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10869A -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wired / wireless terminal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 Google Pat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wired / wireless terminal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869A
KR20120010869A KR1020100072503A KR20100072503A KR20120010869A KR 20120010869 A KR20120010869 A KR 20120010869A KR 1020100072503 A KR1020100072503 A KR 1020100072503A KR 20100072503 A KR20100072503 A KR 20100072503A KR 20120010869 A KR20120010869 A KR 20120010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networ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5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56457B1 (en
Inventor
김점갑
홍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철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철수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철수연구소
Priority to KR1020100072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457B1/en
Publication of KR20120010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8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45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 G06F21/73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by creating or determining hardware identification, e.g. serial number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7User 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최근의 키보드 보안 시장의 최대 이슈는, 보다 키보드와 물리적으로 근접한 곳에서 키보드 입력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받아서 보호하는데 있다. 그러나, 키로거(key logger)도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키로거의 정교한 정도에 따라 키 입력 데이터가 로깅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을 통해 개인정보를 암호화하여 PC(Personal Computer) 등의 유선 단말로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정보, 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개인정보 보호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The biggest issue of the recent keyboard security market is to preferentially receive and protect keyboard input data in the physical proximity of the keyboard. However, since a key logger can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a keyboard security program, there is a problem that key input data is likely to be logged according to the precision of the key logg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by encryp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o provide to a wired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social security number, account number, password We would like to propose 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echnology that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개인정보 보호 장치 및 방법,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유/무선 단말{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WIRE/WIRELESS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wired / wireless terminal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WIRE / WIRELESS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주요 개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기술로서, 특히 PC(Personal Computer) 등의 유선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개인정보, 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보호하는데 적합한 개인정보 보호 장치 및 방법,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유/무선 단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for inputting the main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in particular, personal information that is input through a wired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for example, personal information suitable for protecting information such as social security number, account number, password, etc. A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and a wired / wireless terminal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인터넷 뱅킹이나 인터넷 쇼핑몰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때, 사용자 인증이나 결제 등을 위해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ID,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신용카드번호 등의 정보를 데스크톱 또는 랩톱 등의 키보드를 통해 입력하고 있으며, 이때의 키보드 유형은, PS/2 방식, USB 방식, 블루투스 방식 등이 적용되고 있다.When using services such as Internet banking or online shopping malls, user information, such as user ID, password, social security number, account number, credit card number, etc., can be stored on the desktop or laptop keyboard for user authentication or payment. In this case, the PS / 2 type, the USB type, the Bluetooth type, and the like are applied to the keyboard type.

최근의 키보드 보안 시장의 최대 이슈는, 보다 키보드와 물리적으로 근접한 곳에서 키보드 입력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받아서 보호하는데 있다. 그러나, 키로거(key logger)도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키보드 보안 기법에는 한계가 있다.The biggest issue of the recent keyboard security market is to preferentially receive and protect keyboard input data in the physical proximity of the keyboard. However, since key loggers can perform the same operations as keyboard security programs, existing keyboard security techniques have limitations.

따라서, 키로거의 정교한 정도에 따라 키 입력 데이터가 로깅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Thu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keystroke data will be logged depending on the sophistication of the keylogger.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을 통해 개인정보를 암호화하여 PC(Personal Computer) 등의 유선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정보, 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개인정보 보호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Thu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ncrypting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providing it to a wired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a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n account number, a password, etc. We would like to propose 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echnology that can secure the information from outside.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인정보 보호 장치에 따르면, 개인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무선 단말과, 상기 무선 단말이 유효한 단말인지를 검증하고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광대역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유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device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terminal for encryp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over the local area network, and verifying that the wireless terminal is a valid terminal and from the wireless terminal It may include a wired terminal for receiving th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to the broadband network.

여기서, 상기 유선 단말은, 상기 유선 단말에 기 등록된 단말정보와의 매칭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Here, the wired terminal may verify the validity of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matching with the terminal information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wired terminal.

또한, 상기 단말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의 기기 식별정보, 네트워크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GPS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terminal information may be any one of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network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and GP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또한,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의 사용자 인식정보 또는 결제정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payment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또한, 상기 사용자 인식정보는, 사용자 ID 또는 비밀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user ID or password or a social security number.

또한,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통신망, RF 통신망, 지그비 통신망, 와이파이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al area network may include any one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an RF communication network, a Zigbe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Fi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상기 광대역 네트워크는, WCDMA 통신 모듈 또는 와이브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oadband network may include a WCDMA communication module or a WiBro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무선 단말에 따르면, 사용자의 개인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부와, 근거리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wireless terminal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the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local area network,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In accordance with the encryption, and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wired terminal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여기서, 상기 무선 단말은, 광대역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광대역 통신부와, 수신되는 위성정보를 GPS 정보로 가공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broadband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broadband network and a GPS module for processing the received satellite information into GPS information.

또한, 상기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상기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or the broadband network.

또한, 상기 제어부는,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개인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encrypt the personal information by a symmetric key encryption algorithm.

