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74024A - Multimedia apparatus - Google Patents

Multimedia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024A
KR20110074024A KR1020090130861A KR20090130861A KR20110074024A KR 20110074024 A KR20110074024 A KR 20110074024A KR 1020090130861 A KR1020090130861 A KR 1020090130861A KR 20090130861 A KR20090130861 A KR 20090130861A KR 20110074024 A KR20110074024 A KR 20110074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p3p
menu
displays
user
scre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8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호익
원준호
이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0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4024A/en
Priority to US12/978,323 priority patent/US20110159469A1/en
Publication of KR20110074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024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1Ergometry, e.g. by using bicycle type apparatus
    • A61B5/222Ergometry, e.g. by using bicycle type apparatus combined with detection or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parameters, e.g.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multimedia device is provided to extract an exercise schedule including one or more exercise modes on the basis of user information. CONSTITUTION: A sensor module(110) measures the health condition and exercise state of a user. A multimedia function block(120) displays a screen depending on the control of the user. A control unit(150) performs the detection of the health condition of the user and the execution of a corresponding application or program with the control of the sensor module and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A user command receiver(160) receives the command of the user.

Description

멀티미디어 기기 {Multimedia Apparatus}Multimedia device {Multimedia Apparatus}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악,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고,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edia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media device capable of playing multimedia content such as music and video, and managing user's health information.

근래에 이르러, 멀티미디어 기기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사용되는 컨텐츠들의 양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컨텐츠의 증가로 인해 사용자는 보다 다채로운 컨텐츠들을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In recent years, with the spread of multimedia devices, the amount of contents used in the multimedia device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Due to the increase in content, users can use a variety of content to choose.

또한, 전자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기기가 음악, 동영상, 사진 등의 컨텐츠를 재생할 뿐만 아니라, 이외에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the functions of multimedia devices are diversified. Accordingly, multimedia devices are being developed to not only play content such as music, video, pictures, etc., but also provide various functions for user convenience.

이와 같이, 사용자는 하나의 기기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를 원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As such, the user wants to be able to use one device for various purposes. Therefore, a search for a method for providing a multimedia device having various functions desired by a user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운동 방식이 포함된 운동 처방을 추출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media device for extracting an exercise prescription including at least one exercise method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 방식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동 방식이 포함된 운동 처방을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media device includes: a storage unit in which at least one exercise mode information is store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xtract an exercise prescription including the at least one exercise method based on user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성별, 나이, 신장, 체중, 체지방률, 목표 체중, 운동가능 기간, 운동가능 횟수, 선호 운동타입, 운동부위, 운동장소 및 덤벨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ser's name, gender, age, height, weight, body fat percentage, target weight, exercise duration, exercise frequency, preferred exercise type, exercise site, exercise place, and dumbbell weight. It may b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운동 방식이 포함된 운동 처방을 추출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운동 방식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media device that extracts an exercise prescription including at least one exercise method based on user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ereby providing a multimedia device. You can use your device to set up and manage your workou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1. Overview][One. Overview]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전반적이니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verall function of the MP3 p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PUI((1) PUI ( PhysicalPhysical UserUser InterfaceInterface ))

도 1a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MPEG Audio Layer-3 Player)의 PUI에 관하여 도시한 도면 및 버튼별 기능 테이블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MP3P는, 음악파일이나 영상파일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일종으로서,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건강상태, 운동상태, 스케줄에 대한 체크 및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1A and 1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UI of an MPEG Audio Layer-3 Player (MP3P) and a function table for each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P3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kind of multimedia device for reproducing and providing a music file or a video file to a user. The MP3P is a function of not only a multimedia play function but also a check and management of a user's health state, exercise state, and schedule. Do thi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MP3P의 우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Back 버튼(1), volume+ 버튼(2), volume- 버튼(3), Bio 버튼(4), Fitness 버튼(5), Hold&Power 버튼(6), UP 버튼(8), Left 버튼(9), Down 버튼(10), Right 버튼(11), 및 OK 버튼(12)을 포함한다.1A is a front view of an MP3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right side view of the MP3P.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MP3P includes a Back button (1), a volume + button (2), a volume- button (3), a Bio button (4), a Fitness button (5), a Hold & Power button (6), It includes an UP button 8, a Left button 9, a Down button 10, a Right button 11, and an OK button 12.

도 1c는 MP3P의 버튼별 기능이 정리된 테이블이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들은 모두 택트(tac) 타입이고, 짧은 누름(Short Press) 조작과 긴 누름(Long Press) 조작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짧은 누름 조작은 특정 시간 이하 동안 버튼을 눌렀다 떼는 조작을 의미한다. 그리고, 긴 누름 조작은 특정 시간 이상동안 버튼을 누른 상태로 유지하는 조 작을 의미한다. 1C is a table listing functions of buttons of the MP3P. As shown in FIG. 1C, the buttons are all of a tac type, and the function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hort press operation and the long press operation are different. Here, a short pressing operation means an operation of pressing and releasing a button for a specific time or less. And, a long push operation means an operation to keep the button pressed for a specific time or longer.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Back 버튼(1)에 대해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뒤로가기(Back) 기능을 수행하고,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메인 메뉴로 돌아가는 기능을 수행한다.As illustrated in FIG. 1C, the MP3P performs a back functio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ack button 1 and returns to a main menu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그리고, MP3P는 volume+ 버튼(2)에 대해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볼륨 업 기능을 수행하고,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빠른 볼륨 업 기능을 수행한다. The MP3P performs a volume up functio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lume + button 2, and performs a quick volume up function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또한, MP3P는 volume- 버튼(3)에 대해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볼륨 다운 기능을 수행하고,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빠른 볼륨 다운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MP3P performs a volume down functio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lume- button 3, and performs a quick volume down function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그리고, MP3P는 Bio 버튼(4)에 대해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easuring" 기능 또는 "Helpline Define" 기능을 시작하고,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Today's summary"로 가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MP3P starts a "measuring" function or a "Helpline Define" functio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io button 4, and performs a function of going to "Today's summary"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또한, MP3P는 Fitness 버튼(5)에 대해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Fitness 1depth List"로 가는 기능을 수행하고,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Jogging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MP3P performs a function of going to a "Fitness 1depth List"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fitness button 5, and switches to a jogging mode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그리고, MP3P는 Hold&Power 버튼(6)에 대해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홀드 온 모드와 홀드 오프 모드를 번갈아 토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파워 온 및 파워 오프를 번갈아 토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MP3P functions to toggle between the hold on mode and the hold off mode when a short press operation is input to the Hold & Power button (6), and to alternate the power on and power off alternately when a long press operation is input. To perform.

또한, MP3P는 UP 버튼(8)에 대해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위로 이동 기능을 수행하고,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위로 빠른 이동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MP3P performs a upward movement functio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UP button 8, and performs a rapid upward function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그리고, MP3P는 Left 버튼(9)에 대해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왼쪽으로 이동 기능 또는 이전(previous)으로 이동 기능을 수행하고,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왼쪽으로 빠른 이동 기능 또는 뒤로 감기(REW)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MP3P performs a move left function or a previous move functio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left button 9, and a fast moving function or rewinds left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Perform the function.

또한, MP3P는 Down 버튼(10)에 대해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아래로 이동 기능을 수행하고,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아래로 빠른 이동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MP3P performs a downward movement functio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down button 10, and performs a rapid downward function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그리고, MP3P는 Right 버튼(11)에 대해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오른쪽으로 이동 기능 또는 다음(next)으로 이동 기능을 수행하고,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오른쪽으로 빠른 이동 기능 또는 빨리 감기(FF) 기능을 수행한다. The MP3P performs a rightward movement or a next movement functio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button 11, and a fast moving function or fast forwarding (FF)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Perform the function.

또한, MP3P는 OK 버튼(12)에 대해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선택 기능 또는 플레이/일시정지 기능을 수행하고,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Now Playing"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MP3P performs a selection function or a play / pause functio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12 and performs a "Now Playing" function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상술한 버튼들의 상세한 기능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buttons will be described later.

(2) (2) 네비게이션navigation 흐름도( Flowchart ( NavigationNavigation FlowFlow ))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본 MP3P의 메뉴의 기본적인 탐색 방식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메뉴의 네비게이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2, a basic search method of a menu of the MP3P will be described.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avigation of a menu of an MP3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P3P는 크게 3가지 모드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MP3P는 메인메뉴(Main Menu) 표시모드, 리스트(List) 표시모드, 및 컨텐츠 플레이(Contents Play) 모드가 존재한다. MP3P has three modes. In detail, the MP3P includes a main menu display mode, a list display mode, and a contents play mode.

메인메뉴 표시모드는 화면에 메인 메뉴가 표시된 모드를 나타낸다. 그리고, 리스트 표시모드는 특정 컨텐츠들에 대한 리스트이 화면에 표시된 모드를 나타낸다. 그리고, 컨텐츠 플레이 모드는 MP3P가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The main menu display mode indicates a mode in which the main menu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list display mode indicates a mode in which a list of specific contents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content play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the MP3P plays conten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메뉴 표시모드에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Application List)가 선택되면, MP3P는 화면에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여 리스트 표시모드가 된다. 그리고, 컨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MP3P는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플레이 모드가 된다. As shown in FIG. 2, when an application list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display mode, the MP3P displays the content list on the screen to enter the list display mode. When specific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content list, the MP3P enters a content play mode for playing the selected content.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플레이 모드에서 Back 버튼에 대해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리스트 표시모드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리스트 표시모드에서 Back 버튼에 대해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메인메뉴 표시모드로 되돌아 간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ack button in the content play mode, the MP3P returns to the list display mode. The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ack button in the list display mode, the MP3P returns to the main menu display mode.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플레이 모드에서 Back 버튼에 대해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메인메뉴 표시모드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메인 메뉴 표시모드에서 'Application now playing' 아이콘이 선택되면, MP3P는 가장 최근 플레이되었던 컨텐츠를 다시 플레이하는 컨텐츠 플레이 모드가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ack button in the content play mode, the MP3P returns to the main menu display mode. When the 'Application now playing' icon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display mode, the MP3P enters a content play mode for replaying the most recently played content.

이 때, 음악 재생 모드 또는 라디오 모드를 제외한 모든 컨텐츠 재생 모드인 상태에서 메인 메뉴 표시모드로 이동된 경우, MP3P는 재생중이던 컨텐츠를 자동으로 정지하게 된다. 반면, 음악 재생 모드 또는 라디오 모드에서 메인메뉴 표시모드로 이동된 경우, MP3P는 음악이나 라디오를 계속 재생하는 상태에서 메인메뉴를 표시하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moved to the main menu display mode in the state of all contents reproduction mode except the music reproduction mode or the radio mode, the MP3P automatically stops the contents being play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music playback mode or the radio mode is moved to the main menu display mode, the MP3P displays the main menu while playing music or radio continuously.

(3) 하이라이트((3) highlights ( HighlightHighlight ) 위치 기억Remember location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MP3P의 하이라이트 위치 기억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하이라이트 위치 기억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파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highlight position memory function of the MP3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le structure for explaining a highlight position memory function of the MP3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P3P는 음악 브라우저(Music Browser)를 통해 음악 파일이 저장된 구조를 표시하게 된다. 음악 브라우저는 다양한 폴더 및 파일들을 탐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The MP3P displays a structure in which music files are stored through a music browser. The music browser provides the ability to browse various folders and files.

도 3은 사용자가 Folder2, Folder2-2를 통해 File2-2-1을 선택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File2-2-1를 선택할 경우, MP3P는 사용자가 Folder2, Folder2-2를 통해 File2-2-1을 선택하였음을 기억하고, 폴더 및 파일의 하이라이트 위치를 기억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File2-2-1가 선택된 상태에서 Bac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상위 폴더들에 대한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하이라이트를 Folder2-2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다시 Bac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상위 폴더들에 대한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하이라이트는 Folder2에 표시하게 된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 selects File2-2-1 through Folder2 and Folder2-2. As such, when the user selects File2-2-1, the MP3P remembers that the user has selected File2-2-1 through Folder2 and Folder2-2, and stores the highlight positions of the folder and the file. Therefor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ack button while File2-2-1 is selected in this state, the MP3P displays a list of the upper folders on the screen and highlights the folder 2-2.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ack button again, the MP3P displays a list of upper folders on the screen, and highlights are displayed in Folder2.

이와 같이, MP3P는 가장 최근 선택된 파일에 대한 경로 정보를 기억하며, 폴더 리스트 표시시 최근 선택된 파일의 경로에 해당되는 폴더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게 된다.As such, the MP3P stores path information on the most recently selected file, and highlights the folder corresponding to the path of the recently selected file when displaying the folder list.

(4) 텍스트 슬라이드 시나리오((4) text slide scenarios ( TextText SlideSlide ScenarioScenario ))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고하여, 리스트 표시상태에서 리스트에 포함된 항목의 명칭에 해당되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표시상태에서 리스트에 포함된 항목의 명칭에 해당되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displaying text corresponding to the name of an item included in a list in the list display st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D. 4A to 4D illustrate a process of displaying text corresponding to a name of an item included in a list in a list display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d는 'ABCDE....Z'의 명칭을 가진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MP3P는 명칭이 긴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경우, 명칭에 해당되는 텍스트를 왼쪽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항목의 명칭이 너무 긴 경우, 사용자가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항목의 명칭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4A to 4D show a state where highlights are displayed on an item named 'ABCDE .... Z'. The MP3P slides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name to the left when the highlight is located in the item having a long name, so that when the name of the item is too long, the user can check the name of the item where the highlight is located.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CDE....Z'의 명칭을 가진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위치되면, MP3P는 1초 후에 왼쪽 방향으로 항목의 명칭을 슬라이드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명칭의 끝부분이 항목 표시란의 특정 지점(예를 들어, 항목 표시란의 2/3 지점)을 지날때 명칭의 첫부분이 다시 우측 끝부분에서 다시 슬라이드되어 나오게 한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명칭을 왼쪽 방향으로 계속 슬라이드 한다. 그리고,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칭의 첫부분이 항목 표시란의 왼쪽 끝에 도달한 경우, 2초간 슬라이딩을 정지하고난 후에, 다시 슬라이드를 시작하게 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A, when a highlight is placed on an item named 'ABCDE .... Z', the MP3P starts to slide the name of the item to the left after 1 second. And, as shown in Figure 4b, MP3P, when the end of the name passes a certain point of the item display field (for example, 2/3 point of the item display field) the first part of the name again at the right end Let it slide out again. As shown in FIG. 4C, the MP3P continues to slide the name to the left. As shown in FIG. 4D, when the first part of the name reaches the left end of the item display column, the slide is started again after stopping sliding for 2 seconds.

이와 같이, MP3P는 명칭이 긴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경우, 명칭에 해당되는 텍스트를 왼쪽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항목의 명칭이 너무 긴 경우에도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항목의 명칭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As such, when the highlight is located on an item having a long name, the MP3P slides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name to the left. Thus, the user can check the name of the item in which the highlight is located even if the name of the item is too long.

(5) 파일, 폴더 표시 순서((5) File, folder display order FileFile /Of FolderFolder OrderOrder ))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여, 파일 리스트 및 썸네일 리스트에서 폴더와 파일의 표시 순서에 대한 기준을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리스트 및 썸네일 리스트에서 폴더와 파일의 표시 순서에 대한 기준을 정리한 표이다. 그리고, 도 5b는 유니코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criteria for displaying the order of folders and files in the file list and the thumbnail list will be described. 5A is a table summarizing the criteria for the display order of folders and files in a file list and a thumbnail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llustrates a Unicode table.

도 5a는 폴더 및 파일별 우선순위가 도시된 도면이다. 여기에서, 우선순위는 리스트에서의 표시 순서를 나타낸다. 즉, MP3P는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일수록 리스트에서 위쪽에 표시한다.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priorities of folders and files. Here, the priority indicates the display order in the list. In other words, the higher priority items are displayed in the MP3P list.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폴더의 우선순위를 파일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설정한다. 그리고, MP3P는 폴더 또는 파일 내에서 특수문자, 숫자, 영문 알파벳(대소문자 구분 없음)의 순서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그리고, MP3P는 이외의 문자에 대해서는 유니코드 테이블의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유니코드 테이블은 도 5b를 참고하여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A, the MP3P sets the priority of a folder higher than that of a file. The MP3P determines the priority in the order of special characters, numbers, alphabets (case insensitive) within a folder or file. Then, the MP3P determines the priority of the other characters in the order of the Unicode table. Here, the Unicode table can be checked with reference to FIG. 5B.

이와 같이, MP3P는 도 5a의 테이블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리스트 상의 폴더 및 파일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As such, the MP3P displays the folders and files on the list in the order specified in the table of FIG. 5A.

(6) 타임아웃(Timeout)(6) Timeout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고하여, 타임아웃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타임아웃 기능은 특정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그 화면을 사라지게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timeout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C. Here, the timeout function indicates a function of disappearing the screen after a certain time while the specific screen is displayed.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 메뉴(Context Menu) 또는 Yes/No 팝업(Pop-up)이 표시된 경우의 타임아웃 기능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텍스트 메뉴 또는 Yes/No 팝업은 사용자의 입력이 요구되는 메뉴에 해당된다. 따라서, MP3P는 컨텍스트 메뉴 또는 Yes/No 팝업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15초간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MP3P는 15초간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컨텍스트 메뉴 또는 Yes/No 팝업을 화면에서 제거하게 된다(즉, 클로즈(Close)하게 된다).FIG. 6A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imeout function when a context menu or a yes / no pop-up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A, the context menu or the Yes / No popup corresponds to a menu requiring user input. Therefore, the MP3P waits 15 seconds while the context menu or the Yes / No popup is displayed on the screen. If the user's operation is not input for 15 seconds, the MP3P automatically removes the context menu or the Yes / No popup from the screen (that is, closes it).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인 메시지(Confirm Message)가 표시된 경우의 타임아웃 기능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 메시지는 사용자의 입력이 요구되지 않는 메뉴에 해당된다. 따라서, MP3P는 확인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3초간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MP3P는 3초간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확인 메시지를 화면에서 제거하게 된다(즉, 클로즈(Close)하게 된다).FIG. 6B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imeout function when a confirmation mess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B, the confirmation message corresponds to a menu in which user input is not required. Therefore, the MP3P waits for 3 seconds with the confirmation message displayed on the screen. If the user's operation is not input for three seconds, the MP3P automatically removes the confirmation message from the screen (that is, closes it).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List) 또는 메인메뉴(Main Menu)가 표시된 상태에서 타임아웃 기능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이 백그라운드에서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화면에 리스트 또는 메인메뉴가 표시되면, MP3P는 15초동안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MP3P는 15초간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음악 재생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단, 현재 BioCheck, Fitness, My Diary, Health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백그라운드로 음악이 재생되는 상태인 경우, MP3P는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음악 재생 화면으로 이동하지 않고, 현재 화면을 유지하게 된다. FIG. 6C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imeout function in a state in which a list or a main menu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C, when a list or a main menu is displayed on the screen while music is being played in the background, the MP3P waits for user input for 15 seconds. If the user's operation is not input for 15 seconds, the MP3P automatically moves to the music playback screen. However, if the music is currently playing in the background on the BioCheck, Fitness, My Diary, and Health application screens, the MP3P does not move to the music playback screen but maintains the current screen even if the user's operation is not input.

이와 같이, MP3P는 특정 화면, 메시지 및 메뉴를 일정 시간만 표시하는 타임아웃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As such, the MP3P may provide a timeout function of displaying a specific screen, a message, and a menu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7) 피드백((7) Feedback FeedBackFeedback ) 기능)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여, 피드백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기능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피드백 기능은 특정 컨텐츠에 해당되는 파일이 리스트 상에서 재생 대상으로 선택되면, 선택된 파일의 명칭이 일정 시간동안 깜빡거린 후에 재생화면으로 넘어가게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Hereinafter, a feedback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C. 7A to 7C illustrate a process of implementing a feedba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feedback function means that a fil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ntent is selected as a playback target on the list, and the name of the selected file flashe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goes to the playback screen.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가 "As I Am(Intro)" 파일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을 입력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재생 대상으로 선택된 "As I Am(Intro)" 파일의 명칭을 일정 시간동안 깜빡이게 표시한다. 그 후에,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As I Am(Intro)" 파일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고, 선택된 "As I Am(Intro)" 파일을 재생하게 된다. 이 때, MP3P는 5msec 내지 10msec당 한번씩 깜빡거리도록 피드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A, when the user inputs a short pressing operation to the OK button while the highlight is located in the "As I Am (Intro)" file, as shown in Fig. 7B, the MP3P is selected for playback. The name of the "As I Am (Intro)" file flash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after, as shown in FIG. 7C, the MP3P displays a playback screen of the "As I Am (Intro)" file and plays the selected "As I Am (Intro)" file. At this time, the MP3P may implement a feedback function to blink once every 5msec to 10msec.

이와 같이 MP3P는 선택된 파일의 명칭이 깜빡거리게 하는 피드백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떤 파일을 선택하였는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As such, the MP3P provides a feedback function that causes the name of the selected file to blink,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which file is selected.

(8) (8) MTPMTP /Of MSCMSC 구조 rescue

이하에서는, 도 8을 참고하여, MTP와 MSC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TP 및 MSC의 음악(Music), 비디오(Video), 사진(Picture), 텍스트(Text)에 대한 리스트 표시 구조를 정리한 표이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MTP and the MSC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8 is a table showing a list display structure of music, video, picture, and text of MTP and MS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MTP와 MSC의 음악(Music), 비디오(Video), 사진(Picture), 및 텍스트(Text)에 대한 리스트 표시 구조가 서로 같음을 확인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8, the MP3P may confirm that the list display structure of Music, Video, Picture, and Text of the MTP and the MSC is the same.

그리고, MP3P는 MTP 및 MSC에서 음악을 아티스트(Artist), 앨범(Album), 및 장르(Genre)에 따라 리스트로 표시하거나 또는 폴더 브라우징(Folder Browsing)을 통해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MP3P는 MTP 및 MSC에서 비디오를 하나의 뎁스(Depth)에 모두 리스트화하여 표시한다. 또한, MP3P는 MTP 및 MSC에서 사진 리스트를 표시할 때, Picture 폴더에 존재하는 폴더 및 파일들을 폴더 브라우징하게 된다. 그리고, MP3P는 MTP 및 MSC에서 텍스트 리스트를 표시할 때, Text 폴더에 존재하는 폴더 및 파일들을 폴더 브라우징하게 된다. The MP3P displays music in MTP and MSC as a list according to Artist, Album, and Genre or through Folder Browsing. The MP3P lists and displays the videos in one depth in MTP and MSC. In addition, when the MP3P displays a list of pictures in the MTP and MSC, the folder will browse folders and files existing in the Picture folder. When the MP3P displays the text list in the MTP and MSC, the MP3P performs folder browsing on folders and files existing in the Text folder.

이 때, 다른 폴더에 속한 동일한 이름의 파일이 같은 리스트에 존재할 경우, MP3P는 소속 폴더의 순서에 따라 파일 이름을 그대로 표시하게 된다. At this time, if files of the same name belonging to different folders exist in the same list, the MP3P displays the file names as they are in the order of the belonging folders.

(9) 마지막 파일 재생(9) Play the last file

이하에서는,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여 리스트 상의 마지막 파일이 재생 완 료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상의 마지막 파일이 재생 완료된 경우, 재생완료 메시지가 표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last file on the list is reproduc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A and 9B. 9A and 9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play completion message when a last file on a list is finished play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는 MP3가 리스트 상에 표시된 12개의 파일 중 마지막 파일인 12번째 파일을 재생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마지막 파일의 재생이 완료되면, MP3P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의 재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리스트 상의 첫번째 파일에 대한 재생 시작화면에서 정지하게 된다. FIG. 9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reproducing a twelfth file which is the last file among twelve files displayed on the list. As such, when the playback of the last file is completed,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layback of the list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9B. Then, it stops at the playback start screen for the first file on the list.

이와 같이, MP3P는 리스트 상의 마지막 파일의 재생을 완료한 경우, 재생 완료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스트 상의 파일들이 모두 재생되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the MP3P completes the playback of the last file on the list, the MP3P displays a playback completion message on the screen. Thus,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all the files on the list have been played.

(10) 리스트 표시방식(10) List display method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고하여, MP3P의 리스트 표시방식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list display method of the MP3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music list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음악 리스트에 각 음악 항목들의 명칭만 표시한다. 음악 리스트의 항목들은 모두 음악 파일이므로 파일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별도의 아이콘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MP3P는 음악 리스트의 각 항목에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고, 음악 항목의 명칭만을 표시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0, the MP3P displays only names of respective music items in the music list. Since the items of the music list are all music files, a separate icon for classifying the file type is not necessary. Accordingly, the MP3P does not display an icon for each item of the music list, but only displays the name of the music item.

하지만, 'My Files'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파일들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하 는 경우, MP3P는 항목의 명칭과 해당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함께 표시하게 된다. However, when displaying a menu containing various types of files such as 'My Files', the MP3P displays the name of the item and an icon indicating the type of the file.

(11) (11) 인포메이션information 영역( domain( InformationInformation AreaArea ))

이하에서는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여, MP3P 화면의 인포메이션 영역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 화면 중 리스트 화면의 인포메이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인포메이션 영역은 화면 상단에 바 형태로 표시되는 영역으로, MP3P의 현재 상태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해당된다. Hereinafter, the information area of the MP3P scree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A and 11B. FIG. 11A illustrates an information area of a list screen among MP3P scre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 the information area is an area displayed in a bar shape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corresponds to an area in which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MP3P is displayed.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화면의 인포메이션 영역은 5개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다. 제1 서브 영역(①)은 재생/일시정지(Play/Pause)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에 해당된다. 즉, 제1 서브 영역(①)은 현재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에 해당된다. As shown in FIG. 11A, the information area of the list screen is divided into five sub areas. The first sub area ① corresponds to an area where a play / pause icon is displayed. That is, the first sub area ① corresponds to an area which displays the reproduction state of the current content.

제2 서브 영역(②)은 이전 단계의 진입 경로의 명칭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제2 서브 영역(②)에는 현재 표시되는 파일들이 소속된 폴더의 명칭이 표시될 수 있다. The second sub area ② is an area where the name of the entry path of the previous step is displayed. For example, a name of a folder to which files currently displayed may belong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sub area ②.

제3 서브 영역(③)은 현재 선택된 파일의 순서 및 현재 카테고리 내의 파일의 개수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제3 서브 영역(③)에 '2/21'이 표시된 경우, 현재 카테고리 내에 21개의 파일이 포함되어 있고, 현재 선택된 파일은 2번째 파일에 해당되는 것을 나타낸다. The third sub area ③ is an area in which the order of the currently selected file and the number of files in the current category are displayed. For example, when '2/21' is displayed in the third sub area ③, 21 files are included in the current category, and the currently selected file corresponds to the second file.

제4 서브 영역(④)은 만보기(Pedometer) 기능의 온/오프 상태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제4 서브 영역(④)에 사람이 걷는 형상의 아이콘이 표시되면, 이는 만보기 기능이 온된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4 서브 영역(④)에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거나, 아이콘에 엑스가 표시된 경우, 이는 만보기 기능이 오프된 상태를 나타낸다. The fourth sub-area ④ is an area where the on / off state of the pedometer function is displayed. If an icon in the shape of a person walking is displayed in the fourth sub-region (4), this indicates that the pedometer function is turned on. If the icon is not displayed in the fourth sub-region ④ or if X is displayed on the icon, this indicates that the pedometer function is turned off.

제5 서브 영역(⑤)은 배터리의 남은 용량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The fifth sub area ⑤ is an area in which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is displayed.

이와 같이, MP3P는 리스트 화면에 대한 인포메이션 영역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리스트 화면에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MP3P displays the information area on the list screen, so that the user can check various information on the list screen.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 화면 중 재생 화면의 인포메이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화면의 인포메이션 영역은 5개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된다. FIG. 1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area of a playback screen of an MP3P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s shown in FIG. 11B, the information area of the reproduction screen is divided into five sub areas.

제1 서브 영역(①)은 재생/일시정지(Play/Pause)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에 해당된다. 즉, 제1 서브 영역(①)은 현재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에 해당된다. The first sub area ① corresponds to an area where a play / pause icon is displayed. That is, the first sub area ① corresponds to an area which displays the reproduction state of the current content.

제2 서브 영역(②)은 재생 모드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여기에서, 재생모드는 한곡 듣기 모드, 한곡만 반복 듣기 모드, 리스트 한번 듣기 모드, 리스트 반복 듣기 모드, 전체 한번 듣기 모드, 전체 반복 듣기 모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되는 화살표가 표시된 경우 전체 반복 듣기 모드를 나타내게 된다. The second sub area ② is an area where the playback mode is displayed. In this case, the play mode may be any one of a listening mode, a single listening mode, a list listening mode, a list listening mode, a list listening mode, and a repeat mode. As shown in FIG. 11B, when a circular arrow is displayed, it indicates the entire repeat listening mode.

제3 서브 영역(③)은 현재 시간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The third sub area ③ is an area where the current time is displayed.

제4 서브 영역(④)은 만보기(Pedometer) 기능의 온/오프 상태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제4 서브 영역(④)에 사람이 걷는 형상의 아이콘이 표시되면, 이는 만보기 기능이 온된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4 서브 영역(④)에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거나, 아이콘에 엑스가 표시된 경우, 이는 만보기 기능이 오프된 상태를 나타낸다. The fourth sub-area ④ is an area where the on / off state of the pedometer function is displayed. If an icon in the shape of a person walking is displayed in the fourth sub-region (4), this indicates that the pedometer function is turned on. If the icon is not displayed in the fourth sub-region ④ or if X is displayed on the icon, this indicates that the pedometer function is turned off.

제5 서브 영역(⑤)은 배터리의 남은 용량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The fifth sub area ⑤ is an area in which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is displayed.

이와 같이, MP3P는 재생 화면에 대한 인포메이션 영역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재생 화면에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MP3P displays the information area for the playback screen, so that the user can check various information on the playback screen.

(12) 리스트 탐색방법((12) List Search Method ListList NavigationNavigation ))

이하에서는, 도 12a 내지 도 12b를 참고하여, 리스트 내에서 각 항목을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버튼의 짧은 누름 조작을 이용하여 리스트의 항목을 탐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가 'List 1'에 위치된 상태에서 Down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8번 입력되면, MP3P는 8칸 밑에 위치된 'List 9'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하이라이트가 'List 9'에 위치된 상태에서 Down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1번 입력되면, MP3P는 1칸 밑에 위치된 'List 10'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하이라이트가 'List 10'에 위치된 상태에서 Down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1번 입력되면, MP3P는 1칸 밑에 위치된 'List 11'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게 된다. Hereinafter, a method of searching for each item in a lis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A to 12B. 12A illustrates a method of searching for an item in a list using a short pressing operation of a direction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A,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Down button 8 times while the highlight is located in 'List 1', the MP3P displays the highlight in 'List 9' positioned below 8 columns.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down button once while the highlight is located in 'List 9', the MP3P displays the highlight in 'List 10' located under one column. In additio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Down button once while the highlight is located in 'List 10', the MP3P displays the highlight in 'List 11' located below one column.

한편, 하이라이트가 'List 11'에 위치된 상태에서 Up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1번 입력되면, MP3P는 1칸 위에 위치된 'List 10'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하이라이트가 'List 10'에 위치된 상태에서 Up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1번 입력되면, MP3P는 1칸 위에 위치된 'List 9'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하이라이트가 'List 9'에 위치된 상태에서 Up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8번 입력되면, MP3P는 8칸 위에 위치된 'List 1'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Up button once while the highlight is located in 'List 11', the MP3P displays the highlight in 'List 10' located one space abov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Up button once while the highlight is located in 'List 10', the MP3P displays the highlight in 'List 9' positioned one column above. In addition,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Up button 8 times while the highlight is located in 'List 9', the MP3P displays the highlight in 'List 1' positioned above 8 spaces.

이와 같이, Up 버튼과 Down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상하 방향으로 한칸씩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게 된다. As such,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Up button and the Down button, the MP3P moves the highlight by one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Left 버튼 또는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페이지 단위로 하이라이트를 이동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Left button or the Right button, the MP3P moves the highlight on a page basis.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버튼의 긴 누름 조작을 이용하여 리스트의 항목을 탐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가 'List 1'에 위치된 상태에서 Down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일정시간 입력되면, MP3P는 8칸 밑에 위치된 'List 9'로 하이라이트를 점진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하이라이트가 'List 9'에 위치된 상태에서 UP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일정시간 입력되면, MP3P는 8칸 위에 위치된 'List 1'로 하이라이트를 점진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12B is a diagram for a method of searching for an item of a list by using a long pressing operation of a direction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B,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Down button while the highlight is located in 'List 1', the MP3P gradually moves the highlight to 'List 9' located below 8 spaces. . In addition,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UP button while the highlight is located in 'List 9', the MP3P gradually moves the highlight to 'List 1' positioned over 8 spaces.

이와 같이, Up 버튼과 Down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하이라이트를 점진적으로 가속하여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된 시간만큼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MP3P는 Up 버튼과 Down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하이라 이트의 이동속도를 점진적으로 빨라지게 가속하다가 일정 속도에 도달하면 그 이동속도를 유지하게 된다. As such,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Up button and the Down button, the MP3P gradually accelerates the highlight and moves the highlight by the input time of the long pressing operation. At this time,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Up button and the Down button, the MP3P accelerates the moving speed of the highlight gradually and maintains the moving speed when a certain speed is reached.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MP3P는 방향버튼을 이용한 리스트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향버튼을 이용하여 리스트 내의 항목을 쉽게 탐색할 수 있게 된다. Using this method, the MP3P provides a list navigation function using direction buttons.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navigate the items in the list by using the direction buttons.

