display of the terminal.

기존의 증강현실 사례들은 주로 실물 영상에 가상의 오브젝트를 합성하여 보여주는 수준이거나, 또는 가상의 오브젝트가 단순한 애니메이션을 보여주는 수준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32336호 "이동단말기 및 그의 증강현실 정보의 표시 방법"에서는 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프리뷰 영상에서, 각 대상물의 AR 정보 아이콘이 그 대상물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경우, 원거리에 있는 대상물의 AR 정보 아이콘이 상기 프리뷰 영상의 앞에 표시되는 AR 정보 화면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Existing augmented reality examples are mostly composed of a virtual object synthesized in a real image, or a virtual object shows a simple animation.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32336 "Mobile terminal and its display method of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 the preview image taken by the camera of the terminal, the AR information icon of each object is displayed superimposed on the object In this case, a technique of providing an AR information screen in which an AR information icon of a remote object is displayed in front of the preview image is disclosed.

또한, 현재로서는 사용자가 증강된 가상의 오브젝트와 상호작용을 하더라도 카메라로 비추고 있는 실물 오브젝트의 형태적, 기능적인 면과의 연관성이 떨어지는 수준이다. 예를 들면, 카메라로 비주얼 태그(visual tag)를 비추면 3D 캐릭터가 나오고 사용자가 캐릭터를 터치하면 캐릭터가 반응하는 수준으로, 상호작용이 비주얼 태그 자체와 연관성이 없는 수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at present, even if the user interacts with the augmented virtual object, the degree of association with the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real object reflected by the camera is inferior. For example, when a visual tag is illuminated with a camera, a 3D character comes out,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character, the character reacts, and the interaction is not related to the visual tag itself.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3233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32336

본 발명은 실물 오브젝트의 형태적, 기능적인 면과의 연관성을 가지는 증강현실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having an association with the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real object.

또한, 본 발명은 실물 오브젝트(예를 들면, 스피커 등)의 외형이 오브젝트의 핵심 기능 위주로 조형적으로 매우 간결하게 디자인된 경우, 즉 조작부가 없는 오브젝트 또는 일반적으로 조작이 불가능한 오브젝트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so that the appearance of a real object (for example, a speaker, etc.) is designed to be very concisely designed mainly on the core function of the object, that is, an object without an operation unit or a generally inoperable object can be manipulated. It aims to do it.

또, 본 발명은 종이에 인쇄된 명함 혹은 포스터 등에 표시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하거나, 해당 URL의 웹페이지로 연결하거나, 명함에 적힌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 또는 이메일을 보내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information displayed on a business card or poster printed on paper in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ink to a web page of the URL, call a phone number written on the business card, send a text or email It aims to be able to perform such function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은 오브젝트 연계정보 데이터베이스, 실사 영상 수신부, 오브젝트 인식부, 오브젝트 식별정보 비교부, 가상 메뉴 증강부,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오브젝트 연계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 식별정보에 하나 이상의 가상 메뉴가 연계되도록 정의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실사 영상 수신부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한다. 상기 오브젝트 인식부는 상기 실사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인식한다. 상기 오브젝트 식별정보 비교부는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상기 오브젝트 연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상기 가상 메뉴 증강부는 상기 비교를 통해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연계된 가상 메뉴를 상기 오브젝트 상에 증강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된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처리한다.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a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associated with an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ject association information database, a live image receiving unit, an object recognition unit, an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aring unit, a virtual menu enhancer, and a controller. The object association information database stores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information defined to associate one or more virtual menus with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live image receiving unit receives a live image captured by a camera. The object recognizer recognizes an object included in the live image.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arison unit compares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object with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object association information database. When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dentified through the comparison, the virtual menu enhancer augments the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object. If the enhanced virtual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processes a corresponding fun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물 오브젝트의 외형이 오브젝트의 핵심 기능 위주로 조형적으로 매우 간결하게 디자인된 경우, 즉 조작부가 없는 오브젝트 또는 일반적으로 조작이 불가능한 오브젝트 상에 오브젝트와 연계되는 가상 메뉴를 증강시킴으로써,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의 외형을 볼륨 조절 등의 조작 버튼 없이 소리를 방출하는 본연의 기능을 가지도록 디자인할 수 있으며, 이렇게 디자인해도 스피커가 가지는 기능을 모두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ppearance of the real object is designed very concisely, mainly on the core function of the object, that is, a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an object on an object without an operation unit or an object generally inoperable. By augmenting, there is an effect to perform the function. For example, the appearance of the speaker can be designed to have a natural function of emitting sound without an operation button such as volume control, and even this design can operate all functions of the speaker.

