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766A - Stylus and terminal having same - Google Patents
Stylus and terminal hav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3766A KR20120003766A KR1020100064547A KR20100064547A KR20120003766A KR 20120003766 A KR20120003766 A KR 20120003766A KR 1020100064547 A KR1020100064547 A KR 1020100064547A KR 20100064547 A KR20100064547 A KR 20100064547A KR 20120003766 A KR20120003766 A KR 201200037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ea
- contact
- stylus
- touch screen
- display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스타일러스 및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ylus performing a touch input and a terminal formed to receive a touch input.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The terminal can move And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it.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such a terminal,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part and / or the software part of the terminal.
붓은 짐승의 털을 추려서 모아 원추형으로 만들어 죽관(竹管) 또는 목축(木軸)에 고정시킨 서화용구(書畵用具)로, 서예, 수묵화 등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새로운 단말기의 형태로서 터치 스크린이 디자인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터치 스트린에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스타일러스가 단말기의 일 구성요소로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이에 붓을 사용하여 그린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는 스타일러스 및 단말기가 고려될 수 있다.A brush is a calligraphy tool which collects the animal's hair and collects it into a conical shape and fixes it to a bamboo tube or a wooden shaft. It is used for calligraphy and ink painting. Recently, a touch screen is applied to a design as a form of a new terminal provided to a user. In addition, a stylus for performing a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is provided as one component of the terminal. Accordingly, a stylus and a terminal that provide an effect such as drawing with a brush on paper may be considered.
본 발명은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디자인을 갖는 스타일러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ylus having a different type of design.
또한, 본 발명은 붓을 사용하는 서체, 수묵화 등을 그릴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capable of drawing a font, ink painting, and the like using a brush.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스타일러스는 몸체부, 접촉부를 포함한다. 몸체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도전체로 형성된다. 접촉부는 몸체부의 일단에 배치되고, 도전체로 형성되어 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터치센서의 표면과 접촉하고, 터치센서의 표면으로부터 받는 힘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 휘어져 터치센서의 표면에 접촉하는 접촉면의 크기 및 형태가 변하도록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yl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and a contact portion. The body portion extends in one direction and is formed of a conductor. The contact portion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of a conducto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bent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force received from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to contact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It is formed to have elasticity to change the size and shape of the contact surfa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접촉부는 몸체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가늘어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taper away from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접촉부는 다수의 탄소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carbon fiber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접촉부는 외주면이 전도성 물질로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by coa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with a conductive materi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접촉부는 탄성 재질의 막과 막 내부에 주입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film and a conductive material injected into the film.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타일러스는 접촉부가 삽입되도록 중공체로 형성되는 뚜껑부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ylus further comprises a lid portion formed of a hollow body so that the contact portion is insert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뚜껑부는 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체로 형성되며, 터치센서의 표면에 접촉하는 팁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lid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formed of a conductor, and further comprises a tip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타일러스는 접촉부와 몸체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ylus may further comprise a coupling portion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ontact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는 단말기는 스타일러스, 터치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은 제1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스타일러스의 접촉을 감지한다. 제어부는 제1영역에서 스타일러스가 접촉하는 제2영역을 식별하고 제2영역을 채색하여 디스플레이한다. Th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ylus, a touch screen, and a controller. The touch screen displays the first area and detects contact of the stylus. The controller identifies the second area that the stylus contacts in the first area and displays the second area by coloring.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은 둘 이상의 재질을 디스플레이하여 하나의 재질을 선택받고, 제1영역을 선택된 재질로 디스플레이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displays two or more materials to select one material, and displays the first region with the selected materi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는 제2영역이 스타일러스와 접촉하는 시간 또는 선택된 재질에 따라 제2영역이 채색되는 농도를 조절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concentration of the second area is colored in accordance with the time or the selected material the second area is in contact with the stylu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은 채색되는 색상 및/또는 농담을 선택할 수 있는 제3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제어부는 제3영역에서 선택된 색상 및/또는 농담에 따라 제2영역을 채색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displays a third area for selecting a color and / or shade of color, and the controller colors the second region according to the color and / or shade selected in the third reg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은 제4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제어부는 스타일러스가 터치스크린의 제4영역에 접촉한 시점 이후로, 채색되는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및/또는 제1영역에서의 접촉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2영역이 채색되는 농도를 감소시킨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displays a fourth area,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area to be painted as the area to be painted increases and / or after the point of time when the stylus contacts the fourth area of the touch screen. As the contact time elapses, the concentration of coloring the second region is