또한, 상기 단말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의 기기 식별정보 또는 네트워크 MAC 주소 또는 GPS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terminal information may be any one of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network MAC address, and GP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또한,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의 사용자 인식정보 또는 결제정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payment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또한, 상기 사용자 인식정보는, 사용자 ID 또는 비밀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user ID or password or a social security number.

또한,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통신망, RF 통신망, 지그비 통신망, 와이파이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al area network may include any one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an RF communication network, a Zigbe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Fi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유선 단말에 따르면,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단말과 접속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무선 단말의 단말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 상기 단말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광대역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광대역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wired terminal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to a wireless terminal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and whether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gistered, the terminal information is registered If it is,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terminal, and a broadband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broadband network.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단말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gister the terminal information through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또한, 상기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via the broadband network.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무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에 따르면, 단말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유선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개인정보 입력 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개인정보가 입력될 때 상기 유선단말에 의해 상기 단말정보의 확인이 성공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정보의 확인이 성공되면 상기 개인정보를 암호화하는 과정과, 암호화된 상기 개인정보를 상기 유선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method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wireless terminal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nfirm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wired terminal after transmitting the terminal information to the wired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the process of activa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mode,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nformation is successful by the wired terminal when information is input; encryp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 terminal information is confirmed; and encrypting th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by the wired terminal. It may include transmitting to.

여기서, 상기 개인정보 보호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과정과, 다운로드된 상기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무선 단말에 설치하는 과정과, 설치된 상기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개인정보 입력 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may include downloading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through the network, installing the downloaded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on the wireless terminal, and install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stalled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ctivating the information input mode.

또한, 상기 단말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의 기기 식별정보, 네트워크 MAC 주소, GPS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terminal information may be any one of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network MAC address, and GP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또한, 상기 암호화하는 과정은,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ncrypting process, a symmetric key encryption algorithm may be applied.

또한,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의 사용자 인식정보 또는 결제정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payment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또한, 상기 사용자 인식정보는, 사용자 ID 또는 비밀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user ID or password or a social security number.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에 따르면, 주변 무선 단말을 검색하는 과정과, 검색되는 무선 단말의 단말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단말을 통해 개인정보가 입력될 때 상기 단말정보의 등록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of a wired terminal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 peripheral wireless terminal, registering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searched wireless terminal,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fter determining whether to register the terminal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개인정보 보호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과정과, 다운로드된 상기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유선 단말에 설치하는 과정과, 설치된 상기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주변 무선 단말을 검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downloa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through the network, installing the downloaded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on the wired terminal, and install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ed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arching for a wireless terminal.

또한, 상기 등록하는 과정은, 상기 주변 무선 단말의 검색 결과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과, 선택되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단말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gistering may include providing a list of search results of the neighboring wireless terminals, and registering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개인정보, 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일반적인 키보드 대신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을 통해 암호화하여 PC로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개인정보를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ncrypt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social security number, account number, password, etc. through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nstead of a general keyboard to enter into the PC, the personal information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the outside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무선 단말을 상세히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유선 단말을 상세히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방법으로서, 무선 단말의 개인정보 입력 및 송신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방법으로서, 유선 단말의 무선 단말 검색 및 개인정보 수신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wireless terminal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wired terminal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nputting and transmi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wireless terminal as a method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wireless terminal and receiv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wired terminal in 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Combinations of each block of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mounted o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instructions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may not be includ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the block diagram. It will cre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each step of the block diagram.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may b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implemented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Instructions that perform processing equipment may also provide step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Also,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mentioned in blocks or step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무선 단말(100), 유선 단말(200), 제 1 네트워크(302), 제 2 네트워크(304),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 클라이언트 정보 DB(402), 애플리케이션 DB(4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100, a wired terminal 200, a first network 302, a second network 304, and an individual.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a client information DB 402, an application DB 404, and the lik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100)은 본 실시예에 따라 개인정보 입력시 이를 보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환경을 제공하는 디바이스(device)로서, 예를 들면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에서 사용되는 자판 입력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단말(100)은 본 실시예에 따라 개인정보 입력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후술하는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있으며, 자신의 단말정보를 후술하는 유선 단말(200)로 제공하여 단말정보를 등록하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개인정보를 상술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암호화하여 유선 단말(2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단말(100)의 구성 및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하기 도 2 및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a device that provides a user input environment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when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for example, a desktop or a laptop. A smart phone having a keyboard input function used in the above may be applied. The wireless terminal 100 can be downloaded and installed from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to be described later for the applica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providing its own terminal information to the wired terminal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terminal information may be registered,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may be encryp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and then transmitted to the wired terminal 200.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이때, 상술한 무선 단말(100)은 제 1 네트워크(302)를 통해 유선 단말(200)과 접속되거나, 제 2 네트워크(304)를 통해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와 접속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무선 단말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일 뿐, 제 2의 무선 단말 또는 다수의 무선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 그룹이 제 1 네트워크(302) 및 제 2 네트워크(304)에 접속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wireless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with the wired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network 302 or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second network 304. Although one wireless terminal is illustrated in FIG. 1, this is on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first network 302 and the second network 304 include a second wireless terminal or a wireless terminal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유선 단말(200)은 본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100)의 유효성을 검증한 후 무선 단말(100)의 단말정보를 등록하거나 해당 단말정보를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며, 유효성이 검증된 상태에서 무선 단말(100)을 통해 입력되는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선 단말(200)은, 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등의 단말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wired terminal 200 registers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or transmits the terminal information to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afte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verified state,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be protected and provid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The wired terminal 200 may include, for example, terminals such as a desktop and a laptop.