또한, 종이에 인쇄된 명함 혹은 포스터 등에 표시된 정보를 증강된 가상 메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하거나, 해당 URL의 웹페이지로 연결하거나, 명함에 적힌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 또는 이메일을 보내는 등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다.In addi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a business card or poster printed on paper can be stored in the user's mobile terminal through an augmented virtual menu, linked to a web page of a corresponding URL, a telephone number written on the business card, a text or By providing a function such as sending an email, user convenience can be maximized.

또, 실사 영상에 가상 가이드를 증강하고, 이를 기준점으로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가상 메뉴 상으로 가상 가이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화면 상의 가상 메뉴를 찾아 터치하는 작업이 수월하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rtual guide is augmented in the live-action image, and the user can move the virtual guide onto the desired virtual menu by using the reference point, thereby making it easier to find and touch the virtual menu on the screen, thereby maximizing user satisfaction.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이 적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오브젝트 마다 연계되는 가상 메뉴들이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에서 증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오브젝트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가상 메뉴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스피커에 연계되는 가상 메뉴들이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에서 증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가상 가이드가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에서 증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virtual menus associated with each object are augmented in a preview image of a camera.
3 illustrates various virtual menus that may be applied to an object.
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virtual menus associated with a speaker are augmented in a preview image of a camera.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virtual guide is augmented in a preview image of a camera.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flow of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위하여 실제와는 달리 과장된 수치가 제시되었을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Further,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values are merely examples, and exaggerated values may be presented for convenience an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시스템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이 적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통신단말기(20)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 PMP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and a PMP.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100)은 오브젝트 연계정보 데이터베이스(110), 실사 영상 수신부(120), 오브젝트 인식부(130), 오브젝트 식별정보 비교부(140), 가상 메뉴 증강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100 associated with an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ject association information database 110, a live-action image receiving unit 120, an object recognition unit 130, and an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aring unit ( 140, the virtual menu enhancer 150, and the controller 160.

오브젝트 연계정보 데이터베이스(110)는 서버(10)로부터 수신되는 실세계 영상에서 식별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 식별정보에 하나 이상의 가상 메뉴가 연계되도록 정의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정보는 오브젝트 식별정보 마다 이와 연계되는 가상 메뉴가 대응되도록 정의한 정보를 의미하며, 오브젝트는 영상으로 식별되는 실생활의 물체, 오브젝트의 식별정보는 오브젝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마커정보, 또는 특징점정보와 같은 비마커정보), 가상 메뉴(가상 버튼)는 오브젝트 상에 증강되는 메뉴(버튼)로, 오브젝트 대상 본연의 기능 혹은 그와 연계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UI 컴포넌트(User Interface Component)이다. The object association information database 110 receives and stores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dentified in the real world image received from the server 10 and information defining one or more virtual menus in association with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defined to correspond to the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each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object is a real-life object identified by the imag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bject (for example, marker information, Or non-marker information such as feature point information), and a virtual menu (virtual button) are menus (buttons) that are augmented on an object, and a UI component (user interface component) capable of manipulating an object function or a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object. )to be.

실사 영상 수신부(120)는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실물 오브젝트의 실사 영상을 카메라(21)로 촬영하면, 카메라(21)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한다.The live image receiving unit 120 receives a live image of the real object that the user wants to see with the camera 21, and receives the liv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1.

오브젝트 인식부(130)는 실사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찾아 인식하는 역할로, 도 2와 같이 명함이나 영화 포스터, 음식 메뉴판 등을 인식하며, 대상을 바로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인식하기 쉽게 생긴 비주얼 태그(visual tag)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비주얼 태그는 증강현실 Toolkit에서 사용되는 검정 사각테두리 또는 QRCode에서 사용되는 겹쳐진 사각형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 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오브젝트 인식부(130)는 사용자가 카메라(21)를 움직임에 따라 프리뷰(preview) 영상 내의 오브젝트 위치와 자세가 변할 때, 이를 추적하여 오브젝트의 위치와 자세를 계산함으로써, 이후 오브젝트 상에 가상 메뉴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bject recognizing unit 130 serves to find and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live-action image. The object recognizing unit 130 recognizes a business card, a movie poster, a food menu board, and the like, when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recognize an object. You can also use the resulting visual tag. The visual tag may be a rectangular black border used in augmented reality toolkit or an overlapping rectangle used in QRCod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a configuration. In addition,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30 tracks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object in the preview image as the user moves the camera 21, calculates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object, and then virtually displays it on the object.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place the menu in the correct position.