reduc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는 제4영역에 스타일러스가 접촉하는 시간 및/또는 접촉 면적에 따라, 또는 선택된 재질에 따라 제2영역이 채색되는 농도의 감소 속도를 조절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adjusts the rate of decrease of the concentration at which the second region is colored according to the time and / or contact area of the stylus contacting the fourth region or the selected materi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는 제4영역에 스타일러스가 접촉하는 시간 및/또는 접촉 면적에 따라 제2영역을 서로 다른 농도로 채색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colors the second region at different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time and / or contact area of the stylus contacting the fourth reg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는 제2영역이 스타일러스와 접촉하는 시간 및 설정된 확산속도에 따라 제2영역 외부로 확산시켜 채색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iffuses and colors the outside of the second area according to the time when the second area contacts the stylus and the set diffusion spe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확산속도는 선택된 재질에 따라 또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설정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usion rate is set according to the selected material or according to a user inpu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은 제1영역을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된 개수, 크기 및 배치에 따라 다수의 제5영역으로 구획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제5영역 중 하나를 선택받으며, 선택된 제5영역을 확대하여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partitions and displays the first area into a plurality of fifth areas according to the number, size, and arrangement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and receives one of the fifth areas, and selects the selected fifth area. Enlarge the area and display it individuall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은 다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받고, 선택된 이미지를 제1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displays a plurality of images to select one image, and displays the selected image in the first area.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은 다수의 액자를 디스플레이하여 하나의 액자를 선택받고, 선택된 액자를 제1영역의 가장자리에 디스플레이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displays a plurality of picture frames to select one picture frame, and displays the selected picture frame at the edge of the first area.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은 액자, 재질, 제1영역의 크기 및 비율, 제5영역의 개수, 크기 및 배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템플릿(temlate)을 복수개 디스플레이하여 하나의 템플릿을 선택받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템플릿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touch screen displays a plurality of templates (template) including at least one information of the frame, material, the size and proportion of the first area, the number, size and arrangement of the fifth area, the image When one template is selected, the controller displays the templat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templat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은 제1영역에 제6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제어부는 채색된 제2영역과 제6영역을 비교하여 일치 정도를 판단하여 터치스크린에 일치 정도를 디스플레이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displays a sixth region on the first region, and the controller compares the colored second region with the sixth region to determine the match degree and displays the match on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은 글자, 난초, 대나무, 꽃, 곤충, 새, 동물 및 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고, 제어부는 선택된 모드에 따른 필터효과를 적용하여 제2영역을 채색하여 디스플레이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is displayed so that at least one mode among the letters, orchids, bamboo, flowers, insects, birds, animals and mountains can be selected, the control unit is applied by applying a filter effect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Display the 2 areas by color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스타일러스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는 실제 붓을 이용하여 물감 또는 먹으로 종이에 그림을 그리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한다. A stylus and a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 an effect similar to painting on paper with paint or ink using an actual brus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스타일러스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스타일러스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접촉부의 모양 변화 및 그에 따른 접촉면의 모양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도전체로 형성되는 접촉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여러가닥의 섬유로 형성된 접촉부의 측면도 및 결합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스타일러스의 터치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접촉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붓터치입력모드 상태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접촉시간에 따라 접촉영역이 농도가 다르게 채색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접촉시간에 따라 채색되는 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채색되는 영역이 증가함에 따라 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채색농도가 감소함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스타일러스가 벼루를 터치하는 시간 및 접촉면적에 따라, 채색 농도의 감소 속도 및 채색 형태가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액자, 재질 등을 선택할 수 있는 페인팅 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는 페인팅 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스타일러스(200)를 이용한 메시지 작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스타일러스(200)를 이용한 서예, 수묵화 등의 연습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채색된 영역에 적용되는 필터링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yl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ylus of FIG. 3.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shape change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shape of the contac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ct portion formed of a condu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portion formed of several strands of fib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 touch input of a stylus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tac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llustrates a touch screen display in a brush touch inpu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and 12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at the contact areas are colo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tact ti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an area to be colored is expanded according to a contact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color concentration decreases as the area to be colored increases or as time p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t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e of reduction of the color density and the color pattern ar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ime and the contact area of the stylus touching the rice paddle.
