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121A -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11121A KR20100111121A KR1020090029526A KR20090029526A KR20100111121A KR 20100111121 A KR20100111121 A KR 20100111121A KR 1020090029526 A KR1020090029526 A KR 1020090029526A KR 20090029526 A KR20090029526 A KR 20090029526A KR 20100111121 A KR20100111121 A KR 201001111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ing
- wireless
- home network
- basic
- conn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3462 vei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60 site-specific infrared dichroism spectroscopy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구성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기기의 별도의 세팅 과정없이 생체정보를 이용한 각 기기간의 자동 액세스를 통하여 간편하고 용이한 무선 홈네트워크의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구성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체정보를 각 기기에 스캔하도록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어 별도의 메뉴얼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경유한 복잡한 초기 세팅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집안에서 오랜 시간 활동하는 주부들이나 아이들, 노인들에게 최신 무선 기술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and a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home network using biometric informa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home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and a method for configuring the wireless home network to be easily and easily configured through ac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gure a wireless home network by simply scann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on each device, thereby providing user convenience, and thus eliminating a complicated initial setting process through a separate manual or user interface. Homemakers, children and seniors who spend long hours at home can use the latest wireless technology more easi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구성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기기의 별도의 세팅 과정없이 생체정보를 이용한 각 기기간의 자동 액세스를 통하여 간편하고 용이한 무선 홈네트워크의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구성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and a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home network using biometric informa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home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and a method for configuring the wireless home network to be easily and easily configured through access.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집안의 정보, 가전기기들과 외부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하나로 묶어서 홈오토메이션, 홈시큐리티, 홈엔터테인먼트, 홈헬스케어 등 생활의 편리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특히 무선 홈네트워크 기술은 집안에 어떠한 추가 공사없이 적용할 수 있어 기존 건물에 설치가 용이하다.The home network system is a technology that provides services for convenience of living such as home automation, home security, home entertainment, home healthcare, etc. by combining information in home, home appliances and external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particular, wireless home network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the existing building without any additional construction in the house.
무선 홈네트워크의 기술은 대표적으로 블루투스, 무선랜, 지그비 등이 있다.각 기술의 연결 방법을 살펴보면 블루투스는 기기의 연결 과정에서 먼저 연결하고 자 하는 기기의 블루투스 주소(bluetooth address)를 찾아 선택한 후 기기간의 동일한 번호(PIN, Personal Identity Number)를 사용자가 입력하는 페어링(pairing) 과정을 진행해야 연결이 된다. 무선랜의 경우 억세스포인트와 동일한 WEP(Wired Equivalency Privacy)키를 입력하여 주변의 억세스포인트를 찾아 연결하고자 하는 억세스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선택하여 연결한다. 지그비는 코디네이터 기기가 고유의 PANID(Personal Area Network Identifier)를 설정하고 다른 기기가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해서 PANID에 접속하여 고유 주소를 코디네이터 기기로부터 부여 받아 연결된다.Representative technologies of wireless home network include Bluetooth, WLAN, ZigBee, etc. In the connection method of each technology, Bluetooth first finds and selects the Bluetooth address of the device to be connected and connects between devices. The pairing process requires the user to enter the same Personal Identity Number (PIN) to establish a connection. In the case of a wireless LAN, a WEP (Wired Equivalency Privacy) key, which is the same as an access point, is input to find an adjacent access point and select an SSID (Service Set Identifier) of the access point to be connected. Zigbee is connected to the coordinator device to establish a unique PANID (Personal Area Network Identifier), and to access the PANID to the other device to join the network, and receives a unique address from the coordinator device.
따라서, 이러한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홈네트워크 망에서 기기들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자는 각 기기마다 식별 번호를 입력하여 각 기기마다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에 대한 기기등록(페어링, association)과정을 수행해야 하며, 상기 예시한 통신 방식 중 현재 사용하고 있는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차용하고 있는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각 기기들간의 데이터 통신 수행 채널을 상기 통신 방식에 따라 동기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communicate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home network network based on 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a user must input an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device and perform a device registration (pairing and association) process for a device to be connected to each device. The method of synchronizing the dat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devices constituting the wireless home network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borrowed by the current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among the illustrated communication methods is performed. need.
이러한 과정은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를 제조하는 사업자가 타 기기와의 무선 홈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메뉴얼과 각 기기들간의 무선 홈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초기 세팅과정을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진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네트워크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는 이러한 세팅 과정이 복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므로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며, 무선 홈네트워크에 포함될 기기를 선택적으로 구성하고자 할 경우 해당 기기를 인지하고 있어야 되는 등의 번거로 움이 있다.This process allows a user who manufactures a device to configure a wireless home network to facilitate a user's initial setting process for configuring a wireless home network with other devices and a wireless home network configuration between devices. For users who do not have enough experience with the network, this setting process is performed through multiple process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figure the network. If users want to selectively configure a device to be included in the wireless home network, they need to be aware of the device. There is a feeling.
또한, 이러한 사업자의 사용자에 대한 메뉴얼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원은 기기들간의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현 시점에서 타 사업자가 제공하는 기기가 사용하는 플랫폼이나 응용 프로그램 환경과 상이하여 메뉴얼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참고하더라도 용이하게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 manual or user interface support for the user of such an operator is different from the platform or application environment used by the devices provided by other operators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standardization between devices is not made, and it is easy to refer to the manual or the user interface. There is a limit in configuring a wireless home network.
