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74845A -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digital elevation mode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digital elevation mod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4845A
KR20100074845A KR1020080133385A KR20080133385A KR20100074845A KR 20100074845 A KR20100074845 A KR 20100074845A KR 1020080133385 A KR1020080133385 A KR 1020080133385A KR 20080133385 A KR20080133385 A KR 20080133385A KR 20100074845 A KR20100074845 A KR 20100074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on
triangle
difference
altitude
altitude differe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3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신준
양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3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4845A/en
Publication of KR20100074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845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4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geolo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 표고 모델 시각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치 표고 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 시각화를 위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자로 구분된 지형 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각각의 격자에 대해 제 1 고도차와 제 2 고도차를 계산하여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고도차와 상기 제 2 고도차의 차에 따라서 격자를 두 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삼각형으로부터 삼각형 스트립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the method for visualiz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terrain data divided into at least one grid, and each of the Calculating and comparing a first altitude difference and a second altitude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lattice; dividing the lattice into two triangl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and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and forming a triangular strip from the divided triangle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Description

수치 표고 모델 시각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DIGITAL ELEVATION MODEL}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DIGITAL ELEVATION MODEL

본 발명은 수치 표고 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 시각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형의 굴곡/고도/높이 값을 반영하여, 렌더링 화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visualization, in particular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rendering image quality by reflecting the curvature / altitude / height value of the terrain.

차량 항법 시스템으로 내비게이션이 차량에 장착되고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의 기본적인 기능은 운행 중인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도로 지도상에 정확하게 표시하는 것이며, 부수적인 기능으로는 다른 도로의 교통 상황을 파악하거나 주유소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있다.Navigation is mounted on the vehicle by means of a vehicle navigation system. The basic function of the navigation device is to accurately track the location of the vehicle on the road and accurately display it on a road map. The secondary function is to identify traffic conditions of other roads or provide information on gas stations.

하지만, 운전자가 내비게이션 장치의 지도상에서 원하는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시각화가 잘 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고속으로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평면의 지도를 검색하는 것보다는 3차원 시각화가 되어있는 지도를 검색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안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즉, 주위의 건물이나 지형 등의 지형지 물이 3차원 형상으로 보여지는 경우, 직관적으로 이를 인식할 수 있다.However, the driver must be well visualized to find the desired location on the map of the navigation device. This is because when driving a vehicle at high speed, searching for a map with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rather than searching for a map of the plane provides convenience and safety to the user. That is, when a feature such as a surrounding building or terrain is view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it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2차원 지도 데이터에 원근감을 주어 3차원의 느낌을 주는 방법으로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DEM은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구축을 위해 사용되는 3차원 좌표로 나타낸 자료를 통칭하며, 지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분포된 지점의 높이 값(혹은 표고 값)을 수치로 기록한 것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한 것이다. Digital Elevation Model (DEM) is used as a method to give two-dimensional map data to give a three-dimensional feel. The DEM collectively refers to data represented by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used to build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records the numerical values of heights (or elevations) of points distribut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rface of the computer. It is processed using.

또한, 지형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중 DEM은 계산이 용이하고 구현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각 격자(grid)의 교차점에 높이/고도 값을 배열로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3차원 DEM 지형 데이터를 시각화할 때, 지형의 굴곡을 고려하지 않은 채 각 격자(grid)를 일관된/일정한 방향으로 2개의 삼각형씩 분할하여 삼각형들로 렌더링한다. 이러한 경우 지형의 굴곡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In addition, DEM has a merit of easy calculation and easy implementation. Store height / altitude values in an array at the intersection of each grid. In general, when visualizing three-dimensional DEM terrain data, each grid is divided into two triangles in a consistent / constant direction without rendering the terrain's curvature and rendered as triangles.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properly reflect the curvature of the terrain.

따라서, DEM의 각 격자에서 지형의 요철/굴곡/높이를 고려하여 2개의 삼각형을 분할하여 렌더링하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ding two triangles in consideration of the unevenness / curvature / height of the terrain in each grid of the DEM.

본 발명의 목적은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사용되는 3D DEM 지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visualizing the 3D DEM terrain data used in the navigation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각 격자에서 지형의 요철/굴곡/높이를 고려하여 2개의 삼각형을 분할하여 렌더링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ding two triangles in consideration of the unevenness / curvature / height of the terrain in each grating in the navigation apparatu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3차원 DEM 데이터를 빠르게 렌더링하기 위한 삼각형 스트립 생성 및 렌더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rendering triangle strips for quickly rendering three-dimensional DEM data in a navigation devic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수치 표고 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 시각화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자로 구분된 지형 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각각의 격자에 대해 제 1 고도차와 제 2 고도차를 계산하여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고도차와 상기 제 2 고도차의 차에 따라서 격자를 두 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삼각형으로부터 삼각형 스트립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visualiz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terrain data divided into at least one grid; Calculating and comparing a first altitude difference and a second altitude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lattice of; and dividing the lattice into two triangl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and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cess of generating.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수치 표고 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 시각화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4개의 표고점으로 이루어진 격자로 구분된 지형 데이터를 입력받는 DEM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각각의 격자에 대해 제 1 고도차와 제 2 고도차를 계산하여 비교하는 고도차 비교부와, 상기 제 1 고도차와 상기 제 2 고도차의 차에 따라 격자를 두 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하는 삼각형 분할부와, 상기 분할된 삼각형으로부터 삼각형 스트립을 생성하는 삼각형 스트립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apparatus for the visualization of the digital elevation model (DEM), receiving terrain data divided into a grid consisting of at least one four elevation points A DEM data generation unit, an altitude difference comparison unit for calculating and comparing a first altitude difference and a second altitude differenc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lattice, and dividing the lattice into two triangl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and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And a triangular strip generator and a triangular strip generator for generating a triangular strip from the divided triangles.