오브젝트 식별정보 비교부(140)는 인식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오브젝트 연계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20)의 카메라(21)를 작동시키면,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100)은 입력되는 실사 영상에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오브젝트 연계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비교한다.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aring unit 140 compares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object with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object association information database 110. That is, when the user operates the camera 2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100 associated with the object extracts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from the input live image and extracts the extract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object association information database 110.

가상 메뉴 증강부(150)는 상기 비교를 통해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연계된 가상 메뉴를 상기 오브젝트 상에 증강한다. 다시 말해, 가상 메뉴 증강부(150)는 실사 영상 내의 오브젝트 위치에 미리 정의된 UI 컴포넌트를 증강하여 표시한다.When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dentified through the comparison, the virtual menu enhancer 150 augments the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object. In other words, the virtual menu enhancer 150 augments and displays a predefined UI component at an object position in the live action image.

제어부(160)는 오브젝트 상에 증강된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처리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virtual menu augmented on the object, the controller 160 processes a corresponding function.

일실시예로 오브젝트가 전자기기인 경우, 전자기기의 조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100)은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object is an electronic device, the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100 associated with th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so a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t is desirable to.

만약, 사용자가 카메라(21)로 전자기기를 비추면, 가상 메뉴 증강부(150)는 전자기기와 연계되어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UI 컴포넌트를 전자기기 상에 증강하고, 제어부(160)는 상기 증강된 UI 컴포넌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전자기기와의 무선 통신으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메라(21)로 스피커(이 스피커에는 물리적으로 조작 가능한 버튼 일체가 없음)를 비추면 가상 메뉴 증강부(150)는 스피커 표면에 볼륨 컨트롤, 플레이 컨트롤 등 음악을 듣기 위한 조작 버튼을 가상으로 증강하여 표시하며, 사용자가 조작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160)는 음악의 볼륨 및 재생을 조절한다. 다른 응용예로, 전자기기가 디지털 도어락인 경우에는 도어락의 기계적 부위는 숨기도록 디자인되고, 문 자체를 카메라로 비출 때만 가상의 도어락 UI 컴포넌트를 제공하여 문을 열고 닫는 응용도 가능하다.If the user illuminates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amera 21, the virtual menu enhancer 150 augments the UI component that can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in associ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o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augmented UI componen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rocessed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when a user illuminates a speaker (there is no physically operable button on the speaker) with the camera 21, the virtual menu enhancer 150 operates to listen to music such as volume control and play control on the speaker surface. A button is virtually augmented and displayed. When a user presses an operation button, the controller 160 adjusts the volume and playback of music. In another applica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a digital door lock, the mechanical part of the door lock is designed to be hidden, and an applic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providing a virtual door lock UI component only when the door itself is projected by the camera is also possible.

기본적으로 가상 메뉴에 적용될 수 있는 UI 컴포넌트는 일반적인 PC나 스마트폰 등에서 사용되는 UI 컴포넌트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 오브젝트 상에 가상 메뉴를 합성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도 3과 같이 직접 조작의 느낌이 강한 UI컴포넌트가 더 주요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 이러한 UI 컴포넌트는 도 4와 같이 스피커에 증강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며, 그 구체적인 구현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Basically, the UI component that can be applied to the virtual menu may be used in all of the UI components used in a general PC or smartphone, etc.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since the virtual menu is synthesized and displayed on the object, a UI component having a strong feeling of direct manipulation may be applied more principally as shown in FIG. 3. In addition, such a UI component may be augmented to the speaker as shown in FIG. 4,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this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implementation method.