한편, 사용자 입장에서 앞서 설명한 메뉴얼을 통해 무선 홈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방법을 이해하고 숙지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더러, 상이한 무선네트워크 기술간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이 달라 복잡도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rough the manual described above, there is a hassle to understand and understand the method for configuring the wireless home network, and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complexity of different wireless network technologies for configuring the wireless home network is different. .
상술한 과정을 통해 구성된 무선 홈네트워크는 단순 기기들간의 연결성과 데이터 교환의 오류 발생률을 낮추기 위한 구성에 집중되어 상대적으로 기기간에 교환되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에 대한 대책은 취약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한 고유주소를 용이하게 추출하여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에 침입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매체의 취약한 보안성은 무선네트워크의 보안이 의무적인 사항이 아닌 사용자의 보안 개념과 책임에 따르므로 한계가 있다.The wireless home network construc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concentrated on the configuration for reducing the connection rate between simple devices and the error occurrence rate of data exchange, so that countermeasures for security of data exchanged between devices are inevitably weak. It provides a condition to easily extract the unique address entered into the user interface to break into the wireless home network. In addition, the weak security of such a wireless medium is limited because the security of the wireless network depends on the security concept and responsibility of the user, not mandatory.
따라서, 본 발명은 상이한 연결성과 사용자의 책임에 따르는 보안성을 강화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기존 보다 쉽고 안전하게 무선 홈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rvice for configuring a wireless home network for a user more easily and safely by reinforcing security according to different connectivity and user responsibilities.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다양한 무선 홈네트워크의 연결성을 생체정보를 이용한 무선 홈네트워크 구성으로 표준화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고 개인의 생체정보를 통해 무선 매체의 취약한 보안을 각 무선 홈네트워크 기술이 갖고 있는 암호화 방법의 시드키(seedkey)에 적용하여 보안성을 보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user's convenience by standardizing the connectivity of various existing wireless home networks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each wireless home network technology has a weak security of a wireless medium through personal biometric information. Its purpose is to reinforce security by applying to seed key of encryption method.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가 자동으로 타기기와의 무선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스캔하여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스캐너부와, 상기 생체정보를 근거로 기본문자열을 생성하는 문자열 생성부와, 상기 기본문자열을 통신주소로 갖는 연결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타기기의 응답 메시지나 타기기의 연결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기본문자열과 상기 타기기의 응답 메시지나 타기기의 연결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기본문자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상기 기본문자열을 임시주소로 하여 상기 타기기와의 무선연결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for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another device by a device constituting the wireless home network us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can a body part of the user. A biometric scanner for acquiring biometric information, a string generator for generating a basic string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having the basic string as a communication address, and transmitting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another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response message or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of the other device and the base string and whether the base string included in the response message of the other device or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of the other device are determined to match and match the basic string.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as a temporary address.
이때, 상기 생체정보는 정맥인식, 혈관인식, 홍체인식, 지문인식 또는 음성인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연결이 블루투스인 경우 상기 기본문자열은 블루투스주소이며, 상기 무선연결이 무선랜인 경우 상기 기본문자열은 SSID이며, 상기 무선연결이 지그비인경우 상기 기본문자열은 PANID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any one of vein recognition, blood vessel recognition, iris recognition, fingerprint recognition, or voice recognition. When the wireless connection is Bluetooth, the basic string is a Bluetooth address, and the wireless connection is a WLAN. The basic string may be an SSID, and when the wireless connection is Zigbee, the basic string may be a PANID.
또한, 상기 문자열 생성부는 상기 생체정보를 근거로 확장문자열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연결의 통신방식에 따른 암호화 시드키(seed key)로 이용하며, 상기 연결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더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호화 시드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인증을 통해 상기 타기기와의 통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ring generator may generate an extended string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controller may be used as an encryption seed key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wireless connec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perform authentic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encryption seed key, and may permit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device through the authentication.
한편, 상기 무선연결이 블루투스인 경우 상기 확장문자열은 PIN키이며, 상기 무선연결이 무선랜인 경우 상기 확장문자열은 WEP(Wired Equivalency Privacy), TKIP(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또는 CCMP(Counter Mode with Cipher Block Chaining Message Authentication Code Protocol)키이며, 상기 무선연결이 지그비인경우 상기 확장문자열은 PIB(PAN Information Base)키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wireless connection is Bluetooth, the extension string is a PIN key, and when the wireless connection is a wireless LAN, the extension string is WEP (Wired Equivalency Privacy), TKIP (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or CCMP (Counter Mode with Cipher). A block chaining message authentication code protocol (KeyP) key, and when the wireless connection is ZigBee, the extension string may be a PIB (PAN Information Base) key.
또한,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기본문자열이 일치하는 상기 타기기와의 신호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 다.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ynchroniz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o synchronize a signal with the other device having the same basic string.
