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38749A - Facilities controller, an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ging facilitie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acilities controller, an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ging facilitie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749A
KR20130038749A KR1020110103284A KR20110103284A KR20130038749A KR 20130038749 A KR20130038749 A KR 20130038749A KR 1020110103284 A KR1020110103284 A KR 1020110103284A KR 20110103284 A KR20110103284 A KR 20110103284A KR 20130038749 A KR20130038749 A KR 20130038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facility
facility control
facilities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2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15219B1 (en
Inventor
정은화
정재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3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219B1/en
Publication of KR20130038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7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21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015Monit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PURPOSE: A facility control device, a facility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a facility control method are provided to restore when an error is occurred at a part of multiple facility control devices by controlling the multiple facility control devices to monitor each other. CONSTITUTION: Multiple facility control devices collect idle parts of a memory for composing a common resource. The multiple facility control devices mutually request status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as a response for sharing the status information. Each facility control device uses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for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errors. [Reference numerals] (AA) Share; (BB,CC) Common resource; (DD) #1 information for recovery; (EE) #2 information for recovery; (FF) #3 information for recovery; (GG) Recovery; (HH) Information storage; (II) Abnormal occurrence; (JJ) Mutual monitoring;

Description

설비 제어 장치, 이를 구비한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설비 관제 방법{FACILITIES CONTROLLER, AN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GING FACILITIES HAVING THE SAME}FACILITIES CONTROLLER, AN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GING FACILITIE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른 설비 제어 장치와 공통 리소스를 구성하고, 하나 이상의 설비를 관제하는 설비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설비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lity control device which constitutes a common resource with another facility control device and controls one or more facilities, and a facility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최근, 건물의 설비가 현대화됨에 따라 건물 내에 설치된 전력, 조명, 공조, 방재 및 방범 등의 설비들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시스템이 확대되고 있다. 즉, 설비들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설비 관제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Recently, as the facilities of a building are modernized,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facilities such as electric power, lighting, air conditioning, disaster prevention, and crime prevention installed in a building has been expanded. That is, the development of facility control system that can integrate and manage the facilities as a whole is actively progressing.

설비 관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관제점이라고 하는 하나의 제어 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점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등은 한 개의 설비(장비)에 여러 개 혹은 단일 관제점을 설정하여 해당 관제점의 값을 통해 설비에 대한 모니터링, 제어 등을 수행한다. 엔지니어는 빌딩에 설치되는 설비의 종류 및 형태별로 해당 관제점을 설정하고, 설비 관제 시스템에 등록하여 빌딩의 자동제어를 수행한다.Facility control systems are based on a monitoring point for control or monitoring, commonly referred to as a control point. The user sets several or single points in one facility (equipment) to monitor and control the facilities through the values of the points. The engineer sets the control points for each type and type of equipment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registers them in the facility control system to perform automatic control of the building.