보다 구체적으로 유선 단말(200)은, 본 실시예에 따라 개인정보 입력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후술하는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단말정보를 자체 등록하거나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선 단말(200)은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해당 단말정보의 등록에 따른 무선 단말(100)의 유효성이 검증된 상태에서, 무선 단말(100)로부터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선 단말(200)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하기 도 3 및 도 5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wired terminal 200 may download and install an application for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itself. It may be registered or provid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In addition, the wired terminal 200 receives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while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the validity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registr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formation is verified. Th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to serv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A detailed operation process of the wired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5 below.

이때, 상술한 유선 단말(200)은 제 1 네트워크(302)를 통해 무선 단말(100)과 접속되거나, 제 2 네트워크(304)를 통해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와 접속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유선 단말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일 뿐, 제 2의 유선 단말 또는 다수의 유선 단말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 그룹이 제 1 네트워크(302) 및 제 2 네트워크(304)에 접속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wired terminal 200 described above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the first network 302, or may be connect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second network 304. Although one wired terminal is shown in FIG. 1, this is mere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 first wired terminal 302 and a second network 304 include a second wired terminal or a wired terminal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wired terminals.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제 1 네트워크(302)는 무선 단말(100)과 유선 단말(200)을 서로 접속시켜 무선 단말(100)의 단말정보, 무선 단말(10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개인정보 등이 유선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RF 통신, 지그비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네트워크(302)에 무선 단말(100)이 근거리 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유선 단말(200)이 무선 단말(100)의 단말정보를 검색 및 등록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100)을 통해 입력되는 개인정보들이 유선 단말(200)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제 1 네트워크(302)에 와이파이망이 포함될 경우에,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애플리케이션을 유선 단말(200)을 경유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The first network 302 connects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wired terminal 200 to each other so that terminal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user personal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like are wired terminal 200. It serves to be provided as, for example,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RF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Wi-Fi (Wi-Fi) communication. Since the wireless terminal 100 can interface with the first network 302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nnection, the wired terminal 200 can search for and register terminal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100 Personal information that is input through) may be transmitted to the wired terminal 200. In addition, when the Wi-Fi network is included in the first network 302, the personal informa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ownloaded via the wired terminal 200.

제 2 네트워크(304)는, 예를 들면 광대역 유/무선 네트워크로서, 무선 단말(100) 또는 유선 단말(200)이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network 304 is, for example, a broadband wired / wireless network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100 or the wired terminal 200 connects to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to download the personal informa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serves to receive.

여기서, 광대역 유선 네트워크는, 예컨대 인터넷(Internet)으로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유선 단말(200)이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에 유선 접속하여 개인정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Here, the broadband wired network is, for example, the Internet, and includes various services existing in the TCP / 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protocol and its upper layers, namely,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 Telnet, and FTP (File). An open computer network architecture around the world that provides Transfer Protocol, Domain Name System (DNS),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MT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Network File Service (NFS), and Network Information Service (NIS). Means, the wired terminal 200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a wired connection to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to download a personal information application.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는, 예컨대 와이브로 등의 초고속 무선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100)이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에 무선 접속하여 개인정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The broadband wireless network may include, for example, a high-speed wireless network such as WiBr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and an environment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wirelessly connect to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to download personal information applications. to provide.

따라서, 무선 단말(100)은 제 2 네트워크(304)와 광대역 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 하여 가입자에게 광대역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여기서 광대역 이동통신 서비스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지원하는 2세대뿐만 아니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3세대, 또는 그 이상의 무선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환경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무선 단말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제 2 네트워크(304)에 접속될 수 있는 무선 단말은 다수, 또는 다수의 무선 단말들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 그룹들로 구성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provide a broadb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a subscriber by interfacing with the second network 304 through a broadband wireless connection, wherein the broadb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upport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cheme. In addition to the second generation, a wireless environment supporting the third generation of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or more may be included. Although one wireless terminal is shown in the drawing, this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wireless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304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 groups including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는 제 2 네트워크(304)를 통해 무선 단말(100) 및 유선 단말(200)을 연결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100) 및 유선 단말(200)에게 개인정보 관리를 위한 개인정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may connect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wired terminal 200 through the second network 304, and the individual for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wired terminal 200. It can provide information applications.

