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00403A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mo of electronic book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mo of electronic boo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403A
KR20120100403A KR1020110019267A KR20110019267A KR20120100403A KR 20120100403 A KR20120100403 A KR 20120100403A KR 1020110019267 A KR1020110019267 A KR 1020110019267A KR 20110019267 A KR20110019267 A KR 20110019267A KR 20120100403 A KR20120100403 A KR 20120100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book
terminal
input
scre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경모
박윤영
황영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19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0403A/en
Publication of KR20120100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403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83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data storage and retrieval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91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reading, e.g. e-book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장치는, 제 1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전자책에 대한 메모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메모의 속성에 대한 값을 생성하는 메모 입력 감지부, 상기 속성에 대한 값을 상기 제 1 단말기의 화면 크기, 상기 전자책의 아이디 및 표시 비율과 매핑하여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하는 메모 저장부, 제 2 단말기에서 상기 전자책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전자책과 매핑된 메모를 상기 별도의 저장소에서 검색하는 메모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메모를 상기 제 2 단말기의 화면 크기, 상기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전자책의 표시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메모 표시부를 포함한다.Provided ar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memo of an e-book.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memo of an e-book, a memo input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memo input for the e-boo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and generates a value for the attribute of the detected memo, the value for the attribute A memo storage unit for mapping the screen size of the first terminal, the ID and display ratio of the e-book to a separate storage, and when the e-book is displayed on the second terminal, the memo mapped to the e-book. A memo search unit for searching in the separate storage and a memo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earched memo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based on the screen size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display ratio of the e-book displayed on the second terminal; Include.

Description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MO OF ELECTRONIC BOOK}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MO OF ELECTRONIC BOOK}

본 발명은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단말에서 동일한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mo of an e-book,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mo of the same e-book in various terminals.

전자책 단말기(electronic book device)는 디지털화되어 저장된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저작물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휴대 전화 단말기나 PDA, 개인용 컴퓨터 등이 전자책 단말기로 사용될 수 있다.An electronic book device (electronic book device) is a device for displaying a visually visible copyrighted work stored in digital, mobile phone terminal, PDA, personal computer, etc. may be used as the e-book terminal.

즉,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저작물이 정해진 형태로 디지털화되어 저장된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어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어느 것이나 전자책 단말기가 될 수 있다.That is, any terminal that can read and display data from a recording medium that is digitally stored in a predetermined form and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form can be an e-book terminal.

한편, 전자책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전자책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보다가 책의 특정한 위치에 메모를 하고자 할 경우, 추후에 이를 저장하고 다시 표시해주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an e-book terminal, if the user wants to take notes on a specific location of the book while viewing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e-book terminal, a device for storing and displaying it later is required.

이에, 한국 공개 특허 제2002-2712호(전자책 단말기의 메모 기록 장치 및 방법)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내용과 전자책의 내용을 별개로 저장하고, 메모 내용이 수록된 메모 내용 파일과는 별도의 메모 색인 파일이라는 것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메모 색인 파일을 통해 메모 내용을 불러오는 메모 입력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Accordingly,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2712 (Memo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of an e-book device) stores the memo content input by the user and the e-book content separately, and separates the memo content file from the memo content file. By further providing a memo index file, a memo input method for reading memo contents through a memo index file is disclosed.

그러나, 전자책이 하나의 단말기가 아닌 화면 크기와 표시 비율이 다른 다양한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해당 전자책에 입력된 메모는 처음 메모를 입력했던 단말기를 기준으로 그 속성이 정해져 있어 글씨의 비율 등이 맞지 않기 때문에 메모가 제대로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an e-book is displayed on various terminals having different screen sizes and display ratios instead of one terminal, the memo input to the e-book is determined based on the terminal in which the first memo was input, and thus the ratio of the letters and the lik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notes do not look right because it is not correct.