FIG. 16 is a view illustrating a painting tool for selecting a frame, a material,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llustrates a painting tool from which a template can b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llustrates message composition using a
19 is a view showing a practice mode of calligraphy, ink painting, etc. using the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ltering effect applied to a colored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타일러스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a stylus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nd the like.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can be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ant OLED). The rear structure of the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Referring to FIG. 1, a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touch screen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a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The position where the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by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refers to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in proximity proximity.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for example,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nd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vibration, the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s of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the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2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disclosed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body includes a casing (casing, housing, cover, etc.) that forms an exterior.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Various types of tim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letters, numbers, symbols, graphics, or icons may b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for inputting such information, thereby being implemented as a keypad. Such a keypad may be called a so-called " soft key ".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제1 또는 제2 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content input by the first or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FIG.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2A.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a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ntenna for talking and the like, a broadcast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is equipped with a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The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한 스타일러스(2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200)는 몸체부(201)와 접촉부(202)를 포함한다. 몸체부(201)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전체 또는 그 외주면이 도전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쥘 때 터치스크린(151), 접촉부(202), 몸체부(201) 및 사용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3 and 4, the
접촉부(202)는 몸체부(201)의 일단에 배치되고, 도전체로 형성되어 몸체부(2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터치센서의 표면과 접촉하여 터치스크린(151)과 몸체부(20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The contact portion 202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201, is formed of a conduct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201, and contacts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to connect the
결합부(240)는 일단(242)은 접촉부(202)와 결합하고, 다른 일단(241)은 몸체부(201)와 결합하여 접촉부(202)와 몸체부(201)를 물리적/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일단(242)은 뚜껑부(230)가 슬라이딩하여 결합한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일단(242)은 돌기(242)가 형성되고, 뚜껑부(230)의 내부에는 이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01)와 결합하는 일단(241)은 접촉부(202)를 교체할 수 있도록, 몸체부(201)와 분리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일단(241)은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241)과 결합하는 몸체부(201)는 이에 대응하는 너트 형상을 갖는다.The
뚜껑부(230)는 부드러운 접촉부(202)를 보호하기 위해, 접촉부(202)가 삽입되도록 중공체로 형성된다. 또한, 뚜껑부(230)는 도전체로 형성되어 몸체부(201) 또는 결합부(240)의 일단(242)와 면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뚜껑부(230)와 연결되고 터치센서의 표면에 접촉하는 팁부(231)를 더 포함한다. 팁부는 뚜껑부(230) 및 터치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팁부는 터치센서와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접촉부(202)의 모양 변화 및 그에 따른 접촉면의 모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hape change of a contact portion 202 and a shape of a contac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202)는 몸체부(201)로부터 멀어질수록 가늘어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tact portion 202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taper away from the body portion 201.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촉부(220, 220', 220")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외부의 힘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 몸체부(201)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 및 일치하는 방향으로 휘어진다. As shown in FIG. 5A, the
따라서,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터치센서의 표면과 몸체부(201)가 이루는 각도 및 거리, 스타일러스(200)가 터치센서의 표면을 누르는 힘의 반작용으로 인한 터치센서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의 힘, 및 터치센서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스타일러스(200)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력에 따라 접촉부(202)의 모양이 바뀌게 된다. Thus, as shown in Figure 5b, the angle and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and the body portion 201, the
이에 따라,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과적으로 터치센서의 표면에 접촉하는 접촉면(291, 292)의 크기 및 형태가 변한다. 도 5d는 접촉한 상태로 스타일러스(200)가 이동함으로 발생하는 마찰력(295)으로 접촉면(293, 294)의 모양이 바뀌는 것을 나타낸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5C, the size and shape of the contact surfaces 291 and 292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are changed as a result. 5D shows that the shape of the contact surfaces 293 and 294 is changed by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전체로 형성되는 접촉부(202)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ct portion 202 formed of a conducto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촉부(202)는 부도체인 탄성체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221)이 전도성 물질로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추형으로 형성된 탄성이 있는 얇은 막(223)과 그 내부에 유동성있는 도전체(224)를 주입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A, the contact portion 202 may be formed of an elastic body which is a non-conductor, and the outer
몸체부(201), 뚜껑부(230) 및 접촉부(202)는 도전체 이외에도 고유전율의 유전체가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conductor, the body portion 201, the
유전체는 높은 유전상수를 가지는 액체 계열의 알코올, 물등의 유전물질을 밀폐된 막(223) 내부에 넣어서 구성된다. 또는, 유전상수를 더 높이기 위해 물 또는 알코올등의 용제에 티탄산바륨,롯셀염과 같이 높은 유전상수가 있는 고체(고유전체)를 용해시켜 유전물질을 만들고 이를 막(223)에 넣어 구성하게 된다. 또는, 유전상수가 높은 티탄산바륨, 롯셀염등과 같은 물질을 녹여서 일정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이를 실리콘등과 같은 탄성이 있는 물체에 혼합시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한 유전량이 있는 유전체를 만들 때에 액체 형태이거나 또는 높은 유전상수의 고체가 녹아있는 액상일 때는, 이 액체가 스며들 수 있는 스펀지나 펄프,섬유소재를 사용하여 용해된 밀도를 맞추어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이 반응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유전량을 맞출 수 있다. 상기한 막(223)은 탄력 있는 재질로 제작하는 바, 예를 들면 고무, 비닐, 실리콘등으로 제작하여 그 내부에 액상인 유전물질을 수납하게 된다.