설비 관제 시스템의 설치에 있어서, 관제점의 설정 및 등록은 설치 작업 전반에 걸쳐 큰 기능을 수행하고, 오랜 기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관제점의 설정 및 등록은 엔지니어의 역량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경향이 있다.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영도 이러한 관제점을 제어하거나 감시함으로써 대부분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설비 관제 시스템은 시스템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설비에 대한 운전 로직과, 이를 포함하는 관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비들을 감시, 관리, 제어한다. 한편, 일반적인 설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설비 제어 장치들은 상호 연계되지 아니하고 개별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운전 중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해결하기 어렵다.In the installation of the facility control system, the establishment and registration of the control point perform a large function throughout the installation work and require a long time. Thus, the establishment and registration of points tend to be highly dependent on the competence of the engineer. The operation of facility control systems is also largely achieved by controlling or monitoring these points. In general, the facility control system monitors, manages, and controls facilities by using operation logic for one or more facilities included in the system and a control program including the same. On the other hand, in the general facility control system, the facility control device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perate separately so that even if problems occur during operation, it is difficult to solve them.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른 설비 제어 장치와 상태를 상호 감시할 수 있는 설비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설비 관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일 목적이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object to provide a facility control device capable of mutually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other facility control device and a facility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이 상호 감시함으로써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 중 일부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를 복구할 수 있는 설비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설비 관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further object to provide a facility control device and a facility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that can be recovered if some of the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devices are abnormal by monitoring each other. .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 제어 장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관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설비를 관제하는 설비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다른 설비 제어 장치와 공통 리소스를 구성하고,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여 상호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emory, and a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one or more facilities by using a control program, comprising a common resource with other facility control apparatus,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to mutually monitor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설비를 관제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호 간에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메모리의 유휴 부분을 이용하여 공통 리소스를 구성하며,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여 상호 감시하는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 fac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facility control system that controls one or more facilities by using one or more points, a network is formed between each other and a common resource is formed by using an idle portion of a memory, and a state It comprises a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devic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mutual monitoring.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설비 관제 방법은,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설비를 관제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비 제어 장치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설비 제어 장치들 상호 간에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 제어 장치들이 다른 설비 제어 장치들을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 facility control method of a fac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acility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more facilities by using a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devices, the facility control device to form a network, and the facility control devic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to each other, and monitoring the status of other facility control devices by the facility control devices using the status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이 서로 공통 리소스를 구성함으로써 상태를 상호 감시할 수 있고, 일부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복구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status of each other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devices common resources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cover when a problem occurs in par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이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들을 서로 공유함으로써 일부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복구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제고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system by allowing a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devices to form a network with each other and share information stored in the built-in memory with each other to recover in case of an abnormality.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일부의 설비 제어 장치들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이를 복구함으로써, 설비들을 관제함에 있어서 시스템 전체가 안정적으로 운전될 수 있도록 하고, 운전 효율을 증대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recover in the event of an abnormality in some of the facility control devices, so that the entire system can be stably operated in controlling the facilities, and increase the operating efficiency.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 관제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이 상호 감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및
도 6 및 도 7은 실시 예들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설비 관제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인 흐름도들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c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acilit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ral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fac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monitoring a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6 and 7 are flowchart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acility control method of a fac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 제어 장치(100)는, 메모리(110)를 구비하고, 관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설비(200)를 관제하는 설비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다른 설비 제어 장치와 공통 리소스를 구성하고,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여 상호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memory 110 and a facility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one or more facilities 200 using a control program. It configures a common resource with a device, it transmits and receives status information, it monitors mutually.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설비(200)를 관제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호 간에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메모리(110)의 유휴 부분을 이용하여 공통 리소스를 구성하며,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여 상호 감시하는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in a fac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facility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more facilities 200 by using one or more points, a network is formed between each other, A common resource is configured using the idle part, and a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apparatuses 100 which transmit and receive status information and monitor each other are configured.

설비(200)는, 설비 관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 시스템으로서, 에어컨, 환기, 공조기, 팬, 보일러, 냉각탑, 펌프,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냉동기, 조명기기, 전력기기, 화재 시스템 등을 말한다. 하나 이상의 설비(200)는 설비를 운전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210)로 구성된다. 장비(210)는, 예를 들어 냉각탑 시스템을 설비로 하는 경우, 냉각탑, 펌프, 온도 센서 등을 의미한다. 설비 관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관제점이라고 하는 하나의 제어 또는 모니터를 위한 감시점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등은 하나의 설비(200) 또는 장비(210)에 하나 또는 복수의 관제점을 설정하여 해당 관제점의 값을 통해 설비에 대한 모니터, 제어 등을 수행한다. 관제점은 설비 또는 장비에서 사용되는 감시 또는 제어 항목으로서, 예를 들어 제어, 모니터, 에러 등을 말한다.The facility 200 is a sub system constituting the facility control system, and refers to an air conditioner, a ventilation, an air conditioner, a fan, a boiler, a cooling tower, a pump,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refrigerator, a lighting device, a power device, a fire system, and the like. One or more installations 200 are comprised of one or more devices 210 that operate a facility. The equipment 210 refers to a cooling tower, a pump, a temperature sensor, etc., for example, when equipped with a cooling tower system. Facility control systems are based on monitoring points for a control or monitor, commonly referred to as control points. The user sets one or a plurality of control points in one facility 200 or equipment 210 to monitor, control, etc. the facilities through the values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points. Control points are monitoring or control items used in a facility or equipment, for example, control, monitor, error, and the like.