이러한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에는, 무선 단말(100) 및 유선 단말(200)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의 정보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ID, 패스워드, 무선 단말(100)의 단말정보 등이 저장되는 클라이언트 정보 DB(402)와, 개인정보 애플리케이션 등이 저장되는 애플리케이션 DB(404)가 포함될 수 있다.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the client that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client using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wired terminal 200, for example, a client ID, password, terminal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etc. An information DB 402 and an application DB 404 in which a personal information application is stored may be included.

이들 DB들(402)(404)은, 예컨대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들이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These DBs 402 and 404 are, for example,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s (RDBMS) such as Oracle, Infomix, Sybase, DB2, Gemston, Orion. Object-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OODBMS) such as, O2, etc. may be implemen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ppropriate fields to achieve their functions, the information i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It may be managed by the server 40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예컨대 도 1의 무선 단말(100)을 구체적으로 예시한 구성도로서, 입력부(102), 제어부(104), 근거리 통신부(106), 광대역 통신부(108), GPS 모듈(110), 저장부(112), 표시부(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client terminal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for example, the wireless terminal 10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102, the control unit 104,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6 are illustrated in FIG. ), The broadband communication unit 108, the GPS module 110, the storage unit 112, the display unit 114, and the lik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102)는 사용자의 키 입력 행위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키패널,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02)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이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input unit 102 is a means for generating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s key input action, and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 key panel and a touch panel.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2.

제어부(104)는 무선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되는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제 1 네트워크(302)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통신부(106)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4)는 광대역 통신부(108) 또는 근거리 통신부(106)를 통해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의 개인정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04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n particular, encrypts personal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2 according to a personal information application, and transmits th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first network 302.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06 may be controlled to control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06.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04 may control to download the personal information application from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broadband communication unit 108 or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06.

근거리 통신부(106)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모듈, RF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100)과 유선 단말(200)이 제 1 네트워크(302)를 통해 근거리 통신할 수 있는 환경, 예컨대 단말정보 제공 환경, 개인정보 송신 환경, 개인정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환경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 모듈에서는 블루투스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가 확인될 수 있는 바, 이러한 블루투스 MAC 주소 정보를 근거리 통신부(106)를 통해 유선 단말(200)로 제공하여 해당 단말정보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6 may include, for exampl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 RF communication modul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and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wired terminal 200 are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302. An environment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through, for example, a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environment, a personal information transmitting environment, and a personal information application download environment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can determine the Bluetooth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Bluetooth MAC address information to the wired terminal 20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6 to retrieve the terminal information. There will be.

광대역 통신부(108)는, 예를 들어 WCDMA 통신 모듈, 와이브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100)이 제 2 네트워크(304)를 통해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환경, 예컨대 개인정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환경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 broadband communication unit 108 may include, for example, a WCDMA communication module, a WiBro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and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second network 304. Environment, such as a personal information application download environment.

GPS 모듈(110)은 무선 단말(100)이 위성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GPS 정보로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의 GPS 정보는 상술한 블루투스 MAC 정보와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100)의 단말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GPS module 110 serves to receive satellite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o process the GPS information into GPS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GPS information may be utilized as terminal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s in the above-described Bluetooth MAC information.

저장부(112)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로서, 무선 단말(100)의 구동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필요에 따라 제어부(104)의 제어 하에 취사 선택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12 may be, for example, a flash memory and store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wireless terminal 100. Such information may be sel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4 as necessary.

표시부(114)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04)의 제어 하에 임의의 정보들, 예를 들어 사용자 개인정보들을 디스플레이 처리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4 may include display means such a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the like,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4 any information, for example, a user's personal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예컨대 도 1의 유선 단말(200)을 구체적으로 예시한 구성도로서, 입력부(202), 제어부(204), 근거리 통신부(206), 광대역 통신부(208), 저장부(212), 표시부(2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client terminal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for example, a wired terminal 20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202, the control unit 204,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06 are illustrated. ), A broadband communication unit 208, a storage unit 212, a display unit 214, and the lik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202)는 사용자의 키 입력 행위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키보드 상의 키패널,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202)를 통해 단말정보 선택 신호 등이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input unit 202 is a means for generating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s key input action. For example, the input unit 202 may include a key panel on a keyboard, a touch panel on a display screen, and the like. The terminal information selection signal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02.

제어부(204)는 유선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무선 단말(100)의 단말정보가 등록된 상태에서 개인정보 입력이 요청될 때, 개인정보 입력을 위한 개인정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무선 단말(100)로부터의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부(206)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4)는 광대역 통신부(208)를 통해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의 개인정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된 개인정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주변의 무선 단말을 검색하고, 검색되는 무선 단말의 리스트를 표시부(114)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무선 단말의 단말정보를 등록할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4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d terminal 200. In particular, when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is requested while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registered, the controller 204 drives a personal information applica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input.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06 may be controlled to receiv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4 may control to download the personal information application from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broadband communication unit 208. When the downloaded personal inform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the surrounding wireless terminal is searched for. A display list of the searched wireless terminals may be controlled by the display unit 114 to induce a user to register terminal information of an arbitrary wireless terminal.