또한, 전자책이 학습서인 경우, 해당 학습서에 입력된 메모를 별도로 모아 또 다른 학습 자료를 만들어 활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었으나, 이러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제안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when the e-book is a tutorial, there was a demand to make another learning material by using the memo input to the tutorial separately, but a technology capable of meeting such a requirement has not been proposed yet.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책에 입력된 메모를 전자책과 별도로 관리하고, 화면의 크기와 표시 비율이 다른 다양한 단말기에서도 해당 메모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memo input to an e-book separately from the e-book, and displaying the memo in various terminals having different screen sizes and display ratio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전자책에 입력된 메모를 별도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utilize the memo input to the e-book as a separate material.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장치는, 제 1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전자책에 대한 메모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메모의 속성에 대한 값을 생성하는 메모 입력 감지부, 상기 속성에 대한 값을 상기 제 1 단말기의 화면 크기, 상기 전자책의 아이디 및 표시 비율과 매핑하여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하는 메모 저장부, 제 2 단말기에서 상기 전자책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전자책과 매핑된 메모를 상기 별도의 저장소에서 검색하는 메모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메모를 상기 제 2 단말기의 화면 크기, 상기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전자책의 표시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메모 표시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memo of an e-boo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memo input for the e-boo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and for the attribute of the detected memo A memo input detector for generating a value, a memo storage unit for mapping the value of the attribute to the screen size of the first terminal, the ID and display ratio of the e-book, and storing the memo input in a separate storage; When a book is displayed, a memo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a memo mapped to the e-book in the separate storage and the searched memo to the screen size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display ratio of the e-book displayed on the second terminal. And a memo display uni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based on the result.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전자책에 매핑된 상기 메모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메모를 결합하여 전자책으로 생성하는 메모 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모 결합부는 상기 메모의 속성에 대한 값 및 상기 전자책의 목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메모를 결합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are a plurality of memos mapped to the e-book, further comprises a memo combiner for combining the plurality of memos to create an e-book, the memo combiner is a value for the attribute of the memo And combine the plurality of memo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e-book.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메모의 속성은 상기 감지된 메모의 아이디, 궤적, 상기 궤적의 두께, 상기 전자책에서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ribute of the memo may include the ID of the detected memo, the trajectory, the thickness of the trajectory,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in the e-book and link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메모 입력 감지부는 상기 전자책이 고정 페이지 방식인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페이지를 복수의 행(row)과 열(column)을 포함하는 가상의 메쉬(mesh)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각 메쉬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메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book is a fixed page type, the memo input detecting unit includes a virtual mesh including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of the page on which the memo is input. ) And the location of the memo based on each of the divided mesh areas.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메모 입력 감지부는 상기 전자책이 비고정 페이지 방식인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전자책의 특정 영역에 가상의 기준점을 적어도 하나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가상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기 메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 input detecting unit sets at least one virtual reference point in a specific area of the e-book to which the memo is input when the e-book is a non-fixed page type, and the set virtual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memo can be determin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제 1 저장소에 저장된 전자책을 로딩하여 제 1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상기 디스플레이된 전자책에 대한 메모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메모의 속성에 대한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속성에 대한 값을 상기 제 1 단말기의 화면 크기, 상기 전자책의 아이디 및 표시 비율과 매핑하여 제 2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의 속성은 상기 메모의 아이디, 궤적, 상기 궤적의 두께, 상기 전자책에서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링크 정보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providing a memo of an e-boo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loading the e-book stored in the first storage and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b) the Detecting an input of a memo for the displayed e-book, generating a value for an attribute of the detected memo; and (c) displaying the value of the attribute for the screen size of the first terminal, the ID of the e-book, Mapping to a display ratio and storing the information in a second storage, wherein an attribute of the memo includes ID of the memo, a trajectory, a thickness of the trajectory, information on a location in the e-book, and link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전자책과 매핑된 메모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상기 전자책에 삽입할 수 있다.In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c) may insert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memo mapped to the e-book exists in the e-book.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d) 제 3 저장소에 저장된 상기 전자책을 로딩하여 제 2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e) 상기 제 2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전자책에 상기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전자책과 매핑된 메모를 상기 제 2 저장소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및 (f) 상기 검색된 메모를 상기 속성에 대한 값, 상기 제 2 단말기의 화면 크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전자책의 표시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d) loading the e-book stored in the third storage and displaying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e) the identifier on the e-boo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Retrieving a memo mapped with the e-book from the second repository by checking whether a message exists, and (f) displaying the retrieved memo as a value for the attribute, a screen size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based on the displayed ratio of the e-book.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a) may include performing authentication of a user of the first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전자책과 매핑된 메모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e) may include performing authentication of a user of the memo mapped to the e-boo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own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화면의 크기와 표시 비율이 다른 다앙한 단말기에서도 전자책에 입력된 메모를 이상 없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mo of the e-book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memo input to the e-book can be displayed without abnormality even in various terminals having different screen sizes and display ratios.

