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311A - stamp - Google Patents
stam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8311A KR20110038311A KR1020090095549A KR20090095549A KR20110038311A KR 20110038311 A KR20110038311 A KR 20110038311A KR 1020090095549 A KR1020090095549 A KR 1020090095549A KR 20090095549 A KR20090095549 A KR 20090095549A KR 20110038311 A KR20110038311 A KR 201100383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mp
- jaw
- coupling member
- handle
- outer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6 i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8—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a flat stamping surface and changeable charac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 B41K1/56—Handl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모양 또는 글자가 각인된 스탬프부와 상기 스탬프부를 수용하여 상기 스탬프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탬프부는 다양한 모양 또는 글자가 각인된 스탬프부 몸체와 상기 스탬프부 몸체 상면에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스탬프부로 각종 모양이나 글자를 찍을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에서 스탬프부를 분리시 손을 더럽이지 않을 수 있고,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도장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inting, and more particularly, includes a stamp portion stamped with various shapes or letters and a handle portion for receiving the stamp portion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stamp portion, wherein the stamp portion is stamped with various shapes or letters Protruding into the stamp body and the stamp body upper surface, including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can take a variety of shapes or letters with the stamp portion, the stamp portion in the handle portion When the separation is not dirty hands, and relates to a coating that can be easily wash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모양 또는 글자가 각인된 스탬프부와 상기 스탬프부를 수용하여 상기 스탬프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탬프부는 다양한 모양 또는 글자가 각인된 스탬프부 몸체와 상기 스탬프부 몸체 상면에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스탬프부로 각종 모양이나 글자를 찍을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에서 스탬프부를 분리시 손을 더럽이지 않을 수 있고,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도장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inting, and more particularly, includes a stamp portion stamped with various shapes or letters and a handle portion for receiving the stamp portion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stamp portion, wherein the stamp portion is stamped with various shapes or letters Protruding into the stamp body and the stamp body upper surface, including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can take a variety of shapes or letters with the stamp portion, the stamp portion in the handle portion When the separation is not dirty hands, and relates to a coating that can be easily washed.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장은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그 일단면에 새기고자 하는 모양이나 글자를 음각 또는 양각으로 각인하여 사용하였다. 따라서 새기고자 하는 모양이나 글자마다 도장을 제작하여야 하는데 이는 자원의 낭비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아이들은 다양한 모양이나 글자를 종이 등에 새기는 도장놀이를 즐겨하므로 다양한 모양과 글자가 새겨진 스탬프부를 교체할 수 있는 도장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Conventionally used coating has the shape of a cylinder and used to engraved intaglio or embossed shape or letters to be carved on one end surface. Therefore, the stamp should be produced for each shape or letter to be carved, which causes a problem of wasting resources. In particular, children enjoy painting games in which various shapes or letters are engraved on paper, so the necessity of paintings that can replace stamps engraved with various shapes and letters has emerg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모양 또는 글자가 각인된 스탬프부와 상기 스탬프부를 수용하여 상기 스탬프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탬프부로 각종의 모양이나 글자를 찍을 수 있는 도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ncludes a stamp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that is detachably combined with the stamp portion to receive the stamp portion stamped in various shapes or letters, and the stamp por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amp that can be writte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탬프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될 때에 소리와 빛이 방출되어 도장놀이를 할 때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도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ating that may cause an interest when the stamp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and the sound and light is emitted to play the painting.