(13) (13) 와이즈Wise 볼륨( volume( WiseWise VolumeVolume ) 기능)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13a 내지 도 13j를 참고하여, 와이즈 볼륨 기능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a 내지 도 13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즈 볼륨 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Wise volume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A to 13J. 13A to 13J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executing the Wise volume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와이즈 볼륨 기능은 사용자가 일정 볼륨(예를 들어, 85 ~ 90dB) 이상으로 일정 시간(예를 들어 6시간) 이상 들은 경우, MP3P가 볼륨을 일정값 이상으로 설정되지 않도록 강제적으로 제한하는 기능이다. 즉, 와이즈 볼륨 기능이 실행된 경우, 일정 소음 기준(예를 들어, 85 ~ 90dB 이상으로 6시간 이상)을 초과하면, MP3P는 조절 가능한 최대 볼륨이 낮아지도록 설정한다. The Wise volume function is a function that forces the MP3P to not set the volume above a certain value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predetermined volume (for example, 85 to 90 dB) or mor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6 hours). In other words, when the Wise volume function is executed, the MP3P sets the adjustable maximum volume to be lowered when a certain noise criterion is exceeded (eg, 6 hours or more, for example, 85 to 90 dB or more).

또한, 와이즈 볼륨 기능은 볼륨 상태를 안전(Safe) 상태, 경고(Warning) 상태 및 위험(Danger) 상태의 3가지로 구분하게 된다. MP3P는 안전 상태에서 일정 볼륨(예를 들어, 85 ~ 90dB) 이상으로 일정 시간(예를 들어 6시간) 이상 재생된 경우, 볼륨 상태를 경고 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MP3P는 경고 상태에서 일정 볼륨(예를 들어, 85 ~ 90dB) 이상으로 일정 시간(예를 들어 6시간) 이상 재생된 경우, 볼륨 상태를 위험 상태로 전환한다. In addition, the Wise volume function divides the volume state into three categories: a safe state, a warning state, and a dangerous state. The MP3P switches the volume state to a warning state when the MP3P has been 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6 hours) over a predetermined volume (for example, 85 to 90 dB) in a safe state. The MP3P converts the volume state into a dangerous state when the MP3P is reproduc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6 hours) by a predetermined volume (for example, 85 to 90 dB) or more in a warning state.

MP3P는 각 볼륨 상태마다 볼륨 조절 바의 색깔이 다르게 표시되고 최고 볼륨이 달라지게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MP3P는 안전 상태에서 볼륨 조절 바를 녹색으로 표시하고, 최고 볼륨을 3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MP3P는 경고 상태에서 볼륨 조절 바를 노란색으로 표시하고, 최고 볼륨을 3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MP3P는 위험 상태에서 볼륨 조절 바를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최고 볼륨을 15로 제한할 수도 있다. MP3P sets the volume control bar to display different colors and maximum volume for each volume status. Specifically, the MP3P may display the volume control bar in green and set the maximum volume to 30 in a safe state. In addition, the MP3P displays the volume control bar in yellow in a warning state and sets the maximum volume to 30. MP3P can also mark the volume control bar in red at risk and limit the maximum volume to 15.

또한, MP3P는 볼륨이 제한된 위험 상태가 된 후에 1일 허용 소음치의 1/2가 되는 시점에 볼륨 제한을 해제하고 안전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MP3P may release the volume limit and switch to a safe state when the volume becomes 1/2 of the allowable noise level per day after the volume becomes a dangerous state.

구체적으로, 도 13a는 와이즈 볼륨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음악이 재생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볼륨 이상으로 일정 시간이상 음악이 재생되는 상태가 유지된 경우,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볼륨을 줄이라는 경고(Warning)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MP3P는 와이즈 볼륨 경고 상태로 설정하게 된다. Specifically, FIG. 13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music is played while the Wise volume function is executed. As shown in FIG. 13A, when music is being 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MP3P displays a warning message to decrease the volume, as shown in FIG. 13B. The MP3P is set to the wise volume warning state.

경고 메시지가 3초간 디스플레이된 후에, MP3P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음악 재생화면을 표시한다. 그 후에, 사용자에 의해 볼륨 조절 조작이 입력되면,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볼륨 조절 바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 때, MP3P는 와이즈 볼륨 경고 상태이므로 볼륨바를 노란색으로 표시하게 된다. After the warning message is displayed for 3 seconds, the MP3P displays the music playback screen again, as shown in Fig. 13C. After that, when the volume adjustment operation is input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3D, the MP3P displays the volume adjustment bar on the screen. At this time, since the MP3P is in the wise volume warning state, the volume bar is displayed in yellow.

그 후에도,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시간 이상 일정 볼륨 이상으로 음악 재생상태가 지속된 경우, 도 1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을 제한한다는 제한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MP3P는 와이즈 볼륨 위험 상태로 설정된다. 제한 메시지가 표시된지 3초가 지나면, 도 1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다시 음악 재생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After that, as shown in FIG. 13E, when the music reproduction state continues over a certain volum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s shown in FIG. 13F, a restrict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 volume is limited is displayed. The MP3P is then set to a wise volume risk state. Three seconds after the restriction messag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3G, the MP3P again displays the music playback screen.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볼륨 조절 조작이 입력되면, 볼륨 조절바는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최고 볼륨은 15로 제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volume control operation is input by the user, the volume control bar is displayed in red and the maximum volume is limited to 15.

그 후에, 1일 허용 소음치의 1/2가 되는 시점에, MP3P는 도 13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 제한이 해제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MP3P는 볼륨 상태를 안전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Thereafter, at a time when it becomes 1/2 of the allowable noise level per day,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volume restriction is released, as shown in Fig. 13I. The MP3P then switches the volume state to a safe state.

그 후에, 사용자에 의해 볼륨 조절 조작이 입력되면, 도 13j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볼륨 조절바를 녹색으로 표시하고, 최고 음량도 다시 30으로 설정하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volume adjustment operation is input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3J, the MP3P displays the volume control bar in green and sets the maximum volume to 30 again.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와이즈 볼륨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provides a wise volume function.

(14) 파일이 없는 경우(14) File not found

이하에서는 도 14a 및 도 14b를 참고하여, 선택된 카테고리에 파일이 없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파일이 없는 경우에 대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re is no file in the selected categor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A and 14B. 14A and 14B illustrate screens when there is no file in a selected category.

도 14a는 사용자가 Music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Music 카테고리가 선택되었으나 Music 카 테고리에 음악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파일이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1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user selects a music category. As shown in FIG. 14A, when the Music category is selected by the user but no music file exists in the Music category, as shown in FIG. 14B, the MP3P causes the MP3P to display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no file on the screen. do.

따라서, 사용자는 파일 없음 메시지를 확인하여 현재 카테고리에 파일이 없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Thus,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re are no files in the current category by checking the file missing message.

(15) 지원되지 않는 음악파일의 경우 (15) Unsupported music files

이하에서는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고하여, 지원되지 않는 음악 파일이 선택된 경우 설명한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원되지 않는 음악 파일이 선택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case in which music files which are not supported are selec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A to 15C. 15A to 15C illustrate a case where an unsupported music file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song 1' 파일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ng 1' 파일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 때, 'song 1' 파일이 MP3P가 플레이할 수 없는 음악 파일인 경우, MP3P는 3초후에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음악리스트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MP3P는 리스트 상에서 재생 불가능한 파일인 'song 1' 파일에 재생 불가 아이콘에 해당되는 엑스자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5A, when the 'song 1' fil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a reproduction screen of the 'song 1' file as shown in FIG. 15B. At this time, if the 'song 1' file is a music file that the MP3P cannot play, the MP3P displays the music list screen again as shown in FIG. 15C after 3 seconds. The MP3P displays an X-shaped icon corresponding to the non-playable icon on the 'song 1' file, which is a non-playable file on the list.

이와 같이, MP3P는 선택된 음악 파일이 재생 불가능한 파일인 경우, 리스트 상에서 재생 불가능한 파일이 표시된 항목에 재생 불가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재생불가능한 음악 파일이 어떤 것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lected music file is a non-playable file, the MP3P displays a non-playable icon on an item on which a non-playable file is displayed on the list.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grasp which music file is unplayable.

(16) 재생 불가능한 비디오 파일의 경우(16) For video files that cannot be played

이하에서는 도 16a 내지 도 16f를 참고하여, 지원되지 않는 비디오 파일이 선택된 경우 설명한다. 비디오 파일의 경우, 비디오 코덱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와 오디오 코덱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Hereinafter, a case in which a video file which is not supported is selec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A to 16F. In the case of a video file, it can be divided into a case in which a video codec is not supported and an case in which an audio codec is not supported.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코덱이 지원되지 않는 비디오 파일이 선택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Love Actually 1' 비디오 파일은 비디오 코덱이 지원되지 않는 파일인 것으로 가정한다. 16A to 16C illustrate a case in which a video file in which a video codec is not supported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t is assumed that the 'Love Actually 1' video file is a file whose video codec is not supported.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Love Actually 1' 비디오 파일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원되지 않는 포맷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MP3P는 3초후에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비디오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MP3P는 비디오 리스트 상에서 재생 불가능한 파일인 'Love Actually 1' 파일에 재생 불가 아이콘에 해당되는 엑스자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6A, when the video file 'Love Actually 1'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ormat is not supported as illustrated in FIG. 16B. After 3 seconds, the MP3P displays the video list screen again as shown in FIG. 16C. The MP3P displays an X-shaped icon corresponding to the non-playable icon on the file 'Love Actually 1' which is a file that cannot be played on the video list.

이와 같이, MP3P는 선택된 비디오 파일이 비디오 코덱이 지원 불가능한 파일인 경우, 오디오 코덱에 상관없이 비디오 파일을 재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MP3P는 리스트 상에서 재생 불가능한 파일이 표시된 항목에 재생 불가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재생 불가능한 비디오 파일이 어떤 것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the selected video file is a file that cannot be supported by the video codec, the MP3P does not play the video file regardless of the audio codec. The MP3P displays a non-playable icon on an item on which a file that cannot be played on the list is displayed. Thus, the user can easily grasp which video file is not playable.

도 16d 내지 도 1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코덱이 지원되지 않는 비디오 파일이 선택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Love Actually 1' 비디오 파일은 오디오 코덱이 지원되지 않는 파일인 것으로 가정한다. 16D to 16F illustrate a case in which a video file in which an audio codec is not supported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t is assumed that the 'Love Actually 1' video file is a file whose audio codec is not supported.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Love Actually 1' 비디오 파일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원되지 않는 오디오 코덱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MP3P는 3초후에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비디오 파일을 재생하게 된다. 이 때, 오디오 코덱이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MP3P는 오디오는 출력하지 못하고 화면상에 비디오만을 출력하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6D, when the 'Love Actually 1' video fil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audio codec is not supported as illustrated in FIG. 16E. After 3 seconds, the MP3P plays the selected video file as shown in Fig. 16C. At this time, since the audio codec is not supported, the MP3P outputs only video on the screen without outputting audio.

이와 같이, MP3P는 선택된 비디오 파일이 오디오 코덱이 지원 불가능한 파일인 경우, 비디오만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된 비디오 파일이 오디오 코덱이 지원되지 않는 파일임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the selected video file is a file that cannot be supported by the audio codec, the MP3P displays only the video on the screen. Thus,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at the selected video file is a file that is not supported by the audio codec.

(17) 기간제 (17) term system 라이센스license 파일( file( TimeTime -- limitlimit LicenseLicense FileFile ))

이하에서는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고하여, 기간제 라이센스 파일의 기간이 만료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간제 라이센스 파일의 기간이 만료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기간제 라이센스 파일은 일정 기간동안 재생할 수 있는 파일을 의미한다. 유료 사이트에서 다운로드받은 파일의 경우, 사용 가능한 기간이 제한되어 있으며, 이러한 파일을 본 명세서에서는 기간제 라이센스 파일이라고 칭한다. 하지만, 이는 명칭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term of the term license file has expir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A to 17C. 17A to 17C illustrate a case in which a term of a term license file is exp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term license file means a file that can be played back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case of a file downloaded from a paid site, the available period is limited, and such a file is referred to as a term license f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f course, this is not limited to names.

여기에서, 'Love Actually 1' 비디오 파일은 기간제 라이센스 파일이며, 현 재 사용가능 기간이 만료된 파일에 해당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Here, it is assumed that the video file 'Love Actually 1' is a term license file and corresponds to a file whose current available period has expired.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Love Actually 1' 비디오 파일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가능 기간이 만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MP3P는 3초후에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비디오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MP3P는 비디오 리스트 상에서 기간이 만료된 파일인 'Love Actually 1' 파일에 기간 만료 아이콘에 해당되는 엑스자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7A, when the video file 'Love Actually 1'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available period has expired, as shown in FIG. 17B. After 3 seconds, the MP3P displays the video list screen again as shown in FIG. 17C. The MP3P displays an X-shaped icon corresponding to the expiration icon on the 'Love Actually 1' file, which is the expired file, on the video list.

이와 같이, MP3P는 선택된 기간제 라이센스 파일이 기간이 만료된 파일인 경우, 선택된 파일을 재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MP3P는 리스트 상에서 기간 만료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간이 만료된 기간제 라이센스 파일이 어떤 것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the selected term-based license file is a file whose term has expired, the MP3P does not play the selected file. The MP3P then displays a period expiration icon on the list. Thus,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which term license file has expired.

(18) 파워 온/(18) power on / 오프off 동작 action

이하에서는 도 18a 및 도 18b를 참고하여,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가 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가 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going from a power off state to a power on st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A and 18B. 18A and 18B illustrate a process of going from a power off state to a power 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P3P는 Hold & Power 버튼의 긴 누름 조작에 의해 파워 온 및 파워 오프를 토글한다. 예를 들어, MP3P는 파워 오프 상태에서 Hold & Power 버튼이 1.5초 이상 눌러지면, 파워 온 하게 된다. The MP3P toggles power on and power off by long press of the Hold & Power button. For example, the MP3P will power on if the Hold & Power button is pressed for more than 1.5 seconds when powered off.

MP3P는 파워 오프에서 파워 온 상태가 될 때, 파워 오프될 당시의 화면과 동 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로 파워온 된다. 다만, MP3P는 파워 온 될 때, 팝업창은 닫은 상태로 파워온 된다. 또한, MP3P는 파워 오프될 당시에 컨텐츠가 재생 중이었던 경우, 파워온 될때 자동으로 컨텐츠를 재생하고, 컨텐츠가 일시 정지 중이었던 경우, 파워온 될때 일시정지상태를 유지한다. When the MP3P is powered on from power off, the MP3P is powered on displaying the same screen as the screen at the time of power off. However, when the MP3P is powered on, the popup window is powered on with it closed. In addition, the MP3P automatically plays the content when it is powered on when the content is being played at the time of power off, and maintains the pause state when the power is turned on when the content is paused.

또한, MP3P는 백그라운드로 음악이 재생됨과 동시에 리스트, 메인메뉴, 세팅메뉴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파워오프된 경우, 다시 파워온 될때 음악 재생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MP3P is powered off while the music is played in the background and one of the list, main menu, and setting menu is displayed, the MP3P displays the music playback screen when the power is turned on again.

그리고, MP3P는 백그라운드로 음악이 재생됨과 동시에 사진, 텍스트, 오피스 뷰어(Office viewer)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파워오프된 경우, M다시 파워온 될때 백그라운드로 음악이 재생됨과 동시에 사진, 텍스트, 오피스 뷰어(Office viewer)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MP3P is powered off while the music is being played in the background and one of the pictures, texts, or office viewers is displayed, the music is played in the background when the power is turned on again. Any one of the office viewers is maintained.

또한, MP3P는 파워온 될 때, 재생중이던 파일이 삭제된 경우 메인 메뉴로 이동하게 된다. Also, when the MP3P is powered on, if the file being played is deleted, the MP3P moves to the main menu.

도 18a 및 도 18b는 이전에 라디오를 실행 중인 상태에서 파워오프된 후, 다시 파워온 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가 파워오프된 상태에서 Hold & Power 버튼의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오가 실행되는 상태로 파워온 되게 된다. 18A and 18B illustrate a case where power is turned on again after being powered off in a state where a radio is previously being executed. As shown in FIG. 18A, when the long press operation of the Hold & Power button is input while the MP3P is powered off, the radio is powered on as shown in FIG. 18B.

이와 같이, MP3P는 파워 오프될 당시의 상태를 기억하였다가 파워 온 될 때 이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MP3P를 켤때 이전에 이용하였던 기능을 계속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MP3P remembers the state at the time of powering off and maintains the previous state when powering on. Thus, the user can continue to use the functions previously used when turning on the MP3P.

(19) 홀드((19) Hold HoldHold ) 기능)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19a 내지 도 19h를 참고하여, 홀드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MP3P는 Hold & Power 버튼의 짧은 누름 조작에 의해 홀드 온 및 홀드 오프를 토글한다. 예를 들어, MP3P는 홀드 오프 상태에서 Hold & Power 버튼이 1.5초 이하로 눌러지면, 홀드 온 상태가 된다. 홀드 온 상태에서는 Hold & Power 버튼 및 볼륨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버튼 및 터치 스크린은 동작하지 않게 된다. Hereinafter, the hold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9A to 19H. The MP3P toggles hold on and hold off by a short press of the Hold & Power button. For example, the MP3P is held on when the Hold & Power button is pressed for 1.5 seconds or less in the hold off state. In the hold-on state, the buttons and touch screen except for the Hold & Power button and the volume button do not operate.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및 사진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를 제외한 모든 상태에서 홀드온이 설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9A to 19C illustrate a process in which hold-ons are set in all states except a state in which video and photo playback screens ar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Hold & Power 버튼이 눌러지면, MP3P는 도 19b와 같이 홀드 온 상태가 된다. MP3P는 비디오 및 사진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를 제외한 모든 상태에서 홀드 온이 설정되면, 화면이 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9A, when the Hold & Power button is pressed while the main menu is displayed, the MP3P is in the hold on state as shown in FIG. 19B. The MP3P can confirm that the screen is turned off when the hold on is set in all states except the video and photo playback screens.

그리고, 홀드온 상태에서 Hold & Power 버튼 및 볼륨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버튼이 눌러진 경우,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Hold & Power 버튼을 누르라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때,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Hold & Power 버튼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When the buttons other than the Hold & Power button and the volume button are pressed in the hold-on state, as illustrated in FIG. 19C, the MP3P displays a guide message for pressing the Hold & Power button.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9C, the MP3P displays the position of the Hold & Power button on the screen.

이와 같이, MP3P는 Hold & Power 버튼이 어디 있는지 표시해주기 때문에, 사용자는 홀드 온 상태를 홀드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MP3P displays where the Hold & Power button is located,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how to switch the hold on state to the hold off state.

도 19d 내지 도 19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및 사진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홀드온이 설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비디오 및 사진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홀드온이 설정되는 경우, MP3P는 홀드온 상태가 되더라도 화면을 끄지 않게 된다. 19D to 19H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hold on in a state where a video and photo playback scree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hold-on is set while the video and photo playback screens are displayed, the MP3P does not turn off the screen even when the hold-on state is set.

도 1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가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태에서 Hold & Power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2회 깜빡거리게 된다. 그 후에, MP3P는 도 1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화면에서 동영상의 플레이를 일시정지하고 화면의 왼쪽 상단에 홀드온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MP3P는 2초 후에 도 1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드온 아이콘을 화면에서 사라지게 한다. As shown in FIG. 19D,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Hold & Power button while the MP3P is playing a video, the MP3P flickers the screen twice as shown in FIG. 19E. Thereafter, as shown in FIG. 19F, the MP3P pauses play of the video on the current screen and displays a hold-on icon on the upper left of the screen. After 2 seconds, the MP3P causes the hold-on icon to disappear from the screen as shown in FIG. 19G.

그리고, 홀드온 상태에서 Hold & Power 버튼 및 볼륨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버튼이 눌러진 경우, 도 1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Hold & Power 버튼을 누르라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때, 도 1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Hold & Power 버튼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When the buttons other than the Hold & Power button and the volume button are pressed in the hold-on state, as illustrated in FIG. 19H, the MP3P displays a guide message for pressing the Hold & Power button.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9H, the MP3P displays the position of the Hold & Power button on the screen.

이와 같이, MP3P는 비디오나 사진이 재생되는 상태에서 홀드 온 상태가 된 경우, 버튼만 동작하지 않게 되고 화면을 끄지는 않게 된다. As such, when the MP3P is held on in a state where a video or a picture is being played, only the button does not operate and the screen is not turned off.

(20) (20) USBUSB 연결  connect

이하에서는 도 20a 내지 도 20i를 참고하여, MP3P가 USB를 통해 PC에 연결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a 내지 도 20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가 USB를 통해 PC에 연결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case in which an MP3P is connected to a PC through US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A to 20I. 20A to 20I illustrate a case in which an MP3P is connected to a PC via US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가 파워오프된 상태에서 USB를 통해 PC와 연결되면,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USB 연결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화면 우측 상단에 충전중임을 나타내는 배터리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이 상태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MP3P는 LCD 화면을 끄게 된다. As shown in FIG. 20A, when the MP3P is connected to the PC through the USB while the MP3P is powered off, as shown in FIG. 20B, the MP3P displays a USB connection message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20B, the MP3P displays a battery icon indicating that it is charging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scre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MP3P will turn off the LCD screen.

이 상태에서, PC와 MP3P간의 파일 전송이 발생하면, MP3P는 파일이 전송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파일 전송이 완료되면, MP3P는 도 2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연결 메시지를 다시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a file transfer occurs between the PC and the MP3P,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file is being transferred. When the file transfer is completed, the MP3P displays the USB connection message again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20E.

한편, 도 2b와 같이 USB 연결 메시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PC를 통해 USB의 연결을 소프트웨어적으로 해제한 경우, 도 2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USB 케이블 연결이 해제된 경우, 도 20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USB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 후에, MP3P는 도 20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 파일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라이브러리 업데이트(Library Update)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라이브러리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MP3P는 도 20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파워 오프상태가 된다.Meanwhile, when the user releases the USB connection through the PC in a state where the USB connection messag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2B, as shown in FIG. 20F,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is released. Done. When the USB cable is disconnected, as shown in FIG. 20G,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USB connection is released. Thereafter, as shown in FIG. 20H, the MP3P performs a library update to update changed files. When the library update is completed, the MP3P is again powered off, as shown in FIG. 20I.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USB 연결 및 해제 과정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displays the USB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process on the screen.

(21) 배터리 충전 과정(21) Battery Charging Process

이하에서는 도 21a 내지 도 21g를 참고하여, 배터리 충전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1a 내지 도 21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배터리 충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battery charg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1A to 21G. 21A to 21G illustrate a battery charging process of an MP3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a는 음악을 재생중인 MP3P의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충전 어댑터가 MP3P에 연결된 경우, MP3P는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우측 상단의 배터리 모양의 아이콘에 배터리가 충전중임을 나타내는 애니매이션이 표시된다. 그리고, 배터리가 완충된 경우, MP3P는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가 완충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화면의 우측 상단에 표시하게 된다. 그 후에. 어댑터가 제거되면, MP3P는 우측 상단에 배터리의 남은 용량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21A shows a screen of an MP3P that is playing music. In this state, when the charging adapter is connected to the MP3P, the MP3P displays an animation indicating that the battery is being charged on the battery icon in the upper right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21B. When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the MP3P displays an icon indicating that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21C. After that. When the adapter is removed, the MP3P will display an icon indicating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in the upper right corner.

한편, 도 2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가 파워 오프인 상태에서 어댑터가 연결되면, MP3P는 충전 중임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MP3P가 파워온 된 경우, MP3P는 도 2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가 충전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의 애니메이션을 화면의 우측 상단에 표시하게 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1E, when the adapter is connected while the MP3P is powered off, the MP3P displays a screen indicating charging. When the MP3P is powered on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21G, the MP3P displays an animation of an icon indicating that the battery is being charg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screen.

(22) 배터리 부족 표시(22) Low battery indication

이하에서는 도 22a 내지 도 22d를 참고하여, 배터리가 부족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a 내지 도 2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가 배터리가 부 족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battery is insuffici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A to 22D. 22A to 22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MP3P lacks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가 음악을 재생하는 상태에서 배터리의 잔량이 1분간 사용할 수 있는 만큼 남은 경우, MP3P는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우측 상단의 배터리 아이콘을 깜빡거리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 잔량이 없는 경우, MP3P는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가 부족하여 전원을 오프한다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MP3P는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오프 상태가 된다. As shown in FIG. 22A, when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remains for one minute while the MP3P is playing music, the MP3P blinks the battery icon at the upper right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22B. If there is no remaining battery power,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battery is turned off due to low battery as shown in FIG. 22C. Then, the MP3P is turned off as shown in FIG. 22D.

이와 같이, MP3P는 배터리가 부족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주게 된다. In this way, the MP3P will notify the user in advance if the battery is low.

(23) 펌웨어 업그레이드 과정(23) Firmware Upgrade Process

이하에서는 도 23a 내지 도 23f를 참고하여 펌웨어 업그레이드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a 내지 도 2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웨어 업그레이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firmware upgrade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3A to 23F. 23A to 23F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irmware upgrade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가 파워오프인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가 될 때, MP3P는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한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한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런 후에, MP3P는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 애니매이션을 디스플레이한 후에, 도 2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3A, when the MP3P is in the power-off state from the power-off state, the MP3P determines whether a file for firmware upgrade is stored. If a file for firmware upgrade is stored, as illustrated in FIG. 23B, the MP3P performs firmware upgrade. When the firmware upgrade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23C,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rmware upgrade is completed. Thereafter, after the MP3P displays the start animation as shown in FIG. 23D, the MP3P displays the main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23E.

반면,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실패한 경우, 도 2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MP3P는 3초가 지난 후에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한 후에, 도 2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mware upgrade fails, as shown in FIG. 23F,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rmware upgrade has failed. After 3 seconds, the MP3P displays the start animation as shown in FIG. 23D, and then displays the main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23E.

이와 같이, MP3P는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가 될 때,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게 된다. As such, when the MP3P is turned on from the power off state, the MP3P performs the firmware upgrade.

(24) 라이브러리 24. Library 업데이트update ( ( LibraryLibrary UpdateUpdate ))

이하에서는 도 24a 내지 도 24c를 참고하여,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라이브러리 업데이트는 저장된 컨텐츠 파일들을 인식하여 현재 저장된 파일들을 파악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Hereinafter, the library update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4A to 24C. 24A to 24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library update process of MP3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library update refers to a process of recognizing stored content files and identifying currently stored files.

도 24a는 MP3P가 라이브러리 업데이트를 시작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라이브러리 업데이트가 시작되면 라이브러리 업데이트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진행률 표시바를 표시한다. 2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n MP3P starts updating a library. As shown in FIG. 24A, when the library update is started, the MP3P displays a message and a progress bar indicating that the library update is started.

MP3P는 라이브러리 분석을 먼저 수행한다. 즉, MP3P는 현재 저장된 파일들이 어떤 파일들이 있는지를 분석하는 과정을 먼저 수행한다. 이 때, MP3P는 진행률 표시바의 0~50%까지를 라이브러리 분석 구간으로 표시한다. MP3P performs library analysis first. In other words, MP3P first analyzes which files are currently stored. At this time, the MP3P displays 0-50% of the progress bar as the library analysis section.

라이브러리 분석이 완료되면,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진행률 표시바를 50%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MP3P는 분석된 라이브러리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 때, MP3P는 진행률 표시바의 50 ~ 100%까지를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구간으로 표시한다. When the library analysis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24B, the MP3P displays the library update progress bar at 50%. MP3P then proceeds to update the analyzed library. At this time, the MP3P displays 50 to 100% of the progress bar as the library update section.

그리고, MP3P는 라이브러리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도 2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When the library update is completed,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update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24C.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과정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displays the library update process on the screen.

(25) 배터리 아이콘 시나리오25 battery icon scenario

이하에서는, 도 25a 내지 도 25c를 참고하여, MP3P의 배터리 상태에 따른 배터리 아이콘의 변화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배터리 아이콘은 화면의 우측 상단에 표시되는 배터리의 잔량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의미한다. Hereinafter, the change of the battery icon according to the battery state of the MP3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5A to 25C. Herein, the battery icon refers to an icon indicating a remaining battery level display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screen.

도 2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과정에서의 배터리 아이콘의 표시 상태 변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가 방전될 경우 배터리의 남은 용량에 따라 표시되는 칸이 하나씩 줄어들게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의 남은 용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FIG. 25A illustrates a process of changing a display state of a battery icon in a process of discharging a battery of an MP3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FIG. 25A,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the displayed cells are reduced by one according to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도 2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배터리가 USB에 의해 충전되는 과정에서의 배터리 아이콘의 표시 상태 변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를 이용한 충전시에, MP3P는 충전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와 제공 불가능한 경우를 구분하여 서로 다르게 배터리 아이콘의 표시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FIG. 25B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a display state of a battery icon in a process of charging a battery of an MP3P by US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25B, when charging using USB, the MP3P may display a display state of a battery icon differently by distinguishing between a case in which charging stat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nd a case in which it cannot be provided.

도 2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배터리가 어댑터에 의해 충던되는 과정에서의 배터리 아이콘의 표시 상태 변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를 이용한 충전시에, MP3P는 충전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와 제공 불가능한 경우를 구분하여 서로 다르게 배터리 아이콘의 표시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FIG. 25C illustrates a process of changing a display state of a battery icon in a process of charging a battery of an MP3P by an adap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25C, when charging with an adapter, the MP3P may display a display state of a battery icon differently by distinguishing between a case in which charging stat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nd a case in which it cannot be provided.

도 25b와 달리, 어댑터를 이용하여 충전되는 경우, MP3P는 도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코드 형태의 아이콘을 배터리 아이콘에 함께 표시함으로써 어댑터에 의해 충전되고 있음을 표시하게 된다. Unlike FIG. 25B, when the battery is charged using the adapter, the MP3P displays the icon in the form of a power cord on the battery icon as shown in FIG. 25C to indicate that the battery is being charged by the adapter.

(26) 타이머 기능(26) timer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26을 참고하여, MP3P의 타이머 기능을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기능을 정리한 표이다. 여기에서 타이머 기능은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Hereinafter, the timer function of the MP3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6. 26 is a table summarizing timer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timer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of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when a user's operation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 기능은 총 4가지로 구성된다. LCD OFF 타이머는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LCD를 오프시키는 타이머 기능이다. Sleep 타이머 기능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일정 시간 후에 자동으로 파 워오프되도록 설정되는 타이머 기능이다. 오토 파워 오프(Auto Power OFF) 타이머 기능은 일정 시간(예를 들어 5분)동안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파워 오프상태가 되는 타이머 기능을 나타낸다. 그리고, 'Return to Last Player'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가장 최근 재생된 음악을 다시 재생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이다. As shown in FIG. 26, the timer function is composed of four types. LCD OFF Timer is a timer function that turns off LCD when user's operation is not input for a certain time. The sleep timer function is a timer function that is set to automatically power off after a certain time by user's setting. The auto power off timer function indicates a timer function that is turned off if a user's operation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 minutes). And, 'Return to Last Player' is a function for displaying a screen for replaying the most recently played music after a certain time.

이와 같은 4가지 종류의 타이머 기능은 각 상황마다 적용 가능 여부가 결정된다. 이와 같은 타이머의 적용 여부는 도 26의 표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 이외에도 다른 형태로 타이머 기능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four types of timer functions can be applied in each situation. Whether or not the timer is applied is shown in the table of FIG. 26.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the timer function may be applied in other forms.

(27) 최초 부팅시 사용자 정보 입력 방법(27) How to enter user information at first boot

이하에서는, 도 27a 내지 도 27d를 참고하여, MP3P의 최초 부팅시 사용자 정보 입력방법을 설명한다. 도 27a 내지 도 2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최초 부팅시 사용자 정보 입력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27A to 27D, a method of inputting user information at first booting of the MP3P will be described. 27A to 27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ser information input method at first booting of an MP3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가 파워 오프 상태에서 최초로 파워 온 상태가 되면,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최초로 부팅되는 것임을 알리는 인트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MP3P는 도 2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 때, 도 2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사용자 정보로 신장 및 체중 정보도 입력받게 된다. As shown in FIG. 27A, when the MP3P is first powered on from the power-off state, as shown in FIG. 27B, an intro image indicating that the MP3P is booted for the first tim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6, a screen for inputting user information is display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7C, the MP3P also receives height and weight information as user information.

그리고, 사용자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도 2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메인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When the input of the user information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27D, the MP3P displays the main menu on the screen.

지금까지, 도 1a 내지 도 27d를 참고하여, MP3P의 기능의 전반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였다. So far, the first half of the function of the MP3P has been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27D.

[2. Main Menu][2. Main Menu]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MP3P의 메인 메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ain menu of the MP3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메뉴 구조(1) menu structure

이하에서는, 도 28을 참고하여 MP3P의 메뉴 구조를 설명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메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Media 메뉴, Biocheck 메뉴, Fitness 메뉴, My Diary 메뉴 및 Health Application 메뉴와 같은 다섯 가지의 상위 메뉴로 구성되고, 각 상위 메뉴는 하위 메뉴들로 구성된다.Hereinafter, the menu structure of the MP3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8. 2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structure of an MP3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MP3P is composed of five upper menus such as Media menu, Biocheck menu, Fitness menu, My Diary menu, and Health Application menu, and each upper menu is composed of lower menus.

Media 메뉴는 전술한 멀티미디어 재생과 관련된 메뉴이다. 사용자는 Media 메뉴에 대한 하위 메뉴들을 조작하여, 음악 파일 또는 영상 파일을 재생시키거나, 재생시킬 파일의 목록을 관리하는 등 멀티미디어 재생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The Media menu is a menu related to the aforementioned multimedia playback. The user may operate submenus for the Media menu to execute a function related to multimedia playback, such as playing a music file or an image file, or managing a list of files to be played.