상술한 바와 같이, 지형의 굴곡/고도/높이 값을 반영하여 삼각형화함으로써, 지형의 굴곡을 반영하므로 화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형의 굴곡을 반영하여 렌더링 화질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triangulation by reflecting the curvature / altitude / height of the terrai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mage quality can be improved because it reflects the curvature of the terrain. In addition, the rendering image quality may be improved by reflecting the curvature of the terrai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에서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이하 "DEM"라 칭함) 시각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M") in navig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고선 지형 데이터로부터 DEM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DEM 데이터를 3차원으로 시각화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FIG. 1 illustrates an example of generating DEM data from contour topographical data and visualizing the DEM data in three dimensions.

상기 도 1(a)는 일반 지형을 등고선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상기 도 1(b)는 상기 도 1(a)의 등고선으로 나타낸 지형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grid)로 구분하고,격자로 구분된 하나의 지형을 3개의 표고점들로 연결된 삼각형 조각들의 집합으로 표현한다. 즉, 지형의 표면을 근사화하는 효율적이고 편리한 표현방법 중의 하나로써, 수치표고모형(DEM)은 규칙적인 격자나 삼각형으로 연결된 임의의 표고점을 이용하여 지형의 표면을 표고(x, y, z)(이하 DEM 데이터라 칭함)로 표현한다.Figure 1 (a) is a view showing the contour of the general terrain, Figure 1 (b) is divided into a grid of a certain size of the terrain represented by the contour of the Figure 1 (a), separated by a grid Represents a terrain as a set of triangular pieces connected by three elevation points. In other words, as an efficient and convenient expression method of approximating the surface of the terrain, the digital elevation model (DEM) uses the elevation level (x, y, z) (arbitrary elevation points connected by regular grids or triang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M data).

도 1 (c)는 상기 도 1 (b)에서 DEM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2차원 지형을 3차원 지형으로 시각화한 도면이다. DEM 데이터을 렌더링하는 방법은 하기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FIG. 1 (c) is a diagram of visualizing two-dimensional terrain into three-dimensional terrain by rendering the DEM data in FIG. 1 (b). A method of rendering the DEM dat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EM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2 shows an example of rendering DEM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일부 지형을 9개의 격자로 구분하고, 각 격자를 일정한 방향으로 삼각형화되어 렌더링되고 있다.Referring to FIG. 2, some terrains are divided into nine grids, and each grid is triangul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rendered.

예를 들면, 표고점(0, 4, 1) 반시계 방향으로 이루어진 제 1 삼각형으로 렌더링을 수행하고(200), 이후 표고점(1, 4, 5) 반시계 방향으로 이루어진 제 2 삼각형으로 렌더링을 수행한다(210). 이처럼 각 격자의 삼각형들을 순서대로 렌더링한 후, 렌더링 언어로 표현된 삼각형 정보는 그래픽 가속도 등의 하드웨어로 전달되어 3차원으로 시각화된다. 이때, 삼각형을 형성하는 일부 표고점들이 중복되어 렌더링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For example, rendering is performed with a first triangle made up of elevation points (0, 4, 1) counterclockwise (200), and then rendering is performed with a second triangle made up with elevation points (1, 4, 5) counterclockwise. (210). After the triangles of each grid are rendered in this order, the triangle information expressed in the rendering language is transferred to hardware such as graphic acceleration and visualized in three dimensions. At this time, some elevation points forming the triangle may overlap and the rendering speed may be slow.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EM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서 표고점들이 중복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상기 도 3에서는 삼각형 스트립(triangle strip)을 이용하여 렌더링을 수행한다. 상기 삼각형 스트립은 삼각형의 좌표는 나타내는 방식의 하나로, 추가되는 각각의 표고점이 새로운 삼각형을 형성한다.3 shows another example of rendering DEM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the overlapping of the elevation points in FIG. 2, rendering is performed using a triangle strip in FIG. 3. The triangular strip is one of the ways in which the coordinates of the triangle are represented, and each elevation point added forms a new triangle.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표고점들(0, 4, 1)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에서, 표고점(5)가 추가되면 표고점들(4, 1, 5)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이 추가된다. 이후 표고점(2)가 추가되면 표고점들(1, 5, 2)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이 추가된다. 마찬가지로, 표고점(6)이 추가되면 표고점들(5, 2, 6)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이 추가되고, 표고점(3)이 추가되면 표고점들(2, 6, 3)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이 추가된다. 표고점(7)이 추가되면 표고점들(6, 3, 7)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이 추가된다. Referring to FIG. 3, in the triangle consisting of the elevation points 0, 4 and 1, when the elevation point 5 is added, the triangle consisting of the elevation points 4, 1 and 5 is added. After the elevation point 2 is added, a triangle consisting of elevation points 1, 5 and 2 is added. Similarly, when the elevation point 6 is added, a triangle consisting of the elevation points 5, 2, 6 is added, and when the elevation point 3 is added, a triangle consisting of the elevation points 2, 6, 3 is added. When elevation point 7 is added, a triangle consisting of elevation points 6, 3, 7 is added.