또한, 본 발명은 버튼부를 누룬후 손잡이부를 들면 용이하게 손잡이부와 스탬프부를 분리할 수 있어, 상기 손잡이부에서 스탬프부를 분리시 손을 더럽이지 않을 수 있는 도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eparate the handle portion and the stamp portion by lifting the handle portion after pressing the button por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ating that does not dirty hands when separating the stamp portion from the handle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스탬프부 삽입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되므로 스탬프부 삽입부의 길이 만큼 상기 결합부재에 결속되어, 상기 손잡이부가 스탬프부로 삽입되어 결속되는 것보다 결속되는 면적이 커서 확실하고 견고하게 스탬프부와 손잡이부를 결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stamp portion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is bound to the coupling member by the length of the stamp portion insertion portion, the area that is bound than the handl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tamp portion and bound, the stamp portion is firm and firmly An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oa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binding to the handle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스탬프부 삽입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되므로, 상기 손잡이부가 스탬프부로 삽입되어 결속될 때 상기 스탬프부에 존재하는 상기 손잡이부가 들어가는 파인 부분이 본원발명의 스탬프부에는 존재하지 않아서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도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amp portion inser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when the handl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tamp portion, the fine portion to enter the handle portion existing in the stamp portion is not present in the stam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asi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aint that can be cleaned.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은 다양한 모양 또는 글자가 각인된 스탬프부와; 상기 스탬프부를 수용하여 상기 스탬프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탬프부는 다양한 모양 또는 글자가 각인된 스탬프부 몸체와; 상기 스탬프부 몸체 상면에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스탬프부로 각종 모양이나 글자를 찍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mped in various shapes or letters; A handle part which receives the stamp part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amp part; It includes, The stamp portion Stamp portion body and various shapes or letters are imprinted; An insertion part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tamp part body and inserted into the handle part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part; Including, it is possible to take a variety of shapes and letters with the stamp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형부재와, 상기 외형부재 내에 위치하며 상기 외형부재 내로 삽입된 상기 스탬프부의 삽입부와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is coupled to the outer member to form an appearance, the removable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tamp portion located in the outer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outer member. And a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스탬프부의 삽입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재 몸체와, 상기 결합부재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mber includes a coupling member body coupled with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tamp portion, and a button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upling member body.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측면의 하측에 돌출된 하부턱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 몸체는 내면의 하측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한 쌍의 하부 돌출턱과, 상기 하부 돌출턱 사이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여, 상기 삽입부가 상기 외형부재에 삽입되어 결합 될 때, 상기 삽입부의 하부턱이 상기 결합부재 몸체의 하부 돌출턱 사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스탬프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art includes a lower jaw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side, and the coupling member body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p and down below the inner surface. Including a pair of lower protruding jaw and the coupling groove formed between the lower protruding jaw, when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 member is coupled, the lower jaw of the insert is formed between the lower protruding jaw of the coupling member body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mp portion is firmly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에 있어서 상기 하부턱과 하부 돌출턱은 각각 그 말단이 원형으로 라운딩되어 서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어, 상기 하부턱이 상기 결합홈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jaw and the lower protruding jaw are respectively rounded at their ends so as to slide and mov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jaw is easi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It can be inse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에 있어서 상기 외형부재의 내면 하측에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 몸체는 말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재 몸체가 하강할 때, 상기 경사부가 상기 경사돌기의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가 상기 스탬프부를 상기 손잡이부에서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clined protrusion including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below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body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from the end. When the coupling member body is lowered, the inclined portion may slide dow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rotrusion to easily detach the stamp portion from the handle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에 있어서 상기 외형부재의 내부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 몸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외형부재의 내부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으며 일정한 경로를 따라 승하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inside the outer member, and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body, so that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When ascending or descending inside the outer member, the coupling member is lifted up and down along a predetermined path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guide protrus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에 있어서 상기 외형부재 내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 설치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외형부재 내부의 일정 높이에서 고정시키는 지지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cking jaw is formed inside the outer member, and the handle part is installed on the locking jaw so that the coupling member is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the outer member.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member for fix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에 있어서 상기 외형부재 상측에는 스피커와 조명과 전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 하측에는 상기 스피커와 조명과 전지에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삽입부가 상기 외형부재 내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삽입부의 상면이 지지부재 하면에 설치된 스위치를 눌러 상기 스피커와 조명에 전원을 공급하여 빛과 소리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the lighting and the battery is installed above the outer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switch connected to the speaker, the lighting and the battery, When the insert is inserted into the outer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by pressing the switch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emits light and sound by supplying power to the speaker and the ligh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버튼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button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측면의 상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턱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 몸체는 내면의 상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 돌출턱을 포함하여, 상기 삽입부가 상기 외형부재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삽입부의 상부턱이 상기 결합부재 몸체의 상부 돌출턱 하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삽입부의 상승높이를 제한하여 상기 삽입부의 상면이 지지부재 하면에 설치된 스위치에 과도한 힘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ortion includes an upper jaw formed to protrude from an upper side of the side, and the coupling member body protrudes from an upper side of an inner surface. Including, when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 member is coupled, the upper jaw of the insertion portion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rojection jaw of the coupling member body, limiting the height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preventing excessive force applied to the switch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본 발명은 다양한 모양 또는 글자가 각인된 스탬프부와 상기 스탬프부를 수 용하여 상기 스탬프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탬프부로 각종의 모양이나 글자를 찍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mp portion stamped with various shapes or letters and a handle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stamp portion using the stamp portion, and the stamp portion has an effect of taking various shapes or character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탬프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될 때에 소리와 빛이 방출되어 도장놀이를 할 때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cause an interest when the stamp part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and the sound and light is emitted to play the paint.
