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158A -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and content display method linked to user's location or proximity - Google Patents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and content display method linked to user's location or proxim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90158A KR20110090158A KR1020100009783A KR20100009783A KR20110090158A KR 20110090158 A KR20110090158 A KR 20110090158A KR 1020100009783 A KR1020100009783 A KR 1020100009783A KR 20100009783 A KR20100009783 A KR 20100009783A KR 20110090158 A KR20110090158 A KR 201100901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content
- location
- proximity
- conten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1—Comprising a presence or proximity detecto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2—Advertising 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 혹은 실외의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광고 혹은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분야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field of digital signage displaying content for advertisement or information delivery through a digital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 public place indoors or outdoors.
최근 디스플레이 패널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TV 수상기 등의 가전 시장 외에도 디지털정보디스플레이(DID)라고 불리우는 기업용 디스플레이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쇼핑몰, 공공기관, 지하철역 등 다양한 공공장소에 설치되면서, 고객, 행인들에게 광고 및 정보 컨텐츠를 보여주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정보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내용이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면서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이 종합적으로 결합되는 형태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display panel industry, in addition to the home appliance market such as TV receivers, the enterprise display market calle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is growing significantly. These displays are installed in various public places such as shopping malls, public institutions, subway stations, and are used to show advertisements and information contents to customers and passers-by. Meanwhile, as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become more diverse and complicated, they are developing into a digital signage system that is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a platform for controlling the contents displayed.
기술의 발전으로 도시 환경에서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실현되고 있다. 이 중 사용자의 위치 혹은 근접도를 감지할 수는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면, 단순하게는 자동문의 센서처럼 초음파 혹은 적외선을 이용해 단순하게 사용자의 근접도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의 예부터, 보다 복잡하게는 사용자가 특정한 식별 장치를 지니면 일정한 공간 내에서 모든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액티브 RFID와 같은 기술이나 영상인식 기술을 통해 근접도, 위치 뿐 아니라 피사체의 종류(물체인 경우)나 나이, 성별(사람인 경우) 등 더 많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various methods for understanding the user's situation in the urban environment are being realized. Among the methods of detecting the position or proximity of the user, from the example of the technology that can simply detect the user's proximity using ultrasonic or infrared like the automatic door sensor, more complex If the user has a specific identification device, such as active RFID or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that can track the location of all users in a certain space in real time, the proximity, location as well as the type of object (if object) You can also extract more information such as age, gender (if you are a person).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사용자의 위치 혹은 근접도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변동되는 컨텐츠 및 UI를 표시하여 주는 위치인식형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sition-aware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that displays a content and UI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current state by incorporating a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position or proximity to a digital signage system. It is to provid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 혹은 근접도에 연동되어 반응하는 위치인식형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sition-aware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that responds to the user's location or proximity.
기존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경우에는 광고 혹은 정보 등의 컨텐츠를 표시할 때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자체 내에 정의된 제어 방법이나 사용자의 직접적인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였다. 예를 들면, 다수의 광고 컨텐츠를 시간을 나누어 번갈아가며 송출하거나, 터치패널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정보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예가 있다. 전자의 예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전혀 없는 경우이며, 후자의 예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존재하나 그 외의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제어명령을 내리지 않는 경우에는 시스템이 적절한 반응을 할 수 없는 경우이다.In the existing digital signage system, content is displayed according to a control method defined within itself or a user's direct control command without considering the user's situation when displaying content such as advertisement or information. For example,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ontents are alternately transmitted in time, or a user can directly manipulate information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The former example is the case where there is no interaction with the user at all, and the latter example is the system when the user does not explicitly control the control because there is interaction with the user but does not consider the situation of other users. This is a case where an appropriate reaction cannot be performed.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이 공공환경에서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개인사용 기기의 경우에 비해서 사용자의 상황을 더 많이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은행에서 사용되는 ATM 키오스크에서 사용자가 조작을 하는 중간에 키오스크를 떠났을 경우, 타인에 의해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기타 의도하지 않은 트랜잭션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떠나면 별도의 명시적인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더 이상의 사용의도를 갖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트랜잭션을 종료할 필요가 있다.In the case of a system us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in a public environment such as digital signag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user's situation more than in the case of a personal device. For example, if a user leaves a kiosk during an operation at an ATM kiosk used in a bank, personal information may be leaked by another person or other unintended transactions may be made. In this case, when the user leaves the kiosk, it is necessary to terminate the transaction, considering that the user does not have any further intentions without any explicit manipulation.