Biocheck 메뉴는 전술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체크 및 관리와 관련된 메뉴이다. 사용자는 Biocheck 메뉴에 대한 하위 메뉴들을 조작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별 비만도, 스트레스 정도, 피부색 등을 측정할 수 있다. The biocheck menu is a menu related to the health check and management of the user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operate submenus of the Biocheck menu to measure the degree of obesity, stress, and skin color of the user's body parts.

Fitness 메뉴는 사용자의 운동상태 체크 및 관리와 관련된 메뉴이다. 사용자 는 Fitness 메뉴에 대한 하위 메뉴들을 조작하여, 운동시 소모되는 칼로리에 정보를 확인하거나, 칼로리 소모를 위해 필요한 운동에 대한 처방을 받을 수 있게 된다. The Fitness menu is a menu related to checking and managing the user's exercise status. The user can operate submenus of the fitness menu to check information on calories burned during exercise or to receive prescriptions for exercise required to burn calories.

My Diary 메뉴는 전술한 사용자의 스케줄 관리와 관련된 메뉴이다. 여기서, 스케줄이란, 사용자의 업무와 관련된 스케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목표 건강상태, 목표 운동상태를 달성하기 위한 스케줄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사용자는 My Log 메뉴에 대한 하위 메뉴들을 조작하여, 운동량 조절, 식사량 조절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The My Diary menu is a menu related to schedule management of the user described above. Here, the schedule does not mean only a schedule related to a user's work, but a concept including a schedule for achieving a target health state and a target exercise state of the user. The user can manipulate the submenus of the My Log menu to control exercise and meal volume.

Health Application 메뉴는 MP3P의 내부 저장소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과 프로그램들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어 내부 저장소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과 프로그램들의 실행과 관련된 메뉴이다. 특히, Health Application 메뉴는 내부 저장소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 및 프로그램들 중 사용자의 건강 또는 운동과 관련된 컨텐츠들이 저장되게 된다. 이러한 Health Application 메뉴는 각 어플리케이션들 및 각 프로그램들을 하위 메뉴로 가지게 된다. The Health Application menu is a menu related to the execution of applications and programs stored in the MP3P's internal storage or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In particular, the Health Application menu stores contents related to the user's health or exercise among applications and programs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This Health Application menu will have each application and each program as a submenu.

한편, Media 메뉴는 Music, Videos, FM Radio, Pictures, Texts, 및 Settings라는 여섯 개의 하위 메뉴로 구성된다. 그리고, Biocheck 메뉴는 Fat, Stress 및 Melanin Level이라는 세 개의 하위 메뉴로 구성된다. 또한, Fitness 메뉴는 Jogging, My Coach 및 Pedometer라는 세 개의 하위 메뉴로 구성된다. 그리고, My Diary 메뉴는 Today's Summary, Exercise Diary, Food Diary, Calorie Manager 및 My Info라는 다섯 개의 하위 메뉴로 구성된다. Health Application은 전술한 바 와 같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하위 메뉴로 구성되게 된다. Meanwhile, the Media menu consists of six submenus: Music, Videos, FM Radio, Pictures, Texts, and Settings. The Biocheck menu consists of three submenus: Fat, Stress and Melanin Level. The Fitness menu also consists of three submenus: Jogging, My Coach, and Pedometer. The My Diary menu consists of five submenus: Today's Summary, Exercise Diary, Food Diary, Calorie Manager, and My Info. As described above, the health application includes one or more submenus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MP3P는 메인메뉴가 표시될 경우 Fitness 항목을 디폴트 포커스(Default Focus)로 설정한다. 즉, MP3P는 메인메뉴를 표시할 때 기본적으로 Fitness 항목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게 된다. 이외에 각 하위 메뉴의 조작을 통한 MP3P의 구체적 동작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MP3P sets the Fitness item to Default Focus when the main menu is displayed. That is, when MP3P displays the main menu, it basically highlights the Fitness item. In addition to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MP3P through the operation of each sub-menu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이러한 메뉴 구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각 상위 메뉴와 하위 메뉴의 내용 및 상위 메뉴와 하위 메뉴 간의 구조가 반드시 도시된 예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menu structure is mere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contents of each upper menu and lower menu and the structure between the upper menu and the lower menu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2) 메인메뉴 화면 배치(2) Main Menu Screen Layout

이하에서는 도 29를 참고하여, 메인메뉴의 화면 배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메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screen layout form of the main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9. 2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menu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메인메뉴로 5개의 Media 메뉴, Biocheck 메뉴, Fitness 메뉴, My Diary 메뉴 및 Health Application 메뉴와 같은 다섯 가지의 상위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MP3P는 메인메뉴의 포커스를 가운데 위치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Up 버튼 및 Down 버튼을 이용하여 메뉴를 이동시킬 경우, 포커스는 가운데에 유지된 상태에서 5개의 상위 메뉴가 윗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움직이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29, the MP3P displays five upper menus such as five Media menus, a Biocheck menu, a Fitness menu, a My Diary menu, and a Health Application menu as main menus. The MP3P keeps the main menu focus in the center position. Therefore, when the user moves the menu using the Up button and the Down button, the five upper menus are scrolled upward or downward while the focus is maintained at the center.

(3) (3) BioBio 버튼 긴 누름( Button long press LongLong PressPress ) 조작 : ) Operation : Today'sToday's SummarySummary 표시 Display

이하에서는, 도 30a 및 도 30b를 참고하여, MP3P가 Bio 버튼의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Today's Summary를 표시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30a 및 도 30b은 MP3P가 Bio 버튼의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Today's Summary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30A and 30B, a function of displaying Today's Summary when the long press operation of the Bio button is input to the MP3P will be described. 30A and 30B illustrate a process in which an MP3P displays Today's Summary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of a Bio button is input.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ioCheck 측정 상태를 제외한 모든 상황에 해당되는 상태에서 Bio 버튼의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oday's Summary 화면을 바로 표시하게 된다. Today's Summary 화면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30A,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of the Bio button is input in a state corresponding to all situations except the BioCheck measurement state, the MP3P immediately displays the Today's Summary screen as shown in FIG. 30B. The Today's Summary screen will be explained in detail later.

따라서, 사용자는 Bio 버튼의 긴 누름 조작을 이용하여 Today's Summary 화면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Today's Summary screen by using a long press of the Bio button.

[3. Media][3. Media]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메인 메뉴 중 Media 메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edia menu of the main menu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One) MediaMedia 메뉴의 구조 The structure of the menu

이하에서는, 도 31을 참고하여, Media 메뉴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edia 메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Media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1. 3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Media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는 Music, Videos, FM Radio, Pictures, Texts, 및 Settings라는 여섯 개의 하위 메뉴로 구성된다. 그리고, Music 메뉴는 Artists, Albums, Songs, Playlists, Music Brower, 및 Search 항목 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Setting 메뉴는 Sound, Display, Language, Time, 및 System 항목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1, the Media menu consists of six submenus, Music, Videos, FM Radio, Pictures, Texts, and Settings. The Music menu consists of Artists, Albums, Songs, Playlists, Music Brower, and Search items. The Setting menu consists of Sound, Display, Language, Time, and System items.

(2) (2) MusicMusic 메뉴 menu

(2.1) (2.1) MusicMusic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 Basic flow of menu

이하에서는, 도 32a 내지 도 32d를 참고하여, Media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2a 내지 도 3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edia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basic flow of the Media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2A to 32D. 32A to 32D illustrate a basic flow of a Media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a는 MP3P가 메인 메뉴에서 Media 메뉴에 포커스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에서 Media 메뉴가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32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MP3P displays focus on a Media menu in a main menu. As shown in FIG. 32A, when the Media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the MP3P displays the Media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32B.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는 Music List 아이콘, Video List 아이콘, FM Radio List 아이콘, Pictures List 아이콘, Texts List 아이콘 및 Setting 아이콘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Music List 아이콘, Video List 아이콘, FM Radio List 아이콘, Pictures List 아이콘 및 Texts List 아이콘의 우측에는 재생화면 표시를 위한 부가 아이콘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2B, the Media menu includes a Music List icon, a Video List icon, an FM Radio List icon, a Pictures List icon, a Texts List icon, and a Setting icon. On the right side of the Music List icon, the Video List icon, the FM Radio List icon, the Pictures List icon, and the Texts List icon, additional icons for displaying the playback screen are displayed.

사용자에 의해 Music List 아이콘이 선택되면, MP3P는 도 3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Music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Music List 아이콘의 우측에 표시된 부가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3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Music 재생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When the Music List ico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the Music list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32C. When the additional icon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Music List ico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usic playback screen as shown in Fig. 32D is displayed.

(2.2) (2.2) MusicMusic 메뉴의 화면 배치 Screen layout of the menu

이하에서는, 도 33a 및 도 33b를 참고하여, Music 메뉴의 화면 배치를 설명한다. 도 3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usic 메뉴의 Music 리스트 표시 화면의 화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screen layout of the Music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3A and 33B. 33A illustrates a screen layout of a music list display screen of a music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usic 리스트 표시 화면은 Area 1, Area 2 및 Area 3으로 구분된다. Area 1은 화면 상단에 배치되며 리스트의 카테고리들이 표시된다. 그리고, 현재 선택된 카테고리에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33A, the music list display screen is divided into Area 1, Area 2, and Area 3. Area 1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the categories of the list are displayed. Then, a highlight is displayed on the currently selected category.

Area 2는 Area 1의 밑에 배치되며 현재 선택된 카테고리의 명칭이 표시된다. Area 2 is located below Area 1 and displays the name of the currently selected category.

Area 3은 Music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Area 3 is an area where a list of music contents is displayed.

MP3P는 이와 같은 구성의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을 통해 음악 파일을 리스트를 각 카테고리별로 표시하게 된다. The MP3P displays a list of music files in each category through the music list display scree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도 3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usic 메뉴의 Music 재생 화면의 화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usic 재생 화면은 Area 1, Area 2 및 Area 3으로 구분된다. 3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layout of a Music playback screen of a Music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3B, the music reproduction screen is divided into Area 1, Area 2, and Area 3.

Area 1은 화면 상단에 배치되며 인포메이션 영역에 해당된다. Area 1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area.

Area 2는 화면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며 비주얼 효과가 표시되는 영역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Area 2에는 현재 재생중인 음악의 앨범 사진 또는 가사 등이 표시될 수 있다. Area 2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creen and corresponds to the area where visual effects are displayed. For example, the area 2 may display album photos or lyrics of music currently being played.

Area 3은 화면의 하단 영역에 배치되며, 음악의 제목 및 프로그레스바 등의 음악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Area 3에는 음악 제목, 리스트 전체 파일 수에 대한 현재 파일의 순서, 아티스트명, 앨범명, 현재 재생 시점(Elapsed Time), 현재 음악의 총 시간(Total time), 및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 등이 표시될 수 있다. Area 3 is disposed in the lower area of the screen and displays information about music such as the title of the music and the progress bar. Specifically, the area 3 includes the music title, the order of the current file for the total number of files, the artist name, the album name, the elapsed time, the total time of the current music, and the progress bar. Bar) may be displayed.

(2.3) (2.3) MusicMusic 리스트 표시화면 List display screen

이하에서는 도 34a 내지 도 34e를 참고하여,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usic list display scree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4A to 34E.

도 3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tist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의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tist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아티스트를 기준으로 분류한 리스트가 표시된다. 3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sic list display screen when an Artist category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4A, when the Artist category is selected, a list classified by artist is displayed.

도 3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lbums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의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lbums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앨범을 기준으로 분류한 리스트가 표시된다. 3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sic list display screen when the Albums category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4B, when the Albums category is selected, a list classified by albums is displayed.

도 3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ongs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의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ngs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모든 음악 파일들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된다. 34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sic list display screen when a songs category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4C, when the Songs category is selected, a list of all music files is displayed.

도 3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aylist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의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aylist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플레이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파일들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된다. 34D illustrates a music list display screen when a playlist category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4D, when the Playlist category is selected, a list of music files included in the play list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도 3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usic Browser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의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Music Brower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음악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파일 탐색기 화면이 표시된다. 34E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sic list display screen when a music browser category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4E, when the Music Brower category is selected, a file explorer screen for selecting a music file is displayed.

Music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MP3P는 Left 버튼 또는 Right 버튼의 조작이 입력되면 카테고리를 이동하게 된다. With the Music list displayed, the MP3P will move to the category when the Left button or Right button operation is input.

이와 같이, MP3P는 다양한 카테고리에 따라 음악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MP3P may display a music list on the screen according to various categories.

(2.4) (2.4) ArtistArtist 카테고리 구조 Category structure

이하에서는 도 35를 참고하여 Artists 카테고리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tist 카테고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Artists categor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5. 35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artist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tist 카테고리는 All Artists, Artist A, Artist B, Artist C 및 Unknown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5, the Artist category consists of All Artists, Artist A, Artist B, Artist C, and Unknown.

여기에서, All Artists 항목에는 모든 아티스트에 대한 곡들이 포함된 항목이다. 그리고, Artist A, Artist B, 및 Artist C는 아티스트별 음악들에 대한 항목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아티스트들에 대한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Unknown 항목은 아티스트 정보가 불명확한 파일들이 포함된 항목에 해당된다. Here, the All Artists item contains the songs for all artists. In addition, Artist A, Artist B, and Artist C are items for artist-specific music, and may include items for various artists. The Unknown item corresponds to an item containing files whose artist information is unknown.

이와 같이, MP3P는 도 35에 개시된 구조의 Artist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음악 파일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As such, the MP3P displays a list of music files based on the Artist category of the structure disclosed in FIG.

(2.5) (2.5) AlbumsAlbums 카테고리 구조 Category structure

이하에서는 도 36을 참고하여 Albums 카테고리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lbums 카테고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Albums categor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6. 36 illustrates a structure of an Albums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lbums 카테고리는 All Songs, Album A, Album B, ,,, , Album F 및 Unknown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6, the Albums category is composed of All Songs, Album A, Album B, ,,,, Album F and Unknown.

여기에서, All Songs 항목에는 모든 앨범에 대한 곡들이 포함된 항목이다. 그리고, Album A, Album B, ,,, , Album F는 앨범별 음악들에 대한 항목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앨범들에 대한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Unknown 항목은 앨범 정보가 불명확한 파일들이 포함된 항목에 해당된다. Here, the All Songs item contains the songs for all albums. In addition, Album A, Album B, ,,,, Album F are items for music by album, and in addition, items for various albums may be included. The Unknown item corresponds to an item containing files whose album information is not known.

이와 같이, MP3P는 도 36에 개시된 구조의 Albums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음악 파일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As such, the MP3P displays a list of music files based on the Albums category of the structure disclosed in FIG.

(2.6) (2.6) SongsSongs 카테고리 구조 Category structure

이하에서는 도 37을 참고하여 Songs 카테고리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ongs 카테고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ongs categor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7. 3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Songs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ngs 카테고리는 별도의 하위 항목이 없이 바로 음악 파일들이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37, the Songs category immediately displays music files without a separate subitem.

이와 같이, MP3P는 도 37에 개시된 구조의 Albums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음악 파일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As such, the MP3P displays a list of music files based on the Albums category of the structure disclosed in FIG.

(2.7) (2.7) ArtistsArtists /Of AlbumsAlbums 카테고리를 이용한 음악 재생 예 Example of playing music using categories

이하에서는, 도 38a 내지 도 38i를 참고하여, Artists/Albums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Song 1을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8a 내지 도 38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tists/Albums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Song 1을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reproducing Song 1 using the Artists / Albums categor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8A to 38I. 38A to 38I illustrate a process of reproducing Song 1 using the Artists / Albums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Music List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3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에서 Artists 카테고리가 선택된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8A, when the Music List icon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the MP3P displays the Music List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38B.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Artists category is selected on the Music list display screen.

사용자에 의해 'Diva 1' 아티스트가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3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티스트가 'Diva 1'인 음악 파일들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Song 1이 선택되면, MP3P는 도 3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ng 1에 대한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When the 'Diva 1' artis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a list of music files whose artist is 'Diva 1' as shown in FIG. 38C. If Song 1 is selected here, the MP3P displays the playback screen for Song 1 as shown in FIG. 38D.

한편, 도 38b의 화면에서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3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탭을 오른쪽으로 한칸 이동하여 Albums 카테고리를 선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Diva's Album 1' 앨범이 선택되면, MP3P는 도 3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va's Album 1' 앨범에 해당되는 음악 파일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Song 1 파일이 선택되면, MP3P는 도 3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ng 1 파일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Meanwhil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button in the screen of FIG. 38B, the MP3P moves the category tab one space to the right to select the Albums category as shown in FIG. 38E. In this state, when the album 'Diva's Album 1'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a list of music files corresponding to the 'Diva's Album 1' album as shown in FIG. 38F. When the song 1 fil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a playback screen of the song 1 file as shown in FIG. 38G.

한편, 도 38e의 화면에서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3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탭을 오른쪽으로 한칸 이동하여 Songs 카테고리를 선택하게 된다. 그러면, MP3P는 도 3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음악파일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Song 1 파일이 선택되면, MP3P는 도 3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ng 1 파일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button on the screen of FIG. 38E, the MP3P moves the category tab one space to the right to select the Songs category, as shown in FIG. 38H. The MP3P then displays a list of all music files, as shown in FIG. 38H. In this state, when the Song 1 fil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the playback screen of the Song 1 file as shown in FIG. 38I.

한편, 도 38a의 화면에서 Music List 아이콘의 오른쪽에 배치된 부가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3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ng 1을 재생하는 재생화면을 바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ditional icon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Music List icon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FIG. 38A, the MP3P immediately displays a playback screen for playing Song 1 as shown in FIG. 38I.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Artists 및 Albums 카테고리를 통해 원하는 음악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MP3P can select the desired music through the Artists and Albums categories.

(2.8) (2.8) PlaylistsPlaylists 카테고리를 이용한 음악 재생 예 Example of playing music using categories

이하에서는, 도 39a 내지 도 39d를 참고하여, Playlists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Song 1을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9a 내지 도 3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aylists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Song 1을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reproducing Song 1 using the Playlists categor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9A to 39D. 39A to 39D illustrate a process of reproducing Song 1 using the Playlists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Music List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3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에서 Songs 카테고리가 선택된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9A, when the Music List icon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the MP3P displays the Music List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39B. At this point, you can see that the Songs category is selected on the Music list display.

도 39b의 화면에서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3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탭을 오른쪽으로 한칸 이동하여 Playlists 카테고리를 선택하게 된다.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button in the screen of FIG. 39B, the MP3P moves the category tab one space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39C to select the Playlists category.

도 39c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Song 1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3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ng 1에 대한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In the screen shown in Fig. 39C, when Song 1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the playback screen for Song 1 as shown in Fig. 39D.

이와 같이, MP3P는 Playlist 카테고리를 통해서도 음악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MP3P can select a music file through the Playlist category.

(2.9) (2.9) PlaylistsPlaylists 카테고리를 이용한 음악 재생 예 Example of playing music using categories

이하에서는, 도 40a 내지 도 40d를 참고하여, Music Browser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시작'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0a 내지 도 4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usic Browser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시작'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playing a 'start' music file using the Music Browser categor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0A to 40D. 40A to 40D illustrate a process of playing a 'start' music file using the Music Browser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Music List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4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에서 Music Browser 카테고리가 선택된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0A, when the Music List icon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the MP3P displays the Music List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40B.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Music Browser category is selected on the Music list display screen.

도 40b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Video 폴더가 선택된 경우, 도 4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Video 폴더에 포함된 음악파일들에 대한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 40c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시작' 음악파일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4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 음악파일에 대한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In the screen shown in FIG. 40B, when the Video folder is selec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40C, a list of music files included in the Video fold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n, in the screen shown in FIG. 40C, when the 'start' music fil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a playback screen for the 'start' music file as shown in FIG. 40D.

이와 같이, MP3P는 Music Browser 카테고리를 통해서도 음악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As such, the MP3P may select a music file through the Music Browser category.

(2.10) 재생화면에서 이전, 다음 음악 선택 및 볼륨 조절 예(2.10) Example of selecting previous and next music on playback screen and adjusting volume

이하에서는 도 41a 내지 도 41f를 참고하여, 재생화면에서 이전, 다음 음악 선택 과정 및 볼륨 조절 과정의 예를 설명한다. 도 41a 내지 도 4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화면에서 이전, 다음 음악 선택 과정 및 볼륨 조절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evious and next music selection process and a volume control process on the playback scree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1A to 41F. 41A to 41F illustrate examples of a previous and next music selection process and a volume control process in a playback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1a는 MP3P가 Song 1 파일을 재생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도 4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다음 음악 파일에 해당되는 Song 2 파일을 재생하게 된다. 그 후에,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도 4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일시정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Volume+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4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하단에 볼륨 조절 바를 표시하고 볼륨 을 1씩 올리게 된다. 그리고, Volume+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볼륨을 계속 올리게 되며, 최고 볼륨인 30까지 올리게 된다. 그 후에, 사용자의 조작이 1초동안 입력되지 않으면, MP3P는 도 4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서 볼륨 조절 바를 사라지게 한다. 41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P3P plays Song 1 file.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button, as shown in Fig. 41B, the MP3P plays the Song 2 file corresponding to the next music file. After that,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as shown in Fig. 41C, the MP3P is in a pause state.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lume + button, the MP3P displays a volume control bar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nd increases the volume by 1, as shown in FIG. 41D. Then,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lume + button, the MP3P keeps increasing the volume up to the maximum volume of 30. After that, if the user's operation is not input for one second, the MP3P causes the volume control bar to disappear from the screen, as shown in Fig. 41F.

이와 같이, MP3P는 음악 재생 화면에서도 이전 음악 파일이나 다음 음악 파일을 선택할 수 있으며, 볼륨을 조절할 수도 있다. As such, the MP3P may select the previous music file or the next music file on the music playback screen, and may adjust the volume.

(2.11) (2.11) FFFF /Of REWREW 동작 규칙 Behavior rules

MP3P는 음악 플레이 상태에서 FF 명령이 입력된 경우 FF 동작을 수행하고, FF 명령 입력이 중지되면 그 시점에서 계속 음악을 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MP3P는 음악 플레이 상태에서 REW 명령이 입력된 경우 REW 동작을 수행하고, REW 명령 입력이 중지되면 그 시점에서 계속 음악을 플레이하게 된다. The MP3P performs the FF operation when the FF command is input in the music play state, and continues to play music at that time when the FF command input is stopped. In addition, the MP3P performs the REW operation when the REW command is input in the music play state, and continues to play music at that time when the REW command input is stopped.

MP3P는 음악 일시정지(Pause) 상태에서 FF 명령이 입력된 경우 FF 동작을 수행하고, FF 명령 입력이 중지되면 그 시점에서 일시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MP3P는 음악 일시정지 상태에서 REW 명령이 입력된 경우 REW 동작을 수행하고, REW 명령 입력이 중지되면 그 시점에서 일시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MP3P performs the FF operation when the FF command is input in the pause state of the music, and maintains the pause state at that time when the input of the FF command is stopped. In addition, the MP3P performs the REW operation when the REW command is input in the music pause state, and maintains the pause state at that time when the REW command input is stopped.

또한, MP3P는 상술한 규칙을 비디오 파일에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MP3P also applies the above rules to video files in the same way.

한편, 음악파일에 대한 REW 또는 FF 동작 수행 중에 파일의 처음 또는 끝에 도달한 경우, MP3P는 이전 또는 다음 음악파일에 대해 REW 또는 FF 동작을 계속 수행하게 된다. 반면, 비디오 파일에 대한 REW 또는 FF 동작 수행 중에 파일의 처음 또는 끝에 도달한 경우, MP3P는 비디오 파일의 처음 또는 끝 지점에서 일시정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or end of the file is reached during the REW or FF operation for the music file, the MP3P continues to perform the REW or FF operation for the previous or next music fi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beginning or end of the file is reached while performing a REW or FF operation on the video file, the MP3P pauses at the beginning or end of the video file.

(2.12) 음악 재생 화면에서 (2.12) On the music playback screen JoggingJogging PlaylistPlaylist 에 음악 추가Add music to

이하에서는 도 42a 내지 도 42f를 참고하여, 음악 재생 화면에서 Jogging Playlist에 음악을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2a 내지 도 4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재생 화면에서 Jogging Playlist에 음악을 추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adding music to a jogging playlist on a music playback scree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2A to 42F. 42A to 42F illustrate a process of adding music to a jogging playlist on a music playback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2a의 화면에서 Music List 아이콘의 오른쪽에 배치된 부가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4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ng 1을 재생하는 재생화면을 바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MP3P는 OK 버튼을 길게 누르면 Jogging Playlist에 현재 재생중인 곡이 추가된다는 안내 메시지를 화면의 하단에 표시한다. When the additional icon arranged to the right of the Music List icon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FIG. 42A, the MP3P immediately displays a playback screen for playing Song 1 as shown in FIG. 42B. At this time, the MP3P displays a message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ndicating that the currently playing song is added to the jogging playlist when the OK button is pressed and held.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현재 재생중인 음악 파일인 Song 1을 Jogging Playlist에 추가하고, 도 4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관련된 추가 안내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adds Song 1, which is the currently playing music file, to the Jogging Playlist, and displays an additional guidance message related thereto as shown in FIG. 42C. Done.

그리고, MP3P는 1초 후에 도 4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Song 1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MP3P는 OK 버튼을 길게 누르면 Jogging Playlist에서 현재 재생중인 곡이 제외된다는 안내 메시지를 화면의 하단에 표시한다. After one second, the MP3P displays the playback screen of Song 1 again as shown in FIG. 42D. At this time, the MP3P displays a guide message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ndicating that pressing the OK button for a long time excludes the currently playing song from the jogging playlist.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현재 재생중인 음악 파일인 Song 1을 Jogging Playlist에서 제외하고, 도 42e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이와 관련된 제외 안내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excludes Song 1, which is the currently playing music file, from the jogging playlist, and displays the related exclusion guide message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42E. Done.

한편, 도 42c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Bac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4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Jogging Playlist에 포함된 음악 파일들의 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Song 1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음악파일인 Song 1을 Jogging Playlist에서 제외하고, 도 4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관련된 제외 안내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42C,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ac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a list of music files included in the jogging playlist as illustrated in FIG. 42F. When the user presses a long pressing operation on the OK button while the song 1 is highlighted, the MP3P excludes the song 1, which is the highlighted music file, from the jogging playlist, and the related exclusion as shown in FIG. 42E. The guidance mess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음악 재생 화면에서 현재 재생 중인 음악 파일을 Jogging Playlist에 추가 및 제외시킬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can add and exclude music files currently playing on the music playback screen to the jogging playlist.

(2.13) 음악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2.13) On the music list display screen JoggingJogging PlaylistPlaylist 에 음악 추가Add music to

이하에서는 도 43a 내지 도 43k를 참고하여, 음악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Jogging Playlist에 음악을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3a 내지 도 43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Jogging Playlist에 음악을 추가 및 제외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adding music to a jogging playlist on a music list display scree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3A to 43K. 43A to 43K illustrate a process of adding and excluding music to a jogging playlist on a music list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3a는 Song 1 파일이 재생되는 재생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Back 버튼에 대한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4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Song 1이 포함된 음악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43A is a diagram showing a playback screen on which a Song 1 file is played.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on the Back button is input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the music list including Song 1 on the music list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43B.

또한, 도 4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리스트에서 Song 1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음악 파일인 Song 1을 Jogging Playlist에 추가하고, 도 4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관련된 추가 안내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3B, it can be confirmed that a highlight is displayed on Song 1 in the music list. In this state,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adds the highlighted music file Song 1 to the Jogging Playlist, and displays the additional guidance message related thereto as shown in FIG. 43C. Done.

그리고, MP3P는 1초 후에 도 4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Song 1에 대한 음악 파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Left 버튼에 대해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4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Albums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After one second, the MP3P displays the music file list for Song 1 again as shown in FIG. 43D.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Left button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the list based on the Albums category as shown in FIG. 43E.

도 43e에서 하이라이트는 'Diva's Album 1'에 위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앨범인 'Diva's Album 1'에 포함된 모든 음악 파일들을 Jogging Playlist에 추가하고, 도 4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관련된 추가 안내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In FIG. 43E, the highlight is located in 'Diva's Album 1'. In this state,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adds all the music files included in the highlighted album 'Diva's Album 1' to the Jogging Playlist, as shown in FIG. 43F. Additional prompts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그리고, MP3P는 1초 후에 도 4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Albums 카테고리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43g에서 하이라이트는 'Diva's Album 1'에 위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앨범인 'Diva's Album 1'에 포함된 모든 음악 파일들을 Jogging Playlist에서 제외하고, 도 4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관련된 제외 안내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The MP3P then displays the list for the Albums category again as shown in FIG. 43G after one second. In FIG. 43G, the highlight is located in 'Diva's Album 1'. In this state,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removes all music files included in the highlighted album 'Diva's Album 1' from the jogging playlist, and as shown in FIG. The exclusion guide mess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그리고, MP3P는 1초 후에 도 43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Albums 카테고리 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Right 버튼에 대해 짧은 누름 조작이 두번 입력되면, MP3P는 도 43j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aylists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Jogging Playlist에 Song 1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MP3P then displays the list for the Albums category again as shown in FIG. 43I after one second. In this stat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wice on the Right button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the list based on the Playlists category as shown in Fig. 43J.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Song 1 is included in the jogging playlist.

또한, 도 43j에 도시된 바와 같이, Jogging Playlist가 표시된 화면에서 Song 1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음악 파일인 Song 1을 Jogging Playlist에서 제외시키고, 도 43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관련된 제거 안내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43J, it may be confirmed that a highlight is displayed on Song 1 on a screen on which a jogging playlist is displayed. In this state,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excludes the highlighted music file Song 1 from the Jogging Playlist and displays the related removal guidance message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43K. Don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음악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Jogging Playlist에 음악을 추가 및 제외시킬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can add and exclude music to the jogging playlist from the music list display screen.

지금까지 도 32a 내지 도 43k를 참고하여 Music 메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So far, the Music menu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2A to 43K.

(3) (3) VideoVideo 메뉴 menu

(3.1) (3.1) VideoVideo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 Basic flow of menu

이하에서는, 도 44a 내지 도 44d를 참고하여, Media 메뉴의 하위 메뉴인 Video 메뉴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44a 내지 도 4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ideo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basic flow of the Video menu, which is a sub menu of the Media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4A to 44D. 44A to 44D illustrate a basic flow of a Video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4a는 MP3P가 메인 메뉴에서 Media 메뉴에 포커스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에서 Media 메뉴가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4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FIG. 44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MP3P displays focus on a Media menu in a main menu. As shown in FIG. 44A, when the Media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the MP3P displays the Media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44B.

도 4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는 Music List 아이콘, Video List 아이콘, FM Radio List 아이콘, Pictures List 아이콘, Texts List 아이콘 및 Setting 아이콘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Music List 아이콘, Video List 아이콘, FM Radio List 아이콘, Pictures List 아이콘 및 Texts List 아이콘의 우측에는 재생화면 표시를 위한 부가 아이콘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4B, the Media menu includes a Music List icon, a Video List icon, an FM Radio List icon, a Pictures List icon, a Texts List icon, and a Setting icon. On the right side of the Music List icon, the Video List icon, the FM Radio List icon, the Pictures List icon, and the Texts List icon, additional icons for displaying the playback screen are displayed.

사용자에 의해 Video List 아이콘이 선택되면, MP3P는 도 4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Video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Video List 아이콘의 우측에 표시된 부가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4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Video 재생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When the Video List ico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the Video list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44C. When the additional icon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Video List ico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Video playback screen as shown in Fig. 44D is displayed.

(3.2) (3.2) VideoVideo 메뉴의 화면 배치 Screen layout of the menu

이하에서는, 도 45a 및 도 45b를 참고하여, Video 메뉴의 화면 배치를 설명한다. 도 4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ideo 메뉴의 Video 리스트 표시 화면의 화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screen layout of the Video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5A and 45B. 45A illustrates a screen layout of a video list display screen of a video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Video 리스트 표시 화면은 Area 1 및 Area 2로 구분된다. Area 1은 화면 상단에 배치되며 리스트의 정보들이 표시된다. 구체적으 로, Area 1에는 재생/일시정지 정보, 뎁스(Depth)정보, 파일 순서(000/000), 홀드 아이콘 및 배터리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5A, the video list display screen is divided into Area 1 and Area 2. Area 1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the information in the list is displayed. In detail, area 1 may display play / pause information, depth information, file order (000/000), a hold icon, and a battery icon.

Area 2는 Area 1의 밑에 배치되며 Video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Area 2 is disposed below Area 1 and is an area where a list of video contents is displayed.

MP3P는 이와 같은 구성의 Video 리스트 표시화면을 통해 비디오 파일의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 The MP3P displays a list of video files through the video list display scree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도 4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ideo 메뉴의 Video 재생 화면의 화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Video 재생 화면은 Area 1, Area 2 및 Area 3으로 구분된다. 4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layout of a video playback screen of a video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5B, the video playback screen is divided into Area 1, Area 2, and Area 3.

Area 1은 화면 상단에 배치되며 인포메이션 영역에 해당된다. Area 1에는 재생/일시정지 정보, 비디오 제목, 홀드 아이콘 및 배터리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Area 1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area. Area 1 may display play / pause information, a video title, a hold icon, and a battery icon.

Area 2는 화면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며 비디오의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에 해당된다.Area 2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screen and corresponds to the area where the video screen is displayed.

