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2681A -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displaying in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displaying in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72681A KR20100072681A KR1020080131159A KR20080131159A KR20100072681A KR 20100072681 A KR20100072681 A KR 20100072681A KR 1020080131159 A KR1020080131159 A KR 1020080131159A KR 20080131159 A KR20080131159 A KR 20080131159A KR 20100072681 A KR20100072681 A KR 201000726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deo
- display device
- area
- image
- text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표시기기에서 동영상 재생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video in an image display device.
기존의 인터넷 익스플로어 연결시 웹페이지에는 텍스트영역과 동영상 영역 등으로 구분되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웹페이지 디스플레이시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1에 예시도와 같이 동영상을 포함하는 웹페이지(20)는 동영상(10) 뿐만 아니라 다양한 텍스트들로 둘러 싸여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웹페이지에서 동영상을 재생시 동영상 영역을 제외한 주위에 불필요한 배경화면들로 인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동영상만을 선별적으로 시청할 수 없는 점이 있다. When the existing Internet Explorer is connected, the web page is divided into text area and video area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when a conventional web page is displayed. As illustrated in FIG. 1, a
또한 인터넷 동영상의 경우 원본 사이즈 보기를 수행하는 경우 시청 집중도가 주위의 다른 텍스트 및 이미지들로 인하여 방해받을 수 있는 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해당 동영상을 확대하여 전체 화면으로 시청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고정된 화면 사이즈를 강제로 확대시킴으로써 고화질의 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없다. Also, in the case of Internet video, when viewing the original size, the concentration of viewing may be disturbed by other texts and images around it.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a function of enlarging a corresponding video is provided to view a full screen, but this does not satisfy a user's desire to watch a high quality image by forcibly enlarging a fixed screen size.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영상표시기기에서 동영상 재생시 효과적으로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enabling a user to effectively watch a video when playing a video on a video display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동영상 영역과 텍스트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에서 상기 동영상 재생시 상기 동영상 하이라이트 요청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요청 신호에 따라 동영상 재생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영역의 RGB값 또는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display device, comprising: detecting a video highlight request signal when a video is played on a screen including a video area and a text area; Confirming a video reproduction area according to the detected request signal;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RGB value or the luminance of the text area.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포맷으로 변환해 주는 신호변환 수단; 상기 신호변환 수단으로부터 변환된 텍스트 영역과 동영상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에서 동영상 디스플레이시 상기 텍스트 영역의 RGB 또는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주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동영상 디스플레이시 동영상 영역을 제외한 텍스트 영역의 RGB 또는 휘도레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동영상 디스플레이 시 하이라이트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ignal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 format for displaying and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An image processor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RGB or luminance of the text area when displaying a moving picture in an image including the text area and the moving picture area converted from the signal conversion means;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n image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RGB or luminance level of the text area except for the moving picture area when displaying the moving picture, and to control the display to be highlighted when the moving picture is displayed.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표시기기에서 동영상을 재생하게 되는 경우 동영상 영역이 부각되어 보이게 함에 따라 영상의 원 사이즈로 시청의 집중도를 높여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ideo is play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video area is highlighted so that the viewer can watch the video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viewing at the one size of the video.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가 연결된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 시스템은 인터넷접속 또는 외부기기의 연결을 통하여 다양한 방송 및 정보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요청에 의해 해당 컨텐츠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 입력장치(200)와 상기 제어신호 입력장치(200)로 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100)로 구성된다. 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to which an image display devic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nnected.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and store a variety of broadcast and information data through an Internet connection or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so that the corresponding content can be displayed on the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영상표시기기(1000와 PC(200)는 DDC/CI(Display Data Channel/Command Interface)통신과 같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동영상 영역이 하이라이트 되어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에 대한 요청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제어신호 입력장치(200)로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video display device 1000 and the PC 200 constituting the video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uch as DDC / CI (Display Data Channel / Command Interfac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signal is highlighted so that a request signal for a video highlight mode for display can be requested from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신호 입력장치의 예로 PC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PC외에도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제공하는 외부장치 또는 영상표시기기 내부의 장치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C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ontrol signal input device, but an external device or a device inside an image display device may provide a video to control a screen according to the PC. Can be.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영상표시기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수신부(100), 처리부(120), 출력부(130), 제어부(140), 메모리부(1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수신부(110)는 외부신호 입력부(111)와 튜너부(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처리부(120)는 영상/음성신호 절환부(121), A/D컨버터(122), 엠펙디코더 및 영상/음성신호 처리부(123), 영상 메모리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출력부(130)는 영상신호 출력부(131), 디스플레이부(132), 음성신호 출력부(133) 및 스피커(134)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신호입력부(11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셋탑박스(Set Top Box), 캠코더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음성신호 절환부(121)로 제공된다. The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신호 입력부(111)는 제어신호 입력장치(200)와 연결되어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하여 영상표시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32)에서 디스플레이될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외부신호 입력부(11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신호 입력장치와 연결되어 DDC/Ci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external