근거리 통신부(206)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모듈, RF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100)과 유선 단말(200)이 제 1 네트워크(302)를 통해 근거리 통신할 수 있는 환경, 예컨대 단말정보 검색 환경, 개인정보 수신 환경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 모듈에서는 블루투스 MAC 주소가 확인될 수 있는 바, 유선 단말(200)이 무선 단말(100)의 블루투스 MAC 주소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단말정보를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06 may include, for exampl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 RF communication modul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and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wired terminal 200 are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302. An environment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through, for example, a terminal information search environment and a personal information receiving environment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in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Bluetooth MAC address may be confirmed, and the wired terminal 200 may check the Bluetooth MAC addres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search for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formation.

광대역 통신부(208)는, 예를 들어 인터넷 통신부로서, 유선 단말(200)이 제 2 네트워크(304)를 통해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환경, 예컨대 개인정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환경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 broadband communication unit 208 is, for example, an internet communication unit,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the wired terminal 200 can connect to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second network 304, such as a personal information application download environment. Can provide.

저장부(212)는,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하드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유선 단말(100)의 구동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필요에 따라 제어부(204)의 제어 하에 취사 선택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12 may include, for exampl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hard disk, and the like, and may store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wired terminal 100. Such information may be sel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4 as necessary.

표시부(214)는, 예를 들어 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204)의 제어 하에 임의의 정보들, 예를 들어 주변 검색된 무선 단말의 단말정보들이 디스플레이 처리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14 may include, for example, a display means such as an LCD or an OLED,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4, arbitrary information, for example, terminal information of a wireless terminal searched around, may be processed. .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입력 방법을 첨부한 도 4 및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ures 4 and 5 attach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입력 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 무선 단말(100)의 개인정보 입력 서비스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First,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service process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s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100)의 입력부(102)를 통해 개인정보 입력 서비스가 요청되면(S400), 제어부(104)는 근거리 통신부(106) 또는 광대역 통신부(108)를 통해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S402). 이러한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제 2 네트워크(304)의 무선 인터넷을 통해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직접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유선 단말(200)을 경유하여 제 1 네트워크(302)의 와이파이망을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As illustrated in FIG. 4, when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service is requested through the input unit 102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S400), the controller 104 controls the individual through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06 or the broadband communication unit 108.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download the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S402).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directly from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via the wireless Internet of the second network 304, or, if necessary, via the wired terminal 200 of the first network 302. It could be downloaded via Wi-Fi.

그리고, 제어부(104)는 다운로드 받은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가 완료되면(S404) 자신의 단말정보를 근거리 통신부(106) 및 제 1 네트워크(302)를 통해 유선 단말(200)로 전송(또는 유선 단말(200)에서 검색을 허용)할 수 있다(S406). 이때의 단말정보는, 예를 들어 기기식별정보, 블루투스 MAC 주소, 와이파이 MAC 주소, GPS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04 installs the downloaded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and transmits its terminal information to the wired terminal 2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06 and the first network 302 when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S404). (Or allow the search in the wired terminal 200) (S406). In this case, the terminal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luetooth MAC address, Wi-Fi MAC address, and GPS information.

이후, 제어부(104)는 유선 단말(200)로부터의 확인 메시지가 제 1 네트워크(302) 및 근거리 통신부(106)를 통해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데(S408), 이러한 확인 메시지는 유선 단말(200) 상에서 사용자가 무선 단말(100)의 단말정보에 대한 등록을 허용한 결과 메시지일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4 may determine whether the confirmation message from the wired terminal 200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network 302 and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06 (S408), and the confirmation message is the wired terminal 200. ) May be a result message allowing the user to register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유선 단말(200)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04)는 상술한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개인정보 입력을 위한 개인정보 입력 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표시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S410). 반면,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부(104)는 개인정보 입력 모드를 중단시킬 수 있다(420).When the confirm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wired terminal 200, the controller 104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14 to activate the above-described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to display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mode screen for personal information input (S410). ). On the other hand, if the confirmation message is not received, the controller 104 may stop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mode (420).

이후, 제어부(104)는 입력부(102)를 통해 임의의 개인정보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여기서 개인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식정보(사용자 ID,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등), 결제정보(계좌번호, 카드번호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4 may determine whether any personal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2, w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is, for exampl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ID, password, social security number, etc.), payment information ( Account number, card number, etc.).

입력부(102)를 통해 개인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04)는 유선 단말(200)의 단말정보 확인이 성공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의 단말정보 확인은, 유선 단말(200)이 자신의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단말을 검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단말(200)은 제 1 네트워크(302)의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기 등록된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단말이 자신의 주변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When personal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2, the controller 104 may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information check of the wired terminal 200 is successful. In this case, the terminal information check may include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wireless terminal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wired terminal 200, and the wired terminal 200 may includ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of the first network 302, for example, Bluetooth. Through communica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registered terminal information exists in the vicinity of its own.