설비 제어 장치(100)는 다른 말로 설비들(200)을 제어하는 Direct Digital Controller (DDC)라 할 수 있다. 설비 제어 장치(100)는, 설비들(2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장비(210), 예를 들어 각각의 센서 및 조작 기기들에 설정된 관제점들을 통해 건물 내 설비들의 제어 출력 및 상태 변화 등 모든 설비관련 정보를 기록 및 저장하고, 상기 관제 프로그램 내의 운전 로직에 따라 상기 설비들(200)을 제어 또는 감시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설비 제어 장치(100)는 건물 내에 설치된 공조 및 기타 설비의 각 관제점들에 대한 감시 제어와 자체 내장된 함수를 이용하여 설비들(200)의 입출력 신호를 직접 제어한다.In other words,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may be referred to as a direct digital controller (DDC) that controls the facilities 200.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includes all the control outputs and state changes of the facilities in the building through control points set in one or more equipments 210, for example, respective sensors and operating devices provided in the facilities 200. It may be a microcomputer that records and stores facility-related information and controls or monitors the facilities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logic in the control program. In other words,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directly controls the input / output signals of the facilities 200 by using the supervisory control for each control point of the air conditioning and other facilities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its own built-in function.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설비 제어 장치(100)는, 상기 다른 설비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메모리(110)의 유휴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공통 리소스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공유 모듈(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back to FIG. 2,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forms a network with the other facility control apparatus and uses the idle portion of the memory 110 to configure the network sharing module 1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more.

또, 설비 제어 장치(100)는, 제어 모듈(130)과 데이터 송수신 모듈(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 모듈(130)은, 하나 이상의 설비에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설정하고, 관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운전한다. 데이터 송수신 모듈(140)은, 하나 이상의 관제점에 대한 운전 명령을 하나 이상의 설비에 전송하고, 운전 명령에 따른 관제점 운전 상태를 하나 이상의 설비로부터 수신한다.The facility control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control module 130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40. The control module 130 sets one or more points in one or more facilities and runs one or more points by executing a control program.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40 transmits an operation command for one or more control points to one or more facilities, and receives a point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from one or more facilities.

제어 모듈(130)은 내장된 각 모듈들을 구동한다. 또, 제어 모듈(130)은 각 설비(200)나 장비(210)에 대한 관제점을 설정하고, 사용자 등의 운전 명령에 따라 관제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관제점을 운전한다. 제어 모듈(130)은 다른 설비 제어 장치와의 네트워크 설정, 데이터 송수신 모듈(140)의 통신 프로토콜 설정, 후술하는 중앙 관제 서버와의 통신 설정 등을 수행한다.The control module 130 drives each built-in module.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30 sets the control point for each facility 200 or the equipment 210, executes the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user, and operates the control point. The control module 130 performs network setting with another facility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protocol setting of the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module 140, communication setting with a central control server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like.

데이터 송수신 모듈(140)은 하나 이상의 통신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 모듈(140)은 통신 포트에 연결된 설비와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데이터는 관제 프로그램, 관제점 설정 정보, 통신 설정 정보, 운전 결과, 상태 정보 등이다. 통신 포트는 RS-232, 422, 485 등의 직렬 통신 포트, 병렬 통신 포트, USB 통신 포트, LAN 통신 포트, 적외선 통신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통신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켜 놓은 통신 규약으로서, TCP/IP,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 등 일반적인 통신 프로토콜 뿐만 아니라 BACnet(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Networks), LonWorks, MODBUS 등의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40 may have one or more communication ports.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4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a facility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ort and a preset communication protocol. Here, the data are control program, control point sett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setting information, operation result, status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communication port may include a serial communication port such as RS-232, 422, 485, parallel communication port, USB communication port, LAN communication port, infrared communication port,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protocol is a communication protocol standardized to facilitate data exchange between different devices. In addition to general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TCP / IP and serial communication protocols, BACnet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Networks), LonWorks, Protocols such as MODBUS.

