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939A - Terminal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 Google Patents
Terminal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3939A KR20130103939A KR1020120024985A KR20120024985A KR20130103939A KR 20130103939 A KR20130103939 A KR 20130103939A KR 1020120024985 A KR1020120024985 A KR 1020120024985A KR 20120024985 A KR20120024985 A KR 20120024985A KR 20130103939 A KR20130103939 A KR 201301039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buffer
- camera
- command
- cont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04 pastoral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77 unit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단말기는 카메라,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제어부를 포함한다.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는 촬영 명령을 받아들인다. 제어부는 카메라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버퍼에 저장한다. 제어부는 촬영 명령에 대응하여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The terminal includes a camera, a user input unit, a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The camera includes an image sensor. The user input unit receives a shooting command. The controller stores the image processed by the camera in a buffer. The controller displays an image stored in the buffer on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photographing command.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말기 및 이미지 촬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n image captur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and a method for capturing a plurality of images.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Terminals may be divided into mobile / 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mobility. The mobile terminal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it.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단말기에 구비된 셔터를 누른 시간과 이미지가 캡쳐되는 시간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한다.In general, a difference occurs between a time when a user presses a shutter provided in a terminal to photograph a subject and a time when an image is captured.
이를 셔터 랙(shutter lag)이라 하며, 카메라 모듈의 모드 전환은 셔터 랙이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이다. 즉, 카메라 모듈은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와 캡쳐 모드(capture mode)를 가질 수 있다. 프리뷰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은 저전력 소모를 위하여 저해상도 이미지를 출력하지만, 사진 촬영을 위한 캡쳐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은 고해상도 이미지를 출력한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의 모드 전환을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필요하므로 셔터 랙이 발생할 수 있다.This is called a shutter lag, and the mode switching of the camera module is one of the causes of the shutter rack. That is, the camera module may have a preview mode and a capture mode. In the preview mode, the camera module outputs a low resolution image for low power consumption, while in the capture mode for photography, the camera module outputs a high resolution image. However, since a certain time is required for mode switching of the camera module, a shutter rack may occur.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셔터를 눌렀음에도 불구하고, 셔터를 누른 시점보다 지연된 시점의 영상이 촬영되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although the user presses the shutter at a desired point in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image of a point in time delayed from the point in time of pressing the shutter is photographed.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that supports a method of capturing an image of a viewpoint desired by a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방법은 카메라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시작하는 단계; 촬영 명령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촬영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image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hod of capturing an image by a terminal including a camera, comprising: starting to store an image processed by the camera in a buffer; Detecting a shooting command; And in response to the photographing command, displaying an image stored in the buff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촬영 명령을 받아들이는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촬영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including an image sensor; A user input unit which receives a photographing command; A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which stores the image processed by the camera in a buffer and displays the image stored in the buffer in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photographing comman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기 전후의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inal may capture an image before and after the user presses the shutter, thereby capturing an image of a desired time poi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버퍼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와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단말의 전면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image buffer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storing an image stored in a buffer and a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front view of a terminal displaying a store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and the like.