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404A - Steering wheel having cradle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 Google Patents
Steering wheel having cradle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4404A KR20120044404A KR1020100105662A KR20100105662A KR20120044404A KR 20120044404 A KR20120044404 A KR 20120044404A KR 1020100105662 A KR1020100105662 A KR 1020100105662A KR 20100105662 A KR20100105662 A KR 20100105662A KR 20120044404 A KR20120044404 A KR 201200444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portable terminal
- steering wheel
- mobile terminal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personal computers, e.g. laptops, noteboo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휠에 고정 설치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며, 양측에 다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일면에 받침턱이 절곡 형성된 거치 본체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거치 본체부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 커버와, 탄성력에 의해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탄성부 및 휴대 단말기와 접촉되는 접촉수단을 포함하는 고정날개; 및 상기 스티어링휠을 감싸는 휠 고정부와, 이 휠 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거치 본체부와 결합 스크류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축이 형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holder fixed to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support body portion formed with a bent jaw on one surface; A fixed wing including a guide cover formed with a guide protrusion sliding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mounting body par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an elastic part for fixing the portable terminal by an elastic force, and contact means for contac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a coupling member having a wheel fixing portion surrounding the steering wheel and an extension member formed from the wheel fixing portion, the fixing member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portion through a coupling screw. To prov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중 운전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스티어링휠에 고정 설치되어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주행중에도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의 조작이 가능한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More specifically, it is fixed to the steering wheel of the car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use the portable terminal while driving, and can carry out safe driving.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폰, PDA, GPS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차량의 일정한 위치에 장착시켜 사용자가 차량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운전중에도 운전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주로 대쉬보드나 윈드실드 등에 부착되어 설치된다.In general,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car mounts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or a GPS terminal to a certain posi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user can use it in the vehicle. It is attached to a windshield or the lik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며, 휴대 단말기의 외측을 감싸는 거치부(122)가 형성되는 거치판(120)과, 거치판(120)과 회동부(130) 간에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 일부가 돌출되고, 중심에 홀이 형성되어 개재되며, 거치판(120)과 회동부(130)의 결합시 거치판(120)이 회전되며, 거치판(120)과 회동부(130)를 결합시키는 회전핀(140)과, 거치판(120)의 후측에 결합되어 거치판(120)을 좌우와 상하측의 후측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130)와, 회동부(130)의 일측에 결합핀(150)으로 힌지결합되어 회동부(130)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회동결합부(160)와, 회동결합부(160)의 일측에 결합되며, 타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74)가 회동결합부(160)의 고정돌기홈(162)에 삽입되어 회동결합부(160)와 결합되며, 상측에 홀(172)이 형성되는 고정판(170)과, 고정판(170)의 홀(172)에 원형으로 형성된 삽입부(182)가 삽입되며, 삽입부(182)의 타측단에 상기 삽입부(182)가 홀(17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받침판(184)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하로 형성된 고정핀(186)이 형성되어 자동차의 윈드실드에 설치되어지는 고정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the
하지만, 종래 기술과 같은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자동차와의 결속력이 약해 주행중에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분리되어 운전자의 집중력을 흐트리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원인이 되는 실정이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크기로 제조되는데 거치판(120)의 크기가 일정함에 따라 매우 한정적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s in the prior art is a situation in which a safety accident occurs, such as a weak binding force with a car, which is separated by vibration generated during driving, thus distracting the driver's concentratio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of a variety of sizes of the mobile terminal has to be used very limitedly as the size of th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행중 운전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스티어링휠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되 휴대 단말기가 360°회전되게 고정 설치되어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주행중에도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fely and securely installed on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and easily use the mobile terminal while driving, and the mobile terminal can be securely installed to rotate 360 ° to perform safe driving. Of course, the purpos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while driving.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한 고정 날개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조되는 휴대 단말기의 고정이 가능함에 따라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urpose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as it is possible to fix a mobile terminal manufactured in various designs by a fixed wing adjust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주행중에도 스티어링휠에 설치된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결합함으로써, 이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각종 동영상, 음악 정보, 인터넷, 네비게이션 등을 용이하게 시청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bine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cradle installed in the steering wheel while the driver is driving, thereby easily watching various videos, music information, the Internet, navigation, etc. provid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휠에 고정 설치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며, 양측에 다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일면에 받침턱이 절곡 형성된 거치 본체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거치 본체부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 커버와, 탄성력에 의해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탄성부 및 휴대 단말기와 접촉되는 접촉수단을 포함하는 고정날개; 및 상기 스티어링휠을 감싸는 휠 고정부와, 이 휠 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거치 본체부와 결합 스크류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축이 형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holder fixed to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support body is formed with a bent jaw on one side ; A fixed wing including a guide cover formed with a guide protrusion sliding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mounting body par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an elastic part for fixing the portable terminal by an elastic force, and contact means for contac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a coupling member having a wheel fixing portion surrounding the steering wheel and an extension member formed from the wheel fixing portion, the fixing member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portion through a coupling screw.