The dielectric is composed of a dielectric material such as liquid alcohol or water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in the sealed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여러가닥의 섬유로 형성된 접촉부(202)의 측면도 및 결합부(240)의 단면도이다.7 is a side view of the contact portion 202 formed of several strands of fiber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촉부(202)는 도전성을 갖는 여러 가닥의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섬유는 탄소섬유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섬유는 외부힘에 따라 휘어지고, 외부 힘이 없어지면,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다.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부(240)는 여러 가닥의 섬유를 묶어서 고정하고, 섬유 및 몸체부(20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As shown in FIG. 7A, the contact portion 202 may be formed of several strands of conductive conductive fibers. The fiber may be a carbon fiber. Each of the fibers is bent in accordance with the external force,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lost, it is elastic to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As shown in FIG. 7B,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기(100)에서 스타일러스(200)의 터치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 touch input of the
단말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130), 디스플레이부(151), 메모리(160), 제어부(180)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레이어구조를 이루는 터치스크린(151)일 수 있다(이하,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스크린(151)으로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100 includes a
사용자가 단말기(100)의 사용자입력부(130), 터치스크린(151) 등을 통하여 붓터치입력모드로 설정한다(S110). 붓터치입력모드는, 본 발명에 따라, 스타일러스(200)와 터치스크린(151)의 접촉 모양에 따라(이하, 이를 '붓터치') 채색하여 서체, 그림 등을 그릴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붓터치입력모드는 그림, 게임, 메시지 등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The user sets the brush touch input mode through the
붓터치입력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에 붓터치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310, 이하 이를 켄버스(canvas)로 칭한다)을 디스플레이한다(S120). 붓터치입력모드를 종료시키는 사용자입력이 감지되기전까지(S160) 터치스크린(151)은 켄버스에 입력되는 터치를 계속 감지한다. 캔버서에 붓터치가 입력되면(S130)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접촉영역(320)을 식별한다(S140). 접촉영역(320)은 터치스크린(151)의 표면과 스타일러스(200)가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접촉영역(320)의 좌표, 면적, 모양, 방향 등을 식별한다. 제어부(180)는 식별된 영역을 설정된 소정의 색, 농담으로 채색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50).
When the brush touch input mode is set, the
제어부(180)는 소정의 주기로 상기 과정(S130~S150)을 반복한다. 즉, 붓터치입력을 소정의 샘플링 주기에 따라 연속적으로(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또는 불연속적으로(접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접촉) 입력되는 붓터치입력을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접촉영역(320)을 식별하여 채색한다. 제어부(180)는 식별된 접촉영역(320)의 좌표, 면적, 모양, 방향 등을 이용하여 접촉영역(320)의 접촉 시간, 이동 속도, 시작점, 끝점 등을 계산 또는 식별한다.The
터치스크린(151)의 캔버스(310) 이외의 영역 또한 터치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터치된 위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Areas other than the
사용자입력에 따라 붓터치입력모드가 종료하면(S160), 채색된 이미지를 메모리(160)에 저장한다(S170). 채색된 이미지는 MMS 등의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When the brush touch input mode ends according to the user input (S160), the colored image is stored in the memory 160 (S170). The colored image may be transmitted by being included in a message such as an MMS.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접촉영역(320)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은 n*m의 좌표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총 128*128의 좌표가 존재하는 경우, 총 16384개의 좌표점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스타일러스(200)와 터치스크린(151)이 접촉하는 접촉면에 위치한 좌표점들이 접촉을 인지하고,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접촉한 좌표점들을 식별한다. 식별된 좌표점들의 위치, 개수, 배열 등을 이용하여 제어부(180)는 접촉영역(320)을 설정한다. 따라서, 접촉영역(320)은 실제 스타일러스(200)와 터치스크린(151)의 표면이 접촉하는 접촉면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n general, a touch screen has a coordinate of n * m. For example, if there are a total of 128 * 128 coordinates, a total of 16384 coordinate points exist. Accordingly, the coordinate points located o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메모리(160)에 스타일러스(200)의 실제 접촉면의 패턴(예를 들어, 붓을 터치스크린(151)의 표면에 수직으로 누르는 경우, 비스듬히 누르는 경우, 눕혀서 누르는 경우,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등의 접촉면 모양)을 저장하고, 좌표점들에 이를 적용하여 접촉영역(320)을 설정할 수 있다. 둘 이상의 스타일러스(200)에 대해 각 패턴들이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80)는 사용되는 스타일러스(200)에 따라(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대응하는 패턴들을 적용한다. 제어부(180)는 접촉된 좌표점들의 위치, 개수, 배열 및 그 변화(스타일러스(200)의 이동 속도 및 가속도, 접촉면의 모양 변화) 등을 이용하여 패턴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설정된 모양으로 접촉영역(320)을 설정한다.The pattern of the actual contact surface of the
도 9는 상기에서 설명한 패턴 또는 그에 따라 설정되는 접촉영역(320)을 일예를 나타낸다. 원추형 스타일러스(200)는 한쪽 끝이 뾰족한 타원형의 접촉면을 형성하고, 따라서 대응하는 접촉영역(320) 또한 그러한 모양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길이(Δl), 폭(Δw), 중심좌표(x, y), 방향(θ) 등을 구하고 대응하는 패턴에 이를 적용하여 접촉영역(320)을 설정한다.