Area 3은 화면의 하단 영역에 배치되며, 음악의 제목 및 프로그레스바 등의 음악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Area 3에는 현재 재생 시점(Elapsed Time), 현재 비디오의 총 시간(Total time) 및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 등이 표시될 수 있다. Area 3 is disposed in the lower area of the screen and displays information about music such as the title of the music and the progress bar. In detail, Area 3 may display a current playback time, an elapsed time, a total time of a current video, a progress bar, and the like.

(3.3) (3.3) VideoVideo 파일 재생과정 File playback process

이하에서는 도 46a 내지 도 46i를 참고하여, 비디오 파일의 재생 과정에 대 해 설명한다. 도 46a 내지 도 46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파일의 재생 과정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playing a video fi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6A to 46I. 46A to 46I illustrate a process of playing a video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Video List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4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Video 리스트 표시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도 4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ove Actually 1' 파일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4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Love Actually 1' 파일을 재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4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비디오 파일인 'Love Actually 2'를 재생하게 된다. 그리고, 재생상태가 된지 3초가 지나면, 도 4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화면에 표시된 OSD 메뉴를 모두 사라지게 한다. As shown in Fig. 46A, when the Video List icon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the MP3P displays the Video list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46B.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6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file is highlighted in the 'Love Actually 1' file, the MP3P displays 'Love Actually 1' as shown in FIG. 46C. The file will play.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button by the user, the MP3P plays the next video file 'Love Actually 2', as shown in FIG. 46D. Then, after 3 seconds from the playback state, as shown in FIG. 46E, the MP3P causes all OSD menus displayed on the screen to disappear.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Bac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도 4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다시 Video 리스트 표시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하이라이트는 이전에 재생했던 비디오 파일인 'Love Actually 2'에 위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ack button by the user, as shown in Fig. 46F, the MP3P again displays the Video list display screen.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highlight is located in 'Love Actually 2', which is a previously played video file.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Down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도 4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하이라이트를 아래로 한칸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하이라이트는 "꽃보다 남성 11"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도 4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꽃보다 남성 11" 파일을 재생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Down button by the user, as shown in Fig. 46G, the MP3P moves the highlight down one space. Thus, the highlight is located at "male 11 over flowers".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as shown in Fig. 46H, the MP3P plays back the "male 11 over flowers" file.

한편, 도 46a의 화면에서 Video List 아이콘의 오른쪽에 배치된 부가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4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Love Actually 1'을 재생하는 재생화면을 바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ditional icon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Video List icon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FIG. 46A, the MP3P immediately displays a playback screen that plays 'Love Actually 1' as shown in FIG. 46I.

(3.4) 재생, 일시정지, (3.4) play, pause, FFFF , , REWREW 기능 수행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47a 내지 도 47i를 참고하여, 비디오 파일의 재생시의 재생, 일시정지, FF, REW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47a 내지 도 47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파일의 재생시의 재생, 일시정지, FF, REW 기능에 대해 도시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playback, pause, FF, and REW functions during playback of a video fi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7A to 47I. 47A to 47I are diagrams illustrating playback, pause, FF, and REW functions during playback of a video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파일이 재생되는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도 47b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47b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Right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4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FF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4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파일의 끝에 도달한 경우, MP3P는 도 4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파일을 재생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47A, if a predetermined time passes while the video file is being played, a screen as shown in FIG. 47B is displayed. In a state in which the screen shown in FIG. 47B is displayed,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button by the user, the MP3P performs the FF function as shown in FIG. 47C. As shown in Fig. 47D, when the end of the video file is reached, the MP3P plays the next file, as shown in Fig. 47E.

한편, 도 47b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어떤 버튼의 조작이 입력된 경우, 도 4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화면에 OSD 메뉴를 표시한다. 그리고 3초가 지나면, 도 4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다시 OSD 메뉴를 화면에서 제거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어떤 버튼의 조작이 다시 입력된 경우, 도 4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화면에 OSD 메뉴를 다시 표시한다. 그리고 3초가 지나면, 도 47i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다시 OSD 메뉴를 화면에서 제거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creen shown in Fig. 47B, when an operation of a button is input by the user, as shown in Fig. 47F, the MP3P displays the OSD menu on the screen. After 3 seconds, the MP3P again removes the OSD menu from the screen, as shown in FIG. 47G. Then, when a button operation is input again by the user, as shown in Fig. 47H, the MP3P displays the OSD menu again on the screen. After 3 seconds, the MP3P again removes the OSD menu from the screen, as shown in FIG. 47I.

(3.5) 볼륨 조절 기능(3.5) Volume Control

이하에서는 도 48a 내지 도 48e를 참고하여, 볼륨 조절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48a 내지 도 4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파일의 재생시의 볼륨 조절 기능에 대해 도시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volume adjusting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8A to 48E. 48A to 48E are diagrams illustrating a volume control function when playing a video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파일이 재생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Up 버튼 또는 Down 버튼에 대한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도 4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볼륨 조절 바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Down 버튼에 대한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4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이 0이 될때 가지 볼륨을 낮추게 된다. 그리고, 도 4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1초 후에 볼륨 조절 바를 화면에서 제거한다. 그리고, 도 4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3초 후에 OSD를 화면에서 제거한다. As shown in FIG. 48A, when a short pressing manipulation of the Up button or the Down button is input by the user while the video file is being played, the MP3P displays the volume control bar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48B. In this state,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for the Down button is input by the user, the MP3P lowers the volume until the volume becomes zero as shown in FIG. 48C. As shown in FIG. 48D, the MP3P removes the volume control bar from the screen after one second. As shown in FIG. 48E, the MP3P removes the OSD from the screen after 3 seconds.

지금까지, 도 44a 내지 도 48e를 참고하여, Video 메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So far, the Video menu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4A to 48E.

(4) (4) FMFM RadioRadio 메뉴 menu

(4.1) (4.1) FMFM RadioRadio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 Basic flow of menu

이하에서는, 도 49a 내지 도 49d를 참고하여, Media 메뉴의 하위 메뉴인 FM Radio 메뉴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49a 내지 도 4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Radio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basic flow of the FM Radio menu, which is a sub menu of the Media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9A to 49D. 49A to 49D illustrate a basic flow of an FM Radio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9a는 MP3P가 메인 메뉴에서 Media 메뉴에 포커스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에서 Media 메뉴가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4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FIG. 49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MP3P displays focus on a Media menu in a main menu. As shown in FIG. 49A, when the Media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the MP3P displays the Media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49B.

도 4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는 Music List 아이콘, Video List 아이콘, FM Radio List 아이콘, Pictures List 아이콘, Texts List 아이콘 및 Setting 아이콘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Music List 아이콘, Video List 아이콘, FM Radio List 아이콘, Pictures List 아이콘 및 Texts List 아이콘의 우측에는 재생화면 표시를 위한 부가 아이콘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9B, the Media menu includes a Music List icon, a Video List icon, an FM Radio List icon, a Pictures List icon, a Texts List icon, and a Setting icon. On the right side of the Music List icon, the Video List icon, the FM Radio List icon, the Pictures List icon, and the Texts List icon, additional icons for displaying the playback screen are displayed.

사용자에 의해 FM Radio List 아이콘이 선택되면, MP3P는 도 49c에 도시된 바와 같은 Preset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FM Radio 아이콘의 우측에 표시된 부가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49d에 도시된 바와 같은 FM Radio 재생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When the FM Radio List ico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a preset list as shown in FIG. 49C. When the additional icon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FM Radio ico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FM Radio playback screen as shown in FIG. 49D is displayed.

(4.2) (4.2) FMFM RadioRadio 메뉴의 화면 배치 Screen layout of the menu

이하에서는, 도 50a 및 도 50b를 참고하여, FM Radio 메뉴의 화면 배치를 설명한다. 도 5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Radio 메뉴의 FM Radio 재생 화면의 화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screen layout of the FM Radio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0A and 50B. 50A illustrates a screen layout of an FM Radio playback screen of an FM Radio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M Radio 재생 화면은 Area 1, Area 2, Area 3, Area 4, 및 Area 5로 구분된다. Area 1은 화면 상단에 배치되며 인포메이션 영역에 해당된다. 구체적으로, Area 1에는 재생/일시정지 정보, 재생 모드 정보, 시간 정보, 홀드 아이콘 및 배터리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0A, the FM Radio reproduction screen is divided into Area 1, Area 2, Area 3, Area 4, and Area 5. Area 1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area. In detail, area 1 may display play / pause information, play mode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a hold icon, and a battery icon.

Area 2는 Area 1의 밑에 배치되며 현재 주파수 및 주파수 조절 바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Area 2 is located below Area 1 and displays the current frequency and frequency control bar.

Area 3은 Area 2의 밑에 배치되며 FM 지역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Area 3 is an area under the area 2 and shows the FM area.

Area 4는 Area 3의 프리셋된 채널들이 하나씩 표시되는 영역이다. Area 4 is an area in which the preset channels of Area 3 are displayed one by one.

Area 5는 Area 4의 밑에 배치되며 자동 프리셋 방법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Area 5 is located below Area 4 and displays the automatic preset method.

MP3P는 이와 같은 구성의 FM Radio 재생 화면을 통해 FM 라디오 청취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MP3P provides FM radio listening function through the FM Radio playback screen.

도 5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Radio 메뉴의 Preset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미리 설정된 채널들을 리스트로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FIG. 50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set list of an FM radio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s illustrated in FIG. 50B, the MP3P may display preset channels in a list.

(4.3) (4.3) FMFM RadioRadio 지역 설정(한국) Regional Settings (Korea)

이하에서는 도 51a 내지 도 51e를 참고하여, 한국에서 FM Radio의 지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1a 내지 도 5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에서 FM Radio의 지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setting a region of FM radio in Kore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1A to 51E. 51A to 51E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region of FM radio in Ko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MP3P를 구매한 후에 최초로 FM Radio 메뉴를 선택한 경우, MP3P는 도 51a의 지역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MP3P는 도 5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를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한 후에, 도 5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를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도 5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경기도가 선택된 경우, MP3P는 지역을 경기도로 설정하고 도 51d와 같이 지역이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 후에, 도 5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FM 라디오 재생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지역이 경기도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MP3P는 설정된 지역에 대응되는 라디오 채널 프리셋 리스트를 적용하게 된다. When the user first selects the FM Radio menu after purchasing the MP3P, the MP3P displays the region setting screen of FIG. 51A. Specifically, the MP3P displays a screen for selecting a city as shown in FIG. 51A, and then displays a screen for selecting a city as shown in FIG. 51B, as shown in FIG. 51C, by the user. If is selected, the MP3P sets the region to Gyeonggi-do and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region is set as shown in FIG. 51D. Thereafter, the FM radio reproduction screen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51E.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region is set to Gyeonggi-do. The MP3P applies a radio channel preset list corresponding to the set region.

(4.4) (4.4) FMFM RadioRadio 채널  channel 프리셋Preset 설정(이외의 국가) Settings (other countries)

이하에서는 도 52a 내지 도 52e를 참고하여, 한국 이외의 국가에서 FM Radio의 채널 프리셋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2a 내지 도 5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 이외의 국가에서 FM Radio의 채널 프리셋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setting a channel preset of FM Radio in a country other than Kore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2A to 52E. 52A to 52E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channel preset of FM Radio in a country other than Ko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한국 이외의 국가에서 MP3P를 구매한 후에 최초로 FM Radio 메뉴를 선택한 경우, MP3P는 도 52a의 채널 자동 프리셋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도 5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YES가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5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프리셋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자동 프리셋이 완료되면, MP3P는 도 5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 후에, 도 5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FM 라디오 재생 화면을 표시한다. When the user first selects the FM Radio menu after purchasing the MP3P in a country other than Korea, the MP3P displays the channel automatic preset screen of FIG. 52A. As shown in FIG. 52B, when YES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performs an automatic preset function as shown in FIG. 52C. When the automatic preset is completed, the MP3P displays a completion message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52D. After that, the FM radio playback screen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4.5) (4.5) FMFM RadioRadio 실행 방법 How to run

이하에서는 도 53a 내지 도 53e를 참고하여, FM 라디오의 실행 방법을 설명한다. 도 53a 내지 도 5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라디오의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executing an FM radio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3A to 53E. 53A to 53E illustrate a process of executing an FM rad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FM Radio List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5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자동 프리셋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MP3P는 이와 같은 채널 자동 프리셋 화면을 사용자에 의해 최초로 FM Radio List에 접근된 경우에만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53A, when the FM Radio List icon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the MP3P displays the channel automatic preset screen as shown in FIG. 53B. The MP3P will only display this channel auto preset screen when the user first accesses the FM Radio List.

도 5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YES가 선택된 경우, MP3P는 자동 프리셋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MP3P는 도 5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된 채널들의 리스트인 Preset 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채널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5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채널에 대한 FM 라디오 재생 화면을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53B, when YES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performs an automatic preset function. As illustrated in FIG. 53C, the MP3P displays a preset list, which is a list of searched channels, on the screen. When a channel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the FM radio play screen for the selected channel as shown in FIG. 53E.

한편, 도 53a의 화면에서 FM Radio List 아이콘의 오른쪽에 배치된 부가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5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FM 라디오를 재생하는 재생화면을 바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ditional icon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M Radio List icon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FIG. 53A, the MP3P immediately displays a playback screen for playing FM radio as shown in FIG. 53E.

(4.6) 수동 채널 검색 방법(4.6) Manual Channel Search Method

이하에서는 도 54a 내지 도 54f를 참고하여, FM 라디오 채널의 수동 검색 방법을 설명한다. 도 54a 내지 도 5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라디오 채널의 수동 검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manual search method for an FM radio channe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4A to 54F. 54A to 54F illustrate a method for manually searching for an FM radio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M Radio List 아이콘의 오른쪽에 배치된 부가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5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M 라디오를 재생하는 재생화면을 바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현재 설정된 채널은 87.5MHz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4A, when the additional icon disposed to the right of the FM Radio List icon is selected, the MP3P immediately displays a playback screen for playing the FM radio as shown in FIG. 54B.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currently set channel is 87.5MHz.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Up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5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채널을 0.1MHz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Up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5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채널을 검색하게 된다. 그리고, 수신 가능한 주파수가 검색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어떤 버튼이 조작된 경우, 도 5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해당 채널의 주파수에서 검색을 종료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Up button by the user, the MP3P increases the current channel by 0.1 MHz as shown in Fig. 54C.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Up button by the user, the MP3P automatically searches for the channel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channel as shown in FIG. 54D. When a receivable frequency is searched or a button is operated by a user, as illustrated in FIG. 54E, the MP3P ends the search at the frequency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한편, 수신 가능한 주파수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도 5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모든 주파수를 1회 검색한 후에 원래 주파수로 돌아오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receivable frequency is not found, as shown in FIG. 54F, the MP3P returns to the original frequency after searching all frequencies once.

(4.7) 자동 채널 (4.7) automatic channel 프리셋Preset 방법 Way

이하에서는 도 55a 내지 도 55i를 참고하여, FM 라디오 채널의 자동 프리셋 방법을 설명한다. 도 55a 내지 도 55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라디오 채널의 자동 프리셋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n automatic preset method of an FM radio channe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5A to 55I. 55A to 55I illustrate a method for automatically presetting an FM radio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M Radio List 아이콘의 오른쪽에 배치된 부가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5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M 라디오를 재생하는 재생화면을 바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현재 설정된 채널은 87.5MHz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5A, when the additional icon disposed to the right of the FM Radio List icon is selected, the MP3P immediately displays a playback screen for playing the FM radio as shown in FIG. 55B.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currently set channel is 87.5MHz.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5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을 다음 프리셋 채널로 이동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5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프리셋 시작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5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YES가 선택되면, MP3P는 도 5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의 자동 프리셋을 시작한다. 그리고, 자동 프리셋이 완료되면, MP3P는 도 5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23개의 프리셋 채널이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MP3P는 도 5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처음의 프리셋 채널을 재생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button by the user, the MP3P moves the channel to the next preset channel as shown in Fig. 55C.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a message on the screen as to whether to automatically start the preset as shown in FIG. 55D. As shown in Fig. 55E, when YES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starts automatic presetting of the channel as shown in Fig. 55F. When the automatic preset is completed,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23 preset channels are registered as illustrated in FIG. 55G. The MP3P plays the first preset channel as shown in FIG. 55H.

한편, 도 55f와 같이 MP3P가 자동 프리셋을 수행하는 도중에 사용자에 의해 아무 키나 눌러진 경우, MP3P는 도 5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까지 검색된 프리셋 채널을 저장하고 가장 처음 검색된 채널을 재생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ny key is pressed by the user while the MP3P is performing an automatic preset as shown in FIG. 55F, the MP3P stores the preset channel searched so far and plays the first searched channel as shown in FIG. 55I.

(4.8) (4.8) MuteMute 기능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56a 내지 도 56c를 참고하여, FM 라디오 재생시 Mute 기능을 설명한다. 도 56a 내지 도 5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라디오 재생시 Mute 기능의 수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Mute 기능은 소리를 제거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Hereinafter, the Mute function during FM radio reprodu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6A to 56C. 56A to 56C illustrate a method of performing a mute function during FM radio play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Mute function means a function for removing the sound.

도 5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M 라디오를 재생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Mute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 고, 도 5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화면의 하단에 볼륨 조절바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볼륨바의 왼쪽에는 스피커 모양의 아이콘에 사선이 그어져 표시되며, 이는 소리가 제거된 상태인 Mute 상태임을 나타내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56A,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playing the FM radio, the MP3P performs a mute function. And, as shown in Figure 56b, the MP3P displays a volume control bar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t this time, the left side of the volume bar is indicated by a diagonal line drawn on the speaker icon, indicating that the sound is muted state is removed.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어떤 버튼이 눌러진 경우, 도 5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볼륨 조절바를 화면에서 사라지게 하고 Mute 상태는 유지하게 된다. When a button is pressed by the user, as illustrated in FIG. 56C, the MP3P causes the volume control bar to disappear from the screen and maintains the mute stat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Mute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provides a mute function.

(4.9) 자동 (4.9) automatic 프리셋Preset 예외 상황 처리 Exception handling

이하에서는 도 57a 내지 도 57e를 참고하여, FM 라디오 채널의 자동 프리셋 수행시 발생되는 예외 상황의 처리 과정을 설명한다. 도 57a 내지 도 5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프리셋 수행시 수신 가능한 채널이 없는 경우 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handling an exceptional situation occurring when an automatic presetting of an FM radio channel is perform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7A to 57E. 57A to 57C illustrate a process when there is no channel to be received when performing an automatic pre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가 자동 프리셋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신 가능한 채널이 없는 경우, MP3P는 도 5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셋 채널이 검색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도 5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이전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As shown in FIG. 57A, when there is no channel that can be received while the MP3P performs the automatic preset,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reset channel has not been searched as shown in FIG. 57B. Then, as shown in FIG. 57C, the MP3P returns to the previous state.

이와 같이, MP3P는 프리셋 채널이 검색되지 않은 경우, 자동 프리셋 기능을 수행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As such, when the preset channel is not found, the MP3P returns to the state before performing the automatic preset function.

도 57d 및 도 5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57D and 57E illustrate a process when an earphone is not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FM Radio List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MP3P는 이어폰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어폰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 5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이어폰을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57D, when the FM Radio List icon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the MP3P determines whether the earphone is connec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arphone is not connected, as shown in FIG. 57E, the MP3P displays a message requesting to connect the earphone to the screen.

(4.10) (4.10) FMFM 라디오 채널  Radio channel 프리셋Preset 리스트 List

이하에서는 도 58a 내지 도 58g를 참고하여, FM 라디오 채널의 프리셋 리스트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8a 내지 도 5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의 FM 라디오 프리셋 채널 리스트를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 및 삭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eset list of FM radio channel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8A to 58G. 58A to 58F illustrate a process of selecting and deleting a channel using a domestic FM radio preset channel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8a는 국내의 FM 라디오 채널에 대한 프리셋 리스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5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국내의 채널에 대한 프리셋 리스트에 각 채널의 주파수값 및 채널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이때, 채널에 대응되는 아이콘은 존재하는 경우에만 표시된다. 58A shows a preset list for domestic FM radio channels. As shown in FIG. 58A, the MP3P displays a frequency value of each channel and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in a preset list for a domestic channel. At this time,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is displayed only when present.

도 5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셋 리스트에서 89.1 채널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Down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2회 입력된 경우, MP3P는 도 5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칸 아래인 90.3 채널으로 하이라이트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90.3 채널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5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3 채널을 재생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58A,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Down button twice by the user while the 89.1 channel is highlighted in the preset list, the MP3P moves to a 90.3 channel that is two spaces below as shown in FIG. 58B. The highlight moves. When the 90.3 channel is selected, the MP3P plays the 90.3 channel as shown in FIG. 58C.

한편, 도 58a의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 면, MP3P는 도 5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셋 채널을 삭제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YES가 선택되면, MP3P는 도 5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삭제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 후에, 도 5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프리셋 리스트를 화면에 다시 표시하게 된다. 이 때, 89.1 채널이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creen of FIG. 58A,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as shown in FIG. 58D, the MP3P displays a message asking whether to delete the preset channel. If YES is selected,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message has been deleted as shown in FIG. 58E. Thereafter, as shown in FIG. 58F, the MP3P displays the preset list again on the screen.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89.1 channel is deleted.

도 5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의 FM 라디오 채널의 프리셋 리스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해외의 라디오 채널에 대한 프리셋 리스트도 제공하게 된다. 58G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eset list of an overseas FM radio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8G, the MP3P also provides a preset list for overseas radio channels.

(4.11) (4.11) RDSRDS InfoInfo (구주/미주에 한함)(Europe / Americas only)

이하에서는 도 59a 및 도 59b를 참고하여, 구주 및 미주의 FM 라디오의 RDS 서비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9a 및 도 5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주 및 미주의 FM 라디오의 RDS 서비스에 관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RDS service of the Savior and America's FM radio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9A and 59B. 59A and 59B are diagrams of an RDS service of an FM radio of the Savior and the Americ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구주 또는 미주의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라디오 재생 화면에서 PTY 정보와 PS 정보를 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59b는 RDS 서비스 타입에 관하여 정리된 표에 해당된다. As illustrated in FIG. 59A, when the MP3P provides a radio service of the Savior or the Americas, the MP3P displays the PTY information and the PS information together on the screen. 59B corresponds to a table summarized about an RDS service type.

지금까지, 도 49a 내지 도 59b를 참고하여, FM Radio 메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Up to now, the FM Radio menu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9A to 59B.

(5) (5) PicturePicture 메뉴 menu

(5.1) (5.1) PicturePicture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 Basic flow of menu

이하에서는, 도 60a 내지 도 60d를 참고하여, Media 메뉴의 하위 메뉴인 Picture 메뉴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60a 내지 도 6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icture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basic flow of the Picture menu, which is a sub menu of the Media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0A to 60D. 60A to 60D illustrate a basic flow of a Picture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0a는 MP3P가 메인 메뉴에서 Media 메뉴에 포커스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에서 Media 메뉴가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6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FIG. 60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MP3P displays focus on a Media menu in a main menu. As shown in FIG. 60A, when the Media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the MP3P displays the Media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60B.

도 6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는 Music List 아이콘, Video List 아이콘, FM Radio List 아이콘, Pictures List 아이콘, Texts List 아이콘 및 Setting 아이콘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Music List 아이콘, Video List 아이콘, FM Radio List 아이콘, Pictures List 아이콘 및 Texts List 아이콘의 우측에는 재생화면 표시를 위한 부가 아이콘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0B, the Media menu includes a Music List icon, a Video List icon, an FM Radio List icon, a Pictures List icon, a Texts List icon, and a Setting icon. On the right side of the Music List icon, the Video List icon, the FM Radio List icon, the Pictures List icon, and the Texts List icon, additional icons for displaying the playback screen are displayed.

사용자에 의해 Picture 아이콘이 선택되면, MP3P는 도 60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장된 Picture들에 대한 썸네일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Picture 아이콘의 우측에 표시된 부가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60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진 재생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When the picture ico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a thumbnail list of the stored pictures as shown in FIG. 60C on the screen. When the additional icon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picture icon is selected by the user, a picture reproduction screen as shown in Fig. 60D is displayed.

(5.2) (5.2) PicturePicture 메뉴의 화면 배치 Screen layout of the menu

이하에서는, 도 61a 및 도 61b를 참고하여, Picture 메뉴의 화면 배치를 설명한다. 도 6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icture 메뉴의 썸네일 리스트 화면의 화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screen layout of the Picture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1A and 61B. FIG. 61A illustrates a screen layout of a thumbnail list screen of a picture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icture 메뉴의 썸네일 리스트 화면은 Area 1, Area 2, 및 Area 3으로 구분된다. Area 1은 화면 상단에 배치되며 인포메이션 영역에 해당된다. 구체적으로, Area 1에는 재생/일시정지 정보, 뎁스(depth) 정보, 파일 순서 정보(000/000), 홀드 아이콘 및 배터리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1A, the thumbnail list screen of the Picture menu is divided into Area 1, Area 2, and Area 3. FIG. Area 1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area. In detail, area 1 may display play / pause information, depth information, file order information (000/000), a hold icon, and a battery icon.

Area 2는 Area 1의 밑에 배치되며 현재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사진의 파일명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Area 2 is an area below the area 1 and displays the file name of the photo currently highlighted.

Area 3은 Area 2의 밑에 배치되며 사진들에 대한 복수개의 썸네일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Area 3 is an area under which area 2 is displayed and a plurality of thumbnails for photos are displayed.

MP3P는 이와 같은 구성의 썸네일 리스트를 제공하게 된다. MP3P will provide a thumbnail list of such a configuration.

도 6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재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사진 재생시 화면 전체에 사진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6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icture reproduc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1B, the MP3P displays the picture on the entire screen when the picture is played back.

(5.3) (5.3) 썸네일thumbnail 리스트 및 사진 보기 기능 List and picture viewing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62a 내지 도 62g를 참고하여, Picture 메뉴의 썸네일 리스트 및 사진보기 기능의 실행 방법을 설명한다. 도 62a 내지 도 6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icture 메뉴의 썸네일 리스트 및 사진보기 기능의 실행 과정을 도시 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executing a thumbnail list and a picture viewing function of a picture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2A to 62G. 62A to 62G illustrate a process of executing a thumbnail list and a picture viewing function of a picture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Picture Thumbnail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6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들에 대한 썸네일 리스트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도 62b에서는 왼쪽 상단의 사진에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도 6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하이라이트를 오른쪽으로 한칸 이동 시킨다. 그 후에,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6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사진 파일을 전체화면으로 재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도 6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다음 사진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Volume+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디스플레이된 사진을 확대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62A, when the Picture Thumbnail icon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the MP3P displays thumbnail list screens for the pictures as shown in FIG. 62B. In this case, it can be seen in FIG. 62B that the highlight is located in the upper left picture.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button by the user, as shown in Fig. 62C, the MP3P moves the highlight one space to the right. Thereafter,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plays the photo file in which the highlight is located in full screen as shown in FIG. 62D.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button by the user, as shown in FIG. 62E, the MP3P displays the next pictur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lume + button by the user, the MP3P enlarges the displayed picture.

한편, 도 62a의 화면에서 Picture Thumbnail 아이콘의 오른쪽에 배치된 부가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6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열어본 사진에 대한 재생화면을 바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ditional icon disposed to the right of the Picture Thumbnail icon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FIG. 62A, the MP3P immediately displays a playback screen for the recently opened picture as shown in FIG. 62G.

(5.4) (5.4) 썸네일thumbnail 리스트 탐색기능 List search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63a 내지 도 63g를 참고하여, Picture 메뉴의 썸네일 리스트의 탐색 기능의 실행 방법을 설명한다. 도 63a 내지 도 6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icture 메뉴의 썸네일 리스트의 탐색 기능의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 다. Hereinafter, a method of executing a search function of a thumbnail list of a picture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3A to 63G. 63A to 63G illustrate a process of executing a search function of a thumbnail list of a picture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3a와 같이 사진 보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Bac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6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MP3P는 이전에 디스플레이했던 파일에 하이라이트를 위치시키게 된다. 그 후에, Down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한번 입력되면, MP3P는 도 6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칸 아래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Down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두번 입력되면, MP3P는 도 6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칸 아래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킨다. 그 후에,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네번 입력되면, MP3P는 도 6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칸 오른쪽으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킨다. When a short pressing manipulation is input to the Bac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picture viewing screen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63A, the MP3P displays a thumbnail list as shown in FIG. 63B. At this point, the MP3P will place the highlight on the previously displayed file. After that,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Down button once, the MP3P moves the highlight down one space, as shown in Fig. 63C.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wice to the Down button, the MP3P moves the highlight down two spaces, as shown in FIG. 63D. After that,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four times to the Right button, the MP3P moves the highlight to the right of the four spaces as shown in Fig. 63E.

한편, 도 63b에 도시된 화면과 같이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상태에서,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네번 입력되면, MP3P는 도 6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칸 오른쪽으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킨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where the highlight is located as shown in FIG. 63B,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button four times, the MP3P moves the highlight to the right of the four spaces as shown in FIG. 63F.

그리고, 도 63d에 도시된 화면과 같이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상태에서,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도 6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Folder 1에 포함된 파일들에 대한 썸네일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in the state where the highlight is positioned as shown in FIG. 63D, as shown in FIG. 63G, the MP3P displays thumbnail lists of files included in Folder 1. Done.

(5.5) 파일이 없는 경우(5.5) File not found

이하에서는 도 64a 및 도 64b를 참고하여, 파일이 없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64a 및 도 6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파일이 없는 경우를 도시한 도 면이다.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re is no fi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4A and 64B. 64A and 64B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re is no photo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Picture Thumbnail 아이콘이 선택되었으나 저장된 사진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MP3P는 도 6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이 없음을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As shown in FIG. 64A, when the Picture Thumbnail icon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but no stored picture file exists, the MP3P displays a screen indicating that there is no file as shown in FIG. 64B.

(5.6) 슬라이드쇼 기능(5.6) Slideshow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65a 내지 도 65f를 참고하여, 슬라이드쇼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65a 내지 도 65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쇼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slideshow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5A to 65F. 65A to 65F illustrate a process of performing a slideshow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는 사진보기 화면에서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슬라이드쇼 기능을 시작하게 된다. 따라서, MP3P는 도 6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ransition Effect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바꾸게 된다. 즉, MP3P는 1초 후에 도 6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사진을 디스플레이한다. As shown in FIG. 65A,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on the picture viewing screen on which a specific picture is displayed, the MP3P starts the slideshow function. Accordingly, the MP3P changes the displayed pictur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by applying a transition effect as shown in FIG. 65B. That is, the MP3P displays another picture as shown in FIG. 65C after 1 second.

그리고, 슬라이드쇼가 수행되는 도중에, 사용자에 의해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된 경우, MP3P는 도 6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로 다음 사진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3초가 지나면, MP3P는 도 6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다음의 사진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Bac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된 경우, 도 6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슬라이드 쇼를 멈추게 된다. When the user presses a short pressing operation on the Right button while the slide show is being performed, the MP3P displays the next picture as illustrated in FIG. 65D. After 3 seconds, the MP3P automatically displays the next picture, as shown in FIG. 65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ac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stops the slide show as shown in Fig. 65F.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슬라이드쇼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MP3P provides a slideshow function.

지금까지 도 60a 내지 도 65f를 참고하여, MP3P의 Picture 메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So far, the Picture menu of the MP3P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0A to 65F.

(6) (6) TextText 메뉴 menu

(6.1) (6.1) TextText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 Basic flow of menu

이하에서는, 도 66a 내지 도 66d를 참고하여, Media 메뉴의 하위 메뉴인 Text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66a 내지 도 6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ext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basic flow of the text menu, which is a sub menu of the media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6A to 66D. 66A to 66D illustrate a basic flow of a text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6a는 MP3P가 메인 메뉴에서 Media 메뉴에 포커스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에서 Media 메뉴가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6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FIG. 66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MP3P displays focus on a Media menu in a main menu. As shown in FIG. 66A, when the Media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the MP3P displays the Media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66B.

도 6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는 Music List 아이콘, Video List 아이콘, FM Radio List 아이콘, Pictures List 아이콘, Texts List 아이콘 및 Setting 아이콘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Music List 아이콘, Video List 아이콘, FM Radio List 아이콘, Pictures List 아이콘 및 Texts List 아이콘의 우측에는 재생화면 표시를 위한 부가 아이콘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6B, the Media menu includes a Music List icon, a Video List icon, an FM Radio List icon, a Pictures List icon, a Texts List icon, and a Setting icon. On the right side of the Music List icon, the Video List icon, the FM Radio List icon, the Pictures List icon, and the Texts List icon, additional icons for displaying the playback screen are displayed.

사용자에 의해 Texts List 아이콘이 선택되면, MP3P는 도 6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텍스트 파일들에 대한 텍스트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Texts List 아이콘의 우측에 표시된 부가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66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텍스트 뷰어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When the Texts List ico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the text list for the text files as shown in FIG. 66C on the screen. When the additional icon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Texts List icon is selected by the user, a text viewer screen as shown in FIG. 66D is displayed.

(6.2) (6.2) TextText 메뉴의 화면 배치 Screen layout of the menu

이하에서는, 도 67a 및 도 67b를 참고하여, Text 메뉴의 화면 배치를 설명한다. 도 6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ext 메뉴의 텍스트 리스트 화면의 화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screen layout of the text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7A and 67B. 67A illustrates a screen layout of a text list screen of a text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Text 메뉴의 텍스트 리스트 화면은 Area 1 및 Area 2으로 구분된다. Area 1은 화면 상단에 배치되며 인포메이션 영역에 해당된다. 구체적으로, Area 1에는 재생/일시정지 정보, 뎁스(depth) 정보, 파일 순서 정보(000/000), 홀드 아이콘 및 배터리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7A, the text list screen of the Text menu is divided into Area 1 and Area 2. FIG. Area 1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area. In detail, area 1 may display play / pause information, depth information, file order information (000/000), a hold icon, and a battery icon.