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치 본체부는 상기 고정날개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다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스크류가 체결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고정 케이스; 및 상기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며, 전방에 고무재질로 형성된 밀착부재가 구비된 거치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so that the fixed blade is sliding coupling, the fixing case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the coupling screw; And a mounting cas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seated, and a mounting case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member formed of a rubber material at the front thereof.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스티어링휠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반원형의 제1휠 고정부가 형성되며, 결합 스크류가 관통하는 제1결합커버; 상기 제1결합커버의 제1휠 고정부와 대응되는 반원형의 제2휠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스크류가 삽입관통되어 거치 본체부에 체결되도록 고정축이 형성된 제2결합커버; 및 상기 결합 스크류가 거치 본체부의 회전에 의해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에 각각 구비되는 풀림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mber is a semi-circular first wheel fixing portion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ering wheel is formed, the first coupling cover through which the coupling screw; A second coupling cover having a semicircular second wheel fix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wheel fixing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cover, the fixing shaft being formed such that the coupling screw is inserted through and fixed to the mounting body; And an anti-loosening member provided at each of the first coupling cover and the second coupling cover to prevent the coupling screw from being loosened by rotation of the mounting main bod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풀림 방지부재는 실리콘 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결합부재에 구비되는 실링부재와, 이 실링부재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결합 스크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loosening member is made of a silicon material and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provided in the coupling member, and an anti-loosening washer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to prevent the coupling screw from loosening.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olde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휠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어셈블리에 직접 연결되어 스티어링휠 조작에 방해가 안되도록 하면서도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케이블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able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ssembly for supplying the power of the steering wheel is further configured to easily and conveniently charge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while preventing the steering wheel operation is further configured. Provided is a portable terminal hold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중 운전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스티어링휠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되 휴대 단말기가 360°회전되게 고정 설치되어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주행중에도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의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is firmly installed on the steering wheel of the car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and easily use the mobile terminal while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s fixed to be rotated 360 ° can of course perform safe driv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while driv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한 고정 날개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조되는 휴대 단말기의 고정이 가능함에 따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as it is possible to fix a mobile terminal manufactured in various designs by a fixed wing whic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주행중에도 스티어링휠에 설치된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결합함으로써, 이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각종 동영상, 음악 정보, 인터넷, 네비게이션 등을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upl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cradle provided on the steering wheel while the driver is driving,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watch the various videos, music information, the Internet, navigation and the like provid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충전 케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이다.1 is a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an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is a view showing a charging cable of the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이다.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본체부(100), 거치 본체부(100)의 후방에 고정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거치 본체부(100)를 자동차의 스티어링휠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mobile termina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거치 본체부(100)는 결합부재(200)와 360°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으로 가이드홈(114)이 형성된 고정 케이스(110)와, 이 고정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는 거치 케이스(120) 및 고정 케이스(110)의 가이드홈(114)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 거치 케이스(120)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날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unting