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다음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The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ly attached to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 / V (Audio / Video)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방위,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51)가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There may be two or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Referring to FIG. 1, a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141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a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vibration, the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The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May be implemented by the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다음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방법을 설명한다.Next, an image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가 활성화되면(S101), 제어부(180)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버퍼(buffer)의 크기 또는 이미지가 버퍼에 저장되는 주기에 대한 사용자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3). 버퍼는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버퍼는 메모리(160)의 일부일 수도 있고, 또는 메모리(160)와는 별도의 저장 장치일 수도 있다. 이때, 버퍼의 크기 또는 이미지가 버퍼에 저장되는 주기에 따라 이미지의 해상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버퍼의 크기 또는 이미지의 버퍼링 주기를 결정함으로써, 촬영 목적에 적합한 해상도를 가지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이어서,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S105). 카메라(121)의 프리뷰 모드는 저해상도 이미지를 출력하므로 버퍼에는 저해상도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ubsequently, the
한편, 제어부(180)는 촬영 명령을 감지하면(S107), 촬영 명령을 감지한 시점을 기준으로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09).On the other hand, if the
이어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이미지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S111). 제어부(180)가 사용자로부터 촬영 명령을 받기 직전에 저장한 복수의 이미지 중에는 사용자가 촬영을 의도한 이미지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셔터 랙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예컨대, 버퍼링된 저해상도의 이미지 가운데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고해상도의 이미지로 저장하고 나머지는 삭제 처리함으로써, 단말기의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이미지의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후처리(post-processing)를 생략할 수 있다. 후처리에 걸리는 시간만큼 이미지가 저장되는 시간이 늦어지므로, 후처리를 생략함으로써 셔터 랙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를 제공하면서 후처리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도록, 이미지를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S105)까지 후처리를 생략하고, 촬영 명령을 감지하는 단계(S107)에서 복수의 이미지를 한 번에 후처리할 수 있다. 또한, 후처리를 진행하는 단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음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방법을 설명한다.Next, an image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가 활성화되면(S201), 제어부(180)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버퍼의 크기 또는 이미지가 버퍼에 저장되는 주기에 대한 사용자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03). 다만, 카메라가 활성화될 때마다 사용자 선택 정보를 반드시 수신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생략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는 촬영 명령을 감지하기 전까지 프리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When the
이어서, 제어부(180)가 이미지 버퍼링 개시 명령을 감지하면(S205), 제어부(180)는 이미지 버퍼링 개시 명령에 대응하여,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S207). 이미지 버퍼링 개시 명령은 카메라 활성화 명령, 이미지 버퍼링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 동작, 반셔터 작동,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지, 배경 이미지의 정지, 미리 지정된 형상의 이미지 입력 등을 포함한다. 이 중, 카메라 활성화 명령에 의한 이미지 촬영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미지 촬영 방법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가 활성화되는 동시에 이미지 버퍼링이 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Subsequently, when the
한편, 제어부(180)가 이미지 버퍼링 중단 명령을 감지하면(S209),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중단한다(S211). 사용자가 이미지 버퍼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가 버퍼에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을 중단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미지 버퍼링 중단 명령 감지 단계(S209) 및 이미지 버퍼링 중단 단계(S211)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미지 촬영 방법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이미지 버퍼링 중단 명령은 카메라(121) 비활성화 명령, 이미지 버퍼링 중단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 동작, 반셔터 작동의 중단, 단말기(100)의 움직임, 배경 이미지의 움직임, 미리 지정된 형상의 이미지 입력 중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반면에, 제어부(180)가 이미지 버퍼링 중단 명령을 감지하지 않고, 촬영 명령을 감지한 경우(S213), 제어부(180)는 촬영 명령을 감지한 시점을 기준으로 그 때까지 버퍼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15).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어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일부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S217).Subsequently, the
한편,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이미지의 노이즈를 제거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노이즈 제거 후처리는 촬영 명령을 감지하는 단계(S213)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the
다음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버퍼링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image buff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버퍼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image buffer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이미지를 프리뷰 화면(1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빠른 이미지 처리 속도를 위하여 프리뷰 화면(10)에 저해상도의 이미지를 공급할 수 있다.The
프리뷰 화면(10)에 저해상도의 이미지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이미지 버퍼링 개시 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카메라(121) 활성화 명령, 이미지 버퍼링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130)의 동작, 반셔터의 작동,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정지, 배경 이미지가 정지, 미리 지정된 형상의 이미지 등을 감지함으로써, 이미지 버퍼링 개시 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In a state where a low resolution image is supplied to the
제어부(180)가 카메라(121) 활성화 명령을 감지하는 경우란, 사용자가 단말기(100)의 카메라(121)를 활성화시키면, 별도의 설정 없이도 제어부(180)가 카메라(121)로부터 처리된 이미지를 버퍼에 저장하기 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버퍼에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은 많은 전력 소비를 요구하므로, 저전력 소비를 위하여 사용자가 촬영을 의도하는 시점을 감지하여 촬영 직전에만 이미지 버퍼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When the