또한, 본 발명은 버튼부를 누룬후 손잡이부를 들면 용이하게 손잡이부와 스탬프부를 분리할 수 있어, 상기 손잡이부에서 스탬프부를 분리시 손을 더럽이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eparate the handle portion and the stamp portion by lifting the handle portion after pressing the button por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irty hands when removing the stamp portion from the handle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스탬프부 삽입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되므로 스탬프부 삽입부의 길이 만큼 상기 결합부재에 결속되어, 상기 손잡이부가 스탬프부로 삽입되어 결속되는 것보다 결속되는 면적이 커서 확실하고 견고하게 스탬프부와 손잡이부를 결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stamp portion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is bound to the coupling member by the length of the stamp portion insertion portion, the area that is bound than the handl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tamp portion and bound, the stamp portion is firm and firm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ind with the handle.
또한, 본 발명은 스탬프부 삽입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되므로, 상기 손잡이부가 스탬프부로 삽입되어 결속될 때 상기 스탬프부에 존재하는 상기 손잡이부가 들어가는 파인 부분이 본원발명의 스탬프부에는 존재하지 않아서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amp portion inser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when the handl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tamp portion, the fine portion to enter the handle portion existing in the stamp portion is not present in the stam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asily It can be wash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are equivalent to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if they conflict with the meanings of the terms used herein, Follow the definition us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에 적용된 손잡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에 적용된 손잡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에 적용된 스탬프부와 손잡이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에 적용된 스탬프부와 손잡이부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에 적용된 스탬프부에 대한 선택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을 이용하여 종이 표면에 모양을 찍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portion applied to the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andle portion applied to the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mp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pplied to the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mp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pplied to the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ection state for the stamp applied to the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ape was taken on the surface of the paper by using the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은 스탬프부(10)와 손잡이부(30)를 포함한다.1 to 7, the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스탬프부(10)를 도 1과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탬프부(10)는 스탬프부 몸체(110)와 삽입부(130)를 포함한다.The
상기 스탬프부 몸체(11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하면에는 다양한 모양 또는 글자가 각인되며, 상기 다양한 모양 또는 글자는 양각 또는 음각으로 각인될 수 있으며 양각으로 각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스탬프부 몸체(110)의 형태는 원통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모양 또는 글자를 각인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상기 삽입부(130)는 상기 스탬프부 몸체(110) 상면 중앙에서 돌출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며 후술할 손잡이부(30)에 삽입되어 상기 스탬프부(10)를 상기 손잡이부(30)와 결합시킨다. 상기 삽입부(130)는 상부턱(131), 하부턱(133)을 포함한다. The
상기 상부턱(131)은 상기 삽입부(130)의 어느 평행한 두 측면의 상측에 각각 대향되게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스탬프부(10)와 상기 손잡이부(30) 결합시 후술할 결합부재(320)의 상부 돌출턱(3231)의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턱(131)은 상기 스탬프부(10)를 상기 손잡이부(30)에서 탈착할 시에 상기 결합부재(320)의 상부 돌출턱(3231)이 상기 상부턱(131)에서 미끄러져 내려가 상기 스탬프부(10)가 상기 손잡이부(30)에서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외면이 원형으로 라운딩되어 있다.The