고정 케이스(110)는 전방 양측으로 휴대 단말기가 거치 본체부(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날개(1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복수의 가이드홈(114)이 형성되며, 결합부재(200)와 거치 본체부(100)를 결합하는 결합 스크류(260)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홀(112)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 케이스(110)에는 거치 케이스(120)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체결나사(116)가 다수 체결됨이 바람직하다.The
여기서, 가이드홈(114)은 고정 케이스(110)의 양측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고정날개(130)가 결합됨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나, 크기로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의 거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Here, the
이와 같은 가이드홈(114)은 고정 케이스(1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결합홀(112)을 중심으로 적어도 3개 이상 다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거치 케이스(120)는 고정 케이스(110)와 체결나사(116)를 통해 일체로 구성되도록 고정 결합되며, 고정날개(130)에 의해 고정된 휴대 단말기가 주행중에 거치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턱(122)이 절곡 형성된다. The
또한, 거치 케이스(120)에는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면서 소정의 밀착력을 제공하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된 밀착부재(124)가 전방에 접착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아울러, 거치 케이스(120)의 중앙으로는 고정 케이스(110)에 형성된 결합홀(112)과 연통되는 연통홀(124)이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게 될 결합부재(2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 스크류(260)가 관통된다.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고정날개(130)는 고정 케이스(110)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홈(114)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 거치 케이스(120)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가이드홈(114)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134)가 형성된 가이드 커버(132)와, 가이드 커버(132)에 삽입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변형되는 탄성부(138)와, 탄성부(138)의 일단에 삽입 고정되며 휴대 단말기의 본체와 직접 접촉되는 접촉수단(1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이러한 고정날개(130)는 평상시에는 고정 케이스(110)에 슬라이딩 결합된 채를 유지하고 있다가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때 이 고정날개(130)를 가압하면 탄성부(138)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휴대 단말기가 거치 케이스(120)에 안착되고, 안착이 완료되면 탄성부(138)가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휴대 단말기를 거치 본체부(10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The fixed
또한,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다수의 가이드홈(114) 중 가장 적합한 위치에 슬라이딩 결합됨에 따라 고속 주행중이거나, 스티어링휠의 조작에도 휴대 단말기와 거치 본체부(100) 간의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어 주행중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s and sizes of the portable terminal is sliding coupled to the most suitabl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한편, 본 발명의 거치 본체부(100)와 결합 스크류(260)에 의해 결합되되 거치 본체부(100)가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이 거치 본체부(100)를 자동차의 스티어링휠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200)는 스티어링휠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휠 고정공(226)을 형성하는 제1결합커버(210)와, 제2결합커버(220)로 구성되며, 이 제1 및 제2결합커버(210, 220)를 관통하여 거치 본체부(100)에 체결되는 결합 스크류(260) 및 거치 본체부(100)의 회전시 결합 스크류(26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it is coupled by the
제1결합커버(210)는 스티어링휠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반원형의 제1휠 고정부(212)가 형성되며, 이 제1휠 고정부(212)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결합 스크류(260)가 관통하는 관통홀(214)이 형성된다.The
제2결합커버(220)는 제1결합커버(210)에 형성된 제1휠 고정부(21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티어링휠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이 제1휠 고정부(212)와 결합되어 휠 고정공(226)을 형성하는 제2휠 고정부(222)가 형성된다.The
또한, 제2결합커버(220)에는 그 단부가 거치 본체부(100)의 고정 케이스(110) 사이에 구성되는 풀림 방지부재(250)의 실링부재(230)에 삽입 고정되며, 결합 스크류(260)가 삽입 관통하여 거치 케이스(120)에 체결되도록 내주면이 관통 형성된 고정축(224)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여기서, 고정축(224)은 전술한 고정 케이스(110)와 거치 케이스(120)를 관통하는 결합 스크류(260)와, 제1결합커버(210) 및 제2결합커버(220)를 결합하기 위해 구성된 결합 스크류(260)가 모두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후술할 풀림 방지부재(250) 역시 각각의 결합 스크류(26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풀림 방지부재(250)는 결합부재(2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 본체부(100)를 회전시킬 때, 결합부재(200)와 거치 본체부(100)의 결합 매개체인 결합 스크류(26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결합커버(210)의 관통홀(214) 상부 및 제2결합커버(220)의 고정축(224)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고정 케이스(110)의 후방면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실리콘 소재로 제작된 실링부재(230)와, 이 실링부재(23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결합 스크류(260)가 제자리에서 회전함에 따라 거치 본체부(100)의 회전시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와셔(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Wh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200)의 제1결합커버(210)와 제2결합커버(220)를 스티어링휠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시키고, 결합 스크류(260)를 제1결합커버(210)의 관통홀(214)과 제2결합커버(220)의 고정축(224)에 삽입하여 거치 본체부(100)와 결합부재(200)를 결합시킨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holder for automobi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shown in FIG. 6 includes the
이때, 고정축(224)의 단부가 삽입되며, 고정 케이스(110)의 후방면에 밀착되게 구비된 풀림 방지부재(250)에 의해 거치 본체부(100)가 회전할 때 결합 스크류(26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fixed
한편,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어셈블리에 직접 연결되어 스티어링휠 조작에 방해가 안되도록 하면서도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케이블(300)이 더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a power supply assembly for supplying power of a steering wheel, so that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is not disturbed while the steering wheel operation is not disturbed. A charging
즉, 스티어링휠의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조향 어셈블리(310)의 내부로부터 전원 공급 케이블(320)과 직접 연결시켜 사용자가 주행중 운전에 방해받지 않으면서도 항상 간편하게 휴대 단말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by directly connecting with the
여기서, 통상적으로 12V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케이블(320)에는 5V의 전원 공급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원 공급 케이블(310)의 단부에는 컨버터(330)를 구비하여 12V로 제공하는 전원을 5V로 조절하여 공급하도록 하고, 이 컨버터(330)의 단부에 USB 소켓부(340)를 구성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충전 케이블(300)이 이 USB 소켓부(340)에 연결됨으로써, 언제나 간편하게 휴대 단말기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Here, since the
이는, 운전자가 주행중에도 스티어링휠에 설치된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결합함으로써, 이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각종 동영상, 음악 정보, 인터넷, 네비게이션 등을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is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allows the driver to easily watch various videos, music information, internet, navigation, etc. provid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by coupl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cradle installed on the steering wheel while driving.