이후, 표고점(8)이 추가되면 표고점들(3, 7, 8)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이 추가되어야 하지만, 표고점들(3, 7, 8)로 이루어진 표면은 삼각형이 아니기 때문에,표고점(7)을 중복하여 추가한다. 이후 표고점들(3, 7, 7)로 이루어진 표면도 삼각형이 아니기 때문에, 표고점(4)을 추가하고, (7, 7, 4)도 삼각형이 아니기 때문에 다시 표고점(4)을 중복하여 추가한다. (7, 4, 4)도 삼각형이 아니므로, 표고점(8)을 추가하고, (4, 4, 8)도 삼각형이 아니므로, 표고점(5)을 추가하여 삼각형이 이루어지는 표고점들(4, 8, 5)이 나올 때까지 표고점을 추가한다.Subsequently, when the elevation point 8 is added, a triangle consisting of the elevation points 3, 7 and 8 should be added, but since the surface consisting of the elevation points 3, 7 and 8 is not a triangle, the elevation point 7 is overlapped. Add it. Since the surface consisting of the elevation points (3, 7, 7) is also not a triangle, add an elevation point (4), and since (7, 7, 4) is also not a triangle, and add again the elevation point (4). Since (7, 4, 4) is also not a triangle, it adds an elevation point (8), and (4, 4, 8) is also not a triangle, so it is added to an elevation point (5) to create elevation triangles (4, 8). Add elevation point until 5) is displayed.

즉, 삼각형 스트립을 구성할 시, 표고점 하나씩 추가할 때마다 삼각형 하나씩 추가되므로, 상기 도 2보다 중복되는 표고점을 줄일 수 있다.That is, when configuring a triangular strip, a triangle is added every time an elevation point is added, thereby reducing the overlapping elevation point than FIG. 2.

도 4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서 삼각형을 이용한 렌더링 예를 비교하는 도면이다.4 is a view comparing a rendering example using a triangle in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지형을 동일한 크기의 격자로 구분하여, 이중 격자로 구분된 지형에 대해 DEM 데이터를 생성하고 있다. DEM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삼각형을 형성하기 위해 종래에는 일정한 방향으로 삼각형을 형성하였다.Referring to FIG. 4, the terrain is divided into grids having the same size, and DEM data is generated for the terrain divided by a double grid. Conventionally, triangles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form triangles for generating DEM data.

예를 들어, 격자로 구분된 일부 지형(400)은 네 개의 표고점(500, 520, 500, 490)으로 구성될 시, DEM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삼각형을 형성하기 위해 종래에는 일정한 방향으로 삼각형을 형성하여, 도 4 (a)와 같이 삼각형이 형성되었다고 하고 가정하자. 이때 표고점 520m와 표고점 490m이 연결되어 삼각형이 형성되고, 삼각형의 나머지 표고점들(500, 500)이 고도차가 없는 경우, 격자의 중간 부분은 고도가 발생하게 된다. 좌측의 등고선이 나타난 도면을 보면, 일부 지형에서(400)의 격자 중간 부분은 고도가 없지만, 삼각형화하여 렌더링을 수행하게 되면 중간 부분에 고도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정확하게 고도 반영을 하지 못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some terrain 400 separated by a grid is composed of four elevation points 500, 520, 500, and 490, a triangle is conventionally form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form a triangle for generating DEM data. Assume that a triangle is formed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when the elevation point 520m and the elevation point 490m are connected to form a triangle, and the remaining elevation points 500 and 500 of the triangle do not have an altitude difference, the middle portion of the grid generates altitude. Looking at the drawing of the contour line on the left, the middle part of the grid 400 of some terrains do not have altitude, but when the triangulation is performed, the altitude is generated in the middle part.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reflect the altitud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 (b)와 같이 고도를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서 고도차가 없는 방향으로 삼각형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표고점 520m와 표고점 490m이 연결되어 삼각형이 형성될 시 30m(520m-490m))(제 1 고도차라 함)와 표고점 500m와 표고점 500m이 연결되어 삼각형이 형성될 시 0m(500m-500m))(제 2 고도차라 함)를 비교하여, 고도차가 작은 방향으로 삼각형을 형성하면, 좌측의 등고선이 나타난 도면처럼, 격자 중간 부분에 고도가 발생하지 않으며 렌더링이 수행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curately reflect the altitude as shown in FIG. 4 (b), a triangle is formed in a direction without an altitude difference. For example, 30m (520m-490m) when the triangle is connected by 520m above sea level and 490m above sea level (called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and 0m (500m-500m when the triangle is formed by connecting 500m above sea level and 500m above sea level When a triangle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ltitude difference is small by comparing)) (called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as shown in the contour line on the left side, the altitude does not occur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grid and rendering is perform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 4에서 고도를 반영하지 못한 경우와 고도를 반영한 경우의 렌더링을 도시하고 있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altitude is not reflected and the altitude is reflected in FIG. 4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 (b)를 참조하면, 표고점 520m와 표고점 490m이 연결되어 삼각형이 형성될 시, 고도가 반영되지 못한 렌더링 예이다. 즉, 실제 중간 부분에는 고도가 없지만, 렌더링 후에는 중간 부분에 고도가 발생한다.Referring to FIG. 5B, when an elevation point 520m and an elevation point 490m are connected to form a triangle, the altitude is not reflected. In other words, there is no altitude in the actual middle part, but altitude is generated in the middle part after rendering.