메모리(110)는, 설비 제어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프로그램, 네트워크 설정 정보, 관제점 설정 정보, 및 상기 관제점 운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한다. 또, 메모리(110)는 관제점 운전 결과를 저장하고, 설비나 중앙 관제 서버와의 통신 설정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10 stores a drive program for driving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network setting information, point sett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oint operating states. In addition, the memory 110 may store control point operation results and further store communication setting information with the facility or the central control server.

네트워크 공유 모듈(120)은, 메모리(110)에 저장된 정보를 공통 리소스에 저장하여 다른 설비 제어 장치와 공유한다. 이때, 설비 제어 장치(100)는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공통 리소스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복구된다. 또, 설비 제어 장치(100)는, 다른 설비 제어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면, 공통 리소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설비 제어 장치에 대한 복구 명령을 발생한다.The network sharing module 120 store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10 in a common resource and shares it with other facility control devices. At this time, when the abnormality occurs,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is restored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on resource. In addi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other facility control device, the facility control device 100 generates a recovery command for the other facility control device by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on resource.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예를 들어, 도 5의 DDC#1 ~ DDC#3)은 내장된 메모리 중 사용하지 아니하는 유휴 부분을 서로 공유한다. 즉,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은, 메모리의 유휴 부분들을 모아서 공통 리소스를 구성한다. 또,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은 서로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태 정보를 공유한다. 각 설비 제어 장치(100)는 수신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설비(200)를 제어 또는 감시하지 못하거나, 운전이나 설비 히스토리 관리 등의 약속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 중앙 관제 서버와의 연결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등 이상 발생 여부를 감시한다.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apparatuses (eg, DDC # 1 to DDC # 3 of FIG. 5) share an idle portion of the built-in memory that is not used. 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apparatuses collect idle portions of the memory to form a common resourc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apparatuses share the status information by requesting the status information from each other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in response thereto. When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does not control or monitor the facility 200 by using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for example, or fails to provide a promised service such as operation or facility history management, the central control server Monitor for any abnormality, such as when an error occurs in connection with the system.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DDC#1은 DDC#2 및 DDC#3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공통 리소스를 형성한다. DDC#1은 DDC#2와 DDC#3에 상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DDC#2와 DDC#3는 이에 대하여 상태 정보를 응답한다. DDC#1은 DDC#2와 DDC#3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DDC#2 및 DDC#3를 감시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DDC#2에 이상이 발생하면, 복구 신호를 발생한다. DDC#2는 공통 리소스에 백업되어 있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복구된다.Referring to FIG. 6, first, DDC # 1 forms a network with DDC # 2 and DDC # 3 and forms a common resource. DDC # 1 requests transmission of status information from DDC # 2 and DDC # 3, and DDC # 2 and DDC # 3 respond to the status information. DDC # 1 monitors DDC # 2 and DDC # 3 using the state information of DDC # 2 and DDC # 3, and generates a recovery signal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DDC # 2 as shown in FIG. DDC # 2 is recovered using the information backed up to the common resource.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설비 관제 시스템은,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설비 제어 장치(100)에 관제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중앙 관제 서버(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설비 제어 장치(100)는, 중앙 관제 서버(300)로부터 관제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실행하고, 그 실행 결과를 중앙 관제 서버(300)에 전송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facility control system further includes a central control server 300 that generates a control program and transmits the control program to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Here,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receives and executes a control program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and transmits the execution result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중앙 관제 서버(300)는, 건물 전체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제어 또는 모니터하는 장치이다. 중앙 관제 서버(300)는 설비들(200), 예를 들어 기계설비, 조명, 전력, 출입통제, 방재, 주차관리, 시설관리 등을 위한 별도의 단말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중앙 관제 서버(300)는, 설비 제어 장치(100)와 통신을 통해 상호 정보를 공유하고, 관제점을 통해 설비(200) 및 이에 포함된 장비들(210)을 제어 또는 감시하는 자동화 서버이다. 또한, 중앙 관제 서버(300)는 상기 설비들(200)을 운전하는 운전 로직을 포함하는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설비들(200)을 제어 또는 감시한다. 상기 관제 프로그램은, 하나의 설비에 대한 하나의 운전 로직 또는 둘 이상의 운전 로직들을 결합하거나, 둘 이상의 설비에 대한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결합하여 생성된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is a device for comprehensively 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situation of the entire building.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may be equipped with separate terminals for facilities 200, for example, hardware, lighting, power, access control, disaster prevention, parking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and the like.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is an automation server that shares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and controls or monitors the facility 200 and the devices 210 included therein through a control point.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generates a control program including a driving logic for operating the facilities 200, and controls or monitors the facilities 200 using the control program. The control program is generated by combining one operation logic or two or more operation logics for one facility or one or more operation logics for two or more facilities.