다른 일실시예로 오브젝트가 인쇄물인 경우, 사용자가 카메라(21)로 인쇄물을 비추면, 가상 메뉴 증강부(150)는 인쇄물에 포함된 각각의 정보와 연계되는 UI 컴포넌트를 인쇄물 상에 증강하고, 제어부(160)는 증강된 UI 컴포넌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a)와 같이 카메라(21)로 명함을 비추면, 전화번호 위에는 전화 걸기 기능이, 이메일 위에는 이메일 보내기 기능이 있는 가상 메뉴(버튼)가 명함 상에 증강되어 표시되며, 이 버튼들을 이동통신단말기(20)의 화면 상에서 클릭하면 실제 해당 기능이 동작한다. 또는, 도 2의 (b)와 같이 카메라(21)로 영화 포스터를 비추면, 영화 포스터 위에 영화와 관련된 정보나 예매 사이트로 연결되는 가상 메뉴를 증강하거나, (c)와 같이 카메라(21)로 음식 메뉴판을 비추면, 음식 메뉴판 위에 주문을 하거나 레시피, 재료 등의 정보를 볼 수 있는 가상 메뉴를 증강하고, 증강된 가상 메뉴를 사용자가 선택함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object is a printed matter, when the user illuminates the printed matter with the camera 21, the virtual menu enhancer 150 augments the UI component associated with eac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inted matter on the printed matter, If the augmented UI componen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60 processes a corresponding fun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2, when a business card is illuminated by the camera 21, a virtual menu (button) having a call function on the phone number and an e-mail sending function is displayed on the business card. If the buttons are click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actually operated. Alternatively, when the movie poster is illuminated by the camera 21 as shown in FIG. 2 (b), the virtual menu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or ticketing site related to the movie on the movie poster, or by the camera 21 as shown in (c). When illuminating the food menu plate, augment a virtual menu for placing an order on the food menu plate or viewing information on recipes, ingredients, etc., and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as the user selects the enhanced virtual menu.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물 오브젝트의 외형이 오브젝트의 핵심 기능 위주로 조형적으로 매우 간결하게 디자인된 경우, 즉 조작부가 없는 오브젝트 또는 일반적으로 조작이 불가능한 오브젝트 상에 오브젝트와 연계되는 가상 메뉴를 증강시킴으로써,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의 외형을 볼륨 조절 등의 조작 버튼 없이 소리를 방출하는 본연의 기능을 가지도록 디자인할 수 있으며, 이렇게 디자인해도 스피커가 가지는 기능을 모두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이에 인쇄된 명함 혹은 포스터 등에 표시된 정보를 증강된 가상 메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20)에 저장하거나, 해당 URL의 웹페이지로 연결하거나, 명함에 적힌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 또는 이메일을 보내는 등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appearance of the real object is designed very concisely, mainly around the core function of the object, that is, by augmenting a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the object on an object without an operation unit or a generally inoperable object,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erform a function. For example, the appearance of the speaker can be designed to have a natural function of emitting sound without an operation button such as volume control, and even this design can operate all functions of the speaker. In addition,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a business card or poster printed on paper is stored in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rough an augmented virtual menu, connected to a web page of the corresponding URL, or made a call to a telephone number written on a business card. By providing a function such as sending a text message or an email, user convenience can be maximized.

한편, 기존의 PC나 스마트폰의 일반적인 UI는 화면 상의 UI 컴포넌트를 사용자가 직접 클릭 또는 터치하는 방식으로, 이는 PC에서는 마우스를 통해 익숙하고 쉬운 방식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기기 자체를 들고 있어야 하므로, 양손을 쓰지 않는 경우 한 손으로 기기를 들면서 화면 상의 UI 컴포넌트를 찾아 터치하는 작업은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즉, 증강현실과 같이 카메라를 조작하여 프리뷰 영상을 기반으로 조작하게 되는 소프트웨어의 경우 카메라로 오브젝트를 겨냥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화면 상의 UI 컴포넌트를 찾아 터치하는 작업이 더 어려울 수도 있다.Meanwhile, the general UI of a conventional PC or smartphone is a method in which a user directly clicks or touches a UI component on a screen, which is familiar and easy through a mouse on a PC, or a device itself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f you do not use both hands, it is often difficult to find and touch UI components on the screen by lifting the device with one hand. That is, in the case of a software that manipulates a camera based on a preview image, such as augmented reality, it may be more difficult to find and touch a UI component on a screen because a task of targeting an object with a camera is requir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가상 메뉴 증강부(150)는 가상 메뉴, 즉 UI 컴포넌트 요소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오브젝트 상에 기준점의 역할을 하는 가상 가이드를 증강하고, 가상 가이드의 위치는 카메라(21)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며, 가상 메뉴의 선택은 가상 가이드가 가상 메뉴 상에 위치 시, 또는 가상 메뉴 상에 위치된 후 특정 버튼의 입력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카메라(21)의 프리뷰 영상에서 전화걸기 버튼을 클릭하고 싶은 경우, 카메라(21)를 아래로 내려서 십자선 형태의 가상 가이드가 아래로 내려오도록 조작하여, 전화걸기 버튼 위에 가상 가이드가 오도록 한다. 이후, 지정된 H/W 버튼 혹은 화면 상에 일정한 위치에 배치된 버튼을 눌러서 전화걸기 버튼을 조작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menu enhancer 150 augments a virtual guide that acts as a reference point on an object so that a virtual menu, that is, a UI component element can be selected by a user, and the position of the virtual guide is a camera ( 21, the virtual menu is selected so that the selection of the virtual menu is made when the virtual guide is positioned on the virtual menu or after a specific button is placed on the virtual menu.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wants to click the call button on the preview image of the camera 21, the camera 21 is operated by lowering the camera 21 downward so that the virtual guide in the crosshairs shape downwards. Make sure the virtual guide is above the button. Subsequently, the dialing button is operated by pressing a designated H / W button or a button arrang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creen.