한편,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거치 본체부(100)와 결합부재(200) 사이에 결합방식을 볼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a and 8b,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upling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mounting
즉, 거치 본체부(100)의 거치 케이스(120)의 후방에 회전하는 볼(410)을 구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결합부재(200)의 제2휠 고정부(222)의 후방에는 이 볼(4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 하우징(420)을 구성함으로써, 거치 본체부(100)와 결합부재(200)가 간편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거치 본체부 110: 고정 케이스
112: 결합홀 114: 가이드홈
116: 체결나사 120: 거치 케이스
122: 받침턱 124: 밀착부재
130: 고정날개 132: 가이드 커버
134: 가이드 돌기 136: 접촉수단
138: 탄성부 200: 결합부재
210: 제1결합커버 212: 제1휠 고정부
214: 관통홀 220: 제2결합커버
222: 제2휠 고정부 224: 고정축
230: 실링부재 240: 풀림 방지와셔
250: 풀림 방지부재 260: 결합 스크류
300: 전원 공급케이블100: mounting body 110: fixed case
112: coupling hole 114: guide groove
116: tightening screw 120: mounting case
122: base jaw 124: contact member
130: fixed wing 132: guide cover
134: guide protrusion 136: contact means
138: elastic portion 200: coupling member
210: first coupling cover 212: first wheel fixing portion
214: through hole 220: second coupling cover
222: second wheel fixing portion 224: fixed shaft
230: sealing member 240: loosening washer
250: loosening preventing member 260: coupling screw
300: power supply cable
Claims (6)
상기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며, 양측에 다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일면에 받침턱이 절곡 형성된 거치 본체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거치 본체부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 커버와, 탄성력에 의해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탄성부 및 휴대 단말기와 접촉되는 접촉수단을 포함하는 고정날개; 및
상기 스티어링휠을 감싸는 휠 고정부와, 이 휠 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거치 본체부와 결합 스크류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축이 형성된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In the mobile terminal holder fixed to the steering wheel of the car,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support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bent jaw on one surface;
A fixed wing including a guide cover formed with a guide protrusion sliding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mounting body par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an elastic part for fixing the portable terminal by an elastic force, and contact means for contac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A coupling member having a wheel fixing portion surrounding the steering wheel, and a fixed shaft extending from the wheel fixing portion, the fixed shaft being rotatably coupled with the mounting body portion through a coupling screw;
Mobile termina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거치 본체부는
상기 고정날개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다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스크류가 체결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고정 케이스; 및
상기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며, 전방에 고무재질로 형성된 밀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홀과 연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된 거치 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body portion
A fixed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are formed to slide the fixed blades, and a coupling hole to which the coupling screw is coupled is formed; And
A mounting cas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seated, a front contact member formed of a rubber material is formed, an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hole is formed;
Mobile termina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스티어링휠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반원형의 제1휠 고정부가 형성되며, 결합 스크류가 관통하는 제1결합커버;
상기 제1결합커버의 제1휠 고정부와 대응되는 반원형의 제2휠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스크류가 삽입관통되어 거치 본체부에 체결되도록 고정축이 형성된 제2결합커버; 및
상기 결합 스크류가 거치 본체부의 회전에 의해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에 각각 구비되는 풀림 방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member
A first coupling cover having a semi-circular first wheel fixing portion surrounding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ring wheel, the coupling screw penetrating;
A second coupling cover having a semicircular second wheel fix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wheel fixing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cover, the fixing shaft being formed such that the coupling screw is inserted through and fixed to the mounting body; And
The anti-loosening member provided in the first coupling cover and the second coupling cover, respectively, to prevent the coupling screw from being loosened by the rotation of the mounting body part.
Mobile termina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풀림 방지부재는 실리콘 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결합부재에 구비되는 실링부재와, 이 실링부재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결합 스크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nti-loosening member is made of a silicon material and the sealing member provided in the coupling member and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to prevent the loosening of the coupling screw to loosen.