도 3을 참조하면, 중앙 관제 서버(300)는, 관제 프로그램을 설비 제어 장치(100)에 전송하고, 설비 제어 장치로부터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310)과,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실행 결과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설비(200)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어 유닛(320)과, 관제 프로그램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출력 유닛(330)과, 관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유닛(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generates a communication program and a communication unit 310 which transmits a control program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100, receives a result of execution from the facility control device, and executes the control progra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control unit 320 fo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one or more facilities 200, the output unit 330 for displaying the control program on the screen, and the input unit 340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executing the control progra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도 4를 참조하면, 설비 제어 장치(100)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실행 결과를 상기 중앙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 모듈(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50 that receives the control program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transmits the execution result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

설비 제어 장치(100)는 통신 모듈(150)을 통해 중앙 관제 서버(300)에 연결된다. 즉, 설비 제어 장치(100)는 중앙 관제 서버(300)와 설비(200)의 사이에 구비된다. 설비 제어 장치(100)는 설비들(200)을 제어하는 DDC이다. 설비 제어 장치(100)는 중앙 관제 서버(300)와 상호 통신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이에 포함된 운전 로직들을 실행함으로써 설비들(200)을 제어한다. 또한, 설비 제어 장치(100)는, 설비들(2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장비(210), 예를 들어 각각의 센서 및 조작 기기들에 설정된 관제점들을 통해 건물 내 설비들의 제어 출력 및 상태 변화 등 모든 설비관련 정보를 기록 및 저장하고, 상기 관제 프로그램 내의 운전 로직에 따라 상기 설비들(200)을 제어 또는 감시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설비 제어 장치(1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관제 서버(300)와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건물 내에 설치된 공조 및 기타 설비의 각 관제점들에 대한 감시 제어와 자체 내장된 함수를 이용하여 설비들(200)의 입출력 신호를 직접 제어한다.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That is,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is provided between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and the facility 200.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is a DDC that controls the facilities 200.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controls the facilities 200 by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to exchange information, receiving the control program, and executing operation logic included therein. In addition,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changes the control output and state of the facilities in the building through the control points set in one or more equipments 210 provided in the facilities 200, for example, respective sensors and operating devices. It may be a microcomputer that records and stores all facility related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controls or monitors the facilities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logic in the control program. In other words,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necessary information, and to monitor and control each control point of the air conditioning and other facilities installed in the building. Functions directly control input and output signals of the facilities 200.

설비 제어 장치(100)는 중앙 관제 서버(300)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데, 예를 들어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로 연결된다. 또, 통신 네트워크로는 빌딩 관리 시스템의 건물 자동화와 관련된 통신방식의 국제적인 표준인 BACnet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a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CP / IP). As a communication network, BACnet, which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of communication methods related to building automation of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can be used.