9 shows an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pattern or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붓터치입력모드 상태의 터치스크린(151)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of a
터치스크린(151)은 캔버스(310), 파레트(330, 331), 벼루(340)를 디스플레이한다. 캔버스(310) 영역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붓터치를 입력받는 영역이다. 파레트 영역은 채색될 색상 및 그 농담을 선택받기 위한 영역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 및 농담이 디스플레이된 부분을 터치하면, 벼루(340)에 선택된 농담의 색상이 표시된다.The
터치스크린(151)은 붓모(35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붓모의 모양은 사용되는 스타일러스(200)의 모양에 대응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붓모는 선택된 색상 및 농담을 표시하며, 남아있는 먹의 양 및 먹이 묻은 위치 등을 표시한다. 이는 뒤에 자세히 설명한다.The
터치스크린(151)은 그 이외에도 메뉴 등의 다른 소프트키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접촉시간에 따라 접촉영역(320)이 농도가 다르게 채색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1 and 12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that the
도 11을 참조하면, 각 접촉영역(401, 402, 403)은 접촉시간에 따라 그 농도가 다르게 채색된다. 예를 들어, 접촉영역(401)은 0.1초 동안 접촉한 경우 설정된 농담의 50%, 접촉영역(402)은 0.2초 동안 접촉한 경우 설정된 농담의 75%, 접촉영역(403)은 0.3초 이상 접촉한 경우 설정된 농담의 100%에 해당하는 농도로 채색된다.Referring to FIG. 11, each of the
접촉영역(320)이 이동하는 경우, 접촉영역(320)의 이동속도에 따라 채색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접촉영역(320)의 이동속도를 계산하여 이동속도가 느리면 진하게, 빠르면 흐리게 채색하여 디스플레이한다(도면부호 404 참조). When the
도 12를 참조하면, 접촉영역(320)이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접촉영역(320) 내에 위치한 지점 및 접촉영역(320)의 이동방향에 따라 그 농도가 다르게 채색될 수 있다. 접촉영역(320) 내의 화살표(411)에 위치한 지점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한다 하더라도 화살표(410)에 위치한 지점보다 오랫동안 접촉영역(320)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더 진하게 채색된다(도면부호 412 참조). Referring to FIG. 12, even when the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캔버스(310)의 각 픽셀(또는 일 지점)은 해당 픽셀이 스타일러스(200)와 접촉한 시간, 또는 접촉영역(320)에 포함되어 있던 시간에 따라 각각 그 채색 농도가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해당 픽셀이 접촉영역(320)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을 계산하고 이에 따라 채색농도를 결정한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each pixel (or one point) of the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접촉시간에 따라 채색되는 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FIG. 1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an area to be colored is expanded according to a contact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접촉영역(320)이 임의의 시간 동안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접촉영역(320) 외부로 채색되는 영역이 점점 확산된다. 확산 거리는 접촉시간*확산속도에 따라 정해진다. 확산속도는 설정된 재질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0.2초간 정지하고 있는 경우 가깝게(도면부호 420 참조), 1초간 정지하고 있는 경우 멀리까지(도면부호 421 참조) 그 채색영역이 확대된다.When the
도면부호 424로 표시된 채색영역은 접촉영역(320)이 이동하는 경우의 확산을 나타낸다. 접촉영역(320)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점점 그 속도가 늦어진다. 따라서, 천천히 이동하는 경우 접촉시간이 상대적으로 늘어나므로 확산되는 거리가 늘어난다. The colored area denoted by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각 픽셀(일 지점)이 스타일러스(200)와 접촉한 시간, 즉 접촉영역(320)에 포함되어 있던 시간에 따라 일지점에서 원형으로 채색 영역이 확대되고, 각각의 원형(특히 접촉영역(32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지점으로 부터 확대된 원형)을 겹쳐서 형성되는 외곽선이 채색영역(424)이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ime when each pixel (one point) is in contact with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채색되는 영역이 증가함에 따라 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채색농도가 감소함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coloring concentration decreases as the area to be colored increases or as time p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스타일러스(200)가 벼루(340)를 터치하면, 그 이후 다시 벼루(340)를 터치하기 전까지는 채색되는 영역 증가 또는 시간경과에 따라 채색농도가 감소한다. 벼루(340)가 디스플레이된 지점에 대응하는 터치입력이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채색농도를 초기화한다. 즉 설정된 색상 및 농담의 100%(430)로 채색농도를 설정한다. 스타일러스(200)가 캔버스(310)에 접촉하여 이동함에 따라, 제어부(180)는 채색되는 영역(확산되어 채색되는 영역을 포함한다)의 면적을 계산하여 누적한다. 제어부(180)는 채색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채색 농도를 점차 감소시키고, 채색면적이 소정 값에 이르면 채색 농도를 0%(431)로 설정하여 더 이상 채색되지 않도록 한다. 터치스크린(151)에 현재의 채색 농도가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벼루(340) 영역이 터치되면 채색농도를 초기화하고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또한, 벼루(340) 터치 이후에 경과하는 시간 또는 접촉영역(320)의 이동 거리 등에 따라 채색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When the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스타일러스(200)가 벼루(340)를 터치하는 시간 및 접촉면적에 따라, 채색 농도의 감소 속도 및 채색 형태가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reduction speed of the color density and the color pattern ar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ime and the contact area of the