또한, 전자책에 입력된 메모만을 별도의 자료로 생성할 수 있으며, 특히, 학습 전자책 또는 학습 동영상에 입력된 메모의 경우, 해당 메모를 별도의 자료로 생성하여 학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only the memo input to the e-book can be generated as a separate materia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memo input to the learning e-book or a learning video,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by generating the corresponding memo as a separate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 memo of an e-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memo of an e-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memo of an e-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참고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For reference,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Also includes.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 memo of an e-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제 1 단말기(110), 제 2 단말기(120) 및 웹 서버(130)를 포함한다.The system for providing a memo of an e-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erminal 110, a second terminal 120, and a web server 130.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제 1 단말기(110) 및 제 2 단말기(12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전자책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해당 전자책에 메모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describing each component, the firs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terminal 120 display an e-book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on a screen, and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book.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 based mobile terminals capable of inputting notes into books.

이 외에도 제 1 단말기(110) 및 제 2 단말기(120)는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및 디스플레이 장치(TV)를 포함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셋탑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terminal 120 may include a desktop PC, a tablet PC, a laptop PC and a display device (TV) or a set top box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또한, 제 1 단말기(110) 및 제 2 단말기(110)는 스타일러스 펜이나 손가락 등을 화면에 접촉함으로써 직접 메모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도 있고, 자판(한글, 영문, 숫자 및 특수 문자 자판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간접적으로 메모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terminal 110 may include a touch screen for directly inputting a memo by touching a screen such as a stylus pen or a finger, or keyboard (Korean, English, numbers and special). It may also include a touch pad for inputting a memo indirectly through an interface such as a character keyboard.

이하에서는 제 1 단말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을, 제 2 단말기(120)의 예로 셋탑 박스를 설명하도록 하며, 스마트폰(110)과 셋탑 박스(1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전자책은 동일한 전자책으로서, 스마트폰(110)과 셋탑 박스(120)는 자체 내의 저장소 또는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된 전자책을 로딩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Hereinafter, a smart phon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first terminal 110 and a set top box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second terminal 120. The e-book displayed on the smart phone 110 and the set-top box 120 is the same e-book. In addition, the smartphone 110 and the set-top box 120 may load an e-book stored in a storage or a separate storage in the display and display the e-book.

만일, 스마트폰(110)에 디스플레이된 전자책 A에 대하여 메모 A를 입력하는 경우, 스마트폰(110)은 입력된 메모 A를 웹 하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130)로 전송하여, 전자책 A가 저장된 저장소와는 다른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If the memo A is input to the e-book A displayed on the smart phone 110, the smart phone 110 transmits the input memo A to the web server 130 providing the web hard service, and then the e-book A A can be stored in a separate repository from the repository.

이후, 셋탑 박스(120)에서 전자책 A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전자책 A와 관련된 메모가 존재하는 경우, 셋탑 박스(120)는 웹 서버(130)에 접속하여 전자책 A와 관련된 메모 A를 전자책 A에 오버랩 시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e-book A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set-top box 120 and there is a memo associated with the e-book A, the set-top box 120 connects to the web server 130 to display the memo A related to the e-book A.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by overlapping E-book A.

이때, 스마트폰(110)과 셋탑 박스(120)는 메모가 입력될 당시의 스마트폰이나 셋탑 박스의 화면 비율과 전자책이 화면에 표시된 비율 등을 고려하여 해당 메모를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martphone 110 and the set-top box 120 may display the corresponding memo in consideration of the screen ratio of the smartphone or the set-top box and the ratio of the e-book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memo is input.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memo of an e-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장치(200)는 메모 입력 감지부(210), 메모 저장부(220), 메모 검색부(230), 메모 표시부(240) 및 메모 결합부(250)를 포함한다.Apparatus 200 for providing a memo of the e-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mo input detection unit 210, memo storage unit 220, memo search unit 230, memo display unit 240 and memo combination The unit 250 is included.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장치(200)는 제 1 단말기인 스마트폰(110) 및 제 2 단말기인 셋탑 박스(120)에 포함되어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device 200 illustrated in FIG. 2 may be included in the smart phone 110 which is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t-top box 120 which is the second terminal, to provide memo of an e-book.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메모 입력 감지부(210)는 스마트폰(1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전자책에 대한 메모 입력을 감지하고, 입력된 메모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메모의 속성에 대한 값을 생성한다.When describing each component, the memo input detecting unit 210 detects a memo input for the e-boo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110 and sets a value for the property of the memo including the ID of the input memo. Create

여기에서 입력된 메모의 속성은 메모의 아이디, 궤적, 궤적의 두께, 전자책에서 해당 메모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tributes of the input memo may include ID, trajectory, thickness of the memo,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memo in the e-book, and link information.