단말정보 확인이 성공되면, 제어부(104)는 암호화를 위한 초기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416). 이때의 암호화를 위한 초기화 작업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한 초기화 과정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암호화 알고리즘은, 예를 들면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symmetric key cipher algorithm)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단말정보 확인이 실패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개인정보 입력 모드를 중단할 수 있다(S420).If the terminal information check is successful, the control unit 104 may perform an initialization operation for encryption (S416). In this case, the initialization operation for encryption may include initialization procedures for an encryption algorithm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where the encryption algorithm may be applied, for example, a symmetric key cipher algorithm. will be. When the terminal information check fails,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mode may be stopped as described above (S420).

암호화를 위한 초기화 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104)는 상기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제 1 네트워크(302)를 통해 유선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S418).When the initialization operation for encryp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04 encrypt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2, and transmits th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wired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network 302. It can transmit (S41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을 PC 등의 유선 단말에 초기 등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암호화하여 유선 단말에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계좌정보,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은 사용자의 주요 개인정보를 키보드 해킹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itially registering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o a wired terminal such as a PC, through which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encrypted and transmitted to the wired terminal, account information, social security number It is implemented to protect user's important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keyboard hackin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입력 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 유선 단말(200)의 개인정보 입력 서비스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service process of the wired terminal 200 as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유선 단말(200)의 입력부(202)를 통해 개인정보 입력 서비스가 요청되면(S500), 제어부(204)는 광대역 통신부(208)를 통해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S502).As illustrated in FIG. 5, when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service is requested through the input unit 202 of the wired terminal 200 (S500), the controller 204 controls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broadband communication unit 208.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download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from (S502).

그리고, 제어부(204)는 다운로드 받은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가 완료되면(S504) 제어부(204)는 유선 단말(200)의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단말들을 검색할 수 있다(S506). 이러한 무선 단말 검색은, 근거리 통신부(206) 및 제 1 네트워크(302)를 통해 무선 단말(100)의 단말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단말정보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100)의 기기식별정보, 블루투스 MAC 주소, 와이파이 MAC 주소, GPS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4 installs the downloaded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and when installation is completed (S504), the controller 204 may search for wireless terminal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wired terminal 200 (S506). The wireless terminal search may include a process of identify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06 and the first network 302,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a wireless terminal (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luetooth MAC address, Wi-Fi MAC address, GPS information.

무선 단말의 검색이 완료되면, 제어부(204)는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부(214)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08). 예들 들어, 무선 단말(100)을 포함하는 또 다른 무선 단말들에 대한 단말정보들을 리스트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search of the wireless terminal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204 may control to display the search result list through the display unit 214 (S508). For example, the terminal information about another wireless terminal including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to the user in a list form.

이후, 제어부(204)는 입력부(202)를 통해 임의의 단말정보, 예를 들어 무선 단말(100)에 해당하는 단말정보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하고(S510), 임의의 단말정보가 선택되면 제어부(204)는 해당 무선 단말정보를 유선 단말(200) 상에 등록할 수 있다(S512). 이때, 제어부(204)는 이러한 단말정보를 유선 단말(200) 상에 등록함과 동시에, 해당 단말정보를 제 2 네트워크(304)를 통해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로도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ler 204 determines whether arbitrary terminal information, for example,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202 (S510). 204 may register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on the wired terminal 200 (S512).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4 may register the terminal information on the wired terminal 200 and provide the terminal information to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second network 304.

이후, 제어부(204)는 제 1 네트워크(302)를 통해 무선 단말(100)로부터 개인정보 입력이 요청되는지를 판단하고(S514), 개인정보 입력이 무선 단말(100)로부터 요청되면 제어부(204)는 단말정보가 확인되는지 검색할 수 있다(S516). 이러한 단말정보 확인 검색 과정은, 해당 무선 단말(100)이 기 등록된 단말정보와 매칭되는 무선 단말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며, 이때의 확인 작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100)의 블루투스 MAC 주소, GPS 정보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Thereafter, the controller 204 determines whether personal information input is reques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the first network 302 (S514), and if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is reques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controller 204. The terminal may search whether the terminal information is confirmed (S516). The terminal information confirmation search process is a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100 is a wireless terminal that matches the pre-registered terminal information, and the checking operation at this time is the Bluetooth MAC address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This may be implemented through GPS information.

단말정보가 확인되면, 제어부(204)는 암호화를 위한 초기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S518). 이때의 암호화를 위한 초기화 작업은, 예를 들어 무선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의 초기화 과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If the terminal information is confirmed, the controller 204 may proceed with the initialization operation for encryption (S518). In this case, the initialization operation for encryption may include, for example, initialization procedures of a symmetric key encryption algorithm for securely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암호화를 위한 초기화 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204)는 무선 단말(100)로부터의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제 1 네트워크(302) 및 근거리 통신부(206)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개인정보를 제 2 네트워크(304)를 통해 개인정보 관리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S520).When the initialization operation for encryp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204 receives th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the first network 302 and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206, and receives the receiv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second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0 via the network 304 (S520).