더하여,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연결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기본 문자열을 저장하고 상기 타이머부의 시간신호를 근거로 상기 임시주소를 원본주소로 복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further includes a timer for counting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and if the controller does not receive the response message for the preset time, the basic The character string may be stored and the temporary address may be restored to the original address based on the time signal of the timer.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본 주소로 복구된 시점부터 상기 타이머부의 시간신호를 근거로 기설정된 시간동안 타기기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경우 상기 기본 문자열을 호출하고 상기 타기기의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기본 문자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타기기와의 무선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of the other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time signal of the timer from the time of restoring to the original address, the controller calls the basic string and connects the other device. When comparing with the basic string included in the request messag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가 자동으로 타기기와의 무선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홈네트워크 구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스캔하여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생체정보를 근거로 기본문자열을 생성하는 제 2단계와, 상기 기본문자열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3단계와, 상기 기본문자열을 통신주소로 갖는 연결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타기기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4단계와, 상기 타기기의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기본문자열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본문자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상기 기본문자열을 임시주소로 하여 상기 타기기와의 무선연결을 수행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wireless home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for a device that configures a wireless home network using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utomatically perform a wireless connection with other devices, by scanning a part of the user's body A first step of obtaining biometric information, a second step of generating a basic string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a third step of storing the basic string in a memory, and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having the basic string as a communication address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of the other device to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determining whether the basic string included in the response message of the other device matches the basic string stored in the memory; The fifth step of perform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using the default string as a temporary address.
이때, 상기 생체정보는 정맥인식, 혈관인식, 홍체인식, 지문인식 또는 음성인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연결이 블루투스인 경우 상기 기본문자열은 블루투스주소이며, 상기 무선연결이 무선랜인 경우 상기 기본문자열은 SSID이며, 상기 무선연결이 지그비인경우 상기 기본문자열은 PANID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any one of vein recognition, blood vessel recognition, iris recognition, fingerprint recognition, or voice recognition. When the wireless connection is Bluetooth, the basic string is a Bluetooth address, and the wireless connection is a WLAN. The basic string may be an SSID, and when the wireless connection is Zigbee, the basic string may be a PANID.
한편,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생체정보를 근거로 확장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확장문자열을 상기 무선연결의 통신방식에 따른 암호화 시드키(seed key)로서 상기 연결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cond step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n extended string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fourth step includes the extended string as an encryption seed key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wireless connec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i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더하여,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암호화 시드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인증을 통해 상기 타기기와의 통신을 허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fth step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authentic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encryption seed key, and allowing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device through the authentication.
또한, 상기 무선연결이 블루투스인 경우 상기 확장문자열은 PIN키이며, 상기 무선연결이 무선랜인 경우 상기 확장문자열은 WEP, TKIP(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또는 CCMP(Counter Mode with Cipher Block Chaining Message Authentication Code Protocol)키이며, 상기 무선연결이 지그비인경우 상기 확장문자열은 PIB키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connection is Bluetooth, the extension string is a PIN key, and when the wireless connection is a wireless LAN, the extension string is WEP, 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TKIP) or Counter Mode with Cipher Block Chaining Message Authentication Code. Protocol) key, and when the wireless connection is Zigbee, the extended string may be a PIB key.
이외에도,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구성 방법은 상기 연결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기설정된 시간동안 타기기로부터 상기 기본문자열이 일치하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기본 문자열을 저장하고 상기 임시주소를 원본주소로 복구하는 제 6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home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counts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is generated, and if the response message that the basic string matches is not received from the other device for the preset time, the basic string And storing the temporary address and restoring the temporary address to the original address.
또한,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구성 방법은 상기 제 6단계에서 상기 원본주소를 복구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타기기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기저장된 기본문자열을 호출하고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기본 문자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타기기와의 무선연결을 수행하는 제 7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home network calls a pre-stored basic string whe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of the other device is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of restoring the original address in the sixth step and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eventh step of perform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in comparison with the basic string.
더하여,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구성 방법은 상기 제 5단계에서 상기 타기기와의 무선연결을 통한 무선 홈네트워크 구성 이후, 상기 임시주소를 원본주소로 복구하는 제 8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home network may further include an eighth step of restoring the temporary address to an original address after configuring the wireless home network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in the fifth step.
한편,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구성 방법은 상기 제 7단계 이후 타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상기 제 1단계를 통해 획득된 경우 상기 타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 2내지 제 5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타사용자의 생체정보로부터 생성된 기본문자열을 포함하는 기기와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제 9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method of configuring the wireless home network,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another user is obtained through the first step after the seventh step, the wireless home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performs the second to fifth steps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other us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ninth step of perform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device including the basic string generat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본 발명은 생체정보를 각 기기에 스캔하도록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어 별도의 메뉴얼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경유한 복잡한 초기 세팅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숙련 된 사용자는 물론이고, 복잡한 조작이 미숙한 주부들이나 아이들, 노인들에게 최신 무선 기술을 보다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gure a wireless home network by simply scann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on each device, thereby providing user convenience, and thus eliminating a complicated initial setting process through a separate manual or user interface. Experienced users, as well as complex operation has the effect of making it easier and faster to use the latest wireless technology to housewives, children and the elderly.