더 상세히 설명하면, 메모 입력 감지부(210)는 사용자가 텍스트 형식의 메모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메모를 감지하고 텍스트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텍스트)의 궤적과 두께(텍스트의 두께)를 수치화하고 이에 대한 값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의 형태(필체와 두께 등)가 그대로 보존될 수 있도록 한다.In more detail, when the user inputs a memo in a text format, the memo input detector 210 does not detect the memo and converts the memo into text, but rather tracks and thicknesses of the memo (text) input by the user. By quantifying the thickness of the text and storing the value thereof, the form of the memo input by the user (such as handwriting and thickness) can be preserved as it is.

또한, 메모 입력 감지부(210)는 전자책에서 해당 메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memo input detecting unit 210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memo in the e-book.

참고로, 전자책은 페이지가 구분된 ‘고정 페이지 방식’과 페이지의 구분이 없는 ‘비 고정 페이지 방식’이 있다.For reference, there are two types of e-books: "fixed page" and "non-fixed page".

전자책이 고정 페이지 방식인 경우, 메모 입력 감지부(210)는 메모가 입력된 해당 페이지를 복수의 행(row)과 열(column)을 포함하는 가상의 메쉬(mesh)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메쉬 영역을 기준으로 해당 페이지에서 메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When the e-book is a fixed page method, the memo input detecting unit 210 divides the corresponding page into which the memo is input into a virtual mesh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and classifies them. The location of the memo on the page can be determined based on each mesh area.

따라서, 고정 페이지 방식에서는 메모가 입력된 해당 페이지의 수(몇 번째 페이지인지)와 가상의 매쉬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메모의 위치가 상기한 ‘메모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fixed page method, the number of pages corresponding to the memo (the number of pages) and the position of the memo set based on the virtual mesh area may b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on the memo'.

또한, 전자책이 비 고정 페이지 방식인 경우, 메모 입력 감지부(210)는 메모가 입력된 전자책의 특정 영역에 가상의 기준점을 적어도 하나 설정하고, 설정된 가상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메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book is a non-fixed page method, the memo input detecting unit 210 sets at least one virtual reference point in a specific area of the e-book in which the memo is input, and sets the position of the memo based on the set virtual reference point. I can figure it out.

따라서, 비 고정 페이지 방식에서는 전자책에서의 가상의 기준점에 대한 위치, 가상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하는 메모의 위치가 상기한 ‘메모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non-fixed page method, the position of the virtual reference point in the e-book and the position of the memo based on the virtual reference point may b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f the note'.

또한, 메모 입력 감지부(210)는 입력된 메모에 웹 사이트, 문서 또는 동영상과 연결된 링크가 포함된 경우, 해당 링크 정보를 속성 값으로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memo includes a link connected to a web site, a document, or a video, the memo input detector 210 may manage corresponding link information as an attribute value.

현편, 메모 저장부(220)는 메모 입력 감지부(210)에서 생성된 각 메모의 속성에 대한 값을 스마트폰(110)의 화면 크기(해상도), 전자책의 아이디 및 전자책이 스마트폰(110)에 표시된 비율과 매핑하여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한다.The current and memo storage unit 220 is a screen size (resolution) of the smart phone 110, the value of the property of each memo generated by the memo input detection unit 210, the ID of the e-book and the e-book smart phone ( It is mapped to the ratio indicated in 110) and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이때, 메모 저장부(220)는 전자책과 관련된 메모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식별자(이하, ‘메모 존재 여부 식별자’라 칭함)를 해당 전자책에 삽입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mo storage unit 220 may insert an identifi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note existence existence identifier') indicating that a memo associated with the e-book exists in the corresponding e-book.