Area 2는 Area 1의 밑에 배치되며 텍스트 파일들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Area 2 is an area below the area 1 and displays a list of text files.

MP3P는 이와 같은 구성의 텍스트 리스트를 제공하게 된다. MP3P will provide a text list of such a configuration.

도 6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뷰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Text 메뉴의 텍스트 뷰어 화면은 Area 1, Area 2 및 Area 3으로 구분된다. Area 1은 화면 상단에 배치되며 인포메이션 영역에 해당된다. 구체적으로, Area 1에는 재생/일시정지 정보, 뎁스(depth) 정보, 파일 순서 정보(000/000), 홀드 아이콘 및 배터리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67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xt viewer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7A, the text viewer screen of the Text menu is divided into Area 1, Area 2, and Area 3. Area 1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area. In detail, area 1 may display play / pause information, depth information, file order information (000/000), a hold icon, and a battery icon.

Area 2는 Area 1의 밑에 배치되며 텍스트 파일의 내용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Area 2 is the area below the area 1 and displays the contents of the text file.

Area 3은 화면의 하단에 배치되며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Area 3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nd displays the progress bar.

(6.3) 텍스트 리스트 및 텍스트 (6.3) text lists and texts 뷰어viewer 사용 use

이하에서는 도 68a 내지 도 68g를 참고하여, Text 메뉴의 텍스트 리스트 및 텍스트 뷰어 기능의 실행 방법을 설명한다. 도 68a 내지 도 6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ext 메뉴의 텍스트 리스트 및 텍스트 뷰어 기능의 실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executing a text list and a text viewer function of a text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8A to 68G. 68A to 68G illustrate a method of executing a text list and a text viewer function of a text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Texts List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6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파일들에 대한 텍스트 리스트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도 68b에서는 '즐거운 나의집' 파일에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도 6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파일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텍스트 뷰어를 실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도 6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다음 페이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Volume+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화면 하단에 볼륨 조절 바를 디스플레이하고 음량을 1 높이게 된다. 그리고, MP3P는 1초 후에 볼륨 조절 바를 화면에서 제거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68A, when the Texts List icon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the MP3P displays the text list screen for the text files as shown in Fig. 68B. At this time, in FIG. 68B, it can be seen that the highlight is located in the 'happy home' file.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as shown in Fig. 62C, the MP3P executes a text viewer displaying the contents of the file in which the highlight is located.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button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the contents of the next page as shown in FIG. 68D.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Volume + button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the volume control bar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nd increases the volume by one. After one second, the MP3P removes the volume control bar from the screen.

한편, 도 68a의 화면에서 Texts List 아이콘의 오른쪽에 배치된 부가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6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열어본 텍스트 파일에 대한 텍스트 뷰어를 바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ditional icon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Texts List icon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FIG. 68A, the MP3P immediately displays a text viewer for the recently opened text file as shown in FIG. 68G.

(6.4) 텍스트 (6.4) text 뷰어에서In the viewer 첫 페이지 또는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Go to first or last page

이하에서는 도 69a 내지 도 69f를 참고하여, 텍스트 뷰어에서 첫 페이지로 이동 또는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기능의 실행 방법을 설명한다. 도 69a 내지 도 69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뷰어에서 첫 페이지로 이동 또는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기능의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69A to 69F, a method of executing the first page or the last page moving function in the text viewer will be described. 69A to 69F illustrate a process of executing a move to a first page or a move to a last page in a text vie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9a는 제목이 '삼국지 2'인 텍스트 파일의 26페이지가 표시된 텍스트 뷰어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Left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계속 입력되면, MP3P는 도 6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페이지로 이동되어 멈추게 된다. 그 후에, 사용자에 의해 Lef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텍스트 리스트 상의 이전 파일의 첫페이지를 텍스트 뷰어에 표시한다. 따라서, 도 6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제목이 '삼국지 1'인 텍스트 파일의 1페이지를 표시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69A shows a text viewer screen displaying page 26 of a text file titled 'Three Kingdoms 2'. In this state, if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continuously input to the Left button by the user, the MP3P is moved to page 1 and stopped as shown in FIG. 69B. The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Left button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the first page of the previous file on the text list in the text viewer. Thus, as shown in FIG. 69C, it can be seen that the MP3P displays one page of the text file titled 'Three Kingdoms 1'.

한편, 도 69d는 제목이 '삼국지 2'인 텍스트 파일의 26페이지가 표시된 텍스트 뷰어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Right 버튼에 긴 누름 조작이 계속 입력되면, MP3P는 도 6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 페이지로 이동되어 멈추게 된다. 그 후에, 사용자에 의해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텍스트 리스트 상의 다음 파일의 첫페이지를 텍스트 뷰어에 표시한다. 따라서, 도 6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제목이 '삼국지 3'인 텍스트 파일의 1페이지를 표시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FIG. 69D shows a text viewer screen displaying page 26 of a text file titled 'Three Kingdoms 2'. In this state, if a long pressing operation is continuously input to the Right button by the user, the MP3P is moved to page 120 and stopped as shown in FIG. 69E. The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button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the first page of the next file on the text list in the text viewer. 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69F, the MP3P may confirm that one page of the text file titled 'Three Kingdoms 3' is displayed.

(6.5) 폰트 사이즈 조절(6.5) font size adjustment

이하에서는 도 70a 내지 도 70c를 참고하여, 텍스트 뷰어에서의 폰트 사이즈 조절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70a 내지 도 7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뷰어에서의 폰트 사이즈 조절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font size adjusting function in the text view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0A to 70C. 70A to 70C illustrate a font size adjustment function in a text vie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0a는 폰트 사이즈가 스몰(small)인 상태의 텍스트 뷰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Up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을 입력한 경우, MP3P는 도 7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트 사이즈를 미디엄(Medium)으로 키우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Up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을 입력한 경우, MP3P는 도 7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트 사이즈를 라지(Large)로 키우게 된다. 70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xt viewer in a state where the font size is small. In this state, when the user inputs a short pressing operation to the Up button, the MP3P increases the font size to medium as shown in FIG. 70B. In this state, when the user inputs a short pressing operation to the Up button, the MP3P increases the font size to Large as shown in FIG. 70C.

이와 같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텍스트 뷰어에서 폰트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MP3P may adjust the font size in the text viewe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6.6) 자동 피벗((6.6) Auto Pivot ( AuteAute PivotPivot ) 기능)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71a 내지 도 71c를 참고하여, 텍스트 뷰어에서의 자동 피벗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71a 내지 도 7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뷰어에서의 자동 피벗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automatic pivot function in the text view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1A to 71C. 71A to 71C illustrate an automatic pivot function in a text vie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1a는 세로보기 상태의 텍스트 뷰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MP3P가 90도 회전된 경우, 도 7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자동 피벗 기능을 수행하여 가로보기 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MP3P가 다시 90도 회전된 경우, 도 71c는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자동 피벗 기능을 다시 수행하여, 세로보기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71A illustrates a text viewer in a portrait view. In this state, when the MP3P is rotated 90 degrees by the user, as shown in FIG. 71B, the MP3P performs an automatic pivot function to switch to the landscape view state. In addition, when the MP3P is rotated by 90 degrees by the user, as shown in FIG. 71C, the MP3P performs the automatic pivot function again to switch to the portrait view state.

이와 같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 피벗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As such, the MP3P provides an automatic pivot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지금까지, 도 66a 내지 도 71c를 참고하여, Text 메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Up to now, the Text menu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6A to 71C.

(7) (7) SettingsSettings 메뉴 menu

(7.1) (7.1) SettingsSettings 메뉴의 화면 배치 Screen layout of the menu

이하에서는, 도 72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화면 배치를 설명한다. 도 7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화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screen layout of the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2. 7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layout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ettings 메뉴의 세팅 리스트 화면은 Area 1 및 Area 2으로 구분된다. Area 1은 화면 상단에 배치되며 인포메이션 영역에 해당된다. 구체적으로, Area 1에는 재생/일시정지 정보, 뎁스(depth) 정보, 파일 순서 정보(000/000), 홀드 아이콘 및 배터리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2, the setting list screen of the Settings menu is divided into Area 1 and Area 2. Area 1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area. In detail, area 1 may display play / pause information, depth information, file order information (000/000), a hold icon, and a battery icon.

Area 2는 Area 1의 밑에 배치되며 세팅 항목들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는 영 역이다. Area 2 is located below Area 1 and displays a list of setting items.

(7.2) (7.2) SoundSound 항목의  Of items MusicMusic DNSeDNSe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73a 내지 도 73g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Music DNSe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3a 내지 도 7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Music DNSe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Music DNSe of the Sound item of the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3A to 73G. 73A to 73G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Music DNSe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7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7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und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3c와 같이 Sound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Music DNSe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usic DNSe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Down 버튼에 9번의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를 9칸 밑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항목인 'Dance'로 Music DNSe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7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1초가 지나면 다시 Sound 항목에 대한 하위메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73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73B.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73B, when a short pressing manipul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ound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sound item as shown in FIG. 73C. At this tim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Music DNSe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the Music DNSe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 73D. In this state, when the user inputs nine short pressing operations to the Down button, the MP3P moves the highlight down nine spaces as shown in Fig. 73E.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the MP3P sets Music DNSe to 'Dance', which is the item currently highlighted, as shown in FIG. 73F. As shown in FIG. 73G, after one second, the MP3P displays the submenu for the Sound item on the screen.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Music DNSe를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Music DNS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3) (7.3) SoundSound 항목의  Of items VideoVideo DNSeDNSe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74a 내지 도 74g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Video DNSe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4a 내지 도 7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Video DNSe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Video DNSe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4A to 74G. 74A to 74G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Video DNSe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7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7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und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4c와 같이 Sound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Video DNSe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Video DNSe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Down 버튼에 1번의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를 1칸 밑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항목인 'Theater'로 Video DNSe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7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1초가 지나면 다시 Sound 항목에 대한 하위메뉴를 화 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74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74B. As shown in FIG. 74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ound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for the sound item as shown in FIG. 74C. At this tim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video DNSe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the Video DNSe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 74D. In this state, when the user inputs one short pressing operation to the Down button, the MP3P moves the highlight down one space as shown in FIG. 74E.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ted to the OK button, the MP3P sets Video DNSe to 'Theater', which is the currently highlighted item, as shown in FIG. 74F. As shown in FIG. 74G, after one second, the MP3P again displays a submenu for a Sound item on the screen.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Video DNSe를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up Video DNS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4) (7.4) SoundSound 항목의  Of items PlayPlay modemode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75a 내지 도 75f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Play mode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5a 내지 도 75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Play mode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a play mode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5A to 75F. 75A to 75F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play mode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7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7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und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5c와 같이 Sound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Play mode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ay mode가 Normal에서 Repeat으로 변경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한번 더 입력되면, MP3P는 도 7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ay mode가 Repeat에서 Repeat 1으로 변경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한번 더 입력되면, MP3P는 도 7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ay mode가 Repeat 1에서 Shuffle으로 변경된다.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75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75B. As shown in FIG. 75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ound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sound item as shown in FIG. 75C. At this tim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Play mode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changes the Play mode from Normal to Repeat as shown in FIG. 75D. In this stat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once more by the user, the MP3P changes the Play mode from Repeat to Repeat 1 as shown in Fig. 75E. In this stat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once more by the user, the MP3P changes the Play mode from Repeat 1 to Shuffle as shown in FIG. 75F.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Play mode를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the play mod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5) (7.5) SoundSound 항목의  Of items StreetStreet modemode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76a 내지 도 76d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Street mode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6a 내지 도 7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Street mode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Street mode는 사용자가 조깅할 때 사용하는 모드로, 가속도 센서를 통해 입력된 조작에 의해 MP3P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 모드이다. 사용자가 조깅을 하는 도중일 경우, 버튼을 조작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MP3P는 모션 조작을 통해 MP3P의 동작을 제어하는 Street mode를 제공하게 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a street mode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6A to 76D. 76A to 76D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street mode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treet mode is a mode used when the user jogs, and is a mod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P3P by an operation input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When the user is jogging, since the buttons are not easy to operate, the MP3P provides a street mod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P3P through motion manipulation.

도 7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7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7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und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6c와 같이 Sound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Street mode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reet mode를 OFF에서 ON으로 변경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76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76B. As shown in FIG. 76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ound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for the sound item as shown in FIG. 76C. At this tim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treet mode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changes the street mode from OFF to ON as shown in FIG. 76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Street mode를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the street mod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6) (7.6) SoundSound 항목의  Of items AudioAudio UpscalerUpscaler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77a 내지 도 77d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Audio Upscaler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7a 내지 도 7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Audio Upscaler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Audio Upscaler는 오디오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처리하는 기능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an audio upscaler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7A to 77D. 77A to 77D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n audio upscaler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Audio Upscaler is the function that processes the audio quality.

도 7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7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7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und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7c와 같이 Sound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Audio Upscaler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Audio Upscaler를 OFF에서 ON으로 변경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77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77B. As shown in FIG. 77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ound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sound item as shown in FIG. 77C. At this tim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Audio Upscaler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changes the Audio Upscaler from OFF to ON as shown in FIG. 77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Audio Upscaler를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the audio upscale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7) (7.7) SoundSound 항목의  Of items BeepBeep SoundSound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78a 내지 도 78d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Beep Sound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8a 내지 도 7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Beep Sound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Beep Sound는 특정 상황에서 '삐' 소리가 나도록 설정하는 기능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the Beep Sound of the Sound item of the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8A to 78D. 78A to 78D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beep sound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Beep Sound is a function to set the beep sound in certain situations.

도 7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7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7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und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8c와 같이 Sound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Beep Sound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Beep Sound를 OFF에서 ON으로 변경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78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78B. As illustrated in FIG. 78B, when the user presses a short pressing operation on the OK button while the sound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sound item as shown in FIG. 78C. At this tim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Beep Sound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changes Beep Sound from OFF to ON as shown in FIG. 78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Beep Sound를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Beep Soun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8) (7.8) SoundSound 항목의  Of items WiseWise VolumeVolume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79a 내지 도 79f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Wise Volume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9a 내지 도 79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Wise Volume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Wise Volume은 청력 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해 음량의 최대값을 조절하는 기능이다. Wise Volume 기능에 관하여는, 앞서 도 13a 내지 도 13j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 있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the Wise Volume of the Sound item of the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9A to 79F. 79A to 79F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Wise Volume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Wise Volume is a function that adjusts the maximum value of the volume to minimize hearing fatigue. The Wise Volume func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3A to 13J.

도 7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7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7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und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9c와 같이 Sound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Wise Volume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7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Wise Volume 기능에 관련된 안내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 7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YES가 선택되면, MP3P는 도 7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Wise Volume을 OFF에서 ON으로 변경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79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79B. As illustrated in FIG. 79B, when a short pressing manipul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ound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sound item as shown in FIG. 79C. At this tim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Wise Volume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guide message related to the Wise Volume function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79D. 79E, if YES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changes the Wise Volume from OFF to ON as shown in FIG. 79F.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Wise Volume을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the Wise Volum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9) (7.9) SoundSound 항목의  Of items AudioAudio GuideGuide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80a 내지 도 80d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Audio Guide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0a 내지 도 8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Audio Guide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an audio guide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0a to 80d. 80A to 80D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n audio guide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8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8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und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0c와 같이 Sound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Audio Guide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Audio Guide의 타입들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 8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선택된 Audio Guide는 Type 1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Audio Guide의 타입은 Type 1, Type 2, 및 Type 3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에 다른 타입들이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80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80B. As shown in FIG. 80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ound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sound item as shown in FIG. 80C. At this time, if a short pressing manipul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audio guide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list of types of audio guides as shown in FIG. 80D. As shown in FIG. 80D, the currently selected Audio Guide may be confirmed to be Type 1. FIG. Here, although the type of the audio guide is shown as being composed of Type 1, Type 2, and Type 3, other types may be adde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Audio Guide를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the audio guid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10) (7.10) SoundSound 항목의  Of items OutputOutput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81a 내지 도 81d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Output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1a 내지 도 8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Output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Output은 Audio 신호를 출력하는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an output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1A to 81D. 81A to 81D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n output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Output is the function to set the path to output the audio signal.

도 8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8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8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und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1c와 같이 Sound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Output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Output을 Auto에서 Earphone으로 변경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다시 입력되면, MP3P는 도 8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Output을 Earphone에서 Speaker로 변경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81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81B. As illustrated in FIG. 81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ound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sound item as shown in FIG. 81C. At this tim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output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changes the output from Auto to Earphone as shown in FIG. 81D.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again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changes the output from the earphone to the speaker as shown in FIG. 81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Output을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the outpu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11) (7.11) DisplayDisplay 항목의  Of items MenuMenu DesignDesign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82a 내지 도 82g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Display 항목의 Menu Design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2a 내지 도 8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Display 항목의 Menu Design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Menu Design은 메인 메뉴의 디자인을 설정하는 기능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Menu Design of a Display item of a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2A to 82G. 82A to 82G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Menu Design of a Display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Menu Design is a function for setting the design of the main menu.

도 8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8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8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splay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2c와 같이 Display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Menu Design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의 디자인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82d에는 'Style 1'의 메인메뉴 디자인이 디스플레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UCI 1'의 메인메뉴 디자인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UCI 2'의 메인메뉴 디자인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2f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메인 메뉴의 디자인을 'UCI 2'의 디자인으로 설정하게 된다. 그 후에, 도 8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다시 Display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82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82B.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82B, when a short pressing manipul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highligh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tem,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Display item as shown in FIG. 82C. At this tim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menu design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creen for selecting a design of the menu as shown in FIG. 82D, it can be seen that the main menu design of 'Style 1' is displayed.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button by the user, the MP3P may confirm that the main menu design of 'UCI 1'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82E.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button by the user, the MP3P may confirm that the main menu design of 'UCI 2'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82F.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creen shown in FIG. 82F is displayed, the MP3P sets the design of the main menu to the design of 'UCI 2'. Thereafter, as shown in FIG. 82G, the MP3P again displays a submenu for the Display item.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메인메뉴의 디자인을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the design of the main menu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12) (7.12) DisplayDisplay 항목의  Of items FontFont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83a 내지 도 83g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Display 항목의 Font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3a 내지 도 8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Display 항목의 Font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Font는 메뉴의 글씨체를 설정하는 기능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the font of the Display item of the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3A to 83G. 83A to 83G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font of a Display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ont is the function to set the font of the menu.

도 8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8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8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splay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3c와 같이 Display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Font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폰트가 바로 적용되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다시 입력되면, MP3P는 도 8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폰트가 바로 적용되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다시 입력되면, MP3P는 도 8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폰트가 바로 적용되어 표시된다. 그 후에, 사용자에 의해 Back 버튼이 조작되면, MP3P는 MP3P는 도 8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다시 표시하게 된다.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83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83B. As shown in FIG. 83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highligh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tem,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Display item as shown in FIG. 83C. At this tim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in the state where the highlight is displayed on the Font item, the MP3P is immediately displayed with another font as shown in FIG. 83D.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again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is displayed with another font immediately applied as shown in Fig. 83E.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again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is immediately displayed with another font as shown in Fig. 83F. Thereafter, when the Back button is operated by the user, the MP3P causes the MP3P to display the setting menu again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83G.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폰트를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the fon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13) (7.13) DisplayDisplay 항목의  Of items DisplayDisplay OffOff TimeTime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84a 내지 도 84h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Display 항목의 Display Off Time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4a 내지 도 84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Display 항목의 Display Off Time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Display Off Time은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우 디스플레이가 오프되는 대기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the display off time of the Display item of the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4A to 84H. 84A to 84H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display off time of a display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Display Off Time is a function to set the waiting time for turning off the display when there is no user input.

도 8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 는 도 8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8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splay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4c와 같이 Display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Display Off Time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splay Off Time은 1 분에서 3 분으로 변경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다시 입력되면, MP3P는 도 8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splay Off Time은 3 분에서 항상 켜짐(Always on)으로 변경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splay Off Time은 항상 켜짐에서 15초로 변경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splay Off Time은 15초에서 다시 1 분으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설정된 후에 사용자의 입력이 없이 1분이 지나면, MP3P는 도 8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오프하게 된다.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84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84B.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84B, when a short pressing manipul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highligh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tem,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Display item as shown in FIG. 84C. At this tim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highlight is displayed in the Display Off Time item, the MP3P changes the Display Off Time from 1 minute to 3 minutes as shown in FIG. 84D.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again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changes the Display Off Time to Always On at 3 minutes as shown in Fig. 84E.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changes the Display Off Time from always on to 15 seconds as shown in Fig. 84F.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changes the Display Off Time from 15 seconds to 1 minute as shown in FIG. 84G. After 1 minute without user input after the setting, the MP3P turns off the display as shown in FIG. 84H.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Display Off Time을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the Display Off Tim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14) (7.14) DisplayDisplay 항목의  Of items BrightnessBrightness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85a 내지 도 85f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Display 항목의 Brightness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5a 내지 도 85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Display 항목의 Brightness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Brightness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설정하는 기능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item of the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5A to 85F. 85A to 85F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Brightness of a Display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Brightness is a function for sett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도 8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8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8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splay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5c와 같이 Display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Brightness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Brightness를 3에서 4로 변경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다시 입력되면, MP3P는 도 8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Brightness를 4에서 5로 변경한다. 그 후에, 사용자에 의해 Back 버튼이 조작되면, 도 8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세팅 메뉴를 화면에 다시 표시하게 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85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85B. As shown in FIG. 85B, when a short pressing manipul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highligh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tem,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Display item as shown in FIG. 85C. At this tim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highlight is displayed in the Brightness item, the MP3P changes the brightness from 3 to 4 as shown in FIG. 85D.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again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changes the brightness from 4 to 5 as shown in FIG. 85E. After that, when the Back button is opera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85F, the MP3P redisplays the setting menu on the screen.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Brightness를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the brightnes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15) (7.15) DisplayDisplay 항목의  Of items LyricsLyrics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86a 내지 도 86d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Display 항목의 Lyrics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6a 내지 도 8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Display 항목의 Lyrics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Lyrics는 가사 표시 여부를 설정하는 기능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Lyrics of the Display item of the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6A to 86D. 86A to 86D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Lyrics of a Display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Lyrics is a function to set whether to display lyrics.

도 8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8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8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splay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6c와 같이 Display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Lylics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Lylics를 Off에서 On으로 변경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86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86B. As shown in FIG. 86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highligh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tem,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Display item as shown in FIG. 86C. At this tim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highlight is displayed in the Lylics item, the MP3P changes Lylics from Off to On as shown in FIG. 86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Lyrics를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MP3P sets Lyric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16) (7.16) LanguageLanguage 항목의  Of items MenuMenu LanguageLanguage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87a 내지 도 87g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Language 항목의 Menu Language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7a 내지 도 87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Language 항목의 Menu Language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Menu Language는 메뉴를 표시하는 언어의 종류를 설정하는 기능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a Menu Language of a Language item of a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7A to 87G. 87A to 87G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Menu Language of a Language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Menu Language is a function of setting the type of language for displaying a menu.

도 8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8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8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anguage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7c와 같이 Language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Menu Language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원 가능한 언어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한다. 도 8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glish에 체크 표시가 되어 있으므로, MP3P는 현재 메뉴 언어가 영어로 설정된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8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한국어로 하이라이트가 이동된 후에,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어를 메뉴 언어로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도 8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1초 후에 Language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한국어로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87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87B.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87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language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for the Language item as shown in FIG. 87C. At this tim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menu language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list of supported languages as shown in FIG. 87D. As shown in FIG. 87D, since English has a check mark, the MP3P can confirm that the current menu language is set to English. In this state, after the highlight is moved to Korean by the user as shown in Fig. 87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the MP3P sets Korean as the menu language as shown in Fig. 87F. Accordingly, as shown in FIG. 87G, after 1 second, the MP3P displays the submenu for the Language item in Korean.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Menu Language를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the Menu Languag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17) (7.17) LanguageLanguage 항목의  Of items ContentsContents LanguageLanguage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88a 내지 도 88g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Language 항목의 Contents Language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8a 내지 도 8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Language 항목의 Contents Language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Contents Language는 메뉴를 표시하는 언어의 종류를 설정하는 기능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Contents Language of a Language item of a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8A to 88G. 88A to 88G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Contents Language of a Language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Contents Language is a function for setting the type of language for displaying a menu.

도 8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8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8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Language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8c와 같이 Language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Contents Language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원 가능한 언어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한다. 도 8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glish에 체크 표시가 되어 있으므로, MP3P는 현재 메뉴 언어가 영어로 설정된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8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한국어로 하이라이트가 이동된 후에,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어를 메뉴 언어로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도 8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1초 후에 Language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한국어로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88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88B.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88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language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for the Language item as shown in FIG. 88C. At this tim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highlight is displayed on the Contents Language item, the MP3P displays a list of supported languages as illustrated in FIG. 88D. As shown in FIG. 88D, since English has a check mark, the MP3P can confirm that the current menu language is set to English. In this state, after the highlight is moved to Korean by the user as shown in FIG. 88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the MP3P sets Korean as the menu language as shown in FIG. 88F. Accordingly, as shown in FIG. 88G, after one second, the MP3P displays the submenu for the Language item in Korean.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Contents Language를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the Contents Languag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18) (7.18) DateDate &  & TimeTime 항목 설정 Item Settings

이하에서는, 도 89a 내지 도 89g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Date & Time 항목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9a 내지 도 89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Date & Time 항목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Date & Time 항목은 현재 시간 및 날짜를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a Date & Time item of a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9A to 89G. 89A to 89G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Date & Time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Date & Time item sets the current time and date.

도 8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 는 도 8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8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ate & Time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9c와 같이 날짜 및 시간을 설정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 89d, 도 89e 및 도 8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이라이트의 위치를 변경해가면서 날짜 및 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8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짜 및 시간의 설정을 완료하고 세팅 메뉴를 화면에 다시 표시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89A,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89B. As shown in FIG. 89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highlight is displayed on the Date & Time item, the MP3P displays a screen for setting the date and time as shown in FIG. 89C. . 89D, 89E, and 89F, the MP3P sets the date and time while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highligh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completes the setting of the date and time and displays the setting menu again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89G.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날짜 및 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the date and tim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19) (7.19) PasswordPassword 최초 설정 Initial setup

이하에서는, 도 90a 내지 도 90e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Password 항목을 통해 패스워드를 최초로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0a 내지 도 90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Password 항목을 통해 패스워드를 최초로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Password 항목은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initially setting a password through the Password item of the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0A to 90E. 90A to 90E illustrate a process of initially setting a password through a Passwor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Password item serves to set a password.

도 9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9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9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ssword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 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최초로 입력되면, MP3P는 도 90c와 같이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 9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워드의 입력이 완료되면, MP3P는 도 9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ssword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표시하게 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90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90B. As shown in FIG. 90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for the first time by the user while the Password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creen for setting a password as shown in FIG. 90C. As shown in FIG. 90D, when the input of the password is comple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Password item as shown in FIG. 90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최초로 패스워드를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first sets a passwor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7.20) (7.20) PasswordPassword 항목의  Of items ChangeChange PasswordPassword

이하에서는, 도 91a 내지 도 91k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Password 항목을 통해 패스워드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1a 내지 도 91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Password 항목을 통해 패스워드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changing a password through the Password item of the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1A to 91K. 91A to 91K illustrate a process of changing a password through a Passwor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9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9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ssword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91c와 같이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 9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패스워드가 올바르게 입력되면, MP3P는 도 9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ssword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표시하게 된다. If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91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91B. As shown in FIG. 91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password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creen for inputting a password as shown in FIG. 91C. As shown in FIG. 91D, if the preset password is correctly input,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Password item as shown in FIG. 91E.

여기에서, Change Password 항목이 선택되면, 도 9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일단 기설정된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화면을 표시한다. 도 9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패스워드가 맞게 입력된 경우, MP3P는 도 9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MP3P는 도 91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 설정된 패스워드를 다시 입력받은 후에, 도 91j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워드 변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도 91k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워드의 변경이 완료되면, MP3P는 도 91k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ssword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다시 표시하게 된다. Here, when the Change Password item is selected, as shown in FIG. 91F, the MP3P displays a screen for receiving a preset password. As shown in FIG. 91G, when the preset password is correctly input, the MP3P displays a screen for inputting a new password as shown in FIG. 91H. After receiving the newly set password again as shown in FIG. 91I,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assword change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91J. As shown in FIG. 91K, when the change of the password is completed, the MP3P re-displays the submenu for the Password item as shown in FIG. 91K.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패스워드를 변경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changes the passwor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21) (7.21) PasswordPassword 항목의  Of items PasswordPassword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92a 내지 도 92g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Password 항목을 통해 Password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2a 내지 도 9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Password 항목을 통해 Password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a password function through the Password item of the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2A to 92G. 92A to 92G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password function through a Passwor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9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9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ssword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92c와 같이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 9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패스워드가 올바르게 입력되면, MP3P는 도 9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ssword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표시하게 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92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92B.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92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password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creen for inputting a password as shown in FIG. 92C. As illustrated in FIG. 92D, if the preset password is correctly input,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Password item as shown in FIG. 92E.

도 9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ssword에 하이라이트가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9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ssword 기능을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 Password 기능이 ON 상태가 된 경우, MP3P는 Fat Graph, My Diary, 운동 처방 다시 받기, Today's Summary, 이외의 사생활 보호가 필요한 기능에 진입하기 전에 패스워드를 입력받게 된다. As shown in Fig. 92F,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in the state where the highlight is placed on the Password, the MP3P causes the password function to change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s shown in Fig. 92G. do. When the Password feature is turned on, the MP3P will be asked to enter a password before entering any features that require privacy, other than Fat Graph, My Diary, Retake Exercise, Today's Summary, and mor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패스워드 기능을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the password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7.22) (7.22) PasswordPassword 리셋 reset

이하에서는, 도 93a 내지 도 93i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Password 항목을 통해 Password를 리셋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3a 내지 도 93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Password 항목을 통해 Password를 리셋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resetting the password through the Password item of the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3A to 93I. 93A to 93I illustrate a process of resetting a password through a Passwor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9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9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ssword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93c와 같이 패스워드를 입력 받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 9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패스워드가 잘못 입력되면, MP3P는 도 9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워드가 잘못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다시 도 93c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93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93B. As shown in FIG. 93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password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creen for inputting a password as shown in FIG. 93C. And, as shown in FIG. 93D, if the preset password is incorrectly input,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assword is incorrectly input as shown in FIG. 92E, and displays the screen of FIG. 93C again.

또한, 패스워드가 3회 이상 잘못 입력된 경우, 도 3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패스워드를 리셋할지 여부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만약, NO가 선택되면, MP3P는 다시 도 93c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반면, YES가 선택되면, 도 9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개인정보가 삭제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Cancel이 선택되면, MP3P는 다시 도 93c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반면, OK가 선택되면, MP3P는 도 9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정보 삭제 및 패스워드 리셋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도 93i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초 후에 파워를 오프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password is incorrectly input three or more times, as illustrated in FIG. 39F, the MP3P displays a confirmation message on the screen as to whether to reset the password. If NO is selected, the MP3P displays the screen of FIG. 93C again. On the other hand, if YES is selected, as shown in FIG. 93G,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personal information is deleted. At this time, if Cancel is selected, the MP3P displays the screen of FIG. 93C again. On the other hand, if OK is selected,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deletion and password reset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93H, and turns off the power after 3 seconds as shown in FIG. 93I.

MP3P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Password를 리셋하게 된다. MP3P resets password through this process.

(7.23) (7.23) SystemSystem 항목의  Of items ChangeChange UnitUnit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94a 내지 도 94j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Change Unit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4a 내지 도 94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Change Unit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a change unit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4A to 94J. 94A to 94J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change unit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 는 도 9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9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ystem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94c와 같이 System 항목의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여기에서, Change Unit이 선택되면, MP3P는 도 9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중(Weight), 키(Hight), 및 허리둘레(Waist)를 나타내는 단위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 도시된다. 그리고,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 94d, 도 94e, 도 94f, 도 94g, 도 94h, 및 도 9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그 후에,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단위의 설정을 완료하고 도 94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다시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94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94B. As shown in FIG. 94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ystem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System item as shown in FIG. 94C. Here, when a change unit is selected, as shown in FIG. 94D, a screen for setting a unit representing a weight, a height, and a waist is shown. The MP3P may be set in various units as shown in FIGS. 94D, 94E, 94F, 94G, 94H, and 94I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fter that,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the MP3P completes the setting of the unit and displays the setting menu again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94J.

(7.24) (7.24) SystemSystem 항목의  Of items FMFM RegionRegion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95a 내지 도 95k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FM Region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5a 내지 도 95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FM Region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the FM region of the System item of the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5A to 95K. 95A to 95J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n FM region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9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9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ystem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95c와 같이 System 항목의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여기에서, FM Region이 선택되면, MP3P는 도 9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FM 라디오의 지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 도시된다. 그리고, MP3P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 95d, 도 95e, 도 95f, 도 95g, 및 도 9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FM Region을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후에,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도 9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라디오 지역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3초 후에 도 95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오 재생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95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95B.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95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a user while the system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System item as shown in FIG. 95C. Here, when the FM Region is selected, the MP3P displays a screen for setting the region of the FM radio, as shown in FIG. 95D. The MP3P may set the FM region to a region desired by the user, as illustrated in FIGS. 95D, 95E, 95F, 95G, and 95H,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fter that,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as shown in Fig. 95i,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radio area setting is completed, and after 3 seconds, the radio is played back as shown in Fig. 95j. Will display the screen.

도 95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의 설정 가능한 지역들에 대한 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95K is a diagram showing a table of settable regions of Ko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FM 라디오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can set the FM radio area.