상기 하부턱(133)은 상기 상부턱(131) 하측에 각각 대향되게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스탬프부(10)와 상기 손잡이부(30) 결합시 후술할 결합부재(320)의 하부 돌출턱(3233) 사이의 결합홈(3234)에 위치한다. 상기 하부턱(133)은 상기 하부 돌출턱(3233)의 결합홈(3234)에 쉽게 안착할 수 있도록 외면이 원형으로 라운딩되어 있다. 상기 스탬프부는 내부에 파인 홈이 존재하지 않아서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
상기 손잡이부(30)를 도 1, 2,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부(30)는 외형부재(310), 결합부재(320), 지지부재(330), 탄성부재(340)를 포함한다. 1, 2, and 3 with reference to the
상기 외형부재(310)는 상기 스탬프부(10)의 삽입부(130)를 수용하며 상기 손잡이부(30)의 외형을 이룬다. 상기 외형부재(310)는 상부 외형부재(311)와 하부 외형부재(313)를 포함한다.The
상기 상부 외형부재(311)는 후술할 하부 외형부재(313)와 결합되며,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면은 막혀져 있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다. 상면에는 후술할 결합부재(320)의 버튼부(321)가 통과하는 통로인 원형의 버튼부 통과홈(3111)이 형성된다. 측면에는 상기 상부 외형부재(311)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360)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하는 조명홈(3112)과, 상기 상부 외형부재(311) 내부에 설치되는 스피커(370)의 소리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스피커 홈(3113)과, 상기 상부 외형부재(311) 내부에 설치되는 전지(350)를 교체하는 통로인 전지 홈(3114)이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외형부재(311)는 전지 홈을 커버하는 전지홈 덮개(3115)를 포함한다. The upper
상기 전지(350)와 스피커(370)와 조명(360)은 상기 상부 외형부재(311) 내부에 설치되며 전선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또한 후술할 지지부재(330)의 고정판(331) 하면에 설치되는 스위치(380)와 연결된다. 상기 전지(350)는 상기 스피커(370)과 조명(360)에 전원을 공급하며 소형의 수은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370)는 상기 손잡이부(30)와 스탬프부(10)가 결합할 때에 스탬프부(10)의 삽입부(130) 상면이 후술할 지지부재의 고정판(331) 하면에 설치되는 스위치(380)를 누르면 기저장된 소리를 방출한다. 상기 스피커(370)는 소형의 마이크로 스피커가 사용된다. 상기 조명(360)은 상기 손잡이부(30)와 스탬프부(10)가 결합할 때에 스탬프부(10)의 삽입부(130) 상면이 지지부재 고정판(331) 하면에 설치되는 스위치(380)를 누르면 빛을 방출한다. 상기 조명(360)은 선명도가 높고 내구성이 있는 엘이디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탬프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될 때에 소리와 빛이 방출하므로 도장놀이를 하는 어린이들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도장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370)와 조명(360)은 두 개가 함께 설치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만 설치되어 상기 스탬프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시 빛 또는 소리의 어느 하나만 외부로 방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전지(350), 스피커(370), 조명(360), 스위치와 이들의 결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해당하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는 상기 상부 외형부재(311)와 결합하여 일체를 이루며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면은 개방되어 있고 하면은 막혀져 있으며 하면에는 상기 스탬프부(10)의 삽입부(130)가 삽입되는 사각형 모양의 삽입홈(3134)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는 걸림턱(3131), 가이드 돌기(3132), 경사돌기(3133)를 포함한다. The lower
상기 걸림턱(3131)은 내부 상측에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후술할 지지부재(330)와 결합한다. The latching
상기 가이드 돌기(3132)는 상기 걸림턱(3131) 하측에 바 형상으로 대향되게 쌍으로 형성되며 후술할 결합부재(320)의 가이드 홈(3232)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재(320)가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상기 경사돌기(3133)는 하면의 내측에 한 쌍으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중앙에서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31331)을 포함한다. 상기 스탬프부(10)를 상기 손잡이부(30)에 탈부착시킬 때 후술할 결합부재(320)의 버튼부(321)를 누르면 결합부재 몸체(323)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결합부재 몸체의 경사부(3235)가 상기 경사돌기(3133)의 경사면(31331)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가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가 좌우로 벌어져서 상기 스탬프부를 손잡이부에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The
상기 결합부재(320)는 상기 스탬프부(10)를 상기 손잡이부(30)에 탈부착시켜는 역할을 하며, 버튼부(321)과 결합부재 몸체(323)를 포함한다. The