즉, 메모 저장부(220)는 스마트폰(110)의 화면 크기(해상도)와 전자책이 스마트폰(110)에 표시된 비율을 반영하여 입력된 메모를 관리함으로써, 추후, 스마트폰(110)과는 화면 크기(해상도)가 다른 셋탑 박스(120)에서 동일한 전자책과 메모를 보는 경우, 처음 스마트폰(110)에 입력된 메모의 비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memo storage unit 220 manages the input memo by reflecting the screen size (resolution) of the smart phone 110 and the ratio of the e-book displayed on the smart phone 110, and later, the smart phone 110 and If the screen size (resolution) is different from the set-top box 120 to see the same e-book and memo, the first ratio of the memo input to the smartphone 110 can be maintained as it is.

여기에서 상기한 별도의 저장소는 셋탑 박스(120) 내의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소가 될 수도 있고, 웹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웹 하드와 같은 저장소가 될 수도 있다.Here, the separate storage may be a storage such as a memory or a hard disk in the set-top box 120, or may be a storage such as a web hard provided through a web service.

이하에서는, 입력된 메모가 웹 하드에 저장된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input memo is stored in the web hard will be described.

참고로, 메모 저장부(220)는 웹 하드에 메모를 저장 시, 메모를 입력한 사용자로부터 비밀 번호와 같은 인증 정보를 입력 받아 메모와 함께 저장하고, 추후 해당 메모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만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memo storage unit 220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from the user who inputs the memo when storing the memo on the web hard, and stores the memo together with the memo in the future. It can also be used only if it is successful.

한편, 메모 검색부(230)는 셋탑 박스(120)에서 특정 페이지 또는 특정 위치에 메모가 입력된 전자책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해당 전자책으로부터 아이디를 추출하고, 미리 정해진 웹 하드에 접속하여, 추출된 전자책의 아이디와 매핑된 메모의 아이디를 검색한다.Meanwhile, when the e-book in which the memo is input on a specific page or a specific position is displayed on the set-top box 120, the memo search unit 230 extracts an ID from the e-book, accesses a predetermined web hard, and extracts the e-book. Retrieves the ID of the memo mapped with the ID of the e-book.

이후, 메모 검색부(230)는 검색된 메모를 셋탑 박스(120) 내의 저장소로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전자책에 ‘메모 존재 여부 식별자’가 삽입된 경우, 관련된 메모자 존재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셋탑 박스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memo search unit 230 downloads the found memo to the storage in the set-top box 120, and set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a memo associated with the memo when the 'memo existence identifier' is inserted into the downloaded e-book.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이때, 메모 검색부(230)는 셋탑 박스(120) 사용자로부터 해당 메모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입력 받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만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memo search unit 230 may rece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using the memo from the set-top box 120 user and use the memo search unit 230 only when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한편, 메모 표시부(240)는 메모 검색부(230)에서 검색된 메모를 셋탑 박스(120)의 화면 크기(해상도), 현재 셋탑 박스(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전자책의 표시 비율 및 해당 메모의 속성에 대한 값에 기초하여 전자책에 오버랩(overlap)시켜 표시한다.Meanwhile, the memo display unit 240 displays the memo searched by the memo search unit 230 in the screen size (resolution) of the set-top box 120, the display ratio of the e-book currently displayed through the set-top box 120, and the properties of the memo. The display is overlapped with the e-book based on the value for.

한편, 메모 결합부(250)는 상기한 스마트폰(110) 또는 셋탑 박스(120)에서 메모 결합을 위한 메뉴나 버튼 등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입력했던 복수의 메모를 결합하여 별도의 전자책으로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emo combiner 250 is a menu or a button for combining the memo in the smart phone 110 or the set-top box 120 is selected, combines a plurality of memo input by the user as a separate e-book Can be generated.

이때, 메모 결합부(250)는 전자책으로부터 목차 등을 추출하고, 목차 별로 메모를 결합하여 전자책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mo combiner 250 extracts a table of contents from the e-book, and combines the memos for each table of contents to generate an e-book.