스타일러스(200)가 벼루(340)를 터치하는 시간 및 접촉면적에 따라 채색할 수 있는 전체 면적이 다를 수 있다. 벼루(340)가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51)에 붓(350, 441, 442, 443)이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붓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접촉하면, 끝부분이 검은색으로 바뀌어 디스플레이되고, 접촉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확산된다. 확산되는 각 영역은 농도가 다를 수 있다(442).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전체가 검은색으로 바뀌어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부(180)는 상기 접촉시간에 따라 다시 초기화하기 전에 채색할 수 있는 전체 면적(또는 이동거리, 시간) 및 채색 농도의 감소 속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짧은 시간 동안 접촉한 경우(441)에는 소정 시간 이상 접촉한 경우(443)보다 전체 채색 면적을 작게, 채색 농도의 감소 속도를 크게 설정한다.The total area that can be colored may vary depending on the time and contact area at which the
상기에 설명한 방법은, 벼루(340)가 터치되는 접촉영역(320)의 접촉 면적에 따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200)의 끝부분만 살짝 접촉시키면, 즉 접촉영역(320)이 작으면, 붓(441)이 디스플레이되고, 좀더 넓은 접촉영역(320)은 붓(442)이 디스플레이되고, 소정 면적 이상의 접촉영역(320)은 붓(443)을 디스플레이한다. 접촉 상태가 유지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은색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이 확산된다. 확산되는 영역의 농담은 직접 접촉으로 인한 영역의 농담과 다를 수 있다(붓(442) 참조).The method described above may be equally applied according to the contact area of the
스타일러스(200)가 벼루(340)를 터치하는 시간 및 접촉면적에 따라 동일한 모양의 접촉영역(320)이라도 다른 형태(444, 445, 446)로 채색될 수 있다. 접촉영역(320) 내부의 채색 형태(444, 445, 556)는 각각 붓(441, 442, 443)에 대응한다.
Depending on the time when the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액자, 재질 등을 선택할 수 있는 페인팅 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inting tool in which a picture frame, a material, and the lik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로부터 메뉴의 "액자"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다수의 액자(frame)를 터치스크린(151)에 디스플레이하고(도 16b 참조), 사용자로부터 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캔버스(310)의 가장자리(가장자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자의 형태에 따라 해당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에 이를 디스플레이한다(도 16c 참조).When the user selects a “frame” of the menu, the
다음으로, 사용자로부터 메뉴의 "재질"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다수의 재질(frame)를 터치스크린(151)에 디스플레이하고(도 16d 참조), 사용자로부터 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캔버스(310)에 이를 디스플레이한다(도 16c 참조). 선택된 재질에 따라, 접촉시간에 따라 채색되는 접촉영역(320)의 농도(도 11 및 도 12 참조), 접촉시간에 따라 채색되는 영역의 확산 속도(도 13 참조), 채색되는 영역이 증가함에 따라 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채색농도의 감소 속도(도 14 참조) 등이 설정될 수 있다.
Next, when a "material" of the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the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는 페인팅 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inting tool from which a templat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라,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다수의 템플릿을 터치스크린(151)에 디스플레이한다. 템플릿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작성된 서체, 수묵화 등의 예로써, 액자, 재질, 레이아웃, 인감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템플릿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템플릿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액자, 재질, 레이아웃, 인감 등을 설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포함된 각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A, according to a user's menu selection, the
도 1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레이아웃을 설명하면, Referring to Figure 17c describes a layou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캔버스(310)는 다수의 영역(370)으로 구획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영역의 개수(도 17b 참조), 크기 및 배치는 선택된 템플릿에 포함된 정보에 따르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영역은 중첩될 수 있다. 각각의 영역은 서체, 수묵화, 인감 등으로 입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The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영역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의 캔버스(310)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도 17d 참조). 확대된 영역에 서체 등이 입력되면, 전체 캔버스(310)의 해당 영역에 입력된 서체 등이 입력/배치된다.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areas displayed by the user is selected, the
도 17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라, 또는 구획된 다수의 영역 중에서 인감 입력 영역으로 설정된 영역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다수의 이미지(예를 들어, 인감)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그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이미지를 소정의 영역(또는 인감 입력 영역으로 설정된 영역)에 이를 디스플레이한다.Referring to FIG. 17E, when a user selects a menu or selects an area set as a seal input area from among a plurality of partitioned areas, the
도 17f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의 메뉴 선택(미리보기)에 따라, 상기에 설명한 방법으로 작성된 이미지를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Referring to FIG. 17F, according to the user's menu selection (preview), the image creat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is displayed as a whole.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스타일러스(200)를 이용한 메시지 작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8 is a diagram illustrating message composition using a
사용자로부터 스타일러스(200)를 이용한 메시지 작성이 요청되면,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200)의 입력을 감지하는 캔버스(310)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작성된 이미지를 MMS 메시지 형태로 상태방에 전송한다.