중앙 관제 서버(300)는 시스템 내의 각각의 설비(200) 또는 이를 구성하는 장비들(210)에 대한 운전 로직들, 관제 프로그램, 현장 조건 등을 저장하는 저장 유닛(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유닛(350)은 중앙 관제 서버(3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Read Only Memory) 형태의 저장부,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와, 송수신 또는 디스플레이를 위해 처리하는 임시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형태의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350 that stores operation logics, control programs, field conditions, etc. for each facility 200 or the devices 210 constituting the system 200. . The storage unit 350 is a storage unit in the form of a ROM (Read Only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for example, a flash memory, and temporarily output data processed for transmission / reception or display. It may include a storage unit in the form of a random access memory (RAM) for storing them.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설비 관제 방법은,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설비를 관제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비 제어 장치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S100)와, 상기 설비 제어 장치들 상호 간에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S200)와,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 제어 장치들이 다른 설비 제어 장치들을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장치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Referring to FIG. 7, in a facility control method of a fac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facility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more facilities using a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devices, the facility control devices may form a network. (S100),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between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es (S200), and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es monitoring the status of other facility control apparatuses using the status information (S300). It is composed.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S100)는, 설비 제어 장치들에 각각 구비된 메모리의 유휴 부분을 이용하여 공통 리소스를 구성하는 단계(S110)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공통 리소스에 저장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7 again, the forming of the network (S100) may include configuring common resources using idle portions of the memory provided in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es (S110), and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on resources. It comprises a step of storing in (S120).

도 6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설비 제어 장치들 각각은, 상기 감시하는 단계(S300)의 감시 결과, 다른 설비 제어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면 복구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S400)와, 상기 복구 명령에 따라 상기 공통 리소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복구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or FIG. 7, each of the facility control devices may include generating a recovery comman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nother facility control device as a result of monitoring (S300), and the recovery command.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S500) of recovering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on resource.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예를 들어, 도 5의 DDC#1 ~ DDC#3)은 내장된 메모리 중 사용하지 아니하는 유휴 부분을 서로 공유한다. 즉,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은, 메모리의 유휴 부분들을 모아서 공통 리소스를 구성한다. 또,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은 서로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태 정보를 공유한다. 각 설비 제어 장치(100)는 수신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설비(200)를 제어 또는 감시하지 못하거나, 운전이나 설비 히스토리 관리 등의 약속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 중앙 관제 서버와의 연결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등 이상 발생 여부를 감시한다.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apparatuses (eg, DDC # 1 to DDC # 3 of FIG. 5) share an idle portion of the built-in memory that is not used. 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apparatuses collect idle portions of the memory to form a common resourc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apparatuses share the status information by requesting the status information from each other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in response thereto. When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100 does not control or monitor the facility 200 by using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for example, or fails to provide a promised service such as operation or facility history management, the central control server Monitor for any abnormality, such as when an error occurs in connection with the system.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DDC#1은 DDC#2 및 DDC#3과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즉, DDC#1은 DDC#2 및 DDC#3은 각각 메모리의 유휴 부분들을 서로 공유하고, 이를 이용하여 공통 리소스를 구성한다(S110). 각 설비 제어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공통 리소스에 백업한다(S120). DDC#1은 DDC#2와 DDC#3에 상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DDC#2와 DDC#3는 이에 대하여 상태 정보를 응답한다(S200). DDC#1은 DDC#2와 DDC#3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DDC#2 및 DDC#3를 감시하고(S300), DDC#2에 이상이 발생하면, 복구 명령을 발생한다(S400). DDC#2는 공통 리소스에 백업되어 있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복구된다(S500).Referring to FIG. 6, first, DDC # 1 forms a network with DDC # 2 and DDC # 3. That is, DDC # 1 shares idle portions of memory with each of DDC # 2 and DDC # 3, and configures common resources using them (S110). Each facility control device backs up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to a common resource (S120). The DDC # 1 requests the transmission of the state information to the DDC # 2 and the DDC # 3, and the DDC # 2 and the DDC # 3 respond to the state information (S200). The DDC # 1 monitors the DDC # 2 and the DDC # 3 by us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DC # 2 and the DDC # 3 (S300), and if an error occurs in the DDC # 2, a recovery command is generated (S400). DDC # 2 is recovered using the information backed up to the common resource (S50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설비 제어 장치, 이를 구비한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설비 관제 방법은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이 서로 공통 리소스를 구성함으로써 상태를 상호 감시할 수 있고, 일부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복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이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들을 서로 공유함으로써 일부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복구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제고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ility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and the facility control method can monitor the status of each other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devices common resources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in part If this happens, you can recover it.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system by allowing a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devices to form a network with each other and share information stored in the built-in memory with each other to recover in the event of abnormality.