또한, 서로 다른 생체정보를 근거로 생성하는 문자열 데이터를 근거로 하는 고유주소 설정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거 형태에서 각 가정 간의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무선으로 인한 다른 가정의 기기와의 혼선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unique address setting based on string data generated based on different biometric information minimizes confusion with other home devices due to wireless when constructing a wireless home network between homes in a common residential form such as an apart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rusion of unauthorized user.
또한, 본 발명은 무선의 보안 취약성을 사용자의 지식이나 인식 없이 고유의 생체 정보를 시드키로 사용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여 외부의 악의적 무선 홈네트워크 침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protected from malicious wireless home network intrusion by strengthening security by using the unique security information as a seed key without the user's knowledge or recognition of the wireless security vulnerability.
본 발명에 이용하는 생체정보기술에 관련해서 생체정보는 정맥, 혈관, 홍체, 지문, 음성 등의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특징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생체인식시스템은 주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출입보안 및 근태관리, 인증 및 전자결재 등에 사용된다.In relation to the bioinformatics tech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on a feature that can identify an individual such as a vein, a blood vessel, an iris, a fingerprint, or a voice. Biometric systems are mainly used for access security and time and attendance, authentication and electronic payment using biometr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생체인식 시스템에 사용되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 사이의 액세스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용이하게 무선 홈네트워크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ystem that can easily perform a wireless home network by automatically performing access between devices constituting the wireless home network us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used in the biometric system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생체정보에는 정맥인식, 혈관인식, 홍체인식, 지문 인식, 음성인식 등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지문인식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정맥인식, 혈관인식, 홍체인식, 음성인식과 같이 생체정보를 이용하는 모든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iometric information includes vein recognition, blood vessel recognition, iris recognition, fingerprint recognition, voice recognition, etc.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ngerprint recognition,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vein recognition, blood vessel recognition, iris recognition, Of course, all systems using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speech recognition, can be appli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홈네트워크의 구성을 설명한 도면으로서, 무선 홈네트워크는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내장된 가전기기와 개인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시된 세탁기, TV, 오디오를 비롯하여 냉장고, 캠코더, 디지털카메라, 노트북, PC, 에어컨, 보일러, 셋탑박스, PDA, 핸드폰, 스마트폰 등이 있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hom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home network may include a home appliance and a personal device with a built-in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For example, there is a washing machine, a TV, audio, as well as a refrigerator, a camcorder, a digital camera, a laptop, a PC, an air conditioner, a boiler, a set-top box, a PDA, a mobile phone, a smartphone, and the like.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지문인식기(100)를 포함하며, LED와 같은 표시기(indicator)로 상태 정보를 알 수 있다.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includes a
사용자는 상기 지문인식기(100)에 자신의 지문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지문인식기(100)로부터 추출된 지문을 기본 문자열로 변환하여 상기 기본 문자열을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고유 주소로 이용할 수 있다.A user inputs his or her fingerprint information to the
이때, 상기 기본 문자열은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연결방식이 블루투스인 경우 블루투스 주소로 이용되며, 상기 연결방식이 무선랜인 경우 SSID 로 이용되며, 상기 연결방식이 지그비인경우 PANID로 이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sic string may be used as a Bluetooth address when the wireless home network connection method is Bluetooth, an SSID when the connection method is WLAN, and a PANID when the connection method is Zigbee.
한편, 각 기기에 포함된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각각 상기 지문인식기(100)를 통해 입력받은 지문정보로부터 기본 문자열을 추출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기본 문자열을 고유 주소로 이용하여 타 기기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타 기기가 상기 기본 문자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기기로의 연결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included in each device extracts a basic string from the fingerprin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이후,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에 포함된 각 기기사이에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져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may receive a response message and transmit / receive data through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between devices included in the wireless home network to configure a wireless home network.
도 2는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지문정보를 입력받는 생체 스캐너부(201)와, 상기 지문정보를 근거로 기본문자열을 생성하는 문자열 생성부(202)와, 상기 기본문자열을 저장하는 메모리부(203)와, 상기 기본문자열을 통신주소로 갖는 연결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연결요청 메시지에 대한 타기기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205)와,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기본문자열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본문자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상기 기본문자열을 임시주소로하여 상기 타기기와의 무선연결을 수행하는 제어부(204)로 구성될 수 있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a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생체 스캐너부(201)는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여 지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문자열 생성부(202)로 전달하며, 상기 문자열 생성부(202)는 상기 지문정보를 근거로 기본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후, 상기 제어부(204)는 상기 기본문자열을 타기기에 포함된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과의 연결을 위한 고유 주소로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고유 채널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고유 채널의 생성을 통해 타 사용자의 접속을 차단하여 교환되는 데이터 의 후킹을 방지할 수 있다.Thereafter, the
또한,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의 통신방식이 블루투스인 경우 상기 기본문자열은 블루투스 주소로 이용되며, 상기 무선연결이 무선랜인 경우 상기 기본문자열은 SSID이며, 상기 무선연결이 지그비인경우 상기 기본문자열은 PANID로 이용되어 각 네트워크 통신 방식에 따른 고유 주소로 활용된다.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wireless home network is Bluetooth, the basic string is used as a Bluetooth address, when the wireless connection is a wireless LAN, the basic string is SSID, and when the wireless connection is Zigbee, the basic string is PANID. It is used as a unique address for each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한편, 상기 제어부(204)는 상기 기본 문자열을 상기 메모리부(203)에 저장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타기기가 동일한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본 문자열을 포함하는 연결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기본문자열과 상기 메모리부(203)에 저장된 기본문자열을 비교하여 상기 기본문자열을 고유 주소로 하는 채널을 형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더하여, 상기 문자열 생성부(202)는 상기 연결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 주소의 데이터 전달 과정에서 상기 기본문자열이 추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기본 문자열 이외에 상기 지문정보에서 확장문자열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제어부(204)는 상기 확장문자열을 상기 무선연결의 통신방식에 따른 암호화 시드키(seed key)로 이용하며, 상기 기본문자열과 더불어 상기 연결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That is, the