(7.25) (7.25) SystemSystem 항목의  Of items PCPC ConnectionConnection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96a 내지 도 96d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PC Connection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6a 내지 도 9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PC Connection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PC connection of the System item of the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6A to 96D. 96A to 96D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PC connection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9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9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ystem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96c와 같이 System 항목의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여기에서, PC Connection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9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 Connection을 MSC에서 MTP로 변경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96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96B. As illustrated in FIG. 96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ystem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System item as shown in FIG. 96C. Her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while the PC Connection is highlighted, the MP3P changes the PC Connection from the MSC to the MTP as shown in FIG. 96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PC Connection을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up a PC connection.

(7.26) (7.26) SystemSystem 항목의  Of items LibraryLibrary UpdateUpdate 설정 Set

이하에서는, 도 97a 내지 도 97h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Library Update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7a 내지 도 97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Library Update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 of performing a Library Update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7A to 97H. 97A to 97H illustrate a process of performing a Library Update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9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9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ystem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97c와 같이 System 항목의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여기에서, Library Update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9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수행여부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9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YES가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9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브러리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라이브러리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도 9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 후에, MP3P는 도 9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System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다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97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97B. As shown in FIG. 97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ystem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System item as shown in FIG. 97C. Her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while the library update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confirmation message for performing library update as shown in FIG. 97D. As shown in FIG. 97E, when YES is selected, the MP3P performs a library update as shown in FIG. 97F, and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update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97G when the library update is completed. Thereafter, the MP3P will again display the submenu for the System item, as shown in FIG. 97H.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라이브러리 업데이트를 수행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performs a library update.

(7.27) (7.27) SystemSystem 항목의  Of items DefaultDefault SetSet

이하에서는, 도 98a 내지 도 98g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Default Set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8a 내지 도 9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Default Set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Default Set은 MP3P를 초기 설정 상태로 되돌리는 기능을 의미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performing a default set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8A to 98G. 98A to 98G illustrate a process of performing a default set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Default Set means a function of returning the MP3P to the initial setting state.

도 9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9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9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ystem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98c와 같이 System 항목의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여기에서, Default Set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9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폴트 상태로 설정할지 여부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9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YES가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9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폴트 상태로의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 후에, MP3P는 도 9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System 항목에 대한 하위 메뉴를 다시 디스플레이하게 된 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98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98B. As illustrated in FIG. 98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ystem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System item as shown in FIG. 98C. Her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while highlighting the Default Set, the MP3P displays a confirmation message as to whether or not to set the default state as shown in FIG. 98D. As shown in Fig. 98E, when YES is selected,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etting to the default state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98F. Thereafter, the MP3P redisplays the submenu for the System item, as shown in FIG. 98G.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디폴트 설정을 수행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performs default setting.

(7.28) (7.28) SystemSystem 항목의  Of items FormatFormat

이하에서는, 도 99a 내지 도 99j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Format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9a 내지 도 99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Format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Format은 메모리를 포맷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Hereinafter, a process of performing the format of the System item of the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9A to 99J. 99A to 99J illustrate a process of performing a format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Format represents the ability to format the memory.

도 9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9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9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ystem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99c와 같이 System 항목의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여기에서, Format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9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를 포맷할지 여부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9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YES가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9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한번 모든 데이터가 지워진다는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9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OK가 선택된 경우, MP3P는 포맷을 수행하고 도 9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맷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도 99i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3초 후에 파워 오프하게 된다. 반면, 도 99f에서 Cancel이 선택된 경우, MP3P는 포 맷을 취소하고 도 99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항목의 하위 메뉴를 다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99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99B. As illustrated in FIG. 99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ystem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System item as shown in FIG. 99C. Here,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while the format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confirmation message as to whether to format the memory, as shown in FIG. 99D. As shown in Fig. 99E, when YES is selected, the MP3P displays a warning message that all data is once again erased as shown in Fig. 99F. If OK is selected as shown in Fig. 99G, the MP3P performs the format and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ormat is complete as shown in Fig. 99H. As shown in FIG. 99I, the MP3P is powered off after 3 seconds. On the other hand, if Cancel is selected in FIG. 99F, the MP3P cancels the format and displays the submenu of the system item again as shown in FIG. 99J.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포맷을 수행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performs the format.

(7.29) (7.29) SystemSystem 항목의  Of items AboutAbout

이하에서는, 도 100a 내지 도 100d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About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0a 내지 도 10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About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About은 MP3P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Hereinafter, a process of performing about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0A to 100D. 100A to 100D illustrate a process of performing about an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About represents a func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MP3P.

도 10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10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ystem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00c와 같이 System 항목의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여기에서, About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0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100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100B. As illustrated in FIG. 100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ystem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System item as shown in FIG. 100C. Here, when a short pressing manipul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while the About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MP3P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100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About을 수행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performs about.

(7.30) (7.30) SystemSystem 항목의  Of items DemoDemo ModeMode

이하에서는, 도 101a 내지 도 101j를 참고하여,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 목의 Demo Mode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1a 내지 도 101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Demo Mode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Demo Mode는 매장에 전시하기에 적합한 상태가 되는 모드를 나타낸다. 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Demo Mode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1A to 101J. 101A to 101I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demo mode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mo Mode here represents a mode that is in a state suitable for display in a store.

도 10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dia 메뉴에서 Setting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10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ystem 항목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01c와 같이 System 항목의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여기에서, Demo Mode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0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Demo Mode에 관한 설명 및 설정 확인 메시지를 표시한다. 도 10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YES가 선택된 경우, MP3P는 도 101f, 도 101g, 도 101h 및 도 101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모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in the Media menu as shown in FIG. 101A, the MP3P displays the settings menu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101B. As shown in FIG. 101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system item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a submenu of the System item as shown in FIG. 101C. Her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while the Demo Mode is highlighted, the MP3P displays the explanation and setting confirmation message regarding the Demo Mode, as shown in Fig. 101D. When YES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01E, the MP3P performs the demo mode as shown in FIGS. 101F, 101G, 101H and 101I.

도 101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mo Mode의 시나리오를 정리한 표이다. MP3P는 데모 모드로 설정된 경우 도 101j에 도시된 표의 시나리오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101J is a table summarizing scenarios of a demo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P3P is set to the demo mode, the MP3P operates according to the scenario of the table shown in FIG. 101J.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데모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sets the demo mode.

지금까지, 도 31 내지 도 101j를 참고하여, Media 메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So far, the Media menu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1 to 101j.

[4. BioCheck][4. BioCheck]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메인 메뉴 중 BioCheck 메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BioCheck menu of the main menu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One) BioCheckBiocheck 메뉴 구성 Menu composition

이하에서는 도 102a 및 도 102b를 참고하여, BioCheck 메뉴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2a 및 도 10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oCheck 메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ioCheck menu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2A and 102B. 102A and 102B illustrate a structure of a BioCheck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메뉴에서 BioCheck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10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BioCheck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0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Biocheck 메뉴는 Fat, Stress 및 Melanin Level이라는 세 개의 하위 메뉴로 구성된다.When the BioCheck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as shown in FIG. 102A, the MP3P displays submenus of the BioCheck menu as shown in FIG. 102B. As shown in FIG. 102B, the Biocheck menu consists of three submenus: Fat, Stress, and Melanin Level.

(2) 지방((2) fat ( FatFat ) 측정) Measure

이하에서는 도 103a 내지 도 103g를 참고하여, 지방 측정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3a 내지 도 103g는 지방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the fat measurement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3A to 103G. 103A to 103G illustrate a fat measurement process.

도 10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ioCheck 메뉴에서 Fat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0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Kim_1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0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Kim_1에 대한 지방 측정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일단, MP3P는 도 10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할 부위를 선택받 는다. 사용자에 의해 측정 부위가 선택되면, 도 10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측정 시작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Bio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0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방 측정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지방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03A, when the Fat item is selected in the BioCheck menu, the MP3P displays a user list as shown in FIG. 103B. Here, when Kim_1 is selected, the MP3P performs a fat measurement process for Kim_1, as shown in FIG. 103C. Once, the MP3P is selected for the site to be measured, as shown in Figure 103C. When the measurement site is selec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03D, the MP3P displays a measurement start guide scree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io button by the user, the MP3P starts fat measurement as shown in FIG. 103E. As shown in FIG. 103F, the MP3P displays the fat measurement result.

또한 MP3P는 도 103g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체 부위들의 지방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 신체 부위 별로 지방 측정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3g에서는, 이두근(Biceps), 삼두근(Triceps), 옆구리(Side), 복부(Abdomen), 넓적다리(Front thigh), 허벅지(Inner thigh) 및 종아리(Calf)에 대한 설정이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부위들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선택한 부위에 대한 피하지방 또는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각 부위별로 보다 정밀하게 피하지방 또는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MP3P may perform fat measurement of body parts as illustrated in FIG. 103G, and may store fat measurement information for each body part. Specifically, in FIG. 103G, the settings for the biceps, triceps, side, abdomen, thigh, inner thigh and calf are possible. It is shown.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se sites and then measure subcutaneous fat or body fat for the selected site, and thus, it is possible to more precisely measure subcutaneous fat or body fat for each site.

(2) 지방((2) fat ( FatFat ) 측정 (등록된 사용자)) Measurement (registered user)

이하에서는 도 103a 내지 도 103g를 참고하여, 지방 측정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3a 내지 도 10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록된 사용자의 지방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the fat measurement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3A to 103G. 103A to 103G are views illustrating a fat measurement process of a registered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ioCheck 메뉴에서 Fat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0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Kim_1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0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Kim_1에 대한 지방 측정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일단, MP3P는 도 10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할 부위를 선택받는다. 사용자에 의해 측정 부위가 선택되면, 도 10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측정 시작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Bio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0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방 측정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지방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MP3P는 선택된 사용자의 이전 측정 결과들을 금번 측정 결과와 함께 표시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03A, when the Fat item is selected in the BioCheck menu, the MP3P displays a user list as shown in FIG. 103B. Here, when Kim_1 is selected, the MP3P performs a fat measurement process for Kim_1, as shown in FIG. 103C. Once, the MP3P is selected for the site to be measured, as shown in FIG. 103C. When the measurement site is selec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03D, the MP3P displays a measurement start guide scree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io button by the user, the MP3P starts fat measurement as shown in FIG. 103E. As shown in FIG. 103F, the MP3P displays the fat measurement result. At this time, the MP3P displays previous measurement results of the selected user together with the current measurement results.

또한 MP3P는 도 103g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체 부위들의 지방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 신체 부위 별로 지방 측정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3g에서는, 이두근(Biceps), 삼두근(Triceps), 옆구리(Side), 복부(Abdomen), 넓적다리(Front thigh), 허벅지(Inner thigh) 및 종아리(Calf)에 대한 설정이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부위들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선택한 부위에 대한 피하지방 또는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각 부위별로 보다 정밀하게 피하지방 또는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MP3P may perform fat measurement of body parts as illustrated in FIG. 103G, and may store fat measurement information for each body part. Specifically, in FIG. 103G, the settings for the biceps, triceps, side, abdomen, thigh, inner thigh and calf are possible. It is shown.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se sites and then measure subcutaneous fat or body fat for the selected site, and thus, it is possible to more precisely measure subcutaneous fat or body fat for each site.

(3) 지방((3) fat ( FatFat ) 측정 () Measure ( GuestGuest ))

이하에서는 도 104a 내지 도 104g를 참고하여, 게스트의 지방 측정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4a 내지 도 10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스트의 지방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the fat measurement process of the gues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4A to 104G. 104A to 104G illustrate a fat measurement process of a gu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ioCheck 메뉴에서 Fat 항목이 선택되면, MP3P 는 도 10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Guest가 선택되면, MP3P는 도 10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Kim_1에 대한 지방 측정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일단, MP3P는 도 10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성별, 신장, 및 체중 정보를 입력받는다. 그 후에, MP3P는 도 10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할 부위를 선택받는다. 사용자에 의해 측정 부위가 선택되면, 도 10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측정 시작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Bio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0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방 측정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지방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MP3P는 지방 측정 결과를 3단계(Good, Normal, Bad)로 나누어 표시하며, 각 단계별로 대응되는 캐릭터를 함께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104A, when the Fat item is selected in the BioCheck menu, the MP3P displays a user list as shown in FIG. 104B. Here, if Guest is selected, the MP3P performs a fat measurement process for Kim_1, as shown in FIG. 104C. First, the MP3P receives the user's gender, height, and weight information, as shown in FIG. 104C. Thereafter, the MP3P is selected for the site to be measured, as shown in FIG. 104D. When the measurement site is selec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04E, the MP3P displays the measurement start guide scree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io button by the user, the MP3P starts measuring fat as shown in FIG. 104F. And, as shown in Figure 104g, the MP3P will display the fat measurement results. In this case, the MP3P divides the fat measurement result into three stages (Good, Normal, and Bad), and displays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each stag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의 지방도 측정할 수 있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can measure fat of unregistered users.

(4) 지방((4) fat ( FatFat ) 측정 (남성)) Measurement (male)

이하에서는 도 105a 내지 도 105f를 참고하여, 남성의 지방 측정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5a 내지 도 105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의 지방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a process of measuring fat in me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5A to 105F. 105A to 105F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at measurement process of a ma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ioCheck 메뉴에서 Fat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0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Kim_1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0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Kim_1에 대한 지방 측정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Kim_1의 사용자 정보는 미리 등록되어 있으며, 성별은 남성인 것으로 가정한다. As shown in FIG. 105A, when the Fat item is selected in the BioCheck menu, the MP3P displays a user list as shown in FIG. 105B. Here, if Kim_1 is selected, the MP3P performs a fat measurement process for Kim_1, as shown in FIG. 105C.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information of Kim_1 is registered in advance and the gender is male.

일단, MP3P는 도 10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할 부위를 선택받는다. 이 때, 남성은 복부 피하지방 측정시 전신 체지방률을 제공한다는 안내 메시지를 함께 표시한다. 그 후에, 사용자에 의해 측정 부위가 선택되면, 도 10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측정 시작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Bio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0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방 측정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지방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MP3P는 선택된 사용자의 이전 측정 결과들을 금번 측정 결과와 함께 표시하게 된다. 또한, MP3P는 남성 사용자가 복부 피하지방을 측정한 경우 전신 체지방률도 함께 표시하게 된다. Once MP3P is selected for site to be measured, as shown in FIG. 105C. At this time, the male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body fat percentage is provided when measuring the abdominal subcutaneous fat. After that, when the measurement site is selec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05D, the MP3P displays the measurement start guide screen. When a short pressing manipulation is input to the Bio button by the user, the MP3P starts fat measurement as shown in FIG. 105E. And, as shown in FIG. 105F, the MP3P displays the fat measurement result. At this time, the MP3P displays previous measurement results of the selected user together with the current measurement results. In addition, MP3P also displays the systemic body fat percentage when the male user measures the abdominal subcutaneous fat.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남성의 피하지방 및 전신 체지방률을 제공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MP3P provides male subcutaneous fat and systemic body fat percentage.

(5) 지방((5) fat ( FatFat ) 측정 (여성)) Measurement (female)

이하에서는 도 106a 내지 도 106c를 참고하여, 여성의 지방 측정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6a 내지 도 10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성의 지방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a process of measuring fat of wome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6A to 106C. 106A to 106C illustrate a process of measuring fat of a wom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ioCheck 메뉴에서 Fat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0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Kim_1 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0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Kim_1에 대한 지방 측정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Kim_1의 사용자 정보는 미리 등록되어 있으며, 성별은 여성인 것으로 가정한다. As shown in FIG. 106A, when the Fat item is selected in the BioCheck menu, the MP3P displays a user list as shown in FIG. 106B. Here, when Kim_1 is selected, the MP3P performs a fat measurement process for Kim_1, as shown in FIG. 106C.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information of Kim_1 is registered in advance and the gender is female.

일단, MP3P는 도 10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할 부위를 선택받는다. 이 때, 여성은 안쪽 허벅지 피하지방 측정시 전신 체지방률을 제공한다는 안내 메시지를 함께 표시한다. 그 후에, 사용자에 의해 측정 부위가 선택되면, MP3P는 지방을 측정하여 지방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MP3P는 선택된 사용자의 이전 측정 결과들을 금번 측정 결과와 함께 표시하게 된다. 또한, MP3P는 여성 사용자가 안쪽 허벅지 피하지방을 측정한 경우 전신 체지방률도 함께 표시하게 된다. Once MP3P is selected for site to be measured, as shown in FIG. 106C. At this time, the woman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body fat percentage is provided when measuring the subcutaneous fat of the inner thigh. Thereafter, when the measurement sit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measures fat and displays the fat measurement result. At this time, the MP3P displays previous measurement results of the selected user together with the current measurement results. In addition, MP3P also displays the body fat percentage when a female user measures the inner thigh subcutaneous fat.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여성의 피하지방 및 전신 체지방률을 제공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MP3P provides female subcutaneous fat and systemic body fat percentage.

(6) 지방((6) fat ( FatFat ) 측정 중 에러 발생시) If an error occurs during measurement

이하에서는 도 107a 내지 도 107f를 참고하여, 지방 측정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7a 내지 도 10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측정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an error occurs in the fat measurement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7A to 107F. 107A to 107F illustrate a case where an error occurs in a fat measure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ioCheck 메뉴에서 Fat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0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Kim_1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0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Kim_1에 대한 지방 측정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Kim_1의 사용자 정보는 미리 등록되어 있으며, 성별은 남성 인 것으로 가정한다. As shown in FIG. 107A, when the Fat item is selected in the BioCheck menu, the MP3P displays a user list as shown in FIG. 107B. Here, when Kim_1 is selected, the MP3P performs the fat measurement process for Kim_1, as shown in FIG. 107C.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information of Kim_1 is registered in advance and the gender is male.

일단, MP3P는 도 10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할 부위를 선택받는다. 이 때, 남성은 복부 피하지방 측정시 전신 체지방률을 제공한다는 안내 메시지를 함께 표시한다. 그 후에, 사용자에 의해 측정 부위가 선택되면, 도 10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측정 시작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Bio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0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방 측정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측정 도중에 에러가 발생된 경우, 에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도 107d의 화면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Once, the MP3P is selected for the site to be measured,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male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body fat percentage is provided when measuring the abdominal subcutaneous fat. After that, when the measurement site is selec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07D, the MP3P displays the measurement start guide scree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io button by the user, the MP3P starts fat measurement as shown in FIG. 107E. As illustrated in FIG. 107F, when an error occurs during measurement, the MP3P displays an error message indicating that an error has occurred and returns to the screen of FIG. 107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지방 측정시 에러가 발생되면 측정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repeats the measurement operation when an error occurs in fat measurement.

(7) 지방 측정 그래프(7) fat measurement graph

이하에서는 도 108a 내지 도 108e를 참고하여, 지방 측정 결과 그래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8a 내지 도 10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측정 결과 그래프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the fat measurement result grap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8A to 108E. 108A to 108E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fat measurement result grap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가 지방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Bio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0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부위별 날짜별 지방 측정 결과 그래프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108b에는 이두근(Biceps)에 대한 5월 2째주의 지방 측정 결과 그래프가 디스플레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8A,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io button by the user on the screen on which the MP3P displays the fat measurement result, the MP3P is a graph of fat measurement results by body part by date as shown in FIG. 108B. Is displayed. 108B, it can be seen that a fat measurement result graph of the second week of May for biceps (Biceps) is displayed.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Righ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그 다음주의 지방 측정 결과 그래프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8c에는 이두근(Biceps)에 대한 5월 3째주의 지방 측정 결과 그래프가 디스플레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Right button by the user, the MP3P can confirm that the fat measurement result graph of the next week is displayed. Accordingly, it can be seen in FIG. 108C that the fat measurement result graph of the third week of May for biceps is displayed.

도 108b에 도시된 화면에서 Down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다음 신체부위에 대한 지방 측정 결과 그래프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도 108d에는 삼두근(Triceps)에 대한 5월 2째주의 지방 측정 결과 그래프가 디스플레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hen a short pressing manipulation is inputted to the Down button in the screen shown in FIG. 108B, the MP3P displays a graph of fat measurement results for the next body part. Accordingly, it can be seen in FIG. 108D that a graph of fat measurement results for the second week of May for Triceps is displayed.

이 상태에서, MP3P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가로 보기 모션이 검출되면, 도 10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자동 피벗 기능을 수행하여 가로보기 모드로 전환하며, 월별 지방 측정 결과 그래프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landscape viewing motion is detect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MP3P, as illustrated in FIG. 108E, the MP3P performs an automatic pivot function to switch to the landscape view mode and displays a monthly fat measurement result graph.

(8) 스트레스((8) stress ( StressStress ) 측정) Measure

이하에서는 도 109a 내지 도 109e를 참고하여, 스트레스 측정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9a 내지 도 109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a process of measuring str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9A to 109E. 109a to 109e illustrate a stress measure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ioCheck 메뉴에서 Stress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0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스 측정 방식에 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스트레스 측정 방식은 스트레스 측정 시간을 설정하는 것에 해 당되며, 측정 시간이 길어질수록 정확도가 높아진다. As shown in FIG. 109A, when the Stress item is selected in the BioCheck menu, the MP3P displays a list regarding the stress measurement method as shown in FIG. 109B. Here, the stress measurement method corresponds to setting the stress measurement time, the longer the measurement time, the higher the accuracy.

사용자에 의해 측정 방식이 선택되면, 도 10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스트레스 측정 시작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Bio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0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스 측정을 시작하게 된다. MP3P는 도 109d의 스트레스 측정 화면에서 심박수에 맞춰 특정 그래픽 효과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P3P는 도 109d의 스트레스 측정 화면에서 심박수에 맞춰 작은 공이 튀어나오는 효과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When the measurement method is selec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09C, the MP3P displays a stress measurement start guide screen. When a short pressing manipulation is input to the Bio button by the user, the MP3P starts the stress measurement as shown in FIG. 109D. The MP3P may display a specific graphic effect according to the heart rate on the stress measurement screen of FIG. 109D. For example, the MP3P may display the effect of the small ball popping out according to the heart rate on the stress measurement screen of FIG. 109D.

스트레스 측정이 완료되면, MP3P는 도 10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스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스트레스 측정 결과는 Very Bad, Bad, Normal, Good, Very Good의 5단계로 구성된다. 스트레스 측정 결과가 Very Bad 또는 Bad인 경우, MP3P는 기 설정된 릴렉싱 음악을 자동으로 재생하게 된다. When the stress measurement is completed, the MP3P displays the stress measurement result, as shown in FIG. 109E. The stress measurement results consist of five levels: Very Bad, Bad, Normal, Good, and Very Good. If the stress measurement is Very Bad or Bad, the MP3P will automatically play the preset relaxing music.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스트레스를 측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MP3P measures the stress.

(9) 멜라닌 레벨((9) melanin level ( MelaninMelanin LevelLevel ) 측정) Measure

이하에서는 도 110a 내지 도 110d를 참고하여, 멜라닌 레벨 측정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0a 내지 도 1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멜라닌 레벨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a process of measuring melanin leve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0A to 110D. 110A to 110D illustrate a melanin level measure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ioCheck 메뉴에서 Melanin Level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멜라닌 레벨 측정 방식에 관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에 의해 Bio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멜 라닌 레벨을 측정하고, 도 1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멜라닌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MP3P는 색상을 이용하여 멜라닌 레벨 측정 결과를 시각화하여 표시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10A, when the Melanin Level item is selected in the BioCheck menu, the MP3P displays a message regarding a melanin level measuring method as shown in FIG. 110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io button by the user, the MP3P measures the melanin level and displays the melanin measurement result as shown in FIG. 110C. At this time, the MP3P visualizes and displays the melanin level measurement result using color.

도 110d는 멜라닌 레벨에 따른 인종 및 특징을 정리한 표에 해당된다. MP3P는 도 110d의 표를 참고하여, 멜라닌 레벨 측정 결과를 분류하게 된다. 110D corresponds to a table listing race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elanin levels. The MP3P classifies the melanin level measurement result with reference to the table of FIG. 110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멜라닌 레벨을 측정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MP3P measures melanin levels.

지금까지, 도 102a 내지 도 110d를 참고하여 BioCheck 메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So far, the BioCheck menu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2A to 110D.

[5. Fitness][5. Fitnes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메인 메뉴 중 Fitness 메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fitness menu of the main menu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One) FitnessFitness 메뉴 구성 Menu composition

이하에서는 도 111a 및 도 111b를 참고하여, Fitness 메뉴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1a 및 도 1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itness 메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fitness menu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1A and 111B. 111A and 111B illustrate a structure of a fitnes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메뉴에서 Fitnes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1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tness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tness 메뉴는 Jogging, My Coach 및 Pedometer이라는 세 개의 하위 메뉴로 구성된다.When the fitness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as shown in FIG. 111A, the MP3P displays submenus of the fitness menu, as shown in FIG. 111B. As shown in FIG. 111B, the Fitness menu consists of three submenus: Jogging, My Coach, and Pedometer.

(2) 조깅((2) jogging JoggingJogging ) 기능)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112a 내지 도 112g를 참고하여, 조깅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2a 내지 도 11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깅 기능의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the jogging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2A to 112G. 112A to 112G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executing a jogg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에서 Fitnes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1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tness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Fitness 메뉴에서 Jogging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깅 목표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조깅 목표 설정 화면은 칼로리 기반(Calorie Base) 방식과 운동 시간 기반(Time Base) 방식이 있다. 칼로리 기반의 모드는, 조깅시 사용자가 목표 소모 칼로리를 지정하면, 지정된 목표 소모 칼로리를 달성하였는지, 현재 소모된 칼로리는 얼마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드이다. 반면, 시간 기반의 모드는, 조깅시 사용자가 목표 시간을 지정하면, 지정된 목표 시간을 달성하였는지, 현재 경과된 시간은 얼마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드이다. As shown in FIG. 112A, when the Fitness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the MP3P displays submenus of the Fitness menu, as shown in FIG. 112B. When a jogging item is selected in the fitness menu, the MP3P displays a jogging goal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 112C. At this time, the jogging goal setting screen includes a calorie base method and a time base method. In the calorie-based mode, when a user designates a target calorie during jogging, the calorie-based mode provides a user with information on whether the designated target calorie has been achieved and how much calorie is currently consumed. On the other hand, in the time-based mode, when a user designates a target time during jogging, the time-based mode provides a user with information on whether the specified target time has been achieved or the current elapsed time.

도 112c는 칼로리 기반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목표 소모 칼로리가 설정된 후에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칼로리 측정을 시작하고 측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목표 소모 칼로리에 대한 남은 칼로리와 현재 소모된 칼로리 등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MP3P는 사용자가 뛰는 속도에 따라 아바타의 뛰는 애니메이션 속도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목표 소모 칼로리가 달성된 경우, MP3P는 도 1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소모 칼로리가 달성되었음을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112C illustrates a calorie based approach.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after the target calories are set, the MP3P starts measuring the exercise calories as shown in FIG. 112D and displays the measurement screen. As illustrated in FIG. 112D, the MP3P displays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calories and the current calories burned for the target calories burned. In addition, the MP3P displays the running animation speed of the avatar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unning speed of the user. When the target calories are achieved, the MP3P displays a screen indicating that the target calories are achieved, as illustrated in FIG. 112E.

한편, 도 11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기반 방식이 선택된 경우, 목표 운동 시간이 설정된 후에 사용자에 의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1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칼로리 측정을 시작하고 측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1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목표 시간까지 남은 시간과 현재 경과한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MP3P는 이와 함께 소모된 칼로리도 함께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목표 시간이 달성된 경우, MP3P는 도 1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시간이 달성되었음을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2F, when the time-based method is selected, if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after the target exercise time is set, the MP3P starts to measure exercise calories as shown in FIG. 112G. And display the measurement screen. As illustrated in FIG. 112G, the MP3P displays information on a time remaining until the target time, a current elapsed time, and the like on the screen. MP3P also displays calories burned with it. When the target time is achieved, the MP3P displays a screen indicating that the target time has been achieved, as shown in FIG. 112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조깅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provides a jogging function.

(3) 조깅((3) jogging JoggingJogging ) 기능 퀵 스타트Quick Start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113a 내지 도 113d를 참고하여, 조깅 기능의 퀵 스타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3a 내지 도 11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깅 기능의 퀵 스타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the quick start method of the jogging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3A to 113D. 113A to 113D illustrate a quick start method of a jogg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에서 Fitnes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1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tness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Fitness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Bio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칼로리 측정을 시작하고 측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현재 소모된 칼로리 및 운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Bio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된 경우, MP3P는 도 1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모 칼로리 및 운동시간에 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13A, when the fitness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the MP3P displays submenus of the fitness menu, as shown in FIG. 113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io button by the user while the Fitness menu is displayed, the MP3P starts measuring exercise calories and displays a measurement screen as shown in FIG. 113C. As illustrated in FIG. 113C, the MP3P displays information on calories burned and exercise time on the screen.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io button by the user, as illustrated in FIG. 113D, the MP3P displays a screen regarding calories burned and exercise tim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조깅 기능의 퀵 스타트를 제공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provides a quick start of the jogging function.

(4) 가속도 센서 인터랙션((4) acceleration sensor interaction AccelometerAccelometer InteractionInteraction ))

이하에서는 도 114a 내지 도 114d를 참고하여, MP3P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인터랙션을 설명한다. 도 114a 내지 도 11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인터랙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n interaction using an MP3P acceleration sens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4A to 114D. 114A to 114D illustrate an interaction process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of MP3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가 조깅 기능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탭핑(Tapping) 모션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중인 음악을 다음 곡으로(예를 들어, Song 1에서 Song 2로) 변경하게 된다. 여기에서, 탭핑 모션 조작은 사용자가 MP3P를 툭 치는 조작을 의미하며, MP3P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탭핑 모션 조작을 감지하게 된다. 즉, 조깅 기능 수행 상태에서 탭핑 모션 조작이 한번 입력되면, MP3P는 재생 중인 곡을 다음 곡으로 변경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14A, when a tapping motion operation is input by the user while the MP3P displays the jogging screen, the MP3P transfers the music being played to the next song (as shown in FIG. 114B). For example, from Song 1 to Song 2). Here, the tapping motion manipulation refers to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taps the MP3P, and the MP3P detects the tapping motion manipulation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That is, when the tapping motion manipulation is input once while the jogging function is performed, the MP3P changes the song being played to the next song.

또한, 사용자에 의해 탭핑 모션 조작이 연속 2회 입력되면, MP3P는 도 11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운동 시간을 음성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운동 시간을 메시지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 후에, MP3P는 도 1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조깅 기능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tapping motion manipulation is input twice by the user, as illustrated in FIG. 114C, the MP3P outputs the current exercise time as a voice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exercise time as a message. Thereafter, the MP3P again displays the screen of the jogging function, as shown in FIG. 114D.

이와 같이, MP3P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탭핑 모션 조작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탭핑 모션 조작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MP3P는 탭핑 모션 조작 이외에 다른 모션 조작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s such, the MP3P detects the user's tapping motion manipulation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and performs a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r's tapping motion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MP3P may also perform functions according to other motion operations in addition to the tapping motion operation.

(5) (5) MyMy CoachCoach 기능 최초 수행 Function first

이하에서는 도 115a 내지 도 115d를 참고하여, My Coach 기능의 최초 진입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5a 내지 도 11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Coach 기능의 최초 진입시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15A through 115D, the first entry of the My Coach function will be described. 115A to 115D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ecution process upon initial entry of a My Coach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에서 Fitnes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1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tness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Fitness 메뉴에서 My Coach 항목이 최초로 선택되면, MP3P는 도 1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처방을 받아야 한다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MP3P는 도 1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처방을 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운동 처방을 받는 기능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115A, when the fitness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the MP3P displays submenus of the fitness menu, as shown in FIG. 115B. When the My Coach item is first selected in the Fitness menu, the MP3P displays a guide message indicating that an exercise prescription should be received as shown in FIG. 115C.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15D, the MP3P performs a function for receiving an exercise prescription. The function of receiving exercise pr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6) (6) MyMy CoachCoach 기능 수행 - 운동 처방을 받은 경우 Performing a Function-If You Have a Workout Prescription

이하에서는 도 116a 내지 도 116g를 참고하여, 운동 처방을 받은 경우 My Coach 기능의 수행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6a 내지 도 11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처방을 받은 경우 My Coach 기능의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116a to 116g,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My Coach function when receiving the exercise prescription. 116A to 116G illustrate a process of executing a My Coach function when an exercise prescription is recei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에서 Fitnes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1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tness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운동처방이 기설정된 상태에서 My Coach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처방에 따른 필요 운동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조깅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깅 기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깅이 완료되면, MP3P는 다음 운동에 관련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16A, when the Fitness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the MP3P displays submenus of the Fitness menu, as shown in FIG. 116B. When the My Coach item is selected while the exercise prescription is preset, the MP3P displays a list of necessary workouts according to the exercise prescription as shown in FIG. 116C. When the jogging item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the jogging function screen as shown in FIG. 116D. As shown in FIG. 116E, when jogging is completed, the MP3P displays an image related to the next exercise.

도 11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Bench Press에 관련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1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그 다음 운동으로 Side Crunch에 관련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MP3P는 운동 처방에 따른 운동 방법을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해주므로, 사용자는 운동을 하는 방법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16F, it can be seen that the MP3P displays an image related to the bench press.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6G, the MP3P may display an image related to Side Crunch as a next exercise. As such, since the MP3P displays the exercise method according to the exercise prescription as an image, the user can easily know how to exercis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운동 처방이 기설정된 경우 운동 처방에 따른 My Coach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MP3P performs the My Coach function according to the exercise prescription when the exercise prescription is preset.