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정보를 보여주는 류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경우, 사용자가 근접한 상태에서 조작하는 것을 가정하고 화면 UI를 구성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멀리 있는 상태에서는 글씨 크기가 너무 작거나 하는 등 화면 자체를 알아보기 힘들어 시스템의 용도를 명확히 알아보기 힘들 가능성도 있다.In addition, in case of digital signage that display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screen UI is composed by assuming that the user operates in close proximity, so that the font size is too small when the user is far awa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is difficult to clearly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 혹은 근접도 등의 감지를 통해 사용자의 상황을 해석하고 그에 맞는 컨텐츠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공공상황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보다 유용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인식형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user's situation through the detection of the user's location or proximity and displays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location recognition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tha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and conveniently in a public situation. To provide.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안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혹은 근접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센서에서 인식된 정보를 이용하여 송출될 컨텐츠를 갱신하고 컨텐츠 표시과정을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부; 송출될 컨텐츠 데이터 및 사용자 위치에 따라 컨텐츠가 어떻게 변경되어야 하는지 정의해 놓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 송출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기동 후 사용자의 상태와 무관한 기본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인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인식된 경우 사용자의 위치 혹은 근접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사용자 위치 혹은 근접도 데이터에 따라 컨텐츠를 갱신하는 단계; 갱신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시스템이 종료되는지 판별하여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인식단계로 돌아가 수행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변동형 컨텐츠 및 UI 구성 방법을 제공한다.The configura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The proposed digital signage system include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position or proximity of a user; A content controller for updating the content to be sent using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sensor and controlling a content display process; A content data storage unit having data defining how contents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content data to be sent and user location; And a digital display displaying the transmitted conte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splaying the basic content irrespective of the user's state after system startup;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recognized; Measuring the location or proximity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recognized; Updat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measured user location or proximity data; Displaying the updated content; The method determines whether the system is terminated, and if it is not terminated, returns to the user recognition step and repeats the execution.
상기한 센서부는 근접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혹은 초음파 센서; 입력된 화상을 기반으로 근접한 사람의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일반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 및 영상 인식 소프트웨어; 사용자가 지닌 RFID 태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근접도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RFID 리더 및 부가 장치를 포함하는 위치추적 시스템; 바닥에 설치되어 그 위에 서 있는 사람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부에서 사용되는 장치는 상기한 장치의 종류만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이 설치되는 곳에 같이 설치되어 주변 사용자의 위치 혹은 근접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포함 가능하다.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for detecting a movement of a nearby object; A general camera or infrared camera and image recognition software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nearby person based on the input image; A location tracking system including an RFID reader and an additional device capable of measuring proximity or location of a user based on an RFID tag held by the user; It may be configured as a pressure sensor installed on the floor to recognize the presence of a person standing on it. The device used in the sens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ype of the above-described device, it is possible to include any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together where the digital signage system is installed to measure the position or proximity of the surrounding users.
상기한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는 사용자에게 송출되어 표시될 컨텐츠 및 이 컨텐츠가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어떻게 변경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광고를 표시하여 주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인 경우, 각각 미리 설정된 사용자 근접도에 따라 표시해야 하는 광고 동영상,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다른 광고를 보여주는 경우, 각각 미리 설정된 위치 및 그 위치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광고 데이터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위치 혹은 근접도에 따라 달리 표시되어야 하는 어떠한 광고,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멀티미디어 컨텐츠도 다 포함 가능하다.The content data storage unit is a device for storing data inclu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to be sent and displayed to the user and how the content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tat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igital signage system that displays an advertisement, each of the digital signage system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n advertisement video and an image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a preset user proximity. In addition, when showing different advertisement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it may also include a combination of a preset position and the advertisement data to be displayed at that position. The content data stored in the content data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include any advertisement, information, user interface, and multimedia content that should be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ocation or proximity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혹은 근접도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광고 및 정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해 줌으로써 공공상황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유용하게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The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n advertisement and information content optimized based on the location or proximity of the user on a display, thereby making the system more convenient and useful for a plurality of users who use digital signage in a public situation. Make it available.