튜너부(112)는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튜닝하고 그 튜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음성/데이터 신호를 디코딩 또는 분리하 여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 등으로 제공한다. 또한 튜너부(112)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튜너부(112a),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튜너부(112d), 아날로그 신호를 디코딩하는 아날로그 디코더(112b) 및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지털 디코더(112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디지털 디코더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음성 신호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형태를 갖는다.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는 외부신호 입력부(111)와 튜너부(112)로 부터 제공받는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그 채널의 영상/음성신호를 필요에 따라 분리한 후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신호 처리부(123)로 제공한다.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는 영상/음성 데이터 신호를 분리할 수 있는 디멀티 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ideo / audio signal output through the digital decoder has a form of a transport stream. The video / audio
디지털 디코더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음성 신호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형태를 갖는다.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는 외부신호 입력부(111)와 튜너부(112)로 부터 제공받는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그 채널의 영상/음성신호를 필요에 따라 분리한 후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신호 처리부(123)로 제공한다.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는 영상/음성 데이터 신호를 분리할 수 있는 디멀티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ideo / audio signal output through the digital decoder has a form of a transport stream. The video / audio
영상/음성신호 절환부(121)에서 선택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그 아날로그 신호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분리된 후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A/D컨버터(122)에서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신호 처리부(123)로 제공되고 그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음성신호 출력부(133)로 제공될 수 있 다. 영상/음성신호 절환부(121)에서 선택되는 신호가 디지털 신호인 경우 그 디지털 신호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모두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로 제공될 수 있다. When the signal selected by the video / audio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 처리부(123)는 영상/음성 신호 절환부(121)의 출력신호 중 영상/음성 스트림을 영상/음성 데이터로 복원함과 아울러 처리하며 그 처리된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출력부(131)로 제공되고 처리된 음성신호는 음성신호 출력부(133)로 제공된다. 또한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처리부(123)는 제어부(140)가 제공하는 OSD(On Screen Display)데이터가 복원 및 처리된 영상신호를 믹스할 수 있다. The MPEG decoder and the video /
영상메모리부(124)는 상기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처리부(123)의 디코딩 및 신호처리 시 요구되는 메모리 영역을 제공한다. 특히 메모리부(150)는 동일한 컨텐츠를 방영하는 다른 채널을 갖는 탐색단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호 이용단계와 영상입력 단계가 수행될 때 둘 이상의 채널의 내용적 동일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The
영상신호출력부(131)는 엠펙 디코더 및 영상/음성 신호처리부(12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모듈(13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형태로 처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신호출력부(131)는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를 수행 요청이 입력되면, 동영상 재생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텍스트 영역에 대한 RGB 또는 휘도를 감소시켜 검은색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video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나 영상표시기기에 부착된 로컬키 버튼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텍스트 영역과 동영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 또는 웹페이지에서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 요청 신호를 입력받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 요청 신호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영상표시기기에 별도로 구비된 로컬키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구비된 소정의 키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제어부(140)는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제어부(14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신호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2)에서 동영상 재생시 사용자인터페이스부(160)로 부터 입력되는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 요청 신호를 제어신호 입력장치(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제어신호 입력장치(200)에 전송된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 요청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 입력장치(200)로부터 동영상 영역만을 하이라이트되어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모드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The
메모리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제어부(140)가 생성 및 관리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시 동영상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동영상 영역을 제외한 텍스트 영역에 대한 영상 처리에 대한 RGB정보 또는 휘도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unit 150 stores information input by a user or data generated and managed by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 시스템은 제어신호 입력장치(200)로 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제어신호에 따라 동영상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웹페이지 또느는 영상들을 영상표시기기(100)에서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영상표시기기(100)에서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 요청신호를 수신한 제어신호 입력장치(200)는 상기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 수행을 위한 다양한 제어신호 및 정보를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하여 그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web page or images including a video or text in the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신호 입력장치(200)와 영상표시기기(100)가 연결된 시스템 구성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어신호 입력장치(200)가 존재하지 않은 구성에서 영상표시기기(100)만으로도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highlighting mode is performed by the
즉, 영상표시기기(100)의 외부신호 입력부(111)를 통하여 인터넷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32)에서 동영상과 텍스트 영상을 포함하는 웹페이지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 요청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신호출력부(131)에서 동영상 영역을 제외한 텍스트 영역에 대한 RGB 또는 휘도 레벨을 감소 또는 증가시켜 동영상 영역이 하이라이트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Internet communication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external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 시스템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에서 동영상 디스 플레이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 시스템에서의 동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동작 흐름도이며, 도 5는 상기 영상표시시스템에서 처리된 동영상을 영상표시기기(100)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며, 도 6은 영상표시기기(100)에서 동영상 디스플레이시의 화면 예시도이다. A video display operation in the
제어신호 입력장치(200)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전원 인가 및 영상 신호의 출력 요청을 입력받으면 해당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한다.(405단계) 제어신호 입력장치(200)로부터 영상 출력모드 수행 요청 신호를 수신한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도 2의 영상표시기기(10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제어신호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모드를 수행한다.(410단계) The control
영상표시기기(100)는 제어신호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텍스트, 동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동영상 재생 영역이 부각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 요청 신호 입력 여부를 감지한다.(415단계) 영상표시기기(100)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입력된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 요청 신호를 감지하면(420단계) 해당 신호를 제어신호 입력장치(200)에 전송한다.(425단계) The