When a user is requested to compose a message using the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스타일러스(200)를 이용한 서예, 수묵화 등의 연습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actice mode of calligraphy, ink painting, etc. using the
사용자의 메뉴선택에 의해, 연습모드가 요청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다양한 형태의 서체, 수묵화 중 하나(360)를 캔버스(310)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상기에 설명한 방법에 따라, 스타일러스(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서체 등(360)을 따라 그린다. 제어부(180)는 상기에 설명한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채색된 영역과 디스플레이된 서체(360)을 비교하여 그 일치 정도를 디스플레이한다. 일치 정도를 판단함에 있어, 채색된 영역과 서체(360)가 일치하는 면적, 일치하지 않는 면적 및 그 비율, 필순 등이 고려될 수 있다.
When a practice mode is requested by the user's menu selection, the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채색된 영역에 적용되는 필터링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ltering effect applied to a colored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모드(예를 들어, 서체 또는 수묵화 모드, 또는 서체모드에서의 글꼴, 수묵화에서의 난초, 대나무, 꽃, 곤충, 새, 동물 및 산)에 따라, 스타일러스(200) 입력에, 대응하는 필터링 효과를 적용한다.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200) 입력에서, 접촉 영역의 시작점, 끝점, 이동경로, 이동방향, 면적, 모양 등을 식별하고, 식별된 정보에 선택된 모드의 필터링 효과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한다.
The
상기와 같이 설명된 스타일러스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stylus and the terminal having the same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or partially all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t ma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200: 스타일러스 210: 몸체부
220: 접촉부 230: 뚜껑부
240: 결합부 100: mobile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 / V input unit 130: user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60: memory 170: interface unit
180: control unit 190: power supply unit
200: stylus 210: body portion
220: contact portion 230: lid portion
240: coupling part
Claims (23)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배치되고, 도전체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터치센서의 표면과 접촉하고, 상기 터치센서의 표면으로부터 받는 힘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 휘어져 상기 터치센서의 표면에 접촉하는 접촉면의 크기 및 형태가 변하도록 탄성을 갖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A body por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formed of a conductor;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of a conduct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bent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force received from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A stylus comprising a contact portion having elasticity such that the size and shape of the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is changed.
상기 팁부가 삽입되도록 중공체로 형성되는 뚜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The method of claim 1,
Stylus further comprises a lid portion formed of a hollow body so that the tip portion is inserted.
상기 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체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센서의 표면에 접촉하는 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id portion
A stylu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body portion, formed of a conductor, and further comprising a tip portion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다수의 탄소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portion
A styl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plurality of carbon fibers.
외주면이 전도성 물질로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portion
Styl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by coating with a conductive material.
탄성 재질의 막과 상기 막 내부에 주입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portion
A stylus, which is formed of an elastic film and a conductive material injected into the film.
상기 접촉부와 상기 몸체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The method of claim 1,
A styl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ontact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제1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제1영역에서 상기 스타일러스가 접촉하는 제2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제2영역을 채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A styl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touch screen displaying a first area and sensing a contact of the stylus; And
And a controller for identifying a second area in contact with the stylus in the first area and coloring and displaying the second area.
상기 터치스크린은
둘 이상의 재질을 디스플레이하여 하나의 재질을 선택받고, 상기 제1영역을 선택된 상기 재질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ouch screen
And displaying one or more materials by selecting two or more materials, and displaying the first region with the selected material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이 상기 스타일러스와 접촉하는 시간 또는 선택된 상기 재질에 따라 상기 제2영역이 채색되는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9 or 10,
The control unit
The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econd area is colored according to the time the second area is in contact with the stylus or the selected material.
상기 터치스크린은
채색되는 색상 및/또는 농담을 선택할 수 있는 제3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영역에서 선택된 색상 및/또는 농담에 따라 상기 제2영역을 채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ouch screen
To display a third area where the color and / or tint to be colored can be selected,
The control unit
And coloring the second area according to a color and / or shade selected in the third area.
상기 터치스크린은 제4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제4영역에 접촉한 시점 이후로,
채색되는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및/또는 상기 제1영역에서의 접촉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제2영역이 채색되는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ouch screen displays a fourth area,
The control unit
Since the stylus is in contact with the fourth area of the touch screen,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econd area is reduced as the area to be colored increases and / or as the contact time in the first area elaps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영역에 상기 스타일러스가 접촉하는 시간 및/또는 접촉 면적에 따라, 또는 상기 선택된 재질에 따라 상기 제2영역이 채색되는 농도의 감소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he reduction rate of the concentration of the second region according to the time and / or contact area of the stylus contacting the fourth region or the selected materi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영역에 상기 스타일러스가 접촉하는 시간 및/또는 접촉 면적에 따라 상기 제2영역을 서로 다른 농도로 채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And the second region is colore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time and / or contact area of the stylus that contacts the fourth reg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이 상기 스타일러스와 접촉하는 시간 및 설정된 확산속도에 따라 상기 제2영역 외부로 확산시켜 채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9 or 10,
The control unit
And spreading the color outside the second area according to a time when the second area contacts the stylus and a set diffusion speed.