예를 들어, 티켓구입이나 은행 ATM 등 개인정보가 다루어지는 정보검색형 키오스크의 경우 사용자가 근접한 위치에 있을 때만 개인정보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정보검색형 키오스크의 경우 화면에 사용자 조작을 대상으로 하는 UI 요소를 표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광고를 표시할 수 없거나, 화면의 일부분에만 광고를 배치할 수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가 멀리 있을 때는 광고를 표시하고 가까이 오게 되면 정보검색을 위한 화면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광고로 인해 방해 받지 않게 하면서도 시스템 운영자가 추가적인 광고수입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의 조작이 없이 단순 광고만 표시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멀리 있을 경우 텍스트가 배제된 이미지 위주 광고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접근했을 경우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광고의 식별용이성과 정보전달력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For example, an information retrieval kiosk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icket purchase or bank ATM is handle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by displaying personal information only when the user is in close proximity. In addition, in the general information retrieval type kiosk, since the UI element that targets the user's operation must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advertisement cannot be displayed or the advertisement can be placed only on a part of the screen. By displaying an advertisement when the user is far away and displaying a screen for information retrieval when it is near, the system operator can expect additional advertisement revenue while preventing the user from being disturbed by the advertisement. In the case of digital signage that displays only simple advertisements without user interaction, it displays image-based advertisements without text when the user is far away and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text when the user approaches. It can be expected to increase the ease of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도 1은 위치인식형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설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위치인식형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구성요소 및 구조를 표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위치인식형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installation of the position recognition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and structure of the position recognition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in a location-aware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형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적용되는 분야의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position-aware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conventions of the applied field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위치인식형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설치 개념도이다. 그림과 같이 사용자(100)는 디지털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시스템을 접한다. 사용자(100)의 위치 혹은 근접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가상의 선이 바닥에 표시되어 있다. 제안된 시스템은 그 공간 내에서의 사용자(100)의 위치에 따라 다른 컨텐츠를 디지털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표시해 준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installation of a position recognition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위치인식형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구성요소 및 구조를 표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디지털 디스플레이(200), 센서부(300), 컨텐츠 제어부(400),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500) 등을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and structure of the position recognition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2,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스플레이(200)는 필요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100)에게 컨텐츠를 표시하여 보여주며, 필요한 경우 사용자(100)의 제어명령을 받는 등의 상호작용을 하는 장치이다. 본 디지털 디스플레이(200)는 PDP, LCD 등의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및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LED를 사용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혹은 사용자(100)의 입력을 받기 위해 상기한 디스플레이 종류에 터치 인식장치를 결합한 터치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한 디스플레이 종류에 기타 다른 입력장치를 결합한 형태의 장치일 수도 있다. 입력장치가 결합된 경우에는 단방향으로 보여지기만 하는 컨텐츠가 아니라 사용자(100)와의 상호작용이 필요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300)는 사용자(100)의 위치 혹은 근접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센서부(300)는 제안된 시스템의 사용 목적 혹은 표시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다른 방식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300)는 일반적인 자동문의 경우처럼 특정 지점에 대한 사람의 근접성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300)는 적외선 센서보다 높은 정확도로 센서 앞에 있는 물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300)는 다수의 사용자(100)가 지닌 RFID 태그의 위치를 동시에 추적할 수 있는 액티브 RFID 리더와 부가장치로 구성되는 위치추적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300)는 디지털 디스플레이(200) 앞의 바닥에 설치되어 해당 지점에 서 있는 사람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300)는 화상카메라 혹은 적외선 카메라와 이들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화상에서 사람의 존재여부와 그 위치를 계산할 수 있는 영상인식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300)를 구성하는 장치들은 상기한 장치의 종류로만 한정되지 되지 않으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이 설치된 곳 주변에 있는 사용자(100)의 위치 혹은 근접도를 측정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센서 장치들은 단독이 아닌 복수 개가 함께 센서부(300)를 구성함으로써 동시에 여러 명의 사용자(100)의 상태를 측정하거나, 보다 세밀하게 위치 측정을 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어부(400)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로써, 센서부(300)로부터 들어온 사용자의(100) 위치 혹은 근접도 정보에 따라 실제 보여질 컨텐츠를 가공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200)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포함한다. 