표고점 500m와 표고점 500m이 연결되어 삼각형이 형성될 시, 고도가 반영된 렌더링 예이다. 즉, 실제 중간 부분에는 고도가 없고, 렌더링 후에도 중간 부분에 고도가 발생하지 않는다.This is a rendering example in which the altitude is reflected when the elevation point 500m and the elevation point 500m are connected to form a triangle. That is, there is no altitude in the actual middle part, and no altitude occurs in the middle part even after renderin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EM 데이터를 시각화를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6 illustrates a navigation device for visualizing DEM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입력부(600), GPS 모듈부(602), 출력부(604), 제어부(606), DEM 시각화부(608), 지도 데이터 DB(610), 지형 데이터 입력부(630), DEM 데이터 생성부(640)를 생성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navigation device includes an input unit 600, a GPS module unit 602, an output unit 604, a control unit 606, a DEM visualization unit 608, a map data DB 610, and terrain data. The input unit 630 and the DEM data generator 640 are generated and configured.

구현에 따라서, 상기 지형 데이터 입력부(630)와 상기 DEM 데이터 생성 부(640)의 기능은 일반 컴퓨터에서 전처리로 수행되며, 생성된 DEM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가 지도 데이터(610)에 접근하여 상기 DEM 데이터를 독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unctions of the terrain data input unit 630 and the DEM data generator 640 may be preprocessed by a general computer. When the generated DEM data is stored in a database, the navigation device maps the data 610. By accessing the DEM data can be read and used.

상기 입력부(6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 값을 제공받고, 상기 GPS 모듈부(602)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606)로 제공한다. The input unit 600 provides a user interface, receives an input value from the user, and the GPS module unit 602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atellite and provide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606.

상기 제어부(606)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상기 GPS 모듈부(602)로부터의 위치정보와 상기 지도 데이터 DB(610)로부터의 고도가 반영된 DEM 데이터를 DEM 시각화부(608)로 제공한다.The controller 606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control of the navigation device. For example, DEM data reflect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module unit 602 and altitude from the map data DB 610 is provided to the DEM visualization unit 608.

상기 DEM 시각화부(608)는 상기 제어부(606)로부터 제공받은 위치정보와 고도가 반영된 DEM 데이터를 이용하여, 렌더링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상기 출력부(604)로 제공한다.The DEM visualization unit 608 performs rendering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606 and the DEM data reflecting the altitude, and provides the result to the output unit 604.

상기 출력부(604)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지형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상기 DEM 시각화부(608)로부터 렌더링된 DEM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으로 지형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출력부(604)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604 displays status information, a limited number of characters, and terrain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navigation device. That is, the terrain is displayed in three dimensions by using the DEM data rendered by the DEM visualization unit 608. The output unit 604 may use a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LCD).

상기 지형 데이터 입력부(630)는 인공위성 사진이나 지도로부터 얻어지는 등고선 데이터의 결과물을 샘플 포인트의 2차원 평면상의 좌표와 그 점에서의 고도 값으로 이루어진 순서쌍으로 상기 DEM 데이터 생성부(640)에 제공한다.The terrain data input unit 630 provides the result of the contour data obtained from the satellite photograph or map to the DEM data generator 640 in an ordered pair consisting of coordinates on a two-dimensional plane of a sample point and an altitude value at that point.

상기 DEM 데이터 생성부(640)는 상기 지형 데이터 입력부(630)로부터의 지형 데이터를 일정한 격자크기로 구분한 후, 해당 격자에서 4지점의 표고값(혹은 높이 값)을 독출하여, 고도가 반영된 DEM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DEM 데이터 생성부(640)는 고도차 비교차(642), 삼각형 분할부(644) 및 삼각형 스트립 생성부(646)를 포함한다.The DEM data generator 640 divides the terrain data from the terrain data input unit 630 into a predetermined grid size, reads an elevation value (or height value) of four points in the grid, and reflects the altitude of the DEM. Generate data. To this end, the DEM data generator 640 includes an altitude difference comparison 642, a triangular divider 644, and a triangular strip generator 646.

상기 삼각형 분할부(644)는 표고값에 대한 정보를 독출하여 삼각형 스트립 생성이 불가능하면, 삼각형을 중복하여 스트립을 생성하거나 삼각형을 중복하지 않는 스트립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고도차를 이용하여 삼각형을 형성하는 경우의 스트립을 보면, 먼저 도 10(b)에처럼 0, 4, 1, 5, 6, 1, 2, 6, 3, 7로 삼각형을 중복하여 스트립을 생성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 0, 4, 1, 5, 6, 6, 1, 2, 2, 6, 3, 7로 삼각형을 중복하지 않고 스트립을 생성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삼각형이 형성되어 스트립이 생성되다가 삼각형이 형성되지 않을 시, 다른 스트립을 추가하여 생성한다. 예를 들어, 0, 4, 1, 5, 6까지 삼각형을 이용하여 제 1 스트립을 생성하고, 이후 삼각형이 형성되지 않을 시(5, 6, 2) 1, 2, 6, 3, 7로 제 2 스트립을 생성한다.The triangle dividing unit 644 reads information about an elevation value, and when triangle strip generation is impossible, a triangle is generated by overlapping triangles or a strip not overlapping triangl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forming a triangle using an altitude difference, first, as shown in FIG. 10 (b), triangles are overlapped with 0, 4, 1, 5, 6, 1, 2, 6, 3, and 7 Strips may be created, in other embodiments 0, 4, 1, 5, 6, 6, 1, 2, 2, 6, 3, 7 strips may be created without overlapping triangles, and in another example triangles When the strip is formed and no triangle is formed, another strip is added. For example, create a first strip using triangles up to 0, 4, 1, 5, 6, then subtract 1, 2, 6, 3, 7 when no triangle is formed (5, 6, 2). 2 Create a strip.