상기 확산속도는 선택된 상기 재질에 따라 또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6,
The diffusion speed is set according to the selected material or a user input.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제1영역을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된 개수, 크기 및 배치에 따라 다수의 제5영역으로 구획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5영역 중 하나를 선택받으며,
선택된 상기 제5영역을 확대하여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ouch screen
Display the first area by dividing the first area into a plurality of fifth areas according to a number, size, and arrangement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receiving one of the fifth areas,
And enlarge the selected fifth region and display them individually.
상기 터치스크린은
다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받고, 선택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ouch screen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selecting one image, and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on the first area.
상기 터치스크린은
다수의 액자를 디스플레이하여 하나의 액자를 선택받고, 선택된 상기 액자를 상기 제1영역의 가장자리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ouch screen
And displaying one or more picture frames by displaying a plurality of picture frames, and displaying the selected picture frames on an edge of the first area.
상기 터치스크린은
액자, 재질, 확산 속도, 제1영역의 크기 및 비율, 제5영역의 개수, 크기 및 배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템플릿(temlate)을 복수개 디스플레이하여 하나의 템플릿을 선택받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템플릿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ouch screen
A template is selected by displaying a plurality of templates including at least one of a frame, a material, a diffusion speed, a size and a ratio of the first region, the number, size and arrangement of the fifth region, and an image,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selected template.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제1영역에 제6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채색된 상기 제2영역과 상기 제6영역을 비교하여 일치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일치 정도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ouch screen
Displaying a sixth region in the first region,
The control unit
And comparing the colored second area and the sixth area to determine a degree of matching and displaying the degree of matching on the touch screen.
상기 터치스크린은
글자, 난초, 대나무, 꽃, 곤충, 새, 동물 및 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모드에 따른 필터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제2영역을 채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ouch screen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modes: Letter, Orchid, Bamboo, Flower, Insect, Bird, Animal, and Mountain.
The control unit
And displaying the second area by applying the filter effect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4547A KR20120003766A (en) | 2010-07-05 | 2010-07-05 | Stylus and terminal hav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4547A KR20120003766A (en) | 2010-07-05 | 2010-07-05 | Stylus and terminal having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3766A true KR20120003766A (en) | 2012-01-11 |
Family
ID=4561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4547A Ceased KR20120003766A (en) | 2010-07-05 | 2010-07-05 | Stylus and terminal having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3766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55507A (en) * | 2012-10-31 | 2014-05-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apacitive type stylus pen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capacitive type stylus pen |
WO2017026853A1 (en) * | 2015-08-13 | 2017-02-16 | Samsung Electronic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in electronic device |
US9927938B2 (en) | 2013-07-04 | 2018-03-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a touch and a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US10209816B2 (en) | 2013-07-04 | 2019-02-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a touch and a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2010
- 2010-07-05 KR KR1020100064547A patent/KR20120003766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55507A (en) * | 2012-10-31 | 2014-05-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apacitive type stylus pen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capacitive type stylus pen |
US9927938B2 (en) | 2013-07-04 | 2018-03-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a touch and a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US10209816B2 (en) | 2013-07-04 | 2019-02-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a touch and a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US10747357B2 (en) | 2013-07-04 | 2020-08-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a touch and a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US10809863B2 (en) | 2013-07-04 | 2020-10-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US11397501B2 (en) | 2013-07-04 | 2022-07-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WO2017026853A1 (en) * | 2015-08-13 | 2017-02-16 | Samsung Electronic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in electronic device |
CN107924287A (en) * | 2015-08-13 | 2018-04-17 | 三星电子株式会社 |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method for the input in control electronics |
US10642477B2 (en) | 2015-08-13 | 2020-05-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in electronic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63019B2 (en) |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 |
US8750939B2 (en) | Method of controlling instant messag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EP2658227B1 (en) | Exchange of hand-drawings on touch-devices | |
KR102127929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20013807A (en) | Mobile terminal providing lighting and highligh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70083404A (en) | Mobile terminal | |
KR20120056542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40110627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KR20100042978A (en) |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10054452A (en) | TT voice data output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ying same | |
KR20100034608A (en) |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00085397A (en) | Mobile terminal with electronic electric pap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10013606A (en) | Menu execu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ying same | |
KR20100024589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 thereof | |
KR101682725B1 (en)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virtual keyboard | |
KR20120003766A (en) | Stylus and terminal having same | |
KR20170083405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20077605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haring display thereof | |
KR20100029611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con thereof | |
KR20110037654A (en) | Touch signal processing method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 |
KR20110036187A (en) |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
KR20110075551A (en) | 3D character oper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 |
KR101587099B1 (en) |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
KR101987694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112356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6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7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4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