제어부(180)가 이미지 버퍼링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130)의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는 예컨대, 사용자 입력부(130)를 구성하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 등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가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이다. 즉, 제어부(180)가 사용자 입력부(130)에 입력 데이터가 들어오는 시점부터 카메라(121)로부터 처리된 이미지를 버퍼에 저장하기 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When the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A/V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등을 통하여 이미지 버퍼링 개시 명령이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반셔터가 작동하거나, 센싱부(140)가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정지되어 있음을 감지하거나, A/V 입력부(120)의 카메라(121)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가 배경 이미지의 정지 상태 또는 미리 지정된 형상의 이미지를 감지하면, 카메라(121)로부터 처리된 이미지를 버퍼에 저장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80)가 사용자의 촬영 의도를 감지하여 촬영하기 직전부터 촬영 명령을 감지하는 시점 사이의 구간에만 이미지 버퍼링을 수행하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n image buffering start command may be sensed through the A /
이어서, 제어부(180)는 버퍼에 복수의 저해상도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20). 제어부(180)는 지속적인 이미지 버퍼링을 위해 환형 큐(circular queue) 버퍼에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환형 큐 구조를 이용할 경우, 새로운 이미지가 입력되더라도 가장 오래된 이미지가 삭제되면서 새로운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180)는 제한된 용량을 가지는 버퍼에 지속적으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버퍼에 저장되는 이미지는 이미지 센서의 특성에 따라 저해상도 예컨대, YUV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버퍼에 저해상도 이미지를 저장하면 이미지 처리 속도가 빨라지는 장점이 있다. 다만, YUV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RGB(red green blue), HSB(hue saturation), Lab,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방식의 데이터 등으로 저장될 수 있다.Images stored in the buffer may be stored in a low resolution, for example, YUV,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sensor. The advantage of storing low resolution images in the buffer is that they speed up image process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YUV scheme and may be stored as data of a red green blue (RGB), a hue saturation (HSB), a lab, a 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JPEG) scheme, and the like.
제어부(180)는 버퍼의 크기 또는 이미지가 버퍼에 저장되는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버퍼의 크기는 버퍼에 저장되는 이미지의 개수를 결정한다. 버퍼의 용량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버퍼에 저장 가능한 이미지의 개수가 한정된다. 즉, 저장되는 이미지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이미지 각각의 해상도는 낮아지고, 이미지의 저장 주기가 길어질수록 이미지 각각의 해상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촬영 목적에 따라 버퍼의 크기 또는 이미지 저장 주기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이미지의 해상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한편, 제어부(180)는 저전력 소비를 위하여 사용자가 피사체 촬영을 중단하려는 의도를 감지하여 이미지 버퍼링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미지 버퍼링이 수행되고 있는 단계에서 이미지 버퍼링 중단 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80)는 이미지 버퍼링을 중단한 후, 또 다른 이미지 버퍼링 명령을 감지하면 다시 이미지 버퍼링을 실행할 수 있다.
The
다음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시 이미지 저장 방법을 설명한다.Next, an image storing method during shoot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와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storing an image stored in a buffer and a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제어부(180)는 촬영 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30). 제어부(180)는 셔터로 이용되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가 완전하게 눌리는 경우 등을 촬영 명령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제어부(180)는 촬영 명령을 감지하면(30), 도 3에서 설명한 버퍼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전부 또는 일부의 이미지가 선택 또는 삭제 처리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80)는 선택된 이미지만을 한 그룹으로 인코딩(encoding) 처리하여(40), 그룹별로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50).
The
다음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displaying a store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단말의 전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of a terminal displaying a store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80)는 버퍼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복수의 이미지 전부를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에 일렬로 나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60). 또한 제어부(180)는 복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 전체에 슬라이드 쇼(slide show)의 형태로 각각 나열하거나, 디스플레이부(151)를 분할하여 한꺼번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이미지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이미지만을 저장할 수 있다(70).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readable by a processor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Examples of the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etc.,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s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Claims (7)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시작하는 단계;
촬영 명령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촬영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촬영 방법.
In the method of taking a image by a terminal including a camera,
Starting to store the processed image in the camera in a buffer;
Detecting a shooting command;
In response to the shooting command, displaying an image stored in the buffer;
How to shoot an image.
이미지 버퍼링 개시 명령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상기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버퍼링 개시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상기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촬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tecting an image buffering start command;
Starting to store the processed image in the camera in the buffer
In response to the image buffering start command, starting storing the processed image in the camera in the buffer;
How to shoot an image.