상기 고도차 비교차(642)는 4지점의 표고값으로부터 제 1 고도차와 제 2 고도차를 계산하여 상기 제 1 고도차와 상기 제 2 고도차를 비교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도 5와 같이, 다수의 격자들로 구분된 지형 중 하나의 격자를 이루는 4개 표고값 500, 520, 500, 490를 지형 데이터 입력부(630)로부터 제공받는다. 그리고 제 1 고도차는 대각선에 있는 표고점들(520m, 490m)의 차이고, 제 2 고도차는 다른 대각선에 있는 표고점들(500m, 500m)의 차이다. The altitude difference comparison 642 compares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and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by calculating a first altitude difference and a second altitude difference from an elevation value of four point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four elevation values 500, 520, 500, and 490 forming one grid among terrain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ids are provided from the terrain data input unit 630. The first elevation differenc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evation points 520m and 490m on the diagonal, and the second elevation differenc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evation points 500m and 500m on the other diagonal.

상기 제 1 고도차가 상기 제 2 고도차보다 큰 경우, 상기 삼각형 분할부(644)는 제 2 고도차들을 이루는 표고점들을 연결하여 격자를 분할하고 상기 삼각형 스트립 생성부(646)는 제 2 고도차들을 이루는 표고점들을 연결로 이루어진 삼각형으로부터 DEM 데이터를 생성한다. 반면, 상기 제 1 고도차가 상기 제 2 고도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삼각형 분할부(644)는 제 1 고도차들을 이루는 표고점들을 연결하여 격자를 분할하고, 상기 삼각형 스트립 생성부(646)는 제 1 고도차들을 이루는 표고점들을 연결로 이루어진 삼각형으로부터 DEM 데이터를 생성한다.When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the triangular divider 644 divides the grid by connecting the elevation points forming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s, and the triangular strip generator 646 sets the elevation points forming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s. Generate DEM data from triangles made up of connections.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is smaller than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the triangular divider 644 divides the grid by connecting the elevation points forming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s, and the triangular strip generator 646 divides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s. DEM data is generated from a triangle consisting of connecting elevation points.

상기 지도 데이터 DB(610)는 상기 DEM 데이터 생성부(640)로부터 생성된 DEM 데이터를 저장하여, 요청시, 상기 제어부(606)에 상기 DEM 데이터를 제공한다.The map data DB 610 stores the DEM data generated from the DEM data generator 640 and provides the DEM data to the controller 606 when request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EM 데이터를 시각화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visualization of DEM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DEM 데이터 생성부(640)는 700 단계에서 현재 격자에서 4지점의 표고값(혹은 높이 값)을 독출하여, 702 단계에서 제 1 고도차(LTRB)와 제 2 고도차(RTLB)를 계산한다.Referring to FIG. 7, the DEM data generator 640 reads an elevation value (or height value) of four points in the current grid in step 700, and in step 702,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LTRB and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RTLB. Calculate

예를 들면, 상기 도 5와 같이, 다수의 격자들로 구분된 지형 중 하나의 격자를 이루는 4개 표고값 500, 520, 500, 490를 지형 데이터 입력부(630)로부터 제공받는다. 그리고 제 1 고도차는 대각선에 있는 표고점들(520m, 490m)의 차이고, 제 2 고도차는 다른 대각선에 있는 표고점들(500m, 500m)의 차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four elevation values 500, 520, 500, and 490 forming one grid among terrain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ids are provided from the terrain data input unit 630. The first elevation differenc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evation points 520m and 490m on the diagonal, and the second elevation differenc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evation points 500m and 500m on the other diagonal.

이후, 고도차 비교부(642)는 704 단계에서 상기 제 1 고도차와 상기 제 2 고도차를 비교한다. 만약, 상기 제 1 고도차가 상기 제 2 고도차보다 큰 경우, 삼각형 분할부(644)는 706 단계에서 제 2 고도차들을 이루는 표고점들을 연결하여 격자를 분할하고 삼각형 스트립 생성부(646)는 제 2 고도차들을 이루는 표고점들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삼각형으로부터 DEM 데이터를 생성한다. 반면, 상기 제 1 고도차가 상기 제 2 고도차보다 작은 경우, 삼각형 분할부(644)는 708 단계에서 제 1 고도차들을 이루는 표고점들을 연결하여 격자를 분할하고, 삼각형 스트립 생성부(646)는 제 1 고도차들을 이루는 표고점들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삼각형으로부터 DEM 데이터를 생성한다.In operation 704, the altitude difference comparing unit 642 compares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with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If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the triangular division unit 644 divides the grid by connecting elevation points forming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s in step 706, and the triangular strip generator 646 divides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s. DEM data is generated from a triangle formed by connecting elevation points.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is smaller than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the triangular divider 644 divides the grid by connecting the elevation points forming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s in step 708, and the triangular strip generator 646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DEM data is generated from a triangle formed by connecting elevation points.