이후, 타기기의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확장문자열로 암호화된 상기 연결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지문인식기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입력되면 동일하게 상기 기본문자열과 더불어 확장문자열을 생성하게 되며, 상기 확장문자열을 근거로 상기 연결요청 메시지의 복호화 과정을 진행하여 상기 기본문자열을 근거로 하는 고유 주소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연결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기본문자열과 상기 타기기의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된 기본문자열의 일치여부를 근거로 채널 형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채널 형성 여부가 결정되면, 상기 타기기의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 기기 사이의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간 신호를 해당 채널에 대응하여 동기화 시킴으로써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Thereafter,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of the other device receives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encrypted with the extended string, and when the user's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fingerprint reader, generates the extended string together with the basic string. Decoding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based on the extended string to extract information about the unique address based on the basic string, and from the base string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and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of the other devi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form a channel based on whether the generated basic strings match.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a channel is formed,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of the other device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and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by synchronizing signals between wireless home network systems between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hannel. .
한편,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의 통신방식이 블루투스인 경우 상기 확장문자열은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키이며, 상기 무선연결이 무선랜인 경우 상기 확장문자열은 WEP(Wired Equivalent Privacy), TKIP(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또는 CCMP(Counter Mode with Cipher Block Chaining Message Authentication Code Protocol)키이며, 상기 무선연결이 지그비인경우 상기 확장문자열은 PIB(PAN Information Base)키 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wireless home network is Bluetooth, the extended string is a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key, and if the wireless connection is a wireless LAN, the extended string is WEP (Wired Equivalent Privacy), TKIP (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CCP) or Counter Mode with Cipher Block Chaining Message Authentication Code Protocol (CCMP) key, and when the wireless connection is Zigbee, the extension string may be a PIB (PAN Information Base) key.
이와 같은 사용자 고유의 지문정보로부터 생성되는 확장 문자열을 통한 암호화 및 복호화 과정을 통해 추가적인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외부 기기의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에 대한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Further user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n encryption and decryption process using an extended string generated from the user's unique fingerprint information, which effectively prevents an intrusion of an external device into the wireless home network.
한편, 상기 기본문자열을 상기 고유 주소로 하는 채널 형성이 결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타기기와의 통신을 위하여 상기 통신부에 연결된 동기화부(206)를 통해 상기 기본 문자열이 일치하는 상기 타기기와의 신호를 동기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nel is formed using the base string as the unique address, the controller synchronizes the signal with the other device that matches the base string through the
더하여, 상기 제어부(204)는 타이머부(207)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각 동작에 대한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4)는 상기 타이머부(207)에 설정된 시간 신호를 근거로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송신하거나,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기설정된 시간동안으로 한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일례로, 상기 제어부(204)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 송신 후 타기기의 응답 메시지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기본 문자열을 상기 메모리부(203)에 저장하여 연결 대기 상태로 대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대기 상태에서 상기 기본문자열로 설정된 임시주소를 상기 메모리부(203)에 임시로 저장하고 원본주소로 복구하여 다른 사용자의 지문 스캔에 따른 지문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더하여, 상기 제어부(204)는 상기 연결 대기 상태에서, 타기기에서 동일한 사용자의 지문스캔이 이루어져 상기 타기기로부터의 연결요청 메시지가 송신되는 경우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메모리부(203)로부터 상기 기본문자열을 호출하여 상기 타기기의 연결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기본문자열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4)는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기본문자열을 임시주소로 하는 타기기와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외에도, 상기 연결 대기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상기 메모리부(203)에 저장된 기본문자열과 동일한 기본문자열을 포함하는 연결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203)를 리셋하여 초기상태인 대기 상태로 회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same basic string as the basic string stored in the
한편, 상기 제어부(204)는 상기 기본문자열을 임시주소로 하여 상기 무선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타기기와 연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기기와의 연결이 이루어진 후 상기 임시주소를 기설정된 원본주소로 복구하여 타기기와의 연결을 지속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원본 주소의 복구를 통해,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추가 기기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추가 기기와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에 포함된 기기에 자신의 지문정보를 스캔하도록 하여,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던 기기들간의 연결과정과 동일한 연결과정을 통해 상기 추가 기기가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에 추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추가 기기의 연결에 대한 지문 스캔은 추가 기기와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던 기존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만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이는 기존 기기와 추가 기기 사이에 사용된 임시주소를 연결 이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원본 주소로 복구하도록 하여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에서 스캔이 이루어지지 않은 기존 기기에 대해서도 상기 추가 기기와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fingerprint scan of the connection of the additional device may be performed only on any one of the existing devices that have constituted the wireless home network with the additional device. This is because data transmission with the additional device can be performed even for the existing device that has not been scanned in the wireless home network by recovering the original address as described abov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홈네트워크 구성 방식에 대한 순서도로서,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대기 상태에서(S1) 상기 지문인식기를 통한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여 지문정보를 획득하게 된다(S2). 이후, 상기 지문정보를 근거로 기본문자열과 확장문자열을 생성하며(S3), 상기 기본문자열을 통신방식에 따른 임시주소로 이용하는 연결요청 메시지를 타기기의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송신한다(S4).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reless home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scans a user's fingerprint through the fingerprint reader in a standby state (S1) to obtain fingerprint information (S2). Thereafter, a basic string and an extended string are generated based on the fingerprint information (S3), and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using the basic string as a temporary address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of the other device (S4).