이와 같이, 실사 영상에 가상 가이드를 증강하고, 이를 기준점으로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가상 메뉴 상으로 가상 가이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화면 상의 가상 메뉴를 찾아 터치하는 작업이 수월하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virtual guide is augmented in the live-action image, and the user can move the virtual guide onto the desired virtual menu using the reference point, thereby facilitating the task of finding and touching the virtual menu on the screen. Can be maximized.

<방법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etho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방법에 대해서 도 6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6, but will be described with the order of convenience.

1.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오브젝트 식별정보에 가상 메뉴가 연계되도록 정의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610>1. Storing information defining the virtual menu to be linked to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S610>

서버(10)로부터 수신되는 실세계 영상에서 식별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오브젝트 식별정보에 하나 이상의 가상 메뉴가 연계되도록 정의한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2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정보는 오브젝트 식별정보 마다 이와 연계되는 가상 메뉴가 대응되도록 정의한 정보를 의미하며, 오브젝트는 영상으로 식별되는 실생활의 물체, 오브젝트의 식별정보는 오브젝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마커정보, 또는 특징점정보와 같은 비마커정보), 가상 메뉴는 오브젝트 상에 증강되는 메뉴로, 오브젝트 대상 본연의 기능 혹은 그와 연계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dentified in the real-world image received from the server 10 are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defined to correspond to the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each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object is a real-life object identified by the imag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bject (for example, marker information, Or non-marker information such as feature point information), and the virtual menu is a menu augmented on an object, and may operate a function of an object object or a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object.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S620>2. Receiving the liv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S620>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실물 오브젝트의 실사 영상을 카메라로 촬영하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한다.
When the user photographs the real image of the real object to be viewed by the camera, the real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s received.

3. 실사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S630>3. Recognizing an object included in the live-action image <S630>

실사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찾아 인식하는 역할로, 도 2와 같이 명함이나 포스터, 메뉴판 등을 인식하며, 대상을 바로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인식하기 쉽게 생긴 비주얼 태그(visual tag)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비주얼 태그는 증강현실 Toolkit에서 사용되는 검정 사각테두리 또는 QRCode에서 사용되는 겹쳐진 사각형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 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오브젝트 인식부는 사용자가 카메라를 움직임에 따라 프리뷰 영상 내의 오브젝트 위치와 자세가 변할 때, 이를 추적하여 오브젝트의 위치와 자세를 계산함으로써, 이후 오브젝트 상에 가상 메뉴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 function of finding and recogniz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included in the live-action image, a business card, a poster, a menu board, and the like are recognized as shown in FIG. 2, and when a target is not immediately recognized, a visual tag that is easy to recognize may be used. It may be. The visual tag may be a rectangular black border used in augmented reality toolkit or an overlapping rectangle used in QRCod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a configuration. In addition, the object recognition unit tracks when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object in the preview image changes as the user moves the camera, and calculates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object, thereby allowing the virtual menu to be placed on the correct position. It is preferable.

4. 인식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S640>4. Comparing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object with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S640>

상기 단계 S630에서 인식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상기 단계 S610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20)의 카메라를 작동시키면,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100)은 입력되는 실사 영상에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오브젝트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비교한다.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recognized in the step S630 is compared with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n the step S610. That is, when the user operates the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100 associated with the object extracts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from the input live image, and extracts the extract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the database. Compare with the stor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5. 식별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연계된 가상 메뉴를 오브젝트 상에 증강하는 단계<S650>5. Augmenting a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object <S650>

상기 단계 S640에서의 비교를 통해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연계된 가상 메뉴를 상기 오브젝트 상에 증강한다. 다시 말해, 실사 영상 내의 오브젝트 위치에 미리 정의된 UI 컴포넌트(User Interface Component)를 증강하여 표시한다.
If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dentified through the comparison in step S640, the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ugmented on the object. In other words, a predefined UI component (User Interface Component) is augmented and displayed at the object position in the live image.

6. 선택된 가상 메뉴에 해당하는 기능을 처리하는 단계<S660>6. Step of processing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irtual menu <S660>

상기 단계 S650에서 증강된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처리한다.If the augmented virtual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in step S650,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rocessed.