예를 들면, 도 9는 제 1 고도차와 제 2 고도차의 비교에 따라 삼각형화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고도 1, 고도 2, 고도 3, 고도 4로 이루어진 격자(도 9 (a))에서 고도 1과 고도 4의 차와 고도 2과 고도 3의 차를 구한다.For example, FIG. 9 shows an example of triangul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and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The difference between altitude 1 and altitude 4 and the difference between altitude 2 and altitude 3 is obtained from a grid consisting of altitude 1, altitude 2, altitude 3, and altitude 4 (Fig. 9 (a)).

만약, 고도 1과 고도 4의 차와 고도 2와 고도 3의 차보다 작은 경우, 고도 1과 고도 4를 연결하여 격자를 두 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한다(도 9 (b)). 반면 고도 1과 고도 4의 차와 고도 2와 고도 3의 차보다 큰 경우, 고도 2와 고도 3을 연결하여 격자를 두 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한다(도 9 (c)).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ltitude 1 and the altitude 4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ltitude 2 and the altitude 3 is smaller, the grid is divided into two triangles by connecting the altitude 1 and the altitude 4 (Fig. 9 (b)).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ltitude 1 and the altitude 4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ltitude 2 and the altitude 3 is greater, the grid is divided into two triangles by connecting the altitude 2 and the altitude 3 (FIG. 9 (c)).

이후, 상기 DEM 데이터 생성부(640)는 710 단계에서 삼각형화될 격자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존재할 시 712 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격자에 대한 정보(4개의 표고점)를 독출한다. 그리고 700 단계 내지 710 단계를 수행하여 삼각형 스트립을 생성한다.Thereafter, the DEM data generator 640 checks whether there is a grating to be triangulated in step 710, and if so, proceeds to step 712 and reads information about the next grating (four elevation points). In addition, steps 700 to 710 are performed to generate a triangular strip.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The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n terminat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EM 데이터를 시각화를 위한 삼각형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8 is a flowchart for generating a triangular stream for visualizing DEM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삼각형 분할부(644)는 800 단계에서 시작 삼각형을 이루는 3개의 표고값을 스트림에 추가한다.Referring to FIG. 8, the triangle divider 644 adds three elevation values forming a starting triangle to the stream in step 800.

이후, 상기 삼각형 분할부(644)는 802 단계에서 다음 표고값을 추가하여 스트립 생성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In operation 802, the triangle dividing unit 644 determines whether a strip can be generated by adding a next elevation value.

만약, 다음 정점에 대한 스트립 생성이 가능하면, 상기 DEM 시각화부(608)는 810 단계로 진행하여, 810 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표고값에 대한 정보를 독출한다.If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strip for the next vertex, the DEM visualization unit 608 proceeds to step 810 and proceeds to step 810 to read information about the next elevation value.

반면, 다음 정점에 대한 스트립 생성이 불가능하면, 상기 삼각형 분할부(644)는 804 단계로 진행하여, 삼각형을 중복하여 스트립을 생성하거나 삼각형을 중복하지 않는 스트립을 생성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impossible to generate a strip for the next vertex, the triangle divider 644 proceeds to step 804 to generate a strip by overlapping triangles or a strip without overlapping triangles.

이후, 삼각형 분할부(644)는 806 단계에서 다음 표고값이 있는지 확인하여 다음 표고값이 존재하면 810 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표고값에 대한 정보를 독출한다.Thereafter, the triangle dividing unit 644 checks whether there is a next elevation value in step 806, and if there is a next elevation value, the flow proceeds to step 810 to read information about the next elevation value.

예를 들면, 3개의 격자들로 지형이 구분되어 일정한 방향으로 삼각형을 형성하는 경우(도 10(a)), 3개의 격자들로 지형이 구분되어 고도차를 반영하여 삼각형을 형성하는 경우(도 10(b)), 삼각형 스트립을 생성하는 방법이다.For example, when the terrain is divided into three grids to form a triang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ig. 10 (a)), the terrain is divided into three grids to form a triangle to reflect the altitude difference (Fig. 10). (b)), a triangular strip is produced.

도 10(a)에처럼, 일정한 방향으로 삼각형이 형성되는 경우, 0, 4, 1, 5, 2, 6, 3, 7으로 스트립이 생성된다.As shown in FIG. 10 (a), when triangles are formed in a constant direction, strips are generated at 0, 4, 1, 5, 2, 6, 3, and 7.