상기 버튼부(321)는 속이 찬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일정 깊이만큼의 삽입공(321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3211) 내부에는 후술할 지지부재(330)의 고정돌기와 탄성부재(340)가 위치한다. The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는 ㄷ자 형태를 가지며 상기 버튼부(3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 돌출턱(3231), 가이드 홈(3232), 하부 돌출턱(3233), 결합홈(3234), 경사부(3235)를 포함한다. The
상기 상부 돌출턱(3231)은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 내면 상측에 대향되게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스탬프부(10)와 손잡이부(30)가 결합시 상기 스탬프부(10)의 삽입부(130) 상부턱(131)의 상면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 돌출턱(3231)은 상기 스탬프부(10)를 상기 손잡이부(30)에서 탈착할 시에 상기 상부 돌출턱(3231)이 상기 상부턱(131)에서 미끄러져 내려가 상기 스탬프부(10)가 상기 손잡이부(30)에서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외면이 원형으로 라운딩되어 있다. 상기 버튼부(321)를 누르면 상기 상부 돌출턱(3231)이 삽입부의 상부턱(131)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가 상부턱(131)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는 좌우로 벌어지게 된다. The
상기 가이드 홈(3232)은 상기 상부 돌출턱(3231) 하측에 직사각형 형태로 대향되게 한쌍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3232)에는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의 가이드 돌기(3132)가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재(320)가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상기 하부 돌출턱(3233)은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 내면에 하측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한 쌍이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돌출턱(3233) 사이에는 상기 스탬프부(10)와 상기 손잡이부(30) 결합시 상기 삽입부(130)의 하부턱(133)이 삽입되도록 결합홈(3234)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돌출턱(3233)은 상기 하부턱(133)이 결합홈(3234)에 쉽게 안착할 수 있도록 외면은 원형으로 라운딩되어 있다. The lower protrusion jaw (323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body (323) so as to face a pair of protruding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ower side, between the
상기 경사부(3235)는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의 말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 사지어 형성되며, 상기 스탬프부(10)를 상기 손잡이부(30)에 탈부착시킬 때 결합부재(320)의 버튼부(321)를 누르면 결합부재 몸체(323)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결합부재 몸체의 경사부(3235)가 상기 경사돌기(3133)의 경사면(31331)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가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가 좌우로 벌어져서 상기 스탬프부를 손잡이부에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The
상기 지지부재(330)는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 걸림턱(3131)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결합부재(320)를 지지하며 고정판(331), 고정돌기(332)를 포함한다. The
상기 고정판(331)은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320)가 통과하는 결합부재 통과 홈(3311)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331)의 하면에는 스위치(380)가 부착되어 상기 스탬프부(10)가 상기 손잡이부(30)와 결합할 때에 스탬프부(10)의 삽입부(130) 상면이 상기 스위치(380)를 누게 된다. The fixing
상기 고정돌기(332)는 상기 고정판(331) 상면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부재 버튼부(321)의 삽입공(3211)에 삽입된다. The fixing
상기 탄성부재(340)는 상기 삽입공(3211)과 상기 고정판(331)의 고정돌기(33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결합부재(320)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탄성력을 가지면 어느 것이든 사용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상기 손잡이부(30)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관계를 살 펴보면, 상기 고정판(331)의 고정돌기(332)는 상기 탄성부재(340)가 끼워진 채로 결합부재(320)의 삽입공(3211)에 삽입된다. 상기 지지부재(330)와 탄성부재(340)가 결합된 결합부재(320)는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재(320)의 가이드 홈(3232)에 하부 외형부재(313)의 가이드 돌기(3132)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부재(330)의 고정판(331) 하면이 상기 걸림턱(3131)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부재(330)와 탄성부재(340)가 결합된 결합부재(320)는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와 결합된다. 상기 버튼부(321)가 상부 외형부재(311)의 버튼부(321) 통과홈(3111)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 상면에 상부 외형부재(311)가 결합된다. 