예를 들어, 고등학생인 사용자가 국사와 관련된 전자책으로 공부하던 중, 주요 단락마다 핵심 사건과 관련된 메모를 입력한 경우, 해당 메모는 그 자체만으로도 역사적 핵심 사건의 내용을 기록한 별도의 수험 자료로서 큰 가치가 있을 수 있으며, 해당 메모를 별도의 전자책으로 활용한다면 수험생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도 있다.For example, if a user who is a high school student is studying an e-book related to national history and enters a memo related to a core event in each major paragraph, the memo is a separate examination material that records the contents of the historical core event by itself. It can be valuable, and if you use the memo as a separate e-book, it can be very helpful for the candidates.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한다.2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an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o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nd performs predetermined roles .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owever, 'components'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each componen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Thus, by way of example, an element may compris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procedures, 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Components and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os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memo of an e-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2에 도시된 장치(200)의 구성 요소를 참조하여 도 2의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하며, 도 3의 흐름도는 사용자가 스마트폰(110)에서 ‘전자책 A’를 보던 중 메모를 입력하고, 추후, 셋탑 박스(120)에서 ‘전자책 A’와 함께 이전에 입력했던 메모를 화면을 통해 보는 경우이다.Hereinafter, the flowchart of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mponents of the apparatus 200 shown in FIG. 2, and the flowchart of FIG. 3 shows a user inputting a memo while viewing a 'e-book A' on the smartphone 110. And, later, the set-top box 120 is a case of viewing the previously entered notes with the 'e-book A' through the screen.

먼저, 메모 입력 감지부(210)는 스마트폰(1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전자책 A에 대한 메모 입력을 감지하고, 입력된 메모에 아이디를 부여하며, 메모의 궤적, 궤적의 두께에 대한 값 및 메모의 위치에 대한 정보 등을 생성한다(S301).First, the memo input detecting unit 210 detects a memo input for the e-book A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110, assigns an ID to the input memo, and values for the trajectory of the memo and the thickness of the trajectory. And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memo, etc. (S301).

이때, 메모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전자책 A가 고정 페이지 방식인지, 비 고정 페이지 방식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memo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e-book A is a fixed page type or a non-fixed page type.

참고로, 전자책이 고정 페이지 방식인 경우, 메모 입력 감지부(210)는 메모가 입력된 해당 페이지를 복수의 행(row)과 열(column)을 포함하는 가상의 메쉬(mesh)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메쉬 영역을 기준으로 해당 페이지에서 메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전자책이 비 고정 페이지 방식인 경우, 메모 입력 감지부(210)는 메모가 입력된 전자책의 특정 영역에 가상의 기준점을 적어도 하나 설정하고, 설정된 가상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메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For reference, when the e-book is a fixed page method, the memo input detecting unit 210 divides the corresponding page into which the memo is input into a virtual mesh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memo on the corresponding page may be determined based on each divided mesh area, and when the e-book is a non-fixed page method, the memo input detecting unit 210 may virtualize a specific area of the e-book in which the memo is input. At least one reference point may be set, and the position of the memo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et virtual reference point.

또한, 입력된 메모에 웹 사이트, 문서 또는 동영상과 연결된 링크가 포함된 경우, 메모 입력 감지부(210)는 해당 링크 정보를 속성 값으로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memo includes a link to a web site, a document, or a video, the memo input detector 210 may manage the link information as an attribute value.

단계 S301 후, 메모 저장부(220)는 메모 입력 감지부(210)에서 생성된 각 메모의 속성 값을 스마트폰(110)의 화면 크기(해상도), 전자책의 아이디 및 전자책이 스마트폰(110)에 표시된 비율과 매핑하여 별도의 저장소인 웹 하드에 저장한다(S302).After the step S301, the memo storage unit 220 displays the property values of each memo generated by the memo input detection unit 210, the screen size (resolution) of the smart phone 110, the ID of the e-book and the e-book. It is mapped to the ratio shown in 110 and stored in the web storage, which is a separate storage (S302).

이때, 메모 저장부(220)는 전자책 A과 관련된 메모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메모 존재 여부 식별자’를 전자책 A에 삽입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mo storage unit 220 may insert a 'memo existence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memo associated with the e-book A exists in the e-book A.

단계 S302 후, 메모 검색부(230)는 셋탑 박스(120)에서 전자책 A가 디스플레이되면, 전자책 A와 관련된 메모를 표시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웹 하드에 접속한 후 해당 전자책의 아이디와 매핑된 메모의 아이디를 검색한다(S303).After the step S302, when the e-book A is displayed on the set-top box 120, the memo search unit 230 maps the ID and the ID of the corresponding e-book after accessing a predetermined web hard to display the memo associated with the e-book A. Search for the ID of the memo (S303).