만약 디지털 디스플레이(200)가 사용자(100)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컨텐츠 제어부(400)는 사용자(100)의 제어명령을 전달받아 그에 따라 컨텐츠를 다시 가공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200)에 송출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컨텐츠 제어부(400)는 PC와 같은 일반적인 컴퓨팅 장치 혹은 그 이상의 고성능 컴퓨팅 장치로 구성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500)는 디지털 디스플레이(200)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컨텐츠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장치이다. 여기에 포함되는 내용은 컨텐츠를 구성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 컨텐츠가 센서부(300)에서 측정한 데이터에 따라 어떻게 가공되어야 하는지 정의한 데이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500)는 사용자(100)의 접근도에 따라 내용이 조금씩 달라지는 광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디스플레이(200)에서 20m 이내에 사용자(100)가 존재 하지 않는 경우, 원거리에서도 식별 가능하도록 문자가 거의 없는 이미지 위주의 광고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5m~20m 이내 거리에서 사용자(100)가 인식되면, 짧은 설명문구와 함께 다소 자세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그 이내로 사용자(100)가 들어오면 제품의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상세한 설명 문구 및 영상을 표시하여 주는 식의 광고를 표시하기 위하여, 기준이 되는 각각의 거리 값과 함께 각 단계에서 송출될 광고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500)는 정보 검색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데이터와 광고가 표시될 때의 광고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는 정보 검색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디지털정보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에서 사용자(100)가 실제 장치 앞에 있는 경우에만 정보 검색을 위한 화면을 보여주고, 사용자(100)가 앞에 없거나 멀리 있는 경우에는 광고를 보여줌으로써 사용자(100)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광고 유치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500)는 디지털 디스플레이(200) 앞 공간의 각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을 부여하고, 각 위치에 따라 표시되어야 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지정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100)의 위치 혹은 근접도에 따라 달리 표시되어야 하는 어떠한 광고,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도 포함 가능하다.The content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위치인식형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사용자(100)의 위치 혹은 접근도에 따라 컨텐츠를 변경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표시 방법은 기본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S11)에서 시작한다. 이 단계에서 컨텐츠 제어부(400)는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500)으로부터 사용자(100)가 명시적으로 인식되지 않은 조건에서 표시되는 기본 컨텐츠를 읽어들여 디지털 디스플레이(200)로 송출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사용자(100)의 접근도에 따라 다른 광고를 표시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100)가 없거나 최소 거리 밖에 있는 경우에 보여져야 할 광고를 표시하게 된다. 단계(S12)에서는 센서부(300)가 인식 가능한 곳에 사용자(1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인식될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단계(S13)에서는 센서부(300)가 사용자(100)의 위치 및 접근도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컨텐츠 제어부(400)로 보낸다. 단계(S14)에서는 컨텐츠 제어부(400)가 센서부(300)에서 보낸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500)에서 적합한 컨텐츠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측정 데이터에 맞게 가공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200)으로 송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사용자(100)의 접근도에 따라 다른 광고를 표시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100)의 존재가 인식되었고 그 거리가 5m~20m 이내라면 짧은 설명문구와 다소 자세한 영상으로 구성된 광고 컨텐츠를 구성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200)로 보내주는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S15)에서는 디지털 디스플레이(200)가 송출된 컨텐츠를 실제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100)가 볼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단계(S16)에서는 시스템의 종료 여부를 판별하여 종료되는 상황이 아니면 단계(S12)로 복귀하여 상기한 단계(S12) ~단계(S15)를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and displaying cont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or accessibility of the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은 이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 내용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embodiments illustrate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technical content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센서에서 인식된 정보를 이용하여 송출될 컨텐츠를 갱신하고 컨텐츠 표시과정을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부;
송출될 컨텐츠 데이터 및 사용자 위치에 따라 컨텐츠가 어떻게 변경되어야 하는지 정의해 놓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
송출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위치 혹은 근접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에 특화된 광고 및 정보 컨텐츠를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A sensor unit capable of recognizing a location and proximity of a user;
A content controller for updating the content to be sent using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sensor and controlling a content display process;
A content data storage unit having data defining how contents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content data to be sent and user location;
A digital display displaying the sent content;
And an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that detects a user's location or proximity and displays advertisements and information content specific to the detected information.