일실시예로, 오브젝트가 전자기기인 경우, 상기 단계 S650에서는 전자기기와 연계되어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UI 컴포넌트를 전자기기 상에 증강하고, 상기 단계 S660에서는 상기 증강된 UI 컴포넌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전자기기와의 무선 통신으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메라로 스피커(이 스피커에는 물리적으로 조작 가능한 버튼 일체가 없음)를 비추면 스피커 표면에 볼륨 컨트롤, 플레이 컨트롤 등 음악을 듣기 위한 조작 버튼을 가상으로 증강하여 표시하며, 증강된 조작 버튼을 통해 음악의 볼륨 및 재생을 조절한다.In an embodiment, when the object is an electronic device, in step S650, a UI component capable of manipulating the electronic device in associ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is augme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In step S660, the augmented UI component is provided to the user. If selected,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rocessed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when a user illuminates a speaker with a camera (there is no physically operable button), a virtually augmented display of operation buttons for listening to music, such as volume control and play control, is displayed on the speaker surface. Control volume and playback of music via control buttons.

다른 일실시예로 오브젝트가 인쇄물인 경우, 사용자가 카메라로 인쇄물을 비추면, 상기 단계 S650에서는 인쇄물에 포함된 각각의 정보와 연계되는 UI 컴포넌트를 인쇄물 상에 증강하고, 상기 단계 S660에서는 증강된 UI 컴포넌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a)와 같이 카메라로 명함을 비추면, 전화번호 위에는 전화 걸기 기능이, 이메일 위에는 이메일 보내기 기능이 있는 가상 메뉴(버튼)가 명함 상에 증강되어 표시되며, 이 버튼들을 이동통신단말기(20)의 화면에서 클릭하면 실제 해당 기능이 동작한다. 또는, 도 2의 (b)와 같이 카메라로 영화 포스터를 비추면, 영화 포스터 위에 영화와 관련된 정보나 예매 사이트로 연결되는 가상 메뉴를 증강하거나, (c)와 같이 카메라로 음식 메뉴판을 비추면, 음식 메뉴판 위에 주문을 하거나 레시피, 재료 등의 정보를 볼 수 있는 가상 메뉴를 증강하고, 증강된 가상 메뉴를 사용자가 선택함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object is a printed matter, when the user illuminates the printed matter with the camera, in step S650, the UI component associated with eac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inted matter is augmented on the printed matter, and in step S660, the enhanced UI is printed. When the componen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rocessed.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2, when a business card is illuminated by a camera, a virtual menu (button) having a call function on the phone number and an e-mail sending function is displayed on the business card. If you click them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actual corresponding function operates. Alternatively, when the movie poster is illuminated with a camera as shown in FIG. 2 (b), the augmented virtual menu leading to information related to a movie or a booking site is displayed on the movie poster, or when the food menu is illuminated with a camera as shown in (c). In addition, augment a virtual menu for placing an order on a food menu or viewing information such as recipes and ingredients, and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as a user selects an enhanced virtual menu.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물 오브젝트의 외형이 오브젝트의 핵심 기능 위주로 조형적으로 매우 간결하게 디자인된 경우, 즉 조작부가 없는 오브젝트 또는 일반적으로 조작이 불가능한 오브젝트 상에 오브젝트와 연계되는 가상 메뉴를 증강시킴으로써,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의 외형을 볼륨 조절 등의 조작 버튼 없이 소리를 방출하는 본연의 기능을 가지도록 디자인할 수 있으며, 이렇게 디자인해도 스피커가 가지는 기능을 모두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이에 인쇄된 명함 혹은 포스터 등에 표시된 정보를 증강된 가상 메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20)에 저장하거나, 해당 URL의 웹페이지로 연결하거나, 명함에 적힌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 또는 이메일을 보내는 등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appearance of the real object is designed very concisely, mainly around the core function of the object, that is, by augmenting a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the object on an object without an operation unit or a generally inoperable object,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erform a function. For example, the appearance of the speaker can be designed to have a natural function of emitting sound without an operation button such as volume control, and even this design can operate all functions of the speaker. In addition,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a business card or poster printed on paper is stored in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rough an augmented virtual menu, connected to a web page of the corresponding URL, or made a call to a telephone number written on a business card. By providing a function such as sending a text message or an email, user convenience can be maximized.