상기 전지(350), 스피커(370), 조명(360)은 상기 상부 외형부재(311)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380)는 상기 지지부재(330)의 고정판(331)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전지(350), 스피커(370), 조명(360), 스위치(380)는 전선으로 서로 연결된다. 1 to 3, when looking a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에 적용된 손잡이부(30)의 작동관계, 상기 스탬부와 손잡이부(30)의 결합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도 3을 참조하여 손잡이부(30)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결합부재(320)의 버튼부(321)를 누르는 경우 상기 버튼부(321)와 일체가 되어 움직이는 결합부재 몸체(323)가 하부 외형부재(313)의 내부에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결합부재 몸체(323)의 경사부(3235)가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의 하면 내측에 형성된 경사돌기(3133)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가 더욱 하강하면 상기 경사 부(3235)가 경사돌기(3133)의 경사면(31331)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가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가 좌우로 벌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버튼부(321)의 누름을 해제하는 경우 탄성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321)는 상승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버튼부(321)와 일체로 움직이는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가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의 내부에서 상승하게 되고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의 경사부(3235)가 상기 경사돌기(3133)의 경사면(31331)을 미끄러져 올라옴으로써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는 원상태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가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의 내부에서 하강하거나 상승할 할 때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의 경사부(3235)가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의 경사돌기(3133)의 경사면(31331)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가거나 미끄러져 올라올 수 있는 것은 상기 결합부재의 몸체가 좌우로 탄력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는 가이드 홈(3232)에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13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 내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으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승하강할 수 있게 된다. Looking at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상기 손잡이부(30)와 스탬프부(10)의 결합관계를 살펴본다. 상기 스탬프부(10)를 상기 손잡이부(30)에 결합하고자 경우 상기 버튼부(321)를 눌러서 상기 버튼부(321)와 일체가 되어 움직이는 결합부재 몸체(323)를 하강시켜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의 경사부(3235)가 상기 경사돌기(3133)의 경사 면(31331)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하여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가 좌우로 벌어지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가 좌우로 벌어진 후 상기 스탬프부(10)의 삽입부(130)를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의 삽입홈(3134)에 삽입하고 버튼부(321)의 누룸을 해제하면 상기 결합부재의 몸체가 도 4와 같이 상기 스탬프부(10)의 삽입부(130)를 에워싼다. 상기 삽입부(130)의 상부턱(131)은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의 상부 돌출턱(3231) 하면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부(130)의 하부턱(133)은 결합부재 몸체(323)의 하부 돌출턱(3233) 사이의 결합홈(3234)에 삽입되어 상기 스탬프부(10)와 상기 손잡이부(30)는 견고히 부착하게 된다. 따라서 스탬프부 삽입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되므로 스탬프부 삽입부의 길이 만큼 상기 결합부재에 결속되어 상기 스탬프부와 손잡이부를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다. 상기 하부턱(133)과 하부 돌출턱(3233)은 원형으로 라운딩되어 상기 하부턱(133)은 상기 하부 돌출턱(3233)에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어서 상기 삽입부(130)와 결합부재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탬프부(10)가 상기 손잡이부(30)에 결합된 경우 상기 삽입부(130)의 상면이 지지부재(330) 하면에 설치된 스위치(380)를 눌러 상기 스피커(370)와 조명(36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도장은 빛과 소리를 외부로 방출한다. 