참고로, 메모 검색부(230)는 전자책 A에 삽입된 ‘메모 존재 여부 식별자’에 기초하여, 메모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알리고, 해당 메모를 전자책 A에 오버랩시켜 표시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셋탑 박스(1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memo search unit 230 notifies a memo when there is a memo based on the 'note existence existence identifier' inserted in the e-book A, and displays a message asking whether to display the memo by overlapping the memo with the e-book A. The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set top box 120.

단계 S303 후, 메모 검색부(230)는 검색된 메모를 셋탑 박스(120) 내의 저장소로 다운로드한다(S304).After the step S303, the memo search unit 230 downloads the found memo to the storage in the set-top box 120 (S304).

단계 S304 후, 메모 표시부(240)는 단계 S304에서 다운로드한 메모를 셋탑 박스(120)의 화면 크기(해상도)와 현재 셋탑 박스(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전자책의 표시 비율 그리고 해당 메모의 속성에 대한 값에 기초하여 전자책에 오버랩(overlap)시켜 표시한다(S305).After step S304, the memo display unit 240 displays the memo downloaded in step S304 on the screen size (resolution) of the set-top box 120, the display ratio of the e-book currently displayed through the set-top box 120, and the attributes of the memo. The display is overlapped with the e-book based on the value of S (S305).

단계 S305 후, 사용자에 의해 메모 결합을 위한 메뉴 또는 버튼이 선택되면, 메모 결합부(250)는 전자책 A에 입력됐던 복수의 메모를 결합하여 별도의 전자책으로 생성한다(S306).After the step S305, if a menu or button for memo combining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emo combiner 250 combines a plurality of memos input to the e-book A to generate a separate e-book (S306).

이때, 메모 결합부(250)는 전자책 A로부터 목차 등을 추출하고, 추출된 목차 별로 메모를 결합하여 전자책을 생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memo combiner 250 may extract a table of contents from the e-book A, and combine the memo for each extracted table to generate an e-book.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200 : 전자책 메모 제공 장치
210 : 메모 입력 감지부
220 : 메모 저장부
230 : 메모 검색부
240 : 메모 표시부
250 : 메모 결합부
200: e-book note providing device
210: memo input detection unit
220: memo storage unit
230: memo search unit
240: memo display unit
250: memo combiner