한편, 기존의 PC나 스마트폰의 일반적인 UI는 화면 상의 UI 컴포넌트를 사용자가 직접 클릭 또는 터치하는 방식으로, 이는 PC에서는 마우스를 통해 익숙하고 쉬운 방식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기기 자체를 들고 있어야 하므로 양손을 쓰지 않는 경우 한 손으로 기기를 들면서 화면 상의 UI 컴포넌트를 찾아 터치하는 작업은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즉, 증강현실과 같이 카메라를 조작하여 프리뷰 영상을 기반으로 조작하게 되는 소프트웨어의 경우 카메라로 오브젝트를 겨냥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화면 상의 UI 컴포넌트를 찾아 터치하는 작업이 더 어려울 수도 있다.Meanwhile, the general UI of a conventional PC or smartphone is a method in which a user directly clicks or touches a UI component on a screen, which is familiar and easy through a mouse on a PC, or a device itself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f you do not use both hands, it is often difficult to find and touch UI components on the screen with one hand. That is, in the case of a software that manipulates a camera based on a preview image, such as augmented reality, it may be more difficult to find and touch a UI component on a screen because a task of targeting an object with a camera is requir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S650에서는 가상 메뉴, 즉 UI 컴포넌트 요소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오브젝트 상에 기준점의 역할을 하는 가상 가이드를 증강하고, 가상 가이드의 위치는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며, 가상 메뉴의 선택은 가상 가이드가 가상 메뉴 상에 위치 시, 또는 가상 메뉴 상에 위치된 후 특정 버튼의 입력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에서 전화걸기 버튼을 클릭하고 싶은 경우, 카메라를 아래로 내려서 십자선 형태의 가상 가이드가 아래로 내려오도록 조작하여, 전화걸기 버튼 위에 가상 가이드가 오도록 한다. 이후, 지정된 H/W 버튼 혹은 화면 상에 일정한 위치에 배치된 버튼을 눌러서 전화걸기 버튼을 조작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650, the virtual guide, that is, the UI guide element, may be augmented with a virtual guide serving as a reference point on the object so that the UI component element can be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position of the virtual guide is mov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mera. The virtual menu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of a specific button when the virtual guide is positioned on the virtual menu or after being positioned on the virtual menu.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wants to click the call button on the preview image of the camera, the user moves the camera down so that the virtual guide in the crosshairs form a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virtual guide is placed on the call button. do. Subsequently, the dialing button is operated by pressing a designated H / W button or a button arrang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creen.

이와 같이, 실사 영상에 가상 가이드를 증강하고, 이를 기준점으로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가상 메뉴 상으로 가상 가이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화면 상의 가상 메뉴를 찾아 터치하는 작업이 수월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irtual guide is augmented in the live image, and the user can move the virtual guide onto the desired virtual menu by using the reference point, thereby facilitating the task of finding and touching the virtual menu on the screen.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Meanwhile, the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110: 오브젝트 연계정보 데이터베이스
120: 실사 영상 수신부
130: 오브젝트 인식부
140: 오브젝트 식별정보 비교부
150: 가상 메뉴 증강부
160: 제어부
170: 무선 통신부
100: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associated with the object
110: object association information database
120: live image receiving unit
130: object recognition unit
140: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arison unit
150: virtual menu enhancer
160:
170:

Claims (9)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 식별정보에 하나 이상의 가상 메뉴가 연계되도록 정의한 정보를 저장하는 오브젝트 연계정보 데이터베이스;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하는 실사 영상 수신부;
상기 실사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오브젝트 인식부;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상기 오브젝트 연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오브젝트 식별정보 비교부;
상기 비교를 통해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연계된 가상 메뉴를 상기 오브젝트 상에 증강하는 가상 메뉴 증강부; 및
상기 증강된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An object association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information defining one or more virtual menus to be associated with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live image receiving unit to receive a live image photographed from a camera;
An object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an object included in the live image;
An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aring unit comparing the recogniz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object with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object association information database;
A virtual menu enhancer configured to augment a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object when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dentified through the comparison; And
If the augmented virtual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and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processing a corresponding function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associated with the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전자기기인 경우,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상 메뉴 증강부는 상기 전자기기와 연계되어 상기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UI 컴포넌트(User Interface Component)를 상기 전자기기 상에 증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된 UI 컴포넌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전자기기와의 무선 통신으로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object is an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The virtual menu enhancer may be configured to augment a UI component (User Interface Component) on the electronic device to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in associ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If the augmented UI componen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processes the corresponding function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associated with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인쇄물인 경우,
상기 가상 메뉴 증강부는 상기 인쇄물에 포함된 각각의 정보와 연계되는 UI 컴포넌트를 상기 인쇄물 상에 증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된 UI 컴포넌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object is a print,
The virtual menu enhancer enhances the UI component associated with eac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inted matter on the printed matter,
If the enhanced UI componen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is to process a corresponding function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associated with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메뉴 증강부는 상기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상기 오브젝트 상에 기준점의 역할을 하는 가상 가이드를 증강하고,
상기 가상 가이드의 위치는 상기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가상 메뉴의 선택은 상기 가상 가이드가 상기 가상 메뉴 상에 위치 시, 또는 상기 가상 메뉴 상에 위치된 후 특정 버튼의 입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virtual menu enhancer augments a virtual guide serving as a reference point on the object so that the virtual menu can be selected by the user,
The position of the virtual guide is mov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mera,
The virtual menu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of a specific button when the virtual guide is positioned on the virtual menu or after being positioned on the virtual menu.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associated with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a)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 식별정보에 하나 이상의 가상 메뉴가 연계되도록 정의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실사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
(d)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
(e) 상기 비교를 통해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와 연계된 가상 메뉴를 상기 오브젝트 상에 증강하는 단계; 및
(f) 상기 증강된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방법.
(a) storing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information defining one or more virtual menus in association with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database;
(b) receiving a live image captured by a camera;
(c) recognizing an object included in the live-action image;
(d) comparing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object with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e) augmenting a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object when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dentified through the comparison; And
(f) if the enhanced virtual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process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How to provide a virtual menu associated with an objec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전자기기인 경우,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전자기기와 연계되어 상기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UI 컴포넌트(User Interface Component)를 상기 전자기기 상에 증강하고,
상기 (f)단계에서는 상기 증강된 UI 컴포넌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전자기기와의 무선 통신으로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f the object is an electronic device,
In step (e), a UI component (User Interface Component) capable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in associ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is augme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step (f), if the augmented UI componen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rocessed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Virtual menu providing method associated with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인쇄물인 경우,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인쇄물에 포함된 각각의 정보와 연계되는 UI 컴포넌트를 상기 인쇄물 상에 증강하고,
상기 (f)단계에서는 상기 증강된 UI 컴포넌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f the object is a print,
In the step (e), the UI component associated with eac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inted matter is augmented on the printed matter,
In step (f), if the augmented UI component is selected by the user, process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Virtual menu providing method associated with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상기 오브젝트 상에 기준점의 역할을 하는 가상 가이드를 증강하고,
상기 가상 가이드의 위치는 상기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단계 (f)에서 가상 메뉴의 선택은 상기 가상 가이드가 상기 가상 메뉴 상에 위치 시, 또는 상기 가상 메뉴 상에 위치된 후 특정 버튼의 입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와 연계된 가상 메뉴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n step (e), the virtual guide acting as a reference point on the object is augmented so that the virtual menu can be selected by the user,
The position of the virtual guide is mov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mera,
The selection of the virtual menu in the step (f) is made through the input of a specific button when the virtual guide is located on the virtual menu or after being placed on the virtual menu.
Virtual menu providing method associated with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KR1020120057678A 2012-05-30 2012-05-30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with object and method thereof Ceased KR201301342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678A KR20130134273A (en) 2012-05-30 2012-05-30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with object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678A KR20130134273A (en) 2012-05-30 2012-05-30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with object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273A true KR20130134273A (en) 2013-12-10

Family

ID=4998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678A Ceased KR20130134273A (en) 2012-05-30 2012-05-30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with object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4273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279A1 (en) * 2017-07-28 2019-01-31 주식회사 렛시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KR20190098116A (en) * 2019-08-12 2019-08-21 주식회사 캔디커뮤니케이션 Augmented Reality Based Computer Coding Education Omni-Edu System
WO2022102804A1 (en) * 2020-11-11 2022-05-19 엔티콘 주식회사 Augmented reality-based object control method and provision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279A1 (en) * 2017-07-28 2019-01-31 주식회사 렛시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KR20190098116A (en) * 2019-08-12 2019-08-21 주식회사 캔디커뮤니케이션 Augmented Reality Based Computer Coding Education Omni-Edu System
WO2022102804A1 (en) * 2020-11-11 2022-05-19 엔티콘 주식회사 Augmented reality-based object control method and provis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0414B2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and mobile terminal thereof
CN108496150B (en) A method and terminal for screenshot and reading
KR102056175B1 (en) Method of mak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2013331B1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synthesizing a dual image in device having a dual camera
US9652704B2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ransmission service by using printed matter
US10162489B2 (en) Multimedia segment analysis in a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17691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6461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EP2624601B1 (en) Short-rang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324305B2 (en) Method of synthesizing images photographed by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US9001151B2 (en)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during a video call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201435716A (en) Clip board system with visual affordance
US201002181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tems
CN107169147B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69272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ducing and obtaining message about outside object
CN106843642A (en) The exchange method and mobile terminal of a kind of mobile terminal
KR20130134273A (en)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with object and method thereof
KR101615969B1 (en)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40061133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92928B1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ents output system
CN108733731A (en) Convenient method, device and the electronic equipment of multimedia resource in a kind of change document
KR102188363B1 (en) Method for activating a mobile device in a network, and associated display device and system
CN111263004A (en) Terminal control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20138567A (en) Method,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converting contents
KR101736866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