100: 설비 제어 장치 200: 설비
210: 장비 300: 중앙 관제 서버
110: 메모리 120: 네트워크 공유 모듈
130: 제어 모듈 140: 데이터 통신 모듈
150: 통신 모듈 310: 통신 유닛
320: 제어 유닛 330: 출력 유닛
340: 입력 유닛 350: 저장 유닛
100: equipment control device 200: equipment
210: equipment 300: central control server
110: memory 120: network sharing module
130: control module 140: data communication module
150: communication module 310: communication unit
320: control unit 330: output unit
340: input unit 350: storage unit

Claims (17)

메모리를 구비하고, 관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설비를 관제하는 설비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다른 설비 제어 장치와 공통 리소스를 구성하고,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여 상호 감시하는 설비 제어 장치.
A facility control apparatus having a memory and controlling one or more facilities using a control program,
A facility control device that configures common resources with other facility control devices, and monitors each other by sending and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설비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메모리의 유휴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공통 리소스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공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설비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network sharing module for forming a network with the other facility control device and configuring the common resource by using an idle portion of the memory.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에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설정하고,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운전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관제점에 대한 운전 명령을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에 전송하고, 상기 운전 명령에 따른 관제점 운전 상태를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설비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control module for setting one or more points in the one or more facilities and running the one or more points by executing the control program; And
And a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module which transmits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one or more control points to the one or more facilities and receives a control point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from the one or more facilitie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설비 제어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프로그램, 네트워크 설정 정보, 관제점 설정 정보, 및 상기 관제점 운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mory,
And a driving program for driving the facility control device, network setting information, point setting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point operating states.
제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공유 모듈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공통 리소스에 저장하여 상기 다른 설비 제어 장치와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5. The network sharing module of claim 2, wherein the network sharing module comprises:
And stor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in the common resource and share the information with the other facility control device.
제5 항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공통 리소스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복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If an abnormality occurs, the facility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very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on resour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설비 제어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공통 리소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설비 제어 장치에 대한 복구 명령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other facility control device, generating a recovery command for the other facility control device by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on resource.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설비를 관제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호 간에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메모리의 유휴 부분을 이용하여 공통 리소스를 구성하며,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여 상호 감시하는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을 포함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A facility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more facilities using one or more control points,
And a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devices that form a network with each other, configure common resources using idle portions of the memory, and transmit and receive status information to monitor each othe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에 상기 관제점을 설정하고, 관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관제점을 운전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관제점에 대한 운전 명령을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에 전송하고, 상기 운전 명령에 따른 관제점 운전 상태를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devices,
A control module for setting the control point in the one or more facilities and executing the control program to drive the control point; And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control point to the one or more facilities and receiving a control point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from the one or more facilities.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관제 프로그램, 상기 설비 제어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프로그램, 네트워크 설정 정보, 관제점 설정 정보, 및 상기 관제점 운전 상태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emory,
And at least one of the control program, a drive program for driving the facility control device, network setting information, control point setting information, and the control point operating stat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제어 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공통 리소스에 저장하여 공유하는 네트워크 공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acility control device,
And a network sharing module for stor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in the common resource.
제8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상기 설비 제어 장치에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중앙 관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비 제어 장치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실행하고, 그 실행 결과를 상기 중앙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1,
A central control server for generating the control program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program to the facility control apparatus;
The facility control device,
Receiving and executing the control program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transmitting the execution result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상기 설비 제어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설비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상기 실행 결과를 근거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어 유닛;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출력 유닛; 및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유닛;을 포함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entral control server,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program to the facility control device and receiving the execution result from the facility control devic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control program and monitoring the state of the one or more facilities based on the execution result;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control program on a screen; And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executing the control program.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제어 장치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실행 결과를 상기 중앙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3, The facility control devi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the control program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transmitting the execution result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들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설비를 관제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비 제어 장치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설비 제어 장치들 상호 간에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 제어 장치들이 다른 설비 제어 장치들을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의 설비 관제 방법.
A facility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more facilities using a plurality of facility control devices,
The facility control devices forming a network;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between the facility control devices; And
And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other facility control devices by the facility control devices using the status information.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설비 제어 장치들에 각각 구비된 메모리의 유휴 부분을 이용하여 공통 리소스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공통 리소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의 설비 관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forming the network comprises:
Configuring a common resource by using an idle portion of a memory provided in each of the facility control devices; And
Stor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in the common resource; facility control method of a facility control system comprising a.
제15 항 또는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제어 장치들 각각은, 상기 감시하는 단계의 감시 결과, 다른 설비 제어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면 복구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복구 명령에 따라 상기 공통 리소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복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의 설비 관제 방법.
1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Each of the facility control devices, generating a recovery comman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nother facility control device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And
And recovering us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on resource according to the restoration command.
KR1020110103284A 2011-10-10 2011-10-10 Facilities controller, an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ging facilities having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1315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284A KR101315219B1 (en) 2011-10-10 2011-10-10 Facilities controller, an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ging facilitie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284A KR101315219B1 (en) 2011-10-10 2011-10-10 Facilities controller, an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ging facilitie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749A true KR20130038749A (en) 2013-04-18
KR101315219B1 KR101315219B1 (en) 2013-10-08