본 발명에 따라, 고도차를 이용하여 삼각형을 형성하는 경우의 스트립을 보면, 먼저 도 10(b)에처럼 0, 4, 1, 5, 6, 1, 2, 6, 3, 7로 삼각형을 중복하여 스트립을 생성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 0, 4, 1, 5, 6, 6, 1, 2, 2, 6, 3, 7로 삼각형을 중복하지 않고 스트립을 생성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삼각형이 형성되어 스트립이 생성되다가 삼각형이 형성되지 않을 시, 다른 스트립을 추가하여 생성한다. 예를 들어, 0, 4, 1, 5, 6까지 삼각형을 이용하여 제 1 스트립을 생성하고, 이후 삼각형이 형성되지 않을 시(5, 6, 2) 1, 2, 6, 3, 7로 제 2 스트립을 생성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forming a triangle using an altitude difference, first, the triangle is overlapped with 0, 4, 1, 5, 6, 1, 2, 6, 3, 7 as shown in FIG. To generate a strip, in another embodiment 0, 4, 1, 5, 6, 6, 1, 2, 2, 6, 3, 7 to create a strip without overlapping triangles, as another example When a triangle is formed and a strip is formed, another strip is created by adding another strip. For example, create a first strip using triangles up to 0, 4, 1, 5, 6, then subtract 1, 2, 6, 3, 7 when no triangle is formed (5, 6, 2). 2 Create a strip.

만약, 다음 표고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DEM 시각화부(608)는 808 단계로 진행하여 삼각형 스트립 데이터를 이용하여 렌더링을 수행한다.If the next elevation value does not exist, the DEM visualization unit 608 proceeds to step 808 to perform rendering using triangle strip data.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The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n terminate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고선 지형 데이터로부터 DEM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DEM 데이터를 3차원으로 시각화하는 예시도,1 is an exemplary diagram of visualizing the DEM data in three dimensions after generating DEM data from the contour terrai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으로 DEM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예시도,2 is an exemplary diagram of rendering DEM data in three dimens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으로 DEM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다른 예시도,3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of rendering DEM data in three dimens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서 삼각형을 이용한 렌더링 예시도,4 is a rendering example using a triangle in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 4에서 고도를 반영하지 못한 경우와 고도를 반영한 경우의 렌더링 예,FIG. 5 is a rendering example when the altitude is not reflected and the altitude is reflected in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EM 데이터를 시각화를 위한 장치도,6 is an apparatus diagram for visualizing DEM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EM 데이터를 시각화를 위한 흐름도,7 is a flowchart for visualizing DEM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EM 데이터를 시각화를 위한 삼각형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흐름도 및,8 is a flowchart for generating a triangular stream for visualizing DEM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제 1 고도차와 제 2 고도차의 비교에 따라 삼각형화하는 예시도 및,9 is an exemplary view of triangulation according to a comparison between a first altitude difference and a second altitude difference;

도 10은 삼각형 스트립을 생성하는 예시도.10 illustrates an example of creating a triangular strip.

Claims (16)