제어신호 입력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하이라이트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웹페이지에서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위치를 추출한다.(430단계) 제어신호 입력장치(200)는 동영상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텍스트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RGB값 을 0으로 하거나 휘도레벨을 감소 또는 증가시켜 검은색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 요청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한다.(435단계) The control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에 따른 영상 처리 제어신호를 수신한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제어신호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동영상 영역만을 하이라이트되어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텍스트 영역을 검정색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영상처리를 수행한 후도 6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를 수행하도록 한다.(440단계) The
영상표시기기(100)는 제어신호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에 따른 제어 신호에 따라 도 6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동영상 영역만 하이라이트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를 수행한다. 이때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를 수행하기 전 동영상 화면에 대한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40)는 PC(200)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를 수행한다.(505단계) 제어부(140)는 상기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 수행시 상기 동영상(605)에 대한 화면 설정에 있어서, 영상표시기기(100)의 메모리부(150)에 기 저장된 동영상 모드에 대한 화면 설정 값이 존재하는 지를 확인한다.(510단계) The
제어부(140)는 기 저장된 동영상 화면의 설정 값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설정 상태로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하며(515단계) 동영상의 종료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520단계) 제어부(140)는 동영상의 종료 여부 확인 결과 동영상 하이라이트 로 재생 중인 동영상 재생이 완료됨을 판단한 경우 화면을 원래 상태 즉, 영상과 텍스트를 모두 디스플레이하는 웹페이지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PC(200)에 전송한다.(525단계)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PC(200)로부터 동영상 재생의 완료에 따라 원 화면으로 복구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영상표시기기(100)는 화면을 복구하도록 한다.(530단계) If there is a preset value of the previously stored video screen,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동영상 하이라이트 모드 수행시 동영상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검정색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RGB값 또는 휘도레벨을 조정하여 단순히 검은색 화면이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의 밝기 또는 색으로도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동영상 영역이외의 영역인 텍스트 영역에 대한 투명 정도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an area excluding a video area is displayed in black when the video highlight mode is performed has been described. It can also be displayed in the brightness or color of.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t the degree of transparency for the text area, which is an area other than the video area.
도 1은 종래의 웹페이지 디스플레이시의 화면 예시도.1 is a screen example of a conventional web page displa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가 연결된 시스템 구성도.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onfiguration to which an image display devic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nnected.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 시스템에서의 동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동작 흐름도. 4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displaying a video in an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영상표시시스템에서 처리된 동영상을 영상표시기기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5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displaying a moving image processed by the image display system in an image display device.
도 6은 영상표시기기(100)에서 동영상 디스플레이시의 화면 예시도.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when a video is displayed on the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1159A KR20100072681A (en) | 2008-12-22 | 2008-12-22 |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displaying in image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1159A KR20100072681A (en) | 2008-12-22 | 2008-12-22 |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displaying in image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2681A true KR20100072681A (en) | 2010-07-01 |
Family
ID=42635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1159A Withdrawn KR20100072681A (en) | 2008-12-22 | 2008-12-22 |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displaying in image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72681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46290A1 (en) * | 2022-01-28 | 2023-08-0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US12014703B2 (en) | 2022-01-28 | 2024-06-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
-
2008
- 2008-12-22 KR KR1020080131159A patent/KR20100072681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46290A1 (en) * | 2022-01-28 | 2023-08-0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US12014703B2 (en) | 2022-01-28 | 2024-06-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75285B2 (en) | Broadcast receiver and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 |
EP1897368B1 (en) |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content | |
US20100165200A1 (en) |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 |
US20160255406A1 (en) |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20090149128A1 (en) | Subtitle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subtit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ausing these apparatuse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 |
JPWO2012001905A1 (en) | Playback apparatus, voice selection method, and voice selection program | |
US20110216242A1 (en) | Linkage method of video apparatus, video apparatus and video system | |
JP5087944B2 (en) |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 |
US20070121010A1 (en) | Method of setting video device in accordance with video input and video device that uses the method | |
JP201008163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 |
JP4640046B2 (en) | Digital content playback device | |
KR20080099206A (en) |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JP4143675B1 (en) | Remote control system and command transfer method | |
KR2010007268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displaying in image display device | |
JP2006108750A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 |
US20080284913A1 (en) | Audio-visual system, reproduc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 |
JP2008219932A (en) | Remote control system and command transfer method | |
KR2004009885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when a channel of digital television is converting | |
WO2011013670A1 (en) | Video displaying device, program, and storage medium | |
JP2006019809A (en) | Video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video signal receiving method | |
KR10149770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program in video display device | |
KR2010004776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 controlling main screen and sub screen by using pivot function of television | |
KR10151761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ting a image in image display device | |
US20060109382A1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731357B1 (en) | Image quality adjust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device perform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