한편, 단말정보 확인이 실패될 경우에는, 개인정보 입력 모드를 중단할 수 있다(S522).Meanwhile, when the terminal information check fails,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mode may be stopped (S52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을 PC 등의 유선 단말에 초기 등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유선 단말이 수신한 후 서버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계좌정보,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은 사용자의 주요 개인정보를 키보드 해킹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irelessly registering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o a wired terminal such as a PC, and thereby providing th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server after receiving th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It is implemented to protect user's important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ccount information, social security number, etc. from keyboard hacking.

100: 무선 단말
200: 유선 단말
302: 제 1 네트워크
304: 제 2 네트워크
400: 개인정보 관리 서버
402: 클라이언트 정보 DB
404: 애플리케이션 DB
100: wireless terminal
200: wired terminal
302: first network
304: second network
400: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402: Client Information DB
404: application DB

Claims (27)

개인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무선 단말과,
상기 무선 단말이 유효한 단말인지를 검증하고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광대역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유선 단말을 포함하는
개인정보 보호 장치.
A wireless terminal for encryp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And a wired terminal for verify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a valid terminal and receiving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broadband network.
Privac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단말은, 상기 유선 단말에 기 등록된 단말정보와의 매칭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개인정보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d terminal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matching with the terminal information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wired terminal.
Privacy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의 기기 식별정보, 네트워크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GPS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개인정보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terminal information may be any one of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network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and GP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Privac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의 사용자 인식정보 또는 결제정보인
개인정보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ersonal information i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payment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Privacy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정보는, 사용자 ID 또는 비밀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인정보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of a user ID or password or a social security number.
Privac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통신망, RF 통신망, 지그비 통신망, 와이파이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al area network may include any one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an RF communication network, a Zigbe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Fi communication network.
Privac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네트워크는, WCDMA 통신 모듈 또는 와이브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개인정보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roadband network includes a WCDMA communication module or a WiBro communication module.
Privacy device.
사용자의 개인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부와,
근거리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무선 단말.
An input unit for inputting user's personal information,
A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local area network,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to encrypt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ccording to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and to transmit th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wired terminal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Wireless terminal for privacy prote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광대역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광대역 통신부와,
수신되는 위성정보를 GPS 정보로 가공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무선 단말.
The method of claim 8,
The wireless terminal,
A broadband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broadband network,
Further comprising a GPS module for processing the received satellite information into GPS information
Wireless terminal for privacy prote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상기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무선 단말.
The method of claim 8,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is downloaded via the local area network or the broadband network.
Wireless terminal for privacy prote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개인정보를 암호화하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무선 단말.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encrypts the personal information by a symmetric key encryption algorithm.
Wireless terminal for privacy prote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의 기기 식별정보 또는 네트워크 MAC 주소 또는 GPS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무선 단말.
The method of claim 8,
The terminal information is any one of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network MAC address, or GP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Wireless terminal for privacy protection.
제 8 항 내지 제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의 사용자 인식정보 또는 결제정보인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무선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2,
The personal information i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payment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Wireless terminal for privacy protec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정보는, 사용자 ID 또는 비밀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무선 단말.
The method of claim 13,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of a user ID or password or a social security number.
Wireless terminal for privacy prote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통신망, RF 통신망, 지그비 통신망, 와이파이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무선 단말.
The method of claim 8,
The local area network may include any one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an RF communication network, a Zigbe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Fi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terminal for privacy protection.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단말과 접속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무선 단말의 단말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 상기 단말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광대역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광대역 통신부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유선 단말.
A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to a wireless terminal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A control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erminal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gistered and control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terminal when the terminal information is registered;
Including a broadband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broadband network
Wired terminal for privacy protection.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단말정보를 등록하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유선 단말.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 unit registers the terminal information through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Wired terminal for privacy protection.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 되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유선 단말.
The method of claim 17,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is downloaded via the broadband network.
Wired terminal for privacy protection.
단말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유선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개인정보 입력 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개인정보가 입력될 때 상기 유선단말에 의해 상기 단말정보의 확인이 성공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정보의 확인이 성공되면 상기 개인정보를 암호화하는 과정과,
암호화된 상기 개인정보를 상기 유선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
Activating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mode when transmitting a terminal information to a wired terminal through a network and receiving a confirmation message from the wired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nformation is successful by the wired terminal when personal information is input;
Encryp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 terminal information is confirmed successfully;
Transmitting th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wired terminal.
Privacy method of the wireless terminal.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 보호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과정과,
다운로드된 상기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무선 단말에 설치하는 과정과,
설치된 상기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개인정보 입력 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무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privacy method,
Downloading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through the network;
Installing the downloaded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in the wireless terminal;
Activa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mode according to the installed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Privacy method of the wireless terminal.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의 기기 식별정보, 네트워크 MAC 주소, GPS 정보 중 어느 하나인
무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terminal information is any one of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network MAC address, and GP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Privacy method of the wireless terminal.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하는 과정은,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이 적용되는
무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In the encrypting process, a symmetric key encryption algorithm is applied.
Privacy method of the wireless terminal.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의 사용자 인식정보 또는 결제정보인
무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personal information i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payment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Privacy method of the wireless terminal.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정보는, 사용자 ID 또는 비밀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
The method of claim 23,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of a user ID or password or a social security number.
Privacy method of the wireless terminal.
주변 무선 단말을 검색하는 과정과,
검색되는 무선 단말의 단말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단말을 통해 개인정보가 입력될 때 상기 단말정보의 등록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
Searching for neighboring wireless terminals;
Register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found wireless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o register the terminal information when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n receiving the personal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of wired terminal.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 보호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과정과,
다운로드된 상기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유선 단말에 설치하는 과정과,
설치된 상기 개인정보 입력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주변 무선 단말을 검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유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
The method of claim 25,
The privacy method,
Downloading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through the network;
Installing the downloaded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in the wired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arching for the neighboring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installed personal information input applicati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of wired terminal.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과정은,
상기 주변 무선 단말의 검색 결과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과,
선택되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단말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
The method of claim 25,
The registration process,
Providing a list of search results of the neighboring wireless terminals;
Registering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wireless terminal;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of wired terminal.
KR1020100072503A 2010-07-27 2010-07-2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wire/wireless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ive KR1012564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503A KR101256457B1 (en) 2010-07-27 2010-07-2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wire/wireless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503A KR101256457B1 (en) 2010-07-27 2010-07-2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wire/wireless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869A true KR20120010869A (en) 2012-02-06
KR101256457B1 KR101256457B1 (en) 2013-04-19