상기 스탬프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될 때에 소리와 빛이 방출하므로 도장놀이를 하는 어린이들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도장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370)와 조명(360)은 두 개가 함께 설치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만 설치되어 상기 스탬프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시 빛 또는 소리의 어느 하나만 외부로 방출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130)의 상부턱(131)은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의 상부 돌출턱(3231)에 의해 상승 높이가 제한되어 상기 삽입부(130)의 상면이 지지부재(330) 하면에 설치된 스위치(380)에 과도한 힘을 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3 to 5,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또한 상기와 같이 버튼부(321)를 눌러서 상기 스탬프부(10)를 상기 손잡이부(30)에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튼부(321)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탬프부의 삽입부(130)를 하부 외형부재의 삽입홈(3134)에 밀어넣으면 상기 삽입부(130)는 상기 하부 외형부재(313)에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상부턱(131)이 하부 돌출턱(3233)을 타고 미끄러져 올라가며 결합부재 몸체(323)는 좌우로 벌어지게 되고 결국 상기 상부턱(131)은 상부 돌출턱(3231) 하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130)의 하부턱(133)은 결합부재 몸체(323)의 하부 돌출턱(3233) 사이의 결합홈(3234)에 삽입되어 상기 스탬프부(10)와 상기 손잡이부(30)는 견고히 부착하게 되고 상기 삽입부(130)의 상면은 지지부재 하면에 설치된 스위치(380)를 누르게 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스탬프부(10)를 상기 손잡이부(30)에서 탈착하고자하는 경우 도 5와 같이 버튼부(321)를 누른 채로 상기 손잡이부(30)를 들어올려 상기 스탬프부(10)를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부(321)의 누룸에 의해 상기 버튼부(321)와 일체가 되어 움직이는 결합부재 몸체(323)를 하강시켜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의 경사부(3235)가 상기 경사돌기(3133)의 경사면(31331)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하여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가 좌우로 벌어지도록 하면, 상기 삽입부(130)의 하부턱(133)이 상기 하부 돌출턱(3233)의 결합홈(3234)에서 이탈되며, 이 상태에서는 상기 손잡이부(30)를 상기 스탬프부(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스탬부 가 상기 손잡이부(30)에서 분리된 경우에 상기 삽입부(130)의 상면은 지지부재(330) 하면에 설치된 스위치(380)를 누르지 않게 되어 상기 도장은 더 이상 소리와 빛을 외부로 방출하지 않는다. 상기 삽입부(130)의 상부턱(131), 하부턱(133)과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의 상부 돌출턱(3231)과, 하부 돌출턱(3233)은 외면이 원형으로 라운딩되어 서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어 용이하게 상기 스탬프부(10)를 상기 손잡이부(30)에서 탈착시킬 수 있다. When the
또한 본원발명의 도장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 몸체(323)의 경사부(3235)와 상기 경사돌기(3133)가 없더라도, 상기 버튼부(321)를 누르면 상기 상부 돌출턱(3231)이 삽입부의 상부턱(131)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가 상부턱(131)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어, 결합부재 몸체(323)는 좌우로 벌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부턱(133)이 상기 하부 돌출턱(3233)의 결합홈(3234)에서 이탈되므로 상기 손잡이부(30)를 상기 스탬프부(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a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e is no
따라서 상기 도장은 상기 스탬프부와 손잡이부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다양한 모양이나 글자를 손쉽게 찍을 수 있다. Therefore, the stamp can be easily removable stamp and handle portion can take a variety of shapes or letters easily.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여러가지 모양 또는 글자(A)가 각인된 스탬프부(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손잡이부(30)에 삽입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탬프부(10)의 하면에 잉크를 묻혀 종이(50)에 표면에 접촉시켜 가압한 후 떼어내면 도장의 스탬프부(10)에 각인된 모양 또는 글자의 형상(A)이 종이(50)에 새겨진다. Referring to Figure 6, if you want to use the co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selecting any one of the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에 적용된 손잡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portion applied to the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에 적용된 손잡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andle portion applied to the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에 적용된 스탬프부와 손잡이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stamp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pplied to the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에 적용된 스탬프부와 손잡이부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mp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pplied to the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에 적용된 스탬프부에 대한 선택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ection state for the stamp applied to the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을 이용하여 종이 표면에 모양을 찍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taken on the surface of the paper by using the c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스탬프부 30: 손잡이부 110: 스탬프부 몸체