사용자가 인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인식된 경우 사용자의 위치 혹은 근접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사용자 위치 혹은 근접도 데이터에 따라 컨텐츠를 갱신하는 단계;
갱신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시스템이 종료되는지 판별하여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인식단계로 돌아가 수행을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및 UI 구성 방법Displaying basic content irrelevant to a user's state after system startup;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recognized;
Measuring the location or proximity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recognized;
Updat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measured user location or proximity data;
Displaying the updated content;
Determining whether the system is terminated, and if not, returning to the user recognition step and repeating the execution;
Content and UI configuration method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9783A KR20110090158A (en) | 2010-02-03 | 2010-02-03 |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and content display method linked to user's location or proxim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9783A KR20110090158A (en) | 2010-02-03 | 2010-02-03 |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and content display method linked to user's location or proximit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0158A true KR20110090158A (en) | 2011-08-10 |
Family
ID=4492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9783A Ceased KR20110090158A (en) | 2010-02-03 | 2010-02-03 |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and content display method linked to user's location or proxim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90158A (en)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67232A (en) * | 2012-11-26 | 2014-06-0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digital signage and apparatus for the same |
KR101412069B1 (en) * | 2013-02-27 | 2014-06-26 | (주)디앤디미디어 | Digital signage protectorscop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422110B1 (en) * | 2012-11-29 | 2014-07-22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The apparatus of digital signage with seamless display a emotion contents |
KR101481471B1 (en) * | 2013-01-16 | 2015-01-13 |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 Interactive display method of large wall surgace screen by ir sensor |
KR101655260B1 (en) * | 2015-05-19 | 2016-09-07 | 인포나인(주) | Digital information display based on customer recogn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681428B1 (en) * | 2015-10-05 | 2016-12-01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intelligent facade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 using the same |
US10025419B2 (en) | 2015-09-02 | 2018-07-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0180741B2 (en) | 2015-05-27 | 2019-01-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emissive display and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WO2019195799A1 (en) * | 2018-04-05 | 2019-10-10 | Synaptics Incorporated | Context-aware control for smart devices |
KR20210111953A (en) | 2020-03-03 | 2021-09-14 |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 Customer reaction apparatus using digital signage |
KR20220150167A (en) | 2021-05-03 | 2022-11-10 | 주식회사 모드랩 | Digital signage apparatus |
-
2010
- 2010-02-03 KR KR1020100009783A patent/KR2011009015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67232A (en) * | 2012-11-26 | 2014-06-0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digital signage and apparatus for the same |
KR101422110B1 (en) * | 2012-11-29 | 2014-07-22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The apparatus of digital signage with seamless display a emotion contents |
KR101481471B1 (en) * | 2013-01-16 | 2015-01-13 |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 Interactive display method of large wall surgace screen by ir sensor |
KR101412069B1 (en) * | 2013-02-27 | 2014-06-26 | (주)디앤디미디어 | Digital signage protectorscop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655260B1 (en) * | 2015-05-19 | 2016-09-07 | 인포나인(주) | Digital information display based on customer recogn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0761564B2 (en) | 2015-05-27 | 2020-09-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emissive display and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US10180741B2 (en) | 2015-05-27 | 2019-01-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emissive display and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US10025419B2 (en) | 2015-09-02 | 2018-07-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681428B1 (en) * | 2015-10-05 | 2016-12-01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intelligent facade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 using the same |
WO2019195799A1 (en) * | 2018-04-05 | 2019-10-10 | Synaptics Incorporated | Context-aware control for smart devices |
CN111868824A (en) * | 2018-04-05 | 2020-10-30 | 辛纳普蒂克斯公司 | Context-aware control of smart devices |
US11217240B2 (en) | 2018-04-05 | 2022-01-04 | Synaptics Incorporated | Context-aware control for smart devices |
KR20210111953A (en) | 2020-03-03 | 2021-09-14 |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 Customer reaction apparatus using digital signage |
KR20220165227A (en) | 2020-03-03 | 2022-12-14 |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 Customer reaction apparatus using digital signage |
KR20220150167A (en) | 2021-05-03 | 2022-11-10 | 주식회사 모드랩 | Digital signage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90158A (en) |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 and content display method linked to user's location or proximity | |
US10055894B2 (en) | Markerless superimposition of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systems | |
KR10191244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yment interface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CN105164619B (en) | Detect looking at users to provide personalized content on the display | |
CN111090327B (en) | Commodity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US11622145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dvertisement server | |
CN106844063B (en) | Cross-platform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and cross-platform data sharing system | |
JP2015518580A (en) |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 |
KR102671398B1 (en) |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payment thereof | |
JP3218348U (en) | AI automatic door bidirectional network system and AI automatic door | |
US20240232949A1 (en) | Method and system for gesture-based cross channel commerce and marketing | |
WO2018227135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n augmented display system | |
US2017022803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 |
KR101622466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 |
US20120130867A1 (en) | Commod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commodity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 |
KR2012007667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b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CN105074725A (en)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20150100464A1 (en) | Information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of object | |
US20140089079A1 (en) |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correlation between an advertisement and a person who interacted with a merchant | |
KR101899578B1 (en) |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display advertisement | |
JP2014016904A (en) | Content display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JP2020095581A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store | |
JP7476881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KR101615330B1 (en) |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the advertisements | |
KR102081232B1 (en) | Apparatus for creating contents using ta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9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6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