Family

ID=4583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503A Active KR101256457B1 (en) 2010-07-27 2010-07-2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wire/wireless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45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9828A1 (en) * 2013-03-15 2014-09-25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multiple payment accounts using a single payment device
WO2015066016A1 (en) * 2013-10-29 2015-05-07 Jung Edward K Y Mobile device-facilitated guaranty provisioning
US9818105B2 (en) 2013-10-29 2017-11-14 Elwha Llc Guaranty provisioning via wireless service purveyance
US9934498B2 (en) 2013-10-29 2018-04-03 Elwha Llc Facilitating guaranty provisioning for an exchange
US10157407B2 (en) 2013-10-29 2018-12-18 Elwha Llc Financier-facilitated guaranty provision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768A (en) * 2002-06-28 2004-01-07 신용보증기금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redit Information on a Real Time Basis vi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070037031A (en) * 2005-09-30 2007-04-04 주식회사 팬택 Mobile terminal for user authentication and mobile payment
KR20070076576A (en) * 2007-06-11 2007-07-2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ayment Approval Proces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9828A1 (en) * 2013-03-15 2014-09-25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multiple payment accounts using a single payment device
US9947001B2 (en) 2013-03-15 2018-04-1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multiple payment accounts using a single payment device
WO2015066016A1 (en) * 2013-10-29 2015-05-07 Jung Edward K Y Mobile device-facilitated guaranty provisioning
US9818105B2 (en) 2013-10-29 2017-11-14 Elwha Llc Guaranty provisioning via wireless service purveyance
US9934498B2 (en) 2013-10-29 2018-04-03 Elwha Llc Facilitating guaranty provisioning for an exchange
US10157407B2 (en) 2013-10-29 2018-12-18 Elwha Llc Financier-facilitated guaranty provisio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457B1 (en) 201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1857B2 (en) Electronic stamp system for security intensification,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3047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lly establishing and periodically confirming trust in a software application
US110323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ly pairing a transmitting device with a receiving device
US201502812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wo factor user authentication using a smartphone and nfc token and for the automatic generation as well as storing and inputting of logins for websites and web applications
KR101575687B1 (en) Biometrics user authentication method
KR101744747B1 (en) Mobile terminal, terminal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security cookie
US20170068960A1 (en) Web based pay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N105678553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cessing order information
KR201400503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que identifier of user device
KR101364996B1 (en) Electronic Financial System Using Hardware at Smart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50134969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irty assistant service
KR1012564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wire/wireless de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US10075435B1 (en) Device deregistration using forward-chaining encryption
US9742810B2 (en) Network node security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KR20140127987A (en) System and method for public terminal security
CN105228149A (en) Access point method of attachment, device and access point
CN104796262A (en) Data encryption method and terminal system
KR101671989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signature and method thereof
KR20160082426A (en) User Terminal, Method and Application for Support of Wearable Terminal, and Certification Server
US11888844B2 (en) Electrical circuit testing device and method
KR102431366B1 (en)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468782B1 (en) Pay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in selection of plural limit amount based on web,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955950B1 (en)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multi-channel, Authentication Server and AuthenticationAPPARATUS
US20160275271A1 (en)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Protecting Core Codes Using Peripheral Device of User Terminal
KR102468789B1 (en) Pay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uthentication based on web,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1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6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2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6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