130: 삽입부 131: 상부턱 133: 하부턱130: insertion portion 131: upper jaw 133: lower jaw
310: 외형부재 311: 상부 외형부재 313: 하부 외형부재 310: outer member 311: upper outer member 313: lower outer member
320:결합부재 321: 버튼부 323: 결합부재 몸체320: coupling member 321: button portion 323: coupling member body
330: 지지부재 331: 고정판 332: 고정돌기 330: support member 331: fixing plate 332: fixing protrusion
340: 탄성부재 350: 전지 360: 조명 340: elastic member 350: battery 360: illumination
370: 스피커 380: 스위치 3111:버튼부 통과홈370: speaker 380: switch 3111: button portion through groove
3112: 조명홈 3113: 스피커홈 3114: 전지홈3112: lighting groove 3113: speaker groove 3114: battery groove
3115: 전지홈 덮게 3131: 걸림턱 3132: 가이드 돌기 3115: Battery groove cover 3131: Hanging jaw 3132: Guide protrusion
3133: 경사돌기 3134: 삽입홈 3211: 삽입공3133: inclined protrusion 3134: insertion groove 3211: insertion hole
3231: 상부 돌출턱 3232: 가이드 홈 3233: 하부 돌출턱 3231: upper projection jaw 3232: guide groove 3233: lower projection jaw
3234: 결합홈 3235: 경사부 3311: 결합부재 통과 홈3234: coupling groove 3235: inclined portion 3311: coupling member through groove
31331: 경사면31331: slope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5549A KR20110038311A (en) | 2009-10-08 | 2009-10-08 | stam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5549A KR20110038311A (en) | 2009-10-08 | 2009-10-08 | stam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8311A true KR20110038311A (en) | 2011-04-14 |
Family
ID=4404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5549A Ceased KR20110038311A (en) | 2009-10-08 | 2009-10-08 | stam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38311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06024A3 (en) * | 2016-12-06 | 2018-08-02 | 김회숙 | Disinfectant stamping device |
KR102231133B1 (en) * | 2020-12-30 | 2021-03-23 | 이경상 | Stamp |
KR102380009B1 (en) * | 2021-08-06 | 2022-03-29 | 주식회사 펠트대장 | Modular stamp for easy assembly and replacement |
-
2009
- 2009-10-08 KR KR1020090095549A patent/KR20110038311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06024A3 (en) * | 2016-12-06 | 2018-08-02 | 김회숙 | Disinfectant stamping device |
KR102231133B1 (en) * | 2020-12-30 | 2021-03-23 | 이경상 | Stamp |
KR102380009B1 (en) * | 2021-08-06 | 2022-03-29 | 주식회사 펠트대장 | Modular stamp for easy assembly and replace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38311A (en) | stamp | |
JP2004118191A5 (en) | ||
US6309088B1 (en) | Combined pencil sharpener and ink stamp with illumination device | |
US6253673B1 (en) | Illuminating and audible ink stamp | |
KR200438241Y1 (en) | Cup stand with lighting LED | |
WO2010025629A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lamp base holder and lamp tube holder | |
KR101064637B1 (en) | Detachable Pluggable Adapter | |
WO2006032027A3 (en) | Cartridge carrier | |
US20040052073A1 (en) | Flashlight assembly | |
KR101069137B1 (en) | Puzzle world map | |
KR200392109Y1 (en) | Multicolor light-emitting ballpen | |
JP3220032U (en) | Pen stand | |
US20020159256A1 (en) | Detachable christmas ornamental ball | |
KR200396966Y1 (en) | The height lamp | |
CN205909192U (en) | Electronic candle | |
KR101824366B1 (en) | A writing instrument in which a yuhigu is operated when the ballpoint pen protrudes | |
KR101843320B1 (en) | Frame Light Kit | |
JP3057236U (en) | Toy stamp | |
KR200428013Y1 (en) | Detachable keypad with replaceable display button | |
JP3673940B2 (en) | Illuminated pushbutton switch | |
KR200463951Y1 (en) | Candle light | |
CN215495871U (en) | Track lamp assembly | |
CN2340482Y (en) | Children's Play Stamp | |
US20060209560A1 (en) | Light guide display device | |
CN222316799U (en) | Lighting lamp and outdoor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6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