상기 이미지 버퍼링 개시 명령은
상기 카메라 활성화 명령, 이미지 버퍼링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 동작, 반셔터 작동,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지, 배경 이미지의 정지, 미리 지정된 형상의 이미지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이미지 촬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rt image buffering command
At least one of the camera activation command, the user input unit for image buffering, the half-shutter operation,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top of the background image, the image input of a predetermined shape
How to shoot an image.
상기 버퍼의 크기 또는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이미지가 상기 버퍼에 저장되는 주기에 관한 사용자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버퍼의 크기 또는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이미지가 상기 버퍼에 저장되는 주기를 변경함으로써 해상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촬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user selection information regarding a size of the buffer or a period in which an image processed by the camera is stored in the buffer; And
Changing the resolution by changing a size of the buffer or a period in which an image processed by the camera is stored in the buffer according to the user selection information.
How to shoot an image.
이미지 버퍼링 중단 명령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버퍼링 중단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상기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촬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tecting an image buffering stop command; And
In response to the image buffering stop command, stopping storing the image processed by the camera in the buffer.
How to shoot an image.
상기 이미지 버퍼링 중단 명령은
상기 카메라 비활성화 명령, 이미지 버퍼링 중단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 동작, 반셔터 작동 중단,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배경 이미지의 움직임, 미리 지정된 형상의 이미지 입력 중단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이미지 촬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p image buffering command
At least one of the camera deactivation command,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for stopping image buffering, operation of the shutter half-stop, movement of the terminal, movement of a background image, and interruption of input of an imag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How to shoot an image.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사용자 선택 정보 및 촬영 명령을 받아들이는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버퍼의 크기 또는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이미지가 상기 버퍼에 저장되는 주기를 변경함으로써 해상도를 변경하며, 상기 촬영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In the terminal,
A camera comprising an image sensor;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user selection information and a shooting command;
A display unit; And
Storing the image processed by the camera in a buffer, changing the resolution by changing the size of the buffer or the period in which the image processed by the camera is stored in the buffer according to the user selection information, and in response to the photographing comm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the image stored in the buffer on the display unit.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4985A KR20130103939A (en) | 2012-03-12 | 2012-03-12 | Terminal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4985A KR20130103939A (en) | 2012-03-12 | 2012-03-12 | Terminal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3939A true KR20130103939A (en) | 2013-09-25 |
Family
ID=4945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4985A Withdrawn KR20130103939A (en) | 2012-03-12 | 2012-03-12 | Terminal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03939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79349A2 (en) * | 2015-03-17 | 2016-10-12 | MediaTek, Inc | Automatic image capture during preview and image recommendation |
WO2017142182A1 (en) * | 2016-02-17 | 2017-08-2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
-
2012
- 2012-03-12 KR KR1020120024985A patent/KR20130103939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79349A2 (en) * | 2015-03-17 | 2016-10-12 | MediaTek, Inc | Automatic image capture during preview and image recommendation |
WO2017142182A1 (en) * | 2016-02-17 | 2017-08-2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
US20190037138A1 (en) * | 2016-02-17 | 2019-01-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
US10868959B2 (en) | 2016-02-17 | 2020-12-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1852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977074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KR20100118458A (en) |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mobile terminal having camera thereof | |
KR20140075997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
KR101578005B1 (en) | A user input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camera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 |
KR20150060273A (en) |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732517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haring display thereof | |
KR101674213B1 (en) | Method for managing picked-up image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KR20150012977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KR20150065045A (en) | Terminal and image photographing method | |
KR20130103939A (en) | Terminal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 |
KR20120076147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thereof | |
KR101718029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thereof | |
KR101985505B1 (en) |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50044128A (en) | Method and terminal for call mode switching using face recognization | |
KR20140146759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917692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40813B1 (en) |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terminal using the same | |
KR101759990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s using facial recogition thereof | |
KR20110134617A (en) | Mobile terminal and list management method thereof | |
KR101919622B1 (en) |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50044297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KR20110049358A (en) |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ying same | |
KR101922008B1 (en) | Control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
KR20150025617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