상기 스티어링휠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어셈블리에 직접 연결되어 스티어링휠 조작에 방해가 안되도록 하면서도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전원 공급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전원 공급 케이블과, 상기 전원 공급 케이블의 단부에 구성되며, USB 소켓부가 구성된 컨버터와, 상기 USB 소켓부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케이블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A power supply cable connected directly to a power supply assemb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teering wheel and connected to a power supply assembly to easily and conveniently charge a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while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a steering wheel operation; And a converter configured at an end of the supply cable, the converter having a USB socket portion, and a charging cable connected to the USB socket portion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고정날개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다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 거치대가 회전되도록 볼이 형성된 고정 케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며, 전방에 고무재질로 형성된 밀착부재가 구비된 거치 케이스;
상기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거치 본체부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 커버와, 탄성력에 의해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탄성부 및 휴대 단말기와 접촉되는 접촉수단을 포함하는 고정날개; 및
상기 스티어링휠을 감싸는 휠 고정부와, 이 휠 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거치 본체부의 볼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 하우징이 형성된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In the mobile terminal holder fixed to the steering wheel of the car,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formed to slide the fixed blades, a fixed case having a ball formed to rotate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nd a mounting case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member formed of a rubber material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seated;
A fixed blade including a guide cover having a guide protrusion sliding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mounting body par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elastic part for fixing the portable terminal by an elastic force and contacting means contac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A coupling member having a wheel fixing portion surrounding the steering wheel and a ball housing extending from the wheel fixing portion, wherein the ball housing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ll of the mounting body;
Mobile termina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5662A KR20120044404A (en) | 2010-10-28 | 2010-10-28 | Steering wheel having cradle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5662A KR20120044404A (en) | 2010-10-28 | 2010-10-28 | Steering wheel having cradle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4404A true KR20120044404A (en) | 2012-05-08 |
Family
ID=4626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5662A Ceased KR20120044404A (en) | 2010-10-28 | 2010-10-28 | Steering wheel having cradle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44404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14194A1 (en) * | 2012-07-16 | 2014-01-23 | Noh Seonsu | Multifunctional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
KR200471572Y1 (en) * | 2013-08-14 | 2014-03-04 | 우양섭 |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CN111114454A (en) * | 2020-01-10 | 2020-05-08 | 深圳市布洛德贸易有限公司 | Vehicle-mounted charging device |
-
2010
- 2010-10-28 KR KR1020100105662A patent/KR20120044404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14194A1 (en) * | 2012-07-16 | 2014-01-23 | Noh Seonsu | Multifunctional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
KR200471572Y1 (en) * | 2013-08-14 | 2014-03-04 | 우양섭 |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CN111114454A (en) * | 2020-01-10 | 2020-05-08 | 深圳市布洛德贸易有限公司 | Vehicle-mounted charg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377037A1 (en) | Vehicle Mobile Phone Holder | |
US9819211B2 (en) | Wireless charging assembly for a vehicle | |
EP2381155B1 (en) | Locking assembly,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holder | |
US20150115112A1 (en) | Multifunctional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 |
US20100213335A1 (en) | Swivelable fixing seat | |
KR101705770B1 (en) | Mobile terminal supporter of automotive steering wheel | |
KR20120125931A (en) | Ball joint and device support having the ball joint | |
KR20120044404A (en) | Steering wheel having cradle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 |
KR20120005428U (en) | Mobile terminal supporter of automotive steering wheel | |
KR200464083Y1 (en) | Camera tilting device of car black box | |
KR101288309B1 (en) | Mobile terminal holder for vehicle | |
KR200468284Y1 (en) | Fixture for a cellphone case by using a clip | |
KR20120138564A (en) | Smart phone holder easily installing and removing onto the rear view mirror | |
KR20080000283U (en) | Cradle for Multimedia Devices | |
KR200454155Y1 (en) |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 |
KR102064280B1 (en) |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s | |
KR200437162Y1 (en) | Charging cigar jack with mobile terminal | |
KR101543532B1 (en) | Holder for controling angle of mobile device | |
JP3897796B2 (en) |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antenna | |
JP3125821U (en) | In-vehicle mobile phone tabletop holder support device | |
JP2006062399A (en) | Portable personal computer locking structure | |
CN220518464U (en) | Adapter suitable for handle-bar type vehicle | |
CN221340460U (en) | Car bracket | |
CN220465668U (en) | Adapter suitable for handle-bar type vehicle | |
CN220518463U (en) | Adapter suitable for handle-bar type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10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7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