(7) (7) MyMy CoachCoach 기능 수행 - 무게 수동 조절 Perform Function-Manual Weight Adjustment

이하에서는 도 117a 내지 도 117d를 참고하여, 운동 처방 기능의 수행 과정 에서 무게 설정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7a 내지 도 11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처방 기능의 수행 과정에서 무게 설정 과정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the weight setting proces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exercise prescripti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7A to 117D. 117A to 117D illustrate a weight setting process in a process of performing an exercise prescrip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처방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MP3P는 운동에 관련된 운동 기구의 무게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17a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Bio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도 1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가 변경되면, MP3P는 도 1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 무게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17A,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exercise prescription function, the MP3P may set the weight of the exercise equipment related to the exercis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io button by the user in the screen shown in FIG. 117A, the MP3P displays the weight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 117B. When the weight is changed as shown in FIG. 117C, the MP3P displays the changed weight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MP3P는 운동에 관련된 운동기구의 무게를 설정 및 변경할 수도 있다. As such, the MP3P may set and change the weight of the exercise equipment related to the exercise.

(8) (8) MyMy CoachCoach 기능 수행 - 운동 처방  Perform Functions-Exercise Prescription 다시받기Resend

이하에서는 도 118a 내지 도 118e를 참고하여, 운동 처방을 다시 받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8a 내지 도 11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처방을 다시 받는 과정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a process of receiving the exercise prescription again with reference to FIGS. 118A to 118E will be described. 118A to 118E illustrate a process of receiving a workout prescription ag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에서 Fitnes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1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tness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운동처방이 기설정된 상태에서 My Coach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처방에 따른 필요 운동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처방의 가장 하단으로 이동하면, Bio 버튼을 누를 경우 운동처방 다시받기가 수행된다는 메시지가 하단에 디스플레이된다. As shown in FIG. 118A, when the Fitness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the MP3P displays submenus of the Fitness menu, as shown in FIG. When the My Coach item is selected while the exercise prescription is preset, the MP3P displays a list of necessary exercises according to the exercise prescription as shown in FIG. 118C. As shown in FIG. 118D, when the user moves to the bottom of the exercise prescription, when the Bio button is pressed,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exercise prescription re-acquisition is performed is displayed at the bottom.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Bio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1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처방을 다시 받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io button by the user, the MP3P performs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exercise prescription again, as shown in FIG. 118E.

(9) (9) MyMy CoachCoach 기능 수행 - 운동  Perform Functions-Exercise 처방 받기Get a prescription 과정 process

이하에서는 도 119a 내지 도 119n을 참고하여, 운동 처방을 받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9a 내지 도 119n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처방을 받는 과정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a process of receiving an exercise prescrip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9A to 119N. 119A to 119N illustrate a process of receiving an exercise prescri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y Coach 메뉴에 최초로 진입하거나 운동처방 다시받기 기능이 수행된 경우, MP3P는 운동처방 받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일단, MP3P는 도 119b와 같이 운동 처방이 시작됨을 알리는 화면이 표시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19A, when the user enters the My Coach menu for the first time or the exercise prescription re-acquisition function is performed, the MP3P performs the exercise prescription receiving function. Once, the MP3P displays a screen indicating that the exercise prescription is started, as shown in FIG.

이후, 도 119c 및 도 119d와 같이, MP3P는 사용자의 이름, 성별, 나이, 신장, 체중, 체지방률 등의 기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로부터 기본 정보가 입력되면, MP3P는 도 11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정보를 기초로 체질량 지수(BMI : Body Mass Index)를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Thereafter, as illustrated in FIGS. 119C and 119D, the MP3P displays a screen for inputting basic information such as a user's name, gender, age, height, weight, and body fat percentage. When basic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the MP3P calculates and provides a body mass index (BMI) to the user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as shown in FIG. 119E.

또한, 효과적이고 정확한 운동 처방을 위해, 도 119f 내지 도 119l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체중, 운동가능 기간, 운동가능 횟수, 선호 운동타입, 운동부위, 운동장소 및 덤벨무게와 같은 상세 운동정보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도 119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시 유의할 점과 관련된 권고사항이 표시된 후, 운동이 처방되 게 된다.Also, for effective and accurate exercise prescription, detailed exercise information such as target weight, exercise duration, exercise frequency, preferred exercise type, exercise site, exercise place and dumbbell weight are shown in FIGS. 119F to 119L. When sequentially input, as shown in FIG. 119m, recommendations related to points to be exercised are displayed, and then exercise is prescribed.

MP3P(100)는 입력된 기본 정보와 상세 운동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수행하여야 할 운동을 처방한다. 이에 대한 화면이 도 119n에 도시되어 있다. The MP3P 100 prescribes an exercise to be performed by the user based on the input basic information and the detailed exercise information. A screen for this is shown in FIG. 119N.

도 119n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에 대한 처방은, 필요한 총 소모 칼로리에 대한 정보, 칼로리 소모를 위해 필요한 운동들에 대한 정보 및 필요한 운동에 소모되는 시간 또는 횟수 등에 대한 정보로서 화면에 표시되어 제공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19N, the prescription for exercise is display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s information on total calories burned, information on exercises necessary for calorie consumption, and information on time or number of times required for exercise. do.

이와 같이, MP3P의 운동 처방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이미 실시한 운동에 대해 체크할 수 있고, 다음 운동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게 된다. In this way, by using the exercise prescription of the MP3P, the user can check the exercise already performed, and can also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next exercise.

(10) 10 PedometerPedometer 기능 수행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120a 내지 도 120f를 참고하여, Pedometer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0a 내지 도 120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dometer 기능의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Pedometer 기능은 만보기 기능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pedometer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0A to 120F. 120A to 120F illustrate a process of executing a pedomet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pedometer function means a pedometer function.

Pedometer 기능은 주로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Pedometer 기능은 사용자의 걸음걸이 횟수를 카운팅하는 step counter 기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Pedometer 메뉴를 선택하면, 화면에는 도 120c와 같이 사용자의 스텝을 카운트하는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Pedometer function is mainly used to provide the user's exercise state. In particular, the Pedometer function provides a step counter function that counts the number of steps of the user. Accordingly, when the user selects the Pedometer menu, a screen for counting the user's steps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120C.

한편, 사용자의 스텝에 대한 카운팅은, 3축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수행되게 된다. 예를 들어, 3축 가속도 센서를 통해 MP3P가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되면, MP3P는 이러한 움직임을 하나의 스텝으로 간주할 수 있 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스텝을 카운팅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unting of the user's step is performed through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P3P is repeatedly moving upward and downward through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the MP3P may regard this movement as one step, and thus may count the user's step. do.

도 1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에서 Fitness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1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tness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Fitness 메뉴에서 Pedometer 항목이 최초로 선택되면, MP3P는 도 1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값이 0으로 설정된 상태로 Pedometer 기능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Pedometer 기능 화면에는 스텝수, 소모 칼로리, 시간 등이 함께 표시된다. 여기에서, MP3P는 Pedometer 기능에서 측정된 소모 칼로리를 자동으로 Exercise Diary에 반영하게 된다. 또한 MP3P는 날짜별로 스텝수를 카운팅하고, 날짜가 변경될 경우 자동으로 스텝의 카운트 수를 0으로 리프레쉬(refresh)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20A, when the fitness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the MP3P displays submenus of the fitness menu, as shown in FIG. 120B. When the Pedometer item is first selected in the Fitness menu, the MP3P displays the Pedometer function screen with all values set to 0 as shown in FIG. 120C. At this time, the Pedometer function screen displays the number of steps, calories burned, and time. Here, MP3P automatically reflects the calories burned in the Pedometer function to the Exercise Diary. In addition, MP3P counts the number of steps by date, and automatically refreshes the count of steps to zero when the date is changed.

그리고, Fitness 메뉴에서 Pedometer 항목이 Pedometer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선택되면, MP3P는 도 1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Pedometer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의 Pedometer 기능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K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도 12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Pedometer 기능을 일시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Bio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날짜별 스텝수에 관한 그래프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If the Pedometer item is selected in the Fitness menu while the Pedometer function is performed, the MP3P displays the Pedometer function screen in which the current Pedometer function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120D.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20E, the MP3P pauses the pedometer function.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io button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a graph regarding the number of steps by dat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MP3P는 Pedometer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MP3P provides the Pedometer function.

지금까지, 도 111a 내지 도 120f를 참고하여, Fitness 메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So far, the fitness menu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1A through 120F.

[6. My Diary][6. My Diary]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메인 메뉴 중 My Diary 메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y Diary menu of the main menu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One) Today'sToday's SummarySummary 기능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121a 내지 도 121e를 참고하여, My Diary 메뉴의 Today's Summary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1a 내지 도 12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Today's Summary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Today's Summary 기능은 오늘의 칼로리 섭취 및 소비량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다. Hereinafter, the Today's Summary function of the My Diary menu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21A to 121E. 121A to 121E illustrate a Today's Summary function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oday's Summary is a feature that displays today's calorie intake and consumption.

도 1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메뉴에서 My Diary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1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y Diary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y Diary 메뉴는 Today's Summary, Exercise Diary, Food Diary, Calorie Manager, 및 My Info 라는 5개의 하위 메뉴로 구성된다.When the My Diary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as illustrated in FIG. 121A, the MP3P displays submenus of the My Diary menu as illustrated in FIG. 121B. As shown in FIG. 121B, the My Diary menu consists of five sub-menus called Today's Summary, Exercise Diary, Food Diary, Calorie Manager, and My Info.

My Diary 메뉴에서 Today's Summary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장 칼로리량 및 음식을 통해 섭취된 칼로리량을 디스를레이한다. 이 때, MP3P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식 정보에 기초하여 음식을 통해 섭취된 칼로리량을 산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Lef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도 1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어제의 Today's Summary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When the Today's Summary item is selected in the My Diary menu, the MP3P displays the recommended amount of calories and the amount of calories ingested through the food as shown in FIG. 121C. At this time, the MP3P calculates the amount of calories ingested through the food based on the foo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When a short pressing manipulation is input to the Left button by the user, as illustrated in FIG. 121D, the MP3P displays yesterday's Today's Summary information.

반면, 음식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도 12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표준 음식 섭취량을 기초로 하여, 하루 섭취 칼로리량을 표시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no food is input, as shown in FIG. 121E, the MP3P displays the calorie intake per day based on the standard food intake.

(2) (2) ExerciseExercise DiaryDiary 기능 -  function - MyMy ExerciseExercise

이하에서는 도 122a 내지 도 122g를 참고하여, Exercise Diary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2a 내지 도 12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Exercise Diary 항목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Exercise Diary 기능은 운동별 사용자가 소모하는 칼로리를 계산 및 관리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My Exercise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운동의 종류만을 표시하는 기능이다. Hereinafter, the exercise diary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2A to 122G. 122A to 122G illustrate functions of an Exercise Diary item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Exercise Diary is a function that calculates and manages the calories consumed by the user for each exercise. And, My Exercise is a function that displays only the type of exercise registered by the user.

도 1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y Diary 메뉴에서 Exercise Diary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짜별 운동에 의한 소모 칼로리가 그래프로 제공된다. As shown in FIG. 123A, when the Exercise Diary item is selected in the My Diary menu, the MP3P provides a graph of calories burned by daily exercise as shown in FIG. 122B.

또한, 사용자가 운동을 통해 칼로리를 소모한 경우, 도 122c 내지 도 122g와 같은 화면을 통해 운동할 또는 운동한 종목 및 운동 시간을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도 1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y Exercise가 선택되면, 도 1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운동들만을 리스트로 표시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consumes calories through exercise, the item and the exercise time to exercise or exercise may be registered through the screen as shown in FIGS. 122C to 122G. At this time, if My Exercise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22C, as shown in FIG. 122D, the MP3P displays only the exercises set by the user as a list.

이 경우, 각 운동 종목에 대한 칼로리 정보가 MP3P의 내부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어, MP3P는 사용자가 선택한 종목 및 시간에 의해 산출된 칼로리만큼을 추가로 소모된 칼로리에 반영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calorie information for each exercise item is stored in the MP3P's internal storage, so that the MP3P reflects the calories calculated by the item and tim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alories consumed.

(3) (3) ExerciseExercise DiaryDiary 기능 -  function - AllAll ExerciseExercise

이하에서는 도 123a 내지 도 123g를 참고하여, Exercise Diary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3a 내지 도 12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Exercise Diary 항목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Exercise Diary 기능은 운동별 사용자가 소모하는 칼로리를 계산 및 관리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All Exercise는 MP3P가 설정 가능한 모든 운동의 종류를 표시하는 기능이다. Hereinafter, the Exercise Diary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3A to 123G. 123A to 123G illustrate functions of an Exercise Diary item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Exercise Diary is a function that calculates and manages the calories consumed by the user for each exercise. And, All Exercise is a function that displays all kinds of exercise that MP3P can set.

도 1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y Diary 메뉴에서 Exercise Diary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짜별 운동에 의한 소모 칼로리가 그래프로 제공된다. As shown in FIG. 123A, when the Exercise Diary item is selected in the My Diary menu, the MP3P is provided with a graph of calories burned by exercise as shown in FIG. 123B.

또한, 사용자가 운동을 통해 칼로리를 소모한 경우, 도 123c 내지 도 123g와 같은 화면을 통해 운동할 또는 운동한 종목 및 운동 시간을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도 1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All Exercise가 선택되면, 도 1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MP3P가 설정 가능한 모든 운동의 종류를 리스트로 표시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user consumes calories through exercise, the user may register the item to be exercised or the exercise time through the screen shown in FIGS. 123C to 123G. At this time, if All Exercise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23C, as shown in FIG. 123D, the MP3P displays all kinds of exercises that the MP3P can set.

이 경우, 각 운동 종목에 대한 칼로리 정보가 MP3P의 내부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어, MP3P는 사용자가 선택한 종목 및 시간에 의해 산출된 칼로리만큼을 추가로 소모된 칼로리에 반영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calorie information for each exercise item is stored in the MP3P's internal storage, so that the MP3P reflects the calories calculated by the item and tim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alories consumed.

(4) (4) ExerciseExercise DiaryDiary 기능 -  function - ViewView DetailDetail

이하에서는 도 124a 및 도 124b를 참고하여, Exercise Diary의 View Detail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4a 내지 도 12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Exercise Diary 항목의 View Detail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the View Detail of the Exercise Diar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4A and 124B. 124A to 124G illustrate a view detail function of an Exercise Diary item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xercise Diary가 표시된 상태에서 View detail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별 시간 및 소모 칼로리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MP3P는 총 소모 칼로리도 함게 표시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24A, when the View detail item is selected while the exercise diary is displayed, the MP3P displays time and calorie information for each exercise as shown in FIG. 124B. The MP3P also displays the total calories burned.

따라서, MP3P는 하루동안 운동별 소모 칼로리를 별도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MP3P can separately display calories burned by exercise during the day.

(5) (5) FoodFood DiaryDiary 기능 -  function - 음식추가Add food (직접 검색)(Direct search)

이하에서는 도 125a 내지 도 125h를 참고하여, Food Diary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5a 내지 도 125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Food Diary 항목의 직접 검색을 통한 음식 추가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Food Diary 기능은 사용자가 섭취한 식단에 따른 칼로리를 계산하고 관리하는 기능이다. 사용자에 의해 Food Diary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1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짜별 섭취 칼로리가 그래프로 제공된다. Hereinafter, a food diary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5A to 125H. 125A to 125H illustrate a process of adding food through direct search of a Food Diary item in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ood Diary is a function that calculates and manages calories according to the user's diet. When the Food Diary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is provided with a graph of intake calories by date, as shown in FIG. 125B.

한편, 사용자가 추가로 섭취한 음식을 직접 검색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도 125b 화면에서 Add Food를 선택한 후에, 도 125c 화면에서 Bio 버튼을 누르면 된다. 그러면, MP3P는 도 125d 내지 도 12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글자로 시작되는 음식의 명칭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음식의 종류가 선택되면, 도 12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사용자로부터 섭취량 을 입력받게 된다. 이 때, 각 음식에 대한 칼로리 정보가 MP3P의 내부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어, MP3P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의 종류 및 섭취량에 따라 섭취된 칼로리를 산출하게 된다. 따라서, MP3P는 도 12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섭취된 칼로리를 함께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wants to directly search for and additionally ingested food, select Add Food on the screen of FIG. 125B, and then press the Bio button on the screen of FIG. 125C. Then, as illustrated in FIGS. 125D to 125F, the MP3P automatically searches for and displays the name of the food starting with the input letter. Then, when the type of food is selec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25G, the MP3P receives an intake amount from the user. At this time, the calorie information for each food is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of the MP3P, so that the MP3P calculates the calories inges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intake of the food selected by the user. Thus, the MP3P will display the calories ingested together, as shown in FIG. 125G.

음식 추가가 완료되면, MP3P는 도 12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 추가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MP3P는 추가된 음식에 의해 섭취된 칼로리를 도 125b의 Food Diary 화면의 그래프에 반영하여 당일 섭취 칼로리를표시하게 된다. When the food addition is completed,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ood addition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25H. The MP3P displays calories ingested on the day by reflecting the calories ingested by the added food in the graph of the Food Diary screen of FIG. 125B.

(6) (6) FoodFood DiaryDiary 기능 -  function - 음식추가Add food (( MyMy FoodsFoods 이용) Use)

이하에서는 도 126a 내지 도 126g를 참고하여, Food Diary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6a 내지 도 12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Food Diary 항목의 My Foods를 이용한 음식 추가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My Foods는 사용자가 자주 먹는 음식을 등록한 음식 리스트를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food diary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6A to 126G. 126A to 126G illustrate a food addition process using My Foods of a Food Diary item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My Foods represents a list of foods in which foods that a user frequently eats are registered.

사용자가 추가로 섭취한 음식을 My Foods를 이용하여 검색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도 126a 화면에서 Add Food를 선택한 후에, 도 126b 화면에서 My Foods를 선택하면 된다. 그러면, MP3P는 도 12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음식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12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음식의 종류가 선택되면, 도 12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사용자로부터 섭취량을 입력받게 된다. 이 때, 각 음식에 대한 칼로리 정보가 MP3P의 내부 저장 소에 저장되어 있어, MP3P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의 종류 및 섭취량에 따라 섭취된 칼로리를 산출하게 된다. 따라서, MP3P는 도 12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섭취된 칼로리를 함께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When a user wants to search for and register foods additionally ingested using My Foods, the user may select My Foods on the screen of FIG. 126B after selecting Add Food on the screen of FIG. The MP3P then displays a food list register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26C. When the type of food is selec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26D, the MP3P receives an intake amount from the user as shown in FIG. 126E. At this time, the calorie information for each food is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of the MP3P, so that the MP3P calculates the calories inges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intake of the food selected by the user. Thus, the MP3P will display the calories ingested together, as shown in FIG. 126E.

음식 추가가 완료되면, MP3P는 도 12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 추가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MP3P는 추가된 음식에 의해 섭취된 칼로리를 도 126a의 Food Diary 화면의 그래프에 반영하여 당일 섭취 칼로리를 표시하게 된다. When the food addition is completed,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food addition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26F. Then, the MP3P reflects the calories consumed by the added food in the graph of the Food Diary screen of FIG.

한편, 도 126b에서 My Foods가 선택되었으나 등록된 음식이 없는 경우, 도 12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을 등록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My Foods is selected in FIG. 126B but no food is registered, as shown in FIG. 126G, a message to register food is displayed.

(7) (7) FoodFood DiaryDiary 기능 -  function - 음식추가Add food (( PreviousPrevious MealsMeals 이용) Use)

이하에서는 도 127a 내지 도 127g를 참고하여, Food Diary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7a 내지 도 127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Food Diary 항목의 Previous Meals를 이용한 음식 추가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Previous Meals는 사용자가 이전에 등록한 소정 개수의 음식 리스트를 제공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Previous Meals는 사용자가 이전에 등록한 30 가지의 음식 리스트를 표시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Hereinafter, the food diary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7A to 127G. 127A to 127G illustrate a food addition process using Previous Meals of a Food Diary item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Previous Meals represents a function of providing a list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foods that the user has previously registered. For example, Previous Meals can also display a list of 30 foods that a user has previously registered.

사용자가 추가로 섭취한 음식을 Previous Meal를 이용하여 검색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도 127a 화면에서 Add Food를 선택한 후에, 도 127b 화면에서 Previous Meals를 선택하면 된다. 그러면, MP3P는 도 12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 용자가 이전에 등록한 소정 개수의 음식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12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음식의 종류가 선택되면, 도 12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사용자로부터 섭취량을 입력받게 된다. 이 때, 각 음식에 대한 칼로리 정보가 MP3P의 내부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어, MP3P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의 종류 및 섭취량에 따라 섭취된 칼로리를 산출하게 된다. 따라서, MP3P는 도 12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섭취된 칼로리를 함께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When a user wants to register and additionally search for food ingested using Previous Meal, after selecting Add Food on the screen 127a, the user may select Previous Meals on the screen 127b. Then, the MP3P displays a predetermined number of food lists previously register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27C. When the type of food is selected by the user as illustrated in FIG. 127D, the MP3P receives an intake amount from the user, as illustrated in FIG. 127E. At this time, the calorie information for each food is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of the MP3P, so that the MP3P calculates the calories inges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intake of the food selected by the user. Thus, the MP3P will display the calories ingested together, as shown in FIG. 127E.

음식 추가가 완료되면, MP3P는 도 12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 추가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도 12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P는 추가된 음식에 의해 섭취된 칼로리를 Food Diary 화면의 그래프에 반영하여 당일 섭취 칼로리를 표시하게 된다. When the food addition is completed, the MP3P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ood addition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27F. And, as shown in Figure 127g, MP3P reflects the calories ingested by the added food in the graph of the Food Diary screen to display the calories intake on the day.

(8) (8) FoodFood DiaryDiary 기능 -  function - 음식추가Add food (( RestaurantRestaurant MenuMenu 이용) Use)

이하에서는 도 128a 내지 도 128d를 참고하여, Food Diary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8a 내지 도 12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Food Diary 항목의 Restaurant Menu를 이용한 음식 추가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Restaurant는 등록된 식당의 메뉴에 해당되는 음식 리스트를 제공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식당의 메뉴는 기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Hereinafter, the food diary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8A to 128D. 128A to 128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ood addition process using a Restaurant Menu of a Food Diary item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Restaurant represents a function of providing a food list corresponding to a menu of a registered restaurant. The menu of the restaurant may be preset or may be input by the user.

사용자가 추가로 섭취한 음식을 Restaurant Menu를 이용하여 검색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도 128a 화면에서 Add Food를 선택한 후에, 도 128b 화면에서 Restaurant Menu를 선택하면 된다. 그러면, MP3P는 도 12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당 명칭의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식당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2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식당에 대응되는 메뉴의 음식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후의 과정은 상술한 음식 추가 과정과 동일하다. When a user wants to search for and additionally register food ingested using the Restaurant Menu, after selecting Add Food on the screen of FIG. 128A, the Restaurant Menu may be selected on the screen of FIG. 128B. The MP3P then displays a list of restaurant names as shown in FIG. 128C. In this state, when a restauran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displays a food list of a 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staurant, as shown in FIG. 128D. The subsequent process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food addition process.

(9) (9) FoodFood DiaryDiary 기능 -  function - 음식추가Add food (( GroceryGrocery 이용) Use)

이하에서는 도 129a 내지 도 129c를 참고하여, Food Diary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9a 내지 도 12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Food Diary 항목의 Grocery를 이용한 음식 추가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Grocery는 MP3P에 저장된 모든 음식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Hereinafter, a food diary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9A to 129C. 129a to 129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ood addition process using Grocery of a Food Diary item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Grocery represents the ability to provide a list of all the food stored in the MP3P.

사용자가 추가로 섭취한 음식을 Grocery를 이용하여 검색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도 129a 화면에서 Add Food를 선택한 후에, 도 129b 화면에서 Grocery를 선택하면 된다. 그러면, MP3P는 도 1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도니 모든 음식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 이후의 과정은 상술한 음식 추가 과정과 동일하다.When the user wants to search for and register foods additionally ingested using Grocery, the user may select Grocery on the screen of FIG. 129B after selecting Add Food on the screen of FIG. Then, the MP3P displays a list of all foods stored as shown in FIG. 129C. The subsequent process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food addition process.

(10) 10 FoodFood DiaryDiary 기능 -  function - ViewView DetailDetail

이하에서는 도 130a 내지 도 130d를 참고하여, Food Diary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0a 내지 도 13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Food Diary 항목의 View Detail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the food diary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0A to 130D. 130A to 130D illustrate a view detail function of a Food Diary item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0a에 도시된 Food Diary 화면에서 View Detail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날짜에 섭취한 음식 및 칼로리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Left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3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날의 섭취한 음식 및 칼로리 정보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Bac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3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Food Diary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When View Detail is selected on the Food Diary screen shown in FIG. 130A, the MP3P displays food and calorie information taken on a specific date as shown in FIG. 130B.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Left button, the MP3P displays the ingested food and calorie information of the previous day, as shown in FIG. 130C.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ack button, the MP3P displays the Food Diary screen again as shown in FIG. 130D.

(11) (11) CalorieCalorie ManagerManager 기능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131a 내지 도 131h를 참고하여, My Diary 메뉴의 Calorie Manager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1a 내지 도 131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Calorie Manager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Calorie Manager 기능은 사용자의 목표 소모 칼로리, 사용자의 섭취 칼로리, 사용자의 실제 소모 칼로리 등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일별 칼로리 소모 상태에 대해 계산하고 관리하는 기능이다Hereinafter, the Calorie Manager function of the My Diary menu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31A to 131H. 131A to 131H illustrate a Calorie Manager function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Calorie Manager function calculates and manages daily calorie consumption based on information on the target calories burned by the user, calories burned by the user, and actual calories burned by the user.

도 1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메뉴에서 My Diary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1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y Diary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My Diary 메뉴의 Calorie Manager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31c에 도시된 바와 월별 달력에 색깔을 이용하여 일별 칼로리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3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로 일별 칼로리 현황을 표시하게 된다. When the My Diary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as illustrated in FIG. 131A, the MP3P displays submenus of the My Diary menu as illustrated in FIG. 131B. Here, when the Calorie Manager item of the My Diary menu is selected, the MP3P displays the daily calorie state using the colors in the monthly calendar as shown in FIG. 131C.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the MP3P displays the daily calorie status in a graph, as shown in FIG. 131D.

이 상태에서, 도 13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OK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 되면, MP3P는 도 13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lorie Budget을 수정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도 13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lorie Budget의 수정이 완료되면, MP3P는 도 13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에 수정된 Calorie Budget을 반영하여 표시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OK button as shown in FIG. 131E, the MP3P displays a screen for correcting the Calorie Budget as shown in FIG. 131F. Then, when the modification of the Calorie Budget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31G, the MP3P reflects and displays the modified Calorie Budget in the graph as shown in FIG.

(12) (12) MyMy InfoInfo 기능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132a 내지 도 132p을 참고하여, My Diary 메뉴의 My Info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2a 내지 도 132n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My Info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My Info 기능은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기능이다. 사용자 정보는 이름, 성별, 나이, 신장, 및 체중을 포함한다. Hereinafter, the My Info function of the My Diary menu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32A to 132P. 132a to 132n illustrate a My Info function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My Info function is to register and manage the user's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includes name, gender, age, height, and weight.

도 13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메뉴에서 My Diary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1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y Diary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My Diary 메뉴의 My Info 항목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3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MP3P는 도 132d 내지 도 132g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받는다. 또한, MP3P는 도 132h 내지 도 132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성별, 나이, 신장, 및 체중 정보를 수정하게 된다. 그리고, MP3P는 수정이 완료되면 도 132l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My Diary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When the My Diary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as illustrated in FIG. 132A, the MP3P displays submenus of the My Diary menu as illustrated in FIG. 132B. Here, when the My Info item of the My Diary menu is selected, the MP3P displays user information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132C. The MP3P receives the user's name through the process of FIGS. 132D to 132G.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132H to 132K, the MP3P modifies gender, age, height, and weight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When the modification is completed, the MP3P displays the My Diary menu again as shown in FIG. 132L.

도 132k의 화면에서 Bio 버튼에 짧은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MP3P는 도 132m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날짜별 몸무게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인 Weight Graph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MP3P가 90도 회전되며, MP3P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회전을 감지하고 자동 피벗 기능을 수행하여, 도 132n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보기 모드로 전환하고 월별 몸무게 그래프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When a short press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Bio button on the screen of FIG. 132k, the MP3P displays a weight graph, which is a graph representing a weight change of each user, as shown in FIG. 132m. Then, the MP3P is rotated by 90 degrees, the MP3P detects the rotation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and performs an automatic pivot function, thereby switching to the landscape view mode as shown in FIG. 132N and displaying a monthly weight graph.

도 132o 및 도 132p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녀의 표준 신체 사이즈가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MP3P는 성별이 남성인지 여성인지에 따라 신체 사이즈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132o and 132p illustrate a case where a standard body size of a man and a woman is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uch, the MP3P may automatically input the body size according to whether the gender is male or female.

지금까지, 도 121a 내지 도 132p를 참고하여, MP3P의 My Diary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So far, the My Diary function of the MP3P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21A to 132P.

[7. Health Appl][7. Health Appl]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메인 메뉴 중 Health Appl 메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Health Appl menu of the main menu.

(1) (One) HealthHealth ApplAppl ..

이하에서는 도 133a 내지 도 133c를 참고하여, Health Appl 메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3a 내지 도 13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ealth Appl메뉴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Health Appl 메뉴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한다. Hereinafter, the Health Appl menu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33A to 133C. 133A to 133C illustrate functions of a health appl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Health Appl menu serves to display a list of applications.

도 13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메뉴에서 Health Appl 메뉴가 선택되면, MP3P는 도 1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한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MP3P는 도 13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된다. When the Health Appl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as shown in FIG. 133A, the MP3P displays a list of applications as shown in FIG. 133B. When an applic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P3P executes the application as shown in FIG. 133C.

(2) 애플리케이션의 예(2) example of application

이하에서는, 도 134a 내지 도 134d를 참고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예를 설명한다. 도 134a 내지 도 13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4A to 134D. 134A-134D illustrate examples of application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4a는 물 섭취 관리 애플리케이션, 도 134b는 생리주기 관리 애플리케이션, 도 134c는 금연 관리 애플리케이션, 및 도 134d는 스트레스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대표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와 같이, MP3P는 다양한 종류의 건강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FIG. 134A illustrates a water intake management application, FIG. 134B illustrates a menstrual cycle management application, FIG. 134C illustrates a smoking cessation management application, and FIG. 134D illustrates a representative screen of a stress management application. As such, MP3P can provide a variety of health-related applications.

지금까지, 도 133a 내지 도 134d를 참고하여 MP3P의 Health Appl 메뉴의 기능을 설명하였다. So far, the functions of the Health Appl menu of the MP3P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3A to 134D.

[8. MP3P의 구성][8. Configuration of MP3P]

이하에서는 도 135 및 도 136을 참조하여 MP3P(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P3P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5 and 136.

도 135는 이상에서 설명한 MP3P(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멀 티미디어 재생, 그리고, 사용자의 건강상태, 운동상태, 스케줄에 대한 체크 및 관리를 위해, MP3P(100)는 센서 모듈(110),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20), GUI 생성부(130), 디스플레이(140), 제어부(150), 저장부(160) 및 사용자 명령 수신부(170)로 구성된다. 13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MP3P 100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heck and manage the above-described multimedia playback and the user's health state, exercise state, and schedule, the MP3P 100 includes a sensor module 110, a multimedia function block 120, and a GUI generation unit 130. , A display 140, a controller 150, a storage 160, and a user command receiver 170.

센서 모듈(110)은 사용자의 건강상태 및 운동상태를 측정한다. 특히, 센서 모듈(110)은 체지방, 스트레스, 피부색 및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한 광센서들(111, 113, 115, 117)과 칼로리 소모량을 측정하기 위한 3축 가속도 센서(119)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3축 가속도 센서(119)는 가속도 센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The sensor module 110 measures a user's health state and exercise state. In particular, the sensor module 110 is composed of optical sensors 111, 113, 115, and 117 for measuring body fat, stress, skin color and heart rate, and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119 for measuring calorie consumption. Here, the 3-axis acceleration sensor 119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이하에서는, 센서 모듈(110)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13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10)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sensor module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6. 13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modul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 모듈(110)은 제1 광센서(111), 제2 광센서(113), 제3 광센서(115), 제4 광센서(117) 및 3축 가속도 센서(119)로 구성된다. 특히, 제1 광센서(111), 제2 광센서(113), 제3 광센서(115) 및 제4 광센서(117)는 센서 모듈(110)의 하단부에 나란히 마련되고, 3축 가속도 센서(119)는 센서 모듈(110)의 내부에 내장되게 된다. The sensor module 110 includes a first optical sensor 111, a second optical sensor 113, a third optical sensor 115, a fourth optical sensor 117, and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119. In particular, the first optical sensor 111, the second optical sensor 113, the third optical sensor 115, and the fourth optical sensor 117 are provided side by side at the lower end of the sensor module 110, and have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119 is to be embedded in the sensor module 110.

제1 광센서(111)는 PD(Photo Diode)로 구성되며, 피하지방 및 체지방, 피부색, 스트레스 및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The first optical sensor 111 is composed of a photo diode (PD) and is used to measure subcutaneous fat and body fat, skin color, stress, and heart rate.

제2 광센서(113)는 660nm의 파장대를 발광하는 2개의 LED(Light Emmitting Diode)와 880nm의 파장대를 발광하는 2개의 LED로 구성되며, 피하지방 및 체지방, 그리고, 피부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The second optical sensor 113 is composed of two LEDs (Light Emmitting Diode) emitting a wavelength band of 660nm and two LEDs emitting a wavelength band of 880nm, and is used to measure subcutaneous fat and body fat and skin color. .