Family

ID=4843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284A Expired - Fee Related KR101315219B1 (en) 2011-10-10 2011-10-10 Facilities controller, an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ging facilitie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2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8936A (en) * 2013-12-03 2015-06-03 国家电网公司 Monitoring equipment and system for electrical distribution facility
CN104678791A (en) * 2013-12-03 2015-06-03 国家电网公司 Monitoring equipment and system for electrical distribution facility
CN104571031A (en) * 2014-12-25 2015-04-29 国家电网公司 Intelligent auxiliary monitoring system for transformer substation and monitoring method for transformer substation
CN105204474A (en) * 2015-10-10 2015-12-30 国家电网公司 Transformer substation environment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958A (en) * 1991-08-27 1993-03-05 Toshiba Corp Distributed facility managing device
JP3690106B2 (en) * 1998-04-02 2005-08-31 三菱電機株式会社 Device system monitoring and control method
KR100445664B1 (en) * 2002-12-10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 Air Conditioner System Enable of Unified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219B1 (en)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668B1 (en) Distribu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P3421898B1 (en) Remote management system
JP5542772B2 (en)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system connection system,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system connection method, and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system connection program
EP3447636B1 (en) Fire and security system including addressable loop and automatic firmware upgrade
KR20130096603A (en)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315219B1 (en) Facilities controller, an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ging facilities having the same
US11244556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alarms
KR101970523B1 (en) Facilitie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1214488B1 (en) Facilitie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20120137115A (en) Facilitie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 same
JP6194835B2 (en) Steel plant control system
JP2013047946A (en) Computer network based hazardous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hazardous condition processing server
US11774127B2 (en) Building system controller with multiple equipment failsafe modes
KR101294308B1 (en) Facilitie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ystem
KR101646142B1 (en) Facilitie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JP4305380B2 (en) Equipment monitoring system
JP5005425B2 (en) Control device return system
KR101631084B1 (en) Facilities control system
KR101295055B1 (en) Facilities controller, and facilities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JP6474480B1 (en) Monitoring system
JP4495015B2 (en) System management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management apparatus redundancy method
KR20110090700A (en) Facility control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JP4121987B2 (en) Equipment control system
KR20110090694A (en) Facility control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20120137114A (en) Self-administered facilities controller, facilities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th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10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