수치 표고 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 시각화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visualizing the digital elevation model (DEM), 적어도 하나 이상의 4개의 표고점으로 이루어진 격자로 구분된 지형 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과,Receiving terrain data divided into grids composed of at least one four elevation points; 상기 각각의 격자에 대해 제 1 고도차와 제 2 고도차를 계산하여 비교하는 과정과,Calculating and comparing a first altitude difference and a second altitude difference for each grid; 상기 제 1 고도차와 상기 제 2 고도차의 차에 따라 격자를 두 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하는 과정과,Dividing the grid into two triangl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vation difference and the second elevation difference; 상기 분할된 삼각형으로부터 삼각형 스트립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Generating a triangular strip from the divided triangl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고도차는 제 1 대각선으로 존재하는 두 개의 표고점에 대한 차이 값이고, 제 2 고도차는 제 2 대각선으로 존재하는 두 개의 표고점에 대한 차이 값인 것으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rein the first elevation difference i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wo elevation points existing on a first diagonal line, and the second elevation difference i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wo elevation points existing on a second diagonal lin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고도차가 상기 제 2 고도차보다 클 시, 상기 제 2 고도차의 두 표고점을 연결하여, 하나의 격자를 두 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connecting two elevation points of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to divide one grid into two triangl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고도차가 상기 제 2 고도차보다 작을 시, 상기 제 1 고도차의 두 표고점을 연결하여, 하나의 격자를 두 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is less than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connecting two elevation points of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to divide one grid into two triangl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할된 삼각형으로부터 삼각형 스트립을 생성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generating a triangle strip from the divided triangle, 표고점 하나가 추가될 때, 삼각형이 형성되지 않으면 이전 표고점을 중복하여 삼각형을 중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n one elevation point is added, if the triangle is not formed, the triangle is overlapped by overlapping the previous elevation poi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할된 삼각형으로부터 삼각형 스트립을 생성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generating a triangle strip from the divided triangle, 표고점 하나가 추가될 때, 삼각형이 형성되지 않으면 현재 표고점을 중복하여 삼각형을 중복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n one elevation point is added, if the triangle is not formed, the current elevation point is overlapped so that the triangle is not overlapp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할된 삼각형으로부터 삼각형 스트립을 생성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generating a triangle strip from the divided triangle, 표고점 하나가 추가될 때, 삼각형이 형성되지 않으면 현재 생성되는 삼각형 스트림 생성을 중지하고, 새로운 삼각형 스트림을 시작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n one elevation point is added, if a triangle is not formed, generation of the triangle stream currently generated is stopped, and a new triangle stream is generat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생성된 삼각형 스트립을 이용하여 렌더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ndering using the generated triangular strip. 수치 표고 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 시각화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In the apparatus for the visualization of Digital Elevation Model (DEM), 적어도 하나 이상의 4개의 표고점으로 이루어진 격자로 구분된 지형 데이터를 입력받는 DEM 데이터 생성부와,A DEM data generation unit for receiving terrain data divided into grids composed of at least one four elevation points; 상기 각각의 격자에 대해 제 1 고도차와 제 2 고도차를 계산하여 비교하는 고도차 비교부와,An altitude difference comparison unit for calculating and comparing a first altitude difference and a second altitude differenc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grids; 상기 제 1 고도차와 상기 제 2 고도차의 차에 따라 격자를 두 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하는 삼각형 분할부와,A triangular divider for dividing a grid into two triangl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vation difference and the second elevation difference; 상기 분할된 삼각형으로부터 삼각형 스트립을 생성하는 삼각형 스트립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triangular strip generator for generating triangular strips from the divided triangles.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 1 고도차는 제 1 대각선으로 존재하는 두 개의 표고점에 대한 차이 값이고, 제 2 고도차는 제 2 대각선으로 존재하는 두 개의 표고점에 대한 차이 값인 것으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rein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i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wo elevation points existing at a first diagonal line, and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i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wo elevation points existing at a second diagonal line.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삼각형 분할부는The triangular divider 상기 제 1 고도차가 상기 제 2 고도차보다 클 시, 상기 제 2 고도차의 두 표고점을 연결하여, 하나의 격자를 두 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when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connecting two elevation points of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to divide one grid into two triangles.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삼각형 분할부는The triangular divider 상기 제 1 고도차가 상기 제 2 고도차보다 작을 시, 상기 제 1 고도차의 두 표고점을 연결하여, 하나의 격자를 두 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when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is smaller than the second altitude difference, connecting two elevation points of the first altitude difference to divide one grid into two triangles.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삼각형 스트립 생성부는The triangular strip generator 표고점 하나가 추가될 때, 삼각형이 형성되지 않으면 이전 표고점을 중복하여 삼각형을 중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when one elevation point is added, if no triangle is formed, the previous elevation point overlaps the triangle.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삼각형 스트립 생성부는The triangular strip generator 표고점 하나가 추가될 때, 삼각형이 형성되지 않으면 현재 표고점을 중복하여 삼각형을 중복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n one elevation point is added, if the triangle is not formed, the current elevation point is overlapped so that the triangle is not overlapped.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삼각형 스트립 생성부는The triangular strip generator 표고점 하나가 추가될 때, 삼각형이 형성되지 않으면 현재 생성되는 삼각형 스트림 생성을 중지하고, 새로운 삼각형 스트림을 시작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n one elevation point is added, if a triangle is not formed, the current triangle stream generation is stopped and a new triangle stream is generated.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생성된 삼각형 스트립을 이용하여 렌더링하는 DEM 시각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DEM visualization unit that renders using the generated triangular strip.
KR1020080133385A 2008-12-24 2008-12-24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digital elevation model Withdrawn KR201000748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385A KR20100074845A (en) 2008-12-24 2008-12-24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digital elevation mod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385A KR20100074845A (en) 2008-12-24 2008-12-24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digital elevation mod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845A true KR20100074845A (en) 2010-07-02

Family

ID=4263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385A Withdrawn KR20100074845A (en) 2008-12-24 2008-12-24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digital elevation mod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484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9942A (en) * 2019-11-15 2021-05-18 中科星图股份有限公司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2545445B1 (en) 2022-11-22 2023-06-21 헬리오센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hird dimension earth XR visualization using unity eng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9942A (en) * 2019-11-15 2021-05-18 中科星图股份有限公司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2545445B1 (en) 2022-11-22 2023-06-21 헬리오센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hird dimension earth XR visualization using unity eng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0660B1 (en) Map data processing method,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799945B1 (en) Three-dimensional map drawing, landscape feature data generating method, three-dimensional map draw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8849859B2 (en) Hierarchical system and method for on-demand loading of data in a navigation system
US201301068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images with multi-resolution integration
US74115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ly transforming two-dimensional linear data in accordance with three-dimensional topography data in real tim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ly visualizing two-dimensional linear data together with three-dimensional topography data in real time
JP6009039B2 (en) Graphic display method of road and route using hardware tessellation
JPWO2006092853A1 (en) Map display device and map display method
KR101405891B1 (en) Reality display system of air inteligence and method thereof
WO2016117267A1 (en) Three-dimensional map display system
KR100283734B1 (en) Navigation system, stereoscopic topographic display method of this navig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US91960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three-dimensional models in a virtual environment
EP1684236A1 (e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three-dimensionally transforming two-dimensional flyover data in three-dimensional graphics environment and for three-dimensionally visualizing two-dimensional flyover data in three-dimensional graphics environment
JP2006227767A (en) Map processor, navigation device and map display method
US6678610B2 (en) Method for obtaining a map representation, and a navigation device
US1006795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 organizing map styling information
EP2589933B1 (en) Navigation device, method of predicting a visibility of a triangular face in an electronic map view
JP4511825B2 (en) How to generate a multi-resolution image from multiple images
KR201000748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digital elevation model
US202100631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an object
JP2004333155A (en)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information presen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777736B2 (en) MAP DATA CREATION DEVICE, MAP DATA CRE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358123B2 (en) Navigation system
JP6954169B2 (en) Virtual environment creation device
CN115979281A (en) Restricted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8071944A (en) Road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