이때, 상기 통신방식이 블루투스인 경우 상기 기본문자열을 블루투스 주소로 설정하며, 상기 통신방식이 무선랜인 경우 상기 기본 문자열을 SSID로 설정하며, 상기 통신방식이 지그비인 경우 상기 기본문자열을 PANID로 설정한다.In this case, when the communication method is Bluetooth, the basic string is set as a Bluetooth address, when the communication method is WLAN, the basic string is set as SSID, and when the communication method is Zigbee, the basic string is set as PANID. do.
상기 연결요청 메시지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송신하여(S5) 상기 타기기의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지문인식기를 통한 지문정보가 스캔되고 상기 지문정보를 근거로 기본문자열이 생성되어,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기본 문자열과의 일치여부를 근거로 상기 타기기의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각 기기의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기본문자열을 임시주소로 하여 연결된다(S13).By transmitting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for a predetermined time (S5), the fingerprint information through the fingerprint reader is scanned in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of the other device, a basic string is generated based on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of the other device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based on the match of the basic character string, and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of each device is connected with the temporary string as a temporary address (S13).
이때, 타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S6)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기본문자열을 임시주소로 저장하고(S7), 기설정된 시간동안 연결 대기 상태로 동작한다(S8).In this case, when a response message transmitted from another device is not received (S6),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stores the basic string as a temporary address (S7), and operates in a connection waiting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S8).
이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에도 타기기의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지문 스캔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S10)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임시주소를 원본주소로 복구하여 대기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S11).Thereafter, even if a fingerprint scan is not performed or a response message is not received at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of another device during a preset time (S10),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recovers the temporary address to the original address and operates in a standby state. It may be (S11).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무선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기기는 무선 홈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한 임시주소를 원본주소로 복구할 수 있다(S12).Meanwhile, each device connected to the wireless home network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restore the temporary address used to connect to the wireless home network to the original address (S12).
이후,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추가 기기가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에 구성되고자 할 경우, 상기 추가 기기에서 지문스캔이 이루어져 생성된 연결 요청 메시지가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에 송신되며(S14),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에서 역시 상기 추가 기기의 사용자와 동일한 사용자의 지문스캔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에 포함된 기기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추가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추가 기기에 스캔된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기본문자열을 임시주소로 하여 상기 추가 기기가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에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an additional device not connected to the wireless home network is to be configured in the wireless home network,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generated by fingerprint scanning of the additional device is transmitted to a device configuring the wireless home network (S14). ), When the fingerprint scan of the same user as the user of the additional device is performed in the device configuring the wireless home network, the response message of the device included in the wireless home network is transmitted to the additional device and scanned by the additional device. The additional device may easily enter the wireless home network by using the basic string generated based on the fingerprint information of the user as a temporary address.
도 4는 상술한 추가 기기의 무선 홈네트워크 연결 과정에 대한 순서도로서,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포함된 A 기기와 B 기기가 무선 홈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 최초 A의 지문인식기에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한다(①).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reless home network connection process of the additional device described above, in which a device A and a device B including a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scan a user's fingerprint on the first A fingerprint reader to form a wireless home network. (①).
상기 스캔을 통해 A 기기의 무선통신 과정이 시작되고, 지문인식에서 읽은 개인지문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유의 기본문자열과 확장문자열로 저장되며, 상기 기본문자열과 확장문자열을 포함하는 연결요청 메시지를 타기기로 송신한다(②).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 of the device A is started through the scan, and the personal fingerprint information read from the fingerprint recognition is stored as a unique basic string and an extended string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basic string and the extended string is sent. Send to another device (②).
한편,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연결요청을 했지만 주변에 동일한 기본문자열의 정보를 갖는 연결대기 기기의 연결응답이 없으면 연결이 이루어 지지 않고 상기 A 기기는 연결대기상태로 전환된다(③).On the other hand, if a connection request is made for a preset time, but there is no connection response of the connection standby device having the information of the same basic string, the connection is not made and the device A is switched to the connection standby state (③).