Claims (10)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 1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전자책에 대한 메모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메모의 속성에 대한 값을 생성하는 메모 입력 감지부,
상기 속성에 대한 값을 상기 제 1 단말기의 화면 크기, 상기 전자책의 아이디 및 표시 비율과 매핑하여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하는 메모 저장부,
제 2 단말기에서 상기 전자책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전자책과 매핑된 메모를 상기 별도의 저장소에서 검색하는 메모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메모를 상기 제 2 단말기의 화면 크기, 상기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전자책의 표시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메모 표시부
를 포함하는, 전자책 메모 제공 장치.
In the device for providing a memo of the e-book,
A memo input detector for detecting a memo input for the e-boo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and generating a value for the attribute of the detected memo;
A memo storage unit which maps the value of the attribute to the screen size of the first terminal, the ID of the e-book and the display ratio, and stores the value in the separate storage;
When the e-book is displayed on the second terminal, a memo search unit for searching the memo mapped to the e-book in the separate storage unit;
Memo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trieved memo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based on the screen size of the second terminal, the display ratio of the e-book displayed on the second terminal
E-book note providing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책에 매핑된 상기 메모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메모를 결합하여 전자책으로 생성하는 메모 결합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모 결합부는 상기 메모의 속성에 대한 값 및 상기 전자책의 목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메모를 결합하는, 전자책 메모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memo is mapped to the e-book, the memo combiner for combining the plurality of memo to create an e-book
The memo combiner may further include combining the plurality of memos based on a value of a property of the memo and a table of contents of the e-boo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의 속성은 상기 감지된 메모의 아이디, 궤적, 상기 궤적의 두께, 상기 전자책에서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책 메모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ttribute of the memo comprises an ID of the detected memo, the trajectory, the thickness of the trajectory,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in the e-book and link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입력 감지부는 상기 전자책이 고정 페이지 방식인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페이지를 복수의 행(row)과 열(column)을 포함하는 가상의 메쉬(mesh)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각 메쉬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메모의 위치를 파악하는, 전자책 메모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mo input detecting unit divides the page into which the memo is input into a virtual mesh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when the e-book is a fixed page type. E-book memo providing apparatus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memo based on each mesh are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입력 감지부는 상기 전자책이 비고정 페이지 방식인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전자책의 특정 영역에 가상의 기준점을 적어도 하나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가상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기 메모의 위치를 파악하는, 전자책 메모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mo input detecting unit sets at least one virtual reference point in a specific area of the e-book in which the memo is input, and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memo based on the set virtual reference point when the e-book is a non-fixed page type. E-book memo providing device.
전자책의 메모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 1 저장소에 저장된 전자책을 로딩하여 제 1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상기 디스플레이된 전자책에 대한 메모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메모의 속성에 대한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속성에 대한 값을 상기 제 1 단말기의 화면 크기, 상기 전자책의 아이디 및 표시 비율과 매핑하여 제 2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의 속성은 상기 메모의 아이디, 궤적, 상기 궤적의 두께, 상기 전자책에서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책 메모 제공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memo of the e-book,
(a) loading the e-book stored in the first storage and displaying the same on the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b) detecting an input of a memo for the displayed e-book, generating a value for an attribute of the detected memo; and
(c) mapping the value of the attribute to a screen size of the first terminal, an ID of the e-book, and a display ratio to store in the second storage;
Including, Wherein the attribute of the memo e-book memo, including the ID, the trajectory, the thickness of the trajectory,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and the link information in the e-book.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전자책과 매핑된 메모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상기 전자책에 삽입하는, 전자책 메모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step (c), inserting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re is a memo mapped to the e-book into the e-book, providing e-book memo.
제 7 항에 있어서,
(d) 제 3 저장소에 저장된 상기 전자책을 로딩하여 제 2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e) 상기 제 2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전자책에 상기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전자책과 매핑된 메모를 상기 제 2 저장소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및
(f) 상기 검색된 메모를 상기 속성에 대한 값, 상기 제 2 단말기의 화면 크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전자책의 표시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책 메모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d) loading the e-book stored in the third storage and displaying the same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e) checking whether the identifier exists in the e-boo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retrieving a memo mapped to the e-book from the second storage; and
(f) displaying the retrieved memo on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based on the value for the property, the screen size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display ratio of the e-book displayed on the second terminal.
Further comprising, e-book note providing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책 메모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a)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for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e-book memo providing metho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전자책과 매핑된 메모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책 메모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e)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for the user of the memo mapped with the e-book, e-book memo providing method.
KR1020110019267A 2011-03-04 2011-03-0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mo of electronic book Withdrawn KR201201004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267A KR20120100403A (en) 2011-03-04 2011-03-0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mo of electronic boo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267A KR20120100403A (en) 2011-03-04 2011-03-0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mo of electronic boo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403A true KR20120100403A (en) 2012-09-12

Family

ID=4711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267A Withdrawn KR20120100403A (en) 2011-03-04 2011-03-0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mo of electronic boo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040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5471B2 (en) Optimized joint document review
US8826169B1 (en) Hiding content of a digital content item
US10067922B2 (en) Automated study guide generation for electronic books
CN107122400B (en) Method, comput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refining query results using visual cues
US20130088511A1 (en) E-book reader with overlays
KR20140033347A (en) Electronic book extension systems and methods
US20110138316A1 (en)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f writing text and function of clipping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CN112513922B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anion enhancements to books via learning insert advertisements using a publishing platform
CN111859856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910916B1 (en) Digital content excerpt identification
US201501477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educational materials
CN112583603B (en) Visual signature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602129A (en) Intelligent search for annotations and ink
KR101562322B1 (en)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f Examination Question
US10380226B1 (en) Digital content excerpt identification
US10891320B1 (en) Digital content excerpt identification
US20120079404A1 (en) Method for creating and searching a folder in a computer system
KR201201004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mo of electronic book
CN114416664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formation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8287646B (en) Multimedia object view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ing equipment
JP2013178611A (en) Electronic terminal and book browsing program
US20240160840A1 (en) Online real-time interactive collaborative annotation system
Tipping et al. An analysis of courtroom evidence presentation technology requirements and current solutions
Nolan et al. The digital atlas dilemma: Outlining the challenges for libraries
US10474330B1 (en) Supplementary content lay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