제3 광센서(115)는 940nm의 파장대를 발광하는 LED로 구성되며, 스트레스 및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The third optical sensor 115 is composed of LEDs emitting a wavelength band of 940 nm, and is used to measure stress and heart rate.

제4 광센서(117)는 880nm의 파장대를 발광하는 LED로 구성되며, 피하지방 및 체지방 측정을 위해 사용된다. The fourth optical sensor 117 is composed of an LED emitting a wavelength of 880nm, and is used for subcutaneous fat and body fat measurement.

즉, 피하지방 및 체지방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제1 광센서(111), 제2 광센서(113) 및 제4 광센서(117)가 사용되고, 피부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제1 광센서(111) 및 제2 광센서(113)가 사용되며, 스트레스나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제1 광센서(111) 및 제3 광센서(115)가 사용된다. That is, the first optical sensor 111, the second optical sensor 113, and the fourth optical sensor 117 are used to measure subcutaneous fat and body fat, and the first optical sensor 111 and the first optical sensor 111 are used to measure skin color. 2 optical sensor 113 is used, the first optical sensor 111 and the third optical sensor 115 is used to measure the stress or heart rate.

특히, 제1 광센서(111), 제2 광센서(113) 및 제4 광센서(117)는 사용자의 피부에 광을 조사하고, 조사 후 반사되어 검출된 광의 세기에 따라 피하지방, 체지방 및 피부색이 결정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first optical sensor 111, the second optical sensor 113, and the fourth optical sensor 117 irradiate light onto the user's skin, and are subcutaneous fat, body fat and Skin color is determined.

또한, 제1 광센서(111) 및 제3 광센서(115)는 사용자의 피부에 광을 조사하고, 조사 후 반사되어 검출된 광의 세기의 변화에 따라 스트레스 및 심박수가 결정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optical sensor 111 and the third optical sensor 115 irradiate light to the skin of the user, and the stress and the heart rat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light detected after being reflected.

또한, 3축 가속도 센서(119)는 X축, Y축, Z축으로 구분해서 가속도 및 진동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사용자의 스텝 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스텝 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이 계산되게 된다.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119 is a sensor that detects acceleration and vibration by dividing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and is used to measure the number of steps of the user. Based on this number of steps, the calorie consumption of the user is calculated.

다시 도 135에 대해 설명하면, 센서 모듈(110)은 센싱된 정보들을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Referring back to FIG. 135, the sensor module 110 transmits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50.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2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특히,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2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화면이 디스플 레이되도록 하기 위해, 동영상, 정지영상, 음악, 텍스트 등의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사용자의 건강상태, 운동상태 및 스케줄과 관련된 컨텐츠,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한다.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20 allows a scree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o be displayed. In particular,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20 plays contents such as moving images, still images, music, texts, or the like related to the user's health state, exercise state, and schedule in order to display a screen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llow programs and applications to run.

GUI 생성부(130)는, 아이템과 같은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30)에 의해 재생되는 컨텐츠 또는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10)에 의해 실행되거나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에, 생성된 GUI가 부가되도록 한다. The GUI generating unit 130 generates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such as an item, and executes or reproduces the content or the application or program that is executed or operated by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10. Allow the generated GUI to be added.

디스플레이(140)는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10)에 의해 재생되거나 실행되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과, GUI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GUI를 표시한다.The display 140 displays a content, an application or a program played or executed by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10, and a GUI generated by the GUI generator 130.

제어부(150)는 사용자 명령 수신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센서 모듈(110) 및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20)의 기능수행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50 controls a function performance operation of the sensor module 110 and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20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input through the user command receiver 160.

특히, 제어부(150)는 Media 메뉴와 관련된 조작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20)을 제어한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20 to reproduce content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related to a media menu.

또한, 제어부(150)는 Biocheck 메뉴와 관련된 조작에 대응되도록 센서 모듈(110) 및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20)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센싱되고, 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sensor module 110 and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20 to correspond to an operation related to a biocheck menu, so that a user's health state is sensed and an application or program corresponding thereto is executed.

그리고, 제어부(150)는 Fitness 메뉴와 관련된 조작에 대응되도록 센서 모듈(110) 및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20)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가 센싱되고, 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sensor module 110 and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20 to correspond to an operation related to a fitness menu so that a user's exercise state is sensed and an application or program corresponding thereto is executed.

또한, 제어부(150)는 My Diary 메뉴와 관련된 조작에 대응되도록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20)을 제어하여,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20 to correspond to an operation related to the My Diary menu so that the associated application or program is executed.

뿐만 아니라, 제어부(150)는 Health Appl 메뉴와 관련된 조작에 대응되도록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20)을 제어하여,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20 to correspond to an operation related to the Health Appl menu, so that the associated application or program is executed.

사용자 명령 수신부(160)는, MP3P(100)의 전면과 측면에 마련된 전술한 키들로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한다.The user command receiving unit 160 receives a user's command input with the above-described keys provided on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MP3P 100 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50.

저장부(170)는 HDD 또는 메모리 등으로 구현가능하며, MP3P(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전반과 각종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70)는 센서 모듈(110)에 의해 측정된 값을 체지방률, 스트레스 지수, 멜라닌 지수 또는 심박수로 변환하기 위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170 may be implemented as an HDD, a memory, or the like, and stores a general program, various contents, and applications for operating the MP3P 10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70 stores information for converting the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110 into body fat percentage, stress index, melanin index, or heart rate.

한편, 본 실시예에는 멀티미디어 기기가 MP3P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기기는 상술한 기능이 제공되는 다양한 기기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기기는 PMP, PDA, 휴대폰 등이 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ultimedia device is described as being an MP3P, but this is only an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ccordingly, the multimedia device may be various devices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For example, the multimedia device may be a PMP, a PDA, a mobile phone, or the like.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MPEG Audio Layer-3 Player)의 PUI에 관하여 도시한 도면 및 버튼별 기능별 테이블, 1A and 1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UI of an MPEG Audio Layer-3 Player (MP3P) and a function-specific table for each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메뉴의 네비게이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avigation of a menu of an MP3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하이라이트 위치 기억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파일 구조를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le structure for explaining a highlight location memory function of an MP3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표시상태에서 리스트에 포함된 항목의 명칭에 해당되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4A to 4D illustrate a process of displaying text corresponding to a name of an item included in a list in a list display st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리스트 및 썸네일 리스트에서 폴더와 파일의 표시 순서에 대한 기준을 정리한 표,5A is a table summarizing the criteria for the display order of folders and files in a file list and a thumbnail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유니코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5b shows a Unicode table;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 메뉴(Context Menu) 또는 Yes/No 팝업(Pop-up)이 표시된 경우의 타임아웃 기능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FIG. 6A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imeout function when a context menu or a Yes / No pop-up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인 메시지(Confirm Message)가 표시된 경우의 타임아웃 기능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6B is a view briefly illustrating a timeout function when a confirmation mess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또는 메인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타임아웃 기능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6c is a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timeout function in a state where a list or a main menu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기능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7A to 7C illustrate a process of implementing a feedba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TP 및 MSC의 음악(Music), 비디오(Video), 사진(Picture), 텍스트(Text)에 대한 리스트 표시 구조를 정리한 표,FIG. 8 is a table showing a list display structure of Music, Video, Picture, and Text of MTP and MS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상의 마지막 파일이 재생 완료된 경우, 재생완료 메시지가 표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9A and 9B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play completion message when a last file on a list is finished play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music list is display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 화면 중 리스트 화면의 인포메이션 영역을 도시한 도면,11A illustrates an information area of a list screen of an MP3P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 화면 중 재생 화면의 인포메이션 영역을 도시한 도면,1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area of a playback screen among MP3P scree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버튼의 짧은 누름 조작을 이용하여 리스트의 항목을 탐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12A illustrates a method of searching for an item in a list using a short pressing operation of a direction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버튼의 긴 누름 조작을 이용하여 리스트의 항목을 탐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12B illustrates a method of searching for an item in a list using a long press of a direction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 내지 도 13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즈 볼륨 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13A to 13J illustrate a process of executing the Wise volume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 및 도 14b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파일이 없는 경우에 대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14A and 14B illustrate screens when there is no file in a selected category;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원되지 않는 음악 파일이 선택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15A to 15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ase where an unsupported music file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코덱이 지원되지 않는 비디오 파일이 선택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16A to 16C illustrate a case in which a video file in which a video codec is not supported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d 내지 도 1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코덱이 지원되지 않는 비디오 파일이 선택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16D to 16F illustrate a case in which a video file in which an audio codec is not supported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간제 라이센스 파일의 기간이 만료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17A to 17C illustrate a case in which a term of a term license file has exp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가 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18A and 18B illustrate a process of going from a power off state to a power 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및 사진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를 제외한 모든 상태에서 홀드온이 설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19A to 19C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hold-ons are set in all states except a state in which video and photo playback screens ar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d 내지 도 19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및 사진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홀드온이 설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19D to 19H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hold-on in a state where a video and photo playback scree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a 내지 도 20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가 USB를 통해 PC에 연결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20A to 20I illustrate a case in which an MP3P is connected to a PC via US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a 내지 도 21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배터리 충전 과정을 도시한 도면,21A to 21G illustrate a battery charging process of an MP3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a 내지 도 2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가 배터리가 부족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22A to 22D illustrate a case in which an MP3P has a low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a 내지 도 2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웨어 업그레이드 과정 을 도시한 도면,23A to 23F illustrate a firmware upgrade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a 내지 도 2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과정을 도시한 도면,24A to 24C illustrate a library update process of an MP3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과정에서의 배터리 아이콘의 표시 상태 변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25A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a display state of a battery icon in a process of discharging a battery of an MP3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배터리가 USB에 의해 충전되는 과정에서의 배터리 아이콘의 표시 상태 변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25B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a display state of a battery icon when a battery of an MP3P is charged by US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배터리가 어댑터에 의해 충던되는 과정에서의 배터리 아이콘의 표시 상태 변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 25C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a display state of a battery icon when a battery of an MP3P is charged by an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기능을 정리한 표, 26 is a table summarizing timer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a 내지 도 2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최초 부팅시 사용자 정보 입력방법을 도시한 도면,27A to 27D illustrate a method of inputting user information at the first boot of MP3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메뉴 구조를 도시한 도면,28 is a diagram showing a menu structure of an MP3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메뉴 화면을 도시한 도면,29 illustrates a main menu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0a 및 도 30b은 MP3P가 Bio 버튼의 긴 누름 조작이 입력되면 Today's Summary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30A and 30B illustrate a process in which the MP3P displays Today's Summary when a long pressing operation of a Bio button is input;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edia 메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3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edia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a 내지 도 3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edia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 도시한 도면,32A to 32D illustrate a basic flow of a Media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usic 메뉴의 리스트 표시 화면의 화 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3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rrangement of a list display screen of a music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usic 메뉴의 Music 재생 화면의 화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3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layout of a Music playback screen of a Music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tist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의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3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sic list display screen when an Artist category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lbums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의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34B illustrates a music list display screen when an Albums category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ongs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의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34C is a diagram showing a music list display screen when a Songs category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aylist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의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34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sic list display screen when a Playlist category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usic Browser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의 Music 리스트 표시화면을 도시한 도면,34E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sic list display screen when a Music Browser category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tist 카테고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35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Artist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lbums 카테고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36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lbums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ongs 카테고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37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Songs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8a 내지 도 38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tists/Albums 카테고 리를 이용하여 Song 1을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38A to 38I illustrate a process of reproducing Song 1 using an Artists / Albums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9a 내지 도 3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aylists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Song 1을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39A to 39D illustrate a process of reproducing Song 1 using the Playlists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0a 내지 도 4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usic Browser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시작'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40A to 40D illustrate a process of playing a 'start' music file using the Music Browser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1a 내지 도 4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화면에서 이전, 다음 음악 선택 과정 및 볼륨 조절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41A to 41F illustrate examples of a previous and next music selection process and a volume control process on a 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2a 내지 도 4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재생 화면에서 Jogging Playlist에 음악을 추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42A to 42F illustrate a process of adding music to a jogging playlist on a music playback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3a 내지 도 43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Jogging Playlist에 음악을 추가 및 제외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43A to 43K illustrate a process of adding and excluding music to a jogging playlist on a music list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4a 내지 도 4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ideo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 도시한 도면,44A to 44D illustrate a basic flow of a Video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ideo 메뉴의 Video 리스트 표시 화면의 화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45A illustrates a screen layout of a video list display screen of a video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ideo 메뉴의 Video 재생 화면의 화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4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layout of a video playback screen of a video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6a 내지 도 46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파일의 재생 과정에 대해 도시한 도면,46A to 46I illustrate a process of playing a video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7a 내지 도 47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파일의 재생시의 재생, 일시정지, FF, REW 기능에 대해 도시된 도면,47A to 47I are diagrams for the playback, pause, FF, and REW functions during playback of a video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8a 내지 도 4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파일의 재생시의 볼륨 조절 기능에 대해 도시된 도면,48A to 48E are diagrams illustrating a volume control function when playing a video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9a 내지 도 4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Radio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 도시한 도면,49A to 49D illustrate a basic flow of an FM Radio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Radio 메뉴의 FM Radio 재생 화면의 화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50A illustrates a screen layout of an FM Radio playback screen of an FM Radio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Radio 메뉴의 Preset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50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set list of an FM radio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1a 내지 도 5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에서 FM Radio의 지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51A to 51E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region of FM radio in Ko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2a 내지 도 5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 이외의 국가에서 FM Radio의 채널 프리셋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52A to 52E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channel preset of FM Radio in a country other than Ko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3a 내지 도 5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라디오의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53A to 53E illustrate a process of executing an FM rad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4a 내지 도 5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라디오 채널의 수동 검색 방법을 도시한 도면,54A to 54F illustrate a method for manually searching for an FM radio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5a 내지 도 55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라디오 채널의 자동 프리셋 방법을 도시한 도면,55A to 55I illustrate an automatic preset method of an FM radio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6a 내지 도 5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라디오 재생시 Mute 기능의 수행 방법을 도시한 도면,56A to 56C illustrate a method of performing a mute function when playing an FM rad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7a 내지 도 5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프리셋 수행시 수신 가능한 채널이 없는 경우 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57A to 57C illustrate a process when there is no channel to be received when performing an automatic pres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7d 및 도 5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57D and 57E illustrate a process when an earphone is not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8a 내지 도 5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내의 FM 라디오 프리셋 채널 리스트를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 및 삭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58A to 58F illustrate a process of selecting and deleting a channel using a domestic FM radio preset channel li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의 FM 라디오 채널의 프리셋 리스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58G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eset list of an overseas FM radio chan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9a 및 도 5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주 및 미주의 FM 라디오의 RDS 서비스에 관한 도면,59A and 59B are diagrams of an RDS service of an FM radio of the Savior and the Americ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0a 내지 도 6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icture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 도시한 도면,60A to 60D illustrate a basic flow of a Picture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icture 메뉴의 썸네일 리스트 화면의 화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FIG. 61A illustrates a screen layout of a thumbnail list screen of a Picture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2a 내지 도 6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icture 메뉴의 썸네일 리스트 및 사진보기 기능의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62A to 62G illustrate a process of executing a thumbnail list and a picture viewing function of a Picture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3a 내지 도 6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icture 메뉴의 썸네일 리스트의 탐색 기능의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63A to 63G illustrate a process of executing a search function of a thumbnail list of a Picture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4a 및 도 6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파일이 없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64A and 64B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re is no photo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5a 내지 도 65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쇼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65A to 65F illustrate a process of performing a slideshow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6a 내지 도 6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ext 메뉴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 도시한 도면,66A to 66D illustrate a basic flow of a Text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ext 메뉴의 텍스트 리스트 화면의 화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67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rrangement of a text list screen of a Text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뷰어 화면을 도시한 도면,67B illustrates a text viewer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8a 내지 도 6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ext 메뉴의 텍스트 리스트 및 텍스트 뷰어 기능의 실행 방법을 도시한 도면, 68A to 68G illustrate a method of executing a text list and a text viewer function of a text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9a 내지 도 69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뷰어에서 첫 페이지로 이동 또는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기능의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69A to 69F illustrate a process of executing a first page or last page moving function in a text vie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0a 내지 도 7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뷰어에서의 폰트 사이즈 조절 기능을 도시한 도면, 70A to 70C illustrate a font size adjusting function in a text vie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1a 내지 도 7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뷰어에서의 자동 피벗 기능을 도시한 도면,71A to 71C illustrate an automatic pivot function in a text vie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화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7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layout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3a 내지 도 7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Music DNSe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73A to 73G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Music DNSe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4a 내지 도 7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Video DNSe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74A to 74G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Video DNSe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5a 내지 도 75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Play mode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75A to 75F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play mode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6a 내지 도 7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Street mode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76A to 76D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street mode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7a 내지 도 7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Audio Upscaler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77A to 77D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n audio upscaler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8a 내지 도 7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Beep Sound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78A to 78D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Beep Sound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9a 내지 도 79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Wise Volume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79A to 79F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Wise Volume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0a 내지 도 8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Audio Guide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80A to 80D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n audio guide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1a 내지 도 8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ound 항목의 Output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81A to 81D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n output of a soun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2a 내지 도 8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Display 항목의 Menu Design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82A to 82G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Menu Design of a Display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3a 내지 도 8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Display 항목의 Font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83A to 83G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Font of a Display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4a 내지 도 84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Display 항목의 Display Off Time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84A to 84H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display off time of a display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5a 내지 도 85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Display 항목의 Brightness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85A to 85F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Brightness of a Display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6a 내지 도 8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Display 항목의 Lyrics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86A to 86D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Lyrics of a Display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7a 내지 도 87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Language 항목의 Menu Language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87A to 87G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Menu Language of a Language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8a 내지 도 8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Language 항목의 Contents Language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88A to 88G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Contents Language of a Language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9a 내지 도 89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Date & Time 항목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89A to 89G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Date & Time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0a 내지 도 90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Password 항목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90A to 90E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passwor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1a 내지 도 91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Password 항목을 통해 패스워드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91A to 91K illustrate a process of changing a password through a Passwor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2a 내지 도 9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Password 항목을 통해 Password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92A to 92G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password function through a Passwor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3a 내지 도 93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Password 항목을 통해 Password를 리셋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93A to 93I illustrate a process of resetting a password through a Password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4a 내지 도 94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Change Unit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94A to 94J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change unit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5a 내지 도 95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FM Region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95A to 95J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n FM region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5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의 설정 가능한 지역들에 대한 표를 도시한 도면, 95k illustrates a table of configurable regions of Korea,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6a 내지 도 9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PC Connection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96A to 96D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PC connection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7a 내지 도 97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Library Update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97A to 97H illustrate a process of performing a Library Update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8a 내지 도 9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Default Set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98A to 98G illustrate a process of performing a Default Set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9a 내지 도 99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Format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99A to 99J illustrate a process of performing a format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0a 내지 도 10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About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100A to 100D illustrate a process of performing about an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1a 내지 도 101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ttings 메뉴의 System 항목의 Demo Mode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101A to 101I illustrate a process of setting a demo mode of a System item of a Setting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1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mo Mode의 시나리오를 정리한 표,101J is a table summarizing a scenario of Demo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2a 및 도 10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oCheck 메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102A and 102B illustrate a structure of a BioCheck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3a 내지 도 10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록된 사용자의 지방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103A to 103G illustrate a fat measurement process of a registered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4a 내지 도 10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스트의 지방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104A to 104G illustrate a fat measurement process of a gu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5a 내지 도 105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의 지방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105A to 105F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at measuring process of a ma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6a 내지 도 10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성의 지방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106A to 106C illustrate a process of measuring fat in wom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7a 내지 도 10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측정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107a to 107f illustrate a case in which an error occurs in a fat measurement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8a 내지 도 10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측정 결과 그래프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108A to 108E illustrate a process of displaying a fat measurement result grap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9a 내지 도 109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109a to 109e illustrate a stress measure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0a 내지 도 1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멜라닌 레벨 측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110A to 110D illustrate a melanin level measurement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1a 및 도 1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itness 메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111A and 111B illustrate a structure of a fitness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2a 내지 도 11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깅 기능의 실행 과 정을 도시한 도면,112A to 112G illustrate a process of executing a jogg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3a 내지 도 11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깅 기능의 퀵 스타트 방법을 도시한 도면,113A to 113D illustrate a quick start method of a jogg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4a 내지 도 11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인터랙션 과정을 도시한 도면,114A to 114D illustrate an interaction process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of MP3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5a 내지 도 11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Coach 기능의 최초 진입시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115A to 115D illustrate an execution process upon initial entry of a My Coach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6a 내지 도 11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처방을 받은 경우 My Coach 기능의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116A to 116G illustrate a process of executing a My Coach function when a workout prescription is recei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7a 내지 도 117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처방 기능의 수행 과정에서 무게 설정 과정에 대해 도시한 도면,117a to 117g are views illustrating a weight setting process in a process of performing an exercise prescription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8a 내지 도 11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처방을 다시 받는 과정에 대해 도시한 도면,118a to 118e illustrate a process of receiving a workout prescription aga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9a 내지 도 119n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처방을 받는 과정에 대해 도시한 도면,119a to 119n illustrate a process of receiving an exercise prescri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0a 내지 도 120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dometer 기능의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120A to 120F illustrate a process of executing a pedomet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1a 내지 도 12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Today's Summary 기능을 도시한 도면,121A through 121E illustrate a Today's Summary function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2a 내지 도 12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Exercise Diary 항목의 My Exercise 기능을 도시한 도면,122A to 122G illustrate a My Exercise function of an Exercise Diary item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3a 내지 도 12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Exercise Diary 항목의 All Exercise 기능을 도시한 도면,123A to 123G illustrate an All Exercise function of an Exercise Diary item in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4a 내지 도 12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Exercise Diary 항목의 View Detail 기능을 도시한 도면,124a to 124g illustrate a View Detail function of an Exercise Diary item in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5a 내지 도 125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Food Diary 항목의 직접 검색을 통한 음식 추가 과정을 도시한 도면,125A to 125H illustrate a food addition process through direct search of a Food Diary item in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6a 내지 도 12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Food Diary 항목의 My Foods를 이용한 음식 추가 과정을 도시한 도면,126a to 126g illustrate a food addition process using My Foods of a Food Diary item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7a 내지 도 127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Food Diary 항목의 Previous Meals를 이용한 음식 추가 과정을 도시한 도면,127A to 127G illustrate a food addition process using Previous Meals of a Food Diary item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8a 내지 도 12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Food Diary 항목의 Restaurant Menu를 이용한 음식 추가 과정을 도시한 도면,128A to 128D illustrate a food addition process using a Restaurant Menu of a Food Diary item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9a 내지 도 12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Food Diary 항목의 Grocery를 이용한 음식 추가 과정을 도시한 도면,129a to 129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ood addition process using Grocery of a Food Diary item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0a 내지 도 13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Food Diary 항목의 View Detail 기능을 도시한 도면,130A to 130D illustrate a view detail function of a Food Diary item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1a 내지 도 131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Calorie Manager 기능을 도시한 도면,131a to 131h illustrate a Calorie Manager function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2a 내지 도 132n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 Diary 메뉴의 My Info 기능을 도시한 도면,132a to 132n illustrate a My Info function of a My Diary men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2o 및 도 132p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녀의 표준 신체 사이즈가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132o and 132p illustrate a case where a standard body size of a man and a woman is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3a 내지 도 13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ealth Appl메뉴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133a to 133c illustrate a function of a health appl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4a 내지 도 13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134A-134D illustrate examples of application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P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13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MP3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13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적어도 하나의 운동 방식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A storage unit storing at least one exercise mode information; And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동 방식이 포함된 운동 처방을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기기.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xtract an exercise prescription including the at least one exercise method based on user information input by a us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정보는, The user information, 사용자의 이름, 성별, 나이, 신장, 체중, 체지방률, 목표 체중, 운동가능 기간, 운동가능 횟수, 선호 운동타입, 운동부위, 운동장소 및 덤벨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And at least one of a user's name, gender, age, height, weight, body fat percentage, target weight, exercise duration, exercise frequency, preferred exercise type, exercise part, exercise place, and dumbbell weight.
KR1020090130861A 2009-12-24 2009-12-24 Multimedia apparatus Ceased KR20110074024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861A KR20110074024A (en) 2009-12-24 2009-12-24 Multimedia apparatus
US12/978,323 US20110159469A1 (en) 2009-12-24 2010-12-23 Multimedia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861A KR20110074024A (en) 2009-12-24 2009-12-24 Multimedia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024A true KR20110074024A (en) 2011-06-30

Family

ID=4418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861A Ceased KR20110074024A (en) 2009-12-24 2009-12-24 Multimedia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59469A1 (en)
KR (1) KR20110074024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5701B2 (en) 2009-03-16 2020-07-0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rent position in content at a variable scrubbing rate
US10706096B2 (en) 2011-08-18 2020-07-07 Apple Inc. Management of local and remote media items
DE102012100866A1 (en) * 2012-02-02 2013-08-08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Method for forming a transport safety device and battery-powered electrical appliance
US20130280681A1 (en) * 2012-04-16 2013-10-24 Vivek Naraya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ood consumption
AU2013259614B2 (en) 2012-05-09 2016-08-2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feedback for changing activation states of a user interface object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DE112013002387T5 (en) 2012-05-09 2015-02-12 Apple Inc. Apparatus,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in a user interface
USD736738S1 (en) * 2012-09-21 2015-08-18 Rf Technologies, Inc. Call device
USD727321S1 (en) 2012-09-21 2015-04-21 Rf Technologies, Inc. Door controller
US9380634B2 (en) * 2012-11-22 2016-06-28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tearing down a protocol adaptation layer (PAL) session
JP6317062B2 (en) * 2012-12-25 2018-04-25 ソニー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D693798S1 (en) * 2012-12-27 2013-11-19 D-Link Corporation Router
WO2014105279A1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KR102000253B1 (en) * 2012-12-29 2019-07-16 애플 인크.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user interface hierachies
US8690578B1 (en) 2013-01-03 2014-04-08 Mark E. Nusbaum Mobile computing weight, diet, nutrition, and exercise tracking system with enhanced feedback and data acquisition functionality
US10078437B2 (en) 2013-02-20 2018-09-1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a notification via a capacitive physical keyboard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AU2014246649A1 (en) * 2013-04-02 2015-10-15 Selina BOX Nutrition-pedometer
WO2015002984A1 (en) * 2013-07-01 2015-01-08 Commercial Arts & Sciences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kills training
USD759637S1 (en) * 2013-11-18 2016-06-21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Small form factor (SFF) router
USD735701S1 (en) * 2013-11-18 2015-08-04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Small form factor (SFF) router
US20150138097A1 (en) * 2013-11-21 2015-05-21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entering characters on a radio tuner interface
US20160019360A1 (en) 2013-12-04 2016-01-21 Apple Inc. Wellness aggregator
US12080421B2 (en) 2013-12-04 2024-09-03 Apple Inc. Wellness aggregator
US10500441B2 (en) * 2014-02-04 2019-12-10 Lagree Technologies, Inc. Pilates exercise routine system and method
EP4036685A1 (en) 2014-06-27 2022-08-03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TWI647608B (en) 2014-07-21 2019-01-11 美商蘋果公司 Remote user interface
WO2016036582A2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Physical activity and workout monitor
CN106797493A (en) 2014-09-02 2017-05-31 苹果公司 Music user interface
US9547419B2 (en) 2014-09-02 2017-01-17 Apple Inc.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CN107111894B (en) * 2014-09-08 2022-04-29 西姆克斯有限责任公司 Augmented or virtual reality simulator for professional and educational training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216351B2 (en) 2015-03-08 2019-02-26 Apple Inc. Device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US9678708B2 (en) 2015-04-24 2017-06-13 Sonos, Inc. Volume limit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244983B2 (en) * 2015-07-20 2019-04-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EP4327731A3 (en) 2015-08-20 2024-05-15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KR102446811B1 (en) * 2016-02-19 2022-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tegrating and providing data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10044098B2 (en) 2016-02-19 2018-08-07 Facebook, Inc. Modular base station
DK201770423A1 (en) 2016-06-11 2018-01-15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US11216119B2 (en) 2016-06-12 2022-01-04 Apple Inc. Displaying a predetermined view of an application
USD791767S1 (en) * 2016-06-17 2017-07-11 Facebook, Inc. Communications base station
USD789361S1 (en) * 2016-06-17 2017-06-13 Facebook, Inc. Communications base station
US10736543B2 (en) 2016-09-22 2020-08-11 Apple Inc. Workout monitor interface
USD835140S1 (en) * 2016-09-29 2018-12-04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992795B2 (en) 2017-05-16 2021-04-27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US11431836B2 (en) 2017-05-02 2022-08-30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initiating media playback
US10928980B2 (en) 2017-05-12 2021-02-2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laying and managing audio items
US10845955B2 (en) * 2017-05-15 2020-11-24 Apple Inc. Displaying a scrollable list of affordan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CN111343060B (en) 2017-05-16 2022-02-11 苹果公司 Method and interface for home media control
US20220279063A1 (en) 2017-05-16 2022-09-01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DK180246B1 (en) 2018-03-12 2020-09-1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health monitoring
DK179992B1 (en) 2018-05-07 2020-01-14 Apple Inc. DISPLAY OF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US11317833B2 (en) 2018-05-07 2022-05-03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US10887193B2 (en) 2018-06-03 2021-01-0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network connection settings of external devices
USD852771S1 (en) * 2019-01-09 2019-07-02 Shenzhen Qianhai Patuoxun Network And Technology Co., Ltd Wireless transmitter
DK201970532A1 (en) 2019-05-06 2021-05-03 Apple Inc Activity trends and workouts
CN112805671A (en) 2019-05-06 2021-05-14 苹果公司 Limited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EP4231124B1 (en) 2019-05-31 2025-04-1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DK201970533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US11010121B2 (en) 2019-05-31 2021-05-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US10904029B2 (en) 2019-05-31 2021-01-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controllable external devices
US11979467B2 (en) 2019-06-01 2024-05-07 Apple Inc. Multi-modal activity tracking user interface
DK181076B1 (en) 2020-02-14 2022-11-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TRAINING CONTENT
US11513667B2 (en) 2020-05-11 2022-11-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udio message
US12232878B1 (en) 2020-08-01 2025-02-25 Apple Inc. Atrial fibrillation user interfaces
US11392291B2 (en) 2020-09-25 2022-07-19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media control with dynamic feedback
EP4550349A3 (en) 2021-05-15 2025-07-0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group workouts
US12386428B2 (en) 2022-05-17 2025-08-1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device controls
US11977729B2 (en) 2022-06-05 2024-05-07 Apple Inc. Physical activity information user interfaces
US11896871B2 (en) 2022-06-05 2024-02-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hysical activity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3586A1 (en) * 2000-11-29 2002-06-06 Art Haven 9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body compositions
US20040171464A1 (en) * 2003-02-28 2004-09-02 Darren Ashby Exercise device with body fat monitor
GB0326387D0 (en) * 2003-11-12 2003-12-17 Nokia Corp Fitness coach
US20050209050A1 (en) * 2004-03-15 2005-09-22 Dirk Bartels Interactive mobile device
US7771319B1 (en) * 2004-05-10 2010-08-10 Michael G. Lannon Exercising apparatus
US8130193B2 (en) * 2005-03-31 2012-03-0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yes-free interaction with a computing device through environmental awareness
US7951044B1 (en) * 2005-11-29 2011-05-31 Burks John H Exercise routine display system and method
US8152693B2 (en) * 2006-05-08 2012-04-10 Nokia Corporation Exercise data device, server, system and method
KR100792259B1 (en) * 2006-05-19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body fat measurement device and optical sensor module mounted on the device
US7771320B2 (en) * 2006-09-07 2010-08-10 Nike, Inc. Athletic performance sensing and/or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TW200924706A (en) * 2007-12-12 2009-06-16 Inst Information Industry Emotion sensing and relaxing system and its method
US8442797B2 (en) * 2009-03-30 2013-05-14 Kionix, Inc. Directional tap detection algorithm using an accelerometer
US20130024211A1 (en) * 2009-04-09 2013-01-24 Access Mobility, Inc. Active learning and advanced relationship marketing and health interventions
KR101726756B1 (en) * 2009-04-26 2017-04-14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Gps features and functionality in an athletic watch system
US20100317488A1 (en) * 2009-06-16 2010-12-16 Jose Cartaya Exercise system with feedback analysis and related methods
US9167991B2 (en) * 2010-09-30 2015-10-27 Fitbit, Inc. Portable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59469A1 (en)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4024A (en) Multimedia apparatus
US12413981B2 (en)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RU2390056C2 (en) Sound player, method of playing back sound
CN110637270B (en) Displaying a scrollable affordance list associated with a physical activity
KR20110073756A (en) Condition information tagging method and multimedia device using same
EP1925341A1 (en) Exercise machine
US7705230B2 (en) Music synchronization arrangement
US96461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dio and visual cues via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281652A1 (en) Touch Music Player
US2010008311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plementing user interface suitable for user operation
US20130035209A1 (en) Dynamically adaptive scheduling system
US201302513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group activities
US20080312935A1 (en) Media device with speech recognition and method for using same
EP3684065B1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device
KR102504239B1 (en)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US7820901B2 (e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an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EP1636798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tadata management
US200701004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information
WO2015079330A1 (en) Multimedia reading control device, graph acquisition device, electronic equipment, graph supply device and methods thereof
US20100162120A1 (en) Digital Media Player User Interface
CN103279469A (en) Methods, rendering application, and portable apparatus for creating a play list
EP1840711A1 (en) One-click selection of music or other content
ES2800975T3 (en) Data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measured values
AU2016210760A1 (en) Dynamically adaptive scheduling system
JP2004272163A (en) Medley editing method and karaoke performance device using music data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6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2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