이때, 상기 A 기기는 연결 대기 상태에서 통신 방식이 블루투스인 경우 블루투스 주소인 기본문자열을 임시주소로 설정하고 확장문자열을 PIN키로 저장하여 연결대기 상태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머문다. 마찬가지로, 통신 방식이 무선랜인 경우 SSID를 기본 문자열로 WEP키를 확장 문자열로 임시 저장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머문다. 지그비는 PANID를 기본문자열로 임시 저장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머문다.In this case, when the communication method is Bluetooth in the connection standby state, the device A sets the basic string which is a Bluetooth address as a temporary address and stores the extended string as a PIN key and stays in the connection standby state for a preset time. Similarly, when the communication method is a wireless LAN, the SSID is temporarily stored as a basic string and the WEP key is stored as an extended string and stays for a predetermined time. ZigBee temporarily stores the PANID as a default string and stays for a preset amount of time.
이후, 기설정된 시간 안에 B 기기에 동일한 사용자의 지문이 스캔되는 경우(④) B 기기는 지문 정보로부터 생성된 기본문자열을 이용하여 A 기기에 연결요청을 한다(⑤). 블루투스의 경우 기설정된 시간 안에 연결 대기하는 A 기기와 연결요청을 하는 B 기기가 동일한 기본문자열을 임시주소로 하는 연결설정이 이루어 지고, 블루투스 페어링(pairing)과정은 확장문자열을 사용하여 설정한다(⑥,⑦).Thereafter, when the fingerprint of the same user is scanned on the device B within a preset time (④), the device B makes a connection request to the device A using the basic string generated from the fingerprint information (⑤). In case of Bluetooth, A device waiting for a connection and B device making a connection request are established with the same basic string as a temporary address, and the Bluetooth pairing process is set using an extension string. , ⑦).
한편, 무선랜의 경우 기설정된 시간 안에 B 기기와 A 기기가 연결을 위해 동일한 SSID를 기본문자열의 임시SSID를 이용하고 동일한 WEP키를 확장문자열로 설정해서 연결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wireless LAN, the connection is made by setting the same SSID using the temporary SSID of the basic string and the same WEP key as the extended string for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B and the device A within a predetermined time.
마찬가지로 지그비의 경우 기설정된 시간 안에 B 기기와 A 기기가 동일한 기본문자열의 PANID를 이용하여 연결설정을 한다. 지그비의 경우 보안모드로 설정이 된다면 확장문자열을 암호화 시드키로 사용한다.Similarly, in the case of Zigbee, device B and device A establish a connection using the same basic string PANID within a preset time. In the case of Zigbee, if the security mode is set, the extended string is used as the encryption seed key.
한편, A 기기와 B 기기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고 있는 상태에서 C 기기가 추가 연결을 하고자 하면, C 기기에 지문스캔을 하여(⑧) 생성된 연결 요청 메시지를 B기기에 송신하여(⑨)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연결되거나, C기기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응답이 없는 경우 C기기가 연결대기 상태(⑩)에서 B기기에서 지문스캔(⑪)이 이루어져 B기기가 연결 요청 메시지를 C기기에 송신함으로써(⑫) B기기와 C기기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⑬,⑭).On the other hand, if device A and device B are connected and exchanging data, and device C wants to make an additional connection, fingerprint scan C device (⑧) and send the generated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device B (⑨). If the device C is connected through a response message to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or the device C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for a preset time and there is no response, the device C is fingerprint-scanned at the device B in a connection standby state. The device B may connect with the device C by sending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device C (⑫, ⑭).
또한, C기기와 B기기 연결과정에서 사용된 임시주소를 원본주소로 복구하여 C기기와 A기기의 통신이 이루어짐으로써 C기기가 기존 A와 B기기로 이루어진 무선 홈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 device and the A device can be communicated by restoring the temporary address used dur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 device and the B device to the original address, thereby enabling the C device to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home network consisting of the existing A and B device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최초 대기 상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지문 스캔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기본 문자열을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송신하는 연결 요청 상태로 동작한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diagram of a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operates in an initial standby state and sets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default string when a fingerprint scan of a user is performed. Operate in connection request state for time.
이후,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기기로 상기 기본 문자열을 임시주소로 하는 무선연결이 수행되어 연결 상태로 진입하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기본 문자열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원본주소로 복구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연결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Subsequently, when a response message to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is received, a wireless connection is performed to the device that sent the response message as the temporary address and enters a connection state, and the response message is not received for a preset time. In this case, the basic string is stored in the memory and restored to the original address to enter the connection standby state for a preset time.
상기 연결 대기 상태에서 타기기로부터의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기저장한 기본 문자열을 호출하여 타기기의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기본 문자열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상기 기본 문자열을 임시주소로 하여 상기 타기기와의 무선연결을 수행하여 연결 상태로 진입한다.Whe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other device is received in the connection waiting state, the previously stored default string is called and compared with the default string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of the other device. Enters the connected state by perform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other devices.
상기 연결 대기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대기 상태로 진입하여 사용자의 지문 스캔을 입력 받을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is not received for a preset time in the connection waiting state, the device enters the waiting state and receives a user's fingerprint scan.
또한, 상기 연결 상태에서 상기 임시주소를 원본주소로 복구하여 사용자의 지문스캔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지문 스캔이 이루어지면 상기 연결 요청 상태로 진입하여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nection state, the temporary address may be restored to the original address to receive the user's fingerprint scan, and when the user's fingerprint scan is performed, the user may enter the connection request state and generate and transmit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한편, 상기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각 동작 상태는 연결상태와 연결요청, 연결대기 그리고 대기상태 등의 상태 정보는 지문인식기에 내장되어 있는 LED 표시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LED가 꺼져있는 상태는 대기상태이고 LED가 1-2초 간격으로 빠르게 깜박임은 연결요청 상태이다. LED가 5-10초 간격으로 느리게 깜박임은 연결상태이고, LED가 켜있으면 연결대기 상태이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무선 홈네트워크 구성을 지문을 스캔하는 동작 하나로 손쉽게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ach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can be confirmed by the LED display embedded in the fingerprint reader, the status information such as connection status, connection request, connection standby and standby status. For example, if the LED is off, it is in standby, and the LED is rapidly blinking every 1-2 seconds. The LED blinks slowly at 5-10 second intervals and the connection is on. If the LED is on, the connection is on standby. In this way, the wireless home network configuration can be easily configured with a single fingerprint scanning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기를 통한 무선 홈네트워크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home network using a fingerprint re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홈네트워크의 구성 방식에 대한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method of a wireless hom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기기의 무선 홈네트워크 연결 과정에 대한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reless home network connection process of an addi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태도.5 is a state diagram of a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지문인식기 201: 생체스캐너부100: fingerprint reader 201: bio scanner unit
202: 문자열 변환부 203: 메모리부202: string conversion unit 203: memory unit
204: 제어부 205: 통신부204: control unit 205: communication unit
206: 동기화부 207: 타이머부206: synchronization unit 207: timer unit
Claims (1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9526A KR20100111121A (en) | 2009-04-06 | 2009-04-06 |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9526A KR20100111121A (en) | 2009-04-06 | 2009-04-06 |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1121A true KR20100111121A (en) | 2010-10-14 |
Family
ID=4313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9526A Abandoned KR20100111121A (en) | 2009-04-06 | 2009-04-06 |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11121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43580B2 (en) | 2007-09-24 | 2015-01-27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US9342674B2 (en) | 2003-05-30 | 2016-05-17 | Apple Inc. | Man-machine interface for controlling access to electronic devices |
US11209961B2 (en) | 2012-05-18 | 2021-12-28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
-
2009
- 2009-04-06 KR KR1020090029526A patent/KR20100111121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42674B2 (en) | 2003-05-30 | 2016-05-17 | Apple Inc. | Man-machine interface for controlling access to electronic devices |
US9250795B2 (en) | 2007-09-24 | 2016-02-02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US9519771B2 (en) | 2007-09-24 | 2016-12-13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US9134896B2 (en) | 2007-09-24 | 2015-09-15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US8943580B2 (en) | 2007-09-24 | 2015-01-27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US9274647B2 (en) | 2007-09-24 | 2016-03-01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US9304624B2 (en) | 2007-09-24 | 2016-04-05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US9128601B2 (en) | 2007-09-24 | 2015-09-08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US9329771B2 (en) | 2007-09-24 | 2016-05-03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US9495531B2 (en) | 2007-09-24 | 2016-11-15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US9038167B2 (en) | 2007-09-24 | 2015-05-19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US9953152B2 (en) | 2007-09-24 | 2018-04-24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US10275585B2 (en) | 2007-09-24 | 2019-04-30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US10956550B2 (en) | 2007-09-24 | 2021-03-23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US11468155B2 (en) | 2007-09-24 | 2022-10-11 | Apple Inc. |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
US11209961B2 (en) | 2012-05-18 | 2021-12-28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
US11989394B2 (en) | 2012-05-18 | 2024-05-21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328987A1 (en) | Method for configuring access for a limited user interface (ui) device | |
KR101551315B1 (en) | Using a mobile device to enable another device to connect to a wireless network | |
CN103634795B (en) |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 |
CN104798432B (en) | The device and method that equipment is wirelessly connected for establishing equipment | |
EP3104549B1 (en) | Home appliance,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of home appliance | |
KR10147074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oorlock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 |
KR101623743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of the home network system | |
US20150373538A1 (en) | Configuring Secure Wireless Networks | |
KR101160603B1 (en) | Device and proces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ssociation, mod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
US8572698B1 (en) | Connecting a legacy wireless device to a WPS-enabled access point | |
US20050238172A1 (en) | Cipher key setting system, access point, and cipher key setting method | |
CN105279832A (en) |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3929748A (en) | Internet of things wireless terminal, configuration method thereof and wireless network access point | |
KR20160121546A (en) | Assisted device provisioning in a network | |
JP2001345819A (en) | Access point device and authentic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 |
CN109391634A (en) | Establish method, terminal and th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of communication | |
US9832640B2 (en) | Wireless connection authentication method and server | |
EP2939393B1 (en) | Devic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account | |
CN101185308A (en) |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peripheral device to access point | |
KR20100111121A (en) |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
KR20180062692A (en) | Method, user terminal, door lock device and entry security system for controlling of opening and closing door | |
JP2015132947A (en) | authentication method and authentication system | |
US20090271846A1 (en) | Method and Device to Suspend the Access to a Service | |
JP4853870B2 (en) | Repeate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 |
KR100799794B1 (en) | Remote controller having network setting function and wireless network setting method us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30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